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5381A - 섬유 지지체로 보강된 메타 아라미드 중공사막 - Google Patents

섬유 지지체로 보강된 메타 아라미드 중공사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5381A
KR20200055381A KR1020180138986A KR20180138986A KR20200055381A KR 20200055381 A KR20200055381 A KR 20200055381A KR 1020180138986 A KR1020180138986 A KR 1020180138986A KR 20180138986 A KR20180138986 A KR 20180138986A KR 20200055381 A KR20200055381 A KR 20200055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fiber membrane
reinforced hollow
layer
me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0279B1 (ko
Inventor
윤형준
나동일
김성기
김진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워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워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워터
Priority to KR1020180138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279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01D69/081Hollow fibre membranes characterised by the fibre 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01D69/082Hollow fibre membran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b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3Laminat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6Three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6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6Knitted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46Impreg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5Finger p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83Pore size
    • B01D2325/02833Pore size more than 10 and up to 100 n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4Characteristic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0Specific permeability or cut-off r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40Fibre reinforced membr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형 편물 형태의 섬유 지지체; 및 상기 섬유 지지체의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섬유 지지체에 부분 함침된 구조인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을 포함하는 보강 중공사막에 관한 것으로, 수지층의 높은 친수성은 초기 젖음성과 막오염 저감에 효과적이고, 보강재와 수지층 간의 높은 밀착성으로 박리강도가 우수하여 역세 및 여과공정 중 발생되는 박리현상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어 안정적인 여과성능과 운전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섬유 지지체로 보강된 메타 아라미드 중공사막{Reinforced meta-Aramid Hollow Fiber Membranes with Fibrous Support}
본 발명은 보강재를 포함하는 메타 아라미드 중공사막에 관한 것이다.
분리막은 서로 다른 두 물질 사이에 존재하는 선택능력을 가진 장애물로서 어떤 물질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거나 배제하는 역할을 하는 소재를 말한다. 분리막 소재로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으나, 실제적으로는 요구되는 물리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상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제조공정, 막 오염 경향, 화학적 내구성과 열적 안정성 등의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물성을 고려하여 막 소재 선택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에서도, 중공사막은 내부가 빈 관형의 분리막을 말한다.
기존에 고분자 분리막으로 주로 사용되는 폴리설폰(PS), 폴리에테르설폰(PES) 또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소재는 유연하여 사용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보강 중공사막의 경우 역세 과정에서 고압이 가해지면 섬유지지체와 수지층 간의 박리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분리막 소재는 섬유 지지체와 밀착 강도가 미흡하여 장기간 운전 시 에어스크러빙에 의한 막 간 마찰 및 물리 화학적 세정으로 막의 수명이 점차 짧아지거나 여과성능 저하로 안정적인 운전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고분자 소재의 적용이 필요하고, 친수성 및 섬유 지지체와 밀착성이 향상된 보강 중공사막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5046호
본 발명은 친수성 및 섬유 지지체와 수지층 간의 밀착성이 우수한 보강 중공사막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관형 편물 형태의 섬유 지지체; 및 상기 섬유 지지체의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섬유 지지체에 부분 함침된 구조인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을 포함하는 보강 중공사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 중공사막은, 중공사막 내부의 보강재와 수지층 간의 박리를 효과적으로 예방함으로써, 높은 수투과도를 유지하면서도, 안정적인 여과성능과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 확보가 가능하다.
