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744A -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68744A KR20110068744A KR1020100015050A KR20100015050A KR20110068744A KR 20110068744 A KR20110068744 A KR 20110068744A KR 1020100015050 A KR1020100015050 A KR 1020100015050A KR 20100015050 A KR20100015050 A KR 20100015050A KR 20110068744 A KR20110068744 A KR 201100687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
- guide
- sink
- hopper guide
- touc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6—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plug being operated by hand contac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2001/2317—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ransmission of actuation force involves a spr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07—House plumbing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는, 싱크대의 버켓 상면에 부착된 고정림과 끼워맞춤되며 버켓의 하방에 배치된 배수통으로 이어지는 배수구가 형성된 호퍼가이드(20) 및 호퍼가이드와 조합된 원터치식 승강수단과, 승강수단에 의해 작동되어 호퍼가이드의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마개(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원터치식 승강수단은 호퍼가이드와 연결되는 원통케이스(30)와, 원통케이스에 내장되어 상단이 배수마개와 연결되는 내부회전통(32), 내부회전통과 연동되는 회전캠(34)과, 회전캠에 대하여 상방으로 탄성적인 압력을 가하는 압축스프링(36)과, 원통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어 압축스프링을 받치는 하부캡(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는 기존의 배수통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기능의 저하를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활용성 및 사용상의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원터치식 승강수단은 호퍼가이드와 연결되는 원통케이스(30)와, 원통케이스에 내장되어 상단이 배수마개와 연결되는 내부회전통(32), 내부회전통과 연동되는 회전캠(34)과, 회전캠에 대하여 상방으로 탄성적인 압력을 가하는 압축스프링(36)과, 원통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어 압축스프링을 받치는 하부캡(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는 기존의 배수통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기능의 저하를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활용성 및 사용상의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구를 원터치방식으로 작동하는 배수마개를 사용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주방에서 요리나, 설거지 등을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물이나 식기 등을 담기 위한 버켓(bucket)(2)과, 상기 버켓(2)의 하방에 배치되는 배수통(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배수통(3)은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서 배수관(5)과 연결되며, 그 내부에는 음식찌꺼기를 거르는 필터망(6)이 장착되어 있고, 버켓(2)의 상면에서 버켓(2)을 아래로 통과하여 걸리는 고정림(8)과 결합되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그리고, 종래의 싱크대에는 버켓(2)에서 배수통(3)으로 통하는 배수구를 개폐하기 위한 배수마개(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종래의 배수마개(9)는 고정림(8)에 단순히 얹혀지는 방식으로 결합 분리됨으로써 배수구를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이른바 단순막음식 배수마개(9)를 사용하는 종래기술에 의하면, 버켓(2)에 물이 가득 담겨진 상태에서는 수압이 높기 때문에 배수마개(9)를 들어올려서 배수구를 개방하는 작동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거지 과정에서 그릇이 배수마개(9)에 걸림으로써 그릇이 훼손되거나, 배수구가 원치 않게 열릴 수도 있으며,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할 경우 배수마개(9)가 분실될 우려도 있는 등 사용상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이른바 단순막음식 배수마개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제0235715호와 같은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가 안출되었다.
