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947A -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 Google Patents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947A
KR20200063947A KR1020190034826A KR20190034826A KR20200063947A KR 20200063947 A KR20200063947 A KR 20200063947A KR 1020190034826 A KR1020190034826 A KR 1020190034826A KR 20190034826 A KR20190034826 A KR 20190034826A KR 20200063947 A KR20200063947 A KR 20200063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water
helicopter
storage space
water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5135B1 (ko
Inventor
조남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림토건
조남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림토건, 조남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림토건
Publication of KR20200063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8Visual or acoustic landing aids
    • B64F1/20Arrangement of optical beac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E03B1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with air reg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c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불진화용 소화용수를 확보하기 위한 저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위가 낮은 하천에서 산불진화용 소화용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도 저수조의 결빙을 방지시켜 충분히 확보된 산불진화용 소화용수를 산불진화용 헬기의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산불진화용 소화용수 저수조는 수위가 낮은 하천에서도 소화용수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와, 유도장치를 통하여 산불진화용 헬기의 안전한 유도와 소화용수를 안정적으로 퍼나를 수 있는 효과와 동절기에 수온이 높은 저수조 하부의 물을 수면으로 상승 이동시키는 강제 대류로 취수원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 및 생태계의 파괴를 최소화하며 소화용수를 언제든지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Fire water tank with induction device of helicopter for forest fire evacuation}
본 발명은 산불진화용 소화용수를 확보하기 위한 저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위가 낮은 하천 등에서 산불진화용 소화용수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도 저수조의 산불진화용 소화용수의 결빙을 방지하면서 산불진화용 헬기의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산불발생시 공중에서 물을 살포할 수 있는 산림(소방)헬기가 투입되어 화재를 진화한다. 산불 진화시 소방헬기가 사용하는 물(이하, '소화용수'라 함)은 하천이나 호수, 저수지 등에서 취수하게되는데 기온이 낮은 동절기의 경우 취수원의 수면이 결빙된다.
이에 따라, 산불발생시 산림청 등에서는 소화용수 확보를 위해 취수원의 결빙면에 구멍을 뚫는 천공작업을 실시한다. 상기 천공작업은 천공위치선정, 얼음제거선긋기, 얼음 절단 및 제거, 안전시설 설치, 식별표시 및 좌표취득 등의 순으로 작업이 진행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리고 많은 인력이 투입되며 익사나 안전사고 등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소화용수 확보를 위해 하천이나 호수, 저수지 등의 취수원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일예로, 등록특허공보 제10-1181927호에는 수면위에 부유하는 부유체로 형성되며 수면 상에서 폐 루프형의 평면구조를 가지는 부이몸체와, 부이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중에 잠기며 부이몸체 외측에서 중앙 쪽으로 얼음의 진행을 차단하는 차단펜스와, 부이몸체에 설치되며 구동시 부이몸체 하부의 수중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기 및 기포발생기의 공기흡입구로 따뜻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열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진화용 물공급 부이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다른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2726호에는 물에 뜨는 재질로 성형되는 부력부와, 부력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태양열을 받아서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열 가열부 및 부력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태양열 가열부에서 발생된 전기에 의한 발열과 미생물에 의한 발열과 생석회에 의한 발열 중 적어도 어느 한가지 이상의 발열을 이용하여 외측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가열한 후 다시 외측으로 배출시켜 물의 결빙을 방지하는 결빙방지부를 포함하는 환경친화형 결빙방지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한편, 소화용수를 확보하기 위한 취수원은 충분한 깊이와 넓이의 규모가 확보될 수 있는 강(하천), 호수, 저수지 등을 활용하지만 수심이 얇은 하천 등에서는 취수원을 확보하는데 애로사항이 많다는 문제가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대형헬기(KA-32) 기준 담수거리별 진화효율성을 조사한 결과 5km마다 이동시간이 4분(왕복)이 추가 소요되어 시간당 17.5% 비율로 진화율이 저하되는데, 산불발생지로부터 가까운 곳에 충분한 규모의 취수원이 없는 경우 산불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8192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4272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수위가 낮은 하천 등에서도 소화용수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충분한 깊이와 넓이의 하부저장공간과 버켓 등으로 안전하게 퍼올릴 수 있는 