도 1 및 2는 핑거 구조의 기공이 형성된 보강 중공사막의 단면 및 그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및 4는 스펀지 구조의 기공이 형성된 보강 중공사막의 단면 및 그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보강 중공사막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보강 중공사막에 대한 박리강도 측정 후 섬유 지지체 표면 상태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7는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보강 중공사막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보강 중공사막에 대한 박리강도 측정 후 섬유 지지체 표면 상태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수처리용 중공사막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섬유 지지체로 형성된 보강재를 포함하는 보강 중공사막을 제공한다. 하나의 예에서, 본원의 보강 중공사막은, 관형 편물 형태의 섬유 지지체; 및 상기 섬유 지지체의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섬유 지지체에 부분 함침된 구조인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 중공사막은 섬유 지지체와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을 함께 적용함으로써, 접착제 경계면이나 불규칙한 유체 흐름으로 중공사막이 파단되는 것을 방지하고, 에어스크러빙에 의한 막 간 마찰, 역세압력 및 물리 화학적 충격에 의한 수지층의 박리를 방지하여 여과성능을 유지하고, 섬유 지지체와 수지층 간의 높은 밀착성을 통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강 중공사막은, 예를 들어, 25℃ 온도 및 50%의 상대 습도 조건하에서 측정시, 상기 섬유 지지체와 상기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의 박리 강도는 2 kgf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박리 강도는 2 kgf 내지 10 kgf, 4 내지 10 kgf 또는 5 내지 7 kgf 범위이다. 본 발명의 보강 중공사막은 섬유 지지체와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 사이의 밀착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강 중공사막 제조시, 메타 아라미드 수지의 점도 및 온도를 일정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섬유 지지체와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과 밀착성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타 아라미드 수지는 친수화도가 우수하고, 경화시 높은 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메타 아라미드 수지를 적용한 보강 중공사막은 높은 기계적 강도 및 우수한 수투과도를 갖는다.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의 보강 중공사막은, 25℃ 온도 및 1 bar의 가압조건에서, 순수를 이용하여 측정한 수투과도가 250 LMH 이상이다. 상기 보강 중공사의 수투과도(유량)는 250 내지 2,000 LMH(Liters per square Meter per Hour), 800 내지 2,000 LMH, 1,000 내지 1,200 LMH, 250 내지 600 LMH 또는 300 내지 350 LMH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 중공사막은, 사용되는 메타 아라미드 수지의 분자량과 함량의 조절, 수지의 경화물 내에 잔존하는 친수성 첨가제의 양 제어 및 일정 범위의 온도와 에어갭 등을 통해 보강 중공사막의 구조 및 밀착강도와 수투과도를 동시에 높일 수 있다.
상기 섬유 지지체는 복수의 섬유 가닥으로 형성된 관형 편물 형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합성 섬유의 편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 지지체로 적용가능한 섬유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케톤,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라미드, 폴리올레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등의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섬유 지지체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섬유 지지체는 멀티필라멘트가 엇갈린 편물 형태이고, 상기 편물의 직조방향은 보강 중공사막의 길이 방향 축과 이루는 각도가 평균 25도 내지 65도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편물의 직조방향이 보강 중공사막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보강 중공사막의 내구성을 높이고 수지층의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예에서, 상기 보강 중공사막은,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보강 중공사막의 외경은 평균 1,400 내지 3,000 ㎛ 범위이다. 동시에 상기 보강 중공사막의 외경과 내경의 차이는 평균 600 내지 1,050 ㎛ 범위이다. 보강 중공사막은 외경 및 두께를 상기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중공사막에 대한 우수한 강도 및 높은 수투과도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중공사막은,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섬유 지지체, 및 상기 섬유 지지체에 부분 함침된 영역을 제외한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의 두께 비율은, 1.5:1 내지 2.5:1 범위에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 중공사막에서,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섬유 지지체의 두께는 평균 150 내지 750 ㎛ 범위이고, 상기 섬유 지지체에 부분 함침된 영역을 제외한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의 두께는 평균 100 내지 300 ㎛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섬유 지지체의 두께는 평균 250 내지 400 ㎛ 범위이고, 상기 섬유 지지체에 부분 함침된 영역을 제외한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의 두께는 평균 130 내지 200 ㎛ 범위이다.
