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206A -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206A
KR20200074206A KR1020207015426A KR20207015426A KR20200074206A KR 20200074206 A KR20200074206 A KR 20200074206A KR 1020207015426 A KR1020207015426 A KR 1020207015426A KR 20207015426 A KR20207015426 A KR 20207015426A KR 20200074206 A KR20200074206 A KR 20200074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monitoring
diagnostic operation
control devic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8616B1 (ko
Inventor
유타카 마츠에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74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20)의 운전 제어와 고장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200)와, 기억부(260)를 포함하고, 제어장치(200)에 접속되어서 제어장치(200)로부터 데이터와 고장신호가 입력되는 감시장치(250)와, 감시장치(250)와 통신 네트워크(30)를 개재해서 접속되어서 감시장치(25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감시반(330), 관리서버(360), 휴대 단말(411)을 구비하고, 감시장치(250)는, 제어장치(200)로부터 엘리베이터(20)의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접수해서 기억부(260)에 격납하고, 진단운전결과 데이터 또는 고장신호에 의거해서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표시하는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진단운전결과 데이터 또는 고장신호에 따라서 감시반(330), 관리서버(360), 휴대 단말(411) 중에서 특정한 특정 정보처리장치에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20)의 보수 관리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를 원격으로부터 감시하는 원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감시장치와 감시센터를 통신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접속하고,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로부터 소정의 감시 항목에 관한 감시 정보를 독출해서, 감시 정보를 감시장치로부터 감시센터에 송신하는 엘리베이터의 감시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 엘리베이터에 진단운전을 행하게 해서 기기의 상태를 자동적으로 점검하는 엘리베이터 진단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관리서버로부터 통신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엘리베이터에 진단운전지령을 송신해서 엘리베이터에 진단운전을 실행시켜, 통신장치를 개재해서 진단 결과를 관리 센터에 송신하는 엘리베이터의 진단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JP 6100319 B JP 5389229 B
그런데, 최근, 엘리베이터의 보급에 의해, 관리서버는 다수의 엘리베이터의 진단, 감시를 행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 최근, 엘리베이터에 고장, 변조가 발생한 경우, 관리서버로부터의 지령으로 엘리베이터의 제어를 변경하는 원격제어나 원격복구 등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관리서버로부터 발신되는 지령은 다방면에 걸쳐 있는데다가, 그 수가 매우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다방면, 다수의 지령에 대한 엘리베이터의 응답 결과를 모두 감시센터에 송신하면 감시센터의 수신 단말의 대형화나 감시원의 증원이 필요해진다.
한편, 관리서버로부터의 지령으로 진단운전을 실행한 경우, 진단 결과에 이상이 없을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이상 없는 진단 결과는, 엘리베이터의 보수를 위하여 관리서버에 격납되어 있으면 충분하고, 감시센터에서 수신, 확인할 필요성이 낮다. 그 반면, 엘리베이터의 고장, 이상 있는 진단 결과는, 금방 감시센터에서 수신, 확인해서 엘리베이터의 관리회사 등에 연락하거나, 기술자의 파견 등이 필요로 되거나 하는 것이다. 이 경우, 감시센터를 개재해서 엘리베이터의 관리회사에 연락하고 있으면 고장, 이상의 연락이 지연되어 버릴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로부터의 데이터의 송신처가 감시센터뿐인 경우, 감시센터에는 불필요한 정보가 송신될 경우가 있는 반면, 필요한 정보가 필요한 곳에 송신되지 않을 경우가 있으면, 정보의 송수신이 비효율적이 되어서 엘리베이터의 보수 관리 서비스의 품질을 저하시켜 버릴 경우가 있다.
또한, 관리서버가 다수의 엘리베이터의 진단, 감시를 행할 경우, 각 엘리베이터로부터 관리서버에의 진단 결과의 송신이 중복되어서 올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송신 데이터의 양이 관리서버의 통신 용량을 초과해 버리면 진단 결과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고, 엘리베이터의 보수 관리 서비스의 품질을 저하시켜 버릴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보수 관리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상기 엘리베이터에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에 고장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와, 기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에 접속되어서 상기 제어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동시에, 상기 고장신호가 입력되는 감시장치와, 상기 감시장치와 통신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접속되어서 상기 감시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복수의 정보처리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엘리베이터의 진단운전을 실행했을 때에,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접수해서 상기 기억부에 격납하고,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접수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 또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고장신호에 의거해서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표시하는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접수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 또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고장신호에 따라서 상기 정보처리장치 중에서 특정한 특정 정보처리장치에 상기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어장치로부터 접수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 또는 제어장치로부터 입력된 고장신호에 따라서 정보처리장치 중에서 특정한 특정 정보처리장치에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하므로, 각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불필요한 정보의 수신을 억제하는 동시에, 필요한 정보를 특정 정보처리장치에 송신해서 정보연락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정보의 송수신을 효율화해서 엘리베이터의 보수 관리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감시장치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접속되어서 상기 감시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감시장치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접속되어서 상기 감시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감시반과, 상기 감시장치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접속되어서 상기 감시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관리자의 휴대 단말이며,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접수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에 이상항목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또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고장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감시반 또는 상기 휴대 단말을 상기 특정 정보처리장치로서 특정하고, 상기 감시반 또는 상기 휴대 단말에 상기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하고,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접수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가 모두 정상일 경우에는, 상기 관리서버를 상기 특정 정보처리장치로서 특정하고, 상기 관리서버에 상기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에 이상항목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또는 고장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상태정보가 필요가 되는 감시센터의 감시반 또는 엘리베이터 관리자의 휴대 단말에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해서 정보연락의 고속화를 도모하고, 진단운전결과 데이터가 모두 정상일 경우에는, 감시센터의 감시반, 엘리베이터 관리자의 휴대 단말에는 엘리베이터 상태정보의 발신을 행하지 않고, 관리서버에만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하므로, 감시반, 휴대 단말에 불필요한 정보가 발신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정보의 송수신을 효율화해서 엘리베이터의 보수 관리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와, 제어장치와, 감시장치가 제1 국가(國)에 설치되고, 휴대 단말이 제1 국가에 존재하고, 관리서버와, 감시반이 제2 국가에 설치되고, 감시장치는, 제1 국가의 통신 규격에 따라서 휴대 단말 또는 감시반 또는 관리서버와의 사이의 통신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와, 관리서버, 감시반이 다른 국가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도, 