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449A - 패키징 필름, 배터리 모듈 및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패키징 필름, 배터리 모듈 및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449A
KR20200056449A KR1020207011953A KR20207011953A KR20200056449A KR 20200056449 A KR20200056449 A KR 20200056449A KR 1020207011953 A KR1020207011953 A KR 1020207011953A KR 20207011953 A KR20207011953 A KR 20207011953A KR 20200056449 A KR20200056449 A KR 20200056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battery
adhesive
packaging film
pul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6350B1 (ko
Inventor
종위 가오
훙싱 왕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56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61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H01M2/106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2Casings or frames around the primary casing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3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atteries o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09J2301/124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the opposite adhesive layers being diffe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characterized by perforations in the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coating being discontinuo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ckag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패키징 필름, 배터리 모듈 및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패키징 필름은 패키징부 및 당김부를 포함하고, 상기 당김부와 상기 패키징부는 절취선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상기 당김부를 당길 때, 상기 절취선이 끊겨, 상기 당김부가 상기 패키징부와 분리된다. 상기 패키징부의 패키징면에서, 상기 배터리의 측벽을 패키징하는 영역은 아교가 없는 영역이고, 다른 영역에는 제1 접착제가 제공된다. 상기 패키징부에서의 상기 접착면에는 제2 접착제가 제공된다. 상기 당김부에서의 상기 패키징면의 일부에는 제3 접착제가 제공되며, 상기 당김부에서의 상기 접착면은 아교가 없는 영역이다. 전술한 구현 방안에서, 패키징 필름은 일체형 구조이고, 절취선은 패키징 필름을 두 개의 상이한 영역으로 분할한다. 배터리를 제거할 필요가 있을 때, 당김부를 패키징부로부터 분리하고 배터리 격실의 배터리를 꺼내기 위해, 절취선에 의한 경계를 통해 획득되는 당김부만을 당길 필요가 있다. 이는 배터리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패키징 필름의 생산 및 가공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패키징 필름, 배터리 모듈 및 이동 단말기
본 출원은 이동 단말기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키징 필름, 배터리 모듈 및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에는 배터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서, 배터리는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격실(battery compartment)에 배치되어야 하고, 배터리는 고정되어야 한다. 종래 기술에서, 배터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고정 방식(fastening manner)은 테이프(3)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테이프(3)를 사용하여 배터리(2)가 배터리 격실(1)에 접착되어 높은 접착 강도를 달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서는 수리를 위해 배터리(2)를 제거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공구가 필요하다. 제거 시에, 배터리(2)의 패키지가 쉽게 손상되어, 안전상의 위험을 야기한다.
또한, 도 2는 당기기 쉬운 이지-풀 테이프(easy-pull tape)(4)를 사용하는 고정 방식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배터리(2)는 이지-풀 테이프(4)를 사용하여 배터리 격실(1)에 접착된다. 배터리(2)를 제거할 때, 이지-풀 테이프(4)의 손잡이(7)를 당기며, 당기는 동안에 이지-풀 테이프(4)의 점착성(stickiness)은 줄어든다. 이지-풀 테이프(4)를 당겨 인출한 후에 배터리(2)가 제거된다. 그러나 이지-풀 테이프(4)의 꺼냄 수율(pull-out yield)은 이지-풀 테이프(4)의 두께 및 인출 각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배터리 격실(1)의 아키텍처 설계에 대한 요건이 부과된다. 검 테이프 방식(gum tape scheme)과 비교하면, 이 방식은 비용이 더 든다.
또한, 도 3은 배터리 패키징을 사용하는 방식을 도시한다. 배터리(2)는 탈착 가능한 패키징 필름(detachable packaging film)(5)을 사용하여 패키징되고, 손잡이 구조체(handle structure)(6)가 배터리(2)에 추가되며, 탈착 가능한 패키징 필름(5)은 일반 테이프(3)를 사용하여 배터리 격실(1)에 접착된다. 배터리(2)를 제거해야 할 때, 탈착 가능한 패키징 필름(5)이 개방된 후에 손잡이 구조체(6)를 당겨서, 배터리(2)가 탈착 가능한 패키징 필름(5)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배터리(2)가 제거된다. 그러나 이 방식에서, 탈착 가능한 패키징 필름(5)이 손잡이 구조체(6)와 분리된다. 결과적으로, 생산 공정 및 장착 공정이 복잡하고 고 비용이다.
본 출원은 간단한 배터리 제거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패키징 필름, 배터리 모듈 및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패키징 필름(packaging film)이 제공된다. 상기 패키징 필름은 패키징부(packaging portion) 및 당김부(pulling portion)를 포함하며, 상기 당김부와 상기 패키징부는 절취선(tear line)에 의해 경계가 표시되고; 상기 당김부를 당길 때, 상기 절취선이 끊겨, 상기 당김부가 상기 패키징부와 분리된다.
