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280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280A
KR20200071280A KR1020180158828A KR20180158828A KR20200071280A KR 20200071280 A KR20200071280 A KR 20200071280A KR 1020180158828 A KR1020180158828 A KR 1020180158828A KR 20180158828 A KR20180158828 A KR 20180158828A KR 20200071280 A KR20200071280 A KR 20200071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elastic
lamp assembly
vibr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6865B1 (ko
Inventor
신명희
이소민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8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865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60Q1/0683Adjustable by rotation of a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1Mechanical transmissions for actuators
    • B60Y2400/412Screw-nut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3Mount clips, snap-fit, e.g. quick fit with elastic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운행 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램프 하우징; 상기 램프 하우징에 수용되도록 위치하는 램프 어셈블리; 및 상기 램프 어셈블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램프 어셈블리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진동 감쇠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감쇠부는, 상기 램프 어셈블리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램프 어셈블리의 진동 발생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복수의 탄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운행 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램프를 구비하고 있으며,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하여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조명을 목적으로 하며,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및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신호를 목적으로 한다.
이 중에서 헤드 램프는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여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헤드 램프는 주행 환경에 따라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 등과 같은 다양한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광을 조사하게 되며, 차량 운행 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인해 헤드 램프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이 설정된 방향과 다르게 변경되는 경우 충분한 시야 확보가 어렵거나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헤드 램프의 광 조사 방향을 설정된 방향으로 조정하는 에이밍의 수행이 요구된다.
에이밍은 운전자가 직접 수동으로 에이밍 스크류를 조작하여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하거나 액추에이터 등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에이밍 스크류를 조작하여 자동으로 광의 조사 방향이 변경되도록 하여 수행된다.
이때, 헤드 램프는 원활한 에이밍 수행을 위하여 에이밍 스크류가 결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경우 에이밍 스크류가 결합되는 부분에 비하여 나머지 부분은 상대적으로 차량 운행 시 발생되는 진동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주변 구성 요소들과 충돌하여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차량 운행 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90939호(2015.02.06.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활한 에이밍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차량 운행 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램프 하우징; 상기 램프 하우징에 수용되도록 위치하는 램프 어셈블리; 및 상기 램프 어셈블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램프 어셈블리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진동 감쇠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감쇠부는, 상기 램프 어셈블리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램프 어셈블리의 진동 발생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복수의 탄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원활한 에이밍 수행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차량 운행 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진동으로 인한 파손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외관이 도시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어셈블리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어셈블리 및 진동 감쇠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감쇠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감쇠부가 도시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감쇠부 및 수용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감쇠부 및 수용부가 도시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변형되는 제1 탄성부가 도시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변형되는 제2 탄성부가 도시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 각각의 단부와 고정부 사이의 이격되는 간격이 도시된 개략도.
도 14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감쇠부가 도시된 측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외관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램프 하우징(100) 및 램프 하우징(100)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는 커버 렌즈(200)를 포함할 수 있고, 램프 하우징(100) 및 커버 렌즈(200)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한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광이 발생되는 램프 어셈블리(30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차량이 야간이나 터널 등과 같은 어두운 장소를 주행할 때 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차량 전방 양측에 설치되는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헤드 램프 뿐만 아니라,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포그 램프, 포지션 램프, 백업 램프, 주간 주행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램프 어셈블리(300)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한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광이 발생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어셈블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어셈블리(300)는 램프 유닛(310) 및 브라켓(320)을 포함할 수 있다.
램프 유닛(310)은 광원을 비롯하여 리플렉터 등과 같은 각종 광학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램프 유닛(310)에 포함되는 광학 요소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빔 패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광학 요소는 광의 속성(예를 들어, 광의 밝기나 광의 경로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성 요소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램프 유닛(310)에 포함되는 각 광학 요소는 단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광학 요소가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램프 유닛(310)은 브라켓(320)에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브라켓(320)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로부터 광이 설정된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램프 유닛(310)의 광 조사 방향을 조정하는 에이밍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에이밍 지점이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에이밍 지점에는 에이밍 스크류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에이밍 기구(321)가 구비될 수 있다.