통신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용이하게 데이터의 수수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네트워크는, 관리서버와 접속되는 제1 회선과, 감시반 또는 휴대 단말과 접속되는 제2 회선을 구비하고, 감시장치는, 제1 국가의 통신 규격에 따라서 제1 회선에 의해 관리서버와의 사이의 통신을 행하고, 제1 국가의 통신 규격에 따라서 제2 회선에 의해 감시반 또는 휴대 단말과의 사이의 통신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감시장치와 관리서버의 통신회선과, 감시장치와 감시반 또는 휴대 단말의 통신회선을 별도의 회선으로 함으로써, 관리서버에의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의 송신에 의해 통신회선이 점유되어서, 이상 혹은 고장 발생 시에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감시반이나 휴대 단말에 통신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처리장치는, 감시장치와 통신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접속되어서 감시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감시장치는, 관리서버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진단운전지령을 수신했을 때에, 제어장치에 진단운전지령을 출력해서 제어장치에 진단운전을 실행시켜, 제어장치로부터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접수해서 기억부에 격납하고, 관리서버로부터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의 송신 요구가 있었을 때에, 송신 요구가 있었던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진단운전을 실행했을 때에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접속된 감시장치의 기억부에 격납해 두고, 관리서버로부터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관리서버에 송신하므로, 다수의 엘리베이터로부터 진단운전결과 데이터가 동시에 관리서버에 송신되어버려, 관리서버가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로부터의 진단운전지령에 의해 엘리베이터에 진단운전을 실행시키는 것에 의해, 필요에 따른 진단운전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보수 관리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처리장치는, 감시장치와 통신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접속되어서 감시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관리서버와, 감시장치와 통신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접속되어서 감시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감시반과, 감시장치와 통신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접속되어서 감시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관리자의 휴대 단말과, 감시장치에 접속되어서 감시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보수 단말이며, 감시장치는, 제어장치로부터 접수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에 이상항목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감시반 또는 휴대 단말 또는 보수 단말을 특정 정보처리장치로서 특정하고, 감시반 또는 휴대 단말 또는 보수 단말에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하고, 제어장치로부터 접수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가 모두 정상일 경우에는, 관리서버 또는 보수 단말을 특정 정보처리장치로서 특정하고, 관리서버 또는 보수 단말에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에 이상항목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상태정보가 필요로 되는 감시센터의 감시반 또는 엘리베이터 관리자의 휴대 단말 또는 보수 단말에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해서 정보연락의 고속화를 도모하고, 진단운전결과 데이터가 모두 정상일 경우에는, 감시센터의 감시반, 엘리베이터 관리자의 휴대 단말에는 엘리베이터 상태정보의 발신을 행하지 않고, 관리서버, 보수 단말에만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하므로, 감시반, 휴대 단말에 불필요한 정보가 발신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정보의 송수신을 효율화해서 엘리베이터의 보수 관리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장치는, 보수 단말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진단운전지령을 수신했을 때에, 제어장치에 진단운전지령을 출력해서 제어장치에 진단운전을 실행시키고, 제어장치로부터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접수해서 기억부에 격납하고, 보수 단말로부터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의 출력 요구가 있었을 때에, 출력 요구가 있었던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보수 단말에 출력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보수 단말로부터 진단운전을 실행시킨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의 진단운전을 실행했을 때에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접속된 감시장치의 기억부에 격납해두고, 보수 단말로부터의 출력 요구에 따라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보수 단말에 출력하므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가 관리서버와 보수 단말에 동시에 출력되는 일이 없어, 감시장치의 정보처리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통신을 확실하게 하여, 엘리베이터의 보수 관리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보수 관리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계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의 관리서버에 격납되어 있는 보수 데이터베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의 감시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발신처 테이블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의 감시장치가 생성하는 엘리베이터 상태정보의 예를 나타낸 리스트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 수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동작 수순 중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동작 수순 중의 감시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낸 동작 수순 중의 감시장치의 다른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5에 나타낸 동작 수순 중의 감시장치의 다른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낸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의 다른 동작을 나타낸 동작 수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동작 수순 중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낸 동작 수순 중의 감시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는 기타의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계통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 수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동작 수순 중의 감시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20)의 원격 감시 시스템(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격 감시 시스템(100)은, 제어장치(200)와, 감시장치(250)와, 복수의 정보처리장치인, 감시센터(310)의 감시반(330)과, 관리서버(360)와, 엘리베이터 관리자(410)의 휴대 단말(411)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장치(200)는, 엘리베이터(20)의 운전 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엘리베이터(20)에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에 고장신호를 출력한다. 감시장치(250)는, 기억부(260)를 포함하고, 제어장치(200)에 접속되어서 제어장치(20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동시에, 제어장치(200)로부터 고장신호가 입력된다. 감시반(330)과, 관리서버(360)와, 휴대 단말(411)은, 통신 네트워크(30)를 개재해서 감시장치(250)와 접속되어서, 감시장치(25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도 1에서는, 감시반(330), 관리서버(360)에 접속되어 있는 엘리베이터(20)는 1대이지만, 다수의 엘리베이터(20)가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다수의 엘리베이터(20)는 제1 국가에 설치되어 있고, 휴대 단말(411)은 제1 국가에 존재하고 있으며, 감시센터(310)의 감시반(330), 관리서버(360)는 제1 국가와는 다른 제2 국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서 설명한다. 한편, 복수의 엘리베이터(20)는, 동일한 빌딩(10)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다른 빌딩(10)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엘리베이터(20)의 운전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200)는, 내부에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이다. 마찬가지로, 감시장치(250)는 내부에 CPU와 기억부(260)를 포함하는 컴퓨터이다. 또한, 감시장치(250)는 내부에 통신 네트워크(30)와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통신부(270)를 가지고 있다. 통신부(270)는, 엘리베이터(20)가 설치되어 있는 제1 국가의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3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것에 의해, 제1 국가의 통신 규격에 따라서 관리서버(360), 감시센터(310)의 감시반(330), 휴대 단말(411)과 데이터의 수수를 행할 수 있다.
