KR20200078433A - 다양한 성장인자와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양한 성장인자와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8433A
KR20200078433A KR1020200070638A KR20200070638A KR20200078433A KR 20200078433 A KR20200078433 A KR 20200078433A KR 1020200070638 A KR1020200070638 A KR 1020200070638A KR 20200070638 A KR20200070638 A KR 20200070638A KR 20200078433 A KR20200078433 A KR 20200078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wth factor
tripeptide
oligopeptide
cosmetic composition
polypept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희선
지보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턴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턴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턴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070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8433A/ko
Publication of KR20200078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43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다양한 성장인자 및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형질전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간세포증식인자(Hepatocyte growth factor), 섬유아세포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인슐린유사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 및 혈소판유래증식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성장인자; 및 표피세포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를 함유한다.

Description

다양한 성장인자와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ANTI-WRINKLE AND WHITENING CONTAINING VARIOUS GROWTH FACTOR AND PEPTIDE}
본 발명은 다양한 성장인자 및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성장인자를 함유한 줄기세포 배양액으로부터 엑소좀을 분리하여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고, 엑소좀에 함유되지 않은 각종 성장인자들을 첨가함으로써 주름개선 및 미백 효과를 향상시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생활수준 향상과 더불어 노령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화방지, 주름개선, 미백, 자외선차단 등과 관련된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초 화장품 또는 기능성 화장품은 대부분 화학물질로 제조되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안정성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천연 원료 및/또는 유기농 원료를 함유한 제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관련 제품의 시장 규모 또한 증가하고 있다.
최근 들어 단순한 피부 미용을 위한 화장품이 아닌, 세포 자체의 재생에 초점을 맞춘 메디컬용 화장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들 중 하나로서, 피부 노화의 빠른 진행을 억제하고 피부 재생 효과를 부여하고자 표피세포성장인자(EGF, Epidermal growth factor)와 같은 세포 성장인자를 담지하는 등의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적용한 다수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EGF 등의 세포 성장인자들은 온도 조건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 대한 내구성이 높지 못한 특성을 지닌 한계가 있다. 실제로 EGF 성분을 37℃ 조건에서 3시간 동안 배양할 경우, EGF의 활성도가 60% 손상됨이 보고된 바 있다. 이처럼 고온 조건에 대한 세포 성장인자들의 낮은 내구성은 화장품 분야에서 해결하여야 할 필수적인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화장품에 EGF와 같은 세포 성장인자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제조 공정 중에 40℃ 전후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후첨 공정이 필요하며, 통상적으로 제조에서 사용에 이르기까지, 예컨대 1년 내지 3년 정도의 품질 보증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화장품이 제품화되어 이동 또는 소비자가 사용하는 과정에서 생활 고온 조건(여름철, 난방 등)에 노출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며, 이러한 경우 세포 성장인자들은 고유의 활성을 크게 상실하여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피부에 유용한 효능 성분을 제품에 적용하였다 할지라도 이러한 효과는 실제 소비자에게 전달되지 못하게 되어 체감 효능에 대한 만족도가 높지 못하고 기술 반영 제품의 실효성에 의문을 품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 세포 성장인자와 함께 제형 내에서 적용되어, 제조와 사용 과정의 외부적 환경으로부터 세포 성장인자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충분한 대안이 마련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피세포성장인자(EGF)를 비롯한 각종 성장인자를 안정적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형질전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간세포증식인자(Hepatocyte growth