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629B1 - 어로 작업용 신재생 발전단지 - Google Patents

어로 작업용 신재생 발전단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629B1
KR102186629B1 KR1020150011719A KR20150011719A KR102186629B1 KR 102186629 B1 KR102186629 B1 KR 102186629B1 KR 1020150011719 A KR1020150011719 A KR 1020150011719A KR 20150011719 A KR20150011719 A KR 20150011719A KR 102186629 B1 KR102186629 B1 KR 102186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block
fishing
fram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3582A (ko
Inventor
민승기
민중기
Original Assignee
민승기
민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민중기 filed Critical 민승기
Publication of KR20150023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3582A/ko
Priority to US15/538,677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89549B2/en
Priority to CN201680004516.0A priority patent/CN107110109B/zh
Priority to PCT/KR2016/000562 priority patent/WO2016105179A1/ko
Priority to AU2016204617A priority patent/AU201620461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1/125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more than two hu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03D13/25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offshore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007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the wind motor being combined with means for converting solar radiation into usefu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0/00Solar hea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environments
    • F24S20/70Waterborne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30/00Arrangements for moving or orien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30/40Arrangements for moving or orien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rotary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63B3/08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with detachably-connected sub-units
    • B63B2003/085Multiple hull vessels, e.g. catamarans, assembled from detachably-connec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6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wind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91Offshore structures for wind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3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ructure floating on a liquid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5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ffsh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Abstract

본 발명은 어로 작업용 신재생 발전단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반도를 둘러싸고 있는 해수면에서 불법조업에 대한 감시활동이나, 어장지역에 상주로 경제적인 조업과 아울러 신재생발전을 수행으로 소득증대를 제공하면서 태풍에 대한 피항 등을 위하는 신재생발전단지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한반도의 근해지역에서는 불법적인 어로작업으로 어민생계 위협이 되고 있으며, 또한 어장의 보호와 감시를 보강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지역적으로 중동지역 등의 기후는 상시적으로 쾌청한 날씨의 햇볕이 비춰주는 해수면에서 태양광발전판에 대한 염분의 피해가 발생을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해수면에서 지역에 따른 수산물의 조업이 이루어지는데, 종래의 해상 풍력발전단지의 구조는 고정식이므로 어장에 대한 감시나 보호활동이 거의 불가능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시켜 주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해저에서 매설되는 기소(41)가 해수면(35)에 노출되는 기초구조물의 상측에다 연결 고정되는 지지기둥(63)의 상측 단부에다 지지봉(66)에 회전날개(60)가 구비되는 풍력발전장치(67)와, 상기 풍력발전장치(67)용 지지기둥(63)의 하측단부를 고정으로 설치시켜 주기 위한 주행선(55)의 갑판(51)에 고정으로 구비되는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63)의 하측부위에서 주행선(55)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빔(48)으로 사각 모서리(a)(b)가 형성되는 장방형의 프레임블럭(69)과, 상기 모서리(a)(b) 사이의 교차점에 지지기둥(63)을 관통으로 연결되는 크로스 빔(53)과, 상기 프레임블럭(69)의 양측 모서리(a)에서 관통으로 상,하향으로 돌출되는 보조기둥(61)과, 상기 보조기둥(61)의 하측에 결합되는 보조 주행선(57)과, 상기 보조기둥(61)(62)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는 태양광발전판(50)으로 형성되는 발전단지블럭(70)과,
상기 발전단지블럭(70)의 주행선(55)의 전후측에 연결고리(45)로 연결되는 연결대(47)로 구비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태양광발전판(50)에 가열공간(84)이 구비되는 카버(93)의 상,하측으로 연결되는 배출관(97) 및 유입관(98)과, 상기 배출관(97)에는 가압펌프(84)의 구비로 공급되는 고압공기를, 자켓(88)으로 감싸주는 증발구간(85)의 수중(35)에서 분사시켜 주는 분출블럭(91)과,
상기 분출블럭(91)의 상측의 수면(37)으로 형성된 증발구간(85)과, 상기 증발구간(85)의 상측으로 형성된 필터링부(78)와, 상기 필터링부(78)의 상측으로 연결된 유입관(98)으로 가열공간(84)에 제염된 공기를 공급시켜 주는 제염장치(67)와,