감시센터(310)는, 통신장치(320)와, 엘리베이터(20)의 진단 상황, 운행 상황, 고장 상황을 감시하는 감시반(330)을 포함하고 있다. 감시반(330)은, 내부에 CPU와 메모리를 구비하는 컴퓨터이며, 통신장치(320)에 접속되어서 통신 네트워크(30)를 개재해서 감시장치(250)와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또한, 감시반(330)은 관리서버(360)와 접속되어 있다. 감시반(330)에는, 엘리베이터(20)의 진단 상황, 운행 상황, 고장 상황, 관리서버(360)로부터의 통지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31)와, 디스플레이(331)의 표시를 조작하는 스위치(33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감시반(330)에는 통신 네트워크(35)를 개재해서 감시원(334)이 제1 국가에 설치된 서비스 센터(340)의 통신을 행하는 전화(333)가 구비되어 있다.
관리서버(360)는, 내부에 CPU와 기억부(365)를 포함하는 컴퓨터이며, 통신장치(325), 통신 네트워크(30)를 개재해서 엘리베이터(20)의 감시장치(250)와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기억부(365)에는, 보수 데이터베이스(370)가 격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수 데이터베이스(370)는, 엘리베이터 사양 데이터(371)와, 진단 이력 데이터(372)와, 고장 이력 데이터(373)를 포함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사양 데이터(371)는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기종, 제조일, 제조 번호, 설치 빌딩의 명칭을 격납하는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진단 이력 데이터(372)는,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진단 실행 일시, 진단 모드, 진단 항목, 진단 결과를 격납하는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20)의 진단은, 예를 들어, 1개월에 1회 등의 미리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서, 엘리베이터(20)의 제어장치(200)에 의해 실시된다. 엘리베이터(20)의 제어장치(200)는, 도 1에 도시한 엘리베이터(20)의 카(22)를 소정의 층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 시에 엘리베이터(20)에 부착된 각종 센서에 의해서 운전 성능(가속도, 이상음의 유무), 브레이크 성능, 도어 개폐, 비상용 동력 배터리 등의 각항목의 진단을 행한다. 진단 모드의 난에는, 진단이 설정된 스케줄에 의해 정기적으로 실행된 것인지, 관리서버(360)로부터의 진단 지시 지령에 의해 실행된 것인지의 구별이 입력된다. 진단 결과의 난에는, 운전 성능(가속도, 이상음의 유무), 브레이크 성능, 도어 개폐, 비상용 동력 배터리의 각 진단 결과가 입력되어 있다. 각 진단이 정상적으로 종료되고, 이상, 변조가 없을 경우에는 OK가 격납된다. 또한, 변조가 있었을 경우에는 A1,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NG가 입력된다.
고장 이력 데이터(373)는, 엘리베이터(20)의 관리 번호, 고장 발생 일시, 고장 코드, 엘리베이터 상태 코드, 복구 방법, 복구 판정 결과를 격납하는 데이터 구조를 가지고 있다. 고장 코드란, 엘리베이터(20)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에 제어장치(200)로부터 출력되는 숫자 혹은 숫자와 영문글자를 조합시킨 코드이다. 고장 코드의 종류는, 예를 들어, 1000종류 정도이다. 엘리베이터 상태 코드는, 엘리베이터(20)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에 제어장치(200)로부터 고장 코드와 함께 출력되는 엘리베이터(20)의 상태를 나타낸 용어로 구성된 코드이다. 엘리베이터 상태 코드에는, 예를 들어, "도어 개방 불능", "도어 폐쇄 불능"과 같은 것이 있다. 1개의 고장 코드와 함께 1개의 엘리베이터 상태 코드가 출력될 경우도 있고, 1개의 고장 코드와 함께 복수의 엘리베이터 상태 코드가 출력될 경우도 있다. 복구 방법의 항목에는, 예를 들어, 기술자(350)가 출동해서 검사, 점검, 복구를 행했을 경우에는 "기술자 출동"과 같이 입력된다. 또한, 복구 방법의 항목에는, 예를 들어, 원격복구 시스템에 의해 복구했을 경우에는 "원격복구"와 같이 입력된다. 복구 판정 결과의 항목에는, 엘리베이터(20)가 복구해서 운행 재개했을 경우에는, "복구"와 같이 입력된다. 또한, 복구 판정 결과의 항목에는, 엘리베이터(20)가 복구에 실패했을 경우에는, "실패"와 같이 입력된다.
감시장치(250)의 기억부(260)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발신처 테이블(375)이 격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신처 테이블(375)은, 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된 고장신호 혹은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의 내용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도 4 참조)의 발신처가 되는 특정 정보처리장치를 규정한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발신처 테이블(375)에 의하면, 엘리베이터(20)가 고장 상태에서 제어장치(200)가 고장신호를 발신하고, 감시장치(250)가 고장신호를 수신했을 경우, 특정 정보처리장치는, 부호 A와 B로 나타낸 감시반(330), 엘리베이터 관리자(410)의 휴대 단말(411)이 된다. 또한, 감시장치(250)가 접수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 중에 이상항목이 있을 경우에는, 특정 정보처리장치는, 부호 A, B, D에 나타낸 감시반(330), 엘리베이터 관리자(410)의 휴대 단말(411), 도 14에 나타낸 보수 단말(500)이 된다. 또한, 감시장치(250)가 접수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 중에 변조 항목이 있을 경우에는, 특정 정보처리장치는, 부호 A, D에 나타낸 감시반(330), 도 14에 나타낸 보수 단말(500)이 된다. 또한, 감시장치(250)가 접수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가 모두 정상이어서 이상항목이 없을 경우에는, 특정 정보처리장치는, 부호 C, D에 나타낸 감시반(330), 도 14에 나타낸 보수 단말(500)이 된다. 상세에 대해서는, 원격 감시 시스템(100, 110)의 동작의 설명 중에서 설명한다.