factor), 섬유아세포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인슐린유사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 및 혈소판유래증식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성장인자; 및 표피세포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를 함유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니코티노일트리펩타이드-1(Nicotinoyl Tripeptide-1), 에스에이치-옥타펩타이드-4(sh-Octapeptide-4), 카페오일에스에이치-옥타펩타이드-4(Caffeoyl sh-Octapeptide-4), 카페오일트리펩타이드-1(Caffeoyl Tripeptide-1), 카프로오일테트라펩타이드-3(Caprooyl Tetrapeptide-3), 및 팔미토일헥사펩타이드-12(Palmitoyl Hexapeptide-1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다이펩타이드-2(Dipeptide-2), 아세틸다이펩타이드-1세틸에스터(Acetyl Dipeptide-1 Cetyl Ester), 아세틸에스에이치-펜타펩타이드-35(Acetyl sh-Pentapeptide-35), 아세틸옥타펩타이드-3(Acetyl Octapeptide-3), 아세틸트리펩타이드-1(Acetyl Tripeptide-1), 아세틸헥사펩타이드-8(Acetyl Hexapeptide-8), 아세틸헵타펩타이드-9(Acetyl Heptapeptide-9),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rh-Oligopeptide-2),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11디펩타이드-19올리고펩타이드-91헥사펩타이드-40(rh-Polypeptide-11 Dipeptide-19 Oligopeptide-91 Hexapeptide-40), 알지닌/라이신폴리펩타이드(Arginine/Lysine Polypeptide), 에스에이치-데카펩타이드-9(sh-Decapeptide-9), 에스에이치-펜타펩타이드-19(sh-Pentapeptide-19),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1(sh-Polypeptide-1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59(sh-Polypeptide-59),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9(sh-Polypeptide-9), 올리고펩타이드-1(Oligopeptide-1), 올리고펩타이드-91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Oligopeptide-91 rh-Oligopeptide-1), 카퍼트라이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카퍼헵타펩타이드-14판토테네이트(Copper Heptapeptide-14 Pantothenate), 카프릴로일다이펩타이드-17(Capryloyl Dipeptide-17), 트라이펩타이드-1(Tripeptide-1), 트라이플루오로아세틸트라이펩타이드-2(Trifluoroacetyl Tripeptide-2), 트리펩타이드-29(Tripeptide-29), 팔미토일테트라펩타이드-7(Palmitoyl Tetrapeptide-7),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Palmitoyl Tripeptide-1),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38(Palmitoyl Tripeptide-38), 팔미토일트리펩타이드-5(Palmitoyl Tripeptide-5),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Palmitoyl Pentapeptide-4), 펜타펩타이드-31(Pentapeptide-31), 헥사펩타이드-9(Hexapeptide-9) 및 헵타펩타이드-15팔미테이트(Heptapeptide-15 Palmit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장인자는 제대, 제대혈, 골수, 지방, 근육, 신경, 피부, 양막 또는 태반으로부터 유래된 성체줄기세포로부터 유래한 것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성장인자 안정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성장인자 안정화 성분은 글라이코스아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글라이코스아미노글리칸 및 히알루론산의 함량이 각각 3~25중량% 및 0.03~5중량%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줄기세포 배양액으로부터 유래한 엑소좀을 일 성분으로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성장인자를 안정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더욱이, 별도의 안정화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안정성뿐만 아니라 미백, 주름개선 기능성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즉,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약' 또는 '대략'은 그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2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줄기세포 배양액 유래 엑소좀(exosome) 및 표피세포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엑소좀은 세포에서 유래된 지질 이중층으로 구성된 소낭(vesicle)으로, 세포 특유의 단백질, RNA 등을 포함한 상태로 세포 밖으로 분비되어 다른 세포에게 단백질과 RNA 등을 전달할 수 있다.
엑소좀에 포함되어 있는 단백질들은 세포막 형태의 인지질에 의해 보호되고 있어 단백질 분해효소 등에 의해 활성을 쉽게 잃지 않으므로, 가용성 형태의 단순 단백질(soluble protein)보다 안정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지질 이중층의 구조는 세포막과 쉽게 융합되므로 엑소좀 내의 물질들은 세포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 엑소좀은 해당 엑소좀이 유래된 세포 타입을 반영하는 RNA, 단백질, 지질 및 대사물질들을 함유할 수 있다. 엑소좀은 해당 엑소좀이 유래된 세포의 다양한 분자 구성성분(예를 들어, 단백질 및 RNA)을 함유할 수 있다. 엑소좀 단백질 조성은 해당 엑소좀이 유래된 세포 및 조직(tissue)에 따라 다양하나, 대부분의 엑소좀은 진화적으로 보존된 공통의 단백질 분자들 세트를 함유한다.