또한, 상기 섬유 지지층이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의 섬유에 함침된 범위는, 섬유 지지층의 두께를 기준으로, 평균 30 내지 90% 범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의 섬유는, 섬유 지지층의 40 내지 80%, 35 내지 85%, 또는 50 내지 70% 범위만큼 함침된 구조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을 형성하는 메타 아리미드 수지는 하기 화학식 1의 반복구조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의 반복 단위는 50 내지 200, 80 내지 120, 혹은 90 내지 100의 정수로 반복되어 고분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메타 아라미드는 하기 반응식 1의 과정을 거쳐 합성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타 아라미드 수지는 친수화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메타 아라미드 수지의 물방울 접촉각은 57.3도 수준이다. 이에 대해, PVDF 수지의 물방울 접촉각은 83.3도이고, PES 수지의 물방울 접촉각은 71.2도 이다. 메타 아라미드 수지를 보강 중공사막에 적용함으로써, 높은 친수화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친수화 특성은 수지와 섬유 지지체 간의 밀착성을 높이고, 막오염 저감 및 수투과도를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은, 보강 중공사막의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메타 아라미드 수지가 관형 편물 형태의 섬유 지지체에 함침된 함침층; 상기 함침층의 외곽에 형성되고, 평균 사이즈가 0.5 ㎛ 이상인 기공이 형성된 내부 구조층; 및 상기 구조층의 외곽에 형성되고, 평균 기공 사이즈가 0.1 ㎛ 이하인 기공이 형성된 스킨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강 중공사막은,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내부 구조층과 스킨층의 두께 비율은 3:1 내지 9:1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 구조층의 두께는 130 내지 180 ㎛ 범위이고, 상기 스킨층의 두께 20 내지 35 ㎛ 범위이다.
상기 스킨층의 기공 크기 및 두께는 보강 중공사막의 수투과도와 정수 능력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이다. 스킨층의 기공이 상기 범위보다 크게 되면, 충분한 정수 능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또한, 스킨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보다 두꺼워지면 정수 능력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면서, 수투과도가 저하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 중공사막은, 상기 내부 구조층의 기공 형상을 기준으로 핑거 구조와 스펀지 구조를 포함한다.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핑거 구조는 기공이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구조를 의미하며, 스펀지 구조는 기공이 원형 혹은 원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를 의미한다. 위 두가지 기공 형태는, 도프액의 조성, 방사 및 응고시 온도 등이 주요 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강 중공사막은 핑거 구조의 기공이 형성된 경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보강 중공사막의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상기 내부 구조층은 핑거 구조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이고, 상기 스킨층은 평균 사이즈가 0.01 내지 0.1 ㎛ 범위인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이다. 또한, 보강 중공사막의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상기 내부 구조층에 형성된 핑거 구조의 기공은, 보강 중공사막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배향된 구조이고, 장축 방향의 길이가 평균 70 내지 280 ㎛ 범위일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강 중공사막은 스펀지 구조의 기공이 형성된 경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보강 중공사막의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상기 내부 구조층은 평균 사이즈가 0.5 내지 2 ㎛ 범위인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이고, 상기 스킨층은 평균 사이즈가 0.01 내지 0.1 ㎛ 범위인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 중공사막은 친수성 첨가제의 첨가를 통해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의 친수화도를 보다 높인 경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은 친수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타 아라미드 수지의 분자량과 함량을 조절하고, 상기 수지의 경화물 내에 잔존하는 친수성 첨가제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중공사의 강도와 수투과도를 동시에 높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첨가제는, 예를 들어, 5 내지 35 중량%, 10 내지 30 중량%, 또는 12 내지 14 중량% 범위에서 첨가 가능하다.
상기 도프액에 포함되는 첨가제는 다양한 형태의 친수성 첨가제 또는 무기 첨가제의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친수성 첨가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비닐피롤리돈(PVP), 글리세린, 알코올류 및 물 또는 무기 첨가제로는 염화칼슘, 염화아연, 염화리듐, 염화마그네슘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첨가제는 기공의 분포도를 균일하게 하고, 섬유 지지체와의 밀착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친수성 첨가제는 중공사막의 친수성을 높이고, 수투과도를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핑거 구조의 보강 중공사막의 제조
관형 직물 구조의 섬유 지지체의 외면에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을 형성하는 도프액으로 코팅하면서, 보강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제조조건은 하기 표 1과 같고, 도프액의 방사시 점도는 23,000 cps로 제어하였다.