종래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는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배수마개(10)와, 배수마개(10)의 작동을 위한 승강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승강수단은 배수마개(10)에 연결되는 고정부재(11)와, 고정부재(11)의 하단에 연결되는 원통부재(12)와, 원통부재(12)에 내장되며 하단에 고정돌기(131)가 구비된 이동부재(13)와, 이동부재(13)의 하단에 배치되며 외면에 접촉돌기(141)가 형성된 회전부재(14)와, 압축스프링(15) 및 압축스프링(15)의 탄성력을 회전부재(14)에 전달하는 탄성력전달부재(16)가 내부에 갖추어진 수용부재(17)와, 수용부재(17)와 고정연결되는 하부부재(18)와, 하부부재(18)와 수용부재(17)를 연결하기 위한 고정체(19)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 승강수단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이른바 원터치식 볼펜(똑딱이 볼펜)에서 볼펜심이 돌출되는 작동을 이루도록 하는 원터치기구와 유사한 구조 및 작동원리를 갖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종래의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에 의하면, 배수마개(10)가 닫힌 상태에서 배수마개(10)를 누르면, 승강수단의 작동원리상 배수마개(10)가 일정높이 만큼 상승하여 배수구를 개방하게 되고, 다시 배수마개(10)를 누르면 배수마개(10)가 아래로 내려가 배수구를 막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단순막음식 배수마개(9)에 비해 개폐 조작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분실우려와 같은 사용상의 문제점이 유발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는 몇 가지 구성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종래의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의 승강수단은 고정부재(11), 원통부재(12) 및 수용부재(17)가 상하로 일렬 배치되어 이어짐으로써 전체적으로 길이가 긴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누름조작에 의해 배수마개(10)가 압축스프링(15)을 탄성압축하면서 아래로 내려가는 작동 및 압축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 배수마개(10)가 위로 올라가는 작동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압축스프링(15)을 받치는 수용부재(17)의 위치가 고정되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해 종래기술에서는 수용부재(17)가 하부부재(18)와 연결되며, 하부부재(18)는 배수통(4)의 바닥면과 고정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와 조합되는 배수통(4)은 승강수단을 수용할 수 있을 만한 충분한 크기가 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바닥면이 하부부재(18)와 고정되어야 하는 바, 이 같은 특성상 종래기술의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는 기존의 배수통(3)과는 실질적으로 조합이 불가하며, 종래기술에 따른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의 사용을 위해서는 승강수단과 조합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배수통(4) 또한 필수적으로 갖추어져야 한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 승강수단이 배수통(4)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가로질러 배치되는 특성상 배수통(4) 내에서의 오수흐름이 원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필터망(6)의 사용이 불가하므로 음식물찌꺼기에 의해 하부부재(18)의 배출공(18a)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배수마개(10)의 작동에 대한 기능적인 면은 어느 정도 개선이 되나, 기존싱크대에 적용이 불가하고 싱크대의 배수기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유발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 기존의 배수통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기능의 저하를 유발하지 않는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는, 싱크대의 버켓 상면에 부착된 고정림과 끼워맞춤되며 버켓의 하방에 배치된 배수통으로 이어지는 배수구가 형성된 호퍼가이드와, 상기 호퍼가이드와 조합된 원터치식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작동되어 호퍼가이드의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마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원터치식 승강수단은 상기 호퍼가이드와 연결되며 내면에 다수개의 승강돌기라인이 형성된 원통케이스와, 상기 원통케이스에 내장되어 상단이 상기 배수마개와 연결되며 하단에 다수개의 가이드돌기가 구비된 내부회전통과, 상기 내부회전통의 상기 가이드돌기와 치합되는 다수개의 슬립돌기가 구비됨으로써 내부회전통과 연동되는 회전캠과, 상기 회전캠에 대하여 상방으로 탄성적인 압력을 가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원통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어 압축스프링을 받치는 하부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캠은 상면이 막히고 하면이 개방된 중공(中空)형태로서 상기 내부회전통에 삽입되며, 상기 압축스프링 또한 상기 회전캠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슬립돌기는 회전캠의 하부 외면에 형성되어 회전캠이 내부회전통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돌기와 치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회전통의 가이드돌기는 하단이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캠의 슬립돌기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하단과 면접(面接)되는 각도로 하향 경사지고 중간에 걸림단부가 형성된 단차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케이스는 호퍼가이드의 배수구 중심에 위치되며, 호퍼가이드의 내경으로부터 연장된 다수개의 연결대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호퍼가이드의 외주면에는 호퍼가이드가 고정림에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고정림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패킹링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마개의 가장자리에는 배수마개의 닫힘상태에서 호퍼가이드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마개링이 구비된다.
