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920A - 생선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생선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920A
KR20200065920A KR1020180152851A KR20180152851A KR20200065920A KR 20200065920 A KR20200065920 A KR 20200065920A KR 1020180152851 A KR1020180152851 A KR 1020180152851A KR 20180152851 A KR20180152851 A KR 20180152851A KR 20200065920 A KR20200065920 A KR 20200065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dule
conveyor
saw blade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9190B1 (ko
Inventor
강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Priority to KR1020180152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19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4Beheading, eviscerating, or cleaning fish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4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n endless band-knif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65G15/14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the load being conveyed between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1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 B65G2812/016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 B65G2812/018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between conveyor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19Supporting or guiding frames
    • B65G2812/02029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Abstract

생선절단장치가 제공된다. 생선절단장치는,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형성된 프레임모듈, 프레임모듈에 결합되되 일단부는 프레임모듈 일 측의 제1프레임과 연결되며, 타단부는 프레임모듈 타 측의 제2프레임 외측으로 통과되어 프레임모듈로부터 캔틸레버 형태로 돌출된 컨베이어 모듈, 프레임모듈의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컨베이어 모듈을 관통하여 회전하는 무한궤도 형태의 띠톱날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톱날모듈, 및 제2프레임에 결합되어 제2프레임과 컨베이어 모듈을 연결시키되, 착탈이 가능하여 분리되면 제2프레임과 컨베이어 모듈의 사이를 개방시키는 가동식 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생선절단장치{Apparatus for cutting fish}
본 발명은 생선을 절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띠톱날을 이용하여 생선을 절단하는 생선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선을 공급하고 유통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가공이 필수적이다. 또한 생선을 대량으로 취급하거나 소비하는 곳에서도 적합한 가공이 수반되면 작업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생선 가공은 생선을 부위별로 절단하거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작업을 포함하며 이는 수작업으로 진행하거나 기계를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칼날이 설치된 절단기계 등을 이용하여 생선을 보다 편리하게 가공할 수 있다. 컨베이어 등의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생선을 이동시키면서 칼날을 그 주변에 배치하여 특정 부위를 제거하거나 분할하는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7366호 등에 이러한 장치의 예가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장치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생선 가공이 효율적으로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와 칼날의 간섭으로 인해 특정 위치에서만 제한적으로 절단 작업이 가능하거나 같은 이유로 칼날이 생선을 깊게 자르지 못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별한 대안이 제시되지 못하여 종래의 문제가 답습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67366호, (2016. 10. 18)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띠톱날을 이용하여 생선을 절단하는 생선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생선의 가공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생선절단장치는,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프레임모듈; 상기 프레임모듈에 결합되되,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모듈 일 측의 제1프레임과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모듈 타 측의 제2프레임 외측으로 통과되어 상기 프레임모듈로부터 캔틸레버 형태로 돌출된 컨베이어 모듈; 상기 프레임모듈의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모듈을 관통하여 회전하는 무한궤도 형태의 띠톱날을 포함하여 상기 띠톱날로 생선을 절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톱날모듈; 및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컨베이어 모듈을 연결시키되, 착탈이 가능하여 분리되면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컨베이어 모듈의 사이를 개방시키는 가동식 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 모듈은, 내부에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와, 서로 이격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사이를 따라서 일직선 상으로 개방되어 상기 띠톱날을 통과시키는 제1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띠톱날은, 상기 제1공간, 및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컨베이어 모듈의 사이로 연통되는 상기 컨베이어 모듈 외측의 제2공간을 통과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띠톱날은 무한궤도 상태로 상기 톱날모듈에서 분리되어 상기 제1공간 및 상기 제2공간을 따라 상기 컨베이어 모듈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을 감싸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연결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의 회전을 저지하는 지지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지지홀더로부터 상기 컨베이어 모듈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컨베이어 모듈과 교차되며 상기 컨베이어 모듈을 받쳐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홀더는 상기 