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544A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544A
KR20200060544A KR1020207014788A KR20207014788A KR20200060544A KR 20200060544 A KR20200060544 A KR 20200060544A KR 1020207014788 A KR1020207014788 A KR 1020207014788A KR 20207014788 A KR20207014788 A KR 20207014788A KR 20200060544 A KR20200060544 A KR 20200060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display
screen
speed
engin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4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유키 미와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27036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6695A/ko
Publication of KR20200060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15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multiple visual outputs, e.g. combined instruments with analogue meters and addition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3/00Conjoint electrical control of two or more functions, e.g. ignition, fuel-air mixture, recirculation, supercharging or exhaust-gas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38Engin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10Parameters related to the engine output, e.g. engine torque or engine speed
    • F02D2200/101Engin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작업기를 보다 경제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는 작업 차량을 제공한다. 인코더 다이얼(47a) 및 엔터 버튼(47b)을 구비하고, 상기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 내에 현재의 엔진 회전수가 포함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 내에 현재의 엔진 부하율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로서, 상기 인코더 다이얼(47a) 및 엔터 버튼(47b)을 조작하여, 제2 표시 화면(46)에서의 홈 화면(S1)에 표시되는 아이콘(Ia4)이 선택된 경우에는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 내로 현재의 엔진 회전수를 변경하고,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 내로 현재의 엔진 부하율을 변경한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 VEHICLE}
본 발명은 작업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트랙터 등의 작업 차량에서, 표시 수단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작업 차량에서는, 엔진의 회전수를 표시하는 타코미터 등 각종 표시등을 구비한 미터 패널에, 엔진의 가동 시간이나 연료의 잔량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 영역을 구비한 액정식 디스플레이 등을 표시 수단으로서 갖는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와 같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작업 차량은 연비를 표시하는 연비 표시 수단을 더 구비한다. 연비 표시 수단에, 연비 연산 수단이 출력하는 작업 상태에서의 연비를 연비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은 공지이다. 그러나, 작업기의 보다 경제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려면, 효율이 좋은 조건을 만족하는 적정한 엔진 회전수나 적정한 엔진 부하율과 현재의 엔진 회전수나 현재의 엔진 부하율을 조종자에게 동시 인식시켜, 적정한 운전을 행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88961호 공보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상황을 감안한 것으로, 작업기를 보다 경제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는 작업 차량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엔진 부하율 표시부, 엔진 회전수 표시부 및 적정 운전 표시부를 가지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작업 차량으로서, 상기 엔진 부하율 표시부에 현재의 엔진 부하율과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를 동시에 표시하고, 상기 엔진 회전수 표시부에 현재의 엔진 회전수와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를 동시에 표시하고, 상기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 내에 현재의 엔진 부하율이 포함되며, 상기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 내에 현재의 엔진 회전수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적정 운전 표시부에 적정 운전 표시를 표시하고, 상기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 및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는 현재의 엔진 회전수 및 현재의 엔진 부하율에 기초하여 산출되고, 적정 운전 지시용 조작 수단 및 연료 분사량과 변속비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 내에 현재의 엔진 부하율이 포함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 내에 현재의 엔진 회전수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로서 상기 적정 운전 지시용 조작 수단을 조작한 경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 내로 현재의 엔진 회전수를 변경하고, 상기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 내로 현재의 엔진 부하율을 변경하며, 상기 적정 운전 지시용 조작 수단은 선택 수단 및 결정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선택 수단 및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표시 화면에 표시된 요소를 선택함으로써 적정 운전 지시의 조작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작업 차량의 차속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 내로 현재의 엔진 회전수를 변경하고, 상기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 내로 현재의 엔진 부하율을 변경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작업 차량의 차속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엔진 회전수 및 엔진 부하율을 변경하는 제1 제어 패턴, 및 상기 작업 차량의 차속을 변경 가능하게 하고 엔진 회전수 및 엔진 부하율을 변경하는 제2 제어 패턴을 가지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제어 패턴이 선택된 경우, 상기 작업 차량의 차속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 내로 현재의 엔진 회전수를 변경하고, 상기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 내로 현재의 엔진 부하율을 변경하고, 상기 제2 제어 패턴이 선택된 경우, 상기 작업 차량의 차속을 변경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 내로 현재의 엔진 회전수를 변경하고, 상기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 내로 현재의 엔진 부하율을 변경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엔진 부하율 표시부에는 현재의 엔진 부하율이 바로서 표시되고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가 상기 바의 근방에 표시되며, 상기 엔진 회전수 표시부에는 현재의 엔진 회전수가 바로서 표시되고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가 상기 바의 근방에 표시된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적정 운전 표시부에 적정 운전 표시를 표시함으로써 조종자에게 현재 적정 운전을 하고 있음을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효율이 좋은 조건을 만족하는 적정한 엔진 회전수나 적정한 엔진 부하율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조종자가 적정 운전 지시용 조작 수단을 조작한 경우에만 효율이 좋은 조건을 만족하는 적정한 엔진 회전수나 적정한 엔진 부하율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조종자는 일정한 차속으로 엔진 부하율 및 엔진 회전수를 적정 운전 조건 내로 이행시킬 수 있어, 적정 운전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조종자는 일정한 차속 또는 원하는 차속으로 엔진 부하율 및 엔진 회전수를 적정 운전 조건 내로 이행시킬 수 있어, 적정한 운전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조종자는 현재의 엔진 회전수와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를 동시에 파악하여 현재의 엔진 부하율과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함으로써, 조종자에게 현재 적정한 운전을 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쉽게 인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일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배기 정화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동력 전달 기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운전 좌석과 그 주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재생 운전 스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미터 패널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미터 패널의 표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제2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제2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홈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에서 상태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의 미터 패널의 표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A)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미터 패널에 배치된 제1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아워 미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미터 패널에 배치된 제1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설정값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C)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미터 패널에 배치된 제1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평균 연비·운전 가능 시간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D)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미터 패널에 배치된 제1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유지·보수 설정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미터 패널에 배치된 제1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적정 운전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엔진 회전수와 BMEP의 관계에 기초하는 엔진 부하율 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출력 특성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적정 운전 조건으로의 이행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제2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적정 운전 조건 이행 설정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제2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설정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제2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조작시 인서트 표시 설정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트랙터의 제2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인서트 표시 화면의 일례인 메인 변속 레버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트랙터의 제2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인서트 표시 화면의 일례인 최고 차속 설정 및 최고 엔진 회전수 설정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트랙터의 제2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인서트 표시 화면의 일례인 깊이 다이얼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트랙터의 제2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인서트 표시 화면의 일례인 작업기 미세 승강 스위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도 1을 이용하여 트랙터(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랙터(1)는 주로 프레임(2), 엔진(3), 트랜스미션(5), 전방 차축(6) 및 후방 차축(7)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트랙터(1)는 캐빈(8)을 구비하고 있다. 캐빈(8)은 그 내측이 조종실로 이루어져 있고, 운전 좌석(19) 외에 액셀러레이터 페달(22), 액셀러레이터 레버(56) 및 메인 변속 레버(23) 등의 조작구, 제2 표시 장치(28)나 미터 패널(30) 등이 배치되어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프레임(2)은 트랙터(1)의 앞 부분의 골격을 이룬다. 프레임(2)은 트랜스미션(5)이나 후방 차축(7)과 함께 트랙터(1)의 섀시를 구성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엔진(3)은 프레임(2)에 의해 지지된다.
