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8694A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8694A
KR20200078694A KR1020207018125A KR20207018125A KR20200078694A KR 20200078694 A KR20200078694 A KR 20200078694A KR 1020207018125 A KR1020207018125 A KR 1020207018125A KR 20207018125 A KR20207018125 A KR 20207018125A KR 20200078694 A KR20200078694 A KR 20200078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machine
tractor
operator
work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4965B1 (ko
Inventor
토시유키 미와
Original Assignee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06873A external-priority patent/JP6698281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78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1Specially adapted for utilit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Abstract

오퍼레이터가 작업 차량측에서, 어느 작업기와 연동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또한 어느 작업기와 연동시킬지를 설정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작업기를 장착할 수 있는 트랙터(1)는, 장착된 연동 가능한 작업기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함과 함께, 연동 중인 작업기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액정 패널(21)과, 액정 패널(21)에 표시된 작업기를 선택 및 결정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인코더 다이얼(22), 엔터 버튼(23) 및 커맨드 버튼(24~28))와, 조작부에 의해 원하는 작업기가 결정 조작된 경우, 연동 중인 작업기를 비연동으로 하고, 결정 조작된 작업기를 연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장치(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 VEHICLE}
본 발명은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농작업용 트랙터나 토목 작업용 휠로더(wheel loader)와 같은 작업 차량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작업 차량에는 작업 내용에 부합하는 작업기를 장착해 사용하는 것이 있다. 또한, 작업기 중에는 작업 차량과 연동 가능한 것이 있다. 예를 들면, 트랙터는 적재기(loader), 분무기(sprayer), 산파기(散播機, broadcaster) 등과 연동 가능하다(특허 문헌 1 참조).
통상적으로, 작업기에는 트랙터와의 연동을 온·오프시키는 연동 스위치와, 트랙터와 연동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 램프가 마련되어, 트랙터와의 연동 상태를 조작 및 표시하게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4-329067호 공보
그러나, 트랙터에는 작업기와의 연동 상태를 조작 및 표시하는 수단은 없었다. 그 때문에, 트랙터에 승차 중인 오퍼레이터가 트랙터에서 내려 작업기까지 이동해, 연동 상태의 확인 및 조작을 할 필요가 있었다. 특히, 적재기와 산파기와 같이, 동시에 앞뒤에 작업기를 장착하고 있는 경우에는, 오퍼레이터는 양쪽 작업기로 가서 확인할 필요가 있어 시간이 걸렸다.
본 발명은, 오퍼레이터가 작업 차량측에서, 어느 작업기와 연동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또한 어느 작업기와 연동시킬지를 설정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작업기를 장착할 수 있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장착된 연동 가능한 작업기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함과 함께, 연동 중인 작업기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작업기를 선택 및 결정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원하는 작업기가 결정 조작된 경우, 연동 중인 작업기를 비연동으로 하고, 결정 조작된 작업기를 연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장착되어 있지 않으나 연동 가능한 작업기를 식별 가능하고 동시에 선택 불가능하게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된 연동 가능한 작업기를 소정 주기에 검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표시부와 일체적으로 마련된 복수의 버튼 및 인코더 다이얼인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접속된 변속 레버와, 상기 변속 레버에 마련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기로서 분무기가 연동하고 있는 경우, 상기 스위치에, 상기 분무기의 살포 개시/정지 기능, 상기 분무기의 살포량 조정 기능, 상기 분무기의 붐의 신축 조정 기능, 그 붐의 경사 조정 기능, 그 붐의 개폐 조정 기능, 그 붐의 승강 조정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이 할당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접속된 변속 레버와, 상기 변속 레버에 마련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기로서 산파기가 연동하고 있는 경우, 상기 스위치에, 상기 산파기의 살포 개시/정지 기능 또는 상기 산파기의 살포량 조정 기능이 할당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작업 차량에 의하면, 작업 차량측에 작업기와의 연동 상태를 조작 및 표시하는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작업 차량측에서 작업기와의 연동 상태를 설정 및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차량에 승차 중인 오퍼레이터가 어느 작업기와 연동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어느 작업기와 연동시킬지를 설정하기 위해, 작업 차량에서 내려 작업기까지 이동할 필요가 없고, 작업 차량에 승차한 채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작업기에 있어서는, 작업 차량과의 연동 상태를 조작 및 표시하는 수단을 생략하면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작업기에 작업 차량과의 연동 상태를 조작 및 표시하는 수단을 마련하면, 오퍼레이터는 작업 차량과 작업기의 어느 쪽에서도 연동 상태를 설정 및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 차량에 의하면, 장착되어 있지 않으나 연동 가능한 작업기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함으로써, 오퍼레이터가 그 작업기를 한눈에 식별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높다. 또한, 장착되어 있지 않으나 연동 가능한 작업기를 선택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오퍼레이터가 잘못해 선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 차량에 의하면, 장착된 연동 가능한 작업기를 소정 주기에 검출함으로써, 어느 작업기가 연동 가능한 상태에 있는지에 대해 최신 상태를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 차량에 의하면, 표시부와 일체적으로 마련된 복수의 버튼 및 인코더 다이얼을 조작부로서 이용함으로써, 직감적으로 조속한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 차량에 의하면, 변속 레버에 마련된 스위치에, 연동 중인 작업기를 조작하는 원하는 기능을 할당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오퍼레이터가 할당한 기능을 조작하는 경우에, 변속 레버로부터 손을 뗄 필요가 없이, 손안에서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즉, 조작성 및 작업 효율이 향상되어,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트랙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X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 Y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화살표 Z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트랙터의 동력 전달 계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트랙터의 링크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트랙터의 운전 좌석과 그 주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오퍼레이터의 시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트랙터의 정보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트랙터의 제어 시스템에서의 디스플레이에 관련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아암 레스트에 마련된 조종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CAN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트랙터와 작업기의 CAN 접속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트랙터에서의 CAN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1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분무기의 살포량을 늘린 경우의 제어를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a)는 차속 일정 제어, (b)는 살포압 일정 제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5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모든 작업 차량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대표적인 작업 차량인 트랙터를 이용해 설명한다.
우선, 트랙터(1)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트랙터(1)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X로부터 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화살표 Y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화살표 Z로부터 본 도면이다. 한편, 도면에는 트랙터(1)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나타낸다.
트랙터(1)는, 주로, 프레임(11), 엔진(12), 트랜스미션(13), 전방 차축(14) 및 후방 차축(15)으로 구성된다. 또한, 트랙터(1)는 캐빈(16)을 구비한다. 캐빈(16)은 그 내측이 조종실로 되어 있고, 운전 좌석(161) 외에 액셀러레이터 페달(162)이나 시프트 레버(163) 등이 배치된다(도 7 참조).
