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92450A1 -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92450A1
WO2022092450A1 PCT/KR2021/001687 KR2021001687W WO2022092450A1 WO 2022092450 A1 WO2022092450 A1 WO 2022092450A1 KR 2021001687 W KR2021001687 W KR 2021001687W WO 2022092450 A1 WO2022092450 A1 WO 202209245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lk
seat
switch
signal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168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진우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US18/246,58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365029A1/en
Priority to EP21886451.0A priority patent/EP4238817A1/en
Priority to CN202180072060.2A priority patent/CN116390870A/zh
Publication of WO202209245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924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56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the occupant to get in or out of the vehicle, e.g. stowing a seat forw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72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20/00Computerised treatment of data for controlling of seats
    • B60N2220/20Computerised treatment of data for controlling of seats using a deterministic algorithm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walk-in operation of a vehicle se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k-in operation of a vehicle seat that can prevent malfunction of a walk-in when the walk-in switch is operated during a walk-in operation of the seat or a walk-in return operation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phosphorus.
  • first-row seats there is a recreational vehicle having a second-row seat and a third-row seat behind the first-row seat.
  • the second-row seat has a walk-in function so that passengers of the third-row seat can get on and off more easily.
  • the walk-in function of the seat means that when the second row seat is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eat rail and the seat back is in the initial state, when the walk-in switch is operated, the second row seat slides forward along the seat rail and the seat back rotates forward. It is a folding function, and through this, it is a technology to secure sufficient space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row seats.
  • the seat slide motor and the seat recliner motor are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seat controller, and the second row seats slide forward along the seat rail by the operation of these motors.
  • the seatback rotates forward and folds automatically.
  • the walk-in switch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eatback of the second-row seat for smooth operation of the third-row seat passenger.
  • the second row seat moves to the rear of the seat rail and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seat back is erected again. Passengers from the third-row seat when they get off are caught between the second-row seat and the door on their way back,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injured.
  • a walk-in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seat that continues the return operation and stops the walk-in operation or the walk-in return operation only in the case of a norm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will. The purpose is to prevent injuries from occurring.
  • the walk-in operation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seat includes a firs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signal of the walk-in switch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he walk-in operation of the vehicle seat; a second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number of times the signal is genera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of the walk-in switch is generated in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of the walk-in switch is generated once in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the third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 at which the seat slides forward and the recliner angle of the seat back satisfy the conditions for disembarking the passenger compris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dition for disembarking the passenger is not satisfied in the third determination step, the seat of the vehicle continues the walk-in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seat controller to complete the walk-in operation.
  • the seat of the vehicle continues the walk-in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seat controller to complete the walk-in operation .
  • the seat of the vehicle continues the walk-in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seat controller to complete the walk-in operation.
  • the seat controller controls the walk-in operation of the seat to be stopped.
  • the seat of the vehicle continues the walk-in return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seat controller to complete the walk-in return operation do it with
  • the seat controller controls the walk-in return operation of the seat to stop.
  •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walk-in operation of a vehicle seat includes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of a walk-in switch during a walk-in operation or a walk-in return operation of the sea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walk-in switch is erroneously op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signal occurrences and the signal filtering time of the walk-in switch;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of the walk-in switch is an erroneous operation, the seat of the vehicle continues until the walk-in operation or the walk-in return operation is completed under the control of the seat controller, and in the case of a norm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wil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lk-in operation or the walk-in return operation of the sheet is stopped by the control of the seat controller when it is determined.
  • the seat controller It is determined that the walk-in switch is erroneously operated,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is performed to continue until the walk-in operation or the walk-in return operation is completed.
  • the seat controller If the signal of the walk-in switch is generated once during the walk-in operation or the walk-in return operation of the sheet, and the once-generated signal generation duration of the walk-in switch exceeds the filtering time, the seat controller operates the walk-in oper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will of the passenger related to stopping or stopping the walk-in return operation is reflected and controlling the walk-in operation or the walk-in return operation to be stopped.
  • the seat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passenger's will related to the stop of the walk-in operation or the walk-in return operation is reflec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so that the walk-in operation or the walk-in return operation is stopped.
  • the walk-in operation is performed. It is an invention that judges whether a switch is erroneously operated, continues the walk-in operation or the walk-in return operation in case of an erroneous operation, and stops the walk-in operation or the walk-in return operation only in the case of a norm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will. , through this,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injuries to passengers due to malfunction of the walk-in.