도 4는, 엘리베이터(20)의 상태에 따라서 감시장치(250)가 발신하는 엘리베이터 상태정보의 예를 표시하는 엘리베이터 상태정보 리스트(376)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는, "AAA 빌딩 1호기 도어 개방 불능", "AAA 빌딩 1호기 도어 개폐 진단 이상", "AAA 빌딩 1호기 도어 개폐 진단 변조", "AAA 빌딩 1호기 진단 정상 종료" 등의 짧은 메시지이다. 상세에 대해서는, 원격 감시 시스템(100, 110)의 동작의 설명 중에서 설명한다.
다음에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도 1에 도시한 엘리베이터(20)의 원격 감시 시스템(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0에서는, 제어장치(200)가 미리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서 진단 동작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5, 도 6의 단계 S1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20)의 제어장치(200)는, 미리 정해진 스케줄에 의거하는 진단운전 시작 시간대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1개월에 1회 등의 소정의 진단운전 시간대가 되면, 도 6의 단계 S102로 진행되어, 엘리베이터(20)가 진단운전 가능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예를 들어, 카(22)의 도어가 닫혀 있는지의 여부, 카(22)가 정지하고 있는지의 여부, 카(22)의 중량 센서, 카(22) 내의 카메라, 카(22) 내의 인체감지 센서 등의 출력으로부터 엘리베이터(20)의 카(22)의 내부에 승객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카(22)의 도어가 벌어져 있거나, 카(22)가 움직이고 있거나, 카(22) 속에 승객이 있을 경우, 제어장치(200)는, 도 6의 단계 S102에서 NO라고 판단한다. 만약에 진단운전 시작 시간대의 사이에 진단운전 가능하다는 판단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예를 들어, 진단운전 시간대를 다음날로 재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제어장치(200)는, 카(22)의 도어가 닫혀 있는 것, 카(22)가 정지하고 있는 것, 카(22) 속에 승객이 없는 것을 확인하면 도 6의 단계 S102에서 "예"라고 판단해서 도 6의 단계 S103으로 진행하여, 진단운전을 실행한다.
진단운전은, 통상의 운전 상태와 다른 운전을 행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20)의 각 기기의 진단을 행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20)의 원격 감시 시스템(100)에서는, 진단운전에 의해, 운전 성능, 브레이크 성능, 도어 개폐, 비상용 동력 배터리 등의 각 항목의 진단을 행하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진단운전결과 데이터(381 내지 383)를 출력한다. 진단운전결과 데이터(381 내지 383)는, 도 2에 나타낸 진단 이력 데이터(372)와 마찬가지의 데이터 형식으로, 엘리베이터 관리 번호, 진단 실행 일시, 진단 모드, 진단 항목, 진단 결과의 각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도 10은, 3회의 진단운전의 결과 출력된 3개의 진단운전결과 데이터(381 내지 383)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각 진단 결과의 OK, NG, A1은, 각각 진단운전의 결과, 진단 항목이 정상일 경우, 이상일 경우, 변조일 경우를 나타낸다.
운전 성능의 진단에서는, 제어장치(200)는, 도 1에 도시한 엘리베이터(20)의 카(22)를 소정의 층으로 이동시키고, 엘리베이터(20)에 부착된 각종 센서에 의해서 가속도, 이상음의 유무 등의 검출을 행한다. 그리고, 가속도가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 있고, 이상음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에는, 운전 성능에 대해서는 OK라는 진단 결과가 입력된다. 가속도가 소정의 범위를 초과하거나, 이상음이 확인되거나 했을 경우에는, 운전 성능의 진단 결과에는 NG가 입력된다.
또한, 브레이크 성능에 대해서는, 제어장치(200)는, 엘리베이터(20)의 카(22)가 만원과 동등한 상태를 만들어내고, 2개 있는 브레이크의 한쪽의 브레이크를 해방하고, 한쪽의 브레이크로 카(22)를 정지 유지 가능인지를 진단한다. 그리고, 양쪽의 브레이크 모두 카(22)가 만원인 상태에도 한쪽의 브레이크만으로 카(22)를 정지 유지 가능하면, 브레이크 성능의 진단 결과에는 OK로 입력된다. 한편, 한쪽의 브레이크만으로는 카(22)의 정지 유지를 할 수 없을 경우에는, 브레이크 성능의 진단 결과에는 NG가 입력된다. 또한, 도어 개폐에 대해서는, 도어(26)의 개폐 구동력을 통상보다 떨어뜨린 상태에서, 각 층에서 도어 개폐를 행하고, 그 때의 도어 개폐 시간보다 카(22)의 문턱에의 이물혼입 등의 이상유무를 진단한다. 개폐에 통상보다 시간이 걸릴 경우에는, 이물혼입 있음으로 도어 개폐의 진단 결과에는 NG가 입력되고, 통상과 마찬가지의 개폐 시간이면, 이물혼입 없음으로 도어 개폐의 진단 결과에는 OK가 입력된다. 또한, 비상용 동력 배터리에 대해서는, 전압을 체크하고, 전압의 저하가 없으면 비상용 동력 배터리의 진단 결과에는 OK가 입력되고, 전압이 저하하고 있으면 진단 결과에는 NG가 입력된다.
또한, 각 진단 항목에 있어서, 통상의 수치보다도 변동이 있지만, 이상판단의 역치에 도달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각 진단 항목의 진단 결과에는, 변조 있음으로 해서 A1이 입력된다.
