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4251A - 치료 단백질의 동결건조된 약학적 제형을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치료 단백질의 동결건조된 약학적 제형을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4251A
KR20200054251A KR1020207010535A KR20207010535A KR20200054251A KR 20200054251 A KR20200054251 A KR 20200054251A KR 1020207010535 A KR1020207010535 A KR 1020207010535A KR 20207010535 A KR20207010535 A KR 20207010535A KR 20200054251 A KR20200054251 A KR 20200054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formulation
therapeutic protein
concentration
final for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0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리아 탈리
Original Assignee
암젠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368614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0005425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암젠 인크 filed Critical 암젠 인크
Publication of KR20200054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2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196Thrombopoie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2Heterocyclic compounds, e.g. ascorbic acid, tocopherol or pyrrolid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40Cyclodextrin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2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C07K14/524Thrombopoietin, i.e. C-MPL lig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6/2809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against the T-cell receptor (TcR)-CD3 complex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39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ntegrin superfamily
    • C07K16/284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ntegrin superfamily against integrin beta3-subunit-containing molecules, e.g. CD41, CD51, CD61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6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receptors for 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7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NGF-receptor/TNF-receptor superfamily, e.g. CD27, CD30, CD40, CD95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32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translation products of oncoge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On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료 단백질의 동결건조된 약학적 제형의 제조 방법으로, (a) 벌크량의 치료 단백질의 제형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벌크 제형에서 치료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벌크 제형의 단백질의 충전 중량을 조정하여 고정된 용량의 단백질을 달성하는 단계, 및 (d) 단백질 충전 중량이 조정된 제형을 동결건조시켜 용기에서 최종 제형을 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고정된 부피로의 재구성 후, 제품의 농도는 소정의 수용 범위 이내인 것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낮은 단백질 농도(예컨대, 0.05 mg/mL 내지 20 mg/mL)의 제형에 특히 적합하다.

Description

치료 단백질의 동결건조된 약학적 제형을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생물제약, 특히 치료 단백질, 이의 사용 방법, 이의 약학적 제형, 및 약학적 제형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동결건조된 약학적 제형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난 10년 동안, 기술 발전으로 약학적 응용을 위한 다양한 활성 분자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생물학적 작용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의 본질이 진전을 보임에 따라, 이들 분자는 특정 속성을 위하여 설계될 수 있으며, 그 점에서 소량의 제품이 효과적일 수 있다.
이들 분자는 전통적인 유기 및 무기 약물(즉, 복잡한 3차원 구조 이외에도 다수의 작용기를 보유하는 약물)보다 더 크고/크거나 더 복잡할 수 있기에, 이러한 제품의 제형은 특별한 문제를 제기한다. 제품이 생물학적으로 활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형은 단백질의 다수의 작용기를 분해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단백질의 아미노산의 적어도 핵심 서열의 온전한 입체형태적 완전함을 보존해야 한다. 단백질에 대한 분해 경로는 화학적 불안정성(즉, 결합 형성 또는 새로운 화학적 엔티티를 초래하는 절단에 의해 단백질의 변형을 수반하는 임의의 과정) 또는 물리적 불안정성(즉, 단백질의 고차 구조의 변화)을 수반할 수 있다. 화학적 불안정성은 탈아미드화, 라세미화, 가수분해, 산화, 베타 제거 또는 이황화물 교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물리적 불안정성은 예를 들어 변성, 응집, 침전 또는 흡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3가지 단백질 분해 경로는 단백질 응집, 탈아미드화 및 산화이다. Cleland et al. (1993), Critical Reviews in Therapeutic Drug Carrier Systems 10(4): 307-377.
이러한 설계된 분자는 이들의 합성으로 인한 속성 탓에 주로 동결건조되는데, 이러한 제시물(presentation)이 개선된 저장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동결건조는 관심 있는 단백질 제제로부터 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보존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다. 동결건조는 건조될 물질을 먼저 냉동한 다음, 진공 환경에서 승화에 의해 얼음 또는 냉동된 용매를 제거하는 공정이다. 동결건조 공정 중에 안정성을 증진시키고/증진시키거나 또는 저장 시 동결건조된 제품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부형제가 사전 동결건조된 제형에 포함될 수 있다. Pikal, M. (1990), Biopharm. 3(9)26-30 and Arakawa et al. (1991), Pharm. Res. 8(3):285-291.
특정 생물학적 표적 및 이에 따른 제품에 대한 투여량 요건을 갖는 설계된 분자는 제조 공정에 새로운 문제를 제기한다. 현재의 기술은 제품이 목표 농도로 제형화된 후, 설정된 부피로 용기에 채워지는 간단한 공정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동결건조된 약물 제품을 생성하는 방법을 대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을 위하여 동결건조된 제품의 고정된 부피의 희석물로 재구성한 후 존재하는, 필요한 양의 제품의 제형화, 충전 및 보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료 단백질의 동결건조된 약학적 제형의 제조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a) 벌크량의 치료 단백질의 제형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벌크 제형에서 치료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벌크 제형의 단백질의 충전 중량을 조정하여 고정된 용량의 단백질을 달성하는 단계, 및
(d) 단백질 충전 중량이 조정된 제형을 동결건조시켜 용기에서 최종 제형을 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고정된 부피로의 재구성 후, 제품의 농도는 소정의 수용 범위 이내이다.
위의 방법에서, 최종 제형의 단백질 농도는 약 20 또는 25 mg/m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약 0.5 mg/mL, 약 0.05 mg/mL, 약 18 mg/mL, 약 20 mg/mL 및 약 21 mg/mL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바람직한 치료 단백질은 로미플로스팀, 블리나투모맙, 인플릭시맙, 트라스투주맙, AMG 701, 및 AMG 330이다. AMG 701과 AMG 330은 이중특이적 단일 쇄 항체 구축물로, 기타 이중특이적 단일 쇄 항체 구축물(예컨대, 이중특이적 T 세포 인게이저)은 본 발명의 방법의 바람직한 치료 단백질이다. 제형에 존재하는 바람직한 약학적 부형제는 당을 포함하며, 트레할로스, 수크로스 및 이의 수화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약학적 부형제는 또한 완충제를 포함하며, 히스티딘, 시트르산 일수화물,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및 글루탐산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부형제는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며, 폴리소르베이트 20과 폴리소르베이트 80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사용되는 바람직한 부형제 및 치료 단백질은 아래에 열거된 각각의 바람직한 대략적인 농도의 각각의 단백질 및 부형제와 함께 표 1에 언급된다.
Figure pct00001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형은 아래 기술된 바와 같은 기타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제형 및 충전 중량이 전형적인 제어 전략을 따르는 저용량 제품을 위한 예시적인 설계 공간을 보여주는 반응 표면 맵이다. 회색 공간은 방법/재구성 가변성이 실패한 단백질 농도 결과를 나타낼 확률이 50%를 초과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큰 사각형은 제형 개발을 위한 현재의 작동 범위를 보여준다. 작은 직사각형은 유효한 작동 범위를 보여준다.
도 2는 벌크 농도 및 충전 부피 이외에 삼투질 농도가 고려되는 저용량 제품을 위한 예시적인 설계 공간을 보여주는 반응 표면 맵이다. 연회색 영역은 스텝드 인(stepped-in) 약물 제품 농도 기준을 보여주며, 이때, 방법/재구성 가변성은 실패한 단백질 농도 결과를 나타낼 확률이 50%를 초과할 것이다. 진회색 영역은 삼투질 농도 기준을 보여준다. 직사각형은 충전 중량(x축) 및 제형화된 벌크 농도(y축) 공정 관리(in-process control, IPC)/경보 한계 작동 범위(alert limit operational range, ALOR)의 설계 공간 범위를 보여준다.
