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597B1 -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597B1
KR102358597B1 KR1020210037607A KR20210037607A KR102358597B1 KR 102358597 B1 KR102358597 B1 KR 102358597B1 KR 1020210037607 A KR1020210037607 A KR 1020210037607A KR 20210037607 A KR20210037607 A KR 20210037607A KR 102358597 B1 KR102358597 B1 KR 102358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tank
rainwater
forest
rain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실
Original Assignee
장현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실 filed Critical 장현실
Priority to KR1020210037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5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6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put under pressure by means other than pressure ga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 상에 배치되고 빗물이 유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빗물 저수조; 상기 빗물 저수조에 연결되어 상기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산림 토양 바깥으로 외부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물 분사용 노즐홀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 배관; 및 상기 빗물 저수조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빗물 저수조에 저장된 빗물을 정해진 압력으로 상기 분사 배관을 통하여 이송시키는 펌프;를 포함하고, 산불 발생 시 상기 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빗물 저수조의 빗물이 상기 분사 배관으로 이송되고 상기 물 분사용 노즐홀을 통해 빗물이 분출되어 상기 분사 배관 주변을 물로 적심으로써 산불 확산 차단용 저지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ECO-FRIENDLY SYSTEM FOR CONSTRUCTING FOREST FIRE BLOCKING LIN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림 등에 구축되어 산불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임야 화재, 즉 산불은 주로 농작업용 모닥불, 등산객의 담배꽁초, 숲을 조성하기 위한 풀태우기, 산림에 인접한 주택의 화재 등 주로 인위적인 요인으로 발생하는 재난이다.
산불은 물 사정이 나쁘고 소화하는 데 어려움이 많은 장소에서 발생해서 바람 등에 의해 퍼져나가기 때문에 조기에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산불예방은 건조기에 화기나 인화물질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산림법에서는 산림의 보호를 위해 산불 예방을 위한 각종 금지행위와 입산통제 등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산림소유자 및 관리자는 산불예방 및 진화에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하며 허가 없이 산림 또는 산림에 근접한 지역에 불을 놓거나 가지고 들어가지 못하게 하고 있다. 만약,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미리 산불을 예방하는 시설을 마련하고 근접한 산림소유자 및 관리자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그 밖의 예방적 조치로서 방화선의 설정, 방화림(firebreak forest)의 조성, 유령림(young stand)의 풀베기와 밑가지치기, 숲길이나 보도의 정비, 저수시설, 흡연장소설치, 입산규제, 망이나 순찰에 의한 조기발견체제의 확립 등이 있다.
또한, 소방대를 편성하여 훈련시키는 것과 통보시설을 정비하는 것도 필요하다. 소화법으로는 흙이나 물을 끼얹기도 하고, 생나무 가지 등으로 불이 붙은 곳을 두들겨서 직접 불을 끄는 직접소화법이 사용되기도 하고, 불이 타는 속도가 빠를 경우에는 위험하여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연소되는 방향에 놓인 삼림을 벌채하여 가연물을 제거하고 방화선을 구축하여 산불 확산을 차단하는 간접소화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대형 산불의 경우에는 주로 간접소화법으로 대응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맞불을 놓아 끄기도 한다. 간접소화법에는 연소 전방에 방화선 등의 연소저지선을 설정해 놓는 방법, 지면을 파서 광물질 토양이 노출되게 하는 방법, 동력톱 등을 이용하여 임목을 벌채 제거하는 방법, 불도저를 이용하여 적절한 방화선을 구축하는 방법, 임도, 하천, 낭떠러지 등을 연소 저지선으로 이용하는 방법, 연소 진행 예상 방향에 헬기를 이용한 소화약제를 살포하는 방법 등이 있다.