상기 주행선(55)의 양측에 돌출로 구비된 프레임(56)에 고정되는 부양선(46)과, 상기 부양선(46)의 간판(46)에는 축전기의 조립 및 분리로 구비되는 충전장치(77)와, 상기 보조기둥(63')에 구비되는 어장 감지장치(88)와 아울러 태양광 추적용 회전장치(59')로 회전되는 지지기둥(63')의 상단에 태양광발전판(50)로 구비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필터링부(78)의 하측면(d)을 경사지게 구비된 응축대(83)와, 상기 응축대(83)에 형성된 응축수가 저장하도록 이송로(94)로 연결된 저수통(86)과,
상기 제염장치(67)의 일측으로 제2제염장치(67')을 구비시켜 주되, 상기 제염장치(67)의 배출관(97)과 제2제염장치(67')의 배출관(97')을 연결시켜 주고, 상기 제염장치(67)의 증발구간(85)에서 연결관(99)이 연결되는 제2제염장치(67')의 필터링부(78')와,
상기 보조기둥(61)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는 태양광발전판(50)을 수직형 푸로펠러(76)로 형성시켜 주고, 상기 수직형 푸로펠러(76)에 구비되도록 상,하측 단부에 고정프렌지(58)가 구비되는 회전드럼(59), 상기 회전드럼(59)의 외측면에는 구비되는 경사지는 회전익(54)과, 상기 주행선(55)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빔(48)으로 사각 모서리(a)가 형성되는 장방형의 프레임블럭(69)을 양측으로 더 돌출된 지지빔(48')으로 마름모형으로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프레임블럭(69)과, 상기 보조주행선(57)을 부력대(64)로 형성시켜 주고, 상기 연결고리(45)로 연결되는 연결대(47)를 체인(49)으로 보강시켜 주고,
상기 주행선(55)에 구비되는 바테리터미널(72)용 충전장치(77)와, 충전된 바테리를 운반하는 운반선(75)이 구비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풍력발전장치(67)를 태양광발전판(50)으로 형성시켜 주되,
상기 프레임(56)과 크로스 빔(53)의 상측으로 구비되는 안내벽체(42)와, 상기 안내벽체(42)의 상측으로 구비되는 프레임(56)과 크로스 빔(53')과, 상기 안내벽체(42)의 내측구간으로 지지기둥(63)으로 결합되는 수직형 회전체(37)와, 상기 수직형 회전체(37)의 상,하측 단부에 고정프렌지(58)와, 상기 고정프렌지(58) 사이를 수직형 회전체(37)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는 경사대(36)가 돌출로 구비되는 회전드럼(38)을 제공시켜서 안내벽체(42)로부터 유도된 풍력으로 회전력을 보강시켜 주고, 상기 안내벽체(42)에는 만곡형의 안내판(43)과 안내구(41)의 구비와, 상기 안내벽체(42)의 상측으로 구비되는 프레임(56)과 크로스 빔(53)과, 상기 프레임(56')과 크로스 빔(53')의 상측으로 태양광발전판(50)으로 형성된 발전단지블럭(70)으로 제공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어로 작업용 신재생 발전단지 {Omitted}
본 발명은 어로 작업용 신재생 발전단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반도를 둘러싸고 있는 해수면에서 불법조업에 대한 감시활동이나, 어장지역에 상주로 경제적인 조업과 아울러 신재생발전을 수행으로 소득증대를 제공하면서 태풍에 대한 피항 등을 위하는 신재생발전단지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한반도의 근해지역에서는 불법적인 어로작업으로 어민생계 위협이 되고 있으며, 또한 어장의 보호와 감시를 보강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지역적으로 중동지역 등의 기후는 상시적으로 쾌청한 날씨의 햇볕이 비춰주는 해수면에서 태양광발전판에 대한 염분의 피해가 발생을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해수면에서 지역에 따른 수산물의 조업이 이루어지는데, 종래의 해상 풍력발전단지의 구조는 고정식이므로 어장에 대한 감시나 보호활동이 거의 불가능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한반도의 연안지역의 해상은 난류와 한류의 교차지역으로서, 예로부터 풍부한 수산물이 생산하는 지역이므로, 수송이나 해상 선박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먼거리인 인접국으로까지 불법적인 선단으로 꾸면서 어로작업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어자원의 고갈로 인하여 불법으로 인접국의 어선이 포획을 하는 현실로서, 이는 어민들의 생계에 위협이 되고 있으며, 심지어 어민들이 해저 중에 설치해 놓은 어구까지 분실되는 경우가 발생으로, 어민의 피해가 많아지고 있는 현실이 되는 것이다. 이는 불법어로의 경우 어선에 대한 어로작업은 초기 준비기간이 소요되는데, 이는 단속을 위한 황금시간대라 합니다. 고로 상기 발전단지에서 감시로 송출되는 신호에 의하여 단속선이 출격을 한면 조업을 준비하는 시간대에 단속이 개시되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는 불법어선의 출현에 대한 감시는 경비함을 순찰하거나 항공기의 출격은 비용의 증대와 아울러 관리의 복잡함이 요구되는 것이다.
또한 중동이나 아프리카 지역 등의 해수면에 비치는 무한한 햇볕으로 이를 신재생에너지의 발전에 대한 실용성을 보강시켜 주면서, 특히 용수의 제공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또한 보도에 의하면 아프리카 주민의 유럽지역으로 불법이민 시도하는 일자리부족의 결과이며, 이는 일반 서민에 대한 일자리의 요구가 높은 것입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발전단지에서 어로작업으로 수확한 수산물은 지역사회의 협업성의 확대로 발전시켜 주기 위함이다.
또한 부력으로 해상에서 운행이 용이함으로서, 연안지역이나 파도에 의한 이동으로 안정적인 설치와 관리가 용이하며, 또한 불법 조업을 하려는 어선단에 대한 감시와 입어의 방어막이나 관측소역할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해수면에 설치되는 태양광발전판은 해풍에 함유된 황사와 같은 미새먼지나 염분에 대하여 취약한 성능을 나타내는데, 이에 대하여 미새먼지에 대한 대비는 본인의 선발명 등록된 10-1406894호에 의하여 해결을 하도록 제공되었다. 그러나 풍력발전용 회전장치의 구조가 수직형의 회전드럼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체는, 본인의 선발명 출원된 10-2010-0043991호로 소개되었으나,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장치를 발전블럭에서 서로 성호 보완으로서 발전하여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상기 설명되는 해수면에서 이동이 용이하면서 신재생발전을 함과 동시에 어로작업을 수행함으로서 소득증대를 위하는 일자리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해수면에 설치된 태양광발전판에서 해풍이나 염분에 의한 부식으로 내구성의 악화를 실용적으로 해결함과 아울러 생활용수를 응축으로 제공시켜 주기 위함이다.
또한 해상용 발전단지에 미도시된 감시장치의 신호의 설치는, 해수면에서 특히 불법어로 작업을 위하여 몰려오는 경우, 어망이 설치되는 어장지역이나 길목에다 본원 발명의 발전단지를 설치된 감지장치의 신호로, 불법어선에 대한 침입을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경비정의 출동으로서 어장보호를 제공시켜 주기 위함이다.
이는 상기 발전블럭의 구조가 수면에 설치는 주행선을 연속 반복적으로 연결되는 체인형의 작업선단의 제공으로 소정의 면적에 대한 어장의 보호를 위함이다.
또한 상기 작업선에는 바테리의 축전 및 운송을 위한 터미널의 구비로서, 이는 발전장치에서 발전된 전력을 육상으로 운반시켜서 소득이 발생하는 발명으로서, 이는 전력생산과 아울러 주거공간의 형성으로서, 궁극적으로 근로자의 소득증대로 이어주기 위함이다.