상기 호퍼가이드는 외주단에서 내주단측으로 가면서 점차 높이가 낮아져서 배수구가 호퍼가이드의 외주단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호퍼가이드의 외주면에는 호퍼가이드가 고정림에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고정림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패킹링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마개의 가장자리에는 배수마개의 닫힘상태에서 호퍼가이드와의 사이에서 수밀을 형성하여 배수구를 차단하는 마개링이 구비된다.,
상기 호퍼가이드의 하단은 타부위보다 내경이 작은 형태의 내향(內向)단턱부를 구성하며, 상기 마개링은 상기 내향단턱부의 내경보다 외경이 큰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는 기존의 단순막음식 배수마개와 교환하여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성이 높고, 배수기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도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상의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단순막음식 배수마개가 적용된 싱크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단면도이다.
도 6a, 6b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지 않은 측면밀착형 수밀구조를 나타낸 예시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단면도이다.
도 6a, 6b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지 않은 측면밀착형 수밀구조를 나타낸 예시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3 부터 도 7 까지 참조로 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는, 도 3과 도 4,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싱크대의 버켓 상면에 부착된 고정림(8)과 끼워맞춤되며 버켓(2)의 하방에 배치된 배수통(3)으로 이어지는 배수구(20a)가 형성된 호퍼가이드(20)와, 상기 호퍼가이드(20)와 조합된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작동되어 호퍼가이드(20)의 배수구(20a)를 개폐하는 배수마개(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호퍼가이드(20)는 기존의 단순막음식 배수마개(9)와 호환되어 고정림(8)에 끼워맞춤될 수 있는 구조로 그 외주단의 형태가 이루어지며, 외주단에서 내주단측으로 가면서 점차 높이가 낮아져서 배수구(20a)가 외주단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호퍼가이드(20)의 하단은 타부위보다 내경이 작은 형태의 내향(內向)단턱부(203)를 구성하는데, 상기 내향단턱부(203)는 배수마개(22)의 닫힘상태에서 후술된 마개링(221)의 저면과 밀착되도록 그 상면이 평탄면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호퍼가이드(20)와 연결되며 내면에 다수개의 승강돌기라인(301)이 형성된 원통케이스(30)와, 상기 원통케이스(30)에 내장되어 상단이 상기 배수마개(22)와 연결되는 내부회전통(32)과, 상기 내부회전통(32)과 연동되는 회전캠(34)과, 상기 회전캠(34)에 대하여 상방으로 탄성적인 압력을 가하는 압축스프링(36)과, 상기 원통케이스(30)의 하단에 결합되어 압축스프링(36)을 받치는 하부캡(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케이스(30)는 호퍼가이드(20)의 배수구(20a) 중심에 위치되며, 호퍼가이드(20)의 내경으로부터 연장된 다수개의 연결대(201)에 의해 지지되고, 그 직경이 호퍼가이드(20)의 내경 즉 배수구(20a)보다 훨씬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통케이스(30)의 승강돌기라인(301)은 원통케이스(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각 승강돌기라인(301)의 위치는 후술된 회전캠(34)의 슬립돌기 (341)사이의 각 간극(34a)과 정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부회전통(32)은 하단 외면에 다수개의 가이드돌기(321)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캠(34)은 상면이 막히고 하면이 개방된 중공(中空)형태로서 상기 내부회전통(32)에 아래에서 위로 삽입되며,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회전통(32)의 가이드돌기(321)와 치합되는 다수개의 슬립돌기(341)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축스프링(36) 또한 상기 회전캠(34)에 아래에서 위로 삽입되어 내장되며, 하부캡(38)이 상기 원통케이스(30)의 하단에 결합됨으로써 압축스프링(36)을 받치게 된다.