직접적으로 산불을 진압하기 위해 투입되는 소방차는 차량의 구조상 산악지형 주행에 부적합하므로 화재장소에 진입이 어렵고 노즐 및 호스 등의 진화장비의 구조가 산림지역에서는 용이한 진화작업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저압 대용량으로 물이 분사되므로 물의 낭비가 심하여 장시간 진화작업을 하거나 분사하기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빗물 등과 같이 자연의 물을 산불 진화용수로 사용하고 산림에 대한 훼손을 최소하면서 물 분사가 가능한 배관을 이용해 저지선을 구축할 수 있는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림에 인접한 문화재나 사찰 또는 외딴 주택 등을 산불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계곡물이나 하천 등을 산불 진화용수로 사용하면서도 수질오염과 같은 환경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 상에 배치되고 빗물이 유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빗물 저수조; 상기 빗물 저수조에 연결되어 상기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산림 토양 바깥으로 외부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물 분사용 노즐홀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 배관; 및 상기 빗물 저수조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빗물 저수조에 저장된 빗물을 정해진 압력으로 상기 분사 배관을 통하여 이송시키는 펌프;를 포함하고, 산불 발생 시 상기 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빗물 저수조의 빗물이 상기 분사 배관으로 이송되고 상기 물 분사용 노즐홀을 통해 빗물이 분출되어 상기 분사 배관 주변을 물로 적심으로써 산불 확산 차단용 저지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빗물 저수조는, 지열을 이용할 수 있게 산림 토양의 표면로부터 정해진 깊이와 폭을 가진 구덩이 형태로 형성된 굴삭부; 상기 굴삭부의 입구 주변과 내부 측벽 및 바닥을 덮도록 설치된 방수포; 상기 굴삭부의 입구 주변에서 상기 방수포를 관통하여 표토에 박혀서 상기 방수포를 잡아주는 고정부재; 및 상기 굴삭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보호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굴삭부의 입구 둘레에는 외곽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둑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둑의 외곽에 있는 움푹한 부분에는 자갈이 채워져서 상기 방수포를 눌러주는 기능과 낙엽이나 이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을 가진 이물질 여과층이 형성되고,
주변으로부터 흘러온 빗물은 상기 이물질 여과층에 스며든 후 상기 둑을 넘거나 통과하여 상기 빗물 저수조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또는 상기 둑에는 주변으로부터 흘러온 빗물을 상기 저수조 내부로 통과시킬 수 있는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빗물 저수조의 주변에는 상기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상용전원공급기, 엔진발전기 또는 태양광 발전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분사 배관에 마련된 전동밸브와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펌프와 상기 전동밸브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휴대폰 또는 중앙통제기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원격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빗물 저수조마다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빗물 저수조들 간에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빗물 저수조의 수중에 배치되어 빗물 저수조 하부의 물을 상부로 순환시키고 수면에 물결을 일으키는 수중펌프 또는 수류모터로 이루어진 순환장치와, 상기 빗물 저수조의 수면 또는 수면으로부터 정해진 깊이의 수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정해진 온도 이하로 내려갔을 때 상기 순환장치를 작동시키는 마이컴을 구비한 결빙방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빗물 저수조는 단일한 분사 배관과 연결되어 단방향으로 빗물을 공급하거나, 적어도 두 개의 분사 배관과 연결되어 다방향으로 빗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는 산림에 형성되거나, 산림에 인접한 문화재, 사찰 또는 주택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빗물 저수조를 마련하는 단계; (b) 길이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물 분사용 노즐홀이 형성되어 있는 분사 배관과 상기 분사 배관에 연결되는 펌프를 구비하는 단계; 및 (c) 상기 빗물 저수조에 상기 분사 배관과 상기 펌프를 연결하고 상기 분사 배관을 상기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를 따라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산불 발생 시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빗물 저수조의 빗물을 상기 분사 배관으로 압송하여 상기 물 분사용 노즐홀을 통해 빗물을 분출시켜서 상기 분사 배관 주변을 물로 적심으로써 산불 확산 차단용 저지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a)는, 상기 빗물 저수조가 위치하게 될 개소의 산림 토양을 굴삭하여 정해진 폭과 깊이를 가진 구덩이 형태의 굴삭부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굴삭부의 입구 주변과 내부 측벽 및 바닥을 덮도록 방수포를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굴삭부의 입구 주변에서 상기 방수포를 관통하도록 표토에 고정부재를 박아서 상기 방수포를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굴삭부의 상부에 보호덮개를 설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굴삭부의 입구 둘레에는 외곽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둑을 형성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둑의 외곽에 있는 움푹한 부분에 자갈을 채워 넣어 이물질 여과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더 수행하고, 주변으로부터 흘러온 빗물은 상기 이물질 여과층의 내부로 스며든 후 상기 둑을 넘거나 통과하여 상기 빗물 저수조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단계 (c)는, 상기 빗물 저수조의 수중에 수중펌프 또는 수류모터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빗물 저수조 하부의 물을 상부로 순환시키고 수면에 물결을 일으켜서 결빙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산림에 인접하고 주변에는 저수지, 소류지, 하천, 계곡, 연못, 우물 또는 용출수가 있는 문화재, 사찰 또는 주택으로부터 산불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산불 확산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으로서, 저수지, 소류지, 하천, 계곡, 연못, 우물 및 용출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물 공급원에 연결되어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산림 