상부저장공간을 구비하고, 산불진화용 헬기를 유도장치에 의해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한편, 동절기에는 소화용수의 결빙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및 용이하게 취수할 수 있으며, 생태계의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의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상부가 개방되되,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하천의 바닥에 하부가 매설되어 설치되며, 하천의 바닥에 매설되지 않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타원 또는 장공 형태의 원기둥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유도등;과 상기 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수중모터; 및 상기 몸체의 바닥면부터 상기 외측면까지 내장 형성되고 바닥면으로부터 소화용수를 분사하는 상기 수중모터와 연결되는 순환유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소화용수 저수조의 몸체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상부저장공간과 하부저장공간으로 구획하고, 내측면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버플로우홀이 형성되는 구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소화용수 저수조는 상기 하천의 바닥에 매설되어 상기 몸체의 외측면에 관통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수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몸체(100)는 상부면이 하천의 수면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부 내측면이 상부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유입홀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거름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입홀은 상기 거름망의 전방에 설치되는 돌망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몸체는 상부면에 설치되어 외기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중모터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외기온도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외기온도정보가 0℃ 이하이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몸체(100)는 상부면에 설치되는 안전망(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저수관에는 상기 하천의 바닥 측 입구에 설치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수관의 입구에 설치된 체크밸브의 전방에 거름망과 돌망태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모터(300)는 하부저장공간(114)에 저장된 소화용수를 상부저장공간(112)으로 공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획부(500)는 관통형성되는 다수 개의 미세이동홀(5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획부(500)는 하부방향으로 굴곡부가 형성되도록 만곡된 형상이고, 상기 굴곡부가 몸체(100)의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은 산불진화용 소화용수 저수조를 상부, 하부저장공간의 2중으로 구획하여 하부저장공간으로는 수위가 낮은 하천에서도 소화용수를 용이하게 확보하면서 상부저장공간으로는 소화용수를 안정적으로 퍼 나를 수 있는 효과, 유도장치를 통하여 산불진화용 헬기의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와 동절기에 수온이 높은 저수조 하부의 물을 수면으로 상승 이동시키는 강제 대류로 취수원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 및 생태계의 파괴를 최소화하며 소화용수를 언제든지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저수조가 하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저수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저수조가 하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저수조를 나타낸 일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중모터에 의해 상부저수조에 물이 공급되는 것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저수관이 형성된 저수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획부가 구비된 저수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저수조를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은 소화용수를 확보하기 위한 저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위가 낮은 하천(10)에서도 소화용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몸체(100)의 하부를 하천(10) 바닥(14)에 매설되도록 설치하여 깊고 넓은 소화용수의 저장공간(110)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100)의 상부면에 복수 개의 유도등(200)을 설치하고 상부 내측면에 경사면(130)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100)가 타원 또는 장공 형태의 원기둥으로 이루어져 소방헬기의 버켓이 안정적으로 진입 및 이동되도록 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소화용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외기온도가 일정기온 이하로 내려갈 때 수중모터(300)를 작동시켜 하부의 물을 상부로 순환시킴으로써 소화용수의 결빙을 방지하며, 생태계의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에 관한 기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용수가 저장되는 저장공간(110)을 구획부(500)에 의해 상부저장공간(112)과 하부저장공간(114)으로 나누고, 필요시 하부저장공간(114)에 저장된 소화용수를 수중모터(300)를 이용하여 상부저장공간(112)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상부저장공간(112)의 수위를 소방헬기의 버켓이 소화용수를 안정적으로 취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상부가 개방되되,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저장공간(110)이 형성되고, 