상기 내부회전통(32)의 가이드돌기(321)는 하단이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캠(34)의 슬립돌기(341)는 상기 가이드돌기(321)의 하단과 면접(面接)되는 각도로 하향 경사지고, 중간에 걸림단부(342)가 형성된 단차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호퍼가이드(20)의 외주단에는 호퍼가이드(20)가 고정림(8)에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고정림(8)의 내주단과 밀착되는 패킹링(202)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마개(22)의 가장자리에는 배수마개(22)의 닫힘상태에서 호퍼가이드(20)와의 사이에서 수밀(水密)을 형성하여 배수구(20a)를 차단하는 마개링(221)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마개링(221)은 상기 호퍼가이드 내향단턱부(203)의 내경보다 그 외경이 큰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마개(22)의 닫힘상태에서 상기 내향단턱부(203)의 상면과 그 저면이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수마개(22)의 닫힘상태에서는 상기 마개링(221)의 외주선단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호퍼가이드(20)의 내면사이에는 간극(G)(도 6a 참조)이 유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원통케이스(30)에 내부회전통(32)이 내장되고, 내부회전통(32)에 회전캠(34)이 내장되며, 회전캠(34)에 압축스프링(36)이 내장되는 이른바 순차(順次)내장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길이가 짧게 구성될 뿐만 아니라, 원통케이스(30)가 연결대(201)에 의해 호퍼가이드(20)와 연결되는 특성상 호퍼가이드(20)에 의해서만 지지되고 장착된 상태에서 배수통(3) 및 필터망(6)과 간섭되지 않는 이른바 모듈구조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는 종래의 원터치식 배수마개(22)와 달리 기존의 단순막음식 배수마개(9)(도 1 참조)를 들어내고, 고정림(8)에 호퍼가이드(20)를 끼워넣는 방식으로 간단히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수구의 닫힘상태에서는 도 6a에 나타난 것과 같이 원통케이스(30)의 승강돌기라인(301) 하단이 회전캠(34)의 슬립돌기(341)에 의해 받쳐진 상태 즉, 상대적으로는 슬립돌기(341)가 승강돌기라인(301)에 걸려서 올라가지 못하는 상태가 되고, 회전캠(34)에 내장된 압축스프링(36)은 아래로 압축되어 탄성력을 축적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배수마개(22)는 배수구(20a)를 형성하는 호퍼가이드(20)의 내주면과 일치하는 높이로 배치되고, 마개링(221)은 그 저면이 호퍼가이드(20)의 내향단턱부(203)의 상면과 밀착됨으로써 배수구(20a)가 차단되어 버켓 내에 담겨진 물이 누수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어서, 배수구(20a)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배수마개(22)를 아래로 누르게 되는데, 이와 같이 하면 배수마개(22)와 연결된 내부회전통(32)이 아래로 내려감과 동시에 내부회전통(32)의 가이드돌기(321)와 회전캠(34)의 슬립돌기(341)의 연접면이 경사진 구조상 회전캠(34)이 회전하게 되고, 슬립돌기(341)의 걸림단부(342)에 가이드돌기(321)가 걸리어 회전캠(34)의 회전각도가 일정하게 제한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원통케이스(30)의 각 승강돌기라인(301)이 각 슬립돌기(341) 사이의 간극(34a)과 정렬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배수마개(22)를 한번 눌렀다가 놓게 되면 승강돌기라인(301)에 의한 슬립돌기(341)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아래로 압축되었던 압축스프링(36)이 상향 팽창하여 원래의 길이로 복귀되며, 도 6b에 나타난 것과 같이 배수마개(22)는 압축스프링(36)의 복귀된 길이만큼 상방으로 돌출됨으로써 배수구(20a)가 개방된다.
그리고, 다시 배수마개(22)를 누르게 되면, 내부회전통(32)이 아래로 내려가면서 가이드돌기(321)와 슬립돌기(341)의 면접 구조상 회전캠(34)이 일측방향으로 일정각도만큼 회전하게 되고, 원통케이스(30)의 승강돌기라인(301) 하단에 슬립돌기(341)가 위치됨으로써 압축스프링(36)이 압축된 상태가 되고, 배수마개(22)는 호퍼가이드(20)의 내주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됨으로써 배수구(20a)가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수마개(22)를 반복해서 누르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배수구(20a)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듈화된 구성의 특성상 기존의 단순막음식 배수마개(9)와 쉽게 교체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길이가 짧은 구조적인 특성상 승강수단이 배수통(3) 내에서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배수기능이 저하되지 않는다.