상기 패키징 필름은 배터리를 향하는 패키징면(packaging face) 및 배터리 격실(battery compartment)을 향하는 접착면(adhesive face)을 가진다.
상기 패키징부의 상기 패키징면에서, 상기 배터리의 측벽을 패키징하는 영역은 아교가 없는 영역(glue-free area)이고, 상기 아교가 없는 영역 이외의 제2 영역에는 제1 접착제(adhesive)가 제공된다.
상기 패키징부의 상기 접착면에는 제2 접착제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접착제의 접착력은 상기 제2 접착제의 접착력보다 작다.
상기 당김부에서의 상기 패키징면의 일부에는 제3 접착제가 제공되고, 상기 당김부에서의 상기 접착면은 아교가 없는 영역이다.
전술한 구현 방안에서, 패키징 필름은 일체형 구조(one-piece structure)이고, 절취선은 패키징 필름을 두 개의 상이한 영역으로 분할한다. 배터리를 제거할 필요가 있을 때, 당김부를 패키징부로부터 분리하고 배터리 격실의 배터리를 꺼내기 위해, 절취선에 의한 경계를 통해 획득되는 당김부만을 당길 필요가 있다. 이는 배터리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패키징 필름의 생산 및 가공을 용이하게 한다.
구체적인 구현 방안에서, 상기 제3 접착제는 상기 제1 접착제와 동일하다.
구체적인 구현 방안에서, 상기 제3 접착제는 상기 제1 접착제와 상이하다. 상기 제3 접착제의 접착력은 상기 제1 접착제의 접착력보다 크다. 상기 접착력들은 상이하며, 상기 당김부와 상기 배터리 사이의 접착력은 상기 패키징부과 상기 배터리 사이의 접착력보다 크다. 이는 배터리를 부드럽게 당길 수 있게 한다.
구체적인 구현 방안에서, 두 개의 절취선이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절취선은 평행하게 배열된다. 상기 패키징 필름에는 관통 구멍이 제공되고, 각각의 절취선은 상기 관통 구멍으로 연장된다. 제공되는 두 개의 절취선 및 관통 구멍을 사용함으로써, 힘이 가해질 때 당김부가 패키징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서, 배터리를 꺼낼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 방안에서, 하나의 절취선이 있으며, 상기 절취선은 U자형이고, 상기 절취선의 양단은 상기 패키징 필름의 동일한 측면으로 연장된다. U자형 절취선을 제공함으로써, 힘이 가해질 때 당김부가 패키징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서, 배터리를 꺼낼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 방안에서, 상기 패키징 필름의 일측은 상기 패키징 필름의 측면 에지를 넘어 연장되는 돌기부(protrusion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절취선은 상기 돌기부로 연장된다.
구체적인 구현 방안에서, 상기 돌기부의 에지 위치에는 각각의 절취선에 연결된 노치(notch)가 제공된다. 이는 패키징부로부터 당김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구체적인 구현 방안에서, 상기 당김부의 부분으로서 상기 돌기부로 연장되는 부분은 아교가 없는 영역(glue-free area)이다. 이는 배터리 제거를 용이하게 하다.
구체적인 구현 방안에서, 상기 당김부는 부분적으로 상기 돌기부의 외부에 있다. 이는 당김부에 힘을 가하는 것을 돕고, 배터리의 제거를 더욱 용이하게 한다.
구체적인 구현 방안에서, 상기 패키징면상의 상기 아교가 없는 영역은 상기 제1 접착제를 세 개의 평행 영역으로 분할한다. 이는 패키징 효과를 향상시킨다.
구체적인 구현 방안에서, 상기 절취선은 이중층 절취선이다. 이는 패키징부으로부터 당김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구체적인 구현 방안에서, 상기 패키징 필름의 접착면에는 보호 필름이 부착되어, 상기 제2 접착제를 보호한다.
구체적인 구현 방안에서, 상기 패키징 필름의 접착면에는 복수의 접착 영역이 제공되고, 각각의 접착 영역에는 상기 제2 접착제가 제공된다. 이는 접착 효과를 향상시킨다.
구체적인 구현 방안에서, 상기 당김부는 패키징 필름의 일측의 중간 위치에 배치된다. 이는 배터리를 꺼내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구체적인 구현 방안에서, 상기 당김부는 상기 배터리의 측벽에 걸쳐 있고, 상기 배터리의 측벽의 일측은 아교가 없는 영역이고 다른 측은 아교가 있는 영역(glue area)이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및 전술한 구현 방안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배터리를 패키징하기 위한 패키징 필름을 포함한다.