이러한 엑소좀의 생산 및 함량은 엑소좀을 생산하는 세포가 받은 분자 신호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엑소좀이 유래한 줄기세포는 성체줄기세포 또는 배아줄기세포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대, 제대혈, 골수, 지방, 근육, 신경, 피부, 양막 또는 태반으로부터 유래된 성체줄기세포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성체줄기세포는 필요한 때에 특정한 조직의 세포로 분화하게 되는 미분화상태의 세포이다. 성체줄기세포는 인간 배아에서 추출한 배아 줄기세포와 달리 골수나 뇌세포 등 이미 성장한 신체조직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윤리논쟁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성체줄기세포는 제대, 제대혈, 골수, 지방, 근육, 신경, 피부, 양막 또는 태반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제대혈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성체줄기세포는 중간엽 줄기세포, 중간엽 기질세포(mesenchymal stromal cell) 또는 다분화능 줄기세포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줄기세포는 다양한 종류의 성장인자가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지는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형질전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간세포증식인자(Hepatocyte growth factor), 섬유아세포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인슐린유사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 및 혈소판유래증식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성장인자를 함유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배양된 엑소좀 또한 이들 성분을 다량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장인자는 특정 기능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산화방지 또는 피부보호 기능을 갖는 펩타이드는 니코티노일트리펩타이드-1(Nicotinoyl Tripeptide-1), 에스에이치-옥타펩타이드-4(sh-Octapeptide-4), 카페오일에스에이치-옥타펩타이드-4(Caffeoyl sh-Octapeptide-4), 카페오일트리펩타이드-1(Caffeoyl Tripeptide-1), 카프로오일테트라펩타이드-3(Caprooyl Tetrapeptide-3), 팔미토일헥사펩타이드-12(Palmitoyl Hexapeptide-12)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피부컨디셔닝 기능을 갖는 펩타이드로는 다이펩타이드-2(Dipeptide-2), 아세틸다이펩타이드-1세틸에스터(Acetyl Dipeptide-1 Cetyl Ester), 아세틸에스에이치-펜타펩타이드-35(Acetyl sh-Pentapeptide-35), 아세틸옥타펩타이드-3(Acetyl Octapeptide-3), 아세틸트리펩타이드-1(Acetyl Tripeptide-1), 아세틸헥사펩타이드-8(Acetyl Hexapeptide-8), 아세틸헵타펩타이드-9(Acetyl Heptapeptide-9),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rh-Oligopeptide-2),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11디펩타이드-19올리고펩타이드-91헥사펩타이드-40(rh-Polypeptide-11 Dipeptide-19 Oligopeptide-91 Hexapeptide-40), 알지닌/라이신폴리펩타이드(Arginine/Lysine Polypeptide), 에스에이치-데카펩타이드-9(sh-Decapeptide-9), 에스에이치-펜타펩타이드-19(sh-Pentapeptide-19),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1(sh-Polypeptide-1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59(sh-Polypeptide-59),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9(sh-Polypeptide-9), 올리고펩타이드-1(Oligopeptide-1), 올리고펩타이드-91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Oligopeptide-91 rh-Oligopeptide-1), 카퍼트라이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카퍼헵타펩타이드-14판토테네이트(Copper Heptapeptide-14 Pantothenate), 카프릴로일다이펩타이드-17(Capryloyl Dipeptide-17), 트라이펩타이드-1(Tripeptide-1), 트라이플루오로아세틸트라이펩타이드-2(Trifluoroacetyl Tripeptide-2), 트리펩타이드-29(Tripeptide-29), 팔미토일테트라펩타이드-7(Palmitoyl Tetrapeptide-7),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Palmitoyl Tripeptide-1),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38(Palmitoyl Tripeptide-38), 팔미토일트리펩타이드-5(Palmitoyl Tripeptide-5),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Palmitoyl Pentapeptide-4), 펜타펩타이드-31(Pentapeptide-31), 헥사펩타이드-9(Hexapeptide-9), 헵타펩타이드-15팔미테이트(Heptapeptide-15 Palmitate) 등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줄기세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엑소좀은 나노사이즈로 피부 진피층까지 침투하여 재생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각종 성장인자를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 구성세포인 섬유아세포의 증식과 활성화를 통한 피부 재생, 주름개선, 미백, 항노화, 콜라겐합성 증가, 모발 성장, 축소된 모낭 복원 및 상처치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표피세포성장인자(EGF, Epidermal growth factor)는 줄기세포 배양액 내에서는 발현이 되지 않거나 극미량만이 발현되기 때문에, 상기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은 다양한 성장인자들을 함유하고 있음에도 표피세포성장인자는 거의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표피세포성장인자는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rh-Oligopeptide-1),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와 같은 명칭으로 통용되기도 한다.
