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468A -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468A
KR20220138468A KR1020210040025A KR20210040025A KR20220138468A KR 20220138468 A KR20220138468 A KR 20220138468A KR 1020210040025 A KR1020210040025 A KR 1020210040025A KR 20210040025 A KR20210040025 A KR 20210040025A KR 20220138468 A KR20220138468 A KR 20220138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orest
water supply
pipe
spra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비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비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비다
Priority to KR102021004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8468A/ko
Publication of KR20220138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6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put under pressure by means other than pressure ga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63Tita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35/0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5/00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8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fa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림에 인접하고 주변에는 저수지, 소류지, 하천, 계곡물, 연못, 우물 또는 용출수가 있는 문화재, 보호수, 사찰 또는 주택으로부터 산불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산불 확산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으로서, 수지, 소류지, 하천, 계곡물, 연못, 우물 및 용출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물 공급원에 연결되어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산림 토양 바깥으로 외부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물 분사용 노즐홀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 배관; 기 분사 배관의 끝부분에 장착되어 연통되고 상기 물 공급원의 물속에 설치되는 유입관; 및 기 분사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물 공급원의 물을 정해진 압력으로 상기 분사 배관을 통하여 이송시키는 펌프;를 포함하고, 불 발생 시 상기 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물 공급원의 물이 상기 분사 배관으로 이송되고 상기 물 분사용 노즐홀을 통해 분출되어 상기 분사 배관 주변을 적심으로써 산불 확산 차단용 저지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ECO-FRIENDLY SYSTEM FOR CONSTRUCTING FOREST FIRE BLOCKING LINE WITHOUT EXCAVATI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림이나 산림에 인접한 문화재, 보호수, 사찰 또는 외딴 주택 등에 구축되어 산불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임야 화재, 즉 산불은 주로 농작업용 모닥불, 등산객의 담배꽁초, 숲을 조성하기 위한 풀태우기, 산림에 인접한 주택의 화재 등과 같은 인위적인 요인으로 발생하는 사회재난이다.
산불은 물 사정이 나쁘고 소화하는 데 어려움이 많은 장소에서 발생해서 바람 등에 의해 퍼져나가기 때문에 조기에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산림법에서는 산림의 보호를 위해 산불 예방을 위한 각종 금지행위와 입산통제 등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산림소유자 및 관리자는 산불예방 및 진화에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하며 허가 없이 산림 또는 산림에 근접한 지역에 불을 놓거나 인화물질을 가지고 들어가지 못하게 하고 있다. 만약, 허가를 받은 경우에는 미리 산불을 예방하는 시설을 마련하고 근접한 산림소유자 및 관리자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그 밖의 예방적 조치로는 방화선의 설정, 방화림(firebreak forest)의 조성, 유령림(young stand)의 풀베기와 밑가지치기, 숲길이나 보도의 정비, 저수시설, 흡연장소설치, 입산규제, 망이나 순찰에 의한 조기발견체제의 확립 등이 있다.
또한, 소방대를 편성하여 훈련시키는 것과 통보시설을 정비하는 것도 필요하다. 소화법으로는 흙이나 물을 끼얹기도 하고, 생나무 가지 등으로 불이 붙은 곳을 두들겨서 직접 불을 끄는 직접소화법이 사용되기도 하고, 불이 타는 속도가 빠를 경우에는 위험하여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연소되는 방향에 놓인 삼림을 벌채하여 가연물을 제거하고 방화선을 구축하여 산불 확산을 차단하는 간접소화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대형 산불의 경우에는 주로 간접소화법으로 대응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맞불을 놓아 끄기도 한다. 간접소화법에는 연소 전방에 방화선 등의 연소저지선을 설정해 놓는 방법, 지면을 파서 광물질 토양이 노출되게 하는 방법, 동력톱 등을 이용하여 임목을 벌채 제거하는 방법, 불도저를 이용하여 적절한 방화선을 구축하는 방법, 임도, 하천, 낭떠러지 등을 연소 저지선으로 이용하는 방법, 연소 진행 예상 방향에 헬기를 이용한 소화약제를 살포하는 방법 등이 있다.