  • 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walk-in operation control method of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 to 3 are block diagrams and flowch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call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 a control unit includes a non-volatile memory (not shown) configured to store data regarding an algorithm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various components of a vehicle or software instructions for reproducing the algorithm; I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cessor (not shown) configured to perform operations described below using data stored in the corresponding memory.
  •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chips.
  • the memory and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integrated with each other.
  • a processor may take the form of one or more processors.
  • the second row seat 10 of the vehicle includes a seat cushion 11 and a seat back 12, and the seat cushion 11 is combined with the seat rail 20 and the seat rail ( 20) to slide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seat back 12 can be rotated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eat cushion 11 to adjust the angle.
  • the seat rail 20 includes a fixed rail coupled to the floor of the vehicle body to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moving rail that moves along the fixed rail, a seat slide motor 30 that generates power to move the moving rail, and a slide motor 30 ) includes a connecting mechanism including a gear for transmitting the power to the moving rail, and the moving rail is connected to the seat cushion (11).
  • the angle adjustment of the seatback 12 is possible by the recliner and the seat recliner motor 40 that generates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recliner.
  • Both the seat slide motor 30 and the seat recliner motor 40 are configured to be driven by the seat controller 50 , and the seat controller 50 has an upper end of the seatback 12 of the second row seat 10 .
  • a signal of the provided walk-in switch 70 is input.
  • Reference numeral 60 denotes a third row seat
  • the seat slide motor 30 and the seat recliner motor 40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seat controller 50 , and these motors As the second row seat 10 slides forward along the seat rail 20 by the operation of (30, 40) and the seat back 12 rotates forward and folds, a walk-in operation is implemented, and the opposite walk In-return operation is also possible.
  • a method for controlling a walk-in operation of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3 .
  • Step S1 When a signal is generated by operating the walk-in switch 70 of the second row seat 10 for disembarking of the third row seat 60 passenger (step S1), the seat slide motor 30 is controlled by the seat controller 50 ) and the seat recliner motor 40 operate, the second row seat 10 slides forward along the seat rail 20 and at the same time the seat back 12 rotates forward and folds in a walk-in operation. (Step S2)
  • step S3 When the passenger of the third row seat 60 operates the walk-in switch 70 while the walk-in operation of the second-row seat 10 is in progress, a signal is also generated at this time, and the seat controller 50 operates the walk-i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ignal of the switch 70 is generated.
  • step S3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of the walk-in switch 70 is generated, the seat controller 50 determines the number of times the signal is generated.
  • Step S3 the seat of the vehicle continues the walk-in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seat controller 50 ( Step S5), and finally the walk-in operation is completed.
  • step S4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of the walk-in switch is generated once, the seat controller 50 determines the position at which the seat slides forward and the recliner angle of the seat back 1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ditions for disembarking the passenger are satisfied. (3rd determination step, step S7)
  • the minimum condition for disembarking the third-row seat 60 passenger is that the forward sliding position of the second-row seat 10 may be defined as the minimum slide position in which the third-row seat 60 passenger can get off, and also The front folding angle of the seatback 12 of the seat 10 may also be defined as the minimum rotation angle at which the third row seat 60 passenger can get off.
  • the minimum condition for disembarking of the third row seat 60 passenger is determined by the seat controller 50 us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seat slide motor 30 and the seat recliner motor 40, or a position sensor, rotation sensor,
  • the seat controller 50 may determine by using a camera sensor or the like.
  • step S7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dition for disembarking the passenger is not satisfied, the seat of the vehicle continues the walk-in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seat controller 50 to perform a walk-in operation continues (step S5), and finally completes the walk-in operation (step S6).
  • step S7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dition for disembarking the passenger is satisfied, the seat controller 50 determines that the signal generation duration (s) of the walk-in switch 70 is the filtering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exceeds.
  • the filtering time for the signal of the walk-in switch 70 is preferably set to about 5 seconds (s), but can be changed as needed.
  • step S8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generation duration (s) exceeds the filtering time, the seat controller 50 determines that the will of the passenger related to the stop of the walk-in operation is reflected.
  • the walk-in operation of the sheet is controlled to be stopped, and the walk-in operation of the sheet is immediately stopped (step S9).
  • step S8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generation duration (s) does not exceed the filtering time, the seat of the vehicle is a walk-in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seat controller 50 Continues to complete the walk-in operation.