제어장치(200)는, 도 6의 단계 S103에 있어서의 진단운전의 실행이 종료되면, 도 6의 단계 S104로 진행되고,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감시장치(250)에 출력한다(도 5 참조).
도 7의 단계 S1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시장치(250)는, 제어장치(200)로부터 진단운전결과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200)로부터 진단운전결과 데이터가 입력되면, 도 7의 단계 S111로 진행되어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접수해서 도 7의 단계 S112로 진행되고, (1)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의 진단 결과의 난에 NG가 입력되어 있는 이상항목이 있는지의 여부, (2)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의 진단 결과의 난에 NG가 입력되어 있는 항목은 없지만 A1이 입력되어 있는 변조 항목이 있는지의 여부, (3)진단운전결과 데이터의 진단 결과의 난에 모두 OK가 입력되어 있어, 모든 항목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감시장치(250)는, 도 7의 단계 S113으로 진행되고, 상기의 확인 결과와 그 엘리베이터(20)의 설치 장소, 명칭과, 진단 결과가 이상으로 되어 있는 진단 항목을 합쳐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진단운전결과 데이터(382)와 같이, 도어 개폐의 진단 항목에 NG가 입력되어 있을 경우에는, 도 4의 엘리베이터 상태정보 리스트(376)에 나타낸 바와 같이, "AAA 빌딩 1호기 도어 개폐 진단 이상"과 같은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진단운전결과 데이터(383)와 같이, 도어 개폐의 진단 항목에 A1이 입력되어 있을 경우에는, 도 4의 엘리베이터 상태정보 리스트(376)에 나타낸 바와 같이, "AAA 빌딩 1호기 도어 개폐 진단 변조"와 같은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진단운전결과 데이터(381)와 같이, 모든 진단 항목에 OK가 입력되어 있을 경우에는, 도 4의 엘리베이터 상태정보 리스트(376)에 나타낸 바와 같이, "AAA 빌딩 1호기 진단 정상종료"와 같은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감시장치(250)는, 도 7의 단계 S114로 진행되고, 도 3에 나타낸 발신처 테이블(375)을 참조해서 특정 정보처리장치를 특정하고, 도 7의 단계 S113에서 생성한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특정 정보처리장치에 발신한다.
도 7의 단계 S114에 있어서, 감시장치(250)는, (1)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의 진단 결과의 난에 NG가 입력되어 있는 이상항목이 있을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발신처 테이블(375)을 참조해서, 감시반(330)과, 엘리베이터 관리자(410)의 휴대 단말(411)을 특정 정보처리장치로서 특정하고, 감시반(330)과 휴대 단말(411)에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한다. 또한, (2)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의 진단 결과의 난에 NG가 입력되어 있는 항목은 없지만 A1이 입력되어 있는 변조 항목이 있을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발신처 테이블(375)을 참조해서, 감시반(330)을 특정 정보처리장치로서 특정하고, 감시반(330)에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한다. 또한, (3)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의 진단 결과의 난에 모두 OK가 입력되어 있어, 모든 항목이 정상일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발신처 테이블(375)을 참조해서, 관리서버(360)를 특정 정보처리장치로서 특정하고, 관리서버(360)에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한다. 이때, 감시장치(250)의 통신부(270)는, 제1 국가의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30)와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상기 (1), (2)의 경우와 같이, "AAA 빌딩 1호기 도어 개폐 진단 이상", "AAA 빌딩 1호기 도어 개폐 진단 변조"와 같은 엘리베이터 상태정보가 감시센터(310)의 감시반(330)에 입력되면, 그 정보는 디스플레이(331)에 표시된다. 감시원(334)은, 이 신호가 표시되면, 엘리베이터 상태정보가 휴대 단말(411)에 송신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관리자(410)과 연락하고, 제1 국가에 설치되어 있는 서비스 센터(340)로부터 기술자(350)를 제1 국가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20)에 파견한다. 또한, 상기(3)의 경우에는, 감시센터(310)의 감시반(330)에는, 하등의 표시는 되지 않고, 관리서버(360)의 보수 데이터베이스(370)의 진단 이력 데이터(372)가 갱신된다.
감시장치(250)는, 엘리베이터 상태정보의 발신이 종료되면, 도 7에 나타낸 단계 S115로 진행되고,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기억부(260)에 격납한다.
감시장치(250)는, 기억부(260)에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격납하면, 도 8의 단계 S1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리서버(360)로부터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의 송신 요구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리서버(360)로부터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의 송신 요구가 있었을 경우에는, 도 8의 단계 S121로 진행되어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관리서버(360)에 송신한다. 이때, 감시장치(250)의 통신부(270)는, 제1 국가의 통신 규격에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30)와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리서버(360)는, 감시장치(250)로부터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데이터를 보수 데이터베이스(370)의 진단 이력 데이터(372)에 격납한다.
또한, 감시장치(250)는, 도 5, 도 9의 단계 S1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장치(200)로부터 고장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200)로부터 고장신호가 입력되면 도 9의 단계 S1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장치(200)로부터의 고장신호를 접수하고, 단계 S152에서 고장신호의 내용을 확인한다.
고장신호는,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 고장 코드, 엘리베이터 상태 코드를 조합시킨 것이다. 감시장치(250)는, 제어장치(200)로부터 도어(13, 26)의 개폐의 고장을 나타낸 고장 코드 0001과, "도어 개방 불능"이라고 하는 엘리베이터 상태 코드를 포함하는 고장신호를 접수했을 경우에는, 도 9의 단계 S15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20)의 설치 장소, 명칭을 조합시켜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AAA 빌딩 1호기 도어 개방 불능"과 같은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감시장치(250)는, 도 9에 나타낸 단계 S154로 진행하여, 도 3에 나타낸 발신처 테이블(375)을 참조해서 특정 정보처리장치를 감시반(330), 엘리베이터 관리자(410)의 휴대 단말(411)로 특정하고, 감시반(330), 휴대 단말(411)에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한다.