토양 바깥으로 외부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물 분사용 노즐홀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 배관; 상기 분사 배관의 끝부분에 장착되어 연통되고 상기 물 공급원의 물속에 설치되는 유입관; 및 상기 분사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물 공급원의 물을 정해진 압력으로 상기 분사 배관을 통하여 이송시키는 펌프;를 포함하고, 산불 발생 시 상기 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물 공급원의 물이 상기 분사 배관으로 이송되고 상기 물 분사용 노즐홀을 통해 분출되어 상기 분사 배관 주변을 적심으로써 산불 확산 차단용 저지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유입관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단부는 막혀있거나 차폐망이 설치되어 있고 측부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관의 외곽 둘레에는 수중 생물이 상기 통공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망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의 외부면은 이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는 광촉매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원의 수중에 배치되어 상기 물 공급원 하부의 물을 상부로 순환시키고 수면에 물결을 일으키는 수중펌프 또는 수류모터로 이루어진 순환장치와, 상기 물 공급원의 수면 또는 수면으로부터 정해진 깊이의 수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정해진 온도 이하로 내려갔을 때 상기 순환장치를 작동시키는 마이컴을 구비한 결빙방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산림에 인접하고 주변에는 저수지, 소류지, 하천, 계곡, 연못, 우물 또는 용출수가 있는 문화재, 사찰 또는 주택으로부터 산불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산불 확산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의 시공방법으로서, (a) 저수지, 소류지, 하천, 계곡, 연못, 우물 및 용출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물 공급원으로 하고, 문화재, 사찰 또는 주택을 둘러싸는 패턴을 가진 산불 확산 저지선 경로를 선정하는 단계; (b) 길이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물 분사용 노즐홀이 형성되어 있고 끝부분에는 유입관이 연결된 분사 배관과 상기 분사 배관에 연결되는 펌프를 구비하는 단계; (c) 상기 물 공급원의 수중에 상기 유입관을 설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분사 배관과 상기 펌프를 연결하고 상기 분사 배관을 상기 산불 확산 저지선 경로를 따라서 연장되게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산불 발생 시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물 공급원의 물을 상기 분사 배관으로 압송하여 상기 물 분사용 노즐홀을 통해 분출시켜서 상기 분사 배관 주변을 물로 적심으로써 산불 확산 차단용 저지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는, 상기 유입관의 외곽 둘레에는 수중 생물이 상기 통공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망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d)는, 상기 물 공급원의 수중에 수중펌프 또는 수류모터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물 공급원 하부의 물을 상부로 순환시키고 수면에 물결을 일으켜서 결빙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빗물 저수조가 설치될 지점만 국소적으로 굴삭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산림 토양과 수목에 대한 훼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둘째, 저지선 경로를 따라 연장된 분사 배관 주변을 물로 적셔서 저지선을 구축하므로 장거리 구간도 저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다.
셋째, 산림에 인접한 문화재나 사찰 또는 주택 등을 산불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민가에서 발생한 화재가 산불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넷째, 계곡물이나 하천 등을 산불 진화용수로 사용하면서도 수질오염과 같은 환경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빗물 저수조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빗물 저수조에 단방향 및 다방향으로 분사 배관이 배치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 의해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이 구축된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시스템에 의해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이 구축된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빗물 저수조(10)와, 빗물 저수조(10)에 연결되어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를 따라 배치된 분사 배관(20)과, 빗물을 정해진 압력으로 분사 배관(20)을 통하여 이송시키는 펌프(30)를 포함한다. 산불 발생 시 펌프(30)의 작동에 의해 빗물 저수조(10)의 빗물이 분사 배관(20)으로 이송되고 분사 배관(20)의 측면에서 빗물이 분출되어 분사 배관(20) 주변을 물로 적심으로써 산불 확산 차단용 저지선을 형성한다. 산불 소화시간을 더욱 단축시키기 위해, 필요할 경우 빗물 저수조(10) 내부의 빗물에는 공지의 친환경성 소화약제가 추가로 투입될 수도 있다.
빗물 저수조(10)는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 상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 저수조(10)에는 빗물이 유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빗물 저수조(10)는 지열을 이용할 수 있게 산림 토양(1)의 표면로부터 정해진 깊이와 폭을 가진 구덩이 형태로 형성된 굴삭부(11)와, 굴삭부(11)의 입구 주변과 내부 측벽 및 바닥을 덮도록 설치된 방수포(12)와, 굴삭부(11)의 입구 주변에서 방수포(12)를 관통하여 표토에 박혀서 상기 방수포(12)를 잡아주는 고정부재(13)를 포함한다. 빗물 저수조(10)는 구덩이 형태 이외에도 친환경 수지 시트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탱크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빗물 저수조(10)가 구덩이 형태로 굴삭되어 형성된 예를 중심으로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굴삭부(11)는 포크레인과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산림 토양(1)을 굴삭함으로써 형성된다. 굴삭부(11)는 예컨대, 깊이 1.5m 내외, 직경 10~30m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굴삭부(11)의 크기는 저지선의 길이와 산림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굴삭부(11)는 산림 토양(1)의 표면로부터 굴삭되어 구덩이 형태로 형성되므로 땅속에 잔류하는 지열에 의해 빗물 저수조(10) 내의 빗물이 동절기에 결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방수포(12)는 방수가 가능한 다양한 형태와 소재를 가진 시트로 구성된 균등물로 대체 가능하다.