  • the seat controller 50 is the third row seat 60 It is determined that this is a case where the walk-in switch 70 is erroneously operated in the process of disembarking the passenger of the 10) It is possible to get injured by colliding with it.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walk-in operation should be continued until the walk-in operation is completed.
  • step S1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of the walk-in switch is generated twice or mor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eg, 2 seconds to 3 seconds) (step S10), the seat controller 50 ) determines that the passenger's will related to the stop of the walk-in operation is reflected and controls the seat walk-in operation to stop, and the seat walk-in operation stops immediately. (Step S9)
  • step S6 when a signal is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walk-in switch 70 (step S11), the seat slide motor 30 and the seat recliner under the control of the seat controller 50 As the motor 40 operates, the second row seat 10 returns to its initial position while sliding rearward along the seat rail 20, and at the same time rotates forward and the folded seatback 12 also rotates backward. It is returned to stand upright, and through this, the second row seat 10 performs a walk-in return operation. (Step S12)
  • step S13 When the passenger operates the walk-in switch 70 while the walk-in return operation of the second row seat 10 is in progress, a signal is also generated at this time, and the seat controller 50 is a signal of the walk-in switch 70 .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occurs. (5th determination step, step S13)
  • step S13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of the walk-in switch 70 is generated, the seat controller 50 determines the number of times the signal is generated. (6th determination step, step S14) )
  • step S13 the seat of the vehicle continues the walk-in return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seat controller 50, and (Step S15), the walk-in return operation is finally completed. (Step S16)
  • step S14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of the walk-in switch is generated once, the seat controller 50 determines that the signal generation duration (s) of the walk-in switch 70 is the filtering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exceeds.
  • the filtering time for the signal of the walk-in switch 70 is preferably set to about 5 seconds (s), but it can be changed as needed.
  • step S17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generation duration (s) exceeds the filtering time, the seat controller 50 determines that the will of the passenger related to the stop of the walk-in operation is reflected.
  • the walk-in operation of the sheet is controlled to be stopped, and the walk-in operation of the sheet is immediately stopped (step S18).
  • step S17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generation duration (s) does not exceed the filtering time, the seat of the vehicle is returned to walk-in under the control of the seat controller 50 The operation continues to complete the walk-in return operation.
  • the seat controller 50 is the passenger walk-in switch (70) is determined to be a case of erroneous operation, and in this case, if the walk-in return operation of the seat is suddenly stopped, the passenger of the third row seat 60 who was getting on or off the bus collides with the second row seat 10 and is injured.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walk-in return operation is continued until the walk-in return operation is completed.
  • step S14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of the walk-in switch is generated twice or mor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eg, 2 seconds to 3 seconds) (step S19), the seat controller 50 ) determines that the passenger's will related to the stop of the walk-in return operation is reflected, and controls the seat walk-in return operation to stop, and at this time, the seat walk-in return operation stops immediately.
  • a predetermined time eg, 2 seconds to 3 seconds
  •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walk-in operation of the vehicle seat when the operation signal of the walk-in switch 70 is generated during the walk-in operation of the seat or the walk-in return operation, the number of times of signal generation and signal filtering In consideration of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alk-in switch 70 has been erroneously operated, and in case of an erroneous operation, the walk-in operation or the walk-in return operation is continued, and the walk-in operation is performed only in the case of a norm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will.
  • the invention for stopping the walk-in return operation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injuries to passengers due to the malfunction of the walk-in through th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트의 워크인 동작이나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 중에 워크인 스위치(70)의 조작신호가 발생하면, 신호발생 횟수 및 신호 필터링 시간 등을 고려해서, 워크인 스위치(70)의 오조작 여부를 판단하고, 오조작인 경우에는 워크인 동작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을 계속 진행시키고, 사용자의 의지에 따른 정상조작인 경우에만 워크인 동작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의 워크인 동작이나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 중에 워크인 스위치의 조작시 워크인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석과 조수석의 시트를 1열 시트라고 하면, 1열 시트의 뒤쪽으로 2열 시트 및 3열 시트를 구비한 차량(Recreational Vehicle)이 있다.
이와 같이 3열 시트를 구비한 차량의 경우, 3열 시트의 승객이 보다 수월하게 승하차를 할 수 있도록 2열 시트는 워크인 기능을 갖추고 있다.
시트의 워크인 기능이란, 2열 시트가 시트레일의 후방에 위치하고, 시트백이 세워진 초기상태에서, 워크인 스위치를 조작하면, 2열 시트가 시트레일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시트백이 전방으로 회전해서 폴딩되는 기능이고, 이를 통해 2열 시트와 3열 시트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주도록 하는 기술이다.