프레임(11)은 트랙터(1) 앞 부분의 골격을 이룬다. 프레임(11)은 트랜스미션(13)이나 후방 차축(15)과 함께 트랙터(1)의 섀시를 구성한다. 또한, 프레임(11)에는 트랙터(1)의 앞 부분에 장착되는 작업기(예를 들면, 적재기)를 지지하는 작업기 지지부(32)가 한 쌍 마련되어 있다.
작업기 지지부(32)는, 프레임(11)의 좌우 측면으로부터 각각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부재로 구성된다. 작업기 지지부(32)의 상부에는 작업기를 장착하기 위한 구멍 및 절개가 형성되어 있다.
엔진(12)은 프레임(11)에 의해 지지된다. 엔진(12)은 연료를 연소시켜 얻은 열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변환한다. 즉, 엔진(12)은 연료를 태움으로써 회전 동력을 만들어낸다. 한편, 엔진(12)에는 엔진 제어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미도시). 엔진 제어 장치는 오퍼레이터가 액셀러레이터 페달(162)(도 7 참조)을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엔진(12)의 운전 상태를 변경한다. 또한, 엔진(12)에는 배기 정화 장치(12E)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 정화 장치(12E)는 배기에 포함되는 미립자나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등을 산화시킨다.
트랜스미션(13)은 엔진(12)의 회전 동력을 전방 차축(14)이나 후방 차축(15)에 전달한다. 트랜스미션(13)에는 연결 기구를 통해 엔진(12)의 회전 동력이 입력된다. 한편, 트랜스미션(13)에는 무단 변속 장치(I-HMT)(131)가 구비되어 있다(도 5 참조). 무단 변속 장치(131)는 오퍼레이터가 시프트 레버(163)(도 7 참조)를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트랜스미션(13)의 작동 상태를 변경한다.
전방 차축(14)은 엔진(12)의 회전 동력을 전방 타이어(141)에 전달한다. 전방 차축(14)에는 트랜스미션(13)을 통해 엔진(12)의 회전 동력이 입력된다. 한편, 전방 차축(14)에는 조타 장치가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미도시). 조타 장치는 오퍼레이터가 핸들(164)(도 7 참조)을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전방 타이어(141)의 타각을 변경한다.
또한, 전방 차축(14)에는 유압 펌프(142)가 마련되어 있다(도 5 참조). 유압 펌프(142)는 오퍼레이터가 조이스틱(176)(도 7 참조)을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트랙터(1)의 앞 부분에 장착된 작업기에 유압을 전달한다.
후방 차축(15)은 엔진(12)의 회전 동력을 후방 타이어(151)에 전달한다. 후방 차축(15)에는 트랜스미션(13)을 통해 엔진(12)의 회전 동력이 입력된다. 한편, 후방 차축(15)에는 PTO 출력 장치(152)가 마련되어 있다(도 5 참조). PTO 출력 장치(152)는 오퍼레이터가 PTO 스위치(165)(도 7 참조)를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견인하는 작업기에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후방 차축(15)에는 링크 기구(35)가 마련되어 있다(도 6 참조).
다음으로, 트랙터(1)의 동력 전달 계통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트랙터(1)의 동력 전달 계통을 나타내고 있다. 단, 본 도면은 본원 발명의 설명에 필요한 부분만을 간략하게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13)은 엔진(12)의 회전 동력을 전방 차축(14)이나 후방 차축(15)에 전달한다. 즉, 트랜스미션(13)은, 전방 차축(14)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와, 후방 차축(15)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는, 전방 차축(14)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를 전방 드라이브 기구(33)로서 설명한다.
전방 드라이브 기구(33)는 구동 샤프트(331), 정속 구동 기어(332) 및 증속 구동 기어(333)를 구비한다. 또한, 전방 드라이브 기구(33)는 등속 클러치(334), 등속 종동 기어(335), 증속 클러치(336) 및 증속 종동 기어(337)를 구비한다. 또한, 전방 드라이브 기구(33)는 출력 샤프트(338)를 구비한다.
구동 샤프트(331)는 베어링을 개재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정속 구동 기어(332)는 구동 샤프트(331)에 장착된다. 증속 구동 기어(333)도 구동 샤프트(331)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정속 구동 기어(332)와 증속 구동 기어(333)는 구동 샤프트(331)와 일체가 된 상태로 회전한다.
등속 클러치(334)는 베어링을 개재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등속 종동 기어(335)는 정속 구동 기어(332)와 맞물린 상태로 등속 클러치(334)의 내부 허브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등속 종동 기어(335)는 등속 클러치(334)의 내부 허브와 일체가 된 상태로 회전한다. 한편, 증속 클러치(336)도 베어링을 개재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증속 종동 기어(337)는 증속 구동 기어(333)와 맞물린 상태로 증속 클러치(336)의 내부 허브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증속 종동 기어(337)는 증속 클러치(336)의 내부 허브와 일체가 된 상태로 회전한다.
출력 샤프트(338)는 베어링을 개재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등속 클러치(334)는 외부 실린더가 출력 샤프트(338)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등속 클러치(334)의 외부 실린더는 출력 샤프트(338)와 일체가 된 상태로 회전한다. 한편, 증속 클러치(336)도 그 외부 실린더가 출력 샤프트(338)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증속 클러치(336)의 외부 실린더는 출력 샤프트(338)와 일체가 된 상태로 회전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등속 클러치(334)의 내부 허브와 외부 실린더가 연결되면(등속 클러치(334)가 작동하면), 구동 샤프트(331)의 회전이 출력 샤프트(338)로 전해진다. 그러면, 프로펠러 샤프트(43)가 회전하고, 디퍼런셜 기구(34)를 개재해 전방 타이어(141)가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등속 클러치(334)를 작동시켜 사륜 구동으로 한 경우에는, 후방 타이어(151)의 주속도(周速度)와 전방 타이어(141)의 주속도가 동일해진다(등속 사륜 구동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증속 클러치(336)의 내부 허브와 외부 실린더가 연결되어도(증속 클러치(336)가 작동해도), 구동 샤프트(331)의 회전이 출력 샤프트(338)로 전해진다. 그러면, 프로펠러 샤프트(43)가 회전하고, 디퍼런셜 기구(34)를 개재해 전방 타이어(141)가 회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증속 클러치(336)를 작동시켜 사륜 구동으로 한 경우에는, 후방 타이어(151)의 주속도보다 전방 타이어(141)의 주속도가 빨라진다(증속 사륜 구동이라고 한다).
다음으로, 트랙터(1)의 링크 기구(35)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트랙터(1)의 링크 기구(35)를 나타내고 있다. 링크 기구(35)는, 후방 차축(15)의 후부에 장착된 탑 브래킷(351)과, 탑 브래킷(351)의 힌지부에 장착된 탑 링크(352)를 구비한다. 또한, 링크 기구(35)는, 후방 차축(15)의 하부에 장착된 하부 브래킷(353)과, 하부 브래킷(353)의 힌지부에 장착된 하부 링크(354)를 구비한다.
