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181A - 사수 방지 저수조 - Google Patents

사수 방지 저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181A
KR20180003181A KR1020160082694A KR20160082694A KR20180003181A KR 20180003181 A KR20180003181 A KR 20180003181A KR 1020160082694 A KR1020160082694 A KR 1020160082694A KR 20160082694 A KR20160082694 A KR 20160082694A KR 20180003181 A KR20180003181 A KR 20180003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torage
prevention
main body
waterproo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3938B1 (ko
Inventor
김성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지
Priority to KR1020160082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938B1/ko
Publication of KR20180003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수 방지 저수조에 관한 것으로, 저수공간과 저수 배출부를 가지는 저수 본체부, 그리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기 저수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저수 배출부 주변에 배치된 사수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수 방지부는 상기 저수 본체부 내부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내부 바닥과 마주하는 상기 사수 방지부의 하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사수 방지부의 내부는 상기 저수 배출부와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사수 방지 저수조{Water tank for dead water prevented}
본 발명은 사수 방지 저수조에 관한 것이다.
주택, 아파트, 상가 등과 같은 건물의 지하 또는 옥상에는 생활용수 및 소방용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수조가 설치된다.
저수조는 그 재질에 따라 조립식 스테인레스 패널수조, 조립식 SMC(Sheet Molding Compound) 패널수조, 조립식 FRP(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패널수조, 폴리에틸렌더블프레임(Polyethylene Double Frame: PDF) 패널수조, 콘크리트 저수조 등으로 분류된다.
도 8을 참고하면 저수조는 저수공간(11)을 갖는 저수 본체부(10), 저수 본체부(10) 상부에 형성되어 저수공간(11)으로 저수를 공급하는 저수 유입부(20), 저수 본체부(10) 하부에 형성되어 저수공간(11)에 저수된 저수를 배수하는 저수 배출부(30)를 포함한다.
한편, 저수공간(11)의 침전물이 저수 배출부(30)를 통해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저수 배출부(30)는 저수 본체부(10)의 바닥에서 상부측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이에 저수 본체부(10) 내부 바닥(12)과 저수 배출부(30) 사이(13)에 있는 저수는 배출되지 않고 고여 있게 된다. 고인 물은 순환되지 않으므로 썩거나 변질되어 사수가 된다. 사수는 저수공간(11)의 모든 저수를 변질시킬 수 있다.
특허등록 제10-0784262호 (2007.12.04.)
본 발명은 저수본체의 저수공간에 저수가 고여 있지 않고 배수되도록 하여 사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수 방지 저수조는 저수공간과 저수 배출부를 가지는 저수 본체부, 그리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기 저수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저수 배출부 주변에 배치된 사수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수 방지부는 상기 저수 본체부 내부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내부 바닥과 마주하는 상기 사수 방지부의 하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사수 방지부의 내부는 상기 저수 배출부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사수 방지 저수조는 상기 내부 바닥과 상기 사수 방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와류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류 방지부는, 상기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와류 방지몸체, 상기 와류 방지몸체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수 방지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된 결합홈이 형성된 가이드 및 상기 와류 방지몸체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 바닥과 접한 받침대를 포함한다.
상기 사수 방지 저수조는 상기 사수 방지부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정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화부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정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사수 방지부 내부 둘레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정화제는 활성탄일 수 있다.
상기 사수 방지부는, 내부가 비어있고 적어도 두 개의 면이 개방되어 있는 사수 방지몸체, 상기 두 개의 면 중 어느 한 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수 본체부 내부 둘레와 접한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와 상기 사부 본체부를 결합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수 배출부를 통해 저수가 배출될 때 사수 방지부 내부의 압력이 낮아진다. 이에 저수공간의 저수가 하면과 내부 바닥 사이 공간(간격)을 통해 사수 방지부 내부로 유입되어 배출되므로 저수 배출부와 내부 바닥 사이에서 저수가 고이지 않는다. 이에 저수 본체부 내부에서 사수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수 방지 저수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사수 방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사수 방지부 하면을 나타내기 위한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수 방지부 하면을 나타내기 위한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수 방지 저수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수 방지 저수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저수조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수 방지 저수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수 방지 저수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수 방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사수 방지부 하면을 나타내기 위한 저면 사시도임.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수 방지 저수조는 저수 본체부(100), 그리고 사수 방지부(600)를 포함하며 저수 본체부(100) 내부에 사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저수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물을 보관할 수 있는 저수공간(101)이 형성되어 있다. 저수 본체부(100)의 상부측에는 저수공간(101)을 물을 공급하는 저수 유입부(200)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측에는 저수공간(101)의 저수를 배출하는 저수 배출부(300)가 형성되어 있다. 저수 배출부(300)는 저수 본체부(100)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아울러, 저수 본체부(100)에는 드레인부(400)와 소방 배출부(500)가 형성되어 있다. 드레인부(400)는 저수 유입부(200)와 저수 배출부(300) 사이에 위치하고, 소방 배출부(500)는 저수 배출부(300)와 저수 본체부(100) 내부 바닥(102) 사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저수 본체부(100)는 합성수지, 금속, 콘크리트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저수 본체부(100)는 건물의 지하, 옥상 등에 설치되어 널리 공지된 물탱크, 저수조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바, 이하 상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수 방지부(600)는 저수 배출부(300)와 내부 바닥(102) 사이의 저수가 저수 배출부(300)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사수 방지부(600)의 내부는 비어 있다. 사수 방지부(600)는 저수공간(101)에 위치하여 저수 배출부(300) 주변에 배치되어 있다. 사수 방지부(600)의 내부는 저수 배출부(300)의 내부와 연결되어 있다.
