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658A -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658A
KR20200072658A KR1020180160476A KR20180160476A KR20200072658A KR 20200072658 A KR20200072658 A KR 20200072658A KR 1020180160476 A KR1020180160476 A KR 1020180160476A KR 20180160476 A KR20180160476 A KR 20180160476A KR 20200072658 A KR20200072658 A KR 20200072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weight
protein
enzyme
rice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9332B1 (ko
Inventor
정재훈
조순장
김상준
서동완
조라영
박경수
정진수
Original Assignee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0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332B1/ko
Priority to PCT/KR2019/015220 priority patent/WO2020122435A1/ko
Priority to US16/641,412 priority patent/US20200253231A1/en
Publication of KR20200072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1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03Addition of, or treatment with, enzymes or microorganisms other than lactobacteriaceae
    • A23C9/1209Proteolytic or milk coagulating enzymes, e.g. tryps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4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in which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milk is modified by non-chemical treatment
    • A23C9/142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in which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milk is modified by non-chemical treatment by dialysis, reverse osmosis or ultra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52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containing additives
    • A23C9/1522Inorganic additives, e.g. minerals, trace elements; Chlorination or fluoridation of milk; Organic salts or complexes of metals other than natrium or kalium; Calcium enrichment of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52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containing additives
    • A23C9/1526Amino acids; 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Nucle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1/00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 A23J1/12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from cereals, wheat, bran, or mola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1/00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 A23J1/12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from cereals, wheat, bran, or molasses
    • A23J1/125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from cereals, wheat, bran, or molasses by treatment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14Vegetable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5Vegetable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쌀 전분을 효소로 분해하여 얻은 쌀 효소분해 추출물과 쌀 단백질을 부원료와 혼합하여 우유 성상을 갖고 영양가가 높고 소화가 잘되어 알러지에 민감한 노인이나 유아가 음용하기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를 받는 성인에게도 기능성을 제공하는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는, 쌀 단백질 분말과 쌀 효소 분해 추출 농축액이 정제수에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의 제조 방법은, 상기의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쌀 단백질 분말과 쌀 효소 분해 추출 농축액은, 쌀(분말)을 쌀 중량대비 3~5 배수(질량)의 물과 기질(쌀) 중량대비 0.3%의 α-아밀라아제를 혼합하여 90℃의 온도에서 1시간 정도 효소 분해하는 1차 효소분해 단계(S10)와, 상기 1차 효소분해 단계를 거친 배합물을 50℃로 냉각시킨 다음, 기질(쌀 분물) 중량 대비 0.5%의 당화효소를 첨가하여 50℃의 온도에서 3.5시간 정도 효소 분해하는 2차 효소분해 단계(S20)와, 2차 효소 분해된 배합물을 90℃의 온도에서 0.5(30분)시간 정도로 효소를 불활성화시키고, 효소가 불활성화된 배합물을 여과포로 슬러지(쌀단백질)와 여과액(당화액)으로 여과 분리하는 여과 단계(S30)와, 상기 여과 단계에서 여과하여 얻은 슬러지를 균질화시킨 다음 건조하여 쌀 단백질 분말을 얻는 쌀 단백질 분말화 단계(S40) 및 상기 여과 단계에서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살균하여 쌀 효소 분해 추출 농축액을 얻는 쌀 효소 추출 당화액 농축 단계(S50)가 포함된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 및 그 제조 방법{RICE MILK USING RICE PROTEI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쌀 전분을 효소로 분해하여 얻은 쌀 효소분해 추출물과 쌀 단백질을 부원료와 혼합하여 우유 성상을 갖고 영양가가 높고 소화가 잘되어 알러지에 민감한 노인이나 유아가 음용하기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를 받는 성인에게도 기능성을 제공하는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곡물류는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농산물로, 전체 칼로리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는 중요한 단백질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곡물 중 쌀은 밀과 옥수수와 함께 가장 중요한 곡물로서 전세계 곡물소비량의 75%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쌀의 단백질 부족 (Protein Deficiency)으로 인해 유아 및 여성의 영양 공급에 한계를 지니고 있어 지속적으로 쌀 소비량의 향상시키기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한, 국내의 식품소비의 경향 변화에 의한 곡물 소비량의 변화에 따라 국내의 쌀 생산량 대비 소비량의 감소로 인하여 쌀 가격이 하락하였고, 이는 농가 소득의 감소를 초래하였으며, 이에 따른 쌀을 이용한 새로운 식품소재의 개발 및 고부가의 쌀 관련 제품의 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 쌀로부터 추출된 쌀 단백질은 상대적으로 단백질의 함량이 낮지만 양질의 단백질원으로 쌀 단백질에 대한 양적 및 질적 관심이 다시 집중되고 있어 새로운 식품소재로 시장에 새롭게 접근하고 있다.