또한, 링크 기구(35)는, 후방 차축(15)의 측부에 장착된 리프트 아암(355), 리프트 아암(355)의 중앙부에 장착된 승강용 액추에이터(356), 좌측의 리프트 아암(355)과 하부 링크(354)에 장착된 리프트 링크(357), 및 우측의 리프트 아암(355)과 하부 링크(354)에 장착된 경도(傾倒)용 액추에이터(358)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링크 기구(35)의 구성에 의해, 트랙터(1)에 장착되는 작업기는, 탑 링크(352) 및 2개의 하부 링크(354)에 의한 3개의 링크로 승강 가능, 경도 가능하게 지지된다.
다음으로, 트랙터(1)의 조종실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운전 좌석(161)과 그 주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은 오퍼레이터의 시야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아암 레스트(161r)에 마련된 조종구를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캐빈(16)은 그 내측이 조종실로 되어 있고, 운전 좌석(161) 외에 액셀러레이터 페달(162)이나 시프트 레버(163) 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 좌석(161)의 주위에는 브레이크 페달(166)이나 클러치 페달(167), 리버서 레버(168), 스피드 다이얼(169),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170), 컨트롤 패널(171), 변속 레버(172), 작업기 승강 스위치(173), 작업기 승강 미조정(微調整) 스위치(174) 등이 배치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운전 좌석(161)에 앉은 상태로 액셀러레이터 페달(162)이나 시프트 레버(163) 등을 조작해 트랙터(1)를 조종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71)은, 개폐 가능한 아암 레스트(161r)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어 장치(3)와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 패널(171)은 작업기에 관한 각종 설정을 행하기 위한 조작구이다. 오퍼레이터는 컨트롤 패널(171)을 조작함으로써, 접속되어 있는 작업기에 적절한 각종 설정을 실시할 수 있다.
변속 레버(172)는, 아암 레스트(161r)의 앞부분 상면에 배치되고, 제어 장치(3)와 접속되어 있다. 변속 레버(172)는 회동 가능하며, 오퍼레이터에 의해 임의로 기울여지는 것에 의해 변속 조작된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주행 속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작업기 승강 스위치(173)는 변속 레버(172)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다(도 17 참조). 작업기 승강 스위치(173)는 트랙터(1)의 후부에 장착되는 작업기를 승강시키기 위한 슬라이드식 스위치이다. 작업기 승강 스위치(173)는 제어 장치(3)에 접속되어 있어, 작업기 승강 스위치(173)가 위쪽으로 슬라이드되면 작업기를 상승시키고, 아래쪽으로 슬라이드되면 작업기를 하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트랙터(1)의 후부에 장착되는 작업기를 자유롭게 승강시킬 수 있다.
작업기 승강 미조정 스위치(174)는, 변속 레버(172)의 왼쪽 면에 상하 한 쌍으로 배치되어 있다(도 17 참조). 작업기 승강 스위치(174)는 트랙터(1)의 후부에 장착되는 작업기를 미소 범위에서 승강시키기 위한 누를 수 있는 스위치이다. 작업기 승강 미조정 스위치(174)는 제어 장치(3)에 접속되어 있어, 위쪽 스위치가 눌러지면 작업기를 미소 범위에서 상승시키고, 아래쪽 스위치가 눌러지면 작업기를 미소 범위에서 하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트랙터(1)의 후부에 장착되는 작업기를 자유롭게 승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작업기의 높이를 작업기 승강 스위치(173)로 대략 조정한 후, 작업기 승강 미조정 스위치(174)로 미조정할 수 있다.
또한, 운전 좌석(161)의 우측에 조이스틱(176)이 배치되어 있다(도 7 참조). 오퍼레이터는, 운전 좌석(161)에 앉은 상태로 조이스틱(176)을 조작해, 트랙터(1)의 앞부분에 장착된 작업기(예를 들면, 적재기)를 조종할 수 있다.
또한, 본 트랙터(1)에서는, 운전 좌석(161)의 근방에 디스플레이(2)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2)는, 오퍼레이터가 오른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 좌석(161)의 오른쪽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 트랙터(1)의 정보 네트워크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함과 함께, 디스플레이(2) 및 그 디스플레이(2)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9는 트랙터(1)의 정보 네트워크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디스플레이(2)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본 트랙터(1)의 제어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2)에 관련된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 장치(3)는 기억부(31)를 구비해,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기억해 둘 수 있다. 한편, 기억부(31)는 제어 장치(3)의 외부에 마련해도 된다.
본 트랙터(1)는, 최대한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각처에 정보 네트워크가 펼쳐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엔진(12) 외에 트랜스미션(13), 인스트루먼트 패널(170), 컨트롤 패널(171), 디스플레이(2)가 서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컨트롤러·에어리어·네트워크(Controller Area Network; CAN)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CAN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통신에 의해 트랙터(1)와 작업기(A~C) 사이에서 교환되는 정보로는, 예를 들면, 엔진(12)의 회전수나 수온, 차속, 변속단, 트랜스미션(13)의 상태, 링크 기구(35)의 상태(깊이, 기울기 등)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엔진(12), 트랜스미션(13), 링크 기구(35)가 제어 장치(3)에 의해 통합 제어됨과 함께, 인스트루먼트 패널(170)이나 디스플레이(2)에 이와 같은 정보나 경고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트랙터(1)와 작업기(A~C) 사이에 여러 가지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고도의 제어가 가능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조작성 및 작업 효율이 향상되어, 오퍼레이터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9는 트랙터(1)와 작업기의 CAN 접속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랙터(1)에 트랙터측 컨트롤러인 제어 장치(3)가 마련되고, 작업기에 작업기를 제어하는 작업기측 컨트롤러(5)가 마련되고, 트랙터측 컨트롤러와 작업기측 컨트롤러(5)가 접속 커넥터(6)를 개재해 접속된다. 접속 커넥터(6)로는, AG-PORT 규격이나 ISOBUS 규격의 커넥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랙터측 컨트롤러와 작업기측 컨트롤러(5)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작업기의 조작을 트랙터(1)측의 레버 등에 할당하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일체감이 있는 조작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캐빈(16) 내의 배선도 줄일 수 있다.
도 20은 트랙터(1)에서의 CAN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에서는, 트랙터(1)에 작업기로서 적재기, 분무기, 산파기를 CAN 접속 가능한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트랙터측 컨트롤러인 제어 장치(3)에는 CAN을 통해 디스플레이(2), 접속 커넥터(6), 엔진(12), 트랜스미션(13), 인스트루먼트 패널(170), 컨트롤 패널(171), 변속 레버(172), 작업기 승강 스위치(173), 작업기 승강 미조정 스위치(174), 적재기용 조작 패널(175), CAN 인터페이스(177) 및 산파기용 컨트롤러(18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적재기용 조작 패널(175)에는 조이스틱(176)이 접속되어 있다. CAN 인터페이스(177)에는, 분무기용 조작 패널(178), 살포용 컨트롤러(179) 및 붐 조작용 컨트롤러(180)가 접속되어 있다.