직접적으로 산불을 진압하기 위해 투입되는 소방차는 차량의 구조상 산악지형 주행에 부적합하므로 화재장소에 진입이 어렵고 노즐 및 호스 등의 진화장비의 구조가 산림지역에서는 용이한 진화작업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저압 대용량으로 물이 분사되므로 물의 낭비가 심하여 장시간 진화작업을 하거나 분사하기에 부적합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저수지, 소류지, 하천, 계곡물, 연못, 우물 또는 용출수 등과 같은 자연의 물을 산불 진화용수로 사용하고 산림에 대한 훼손을 최소하면서 물 분사가 가능한 배관을 이용해 저지선을 구축할 수 있는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림에 인접한 문화재나 보호수, 사찰 또는 외딴 주택 등을 산불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수지, 소류지, 하천, 계곡물, 연못, 우물 또는 용출수 등을 산불 진화용수로 사용하면서도 수질오염과 같은 환경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산림에 인접하고 주변에는 저수지, 소류지, 하천, 계곡물, 연못, 우물 또는 용출수가 있는 문화재, 보호수, 사찰 또는 주택으로부터 산불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산불 확산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으로서, 저수지, 소류지, 하천, 계곡물, 연못, 우물 및 용출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물 공급원에 연결되어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산림 토양 바깥으로 외부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물 분사용 노즐홀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 배관; 상기 분사 배관의 끝부분에 장착되어 연통되고 상기 물 공급원의 물속에 설치되는 유입관; 및 상기 분사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물 공급원의 물을 정해진 압력으로 상기 분사 배관을 통하여 이송시키는 펌프;를 포함하고, 산불 발생 시 상기 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물 공급원의 물이 상기 분사 배관으로 이송되고 상기 물 분사용 노즐홀을 통해 분출되어 상기 분사 배관 주변을 적심으로써 산불 확산 차단용 저지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유입관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단부는 막혀있거나 차폐망이 설치되어 있고 측부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관의 외곽 둘레에는 수중 생물이 상기 통공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망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의 외부면은 이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는 광촉매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원의 수중에 배치되어 상기 물 공급원 하부의 물을 상부로 순환시키고 수면에 물결을 일으키는 수중펌프 또는 수류모터로 이루어진 순환장치와, 상기 물 공급원의 수면 또는 수면으로부터 정해진 깊이의 수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정해진 온도 이하로 내려갔을 때 상기 순환장치를 작동시키는 마이컴을 구비한 결빙방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산림에 인접하고 주변에는 저수지, 소류지, 하천, 계곡물, 연못, 우물 또는 용출수가 있는 문화재, 보호수, 사찰 또는 주택으로부터 산불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산불 확산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의 시공방법으로서, (a) 저수지, 소류지, 하천, 계곡물, 연못, 우물 및 용출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물 공급원으로 하고, 문화재, 보호수, 사찰 또는 주택을 둘러싸는 패턴을 가진 산불 확산 저지선 경로를 선정하는 단계; (b) 길이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물 분사용 노즐홀이 형성되어 있고 끝부분에는 유입관이 연결된 분사 배관과 상기 분사 배관에 연결되는 펌프를 구비하는 단계; (c) 상기 물 공급원의 수중에 상기 유입관을 설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분사 배관과 상기 펌프를 연결하고 상기 분사 배관을 상기 산불 확산 저지선 경로를 따라서 연장되게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산불 발생 시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물 공급원의 물을 상기 분사 배관으로 압송하여 상기 물 분사용 노즐홀을 통해 분출시켜서 상기 분사 배관 주변을 물로 적심으로써 산불 확산 차단용 저지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는, 상기 유입관의 외곽 둘레에는 수중 생물이 상기 통공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망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d)는, 상기 물 공급원의 수중에 수중펌프 또는 수류모터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물 공급원 하부의 물을 상부로 순환시키고 수면에 물결을 일으켜서 결빙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계곡물이나 하천, 용출수 등을 자연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산림 토양과 수목에 대한 훼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둘째, 저지선 경로를 따라 연장된 분사 배관 주변을 물로 적셔서 저지선을 구축하므로 장거리 구간도 저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다.