엔진(3)은 연료를 연소시켜 얻은 열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변환한다. 즉, 엔진(3)은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회전 동력을 발생시킨다. 엔진(3)은 조종자가 액셀러레이터 페달(22)(도 4 참조)을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운전 상태가 변경된다. 또한, 엔진(3)에는 배기 정화 장치(4)가 구비되어 있다.
엔진(3)은 디젤 엔진이다. 엔진(3)은 흡기 경로(11)를 통하여 공급되는 외기와 각 연료 분사 밸브(12)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각 기통내에서 혼합 연소시킨다(도 2 참조).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배기는 배기 경로(13)를 통하여 배출된다. 흡기 경로(11)에는 개도 조정을 함으로써 흡기량을 제어할 수 있는 흡기 스로틀(11a)이 마련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엔진(3)은 직렬 4기통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정화 장치(4)는 엔진(3)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를 정화한다. 배기 정화 장치(4)는 엔진(3)에 구비되고, 매연 필터(14), 산화 촉매(15),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상류측 온도 센서(16), DPF 하류측 온도 센서(17), 회전수 센서(18) 등을 구비한다. 배기 정화 장치(4)는 제어 장치(45)에 의해 제어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5)은 엔진(3)의 회전 동력을 전방 차축(6)이나 후방 차축(7)에 전달한다. 트랜스미션(5)에는 연결 기구를 통하여 엔진(3)의 회전 동력이 입력된다.
전방 차축(6)은 엔진(3)의 회전 동력을 전방 타이어(9)에 전달한다. 전방 차축(6)에는 트랜스미션(5)을 통하여 엔진(3)의 회전 동력이 입력된다. 한편, 전방 차축(6)에는 조타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도시 생략). 조타 장치는 조종자가 핸들(20)(도 4 참조)을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전방 타이어(9)의 타각을 변경한다. 후방 차축(7)은 엔진(3)의 회전 동력을 후방 타이어(10)에 전달한다. 후방 차축(7)에는 트랜스미션(5)을 통해 엔진(3)의 회전 동력이 입력된다.
다음으로, 엔진(3)으로부터 전방 타이어(9), 후방 타이어(10) 및 도시 생략한 작업기의 PTO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트랜스미션(5)에 대해, 도 3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트랜스미션(5)은, PTO 유압 클러치(100), 유성 기어 기구(101), 유압 기계식 변속기(102), PTO 변속 기구(103), 역회전 PTO 기구(104), 전진 저속 유압 클러치(105), 후진 클러치(106), 전진 고속 유압 클러치(107), 크리프 변속 기어 기구(108), 주행부 변속 기어 기구(109), 2구 4구 절환 기구(110) 및 차속 동조 PTO 기구(111) 등을 갖는다.
엔진(3)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은, PTO 유압 클러치(100), 유성 기어 기구(101), 유압 기계식 변속기(102)로 전달된다. PTO 유압 클러치(100)는 PTO에 대한 동력 전달을 절환하는 클러치이다. 유성 기어 기구(101)는 엔진(3)으로부터의 동력과 유압 기계식 변속기(102)로부터의 변속 동력을 합성하는 부재이다. 유압 기계식 변속기(102)는 작동유의 공급량을 도시 생략한 경사판에 의해 변경함으로써 변속하는 장치이다.
PTO 유압 클러치(100)로부터 출력된 동력은 PTO 변속 기구(103) 및 역회전(PTO) 기구(104)로 전달된다. PTO 변속 기구(103)는 엔진(3)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적절히 변속하여 도시 생략한 PTO축으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역회전 PTO 기구(104)는 엔진(3)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역회전하여 PTO 축으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유압 기계식 변속기(102)로부터의 동력은 유성 기어 기구(101) 및 전진 저속 유압 클러치(105) 및 후진 클러치(106)에 입력된다. 전진 저속 유압 클러치(105)는 유압 기계식 변속기(102)에 의해 변속 출력된 동력을 전진하기 위한 동력으로서 전달하는 클러치이다. 후진 클러치(106)는 유압 기계식 변속기(102)에 의해 변속 출력된 동력을 후진하기 위한 동력으로서 전달하는 클러치이다.
유성 기어 기구(101)로부터 출력된 동력은 전진 고속 유압 클러치(107)로 전달된다. 전진 고속 유압 클러치(107)는 유성 기어 기구(101)로부터 변속 출력된 동력을 전진하기 위한 동력으로서 전달하는 클러치이다. 전진 고속 유압 클러치(107), 전진 저속 유압 클러치(105) 및 후진 클러치(106)는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접속 상태가 되고, 모두 선택되지 않는 경우는 비접속 상태가 된다. 전진 고속 유압 클러치(107), 전진 저속 유압 클러치(105) 및 후진 클러치(106)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접속 상태가 되고, 상류측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은 크리프 변속 기어 기구(108) 및 주행 서브 변속 기어 기구(109)에 전달된다.
크리프 변속 기어 기구(108) 및 주행 서브 변속 기어 기구(109)는, 초저속, 저속 및 고속의 절환을 하기 위한 기구이다. 크리프 변속 기어 기구(108) 및 주행 서브 변속 기어 기구(109)로부터 출력된 동력은 2구 4구 절환 기구(110)에 전달된다. 2구 4구 절환 기구(110)는 전방 타이어(9) 및 후방 타이어(10)의 2구와 4구를 절환하는 기구이다. 2구 4구 절환 기구(110)가 4구측으로 절환되어 있는 경우, 상류측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은 전방 타이어(9)로 출력된다. 크리프 변속 기어 기구(108) 및 주행 서브 변속 기어 기구(109)로부터 출력된 동력은 차속 동조 PTO 기구(111) 및 후방 타이어(10)로 전달된다. 또한, PTO 변속 기구(103) 및 역회전 PTO 기구(104)로부터 출력된 동력은 차속 동조 PTO 기구(111)와 합성되어 도시 생략한 작업기의 PTO축으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트랙터(1)의 조종실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빈(8)은 그 내부가 조종실로 이루어져 있다. 캐빈(8)에는 대략 중앙에 운전 좌석(19)이 배치된다. 운전 좌석(19)의 주위에는, 핸들(20), 인스트루먼트 패널(21), 액셀러레이터 페달(22), 액셀러레이터 레버(56), 메인 변속 레버(23), 브레이크 페달(24), 클러치 페달(25), 리버서 레버(26), 키 스위치(27)(도 5 참조) 및 제2 표시 장치(28)가 배치된다.