저수보(12)가 설치된 하천(10)의 바닥(14)에 하부가 매설되어 설치되며, 하천(10)의 바닥(14)에 매설되지 않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홀(120)이 관통형성되는 타원 또는 장공 형태의 원기둥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유도등(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몸체(100)는 상부면이 하천(10)의 수면(16)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부 내측면이 상부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사면(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입홀(120)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거름망(1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입홀(120)에는 복수 개의 돌맹이와 상기 돌맹이의 외측을 둘러싸는 메쉬망으로 구성된 돌망태(124)가 상기 거름망(122)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산불방지용 소화용수 저수조는 외측에 설치되는 수중모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100)는 바닥면부터 상부 외측면까지 내장 형성되어 상기 수중모터(300)와 연결되는 순환유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몸체(100)는 상부면에 설치되어 외기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50);와 상부면에 설치되는 안전망(16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중모터(300)는 상기 온도센서(150)로부터 측정된 외기온도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외기온도정보가 0℃이하이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몸체(100)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110)을 상부저장공간(112)과 하부저장공간(114)으로 구획하고, 내측면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버플로우홀(510)이 형성되는 구획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획부(500)는 하부방향으로 굴곡부가 형성되도록 만곡된 형상이고, 상기 굴곡부가 몸체(100)의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획부(500)는 관통형성되는 다수 개의 미세이동홀(5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중모터(300)는 하부저장공간(114)에 저장된 소화용수를 상부저장공간(112)으로 공급시켜 분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소방헬기의 밤비버켓이 소화용수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없는 하천(10) 일예로, 저수보(12)가 설치된 하천(10)의 수심이 2m 미만인 곳에 설치되어 소화용수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하천의 수위를 인위적으로 높이지 않고 하천(10)의 바닥(14)에 저수조를 조성하여 생태계의 파괴를 최소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몸체(100)는 상부가 개방되되,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저장공간(110)이 형성되고, 저수보(12)가 설치된 하천(10)의 바닥(14)에 하부가 매설되어 설치되며, 하천(10)의 바닥(14)에 매설되지 않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홀(120)이 관통형성되는 것으로서, 하천(10)의 바닥(14)에 하부가 매설되어 소화용수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는 깊이와 넓이의 저장공간(1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몸체(100)는 하천(10)의 바닥(14)에 하부가 매설되어 설치됨으로써, 더욱더 안정적으로 하천(10)에 설치된 상태가 유지되는 효과를 실현케 하고, 기존 하천(10)의 수심보다 깊은 수심이 형성되도록 하여 저장공간(110)에 안정적으로 소화용수가 확보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몸체(100)는 타원 또는 장공 형태 등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몸체(100)가 타원 또는 장공 형태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보다 큰 넓이의 저장공간(110)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방헬기가 밤비버켓을 상기 저장공간(1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진입시킨 후 타측 또는 일측 즉, 반대방향인 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소화용수를 상기 밤비버켓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취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몸체(100)의 형상은 타원 또는 장공 형태의 원기둥 형상으로, 소방헬기가 밤비버켓을 투입시킨 뒤 소화용수를 안정적으로 취수할 수 있는 형상이다.
상기 유입홀(120)은 하천(10)의 물이 저장공간(1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저수조(1)의 형상 즉, 몸체(100)의 형상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고, 타원 또는 장공 형태의 원기둥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도 외측면에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천(10)의 물이 저장공간(110)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천(10)의 상류 방향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모양 및 크기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실시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저수조(1) 즉, 몸체(100)의 형상은 원통형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산림청의 규정 혹은 소방헬기의 밤비버켓의 형상에 따라 안정적으로 소화용수를 취수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방헬기가 소화용수를 안정적으로 취수할 수 있도록 타원 또는 장공 형태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몸체(100)의 크기는 직경 또는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소방헬기의 밤비버켓이 충분히 