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385A -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385A
KR20200075385A KR1020180164003A KR20180164003A KR20200075385A KR 20200075385 A KR20200075385 A KR 20200075385A KR 1020180164003 A KR1020180164003 A KR 1020180164003A KR 20180164003 A KR20180164003 A KR 20180164003A KR 20200075385 A KR20200075385 A KR 20200075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row
switch
angle
inpu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3621B1 (ko
Inventor
이진우
이승규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4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621B1/ko
Priority to DE102019129798.2A priority patent/DE102019129798B4/de
Priority to CN201911249364.2A priority patent/CN111332164B/zh
Priority to US16/716,107 priority patent/US11440439B2/en
Publication of KR20200075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52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with relations between different adjustments, e.g. height of headrest following longitudinal position of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4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with memory of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72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56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the occupant to get in or out of the vehicle, e.g. stowing a seat forward
    • B60N2002/027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10/00Sensor types, e.g. for passenger detection systems or for controlling seats
    • B60N2210/10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N2210/14Inductive; Magnetic fie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차량에 장착된 스위치 각각을 통해 전달된 입력정보를 분석하여 입력패턴에 따라 상기 입력정보를 분류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해당 시트의 각도감지센서를 통해 전달된 회전각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해당 시트의 현재 각도가 설정된 다수의 각도영역 중 어느 각도영역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검출된 각도영역에 관한 정보와 상기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해당 시트의 동작 수행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해당 시트에 대한 동작이 맞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Method of controlling car sea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시트의 각도 구간별로 입력되는 스위치 정보에 따라 자동차 시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에는 운전석 및 조수석 등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seat)가 마련되어 있으며, 시트의 위치, 각도 및 등받이 기울기 등을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조절 방법에는 탑승자가 래치의 결합 상태를 수동으로 해제한 상태에서 탑승자가 힘을 주어 시트를 조절하는 수동 방식 및 탑승자의 간단한 버튼 조작을 통해 모터를 구동하여 시트를 조절하는 전동 방식이 있다.
특히, 전동 방식의 시트 조절 방법이 적용된 전동 시트(power seat)는 시트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슬라이드 조절 기능, 시트의 전방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틸트 조절 기능,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기능 및 시트의 등받이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리클라이너(recliner)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전동 시트를 운전석에 적용하는 경우, 운전자가 주행 중 운전석 전동시트의 제어 오류 또는 제어기 내부 고장으로 인하여 의도치 않은 시트의 동작으로 위험한 상황에 빠지는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주행 중 운전석 시트가 후방으로 의도하지 않게 이동하는 경우, 운전자의 운전자세가 불편하게 되어 안전운전을 어렵게 하거나, 또는 주행 중 운전석 시트가 앞쪽으로 접혀서 운전자가 불편한 자세로 운전을 하게 되어 안전운전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4149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시트의 각도 구간별로 입력되는 스위치 정보에 따라 자동차 시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은 제어부(180)가 차량에 장착된 스위치 각각을 통해 전달된 입력정보를 분석하여 입력패턴에 따라 상기 입력정보를 분류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180)가 해당 시트의 각도감지센서를 통해 전달된 회전각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해당 시트의 현재 각도가 설정된 다수의 각도영역 중 어느 각도영역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180)가 상기 검출된 각도영역에 관한 정보와 상기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해당 시트의 동작 수행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180)가 상기 해당 시트에 대한 동작이 맞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에서 상기 입력정보는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141)를 전방으로 1초 미만으로 누른 상기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141)의 제 1 입력정보(A1), 상기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141)를 후방으로 1초 미만으로 누른 상기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141)의 제 2 입력정보(A2), 상기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141)를 전방으로 1초를 초과하여 누른 