도 3은 실행 가능하나 결함을 허용하지 않는 충전 중량 및 제형 제어 전략의 예를 보여주는 반응 표면 맵이다. 곡선과 양방향 화살표는 가능한 충전 목표 오차를 보여준다. 연회색 영역은 개입된 약물 제품 농도 기준을 보여주며, 연회색 영역은 방법/재구성 가변성이 실패한 단백질 농도 결과를 나타낼 확률이 50%를 초과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진회색 영역은 삼투질 농도 기준을 한정한다. 직사각형은 IPC/ALOR을 보여준다.
도 4는 예상되는 더 낮은 제형화된 벌크 및 더 낮은 충전 중량을 갖는, 범위 제어의 가장자리에서 어려움이 있는 충전 중량 및 제형 제어 전략의 예를 보여주는 반응 표면 맵이다. 왼쪽 곡선과 양방향 화살표는 낮은 충전 부피에서 가능한 충전 목표 오차를 보여준다. 오른쪽 곡선과 양방향 화살표는 더 높은 충전 부피에서 가능한 충전 목표 오차를 보여준다. 연회색 영역은 개입된 약물 제품 농도 기준을 보여주며, 연회색 영역은 방법/재구성 가변성이 실패한 단백질 농도 결과를 나타낼 확률이 50%를 초과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진회색 영역은 삼투질 농도 기준을 한정한다. 직사각형은 IPC/ALOR을 보여준다.
도 5는 제형화 벌크 결과를 사용한 후 바이알 목표에서 총 제품 용량을 기초로 한 충전 중량 설정점을 조정하여 실행 가능한, 결함을 허용하는 동결건조된 약물 공정을 생성하는 조합 전략의 예를 보여주는 반응 표면 맵이다. 곡선과 양방향 화살표는 가능한 충전 목표 오차를 보여준다. 연회색 영역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개입된 약물 제품 농도 기준을 한정한다. 진회색 영역은 삼투질 농도 기준을 한정한다. 장사방형은 IPC/ALOR 내에서 가장 높은 충전 부피에서의 삼투질 농도 기준에 의해 단절된, IPC/ALOR을 보여준다.
도 6은 이하의 실시예 1에 따라 결정된 정규화된 충전 중량 대 재구성 후의 제품의 단백질 농도를 보여준다.
도 7은 이하의 실시예 1에 따라 결정된 정규화된 충전 중량 대 삼투질 농도를 보여준다.
용어의 정의
다음의 설명에서, 다수의 용어가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다음의 정의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단수의 용어, 및 "적어도 하나"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며,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또한, 문맥에 의해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단수 용어는 복수를 포함할 것이며, 복수 용어는 단수를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약학적 제형" 또는 "제형"은 (i)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비경구 투여(정맥 내, 근육 내, 피하, 에어로졸화된, 폐 내, 비강 내 및 척추강 내 투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적합한, 생물학적 활성 단백질과 같은, 약학적 활성 약물 및 (ii) 1종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희석제, 및 연방 약물 관리청 또는 기타 외국 당국에 의해 안전한 것으로 간주된 기타 첨가제의 멸균 조성물이다. 약학적 제형은 직접적으로 투여될 수 있는 액체(예컨대, 수성) 용액, 및 투여 전에 희석제를 첨가하여 용액으로 재구성될 수 있는 동결건조된 분말을 포함한다. 그러나 용어 "약학적 제형"은 특별히 환자에 대한 국소 투여용 조성물, 경구 섭취용 조성물, 및 비경구 급이용 조성물은 배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저장 수명"은 약학적 제형이 명시된 저장 조건(예컨대, 2 내지 8℃) 하에서 저장될 때 약학적 제형 내 활성 성분(예컨대, 항체)이 최소한의 분해(예컨대, 약 5% 내지 10% 이하의 분해)를 나타내는 저장 기간을 의미한다. 분해를 평가하는 기술은 약학적 제형에서 단백질의 정체에 의존하여 달라진다. 예시적인 기술로는, 예를 들어 응집을 검출하기 위한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HPLC; 예를 들어 단백질 단편화를 검출하기 위한 역상(RP)-HPLC; 예를 들어 단백질의 전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이온 교환-HPLC; 및 질량 분광법, 형광 분광법, 원편광 이색성(CD) 분광법,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법(FT-IR), 및 단백질 입체형태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라만 분광법이 포함된다.  이들 기술 모두는 약학적 제형에서 단백질의 분해를 평가하고 그 제형의 저장 수명을 결정하기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제형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에서 저장될 때 2년에 걸쳐 약 5 내지 10% 이하의 분해(예컨대, 단편화, 응집 또는 풀림) 증가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생물학적 활성 단백질의 "안정적인" 제형은 (i) 대조 구조식 샘플과 비교하여 적어도 2년 동안 2 내지 8℃에서 저장 시 적어도 20%의 생물학적 활성의 감소된 응집 및/또는 감소된 손실을 나타내거나, 또는 (ii) 열 스트레스의 조건(예컨대, 1주 내지 12주 동안 25°C; 1주 내지 12주 동안 40°C; 7 또는 8일 동안 52°C 등) 하에서 생물학적 활성의 감소된 응집 및/또는 감소된 손실을 나타내는 제형이다. 구현예에서, 제형은 제형의 단백질이 이의 물리적 안정성, 화학적 안정성 및/또는 생물학적 안정성을 보유할 때 안정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단백질은 예를 들어, 색 및/또는 선명도의 육안 검사 시 또는 탁도 또는 응집체 형성과 관련해서와 같이 UV 광 산란에 의해 또는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EC) 또는 전기영동에 의해 측정된 바에 따라, 응집, 침전 및/또는 변성의 징후를 보이지 않는 경우, 제형에서 "단백질의 물리적 안정성을 보유한다"고 할 수 있다.
단백질은 예를 들어, 주어진 시간에서의 화학적 안정성이 결합 형성 또는 절단에 의한 단백질의 변형으로부터 새로운 화학적 엔티티가 생성되지 않는 정도인 경우, 제형에서 "단백질의 화학적 안정성을 보유한다"고 할 수 있다. 추가 구현예에서, 화학적 안정성은 단백질의 화학적으로 변경된 형태를 검출하고 정량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다. 화학적 변경은 예를 들어,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DS-PAGE 및/또는 매트릭스 보조 레이저 탈착 이온화/비행 시간 질량 분석법(MALDI/TOF MS)을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는, 크기 변형(예를 들어, 클리핑)을 수반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화학적 변경은 예를 들어, 전하 변경(예컨대, 탈아미드화로 인한 전하 변경)을 포함하며, 이는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로 평가할 수 있다. 산화는 흔히 볼 수 있는 또 다른 화학적 변형이다.