전술한 구현 방안에서, 패키징 필름은 일체형 구조이고, 절취선은 패키징 필름을 두 개의 상이한 영역으로 분할한다. 배터리를 제거할 필요가 있을 때, 당김부를 패키징부로부터 분리하고 배터리 격실의 배터리를 꺼내기 위해, 절취선에 의한 경계를 통해 획득되는 당김부만을 당길 필요가 있다. 이는 배터리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패키징 필름의 생산 및 가공을 용이하게 한다.
제3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배터리 격실 및 상기 배터리 격실에 고정된 배터리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는 전술한 구현 방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패키징 필름으로 패키징된다.
전술한 구현 방안에서, 패키징 필름은 일체형 구조이고, 절취선은 패키징 필름을 두 개의 상이한 영역으로 분할한다. 배터리를 제거할 필요가 있을 때, 당김부를 패키징부로부터 분리하고 배터리 격실의 배터리를 꺼내기 위해, 절취선에 의한 경계를 통해 획득되는 당김부만을 당길 필요가 있다. 이는 배터리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패키징 필름의 생산 및 가공을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의 배터리 설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서의 배터리 설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서의 배터리 설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키징 필름의 패키징면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키징 필름의 접착면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패키징 필름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키징 필름의 사용 상태에 대한 참조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개략 구조도이다.
본 출원의 목적, 기술 방안 및 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패키징 필름이 없는 구조를 도시하고, 도 7은 패키징 필름이 배터리를 패키징할 때에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의 패키징 필름과 배터리의 협력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패키징 필름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배터리(20) 상의 양단의 두 면을 제외한 네 면을 먼저 명명한다. 배터리(20)가 배터리 격실에 배치될 때, 배터리 격실을 향하는 면이 배터리(20)의 바닥, 즉 제1 표면이다(도면에 도시됨). 제1 표면에 대향하는 면이 제2 표면(21)이고, 제1 표면 및 제2 표면(21)에 인접한 두 개의 면이 측면이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패키징 필름(10)은 일체형 구조로 되어 있다. 패키징 필름(10)은 두 개의 대향 면, 즉 접착면과 패키징면을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면이 패키징면이다. 패키징 필름(10)이 배터리(20)를 패키징할 때, 배터리(20)를 향하는 면이 패키징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면이 접착면이다. 접착면은 패키징면과 반대되는 면이다. 배터리(20)가 배터리 격실에 배치될 때, 접착면은 배터리 격실을 향하고 배터리 격실에 접착된다.
패키징 필름(10)의 접착면과 패키징면 사이의 상대적인 관계를 설명한 후, 패키징 필름(10)의 영역 구조를 아래에 설명한다. 패키징 필름(10)의 경계를 통해 획득되는 각각의 영역 구조가 패키징 필름(10)의 개체 구조(entity structure)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패키징 필름(10)의 경계를 통해 이루어지는 개체 구조는 패키징부(11) 및 당김부(12)를 포함한다. 당김부(11)는 두 개의 면을 가지며 두 개의 면은 패키징 필름(10)의 접착면 및 패키징면이다.
도 4의 패키징 필름(10)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배터리(20)의 패키징 필름(10)은 패키징부(11)와 당김부(12)로 분할된다. 패키징부(11)는 배터리(20)를 패키징하기 위해 사용되고, 당김부(12)는 배터리(20)가 제거될 때에 외력을 가하기 위한 영역으로 사용된다. 패키징 필름(10)에는 두 개의 영역 구조를 구별하기 위해 절취선(14)이 제공된다. 절취선(14)은 패키징 필름(10) 상에 새겨져(sculpted) 패키징부(11)를 당김부(12)와 분리한다. 또한, 절취선(14)은 당김부(12)와 패키징부(11)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끊어지고 부분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형성한다. 당김부(12)는 외력에 의해 당겨질 때, 절취선(14)이 끊겨, 패키징부(11)가 당김부(12)로부터 끊어져, 두 개의 독립적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패키징 필름(10)이 배터리(20)에 연결될 때, 패키징부(11)에서의 패키징면에는 제1 접착제(도면에 부호가 표시되지 않음)가 제공되고, 패키징부(11)는 제1 접착제에 의해 배터리(20)에 접착되어, 패키징부(11)가 배터리(20)를 패키징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0)가 제거될 때, 배터리(20)로부터 패키징 필름(1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패키징부(11)에서의 패키징면의 영역으로서 배터리(20)의 양 측면을 패키징하기 위해 사용되는 영역은 도 4의 패키징부(11)에서 음영 영역으로 도시된, 아교가 없는 영역으로서 배치된다. 