캐빈(8)(조종실)은 조종자가 운전 좌석(19)에 앉는 부분이며, 캐빈(8)에는, 핸들(20), 액셀러레이터 페달(22), 액셀러레이터 레버(56), 메인 변속 레버(23), 브레이크 페달(24), 클러치 페달(25), 리버서 레버(26) 등이 배치된다. 운전 좌석(19)의 앞쪽에는 인스투르먼트 패털(21)이 배치된다.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21)에는 하나의 표시 장치인 제1 표시 장치(42)(도 7 참조)를 구비한 미터 패널(30)이 배치된다. 미터 패널(30)은 운전 좌석(19)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조종자가 운전 좌석(19)에 앉은 상태에서 시인 가능하게 배치된다. 인스트루먼트 패널(21)의 운전 좌석(19)측에는 스티어링 칼럼(29)이 배치되며 핸들(20)을 지지한다. 또한, 운전 좌석(19)의 오른 앞쪽에는 그 표시 화면이 운전 좌석(19)에 대향하도록 다른 표시 장치인 제2 표시 장치(28)가 배치된다.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변속 레버(23)의 상부 내측에는 작업 기 미세 승강 스위치(53)가 마련되어 있다. 작업기 미세 승강 스위치(53)는 작업기의 높이(갈이깊이(耕深))를 미세한 범위로 변경할 때 이용되는 조작구이다. 작업기 미세 승강 스위치(53)로 변경된 작업기의 높이(갈이깊이)는 도시 생략한 작업기 승강 스위치를 하강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복귀된다.
다음으로, 도 6, 도 7 및 도 10을 이용하여 미터 패널(30)에 대해 설명한다. 미터 패널(30)은 트랙터(1)의 동작 정보와 트랙터(1)의 각 부의 이상 정보 중 일부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터 패널(30)은, 제1 표시부(32), 제2 표시부(39) 및 제3 표시부(41)을 갖는다. 제1 표시부(32)의 중앙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표시부(39)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표시부(39)의 중앙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제3 표시부(41)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미터 패널(30)은 제1 표시부(32), 제2 표시부(39) 및 제3 표시부(41)의 순서로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터 패널(30)은 연료계(33), 수온계(36), 트랙터용 인디케이터(34), 작업기용 인디케이터(37), 엔진(3)의 회전수계(40) 및 제1 표시 장치(42) 등이 마련되어 있다. 미터 패널(30)의 제1 표시부(32)에는, 바늘식 연료계(33), 바늘식 수온계(36) 및 트랙터용 인디케이터(34), 작업기용 인디케이터(37)가 마련되어 있다.
미터 패널(30)의 제1 표시부(32)의 좌측에는 연료계(33)가 배치되어 있다. 연료계(33)는 제1 표시부(32)의 중앙부 근방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연료계(33)의 좌측에는 트랙터(1)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트랙터용 인디케이터(34)와 경고 인디케이터(3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표시부(32)의 우측에는 수온계(36)가 배치되어 있다. 수온계(36)는 제1 표시부(32)의 중앙부 근방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수온계(36)의 우측에는, 작업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작업기용 인디케이터(37)와 주의 인디케이터(38)가 배치되어 있다. 연료계(33)와 수온계(36)의 회전 지지 부분은 제2 표시부(39)에 의해 덮여 있다. 즉, 제1 표시부(32)는 연료계(33)의 바늘과 수온계(36)의 바늘이 제2 표시부(39)의 외연을 따라 움직인다.
경고 인디케이터(35)는, 트랙터(1)의 상태에 관해 이상 상태의 발생에 의한 긴급한 대응이 필요한 경우에 표시된다. 경고 인디케이터(35)는 '!'를 삼각형의 테두리로 둘러싼 심볼 마크이며, 적색으로 점등된다. 주의 인디케이터(38)는 트랙터(1)의 상태에 관해 조종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표시된다. 주의 인디케이터(38)는 '!'를 마름모꼴의 테두리로 둘러싼 심볼 마크이며, 황색으로 점등된다.
미터 패널(30)의 제2 표시부(39)에는, 바늘식 회전수계(40)가 마련되어 있다. 회전수계(40)는 제2 표시부(39)의 중앙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수계(40)는 제2 표시부(39)의 원호 부분의 눈금을 가리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수계(40)의 회전 지지 부분은 제3 표시부(41)에 의해 덮여 있다. 즉, 제2 표시부(39)는 회전수계(40)의 바늘이 제3 표시부(41)의 외연을 따라 움직이면서 제2 표시부(39)의 원호 부분의 눈금을 가리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터 패널(30)의 제3 표시부(41)에는 제1 표시 장치(42)가 마련되어 있다. 제1 표시 장치(42)는 엔진(3)의 회전수계(40)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표시 장치(42)는 액정 화면을 포함하는 제1 표시 화면(43)이 운전 좌석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표시 화면(43)은 트랙터(1)의 차속과 엔진(3)의 회전수, 각종 설정값, 각종 상세 정보나 이상 정보를 표시한다. 제1 표시 장치(42)는 제1 표시 화면(43)에 표시되는 내용이 화면 상단, 화면 중단 및 화면 하단으로 나누어져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터 패널(30)에는 연료계(33), 트랙터용 인디케이터(34), 경고 인디케이터(35), 수온계(36), 작업기용 인디케이터(37), 주의 인디케이터(38), 회전수계(40) 및 제1 표시 장치(42) 등을 제어하는 미터 패널 제어 장치(44, 도 10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미터 패널 제어 장치(44)는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위치에 마련된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9를 이용해 제2 표시 장치(28)에 대해 설명한다. 제2 표시 장치(28)는 트랙터(1)의 각종 값의 설정, 트랙터(1)의 동작 정보와 각 부분의 이상 정보 중 일부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표시 장치(28)는 액정 화면 등으로 구성된 제2 표시 화면(46), 화면 선택 장치인 인코더 다이얼(47a) 및 선택 조작을 결정하는 엔터 버튼(47b)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2 표시 장치(28)는 입력 수단인 5개의 커맨드 버튼(48a·48b·48c·48d·48e)을 가지고 있다. 제2 표시 장치(28)는, 조종자가 오른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 좌석(19)의 오른쪽 전방인 사이드 콘솔 위에 배치되어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인코더 다이얼(47a)은 제2 표시 장치(28)의 상면 우측에 마련되어 있다. 인코더 다이얼(47a)은 제2 표시 화면(46)에 표시된 요소를 선택할 때, 탭을 스크롤시키거나 혹은 하이라이트를 횡단시킴으로써 선택 요소를 절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코더 다이얼(47a)은 탭을 스크롤시킴으로써 표시된 아이콘을 선택할 때, 하이라이트를 횡단시킴으로써 선택 요소를 절환한다.
엔터 버튼(47b)은 인코더 다이얼(47a)과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엔터 버튼(47b)은 제2 표시 화면(46)에 표시된 요소 가운데, 인코더 다이얼(47a) 등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요소의 정보를 제어 장치(45)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엔터 버튼(47b)은 표시된 숫자나 영문자 중 인코더 다이얼(47a) 등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숫자 혹은 영문자의 정보를 제어 장치(45)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엔터 버튼(47b)은 표시된 아이콘 중 인코더 다이얼(47a) 등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아이콘의 정보를 제어 장치(45)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2 표시 장치(28)에서, 엔터 버튼(47b)은 인코더 다이얼(47a) 자체가 눌러지지만, 인코더 다이얼(47a)의 상단면에 푸시 버튼을 마련할 수도 있다.