콩 및 밀 단백질, 우유 단백질은 알러지(Allergy) 유발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가수분해 될 경우에도 알러지를 유발하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식품의약국(FDA) 및 유럽식품안전처(EU EFSA)의 규정에는, 이러한 단백질을 식품에 사용할 경우 식품의 포장지에 표기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반해 쌀은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가장 많이 소비되는 곡물로, 상대적으로 저 알러지성 단백질 (Hypoallergenic Protein)을 함유하고 있어, 천연 항료의 원료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면역체계가 완전하게 구축되지 않은 유아 및 어린아이들을 위한 식품의 개발에 이용되어 아토피(Atopic Dermatitis)를 비롯한 면역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식품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쌀 단백질을 이용하여 쉽게 섭취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에 대한 개발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0996호(2013.06.10, 쌀 단백질을 이용한 천연발효조미료의 제조방법)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3225호(2018.06.26, 미강 및 쌀단백질의 효소분해물을 포함하는 알러지 프리 천연조미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천연조미소재)을 제외하고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상기의 쌀 단백질을 이용한 제품은 음식의 조리에 첨가하는 조미료 및 조미 소재에 관한 것이어서 쌀 단백질의 기능성을 성분을 일상적으로 섭취하도록 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60996호(2013.06.10) : 쌀 단백질을 이용한 천연발효조미료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3225호(2018.06.26) : 미강 및 쌀단백질의 효소분해물을 포함하는 알러지 프리 천연조미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천연조미소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쌀 전분을 효소로 분해하여 얻은 쌀 효소분해 추출물과 쌀 단백질을 부원료와 혼합하여 우유 성상을 갖고 영양가가 높고 소화가 잘되어 알러지에 민감한 노인이나 유아가 음용하기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를 받는 성인에게도 기능성을 제공하는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는, 쌀 단백질 분말과 쌀 효소 분해 추출 농축액이 정제수에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는, 쌀 단백질 분말과 쌀 효소 분해 추출 농축액이 정제수에 혼합된 혼합물에는 다시마/김/대잎 효소분해 추출물, 프락토올리고당, 대두레시틴, 식물성 크리마, 유산균 혼합 분말, 정제염, 구연산, 탄산수소나트륨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는, 정제수 80중량%, 쌀단백질 6중량%, 쌀 효소 추출 농축액 10중량%, 다시마/김/대잎 효소분해 추출물 0.4중량%, 프락토올리고당 0.6중량%, 대두레시틴 2중량%, 식물성 크리마 0.3중량%, 유산균 혼합 분말 0.15중량%, 정제염 0.15중량%, 구연산 0.2중량%, 탄산수소나트륨 0.2%가 배합 및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의 제조 방법은, 상기의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쌀 단백질 분말과 쌀 효소 분해 추출 농축액은, 쌀(분말)을 쌀 중량대비 3~5 배수(질량)의 물과 기질(쌀) 중량대비 0.3%의 α-아밀라아제를 혼합하여 90℃의 온도에서 1시간 정도 효소 분해하는 1차 효소분해 단계(S10)와, 상기 1차 효소분해 단계를 거친 배합물을 50℃로 냉각시킨 다음, 기질(쌀 분물) 중량 대비 0.5%의 당화효소를 첨가하여 50℃의 온도에서 3.5시간 정도 효소 분해하는 2차 효소분해 단계(S20)와, 2차 효소 분해된 배합물을 90℃의 온도에서 0.5(30분)시간 정도로 효소를 불활성화시키고, 효소가 불활성화된 배합물을 여과포로 슬러지(쌀단백질)와 여과액(당화액)으로 여과 분리하는 여과 단계(S30)와, 상기 여과 단계에서 여과하여 얻은 슬러지를 균질화시킨 다음 건조하여 쌀 단백질 분말을 얻는 쌀 단백질 분말화 단계(S40) 및 상기 여과 단계에서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살균하여 쌀 효소 분해 추출 농축액을 얻는 쌀 효소 추출 당화액 농축 단계(S50)가 포함된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 및 그 제조 방법은 쌀 전분을 효소로 분해하여 얻은 쌀 효소분해 추출물과 쌀 단백질을 부원료와 혼합하여 우유 성상을 갖고 영양가가 높고 소화가 잘되어 알러지에 민감한 노인이나 유아가 음용하기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를 받는 성인에게도 기능성을 제공하는 쌀 우유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 및 그 제조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쌀 전분을 효소로 분해하여 얻은 쌀 효소분해 추출물과 쌀 단백질을 프리바이오틱 등의 부원료와 혼합하여 우유 성상을 갖는 쌀 우유 제품을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1:쌀 단백질의 추출>
A : 1차 효소분해 단계(S10)
쌀을 쌀 중량대비 3~5 배수의 물과 쌀 중량대비 0.3%의 α-아밀라아제와 혼합하여 90℃의 온도에서 1시간 정도 효소 분해한다.