단백질은 예를 들어, 대조 용액과 비교하여 분석(예컨대, 항원 결합 분석)에 의해 결정한 제형화된 단백질(예컨대, 항체)의 생물학적 활성의 백분율이 약 50% 내지 약 200%, 약 60% 내지 약 170%, 약 70% 내지 약 150%, 약 80% 내지 약 125%, 또는 약 90% 내지 약 110%인 경우, 비변형 단백질에 비해 약학적 제형에서 "단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한다"고 할 수 있다. 추가 구현예에서, 단백질은 예를 들어, 제한 없이, 주어진 시간에서의 단백질의 생물학적 활성이 적어도 1%,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또는 100%인 경우, 약학적 제형에서 "단백질의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한다"고 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포함하는" 및 "포함한다"는 제형 및 방법이 열거된 요소를 포함하지만, 다른 열거되지 않은 요소를 배제하지 않음을 의미하고자 한 것이다. 제형 및 방법을 정의하고자 사용될 때의 용어 "필수적으로 구성된" 및 "필수적으로 구성된다"는 열거된 요소를 포함하고, 제형 및/또는 방법의 기본적인 속성을 변경하는 열거되지 않은 요소를 제외하지만, 다른 열거되지 않은 요소는 배제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요소로 필수적으로 구성된 제형은 미량의 다른 요소, 예컨대 임의의 단리 및 정제 방법으로부터의 오염물질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예컨대, 인산염 완충 식염수), 보존제 등은 배제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추가의 명시되지 않은 아미노산은 배제할 것이다. 제형 및 방법을 정의하고자 사용될 때 용어 "구성된" 및 "구성된다"는 다른 성분의 미량 요소 및 본 명세서에 기술된 조성물을 투여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법 단계를 배제한다. 이들 전이부 용어 각각에 의해 정의된 구현예는 본 개시 및 본 명세서에서 구현된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단리된"은 이의 천연 환경의 성분으로부터 확인되고 분리 및/또는 회수된 단백질(예컨대, 항체)을 지칭한다. 이의 천연 환경의 오염물질 성분은 단백질에 대한 진단 또는 치료 용도를 방해하는 물질이며, 효소, 호르몬 및 기타 단백질성 또는 비 단백질성 용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단백질은 (1) 로우리(Lowry) 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95중량% 초과,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99중량% 초과의 항체로, (2) 스피닝 컵 서열분석장치의 사용에 의해 N 말단 또는 내부 아미노산 서열의 적어도 15개 잔기를 얻기에 충분한 정도로, 또는 (3) 쿠마시 블루 또는 바람직하게는 은 염색을 이용하여 환원 또는 비환원 조건 하에 SDS-PAGE에 의해 균질성 정도로 정제될 것이다. 단리된 단백질은 재조합 세포 내에서 단백질을 제자리에(in situ) 포함하는데, 단백질의 천연 환경의 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통 단리된 단백질은 적어도 하나의 정제 단계에 의해 제조될 것이다.
본 발명은 항체와 같은 치료 단백질의 약학적 제형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체"(Ab) 및 동의어 "면역글로불린"(Ig)은 동일한 구조적 특징을 갖는 당단백질이다. 항체는 특정 항원에 대해 결합 특이성을 나타내지만, 면역글로불린은 항체 및 항원 특이성이 결여된 기타 항체 유사 분자를 포함한다. 후자 종류의 폴리펩티드는, 예를 들어, 림프계에 의해 낮은 수준으로 그리고 골수종에 의해 증가된 수준으로 생성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체" 또는 "항체 펩티드(들)"는 온전한 항체, 항체 유도체, 항체 유사체, 유전적으로 변경된 항체, 검출 가능한 표지를 갖는 항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항체와 특이적 결합을 위해 경쟁하는 항체, 또는 특이적 결합을 위해 온전한 항체와 경쟁하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예컨대, Fab, Fab', F(ab')2, Fv, 단일 도메인 항체)을 지칭하며, 키메라, 인간화, 완전 인간, 및 이중특이적 항체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항원 결합 단편은, 예를 들어, 재조합 DNA 기술에 의해 생성된다. 추가 구현예에서, 항원 결합 단편은 온전한 항체의 효소적 또는 화학적 절단에 의해 생성된다. 항원 결합 단편은 Fab, Fab', F(ab)2, F(ab')2, Fv, 및 단일 쇄 항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온전한 항체"는 두 개의 중쇄 및 두 개의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를 지칭한다. 따라서, 이 용어는 완전 인간 항체, 유전적으로 변경된 항체, 이중특이적 항체, 및 두 개의 중쇄 및 두 개의 경쇄를 포함하는 이러한 항체를 제공하는 항체 유도체를 제한 없이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단클론 항체"는 하이브리도마 기술을 통해 생성된 항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 "단클론 항체"는 임의의 진핵생물, 원핵생물 또는 파지 클론을 포함하는 단일 클론으로부터 유래된 항체를 지칭하며, 그것이 생성된 방법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라 제형화된 단클론 항체 및 항체 구축물은 구체적으로, 중쇄 및/또는 경쇄의 일부가 특정 종으로부터 유래되거나 특정 항체 클래스 또는 서브클래스에 속하는 항체에서의 상응하는 서열과 동일하거나 이와 상동성인 한편, 이들이 요망되는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한, 쇄(들)의 나머지가 다른 종으로부터 유래되거나 다른 항체 클래스 또는 서브클래스에 속하는 항체뿐만 아니라 이러한 항체의 단편에서의 상응하는 서열과 동일하거나 이와 상동성인, "키메라" 항체(면역글로불린)를 포함한다(미국 특허 번호 4,816,567; Morrison et al. (1984), Proc. Natl. Acad. Sci. USA, 81: 6851-6855). 본 명세서에서 관심 대상의 키메라 항체는 비인간 영장류(예를 들어, 긴 꼬리 원숭이, 유인원 등) 및 인간 불변 영역 서열로부터 유래된 가변 도메인 항원 결합 서열을 포함하는 "영장류화된" 항체를 포함한다. 키메라 항체를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이 기술된 바 있다. 예컨대, Morrison et al . (1985), Proc. Natl. Acad. Sci. U.S.A. 81:6851; Takeda et al . (1985), Nature 314:452, Cabilly et al ., 미국 특허 번호 4,816,567; Boss et al ., 미국 특허 번호 4,816,397; Tanaguchi et al ., EP 0171496; EP 0173494; 및 GB 2177096 참조.
본 발명에 따라 제형화된 단클론 항체 및 항체 구축물은 구체적으로 "인간" 또는 "완전 인간"으로 지칭되는 항체를 포함한다. 용어 "인간 항체" 및 "전체 인간 항체"는 각각 인간 면역글로불린 라이브러리로부터 또는 하나 이상의 인간 면역글로불린에 대한 유전자 이식 동물로부터 단리된 항체를 포함하는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내인성 면역글로불린; 예를 들어, 제노마우스(Xenomouse®) 항체 및 Kucherlapati 의 미국 특허 번호 5,939,598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항체를 발현시키지 않는 항체를 지칭한다.
용어 "유전적으로 변경된 항체"는 아미노산 서열이 천연 항체와 다른 항체를 의미한다. 항체의 생성에서 재조합 DNA 기술의 적절함 때문에, 천연 항체에서 발견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국한될 필요는 없으며; 항체는 원하는 특징을 얻도록 재설계될 수 있다. 가능한 변형은 다수이며, 예를 들어, 가변 및/또는 불변 영역의 단지 하나 또는 소수의 아미노산의 변화로부터 완전한 재설계까지의 범위이다. 불변 영역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상보체 고정, 막과의 상호 작용 및 기타 효과기 기능뿐만 아니라, 제조 가능성 및 점도와 같은 특징을 개선하거나 또는 변경하기 위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가변 영역의 변화는 항원 결합 특징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Fab 단편"은 하나의 경쇄 및 하나의 중쇄의 CH1 및 가변 영역으로 구성된다. Fab 분자의 중쇄는 또 다른 중쇄 분자와 이황화 결합을 형성할 수 없다.
"Fab' 단편"은 하나의 경쇄 및 CH1 및 CH2 도메인 사이에, 오히려 불변 영역을 함유하는 하나의 중쇄를 함유하여, 쇄간 이황화 결합이 두 개의 중쇄 사이에서 형성되어 F(ab')2 분자를 형성할 수 있다.
"F(ab')2 단편"은 두 개의 경쇄 및 CH1 및 CH2 도메인 사이에 불변 영역의 일부를 함유하는 두 개의 중쇄를 함유하여, 쇄간 이황화 결합이 두 개의 중쇄 사이에서 형성된다.
용어 "Fv 단편" 및 "단일 쇄 항체"는 중쇄와 경쇄 둘 다로부터의 항체 가변 영역을 포함하지만, 불변 영역은 결여된 폴리펩티드를 지칭한다. 전체 항체와 같이, 이는 특정 항원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단지 약 25 kDa의 분자량을 갖는 Fv 단편은 두 개의 중쇄 단백질 및 두 개의 경쇄로 구성된 공통 항체(150 내지 160 kD)보다 훨씬 작고, Fab 단편(약 50 kDa, 하나의 경쇄 및 절반의 중쇄)보다 훨씬 더 작다.