유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데, 일예로, 직경 또는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각각 5m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저장공간(110)의 내부로 하천(10)의 흙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고려했을 때, 높이가 5m 가량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유입홀(120)은 도 3에 하부의 높이가 하천(10)의 바닥(14)과 동일하게 도시되어 있지만, 하부의 높이가 하천(10)의 바닥(14)보다 높게 형성되어 하천(10) 바닥(14)에 축적되어 있는 흙 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유입홀(1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천(10) 바닥(14)보다 하부가 높이 형성되어도 조류에 의해 흙 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될 수 있는데, 이러한 흙 또는 이물질이 저장공간(110)으로 유입되어 소화용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거름망(122)이 추가적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거름망(122)은 상기 유입홀(120)의 후방 내측면 또는 후면에 테두리가 고정결합되고, 하천(10)의 물이 유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관통홀(미표시)이 형성된 메쉬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쉬망 즉, 거름망(122)의 재질은 이물질의 충격을 견딜 수 있는 부식에 강한 재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입홀(120)은 상기 거름망(122)을 1차적으로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거름망(122)보다 먼저 하천(10) 내의 흙 또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돌망태(1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돌망태(124)는 복수 개의 돌맹이와 상기 돌맹이의 외측을 둘러싸는 메쉬망으로 구성되며, 상기 거름망(122)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유입홀(12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돌망태(124)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홀(120)에 설치되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이에 따라 하천(10) 내의 흙 또는 이물질이 몸체(100)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몸체(100)의 파손이나 훼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돌망태(124)에 사용되는 메쉬망 또한 돌맹이를 내측에 안정적으로 수용하며, 흙 또는 이물질의 충격으로부터 견딜 수 있는 부식에 강한 재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몸체(10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유도등(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유도등(200)은 야간은 물론 주간에도 산불진화시 산불진화용 헬기가 확실하게 저수조(1)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화용수를 안전하게 취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유도등(200)은 상부면에 야광물질(미도시)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갑작스럽게 어두워짐에 의한 소화용수를 안정적으로 취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몸체(100)는 상부면이 하천(10)의 수면(16)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유도등(200)이 하천(10)의 이물질에 의해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수조 내측에 확보된 소화용수의 유속을 늦춰 안정적으로 산불진화용 헬기의 밤비버켓을 진입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유도등(200)은 합선 등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수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몸체(100)는 상부 내측면이 상부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경사면(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경사면(130)은 산불진화용 헬기의 밤비버켓이 소화용수가 확보되어 있는 저장공간(110)으로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실현케 할 뿐만 아니라 하천(10) 수면에 부유되어 있는 이물질이 몸체(100)의 상부 개구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경사면(130)은 저장공간(110)에 수용된 소화용수가 바람 또는 하천(10)의 유속에 의한 수면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산불진화용 헬기의 밤비버켓이 안전하게 투하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저수조(1)는 외측에 설치되는 수중모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100)는 바닥면부터 상부 외측면까지 형성되어 상기 수중모터(300)와 연결되는 순환유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는 동절기에 상기 수중모터(300)를 작동시켜 상부에 위치한 물보다 수온이 높은 하부에 위치한 물을 상부로 이동시켜 순환시킴으로써, 확보된 소화용수의 동결을 방지하여 동절기에도 소화용수를 용이하게 취수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몸체(100)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순환유로(140)와 연결되어 저장공간(110)에 확보된 소화용수를 용이하게 강제순환시켜 상기 소화용수를 대류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수중모터(300)는 수중에 설치되어 하천의 물을 상기 순환유로(140)를 통해 저장공간(110)의 하부로 분사되도록 하거나, 인접한 저수보(12)에 설치되어 압축공기를 상기 순환유로(140)를 통해 저장공간(110)의 하부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고, 하천(10)에 설치되어 하천(10)의 물을 저장공간(110)의 하부로 이동시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하천의 물 또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110) 내의 