셋째, 산림에 인접한 문화재나 보호수, 사찰 또는 주택 등을 산불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민가에서 발생한 화재가 산불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넷째, 계곡물이나 하천, 용출수 등을 산불 진화용수로 사용하면서도 수질오염, 수중 생태계 파괴와 같은 환경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물 공급원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 의해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이 구축된 패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물 공급원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물 공급원(10')에 연결되어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를 따라 배치된 분사 배관(20)과, 물 공급원(10')의 물을 정해진 압력으로 분사 배관(20)을 통하여 이송시키는 펌프(30)를 포함한다. 산불 발생 시 펌프(30)의 작동에 의해 물 공급원(10')의 물 공급원의 물이 분사 배관(20)으로 이송되고 분사 배관(20)의 측면에서 물 공급원(10')의 물이 분출되어 분사 배관(20) 주변을 물로 적심으로써 산불 확산 차단용 저지선을 형성한다. 산불 소화시간을 더욱 단축시키기 위해, 필요할 경우 물 공급원(10') 내부의 물 공급원의 물에는 공지의 친환경성 소화약제가 추가로 투입될 수도 있다.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은, 산림에 인접하고 주변에는 물 공급원(10')이 있는 문화재, 보호수, 사찰 또는 주택에서 발생한 화재가 산불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산불이 문화재, 보호수, 사찰 또는 주택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여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 공급원(10')은 산중에 있거나 산림에 인접하게 위치한 저수지, 소류지, 하천, 계곡물, 연못, 우물 및 용출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채용된다.
분사 배관(20)은 물 공급원(10')에 연결되어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산림 토양(1) 바깥으로 외부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물 분사용 노즐홀(21)이 형성되어 있다. 분사 배관(20)의 일단은 직간접적으로 물 공급원(10')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물 분사용 노즐홀(21)은 단순히 분사 배관(20)의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홀(hole)이 뚫림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물 분사용 노즐홀(21)에는 소정의 홀을 가진 노즐부품이 추가로 압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유입관(23)은 분사 배관(20)의 끝부분에 장착되어 연통되고 물 공급원(10')의 수중에 설치된다. 유입관(23)은 낙엽, 쓰레기 등 각종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끝부분은 막혀있거나 소정의 차단망이 설치되어 있고 측부에는 다수의 통공(23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입관(23)의 외곽 둘레에는 수중 곤충, 어류, 양서류 등과 같은 수중생물이 유입관(23)의 통공(23c)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원통 형상 또는 각형관 형상의 차폐망(24)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유입관(23)의 외부면은 이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는 광촉매 물질(23b)로 코팅된다. 광촉매 물질(23c)은 자외선이나 태양광에 노출되었을 때 활성산소를 발생시켜서 수중에 잔류하는 대장균을 살균하는 것은 물론 중금속, 비점오염물질 등을 분해하여 물 공급원(10')의 수질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펌프(30)는 물 공급원(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물 공급원(10')에 저장된 물 공급원의 물을 정해진 압력으로 분사 배관(20)을 통하여 이송시킨다. 펌프(30)는 소정의 제어장치에 의해 산불 발생 시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원(10')에는 결빙방지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빙방지장치는 물 공급원(10')의 수중에 배치되어 물 공급원(10') 하부의 물을 상부로 순환시키고 수면에 물결을 일으키는 수중펌프 또는 수류모터로 이루어진 순환장치(50)와, 순환장치(50)와 연통되어 상부로 연장된 수직관(51)과, 수직관(51)의 상단에 배치되고 외주연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분출헤드(52)와, 물 공급원(10')의 수면 또는 상기 수면으로부터 정해진 깊이의 수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정해진 온도 이하로 내려갔을 때 순환장치(50)를 작동시키는 마이컴(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순환장치(50)는 태양광 전원을 사용하는 수중펌프(30) 또는 수류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물 공급원(10')의 주변에는 태양광 패널(60)이 배치되고, 태양광 패널(60)로부터 순환장치(50)까지 연장된 전원선(53)이 방수 가능하게 연결된다. 순환장치(50)가 작동하면 물 공급원(10') 하부의 물이 상부, 즉 수면 쪽으로 펌핑되어 상대적으로 예컨대, 4℃ 정도인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물이 상부로 이동되어 순환되고, 이와 더불어 수면에 물결을 일으켜서 수면의 결빙을 방지한다.