고장 발생에 의한 엘리베이터 상태정보가 감시센터(310)의 감시반(330)에 입력되면, 그 정보는 디스플레이(331)에 표시된다. 감시원(334)은, 이 신호가 표시되면, 엘리베이터 상태정보가 휴대 단말(411)에 송신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관리자(410)와 연락하고, 제1 국가에 설치되어 있는 서비스 센터(340)로부터 기술자(350)를 제1 국가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20)에 파견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20)의 원격 감시 시스템(100)은,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에 이상항목, 변조 항목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또는 고장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상태정보가 필요로 되는 감시센터(310)의 감시반(330) 또는 엘리베이터 관리자(410)의 휴대 단말(411)에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해서 정보 연락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가 모두 정상일 경우에는, 감시센터(310)의 감시반(330), 엘리베이터 관리자(410)의 휴대 단말(411)에는 엘리베이터 상태정보의 발신을 행하지 않고, 관리서버(360)에만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하므로, 감시반(330), 휴대 단말(411)에 불필요한 정보가 발신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엘리베이터(20)의 원격 감시 시스템(100)은, 제어장치(200)로부터 접수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 또는 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된 고장신호에 따라서 정보처리장치 중에서 특정한 특정 정보처리장치에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하므로, 각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불필요한 정보의 수신을 억제하는 동시에, 필요한 정보를 특정 정보처리장치에 송신해서 정보연락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20)의 정보의 송수신을 효율화해서 엘리베이터(20)의 보수 관리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20)의 진단운전을 실행했을 때에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엘리베이터(20)의 제어장치(200)에 접속된 감시장치(250)의 기억부(260)에 격납해두고, 관리서버(360)로부터의 송신 요구에 따라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관리서버(360)에 송신하므로, 다수의 엘리베이터(20)로부터 진단운전결과 데이터가 동시에 관리서버(360)에 송신되어 버려, 관리서버(360)가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360)로부터의 진단운전지령에 의해 엘리베이터(20)에 진단운전을 실행시키는 것에 의해, 필요에 따른 진단운전을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20)의 보수 관리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원격 감시 시스템(100)에 있어서, 감시장치(250)의 통신부(270)와 통신 네트워크(30), 통신장치(325)를 개재해서 관리서버(360)를 접속하는 통신회선을 제1 회선으로 하고, 감시장치(250)의 통신부(270)와 통신 네트워크(30), 통신장치(320)를 개재해서 감시센터(310), 휴대 단말(411)을 접속하는 통신회선을 제1 회선과는 다른 제2 회선으로 해서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관리서버(360)와의 사이의 제1 회선과, 감시센터(310), 휴대 단말(411)과의 사이의 제2 회선을 별도의 회선으로 함으로써, 관리서버(360)에의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의 송신 중이더라도, 제1 회선과는 다른 제2 회선에 의해 이상발생, 고장 등의 정보를 감시센터(310)의 감시반(330), 휴대 단말(411)에 송신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관리서버(360)에의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의 송신에 의해 통신회선이 점유되어서 감시반(330), 휴대 단말(411)에 이상발생, 고장 등의 정보를 송신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원격 감시 시스템(100)의 다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 동작에서는, 진단운전은 엘리베이터(20)의 제어장치(200)가 소정의 스케줄에 따라서 실행한다고 했지만, 본 동작에서는, 진단운전은, 관리서버(360)로부터의 진단운전지령에 의해 제어장치(200)가 실행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에 대해서는, 간단히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리서버(360)는, 엘리베이터(20)의 감시장치(250)에 진단운전지령을 송신한다. 감시장치(250)는, 도 13의 단계 S2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리서버(360)로부터의 진단운전지령을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고, 관리서버(360)로부터 진단운전지령을 수신하면, 도 13의 단계 S211로 진행되어서 엘리베이터(20)의 제어장치(200)에 진단운전지령을 출력한다.
도 12의 단계 S2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장치(200)는, 감시장치(250)로부터 진단운전지령이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고, 감시장치(250)로부터 진단운전지령이 입력되면, 도 12의 단계 S202로 진행되고, 진단운전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먼저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카(22)의 도어가 닫혀서 카(22)가 정지하고 있고, 카(22) 속에 탑승자가 없을 경우에 진단운전 가능이라고 판단한다. 이 판단에 있어서, 소정 시간 경과해도 진단운전 가능이라고 판단할 수 없을 경우에는, 진단 실패로 판단해서 감시장치(250)는, 관리서버(360)에 "진단 실패"를 통보해도 된다. 그리고, 제어장치(200)는, 진단운전 가능이라고 판단하면 도 12의 단계 S203으로 진행하여 진단운전을 실행하고, 도 12의 단계 S204에 있어서, 도 10에 일례를 나타낸 바와 같은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감시장치(250)에 출력한다.
감시장치(250)는, 도 13의 단계 S2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장치(200)로부터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의 입력이 있을 때까지 대기하고,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의 입력이 있으면 도 13의 단계 S213으로 진행하여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접수하고, 앞서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3의 단계 S214에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확인하고, 단계 S215에서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도 13의 단계 S216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낸 발신처 테이블(375)을 참조해서 특정 정보처리장치를 특정하고, 단계 S217에서 특정한 특정 정보처리장치에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한다. 그리고, 감시장치(250)는, 도 13의 단계 S217에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기억부(260)에 격납한다.
또한, 엘리베이터(20)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감시장치(250)는, 앞서 도 9를 참조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접수한 고장신호를 확인하고, 고장신호에 의거해서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도 3에 나타낸 발신처 테이블(375)을 참조해서 특정 정보처리장치를 특정하고, 특정한 특정 정보처리장치에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한다(도 11 참조).
본 동작에서는, 관리서버(360)로부터 진단운전지령을 출력해서 엘리베이터(20)에 진단운전을 실행시킨 경우에도, 먼저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 동작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다음에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서 다른 실시형태의 원격 감시 시스템(1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원격 감시 시스템(110)은,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 원격 감시 시스템(100)에 보수 단말(500)을 접속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 실시형태의 원격 감시 시스템(100)과 마찬가지의 부위에는 마찬가지의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나타낸 보수 단말(500)은, 감시장치(250)에 접속되어서 엘리베이터(20)의 보수 점검을 행하는 컴퓨터이다.