연결프레임이 통과되는 관통공을 포함하고 외면에 이음새가 없이 일체로 형성된 통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제1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되 상기 띠톱날이 통과하는 방향으로는 서로 밀착된 복수 개의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로 밀착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쌍 사이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각각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하는 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롤러를 움직일 수 있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암, 및 상기 지지암의 사이에 연결되어 탄성력으로 상기 지지암의 거리를 조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장력조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암의 쌍은 각각 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되 일 측에 서로 맞물리는 기어치가 형성되어 움직임이 동기화 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모듈에 결합되며 상기 제1공간 외측의 상기 컨베이어 벨트 측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며 생선을 절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형칼날이 포함된 칼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톱날을 이용한 절단구조로 보다 효과적으로 생선을 절단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구조와 절단구조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간섭도 배제하여 다양한 위치에서 매우 편리하고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를 띠톱날을 이용한 방식으로 구현하되 칼날에 비해 탈부착이 어려운 띠톱날도 매우 편리하게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 톱날을 이용한 매우 효과적인 절단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유지 보수나 톱날의 교환사용 등도 매우 용이한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선절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생선절단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생선절단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생선절단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생선절단장치의 연결프레임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1의 생선절단장치의 띠톱날의 해체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9는 도 1의 생선절단장치의 장력조절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1의 생선절단장치의 생선 절단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생선절단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생선절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생선절단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생선절단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생선절단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생선절단장치의 연결프레임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생선절단장치(1)는 프레임모듈(10)에 컨베이어 모듈(20)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컨베이어 모듈(20)과 교차하여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톱날모듈(30)을 포함한다. 톱날모듈(30)은 특히 컨베이어 모듈(20)을 관통하여 회전하는 무한궤도 형태의 띠톱날(301)을 포함하고 있어 띠톱날(301)을 구동시켜 컨베이어 모듈(20) 내부의 생선을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띠톱날(301)은 통상의 원형 칼날과는 달리 장력에 의해 톱날면[톱날이 형성된 폭방향 말단]이 수직으로 유지되므로 컨베이어 모듈(20) 내부에서 생선의 이동방향과 교차하여 통과되며 생선의 몸통을 뼈까지 효과적으로 잘라낼 수 있다. 또한 폭이 좁은 띠톱날(301)로 생선과 접촉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절단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켜 보다 원활한 작업이 가능하다.
띠톱날(301)은 무한궤도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통상의 칼날에 비해 설치 및 해체에는 제약이 있을 수도 있으나 본원 발명은 이를 다음과 같은 구조적 특징으로 완전히 해소한다. 아울러 컨베이어 모듈(20)과의 간섭도 배제시켜 작업의 효율성과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동시에 확보한다. 즉, 컨베이어 모듈(20)은 내부에 서로 분할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제1컨베이어 벨트(201), 제2컨베이어 벨트(202), 및 제3컨베이어 벨트(203)]를 포함하여 이들 사이의 공간으로 띠톱날(301)이 통과되며 이러한 공간을 따라 띠톱날(301)을 장치 내 외부로 자유롭게 입출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컨베이어 모듈(20)과 프레임모듈(10) 사이를 연결하고 지지하는 연결프레임(120)을 가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띠톱날(301)을 장치 내 외부로 입출 시킬 수 있는 또 다른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띠톱날(301)이 장치 내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연결된 공간을 컨베이어 모듈(20)의 내측 및 외측에 형성하고 그 일부분[제2프레임(102)과 컨베이어 모듈(20)의 사이]을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필요에 따라 띠톱날(301)을 용이하게 입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캔틸레버 형태로 돌출된 컨베이어 모듈(20) 전체를 안정된 구조로 지지하면서도, 이러한 지지구조에 의한 방해 없이 띠톱날(301)을 장치 내 외부로 자유롭게 입출시키며 유지 및 보수 등의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생선절단장치(1)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생선절단장치(1)는,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프레임모듈(10), 프레임모듈(10)에 결합되되, 일단부는 프레임모듈(10) 일 측의 제1프레임(101)과 연결되며, 타단부는 프레임모듈(10) 타 측의 제2프레임(102) 외측으로 통과되어 프레임모듈(10)로부터 캔틸레버 형태로 돌출된 컨베이어 모듈(20), 프레임모듈(10)의 제1프레임(101)과 제2프레임(102) 사이에 배치되며 컨베이어 모듈(20)을 관통하여 회전하는 무한궤도 형태의 띠톱날(301)을 포함하여 띠톱날(301)로 생선을 절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톱날모듈(30), 및 제2프레임(102)에 결합되어 제2프레임(102)과 컨베이어 모듈(20)을 연결시키되, 착탈이 가능하여 분리되면 제2프레임(102)과 컨베이어 모듈(20)의 사이를 개방시키는 가동식 연결프레임(1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베이어 모듈(20)은 내부에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제1컨베이어 