더불어, 호퍼가이드(20)의 구조상, 배수구(20a)가 버켓(2)의 바닥면보다 낮게 위치되기 때문에 버켓(2)에 물을 담아놓고 설거지를 하는 등의 경우에도 버켓(2)에 담겨진 그릇이 배수마개(22)에 걸려서 훼손될 우려가 없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마개링(221)의 저면과 내향단턱부(203)의 상면이 밀착되는 반면, 마개링(221)의 외주선단이 호퍼가이드(20)의 내면과 밀착되지 않는 이른바 하부밀착형 수밀구조를 이용하여 배수구(20a)를 차단하게 되는데, 이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마개링(221)과 같은 링형태의 패킹부재를 사용하여 측면밀착형 수밀구조를 이루는 경우에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작동상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마개링(221)이 측면밀착형 수밀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본다면 도 7에 나타난 것과 같이 배수마개(22)의 닫힘상태에서 마개링(221)의 외주선단은 호퍼가이드(20)의 내면과 밀착 압박됨으로써 수밀을 이루게 되고, 버켓(2)(도 1 참조)에 많은 양의 물이 저수되면, 저수된 물의 압력에 의해 마개링(221)의 외주선단이 호퍼가이드(20)의 내면에 강하게 압박되어 마개링(221)과 호퍼가이드(20)의 내면사이에서 강한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마찰력이 배수마개(22)를 위로 밀어올리는 압축스프링(36)의 탄성복귀작용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배수마개(22)의 닫힘상태에서 배수구(20a)를 개방하기 위하여 배수마개(22)를 누르는 조작을 하더라도, 배수마개(22)가 상승하는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배수구(20a)가 제대로 개방되지 않을 우려가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은 하부밀착형 수밀구조가 적용된 경우에는 배수마개(22)의 닫힘상태에서 마개링(221)의 저면이 호퍼가이드(20)의 내향단턱부(203)의 상면에 밀착되는 작용만으로 수밀을 이루게 되며, 마개링(221)의 외주선단과 호퍼가이드(20)의 내면사이에는 간극이 유지되기 때문에 마개링(221)의 외주선단이 호퍼가이드(20)의 내면에 압박밀착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마개링(221)과 호퍼가이드(20) 내면간의 마찰력으로 인해 배수마개(22)의 상승 작동이 억제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3: 배수통 8: 고정림
20: 호퍼가이드 20a: 배수구
201: 연결대 202: 패킹링
203: 내향단턱부 22: 배수마개
221: 마개링 30: 원통케이스
301: 승강돌기라인 32: 내부회전통
321: 가이드돌기 34: 회전캠
341: 슬립돌기 36: 압축스프링
38: 하부캡
20: 호퍼가이드 20a: 배수구
201: 연결대 202: 패킹링
203: 내향단턱부 22: 배수마개
221: 마개링 30: 원통케이스
301: 승강돌기라인 32: 내부회전통
321: 가이드돌기 34: 회전캠
341: 슬립돌기 36: 압축스프링
38: 하부캡
Claims (9)
- 싱크대의 버켓 상면에 부착된 고정림과 끼워맞춤되며, 버켓의 하방에 배치된 배수통으로 이어지는 배수구가 형성된 호퍼가이드(hopper guide),
상기 호퍼가이드와 조합된 원터치식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작동되어 호퍼가이드의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마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배수통 및 배수통 내의 필터망과 간섭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식 승강수단은
상기 호퍼가이드와 연결되며 내면에 다수개의 승강돌기라인이 형성된 원통케이스,
상기 원통케이스에 내장되어 상단이 상기 배수마개와 연결되며 하단에 다수개의 가이드돌기가 구비된 내부회전통,
상기 내부회전통의 상기 가이드돌기와 치합되는 다수개의 슬립돌기가 구비됨으로써 내부회전통과 연동되는 회전캠,
상기 회전캠에 대하여 상방으로 탄성적인 압력을 가하는 압축스프링,
상기 원통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어 압축스프링을 받치는 하부캡,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배수마개를 반복적으로 누르는 작동에 의해 상기 내부회전통의 가이드돌기가 회전캠의 슬립돌기와 치합된 구조상 내부회전통이 회전캠을 일정각도 회전시키고, 슬립돌기가 원통케이스의 승강돌기라인과 반복적으로 걸리게 됨으로써 압축스프링의 압력에 의해 배수마개가 반복적으로 상승되어 호퍼가이드의 배수구를 개폐하게 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은 상면이 막히고 하면이 개방된 중공(中空)형태로서 상기 내부회전통에 삽입되며,
