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266A -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된 기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된 기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266A
KR20200068266A KR1020180155028A KR20180155028A KR20200068266A KR 20200068266 A KR20200068266 A KR 20200068266A KR 1020180155028 A KR1020180155028 A KR 1020180155028A KR 20180155028 A KR20180155028 A KR 20180155028A KR 20200068266 A KR20200068266 A KR 20200068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roller
protective film
suction
transf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7556B1 (ko
Inventor
조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이치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이치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이치피테크
Priority to KR1020180155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5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68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07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에 보호필름을 부착할 때에 기판에 묻어있는 이물질이 제거된 후 보호필름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한 기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상호 전후로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이송롤러; 상기 이송롤러의 상측에 설치되고, 보호필름 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 지지대; 상기 이송롤러에 놓인 기판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롤러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보호필름 롤에서 풀린 보호필름을 상기 기판의 상면에 부착시키게 되는 부착롤러; 상기 이송롤러에 놓인 기판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롤러의 상측에 설치되고, 보호필름의 부착 시 기판의 하면을 지지하게 되는 지지롤러; 및 상기 부착롤러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송롤러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부착롤러와 상기 지지롤러의 사이로 진입하게 되는 상기 기판의 상면에서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게 되는 석션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된 기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Protective film attaching with foreign substance removal function}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된 기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에 보호필름을 부착할 때에 기판에 묻어있는 이물질이 제거된 후 보호필름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한 기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판은 전기 회로가 편성되어 있는 판으로서, 전기, 전자 제품의 동작, 성능, 수명 및 신뢰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이다.
이러한 기판은 제조 과정이나 물류 과정에서 오염이나 손상의 방지를 위해 보호필름을 부착하고, 사용 시 보호필름을 제거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보호필름을 기판에 부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3703호(2017.06.28. 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보호필름 부착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패널을 기립시킨 상태에서 수평이동시키는 패널 이송부; 상기 패널 이송부에 패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패널 로딩부; 상기 패널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패널의 양면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보호필름 부착부; 상기 보호필름 부착부와 상기 패널 로딩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패널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패널의 양면을 세정하는 초음파 세척부; 상기 보호필름 부착부 후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보호필름 부착부에 의하여 보호필름이 부착된 패널을 이웃한 패널과 분리하는 절단부; 상기 패널 이송부의 말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절단부에 의하여 분리된 패널을 배출하는 패널 언로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부는, 보호필름이 양면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패널 언로딩부 방향으로 이송되는 선행 패널을 파지하는 제1 패널 파지부; 상기 선행 패널에 보호필름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로 상기 패널 언로딩부 방향으로 이송되는 후행 패널을 파지하는 제2 패널 파지부; 상기 제1 패널 파지부와 제2 패널 파지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선행 패널과 후행 패널 사이의 연결 부분인 보호필름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절단하는 절단 블레이드; 상기 절단 블레이드를 구동시키는 블레이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패널이 기립된 상태에서 패널의 양면에 동시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되, 보호필름 부착과정에서 패널 표면이나 보호필름의 부착면이 파티클에 의하여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은 패널을 기립시킨 상태로 이송하는 구조이므로 일측 면에만 보호필름을 부착시키고자 할 때에 이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못하며, 파티클 제거를 위하여 초음파 세척기 등이 구비되어야 함으로써 제작비가 비싼 문제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3703호(2017.06.28.