차량의 고급화 및 편의사양이 중요시됨에 따라 시트의 워크인 기능도 워크인 스위치를 조작해서 사용하는 전동식(파워) 사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전동식 워크인의 경우 사용자가 워크인 스위치를 조작하면, 시트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시트 슬라이드 모터와 시트 리클라이너 모터가 작동하고, 이들 모터의 작동에 의해 2열 시트가 시트레일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시트백이 전방으로 회전해서 자동으로 폴딩되는 구성이다.
통상적으로, 워크인 스위치는 3열 시트 승객의 원활한 조작을 위해 2열 시트의 시트백 상단에 위치하고 있다.
3열 시트의 승객은 2열 시트의 워크인 동작이 완료된 후 또는 2열 시트가 워크인 동작을 하는 과정 중에 하차를 하게 되고, 이때 안정된 하차를 위해 2열 시트의 시트백을 손으로 잡고 하차를 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3열 시트의 승객이 워크인 스위치를 오조작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3열 시트의 승객이 하차 중에 워크인 스위치를 오조작하게 되면, 2열 시트가 시트레일의 후방으로 이동해서 초기위치로 복귀하고 동시에 시트백이 다시 세워지게 되는 바, 이와 같은 시트의 복귀동작에 의해 하차하던 3열 시트의 승객은 복귀하던 2열 시트와 도어 사이에 끼이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부상을 당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이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KR 10-2013-0024625A가 있다.
본 발명은, 시트의 워크인 동작이나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 중에 워크인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워크인 스위치의 오조작 여부를 판단해서 오조작인 경우에는 시트의 워크인 동작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을 계속 진행시키고, 사용자의 의지에 따른 정상조작인 경우에만 워크인 동작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으로, 이를 통해 워크인의 오동작에 의한 승객의 부상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은, 차량 시트의 워크인 동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1차 판단단계; 상기 1차 판단단계에서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시 신호 발생 횟수를 판단하는 2차 판단단계; 및 상기 2차 판단단계에서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1회 발생한 것으로 판단시 시트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 위치 및 시트백의 리클라이너 각도가 승객 하차를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3차 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차 판단단계에서 승객 하차를 위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시 시트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시트는 워크인 동작을 계속 진행해서 워크인 동작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차 판단단계에서 승객 하차를 위한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시 신호 발생 지속 시간(s)이 필터링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4차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4차 판단단계에서 신호 발생 지속 시간(s)이 필터링 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시에는 승객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해서 시트제어기는 시트의 워크인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4차 판단단계에서 신호 발생 지속 시간(s)이 필터링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시 시트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시트는 워크인 동작을 계속 진행해서 워크인 동작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판단단계에서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시 시트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시트는 워크인 동작을 계속 진행해서 워크인 동작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 판단단계에서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2회 이상 발생한 것으로 판단시에는 승객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해서 시트제어기는 시트의 워크인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워크인 동작이 완료된 이후 워크인 리턴 동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5차 판단단계; 상기 5차 판단단계에서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시 신호 발생 횟수를 판단하는 6차 판단단계; 및 상기 6차 판단단계에서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1회 발생한 것으로 판단시 신호 발생 지속 시간(s)이 필터링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7차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7차 판단단계에서 신호 발생 지속 시간(s)이 필터링 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시에는 승객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해서 시트제어기는 시트의 워크인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7차 판단단계에서 신호 발생 지속 시간(s)이 필터링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시 시트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시트는 워크인 리턴 동작을 계속 진행해서 워크인 리턴 동작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6차 판단단계에서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2회 이상 발생한 것으로 판단시에는 승객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해서 시트제어기는 시트의 워크인 리턴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은, 시트의 워크인 동작이나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 중에 워크인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발생 횟수 및 신호 필터링 시간을 고려해서 워크인 스위치의 오조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오조작인 것으로 