커맨드 버튼(48a·48b·48c·48d·48e)은 제2 표시 장치(28)의 전면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커맨드 버튼(48a·48b·48c·48d·48e)은 제2 표시 화면(46)에 소정의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 다른 화면으로 절환한다는 취지의 신호나 선택된 화면상 위치 요소의 정보를 제어 장치(45)에 전달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커맨드 버튼(46a·46b)은 제2 표시 화면(46)에 홈 화면(S1)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 쇼트 컷 화면(오퍼레이터가 임의로 설정한 화면)으로 절환한다는 취지의 신호를 제어 장치(45)에 전달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 화면(S1)에서는, 상하 2열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Ia1·Ia2·Ia3·Ia4…Ia8)이 표시된다. 아이콘(Ia1·Ia2·Ia3·Ia4…Ia8)은 선택되고 있는 어느 하나가 하이라이트 된다(예를 들면, 아이콘(Ia1) 참조). 그리고, 하이라이트는 인코더 다이얼(47a)의 회전에 따라 횡단된다. 조종자는, 인코더 다이얼(47a)을 회전시킴으로써 아이콘(Ia1·Ia2·Ia3·Ia4…Ia8)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엔터 버튼(47b, 도 8 참조)을 누르는 것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홈 화면(S1)에서, 커맨드 버튼(48a·48b·48c·48d·48e) 중 어느 하나의 커맨드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아이콘(Ia1·Ia2·Ia3·Ia4…Ia8)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커맨드 버튼(48d)에 의해 다른 화면으로 절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홈 화면(S1)은 '트랙터 정보'라고 기재된 아이콘(Ia1)이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홈 화면(S1)은, '카메라 2'라고 기재된 아이콘(Ia8)이 그레이 아웃(gray out) 되어 선택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트랙터(1)에는 엔진(3), 배기 정화 장치(4), 트랜스미션(5) 및 각종 장치 등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45)가 구비된다. 제어 장치(45)는 CPU, ROM, RAM, HDD 등이 버스로 접속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또는 원 칩(one chip)의 LSI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일 수도 있다. 제어 장치(45)에는 엔진(3), 배기 정화 장치(4), 트랜스미션(5) 및 각종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 가지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트랙터(1)에는, 최대한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제어 장치(45)를 중심으로 하여 트랙터(1)를 구성하는 각종 장치가 유기적으로 접속된 정보 네트워크인 컨트롤러·에어리어·네트워크(Controller Area Network; CAN)가 구성되어 있다. 트랙터(1)에서는, CAN에 의해 제어 장치(45)가 엔진(3), 배기 정화 장치(4), 트랜스미션(5) 및 각종 장치 등의 상태를 상세하게 파악해 미터 패널(30) 등에 표시하고, 도시 생략한 컨트롤 패널이나 제2 표시 장치(28)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엔진(3), 배기 정화 장치(4), 트랜스미션(5) 및 각종 장치 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제어 장치(45)는 연료 분사 밸브(12)에 접속되어 연료 분사 밸브(12)의 연료 분사량을 제어함으로써, 엔진(3)의 기동 및 정지, 출력 제어 등을 할 수 있다.
회전수 센서(18)는 엔진(3)의 회전수(R)를 검출하는 것이다. 회전수 센서(18)는 도시 생략한 크랭크축 또는 플라이 휠 등에 마련되며, 상기 크랭크축의 각도로부터 엔진(3)의 회전수(R)를 검출한다.
또한, 제어 장치(45)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3)의 회전수(R)로부터, 회전수(R)와 정미 평균 유효압(Brake Mean Effective Pressure, 이하 BMEP라고 기재함.)의 관계를 나타내는 맵(M1)에 기초하여, 엔진 부하율(LFx)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엔진 부하율이란, 임의의 회전수에서의 최대 토크 T(최대 엔진 부하)에 대한 비율을 말한다. 도 14에서, 연료 효율의 등고선이 가는 선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엔진 부하율(LFx)이 100%가 되는 직선이 굵은 선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엔진 부하율(LFx)이 소정 범위 내(Lmin<LFx<Lmax)이며, 엔진 3의 회전수(R)가 소정 범위 내(Rmin<R<Rmax)인 적정 운전 조건이 2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한편, 적정 운전 조건은 현재의 엔진 회전수(R) 및 현재의 엔진 부하율에 따르지 않고 항상 소정의 조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 14에 나타내는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범위는 고정되게 된다.
또한, 제어 장치(45)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3)의 출력 특성맵(M2)을 도시 생략한 기억 장치에 저장하고 있다. 도 15의 출력 특성맵(M2)에는 각 변속비에서의 토크 커브(TC)가 나타나 있다. 토크 커브(TC)는 변속비를 고정했을 때의 회전수(R)와 토크의 관계를 나타낸 곡선이다. 일련의 토크 커브(TC)에 의하면, 저변속비는 저회전수(R) 및 중~고 토크의 영역에서 이용되며, 고변속비는 고회전수(R) 및 저~중 토크에서 이용된다. 도 15의 출력 특성맵(M2) 중에는 토크 커브(TC)를 파선으로 나타내었다. 출력 특성맵(M2)에는 엔진(3)의 연비율이 가장 양호한 점을 연결한 최적 연비선(FS도) 나타나 있다. 엔진(3)의 회전 속도(R) 및 토크(T)에 관한 엔진 운전점이 최적 연비선(FS)을 따르도록 연료 분사량을 변경 조절함으로써, 엔진(3)의 저연비 운전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5의 출력 특성맵(M2) 중에는 최적 연비선(FS)을 굵은 선으로 나타내었다.