고정부재(13)는 방수포(12)가 빗물의 하중에 의해 굴삭부(11) 내부로 끌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부재(13)는 하단이 뾰족한 포스트(post)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재(13)는 굴삭부(11)의 입구 주변에서 방수포(12)를 관통하여 둑(1a) 부분의 표토에 박혀서 방수포(12)를 잡아준다. 고정부재(13)는 굴삭부(11)의 둘레에 복수개가 정해진 간격으로 고정된다. 대안으로, 고정부재(13)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금속 파이프 또는 금속봉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고정부재(13)는 굴삭부(11)의 입구 주변에서 방수포(12)를 관통하여 둑(1a) 부분의 표토에 박혀서 방수포(12)를 잡아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굴삭부(11)의 상부에는 보호덮개(14)가 배치된다. 보호덮개(14)는 예컨대, 강성을 가진 나무 판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굴삭부(11)는 고정부재(13)에 의해 지지되도록 고정부재(13)의 상부에 배치된다. 빗물 저수조(10)의 상부에 보호덮개(14)가 배치된 상태에서 주변으로부터 흘러온 빗물이 빗물 저수조(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13)에는 빗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유입구(13a)가 형성되어 있다.
굴삭부(11)의 입구 둘레에는 외곽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이물질이 빗물 저수조(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둑(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둑(1a)의 외곽에 있는 움푹한 부분에는 자갈이 채워져서 방수포(12)를 눌러주는 기능과 낙엽이나 이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을 가진 이물질 여과층(3)이 형성되어 있다. 주변으로부터 흘러온 빗물은 이물질 여과층(3)에 스며든 후 둑(1a)을 넘거나 통과하여 빗물 저수조(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다. 부가적으로, 둑(1a)에는 적어도 주변으로부터 흘러온 빗물을 빗물 저수조(10) 내부로 통과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분사 배관(20)은 빗물 저수조(10)에 연결되어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산림 토양(1) 바깥으로 외부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물 분사용 노즐홀(21)이 형성되어 있다. 분사 배관(20)의 일단은 직간접적으로 빗물 저수조(10)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부가적으로, 분사 배관(20)의 끝부분에는 빗물 저수조(10)의 내부에 잠기는 다수의 통공을 가진 유입관(23)이 연결될 수 있다.
물 분사용 노즐홀(21)은 단순히 분사 배관(20)의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홀(hole)이 뚫림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물 분사용 노즐홀(21)에는 소정의 홀을 가진 노즐부품이 추가로 압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펌프(30)는 빗물 저수조(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빗물 저수조(10)에 저장된 빗물을 정해진 압력으로 분사 배관(20)을 통하여 이송시킨다. 소정의 제어장치에 의해 산불 발생 시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장치(40)는 빗물 저수조(10)의 주변에 배치되어 펌프(30)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장치(40)는 주변 민가나 전력선으로부터 상용 전력을 공급받아 펌프(30)에 걸맞게 전력을 변환하여 공급하는 상용전원공급기가 채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전원장치(40)는 디젤과 같은 연료를 소모하고 전기를 생산하는 엔진발전기가 채용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 전원장치(40)는 태양광 패널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가 채용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전원장치(40) 주변에 설치되어 분사 배관(20)에 연결된 전동밸브와 상기 펌프(3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와 연결된다.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펌프(30)와 상기 전동밸브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휴대폰 또는 중앙통제기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부가적으로, 각각의 빗물 저수조(10)에는 소정의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이 배치되어 제어부와 연결되어 빗물 저수조(10)들 간에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빗물 저수조(10)들 간에 펌프(30) 작동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저수조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결빙방지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에 배치되는 수중펌프(30) 또는 수류모터로 구성된 순환장치(50)와, 빗물 저수조(10)의 수면(2) 또는 수면(2)으로부터 정해진 깊이의 수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와, 동절기에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정해진 온도 이하로 내려갔을 때 순환장치(50)를 작동시키는 마이컴(미도시)을 구비한다. 순환장치(50)가 작동하면 빗물 저수조(10) 하부의 물이 상부, 즉 수면(2)쪽으로 펌핑되어 상대적으로 예컨대, 4℃ 정도인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물이 상부로 이동되어 순환되고, 이와 더불어 수면(2)에 물결을 일으켜서 수면(2)의 결빙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의 시공방법은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빗물 저수조(10)를 마련하는 과정과, 길이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물 분사용 노즐홀(21)이 형성되어 있는 분사 배관(20)과 상기 분사 배관(20)에 연결되는 펌프(30)를 구비하는 과정과, 빗물 저수조(10)에 분사 배관(20)과 펌프(30)를 연결하고 상기 분사 배관(20)을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를 따라서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빗물 저수조(10)를 마련하는 과정에서는 빗물 저수조(10)가 위치하게 지점의 산림 토양(1)을 굴삭하여 정해진 폭과 깊이를 가진 구덩이 형태의 굴삭부(11)를 형성한다.