상기 압축스프링 또한 상기 회전캠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슬립돌기는 회전캠의 하부 외면에 형성되어 회전캠이 내부회전통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돌기와 치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회전통의 가이드돌기는 하단이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캠의 슬립돌기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하단과 면접(面接)되는 각도로 하향 경사지고 중간에 걸림단부가 형성된 단차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배수마개의 누름작동에 의해 내부회전통이 아래로 내려오면서 가이드돌기와 슬립돌기의 면접구조에 의해 회전캠이 회전하고, 슬립돌기의 걸림단부에 가이드돌기가 걸리어 회전캠의 회전각도가 일정하게 제한되며, 상기 회전캠이 회전함에 따라 슬립돌기가 원통케이스의 승강돌기라인 하단에 걸림과 이탈을 반복하면서 압축스프링의 압력에 의해 회전캠과 내부회전통이 반복적으로 승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케이스는 호퍼가이드의 배수구 중심에 위치되며, 호퍼가이드의 내경으로부터 연장된 다수개의 연결대에 의해 지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가이드는 외주단에서 내주단측으로 가면서 점차 높이가 낮아져서 배수구가 호퍼가이드의 외주단보다 낮게 위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
-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가이드의 외주면에는 호퍼가이드가 고정림에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고정림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패킹링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마개의 가장자리에는 배수마개의 닫힘상태에서 호퍼가이드와의 사이에서 수밀을 형성하여 배수구를 차단하는 마개링이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가이드의 하단은 타부위보다 내경이 작은 형태의 내향단턱부를 구성하며,
상기 마개링은 상기 내향단턱부의 내경보다 외경이 큰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배수마개의 닫힘상태에서는 상기 내향단턱부의 상면이 마개링의 저면과 밀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마개의 닫힘상태에서 상기 마개링의 외주선단과 상기 호퍼가이드의 내면사이에는 간극이 유지되도록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3840 | 2009-12-14 | ||
KR20090123840 | 2009-12-1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8744A true KR20110068744A (ko) | 2011-06-22 |
KR101148182B1 KR101148182B1 (ko) | 2012-05-23 |
Family
ID=44400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15050A KR101148182B1 (ko) | 2009-12-14 | 2010-02-19 |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8182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321281A (zh) * | 2013-06-25 | 2013-09-25 | 何仕贵 | 一种卫浴设施的控制按键 |
CN109339170A (zh) * | 2018-10-29 | 2019-02-15 | 浙江欧琳生活健康科技有限公司 | 一种手动双层落水器及水槽 |
KR20190046054A (ko) * | 2017-10-25 | 2019-05-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방수형 드레인 홀 플러그 |
KR102051087B1 (ko) * | 2019-04-15 | 2019-12-02 |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 싱크대용 배수장치 |
KR20200061739A (ko) * | 2018-11-26 | 2020-06-03 | 오희운 | 싱크대 배수구 마개 |
CN112054229A (zh) * | 2019-06-06 | 2020-12-08 | 丰田自动车株式会社 | 燃料电池系统 |
CN112942395A (zh) * | 2021-02-04 | 2021-06-11 | 广州市裕闽建筑工程有限公司 | 一种地下压力排水系统 |
CN115218172A (zh) * | 2022-05-31 | 2022-10-21 | 上海核工程研究设计院有限公司 | 一种蒸汽发生器用旋扣式流水槽封堵装置及方法 |