브라켓(32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이밍 기구(321)는 드라이버 등과 같은 작업 도구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거나 액추에이터 등에 의해 자동으로 조작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에이밍 기구(321)로서 에이밍 스크류가 사용되는 경우 에이밍 스크류의 회전 방향에 따라 램프 어셈블리(300)가 기준 지점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어 광 조사 방향이 조정될 수 있다.
램프 어셈블리(300)는 원활한 에이밍 수행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에이밍 기구(321)가 구비되는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유동 가능하게 위치하게 되며, 이 경우 차량 운행 중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하여 램프 어셈블리(300)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램프 어셈블리(300)가 램프 하우징(100)이나 커버 렌즈(200)에 충돌하여 파손될 가능성이 있고, 램프 어셈블리(300)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이 설정된 방향을 벗어나게 되어 비정상적인 빔 패턴이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에이밍 기구(321)는 램프 하우징(100)을 관통하여 브라켓(320)에 결합되기 때문에 램프 어셈블리(3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에이밍 기구(321)가 결합된 부분은 진동이 감소될 수 있으나, 나머지 부분은 원활한 에이밍 수행을 위하여 유동 가능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차량 운행 중 발생되는 진동의 영향을 크게 받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램프 어셈블리(300)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켜 램프 어셈블리(300)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램프 어셈블리(300)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램프 어셈블리(300)가 정해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비정상적인 빔 패턴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진동 감쇠부(400)를 통해 램프 어셈블리(300)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키고 램프 어셈블리(300)가 정해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어셈블리 및 진동 감쇠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감쇠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감쇠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감쇠부(400)는 램프 어셈블리(3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진동 감쇠부(400)가 브라켓(320)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동 감쇠부(400)는 램프 어셈블리(300)에 포함되는 다른 구성 요소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램프 어셈블리(300)의 진동을 감쇠시킬 필요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진동 감쇠부(400)는 고정부(410) 및 복수의 탄성부(420, 4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410)는 램프 어셈블리(300)의 진동 발생 시 진동 감쇠부(400)가 램프 어셈블리(300)와 일체로 움직이도록 램프 어셈블리(3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램프 어셈블리(300)는 고정부(410)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30)는 고정부(410)를 향하여 소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330)는 고정부(410)의 삽입 홈(410a)에 삽입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결합부(330)는 고정부(410)에 형성되는 결합 홀(410b)을 통과하는 스크류 등과 같은 결합 부재(330b)가 삽입되는 결합 홈(330a)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결합 부재(330b)가 결합 홀(410b)을 통해 결합 홈(330a)에 삽입되어 고정부(410)가 램프 어셈블리(3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결합 부재(330b)가 고정부(410)를 통해 결합부(330)와 결합되어 고정부(410)가 램프 어셈블리(300)에 고정 설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부(410)는 나사 결합, 열융착, 스냅핏 등 다양한 방법으로 램프 어셈블리(3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410)는 결합부(330)의 고정 리브(331)가 삽입되는 고정 홈(410c)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 리브(331) 및 고정 홈(410c)는 진동 감쇠부(400)의 오조립 방지를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복수의 탄성부(420, 430)는 단부가 램프 어셈블리(300)의 진동 발생 방향으로 고정부(41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진동 감쇠부(400)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램프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수용부(110)에 수용되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수용부(110)는 복수의 탄성부(420, 430)의 각각의 단부와 