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330B1 - 산불 초동진화 장치 - Google Patents

산불 초동진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330B1
KR102221330B1 KR1020190152887A KR20190152887A KR102221330B1 KR 102221330 B1 KR102221330 B1 KR 102221330B1 KR 1020190152887 A KR1020190152887 A KR 1020190152887A KR 20190152887 A KR20190152887 A KR 20190152887A KR 102221330 B1 KR102221330 B1 KR 102221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ace
fire
main body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균
Original Assignee
김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균 filed Critical 김영균
Priority to KR1020190152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5/00Extinguishers essentially of the knaps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72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prayed or atomised wa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불 초동진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부의 내부에 소화장비가 구비되어 있기에 산불 진화 장비를 최소한으로만 착용 후 빠르게 올라가 진화할 수 있고, 빗물 또는 눈이 녹은 물 등이 물탱크에 저장되어 있기에 산불 진화시 부족한 용수를 손쉽게 재충전 후 이어서 소화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산불 초동진화 장치를 통해 산악 지형 곳곳에 최소한의 장비를 비치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누구든지 초기 진화가 가능하고, 대형 산불로 이어지는 것으로 막을 수 있으며, 소방차의 진입이 어려운 문화제, 산촌가옥, 사찰 등에 화재가 발생할 시 물이 항시 채워져 있는 등짐펌프버킷을 신속히 운반하여 화재진화용 방화수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산불 초동진화 장치{Forest fire super fire extinguishing device}
본 발명은 산불 초동진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부의 내부에 소화장비가 구비되어 있기에 산불 진화 장비를 최소한으로만 착용 후 빠르게 올라가 진화할 수 있고, 빗물 또는 눈이 녹은 물 등이 물탱크에 저장되어 있기에 산불 진화시 부족한 용수를 손쉽게 재충전 후 이어서 소화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산불 초동진화 장치를 통해 산악 지형 곳곳에 최소한의 장비를 비치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누구든지 초기 진화가 가능하고, 대형 산불로 이어지는 것으로 막을 수 있는 산불 초동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불이 발생하면 산불진화 장비나 산불진화 인력의 투입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주로 버킷이 장착된 소방헬기를 산불발생지역에 투입하여 산불을 진화한다.
이러한 소방헬기에 의한 산불진화 방법을 살펴보면, 버킷이 장착된 소방헬기가 산불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강이나 댐, 호스로 이동하여 산불진화에 필요한 물을 버킷에 채운 다음 소방헬기가 다시 산불지역으로 이동하여 버킷에 담긴 물을 방출함으로써 산불진화를 한다.
그리고 소방헬기에 의해 초기의 헬기 진화가 완료되면 잔불제거를 위해 산림공무원이나 전문진화대, 의용소방대 등의 진화대를 산불발생지역에 투입한다.
그러나 산불은 신속한 초기 진화가 관건이나 종래의 버킷을 장착한 소방헬기에 의해 산불진화 방법의 경우 산불진화를 위한 물이 버킷에 채워져 있지 않기 때문에 소방헬기가 산불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강이나 댐 호스로 이동하여 버킷에 물을 채워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버킷에 물을 채우는데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산불진화시간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10539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부의 내부에 소화장비가 구비되어 있기에 산불 진화 장비를 최소한으로만 착용 후 빠르게 올라가 진화할 수 있고, 빗물 또는 눈이 녹은 물 등이 물탱크에 저장되어 있기에 산불 진화시 부족한 용수를 손쉽게 재충전 후 이어서 소화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산불 초동진화 장치를 통해 산악 지형 곳곳에 최소한의 장비를 비치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누구든지 초기 진화가 가능하고, 대형 산불로 이어지는 것으로 막을 수 있는 산불 초동진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소방차의 진입이 어려운 문화제, 산촌가옥, 사찰 등에 화재가 발생할 시 물이 항시 채워져 있는 등짐펌프버킷을 신속히 운반하여 화재진화용 방화수로 사용할 수 있는 산불 초동진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고, 내부가 다수개의 구획공간으로 격벽에 의해 나눠져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다수개 구획공간 중 어느 하나의 구획공간에 설치되어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빗물 또는 눈이 녹은 물을 1차 필터링하도록 거름망이 설치되는 지붕부와;
상기 지붕부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태양광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광 패널과;