상기 결빙방지장치는 수면의 온도가 정해진 온도 이하로 내려갔을 때 순환장치(50)가 가동되어 물 공급원(10') 하부의 물을 상부로 순환시키고 수면에 물결을 일으켜서 수면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원장치(40)는 물 공급원(10')의 주변에 배치되어 펌프(30)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바람직하게, 전원장치(40)로는 주변 민가나 전력선으로부터 상용 전력을 공급받아 펌프(30)에 걸맞게 전력을 변환하여 공급하는 상용전원공급기가 채용된다. 대안으로, 전원장치(40)는 태양광 패널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가 채용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 전원장치(40)는 디젤과 같은 연료를 소모하고 전기를 생산하는 엔진발전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제어반(미도시)은 전원장치(40) 주변에 설치되어 분사 배관(20)에 연결된 전동밸브와 상기 펌프(3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와 연결된다.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펌프(30)와 상기 전동밸브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휴대폰 또는 중앙통제기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의 시공방법은 물 공급원(10')으로부터 보호 대상을 둘러싸는 패턴을 가진 산불 확산 저지선 경로를 선정하는 과정과, 길이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물 분사용 노즐홀(21)이 형성되어 있는 분사 배관(20)과 상기 분사 배관(20)에 연결되는 펌프(30)를 구비하는 과정과, 상기 물 공급원(10')에 분사 배관(20)과 펌프(30)를 연결하고 분사 배관(20)을 상기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를 따라서 설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산불 확산 저지선 경로를 선정하는 과정에서는 산림에 인접한 저수지, 소류지, 하천, 계곡물, 연못, 우물 및 용출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물 공급원(10')으로 채택하고, 산림에 인접한 문화재, 보호수, 사찰 또는 주택을 둘러싸는 패턴을 가진 산불 확산 저지선 경로를 선정한다.
바람직하게, 물 공급원(10')의 수중에는 수중펌프 또는 수류모터로 구성된 순환장치(50)를 설치하고, 물 공급원(10') 하부의 물을 상부로 순환시키고 수면에 물결을 일으켜서 결빙을 방지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결빙 방지 과정은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정해진 온도 이하로 내려갔을 때 순환장치(5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물 분사용 노즐홀(21)이 형성되어 있는 분사 배관(20)과 상기 분사 배관(20)에 연결되는 펌프(30)를 구비하는 과정과, 상기 물 공급원(10')에 상기 분사 배관(20)과 상기 펌프(30)를 연결하고 분사 배관(20)을 상기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를 따라서 설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의 설치가 완료된 이후 산불이 발생했을 때 원격제어 또는 센서 감지에 의한 자동제어를 통해 펌프(30)가 구동되어 물 공급원(10')의 물을 분사 배관(20)으로 압송하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물 분사용 노즐홀(21)을 통해 상방(공중)으로 물을 분출시켜서 분사 배관(20) 주변을 물로 적심으로써 문화재, 보호수, 사찰 또는 주택을 둘러싸는 수 십 내지 수 백 미터의 산불 확산 차단용 저지선을 단시간에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 4에는 물 공급원(10')이 계곡물이고 산불 확산 저지선이 사찰을 둘러싸는 패턴으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물 공급원(10')이 우물이나 연못, 용출수 등이고 산불 확산 저지선이 산림과 인접한 외딴 주택을 둘러싸는 패턴으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산림에 대한 굴착 작업 없이, 산중에 있거나 산림에 가까이 위치한 계곡물, 저수지, 하천, 우물, 연못, 용출수 등을 자연 그대로 활용함으로써 산림 토양(1)과 수목에 대한 훼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저지선 경로를 따라 분사 배관(20)을 연장 배치하고 분사 배관(20)의 주변을 물로 적셔서 저지선을 구축하므로 장거리 구간도 신속하게 저지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산림에 인접한 문화재나 보호수, 사찰 또는 외딴 주택 등을 산불로부터 보호하거나, 산림에 인접한 상기 문화재, 보호수, 사찰, 외딴 주택 등에서 발생한 화재가 산불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산림 토양 10': 물 공급원
20: 분사 배관 21: 물 분사용 노즐홀
23: 유입관 24: 차폐망
30: 펌프 40: 전원장치
50: 순환장치 51: 수직관
52: 분출헤드 53: 전원선
60: 태양광 패널

Claims (7)

  1. 산림에 인접하고 주변에는 저수지, 소류지, 하천, 계곡물, 연못, 우물 또는 용출수가 있는 문화재, 보호수, 사찰 또는 주택으로부터 산불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산불 확산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으로서,
    저수지, 소류지, 하천, 계곡물, 연못, 우물 및 용출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물 공급원에 연결되어 산불 확산 저지선이 구축될 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산림 토양 바깥으로 외부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물 분사용 노즐홀이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 배관;
    상기 분사 배관의 끝부분에 장착되어 연통되고 상기 물 공급원의 물속에 설치되는 유입관; 및
    상기 분사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물 공급원의 물을 정해진 압력으로 상기 분사 배관을 통하여 이송시키는 펌프;를 포함하고,