방수포(12)를 설치하는 과정은 굴삭부(11)의 입구 주변과 내부 측벽 및 바닥을 덮도록 방수포(12)를 설치한다.
방수포(12)를 설치한 후에는 굴삭부(11)의 입구 주변에서 상기 방수포(12)를 관통하도록 표토에 고정부재(13)를 박아서 상기 방수포(12)를 고정하는 과정과, 굴삭부(11)의 상부에 보호덮개(14)를 덮는 과정을 수행한다.
굴삭부(11)의 입구 둘레에는 외곽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둑(1a)을 형성하는 과정이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둑(1a)의 외곽에 있는 움푹한 부분에 자갈을 채워 넣어 이물질 여과층(3)을 형성하는 과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주변으로부터 빗물 저수조(10)로 흘러온 빗물은 이물질 여과층(3)의 내부로 스며든 후 둑(1a)을 넘거나 통과하여 상기 빗물 저수조(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다.
바람직하게, 빗물 저수조(10)의 수중에는 수중펌프(30) 또는 수류모터로 구성된 순환장치(50)를 설치하고, 빗물 저수조(10) 하부의 물을 상부로 순환시키고 수면(2)에 물결을 일으켜서 결빙을 방지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물 분사용 노즐홀(21)이 형성되어 있는 분사 배관(20)과 상기 분사 배관(20)에 연결되는 펌프(30)를 구비하는 과정과, 상기 빗물 저수조(10)에 상기 분사 배관(20)과 상기 펌프(30)를 연결하고 상기 분사 배관(20)을 상기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를 따라서 연장되게 설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의 설치가 완료된 이후 산불이 발생했을 때 원격제어 또는 센서 감지에 의한 자동제어를 통해 펌프(30)가 구동되어 빗물 저수조(10)의 빗물을 분사 배관(20)으로 압송하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물 분사용 노즐홀(21)을 통해 상방(공중)으로 빗물을 분출시켜서 분사 배관(20) 주변을 물로 적심으로써 산림을 가로지르거나 산기슭을 따라서 수 백 미터 내지 수 킬로미터의 산불 확산 차단용 저지선을 단시간에 형성한다.
도 4에는 산불 취약지인 초등학교에 인접한 산림을 가로질러서 복수개의 빗물 저수조(10)와 분사 배관(20)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산불 확산 차단용 저지선이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아파트 단지에 인접한 산기슭을 따라서 복수개의 빗물 저수조(10)와 분사 배관(20)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산불 확산 차단용 저지선이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시스템에 의해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이 구축되는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산림에 인접하고 주변에는 저수지, 소류지, 하천, 계곡, 연못, 우물 또는 용출수가 있는 문화재, 사찰 또는 주택으로부터 산불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산불 확산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은 산림에 인접한 물 공급원(10')에 연결되어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를 따라 배치된 분사 배관(20)과, 분사 배관(20)의 끝부분에 장착된 유입관(23)과, 물 공급원(10')의 물을 정해진 압력으로 분사 배관(20)을 통하여 이송시키는 펌프(30)를 포함한다. 산불 발생 시 펌프(30)의 작동에 의해 물 공급원(10')의 물이 상기 분사 배관(20)으로 이송되고 상기 물 분사용 노즐홀(21)을 통해 분출되어 상기 분사 배관(20) 주변을 적심으로써 산불 확산 차단용 저지선을 형성한다.
물 공급원(10')은 저수지, 소류지, 하천, 계곡, 연못, 우물 및 용출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채택된다.
분사 배관(20)은 물 공급원(10')에 연결되어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산림 토양(1) 바깥으로 외부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물 분사용 노즐홀(21)이 형성되어 있다.
