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739A - 싱크대 배수구 마개 - Google Patents

싱크대 배수구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739A
KR20200061739A KR1020180147381A KR20180147381A KR20200061739A KR 20200061739 A KR20200061739 A KR 20200061739A KR 1020180147381 A KR1020180147381 A KR 1020180147381A KR 20180147381 A KR20180147381 A KR 20180147381A KR 20200061739 A KR20200061739 A KR 20200061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drain
opening
cap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2091B1 (ko
Inventor
오희운
Original Assignee
오희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희운 filed Critical 오희운
Priority to KR1020180147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091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 배수구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싱크대 배수구 마개는 내부에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배수홀과 연통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배수구의 상부에 안착되는 원판형의 마개판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개판의 하부에는 상기 배수홀을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배수홀의 하부를 개폐하는 원판형의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의 일측에서 일체로 돌출되며, 단부에 금속재의 중량체가 구비된 회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부는 마개판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축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마개판에는 복수개의 미세홀이 형성되며, 상기 마개판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안착돌기가 돌출된다.
이에 따르면, 싱크대에 별도의 오버플로우관을 설치하지 않고 싱크대의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싱크대 배수구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세척하여 싱크대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싱크대 배수구 마개 {Sink drain cap}
본 발명은 싱크대 배수구 마개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의 몸체에 내부 배수홀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물의 하중으로 배수홀을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형성되어 배수구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배수구의 악취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싱크대에 별도의 오버플로우관을 연결하지 않도록 하여 오버플로우관에 축적되는 오염물질로 인한 악취를 방지할 수 있는 싱크대 배수구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의 배수홀은 음식물 찌꺼기 등에 의해 장시간 사용시 비위생적이고 악취가 발생하여 배수홀에 마개를 설치하거나 별도의 트랩을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그 일예로 등록특허 제10-1154251호 '싱크대 및 세탁기 배수관의 악취 역류 차단용 트랩'을 살펴보면 싱크대 및 세탁기의 배수관의 입구측에 삽입 고정되고 내면에 계단식의 단턱이 형성되어 다양한 사이즈의 호스 또는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는 호스 연결관, 이 호스 연결관의 하단에 연결되는 삽입관, 삽입관 내에 설치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하는 차단막, 하방향으로 개방되는 상기 차단막을 다시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차단막의 일측에 무게중심을 형성하는 무게추, 삽입관 내면에 형성되고 차단막의 상방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상방 고정돌기와 상기 차단막의 하방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하방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트랩은 배수관 내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쥐나 해충은 물론 후각과 시각의 혐오감을 완전히 차단해주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 트랩의 경우 싱크대의 싱크볼 상부 측면에 형성되어 싱크볼에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오버클로우(overflow)을 통해 발생하는 악취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주름형상과 직각으로 굽어져 물이 정체될 수 있고 악취가 발생할 경우 교체가 어려운 오버플로우관은 매우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싱크대 배수구에 안착되도록 하부는 원판형의 마개판이 형성되고 마개판에서 원통형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배수홀과 연통되는 통공이 관통되어 통공을 통해 싱크볼에서 넘치는 물이 배출되어 오버플로우관과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싱크대에 별도의 오버플로우관을 배관하지 않아 오버플로우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방지함은 물론 배수가 원활하게 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싱크대 배수구 마개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안착되는 배수구 마개에 있어서, 내부에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배수홀과 연통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배수구의 상부에 안착되는 원판형의 마개판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개판의 하부에는 상기 배수홀을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배수홀의 하부를 개폐하는 원판형의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의 일측에서 일체로 돌출되며, 단부에 금속재의 중량체가 구비된 회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부는 