적재기용 조작 패널(175)은 적재기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전용 조작구이다. 오퍼레이터는 적재기용 조작 패널(175)을 조작함으로써, 적재기에 관한 각종 설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장치(3)는 적재기용 조작 패널(175)에서 설정된 내용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는 조이스틱(176)을 조작함으로써, 각종 설정에 따라 적재기를 조작할 수 있다.
CAN 인터페이스(177)는, 분무기용 조작 패널(178), 살포용 컨트롤러(179) 및 붐 조작용 컨트롤러(180)를 각각 CAN을 통해 제어 장치(3)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분무기용 조작 패널(178)은 분무기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전용의 조작구이다. 오퍼레이터는 분무기용 조작 패널(178)을 조작함으로써, 분무기에 관한 각종 설정(단위 면적당 농약 살포량의 설정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장치(3)는 분무기용 조작 패널(178)에서 설정된 내용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살포용 컨트롤러(179)는, 분무 노즐에 농약을 공급하는 살포 밸브의 개폐 조작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 장치(3)는 살포용 컨트롤러(179)에서 설정된 살포 밸브 상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 살포 밸브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살포용 컨트롤러(179)를 조작함으로써, 농약의 살포 개시/정지나 살포량의 조정을 실시할 수 있다.
붐 조작용 컨트롤러(180)는 붐의 신축 조정, 붐의 경사 조정, 붐의 개폐 조정, 붐의 승강 조정 등을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 장치(3)는 붐 조작용 컨트롤러(180)에서 설정된 붐 상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 붐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붐 조작용 컨트롤러(180)를 조작함으로써, 붐의 신축 조정, 붐의 경사 조정, 붐의 개폐 조정, 붐의 승강 조정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산파기용 컨트롤러(181)는, 산파기의 살포 개시/정지나 산파기의 살포량 조정 등을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 장치(3)는 산파기용 컨트롤러(181)에서 설정된 산파기 상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 산파기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산파기용 컨트롤러(181)를 조작함으로써, 산파기의 살포 개시/정지나 산파기의 살포량 조정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본 트랙터(1)에 있어서, 디스플레이(2)는 사이드 콘솔 위에 배치되어 있다(도 7, 도 8 참조). 디스플레이(2)는 액정 패널(표시부)(21), 인코더 다이얼(조작부)(22), 엔터 버튼(조작부)(23) 및 5개의 커맨드 버튼(조작부)(24~28)이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구성된다(도 10 참조).
액정 패널(21)은 디스플레이(2)의 전면 중앙에 마련되어 있다. 액정 패널(21)은 제어 장치(제어부)(3)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해 소정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 패널(21)은 제어 장치(3)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해 오프닝 화면(S1)을 표시할 수 있다(도 12 참조). 또한, 액정 패널(21)은 제어 장치(3)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해 그 외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도 13 내지 도 16 참조). 한편, 표시부는 액정 패널(21)로 한정되지 않고,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또는 무기 EL를 이용한 EL 패널 등의 박형 표시 패널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인코더 다이얼(22)은 디스플레이(2)의 상면 우측에 마련되어 있다. 인코더 다이얼(22)은 로터리 인코더를 내장하여, 액정 패널(21)에 표시된 요소(항목)를 선택할 때, 탭을 스크롤시키거나 혹은 하이라이트 표시를 횡단시킨다는 취지의 오퍼레이터의 의사(선택 조작)를 제어 장치(3)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코더 다이얼(22)은 표시된 숫자나 영문자를 선택할 때, 탭을 스크롤(도 13 참조) 시킨다는 취지의 오퍼레이터의 의사를 제어 장치(3)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인코더 다이얼(22)은 표시된 아이콘을 선택할 때, 하이라이트 표시를 횡단시킨다는 취지의 오퍼레이터의 의사를 제어 장치(3)에 전달할 수 있다(도 14 내지 도 16 참조).
엔터 버튼(23)은 인코더 다이얼(22)과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엔터 버튼(23)은 인코더 다이얼(22)의 상하 이동에 대응한 조작 버튼이며, 인코더 다이얼(22)의 상면이 눌림으로써 조작된다. 한편, 엔터 버튼(23)은 인코더 다이얼(22)의 상단면에 마련한 푸시 버튼이라도 된다.
엔터 버튼(23)은 액정 패널(21)에 표시된 요소(항목) 가운데, 하나의 요소를 결정했다는 취지의 오퍼레이터의 의사(결정 조작)를 제어 장치(3)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엔터 버튼(23)은 표시된 숫자나 영문자 중 하나의 숫자 혹은 영문자를 결정했다는 취지의 오퍼레이터의 의사를 제어 장치(3)에 전달할 수 있다(도 13 참조). 또한, 엔터 버튼(23)은 표시된 아이콘 중 하나의 아이콘을 결정했다는 취지의 오퍼레이터의 의사를 제어 장치(3)에 전달할 수 있다(도 14 내지 도 16 참조).
5개의 커맨드 버튼(24~28)은 화면 상단에 표시된 아이콘을 결정 조작하는 조작 버튼이다. 각 커맨드 버튼(24~28)은 디스플레이(2)의 전면 상부에 가로로 마련되고, 각 커맨드 버튼(24~28)은 액정 패널(21)에 표시된 바로 아래의 아이콘에 대응하고 있다. 커맨드 버튼(24~28)은 바로 아래의 아이콘을 결정했다는 취지의 오퍼레이터의 의사를 제어 장치(3)에 전달할 수 있다. 커맨드 버튼(24~28)의 어느 하나가 눌러지면, 제어 장치(3)는 그 아이콘에 대응한 커맨드를 실행한다. 각 커맨드 버튼(24~28)에 할당되는 아이콘 및 커맨드는 화면마다 달라, 각 화면에서 필요한 아이콘 및 커맨드를 할당할 수 있다.
커맨드로는, 제1 홈 화면(S3)으로의 절환을 지시하는 커맨드(아이콘은 'HOME'), 쇼트 컷 화면(오퍼레이터가 임의로 설정한 화면)으로의 절환을 지시하는 커맨드(아이콘은 '프리 1' 또는 '프리 2'), 엔터 버튼(23)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요소의 결정을 지시하는 커맨드(아이콘은 '결정'), 하나 앞의 화면으로의 절환을 지시하는 커맨드(아이콘은 '복귀'), 탭을 스크롤시키는 방향 혹은 하이라이트 표시를 횡단시키는 방향을 지시하는 커맨드(아이콘은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등이 있다.
한편, 조작부로서 액정 패널(21)에 터치 패널을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인코더 다이얼(22), 엔터 버튼(23), 커맨드 버튼(24~28)은 적절하게 생략할 수 있다.