유입관(23)은 분사 배관(20)의 끝부분에 장착되어 연통되고 물 공급원(10')의 수중에 설치된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입관(23)은 낙엽, 쓰레기 등 각종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끝부분은 막혀있거나 소정의 차단망이 설치되어 있고 측부에는 다수의 통공(23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입관(23)의 외곽 둘레에는 수중 곤충, 어류, 양서류 등과 같은 수중생물이 유입관(23)의 통공(23c)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원통 형상 또는 각형관 형상의 차폐망(24)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유입관(23)의 외부면은 이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는 광촉매 물질(23b)로 코팅된다. 광촉매 물질(23c)은 자외선이나 태양광에 노출되었을 때 활성산소를 발생시켜서 수중에 잔류하는 대장균을 살균하는 것은 물론 중금속, 비점오염물질 등을 분해하여 물 공급원(10')의 수질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펌프(30)는 분사 배관(20)에 연결되어 상기 물 공급원(10')의 물을 정해진 압력으로 상기 분사 배관(20)을 통하여 이송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빙방지장치는 물 공급원(10')의 수중에 배치되어 물 공급원(10') 하부의 물을 상부로 순환시키고 수면(2)에 물결을 일으키는 수중펌프 또는 수류모터로 이루어진 순환장치(50)와, 순환장치(50)와 연통되어 상부로 연장된 수직관(51)과, 수직관(51)의 상단에 배치되고 외주연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분출헤드(52)와, 물 공급원(10')의 수면(2) 또는 수면(2)으로부터 정해진 깊이의 수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정해진 온도 이하로 내려갔을 때 순환장치(50)를 작동시키는 마이컴(미도시)을 구비한다.
순환장치(50)는 태양광 전원을 사용하는 수중펌프(30) 또는 수류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물 공급원(10')의 주변에는 태양광 패널(60)이 배치되고, 태양광 패널(60)로부터 순환장치(50)까지 연장된 전원선(53)이 방수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결빙방지장치는 수면의 온도가 정해진 온도 이하로 내려갔을 때 순환장치(50)가 가동되어 물 공급원(10') 하부의 물을 상부로 순환시키고 수면(2)에 물결을 일으켜서 수면(2)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의 시공방법은 물 공급원(10')으로부터 보호 대상을 둘러싸는 패턴을 가진 산불 확산 저지선 경로를 선정하는 과정과, 길이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물 분사용 노즐홀(21)이 형성되어 있는 분사 배관(20)과 상기 분사 배관(20)에 연결되는 펌프(30)를 구비하는 과정과, 상기 물 공급원(10')에 분사 배관(20)과 펌프(30)를 연결하고 분사 배관(20)을 상기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를 따라서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산불 확산 저지선 경로를 선정하는 과정에서는 산림에 인접한 저수지, 소류지, 하천, 계곡, 연못, 우물 및 용출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물 공급원(10')으로 채택하고, 산림에 인접한 문화재, 사찰 또는 주택을 둘러싸는 패턴을 가진 산불 확산 저지선 경로를 선정한다.
바람직하게, 물 공급원(10')의 수중에는 수중펌프(30) 또는 수류모터로 구성된 순환장치(50)를 설치하고, 물 공급원(10') 하부의 물을 상부로 순환시키고 수면(2)에 물결을 일으켜서 결빙을 방지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결빙 방지 과정은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정해진 온도 이하로 내려갔을 때 순환장치(5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물 분사용 노즐홀(21)이 형성되어 있는 분사 배관(20)과 상기 분사 배관(20)에 연결되는 펌프(30)를 구비하는 과정과, 상기 물 공급원(10')에 상기 분사 배관(20)과 상기 펌프(30)를 연결하고 분사 배관(20)을 상기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를 따라서 설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의 설치가 완료된 이후 산불이 발생했을 때 원격제어 또는 센서 감지에 의한 자동제어를 통해 펌프(30)가 구동되어 물 공급원(10')의 물을 분사 배관(20)으로 압송하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물 분사용 노즐홀(21)을 통해 상방(공중)으로 물을 분출시켜서 분사 배관(20) 주변을 물로 적심으로써 문화재, 사찰 또는 주택을 둘러싸는 수 십 내지 수 백 미터의 산불 확산 차단용 저지선을 단시간에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 8에는 물 공급원(10')이 계곡물이고 산불 확산 저지선이 사찰을 둘러싸는 패턴으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는 물 공급원(10')이 우물이나 연못, 용출수 등이고 산불 확산 저지선이 산림과 인접한 외딴 주택을 둘러싸는 패턴으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산림에 대하여 최소한의 굴삭 작업을 수행하여 빗물 저수조(10)를 시공하거나, 산림에 인접한 계곡물, 하천, 우물, 연못, 용출수등을 자연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산림 토양(1)과 수목에 대한 훼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저지선 경로를 따라 분사 배관(20)을 연장 배치하고 분사 배관(20)의 주변을 물로 적셔서 저지선을 구축하므로 장거리 구간도 신속하게 저지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산림에 인접한 문화재나 사찰 또는 외딴 주택 등을 산불로부터 보호하거나, 산림에 인접한 상기 문화재, 사찰, 외딴 주택 등에서 발생한 화재가 산불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산림 토양 1a: 둑
2: 수면 3: 이물질 여과층
10: 빗물 저수조 10': 물 공급원
11: 굴삭부 12: 방수포
13: 고정부재 13a: 유입구
14: 보호덮개 20: 분사 배관
21: 물 분사용 노즐홀 23: 유입관
24: 차폐망 30: 펌프
40: 전원장치 50: 순환장치
51: 수직관 52: 분출헤드
53: 전원선 60: 태양광 패널

Claims (16)