접촉되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복수의 격벽(111, 1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 운행 시 주로 상하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되기 때문에 복수의 탄성부(420, 430) 각각의 단부가 고정부(410)의 상측 및 하측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램프 어셈블리(300)의 진동 발생 방향에 따라 복수의 탄성부(420, 430)의 단부가 위치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탄성부(420, 430) 각각을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라 칭하기로 하며, 제1 탄성부(420)의 단부는 고정부(410)의 상측에 위치하고, 제2 탄성부(430)의 단부는 고정부(410)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격벽(111, 112)을 각각 제1 격벽(111) 및 제2 격벽(112)이라 칭하기로 하며, 제1 격벽(111)은 제1 탄성부(4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1 탄성부(420)의 단부와 접촉되고, 제2 격벽(112)은 제2 탄성부(4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2 탄성부(430)의 단부와 접촉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 각각은 제1 연장부(421, 431) 및 제2 연장부(422, 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420)의 제1 연장부(421)는 일단이 고정부(410)에 연결되고, 타단이 램프 어셈블리(300)의 진동 발생 방향과 나란하고 고정부(410)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C)과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고, 제2 연장부(422)는 제1 연장부(421)의 타단에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이 중심선(C)과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탄성부(420)의 단부가 고정부(410)의 상측에 위치한다는 것은 제2 연장부(422)의 타단이 고정부(410)의 상측에 위치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2 탄성부(420)는 제1 연장부(431)는 일단이 고정부(4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중심선(C)과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고, 제2 연장부(432)는 제1 연장부(431)의 타단에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이 중심선(C)과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 탄성부(430)의 단부가 고정부(410)의 하측에 위치한다는 것은 제2 연장부(432)의 타단이 고정부(410)의 하측에 위치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 각각은 제1 연장부(421, 431)가 제2 연장부(422, 432)에 비하여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램프 어셈블리(300)의 진동 발생 시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가 보다 용이하게 탄성 변형되도록 하여 램프 어셈블리(300)의 진동이 감쇠되도록 하는 동시에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는 램프 어셈블리(300)에 상하 방향으로 진동 발생 시,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고정부(410)와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면서 램프 어셈블리(300)에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면서도 램프 어셈블리(300)가 정해진 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탄성부(420)는 램프 어셈블리(300)의 진동 발생 시, 도 11과 같이 고정부(410)의 상측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단부가 고정부(410)와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제1 탄성부(420)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제1 탄성부(420)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전술한 도 10와 같이 램프 어셈블리(300)가 이전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또한, 제2 탄성부(430)는 램프 어셈블리(300)의 진동 발생 시, 도 12와 같이 고정부(410)의 하측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단부가 고정부(410)와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제2 탄성부(430)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제2 탄성부(430)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전술한 도 10과 같이 램프 어셈블리(300)가 이전 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도 11 및 도 12의 과정은 램프 어셈블리(300)의 진동이 사라질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램프 어셈블리(300)의 진동을 감쇠시키게 되며, 램프 어셈블리(300)의 진동이 사라진 경우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램프 어셈블리(300)가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램프 어셈블리(300)가 정해진 위치를 유지한다는 것은 램프 어셈블리(300)에 결합되는 고정부(410)가 정해진 위치를 유지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전술한 진동 