그런데, 작업기에는 트랙터(1)와 연동 가능한 것이 있어, 연동 가능한 작업기가 트랙터(1)에 장착되었을 경우, 트랙터(1)와 그 작업기를 연동시킬 수 있다. 연동이란, 작업기의 동작에 맞추어 트랙터(1)가 최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연동이란, 트랙터(1)의 동작에 맞추어 작업기가 최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트랙터(1)에 연동 가능한 작업기로는, 앞 부분에 장착되는 적재기, 뒷부분에 장착되는 분무기나 산파기 등이 있다.
예를 들면, 트랙터(1)에 적재기를 장착해 연동시켰을 경우, 트랙터(1)는 적재기에 최적인 설정으로 자동 제어된다. 구체적인 예로는, 위험 방지를 위해, 증속 사륜 구동으로부터 자동으로 등속 사륜 구동으로 제어된다. 또한, 적재기가 넘어진 것을 검지한 경우 등, 다음에 적재기를 올리는 것이 예측되는 경우에는, 엔진의 회전수를 높여 적재기의 상승 속도를 높이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기억부(31)에는 연동 가능한 작업기의 일람이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3)는 기억부(31)로부터 연동 가능한 작업기의 일람을 읽어내 작업기 연동 화면(S5)(도 16 참조)을 생성하고, 액정 패널(21)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한다. 복수의 메뉴가 선택 가능하게 표시되는 화면(예를 들면, 제2 홈 화면(S4) 참조)에 작업기 연동을 메뉴의 하나로서 추가하여, 작업기 연동이 선택, 결정 조작됨으로써, 작업기 연동 화면(S5)을 표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작업기 연동 화면(S5)에서는, 장착된 연동 가능한 작업기가 선택 가능하게 표시됨과 함께, 연동 중인 작업기가 식별 가능하게 표시된다.
'선택 가능'이란, 오퍼레이터가 원하는 작업기를 선택할 수 있으면 어떠한 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조작부(인코더 다이얼(22), 엔터 버튼(23), 커맨드 버튼(24~28))의 조작에 의해 하이라이트 표시를 횡단시킴으로써 원하는 작업기를 선택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식별 가능'이란, 오퍼레이터가 연동 중인 작업기를 구별할 수 있으면 어떠한 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연동 중인 작업기의 아이콘에 연동 중인 것을 나타내는 표식(ON의 표시 등)을 중첩 표시하고, 비연동 중인 작업기의 아이콘에 비연동 중인 것을 나타내는 표식(OFF의 표시 등)을 중첩 표시함으로써 식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장착되어 있지 않으나 연동 가능한 작업기는 식별 가능하고 동시에 선택 불가능하게 표시된다. 예를 들면, 아이콘을 회색으로 함으로써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식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선택할 수 없게 제어함으로써 선택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장착되어 있지 않으나 연동 가능한 작업기를 한눈에 식별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높다. 또한, 장착되어 있지 않은 작업기는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잘못해 선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 장치(3)는, 작업기 연동 화면(S5)에서 조작부(인코더 다이얼(22), 엔터 버튼(23), 커맨드 버튼(24~28))에 의한 선택, 결정 조작을 받아들여, 결정 조작된 작업기를 기억부(31)에 기억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 장치(3)는 작업기 연동 화면(S5)에서 원하는 작업기가 결정 조작된 경우, 연동 중인 작업기가 있으면 비연동으로 하고, 결정 조작된 작업기를 연동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트랙터(1)의 전후에 작업기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라도, 동시에 하나의 작업기만이 연동하게 되어, 트랙터(1)의 제어에 불편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어 장치(3)는 장착된 연동 가능한 상태에 있는 작업기를 소정 주기(예를 들면, 10초 마다, 또는 제2 홈 화면(S4)에서 작업기 연동이 결정 조작된 경우 등)에 검출하도록 제어한다. 연동 가능한 상태에 있는지 여부는, 예를 들면 작업기와의 통신에 의해 판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기 연동 화면(S5)에 항상 최신 상태를 표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랙터(1)에 작업기와의 연동 상태를 조작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를 마련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트랙터(1)측에서 작업기와의 연동 상태를 설정 및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트랙터(1)에 승차 중인 오퍼레이터가 어느 작업기와 연동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어느 작업기와 연동시킬지를 설정하기 위해, 트랙터(1)에서 내려 작업기까지 이동할 필요가 없고, 트랙터(1)에 승차한 채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작업기에 있어서는, 트랙터(1)와의 연동 상태를 조작 및 표시하는 수단을 생략하면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작업기에 트랙터(1)와의 연동 상태를 조작 및 표시하는 수단을 마련하면, 오퍼레이터는 트랙터(1)와 작업기의 어느 쪽에서도 연동 상태를 설정 및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향상된다.
이하, 트랙터(1)와 작업기의 연동과 관련해 디스플레이(2)에 표시되는 화면 및 디스플레이(2)의 조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6은, 디스플레이(2)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단, 각 도면은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필요한 부분만을 간략하게 나타내고 있다.
우선, 디스플레이(2)에는 오프닝 화면(S1)이 표시된다(도 12 참조). 오프닝 화면(S1)에서는, 중앙 부근에 심볼 마크(Sm)가 표시된다. 심볼 마크(Sm)는 제조업자를 상징하는 의장이다. 심볼 마크(Sm)는 흑색의 배경 화상에 떠올라, 오퍼레이터에게 강한 인상을 준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2)에는 락 해제 화면(S2)이 표시된다(도 13 참조). 락 해제 화면(S2)에서는 가로 1열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4개의 스크롤 박스(Sb1~Sb4)가 표시된다. 스크롤 박스(Sb1~Sb4)는 선택되고 있는 어느 하나가 하이라이트 표시된다(도면 중의 H부 참조). 스크롤 박스(Sb1~Sb4)는 0에서 9까지의 숫자 혹은 A에서 F까지의 영문자를 상하 방향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또한, 락 해제 화면(S2)에서는, 상단에 커맨드 버튼(25~28)에 대응한 아이콘(251·261·271·281)이 표시된다. 또한, 락 해제 화면(S2)에서는, 오퍼레이터의 이름이 기재된 다이얼로그 박스(Db1)와, 작업기명이 기재된 다이얼로그 박스(Db2)가 표시된다. 오퍼레이터는 이와 같은 다이얼로그 박스(Db1·Db2)로 오퍼레이터의 이름 및 작업기명이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인코더 다이얼(22)을 회전시킴으로써 숫자 혹은 영문자를 스크롤시켜 선택하고, 엔터 버튼(23)을 누르는 것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락 해제 화면(S2)에서는, 커맨드 버튼(25·26)을 누름으로써 숫자 혹은 영문자를 스크롤시켜 선택하고, 커맨드 버튼(27)을 누르는 것에 의해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커맨드 버튼(28)을 누르는 것에 의해 결정을 취소할 수도 있다. 비밀번호를 틀렸을 때에는, 그 취지의 메시지가 표시된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2)에는 제1 홈 화면(S3)이 표시된다(도 14 참조). 제1 홈 화면(S3)에서는, 메뉴 또는 페이지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Ia1~Ia10)이 표시된다. 아이콘(Ia1~Ia10)은 선택되고 있는 어느 하나가 하이라이트 표시된다(도면 중의 H부 참조). 그리고, 하이라이트 표시는 인코더 다이얼(22)의 회전에 따라 횡단된다. 선택할 수 없는 아이콘에 대해서는 그레이 아웃(gray out) 된다(도면 중의 G부 참조). 또한, 제1 홈 화면(S3)에서는, 상단에 커맨드 버튼(24~28)에 대응한 아이콘(242·252·262·272·282)이 표시된다.