해저에서 매설되는 기소(41)가 해수면(35)에 노출되는 기초구조물의 상측에다 연결 고정되는 지지기둥(63)의 상측 단부에다 지지봉(66)에 회전날개(60)가 구비되는 풍력발전장치(67)와, 상기 풍력발전장치(67)용 지지기둥(63)의 하측단부를 고정으로 설치시켜 주기 위한 주행선(55)의 갑판(51)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빔(48)으로
사각 모서리(a)(b)가 형성되는 장방형의 프레임블럭(69)과, 상기 모서리(a)(b) 사이의 교차점에 지지기둥(63)을 관통으로 연결되는 크로스 빔(53)과, 상기 프레임블럭(69)의 양측 모서리(a)에서 관통으로 상,하향으로 돌출되는 보조기둥(61)과, 상기 보조기둥(61)의 하측에 결합되는 보조 주행선(57)과, 상기 보조기둥(61)(62)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는 태양광발전판(50)으로 형성되는 발전단지블럭(70)과,
상기 발전단지블럭(70)의 주행선(55)의 전후측에 연결고리(45)로 연결되는 연결대(47)로 구비되는 방어선(81)의 제공으로 구비되는 발전단지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발전판(50)에 가열공간(84)이 구비되는 카버(93)의 상,하측으로 연결되는 배출관(97) 및 유입관(98)과, 상기 배출관(97)에는 가압펌프(84)의 구비로 공급되는 고압공기를, 자켓(89)으로 감싸주는 증발구간(85)의 수중(35)에서 분사시켜 주도록 다수개의 파이프에다 분출구가 구비되는 분출블럭(91)과,
상기 분출블럭(91)의 상측의 수면(35)으로 형성된 증발구간(85)과, 상기 증발구간(85)의 상측으로 형성된 필터링부(78)와, 상기 필터링부(78)의 상측으로 연결된 유입관(98)으로 가열공간(84)에 제염된 공기를 공급시켜 주는 제염장치(67)와,
상기 주행선(55)의 양측에 돌출로 구비된 프레임(56)에 고정되는 부양선(46)과, 상기 부양선(46)의 간판(46)에는 축전기의 조립 및 분리로 구비되는 충전장치(77)와, 상기 보조기둥(63')에 구비되는 어장 감지장치(88)와 아울러 태양광 추적용 회전장치(59')로 회전되는 지지기둥(63')의 상단에 태양광발전판(50)로 구비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필터링부(78)의 하측면(d)을 경사지게 구비된 응축대(83)와, 상기 응축대(83)에 형성된 응축수가 저장하도록 이송로(94)로 연결된 저수통(86)과,
상기 제염장치(67)의 일측으로 제2제염장치(67')을 구비시켜 주되, 상기 제염장치(67)의 배출관(97)과 제2제염장치(67')의 배출관(97')을 연결시켜 주고, 상기 제염장치(67)의 증발구간(85)에서 연결관(99)이 연결되는 제2제염장치(67')의 필터링부(78')와,
상기 보조기둥(61)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는 태양광발전판(50)을 수직형 푸로펠러(76)로 형성시켜 주고, 상기 수직형 푸로펠러(76)에 구비되도록 상,하측 단부에 고정프렌지(58)가 구비되는 회전드럼(59), 상기 회전드럼(59)의 외측면에는 구비되는 경사지는 회전익(54)과, 상기 주행선(55)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빔(48)으로 사각 모서리(a)가 형성되는 장방형의 프레임블럭(69)을 양측으로 더 돌출된 지지빔(48')으로 마름모형으로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프레임블럭(69')과, 상기 보조주행선(57)을 부력대(64)로 형성시켜 주고, 상기 연결고리(45)로 연결되는 연결대(47)를 체인(49)으로 보강시켜 주고,
상기 주행선(55)에 구비되는 바테리터미널(72)용 충전장치(77)와, 충전된 바테리를 운반하는 운반선(75)이 구비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풍력발전장치(67)를 태양광발전판(50)으로 형성시켜 주되,
상기 프레임(56)과 크로스 빔(53)의 상측으로 구비되는 안내벽체(42)와, 상기 안내벽체(42)의 상측으로 구비되는 프레임(56')과 크로스 빔(53')과, 상기 안내벽체(42)의 내측구간으로 지지기둥(63)으로 결합되는 수직형 회전체(37)와, 상기 수직형 회전체(37)의 상,하측 단부에 고정프렌지(58)와, 상기 고정프렌지(58) 사이를 수직형 회전체(37)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는 경사대(36)가 돌출로 구비되는 회전드럼(38)을 제공시켜서 안내벽체(42)로부터 유도된 풍력으로 회전력을 보강시켜 주고,
상기 안내벽체(42)에는 만곡형의 안내판(43)과 안내구(41)의 구비와, 상기 안내벽체(42)의 상측으로 구비되는 프레임(56')과 크로스 빔(53')과, 상기 프레임(56')과 크로스 빔(53')의 상측으로 태양광발전판(50)으로 형성된 발전단지블럭(70)으로 제공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신재생발전단지를 어장지역이나 사막지역의 해상에서 부유식으로 운행이나 장기간의 정박을 제공함으로서, 어로작업 및 감시를 제공하면서 신재생발전과 아울러 정수된 용수의 제공으로서 일자리 창출을 위함이다.
또한 상기 어로작업으로 얻는 수산물과 신재생 발전블럭을 보강함으로서, 지역적으로 서로 협업적으로 발전시켜 주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발전블럭의 양측 간부를 서로 연결장치로 고정시켜 주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로서 전체의 구조가 체인형의 발전단지로 제공되는 발명으로, 이는 심해지역에서도 정박이나 이동이 됨으로서, 태풍의 피항을 위한 이동으로 실용성을 보강시켜 주기 위함이다.
고로 종래의 해상에 고정형의 풍력이나 태양광발전단지에 비교하여 월등히 실용성 및 경제성이 보강되는 발명이다.
도1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2은 도1에서 요부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3는 도2에서 사용 상태에 대한 다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4는 도3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5은 도4에서 A-A선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7은 도6에서 B-B선 단면도
도8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의 예시도
도9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10는 도9에서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의 측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적용상태의 사시도
도12은 도11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13는 도11에서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14은 도13에서 C-C선 단면도
도15는 도13에 대한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17은 도15의 요부에 대한 분해된 사시도
도18은 도16에서 D-D선 단면도
도19은 도16에서 좌측면도
도20은 도16에서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어장 감시용 신재생 발전단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반도를 둘러싸고 있는 해수면에서 불법조업에 대한 감시활동이나, 어장지역에 상주로 효과적인 조업과 아울러 신재생발전을 수행으로 소득증대를 제공시켜 주면서 태풍에 대한 피항을 위하는 신재생발전단지에 대한 발명이다.
또한 해수면에서 지역에 따른 수산물의 조업이 이루어지는데, 종래의 해상에 설치된 태양광발전판의 해풍에 대한 내구성을 보강과 아울러 생활용수의 정수를 위함으로서 해상에 대한 감시나 보호활동에 기여를 하여 주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인접되는 해수면에서 어류의 포획을 위하여 침범하는 불법어선에 대하여 적절한 대책의 전무로 인하여 어민들에게는 생계에 지장이 될 정도로 피해를 주고 있는 것이다.