아교가 없는 영역 이외의 제2 영역에는 제1 접착제가 제공된다. 패키징 필름(10)이 배터리(20)를 패키징할 때, 아교가 없는 영역은 배터리(20)로부터 패키징 필름(10)을 분리하기 위해, 배터리(20)에 접착되지 않는다. 제3 접착제는 또한 당김부(12)의 패키징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패키징부(11)가 배터리(20)를 패키징할 때, 당김부(12)가 배터리(20)에 접착될 수 있고, 배터리(20)가 당김부(12)를 잡아당김으로써 이동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배터리(20)를 패키징하는 패키징 필름(10)이 배터리 격실에 배치될 때, 패키징 필름(10)의 접착면에는 제2 접착제가 제공되고, 패키징 필름(10)은 제2 접착제에 의해 배터리 격실의 바닥에 접착된다. 구체적인 배치 동안에, 제1 접착제의 접착력은 제2 접착제의 접착력보다 작다. 이러한 배치 방식에서, 배터리(20)가 제거될 때, 패키징 필름(100)은 배터리(20)를 함께 꺼내지 않고서 배터리 격실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0)의 꺼내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당김부(12)에서의 접착면은 아교가 없는 영역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패키징 필름(10)이 배터리 격실에 고정될 때, 당김부(12)는 배터리 격실의 바닥에 접착되지 않아, 당김부(12)를 쉽게 꺼낼 수 있게 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패키징 필름(10)은 일체형 구조이고, 절취선(14)에 의해 두 개의 상이한 영역으로 분할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배터리(20)를 제거할 필요가 있을 때, 절취선(14)에 의해 경계를 통해 획득되는 당김부(12)를 간단히 당겨서 당김부(12)를 패키징부(11)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배터리(20)를 배터리 격실로부터 꺼낸다. 이는 배터리(20)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패키징 필름(10)의 구체적인 구조 및 원리의 자세한 이해를 위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패키징 필름(10)은 일체형 구조의 패키징 필름이며, 필름은 두 개의 반대 면, 즉 패키징면과 접착면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20)를 패키징하는 기능에 의해, 패키징면은 배터리(20)의 제1 표면에 접착되는 제1 표면 패키징 영역(111), 두 측면에 접착되는 측면 패키징 영역(112), 및 제2 표면(21)에 접착되는 제2 표면 패키징 영역(113)으로 분할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2 표면 패킹징 영역(113)은 배터리(20)의 제2 표면(21)을 부분적으로 패키징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면 패키징 영역(111)의 반대쪽의, 접착면의 영역에만 제1 표면 접착 영역(114)이 제공되고, 접착면의 다른 영역은 아교가 없는 영역이다.
기능에 의해, 패키징 필름(10)은 두 부분, 즉 패키징부(11)와 당김부(12)로 분할된다. 패키징부(11)는 절취선(14)에 의해 당김부(12)와 분리된다. 구체적인 구현 방안에서, 절취선(14)은 이중층 절취선이고, 절취선(14)은 도 4에 도시된 이중층 절취선이다. 이중층 절취선이 사용될 때, 당김부(12)는 비교적 작은 힘을 가함으로써 패키징부(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절취선(14)이 연결되어 있을 때, 패키징부(11)와 당김부(12)는 일체형 구조로 되어 있다. 절취선(14)이 끊길 때, 패키징부(11)는 당김부(12)와 분리되고, 패키징부(11)는 배터리 격실 내에 남고; 당김부(12)는 배터리(20)에 연결되어, 배터리(20)를 패키징부(11)로부터 꺼낸다.
당김부(12)와 패키징부(11)가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패키징 필름(10)은 두 개의 상이한 구조 방식을 사용한다. 한 방식은 도 4에 도시되어있다. 이 방식에서, 두 개의 절취선(14)은 당김부(12)의 두 측면을 패키징부(11)와 분리하고, 관통 구멍(15)이 패키징 필름(10)에 제공되며; 각각의 절취선(14)은 관통 구멍(15)으로 연장된다. 이 방식으로, 당김부(12)는 두 개의 절취선(14) 및 관통 구멍(15)에 의해 패키징부(11)와 구별된다. 구체적인 배치 시에, 두 개의 절취선(14)은 평행하게 또는 대략 평행하게 배열되며, 절취선(14)의 단부는 패키징 필름(10)의 동일한 쪽으로 연장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선(14)의 일단은 관통 구멍(15)에 위치하고, 타단은 패키징 필름(10)의 에지에 위치한다. 분할을 통해 획득되는 패키징부(11)는 오목한 구조를 형성하고, 당김부(12)는 패키징부(11)의 오목한 부분 내의 직사각형 구조로 삽입된다. 사용시, 두 개의 절취선(14)을 끊기 위해 당김부(12)를 당기고, 절취선(14)이 관통 구멍의 위치에서 끊어질 때, 당김부(12)는 패키징부(11)로부터 분리된다.