마개판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축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마개판에는 복수개의 미세홀이 형성되며, 상기 마개판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안착돌기가 돌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싱크대에 별도의 오버플로우관을 설치하지 않고 싱크대의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음은 물론 싱크대 배수구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세척하여 싱크대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 마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 마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 마개의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 마개(이하 '배수구 마개'라함)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마개(1)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싱크대의 배수구에 간편하게 안착하고 분리할 수 있는 것으로 싱크대의 배수구에 안착되는 배수구 마개에 있어서, 내부에 배수홀(11)이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배수홀(11)과 연통되도록 통공(12)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배수구의 상부에 안착되는 원판형의 마개판(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원판형의 마개판(20)은 배수구에 안착되어 뚜껑의 역할을 하게 되며 설겆이 등 물을 사용할 시 막아서 사용하게 된다.
이때, 싱크볼에 물이 차오르면 통상 오버플로우(overflow)관이 연결된 싱크볼 상측 보조 배수구를 통해 물이 빠져나가게 되나 본 발명의 배수구 마개(1)를 설치할 시 물이 상기 통공(12)을 통해 배수홀(11)을 따라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통공(12)은 몸체(10)의 일측에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물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 마개(1)를 사용하지 않을 시 파지하여 이탈이 용이하도록 몸체(10)의 상단 둘레가 외측으로 돌출된 파지부(13)가 형성된다.
따라서, 싱크볼에 별도의 보조 배수구나 오버플로우관을 설치하지 않아 이 오버플로우관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오염물질의 역류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구 마개(1)는 통상 싱크볼의 바닥 일측에 형성되는 배수구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가 마개판(20)의 중앙부에서 외측에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통공(12)은 통상의 보조 배수구의 높이와 같은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배수구 마개(1)는 녹이 슬지 않고 세척이 용이한 합성수지재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마개판(20)의 하부에는 상기 배수홀(11)을 개폐하는 개폐부재(30)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30)는 상기 배수홀(11)의 하부를 개폐하는 원판형의 개폐판(31)과 상기 개폐판(31)의 일측에서 일체로 돌출되며, 단부에 금속재의 중량체(33)가 구비된 회동부(32)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부(32)는 마개판(2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돌기(21)에 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상기 개폐판(31)은 상기 배수홀(11)의 직경보다 큰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개폐판(31)의 일측에서 돌출된 회동부(32)의 단부에는 금속체와 같은 중량체(33)가 내삽되며, 회동부(32)가 고정돌기(21)에 축결합되어 배수홀(11)로 유입된 물의 하중에 의해 개폐판(31)이 회동부(32)에 결합된 축(34)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되고 물이 배출된 후 중량체(33)의 무게에 의해 자연스럽게 원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21)는 상기 회동부(32)의 양측에 한 쌍이 판상으로 돌출되어 축(34)이 관통된다.
이때, 상기 축(34)에 토션 스프링을 결착하여 물의 무게에 의해 개폐판(31)의 회동으로 배수홀(11)이 개방되고 물이 배수된 후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개폐판(31)이 원상복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상기 마개판(20)에는 복수개의 미세홀(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홀(22)은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단면이 삼각형태로 형성되어 마개판(20)의 상부에 잔류하는 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설거지 등 물을 사용할 시 본 발명의 배수구 마개(1)를 싱크대의 배수구에 막아 사용하고 설거지가 끝난 후 분리하여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마개판(2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안착돌기(24)가 돌출되어 배수구 마개(1)를 분리하여 보관할 시 안착돌기(24)에 의해 배수구 마개(1)의 하부에 구비된 개폐부재(30)가 바닥에 직접 닿지 않고 세워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돌기(24)는 원통형으로 3~5개가 등간격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마개판(20)의 하부에는 싱크대의 배수구 내벽 상측에 밀착되어 배수구 마개(1)가 항상 정위치에 안착되도록 호 형상의 정위치돌기(25)가 복수개 구비되며 도 1과 같이 상기 안착돌기(24)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위치돌기(25)에 의해 배수구 마개(1)의 결합이 용이함은 물론 외력에 의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배수구 마개(1)는 싱크대의 배수구의 상부에서 간편하게 착탈하여 배수구의 뚜껑 역할을 하여 배수구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역류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물 사용시 별도의 보조 배수구를 설치하지 않고 넘치는 물을 배출할 수 있어 싱크대 제조 비용을 낮추고 싱크대 설치가 매우 간편함은 물론 보조 배수구와 연결된 오버플로우관의 오염에 따른 악취를 방지하고 싱크대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배수구 마개 10: 몸체
11: 배수홀 12: 통공
13: 파지부 20: 마개판
21: 고정돌기 22: 미세홀
30: 개폐부재 31: 개폐판
32: 회동부 33: 중량체
34: 축