소화용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순환유로(140)는 몸체(100)를 이루고 있는 바닥면과 외측면의 내측에 내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저장공간(110)의 하부에서 압축공기 또는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몸체(100)는 상부면에 설치되어 외기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중모터(300)는 상기 온도센서(150)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150)로부터 측정된 외기온도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외기온도정보가 0℃ 이하이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산불발생시 모든 지역의 저수조(1)에 설치된 수중모터(300)를 하나하나 작동시키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수시로 변화하는 온도환경에 맞춰 자동으로 작동됨으로써, 저수조(1) 즉, 저장공간(110) 내 소화용수의 수면이 동결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몸체(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설치되는 안전망(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안전망(160)은 사람의 추락 등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안전망(160)은 사람 또는 동물이 몸체(100)의 내부 즉, 하천(10)의 다른 곳보다 깊이가 깊은 저장공간(110)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안전망(160)은 테두리가 몸체(10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테두리가 몸체(100)의 상부면에 결합시 복수 개의 합성수지 재질의 섬유로 결합되고, 내측은 물에 가라앉을 수 있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산불발생시 소방헬기의 밤비버켓이 몸체(100)의 상부로 진입되면 상기 밤비버켓의 무게에 의해 결합이 끊어져 저장공간(110)의 하부로 가라앉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제거가 필요없이 소화용수의 취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상기 안전망(160)과 몸체(100)의 결합력은 사람 또는 동물의 무게 즉,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소화용수 저수조(1)는 하천(10)의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충분한 소화용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하천의 바닥(14)으로부터 물을 수용하여 저장할 수 있는 저수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수관(400)은 상기 몸체(100)의 외측에 위치되는 하천(10)의 바닥(14)으로부터 상기 하천(10)의 바닥(14)에 매설된 상기 몸체(100)의 외측면에 관통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100)의 사방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산불진화용 소화용수가 저장되는 저장공간(410)이 형성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저수관(400)은 직경 및 형성되는 길이에 따라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몸체(100)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관통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저수관(400)은 하천(10)의 바닥(14)으로부터 물이 유입되기 때문에 이물질 등이 함께 유입되어 막히지 않도록 일측 즉, 상기 하천(10)의 바닥(14) 측의 입구에 앞서 설명된 유입홀(120)과 같이, 거름망(미표시)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추가적으로 돌망태(미표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저수관(400)는 일측 즉, 상기 하천(10)의 바닥(14) 측의 입구 내측에 설치되는 체크밸브(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수심이 낮아지거나 소방헬기의 밤비버켓이 저수조(1)에 유입되었을 경우 역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산불진화용 소화용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상기 저수관(400)은 하천(10)의 수위가 낮아진 경우에도 저수조(1) 내의 소화용수의 수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하천(10)의 수위가 낮아진 계절에도 충분한 산불진화용 소화용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몸체(100)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110)을 상부저장공간(112)과 하부저장공간(114)으로 구획하고, 내측면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오버플로우홀(510)이 형성되는 구획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획부(500)는 상기 몸체(100)의 저장공간(110)을 상부와 하부로 구획함으로써, 하부저장공간(114)에 저장되는 소화용수로 낙엽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하부저장공간(114)에 저장된 소화용수의 수질을 기존 하천의 수질에 비해 저하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구획부(500)는 소방헬기의 밤비버켓이 상부저장공간(112)에서 소화용수를 취수함으로써, 상기 밤비버켓이 몸체(10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소화용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구획부(500)는 하부방향으로 굴곡부가 형성되도록 만곡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부저장공간(112)으로 진입된 소방헬기의 밤비버켓이 상기 상부저장공간(112) 내에서 진행방향으로 이동하며 소화용수를 취수하는데, 상기 만곡된 형상에서 굴곡부가 몸체(100)의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되게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소방헬기의 진행방향으로 진입 및 이동하며 소화용수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취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구획부(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될 때, 즉, 몸체(100)의 내측면에 외측이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될 