상기 지붕부와 본체부 사이에 구비되어 물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지붕부를 통해 1차 필터링되어 유입된 물을 한 곳으로 모아서 물탱크에 전달하기 전에 2차 필터링하도록 필터가 설치되는 수집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초동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부는, 다수개의 구획공간 중 전면에 소화장비가 보관되는 제 1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공간부의 후면에 물탱크가 설치되는 제 2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공간부와 제 2 공간부 하부에는 물탱크 내의 물을 공급받는 다수개의 등짐펌프버킷이 구비되는 제 3 공간부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초동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부의 제 3 공간부에는 물탱크와 연결되어 다수개의 등짐펌프버킷에 물탱크의 물을 공급하는 자동급수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초동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부의 전면에는 제 1 공간부와 제 3 공간부를 개폐하는 개폐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는 지면의 지형에 따라 본체부의 수평이 조절되는 높이 조절용 다리가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초동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급수장치는,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는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에서 다수개의 등짐펌프버킷에 맞춰 다방향으로 분기되는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에 다수개가 형성되어 등짐펌프버킷에 공급하는 물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볼탑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초동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산불 초동진화 장치는 본체부의 내부에 소화장비가 구비되어 있기에 산불 진화 장비를 최소한으로만 착용 후 빠르게 올라가 진화할 수 있고, 빗물 또는 눈이 녹은 물 등이 물탱크에 저장되어 있기에 산불 진화시 부족한 용수를 손쉽게 재충전 후 이어서 소화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산불 초동진화 장치를 통해 산악 지형 곳곳에 최소한의 장비를 비치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누구든지 초기 진화가 가능하고, 대형 산불로 이어지는 것으로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방차의 진입이 어려운 문화제, 산촌가옥, 사찰 등에 화재가 발생할 시 물이 항시 채워져 있는 등짐펌프버킷을 신속히 운반하여 화재진화용 방화수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초동진화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초동진화 장치를 나타낸 분해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초동진화 장치를 나타낸 분해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일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초동진화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초동진화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초동진화 장치를 나타낸 분해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초동진화 장치를 나타낸 분해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일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불 초동진화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산불 초동진화 장치는 본체부(10)와, 물탱크(20)와, 지붕부(30)와, 태양광 패널(40)과, 수집판(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악 지형에 설치되는데, 지면의 형태에 따라 수평을 맞춰서 설치해야하는데,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는 지면의 지형에 따라 본체부(10)의 수평이 조절되는 높이 조절용 다리(16)가 다수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높이 조절용 다리(16)는 개별적으로 상,하 높이가 조절되기에 지면의 지형에 따라 본체부(10)의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0)의 내부는 격벽(14)에 의해 다수개의 구획공간으로 나눠져 있는데, 상기 다수개의 구획공간 중 본체부(10)의 전면에는 소화장비가 보관되는 제 1 공간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공간부(11)의 후면에는 물탱크(20)가 설치되는 제 2 공간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공간부(11)와 제 2 공간부(12) 하부에는 물탱크(20) 내의 물을 공급받는 다수개의 등짐펌프버킷(미도시)이 구비되는 제 3 공간부(1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공간부(11)에는 태양광 패널(40)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비상벨(17)이 설치되어 비상벨(17)를 누르면 경보음과 함께 GPS 기능으로 위치가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공간부(11)와 제 2 공간부(12) 사이에는 수직으로 격벽(14)이 형성되고, 상기 제 1,2 