다만, 상기 엑소좀이 표피세포성장인자와 함께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되는 경우 상승효과(synergic effect)로 인해 표피세포성장인자를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성장인자 안정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성장인자 안정화"는 세포 성장인자의 분해, 변형, 생물학적 활성의 손실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 구체적으로, 40℃ 내외의 고온 조건에서도 세포성장 인자의 생물학적 활성, 즉 세포의 증식, 사멸, 분화 등과 같은 세포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활성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표피세포성장인자(EGF)와 같은 세포 성장인자는 외부 환경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생체 내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점액성 다당류에 의해 형성된 조직 골격(tissue's matrix)과 결합하여 안정화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장인자 안정화 성분은 글라이코스아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들 성분은 수화된(hydrolyzed)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글라이코스아미노글리칸 및 히알루론산의 함량이 각각 3~25중량% 및 0.03~5중량%일 수 있다. 이들 함량이 전술한 범위보다 낮을 경우, 각 성분 간 상승작용에 따른 조직 모사 겔화(tissue's matrix gelation)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세포 성장인자 안정화가 효과적으로 이루지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각 성분의 함량이 높을 경우, 화장료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제형의 떠짐성 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각 성분 간의 상승작용에 따른 조직 모사 겔화가 세포 성장인자의 안정화에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세포 성장인자는 단백질의 일종이기 때문에 올바른 구조의 형성은 생체 내에서의 기능 수행에 중요한 요건으로 작용하며, 열 등의 외부 환경적 스트레스는 세포 성장인자의 구조를 변형시킬 수 있는 자극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생체 내에서 세포 성장인자는 개별적인 단백질 분자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 네트워크(tissue's matrix)와 결합한 상태로 존재하고, 이러한 결합은 세포 성장인자가 올바른 구조를 유지하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조직 네트워크를 모사한 본 발명에 따른 조직 모사 겔을 화장품 제형으로서 구현할 경우, 세포 성장인자는 생체 내에서처럼 세포 조직 모사 겔과 결합한 상태로 존재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는 열 등의 외부 환경 변화에 의한 성장 인자 구조 변형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조예', '실시예',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중간엽 줄기세포의 세포배양 및 배양액 수집
인간 제대혈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UCB-MSC, human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인간 지방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AD-MSC, human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및 인간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BM-MSC, human bone marrow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를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무혈청 배지로서 페놀 레드 등의 pH 지시약이 첨가되지 않은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이 담겨있는 T25 Flask에 2x105의 수로 UCB-MSC, AD-MSC, BM-MSC를 분주한 뒤, 37℃, 5% CO2 배양기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이후, 기존의 배양액을 제거하고 세포를 PBS로 세척한 뒤, 기존 배양액의 2.5배 양으로, 성장인자인 FGF가 첨가된 DMEM 배지 혹은 성장인자가 첨가되지 않은 DMEM 배지로 교체하였다. 교체된 배지를 이용하여 4일간 배양함으로써 UCB-MSC, AD-MSC, BM-MSC에 대한 배양액을 얻었다.
제조예 2: 배양액으로부터 엑소좀 분리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배양액을 50ml 튜브에 옮긴 다음 회전속도 2,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생성된 세포의 펠렛(pellet)은 버리고 상층액만을 취하여 새로운 50ml 튜브에 옮겼고, 2,000g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였으며, 이를 통해 분리된 상층액은 다시 새로운 50ml 튜브에 옮겼다.