사수 방지부(600)는 저수 본체부(100) 내부 둘레에 용접, 볼트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사수 방지부(600)와 저수 본체부(100)의 결합은 사수 방지부(600)와 저수 본체부(100)의 재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사수 방지부(600)의 하면(601)은 내부 바닥(102)과 간격(103)을 두고 떨어져 있다. 사수 방지부(600)의 하면(601)은 개방되어 있다. 이에 사수 방지부(600)의 내부는 저수공간(101)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저수공간(101)은 사수 방지부(600) 내부를 통해 저수 배출부(300)와 연결되어 있다.
사수 방지부(600)의 구조는 저수조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사수 방지 저수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저수 유입부(200)를 통해 저수공간(101)으로 유입된 물은 저수공간(101)을 채울 수 있다. 채워진 물(이하 저수라 함)은 하면(601)과 내부 바닥(102) 사이 공간(간격(103))을 통해 사수 방지부(600) 내부까지 채워질 수 있다.
저수 배출부(300)를 통해 저수를 배출하면 사수 방지부(600) 내부에 채워진 물은 저수 배출부(30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사수 방지부(600)가 저수 배출부(300) 주변에 배치되어 있어 저수 배출부(300)와 저수 유입부(200) 사이의 저수는 저수 배출부(300)를 통해 배출되지 못한다. 이에, 저수가 사수 방지부(600)에서 배출되면서 사수 방지부(600)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할 수 있다. 저수공간(101)의 저수는 흡입력에 의해 하면(601)과 내부 바닥(102) 사이 공간(간격(103))을 통해 사수 방지부(600) 내부로 유입되어 저수 배출부(300)를 통해 저수 본체부(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저수공간(101)의 저수가 하면(601)과 내부 바닥(102) 사이 공간(간격(103))을 통해 사수 방지부(600) 내부로 유입되어 배출되므로 저수 배출부(300)와 내부 바닥(102) 사이에서 저수가 고이지 않는다. 이에 저수 본체부(100) 내부에 사수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사수 방지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수 방지부 하면을 나타내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사수 방지부(600)는 사수 방지몸체(610), 플랜지(620) 및 고정수단(630)을 포함한다.
사수 방지몸체(610)는 사각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는 비어 있고 두 개의 면은 개방되어 있다. 개방된 두 개의 면은 연결되어 있다. 개방된 제1 면은 저수 본체부(100) 내부 둘레와 접하며 개방된 제2 면은 저수 본체부(100) 내부 바닥과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사수 방지몸체(610)의 내부는 저수 배출부(300)와 연결되어 있다.
플랜지(620)는 제1 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저수 본체부(100)의 내부 둘레와 접한다.