판단시에는 시트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시트는 워크인 동작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계속 진행되고, 사용자의 의지에 따른 정상조작인 경우로 판단시 시트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시트는 워크인 동작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의 워크인 동작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 중에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1회 발생하고, 1회 발생된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 발생 지속 시간이 필터링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이면, 시트제어기는 승객이 워크인 스위치를 오조작하는 경우인 것으로 판단해서 워크인 동작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계속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의 워크인 동작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 중에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1회 발생하고, 1회 발생된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 발생 지속 시간이 필터링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이면, 시트제어기는 워크인 동작 정지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 정지와 관련된 승객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해서 워크인 동작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의 워크인 동작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 중에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일정시간내에 2회 이상 발생한 경우이면, 시트제어기는 워크인 동작 정지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 정지와 관련된 승객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해서 워크인 동작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은, 시트의 워크인 동작이나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 중에 워크인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발생하면, 신호발생 횟수 및 신호 필터링 시간 등을 고려해서, 워크인 스위치의 오조작 여부를 판단하고, 오조작인 경우에는 워크인 동작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을 계속 진행시키고, 사용자의 의지에 따른 정상조작인 경우에만 워크인 동작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을 정지시키는 발명으로, 이를 통해 워크인의 오동작에 의한 승객의 부상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도 및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제어기)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2열 시트(10)는 시트쿠션(11) 및 시트백(12)을 포함하고, 시트쿠션(11)은 시트레일(20)과 결합되어서 시트레일(20)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시트백(12)은 시트쿠션(11)에 대해 전후로 회전해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시트레일(20)은 차체의 플로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된 고정레일, 고정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레일, 이동레일의 이동을 위해 동력을 발생하는 시트 슬라이드 모터(30), 슬라이드 모터(30)의 동력을 이동레일로 전달하는 기어를 포함한 연결기구를 포함하며, 이동레일은 시트쿠션(11)과 연결된다.
그리고, 시트백(12)의 각도 조절은 리클라이너, 및 리클라이너의 작동을 위해 동력을 발생하는 시트 리클라이너 모터(40)에 의해 가능하다.
시트 슬라이드 모터(30)와 시트 리클라이너 모터(40)는 모두 시트제어기(5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구성이고, 시트제어기(50)에는 2열 시트(10)의 시트백(12)의 상단에 구비된 워크인 스위치(70)의 신호가 입력된다.
도면부호 60은 3열 시트이다
따라서, 승객이 2열 시트(10)의 워크인 스위치(70)를 조작하면, 시트제어기(50)의 제어에 의해 시트 슬라이드 모터(30)와 시트 리클라이너 모터(40)가 작동하고, 이들 모터(30,40)의 작동에 의해 2열 시트(10)가 시트레일(20)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시트백(12)이 전방으로 회전해서 폴딩됨에 따라 워크인 동작이 구현되며, 반대의 워크인 리턴 동작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에 대해서는 도 3의 순서도를 참고해서 설명한다.
3열 시트(60) 승객의 하차를 위해 2열 시트(10)의 워크인 스위치(70)를 조작해서 신호가 발생하면(단계 S1), 시트제어기(50)의 제어에 의해 시트 슬라이드 모터(30)와 시트 리클라이너 모터(40)가 작동함에 따라, 2열 시트(10)는 시트레일(20)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동시에 시트백(12)이 전방으로 회전해서 폴딩되는 워크인 동작이 진행된다.(단계 S2)
2열 시트(10)의 워크인 동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3열 시트(60)의 승객이 워크인 스위치(70)를 조작하는 경우, 이때에도 신호가 발생하고, 시트제어기(50)는 워크인 스위치(70)의 신호발생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1차 판단단계, 단계 S3)
상기 1차 판단단계(단계 S3)에서의 판단결과, 워크인 스위치(70)의 신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시 시트제어기(50)는 신호 발생 횟수를 판단하게 된다.(2차 판단단계, 단계 S4)
하지만, 상기 1차 판단단계(단계 S3)에서 워크인 스위치(70)의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시에는 시트제어기(50)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시트는 워크인 동작을 계속 진행하게 되고(단계 S5), 최종적으로 워크인 동작을 완료하게 된다.(단계 S6)
상기 2차 판단단계(단계 S4)에서의 판단결과,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1회 발생한 것으로 판단시 시트제어기(50)는 시트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 위치 및 시트백(12)의 리클라이너 각도가 승객 하차를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3차 판단단계, 단계 S7)
3열 시트(60) 승객의 하차를 위한 최소 조건은, 2열 시트(10)의 전방 슬라이드 이동 위치가 3열 시트(60) 승객의 하차가 가능한 최소 슬라이드 포지션으로 정의할 수 있고, 또한 2열 시트(10)의 시트백(12)의 전방 폴딩각도도 3열 시트(60) 승객의 하차가 가능한 최소 회전각으로 정의할 수 있다.