이어서 상기 분리한 상층액 1ml에 Exosome Isolation Reagent(Invitrogen, Cat. No. 4478359)를 500㎕ 비율로 섞은 후, 4℃에서 항온처리(incubation)하였다. 24시간 뒤, 4℃, 10,000g에서 60분간 원심분리하여 형성된 엑소좀 펠렛을 1xPBS에 재현탁하여 분리된 엑소좀을 준비하였다.
실험예 1: 세포 성장인자 첨가에 따른 안정성 비교
상기 제조예 2에서 수득한 엑소좀 100ng/ml과 sh-EGF 10ng/ml을 Keratinocyte cell line인 HaCaT 세포에 처리한 다음, 글라이코스아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 및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의 처리 여부에 따른 영향을 확인하고자, 아래 표 1과 같이 각 성분의 함량에 변화를 주며 37℃ 조건에서 3시간 동안, 이들을 열 처리한 후, 이에 따른 세포 증식률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아래 표 1에서 Sh-EGF는 총 샘플 1ml당 함량(ng)으로 표시한 수치이다.
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Glycacid ECO - - - 25 25 25 25
Bio Hyaluro-nate 0.4 0.4 0.4 0.4
Tris Amino Ultra PC 0.5
NaCl 0.33
KCl 0.21
sh-EGF 0.1 1 10 0.1 1 10 0.1 1 10 0.1 1 10
정제수 To 100
sh-EGF 함량 분류 세포증식 둔화율
0.1ng/ml 비교예 1 61.2%
실시예 1 59.7%
실시예 4 60.1%
실시예 7 52.1%
1ng/ml 비교예 2 48.5%
실시예 2 34.3%
실시예 5 41.1%
실시예 8 21.3%
10ng/ml 비교예 3 39.2%
실시예 3 27.7%
실시예 6 34.7%
실시예 9 19.0%
상기 표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통상의 제형으로 이루어진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조성물은 세포증식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던 반면,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에 따라 안정화 성분을 적용한 조성물이 보다 낮은 세포증식 둔화율을 보였다.
특히, 성장인자 안정화 성분을 개별적으로 적용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조성물에 비해 이들을 복합적용한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9의 화장료 조성물이 보다 우수한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표피세포성장인자(EFG) 등과 같은 세포 성장인자와 안정화 성분을 화장료의 제조에 함께 적용될 경우, 고온의 처리 또는 보관 하에서도 세포 성장 촉진 효과가 높게 유지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세포 성장인자 안정화 성분을 개별로 적용했을 경우 보다, 복합 적용시 각 구성 성분들의 상승 효과(synergic effect)에 의해 고온 처리에서도 세포 성장 인자의 안정화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세포 조직모사 성분 함량 비율에 따른 떠짐성 비교
세포 성장인자 안정화 겔을 형성하는 세포 조직모사 성분인 글라이코스아미노글리칸과 히알루로산의 제형 구성 함량 비율에 따른 제형의 떠짐성을 비교하였다.
화장품 제형에서 떠짐성은 제품을 별도의 기구 없이 손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확보되어야 하는 속성이라 할 수 있다. 떠짐성의 속성은 소비자가 느끼는 만족도와 연관되기 때문에, 20대부터 50대에 해당하는 일반적을 화장품을 사용해 온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떠짐의 적합한 정도에 대하여 감성 평가를 실시하여 1부터 10의 수치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10에 가까울수록 떠짐성이 매우 양호하고 만족스러운 것이며, 5는 떠짐성이 보통인 정도를 나타내고, 1에 가까울수록 떠짐성의 만족도가 양호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아래 표 3과 같이 글라이코스아미노글리칸과 히알루론산의 함량 비율을 변화시키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떠짐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아래 표 3에서 Sh-EGF는 총 샘플 1ml당 함량(ng)으로 표시한 수치이다.