또한 주요 어장에 대한 어로작업은 적절한 상주기능의 미비로 항구에서 어선을 타고 출항을 함으로서 이에 대한 비용이 부담이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현장시공을 위한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며, 도2는 도1에서 요부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3은 도2에서 사용 상태에 대한 다른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4는 도3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5은 도4에서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6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며, 도7은 도6에서 B-B선 단면도이며, 도8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의 예시도이며, 도9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10는 도9에서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의 측단면도이며, 도11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적용상태의 사시도이며, 도12은 도11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13는 도11에서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며, 도14은 도13에서 C-C선 단면도이며, 도15는 도13에 대한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16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17은 도15의 요부에 대한 분해된 사시도이며,도18은 도16에서 D-D선 단면도이며, 도19은 도16에서 좌측면도이며, 도20은 도16에서 요부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즉 풍력발전장치(67)는 해수면에서 필요에 따라 날씨나 운반 등으로 이동을 위하도록, 상기 풍력발전장치(67)용 지지기둥(63)의 하측단부를 고정으로 설치되는 주행선(55)의 갑판(51)에 고정으로 구비함으로서, 이동(운행)이 용이하는 발전장치가 제공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설명되는 이동이 가능한 풍력발전장치(67)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이동이나 해수면(35)에서 파도의 요동이나 태풍에 의한 피항을 위하여 더 안정적으로 제공하면서, 필요에 따라 중요한 어장(85)에서 어로 작업을 위한 어로작업설비(68)의 구비나 시설물에 대한 보호 및 감시를 위한 보호구조의 역할을 수행하여주도록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이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을 하면,
월래 풍력발전장치(67)의 설치는 주로 해수면(35)에서 불어주는 풍력으로 푸로펠러(65)의 회전력 발생으로 발전을 시켜 주게 되는 구조로서, 이는 주행선(55)의 부력에 의지하기에는 심하게 기울어지면서 침몰의 위험이 높은 구조라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설명되는 침몰에 대한 안정성을 보강시켜 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발명으로서, 상기 주행선(55)의 간판(51)에 고정으로 공중 방향으로 돌출로 설치되는 풍력발전장치(67)의 구조는, 주행선(55)의 간판(51)에서 고정으로 돌출되는 지지기둥(63)의 하측부위에서 주행선(55)의 쎈터부에서 양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빔(48)의 단부와, 상기 주행선(55)의 전후측부에서 각각 지지빔(48)의 단부로 연결로 고정시켜 주어서, 단면이 사각 모서리(a)(b)가 형성되는 장방형의 프레임블럭(69)과, 상기 프레임블럭(69)의 모서리(a)(b) 사이를 보강시켜 주는 크로스 빔(53)와, 상기 프레임블럭(69)의 양측 모서리(a)에서 관통으로 상,하향으로 돌출되는 보조기둥(61)과, 상기 보조기둥(61)의 하측에 결합되는 보조주행선(57)과, 상기 보조기둥(61)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는 태양광발전판(50)으로 구비시켜 줌으로서, 상기 주행선(55)의 양측으로 부력이 서로 보완시켜 주는 보조주행선(57)을 구비시켜 줌으로서, 해수면에서 일어나는 파도 또는 이동 중에 나타나는 기울임에 대한 복원력으로 보강시켜 주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보조주행선(57)이 구비되는 주행선(55)의 양측 구간에 대한 실용성을 보강시켜 주기 위하면서, 복합적인 풍력과 아울러 태양광발전을 위한 신재생에너지의 발전을 위하여 제공되는 발명으로서, 상기 프레임블럭(69)의 양측 모서리(a)에 대한 구조는 주행선(55)의 전후측 간판(51)에 고정으로 구비시켜 주되, 프레임블럭(69)의 타측의 양측모서리(b)는 주행선(55)의 양측으로 돌출로 해상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타측의 양측모서리(b)를 관통되면서 상,하향으로 돌출되는 보조기둥(62)과, 상기 보조기둥(62)의 하측에 결합되는 보조주행선(57)과, 상기 양측의 보조기둥(62)과 지지기둥(63)의 상측에 결합되는 태양광발전판(50)으로 형성되는 발전단지블럭(70)로 구비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발전단지블럭(70)의 주행선(55)의 양측 전후측에 연결고리(45)로 연결되는 연결대(47)로 구비시켜 주되, 상기 연결대(47)로 연결된 발전단지블럭(70)를 연속반복적으로 구비되는 즉, 체인형으로 연결되는 방어선(81)으로 제공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발전단지블럭(70)의 상측단부에는 감지장치(88)를 구비함과 아울러 주행선(55) 등에 감시인력 및 감지장비의 구비로서, 이는 특정지역에 형성되는 어장(85)이나 어구 설치지역에 대한 어로작업설비(68)의 구비와, 또한 불법으로 어로작업을 하는 불법어선에 대한 보호 및 감시역할을 제공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해수면(35)에 부유된 주행선(55)의 간판(51)에 고정으로 구축된 태양광발전판(50)의 구조는 소정의 넓이로 형성되는 바, 상기 태양광발전판(50)의 설치 구조는 해상에 불어주는 해풍이나 작업 중에 묻어주는 해수에 의한 염분의 접촉은, 구조상 발전소자의 내구성이 취약하는 것이다.
고로 상기 특히 여름철의 혹서기에서는, 태양광발전판(50)의 발전소자에서는 가열에 의하여 평균 섭씨 60~70도 정도로 가열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증기가 함유된 분사공기를 재차 필터링으로 순수한 공기로 후술로 설명되는 태양광발전판을 감싸주는 카버의 가열구간에 공급을 시켜 준다.
여기서 수증기가 함유된 분사공기를 재차 필터링하는 과정에서 필터링의 하측면에서 응축수응축으로 정수된 용수가 형성됨으로 별도로 연결된 저수통에 저장을 하여 주도록 제공된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9 내지 도1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태양광발전판(50)의 넓이에 맞추어 주도록 가장자리로 지지벽의 형성으로 가열공간(84)이 구비되는 카버(93)과, 상기 카버(93)의 상,하측으로 서냉하려는 공기가 이동을 하도록 연결되는 배출관(97) 및 유입관(98)과, 상기 배출관(97)에는 수중(35)에 구비된 증발구간(85)에 잠수된 분출블럭(91)과, 상기 분출블럭(91)에서 고압적으로 분사되도록 가압펌프(84)의 구비로 공급되는 고압공기를, 증발구간(85)의 수중(35)에서 분사시켜 주도록 다수의 분출구가 형성된 분사대(79)로 구비시켜 주는 분출블럭(78)으로 구비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증발구간(85)과 후술로 설명되는 증발구간(85)와 필터링부(78)의 크기는, 주행선(55)의 갑판(57)의 하측구간에서 해수(바닷물)가 유입되는 공간에다 소정의 크기로 구축되도록 자켓(88)으로 감싸준다.