"단일 도메인 항체"는 단일 도메인 Fv 단위, 예컨대, VH 또는 VL로 구성된 항체 단편이다. 전체 항체와 같이, 이는 특정 항원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단지 12 내지 15 kDa의 분자량을 갖는 단일 도메인 항체는 두 개의 중쇄 단백질 및 두 개의 경쇄로 구성된 공통 항체(150 내지 160 kDa)보다 훨씬 작고, Fab 단편(약 50 kDa, 하나의 경쇄 및 절반의 중쇄) 및 단일 쇄 가변 단편(약 25 kDa, 경쇄로부터 하나 및 중쇄로부터 하나의 두 개의 가변 도메인)보다 훨씬 더 작다. 제1 단일 도메인 항체는 낙타에서 발견되는 중쇄 항체로부터 조작되었다. 단일 도메인 항체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현재 중쇄 가변 도메인에 기반하지만, 경쇄 가변 도메인 및 경쇄로부터 유래된 나노바디는 또한 표적 에피토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이중특이적"은 "적어도 이중특이적"인 항체 구축물을 지칭한다. 즉, 이는 적어도 제1 결합 도메인 및 제2 결합 도메인을 포함하고, 이때, 제1 결합 도메인은 하나의 항원 또는 표적(예컨대, CD3)에 결합하고, 제2 결합 도메인은 또 다른 항원 또는 표적(BCMA; 예컨대, CD3)에 결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항체 구축물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항원 또는 표적에 대한 특이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용어 "이중특이적 항체 구축물"은 또한 다중특이적 항체 구축물, 예를 들어 삼중특이적 항체 구축물을 포함하며, 후자는 3개의 결합 도메인을 포함하거나, 구축물이 3개 초과의(예를 들어, 4개, 5개...) 특이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항체 구축물이 (적어도) 이중특이적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들은 자연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생성물과 현저하게 상이하다. 따라서, "이중특이적" 항체 구축물 또는 면역글로불린은 상이한 특이성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별개의 결합 부위를 갖는 인공 혼성 항체 또는 면역글로불린이다. 이중특이적 항체 구축물은 하이브리도마의 융합 또는 Fab' 단편의 연결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예컨대, Songsivilai & Lachmann, Clin. Exp. Immunol. 315-321 (1990) 참조.
본 발명의 항체 구축물의 적어도 2개의 결합 도메인 및 가변 도메인은 펩티드 링커(스페이서 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용어 "펩티드 링커"는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항체 구축물의 하나의 (가변 및/또는 결합) 도메인 및 또 다른 (가변 및/또는 결합)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이 서로 연결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이러한 펩티드 링커의 필수적인 기술적 특징은 그것이 임의의 중합 활성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적합한 펩티드 링커 중에는 미국 특허 4,751,180 및 4,935,233 또는 WO 88/09344에 기술된 것들이 있다. 펩티드 링커는 또한 본 발명의 항체 구축물에 다른 도메인 또는 모듈 또는 영역(예를 들어, 반감기 연장 도메인)을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링커가 사용되는 경우에, 이 링커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1 도메인 및 제2 도메인이 서로 독립적으로 그들의 차별적인 결합 특이성을 보유할 수 있음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길이 및 서열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항체 구축물에서 적어도 2개의 결합 도메인(또는 2개의 가변 도메인)을 연결하는 펩티드 링커의 경우, 이들 펩티드 링커는 단지 소수의 아미노산 잔기, 예를 들어 12개 이하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12, 11, 10, 9, 8, 7, 6 또는 5개 아미노산 잔기의 펩티드 링커가 바람직하다. 5개 미만의 아미노산을 갖는 고려되는 펩티드 링커는 4, 3, 2 또는 1개의 아미노산(들)을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Gly 풍부 링커가 바람직하다. 상기 "펩티드 링커"와 관련하여 특히 바람직한 "단일" 아미노산은 Gly이다. 따라서, 상기 펩티드 링커는 단일 아미노산 Gly로 구성될 수 있다. 펩티드 링커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는 아미노산 서열 Gly-Gly-Gly-Gly-Ser, 즉, Gly4Ser(서열번호 1), 또는 이의 중합체, 즉, (Gly4Ser)x(여기서, x는 1 이상의 정수(예컨대, 2 또는 3)임)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링커는 서열번호 1 내지 9에 제시되어 있다. 2차 구조 촉진의 부존재를 포함하는 상기 펩티드 링커의 특징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Dall’Acqua 등(Biochem. (1998) 37, 9266-9273), Cheadle 등(Mol. Immunol. (1992) 29, 21-30) 및 Raag와 Whitlow(FASEB (1995) 9(1), 73-80)에 기술되어 있다. 더 나아가 임의의 2차 구조를 촉진하지 않는 펩티드 링커가 바람직하다. 상기 도메인의 서로에 대한 연결은 실시예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유전 공학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융합된 그리고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이중특이적 단일 쇄 구축물을 제조하고 포유류 세포 또는 박테리아에서 이들을 발현시키기 위한 방법은 당해 분야에 잘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어, WO 99/54440 또는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ew York, 2001).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그리고 첨부된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AMG 701 및 AMG 330 항체 구축물은 각각 "이중특이적 단일 쇄 항체 구축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중특이적 "단일 쇄 Fv"(scFv)이다. Fv 단편의 2개의 도메인, 즉 VL 및 VH는 별개의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지만, 이들은 VL과 VH 영역이 1가 분자를 형성하도록 쌍을 이루는 단일 단백질 쇄로서 이들이 생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합성 링커에 의해 재조합 방법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uston et al. (1988) Proc. Natl. Acad. Sci USA 85:5879-5883 참조). 이들 항체 단편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기법을 사용하여 얻어지며, 단편은 전체 또는 전장 항체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에 대해 평가된다. 따라서, 단일 쇄 가변 단편(scFv)은 보통 약 10 내지 약 25개 아미노산,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20개 아미노산의 짧은 링커 펩티드와 연결되는 면역글로불린의 중쇄(VH) 및 경쇄(VL)의 가변 영역의 융합 단백질이다. 링커는 보통 가요성을 위해 글리신뿐만 아니라 용해성을 위해 세린 또는 트레오닌이 풍부하고, VH의 N 말단을 VL의 C 말단과 연결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연결할 수 있다. 이 단백질은 불변 영역의 제거 및 링커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본래의 면역글로불린의 특이성을 보유한다.
이중특이적 단일 쇄 분자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WO 99/54440, Mack, J. Immunol. (1997), 158, 3965-3970, Mack, PNAS, (1995), 92, 7021-7025, Kufer, Cancer Immunol. Immunother., (1997), 45, 193-197,
Figure pct00002
, Blood, (2000), 95, 6, 2098-2103,
Figure pct00003
, Immunol., (2001), 166, 2420-2426, Kipriyanov, J. Mol. Biol., (1999), 293, 41-56에 기술되어 있다. 단일 쇄 항체의 생성에 대하여 기술된 기술(특히, 미국 특허 4,946,778 참조)은 선택된 표적(들)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단일 쇄 항체 구축물을 생산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2가(이가로도 불림) 또는 이중특이적 단일 쇄 가변 단편((scFv)2 형식을 갖는 바이-scFv 또는 다이-scFv)은 2개의 scFv 분자를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링커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이들 2개의 scFv 분자가 동일한 결합 특이성을 갖는 경우, 생성된 (scFv)2 분자는 바람직하게는 2가로 불릴 것이다(즉, 동일한 표적 에피토프에 대해 2개의 원자가(valence)를 가짐). 2개의 scFv 분자가 상이한 결합 특이성을 갖는 경우, 생성된 (scFv)2 분자는 바람직하게는 이중특이적으로 불릴 것이다. 2개의 VH 영역 및 2개의 VL 영역을 갖는 단일 펩티드 쇄를 생산하여, 탠덤 scFv를 수득함으로써 연결이 행해질 수 있다(예를 들어, Kufer P. et al., (2004) Trends in Biotechnology 22(5):238-244 참조). 다른 가능성은 2개의 가변 영역이 함께 접히기에 너무 짧아서 scFv가 이량체화되게 하는 링커 펩티드(예를 들어, 약 5개의 아미노산)를 갖는 scFv 분자의 생성이다. 이 유형은 다이아바디로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Hollinger, Philipp et al., (July 1993)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90 (14): 6444-8 참조).