벨트(201), 제2컨베이어 벨트(202), 및 제3컨베이어 벨트(203)]와, 서로 이격된 컨베이어 벨트의 사이를 따라서 일직선 상으로 개방되어 띠톱날(301)을 통과시키는 제1공간(도 7의 21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생선절단장치(1)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프레임모듈(1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형성된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모듈(10)을 형성하는 프레임은 예를 들어, 금속제 빔이나 바 등이 결합된 것일 수 있으며 각 프레임의 형상은 모두 동일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프레임모듈(10)은 일 측에 형성된 제1프레임(101)과 그 반대편 타 측에 형성된 제2프레임(10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바닥프레임(103)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프레임(103)은 바 등의 부재 외에 판상의 부재 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바닥프레임(103) 위에 바 형상의 부재를 결합한 제1프레임(101)과 제2프레임(102)을 서로 이격시켜 배치할 수 있다. 제1프레임(101)과 제2프레임(102)은 수직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컨베이어 모듈(20)의 서로 다른 지점과 교차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01)과 제2프레임(102)은 서로 다른 형태일 수 있으며 높이 등도 부분적으로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제1프레임(101)과 제2프레임(102) 및 바닥프레임(103) 외에도 필요에 따라 또 다른 프레임을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모듈(10)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모듈(10)은 바닥에 지지될 수 있으며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스토퍼 등의 고정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 모듈(20)은 프레임모듈(10)에 결합된다. 컨베이어 모듈(20)은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모듈(10)이 지지된 바닥과 평행하게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컨베이어 모듈(20)은 일단부가 프레임모듈(10) 일 측의 제1프레임(101)과 연결되며, 타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모듈(10) 타 측의 제2프레임(102) 외측으로 통과되어 프레임모듈(10)로부터 캔틸레버 형태로 돌출된다. 즉 컨베이어 모듈(20)은 부분적으로 프레임모듈(10)과 결합되며 프레임모듈(10) 외측으로 돌출되어 별도의 지지구조에 연결되지 않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컨베이어 모듈(20)의 하부나 측부 등의 주변 공간을 보다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 모듈(20)의 프레임모듈(10)로부터 돌출된 부분 하부에는 생선 찌꺼기 등을 처리하는 처리장비를 설치할 수도 있고 상부에는 생선을 세척하는 세척기구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장비나 기구를 옮겨와 설치하는 대신 해당 장비나 기구가 있는 곳으로 생선절단장치(1) 전체를 이동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컨베이어 모듈(20)의 지지구조 없이 돌출된 부분을 이용하여 해당 공간을 보다 자유롭게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컨베이어 모듈(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서로 분리 배치된 제1컨베이어 벨트(201), 제2컨베이어 벨트(202), 제3컨베이어 벨트(203)를 서로 평행하게 컨베이어 모듈(20)의 내부에 배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각의 사이에 일직선 상으로 개방된 제1공간(도 7의 21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컨베이어 벨트 사이의 공간은 띠톱날(301)이 컨베이어 모듈(20)을 자유롭게 관통하여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이 되며 일직선 상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도 2참조] 이러한 공간을 통해 띠톱날(301)을 장치 내 외부로 자유롭게 입출시킬 수도 있다. 제1컨베이어 벨트(201), 제2컨베이어 벨트(202), 및 제3컨베이어 벨트(203)는 컨베이어 모듈(20) 측면의 컨베이어 하우징(204) 내부에 서로 분리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컨베이어 구동모터(205)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각 컨베이어 벨트는 필요에 따라 구동구조 일부를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컨베이어 하우징(204)의 일 측에는 칼날로 생선을 절단하는 칼날모듈(40)이 형성될 수 있다. 칼날모듈(40)은 컨베이어 모듈(20)에 결합되며, 제1공간(21) 외측의 컨베이어 벨트[예를 들어, 제3컨베이어 벨트(203)일 수 있다] 측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며 생선을 절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형칼날(401)을 포함할 수 있다. 원형칼날(401)은 칼날 구동모터(402)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칼날모듈(40)은 후술하는 톱날모듈(30) 보다 컨베이어 모듈(20)의 전방으로 배치될 수 있고 띠톱날(301)이 통과하는 제1공간(21)이 아닌 그 외측의 컨베이어 벨트 측면에서 생선의 꼬리나 머리 등을 먼저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톱날모듈(30)은 이후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생선의 몸통 부위를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생선 절단과정은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컨베이어 모듈(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부가 프레임모듈(10)의 제1프레임(101)과 연결되며 타단부는 타 측의 제2프레임(102) 외측으로 통과되어 프레임모듈(10)로부터 돌출된다. 즉, 프레임모듈(10)의 제1프레임(101)은 컨베이어 모듈(20)과 연결되어 이를 직접 지지하되 제2프레임(102)은 직접 컨베이어 모듈(20)과 연결되지 않고 그 주위에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120)은 이러한 제2프레임(102)에 결합되어 제2프레임(102)과 컨베이어 모듈(20)을 연결시키며, 착탈이 가능하여 분리되면 제2프레임(102)과 컨베이어 모듈(20)의 사이를 개방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프레임(120)은 제2프레임(102)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120)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프레임(102) 상에 대칭적으로 결합되어 컨베이어 모듈(20)의 양 편을 제2프레임(102)과 연결시킬 수 있다[도 1 내지 도 3참조]. 연결프레임(120)은 컨베이어 모듈(20) 양 측면에 형성된 컨베이어 하우징(204)과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서, 연결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02)의 구조적 관계를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칼날모듈(도 1 내지 도 4의 40참조)은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었으며 칼날모듈이 결합되는 지점에는 모터의 축 등을 통과시키기 위한 칼날모듈 결합구(204b)만이 도시되었다.