중량%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9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Glycacid ECO 5 10 25 40 90 25 25 25 25 25
Bio Hyaluro-nate 0.4 0.4 0.4 0.4 0.4 0.05 0.1 1 5 7
Tris Amino Ultra PC 0.1 0.2 0.5 0.8 1.7 0.5 0.5 0.5 0.5 0.5
NaCl 0.33
KCl 0.21
sh-EGF 10
정제수 To 100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9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떠짐성 10 10 9 7 2 9 9 9 8 3
상기 표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글라이코스아미노글리칸의 함량이 2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즉 글라이코스아미노글리칸 함유 원료(GLYCACYD ECO)의 함량이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실시예 13), 또는 히알루론산의 함량이 5 중량%를 초과할 경우(실시예 18), 떠짐성에 대한 만족도가 급격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직 모사 겔화가 이루어질 때, 성분의 함량비가 일정 수준을 이상이 되는 경우, 겔화이 지나치게 강해져 떠짐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바, 화장품으로 구현함에 있어서, 이러한 떠짐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글라이코스아미노글리칸 및 히알루론산의 함량비를 조절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7)

  1.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형질전환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간세포증식인자(Hepatocyte growth factor), 섬유아세포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인슐린유사성장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 및 혈소판유래증식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성장인자; 및
    표피세포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니코티노일트리펩타이드-1(Nicotinoyl Tripeptide-1), 에스에이치-옥타펩타이드-4(sh-Octapeptide-4), 카페오일에스에이치-옥타펩타이드-4(Caffeoyl sh-Octapeptide-4), 카페오일트리펩타이드-1(Caffeoyl Tripeptide-1), 카프로오일테트라펩타이드-3(Caprooyl Tetrapeptide-3), 및 팔미토일헥사펩타이드-12(Palmitoyl Hexapeptide-1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를 더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다이펩타이드-2(Dipeptide-2), 아세틸다이펩타이드-1세틸에스터(Acetyl Dipeptide-1 Cetyl Ester), 아세틸에스에이치-펜타펩타이드-35(Acetyl sh-Pentapeptide-35), 아세틸옥타펩타이드-3(Acetyl Octapeptide-3), 아세틸트리펩타이드-1(Acetyl Tripeptide-1), 아세틸헥사펩타이드-8(Acetyl Hexapeptide-8), 아세틸헵타펩타이드-9(Acetyl Heptapeptide-9),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rh-Oligopeptide-2),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11디펩타이드-19올리고펩타이드-91헥사펩타이드-40(rh-Polypeptide-11 Dipeptide-19 Oligopeptide-91 Hexapeptide-40), 알지닌/라이신폴리펩타이드(Arginine/Lysine Polypeptide), 에스에이치-데카펩타이드-9(sh-Decapeptide-9), 에스에이치-펜타펩타이드-19(sh-Pentapeptide-19),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1(sh-Polypeptide-1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59(sh-Polypeptide-59),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9(sh-Polypeptide-9), 올리고펩타이드-1(Oligopeptide-1), 올리고펩타이드-91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Oligopeptide-91 rh-Oligopeptide-1), 카퍼트라이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카퍼헵타펩타이드-14판토테네이트(Copper Heptapeptide-14 Pantothenate), 카프릴로일다이펩타이드-17(Capryloyl Dipeptide-17), 트라이펩타이드-1(Tripeptide-1), 트라이플루오로아세틸트라이펩타이드-2(Trifluoroacetyl Tripeptide-2), 트리펩타이드-29(Tripeptide-29), 팔미토일테트라펩타이드-7(Palmitoyl Tetrapeptide-7),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1(Palmitoyl Tripeptide-1), 팔미토일트라이펩타이드-38(Palmitoyl Tripeptide-38), 팔미토일트리펩타이드-5(Palmitoyl Tripeptide-5),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Palmitoyl Pentapeptide-4), 펜타펩타이드-31(Pentapeptide-31), 헥사펩타이드-9(Hexapeptide-9) 및 헵타펩타이드-15팔미테이트(Heptapeptide-15 Palmit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를 더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인자는 제대, 제대혈, 골수, 지방, 근육, 신경, 피부, 양막 또는 태반으로부터 유래된 성체줄기세포로부터 유래한 것인,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성장인자 안정화 성분을 더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인자 안정화 성분은 