B : 2차 효소분해 단계(S20)
1차 효소분해 단계를 거친 배합물을 50℃로 냉각시킨 다음, 기질(쌀) 중량 대비 0.5%의 당화 효소를 첨가하여 50℃의 온도에서 3.5시간 정도 효소 분해한다.
C : 여과 단계(S30)
2차 효소 분해된 배합물을 90℃의 온도에서 0.5시간(30분) 정도로 효소를 불활성화시키고, 효소가 불활성화된 배합물을 여과포로 슬러지(쌀단백질)와 여과액(당화액)으로 여과 분리한다.
D : 쌀 단백질 분말화 단계(S40)
상기 여과 단계에서 여과하여 얻은 슬러지를 균질화시킨 다음 건조(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하여 쌀 단백질 분말을 얻는다.
E : 쌀 효소 추출 당화액 농축 단계(S50)
상기 여과 단계에서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살균하여 쌀 효소 분해 추출 농축액을 얻는다.
하기의 표 1은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얻은 쌀 단백질 분말과 쌀(백미, 현미)의 영양 성분을 비교하여 정리한 것이고, 표 2는 쌀 단백질 분말의 구성 아미노산 함량을 정리한 표이다.
영양성분 백미(100g) 쌀단백질 분말(100g)
탄수화물(g) 80
식이섬유(1.30g)
34.77
식이섬유(1.55g)
단백질(g) 7.10 54.50
지방(g) 0.66 4.18
열량(Kcal) 130
구성 아미노산 함량(mg/100g)
티로신 2150.46
글리신 2462.46
세린 2852.46
알라닌 3025.08
글루탐산 9410.15
라이신 1529.08
로이신 4361.38
메티오닌 787.08
발린 2749.69
아르기닌 4317.23
아스파라긴산 4848.77
이소로이신 1932.77
트레오닌 1960.31
페닐알라닌 2874.31
프롤린 2345.85
히스티딘 1222.31
시스틴 304.93
트립토판 250.47
<실시예2 : 쌀 단백질 우유의 제조>
상기 실시예1에서 분리한 쌀 단백질 분말 및 쌀 효소 분해 추출 농축액을 주원료로 이용하고, 이들을 하기의 부원료와 혼합하여 우유 성상의 쌀 우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주원료 : 쌀 효소 분해 추출 농축액(쌀 효소 분해 당화액), 쌀 단백질 분말, 프리바이오틱
- 부원료 : 유화제(대두 레시틴), 유산균, 정제염, 구연산, 탄산수소나트륨
- 기타 : 정제수
상기 프리바이오틱으로는 다시마/김/대잎 효소분해 추출물이 이용되는데, 상기 다시마/김/대잎 효소분해 추출물은 다시마:김:대잎 = 2:1:1(중량비) 혼합물에 상기 혼합물 중량 대비 0.5%의 효소(viscozyme, Fungamyl)을 첨가한 후 50℃에서 3hr 동안 효소 분해하여 추출한 것이다.
하기의 표 3은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 조성물의 배합비를 정리한 것이다.
표 4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쌀 단백질 우유의 영양 성분을 정리한 표이다.