위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현예를 제공하며, 여기서 항체 구축물은 (scFv)2, scFv 단일 도메인 mAb, 다이아바디 및 그러한 형식 중 임의의 것의 올리고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형식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항체 구축물의 추가로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표적 항원 CD3 및 CD33 또는 BCMA에 결합하는 결합 도메인의 중쇄(VH) 및 경쇄(VL)는 위에 기술된 펩티드 링커를 통해서 직접 연결되지 않지만, 결합 도메인은 다이아바디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은 이중특이적 분자의 형성으로 인해 형성된다. 따라서, CD3 결합 도메인의 VH 쇄는 이러한 펩티드 링커를 통해서 CD33 또는 BCMA 결합 도메인의 VL에 융합될 수 있는 반면, CD3 결합 도메인의 VH 쇄는 이러한 펩티드 링커를 통해서 CD33 또는 BCMA 결합 도메인의 VL에 융합된다.
용어 "아미노 말단" 및 "카복실 말단" 및 이들의 축약된 형태 "N 말단" 및 "C 말단"은 폴리펩티드 내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문맥이 허용하는 경우, 이들 용어는 근위 또는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폴리펩티드의 특정 서열 또는 부분에 대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폴리펩티드 내에서 기준 서열에 대해 카복실 말단에 위치된 특정 서열은 기준 서열의 카복실 말단에 대해 근위에 위치하지만, 반드시 완전한 폴리펩티드의 카복실 말단에 위치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아미노산"은 글리신 및 D 및 L 광학 이성질체, D 또는 L 광학 이성질체의 N-아세틸 유사체(예컨대, N-아세틸 아르기닌)를 제한 없이 포함하는 아미노산 유사체 및 펩티도미메틱스를 포함하는 천연 및/또는 비천연 또는 합성 아미노산을 지칭한다. 일부 양태에서, 용어 아미노산은 단량체 아미노산을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세포 및 조직 배양, 분자 생물학, 면역학, 미생물학, 유전학 및 단백질 및 핵산 화학 및 하이브리드화와 관련하여 사용된 명명법 및 이들의 기술은 당해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 및 기술은 당해 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종래의 방법에 따라 그리고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걸쳐 인용되고 논의된 다양한 일반적이고 더 구체적인 참고문헌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Berge et al. (2001),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3rd ed.,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Y. and Ausubel et al. (1992),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Greene Publishing Associates, 및 Harlow and Lane (1990), Antibodies: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Y. 참조. 임의의 효소 반응 및 정제 기술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달성된 바와 같이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사의 설명서에 따라 수행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분석 화학, 합성 유기 화학 및 의약과 제약 화학과 관련하여 사용된 용어 및 이들의 실험실 절차와 기술은 당해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다. 표준 기법은 화학적 합성, 화학적 분석, 약학적 제제, 제형 및 전달 및 환자의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중간 제형화 농도의 사용
단백질 제형의 목적은 고도로 정제된, 재조합 단백질 용액(약물 물질)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생물제약 투여량 형태로 전환하는 것이다. Kamerzell et al. (2011), 63(13): 1118-59 (참조로 포함됨). 종종 제형화 전 특성화라 불리는 제1 단계는 단백질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불안정성 경로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는 정의된 저장 조건 하에서 단백질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다양한 부형제를 함유하는 제형의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제형화 조건 하에서(예를 들어, 부형제 존재 하에서) 단백질의 물리화학적 무결성 및 생물학적 활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분석 방법이, 이들 파라미터의 임의의 변화에 대한 허용 한계를 정의하기 위한 기준과 함께, 개발될 필요가 있다. 이어서, 저장 수명에 걸친 안정성, 가용성 및 등장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목표 수준의 다양한 약학적 부형제가 있는 상이한 단백질 농도의 특정 제형을 실험적으로 시험한다. 또한, 단백질-부형제 혼합물을 저장하고 환자 또는 의료 전문가에 의한 비경구 투여를 용이하게 하는 1차 용기(예컨대, 바이알, 카트리지 또는 사전 충전된 주사기)가 선택된다. 전체 생물제약 약물 또는 백신 투여량 형태(단백질, 부형제, 1차 용기, 및 전달 장치)는 확장성을 위하여, 멸균 조건 하에서 상업용 제조를 허용하고, 인간용 생물제약 투여량 형태의 생산 및 시험에 대한 모든 규제 지침을 충족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제형 개발은 일반적으로 생물물리학적 스크리닝 전략을 통해 정확한 pH 및 완충제 시스템을 확인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완충제는 단백질 용액에 첨가되어 pH를 안정화시키며, 이는 단백질의 안정성이 일반적으로 특징적이고 좁은 pH 범위에 연결되기 때문에 결국 단백질을 안정화시킨다. Garidel and Bassarab (2009), "Impact of formulation design on stability and quality," in: Quality for Biologics: Critical Quality Attributes, Process and Change Control, Production Variation, Characterisation, Impurities and Concerns, Biopharm Knowledge Publishing, London, UK, pp. 94-113 (참조로 포함됨) 참조. 이어서, 안정화제(예를 들어, 당), 증량제(예를 들어, 만니톨) 및 계면 활성제(예를 들어, 폴리소르베이트 20)와 같은 다른 제형화 부형제를 완충된 단백질 용액에 첨가한다. 이어서, 동결건조된 제형을 위하여, 액체 형태의 이러한 제형화 혼합물을 동결건조한다.
다른 약물 제품 공정에서와 같이 동결건조에서, 제어의 핵심은 필요한 용량을 환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치료 단백질 충전 중량이다. 고농도 제품의 경우, 제형화 단계에서의 제품 농도 제어에 이은, 충전 공정의 일부로서 충전 중량을 제어하는 간단한 전략이 적절하다. 그러나 마이크로그램 또는 심지어 밀리그램의 제품에서 매우 낮은 용량 전달의 경우, 용량 전달을 보장하기 위한 이러한 간단한 전략에는 환자가 필요한 용량을 받을 수 있음을 보장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관련된 우려는 제품 라벨이 용기 내의 제품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 및 투여를 위한 물질을 추출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동결건조된 약학적 제형에서 치료 단백질의 충전 중량에 대해 더 큰 제어를 제공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형화 단계에서의 제품 농도 제어에 이은, 충전 공정의 일부로서 충전 중량을 제어하는 간단한 전략은 더 높은 농도의 치료 단백질에 적절하지만, 더 낮은 농도에서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충전 중량 및 제형 목표가 개별적으로 제어될 때 저용량 제품을 위한 충전 중량 제어를 위한 설계 공간은 더 큰 가변성을 보여주며, 제품이 방출 기준을 충족하지 않을 가능성이 더 크다. 제조상의 가변성으로 인해, 제형화된 벌크를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은 공정의 규모 및 제조 시 기기의 고유한 변동성 때문에 달성할 수 없다. 또 다른 문제는 동결건조된 제품은 재구성되어야 하고 이 또한 가변적인 공정이기 때문에, 이 제품에는 증가된 가변성이 내재한다는 점이다.