다른 방식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하나의 절취선(14)이 있고, 하나의 절취선(14)은 U자형이다. U자형 절취선(14)의 양단은, 패키징 필름(10)의 일부를 분할하여 당김부(12)를 얻도록, 패키징 필름(10)의 동일한 측면으로 연장된다. 당김부(12)를 당길 때, 절취선(도 14)은 점진적으로 끊기고, 절취선(14)이 완전히 끊겼을 때, 당김부(12)는 패키징부(11)로부터 연결이 끊어진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U자형 절취선(14)이 제공되지만, 절취선(14)이 끊어질 때 절취선(14)이 당김부(12)를 패키징부(11)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면, 다른 형태의 절취선(14)도 또한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절취선(14)이 접힘선(fold line)이면, 절취선(14)은 당김부(12)를 형성하기 위한 두 개의 평행한 절취선(14) 및 V자형 절취선(14)을 포함하고,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당김부(12)는 상이한 방식으로 분할을 통해 획득될 수 있고, 당김부(12)의 경계를 정하는 동안, 당김부(12)는 패키징 필름(10)의 일측 상의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패키징 필름(10)을 배치하기 위한, 도 3에 도시된 방향을 참조 방향으로 사용하여, 당김부(12)는 패키징 필름(10)의 상부 또는 하부 근처에 있을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당김부(12)는 패키징 필름(10)의 일측상의 중간 위치에 배치된다. 이 경우, 당김부(12)의 양측에 대한 접착력은 비교적 균일하여, 배터리(20)를 패키징 필름(10)으로부터 꺼내는 것을 돕는다.
전술한 패키징부(11) 및 당김부(12)에서, 패키징부(11)는 배터리(20) 및 배터리 격실에 연결되어야 하고, 당김부(12)는 배터리(20)에만 연결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패키징부(11), 당김부(12), 배터리(20) 및 배터리 격실 사이의 연결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패키징부(11)에 대해 설명하면,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징면에서의 아교가 없는 영역은 제1 접착제를 세 개의 평행 영역으로 분할하다. 구체적으로, 패키징부(11)의 패키징면에서, 제1 표면 패키징 영역(111) 및 두 개의 제2 표면 패키징 영역(113) 모두에 제1 접착제가 제공되고, 측면 패키징 영역(112)은 아교가 없는 영역이다. 따라서, 패키징부(11)에서의 패키징면이 배터리(20)를 패키징할 때, 패키징부(11)는 배터리(20)의 제1 표면 및 제2 표면(21)에 접착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은 제1 표면 패키징 영역(111)이 배터리(20)에 접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 경우, 제2 표면 패키징 영역(113)은 각각 배터리(20)의 양 측면에 위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면 패키징 영역(113)이 배터리(20)를 패키징할 때, 제2 표면 패키징 영역(113)은 제2 표면(21)의 양 측면의 에지의 일부 영역만을 패키징한다. 측면 패키징 영역(112)은 아교가 없는 영역이어서, 패키징면이 배터리(20)를 패키징할 때, 배터리(20)의 측면에 접착되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20)를 패키징 필름(10)으로부터 더 쉽게 꺼낼 수 있다. 패키징부(11)에 위치한 접착면에 대해 설명하면, 제1 표면 접착 영역(114)에만 제2 접착제가 제공되고, 나머지 영역은 아교가 없는 영역이다. 패키징 필름(10)에 패키징된 배터리(20)가 배터리 격실에 고정될 때, 패키징 필름(10)의 접착면에 제공된 제2 접착제는 배터리 격실의 바닥에 접착된다. 구체적인 배치 시에, 복수의 접착 영역(115)은 패키징 필름(10)의 접착면에 배치되고, 각각의 접착 영역(115)에는 제2 접착제가 제공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행 배열된 접착 영역(115)이 형성되고, 접착 영역(115)이 절취선(14)을 가로지르는 경우, 접착 영역(115)이 중단되어, 접착제가 당김부(12)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접착제는 코팅을 통해 접착 영역(115)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접착제는 또한 다른 공지된 방식으로(예: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접착 영역(115)이 배터리 격실에 대해 접착력을 갖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면, 기타 방법이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당김부(12)에 대해 설명하면, 당김부(12)는 배터리(20)에만 연결되며, 당김부(12)의 제1 표면 접착부(114)는 아교가 없는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영역(115)은 절취선(14)으로 연장될 때, 접착제가 당김부(12)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단된다. 또한, 당김부(12)를 배터리(20)에 연결하기 위해, 제3 접착제가 당김부(12)의 상부 부분에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부(12)의 패키징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제3 접착제가 제공된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당김부(12)에 대해 설명하면, 패키징 필름(10)이 배터리(20)를 패키징할 때, 당김부(12)는 배터리(20)의 제1 표면, 일 측면 및 제2 표면(21)과 접촉하도록 배터리(20)의 측벽에 걸쳐 있다.