공간부(11,12)와 제 3 공간부(13) 사이에는 수평으로 격벽(14)이 형성되어 다수개의 공간부로 구획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에는 제 1 공간부(11)와 제 3 공간부(13)를 개폐하는 개폐도어(15)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도어(15)는 양문형으로 형성되지만 미닫이 형식 등 다양한 형식으로 설치가능하고, 상기 개폐도어(15)의 일측면에는 내부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창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제 3 공간부(13)에는 물탱크(20)와 연결되어 다수개의 등짐펌프버킷에 물탱크(20)의 물을 공급하는 자동급수장치(60)가 형성되는데, 상기 자동급수장치(60)는 상기 물탱크(20)와 연결되는 메인관(61)과; 상기 메인관(61)에서 다수개의 등짐펌프버킷에 맞춰 다방향으로 분기되는 분기관(62)과; 상기 분기관(62)에 다수개가 형성되어 등짐펌프버킷에 공급하는 물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볼탑 밸브(6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관(61)은 제 1,2 공간부(11,12)와 제 3 공간부(13) 사이에 형성된 격벽(14)을 관통하여 제 3 공간부(13)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관(61)의 하측 끝단부에 분기관(62)이 형성되는데, 상기 분기관(62)은 나무가지처럼 수평으로 다방향으로 다수개로 분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기관(62)의 하측에는 볼탑 밸브(64)가 연결되기 위한 보조 분기관(6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조 분기관(63)은 다수개가 분기관(62)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조 분기관(63)의 끝단부에 볼탑 밸브(64)가 설치되어 등짐펌프버킷에 물을 공급시, 등짐펌프버킷 내에 물이 채워지면 볼탑 밸브(64)에서 자동으로 차단되어 더 이상 물 공급을 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볼탑 밸브(64)의 원리는 등짐펌프버킷에 수위가 차게 되면 부력이 있는 장치가 위로 올라가 힘을 받으며 마개 밑에 있는 고무가 눌러지게 되어 보조 분기관(63)을 통해 들어오는 물이 차단되는 원리로 자동 급수가 되는 시스템이다.
상기 물탱크(20)는 도 1 및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다수개 구획공간 중 제 2 공간부(12)에 설치되어 수집판(50)과 연결되고, 상기 수집판(50)에서 필터링된 물이 내부에 유입되어 채워지는데, 많은 양의 물이 채워져서 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물탱크(20)의 외부면 상부측에 수위조절배관(2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위조절배관(21)은 물탱크(20)의 외부면 상부측에 돌출되되, 본체부(10)의 외측까지 돌출된 뒤 하측으로 절곡되어 물탱크(20)에서 역류하는 물을 외부에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탱크(20)의 하측에는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22)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관(22)은 자동급수장치(60)의 메인관(61)과 연결되는데, 상기 공급관(22)과 메인관(61) 사이에는 개폐밸브(24)가 설치되어 등짐펌프버킷이 외부로 반출시, 물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24)가 설치된 공급관(22)의 상측에는 양측으로 보조 공급관(23)이 분기되고, 상기 보조 공급관(23)의 끝단부에는 밸브가 설치된 급수호스(미도시)가 연결되어 외부로 물탱크(20)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지붕부(3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빗물 또는 눈이 녹은 물을 1차 필터링하도록 거름망(31)이 설치되고, 상기 거름망(31)은 각기 다른 형태의 거름망(31)이 상호 적층되기에 빗물 또는 눈이 녹은 물을 여러번에 걸쳐 필터링한다.
여기서, 상기 지붕부(30)는 격자무늬 형태의 프레임의 내부에 거름망(31)이 형성되어 프레임 내에 구비된 빗물 또는 눈이 녹은 물은 거름망(31)을 통해 필터링되면서 하측으로 낙수되는 것이다.
상기 태양광 패널(40)은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붕부(3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태양광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일반적인 태양광 시스템이기에 구성, 구조, 기능에 대한 기술은 하지 않는다.
여기서, 산의 특성상 항시 태양광 패널(40)로 전력을 충족하기 힘들다 따라서 항시 태양광 패널(40)을 통해 배터리에 전력을 비축해놓다가 비상시 스피커(19), 조명(18), gps 기능을 사용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집판(5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붕부(30)와 본체부(10) 사이에 설치되어 하측이 물탱크(20)와 연결되고, 상기 지붕부(30)를 통해 1차 필터링되어 낙수된 물을 한 곳으로 모아서 물탱크(20)에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수집판(50)은 지붕부에서 낙수된 물을 한 곳으로 모아주기 위해 일측에 연통구(51)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구(51) 측으로 수집판(50)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물이 연통구(51) 측으로 흘러간다. 이때, 상기 수집판(50)의 바닥면에는 연통구(51) 측으로 물이 용이하게 흘러가도록 가이드 홈(미도시)이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구(51)는 물탱크(20)와 연결되어 물을 물탱크(20)에 공급하는데, 상기 연통구(51)에는 물탱크(20)에 공급하는 물을 2차 필터링하도록 필터(52)가 설치된다.