즉, 연결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02)의 착탈 구조를 이용하여 컨베이어 모듈(20)을 지지할 수 있는 가동 가능한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120)이 결합되면 제2프레임(102)과 컨베이어 모듈(20)이 연결되어 전술한 제1프레임(101)과 함께 컨베이어 모듈(20) 전체가 프레임모듈(10) 상에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연결프레임(120)을 분리하여 제2프레임(102)과 컨베이어 모듈(20) 사이를 개방하고 이를 통해 띠톱날(301)을 장치 내 외부로 입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프레임(1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중 어느 하나가 분리된 경우라도 나머지는 결합상태로 유지하여 컨베이어 모듈(20)을 제1프레임(101)을 포함하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지지점을 통해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프레임(120)은 예를 들어, 제2프레임(102)에 형성된 지지홀더(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홀더(110)는 제2프레임(102)에 형성되며 연결프레임(120)을 감싸 내부에 수용한다. 또한 지지홀더(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도 3 및 도 5참조] 연결프레임(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프레임(120)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홀더(110)는 연결프레임(120)이 통과되는 관통공(110a)을 포함하고 외면에 이음새가 없이 일체로 형성된 통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홀더(110)는 고강도의 금속재를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제2프레임(102)에 결합시킨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제2프레임(102)을 직접 가공하여 일체로 지지홀더(110)를 형성하는 등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지지홀더(110)를 형성하고 연결프레임(120)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지지홀더(110)에 결합된 연결프레임(12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홀더(110)로부터 컨베이어 모듈(20)의 하부로 돌출되어 컨베이어 모듈(20)과 교차되며 컨베이어 모듈(20)을 받쳐 지지할 수 있다. 즉, 연결프레임(120)을 이용하여 캔틸레버 형태로 돌출되는 컨베이어 모듈(20)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는 보다 안정된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120)이 지지하는 지지점은 컨베이어 모듈(20)의 양 말단 사이의 어느 지점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술한 제1프레임(101)과 함께 서로 다른 지점을 지지하는 안정된 지지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제1프레임(101)은 컨베이어 모듈(20)과 용접 등의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체결수단을 통해 완전히 고정될 수 있으며 제2프레임(102)은 연결프레임(120)을 착탈함으로써 변형이 가능한 가동식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이 가동이 가능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지지홀더(110)에 결합된 연결프레임(120)은 지지홀더(110)에 완전히 밀착되어 고정된 채 회전이 저지되므로, 실질적으로 제2프레임(102)의 일부와 같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컨베이어 모듈(20)을 지지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120)의 착탈을 이용한 띠톱날(301)의 분리 및 결합과정 등은 후술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톱날모듈(30)은 프레임모듈(10)의 제1프레임(101)과 제2프레임(102)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날모듈(30)은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은 컨베이어 모듈(20)을 관통하여 회전하는 무한궤도 형태의 띠톱날(30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톱날모듈(30)은 각각 제1프레임(101)과 제2프레임(102) 사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서로 다른 지점에서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띠톱날(301)은 각각 생선의 서로 다른 부위를 절단하도록 컨베이어 모듈(20) 내부의 서로 다른 컨베이어 벨트 사이를 통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띠톱날(301)로 전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모듈(20) 내 생선을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다양한 위치에서 순차적으로 절단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각 톱날모듈(30)은 외측의 톱날 하우징(303)과 그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구동휠(302)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휠(30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모듈(20)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휠(302) 둘레에 띠톱날(301)이 장착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할 수 있다. 