출력 특성맵(M2)에는 일련의 등출력선(PL)도 나타나 있다. 등출력선(PL)은 엔진(3)의 출력 마력을 일정하게 한 경우의 회전수(R)와 토크(T)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이다. 회전수(R)와 토크(T)의 곱은 출력 마력과 비례 관계이기 때문에, 도 15의 출력 특성맵(M2)에는 등출력선(PL)이 반비례 곡선으로서 나타나 있다. 도 15의 출력 특성맵(M2) 중에는 등출력선(PL)을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장치(45)는 연료 분사 밸브(12), DPF 상류측 온도 센서(16), DPF 하류측 온도 센서(17), 회전수 센서(18), 핸들(20), 액셀러레이터 페달(22), 메인 변속 레버(23), 브레이크 페달(24), 클러치 페달(25), 리버서 레버(26), 키 스위치(27), 제2 표시 장치(28), 재생 운전 스위치(31), 작업기 미세 승강 스위치(53) 등의 조작구나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각 조작구나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45)는 미터 패널 제어 장치(44)에 접속된다. 미터 패널 제어 장치(44)는, 연료계(33), 트랙터용 인디케이터(34), 경고 인디케이터(35), 수온계(36), 작업기용 인디케이터(37), 주의 인디케이터(38), 회전수계(40) 및 제1 표시 장치(42)에 접속되고, 연료계(33), 트랙터용 인디케이터(34), 경고 인디케이터(35), 수온계(36), 작업기용 인디케이터(37), 주의 인디케이터(38), 회전수계(40) 및 제1 표시 장치(4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장치(45)는 엔진(3)의 회전수, 연료 잔량, 수온 및 재생 운전 등의 작업 차량의 동작 정보와 작업 차량의 각 부의 이상 정보 중 일부의 정보에 대한 신호를 미터 패널 제어 장치(44)로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1)의 미터 패널(30)의 동작 형태와 제1 표시 장치(42) 및 제2 표시 장치(28)의 표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미터 패널(30)이 상태적으로 표시하는 기본 화면인 상태 표시 화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터 패널 제어 장치(44)는 키 스위치(27)(도 10 참조)가 ON이 되면, 최근 키 스위치(27)가 OFF로 되었을 때 표시하고 있었던 상태 표시 화면의 종류(이하, 단순히 '이전 표시 화면'이라고 한다)에 기초해 표시할 상태 표시 화면을 결정한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태 표시 화면은 시간계 화면(43A), 갈이깊이 설정값 표시 화면(43B), 평균 연비·운전 가능 시간 화면(43C), 유지·보수 설정 화면(43D) 및 엔진 부하율·엔진 회전수 표시 화면(43E)을 말한다. 상태 표시 화면에는, 공통 표시로서 화면 상단에 리버서 레버 위치 표시(43α)로서 리버서 레버(26)가 N 위치인 경우에 'N'이 표시되고, 화면 중단에 트랙터(1)의 속도 표시(43β)로서 트랙터(1)의 차속과 엔진(3)의 회전수가 표시된다. 상태 표시 화면의 화면 하단에는, 시간계 표시(43γ), 설정값 표시(43δ), 평균 연비·운전 가능 시간 표시(43ε), 유지·보수 설정 표시(43ζ), 부하율·엔진 회전수 표시(43η)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표시된다.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계 화면(43A)은 트랙터(1)의 동작 시간을 표시하는 화면이다. 시간계 화면(43A)에는, 제1 표시 장치(42)의 화면 하단에 시간계 표시(43γ)로서, 엔진의 부하율(LFx), 트랙터(1)의 누적 동작 시간인 시간계 및 임의로 설정되었던 시기로부터의 누적 동작 시간인 적산거리계가 표시된다.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값 표시 화면(43B)은 트랙터(1)의 최대 엔진 회전 속도를 제한하는 화면이다. 설정값 표시 화면(43B)에는, 제1 표시 장치(42)의 화면 하단에 설정값 표시(43δ)로서, 주로 작업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하는 A 모드와, 작업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적용하는 B 모드에서의 엔진(3)의 최대 회전수와 최대 차속이 각각 동시에 표시된다. 설정값 표시 화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구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각 모드의 최대 회전수를 변경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설정값 표시 화면은, 도시하지 않은 PTO 샤프트의 최대 회전수를 A 모드와 B 모드에서 제한하는 화면으로 절환할 수 있다. PTO 샤프트의 최대 회전수를 제한하는 화면에서는, 각 모드의 PTO 샤프트의 최대 회전수를 변경함으로써 1속 내지 4속에서의 PTO 샤프트의 회전수가 표시된다.
도 1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균 연비·운전 가능 시간 화면(43C)은 트랙터(1)의 최대 엔진 회전수를 제한하는 화면이다. 평균 연비·운전 가능 시간 화면(43C)에는, 제1 표시 장치(42)의 화면 하단에 평균 연비·운전 가능 시간 표시(43ε)로서, 엔진의 부하율(LFx), 트랙터(1)의 평균 연비, 및 평균 연비로 운전 가능한 시간 또는 설정 시간보다 운전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향 화살표가 표시된다.
도 12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보수 설정 화면(43D)은 트랙터(1)의 각종 유지·보수의 시기를 설정하는 화면이다. 유지·보수 설정 화면(43D)에는, 제1 표시 장치(42)의 화면 하단에 유지·보수 설정 표시(43ζ)로서, 유지·보수 설정 모드라는 취지가 표시된다. 유지·보수 설정 화면은 엔진오일, 미션오일, 전방 차축 오일이나 엔진오일 엘리먼트 등의 정기적인 교환이 필요한 소모품의 교환 시기를 표시 및 설정하는 화면이다. 유지·보수 설정 화면(43D)에서는, 소모품을 교환했을 때 그 취지를 도시하지 않은 조작구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입력함으로써 교환 시기를 리셋할 수 있다. 미터 패널 제어 장치(44)는, 소모품(예를 들면, 엔진 오일)의 교환 시기가 되면, 키 스위치(27)가 ON이 되었을 때, 제1 표시 장치(42)의 화면 하단에 유지·보수 메시지로서 문자 정보 '엔진오일 교환'과 유지·보수에 대한 심볼 마크를 표시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 부하율·엔진 회전수의 표시 화면(43E)은 트랙터(1)의 적정한 운전에 관련된 엔진 부하율 및 엔진 회전수를 동시에 표시하는 화면이다. 엔진 부하율·엔진 회전수의 표시 화면(43E)은 제1 표시 장치(42)의 화면 하단에 엔진 부하율·엔진 회전수의 표시(43η)로서 엔진 부하율(LFx) 및 엔진(3)의 회전수(R)를 직사각형의 바로서 표시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표시 장치(42)의 화면 하단에서 상부에 엔진 부하율 표시부(50A)가 마련되고, 제1 표시 장치(42)의 화면 하단에서 하부에 엔진 회전수 표시부(50B)가 마련된다. 엔진 부하율 표시부(50A)에는 엔진(3)의 부하율을 나타내는 바(50Aa)가 마련되고, 바(50Aa)의 상방 근방에는 적정한 운전시에 포함되는 엔진 부하율(LFx)의 소정 범위(Lmin<LFx<Lmax)가 선분(50Ab)로 나타내어진다. 또한, 엔진 회전수 표시부(50B)에는 엔진(3)의 회전수(R)를 나타내는 바(50Ba)가 마련되고, 바(50Ba)의 상방 근방에는 적정한 운전시에 포함되는 엔진(3)의 회전수(R)의 소정 범위(Rmin<R<Rmax)가 선분(50Bb)으로 나타내어진다.