(도 1에 도시된) 전형적인 제어 전략은 실패된 단백질 농도 결과를 나타낼 확률이 50%를 초과할 것이다. 도 1에서, 동결건조된 균질성 데이터의 관찰된 전체 가변성은 0.01 mg/mL이다. 최소한의 능력을 보증하기 위하여, 평균 작동 범위가 3*0.01=0.03 mg/mL에 의해 "스텝드 인(stepped-in)" 기준 범위에 해당하도록 평균 작동 범위를 제한해야 한다. 흰색 공간 내에서 목표로 하는 공정은 배치당 0.1% 미만의 기준 일탈(Out of Specification, OOS) 바이알의 품질을 갖는다. 음영 영역 내에서 목표로 하는 공정은 대조적으로 더 큰 OOS 비율을 나타낸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현재 작동 범위(큰 사각형)는 원하는 제형의 실패의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그러나 유효 작동 범위(도 1의 작은 직사각형)는 제형 가변성 및 충전제 중량 제어의 일부로서 달성될 수 있는 것보다 더 엄격한 충전 허용 오차를 요구한다.
따라서, 단백질 농도뿐만 아니라 다른 제품 품질 속성(예컨대, 삼투질 농도, pH)도 고려해야 하는 공정은 표준 방법론에 의해 생산 가능하거나 실행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는 삼투질 농도 기준이 고려되는 예시 설계 공간을 보여준다. 회색 채색은 IPC/경보 한계 작동 범위 내에서의 광범위한 실패 조건을 보여준다.
표준 방법론은 또한 실행 가능하나 결함을 허용하지 않는 충전 중량 및 제형 제어 전략을 초래할 수 있다(도 3 참조). 도 1에서와 같이, IPC/ALOR은 약물 제품 농도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영역을 포함한다. 약물 제품 농도 기준을 충족하는 영역(IPC/ALOR 내의 흰색 영역) 내에서는, 충전 목표의 오차의 여지가 거의 없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 방법론은 범위 제어의 가장자리에서 어려움이 있고, 실행은 가능하지만, 충분한 결함을 허용하지 않는 공정을 초래할 수 있다.
충전 부피의 증가는 적절한 결함 허용 범위를 갖는 실행 가능한 제형을 생성하기 위한 충분한 공정 변형이 아닐 수 있다. 도 4는 충전 부피가 증가된 반응 표면 맵이다. 충전 목표 범위를 IPC/ALOR 및 제품 기준 이내로 가져올 수 있지만, 결함 허용 범위가 부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형화된 벌크 농도의 허용 범위를 넘는 충전 중량 범위는 불충분한 결함 허용 범위를 갖는다.
그 때 제형화된 벌크 결과가 치료 단백질 충전 중량을 조정하는 데 사용될 경우, 작동 범위는 실행 가능하고 충분히 결함을 허용하는 제형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된 작동 범위(IPC/ALOR)는 예상 충전 목표 범위가 농도 및 삼투질 농도 기준 이내에 충분히 해당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충분한 결함 허용 범위를 갖는 농도 및 기타 기준 내에서 충전 목표 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까지 이 기술은 로미플로스팀(엔플레이트(Nplate®)) 저용량 재고 관리 단위(stock keeping unit, SKU), 블리나투모맙(블린사이토(Blincyto®)), 인플릭시맙 및 트라스투주맙을 위한 저용량 SKU에 사용되었다. 이 기술의 사용에 대한 세부 사항은 이하의 실제 실시예(working example)에 언급된다.
부형제 일반
제형에서 한 가지 과제는 특정 제형 부형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제조, 운송 및 저장의 스트레스에 대하여 제품을 안정화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형제는 다양한 화학적 및 물리적 스트레스에 대하여 단백질을 안정화시키는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분류할 수 있다. 일부 부형제는 특정 스트레스의 영향을 완화하거나 특정 단백질의 특별한 감수성을 조절한다. 다른 부형제는 더욱 일반적으로 단백질의 물리적 및 공유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액체 및 동결건조된 단백질 제형의 일반적인 부형제는 표 2에 언급된다(Kamerzell et al. (2011), Advanced Drug Delivery Rev. 63(13): 1118-59 참조).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기타 부형제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 문헌[Powell et al. (1998), "Compendium of Excipients for Parenteral Formulations," PDA J. Pharm. Sci. Tech., 52:238-311]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교시 내용과 지침을 고려하면, 당업자는 본 발명의 생물제약 제형을 달성하기 위하여 임의의 특정 제형에 포함될 수 있는 부형제의 양 또는 범위를 알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생물제약 제형에 포함되는 염의 양 및 종류는 최종 용액의 목적하는 삼투질 농도(즉, 등장성, 저장성 또는 고장성)뿐만 아니라, 제형에 포함되는 다른 성분의 양 및 삼투질 농도를 기초로 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형에 포함되는 폴리올 또는 당의 종류에 관한 예시에 의해, 이러한 부형제의 양은 이의 삼투질 농도에 의존할 것이다.
당업자는 생물제약의 안정성 보유를 촉진하는 본 발명의 생물제약 제형을 달성하기 위하여 임의의 특정 제형에 포함될 수 있는 부형제의 양 또는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생물제약 제형에 포함되는 염의 양 및 종류는 최종 용액의 목적하는 삼투질 농도(즉, 등장성, 저장성 또는 고장성)뿐만 아니라, 제형에 포함되는 다른 성분의 양 및 삼투질 농도를 기초로 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형에 포함되는 폴리올 또는 당의 종류에 관한 예시에 의해, 이러한 부형제의 양은 이의 삼투질 농도에 의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약 5%(중량/부피)의 소르비톨이 등장성을 달성할 수 있고, 약 9%(중량/부피)의 수크로스 부형제가 등장성 달성에 필요하다. 본 발명의 생물제약 제형 내에 포함될 수 있는 1종 이상의 부형제의 양 또는 농도 범위의 선택은 염, 폴리올 및 당에 대해 위에서 예시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고 특정 부형제에 대해 추가로 예시된 고려 사항이 예를 들어 염, 아미노산, 기타 등장화제, 계면활성제, 안정화제, 증량제, 냉동보호제, 동결건조보호제, 항산화제, 금속 이온, 킬레이트화제 및/또는 보존제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부형제 및 부형제의 조합물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특정 부형제가 예컨대, 퍼센트(%) w/v로 제형에 보고되는 경우, 당업자는 그 부형제의 동등한 몰 농도 또한 고려됨을 인식할 것이다.
당업자는 이전에 언급된 부형제들의 농도가 특정 제형 내에서 상호 의존성을 공유한다는 점을 인식할 것이다. 예로서, 증량제의 농도는 예를 들어 단백질/펩티드 농도가 높은 경우 또는 안정화제 농도가 높은 경우에 낮춰질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증량제가 존재하지 않는 특정 제형의 등장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안정화제의 농도가 그에 따라 조정될 것임(즉, 안정화제의 "등장화"량이 사용될 것임)을 인식할 것이다.
완충제
용액 pH는 단백질의 아미노산 잔기의 화학적 무결성(예컨대, Asn 탈아미드화 및 Met 산화) 및 이의 고차원 구조의 유지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당업자는 완충제를 사용하여 용액 pH를 조절하고 단백질 안정성을 최적화한다. 단백질 약물의 최대 안정성은 보통 좁은 pH 범위 내에서 달성된다. 몇몇 접근법(예컨대, 가속화된 안정성 연구 및 열량 측정 스크리닝 연구)이 이 목적에 유용하다(Remmele et al. (1999), Biochemistry, 38(16): 5241-7). 일단 제형이 완성되면, 약물 제품은 이의 저장 수명에 걸쳐 소정의 기준 내에서 제조되고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형의 pH를 조절하기 위하여 완충제가 거의 항상 사용된다.
유기산, 인산염 및 트리스는 단백질 제형에서 완충제로서 일상적으로 사용되었다(표 3 참조). 완충 종의 완충 용량은 pKa와 동일한 pH에서 최대이고, pH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거나 이 값으로부터 멀어질 때 감소한다. 완충 용량의 90%는 이의 pKa의 1 pH 단위 내에 존재한다. 완충 용량은 또한 증가하는 완충제 농도와 비례하여 증가한다.