고정수단(630)은 볼트 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620)를 관통하여 저수 본체부(100)에 고정된다. 고정수단(630)의 고정으로 사수 방지몸체(610)는 저수 본체부(100) 내부 둘레에 고정된다. 고정수단(630)을 볼트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플랜지(620)와 저수 본체부(100)의 결합은 용접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수 방지 저수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 따른 사수 방지 저수조는 저수 본체부(100), 사수 방지부(600) 및 와류 방지부(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저수 본체부(100)와 사수 방지부(600)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저수 본체부(100) 및 사수 방지부(600)와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저수공간(101)의 저수가 하면(601)과 내부 바닥(102) 사이 공간(간격(103))를 통해 사수 방지부(600) 내부로 유입될 때 즉, 저수가 공간(간격(103))을 통과할 때 와류가 발생할 수 있다. 와류 발생 저수가 저수 배출부(300)와 연결된 펌프(도시하지 않음)를 통과하게 된다. 이에 와류 저수에 의해 펌프의 흡입 성능이 저하된다. 성능 저하는 펌프 효율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펌프에서 진동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하면(601)과 내부 바닥(102) 사이 공간(간격(103))에 와류 방지부(700)를 배치하면 위와 같은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와류 방지부(700)는 하면(601)과 내부 바닥(102) 사이 공간(간격(103))에 배치되어 있으며 저수공간(101)의 저수가 사수 방지부(6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구멍(701)이 형성되어 있다. 와류 방지부(700)는 사수 방지부(600)와 볼트,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저수공간(101)의 저수가 구멍(701)을 통해 사수 방지부(600) 내부로 유입되므로 저수가 하면(601)과 내부 바닥(102) 사이 공간(간격(103))을 통과하므로 사수 방지부(600) 내부로 유입되는 저수에 와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와류 발생으로 일어날 수 있는 펌프 성능저하, 진동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고하여 와류 발생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와류 방지부(700)는 와류 방지몸체(710), 가이드(720) 및 받침대(730)를 포함한다.
와류 방지몸체(710)는 하면(601)(도 5참조)과 내부 바닥(102)(도 5 참조)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저수가 통과하는 복수의 구멍(701)이 형성되어 있다. 와류 방지몸체(710)는 상부는 사수 방지부(600)와 마주하고 하부는 내부 바닥(102)과 마주한다.
가이드(720)는 와류 방지몸체(710)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720)에는 사수 방지부(600)의 하부측 일부분이 삽입되는 결합홈(72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사수 방지부(600)가 결합홈(721)에 삽입되면서 와류 방지몸체(710)는 하면(601)과 내부 바닥(102)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받침대(730)는 와류 방지몸체(710)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기설정된 넓이를 갖는다. 받침대(730)는 와류 방지몸체(710)와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며 와류 방지몸체(710)가 내부 바닥(102)에 접하는 면적을 증가시킨다.
저수가 구멍(701)을 통과할 때 와류 방지몸체(710) 기설정된 압력이 가해지는데 이때받침대(730)가 와류 방지몸체(7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있어 와류 방지몸체(710)는 압력에 의해 움직이지 않는다. 이에 와류 방지몸체(710)는 하면(601)과 내부 바닥(102) 사이에서 견고히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수 방지 저수조는 저수 본체부(100), 사수 방지부(600), 와류 방지부(700) 및 정화부(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저수 본체부(100), 사수 방지부(600) 및 와류 방지부(700)는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저수 본체부(100), 사수 방지부(600) 및 와류 방지부(700)와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와류 방지부(700)는 생략될 수 있다.
정화부(800)는 하우징(810)과 정화제(820)를 포함하며 사수 방지부(600) 내부에 배치되어 저수공간(101)의 잔류 염소에 의한 냄새제거 및 부산물을 정화한다.
하우징(810)은 사수 방지부(600)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810)의 내부는 비어 있으며 저수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구멍(811)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810)은 금속, 합성수지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810)은 생략될 수 있다.
정화제(820)는 하우징(810)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하우징(810)이 생략된 경우 정화제(820)는 사수 방지부(600) 내부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사수 방지부(600) 내부로 유입되어 저수 배출부(300)로 배출되는 저수는 정화제(820)를 통과할 수 있다. 이에 저수가 정화제(820)를 통과할 때 저수 내에 잔류한 염소에 의한 냄새, 부산물 등이 제거될 수 있다.
정화제(820)는 활성탄일 수 있다. 그러나 정화제(820)를 활성탄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정화제(820)는 저수의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정화부(800)는 브라켓(8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830)은 사수 방지부(600) 내부에 위치하여 하우징(810) 또는 정화제(820)를 지지하여 하우징(810) 또는 정화제(820)가 사수 방지부(600) 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브라켓(830)은 볼트로 고정된다. 그러나 브라켓(830)은 용접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저수 본체부 101: 저수공간
102: 내부 바닥 103: 간격
200: 저수 유입부 300: 저수 배출부
400: 드레인부 500: 소방 배출부
600: 사수 방지부 601: 하면
610: 사수 방지몸체 620: 플랜지
630: 고정수단 700: 와류 방지부
701: 구멍 710: 와류 방지몸체
720: 가이드 721: 결합홈
730: 받침대 800: 정화부
810: 하우징 811: 구멍
820: 정화제 830: 브라켓

Claims (7)

  1. 저수공간과 저수 배출부를 가지는 저수 본체부, 그리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기 저수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저수 배출부 주변에 배치된 사수 방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사수 방지부는 상기 저수 본체부 내부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내부 바닥과 마주하는 상기 사수 방지부의 하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사수 방지부의 내부는 상기 저수 배출부와 연결되어 있는
    사수 방지 저수조.