또한, 제1 표시 장치(42)의 상부에는 적정 운전 표시부(50C)가 마련된다. 적정 운전 표시부(50C)는 적정 운전을 하고 있는 경우에 표시되는 부분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 적정 운전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안전 마크」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현재의 엔진 부하율(LFx) 및 엔진(3)의 회전수(R)와, 적정한 엔진 부하율(LFx) 및 엔진(3)의 회전수(R)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6을 이용하여, 트랙터(1)에서의 적정 운전 조건으로의 이행 제어의 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트랙터(1)에서 적정 운전 조건으로의 이행 제어는 제어 장치(45)가 적정 운전 조건으로의 이행 신호를 취득한 경우에 이루어지는 제어이다. 적정 운전 조건으로의 이행 신호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표시 화면(46)에서의 적정 운전 조건 이행 설정 화면(S11)에 표시되는 아이콘(Iaa1)이 선택됨으로써 발신된다. 적정 운전 조건 이행 설정 화면(S11)은 제2 표시 화면(46)에서의 홈 화면(S1)에 표시되는 아이콘(Ia4, 도 9 참조)이 선택됨으로써 표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정 운전 지시용 조작 수단으로서 인코더 다이얼(47a) 및 엔터 버튼(47b)을 구비하며, 인코더 다이얼(47a) 및 엔터 버튼(47b)에 의해 제2 표시 화면(46)에 표시된 요소의 선택을 행함으로써, 적정 운전 지시의 조작을 행한다.
또한, 적정 운전 조건으로의 이행 제어가 실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조종자가 엔진 부하율·엔진 회전수의 표시 화면(43E)을 보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22), 액셀러레이터 레버(56), 메인 변속 레버(23), 브레이크 페달(24), 클러치 페달(25), 리버서 레버(26) 등을 조작함으로써 엔진 회전수 및 연료 분사량을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조종자는 엔진 부하율(LFx) 및 엔진 회전수(R)를 적정 운전 조건 내로 이행시킬 수 있어, 적정한 운전을 할 수 있다.
적정 운전 조건으로의 이행 제어는, 적정한 엔진(3)의 회전수의 범위 내(Rmin<R<Rmax)에 현재의 엔진 회전수(R)가 포함되지 않거나, 또는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 내(Lmin<LFx<Lmax)에 현재의 엔진 부하율(LFx)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 엔진(3)의 회전수(R)와 변속비를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적정 운전 조건으로의 이행 제어는,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 내(Rmin<R<Rmax)로 현재의 엔진 회전수(R)를 변경하고,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 내(Lmin<LFx<Lmax)로 현재의 엔진 부하율(LFx)을 변경하는 제어이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 제어 장치(45)는 제2 표시 화면(46)에서의 홈 화면(S1)에 표시되는 아이콘(Ia4)이 선택됨으로써 적정 운전 조건으로의 이행의 신호를 취득한 것으로 설명한다.
제어 장치(45)는 아이콘(Ia4)이 선택됨에 따른 적정 운전 조건으로의 이행 신호를 취득하면, 적정 운전 조건 이행 처리를 개시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정 운전 조건 이행 처리에 있어서, 제어 장치(45)는 회전수 센서(18)의 검출값을 읽어들인다(S201).
스텝(S201)를 행한 후, 회전수(R), BMEP 및 맵(M1)으로부터 현시점의 엔진 부하율(LFx)을 산출하고(S202), 그 현시점의 엔진 부하율(LFx)이 소정 범위 내(Lmin<LFx<Lmax)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S203).
현시점의 엔진 부하율(LFx)이 소정 범위 내(Lmin<LFx<Lmax)이면(S203: YES), 현시점의 엔진 회전수(R)가 소정 범위 내(Rmin<R<Rmax)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S204).
현시점의 엔진 회전수(R)가 소정 범위 내(Rmin<R<Rmax)이면(S204: YES), 적정 운전 표시부(50C)에 「안전 마크」를 표시하고(스텝 S205), 적정 운전 조건 이행 처리를 종료한다.
현시점의 엔진 부하율(LFx)이 소정 범위 내(Lmin<LFx<Lmax)가 아닌 경우(S203: NO), 또는 현시점의 엔진 회전수(R)가 소정 범위 내(Rmin<R<Rmax)가 아닌 경우(S204: NO), 연료 분사 밸브(12)의 연료 분사량을 조절한다(S211). 계속해서, 트랜스미션(5)에서의 유압 기계식 변속기(102)의 변속비를 변경 조절(S212)함으로써 엔진 부하율(LFx)이 소정 범위 내(Lmin<LFx<Lmax)가 되고, 엔진(70)의 회전수(R)가 소정 범위 내(Rmin<R<Rmax)가 되도록 적정 운전 조건으로의 이행을 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5에서의 토크 커브(TC) 및 최적 연비선(FS)에 기초하여 최적의 변속비가 되도록 유압 기계식 변속기(102)의 도시 생략한 경사판의 각도를 변경하고, 엔진(3)의 회전 속도(R) 및 토크(T)에 관한 엔진 운전점을 최적 연비선(FS)을 따르도록 연료 분사량을 변경 조절함으로써, 적정 운전 조건으로의 이행을 실시한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정 운전 표시부(50C)에 「안전 마크」를 표시하고(S205), 적정 운전 조건 이행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의 제어에 의하면, 트랙터(1)에 탑재된 엔진(3)과 그 엔진(70)에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 분사 밸브(12) 및 유압 기계식 변속기(102)를 구비한 트랙터에서, 엔진(3)의 현재의 회전수로부터 구해지는 현재의 엔진 부하율(LFx)이 소정 범위 내(Lmin<LFx<Lmax)가 아닌 경우, 또는 엔진(3)의 현재의 회전수(R)가 소정 범위 내(Rmin<R<Rmax)가 아닌 경우에는, 연료 분사 밸브(12)의 연료 분사량 및 유압 기계식 변속기(102)의 변속비를 조정함으로써, 엔진 부하율(LFx) 및 엔진 회전수(R)를 적정 운전 조건 내로 이행시킬 수 있어, 적정한 운전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적정 운전 표시부(50C)에 표시되는 「안전 마크」는 식물의 잎을 나타낸다. 한편, 식물의 잎은 적정한 운전을 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의 일례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안전 마크」 옆에, 적정한 운전의 비율(예를 들면, 운전 시간에 대한 적정한 운전이 이루어진 시간의 비율)을 수치로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적정 운전 조건 이행 처리는 차속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조종자는 일정한 차속으로 엔진 부하율(LFx) 및 엔진 회전수(R)를 적정 운전 조건내로 이행할 수 있어, 적정한 운전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정 운전 조건 이행 처리는, 차속을 일정한 상태로 유지할지 변경 가능하게 할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 장치는 상기 작업 차량의 차속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엔진 회전수(R) 및 엔진 부하율(LFx)를 변경하는 제1 제어 패턴과, 상기 작업 차량의 차속을 변경 가능하게 하여 엔진 회전수(R) 및 엔진 부하율(LFx)을 변경하는 제2 제어 패턴을 갖는다.