톱날모듈(30)의 하부에는 구동휠(302)을 회전시키는 휠 구동모터(도 4의 305참조)와 이를 내장하는 모터 하우징(304)이 형성될 수 있으며 모터 하우징(304)으로 보다 안정된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모터 하우징(304)은 컨베이어 모듈(20)과 접하여 제1프레임(101) 및 제2프레임(102)과 연결된 연결프레임(120) 외의 또 다른 지점에서 컨베이어 모듈(20)을 지지하는 지지구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띠톱날(301)은 특히 전술한 컨베이어 모듈(20) 내부의 제1공간(도 7의 21참조), 및 제2프레임(102)과 컨베이어 모듈(20)의 사이로 연통되는 컨베이어 모듈(20) 외측의 제2공간(도 7의 22참조)을 통과하여 연결된다. 즉, 띠톱날(301)은 컨베이어 모듈(20)을 따라 이동하는 생선을 절단하기 위해 일 측은 컨베이어 모듈(20) 내부를 관통하고 타 측은 컨베이어 모듈(20) 외측의 공간을 통과하는 형태로 연결되어 회전한다[도 1 및 도 3참조]. 제1공간(21)은 전술한 컨베이어 벨트[제1컨베이어 벨트(201), 제2컨베이어 벨트(202), 및 제3컨베이어 벨트(203)] 사이의 일직선 상으로 개방된 공간이고, 제2공간(22)은 컨베이어 모듈(20) 외측의 빈 공간으로 제2프레임(102)과 컨베이어 모듈(20) 사이로 연통되는 공간이므로, 띠톱날(301)은 그 일부를 절단하거나 분리하지 않고도 무한궤도 상태로 톱날모듈(30)에서 분리되어 제1공간(21) 및 제2공간(22)을 따라 컨베이어 모듈(2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이러한 띠톱날(301)의 해체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1의 생선절단장치의 띠톱날의 해체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102)에서 연결프레임(120)을 분리하고 각 톱날모듈(30)의 띠톱날(301)도 구동휠(302)에서 이탈시켜 분리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120)은 전술한 지지홀더(110)로부터 배출시키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띠톱날(301)은 톱날모듈(30)의 구동력을 제거한 후 구동휠(302)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방식 등으로 적절히 분리할 수 있다. 띠톱날(301)의 분리 시에는 필요에 따라 구동휠(302)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작업 등이 수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띠톱날(301)을 톱날모듈(30)로부터 분리하고, 연결프레임(120)은 제2프레임(102)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연결프레임(1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어느 한 측에 위치한 것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며 해체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도면과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다.
연결프레임(120)이 분리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102)과 컨베이어 모듈(20) 사이의 연결상태가 해제되고 둘 사이가 이격된다[도 7의 확대도 참조]. 띠톱날(30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모듈(20) 내부의 컨베이어 벨트[제1컨베이어 벨트(201), 제2컨베이어 벨트(202), 및 제3컨베이어 벨트(203)] 사이에 형성된 제1공간(21)과, 컨베이어 모듈(20) 외측의 제2공간(22)을 통과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무한궤도 형태라 하더라도 이러한 공간을 따라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제1공간(2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컨베이어 벨트 사이의 일직선으로 개방된 공간[도 2참조]으로 이를 따라 띠톱날(301)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또한 컨베이어 모듈(20) 외측의 제2공간(22)도 컨베이어 모듈(20) 외측에 이격된 제2프레임(102)과 컨베이어 모듈(20) 사이의 틈으로 연통되므로 이를 통해 역시 띠톱날(301)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즉, 띠톱날(30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모듈(20)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과 컨베이어 모듈(20)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각각 제1공간(21) 및 제2공간(22)을 따라 이동하며 용이하게 프레임모듈(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120)이 분리되어 프레임모듈(10)의 제2프레임(102)과 컨베이어 모듈(20) 사이가 개방되고 개방된 틈이 컨베이어 모듈(20) 외측의 제2공간(22)과 직접 연통되므로, 이러한 개방된 틈으로 띠톱날(301)을 통과시킴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문제 없이 띠톱날(301)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띠톱날(301)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그 일부를 적절하게 변형시켜 줌으로써 공간 사이로 띠톱날(301)이 보다 용이하게 통과되도록 할 수 있다.