다음에,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서 도 14에 나타낸 원격 감시 시스템(1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10,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해서 설명한 동작과 마찬가지 동작에 대해서는 간단히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의 단계 S30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동작에서는, 감시장치(250)는, 보수 단말(500)로부터의 진단운전지령에 의해 제어장치(200)에 진단운전을 실행시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에 의거해서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발신처 테이블(375)을 참조해서 특정 정보처리장치를 특정해서 특정 정보처리장치에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한다. 그리고, 감시장치(250)는,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기억부(260)에 격납하고, 보수 단말(500)로부터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의 출력 요구가 있었을 때에, 보수 단말(500)에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감시장치(250)는, 엘리베이터(20)에서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접수한 고장신호를 확인하고, 고장신호에 의거해서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특정 정보처리장치에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한다.
본 실시형태의 원격 감시 시스템(110)에서는, 감시장치(250)는, 도 16의 단계 S216에 있어서, (1)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의 진단 결과의 난에 NG가 입력되어 있는 이상항목이 있을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발신처 테이블(375)을 참조해서, 감시반(330)과, 엘리베이터 관리자(410)의 휴대 단말(411)에 부가해서, 보수 단말(500)을 특정 정보처리장치로서 특정하고, 감시반(330)과 휴대 단말(411)과 보수 단말(500)에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한다. 또한, (2)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의 진단 결과의 난에 NG가 입력되어 있는 항목은 없지만 A1이 입력되어 있는 변조 항목이 있을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발신처 테이블(375)을 참조해서, 감시반(330)에 더해서 보수 단말(500)을 특정 정보처리장치로서 특정하고, 감시반(330)과 보수 단말(500)에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한다. 또한, (3)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의 진단 결과의 난에 모두 OK가 입력되어 있어, 모든 항목이 정상일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발신처 테이블(375)을 참조해서, 관리서버(360)에 더해서 보수 단말(500)을 특정 정보처리장치로서 특정하고, 관리서버(360)와 보수 단말(500)에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한다. 또, 감시장치(250)는, 고장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보수 단말(500)에는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원격 감시 시스템(110)은, 먼저 설명한 원격 감시 시스템(100)과 마찬가지의 효과에 부가해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에 이상항목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보수 단말(500)에도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해서 정보연락의 고속화를 도모하고, 진단운전결과 데이터가 모두 정상일 경우에는, 관리서버(360), 보수 단말(500)에만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하므로, 감시반(330), 휴대 단말(411)에 불필요한 정보가 발신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20)의 정보의 송수신을 효율화해서 엘리베이터(20)의 보수 관리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수 단말(500)로부터 진단운전을 실행시켰을 경우에도, 엘리베이터(20)의 진단운전을 실행했을 때에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엘리베이터(20)의 제어장치(200)에 접속된 감시장치(250)의 기억부(260)에 격납해두고, 보수 단말(500)로부터의 출력 요구에 따라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보수 단말(500)에 출력하므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가 관리서버(360)와 보수 단말(500)에 동시에 출력되는 일이 없어, 감시장치(250)의 정보처리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통신을 확실하게 하여, 엘리베이터(20)의 보수 관리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빌딩, 13: 도어, 20: 엘리베이터, 22: 카, 26: 도어, 30, 35: 통신 네트워크, 100, 110: 원격 감시 시스템, 200: 제어장치, 250: 감시장치, 260, 365: 기억부, 270: 통신부, 310: 감시센터, 320, 325: 통신장치, 330: 감시반, 331: 디스플레이, 332: 스위치, 333: 전화, 334: 감시원, 340: 서비스 센터, 350: 기술자, 360: 관리서버, 370: 보수 데이터베이스, 371: 엘리베이터 사양 데이터, 372: 진단 이력 데이터, 373: 고장 이력 데이터, 375: 발신처 테이블, 376: 엘리베이터 상태정보 리스트, 381 내지 383: 진단운전결과 데이터, 410: 엘리베이터 관리자, 411: 휴대 단말, 500: 보수 단말.