3열 시트(60) 승객의 하차를 위한 최소 조건은 시트 슬라이드 모터(30) 및 시트 리클라이너 모터(40)의 회전수를 이용해서 시트제어기(50)가 판단하거나, 또는 위치센서, 회전센서, 카메라센서 등을 이용해서 시트제어기(50)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3차 판단단계(단계 S7)에서의 판단결과, 승객 하차를 위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시에는 시트제어기(50)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시트는 워크인 동작을 계속 진행해서 워크인 동작을 계속 진행하게 되고(단계 S5), 최종적으로 워크인 동작을 완료하게 된다.(단계 S6)
하지만, 상기 3차 판단단계(단계 S7)에서의 판단결과, 승객 하차를 위한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시 시트제어기(50)는 워크인 스위치(70)의 신호 발생 지속 시간(s)이 필터링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4차 판단단계, 단계 S8)
워크인 스위치(70)의 신호에 대한 필터링 시간은 5초(s)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4차 판단단계(단계 S8)에서의 판단결과, 신호 발생 지속 시간(s)이 필터링 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시 시트제어기(50)는 워크인 동작 정지와 관련된 승객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해서 시트의 워크인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게 되고, 시트의 워크인 동작은 즉시 정지된다.(단계 S9)
하지만, 상기 4차 판단단계(단계 S8)에서의 판단결과, 신호 발생 지속 시간(s)이 필터링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시에는 시트제어기(50)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시트는 워크인 동작을 계속 진행해서 워크인 동작을 완료하게 된다.(단계 S5,S6)
즉, 워크인 동작 중에 워크인 스위치(70)의 신호가 1회 발생하고, 또한 신호 발생 지속 시간(s)도 필터링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이면, 시트제어기(50)는 3열 시트(60)의 승객이 하차하는 과정에서 워크인 스위치(70)를 오조작하는 경우인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이때에는 시트의 워크인 동작이 갑자기 멈춰지면 하차하던 3열 시트(60)의 승객이 2열 시트(10)에 부딪쳐서 부상을 당할 수 있게 되는 바, 이를 예방하기 위해 워크인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워크인 동작을 계속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2차 판단단계(단계 S4)에서의 판단결과,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일정시간(일예로 2초 내지 3초)내에 2회 이상 발생한 것으로 판단시(단계 S10), 시트제어기(50)는 워크인 동작 정지와 관련된 승객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해서 시트의 워크인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게 되고, 시트의 워크인 동작은 즉시 정지된다.(단계 S9)
그리고, 워크인 동작이 완료(단계 S6)된 이후 워크인 스위치(70)의 조작으로 신호가 발생하면(단계 S11), 시트제어기(50)의 제어에 의해 시트 슬라이드 모터(30)와 시트 리클라이너 모터(40)가 작동함에 따라, 2열 시트(10)는 시트레일(20)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초기위치로 복귀하고, 동시에 전방으로 회전해서 폴딩된 시트백(12)도 다시 후방으로 회전해서 세워지도록 복귀되며, 이를 통해 2열 시트(10)는 워크인 리턴 동작이 진행된다.(단계 S12)
2열 시트(10)의 워크인 리턴 동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승객이 워크인 스위치(70)를 조작하는 경우, 이때에도 신호가 발생하고, 시트제어기(50)는 워크인 스위치(70)의 신호발생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5차 판단단계, 단계 S13)
상기 5차 판단단계(단계 S13)에서의 판단결과, 워크인 스위치(70)의 신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시 시트제어기(50)는 신호 발생 횟수를 판단하게 된다.(6차 판단단계, 단계 S14)
하지만, 상기 5차 판단단계(단계 S13)에서 워크인 스위치(70)의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시에는 시트제어기(50)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시트는 워크인 리턴 동작을 계속 진행하게 되고(단계 S15), 최종적으로 워크인 리턴 동작을 완료하게 된다.(단계 S16)
상기 6차 판단단계(단계 S14)에서의 판단결과,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1회 발생한 것으로 판단시 시트제어기(50)는 워크인 스위치(70)의 신호 발생 지속 시간(s)이 필터링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7차 판단단계, 단계 S17)
이때에도, 워크인 스위치(70)의 신호에 대한 필터링 시간은 5초(s)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7차 판단단계(단계 S17)에서의 판단결과, 신호 발생 지속 시간(s)이 필터링 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시 시트제어기(50)는 워크인 동작 정지와 관련된 승객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해서 시트의 워크인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게 되고, 시트의 워크인 동작은 즉시 정지된다.(단계 S18)
하지만, 상기 7차 판단단계(단계 S17)에서의 판단결과, 신호 발생 지속 시간(s)이 필터링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시에는 시트제어기(50)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시트는 워크인 리턴 동작을 계속 진행해서 워크인 리턴 동작을 완료하게 된다.(단계 S15,S16)
즉, 워크인 리턴 동작 중에 워크인 스위치(70)의 신호가 1회 발생하고, 또한 신호 발생 지속 시간(s)도 필터링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이면, 시트제어기(50)는 승객이 워크인 스위치(70)를 오조작하는 경우인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이때에는 시트의 워크인 리턴 동작이 갑자기 멈춰지면 승차 또는 하차하던 3열 시트(60)의 승객이 2열 시트(10)에 부딪쳐서 부상을 당할 수 있게 되는 바, 이를 예방하기 위해 워크인 리턴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워크인 리턴 동작을 계속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6차 판단단계(단계 S14)에서의 판단결과,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일정시간(일예로 2초 내지 3초)내에 2회 이상 발생한 것으로 판단시(단계 S19), 시트제어기(50)는 워크인 리턴 동작 정지와 관련된 승객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해서 시트의 워크인 리턴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하게 되고, 이때에 시트의 워크인 리턴 동작은 즉시 정지된다.(단계 S18)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에 의하면, 시트의 워크인 동작이나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 중에 워크인 스위치(70)의 조작신호가 발생하면, 신호발생 횟수 및 신호 필터링 시간을 고려해서, 워크인 스위치(70)의 오조작 여부를 판단하고, 오조작인 경우에는 워크인 동작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을 계속 진행시키고, 사용자의 의지에 따른 정상조작인 경우에만 워크인 동작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을 정지시키는 발명으로, 이를 통해 워크인의 오동작에 의한 승객의 부상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 2열 시트 11 - 시트쿠션