  1.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 상에 배치되고 빗물이 유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빗물 저수조;
    상기 빗물 저수조에 연결되어 상기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산림 토양 바깥으로 외부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물 분사용 노즐홀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 배관; 및
    상기 빗물 저수조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빗물 저수조에 저장된 빗물을 정해진 압력으로 상기 분사 배관을 통하여 이송시키는 펌프;를 포함하고,
    산불 발생 시 상기 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빗물 저수조의 빗물이 상기 분사 배관으로 이송되고 상기 물 분사용 노즐홀을 통해 빗물이 분출되어 상기 분사 배관 주변을 물로 적심으로써 산불 확산 차단용 저지선을 형성하고,
    상기 빗물 저수조는,
    지열을 이용할 수 있게 산림 토양의 표면로부터 정해진 깊이와 폭을 가진 구덩이 형태로 형성된 굴삭부;
    상기 굴삭부의 입구 주변과 내부 측벽 및 바닥을 덮도록 설치된 방수포;
    상기 굴삭부의 입구 주변에서 상기 방수포를 관통하여 표토에 박혀서 상기 방수포를 잡아주는 고정부재; 및
    상기 굴삭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보호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굴삭부의 입구 둘레에는 외곽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둑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둑의 외곽에 있는 움푹한 부분에는 자갈이 채워져서 상기 방수포를 눌러주는 기능과 낙엽이나 이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을 가진 이물질 여과층이 형성되고,
    주변으로부터 흘러온 빗물은 상기 이물질 여과층에 스며든 후 상기 둑을 넘거나 통과하여 상기 빗물 저수조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또는 상기 둑에는 주변으로부터 흘러온 빗물을 상기 저수조 내부로 통과시킬 수 있는 유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저수조의 주변에는 상기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상용전원공급기, 엔진발전기 또는 태양광 발전장치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배관에 마련된 전동밸브와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펌프와 상기 전동밸브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휴대폰 또는 중앙통제기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원격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빗물 저수조마다 배치되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빗물 저수조들 간에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저수조의 수중에 배치되어 빗물 저수조 하부의 물을 상부로 순환시키고 수면에 물결을 일으키는 수중펌프 또는 수류모터로 이루어진 순환장치와, 상기 빗물 저수조의 수면 또는 수면으로부터 정해진 깊이의 수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정해진 온도 이하로 내려갔을 때 상기 순환장치를 작동시키는 마이컴을 구비한 결빙방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저수조는 단일한 분사 배관과 연결되어 단방향으로 빗물을 공급하거나, 적어도 두 개의 분사 배관과 연결되어 다방향으로 빗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는 산림에 형성되거나, 산림에 인접한 문화재, 사찰 또는 주택 주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12. (a)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빗물 저수조를 마련하는 단계;
    (b) 길이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물 분사용 노즐홀이 형성되어 있는 분사 배관과 상기 분사 배관에 연결되는 펌프를 구비하는 단계; 및
    (c) 상기 빗물 저수조에 상기 분사 배관과 상기 펌프를 연결하고 상기 분사 배관을 상기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를 따라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산불 발생 시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빗물 저수조의 빗물을 상기 분사 배관으로 압송하여 상기 물 분사용 노즐홀을 통해 빗물을 분출시켜서 상기 분사 배관 주변을 물로 적심으로써 산불 확산 차단용 저지선을 형성하고,
    상기 단계 (a)는,
    상기 빗물 저수조가 위치하게 될 개소의 산림 토양을 굴삭하여 정해진 폭과 깊이를 가진 구덩이 형태의 굴삭부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굴삭부의 입구 주변과 내부 측벽 및 바닥을 덮도록 방수포를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굴삭부의 입구 주변에서 상기 방수포를 관통하도록 표토에 고정부재를 박아서 상기 방수포를 고정하는 과정과,
    상기 굴삭부의 상부에 보호덮개를 설치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굴삭부의 입구 둘레에는 외곽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둑을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둑의 외곽에 있는 움푹한 부분에 자갈을 채워 넣어 상기 방수포를 눌러주는 기능과 낙엽이나 이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을 가진 이물질 여과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주변으로부터 흘러온 빗물은 상기 이물질 여과층의 내부로 스며든 후 상기 둑을 넘거나 통과하여 상기 빗물 저수조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의 시공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빗물 저수조의 수중에 수중펌프 또는 수류모터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빗물 저수조 하부의 물을 상부로 순환시키고 수면에 물결을 일으켜서 결빙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의 시공방법.