또한, 제1 제어 패턴 또는 제2 제어 패턴을 선택할 수 있는 도시 생략한 선택 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선택 수단은 제어 장치(45)에 접속된다.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제어 패턴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작업 차량의 차속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 내(Rmin<R<Rmax)로 현재의 엔진 회전수(R)를 변경하고,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 내(Lmin<LFx<Lmax)로 현재의 엔진 부하율(LFx)을 변경한다.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제어 패턴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작업 차량의 차속을 변경 가능하게 하며,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 내(Rmin<R<Rmax)로 현재의 엔진 회전수(R)를 변경하고, 상기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 내(Lmin<LFx<Lmax)로 현재의 엔진 부하율(LFx)을 변경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조종자는 일정한 차속 또는 원하는 차속으로 엔진 부하율(LFx) 및 엔진 회전수(R)를 적정 운전 조건 내로 이행시킬 수 있어, 적정한 운전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표시 장치(28)에 표시되는 조작시 인서트 화면에 대하여, 도 18 내지 도 2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조작시 인서트 화면이란, 메인 변속 레버(23), 최고 차속 설정 및 최고 엔진 회전수 설정, 깊이 다이얼 및 작업기 미세 승강 스위치(53)를 조작했을 때, 제2 표시 장치(28)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조작시 인서트 화면은 메인 변속 레버 표시 화면(51A), 최고 차속 설정 및 최고 엔진 회전수 설정 표시 화면(51B), 깊이 다이얼 표시 화면(51C) 및 작업기 미세 승강 스위치 표시 화면(51D)을 말한다.
도 9의 홈 화면(S1)에서, 인코더 다이얼(47a) 및 엔터 버튼(47)의 조작에 의해 아이콘(Ia5)을 선택하여 결정함으로써, 도 18에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설정 화면(S2)이 제2 표시 화면(46)에 표시된다.
디스플레이 설정 화면(S2)에서는 복수의 셀에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Ib1·Ib2·Ib3·Ib4·Ib5)이 표시된다. 아이콘(Ib1·Ib2·Ib3·Ib4·Ib5)은 선택된 어느 하나가 하이라이트 표시된다(예를 들면, 아이콘 Ib5 참조). 그리고, 하이라이트는 인코더 다이얼(47a)의 회전에 따라 옆으로 이동된다. 조종자는 인코더 다이얼(47a)을 돌림으로써 아이콘(Ib1·Ib2·Ib3·Ib4·Ib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엔터 버튼(47b)을 누름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도 18의 디스플레이 설정 화면(S2)에서, 인코더 다이얼(47a) 및 엔터 버튼(47)의 조작에 의해 아이콘(Ib5)을 선택하여 결정함으로써, 도 19에 나타내는 조작시 인서트 표시 설정 화면(S3)이 표시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시 인서트 표시 설정 화면(S3)에서는 복수의 셀에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Ic1·Ic2·Ic3·Ic4)이 표시된다. 아이콘(Ic1·Ic2·Ic3·Ic4)의 우단부에는 인서트 화면 표시/비표시 절환 표시가 표시되어 있으며, 인코더 다이얼(47a) 및 엔터 버튼(47)의 조작에 의해 각 아이콘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인서트 화면 표시 또는 비표시의 절환을 할 수 있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변속 레버 표시 화면(51A)은 메인 변속 레버(23)가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메인 변속 레버 표시 화면(51A)은 화면 좌측에 메인 변속 레버(23)의 일러스트, 화면 중앙에 최고 엔진 회전수에 대한 현재 엔진 회전수, 화면 우측에 설정 차속이 표시된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고 차속 설정 및 최고 엔진 회전수 설정 표시 화면(51B)은 최고 차속 설정 및 최고 엔진 회전수의 설정이 변경된 것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최고 차속 설정 및 최고 엔진 회전수 설정 표시 화면(51B)은 화면 상단에 주로 작업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하는 최고 차속 설정 및 최고 엔진 회전수설정(A 모드)이 표시되며, 화면 하단에 주로 작업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적용하는 최고 차속 설정 및 최고 엔진 회전수 설정(B 모드)이 표시되고, 화면 우측에 어느 것이 선택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원모양이 표시된다. 원의 농담에 따라 현재, A모드 또는 B모드 중 어느 것이 선택되었는지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깊이 다이얼 표시 화면(51C)은 도시 생략한 갈이깊이 다이얼이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깊이 다이얼 표시 화면(51C)은, 화면 좌측에 깊이 다이얼의 일러스트, 화면 중앙에 최대 갈이깊이에 대한 현재의 갈이깊이, 화면 우측에 행다운 영역의 범위가 표시된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기 미세 승강 스위치 표시 화면(51D)은, 작업기 미세 승강 스위치가 조작된 것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작업기 미세 승강 스위치 표시 화면(51D)은 화면 좌측에 메인 변속 레버(23) 및 작업기 미세 승강 스위치(53)의 일러스트, 화면 중앙에 작업기의 최대 높이에 대한 현재의 높이, 화면 우측에 작업기 미세 승강의 해제 방법으로서의 메시지인 「작업기 승강 스위치 내림으로써 복귀함」이라는 문장이 표시된다.
한편, 조작시 인서트 화면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A 모드 및 B 모드를 절환하기 위한 절환 스위치가 조작되어, 차속이 빨라질 때 절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 화면에서는, 절환을 하는 것을 표시함과 동시에, 절환 해제를 하기 위한 조작 방법을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엔진 부하율 표시부(50A), 엔진 회전수 표시부(50B) 및 적정 운전 표시부(50C)를 가지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작업 차량에서, 엔진 부하율 표시부(50A)에, 현재의 엔진 부하율, 현재의 엔진 회전수 및 현재의 엔진 부하율에 기초하는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를 동시에 표시하고, 엔진 회전수 표시부(50B)에, 현재의 엔진 회전수, 현재의 엔진 회전수 및 현재의 엔진 부하율에 기초하는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를 동시에 표시하고,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 내(Lmin<LFx<Lmax)에 현재의 엔진 부하율이 포함되고,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 내(Rmin<R<Rmax)에 현재의 엔진 회전수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적정 운전 표시부(50C)에 적정 운전 표시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적정 운전 표시부(50C)에 적정 운전 표시를 표시함으로써, 조종자에게 현재 적정한 운전을 행하고 있음을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연료 분사량과 변속비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45)를 구비하여,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 내(Lmin<LFx<Lmax)에 현재의 엔진 부하율이 포함되지 않거나, 또는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 내(Rmin<R<Rmax)에 현재의 엔진 회전수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제어 장치(45)는 연료 분사량과 변속비를 제어하여,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 내(Rmin<R<Rmax)로 현재의 엔진 회전수를 변경하고,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 내(Lmin<LFx<Lmax)로 현재의 엔진 부하율을 변경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효율이 좋은 조건을 만족하는 적정한 엔진 회전수나 적정한 엔진 부하율로 변화시킬 수 있다.
적정 운전 지시용 조작 수단(인코더 다이얼(47a) 및 엔터 버튼(47b))을 구비하여,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 내(Rmin<R<Rmax)에 현재의 엔진 회전수가 포함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 내(Lmin<LFx<Lmax)에 현재의 엔진 부하율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로서, 상기 인코더 다이얼(47a) 및 엔터 버튼(47b)을 조작하여, 제2 표시 화면(46)에서의 홈 화면(S1)에 표시되는 아이콘(Ia4)이 선택된 경우에는,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 내(Rmin<R<Rmax)로 현재의 엔진 회전수를 변경하고,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 내(Lmin<LFx<Lmax)로 현재의 엔진 부하율을 변경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조종자가 적정 운전 지시용 조작 수단을 조작한 경우에만 효율이 좋은 조건을 만족하는 적정한 엔진 회전수나 적정한 엔진 부하율로 변화시킬 수 있다.