상기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141)의 제 3 입력정보(A3), 상기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141)를 후방으로 1초를 초과하여 누른 상기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141)의 제 4 입력정보(A4), 상기 제 2 열의 시트 틸트 스위치(142)를 상방으로 누른 상기 제 2 열의 시트 틸트 스위치(142)의 제 1 입력정보(B1), 상기 제 2 열의 시트 틸트 스위치(142)를 하방으로 누른 상기 제 2 열의 시트 틸트 스위치(142)의 제 2 입력정보(B2), 7인승 차량에서 제 2 열의 시트 쿠션 스위치(130)를 누른 상기 제 2 열의 시트 쿠션 스위치(130)의 제 1 입력정보(C1), 5인승 차량에서 제 2 열의 시트 쿠션 스위치(130)를 누른 상기 제 2 열의 시트 쿠션 스위치(130)의 제 2 입력정보(C2), 제 2 열 시트백 스위치(150)를 누른 상기 제 2 열 시트백 스위치(150)의 입력정보(D) 및 폴딩 스위치(170)를 누른 상기 폴딩 스위치(170)의 입력정보(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에서 상기 각도영역은 쿠션에 시트백이 접힌 상태(0°)부터 기준위치(O)의 각도까지 제 1 각도영역(Ⅰ), 제 2 각도영역(Ⅱ) 및 제 3 각도영역(Ⅲ)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위치(O)의 각도부터 후방의 둔각 각도까지 제 4 각도영역(Ⅳ)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에서 상기 해당 시트의 동작 수행은 상기 해당 시트를 전방방향으로 수그리는 리클전방동작, 상기 해당 시트를 후방으로 젖히는 리클후방동작, 상기 해당 시트의 전방 경사각을 높이는 틸트업동작, 상기 해당 시트의 전방 경사각을 낮추는 틸트다운동작, 상기 해당 시트 전체를 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시키는 워크인동작, 상기 해당 시트를 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시키는 언워크인동작, 상기 해당 시트의 시트백을 쿠션으로 완전히 접는 폴딩동작 및 상기 해당 시트의 시트백을 쿠션으로부터 젖히는 언폴딩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에서 상기 제어부(180)가 상기 해당 시트에 대한 동작이 맞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해당 시트의 각도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각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해당 시트의 동작이 맞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은 설정된 각도영역에 따른 시트의 각도영역정보와 스위치를 통해 전달된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각 시트의 동작을 명확하게 분류하여 제어하므로, 사용자의 오인식과 오동작을 방지하여 차량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동차 2열 시트 쿠션에 구비된 스위치들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동차 2열 시트백에 구비된 스위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동차 트렁크 부분에 구비된 스위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동차 2열 시트 쿠션에 구비된 스위치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동차 2열 시트백에 구비된 스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동차 트렁크 부분에 구비된 스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제어 시스템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7인승 차량에 장착된 스위치들, 즉 제 1 열의 시트쿠션에 장착된 스위치(110), 제 1 열의 시트백에 장착된 스위치(120), 제 2 열의 시트쿠션에 장착된 스위치들(130,140), 제 2 열의 시트백에 장착된 스위치(150), 제 3 열의 도어에 장착된 스위치(160) 및 트렁크 부분에 장착된 폴딩 스위치(170)와 함께, 각 시트 내부에 장착된 각도감지센서 및 이러한 스위치들과 각도감지센서들에 연결되어 각 시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제 2 열의 시트쿠션에 장착된 스위치들은 제 2 열의 시트 쿠션 스위치(130),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141), 제 2 열의 시트 틸트 스위치(142) 및 제 2 열의 시트백에 장착된 스위치(150)를 포함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트렁크 부분에 장착되어 제 2 열의 시트와 제 3 열의 시트의 폴딩과 언폴딩을 입력하는 폴딩 스위치(170)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위치들 각각은 사용자의 입력 패턴에 따라 입력정보를 다르게 감지하고, 입력된 입력정보를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각도감지센서는 예를 들어 홀(Hall) 센서를 포함하여 각 시트의 내부에 장착된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고, 예컨대 모터 회전에 따른 시트의 회전각도정보를 감지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다수의 스위치들과 각도감지센서들에 연결되어, 각도감지센서 각각을 통해 전달된 회전각도정보를 분석하여 시트의 현재 각도를 검출하고, 해당 시트의 스위치로부터 전달된 입력정보를 분석하며, 이렇게 분석된 입력정보를 시트의 현재 각도에 따른 시트 동작정보로 분석하여 시트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은 먼저 제어부(180)가 차량에 장착된 스위치들 각각을 통해 전달된 입력정보를 분석하여 입력패턴에 따른 입력정보를 분류 확인한다(S510).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141)를 전방으로 1초 미만으로 누른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141)의 제 1 입력정보(A1),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141)를 후방으로 1초 미만으로 누른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141)의 제 2 입력정보(A2),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141)를 전방으로 1초를 초과하여 누른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141)의 제 3 입력정보(A3),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141)를 후방으로 1초를 초과하여 누른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141)의 제 4 입력정보(A4), 제 2 열의 시트 틸트 스위치(142)를 상방으로 누른 제 2 열의 시트 틸트 스위치(142)의 제 1 입력정보(B1), 제 2 열의 시트 틸트 스위치(142)를 하방으로 누른 제 2 열의 시트 틸트 스위치(142)의 제 2 입력정보(B2), 7인승 차량에서 제 2 열의 시트 쿠션 스위치(130)를 누른 제 2 열의 시트 쿠션 스위치(130)의 제 1 입력정보(C1), 5인승 차량에서 제 2 열의 시트 쿠션 스위치(130)를 누른 제 2 열의 시트 쿠션 스위치(130)의 제 2 입력정보(C2), 제 2 열 시트백 스위치(150)를 누른 제 2 열 시트백 스위치(150)의 입력정보(D) 및 폴딩 스위치(170)를 누른 폴딩 스위치(170)의 입력정보(E)를 각각 분류하고 확인할 수 있다.