고로 상기 분출블럭(91)의 상측의 수면(37)으로 형성된 증발구간(85)과, 상기 증발구간(85)의 상측으로 형성된 필터링부(78)와, 상기 필터링부(78)의 상측으로 연결된 유입관(72)으로 가열공간(84)에 제염된 공기를 공급시켜 주는 제염장치(67)로 제공시켜 준는 발명이다.
고로 본 발명에서는 태양광발전판에 대한 서냉을 제공하면서 해풍에 함유된 염분을 수증기의 분사와 필터 등으로, 태양광발전판에서 햇볕의 수임으로 가열된 태양광발전판에서 방사되는 가열된 공기를 수중에서 고압상태로 분사를 함으로서, 증발되는 수증기로 증발되는 과정에서 염분이 용융됨과 아울러 미새먼지도 걸름된 상태로 분사된 공기는 수증기가 다량 함유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증기가 함유된 분사공기를 2차로 필터링하기 위하여, 미새한 다공체로 형성되는 필터링으로 상기 수증기를 필터함으로서 수분을 제거시켜 주는 순수한 공기로 유입관(98)로 공급함으로서, 태양광발전판(50)을 감싸주는 카버(93)의 가열구간에 재순환하도록 공급하여 주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유입관(98)에는 별로로 연결된 공급구(94)로 필터링부(78)로 공급시켜 주로록 구비함으로서, 작동 중에 부족한 순환 공기를 보충시켜 준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인 발전블럭단지(7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주행선(55)의 양측으로 돌출된 지지빔(48)의 단부에서 하향으로 조립되는 보조기둥(62)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보조주행선(57)을, 해수면에서 침몰에 대한 안정성을 보강시켜 주기 위하여 부력대(30)가 내장된 부양선(46)을 구비시켜서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부양선(46)에는 어로작업을 위한 채낙시나 어구를 설치를 위한 어로작업설비(68)를 구비하여 줌으로서, 어장에서의 감시활동과 아울러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제공시켜 주는 경제성이 보강되는 발전단지블럭(70)이다.
따라서 상기 주행선(55)의 양측에 돌출로 구비된 프레임(56)에 고정되는 부양선(46)의 설치로 안정성을 보강시켜 주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보조기둥(63')의 상측 단부에 구비되는 어장 감지장치(88)로 불법적으로 유입되는 선단을 감시시켜 주고, 또한 갑판(51)에 구비된 보조기둥에 구비된 회전장치(59')의 태양광 추적으로 회전되는 태양광발전판(50)로 구비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주행선(55)의 양측에 돌출로 구비된 프레임(56)에 고정되는 부양선(46)과, 상기 부양선(46)의 간판(46)에는 축전기의 조립 및 분리로 구비되는 충전장치(77)용 바테리터미널(72)와, 상기 주행선(55)에서 충전된 바테리나 어획물을 운반시켜 주도록 구비되는 운반선(75)의 조합으로서, 이는 상기 발전단지(70)에서 생산된 전력을 육지(80)의 터미널(73)에서 접속시켜 주도록 제공함이 바람직한 발명이다.
여기서 선 발명 출원 등록으로 제공된 태양광추적장치에 대한 구조을 설명을 하면,
선 발명 등록 출원된 특허 출원 제2008년 제0096866호, 제0116558호에서 제공으로 소개되는 발명으로서, 이를 해수면(35)에서 발전을 하는 발전단지에 결함으로서 더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삭제
또한 상기 발전단지블럭(70)은 넓은 공간의 해수면(35)에서 이동을 하여 주면서 사용을 하여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으로서,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 풍력이 불어주가나, 태양광이 비치는 경우가 각각 편중으로 많은 경우가 있는 바, 이에 대한 효과적인 발전력의 보강을 제공시켜 주기 위한 일실시예를 설명을 하면,
상기 보조기둥(61)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는 태양광발전판(50)을 수직형 푸로펠러(76)로 형성시켜서 제공하는 발명이다.
이는 지지기둥(63)의 상측단에 결합으로 회전하는 회전날개(60)의 회전공간에 비하여 하측부는 유휴공간(c)이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되는 유휴공간(c)에 대한 효율성을 보강시켜 주면서, 과도하게 편중으로 불어주는 풍력에 대한 발전력 보강을 위하도록, 프레임블럭(69)의 양측 모서리(a)에서 관통으로 상향으로 돌출되는 보조기둥(61)의 상측단부에서 회전용 베아링 등으로 결합되는 수직형 푸로펠러(76)을 제공시켜 주는 발명이다.
고로 상기 수직형 푸로펠러(76)의 구조는 상,하측 단부에 고정프렌지(58)가 돌출되는 회전드럼(59)과, 상기 회전드럼(59)의 외측면에는 구비되는 경사지는 회전익(54)으로 회전요홈이 형성됨으로서, 풍력에 의하여 회전구동이 제공되는 회전장치이다.
또한 상기 발전단지블럭(70)는 사용 현장인 해수면(35)에서 풍력이나 해류의 파도에 의하여 침몰하는 경우에 대한 안정성을 보강시켜 주는 발명으로서, 주행선(55)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프레임블럭(69)과, 상기 프레임블럭(69)의 모서리(a)(b) 사이를 보강시켜 주는 크로스 빔(53)의 구조를, 양측으로 더 돌출된 마름모형의 프레임블럭(69)과, 상기 프레임블럭(69)에 고정된 크로스 빔(53)으로 형성시켜 주면, 상기 프레임블럭(69)의 모서리(a) 사이에 설치된 보조주행선(57) 사이의 간격이 길게 형성된, 즉 장길이의 간격으로 결합됨으로서, 결과적으로 더 안정성이 보강된 발전단지블럭(70)을 제공시켜 주는 발명이다.
고로 상기 주행선(55)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빔(48)으로 사각 모서리(a)가 형성되는 장방형의 프레임블럭(69)을 양측으로 더 돌출된 장지지빔(48)으로 마름모형으로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프레임블럭(69') 제공시켜 주는 발명이다.
또한 보조주행선(57)을 밀폐된 빈 공간이나 발포체 등으로 충만된 부력대(64)로 제공함으로서, 해수면에서 더 안정적인 부력선을 제공시켜 주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발전단지블럭(70)의 목적인 주요 어장(85)에 대한 감시나 불법어선의 유입을 저지하여 주기 위여 소정의 길이로 연결시켜 줌으로서, 방어선(81)과 같이 제공을 위하는 발명으로서, 이에 대한 발명은 주행선(55)의 간판(51)에서 전,후측에 고정되는 연결대(47)와, 상기 연결대(47) 사이에는 연결고리(45)로 연결시켜서 제공되는 발명이다.