12 - 시트백 20 - 시트레일
30 - 슬라이드 모터 40 - 시트 리클라이너 모터
50 - 시트제어기 60 - 3열 시트
70 - 워크인 스위치

Claims (12)

  1. 차량 시트의 워크인 동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1차 판단단계;
    상기 1차 판단단계에서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시 신호 발생 횟수를 판단하는 2차 판단단계; 및
    상기 2차 판단단계에서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1회 발생한 것으로 판단시 시트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 위치 및 시트백의 리클라이너 각도가 승객 하차를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3차 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차 판단단계에서 승객 하차를 위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시 시트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시트는 워크인 동작을 계속 진행해서 워크인 동작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차 판단단계에서 승객 하차를 위한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시 신호 발생 지속 시간(s)이 필터링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4차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4차 판단단계에서 신호 발생 지속 시간(s)이 필터링 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시에는 승객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해서 시트제어기는 시트의 워크인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4차 판단단계에서 신호 발생 지속 시간(s)이 필터링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시 시트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시트는 워크인 동작을 계속 진행해서 워크인 동작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판단단계에서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시 시트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시트는 워크인 동작을 계속 진행해서 워크인 동작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 판단단계에서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2회 이상 발생한 것으로 판단시에는 승객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해서 시트제어기는 시트의 워크인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워크인 동작이 완료된 이후 워크인 리턴 동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5차 판단단계;
    상기 5차 판단단계에서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시 신호 발생 횟수를 판단하는 6차 판단단계; 및
    상기 6차 판단단계에서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1회 발생한 것으로 판단시 신호 발생 지속 시간(s)이 필터링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7차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7차 판단단계에서 신호 발생 지속 시간(s)이 필터링 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시에는 승객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해서 시트제어기는 시트의 워크인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7차 판단단계에서 신호 발생 지속 시간(s)이 필터링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시 시트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시트는 워크인 리턴 동작을 계속 진행해서 워크인 리턴 동작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6차 판단단계에서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2회 이상 발생한 것으로 판단시에는 승객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해서 시트제어기는 시트의 워크인 리턴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
  9. 시트의 워크인 동작이나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 중에 워크인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발생 횟수 및 신호 필터링 시간을 고려해서 워크인 스위치의 오조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오조작인 것으로 판단시에는 시트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시트는 워크인 동작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계속 진행되고, 사용자의 의지에 따른 정상조작인 경우로 판단시 시트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시트는 워크인 동작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워크인 동작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 중에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1회 발생하고, 1회 발생된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 발생 지속 시간이 필터링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이면, 시트제어기는 승객이 워크인 스위치를 오조작하는 경우인 것으로 판단해서 워크인 동작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계속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워크인 동작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 중에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1회 발생하고, 1회 발생된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 발생 지속 시간이 필터링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이면, 시트제어기는 워크인 동작 정지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 정지와 관련된 승객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해서 워크인 동작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워크인 동작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 중에 워크인 스위치의 신호가 일정시간내에 2회 이상 발생한 경우이면, 시트제어기는 워크인 동작 정지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 정지와 관련된 승객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해서 워크인 동작 또는 워크인 리턴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