입력정보를 분류 확인한 후, 제어부(180)는 해당 시트의 각도감지센서를 통해 전달된 회전각도정보를 분석하여 시트의 현재 각도가 설정된 각도영역 중 어느 각도영역에 있는지를 검출한다(S520).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의 회전 각도를 분류한 각도영역으로, 예를 들어 시트백이 쿠션에 완전히 접힌 상태(0°)부터 기준위치(O)까지 제 1 각도영역(Ⅰ), 제 2 각도영역(Ⅱ) 및 제 3 각도영역(Ⅲ)으로 분류되고, 기준위치(O)로부터 후방의 둔각 각도까지 제 4 각도영역(Ⅳ)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각도영역(Ⅰ)은 시트백이 쿠션에 완전히 접힌 상태(0°)부터 61° 까지의 각도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2 각도영역(Ⅱ)은 61°부터 94°까지의 각도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3 각도영역(Ⅲ)은 94°부터 기준위치(O)인 102°까지 각도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4 각도영역(Ⅳ)은 기준위치(O)인 102°로부터 118°까지의 각도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도영역을 기준으로 제어부(180)는 해당 시트의 각도감지센서를 통해 전달된 회전각도정보를 분석하여 시트의 현재 각도가 설정된 각도영역(Ⅰ,Ⅱ,Ⅲ,Ⅳ) 중 어느 각도영역에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각도영역이 4개의 범위로 설정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의 각도영역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렇게 검출된 각도영역에 관한 정보와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180)는 해당 시트의 동작을 수행한다(S530).
구체적으로, 시트의 동작은 시트를 전방방향으로 수그리는 리클전방동작, 시트를 후방으로 젖히는 리클후방동작, 시트의 전방 경사각을 높이는 틸트업동작, 시트의 전방 경사각을 낮추는 틸트다운동작, 시트 전체를 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시키는 워크인동작, 시트를 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시키는 언워크인동작, 시트의 시트백을 쿠션으로 완전히 접는 폴딩동작 및 시트의 시트백을 쿠션으로부터 젖히는 언폴딩동작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의 동작은 제어부(180)가 각도영역정보 및 스위치를 통해 입력된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아래의 [표 1]에서처럼 결정되어 해당 시트의 동작을 수행한다.
입력
A1 - - 리클전방동작 리클전방동작
A2 - - 리클후방동작 리클후방동작
A3 폴딩동작 폴딩동작 리클전방동작 리클전방동작
A4 언폴딩동작 언폴딩동작 리클후방동작 리클후방동작
B1 - - 틸트업동작 틸트업동작
B2 - - 틸트다운동작 틸트다운동작
C1 워크인동작 언워크인동작 워크인동작 워크인동작
C2 언폴딩동작 언폴딩동작 폴딩동작 폴딩동작
D 워크인동작 언워크인동작 워크인동작 워크인동작
E 언폴딩동작 언폴딩동작 폴딩동작 폴딩동작
예를 들어, 제어부(180)가 5인승 차량에서 제 2 열의 시트 쿠션 스위치(130)를 누른 제 2 열의 시트 쿠션 스위치(130)의 제 1 입력정보(C2) 및 제 2 열의 시트에 장착된 각도감지센서로부터 제 2 열의 시트가 94°부터 설계표준위치(O)인 102°까지의 제 3 각도영역(Ⅲ)에 위치한다는 각도영역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 2 열의 시트 쿠션 스위치(130)의 제 1 입력정보(C2)와 제 3 각도영역(Ⅲ)에 위치한다는 각도영역정보에 따라 제 2 열의 시트백을 쿠션으로 완전히 접는 폴딩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해당 시트의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제어부(180)는 해당 시트에 대한 동작이 맞는지 판단한다(S540).