당김부(12)의, 배터리(20)의 측벽의 일측의 영역은 아교가 없는 영역(도 4에 도시된 당김부(12)의 음영 영역)이며, 다른 측은 아교가 있는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당김부(12)에서의 제1 표면 패키징 영역(111)에는 제1 접착제 및 제3 접착제가 제공되고, 당김부(12)에 있는 측면 패키징 영역(112) 및 제2 표면 패키징 영역(113)은 아교가 없는 영역이다. 이러한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 당김부(12)의 에지는 배터리(20)에 접착되지 않으므로, 당김부(12)를 쉽게 끌어올릴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조가 사용되는 경우, 당김부(12)와 배터리(20)의 제1 표면은 배터리(20)를 꺼내기 위해 가해지는 당기는 힘을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접착 면적을 갖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제3 접착제는 제1 접착제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3 접착제는 제1 접착제와 다를 수 있다. 제3 접착제가 제1 접착제와 다른 경우, 제3 접착제의 접착력은 제1 접착제의 접착력보다 크다. 따라서, 당김부(12)와 배터리(20) 사이의 접착력은 패키징부(11)와 배터리(20) 사이의 접착력보다 크므로, 당김부(12)가 배터리(20)를 패키징 필름(10)으로부터 부드럽게 꺼낼 수 있도록 또한 보장한다.
패키징부(11)로부터 당김부(12)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패키징 필름(10)은 당김부(12)가 위치한 측에서 구조적으로 개선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징 필름(10)의 일측은 패키징 필름(10)의 측면 에지를 넘어 연장되는 돌기부(13)를 가지며, 절취선(14)은 돌기부(13)까지 연장된다. 돌기부(13)의 일부는 패키징부(11)에 속하고, 다른 부분은 당김부(12)에 속한다. 또한, 돌기부(13)에서, 돌기부(13)의 에지에는 각각의 절취선(14)에 연결된 노치(131)가 제공된다. 당김부(12)를 당겨야 할 때, 노치(131)의 위치 강도는 비교적 낮아서, 당김부(12)는 패키징부(11)로부터 편리하게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당김부(12)는 돌기부(13)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볼록형 구조(convex-shaped structure)를 형성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부(12)의 일부로서 돌기부(13)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당김부(12)의 힘을 받는 부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당김부(12)가 패키징부(11)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경우, 당김부(12)의 영역으로서 돌기부(13)로 연장되는 영역을 유지함으로써 당김부(12)는 당겨서, 당김부(12)를 패키징부(11)로부터 분리하고 배터리(20)를 꺼낸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돌기부(13)로 연장되는 구조가 당김부(12)에 배치되어, 당김부(12)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당김부(1)의 당김을 용이하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당김부(12)의 영역으로서 돌기부(13)까지 연장되는 영역은 아교가 없는 영역이다.
패키징 필름(10)이 배터리(20)를 패키징하지 않는 경우, 제1 접착제 및 제2 접착제를 불순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보호 필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패키징 필름(10)의 접착면에 부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유사하게, 보호 필름이 패키징 필름(10)의 패키징면에 부착되어 제1 접착제를 보호한다.
또한, 배터리(20)를 꺼낼 때 패키징 필름(10)이 배터리 격실에 남아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제1 접착제 및 제2 접착제의 선택 시에, 제1 접착제의 접착력은 제2 접착제의 접착력보다 작고, 제1 접착제 및 제2 접착제는 종래 기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교, 예를 들어 핫멜트형 접착제(hot-melt adhesive)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패키징 필름(10)은 일체형 구조의 형태로 제조되고, 제조된 패키징 필름(10)은 배터리(20)를 패키징 및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에서의 배터리(20)를 패키징하고 제거하는 구조에 비해, 이러한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배터리(20) 모듈을 더 제공하며, 여기서 배터리(20) 모듈은 배터리(20) 및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배터리(20)를 패키징하기 위한 패키징 필름(10)을 포함한다.
전술한 구현 방안에서, 배터리(20)를 패키징할 때, 패키징 필름(10)상의 보호 필름을 제거해야 하고, 그런 다음 패키징 필름(10)을 제1 접착제에 의해 배터리(20)에 접착하여 배터리(20)를 패키징한다. 패키징 필름(10)은 일체형 구조이고, 절취선(14)에 의해 두 개의 상이한 영역으로 분할된다. 배터리(20)를 제거해야 할 때, 당김부(12)를 패키징부(11)로부터 분리하고 배터리(20)를 배터리 격실로부터 꺼기 위해, 절취선(14)에 의한 경계를 통해 획득되는 당김부(12)만을 당겨야 한다. 이는 배터리(20)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패키징 필름(10)의 생산 및 가공을 용이하게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를 더 제공한다. 이동 단말기는 일반적인 이동 전화, 태블릿 컴퓨터, 랩톱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배치된 배터리 격실 및 배터리 격실에 고정된 배터리(20)를 포함한다. 배터리(20)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패키징 필름(10)으로 패키징된다.