감쇠부(400)는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가 중심선(C)에 수직한 기준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헤드 램프로 사용되는 경우, 진동 감쇠부(400)가 좌측 헤드 램프와 우측 헤드 램프에 공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 각각의 단부가 고정부(410)와 이격되는 간격은 적어도 하나의 에이밍 지점과 진동 감쇠부(400)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에이밍 지점과 거리가 먼 지점일수록 상대적으로 진동의 크기, 즉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 폭이 더 커지기 때문에 진동 감쇠부(400)의 위치가 적어도 하나의 에이밍 지점과 멀어질수록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 각각의 단부가 고정부(410)와 이격되는 간격이 더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이 진동 감쇠부(400)가 적어도 하나의 에이밍 지점으로부터 제1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 각각의 단부가 고정부(410)와 이격되는 간격을 a라 가정하면, 진동 감쇠부(400)가 적어도 하나의 에이밍 지점으로부터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 각각의 단부가 고정부(410)와 이격되는 간격이 a보다 큰 b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진동 감쇠부(400)가 적어도 하나의 에이밍 지점으로부터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 각각의 단부가 고정부(410)와 이격되는 간격이 b보다 작은 a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 각각의 단부가 고정부(410)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가 고정부(410)와 충돌하여 램프 어셈블리(300)의 진동이 충분히 감쇠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때,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 각각의 단부가 고정부(410)와 이격되는 간격이 변경되는 경우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 각각의 단부와 접촉되는 제1 격벽(111) 및 제2 격벽(112)이 이격되는 간격도 함께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탄성부(420)의 제1 연장부(421)와 제2 탄성부(430)의 제1 연장부(431)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진동 감쇠부(400)가 전체적으로 대략 "S"자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탄성부(420)의 제1 연장부(421)와 제2 탄성부(430)의 제1 연장부(431)는 도 14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도 15와 같이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 각각의 일 지점이 연결부(440)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진동 감쇠부(400)의 형상은 전술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의 단부가 램프 어셈블리(300)의 진동 방향으로 고정부(410)의 양측에 위치하는 조건 하에서 요구되는 탄성력이나 강성 등에 따라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진동 감쇠부(400)가 2개의 탄성부(420, 430)를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램프 어셈블리(300)의 진동 발생 방향이나 진동의 크기 등에 따라 탄성부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정부(41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단일의 탄성부의 단부가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동의 크기에 따라 고정부(41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2개 이상의 탄성부의 단부가 위치할 수도 있고, 진동이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으로 발생되는 경우 각 방향에 따라 탄성부의 단부가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고정부(410)가 브라켓(320)의 측방에 구비되고,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 각각이 고정부(410)로부터 전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고정부(410)의 중심에 결합 부재(330b)가 삽입되는 결합 홀(410b)이 형성되는 경우라도 구조적인 간섭 없이 진동 감쇠부(400)가 브라켓(320)의 측방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진동 감쇠부(400)가 구비되는 위치에 따라 고정부(410)를 브라켓(3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과 같이 결합부(330)가 브라켓(320)의 후방에 형성되어 진동 감쇠부(400)가 브라켓(320)의 후방에 구비되고,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 각각이 전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구조적인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정부(410)에 결합 홀(410b)을 형성하는 대신 고정부(410)의 일측에 진동 감쇠부(400)가 구비되는 방향에 따른 별도의 플렌지부(450)를 형성하고, 플렌지부(450)에 결합 홀(451)을 형성하여 결합 부재(330b)가 결합부(330)에 형성되는 결합 홈(330a)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16에서 제1 탄성부(420) 및 제2 탄성부(430) 중 적어도 하나와 브라켓(320) 사이에 구조적인 간섭이 발생되는 경우 브라켓(320)의 일부 형상이 변형될 수도 있다.