때, 상기 유입홀(1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홀(120)의 하부에 외측면이 위치되도록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유입홀(120)을 통해 유입되는 소화용수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상부저장공간(112)의 하부에 상기 이물질이 침전되도록 하여 하부저장공간(114)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상기 하부저장공간(114)에 유입되는 소화용수의 수질이 저하되거나 순환유로(140)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구획부(500)는 상부저장공간(112)으로 유입된 물 즉, 소화용수가 상기 하부저장공간(114)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다수 개의 미세이동홀(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미세이동홀(520)은 상부저장공간(112)에 저장된 소화용수가 천천히 하부저장공간(114)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이후에 설명되겠지만 수중모터(300)에 의해 하부저장공간(114)의 물을 상부저장공간(112)으로 공급하여 소방헬기가 소화용수를 용이하게 취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모터(300)는 저장공간(110) 즉, 하부저장공간(114)에 저장된 소화용수를 순환시키거나, 하천의 물을 강제로 공급하여 몸체(100) 외부의 하천의 물과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하부저장공간(114)에 저장된 소화용수의 수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하부저장공간(114)에 저장된 소화용수를 상부저장공간(112)으로 공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수중모터(300)는 소방헬기를 통해 소화용수의 취수가 필요한 경우 하부저장공간(114)에 저장된 소화용수를 상부저장공간(112)으로 공급하여 지속적으로 소화용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산불이 발생하면 소화용수는 수중모터(300)에 의해 하부저장공간(114)으로부터 상부저장공간(112)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는데, 소화용수가 과잉 공급되면 구획부(500)의 내측면 상부에 하나 이상 형성된 오버플로우홀(510)을 통해 하부저장공간(114)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구획부(500)에 의해 구획된 상부저장공간(112)은 상기 오버플로우홀(510)를 통해 공급된 소화용수가 일정 수위를 넘치게 되면 하부저장공간(114)으로 회수시켜 소화용수의 낭비를 방지하면서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어 소방헬기가 소화용수를 용이하게 수취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오버플로우홀(510)은 상기 구획부(500)의 외측면이 유입홀(12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몸체(100)의 내측면에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부저장공간(1112)으로 유입된 소화용수가 빠르게 하부저장공간(114)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소화용수의 확보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상기 하부저장공간(114)에 저장된 소화용수가 상기 수중모터(300)를 이용하여 상부저장공간(112)으로 이동하는 것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중모터(300)가 정 또는 역회전 즉, 하부저장공간(114)으로 압축공기 또는 하천의 물을 공급하여 분사하는 것과 반대로 작용할 수 있도록 작동되어 하부저장공간(114)에 저장된 소화용수를 상부저장공간(112)으로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공급유로를 통해 소화용수가 이동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공급유로의 일측이 상기 수중펌프(300)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유로의 타측이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연결되거나, 몸체(100)의 상부 개구부를 통해 상부저장공간(112)과 연결되어 상기 수중펌프(300)의 작동에 의해 하부저장공간(114)의 소화용수가 상부저장공간(112)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상부저장공간(112)으로 공급된 소화용수는 소방헬기에 의해 취수가 모두 끝난 경우 즉, 산불이 진화된 경우 앞서 설명된 미세이동홀(520)을 통해 자연스럽게 하부저장공간(114)으로 공급되어 저장 및 보관된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 : 저수조 10 : 하천
12 : 저수보 14 : 바닥
16 : 수면 100 : 몸체
110 : 저장공간 112 : 상부저장공간
114 : 하부저장공간 120 : 유입홀
122 : 거름망 124 : 돌망태
130 : 경사면 140 : 순환유로
150 : 온도센서 160 : 안전망
200 : 유도등 300 : 수중모터
400 : 저수관 500 : 구획부
510 : 오버플로우홀 520 : 미세이동홀

Claims (14)

  1. 상부가 개방되되,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저장공간(110)이 형성되고, 하천(10)의 바닥(14)에 하부가 매설되어 설치되며, 하천(10)의 바닥(14)에 매설되지 않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홀(120)이 관통 형성되는 타원 또는 장공 형태의 원기둥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유도등(200);과
    상기 몸체(100)의 외측에 설치되는 수중모터(300); 및
    상기 몸체(100)의 바닥면부터 상기 외측면까지 내장 형성되고 바닥면으로부터 소화용수를 분사하는 상기 수중모터(300)와 연결되는 순환유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110)을 상부저장공간(112)과 하부저장공간(114)으로 구획하고, 내측면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버플로우홀(510)이 형성되는 구획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용수 저수조는
    상기 하천(10)의 바닥(14)에 매설되어 상기 몸체(100)의 외측면에 관통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수관(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진화용 헬기의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부면이 하천(10)의 수면(16)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부 내측면이 상부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사면(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120)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거름망(1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120)은