이렇듯, 본 발명의 산불 초동진화 장치는 빗물 및 눈이 녹은 물 수집에 유용한 형태로 디자인된 지붕부(30)를 통해 모인 빗물은 3차 필터링을 거쳐 물탱크(20)에 저장되고, 상기 볼탑 밸브(64)의 볼탑 원리를 이용 자동으로 수위를 조절하며 등짐펌프버킷에 물이 충전이 된다. 그리고, 상기 태양광 패널(40)의 발전 시스템을 설치하여 평소 필요한 전기를 충전하고 화재 시 비상벨(17)을 누르면 경보음과 함께 GPS 기능으로 위치가 전송된다.
또한, 상기 지붕부(30)와 본체부(10)를 연결하는 지점에는 산의 특성상 야간에 매우 어두운 점을 고려해 조명(18)이 설치되고, 경보음이 발생하는 스피커(19)가 형성되며, 상기 조명(18)과 스피커(19)의 전원은 태양광 패널(40)을 통해 공급된다. 본 발명은 장소에 따라 본체부(10)를 최대 4개까지 결합 가능하며 결합 수에 따라 내부 비치 장비 구성요소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한편, 겨울철 동파방지를 예방하기 위하여 동절기에 소금 스틱을 물탱크(20)에 첨가하고 자동 급수 배관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붕부(30)에 쌓이는 눈은 태양광 패널(40)을 이용해 눈을 녹여 물을 보충할 수 있다. 산악지형의 특성상 나무로 인해 태양광 발전에 제약이 있을 수 있지만 발전된 전기는 배터리에 저장되며 전기가 소모되는 기능은 유사시에만 사용하기 때문에 전력의 유지가 용이하다.
10 : 본체부 11 : 제 1 공간부
12 : 제 2 공간부 13 : 제 3 공간부
14 : 격벽 15 : 개폐도어
16 : 높이 조절용 다리 17 : 비상벨
18 : 조명 19 : 스피커
20 : 물탱크 21 : 수위조절배관
22 : 공급관 23 : 보조 공급관
24 : 개폐밸브
30 : 지붕부 31 : 거름망
40 : 태양광 패널
50 : 수집판 51 : 연통구
52 : 필터
60 : 자동급수장치 61 : 메인관
62 : 분기관 63 : 보조 분기관
64 : 볼탑 밸브

Claims (5)

  1. 지면에 설치되고, 내부가 다수개의 구획공간으로 격벽(14)에 의해 나눠져 있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다수개 구획공간 중 어느 하나의 구획공간에 설치되어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2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빗물 또는 눈이 녹은 물을 1차 필터링하도록 거름망(31)이 설치되는 지붕부(30)와;
    상기 지붕부(3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태양광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광 패널(40)과;
    상기 지붕부(30)와 본체부(10) 사이에 구비되어 물탱크(20)와 연결되고, 상기 지붕부(30)를 통해 1차 필터링되어 유입된 물을 한 곳으로 모아서 물탱크(20)에 전달하기 전에 2차 필터링하도록 필터(52)가 설치되는 수집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10)는 다수개의 구획공간 중 전면에 소화장비가 보관되는 제 1 공간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공간부(11)의 후면에 물탱크(20)가 설치되는 제 2 공간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공간부(11)와 제 2 공간부(12) 하부에는 물탱크(20) 내의 물을 공급받는 다수개의 등짐펌프버킷이 구비되는 제 3 공간부(13)로 구획되고,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에는 제 1 공간부(11)와 제 3 공간부(13)를 개폐하는 개폐도어(15)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는 지면의 지형에 따라 본체부(10)의 수평이 조절되는 높이 조절용 다리(16)가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0)의 제 3 공간부(13)에는 물탱크(20)와 연결되어 다수개의 등짐펌프버킷에 물탱크(20)의 물을 공급하는 자동급수장치(60)가 형성되고,
    상기 자동급수장치(60)는, 상기 물탱크(20)와 연결되는 메인관(61)과;
    상기 메인관(61)에서 다수개의 등짐펌프버킷에 맞춰 다방향으로 분기되는 분기관(62)과;
    상기 분기관(62)에 다수개가 형성되어 등짐펌프버킷에 공급하는 물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볼탑 밸브(64)과;
    상기 분기관(62)의 하측에는 다수개가 분기관(62)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 형성되어 볼탑 밸브(64)와 연결되기 위해 돌출 형성되는 보조 분기관(6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공간부(11)에는 태양광 패널(40)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비상벨(17)이 설치되어 비상벨(17)를 누르면 경보음과 함께 GPS 기능으로 위치가 전송되고,