'프리 1'의 아이콘(242) 또는 '프리 2'의 아이콘(252)의 등록 방법을 '프리 1'의 등록을 예로 들어 간단하게 설명한다. 우선, '프리 1'의 아이콘(242)에 대응하는 커맨드 버튼(24)을 길게 누르면(예를 들면, 3초), 등록 화면(미도시)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등록 화면에서 인코더 다이얼(22)을 조작해 원하는 아이콘(예를 들면, 'OFF'의 아이콘)을 선택하고, 엔터 버튼(23)을 누르면, 그 아이콘이 '프리 1'의 아이콘(242)에 등록되어, '프리 1'의 표시를 대신해 그 아이콘이 표시된다.
제1 홈 화면(S3)에서 오퍼레이터는, 인코더 다이얼(22)을 회전시킴으로써 원하는 아이콘(Ia1~Ia10)을 선택하고, 엔터 버튼(23) 또는 커맨드 버튼(27)을 누르는 것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다음 페이지'라고 기재된 아이콘(Ia10)을 선택해 결정한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2)에는 제2 홈 화면(S4)이 표시된다(도 15 참조). 제2 홈 화면(S4)에서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Ib1~Ib10)이 표시된다. 아이콘(Ib1~Ib10)은 선택되고 있는 어느 하나가 하이라이트 표시된다(도면 중의 H부 참조). 그리고, 하이라이트 표시는 인코더 다이얼(22)의 회전에 따라 횡단된다. 또한, 제2 홈 화면(S4)에서는, 상단에 커맨드 버튼(24~28)에 대응한 아이콘(243·253·263·273·283)이 표시된다.
제2 홈 화면(S4)에서 오퍼레이터는, 인코더 다이얼(22)을 회전시킴으로써 원하는 아이콘(Ib1~Ib10)을 선택하고, 엔터 버튼(23) 또는 커맨드 버튼(27)을 누르는 것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작업기 연동'이라고 기재된 아이콘(Ib2)을 선택해 결정한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2)에는 작업기 연동 화면(S5)이 표시된다(도 16 참조). 작업기 연동 화면(S5)에서는, 작업기명과 ON 또는 OFF가 기재된 3개의 아이콘(Ic1~Ic3)이 표시된다. 또한, 작업기 연동 화면(S5)에서는, 상단에 커맨드 버튼(24~28)에 대응한 아이콘(244·254·264·274·284)이 표시된다.
아이콘(Ic1~Ic3)은 연동 가능한 작업기의 일람이 되어 있다. 아이콘(Ic1) 및 아이콘(Ic3)은 장착된 연동 가능한 작업기를 나타내고 있어, 선택 가능하게 표시된다. 한편, 아이콘(Ic2)은 장착되어 있지 않으나 연동 가능한 작업기를 나타내고 있어, 선택 불가능하게 표시된다. 아이콘(Ic2)은 선택 불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회색으로 표시되고 있다. 그리고, 선택 불가능한 아이콘(Ic2)은 인코더 다이얼(22)의 회전으로 선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기 연동 화면(S5)에서 오퍼레이터는, 인코더 다이얼(22)을 회전시킴으로써 원하는 아이콘(Ic1) 또는 아이콘(Ic3)을 선택하고, 엔터 버튼(23)을 누르는 것에 의해 ON 및 OFF의 절환이 가능하다. ON은 연동중인 것을 나타내고, OFF는 비연동 중인 것을 나타낸다.
도 16에서는 아이콘(Ic2)이 선택 불가능하므로, 아이콘(Ic1) 또는 아이콘(Ic3)이 결정 조작된 경우, 연동 중인 작업기가 있으면, 그에 대응하는 아이콘(Ic1) 또는 아이콘(Ic3)이 ON에서 OFF로 바뀜으로써 비연동 중인 것을 나타내고, 결정 조작된 작업기에 대응하는 아이콘(Ic1) 또는 아이콘(Ic3)이 OFF에서 ON으로 바뀜으로써 연동 중인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동시에 하나의 작업기만이 연동하게 된다.
도 21에 작업기 연동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아이콘(Id1~Id3)은 연동 가능한 작업기의 일람이 되어 있다. 이 작업기 연동 화면(S51)에서는, 장착된 연동 가능한 작업기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기 위해, 하이라이트 표시를 이용하고 있다(아이콘(Id1)). 또한, 작업기 연동 화면(S51)에서는, 연동 중인 작업기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기 위해, 연동 중인 작업기의 아이콘에 녹색 램프의 화상(Id4)을 중첩 표시하고 있다. 또한, 작업기 연동 화면(S51)에서는, 장착되어 있지 않으나 연동 가능한 작업기는 식별 가능하고 동시에 선택 불가능하게 표시하기 위해, 아이콘의 배경을 회색으로 표시하고 있다(아이콘(Id2)).
한편, 연동 상태를 알리기 위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170)에 연동 램프(170a)를 마련해도 된다. 트랙터(1)와 작업기가 연동 중일 때 연동 램프(170a)가 점등하고, 비연동 중일 때 연동 램프(170a)가 소등한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70)을 보는 것으로 작업기가 연동 중인지 비연동 중인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트랙터(1)와 작업기의 연동에 관한 다른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연동하는 작업기가 분무기인 경우와 산파기인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연동 중인 작업기가 분무기인 경우, 작업기 승강 스위치(173)와 작업기 승강 미조정 스위치(174)에, 분무기의 살포 개시/정지 기능, 분무기의 살포량 조정 기능, 분무기의 붐의 신축 조정 기능, 붐의 경사 조정 기능, 붐의 개폐 조정 기능, 붐의 승강 조정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이 할당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작업기가 비연동 중인 경우는, 그 할당은 무효가 된다.
어느 스위치에 어느 기능을 할당할지는 미리 오퍼레이터가 설정할 수 있다. 이 설정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에서 실시할 수 있다. 제1 홈 화면(S3)에서 트랙터 설정(아이콘(Ia3))을 선택해 결정하면, 트랙터의 각종 설정 항목이 표시되므로, 그 중에서 분무기의 스위치 할당 설정을 호출한다. 그러면,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스위치 할당 화면(S6)이 표시된다.