구분 수치
도프액 조성
(중량부)
mA 60
DMAc 28
PEG200 6
PVP K30 6
방사온도(℃) 도프 42
응고조 70
세정조 70
권취조 50
방사속도(m/min) 20
에어갭(air gap, mm) 250
제조된 보강 중공사막의 단면 구조는 도 1 및 2에 도시하였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보강 중공사막의 단면도이고, 도 2는 그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보강 중공사막의 외경은 1,968 ㎛이고 보강 중공사막의 내경은 1,089 ㎛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섬유 지지체의 두께는 280 ㎛, 내부 구조층의 두께는 132 ㎛, 그리고, 스킨층의 두께는 28 ㎛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보강 중공사막의 내부 구조층은 핑거 구조의 기공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스펀지 구조의 보강 중공사막의 제조
관형 직물 구조의 섬유 지지체의 외면에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을 형성하는 도프액으로 코팅하면서, 보강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제조조건은 하기 표 2와 같고, 도프액의 방사시 점도는 6,000 cps로 제어하였다.
구분 수치
도프 원액 조성
(중량부)
mA 53.25
DMAc 32.75
PEG200 7
PVP K30 7
방사온도(℃) 도프 53
응고조 26
세정조 50
권취조 50
방사속도(m/min) 10
에어갭(air gap, mm) 300
제조된 보강 중공사막의 단면 구조는 도 3 및 4에 도시하였다. 도 3은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보강 중공사막의 단면도이고, 도 4는 그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보강 중공사막의 외경은 1,993 ㎛이고 보강 중공사막의 내경은 1,089 ㎛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섬유 지지체의 두께는 280 ㎛, 내부 구조층과 스킨층의 합산 두께는 172 ㎛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중공사막의 내부 구조층은 스펀지 구조의 기공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PVDF 수지를 이용한 보강 중공사막의 제조
메타 아라미드 수지 대신 PVDF 수지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강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물성 평가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보강 중공사막 시료에 대하여 아래 항목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3에 도시하였다.
- 순수투과도: 우레탄 튜브에 보강 중공사막 2가닥을 속경화 에폭시로 유효 막길이 150 내지 200mm가 되도록 미니모듈을 제작하였으며, 순수를 이용하여 25℃ 온도 및 1 bar의 가압조건하에서 30분간 여과 후 1분간 투과된 양을 측정하여 투과도를 평가하였다.
- 박리강도: 우레탄 튜브에 보강 중공사막 1가닥을 속경화 에폭시로 접착높이를 10mm가 되도록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인장강도 측정기(HTE-1000N, HOUNSFIELD)를 이용하여 25℃ 온도 및 50%의 상대 습도 및 20mm/분 속도 조건하에서 수지층이 박리되는 순간의 하중을 측정하여 박리강도를 평가하였다.
- 단면구조: 주사전자현미경(TM-1000, HITACHI )을 이용하여 보강 중공사막의 단면, 단면확대 및 내/외표면을 관찰하였다.
- 기공측정: 스테인레스 키트에 보강 중공사막 1 가닥을 속경화 에폭시로 유효 막길이 100mm가 되도록 미니모듈을 제작하였으며, 기공측정기CFP-1200-AM, PMI(Porous Materials, Inc))를 이용하여 25℃ 온도 및 50%의 상대 습도 및 측정압력 최대 180PSI 조건하에서 압력을 가하여 기공에 함침된 액체가 밀려나온 시점들을 측정하여 기공분포 및 크기를 평가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순수투과도 1,000~1,200LMH 300~350LMH 700~900 LMH
박리강도 5~7kgf 5~7kgf 0.4~1.3 kgf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2는 모두 박리강도가 5 내지 7 kgf 범위이고 비교예 1은 0.4 내지 1.3kgf 범위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과 2의 중공사막은 내부 구조층의 기공 구조에 따라 수투과도에서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이는 기공의 구조적 차이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2: 비교 관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보강 중공사막을 비교 관찰하였다. 비교 관찰한 결과는 도 5, 6 및 도 7, 8에 도시하였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보강 중공사막의 단면을 부분 확대한 것이고,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보강 중공사막의 박리강도 측정 후 섬유의 표면을 부분 확대한 것이다.