이는 소정의 구간(길이)으로 연결됨으로서, 해수면에서 주요어장(85)이나 불법어선의 이동로에 대한 감시를 위하여, 상기 연결고리(45)로 연결되는 연결대(47)를 체인(49)으로 보강시켜 주되, 상기 발전단지블럭(70)을 연속 반복적으로 연결로 구비시켜서 소정의 주요 어장(85)에 대한 불법어선의 유입을 예방하는 방어선(81)을 구축시켜 주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주행선(55)의 간판의 전후측으로 연결되는 연결고리(45)로 연결되는 연결대(47)의 인근에 돌출되는 보조기둥(61)과, 상기 보조기둥(61)의 상측 단부에 연결되는 태양광발전판(50)의 설치공간은, 상기 연결대(47)의 양측으로 설치하기에는 공간의 부족으로 인하여 주행 중에 방향변화에 의한 만곡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용이함을 위하여, 일측의 연결고리(45)에만 구비시켜서 제공함이 바람직하는 발명이다.(도8)
여기서 상기 발전블럭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태양광발전판(50)의 경사도에 의하여 유도된 풍력이 서로 연결로 설치된 풍력발전장치(67)의 회전날개의 구조를 하우징의 내측에 회전드럼(59)을 삽입하여주되, 유입되는 풍력으로 회전함으로서, 회전소음의 감소와 아울러 안정성을 보강시켜 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전단지(70)에 대한 실용성을 보강시켜 주기위는 설명으로서, 원래 중동지역이나 아프리카 지역의 사막화 지역에서는 육지(80)나 인접한 해수면에다 동일한 조건으로서, 햇볕의 비추는 기후가 거의 연중 계속하여 비추어 주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전단지(70)에 대한 실용성을 보강시켜 주기위는 설명으로서, 원래 중동지역이나 아프리카 지역의 사막화 지역에서는 육지(80)나 인접한 해수면에다 동일한 조건으로서, 햇볕의 비추는 기후가 거의 연중 계속하여 비추어 주고 있는 것이다.
고로 상기 사막화 지역에서의 육지(80)는 너무 건조하여서 조림 등이 거의 불가능하여, 여기에 비치는 햇볕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고로 상기 사막화 지역에서 본 발명의 요부인 발전단지(70)의 실용성을 제공시켜 주기 위하는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첨부된 도9 내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명되는 수중(해수면)(35)에 잠수로 구비되는 분출블럭(91)을 다수의 분출구가 형성된 분사대(79)로 구비시켜 주되, 상기 분사대(79)에서 고압으로 분사되는 가열공기는 해수를 통과로 증발구간(85)에 유입하는 과정에서 미새먼지나 염분은 해수(35)에 함유되면서 증발되는 수증기는 증발구간(85)의 상측에 구비된 필터링부(78)의 하측에서 미새한 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수증기는 서로 응결로 응축수를 형성하면서 하측면(d)을 흘러주게 되는 것이다.
고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흘러주는 응축수를 별도로 연결된 저수통(86)에 저장으로, 해수면에서 설치된 본 발명의 구조물에서 정수된 용수를 공급하여 주도록 제공하여 주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9 내지 도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링부(78)의 하측면(d)을 경사지게 구비된 응축대(83)와, 상기 응축대(83)에 형성된 응축수가 저장하도록 이송로(94)로 연결된 저수통(86)과,
상기 제염장치(67)의 일측으로 제2제염장치(67')을 구비시켜 주되, 상기 제염장치(67)의 배출관(97)과, 제2제염장치(67')의 배출관(97')을 연결시켜 주되, 상기 제염장치(67)의 증발구간(85)에서 연결관(99)을 제2제염장치(67')의 필터링부(78')로 연결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기둥(63)의 상측단부에 구비되는 태양광발전판(50)으로 고정시켜 주는 구조이며, 상기 태양광발전판(50)의 상측 단부에는 어장(85)이나 근해지역을 감시하여 주기 위한 감지장치(88)의 구비로 제공시켜 주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사막지역(예;중동)에 인접으로 구비되는 해수면(35)은 풍력은 연중 거의 무풍이면서 풍부한 햇볕이 비춰주는 기후가 형성되는 지역으로서, 이 지역의 풍부한 태양광을 발전으로 유도시켜 주면서 해수면(35)에서 이동이 용이하면서 어장(85)에 대한 보호 및 감시를 위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1 및 도11 내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선(55)용 프레임(56)에서 고정으로 돌출되는 지지기둥(63)의 상측단부에 구비되는 풍력발전블럭(67)을 태양광발전판(50)으로 고정시켜 주는 구조이며, 상기 주행선(55)의 갑판(51)에 구비되는 바테리터미널(72)용 충전장치(77)와, 상기 충전장치(77)에서 축전된 바테리를 별도로 구비된 운반선(75)에 선적으로 육상(80)의 터미널(73)으로 운반하도록 구비되는 발명으로서, 이는 심해지역이나 어장지역(85)에 관계없이 운행이 용이하게 감시와 아울러 어부 및 지역의 소득증대를 제공시켜 주는 발명이다.
또한 본원 발명이 적용하는 해수면(35)은 위치 및 계절에 따라 햇볕이 비치지만 시기에 따라 태풍이나 강풍이 불어주는 경우가 형성되는 바,
상기 지지기둥(63)을 결합으로 구비되는 수직형 푸로펠러(76)와, 상기 수직형 푸로펠러(76)의 상,하측 단부에 고정프렌지(58)가 구비되는 회전드럼(59), 상기 회전드럼(59)의 외측면에는 구비되는 경사지는 회전익(54)의 구비로서, 풍력에 의하여 회전을 하여 주도록 제공되었다.