PCT/KR2021/001687 2020-10-30 2021-02-09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 WO2022092450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246,583 US20230365029A1 (en) 2020-10-30 2021-02-09 Method for controlling walk-in operation of vehicle seat
EP21886451.0A EP4238817A1 (en) 2020-10-30 2021-02-09 Method for controlling walk-in operation of vehicle seat
CN202180072060.2A CN116390870A (zh) 2020-10-30 2021-02-09 控制车辆座椅的步入式操作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983 2020-10-30
KR1020200142983A KR102452478B1 (ko) 2020-10-30 2020-10-30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2450A1 true WO2022092450A1 (ko) 2022-05-05

Family

ID=81382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1687 WO2022092450A1 (ko) 2020-10-30 2021-02-09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65029A1 (ko)
EP (1) EP4238817A1 (ko)
KR (1) KR102452478B1 (ko)
CN (1) CN116390870A (ko)
WO (1) WO2022092450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0159A (ja) * 2003-01-06 2004-07-29 T S Tec Kk 自動車用パワーシートの作動制御方法
JP2009202666A (ja) * 2008-02-26 2009-09-10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装置および車両用シート装置の制御方法
US20110046855A1 (en) * 2009-08-21 2011-02-24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power seat
KR20130024625A (ko) 2011-08-31 2013-03-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JP2015058811A (ja) * 2013-09-19 2015-03-3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KR20200075385A (ko) * 2018-12-18 2020-06-26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0159A (ja) * 2003-01-06 2004-07-29 T S Tec Kk 自動車用パワーシートの作動制御方法
JP2009202666A (ja) * 2008-02-26 2009-09-10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装置および車両用シート装置の制御方法
US20110046855A1 (en) * 2009-08-21 2011-02-24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power seat
KR20130024625A (ko) 2011-08-31 2013-03-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JP2015058811A (ja) * 2013-09-19 2015-03-3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KR20200075385A (ko) * 2018-12-18 2020-06-26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 시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390870A (zh) 2023-07-04
KR20220057880A (ko) 2022-05-09
KR102452478B1 (ko) 2022-10-11
EP4238817A1 (en) 2023-09-06
US20230365029A1 (en)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8173B2 (en) Device and method for subdividing vehicle cab and/or storage space into a number of sub-portions
US10471857B2 (en) Reclining rear seat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20210261029A1 (en) Armrest apparatus and various rotating angles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CN105730371B (zh) 一种汽车车身组件控制方法和系统
JPH0939691A (ja) 車両用負荷制御システム
CN109080507B (zh) 基于车辆乘坐状态的车辆座椅调节方法和系统
WO2016108498A1 (ko) 차량 시트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WO2022092450A1 (ko)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작동 제어방법
WO2012096518A2 (ko) 작업차량 엔진 회전수 제어를 위한 페달의 선택적 사용시스템
EP3037613A1 (en) Power window device
JP2008019625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4115693B2 (ja) メモリシート及びパワーウォークイン制御方法
US5913562A (en) Access handgrips for use during ingress and egress from a vehicle
WO2021015574A1 (ko) 전동 조향 장치 및 방법
JP3598318B2 (ja) オープンルーフの作動方法及びオープンルーフの作動制御装置
CN116034043A (zh) 车辆用门开闭装置
US5813498A (en) Elevator door system having variable opening/closing width
WO2010044612A2 (ko) 자동차 조수석 테이블장치
EP3825168B1 (en) Fold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seats
JP2005200843A (ja) ウインドウ制御システム
KR20200124363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WO2023101275A1 (ko) 시트 롱레일 이물질 유입차단 및 히든 와이어링 구조
JP3947974B2 (ja) 乗員保護システム
KR20240002359A (ko) 차량용 시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7048521U (zh) 一种汽车网络架构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864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864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