도 7은 비교예 1에 따른 보강 중공사막의 단면을 부분 확대한 것이고, 도 8은 비교예 1에 따른 보강 중공사막의 박리강도 측정 후 섬유의 표면을 부분 확대한 것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섬유와 수지 사이가 밀착되어 있고, 박리강도 측정 후 섬유에 수지층이 남아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섬유와 수지 사이가 벌어져 있고, 박리강도 측정 후 섬유에 수지층이 남아있지 않으며, 이로 인해 층간 분리가 쉽게 일어나게 된다.

Claims (13)

  1. 관형 편물 형태의 섬유 지지체; 및 상기 섬유 지지체의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섬유 지지체에 부분 함침된 구조인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을 포함하고,
    25℃ 온도 및 50%의 상대 습도 조건하에서 측정시, 상기 섬유 지지체와 상기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의 박리 강도는 2 kgf 이상인 보강 중공사막.
  2. 제 1 항에 있어서,
    25℃ 온도 및 1 bar의 가압조건에서, 순수를 이용하여 측정한 수투과도가 250 LMH 이상인 보강 중공사막.
  3. 제 1 항에 있어서,
    섬유 지지체는 멀티필라멘트가 엇갈린 편물 형태이고,
    상기 편물은 보강 중공사막의 길이 방향 축과 이루는 각도가 평균 25도 내지 65도 범위인 보강 중공사막.
  4. 제 1 항에 있어서,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보강 중공사막의 외경은 평균 1,400 내지 3,000 ㎛ 범위이고,
    보강 중공사막의 외경과 내경의 차이는 평균 600 내지 1,050 ㎛ 범위인 보강 중공사막.
  5. 제 1 항에 있어서,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섬유 지지체, 및 상기 섬유 지지체에 부분 함침된 영역을 제외한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의 섬유 지지체의 두께 비율은, 1.5:1 내지 2.5:1 범위인 보강 중공사막.
  6. 제 5 항에 있어서,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섬유 지지체의 두께는 평균 150 내지 750 ㎛ 범위이고,
    상기 섬유 지지체에 부분 함침된 영역을 제외한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의 두께는 평균 100 내지 300 ㎛ 범위인 보강 중공사막.
  7. 제 1 항에 있어서,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을 형성하는 메타 아리미드 수지는 하기 화학식 1의 반복구조를 포함하는 보강 중공사막.
    [화학식 1]
    Figure pat00003

  8. 제 1 항에 있어서,
    보강 중공사막의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상기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은,
    메타 아라미드 수지가 관형 편물 형태의 섬유 지지체에 함침된 함침층;
    상기 함침층의 외곽에 형성되고, 평균 사이즈가 0.5 ㎛ 이상인 기공이 형성된 내부 구조층; 및
    상기 구조층의 외곽에 형성되고, 평균 기공 사이즈가 0.1 ㎛ 이하인 기공이 형성된 스킨층을 포함하는 보강 중공사막.
  9. 제 1 항에 있어서,
    보강 중공사막의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내부 구조층과 스킨층의 두께 비율은 3:1 내지 9:1 범위인 보강 중공사막.
  10. 제 1 항에 있어서,
    보강 중공사막의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상기 내부 구조층은, 핑거 구조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이고,
    상기 스킨층은 평균 사이즈가 0.01 내지 0.1 ㎛ 범위인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인 보강 중공사막.
  11. 제 1 항에 있어서,
    보강 중공사막의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상기 내부 구조층에 형성된 핑거 구조의 기공은,
    보강 중공사막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배향된 구조이고, 장축 방향의 길이가 평균 70 내지 280 ㎛ 범위인 보강 중공사막.