Figure pct00006
전술한 것들 이외에도, 일부 치료 단백질은 약학적으로 관련 있는 농도에서 자가 완충할 수 있다. 이러한 단백질의 제형은 종래의 완충제를 포함할 필요가 전혀 없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출원 2012/0028877 참조.
당 및 탄수화물
당은 자주 액체 및 동결건조 제형 둘 다에서 단백질을 안정화시키는 데 사용된다. 수크로스와 트레할로스 같은 이당류는 액체 상태에서 고농도로 우선적 수화에 의해 그리고 고체 상태에서 단백질과의 특이적인 상호 작용 및 점성이 있는 유리질 매트릭스의 형성에 의해 단백질을 안정화한다고 생각된다. 당 분자는 아마도 우선적 수화 메커니즘 덕분에 단일클론 항체 용액의 점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소르비톨과 같은 당 알코올은 용액 및 동결건조된 상태에서 단백질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만니톨은 종종 동결건조된 제형에서 증량제로서 사용된다. 락토스는 흡입되는 단백질 제형을 위한 담체 분자로서 사용된다.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는 항체, 백신 항원 및 성장 인자, 인터류킨-2 및 인슐린 같은 작은 단백질의 액체 제형에서 단백질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안정화제 및 증량제
증량제는 전형적으로 제품 완성도를 증진시키고 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결건조된 제형에 사용된다. 제형 내의 상태는 일반적으로 증량제가 (동결시키는 동안 또는 Tg' 초과의 온도에서 어닐링하는 동안) 동결된 무정형 상으로부터 결정화되어 케이크 구조 및 부피를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만니톨과 글리신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증량제의 예이다.
안정화제는 냉동보호제, 동결건조보호제, 및 유리 형성제로서 기능할 수 있는 화합물의 클래스를 포함한다. 냉동보호제는 동결시키는 동안 또는 저온에서 동결된 상태에서 단백질을 안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P. Cameron, ed., Good Pharmaceutical Freeze-Drying Practice, Interpharm Press, Inc., Buffalo Grove, IL, (1997)). 동결건조보호제는 동결건조의 탈수 단계 중에 단백질의 천연 입체형태적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보존함으로써 단백질을 동결건조된 고체 투여량 형태로 안정화시킨다. 유리질 상태 특성은 온도의 함수로서 그들의 이완 특성에 따라 "강한" 또는 "약한" 것으로 분류되었다. 냉동보호제, 동결건조보호제 및 유리 형성제가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단백질과 동일한 상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당, 중합체, 및 폴리올이 이 범주에 속하고, 때때로 3가지의 모든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폴리올은 당(예를 들어 만니톨, 수크로스, 소르비톨) 및 기타 다가 알코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부형제의 클래스를 포함한다. 중합체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이 이 범주에 포함된다. 폴리올은 액체 및 동결건조된 비경구 단백질 제형 모두에서 안정화 부형제 및/또는 등장화제로서 흔히 사용된다. 호프메이스터(Hofmeister) 시리즈와 관련하여, 폴리올은 코스모트로픽(kosmotropic)이고, 단백질 표면으로부터 우선적으로 배제된다. 폴리올은 물리적 및 화학적 분해 경로 모두로부터 단백질을 보호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배제된 공용매는 단백질 계면에서 용매의 유효 표면 장력을 증가시키고, 이에 의해 가장 효과적으로 유리한 단백질 입체형태는 최소 표면적을 갖는 것이다.
만니톨은 동결건조시키는 동안 무정형 단백질 상으로부터 결정화되어 케이크에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동결건조된 제형에서 인기 있는 증량제이다(예를 들어 류킨, 엔브렐 - 리오(Lyo), 베타세론(Betaseron®). 만니톨은 일반적으로 수크로스와 같은 냉동보호제 및/또는 동결건조보호제와 조합하여 사용된다. 만니톨이 동결된 조건 하에서 결정화되는 경향 때문에, 소르비톨 및 수크로스는 수송하는 동안 또는 제조 전에 벌크를 동결시킬 때 발생하는 동결-해동 스트레스에 대해 제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액체 제형에 바람직한 등장화제/안정화제이다. 소르비톨 및 수크로스는 결정화에 대한 저항성이 훨씬 더 크고, 따라서 단백질로부터 상 분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작다. 만니톨이 몇몇 시판 액체 제형, 예를 들어 액티뮨, 포르테오(Forteo®), 및 레비프(Rebif®)에서 등장성의 양으로 사용되었고, 이들 약물의 제품 라벨이 '냉동 금지' 경고를 수반한다는 것은 흥미로운 점이다. (유리 알데히드 또는 케톤 기를 함유하는) 환원당, 예를 들어 글루코스 및 락토스의 사용은 이들이 알데히드 및 일차 아민의 메일라드(Maillard) 반응을 통해 단백질의 표면 리신 및 아르기닌 잔기와 반응하여 당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Chevalier F, et al., Nahrung, 46(2): 58-63 (2002); Humeny A, et al., J Agric Food Chem. 50(7): 2153-60 (2002)). 수크로스는 산성 조건 하에서 프룩토스 및 글루코스로 가수분해될 수 있고(Kautz C. F. and Robinson A. L., JACS, 50(4) 1022-30 (1928)), 결과적으로 당화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특정 구현예에서, 안정화제(또는 안정화제의 조합)가 동결건조 유발 또는 저장 유발 응집 및 화학 분해를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하여 동결건조 제형에 첨가된다. 재구성 시의 흐린 또는 혼탁한 용액은 단백질이 침전되었음을 나타낸다. 용어 "안정화제"는 수성 및 고체 상태에서 응집 또는 기타 물리적 분해, 및 화학적 분해(예를 들어, 자기분해, 탈아미드화, 산화 등)를 방지할 수 있는 부형제를 의미한다. 약학적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정화제는 수크로스, 트레할로스, 만노스, 말토스, 락토스, 글루코스, 라피노스, 셀로비오스, 겐티오비오스, 이소말토스, 아라비노스, 글루코사민, 프룩토스, 만니톨, 소르비톨, 글리신, 아르기닌 HCL,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 예를 들어 다당류, 예컨대 덱스트란, 전분, 하이드록시에틸 전분, 시클로덱스트린, N-메틸 피롤리덴, 셀룰로스 및 히알루론산,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Carpenter et al. (1991), Develop. Biol. Standard 74:225.
삼투물질
단백질 제형 부형제로서 현재 사용되는 삼투물질은 표 2에 열거되어 있다. 부형제로서 유용할 수 있는, 자연계에서 흔히 발견되는 기타 삼투물질에는 타우린, 베타인, 트리메틸아민 N-옥사이드(TMAO), 콜린-O-설페이트, 및 사르코신이 포함된다.
단백질 및 중합체
단백질 기반 부형제는, 특히 단백질 기반 부형제의 존재 하에 단백질 기반 약물 또는 백신의 안정성을 모니터링하는 분석 방법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제형에 복합성을 부가한다. 중합체는 동결건조된 단백질 제형에서 부형제(예컨대, 증량제)로서 평가되었다. 단백질이 폴리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와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와 같은 중합체로 제형화되는 단백질 약물 및 백신의 제어 방출 제형은 연구 중에 있다. 여러 추가적 수용성 중합체(예컨대,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HEC), 카복시메틸 셀룰로스(CMC))가 단백질 약물의 국소 제형을 위하여 사용되었다.
PEG는 두 가지 상이한 온도 의존적 메커니즘에 의해 단백질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더 낮은 온도에서, PEG는 단백질 표면으로부터 우선적으로 배제되지만, 이의 양친매성 속성을 고려할 때 더 높은 온도에서는 단백질의 풀린 형태와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ee and Lee (1987), Biochemistry, 26(24): 7813-9). PEG는 더 낮은 온도에서는 우선적 배제를 통해, 그러나 더 높은 온도에서는 아마 풀린 분자들 사이에서 생산적 충돌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단백질을 보호할 수 있다. PEG는 또한 냉동보호제이며, 재조합 항혈우병 인자의 동결건조된 제형인 리콤비네이트(Recombinate®)에 사용되었다.  