그러나 상기 수직형 푸로펠러(76)는 외부로 노출이 됨으로서, 이에 대한 회전소음이나 관리상 위함성이 노출됨으로서, 이에 대한 안정적인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고로 본 발명에서는 태양광 및 풍력에 의한 발전을 안정적으로 제공시켜 주기 위하여, 첨부된 도15 내지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력발전장치와 태양광발전장치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제공시켜 주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프레임(56)과 크로스 빔(53)의 상측에서 풍력을 유도로 회전소음의 흡수와 아울러 회전구동을 안정적으로 제공시켜 주도록 가장자리에 보조기둥(61)(62)을 관통으로 고정시켜 주되, 중심에는 지지기둥(63)으로 후술로 설명되는 회전드럼(38)의 중심을 지지기둥(63)에 결합으로서 회전구동을 시켜주는 안내벽체(42)와, 상기 안내벽체(42)의 상측으로 돌출되면서 고정에 대한 내구성을 보강시켜 주기 위하는 프레임(56')과 크로스 빔(53') 으로 고정시켜 주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안내벽체(42)에서 유도된 풍력으로 회전을 시켜 주되, 회전소음을 흡수시켜 주도록 제공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의 내측공간에서 지지기둥(63)으로 결합되는 수직형 회전체(37)와, 상기 수직형 회전체(37)의 상,하측 단부에 고정프렌지(58)와, 상기 고정프렌지(58) 사이를 수직형 회전체(37)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는 경사대(36(가 돌출로 구비되는 회전드럼(38)을 제공시켜서 안내벽체(42)로부터 유도된 풍력으로 회전력을 보강시켜 주되, 상기 안내벽체(42)의 원주구간에는 소정의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만곡형의 안내판(43)과 안내구(41)의 구비로서 공중에서 불어주는 풍력을 내측공간에 구비된 회전체(38)로 유도시켜 주도록 구비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안내벽체(42)의 상측으로 구비되는 프레임(56')과 크로스 빔(53')과 ,상기 프레임(56')과 크로스 빔(53')상측으로 태양광의 수임이 효과적으로 형성되도록 다수개의 태양광발전판(50)을 지지기둥(63)과 보도기둥(61)(62)의 상측단부에 결합시켜 주되, 상기 다수개로 돌출된 기둥의 상측단부에는 회전장치(59')결합되는 태양광발전판(50)으로 형성되는 발전단지블럭(70)로 구비되는 발명이다.
이는 축전기술의 발달로 발전단지에서 발전된 전력은 축전지에 축전을 도록 주행선(55)에 구비된 밧테리터미널(72)용 충전장치(77)에서 충전된 전력을 별도의 운반선(75)에 적재로 미도시된 육상(80)의 터미널(73)로 운반하여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으로서, 이는 해수면에서 이송에 의한 송전을 해결시켜 주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일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경, 변형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30 : 부력대 35 : 해수면 37 : 회전체 38 : 회전드럼
41 : 안내판 42 : 안내벽체 45 : 연결고리 46 : 부양선
47 : 연결대 48 : 지지빔 49 : 체인 50 : 태양광발전판
51 : 갑판 51 : 갑판 55 : 주행선 56 : 프레임 57 : 보조주행선
57 : 보조주행선 61,62 : 보조기둥 63 : 지지기둥
64 : 부력대 65 : 푸로펠러 66 : 수직형푸로펠러 67 : 제염장치
68 : 어로작업 설비 69 : 프레임블럭 70 : 발전단지블럭
72 : 바테리 터미널 73 : 터미널 75 : 운반선 78 : 필터링부
79 : 분사대 81 : 방어선 84 : 가열공간 85 : 증발구간
86 : 저수통 88 : 자켓 91 : 분출블럭 93 : 커버

Claims (4)

  1. 해저에서 매설되는 기소(41)가 해수면(35)에 노출되는 기초구조물의 상측에다 연결 고정되는 지지기둥(63)의 상측 단부에다 지지봉(66)에 회전날개(60)가 구비되는 풍력발전장치(67)와, 상기 풍력발전장치(67)용지지기둥(63)의 하측단부를 고정으로 설치시켜 주기 위한 주행선(55)의 갑판(51)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빔(48)으로 사각 모서리(a)(b)가 형성되는 장방형의 프레임블럭(69)과, 상기 모서리(a)(b) 사이의 교차점에 지지기둥(63)을 관통으로 연결되는 크로스 빔(53)과, 상기 프레임블럭(69)의 양측 모서리(a)에서 관통으로 상,하향으로 돌출되는 보조기둥(61)과, 상기 보조기둥(61)의 하측에 결합되는 보조 주행선(57)과, 상기 보조기둥(61)(62)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는 태양광발전판(50)으로 형성되는 발전단지블럭(70)과, 상기 발전단지블럭(70)의 주행선(55)의 전후측에 연결고리(45)로 연결되는 연결대(47)로 구비되는 방어선(81)의 제공으로 구비되는 발전단지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발전판(50)에 가열공간(84)이 구비되는 카버(93)의 상,하측으로 연결되는 배출관(97) 및 유입관(98)과, 상기 배출관(97)에는 가압펌프(84)의 구비로 공급되는 고압공기를, 자켓(88)으로 감싸주는 증발구간(85)의 수중(35)에서 분사시켜 주는 분출블럭(91)과, 상기 분출블럭(91)의 상측의 수면(37)으로 형성된 증발구간(85)과, 상기 증발구간(85)의 상측으로 형성된 필터링부(78)와, 상기 필터링부(78)의 상측으로 연결된 유입관(98)으로 가열공간(84)에 제염된 공기를 공급시켜 주는 제염장치(67)와, 상기 주행선(55)의 양측에 돌출로 구비된 프레임(56)에 고정되는 부양선(46)과, 상기 부양선(46)의 간판(46)에는 축전기의 조립 및 분리로 구비되는 충전장치(77)와, 상기 보조기둥(63')에 구비되는 어장 감지장치(88)와 아울러 태양광 추적용 회전장치(59')회전되는 지지기둥(63')의 상단에 태양광발전판(50)로 구비되는 어로 작업용 신재생 발전단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78)의 하측면(d)을 경사지게 구비된 응축대(83)와, 상기 응축대(83)에 형성된 응축수가 저장하도록 이송로(94)로 연결된 저수통(86)과,
    상기 분출블럭(91)을 다수의 분출구가 구비된 분사대(79)와,
    상기 제염장치(67)의 일측으로 제2제염장치(67')을 구비시켜 주되, 상기 제염장치(67)의 배출관(97)과 제2제염장치(67')의 배출관(97')을 연결시켜 주고, 상기 제염장치(67)의 증발구간(85)에서 연결관(99)이 연결되는 제2제염장치(67')의 필터링부(78')와,
    상기 보조기둥(61)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는 태양광발전판(50)을 수직형 푸로펠러(76)로 형성시켜 주고, 상기 수직형 푸로펠러(76)에 구비되도록 상,하측 단부에 고정프렌지(58)가 구비되는 회전드럼(59), 상기 회전드럼(59)의 외측면에는 구비되는 경사지는 회전익(54)과, 상기 주행선(55)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빔(48)으로 사각 모서리(a)가 형성되는 장방형의 프레임블럭(69)을 양측으로 더 돌출된 지지빔(48')으로 마름모형으로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프레임블럭(69')과, 상기 보조주행선(57)을 부력대(64)로 형성시켜 주고, 상기 연결고리(45)로 연결되는 연결대(47)를 체인(49)으로 보강시켜 주고,
    상기 주행선(55)에 구비되는 바테리터미널(72)용 충전장치(77)와, 충전된 바테리를 운반하는 운반선(75)이 구비되는 어로 작업용 신재생 발전단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장치(67)를 태양광발전판(50)으로 형성시켜 주되,
    상기 프레임(56)과 크로스 빔(53)의 상측으로 구비되는 안내벽체(42)와, 상기 안내벽체(42)의 상측으로 구비되는 프레임(56')와 크로스 빔(53')과, 상기 안내벽체(42)의 내측구간으로 지지기둥(63)으로 결합되는 수직형 회전체(37)와, 상기 수직형 회전체(37)의 상,하측 단부에 고정프렌지(58)와, 상기 고정프렌지(58) 사이를 수직형 회전체(37)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는 경사대(36)가 돌출로 구비되는 회전드럼(38)을 제공시켜서 안내벽체(42)로부터 유도된 풍력으로 회전력을 보강시켜 주고,
    상기 안내벽체(42)에 구비되는 만곡형의 안내판(43)과 안내구(41)와, 상기 안내벽체(42)의 상측으로 구비되는 프레임(56')와 크로스 빔(53') 의 상측으로 태양광발전판(50)이 형성된 발전단지블럭(70)으로 제공되는 어로 작업용 신재생 발전단지.