  12. 제 1 항에 있어서,
    보강 중공사막의 단면 구조를 기준으로,
    상기 내부 구조층은, 스펀지 구조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이고,
    상기 내부 구조층은 평균 사이즈가 0.5 내지 2 ㎛ 범위인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이고,
    상기 스킨층은 평균 사이즈가 0.01 내지 0.1 ㎛ 범위인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인 보강 중공사막.
  13. 제 1 항에 있어서,
    메타 아라미드 수지층은 친수화제를 포함하는 보강 중공사막.
KR1020180138986A 2018-11-13 2018-11-13 섬유 지지체로 보강된 메타 아라미드 중공사막 KR102200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986A KR102200279B1 (ko) 2018-11-13 2018-11-13 섬유 지지체로 보강된 메타 아라미드 중공사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986A KR102200279B1 (ko) 2018-11-13 2018-11-13 섬유 지지체로 보강된 메타 아라미드 중공사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381A true KR20200055381A (ko) 2020-05-21
KR102200279B1 KR102200279B1 (ko) 2021-01-08

Family

ID=70910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986A KR102200279B1 (ko) 2018-11-13 2018-11-13 섬유 지지체로 보강된 메타 아라미드 중공사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2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3322A (ko) * 2009-04-13 2010-10-21 주식회사 코오롱 복합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03246A (ko) * 2012-06-29 2014-01-09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아라미드 중공사를 지지체로 구비한 정삼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415046B1 (ko) 2013-04-03 2014-07-04 주식회사 휴비스 내열성 및 수투과도가 향상된 메타 아라미드 중공사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27418A (ko) * 2014-08-29 2016-03-10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수처리용 섬유상 아라미드 여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3322A (ko) * 2009-04-13 2010-10-21 주식회사 코오롱 복합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03246A (ko) * 2012-06-29 2014-01-09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아라미드 중공사를 지지체로 구비한 정삼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415046B1 (ko) 2013-04-03 2014-07-04 주식회사 휴비스 내열성 및 수투과도가 향상된 메타 아라미드 중공사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27418A (ko) * 2014-08-29 2016-03-10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수처리용 섬유상 아라미드 여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279B1 (ko) 2021-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7311B2 (ja) 編物により補強された複合中空繊維膜
JP4757310B2 (ja) 編物により補強された複合中空繊維膜
KR101373402B1 (ko) 관형 편물 및 그를 이용한 복합 중공사막
EP2316561B1 (en) Reinforced asymmetric capillary membranes
KR20140143781A (ko) 상용성 브레이드화 지지체 필라멘트를 갖는 복합 중공 섬유 막
KR101589746B1 (ko) 복합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0722911B1 (ko) 복합 다공질 막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37655B1 (ko) 복합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2200279B1 (ko) 섬유 지지체로 보강된 메타 아라미드 중공사막
KR101206656B1 (ko) 관형 편직물을 이용하는 복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복합 중공사막
KR102113397B1 (ko) 삼투 역세정 공정에 적합한 역삼투막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50591B1 (ko) 관형 편직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중공사막
KR100977397B1 (ko) 환형편직물로 지지되는 대칭형 다공성 중공사막 및 그제조방법
KR101178653B1 (ko) 관형 편직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중공사 막
KR101324791B1 (ko) 내구성이 향상된 다공성 분리막 제조방법
KR20080078935A (ko) 편물로 보강된 중공사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26400B1 (ko) 관형 편직물 및 이를 이용하는 복합 중공사막
KR20180079143A (ko) 복합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175866B1 (ko) 관형 편직물 및 이를 이용하는 복합 중공사 막
KR101596037B1 (ko) 복합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77015A (ko) 내열성 및 수투과도가 향상된 중공사 및 그 제조 방법
KR101213851B1 (ko) 관형 편직물 및 이를 이용하는 복합 중공사막
KR20140087530A (ko) 복합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4719A (ko) 복합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8834A (ko) 관형 편직물 및 이를 이용하는 복합 중공사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