Claims (7)

  1.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상기 엘리베이터에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에 고장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와,
    기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에 접속되어서 상기 제어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동시에, 상기 고장신호가 입력되는 감시장치와,
    상기 감시장치와 통신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접속되어서 상기 감시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복수의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엘리베이터의 진단운전을 실행했을 때에,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접수해서 상기 기억부에 격납하고,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접수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 또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고장신호에 의거해서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표시하는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접수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 또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고장신호에 따라서 상기 정보처리장치 중에서 특정한 특정 정보처리장치에 상기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감시장치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접속되어서 상기 감시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감시장치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접속되어서 상기 감시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감시반과, 상기 감시장치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접속되어서 상기 감시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관리자의 휴대 단말이며,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접수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에 이상항목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또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고장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감시반 또는 상기 휴대 단말을 상기 특정 정보처리장치로서 특정하고, 상기 감시반 또는 상기 휴대 단말에 상기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하고,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접수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가 모두 정상일 경우에는, 상기 관리서버를 상기 특정 정보처리장치로서 특정하고, 상기 관리서버에 상기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와, 상기 제어장치와, 상기 감시장치가 제1 국가에 설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제1 국가에 존재하고,
    상기 관리서버와, 상기 감시반이 제2 국가에 설치되고,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제1 국가의 통신 규격에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 또는 상기 감시반 또는 상기 관리서버와의 사이의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관리서버와 접속되는 제1 회선과, 상기 감시반 또는 상기 휴대 단말과 접속되는 제2 회선을 구비하고,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제1 국가의 통신 규격에 따라서 상기 제1 회선에 의해 상기 관리서버와의 사이의 통신을 행하고, 상기 제1 국가의 통신 규격에 따라서 상기 제2 회선에 의해 상기 감시반 또는 상기 휴대 단말과의 사이의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감시장치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접속되어서 상기 감시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의 진단운전지령을 수신했을 때에, 상기 제어장치에 진단운전지령을 출력해서 상기 제어장치에 진단운전을 실행시켜,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접수해서 상기 기억부에 격납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의 송신 요구가 있었을 때에, 송신 요구가 있었던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감시장치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접속되어서 상기 감시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감시장치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접속되어서 상기 감시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감시반과, 상기 감시장치와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개재해서 접속되어서 상기 감시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관리자의 휴대 단말과, 상기 감시장치에 접속되어서 상기 감시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보수 단말이며,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접수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에 이상항목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감시반 또는 상기 휴대 단말 또는 상기 보수 단말을 상기 특정 정보처리장치로서 특정하고, 상기 감시반 또는 상기 휴대 단말 또는 상기 보수 단말에 상기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하고,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접수한 진단운전결과 데이터가 모두 정상일 경우에는, 상기 관리서버 또는 상기 보수 단말을 상기 특정 정보처리장치로서 특정하고, 상기 관리서버 또는 상기 보수 단말에 상기 엘리베이터 상태정보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보수 단말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의 진단운전지령을 수신했을 때에, 상기 제어장치에 진단운전지령을 출력해서 상기 제어장치에 진단운전을 실행시켜,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접수해서 상기 기억부에 격납하고,
    상기 보수 단말로부터 진단운전결과 데이터의 출력 요구가 있었을 때에, 출력 요구가 있었던 진단운전결과 데이터를 상기 보수 단말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
KR1020207015426A 2017-12-14 2017-12-14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 KR102348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44914 WO2019116501A1 (ja) 2017-12-14 2017-12-14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206A true KR20200074206A (ko) 2020-06-24
KR102348616B1 KR102348616B1 (ko) 2022-01-07

Family

ID=65718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426A KR102348616B1 (ko) 2017-12-14 2017-12-14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82734B1 (ko)
KR (1) KR102348616B1 (ko)
CN (1) CN111433146B (ko)
WO (1) WO20191165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40518B (zh) * 2020-05-28 2021-09-21 宜禾實業有限公司 升降梯通訊設備及其監控系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0319A (ja) 1992-09-18 1994-04-12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ペロブスカイト型構造複合酸化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218886A (ja) * 2011-04-08 2012-11-1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昇降機の保全作業管理システム
JP5389229B1 (ja) 2012-07-03 2014-01-15 ジャパンエレベーターサービス株式会社 遠隔監視支援装置および遠隔監視システム
JP2017202890A (ja) * 2016-05-09 2017-11-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表示器の輝度低下検出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8263A (en) * 1988-09-12 1990-02-06 Montgomery Elevator Company Elevator self-diagnostic control system
DE3911391C5 (de) * 1989-04-07 2010-04-29 TÜV SÜD Industrie Servic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prüfen der Treibfähigkeit
JPH0742061B2 (ja) * 1989-09-20 1995-05-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装置
JP3016933B2 (ja) * 1991-12-16 2000-03-06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の管理システム
JP2003212447A (ja) * 2002-01-28 2003-07-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エレベータ遠隔監視システム
ZA200307740B (en) * 2002-10-29 2004-07-02 Inventio Ag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maintenance of a lift.
JP4897230B2 (ja) * 2005-03-22 2012-03-1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非常時通話機能点検システム
JP2007276899A (ja) * 2006-04-03 2007-10-25 Toshiba Elevator Co Ltd 乗場位置表示器制御装置及び乗場位置表示器表示システム
WO2010016827A1 (en) * 2008-08-04 2010-02-11 Otis Elevator Company Remote expert communications regarding passenger carrying devices
JP2010095360A (ja) * 2008-10-17 2010-04-30 Toshiba Elevator Co Ltd 機能可変型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機能可変型遠隔監視方法
JP6100319B2 (ja) * 2015-06-30 2017-03-2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遠隔監視装置及び通信装置
JP6554436B2 (ja) * 2016-03-24 2019-07-31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の冠水退避運転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0319A (ja) 1992-09-18 1994-04-12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ペロブスカイト型構造複合酸化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218886A (ja) * 2011-04-08 2012-11-1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昇降機の保全作業管理システム
JP5389229B1 (ja) 2012-07-03 2014-01-15 ジャパンエレベーターサービス株式会社 遠隔監視支援装置および遠隔監視システム
JP2017202890A (ja) * 2016-05-09 2017-11-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表示器の輝度低下検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616B1 (ko) 2022-01-07
CN111433146A (zh) 2020-07-17
JP6482734B1 (ja) 2019-03-13
CN111433146B (zh) 2021-07-30
JPWO2019116501A1 (ja) 2019-12-19
WO2019116501A1 (ja)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0276B2 (en) Elevator system with messaging for automated maintenance
KR102035557B1 (ko) 엘리베이터 사물 인터넷 기반 부지중 자율 안내 시스템 및 방법
US4823914A (en) Status lin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80251337A1 (en) Elevator device and elevator recovery method
KR102330676B1 (ko)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장치
US10745241B2 (en) Communication with a trapped passenger in a transportation system
KR102118669B1 (ko)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
JP2013201664A (ja) 冗長通信装置
JP2009286600A (ja) 遠隔監視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書替え方法
KR20200074206A (ko)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
KR102138357B1 (ko)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WO2019116500A1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診断システム
EP3401256B1 (en) Elevator data communication arrangement
KR20130115877A (ko)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
JPH03201095A (ja) 昇降機遠隔監視装置
KR102182551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143904B1 (ko)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JP4509522B2 (ja) エレベータの監視システム
CN110099861B (zh) 电梯的远程监视系统
JP2008087899A (ja) エレベータの機能可変型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遠隔監視方法
KR20190102033A (ko)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JP2006036431A (ja) エレベータの異常通報システム
JPH02253398A (ja) ビル遠隔監視装置
JPH02121095A (ja) 昇降機遠隔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