프레임모듈(10) 외측으로 통과된 띠톱날(30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모듈(20)의 돌출되어 있는 단부를 따라 이동시켜 장치 외부로 완전히 배출할 수 있다. 즉 띠톱날(301)은 컨베이어 모듈(20) 내부의 제1공간(도 7의 21참조)을 따라서 일직선 상으로 이동시키며 매우 편리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에도 컨베이어 모듈(20)에 형성된 칼날모듈(40) 등에 걸리지 않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띠톱날(301)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그 일부를 적절하게 변형시켜 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띠톱날(301)을 해체하여 장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역으로 진행하면 띠톱날(301)을 원래대로 재결합하여 사용하거나 외부에서 새로운 띠톱날(301)로 교체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러한 과정은, 톱날모듈(30)이 형성된 장치 내부지점과 장치 외부를 연결하는 연속된 공간[제1공간(21), 제2공간(22), 및 제2공간(22)과 연통되는 제2프레임(102)과 컨베이어 모듈(20) 사이의 틈]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띠톱날(301)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부를 절단하거나 분리할 필요 없이 무한궤도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해체하거나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해체 후 재결합하여 사용하는 데에도 아무런 문제가 없으며 장력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여 띠톱날(301)을 수시로 보수하거나 새것으로 편리하게 교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컨베이어 모듈의 세부구조와 이를 이용한 생선 절단과정 전체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도 1의 생선절단장치의 장력조절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도 1의 생선절단장치의 생선 절단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컨베이어 모듈(도 10 내지 도 12의 20참조)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제1컨베이어 벨트(201), 제2컨베이어 벨트(202), 및 제3컨베이어 벨트(203)]를 포함한다. 이러한 컨베이어 벨트는 전술한 제1공간(도 7의 21참조)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되 띠톱날(도 10 내지 도 12의 301참조)이 통과하는 방향으로는 서로 밀착된 복수 개의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에는 제3컨베이어 벨트(203)의 쌍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었으며, 전술한 제1컨베이어 벨트(도 1 및 도 3의 201참조)와 제2컨베이어 벨트(도 1 및 도 3의 202참조) 역시 각각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컨베이어 벨트(201)의 쌍과 제2컨베이어 벨트(202)의 쌍과, 제3컨베이어 벨트(도 1 및 도 3의 203참조)의 쌍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제1공간(21)을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컨베이어 벨트(201)의 쌍과 제2컨베이어 벨트(202)의 쌍 사이로 하나의 띠톱날(301)이 통과되고, 제2컨베이어 벨트(202)의 쌍과 제3컨베이어 벨트(203)의 쌍 사이로 다른 하나의 띠톱날(301)이 통과되며 생선의 서로 다른 부위를 절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밀착된 컨베이어 벨트의 쌍 사이에는 복수 개의 장력조절유닛(210)이 형성되어 서로 간의 움직임을 동기화하고 밀착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조절유닛(210)은 서로 밀착된 컨베이어 벨트의 쌍[도 9에는 제3컨베이어 벨트(203)의 쌍이 예시됨] 사이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각각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하는 롤러(200a)에 연결되어 롤러(200a)를 움직일 수 있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암(211), 및 지지암(211)의 사이에 연결되어 탄성력으로 지지암(211)의 거리를 조정하는 탄성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장력조절유닛(210)은 컨베이어 하우징(도 5의 204참조)에 설치될 수 있으며 컨베이어 하우징(204)의 가이드홈(도 5의 204a참조)을 통해 롤러(200a)와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홈(204a)은 롤러(200a)가 이동하는 이동경로에 대응하는 곡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212)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암(211)이 서로 맞붙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쌍을 이루는 컨베이어 벨트의 롤러(200a)들을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컨베이어 벨트의 쌍이 더욱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으며 밀착된 컨베이어 벨트의 쌍 사이로 생선을 삽입하여 흔들리지 않게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지지암(211)의 쌍은 각각 축(211b)에 결합되어 회전하되 일 측에 서로 맞물리는 기어치(211a)가 형성되어 움직임이 동기화될 수 있다. 즉, 기어치(211a)를 이용하여 롤러(200a)들의 거리, 회전위치 등을 서로 대칭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그 사이로 생선을 통과시키며 보다 안정적으로 절단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생선의 절단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선(A)을 컨베이어 모듈(20)에 투입한다. 생선(A)은 컨베이어 모듈(20)의 캔틸레버 형태로 돌출된 단부로 투입하여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되되 각각 쌍을 이루어 밀착되어 있는 제1컨베이어 벨트(201)의 쌍과, 제2컨베이어 벨트(202)의 쌍과, 제3컨베이어 벨트(203)의 쌍의 밀착된 면 사이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선(A)을 삽입하여, 생선(A)을 흔들리지 않게 파지하며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장력조절유닛(210)이 서로 밀착된 컨베이어 벨트의 쌍에 압력을 가하여 밀착상태를 유지시키므로 생선(A)은 이동간이나 절단 작업 시에도 흔들리지 않고 투입 시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컨베이어 모듈(20)을 따라 이동하는 생선(A)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모듈(40)을 통과하며 일차로 절단된다. 이때 절단되는 부분은 예를 들어, 꼬리부분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생선(A)의 머리 부분 등을 절단하도록 칼날모듈(40)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칼날모듈(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의 측면에 밀착되는 원형칼날(401)을 이용하여 절단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원형칼날(401)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일 또는 복수 개의 원형칼날(401)을 이용하여 컨베이어 모듈(20)을 따라 이동하는 생선(A)의 꼬리 등을 일차로 절단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절단된 생선(A)은 다시 프레임모듈(10) 내측의 톱날모듈(30)로 이동된다.