    상기 지붕부(30)와 본체부(10)를 연결하는 지점에는 산의 특성상 야간에 매우 어두운 점을 고려해 조명(18)이 설치되고, 경보음이 발생하는 스피커(19)가 형성되며, 상기 조명(18)과 스피커(19)의 전원은 태양광 패널(40)을 통해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초동진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52887A 2019-11-26 2019-11-26 산불 초동진화 장치 KR102221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887A KR102221330B1 (ko) 2019-11-26 2019-11-26 산불 초동진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887A KR102221330B1 (ko) 2019-11-26 2019-11-26 산불 초동진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330B1 true KR102221330B1 (ko) 2021-02-26

Family

ID=74687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887A KR102221330B1 (ko) 2019-11-26 2019-11-26 산불 초동진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3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055B1 (ko) * 2022-02-24 2023-04-19 박동두 재난 감지와 방재를 위한 무인타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8751A (ko) * 2005-07-12 2007-01-18 김경진 산림보호용 살수장치
KR20090001110A (ko) * 2007-06-29 2009-01-08 주식회사 화성방재 보양대가 장착된 소화전
KR20090110539A (ko) 2008-04-18 2009-10-22 안영세 산불진화 시스템
KR20150070555A (ko) * 2013-12-17 2015-06-25 신기수 빗물 재활용 장치
KR20190128919A (ko) * 2018-05-09 2019-11-19 중경산업 주식회사 캐비넷형 간이포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8751A (ko) * 2005-07-12 2007-01-18 김경진 산림보호용 살수장치
KR20090001110A (ko) * 2007-06-29 2009-01-08 주식회사 화성방재 보양대가 장착된 소화전
KR20090110539A (ko) 2008-04-18 2009-10-22 안영세 산불진화 시스템
KR20150070555A (ko) * 2013-12-17 2015-06-25 신기수 빗물 재활용 장치
KR20190128919A (ko) * 2018-05-09 2019-11-19 중경산업 주식회사 캐비넷형 간이포소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055B1 (ko) * 2022-02-24 2023-04-19 박동두 재난 감지와 방재를 위한 무인타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27678B (zh) 森林灭火浇灌系统
KR102221330B1 (ko) 산불 초동진화 장치
CN204709681U (zh) 森林防火、灭火新设施装备
CN103357127A (zh) 森林防火、灭火新方法及其设施装备
CN202777545U (zh) 农用多功能消防拖车
KR102205135B1 (ko)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CN202270279U (zh) 森林灭火浇灌系统
KR101965254B1 (ko) 수자원 관리를 통한 재난 방지시스템
CN211881502U (zh) 一种用于震后边坡生态恢复的集水灌溉装置
CN209519259U (zh) 一种多功能小型电动消防车
CN212612909U (zh) 一种用于山区森林灭火的雨水收集装置
CN214596956U (zh) 一种新型森林防火隔离带
CN103170077A (zh) 林区集雨储水或高原高山管道引水储水防火灭火防虫施肥新方案
RU202227U1 (ru) Бронированная пожарная машина
CN211452519U (zh) 一种森林防火蓄水池水量监测装置
KR102407239B1 (ko) 터널을 이용한 양수발전시스템
KR102576038B1 (ko) 저수용 계단 구조물
CN208911349U (zh) 一种消防电动三轮车
KR102672781B1 (ko) 조립 방식으로 설치 가능한 저수용 계단 구조물
KR20210155708A (ko) 빗물관리를 통한 자연재해예방과 소방체계구축 시스템
CN207356432U (zh) 一种移动式消防装置
CN207085130U (zh) 一种多功能森林灭火车
CN109432659A (zh) 一种多功能小型电动消防车装置
KR102537944B1 (ko) 산불진화용 물 관리 시스템
CN210406499U (zh) 一种自动集水延迟渗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