  2. 제1항에서,
    상기 내부 바닥과 상기 사수 방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와류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사수 방지 저수조.
  3. 제2항에서,
    상기 와류 방지부는,
    상기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와류 방지몸체,
    상기 와류 방지몸체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수 방지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된 결합홈이 형성된 가이드 및
    상기 와류 방지몸체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 바닥과 접한 받침대
    를 포함하는
    사수 방지 저수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사수 방지부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정화부를 더 포함하는 사수 방지 저수조.
  5. 제4항에서,
    상기 정화부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정화제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사수 방지부 내부 둘레에 고정된
    사수 방지 저수조.
  6. 제5항에서,
    상기 정화제는 활성탄인 사수 방지 저수조.
  7. 제1항에서,
    상기 사수 방지부는,
    내부가 비어있고 적어도 두 개의 면이 개방되어 있는 사수 방지몸체,
    상기 두 개의 면 중 어느 한 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수 본체부 내부 둘레와 접한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와 상기 사부 본체부를 결합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사수 방지 저수조.
KR1020160082694A 2016-06-30 2016-06-30 사수 방지 저수조 KR101823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694A KR101823938B1 (ko) 2016-06-30 2016-06-30 사수 방지 저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694A KR101823938B1 (ko) 2016-06-30 2016-06-30 사수 방지 저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181A true KR20180003181A (ko) 2018-01-09
KR101823938B1 KR101823938B1 (ko) 2018-02-01

Family

ID=6100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694A KR101823938B1 (ko) 2016-06-30 2016-06-30 사수 방지 저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9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3947A (ko) *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우림토건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KR102591110B1 (ko) * 2023-03-09 2023-10-19 성일테크원 주식회사 소화용수용 조립식 물탱크의 와류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241B1 (ko) 2018-03-10 2018-12-04 이태준 수처리시설의 약품 정량투입용 물분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877B1 (ko) * 2005-05-27 2006-07-13 우영배 도류벽이 구비된 저장탱크
KR101108281B1 (ko) * 2010-07-05 2012-01-31 신강하이텍(주)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와 처리잔류수의 자동방류가 가능한 여과형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3947A (ko) *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우림토건 산불진화용 헬기의 유도장치가 구비된 소화용수 저수조
KR102591110B1 (ko) * 2023-03-09 2023-10-19 성일테크원 주식회사 소화용수용 조립식 물탱크의 와류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3938B1 (ko)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938B1 (ko) 사수 방지 저수조
DK2397613T3 (en) Indbyggelig cistern with moisture and leakage protection
KR101744218B1 (ko)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
KR101224445B1 (ko) 사수 방지형 저수조
KR100754835B1 (ko) 건축물의 옥상 녹화시스템
KR101893097B1 (ko) 결로수 배출이 용이한 물탱크
JP5136130B2 (ja) 防護シェルター
KR10083757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정화조
JP2018003343A (ja) 悪臭防止型排水設備
KR101237375B1 (ko) 돔 커버의 결합구조
KR101668582B1 (ko) 좌변기의 배수관 소음 방지장치
WO2007016721A1 (en) Storage of water, rainwater or grey water or other liquids beneath a concrete floor slab
KR101204816B1 (ko) 내벽보호형 수조
KR200413948Y1 (ko) 염소가스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는 장치를 가진 스테인레스판넬 물탱크
KR101412093B1 (ko) 관로 받침대
AU2003200916B2 (en) Apparatus for the recycling of used water
US20120066827A1 (en) Pool fluid control system
JP2014236959A (ja) トイレ用便槽および該トイレ用便槽を具備するトイレユニット
JP4625988B2 (ja) 槽底の清掃を容易にした貯留槽
JP7489909B2 (ja) サイホン排水システム、及びサイホン排水システムの施工方法
KR101951552B1 (ko) 세탁기의 배수물 저장 장치
JP3991338B2 (ja) U字溝の枡又は側溝への接続方法
KR200379189Y1 (ko) 공동주택의 물탱크 설치구조
KR100839170B1 (ko) 콘크리트 내벽 일체형 저수조와 이의 시공법
RU2355593C2 (ru) Бак для накопления сток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