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되되 이를 위한 장치가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한 기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상호 전후로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이송롤러; 상기 이송롤러의 상측에 설치되고, 보호필름 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 지지대; 상기 이송롤러에 놓인 기판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롤러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보호필름 롤에서 풀린 보호필름을 상기 기판의 상면에 부착시키게 되는 부착롤러; 상기 이송롤러에 놓인 기판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롤러의 상측에 설치되고, 보호필름의 부착 시 기판의 하면을 지지하게 되는 지지롤러; 및 상기 부착롤러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송롤러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부착롤러와 상기 지지롤러의 사이로 진입하게 되는 상기 기판의 상면에서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게 되는 석션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석션유닛은, 상기 부착롤러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송롤러의 상측에 설치된 것으로서, 기다란 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을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 그리고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도록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흡입구를 갖는 석션챔버; 상기 석션챔버와 연결된 덕트; 및 상기 덕트와 연결되고, 상기 석션챔버의 공간부에 진공압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진공발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덕트는, 각각의 일단이 상기 석션챔버의 양측에 각각 연결된 두 분기덕트; 및 상기 두 분기덕트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두 분기연결부, 그리고 상기 진공발생부와 연결되는 메인연결부를 갖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석션챔버의 내부에는 상기 공간부를 좌우로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좌측 공간부와 우측 공간부에는 상기 각 공간부의 하부 중앙에서부터 상기 각 분기덕트와의 연결부위까지 연장된 판 형상의 가이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진공발생부는 진공청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의 메인연결부는 상기 진공청소기의 흡입관이 탈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기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는 석션유닛에 의하여 기판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 후 기판에 보호필름을 부착할 수 있으며,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가 저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의 측면 구성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에서 석션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에서 석션유닛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석션유닛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의 측면 구성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는, 크게 프레임(100), 이송롤러(200), 롤 지지대(300), 부착롤러(400), 지지롤러(500) 및 석션유닛(600)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00)은 직육면체의 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00)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조립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프레임(100)의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이송롤러(200)는 다수가 구비되어 프레임(100)의 상부에 상호 전후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즉, 각 이송롤러(200)는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게 설치되어 기판(20)이 프레임(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한다.
각 이송롤러(200)는 자유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롤 지지대(300)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송롤러(200)의 상측에 설치된다.
롤 지지대(3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프레임(100)의 양측 상부에는 상하로 기다란 형상의 두 고정플레이트(700)가 설치된다. 롤 지지대(300)는 상기 두 고정플레이트(70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롤 지지대(300)에는 보호필름 롤(10)이 끼워진다. 결국, 롤 지지대(300)는 보호필름 롤(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부착롤러(400)는 이송롤러(200)에 놓인 기판(2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이송롤러(200)의 상측에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롤러(400)는 상기 두 고정플레이트(700)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지지롤러(500)는 이송롤러(200)에 놓인 기판(20)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부착롤러(400)의 하측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지지롤러(500)는 각 이송롤러(200)와 함께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부착롤러(400)와 지지롤러(500)의 사이로 기판(20) 및 보호필름 롤(10)에서 풀린 보호필름이 통과하게 된다. 이때 보호필름 롤(10)에서 풀린 보호필름이 부착롤러(400)의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두 고정플레이트(700)에는 보호필름의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800)가 설치될 수 있다.
결국, 부착롤러(400)는 보호필름 롤(10)에서 풀린 보호필름을 부착롤러(400)와 지지롤러(500)를 통과하는 기판(20)의 상면에 부착시키게 되고, 지지롤러(500)는 부착롤러(400)에 의해 기판(20)에 보호필름이 부착될 때에 기판(20)의 하면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부착롤러(400)는 기판(20)의 두께에 따라 지지롤러(500)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롤러(400)의 상하 이동수단은 스크루나 기어를 핸들과 조합한 수동방식 또는 스크루나 기어를 모터와 조합한 자동방식을 선택하여 적용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롤러(500)에는 구동부(900)가 연결된다.
상기 구동부(900)는 구동모터(910),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910)와 지지롤러(500)를 연결하는 체인이나 벨트 등의 전동장치(920)로 이루어져 지지롤러(5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지지롤러(500)가 구동부(900)가 의해 회전됨에 따라 부착롤러(400)와 지지롤러(500)의 사이로 진입한 기판(20)이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보호필름과 부착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더 참조하여 석션유닛(600)을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석션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석션유닛의 정면도이다.