예를 들어, 제어부(180)가 제 2 열의 시트 쿠션 스위치(130)의 제 1 입력정보(C2)와 제 3 각도영역(Ⅲ)에 위치한다는 각도영역정보에 따라 제 2 열의 시트백을 쿠션으로 완전히 접는 폴딩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해당하는 제 2 열의 시트에 장착된 각도감지센서로부터 각도정보를 수신하여 폴딩동작에 따른 제 2 열의 시트백의 각도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열의 시트백의 각도변동을 감지하면, 제어부(180)는 제 2 열의 시트백을 쿠션으로 완전히 접는 폴딩동작이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계속 동작을 수행하여 마무리할 수 있다.
반대로, 제 2 열의 시트백의 각도변동을 감지하지 못하면, 제어부(180)는 제 2 열의 시트백을 쿠션으로 완전히 접는 폴딩동작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은 설정된 각도영역(Ⅰ,Ⅱ,Ⅲ,Ⅳ)에 따른 시트의 각도영역정보와 스위치를 통해 전달된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각 시트의 동작을 명확하게 분류하여 제어하므로, 사용자의 오인식과 오동작을 방지하여 차량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제 1 열의 시트쿠션에 장착된 스위치
120: 제 1 열의 시트백에 장착된 스위치
130: 제 2 열의 시트 쿠션 스위치
141: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
142: 제 2 열의 시트 틸트 스위치
150: 제 2 열의 시트백에 장착된 스위치
160: 제 3 열의 도어에 장착된 스위치
170: 트렁크 부분에 장착된 폴딩 스위치
180: 제어부

Claims (5)

  1. 제어부가 차량에 장착된 스위치 각각을 통해 전달된 입력정보를 분석하여 입력패턴에 따라 상기 입력정보를 분류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해당 시트의 각도감지센서를 통해 전달된 회전각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해당 시트의 현재 각도가 설정된 다수의 각도영역 중 어느 각도영역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검출된 각도영역에 관한 정보와 상기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해당 시트의 동작 수행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해당 시트에 대한 동작이 맞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는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를 전방으로 1초 미만으로 누른 상기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의 제 1 입력정보(A1), 상기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를 후방으로 1초 미만으로 누른 상기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의 제 2 입력정보(A2), 상기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를 전방으로 1초를 초과하여 누른 상기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의 제 3 입력정보(A3), 상기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를 후방으로 1초를 초과하여 누른 상기 제 2 열의 시트 리클라이닝 스위치의 제 4 입력정보(A4), 상기 제 2 열의 시트 틸트 스위치를 상방으로 누른 상기 제 2 열의 시트 틸트 스위치의 제 1 입력정보(B1), 상기 제 2 열의 시트 틸트 스위치를 하방으로 누른 상기 제 2 열의 시트 틸트 스위치의 제 2 입력정보(B2), 7인승 차량에서 제 2 열의 시트 쿠션 스위치를 누른 상기 제 2 열의 시트 쿠션 스위치의 제 1 입력정보(C1), 5인승 차량에서 제 2 열의 시트 쿠션 스위치를 누른 상기 제 2 열의 시트 쿠션 스위치의 제 2 입력정보(C2), 제 2 열 시트백 스위치를 누른 상기 제 2 열 시트백 스위치의 입력정보(D) 및 폴딩 스위치를 누른 상기 폴딩 스위치의 입력정보(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영역은 쿠션에 시트백이 접힌 상태(0°)부터 기준위치(O)의 각도까지 제 1 각도영역(Ⅰ), 제 2 각도영역(Ⅱ) 및 제 3 각도영역(Ⅲ)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위치(O)의 각도부터 후방의 둔각 각도까지 제 4 각도영역(Ⅳ)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시트의 동작 수행은 상기 해당 시트를 전방방향으로 수그리는 리클전방동작, 상기 해당 시트를 후방으로 젖히는 리클후방동작, 상기 해당 시트의 전방 경사각을 높이는 틸트업동작, 상기 해당 시트의 전방 경사각을 낮추는 틸트다운동작, 상기 해당 시트 전체를 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시키는 워크인동작, 상기 해당 시트를 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시키는 언워크인동작, 상기 해당 시트의 시트백을 쿠션으로 완전히 접는 폴딩동작 및 상기 해당 시트의 시트백을 쿠션으로부터 젖히는 언폴딩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해당 시트에 대한 동작이 맞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해당 시트의 각도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각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해당 시트의 동작이 맞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
KR1020180164003A 2018-12-18 2018-12-18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 KR102153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003A KR102153621B1 (ko) 2018-12-18 2018-12-18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
DE102019129798.2A DE102019129798B4 (de) 2018-12-18 2019-11-05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Fahrzeugsitzes
CN201911249364.2A CN111332164B (zh) 2018-12-18 2019-12-09 控制车辆座椅的方法
US16/716,107 US11440439B2 (en) 2018-12-18 2019-12-16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s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003A KR102153621B1 (ko) 2018-12-18 2018-12-18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385A true KR20200075385A (ko) 2020-06-26
KR102153621B1 KR102153621B1 (ko) 2020-09-08

Family

ID=7085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003A KR102153621B1 (ko) 2018-12-18 2018-12-18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40439B2 (ko)
KR (1) KR102153621B1 (ko)
CN (1) CN111332164B (ko)