순번 원료명 배합 함량(g) 비고
1 정제수 80
2 쌀단백질 6 주원료
3 쌀 효소분해 추출 농축액 10 주원료
4 다시마/김/대잎 효소분해 추출물 0.4 프리바이오틱
5 프락토올리고당 0.6 프리바이오틱
6 대두레시틴 2 천연유화제
7 식물성 크리마 0.3
8 유산균 혼합 분말 0.15
9 정제염 0.15
10 구연산 0.2 pH 조절
11 탄산수소나트륨 0.2 pH 조절
합계 100
영양분 단위 함량
탄수화물 g/100ml 7.6
조단백질 g/100ml 3.8
조지방 g/100ml 0.1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 및 그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쌀 단백질 분말과 쌀 효소 분해 추출 농축액이 정제수에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
  2. 제1항에 있어서,
    쌀 단백질 분말과 쌀 효소 분해 추출 농축액이 정제수에 혼합된 혼합물에는 다시마/김/대잎 효소분해 추출물, 프락토올리고당, 대두레시틴, 식물성 크리마, 유산균 혼합 분말, 정제염, 구연산, 탄산수소나트륨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
  3. 제2항에 있어서,
    정제수 80중량%, 쌀단백질 6중량%, 쌀 효소 추출 농축액 10중량%, 다시마/김/대잎 효소분해 추출물 0.4중량%, 프락토올리고당 0.6중량%, 대두레시틴 2중량%, 식물성 크리마 0.3중량%, 유산균 혼합 분말 0.15중량%, 정제염 0.15중량%, 구연산 0.2중량%, 탄산수소나트륨 0.2%가 배합 및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쌀 단백질 분말과 쌀 효소 분해 추출 농축액은, 쌀(분말)을 쌀 중량대비 3~5 배수(질량)의 물과 기질(쌀) 중량대비 0.3%의 α-아밀라아제를 혼합하여 90℃의 온도에서 1시간 정도 효소 분해하는 1차 효소분해 단계(S10)와,
    상기 1차 효소분해 단계를 거친 배합물을 50℃로 냉각시킨 다음, 기질(쌀 분물) 중량 대비 0.5%의 당화효소를 첨가하여 50℃의 온도에서 3.5시간 정도 효소 분해하는 2차 효소분해 단계(S20)와,
    2차 효소 분해된 배합물을 90℃의 온도에서 0.5(30분)시간 정도로 효소를 불활성화시키고, 효소가 불활성화된 배합물을 여과포로 슬러지(쌀단백질)와 여과액(당화액)으로 여과 분리하는 여과 단계(S30)와,
    상기 여과 단계에서 여과하여 얻은 슬러지를 균질화시킨 다음 건조하여 쌀 단백질 분말을 얻는 쌀 단백질 분말화 단계(S40) 및
    상기 여과 단계에서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농축시키고 살균하여 쌀 효소 분해 추출 농축액을 얻는 쌀 효소 추출 당화액 농축 단계(S50)가 포함된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의 제조 방법.
KR1020180160476A 2018-12-13 2018-12-13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 및 그 제조 방법 KR102249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476A KR102249332B1 (ko) 2018-12-13 2018-12-13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 및 그 제조 방법
PCT/KR2019/015220 WO2020122435A1 (ko) 2018-12-13 2019-11-11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 및 그 제조 방법
US16/641,412 US20200253231A1 (en) 2018-12-13 2019-11-11 Rice milk using rice protei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476A KR102249332B1 (ko) 2018-12-13 2018-12-13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658A true KR20200072658A (ko) 2020-06-23
KR102249332B1 KR102249332B1 (ko) 2021-05-06

Family

ID=71077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476A KR102249332B1 (ko) 2018-12-13 2018-12-13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253231A1 (ko)
KR (1) KR102249332B1 (ko)
WO (1) WO20201224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819B1 (ko) * 2021-12-17 2022-10-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전분함유 작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1121B1 (en) 2021-01-05 2023-10-03 Chobani Llc Plant-based zero sugar food product and associated method
CN114989241B (zh) * 2022-03-18 2024-01-12 武汉美味源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生产高纯度大米蛋白粉以及大米糖浆的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2206A (ko) * 1991-12-05 1993-07-20 전성원 스냅링 장착공구
US20040213890A1 (en) * 2000-10-20 2004-10-28 Nutriz N.V. Non-dairy products derived from rice