석션유닛(600)은 부착롤러(400)와 지지롤러(500)의 사이로 진입하게 되는 기판(20)의 상면에서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롤러(40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이송롤러(200)의 상측에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션유닛(600)은 석션챔버(610), 덕트(620) 및 진공발생부(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석션챔버(610)는 부착롤러(40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이송롤러(200)의 상측에 설치된 것으로서, 기다란 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프레임(100)을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석션챔버(610)의 내부에는 공간부(61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공간부(611)와 연결되는 흡입구(612)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612)는 석션챔버(6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하나의 슬롯(slot)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흡입구(612)는 석션챔버(6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원형 구멍 또는 장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진공발생부(630)는 석션챔버(610)의 공간부(611)에 진공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덕트(620)에 의해 석션챔버(610)와 연결된다.
덕트(620)는 석션챔버(610)와 진공발생부(63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각의 일단이 석션챔버(6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된 두 분기덕트(621) 및 상기 두 분기덕트(621)와 진공발생부(63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6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덕트(620)는 상기 두 분기덕트(621)가 석션챔버(6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석션챔버(610)의 공간부(611)에 비교적 고른 진공압력이 발생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연결부재(622)는 "T"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두 분기덕트(621)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두 분기연결부(622a), 그리고 상기 진공발생부(630)와 연결되는 메인연결부(622b)를 갖는다. 이때 상기 메인연결부(622b)는 산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관이 탈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의하면 공지의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진공발생부(630)를 용이하게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석션챔버(610)의 내부에는 공간부(611)를 좌우로 구획하는 격벽(613)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613)에 의해 구획된 좌측 공간부(611a)와 우측 공간부(611b)에는 상기 각 공간부(611a)(611b)의 하부 중앙에서부터 상기 각 분기덕트(621)와의 연결부위까지 연장된 판 형상의 가이드(6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614)의 상단부는 분기덕트(621)의 일단에서 다소 이격되되 대략 분기덕트(621)의 중심선(CL)이 위치한 높이까지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격벽(613)에 의하면, 석션챔버(610)의 공간부(611)가 좌우로 구획됨으로써 흡입구(612)를 통해 좌측 공간부(611a)와 우측 공간부(611b)로 흡입된 이물질이 각 공간부(611a)(611b)와 연결된 두 분기덕트(621)로 각각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614)에 의하면, 흡입구(6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흡입력이 고루 작용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가이드(614)를 설치함으로써 흡입구(612)에서 분기덕트(621)와 가까운 곳에서 작용하는 흡입력과 분기덕트(621)와 먼 곳에서 작용하는 흡입력의 차이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석션유닛에 의하면, 상기 석션유닛(600)은 상기 석션챔버(610)의 하부 중앙에 설치된 분사노즐(6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640)은 별도의 컴프레서(compressor)와 연결되어 기판(20)의 상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상기 분사노즐(640)이 포함된 석션유닛(600)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흡입력이 약한 흡입구(612)의 중앙 부위에 분사노즐(640)이 설치되어 압축공기를 분사하게 됨으로써 기판(20)의 상면 중앙의 이물질이 압축공기에 의해 비산된 후 흡입구(612)를 통해 흡입되어 원활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 균등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프레임 200 : 이송롤러
300 : 롤 지지대 400 : 부착롤러
500 : 지지롤러 600 : 석션유닛
610 : 석션챔버 611 : 공간부
612 : 흡입구 613 : 격벽
614 : 가이드 620 : 덕트
621 : 분기덕트 622 : 연결부재
630 : 진공발생부 640 : 분사노즐
700 : 고정플레이트 800 : 가이드롤러
900 : 구동부 910 : 구동모터
920 : 전동장치

Claims (5)

  1.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상호 전후로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이송롤러(200);
    상기 이송롤러(200)의 상측에 설치되고, 보호필름 롤(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 지지대(300);
    상기 이송롤러(200)에 놓인 기판(2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롤러(200)의 상측에 설치되고, 보호필름 롤(10)에서 풀린 보호필름을 기판(20)의 상면에 부착시키게 되는 부착롤러(400);
    상기 이송롤러(200)에 놓인 기판(20)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부착롤러(400)의 하측에 설치되고, 보호필름의 부착 시 기판(20)의 하면을 지지하게 되는 지지롤러(500); 및