전술한 구현 방안에서, 배터리(20)를 패키징할 때, 패키징 필름(10)상의 보호 필름을 제거해야 하고, 그런 다음, 패키징 필름(10)을 제1 접착제에 의해 배터리(20)에 접착하여 배터리(20)를 패키징한다. 배터리(20) 모듈을 배터리 격실에 설치할 때, 패키징 필름(10)상의 제2 접착제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을 제거해야 하며, 그런 다음, 배터리(20) 모듈을 배터리 격실에 놓고 제2 접착제에 의해 배터리 격실의 바닥에 접착한다. 전술한 구현 방안에서, 패키징 필름(10)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고, 패키징 필름(10)은 절취선(14)에 의해 두 개의 상이한 영역으로 분할된다. 배터리(20)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 절취선(14)에 의한 경계를 통해 획득되는 당김부(12)만을 당겨서, 당김부(12)를 패키징부(11)로부터 분리하고 배터리(20)를 배터리 격실로부터 꺼낸다. 이는 배터리(20)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패키징 필름(10)의 생산 및 가공을 용이하게 한다.
전술한 설명은 본 출원의 구체적인 구현예일 뿐이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쉽게 파악되는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에 따라야 한다.

Claims (14)

  1. 패키징부(packaging portion) 및 당김부(pulling portion)를 포함하는 패키징 필름(packaging film)으로서,
    상기 당김부와 상기 패키징부는 절취선(tear line)에 의해 경계가 표시되고; 상기 당김부를 당길 때, 상기 절취선이 끊겨, 상기 당김부가 상기 패키징부와 분리되며;
    상기 패키징 필름은 배터리를 향하는 패키징면 및 배터리 격실(battery compartment)을 향하는 접착면을 가지고,
    상기 패키징부의 상기 패키징면에서, 상기 배터리의 측벽을 패키징하는 영역은 아교가 없는 영역(glue-free area)이고, 상기 아교가 없는 영역 이외의 제2 영역에는 제1 접착제(adhesive)가 제공되며;
    상기 패키징부의 상기 접착면에는 제2 접착제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접착제의 접착력은 상기 제2 접착제의 접착력보다 작으며;
    상기 당김부에서의 상기 패키징면의 일부에는 제3 접착제가 제공되고, 상기 당김부에서의 상기 접착면은 아교가 없는 영역인,
    패키징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절취선이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절취선은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패키징 필름에는 관통 구멍이 제공되고, 각각의 절취선은 상기 관통 구멍으로 연장되는, 패키징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절취선이 있으며, 상기 절취선은 U자형이고, 상기 절취선의 양단은 상기 패키징 필름의 동일한 측면으로 연장되는, 패키징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필름의 일측은 상기 패키징 필름의 측면 에지를 넘어 연장되는 돌기부(protrusion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절취선은 상기 돌기부로 연장되는, 패키징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에지 위치에는 각각의 절취선에 연결된 노치(notch)가 제공되는, 패키징 필름.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부의 부분으로서 상기 돌기부로 연장되는 부분은 아교가 없는 영역인, 패키징 필름.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부는 부분적으로 상기 돌기부의 외부에 있는, 패키징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면에서의 상기 아교가 없는 영역은 상기 제1 접착제를 세 개의 평행 영역으로 분할하는, 패키징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이중층 절취선인, 패키징 필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필름의 접착면에는 보호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패키징 필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착제는 상기 제1 접착제와 동일한, 패키징 필름.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착제는 상기 제1 접착제와 다르고, 상기 제3 접착제의 접착력은 상기 제1 접착제의 접착력보다 큰, 패키징 필름.
  13. 배터리, 및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를 패키징하기 위한 패키징 필름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14.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배터리 격실 및 상기 배터리 격실에 고정된 배터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로서,
    상기 배터리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패키징 필름으로 패키징되는,
    이동 단말기.