생선(A)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모듈(10) 내측에서 톱날모듈(30)을 통과하며 몸통부분이 완전히 절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모듈(20)과 수직하게 주행하는 띠톱날(301)을 이용한 절단방식으로 생선(A)의 몸통부분을 매우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톱날모듈(30)은 복수 개가 컨베이어 모듈(20)의 이송방향으로 이격되어 차례로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컨베이어 벨트(201)와 제2컨베이어 벨트(202)의 사이, 제2컨베이어 벨트(202)와 제3컨베이어 벨트(203) 사이의 각각 서로 다른 지점으로 띠톱날(301)을 통과시키며 생선(A) 몸통의 서로 다른 부위를 절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선(A)의 몸통 전체를 여러 개로 분할시킬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거친 톱날을 이용하여 절단하더라도, 서로 밀착된 컨베이어 벨트의 쌍 사이에 생선(A)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요동을 줄이고 안정적으로 절단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분리된 각 컨베이어 벨트의 쌍이 절단된 각 부위를 파지하므로 절단된 생선(A) 부위들도 그대로 위치를 유지하며 배출슈트(206)까지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절단작업을 종료되면 가공된 생선(A)을 배출슈트(206)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특히 띠톱날을 이용하여 생선을 매우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띠톱날을 매우 편리하게 해체하거나 재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수시로 유지 및 보수 작업이 가능하여 장치를 매우 원활하게 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생선절단장치 10: 프레임모듈
20: 컨베이어 모듈 21: 제1공간
22: 제2공간 30: 톱날모듈
40: 칼날모듈 101: 제1프레임
102: 제2프레임 103: 바닥프레임
110: 지지홀더 110a: 관통공
120: 연결프레임 201: 제1컨베이어 벨트
200a: 롤러 202: 제2컨베이어 벨트
203: 제3컨베이어 벨트 204: 컨베이어 하우징
204a: 가이드홈 204b: 칼날모듈 결합구
205: 컨베이어 구동모터 206: 배출 슈트
210: 장력조절유닛 211: 지지암
211a: 기어치 211b: 축
212: 탄성부재 301: 띠톱날
302: 구동휠 303: 톱날 하우징
304: 모터 하우징 305: 휠 구동모터
401: 원형칼날 402: 칼날 구동모터
A: 생선

Claims (11)

  1.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프레임모듈;
    상기 프레임모듈에 결합되되,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모듈 일 측의 제1프레임과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프레임모듈 타 측의 제2프레임 외측으로 통과되어 상기 프레임모듈로부터 캔틸레버 형태로 돌출된 컨베이어 모듈;
    상기 프레임모듈의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모듈을 관통하여 회전하는 무한궤도 형태의 띠톱날을 포함하여 상기 띠톱날로 생선을 절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톱날모듈; 및
    상기 제2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컨베이어 모듈을 연결시키되, 착탈이 가능하여 분리되면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컨베이어 모듈의 사이를 개방시키는 가동식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생선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모듈은, 내부에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컨베이어 벨트와, 서로 이격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사이를 따라서 일직선 상으로 개방되어 상기 띠톱날을 통과시키는 제1공간을 포함하는 생선절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띠톱날은, 상기 제1공간, 및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컨베이어 모듈의 사이로 연통되는 상기 컨베이어 모듈 외측의 제2공간을 통과하여 연결된 생선절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띠톱날은 무한궤도 상태로 상기 톱날모듈에서 분리되어 상기 제1공간 및 상기 제2공간을 따라 상기 컨베이어 모듈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생선절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을 감싸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연결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의 회전을 저지하는 지지홀더를 더 포함하는 생선절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지지홀더로부터 상기 컨베이어 모듈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컨베이어 모듈과 교차되며 상기 컨베이어 모듈을 받쳐 지지하는 생선절단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더는 상기 연결프레임이 통과되는 관통공을 포함하고 외면에 이음새가 없이 일체로 형성된 통체로 이루어진 생선절단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제1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되 상기 띠톱날이 통과하는 방향으로는 서로 밀착된 복수 개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생선절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서로 밀착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쌍 사이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각각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하는 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롤러를 움직일 수 있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암, 및 상기 지지암의 사이에 연결되어 탄성력으로 상기 지지암의 거리를 조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장력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생선절단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의 쌍은 각각 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되 일 측에 서로 맞물리는 기어치가 형성되어 움직임이 동기화되는 생선절단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모듈에 결합되며 상기 제1공간 외측의 상기 컨베이어 벨트 측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며 생선을 절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형칼날이 포함된 칼날모듈을 더 포함하는 생선절단장치.