KR20100035226A (ko) * 2008-09-26 2010-04-05 주식회사 엠에스씨 쌀을 이용한 음료 조제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60996A (ko) 2011-11-30 2013-06-10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쌀 단백질을 이용한 천연발효조미료의 제조방법
KR20180006695A (ko) * 2016-07-11 2018-01-19 종 해 김 식물성 대체 우유 제조 방법과 시스템
KR101873225B1 (ko) 2016-09-13 2018-07-04 매일식품 주식회사 미강 및 쌀단백질의 효소분해물을 포함하는 알러지 프리 천연조미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천연조미소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2206B1 (ko) * 1991-09-07 1993-12-24 해태제과 주식회사 쌀을 주재로 한 인조우유 제조방법
CN103068264A (zh) * 2010-08-24 2013-04-24 丹尼斯科美国公司 包含低温大米蛋白浓缩物的食品产品
KR101323479B1 (ko) * 2011-12-29 2013-10-31 웅진식품주식회사 기능성 당을 함유하는 쌀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63165B1 (ko) * 2016-12-30 2018-05-31 롯데푸드 주식회사 영양성분의 침전이 억제된 조제우유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2206A (ko) * 1991-12-05 1993-07-20 전성원 스냅링 장착공구
US20040213890A1 (en) * 2000-10-20 2004-10-28 Nutriz N.V. Non-dairy products derived from rice
KR20100035226A (ko) * 2008-09-26 2010-04-05 주식회사 엠에스씨 쌀을 이용한 음료 조제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60996A (ko) 2011-11-30 2013-06-10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쌀 단백질을 이용한 천연발효조미료의 제조방법
KR20180006695A (ko) * 2016-07-11 2018-01-19 종 해 김 식물성 대체 우유 제조 방법과 시스템
KR101873225B1 (ko) 2016-09-13 2018-07-04 매일식품 주식회사 미강 및 쌀단백질의 효소분해물을 포함하는 알러지 프리 천연조미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천연조미소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819B1 (ko) * 2021-12-17 2022-10-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전분함유 작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WO2023113107A1 (ko) * 2021-12-17 2023-06-2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전분함유 작물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22435A1 (ko) 2020-06-18
US20200253231A1 (en) 2020-08-13
KR102249332B1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9332B1 (ko) 쌀 단백질을 이용한 쌀 우유 및 그 제조 방법
CN106987614B (zh) 一种从发芽黑米中提纯淀粉和可溶性黑米蛋白的方法
KR101405372B1 (ko) 대두펩타이드를 함유하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CN103798401A (zh) 一种功能性五谷豆乳及其生产技术
CN104996715A (zh) 一种复合发酵法制备小麦胚芽多肽的工艺
CN110477240A (zh) 一种藜麦全营养饮料及其制备方法
CN103271158B (zh) 谷物养生奶及其制备方法
CN108902676A (zh) 小麦基蛋白多肽和改性淀粉复配麦粒模拟物及其制备方法
CN102599599B (zh) 一种米糠饮料的制作方法
CN107156747A (zh) 一种虫草核桃肽营养粉及其制备方法
CN105779550B (zh) 制备豆类萌芽功能肽的方法
CN102687891A (zh) 山杏仁多肽饮料制品及其制备方法
KR101629218B1 (ko) 닭 백숙 향미를 가진 조미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041404A (zh) 营养植物肽粉及其生产工艺
KR20190001795A (ko) 분리대두단백 및 현미를 이용한 효소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2088943A (zh) 一种富含γ-氨基丁酸的黑青稞奶茶及其制备方法
CN112205603A (zh) 一种大豆多肽食盐及其制备方法
KR101295633B1 (ko) 분지쇄 아미노산 고함유 쌀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CN108531529A (zh) 一种利用微生物发酵法制备蛋白多肽的方法
CN1244295C (zh) 一种发酵玉米胚芽饮料及其生产方法
KR101677018B1 (ko) 향미와 기호성을 개선한 고추장 제조방법
KR102276314B1 (ko) 식물성 혼합 농축 단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부터 얻어지는 식물성 대체육 소재 및 그 용도
KR20090089182A (ko) 저염 양파오곡된장 및 그 제조방법
CN114081110A (zh) 白蛋白酶解饮品
JP2007020414A (ja) みりん粕乳酸発酵飲食品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