    상기 부착롤러(40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송롤러(20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부착롤러(400)와 상기 지지롤러(500)의 사이로 진입하게 되는 상기 기판(20)의 상면에서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게 되는 석션유닛(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된 기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유닛(600)은
    상기 부착롤러(40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이송롤러(200)의 상측에 설치된 것으로서, 기다란 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100)을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611), 그리고 상기 공간부(611)와 연결되도록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흡입구(612)를 갖는 석션챔버(610);
    상기 석션챔버(610)와 연결된 덕트(620); 및
    상기 덕트(620)와 연결되고, 상기 석션챔버(610)의 공간부(611)에 진공압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진공발생부(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된 기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620)는
    각각의 일단이 상기 석션챔버(6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된 두 분기덕트(621); 및
    상기 두 분기덕트(621)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두 분기연결부(622a), 그리고 상기 진공발생부(630)와 연결되는 메인연결부(622b)를 갖는 연결부재(6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된 기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챔버(610)의 내부에는 상기 공간부(611)를 좌우로 구획하는 격벽(613)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613)에 의해 구획된 좌측 공간부(611a)와 우측 공간부(611b)에는 상기 각 공간부(611a)(611b)의 하부 중앙에서부터 상기 각 분기덕트(621)와의 연결부위까지 연장된 판 형상의 가이드(6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된 기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발생부(630)는 진공청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622)의 메인연결부(622b)는 상기 진공청소기의 흡입관이 탈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된 기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
KR1020180155028A 2018-12-05 2018-12-05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된 기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 KR102157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028A KR102157556B1 (ko) 2018-12-05 2018-12-05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된 기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028A KR102157556B1 (ko) 2018-12-05 2018-12-05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된 기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266A true KR20200068266A (ko) 2020-06-15
KR102157556B1 KR102157556B1 (ko) 2020-09-18

Family

ID=71081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028A KR102157556B1 (ko) 2018-12-05 2018-12-05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된 기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5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781B1 (ko) * 2020-05-12 2021-10-20 육경식 건식 클리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028B1 (ko) * 2016-12-19 2017-04-06 김기권 강판 보호필름 부착장치
KR101753703B1 (ko) 2016-01-08 2017-07-04 (주) 엠에이케이 보호필름 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703B1 (ko) 2016-01-08 2017-07-04 (주) 엠에이케이 보호필름 부착장치
KR101724028B1 (ko) * 2016-12-19 2017-04-06 김기권 강판 보호필름 부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781B1 (ko) * 2020-05-12 2021-10-20 육경식 건식 클리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556B1 (ko) 2020-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787B1 (ko) 기판 반송 장치
US20090223015A1 (en) Automatic pallet cleaning apparatus
JP6706716B2 (ja) デジタル印刷装置
SE515206C2 (sv) Sätt vid behandling av gipsskivor eller -plattor
JP5226046B2 (ja) 塗布装置及びノズルのメンテナンス方法
JP2009148699A (ja) 基板処理装置
KR200475663Y1 (ko) 샌드 블라스트 장치
KR20200068266A (ko)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된 기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
JP4117135B2 (ja) プリント回路板のスプレー処理装置
WO2006114982A1 (ja) 乾燥装置
KR100764683B1 (ko) 기판처리장치
KR20190011890A (ko) 에어 나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분진 제거 장치
KR20190012584A (ko) 에어 나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분진 제거 장치
WO2005049238A1 (ja) ダスト除去装置及びダスト除去方法
JP2006019525A (ja) 基板処理装置
EP3362388B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handling paper elements
CN210022937U (zh) 毛刷式电路板清洁机
JP2014114085A (ja) 基板浮上装置および基板浮上装置の洗浄方法
JP4256510B2 (ja) サンドブラスト加工における被加工物の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
CN113412535A (zh) 悬浮输送装置
JP2004331395A5 (ko)
JP4417180B2 (ja) 基板処理装置
KR20160051470A (ko) 분진 제거장치
KR102300633B1 (ko) 레일 청소 장치
KR101857770B1 (ko) 기판 코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