KR1020180152851A 2018-11-30 2018-11-30 생선절단장치 KR102219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851A KR102219190B1 (ko) 2018-11-30 2018-11-30 생선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851A KR102219190B1 (ko) 2018-11-30 2018-11-30 생선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920A true KR20200065920A (ko) 2020-06-09
KR102219190B1 KR102219190B1 (ko) 2021-02-23

Family

ID=71082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851A KR102219190B1 (ko) 2018-11-30 2018-11-30 생선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1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537B1 (ko) * 2020-09-09 2021-02-26 신동호 칼날 모듈 교체형 소형 떡 절단기
CN112690319A (zh) * 2020-12-27 2021-04-23 安徽省徽都徽菜食品有限公司 一种臭鳜鱼的预处理鱼体脱离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698A (ja) * 1993-07-06 1995-01-27 Supeesu Kurieishiyon:Kk 水平維持機構付き冷凍魚の切断装置
KR200346402Y1 (ko) * 2004-01-02 2004-03-30 이치우 육류 및 어류 절단장치
KR20140114241A (ko) * 2013-03-18 2014-09-26 주식회사 청하기계 생선 가공장치
KR20160108768A (ko) * 2015-03-06 2016-09-20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생선 가공 장치
KR20160109742A (ko) * 2015-03-13 2016-09-21 주식회사 신성트레이딩 오징어 절단기
KR101667366B1 (ko) 2015-02-26 2016-10-18 주식회사 참코청하 생선 두미 절단장치
KR101818050B1 (ko) * 2016-04-19 2018-01-16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어류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698A (ja) * 1993-07-06 1995-01-27 Supeesu Kurieishiyon:Kk 水平維持機構付き冷凍魚の切断装置
KR200346402Y1 (ko) * 2004-01-02 2004-03-30 이치우 육류 및 어류 절단장치
KR20140114241A (ko) * 2013-03-18 2014-09-26 주식회사 청하기계 생선 가공장치
KR101667366B1 (ko) 2015-02-26 2016-10-18 주식회사 참코청하 생선 두미 절단장치
KR20160108768A (ko) * 2015-03-06 2016-09-20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생선 가공 장치
KR20160109742A (ko) * 2015-03-13 2016-09-21 주식회사 신성트레이딩 오징어 절단기
KR101818050B1 (ko) * 2016-04-19 2018-01-16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어류가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537B1 (ko) * 2020-09-09 2021-02-26 신동호 칼날 모듈 교체형 소형 떡 절단기
CN112690319A (zh) * 2020-12-27 2021-04-23 安徽省徽都徽菜食品有限公司 一种臭鳜鱼的预处理鱼体脱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9190B1 (ko)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190B1 (ko) 생선절단장치
US5242324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gizzards of poultry
KR101282435B1 (ko) 식육슬라이서
KR20150068712A (ko) 마스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090040697A (ko) 마늘줄기 절단장치
KR100781078B1 (ko) 육류 칼집 자동 세절기
KR101437116B1 (ko) 양파 박피기
KR20180057058A (ko) 과실채소류 선별장치
CN104743394A (zh) 裁断机的排出引导装置
US6467488B2 (en) Method for cutting the tie-leaf on bundled leaf tobacco
JP2013126641A (ja) スクリーン洗浄装置
KR20210062219A (ko) 생선비늘 제거장치
US5338104A (en) Auxiliary cutter for a mining machine having coaxial cutter drums
CN210794571U (zh) 一种挡板可拆式输送装置以及转弯机
JP5587042B2 (ja) パン切断装置
JP3917300B2 (ja) 人参収穫機
JP2001178302A (ja) 養殖カゴ掃除機
JP4006240B2 (ja) コンバインカッタの切断刃着脱装置
JP2001178301A (ja) 養殖カゴ掃除機
JP7239107B2 (ja) 食肉スライサーにおける肉送り装置
JPH0937629A (ja) 根菜収穫機の切断装置構造
JP2989822B1 (ja) コンベア
JP2766917B2 (ja) 魚体の内臓除去方法及び装置
JPH0644633Y2 (ja) フードスライサ
JP2002370204A (ja) 原木搬送裁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