KR1020210037607A 2021-03-23 2021-03-23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358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607A KR102358597B1 (ko) 2021-03-23 2021-03-23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607A KR102358597B1 (ko) 2021-03-23 2021-03-23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597B1 true KR102358597B1 (ko) 2022-02-08

Family

ID=80252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607A KR102358597B1 (ko) 2021-03-23 2021-03-23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5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269B1 (ko) * 2022-05-26 2023-07-28 조선이공대학교산학협력단 산불확산방지용 소방수 저장탱크
KR102679150B1 (ko) * 2023-10-24 2024-06-26 배경호 산사태 및 화재 예방을 위한 다목적 임도 시공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847Y1 (ko) * 2002-08-30 2002-11-30 이형진 수질정화 기능을 구비하는 용수장치
KR101800545B1 (ko) * 2016-06-02 2017-11-24 장성규 빗물 저수조
KR101869012B1 (ko) * 2018-02-23 2018-06-20 이동기 산불진화용 담수지 결빙방지장치
KR20190092913A (ko) * 2018-01-31 2019-08-08 엄기현 산불 확산 저지 저수조
KR102164234B1 (ko) * 2020-01-08 2020-10-12 (주)테라조경 산불 방재장치와 이를 이용한 산불 방재방법
KR20200132337A (ko) * 2019-05-17 2020-11-25 주식회사 포리얼 문화재 화재 방지 강우 분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847Y1 (ko) * 2002-08-30 2002-11-30 이형진 수질정화 기능을 구비하는 용수장치
KR101800545B1 (ko) * 2016-06-02 2017-11-24 장성규 빗물 저수조
KR20190092913A (ko) * 2018-01-31 2019-08-08 엄기현 산불 확산 저지 저수조
KR101869012B1 (ko) * 2018-02-23 2018-06-20 이동기 산불진화용 담수지 결빙방지장치
KR20200132337A (ko) * 2019-05-17 2020-11-25 주식회사 포리얼 문화재 화재 방지 강우 분사 시스템
KR102164234B1 (ko) * 2020-01-08 2020-10-12 (주)테라조경 산불 방재장치와 이를 이용한 산불 방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269B1 (ko) * 2022-05-26 2023-07-28 조선이공대학교산학협력단 산불확산방지용 소방수 저장탱크
KR102679150B1 (ko) * 2023-10-24 2024-06-26 배경호 산사태 및 화재 예방을 위한 다목적 임도 시공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665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incidence of forest fires over large areas
CN103357127A (zh) 森林防火、灭火新方法及其设施装备
KR102358597B1 (ko)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204709681U (zh) 森林防火、灭火新设施装备
US20190175964A1 (en) Rapid deploy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a building against damage by an approaching wildfire
KR101965254B1 (ko) 수자원 관리를 통한 재난 방지시스템
KR20100121012A (ko) 산불방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220138468A (ko)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205135B1 (ko)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US7165626B2 (en) Fire prevention fence
US20090121045A1 (en) Fire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CN103170077A (zh) 林区集雨储水或高原高山管道引水储水防火灭火防虫施肥新方案
RU2692527C1 (ru) Способ обводнения выработанных торфяников
RU2639074C1 (ru) Способ тушения локальных наземных и подземных торфяных пожар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варианты)
RU262278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и способ его возведения
Mitchell-Jones Conserving and creating bat roosts
KR20240071688A (ko) 산불 예방 및 진화시스템
Morris et al. Controlling sediment movement following bushfire-a case study in managing water quality, Mount Bold, South Australia
CN213571984U (zh) 一种防风化的生态护坡
KR102561269B1 (ko) 산불확산방지용 소방수 저장탱크
KR102503219B1 (ko) 산불 방재용 인공 습지 구조물
Marten et al. Gregory Hughes, State Supervisor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1387 South Vinnell Way, Suite 368 Boise, Idaho 83709
Rodríguez-Alloza et al. Road design measures and strategies for the prevention and suppression of forest fires in Spain
de Almeida Melo et al. Fire against rural areas-proposal: Protection of rural properties against forest fires
JP2002294769A (ja) 木製枠組工法による地下貯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