DE (1) DE102019129798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450A1 (ko) * 2020-10-30 2022-05-05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
KR20230058909A (ko) * 2021-10-25 2023-05-03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발매트 팽창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87927B1 (en) * 2018-05-04 2022-04-06 KEIPER Seating Mechanisms Co., Ltd. Pivot fitting for a seat, in particular vehicle seat and a seat
US11241980B2 (en) * 2019-05-09 2022-02-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seat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KR102236326B1 (ko) * 2019-11-21 2021-04-05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시트의 작동 구간 설정 시스템
JP2022106427A (ja) * 2021-01-07 2022-07-20 マツダ株式会社 降車支援装置および該方法
FR3120026B1 (fr) * 2021-02-23 2023-01-06 Psa Automobiles Sa Procede et dispositif de controle d’un systeme de verrouillage d’un dossier de banquette arriere d’un vehicule
KR20220149053A (ko)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 알고리고 시트 포지션 자동화를 위한 인공신경망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8794B2 (ja) * 1990-07-13 1998-09-17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バス用シート
KR20180064149A (ko) 2016-12-05 2018-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동시트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429B2 (ja) * 1986-12-12 1994-06-29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パワ−シ−トの安全装置
FR2801480B1 (fr) 1999-11-29 2002-02-15 Labinal Dispositif d'actionnement d'un element de siege
DE102007019442B4 (de) * 2007-04-25 2015-05-07 Johnson Controls Components Gmbh & Co. 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sowie Verfahren zum Freischwenken einer Lehne eines solchen Kraftfahrzeugsitzes
JP5483061B2 (ja) * 2009-08-21 2014-05-0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CN201619470U (zh) * 2009-11-03 2010-11-03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多功能汽车座椅
JP2017210204A (ja) * 2016-05-27 2017-11-3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調節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8794B2 (ja) * 1990-07-13 1998-09-17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バス用シート
KR20180064149A (ko) 2016-12-05 2018-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동시트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450A1 (ko) * 2020-10-30 2022-05-05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
KR20220057880A (ko) * 2020-10-30 2022-05-0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
KR20230058909A (ko) * 2021-10-25 2023-05-03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발매트 팽창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9129798A1 (de) 2020-06-18
KR102153621B1 (ko) 2020-09-08
CN111332164A (zh) 2020-06-26
US11440439B2 (en) 2022-09-13
CN111332164B (zh) 2022-04-01
US20200189419A1 (en) 2020-06-18
DE102019129798B4 (de)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621B1 (ko)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
US11247584B2 (en) Adjustable vehicle seat
US9896002B2 (en) Vehicle seat assembly and method of occupant accommodation
US10471857B2 (en) Reclining rear seat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11390191B2 (en) Vehicle seat control device
CN101992708B (zh) 座椅状态改变装置
CN108928281B (zh) 具有显示装置的车辆座椅
US20170282754A1 (en) Vehicle seat assembly and method of storage
KR20170066775A (ko) 착좌 모드에 따른 후석 시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171175A (ja) 車両用シートの退避動作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US20200023800A1 (en) Vehicular seat device and air pressure control method for vehicular seat
US2019011867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ar-seat leg support of vehicle seat
CN111448098A (zh) 车辆座椅控制装置
WO2023232041A1 (en) Method for occupant protection and occupant protection system
JP6346226B2 (ja) 車両用シート制御装置
US8818644B1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a seat occupancy
CN111148651A (zh) 用于机动车的车辆座椅及车辆座椅系统
JP2005119340A (ja) シート位置制御装置
JP2018197091A (ja) シートポジション調整システム
US20040251728A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a vehicle reclining seat
KR20140065299A (ko) 운전석 시트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JP5297051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および車両用シート装置の制御方法
JP6450977B2 (ja) シート位置調整システム
JP5418826B2 (ja) シート状態変更装置
CN109435788B (zh) 车辆座椅远程控制系统以及车辆座椅远程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