플렌지부(450)가 형성되는 위치는 진동 감쇠부(400)가 구비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플렌지부(450)는 고정부(410)가 고정되는 브라켓(320)의 형상 등에 따라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고, 플렌지부(450)가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그 각각이 형성되는 방향은 브라켓(320)의 형상 등에 따라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램프 하우징 110: 수용부
111: 제1 격벽 112: 제2 격벽
200: 커버 렌즈 300: 램프 어셈블리
310: 램프 유닛 320: 브라켓
321: 에이밍 기구 330: 결합부
330a: 결합 홈 330b: 결합 부재
331: 고정 리브 400: 진동 감쇠부
410: 고정부 410a: 삽입 홈
410b: 결합 홀 410c: 고정 홈
420: 제1 탄성부 421: 제1 연장부
422: 제2 연장부 430: 제2 탄성부
431: 제1 연장부 432: 제2 연장부
440: 연결부 450: 플렌지부
451: 결합 홀

Claims (13)

  1. 램프 하우징;
    상기 램프 하우징에 수용되도록 위치하는 램프 어셈블리; 및
    상기 램프 어셈블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램프 어셈블리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진동 감쇠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감쇠부는,
    상기 램프 어셈블리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램프 어셈블리의 진동 발생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복수의 탄성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어셈블리는,
    상기 고정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 홈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가 통과되는 결합 홀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상기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는 고정 리브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고정 리브가 삽입되는 고정 홈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부 각각의 단부는,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상기 고정부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어셈블리는,
    램프 유닛; 및
    상기 램프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램프 유닛의 에이밍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에이밍 지점이 형성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 감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이밍 지점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복수의 탄성부 각각의 단부와 상기 고정부가 이격되는 거리가 증가하는 차량용 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쇠부는,
    상기 브라켓에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부 각각은,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부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진동 발생 방향에 나란한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이 상기 중심선과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타단이 상기 램프 어셈블리의 진동 발생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의 양측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에 비하여 작은 폭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부는,
    상기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2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고정부의 중심으로 지나고 상기 진동 발생 방향에 수직한 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하우징은,
    상기 진동 감쇠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복수의 탄성부 각각의 단부와 접촉되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격벽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감쇠부는,
    상기 램프 어셈블리의 진동 발생 시, 상기 복수의 탄성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상기 고정부와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되어 상기 진동을 감쇠시키고, 상기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램프 어셈블리가 이전 위치로 복귀되는 차량용 램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탄성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80158828A 2018-12-11 2018-12-11 차량용 램프 KR102166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828A KR102166865B1 (ko) 2018-12-11 2018-12-11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828A KR102166865B1 (ko) 2018-12-11 2018-12-11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280A true KR20200071280A (ko) 2020-06-19
KR102166865B1 KR102166865B1 (ko) 2020-10-16

Family

ID=71137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828A KR102166865B1 (ko) 2018-12-11 2018-12-11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8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5447A (ko) * 1999-10-21 2007-06-22 피셔 앤 페이켈 어플라이언스 리미티드 리니어 압축기
JP5350023B2 (ja) * 2009-03-04 2013-11-2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KR101490939B1 (ko) 2013-08-07 2015-02-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에이밍 장치
KR20160003261A (ko) * 2013-06-26 2016-01-08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헤드램프 장착 브라켓 에너지 흡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5447A (ko) * 1999-10-21 2007-06-22 피셔 앤 페이켈 어플라이언스 리미티드 리니어 압축기
JP5350023B2 (ja) * 2009-03-04 2013-11-2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KR20160003261A (ko) * 2013-06-26 2016-01-08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헤드램프 장착 브라켓 에너지 흡수기
KR101490939B1 (ko) 2013-08-07 2015-02-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에이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865B1 (ko) 202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0601B1 (en) Light emitting diode vehicle headlight
JP2018037274A (ja) 車輌用灯具
DE602004016421D1 (de) Kfz-Scheinwerfer mit einem Spiegel und einem optischen Umlenkelement
KR200494435Y1 (ko) 차량용 램프
KR102166865B1 (ko) 차량용 램프
KR101491343B1 (ko) 헤드램프 장치
KR101959798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
KR101968093B1 (ko) 차량용 램프
KR20210001525U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KR102673137B1 (ko) 차량용 램프
KR20160148354A (ko) 차량용 램프
US20150098236A1 (en) Optical structure for headlight
KR20180056952A (ko) 차량용 램프
KR200480824Y1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KR102396900B1 (ko)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KR101968094B1 (ko) 차량용 램프
KR102384547B1 (ko) 차량용 램프
KR101731779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조립 방법
KR200494307Y1 (ko) 차량용 램프
US11614213B2 (en) Projection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headlight
WO2023053907A1 (ja) 車輌用灯具
KR200493836Y1 (ko) 차량용 램프
WO2023026865A1 (ja) 車輌用灯具
KR200495392Y1 (ko) 차량용 램프
KR20180075963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