KR1020150011719A 2014-12-25 2015-01-25 어로 작업용 신재생 발전단지 KR102186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38,677 US10189549B2 (en) 2014-12-25 2016-01-20 Renewable power generation farm for fishing work
CN201680004516.0A CN107110109B (zh) 2014-12-25 2016-01-20 用于捕捞作业的可再生能源发电场
PCT/KR2016/000562 WO2016105179A1 (ko) 2014-12-25 2016-01-20 어로 작업용 신재생 발전단지
AU2016204617A AU2016204617A1 (en) 2014-12-25 2016-01-20 Renewable power generation farm for fishing 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9169 2014-12-25
KR20140189169 2014-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582A KR20150023582A (ko) 2015-03-05
KR102186629B1 true KR102186629B1 (ko) 2020-12-03

Family

ID=53020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719A KR102186629B1 (ko) 2014-12-25 2015-01-25 어로 작업용 신재생 발전단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89549B2 (ko)
KR (1) KR102186629B1 (ko)
CN (1) CN107110109B (ko)
AU (1) AU2016204617A1 (ko)
WO (1) WO20161051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629B1 (ko) * 2014-12-25 2020-12-03 민승기 어로 작업용 신재생 발전단지
CN108791740A (zh) * 2018-07-24 2018-11-13 上海交通大学 大型深海浮式多能源联合发电基地
FR3106566B1 (fr) * 2020-01-29 2024-04-05 Inno&Sokol Installation de production d’électricité pour navire
GB2595521A (en) * 2020-05-29 2021-12-01 Trivane Ltd Floating vessel with wind turbine support
CN114212234A (zh) * 2021-12-15 2022-03-22 中国船舶集团风电发展有限公司 一种海上漂浮式船舶供电装置
CN114802622B (zh) * 2022-04-22 2023-06-16 中国海洋石油集团有限公司 一种双船体型浮式风机基础装置
WO2024046847A1 (en) * 2022-08-29 2024-03-07 Grøn Udvikling Af 1/11 2020 Aps An energy harvesting unit
JP7457424B1 (ja) 2023-10-12 2024-03-28 テラグリッド株式会社 太陽光発電海上浮遊体モジュール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95609A1 (en) 2007-02-20 2010-04-22 Yun Se Kim Complex generator using solar and wind and wav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55511B (en) * 2007-12-10 2009-12-30 Squid Inc A floor and electrical generator module
SG174478A1 (en) * 2009-03-20 2011-10-28 Float Inc Offshore floating ocean energy system
KR101347914B1 (ko) * 2010-10-06 2014-01-10 민승기 응축수 포집되는 수면 구조물
KR20110094168A (ko) * 2011-08-01 2011-08-22 민승기 풍력발전기에 연설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KR20130065044A (ko) * 2011-12-09 2013-06-19 민승기 풍력발전기에 태양광발전장치가 연설되는 수면 구조물
KR101302055B1 (ko) * 2012-09-24 2013-08-29 공종현 태양광발전모듈조립체
KR102186629B1 (ko) * 2014-12-25 2020-12-03 민승기 어로 작업용 신재생 발전단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95609A1 (en) 2007-02-20 2010-04-22 Yun Se Kim Complex generator using solar and wind and wa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582A (ko) 2015-03-05
CN107110109A (zh) 2017-08-29
WO2016105179A1 (ko) 2016-06-30
CN107110109B (zh) 2019-06-04
AU2016204617A1 (en) 2017-08-03
US20170355426A1 (en) 2017-12-14
US10189549B2 (en) 201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629B1 (ko) 어로 작업용 신재생 발전단지
US11149716B2 (en) Offshore wind-solar-aquaculture integrated floater
US20110187102A1 (en) Energy System
US8102071B2 (en) River and tidal power harvester
US9347425B2 (en) Offshore floating barge to support sustainable power generation
CN106103985A (zh) 安装于船舶的海洋热能转换系统
CN106065844B (zh) 海上浮式发电机
US20140183122A1 (en) Caisson Breakwater Module
US20160369646A1 (en) System for producing fresh water and electricity using cold ocean water in combination with wind power
KR101039372B1 (ko) 수중생물 유입 차단장치
JP2009270491A (ja) 英仏海峡海流発電システム
JP2019500544A (ja) 潮力発電システム
GB2449620A (en) Using existing oil and gas drilling platforms for the convers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CN206602481U (zh) 一种浮筒式漂浮约束桁架
JPH1138172A (ja) 海上原子力発電プラントおよびその建設方法,定期検査方法,海上プラント
KR101868449B1 (ko) 연안지역용 신재생 발전장치
US9181102B2 (en) Method for producing crystallized salt and bittern with a system through the evaporation process
He Jacket-cage: dual-use the jacket foundation of offshore wind turbine for aquaculture farming
GB2592209A (en) Filtration system
KR101372474B1 (ko) 폐선을 이용한 파력 발전장치
US20150053356A1 (en) Floating salt farm
KR20140037399A (ko) 태풍력 유도되는 풍력 및 태양광 발전장치
WO2023211288A1 (en) Floating solar power plant
KR20110126502A (ko) 연안 집수 구조물을 이용한 파력발전장치
JP2013160192A (ja) 多胴型発電台船により多機能的に海洋エネルギーを活用する発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