글라이코스아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글라이코스아미노글리칸 및 히알루론산의 함량이 각각 3~25중량% 및 0.03~5중량%인,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70638A 2020-06-11 2020-06-11 다양한 성장인자와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84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638A KR20200078433A (ko) 2020-06-11 2020-06-11 다양한 성장인자와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638A KR20200078433A (ko) 2020-06-11 2020-06-11 다양한 성장인자와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433A true KR20200078433A (ko) 2020-07-01

Family

ID=71602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638A KR20200078433A (ko) 2020-06-11 2020-06-11 다양한 성장인자와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843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43619A (zh) * 2020-08-20 2020-12-08 广州优理氏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修复作用的肽类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309300B1 (ko) * 2020-09-18 2021-10-07 주식회사 아쉬세븐 피부 주름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378053B1 (ko) * 2020-12-24 2022-03-25 주식회사 조에바이오 유해물질 및 광에 대한 피부보호용 조성물
KR102576927B1 (ko) * 2023-06-20 2023-09-12 커런티브 주식회사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43619A (zh) * 2020-08-20 2020-12-08 广州优理氏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修复作用的肽类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309300B1 (ko) * 2020-09-18 2021-10-07 주식회사 아쉬세븐 피부 주름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378053B1 (ko) * 2020-12-24 2022-03-25 주식회사 조에바이오 유해물질 및 광에 대한 피부보호용 조성물
WO2022139558A1 (en) * 2020-12-24 2022-06-30 Zoe Bio Inc. Composition for protecting the skin against harmful substance, light and stress
KR102576927B1 (ko) * 2023-06-20 2023-09-12 커런티브 주식회사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8433A (ko) 다양한 성장인자와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85010A (ko) 고함량의 성장인자를 함유한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
US20160206550A1 (en) Stromal dells derived conditioned medium, method of obtaining said conditioned medium compositions, formulations and applications thereof
JP6846422B2 (ja) Palmaria palmataとジャスミンとの相乗作用的抽出物、それを含む組成物およびそれらの使用
CN102762189B (zh) 包含长角豆提取物作为促进水通道蛋白表达活性剂的化妆品和/或药物组合物
KR20210153302A (ko)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TWI625134B (zh) 間質幹細胞萃取物及其用途
KR100721144B1 (ko) 펩타이드 혼합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2043621B (zh) 一种具有抗衰效果的无防腐多肽组合物
CN110548002A (zh) 一种用于抗皮肤衰老的人源干细胞外泌体组合物
WO2011101760A1 (en) A method and composition for skin care comprising cord blood serum or plasma or components thereof
CN113728094A (zh) 包含在含有人血小板裂解物的培养基中培养的间充质干细胞培养液的化妆品组合物
CN113842334B (zh) 一种促进皮肤多维防御和修复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806115B1 (ko) 피부재생 또는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는 인간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배양 농축액 및 이의 용도
Kim et al. Wound healing properties of a 3-D scaffold comprising soluble silkworm gland hydrolysate and human collagen
CN104887542B (zh) 一种化妆品组合物
US9199101B2 (en) Use of a peptide hydrolysate of pea as moisturizing active agent
CN113208998A (zh) 一种含干细胞外泌体的抗皱精华液
KR20210122719A (ko) 제대혈 줄기세포에 의해 고효능의 엑소좀이 고함량으로 분비된 배양액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Tian et al. Co-delivery of bioactive peptides by nanoliposomes for promotion of hair growth
US20130012446A1 (en) Compositions and manufacture of mammalian stem cell-based cosmetics
KR20100096447A (ko) 돼지 태반 조직 유래 줄기세포의 배양물 및 그 추출 단백질을 함유한 화장료용 조성물
KR101320165B1 (ko) 간엽줄기세포의 무항생제 배양액 조성물
CN113940912B (zh) 抗衰老的组合物及其应用
JP2016517861A (ja) 亜麻の種子から抽出した中性オリゴ糖の混合物の獲得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