스위치 할당 화면(S6)에서는, 할당 가능한 스위치명이 기재된 2개의 아이콘(Ie1, Ie2)과, 아이콘(Ie1, Ie2)의 오른쪽으로 배치되고, 각 스위치(Ie1, Ie2)에 할당하는 기능이 기재된 아이콘(Ie3, Ie4)이 표시된다. 아이콘(Ie3, Ie4)은 선택 가능하게 표시되고 있다. 또한, 스위치 할당 화면(S6)에서는, 상단에 커맨드 버튼(24~28)에 대응한 아이콘(244·254·264·274·284)이 표시된다.
스위치 할당 화면(S6)에서 오퍼레이터는, 인코더 다이얼(22)을 조작해 원하는 아이콘(Ie3) 또는 아이콘(Ie4)을 선택하고, 엔터 버튼(23)을 누른다. 이에 따라, 선택한 아이콘의 표시 내용이 인코더 다이얼(22)로 스크롤 가능해진다. 그리고, 오퍼레이터는 인코더 다이얼(22)을 조작해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고, 엔터 버튼(23)을 누른다. 그러면, 선택한 기능이 좌측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에 기재된 스위치에 할당된다.
일례로서 도 23에서는, 작업기 승강 스위치(173)에 분무기의 살포 개시/정지가 할당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업기 승강 스위치(173)가 위쪽으로 슬라이드되면 살포를 개시시키고, 아래쪽으로 슬라이드되면 살포를 정지시킨다. 또한, 작업기 승강 미조정 스위치(174)에 붐의 승강 조정이 할당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업기 승강 미조정 스위치(174)의 위쪽의 스위치가 눌러지면 붐을 상승시키고, 아래쪽의 스위치가 눌러지면 붐을 하강시킨다.
이와 같이, 변속 레버(172)에 마련된 스위치(작업기 승강 스위치(173), 작업기 승강 미조정 스위치(174))에, 연동 중인 작업기를 조작하는 원하는 기능을 할당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할당한 기능을 조작하는 경우에, 변속 레버(172)로부터 손을 떼고 살포용 컨트롤러(179)나 붐 조작용 컨트롤러(180)를 조작할 필요가 없이, 손안에서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시간이 들지 않는다.
또한, 연동하는 작업기가 분무기인 경우에는, 차속 일정 제어와 살포압 일정 제어의 두 방법의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차속 일정 제어는, 살포량을 변경했을 때, 살포압을 조정하고, 차속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제어이다. 한편, 살포압 일정 제어는, 살포압을 변경했을 때, 차속을 조정하고, 살포압은 일정하게 살포하는 제어이다.
도 24는 살포량을 늘린 경우의 두 제어를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a)는 차속 일정 제어, (b)는 살포압 일정 제어를 나타내고 있다. 도 2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속 일정 제어에서는, 목표 단당(段當) 살포량을 늘리면, 자동으로 차속이 일정으로 유지됨과 동시에, 살포 압력이 자동으로 상승된다. 한편, 도 2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살포압 일정 제어에서는, 목표 단당 살포량을 늘리면, 자동으로 차속이 낮아지고, 살포 압력이 자동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살포압 일정 제어에 의하면, 살포량을 변경했을 때 입경이 변화하지 않고 분무 상태가 바뀌지 않기 때문에, 정밀도 높은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어느 쪽의 제어를 실시할지는 미리 오퍼레이터가 설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제어 모드의 설정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에서 실시할 수 있다. 제1 홈 화면(S3)에서 트랙터 설정(아이콘(Ia3))을 선택해 결정하면, 트랙터(1)의 각종 설정 항목이 표시되므로, 그 중에서 분무기 제어 모드의 설정을 호출한다. 그러면,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어 모드 선택 화면(S7)이 표시된다.
제어 모드 선택 화면(S7)에서는, 선택 가능한 제어 모드가 기재된 2개의 아이콘(If1, If2)을 표시하고, 설정된 제어 모드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하기 위해, 설정된 제어 모드의 아이콘에 녹색 램프의 화상(If3)을 중첩 표시하고 있다. 또한, 제어 모드 선택 화면(S7)에서는, 상단에 커맨드 버튼(24~28)에 대응한 아이콘(244·254·264·274·284)이 표시된다.
제어 모드 선택 화면(S7)에서 오퍼레이터는, 인코더 다이얼(22)을 조작해 원하는 아이콘(If1) 또는 아이콘(If2)을 선택하고, 엔터 버튼(23)을 누른다. 이에 따라, 선택한 아이콘의 우측에 녹색 램프의 화상(If3)이 표시되고, 그 아이콘에 기재된 제어 모드로 설정된다. 도 25에서는, 차속 일정 제어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작업 개시전의 트랙터(1)가 멈추어 있을 때, 오퍼레이터는 살포량, 적정 차속, 적정 살포압을 설정할 수 있다. 분무기용 조작 패널(178)에서 트랙터(1)의 정지 중에 변속 레버(172)의 위치(주행 차속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변속 레버(172)의 위치를 조정하면, 이후는 주행을 개시하기만 하면 된다.
연동 중인 작업기가 산파기인 경우, 작업기 승강 스위치(173)와 작업기 승강 미조정 스위치(174)에, 산파기의 살포 개시/정지 기능 또는 산파기의 살포량 조정 기능이 할당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작업기가 비연동 중인 경우에는, 이 할당은 무효가 된다.
어느 스위치에 어느 기능을 할당할지는 미리 오퍼레이터가 설정할 수 있다. 이 설정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에서 실시할 수 있다. 제1 홈 화면(S3)에서 트랙터 설정(아이콘(Ia3))을 선택하고 결정하면, 트랙터의 각종 설정 항목이 표시되므로, 그 중에서 산파기의 스위치 할당 설정을 호출한다. 그러면,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스위치 할당 화면(S8)이 표시된다.
스위치 할당 화면(S8)에서는, 할당 가능한 스위치명이 기재된 2개의 아이콘(Ig1, Ig2)과, 아이콘(Ig1, Ig2)의 오른쪽에 배치되고, 각 스위치(Ig1, Ig2)에 할당하는 기능이 기재된 아이콘(Ig3, Ig4)이 표시된다. 아이콘(Ig3, Ig4)은 선택 가능하게 표시되고 있다. 또한, 스위치 할당 화면(S8)에서는, 상단에 커맨드 버튼(24~28)에 대응한 아이콘(244·254·264·274·284)이 표시된다.
스위치 할당 화면(S8)에서 오퍼레이터는 인코더 다이얼(22)을 조작해 원하는 아이콘(Ig3) 또는 아이콘(Ig4)을 선택하고, 엔터 버튼(23)을 누른다. 이에 따라, 선택한 아이콘의 표시 내용이 인코더 다이얼(22)로 스크롤 가능해진다. 그리고, 오퍼레이터는 인코더 다이얼(22)을 조작해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고, 엔터 버튼(23)을 누른다. 그러면, 선택한 기능이 좌측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에 기재된 스위치에 할당된다.