KR1020207011953A 2017-10-27 2017-10-27 패키징 필름, 배터리 모듈 및 이동 단말기 KR102356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108122 WO2019080121A1 (zh) 2017-10-27 2017-10-27 一种包覆膜、电池模块及移动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449A true KR20200056449A (ko) 2020-05-22
KR102356350B1 KR102356350B1 (ko) 2022-02-08

Family

ID=66247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953A KR102356350B1 (ko) 2017-10-27 2017-10-27 패키징 필름, 배터리 모듈 및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69540B2 (ko)
EP (1) EP3678217A4 (ko)
JP (1) JP7036405B2 (ko)
KR (1) KR102356350B1 (ko)
CN (1) CN109952667B (ko)
AU (1) AU2017437315B2 (ko)
WO (1) WO20190801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100A1 (ko) * 2021-02-01 2022-08-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6746B (zh) * 2019-09-17 2021-02-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散热装置及终端设备
CN110504400B (zh) * 2019-09-26 2023-04-07 闻泰通讯股份有限公司 电池固定结构
CN111935341B (zh) * 2020-07-15 2021-12-24 华勤技术股份有限公司 易拉胶安装结构及电子设备
CN112300723B (zh) * 2020-10-31 2022-06-17 东莞新能德科技有限公司 电池包装膜、应用所述电池包装膜的电池组件及电子装置
CN114616816B (zh) * 2021-07-16 2023-04-11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13818589B (zh) * 2021-09-27 2022-09-16 宁波联兴市政园林工程有限公司 一种保温墙体结构及其施工方法
CN114335663B (zh) * 2021-12-17 2024-03-15 上海瑞浦青创新能源有限公司 梯次利用电芯、电池模组及其梯次利用电芯的拆卸方法
CN114883735A (zh) * 2022-06-17 2022-08-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池组件和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1694B2 (ja) * 2014-05-30 2017-10-11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0178U (ja) 2006-01-11 2006-03-23 大阪シーリング印刷株式会社 シュリンク包装体
JP2012006613A (ja) 2010-06-23 2012-01-12 Toppan Printing Co Ltd 蓋材
JP6288819B2 (ja) 2013-11-11 2018-03-07 藤森工業株式会社 易開封性ピロー包装袋
JP6300626B2 (ja) * 2014-04-30 2018-03-28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機器
JP2017134887A (ja) 2014-06-05 2017-08-03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電池パック、及び粘着シート
WO2015186285A1 (ja) * 2014-06-05 2015-12-10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電池パック、及び粘着シート
CN105219286B (zh) * 2015-07-29 2018-05-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双面胶体及移动终端
CN205384821U (zh) * 2015-12-31 2016-07-13 广州梁氏通讯电器有限公司 一种容易拆除的保护标签
CN206388762U (zh) 2017-01-22 2017-08-08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池固定结构及电子设备
CN206451750U (zh) * 2017-02-27 2017-08-29 东莞市富美印刷有限公司 一种特种油墨印刷的双层电池拆卸保护膜
CN107068938A (zh) * 2017-06-06 2017-08-18 深圳市泰衡诺科技有限公司 内置电池封装结构及用户终端
CN207116488U (zh) * 2017-07-13 2018-03-1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电池保护膜及电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1694B2 (ja) * 2014-05-30 2017-10-11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100A1 (ko) * 2021-02-01 2022-08-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78217A4 (en) 2020-10-14
WO2019080121A1 (zh) 2019-05-02
CN109952667A (zh) 2019-06-28
CN109952667B (zh) 2021-06-22
EP3678217A1 (en) 2020-07-08
AU2017437315A1 (en) 2020-04-23
JP2021500698A (ja) 2021-01-07
KR102356350B1 (ko) 2022-02-08
US20200266399A1 (en) 2020-08-20
US11569540B2 (en) 2023-01-31
AU2017437315B2 (en) 2021-11-18
JP7036405B2 (ja)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6350B1 (ko) 패키징 필름, 배터리 모듈 및 이동 단말기
CN100452516C (zh) 可再充电电池组和从壳体上分离芯组的方法
US20140262907A1 (en) Multi-layered packaging box with easy tearing structure
JP2012030892A5 (ko)
JP4633394B2 (ja) 剥離用プルタブ付両面接着テープの貼り付け方法
US7795545B2 (en) Hot melt water-resistant structure
CN204117503U (zh) 显示装置
CN108192525A (zh) 粘结组件及其离型膜
JP5259269B2 (ja) 段ボール箱
JP4732414B2 (ja) ラップラウンド箱
CN203722999U (zh) 用于贴合于基板的贴膜
US9977282B2 (en) Liquid crystal screen and liquid crystal display
TWI716062B (zh) 保護膜及包裝結構
CN220430779U (zh) 一种能够多次使用的纸箱
TWI477852B (zh) 顯示裝置
CN210028293U (zh) 包装盒
CN203946412U (zh) 一种减速离合器专用包装盒
CN216473036U (zh) 一种胶带及显示屏
KR102553602B1 (ko) 친환경 포장박스
TWM518209U (zh) 保護膜結構及以保護膜結構包覆的基材
TWI451582B (zh) 膠帶結構及其太陽能模組
JP5766549B2 (ja) 組込式加熱調理器に用いられる保護部材の取り付け構造
KR200213241Y1 (ko) 접착 테이프
JPS5828396Y2 (ja) 電気機器盤の収納容器
KR200365360Y1 (ko) 보호커버를 갖는 단자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