CN116856506A (zh) * | 2023-08-11 | 2023-10-10 | 绍兴博美佳厨卫科技有限公司 | 一种智能防堵塞水槽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7501B1 (ko) * | 2015-07-08 | 2016-04-11 | 김광식 | 싱크대 배수구용 개폐마개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65322A (ja) * | 1996-12-05 | 1998-06-23 | Maruichi Kk | 水槽の排水栓開閉装置 |
KR200235715Y1 (ko) | 2001-03-29 | 2001-10-10 | 반풍덕 |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
KR200273579Y1 (ko) * | 2002-02-01 | 2002-04-25 | 강동원 | 누름작동식 배수구개폐장치 |
KR20100006275U (ko) * | 2008-12-11 | 2010-06-21 | 최인숙 | 씽크대 용 배수구의 원텃치 개폐장치 |
-
2010
- 2010-02-19 KR KR1020100015050A patent/KR101148182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321281A (zh) * | 2013-06-25 | 2013-09-25 | 何仕贵 | 一种卫浴设施的控制按键 |
KR20190046054A (ko) * | 2017-10-25 | 2019-05-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방수형 드레인 홀 플러그 |
CN109339170A (zh) * | 2018-10-29 | 2019-02-15 | 浙江欧琳生活健康科技有限公司 | 一种手动双层落水器及水槽 |
KR20200061739A (ko) * | 2018-11-26 | 2020-06-03 | 오희운 | 싱크대 배수구 마개 |
KR102051087B1 (ko) * | 2019-04-15 | 2019-12-02 |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 싱크대용 배수장치 |
CN112054229A (zh) * | 2019-06-06 | 2020-12-08 | 丰田自动车株式会社 | 燃料电池系统 |
CN112054229B (zh) * | 2019-06-06 | 2024-06-07 | 丰田自动车株式会社 | 燃料电池系统 |
CN112942395A (zh) * | 2021-02-04 | 2021-06-11 | 广州市裕闽建筑工程有限公司 | 一种地下压力排水系统 |
CN115218172A (zh) * | 2022-05-31 | 2022-10-21 | 上海核工程研究设计院有限公司 | 一种蒸汽发生器用旋扣式流水槽封堵装置及方法 |
CN115218172B (zh) * | 2022-05-31 | 2024-05-14 | 上海核工程研究设计院股份有限公司 | 一种蒸汽发生器用旋扣式流水槽封堵装置及方法 |
CN116856506A (zh) * | 2023-08-11 | 2023-10-10 | 绍兴博美佳厨卫科技有限公司 | 一种智能防堵塞水槽 |
CN116856506B (zh) * | 2023-08-11 | 2024-01-09 | 绍兴博美佳厨卫科技有限公司 | 一种智能防堵塞水槽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48182B1 (ko) | 2012-05-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8182B1 (ko) | 싱크대용 원터치식 배수구 개폐장치 | |
CN209863450U (zh) | 用于烹饪容器的盖 | |
KR101060061B1 (ko) | 싱크대용 배수장치 | |
KR101215123B1 (ko) |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 |
KR101607501B1 (ko) | 싱크대 배수구용 개폐마개 | |
KR200438581Y1 (ko) | 조리용 진공냄비 | |
JP3840625B2 (ja) | 遠隔操作式開栓装置 | |
KR20200131567A (ko) | 가축용 자동 급수 장치 | |
CN201104724Y (zh) | 一种按键式杯盖 | |
KR200383124Y1 (ko) |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 | |
KR20110011613U (ko) | 차 물 내림 밸브컵 | |
CN210541093U (zh) | 一种食品加工机 | |
KR100354527B1 (ko) | 절수형 수세식 변기 | |
CN114732268B (zh) | 一种防滴漏陶瓷杯 | |
KR100960590B1 (ko) | 배수구 개폐장치 | |
CN210504105U (zh) | 厨余垃圾脱水垃圾桶 | |
CN211242911U (zh) | 一种智能自动上水茶盘 | |
KR20100006275U (ko) | 씽크대 용 배수구의 원텃치 개폐장치 | |
KR20120009377A (ko) | 싱크대용 배수장치 | |
KR200344034Y1 (ko) | 수저통 | |
CN217379121U (zh) | 一种拉绳式防臭下水器 | |
CN216316946U (zh) | 一种使用卫生的陶瓷杯具 | |
CN209219818U (zh) | 一种便于调节的伸缩式杯子 | |
KR200449548Y1 (ko) | 액체 보관용기의 이중 마개 | |
CN220598605U (zh) | 一种防臭菜盆下水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