제어 장치(45)는 작업 차량의 차속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 내로 현재의 엔진 회전수를 변경하고, 상기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 내(Lmin<LFx<Lmax)로 현재의 엔진 부하율을 변경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조종자는 일정한 차속으로 엔진 부하율(LFx) 및 엔진 회전수(R)를 적정 운전 조건 내로 이행시킬 수 있어, 적정한 운전을 실시할 수 있다.
제어 장치(45)는 작업 차량의 차속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엔진 회전수 및 엔진 부하율을 변경하는 제1 제어 패턴과, 작업 차량의 차속을 변경 가능하게 하여 엔진 회전수 및 엔진 부하율을 변경하는 제2 제어 패턴을 가지고,
제어 장치는 제1 제어 패턴이 선택된 경우, 작업 차량의 차속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 내(Rmin<R<Rmax)로 현재의 엔진 회전수를 변경하고, 상기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 내(Lmin<LFx<Lmax)로 현재의 엔진 부하율을 변경하고, 제2 제어 패턴이 선택된 경우, 작업 차량의 차속을 변경 가능하게 하며,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 내(Rmin<R<Rmax)로 현재의 엔진 회전수를 변경하고,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 내(Lmin<LFx<Lmax)로 현재의 엔진 부하율을 변경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조종자는 일정한 차속 또는 원하는 차속으로 엔진 부하율(LFx) 및 엔진 회전수(R)를 적정 운전 조건 내로 이행시킬 수 있어, 적정한 운전을 실시할 수 있다.
엔진 부하율 표시부(50A)에는 현재의 엔진 부하율이 바로서 표시되며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가 상기 바의 근방에 표시되고, 엔진 회전수 표시부(50B)에는 현재의 엔진 회전수가 바로서 표시되며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가 상기 바의 근방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조종자가 현재의 엔진 회전수와 적정한 엔진 회전수의 범위를 동시에 파악하여, 현재의 엔진 부하율과 적정한 엔진 부하율의 범위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함으로써, 조종자에게 현재 적정한 운전을 행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쉽게 인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 차량에 이용 가능하다. 자세하게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작업 차량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6)

  1. 운전석의 모니터에, 엔진 부하율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트랙터에 있어서,
    엔진 부하율을 그래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 표시할 때, 상기 모니터의 기체 우측일수록,
    부하율이 커지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엔진 부하율을 표시하는 상기 표시부가,
    기체 중앙측에 형성되어 있는 액정 표시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4. 운전석의 모니터에, 엔진의 회전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트랙터에 있어서,
    엔진의 회전수를 그래프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 표시할 때, 상기 모니터의 기체 우측일수록,
    엔진 회전수가 커지도록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엔진의 회전수를 표시하는 상기 표시부가,
    기체 중앙측에 형성되어 있는 액정 표시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KR1020207014788A 2016-02-26 2017-02-23 작업 차량 KR20200060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36468A KR20220146695A (ko) 2016-02-26 2017-02-23 작업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36299 2016-02-26
JP2016036299A JP6474066B2 (ja) 2016-02-26 2016-02-26 トラクタ
PCT/JP2017/006909 WO2017146168A1 (ja) 2016-02-26 2017-02-23 作業車両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287A Division KR102116548B1 (ko) 2016-02-26 2017-02-23 작업 차량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6468A Division KR20220146695A (ko) 2016-02-26 2017-02-23 작업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544A true KR20200060544A (ko) 2020-05-29

Family

ID=5968576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6468A KR20220146695A (ko) 2016-02-26 2017-02-23 작업 차량
KR1020207014788A KR20200060544A (ko) 2016-02-26 2017-02-23 작업 차량
KR1020187027287A KR102116548B1 (ko) 2016-02-26 2017-02-23 작업 차량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6468A KR20220146695A (ko) 2016-02-26 2017-02-23 작업 차량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287A KR102116548B1 (ko) 2016-02-26 2017-02-23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74066B2 (ko)
KR (3) KR20220146695A (ko)
WO (1) WO20171461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7160B2 (en) 2018-06-12 2022-11-15 Kubota Corporation Working machine
JP7106360B2 (ja) * 2018-06-12 2022-07-2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DE102018130443A1 (de) * 2018-11-30 2020-06-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Verbessern der Energieeffizienz eines Kraftfahrzeugs, Kraftfahrzeug und computerlesbares Medium
JP7397014B2 (ja) 2021-01-29 2023-12-12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作業機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8961A (ja) 2009-02-20 2010-09-02 Kubota Corp 作業機の表示構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0096B2 (ja) * 1996-11-29 2005-07-13 ヤンマー株式会社 走行装置制御機構
JP2007054008A (ja) * 2005-08-26 2007-03-08 Kubota Corp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2007168724A (ja) * 2005-12-26 2007-07-05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車速制御装置
JP5406736B2 (ja) * 2010-01-13 2014-02-05 株式会社クボタ 車両運転評価システム
JP5330353B2 (ja) * 2010-10-22 2013-10-30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JP2012192800A (ja) * 2011-03-15 2012-10-11 Yupiteru Corp 車両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4218170A (ja) * 2013-05-08 2014-11-20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作業機の表示装置
JP6002979B2 (ja) * 2015-09-02 2016-10-05 株式会社ユピテル 電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8961A (ja) 2009-02-20 2010-09-02 Kubota Corp 作業機の表示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695A (ko) 2022-11-01
WO2017146168A1 (ja) 2017-08-31
KR20180116352A (ko) 2018-10-24
JP2017149392A (ja) 2017-08-31
JP6474066B2 (ja) 2019-02-27
KR102116548B1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548B1 (ko) 작업 차량
US10528233B2 (en) Work vehicle equipped with display unit
KR102010162B1 (ko) 작업 차량
JP5933296B2 (ja) 車両用変速制御システム
EP2995181B1 (en) Lift control apparatus for ground work apparatus
CN105452976B (zh) 作业车辆
US10378414B2 (en) Work vehicle
JP6067858B2 (ja) 作業機械の状態情報表示装置、作業機械の警告表示方法、及び作業機械の警告表示プログラム
EP2990252B1 (en) Speed data display system for a work vehicle
JP5236101B1 (ja) 無限軌道式建設機械
CN110254223B (zh) 拖拉机
JP6376657B2 (ja) 作業車両
JP2017091061A (ja) 作業車両
JP4400375B2 (ja) 移動車両の変速装置
JP4396468B2 (ja) 移動車両の変速制御装置
JP4389047B2 (ja) 移動車両
JP2016217300A (ja) 作業車両
JP6290767B2 (ja) 作業車両
JP4947091B2 (ja) 移動車両
JP4760788B2 (ja) 移動車両
JP2021001690A (ja) 作業車両
JP2020022502A (ja) 対地作業装置のための昇降制御装置
KR20200078694A (ko) 작업 차량
JP2016084013A (ja) 作業車両
JPH06227287A (ja) 農業機械の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189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1019

Effective date: 2023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