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878A -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878A
KR20200065878A KR1020180152776A KR20180152776A KR20200065878A KR 20200065878 A KR20200065878 A KR 20200065878A KR 1020180152776 A KR1020180152776 A KR 1020180152776A KR 20180152776 A KR20180152776 A KR 20180152776A KR 20200065878 A KR20200065878 A KR 20200065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ley
active composition
gold
mixed solution
referenc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4920B1 (ko
Inventor
김금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라이프
Priority to KR1020180152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92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20Malt products
    • A23L7/25Fermentation of cereal malt or of cereal by mal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보리 질금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보리 질금, 미생물액, 및 당류를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제1 기준 온도에서, 상기 혼합 용액을 제1 기준 시간 동안 1차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1차 발효된 상기 혼합 용액을 제2 기준 온도에서 제2 기준 시간 동안 2차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상기 제1 기준 온도보다 낮고, 상기 제2 기준 시간은 상기 제1 기준 시간보다 긴 것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Microorganism active composition using barley jilgeum and method of fabrication of the same}
본 발명은 보리 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화된 보리 질금, 미생물액, 및 당이 혼합된 혼합액을 발효시켜 제조된 보리 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에 관련된 것이다.
보리 질금은 보리의 발아한 씨앗을 말려 만든 엿기름으로 만든 것으로, 한방에서는 엿기름을 맥아라 부르며 약재로 쓸 정도로 뛰어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맥아에는 아밀라아제, 프로테아제 등의 성분들이 들어있어 식혜를 먹었을 때 소화를 촉진하고 만성위염, 장염 등에 좋은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맥아를 먹으면 비장과 위장의 기를 균형 있게 조절해 기력을 회복시켜 식욕 부진을 없애주어 식욕을 증진하게 되며, 산후 조리에도 좋아, 산후에 젖이 지나치게 많이 나오거나, 유방이 불고 헛배가 나올 때 맥아를 먹으면 그 증상이 완화되나, 근육 이완 효과가 있다. 맥아는 레시틴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간을 보호하고 담즙 생성을 촉진하는 효능이 있으므로, 간 건강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
또한, 맥아의 레시틴 성분은 피부를 구성하는 성분 중 하나로 각질층의 수분을 유지하는 작용을 하며, 맥아에는 레시틴뿐만 아니라 비타민B, 비타민C 등 피부에 도움 되는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더욱 피부를 건강하고 아름답게 가꿔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보리 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소화 촉진 효과를 갖는 보리 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식욕 증진 효과를 갖는 보리 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간 보호 기능을 갖는 보리 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미백 효과를 갖는 보리 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친환경 공정으로 제조된 보리 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된 보리 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보리 질금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보리 질금, 미생물액, 및 당류를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제1 기준 온도에서, 상기 혼합 용액을 제1 기준 시간 동안 1차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1차 발효된 상기 혼합 용액을 제2 기준 온도에서 제2 기준 시간 동안 2차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상기 제1 기준 온도보다 낮고, 상기 제2 기준 시간은 상기 제1 기준 시간보다 긴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리 질금을 준비하는 단계는, 겉보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겉보리의 싹을 띄우는 단계, 싹이 띄워진 상기 겉보리를 건조 및 분말화하여, 상기 보리 질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겉보리의 싹의 길이에 따라서, 상기 혼합 용액 내의 상기 당류의 비율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미생물액은, 효모 유산균, 광합성 세균, 방선균, 또는 사상균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준 온도는 20~30℃이고,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10~20℃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준 시간은, 360~480시간이고, 상기 제2 기준 시간은, 480~720시간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1차 발효 시키는 단계, 및 상기 2차 발효 시키는 단계는 밀폐 용기에서 수행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보리 질금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보리 질금, 미생물액, 및 당류를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제1 기준 온도에서, 상기 혼합 용액을 제1 기준 시간 동안 1차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1차 발효된 상기 혼합 용액을 제2 기준 온도에서 제2 기준 시간 동안 2차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상기 제1 기준 온도보다 낮고, 상기 제2 기준 시간은 상기 제1 기준 시간보다 긴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화 촉진, 식용 증진, 간 보호 기능, 미백 효과를 갖는 미생물 활성 조성물이, 친환경적이고, 간소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보리질금 표면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발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보리질금 표면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발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보리 질금(110)이 준비된다(S110). 