    상기 거름망(122)의 전방에 설치되는 돌망태(1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부면에 설치되어 외기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온도센서(150)로부터 측정된 외기온도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외기온도정보가 0℃ 이하이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상부면에 설치되는 안전망(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관(400)에는 상기 하천(10)의 바닥(14) 측 입구에 설치되는 체크밸브(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관(400)의 입구에 설치된 체크밸브(420)의 전방에 거름망과 돌망태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모터(300)는
    하부저장공간(114)에 저장된 소화용수를 상부저장공간(112)으로 공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500)는
    관통형성되는 다수 개의 미세이동홀(5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500)는
    하부방향으로 굴곡부가 형성되도록 만곡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500)는
    상기 굴곡부가 몸체(100)의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KR1020190034826A 2018-11-28 2019-03-27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KR102205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49357 2018-11-28
KR1020180149357 2018-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947A true KR20200063947A (ko) 2020-06-05
KR102205135B1 KR102205135B1 (ko) 2021-01-20

Family

ID=71089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826A KR102205135B1 (ko) 2018-11-28 2019-03-27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1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87967A (zh) * 2023-01-06 2023-04-04 北京松山国家级自然保护区管理处(北京市松山林场管理处) 一种具有加热保温结构的森林灭火装置及其灭火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964B1 (ko) * 2021-12-02 2022-06-27 인재훈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655A (ko) * 1998-02-11 1999-09-06 정운익 담수호 및 분수대의 수온유지장치
KR100957070B1 (ko) * 2008-03-28 2010-05-13 이승영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KR101181927B1 (ko) 2012-03-08 2012-09-13 문상목 산불진화용 물공급 부이장치
KR101642726B1 (ko) 2014-06-26 2016-07-28 주식회사 링크로드씨앤씨 환경친화형 결빙방지장치
KR20180003181A (ko) *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디엔지 사수 방지 저수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655A (ko) * 1998-02-11 1999-09-06 정운익 담수호 및 분수대의 수온유지장치
KR100957070B1 (ko) * 2008-03-28 2010-05-13 이승영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KR101181927B1 (ko) 2012-03-08 2012-09-13 문상목 산불진화용 물공급 부이장치
KR101642726B1 (ko) 2014-06-26 2016-07-28 주식회사 링크로드씨앤씨 환경친화형 결빙방지장치
KR20180003181A (ko) *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디엔지 사수 방지 저수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87967A (zh) * 2023-01-06 2023-04-04 北京松山国家级自然保护区管理处(北京市松山林场管理处) 一种具有加热保温结构的森林灭火装置及其灭火方法
CN115887967B (zh) * 2023-01-06 2023-12-29 北京松山国家级自然保护区管理处(北京市松山林场管理处) 一种具有加热保温结构的森林灭火装置及其灭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135B1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135B1 (ko)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NO20110254A1 (no) Merdkonstruksjon
KR100966723B1 (ko) 하천 우회수로형 어도시설물
US10006213B2 (en) Swimming pool skimmer attachment
KR20150023582A (ko) 어로 작업용 신재생 발전단지
CN108945311B (zh) 一种滚塑浮标
KR100798127B1 (ko) 지열공 보호 및 지하수순환장치
KR100521900B1 (ko) 조위차를 이용한 해안가의 수영장 급배수 시설
CN111851390B (zh) 防止结冰对涉水建筑物破坏的装置及其方法
KR102358597B1 (ko)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JP2006239399A (ja) 避難装置
KR102221330B1 (ko) 산불 초동진화 장치
JP5308942B2 (ja) 融雪装置および融雪方法
RU2692527C1 (ru) Способ обводнения выработанных торфяников
US20140001107A1 (en) Foreign-object offshore processing system
US3023832A (en) Swimming pool ladder
JP2017066724A (ja) 凍結防止機能付き取水口
KR20100118094A (ko) 도로 및 임도를 이용한 산불진화용 빗물 저수시스템
KR101181927B1 (ko) 산불진화용 물공급 부이장치
KR20120096918A (ko) 도로 또는 임도에 설치하는 산불진화용 빗물 저수장치
CN112942504B (zh) 高海拔高速公路消防装置及其施工工艺
KR100875151B1 (ko) 물과 모래가 함께 샘솟는 연출이 가능한 장식용 인공샘
KR101854709B1 (ko) 수중보에서 물공급로가 구비된 어도
CN212697292U (zh) 一种海钓用诱鱼组件
KR20220138468A (ko)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