    산불 발생 시 상기 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물 공급원의 물이 상기 분사 배관으로 이송되고 상기 물 분사용 노즐홀을 통해 분출되어 상기 분사 배관 주변을 적심으로써 산불 확산 차단용 저지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단부는 막혀있거나 차단망이 설치되어 있고 측부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관의 외곽 둘레에는 수중 생물이 상기 통공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망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의 외부면은 이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는 광촉매 물질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원의 수중에 배치되어 상기 물 공급원 하부의 물을 상부로 순환시키고 수면에 물결을 일으키는 수중펌프 또는 수류모터로 이루어진 순환장치와, 상기 물 공급원의 수면 또는 수면으로부터 정해진 깊이의 수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이 정해진 온도 이하로 내려갔을 때 상기 순환장치를 작동시키는 마이컴을 구비한 결빙방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5. 산림에 인접하고 주변에는 저수지, 소류지, 하천, 계곡물, 연못, 우물 또는 용출수가 있는 문화재, 보호수, 사찰 또는 주택으로부터 산불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산불 확산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의 시공방법으로서,
    (a) 저수지, 소류지, 하천, 계곡물, 연못, 우물 및 용출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물 공급원으로 하고, 문화재, 보호수, 사찰 또는 주택을 둘러싸는 패턴을 가진 산불 확산 저지선 경로를 선정하는 단계;
    (b) 길이방향을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물 분사용 노즐홀이 형성되어 있고 끝부분에는 유입관이 연결된 분사 배관과 상기 분사 배관에 연결되는 펌프를 구비하는 단계;
    (c) 상기 물 공급원의 수중에 상기 유입관을 설치하는 단계; 및
    (d) 상기 분사 배관과 상기 펌프를 연결하고 상기 분사 배관을 상기 산불 확산 저지선 경로를 따라서 연장되게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산불 발생 시 상기 펌프를 구동하여 상기 물 공급원의 물을 상기 분사 배관으로 압송하여 상기 물 분사용 노즐홀을 통해 분출시켜서 상기 분사 배관 주변을 물로 적심으로써 산불 확산 차단용 저지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의 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유입관의 외곽 둘레에는 수중 생물이 상기 통공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망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의 시공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원의 수중에 수중펌프 또는 수류모터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물 공급원 하부의 물을 상부로 순환시키고 수면에 물결을 일으켜서 결빙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의 시공방법.
KR1020210040025A 2021-03-27 2021-03-27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2201384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025A KR20220138468A (ko) 2021-03-27 2021-03-27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025A KR20220138468A (ko) 2021-03-27 2021-03-27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468A true KR20220138468A (ko) 2022-10-13

Family

ID=83599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025A KR20220138468A (ko) 2021-03-27 2021-03-27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84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4341B2 (en) Rain maker wildfire protection and containment system
US200902665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incidence of forest fires over large areas
CN103357127A (zh) 森林防火、灭火新方法及其设施装备
KR102358597B1 (ko) 산림보호용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965254B1 (ko) 수자원 관리를 통한 재난 방지시스템
KR20220138468A (ko) 산림보호용 비굴착식 친환경 저지선 구축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100121012A (ko) 산불방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0669069B1 (ko) 산불 진화용 우수 저장탱크의 물 분사장치
Countryman Can southern California wildland conflagrations be stopped?
Wurster et al. Forested peatland management in southeast Virginia and northeast North Carolina, USA
US20050145396A1 (en) Fire prevention fence
KR20200063947A (ko)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RU2630649C1 (ru) Способ тушения локальных подземных торфяных пожар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CN103170077A (zh) 林区集雨储水或高原高山管道引水储水防火灭火防虫施肥新方案
RU2692527C1 (ru) Способ обводнения выработанных торфяников
JP3357923B2 (ja) 消火システム
RU262278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и способ его возведения
KR200392607Y1 (ko) 산불 예방용 매립형 물탱크 설치구조
Nicolas et al. A Field-Level Approach to Coastal Peat and Coal-Seam Fires in South Sumatra Province Indonesia
KR20240071688A (ko) 산불 예방 및 진화시스템
de Almeida Melo et al. Fire against rural areas-proposal: Protection of rural properties against forest fires
KR20240023717A (ko) 산불의 화선을 제압하는 내화수림대의 구성체계와 그 방법
Gomez Degradation of vegetation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due to natural disasters and land use strategies to mitigate their impacts on agriculture, rangelands and forestry
Imanudin et al. Development of Control Drainage Operation Model and Utilization Planning of Post-Fire Peatlands
Mitchell-Jones Conserving and creating bat ro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