상기 보리 질금(110)을 준비하는 단계는, 겉보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겉보리의 싹을 띄우는 단계, 싹이 띄워진 상기 겉보리를 건조 및 분말화하여, 상기 보리 질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겉보리를 세척 및 건조하고, 명주포에 보리를 넣은 후, 물을 공급하여 겉보리에서 싹이 나기 시작하면, 자연 건조한 후 분말화시켜 상기 보리 질금(110)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보리 질금(110), 미생물액, 및 당류 그리고 물을 혼합하여, 혼합 용액(210)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미생물액은, 효모 유산균, 광합성 세균, 방선균, 또는 사상균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미생물액은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예를 들어, (주)에브미라클社의 미생물액)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당류는 당밀(예를 들어, (주)에브미라클社의의 당밀)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리 질금을 상기 미생물액 및 상기 당류와 혼합하여, 상기 혼합 용액(210)을 제조하기 전, 상기 보리 질금(110)에 대한 표면 처리 공정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리 질금(110)을 표면처리 용기(120) 내에 제공한 후, 표면 처리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 용기(120)의 바닥면은 상기 보리 질금(110)의 크기보다 작은 홀을 갖는 메쉬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표면처리 용기(120) 내에 상기 보리 질금(110)이 제공된 후, 뚜껑으로 덮어 상기 표면처리 용기(120)는 밀폐될 수 있다. 상기 보리 질금(110)이 상기 표면처리 용기(120)의 상기 바닥면에 제공되고 밀폐된 후, 상기 바닥면으로 증기(130)가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증기(130)는 수증기일 수 있다. 상기 증기(130)는 상기 바닥면의 홀을 통해 상기 보리 질금(110)으로 제공되어 흡착되거나, 또는 상기 보리 질금(110)을 통과한 상기 증기(130)는 상기 표면처리 용기(120)의 뚜껑과 상기 보리 질금(110) 사이의 빈 공간에 잔존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닥면의 홀을 통해 공급된 상기 증기(130)와 상기 빈 공간에 잔존하는 상기 증기(130)로 인해, 상기 보리 질금(110)의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상기 증기(130)에 의해 표면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상기 미생물액 및 상기 당류를 이용한 발효 공정이 보다 원활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면처리 공정은 상온에서 약 2~4시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겉보리의 싹의 길이에 따라서, 상기 혼합 용액(210) 내의 상기 당류의 비율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겉보리의 싹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 상기 혼합 용액(210) 내에서 상기 당류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겉보리의 싹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 상기 혼합 용액(210) 내에서 상기 당류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겉보리의 싹의 길이가 0.5~1cm인 경우, 물 1L 당 당밀 15~20g 첨가될 수 있고, 상기 겉보리의 싹의 길이가 1.5~2cm인 경우, 물 1L 당 당밀 30~35g이 첨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되는 상기 미생물액 및 상기 당류를 이용한 발효 공정이 보다 원활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1 기준 온도에서, 상기 혼합 용액(210)을 제1 기준 시간 동안 1차 발효시키는 단계(S130), 및 상기 1차 발효된 상기 혼합 용액(210)을 제2 기준 온도에서 제2 기준 시간 동안 2차 발효시키는 단계(S140)가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상기 제1 기준 온도보다 낮고, 상기 제2 기준 시간은 상기 제1 기준 시간보다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준 온도는 20~30℃이고,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10~20℃이고, 상기 제1 기준 시간은, 360~480시간이고, 상기 제2 기준 시간은, 480~720시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혼합 용액(210) 내에 미생물들이 죽지 않고, 상기 당류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발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발효 시키는 단계, 및 상기 2차 발효 시키는 단계는 밀폐 용기(220, 2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 용액(210)을 제1 밀폐 용기(220) 내에 제공하고 밀폐할 수 있다. 상기 제1 밀폐 용기(220)는 상기 제2 밀폐 용기(230) 내에 제공된 후, 상기 제2 밀폐 용기(230)는 유체(240)로 채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체(240)는 물일 수 있다. 상기 1차 발효 단계에서, 상기 유체(240)는 상기 제1 밀폐 용기(220) 내의 상기 혼합 용액(210)이 상기 제1 기준 온도를 유지하기에 적합한 온도(예를 들어, 30~40℃)를 가질 수 있고, 상기 2차 발효 단계에서, 상기 유체(240)는 제1 밀폐 용기(220) 내의 상기 혼합 용액(210)이 상기 제2 기준 온도를 유지하기에 적합한 온도(예를 들어, 20~3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밀폐 용기(220)는 상기 유체(240)에 의해 온도가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열 전도성이 높은 물질(예를 들어, 스테인리스)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밀폐 용기(230)는 상기 유체(240)와 외부환경 사이의 열 교환을 최소화하기 위해 열 전도성이 낮은 단열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발효 시키는 단계, 및 상기 2차 발효 시키는 단계는 밀폐 용기(220, 230)에서 수행되는 경우, 상기 1차 발효 단계에서 상기 2차 발효 단계로 전환되는 단계에서, 상기 유체(240)를 새로운 유체로 교체하지 않고, 온도가 낮은 유체를 기존의 유체에 추가적으로 공급하고, 기존의 유체를 상기 제2 밀폐 용기(230)로부터 유출하는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밀폐 용기(220) 내의 상기 혼합 용액(210)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혼합 용액(210)이 용이하게 발효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보리 질금(110), 상기 미생물액, 및 상기 당류를 혼합하여, 성가 혼합 용액(210)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준 온도에서, 상기 혼합 용액(210)을 제1 기준 시간 동안 1차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1차 발효된 상기 혼합 용액(210)을 제2 기준 온도에서 제2 기준 시간 동안 2차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화 촉진, 식용 증진, 간 보호 기능, 미백 효과를 갖는 미생물 활성 조성물이, 친환경적이고, 간소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10: 보리 질금