Claims (4)

  1. 싱크대의 배수구에 안착되는 배수구 마개에 있어서,
    내부에 배수홀(11)이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배수홀(11)과 연통되도록 통공(12)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배수구의 상부에 안착되는 원판형의 마개판(20)을 포함하여 형성된 싱크대 배수구 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판(20)의 하부에는 상기 배수홀(11)을 개폐하는 개폐부재(30)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30)는 상기 배수홀(11)의 하부를 개폐하는 원판형의 개폐판(31)과 상기 개폐판(31)의 일측에서 일체로 돌출되며, 단부에 금속재의 중량체(33)가 구비된 회동부(32)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부(32)는 마개판(2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돌기(21)에 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배수구 마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판(20)에는 복수개의 미세홀(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배수구 마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판(2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안착돌기(24)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배수구 마개.
KR1020180147381A 2018-11-26 2018-11-26 싱크대 배수구 마개 KR102132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381A KR102132091B1 (ko) 2018-11-26 2018-11-26 싱크대 배수구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381A KR102132091B1 (ko) 2018-11-26 2018-11-26 싱크대 배수구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739A true KR20200061739A (ko) 2020-06-03
KR102132091B1 KR102132091B1 (ko) 2020-07-08

Family

ID=7108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381A KR102132091B1 (ko) 2018-11-26 2018-11-26 싱크대 배수구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09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2371U (ja) * 1991-11-07 1993-06-08 成男 掛村 排水機能付き流し蓋
JPH0657973U (ja) * 1993-01-13 1994-08-12 ヤマハリビングテック株式会社 止水用部品
KR200276599Y1 (ko) * 2002-02-25 2002-05-25 오청자 절수형 배수덮게
JP2005113669A (ja) * 2003-09-18 2005-04-28 Sokun Imoto 排水蓋
JP2006057431A (ja) * 2004-08-20 2006-03-02 Yoshinori Sato 水位調整付きシンク栓
JP2007126895A (ja) * 2005-11-04 2007-05-24 San Techno:Kk シンクの排水口用蓋
KR20110068744A (ko) * 2009-12-14 2011-06-22 (주)코트랩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
US20140259380A1 (en) * 2013-03-14 2014-09-18 Kohler Co. Sink with drain cover
KR20160020931A (ko) * 2014-08-14 2016-02-24 김관배 음식물 처리장치
JP2017122347A (ja) * 2016-01-07 2017-07-13 大日化成工業株式会社 シンクの排水口用蓋体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2371U (ja) * 1991-11-07 1993-06-08 成男 掛村 排水機能付き流し蓋
JPH0657973U (ja) * 1993-01-13 1994-08-12 ヤマハリビングテック株式会社 止水用部品
KR200276599Y1 (ko) * 2002-02-25 2002-05-25 오청자 절수형 배수덮게
JP2005113669A (ja) * 2003-09-18 2005-04-28 Sokun Imoto 排水蓋
JP2006057431A (ja) * 2004-08-20 2006-03-02 Yoshinori Sato 水位調整付きシンク栓
JP2007126895A (ja) * 2005-11-04 2007-05-24 San Techno:Kk シンクの排水口用蓋
KR20110068744A (ko) * 2009-12-14 2011-06-22 (주)코트랩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
US20140259380A1 (en) * 2013-03-14 2014-09-18 Kohler Co. Sink with drain cover
KR20160020931A (ko) * 2014-08-14 2016-02-24 김관배 음식물 처리장치
JP2017122347A (ja) * 2016-01-07 2017-07-13 大日化成工業株式会社 シンクの排水口用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091B1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054B1 (ko)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
US4224701A (en) Pest and odor preventive sanitary drainer
KR102132091B1 (ko) 싱크대 배수구 마개
KR200431056Y1 (ko) 오버플로우 배관용 역류방지트랩
JPH0615778B2 (ja) 便器用フラッシュ弁取付け装置
KR200489327Y1 (ko) 냄새차단 트랩
KR101609201B1 (ko) 악취유입을 방지하는 배수트랩
KR20048252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102083469B1 (ko) 배수용 트랩
JPH06306908A (ja) 排水トラップ
KR20100012980U (ko) 하수구용 배수트랩
KR200458962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US20100269913A1 (en) Gravity-assisted drain valve for restricting intake of mildew spores
JP3569842B2 (ja) 排水トラップ及び排水トラップを用いた浴室構造
KR200465364Y1 (ko) 배수관용 배수 트랩의 조립체
JP2010048030A (ja) 排水トラップ
JP2007231660A (ja) シンク構造
KR101926851B1 (ko) 악취 차단 하수구 마개
KR20160003178U (ko) 싱크대 배수호스 연결장치
JP3541290B2 (ja) 排水トラップ
JPH0913462A (ja) 排水口の防臭装置
KR20140088429A (ko) 배수 트랩
KR20100095756A (ko) 배수관용 악취 차단구
JP6040354B2 (ja) 排水装置
EP3507427A1 (en) Shower drain f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