일례로서 도 26에서는, 작업기 승강 스위치(173)에 산파기의 살포 개시/정지가 할당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업기 승강 스위치(173)가 위쪽으로 슬라이드되면 살포를 개시시키고, 아래쪽으로 슬라이드되면 살포를 정지시킨다. 또한, 작업기 승강 미조정 스위치(174)에 살포량의 조정이 할당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업기 승강 미조정 스위치(174)의 위쪽의 스위치가 눌러지면 살포량을 증가시키고, 아래쪽의 스위치가 눌러지면 살포량을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변속 레버(172)에 마련된 스위치(작업기 승강 스위치(173), 작업기 승강 미조정 스위치(174))에, 연동 중인 작업기를 조작하는 원하는 기능을 할당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할당한 기능을 조작하는 경우에, 변속 레버(172)에서 손을 떼고 산파기용 컨트롤러를 조작할 필요가 없이, 손안에서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시간이 들지 않는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농작업용 트랙터나 토목 작업용 휠로더와 같은 작업 차량에 이용 가능하다.
1: 트랙터(작업 차량)
3: 제어 장치(제어부)
21: 액정 패널(표시부)
22: 인코더 다이얼(조작부)
23: 엔터 버튼(조작부)
24, 25, 26, 27, 28: 커맨드 버튼(조작부)
172: 변속 레버
173: 작업기 승강 스위치(스위치)
174: 작업기 승강 미조정 스위치(스위치)

Claims (3)

  1. 작업기를 장착할 수 있는 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의 조작부의 조작을 상기 작업기의 작동과 연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작업기를 연동 상태로 전환 가능한 결정 조작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조작부에서 연동 상태로 결정된 작업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에 접속된 상기 트랙터의 조작부와, 상기 트랙터의 조작부에 형성된 조작구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기로서 분무기가 연동되어 있는 경우,
    상기 조작구에, 상기 분무기의 살포 개시/정지 기능, 상기 분무기의 살포량 조정 기능, 상기 분무기의 붐의 신축 조정 기능, 그 붐의 경사 조정 기능, 그 붐의 개폐 조정 기능, 그 붐의 승강 조정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조작부에서 연동 상태로 결정된 작업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에 접속된 상기 트랙터의 조작부와,
    상기 트랙터의 조작부에 형성된 조작구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기로서 산파기가 연동되어 있는 경우,
    상기 조작구에, 상기 산파기의 살포 개시/정지 기능, 상기 산파기의 살포량 조정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KR1020207018125A 2014-10-16 2015-10-13 작업 차량 KR102394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12134 2014-10-16
JP2014212134 2014-10-16
JP2015106873A JP6698281B2 (ja) 2014-10-16 2015-05-26 作業車両
JPJP-P-2015-106873 2015-05-26
KR1020177013053A KR102128236B1 (ko) 2014-10-16 2015-10-13 작업 차량
PCT/JP2015/078889 WO2016060108A1 (ja) 2014-10-16 2015-10-13 作業車両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053A Division KR102128236B1 (ko) 2014-10-16 2015-10-13 작업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694A true KR20200078694A (ko) 2020-07-01
KR102394965B1 KR102394965B1 (ko) 2022-05-04

Family

ID=55746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125A KR102394965B1 (ko) 2014-10-16 2015-10-13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94965B1 (ko)
WO (1) WO2016060108A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A (ja) * 1996-01-18 1997-01-0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圃場作業機における制御部の収納構造
JPH09322608A (ja) * 1996-06-03 1997-12-16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
JP2004329067A (ja) 2003-05-02 2004-11-25 Yanmar Co Ltd 散布作業機
JP3834221B2 (ja) * 2001-10-15 2006-10-18 アグリテクノ矢崎株式会社 走行車両に付設する作業機の監視システム、並びに、該監視システムに使用する作業機に搭載する作業機搭載装置
JP2008266975A (ja) * 2007-04-19 2008-11-06 Caterpillar Japan Ltd 作業機械の制御装置
US20110178677A1 (en) * 2010-01-20 2011-07-21 Caterpillar Trimble Control Technologies Llc Machine control and guidance system incorporating a portable digital media device
US20120229394A1 (en) * 2009-09-16 2012-09-13 Agco Gmbh Display terminal
JP2012196158A (ja) * 2011-03-18 2012-10-18 Yanmar Co Ltd 作業車及び散布作業車
US20140298228A1 (en) * 2013-03-29 2014-10-02 Deere & Company Retracting shortcut bars, status shortcuts and edit run page se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7503U (ko) * 1986-04-15 1987-10-24
JPH09165797A (ja) * 1995-10-12 1997-06-24 Komatsu Est Corp 作業機械の操作装置
JP4171431B2 (ja) * 2004-02-06 2008-10-22 三菱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A (ja) * 1996-01-18 1997-01-0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圃場作業機における制御部の収納構造
JPH09322608A (ja) * 1996-06-03 1997-12-16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
JP3834221B2 (ja) * 2001-10-15 2006-10-18 アグリテクノ矢崎株式会社 走行車両に付設する作業機の監視システム、並びに、該監視システムに使用する作業機に搭載する作業機搭載装置
JP2004329067A (ja) 2003-05-02 2004-11-25 Yanmar Co Ltd 散布作業機
JP2008266975A (ja) * 2007-04-19 2008-11-06 Caterpillar Japan Ltd 作業機械の制御装置
US20120229394A1 (en) * 2009-09-16 2012-09-13 Agco Gmbh Display terminal
US20110178677A1 (en) * 2010-01-20 2011-07-21 Caterpillar Trimble Control Technologies Llc Machine control and guidance system incorporating a portable digital media device
JP2012196158A (ja) * 2011-03-18 2012-10-18 Yanmar Co Ltd 作業車及び散布作業車
US20140298228A1 (en) * 2013-03-29 2014-10-02 Deere & Company Retracting shortcut bars, status shortcuts and edit run page s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0108A1 (ja) 2016-04-21
KR102394965B1 (ko)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236B1 (ko) 작업 차량
JP6991645B2 (ja) トラクタ
JP2016034237A (ja) 対地作業装置のための昇降制御装置
KR20240042560A (ko) 작업 차량
WO2016067986A1 (ja) 作業車両
JP6243317B2 (ja) トラクタ
KR102394965B1 (ko) 작업 차량
JP2016077218A (ja) 作業車両
JP6417610B2 (ja) トラクタ
JP6403056B2 (ja) 作業車両
JP6417611B2 (ja) トラクタ
JP3791449B2 (ja) 農業機械の液晶表示装置
JP6276162B2 (ja) 作業車両
JP2016078650A (ja) 作業車両
JP2020022502A (ja) 対地作業装置のための昇降制御装置
JP2018023402A (ja) 対地作業装置のための昇降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