120: 표면처리 용기
130: 증기
210: 혼합 용액
220: 제1 밀폐 용기
230: 제2 밀폐 용기
240: 유체

Claims (7)

  1. 보리 질금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보리 질금, 미생물액, 및 당류를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제1 기준 온도에서, 상기 혼합 용액을 제1 기준 시간 동안 1차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1차 발효된 상기 혼합 용액을 제2 기준 온도에서 제2 기준 시간 동안 2차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상기 제1 기준 온도보다 낮고, 상기 제2 기준 시간은 상기 제1 기준 시간보다 긴 것을 포함하는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리 질금을 준비하는 단계는,
    겉보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겉보리의 싹을 띄우는 단계;
    싹이 띄워진 상기 겉보리를 건조 및 분말화하여, 상기 보리 질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겉보리의 싹의 길이에 따라서, 상기 혼합 용액 내의 상기 당류의 비율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액은, 효모 유산균, 광합성 세균, 방선균, 또는 사상균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온도는 20~30℃이고,
    상기 제2 기준 온도는 10~20℃인 것을 포함하는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시간은, 360~480시간이고,
    상기 제2 기준 시간은, 480~720시간인 것을 포함하는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발효 시키는 단계, 및 상기 2차 발효 시키는 단계는 밀폐 용기에서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80152776A 2018-11-30 2018-11-30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134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776A KR102134920B1 (ko) 2018-11-30 2018-11-30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776A KR102134920B1 (ko) 2018-11-30 2018-11-30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878A true KR20200065878A (ko) 2020-06-09
KR102134920B1 KR102134920B1 (ko) 2020-07-16

Family

ID=71082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776A KR102134920B1 (ko) 2018-11-30 2018-11-30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9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694A (ko) * 2006-05-23 2006-06-16 정덕한 겉보리 발아생체의 자기 분해방법 및 생성물.
KR20090054280A (ko) * 2007-11-26 2009-05-2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류코노스톡 속의 젖산균을 이용한 발효음료
KR101277200B1 (ko) * 2012-04-09 2013-06-20 철원친환경영농조합법인 유기농 곡류 효소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13302A (ko) * 2016-07-29 2018-02-07 김금자 보리 질금과 유용 미생물(em)을 이용한 em활성액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694A (ko) * 2006-05-23 2006-06-16 정덕한 겉보리 발아생체의 자기 분해방법 및 생성물.
KR20090054280A (ko) * 2007-11-26 2009-05-2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류코노스톡 속의 젖산균을 이용한 발효음료
KR101277200B1 (ko) * 2012-04-09 2013-06-20 철원친환경영농조합법인 유기농 곡류 효소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13302A (ko) * 2016-07-29 2018-02-07 김금자 보리 질금과 유용 미생물(em)을 이용한 em활성액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920B1 (ko)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78062B (zh) 一种玉之酿酒及其制作工艺
CN102823804B (zh) 六酶法玉米乳饮料的生产方法
CN103704646B (zh) 调味用乳酸菌发酵泡菜液的制备方法
CN108175015A (zh) 一种植物益生菌发酵苹果浆的制备方法
CN103865701A (zh) 一种含中性蛋白酶的啤酒复合酶
CN105707784A (zh) 一种洋姜的腌制方法
CN102796638A (zh) 紫玉米果保健啤酒的酿造工艺
CN105794492B (zh) 灵芝的培育方法
CN103393026B (zh) 一种酶解工艺生产南瓜全粉的方法
JP2007275017A (ja) 発芽玄米を用いた甘酒の製造方法
CN105695228B (zh) 一种萌发藜麦稠酒的制备方法
KR102134920B1 (ko) 보리질금을 이용한 미생물 활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8218587A (zh) 一种高生物活性复合海藻肥及其制备方法
KR100547405B1 (ko) 무 및 도라지를 포함하는 무 도라지 조청 및 그 제조방법
CN107439300A (zh) 一种枇杷种子育苗的方法
CN112410153B (zh) 高sod谷物蛋白液及其制备
CN105907525A (zh) 一种茶酒及其制备方法
CN104946472A (zh) 一种方便糯米甜酒及其制备方法
CN104087562A (zh) 一种超氧化物歧化酶的提取方法
CN109666560B (zh) 利用植物胚芽制备酒的方法
CN105901601A (zh) 一种美容益智草莓果酱
KR20180013302A (ko) 보리 질금과 유용 미생물(em)을 이용한 em활성액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CN101724532B (zh) 一种洋蓟酒的制造工艺
WO2019119938A1 (zh) 一种养生酒及其配制方法
CN104041889B (zh) 一种南瓜杂粮乳酸菌饮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