항산화제
여러 상이한 공급원이 단백질 잔기를 산화시킬 수 있다. 산화적 단백질 손상은 대기 중 산소, 온도, 빛 노출, 및 화학적 오염과 같은 인자를 포함한 제품의 제조 공정 및 저장을 주의깊게 제어함으로써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가 부적절한 경우, 항산화 부형제가 제형에 포함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학적 항산화 부형제는 환원제, 산소/유리 라디칼 스캐빈저, 또는 킬레이트화제이다. 치료 단백질 제형 내의 항산화제는 수용성이고, 제품 저장 수명 내내 활성을 유지해야 한다. 환원제 및 산소/유리 라디칼 스캐빈저는 용액 내의 활성 산소종을 제거함으로써 작용한다. 킬레이트화제(예컨대, EDTA)는 유리 라디칼 형성을 촉진하는 미량 금속 오염물질을 결합시킴으로써 효과적일 수 있다. 산성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의 액체 제형에서, 예를 들어, EDTA는 시스테인 잔기의 금속 이온 촉매된 산화를 억제한다. EDTA는 키너레트(Kineret®) 및 온타크(Ontak®)와 같은 시판 제품에 사용되었다.
금속 이온
일반적으로, 전이 금속 이온은 단백질에서 물리적 및 화학적 분해 반응을 촉매화할 수 있기 때문에 단백질 제형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특정 금속 이온은 이들이 단백질에 대한 보조인자로서 작용할 때 제형에 포함된다. 금속 이온은 또한 이들이 배위 착염(예컨대, 인슐린의 아연 현탁액)을 형성하는 단백질의 현탁액 제형에 사용될 수 있다. 마그네슘 이온(10 내지 120 mM)의 사용은 아스파르트산의 이소아스파르트산으로의 이성체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WO 2004/039337).
금속 이온은 인간 데옥시리보뉴클레아제(rhDNase, 풀모자임(Pulmozyme®))의 제형에서 안정성 및/또는 증가된 활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Ca+2 이온(100 mM까지)은 특이적 결합 부위를 통해 효소의 안정성을 증가시켰다(Chen et al. (1999), J Pharm Sci. 88(4): 477-82). 실제로, EGTA를 사용한 용액으로부터 칼슘 이온의 제거는 탈아미드화 및 응집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이 효과는 Ca+2 이온에 대해서만 관찰되었고, 다른 2가 양이온, 즉 Mg+2, Mn+2 및 Zn+2는 rhDNase를 불안정화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유사한 효과가 인자 VIII의 제형에서 관찰되었다. Ca+2 및 Sr+2 이온은 단백질을 안정화시켰지만, Mg+2, Mn+2 및 Zn+2, Cu+2 및 Fe+2과 같은 다른 이온은 이를 불안정화시켰다(Fatouros, et al. (1997), Int. J. Pharm., 155, 121-131). 인자 VIII을 이용한 별개의 연구에서, 응집 속도의 유의미한 증가가 Al+3 이온의 존재 하에 관찰되었다(Derrick et al. (2004), J. Pharm. Sci., 93(10): 2549-57). 저자들은 완충제 염과 같은 다른 부형제가 종종 Al+3 이온으로 오염됨을 언급하고, 제형화된 제품에 적절한 품질의 부형제를 사용할 필요성을 설명한다. 생 또는 사 약독화 피코르나바이러스, 예컨대, A형 간염과 폴리오를 함유하는 백신은 마그네슘에 의해 입체형태적으로 안정화된다. 칼슘, 마그네슘 및 아연과 같은 금속 이온은 수용액에서 옥시토신의 안정성을 개선한다. 인슐린은 아연과 결합하여, 결정질 형태에서 이량체 및 육량체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상이한 생체 내 방출 프로파일을 갖는 상이한 제형의 제제를 가능하게 한다. 육량체 인슐린 제형의 화학적 및 열 안정성은 다양한 수준의 아연 및 페놀의 존재 하에 달라진다.
특이적인 리간드
단백질 치료 약물의 입체형태적 안정성을 개선하는 한 가지 접근법은 단백질의 고유한 리간드 결합 부위를 이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풀모자임은 이의 효소 활성을 위하여 2가 금속 이온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칼슘 이온의 존재 하에 입체형태적 안정성을 개선하였다. 산성 및 염기성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aFGF 및 bFGF)는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 이들의 능력에 대해 임상적으로 평가되었는데, 두 단백질 모두 세포 표면의 고도로 음으로 하전된 프로테오글리칸에 자연적으로 결합한다. 다양한 기타 고도로 음으로 하전된 화합물 또한 단백질의 다가 음이온 결합 부위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aFGF와 결합하여 극적으로 안정화시킨다.
계면활성제
단백질 분자는 표면과 상호 작용하는 경향이 크며, 이를 통해 단백질 분자는 공기-액체, 바이알-액체 및 액체-액체(실리콘 오일) 계면에서 흡착 및 변성에 민감한 성향을 띠게 된다. 이러한 분해 경로는 단백질 농도에 대해 역으로 의존적이며, 가용성 및 불용성 단백질 응집물의 형성 또는 표면에 대한 흡착을 통한 용액으로부터의 단백질 손실을 초래한다. 용기 표면 흡착 이외에도, 표면 유도성 분해는 운송 및 취급 중 경험하게 되는 바와 같이, 물리적 교반으로 악화된다.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표면 유도성 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단백질 제형에 사용된다. 계면활성제는 계면 위치에 대해 단백질을 능가하는 능력을 갖는 양친매성 분자이다. 계면활성제 분자의 소수성 부분은 계면 위치(예를 들어, 공기/액체)를 점유하지만, 분자의 친수성 부분은 벌크 용매를 향해 배열된 상태로 남아 있다. (전형적으로 세정제의 임계 미셀 농도 근처의) 충분한 농도에서, 계면활성제 분자의 표면층은 단백질 분자가 계면에서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표면 유도성 분해가 최소화된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소르비탄 폴리에톡실레이트의 비이온성 지방산 에스테르, 즉 (예컨대, 약물 제품 아보넥스(Avonex®), 뉴포젠(Neupogen®), 뉴라스타(Neulasta®)의) 폴리소르베이트 20 및 폴리소르베이트 80이다. 이 둘은 각각 C-12 및 C-18인 분자에 소수성 특징을 부여하는 지방족 쇄의 길이에 있어서만 상이하다. 폴리소르베이트 80은 폴리소르베이트 20보다 표면 활성이 더 크고 더 낮은 임계 미셀 농도를 갖는다. 폴리소르베이트 20과 폴리소르베이트 80은 교반 유도성 응집에 대해 보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폴리소르베이트 20과 80은 또한 냉동, 동결건조 및 재구성에 의해 유도된 스트레스에 대해서 보호한다. 폴리소르베이트 20과 80은 단백질을 산화시킬 수 있는 과산화물을 함유할 수 있고, 이들 자체는 단백질 안정성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면서 산화 또는 가수분해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 또한, 막 여과하는 동안(특히 폴리소르베이트가 용액에서 미셀을 형성하는 농도에서) 이들의 복잡한 거동으로 인해 제형에서 폴리소르베이트 20 또는 80의 수준을 제어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계면활성제 폴록사머 188 또한 몇몇 시판 액체 제품, 예를 들어 고날-에프(Gonal-F®), 노르디트로핀(Norditropin®), 및 오비드렐(Ovidrel®)에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수성 표면(예컨대, 공기-물 계면)에 대해 주로 단백질 분자를 능가함으로써 단백질을 안정화하여, 이러한 소수성 계면에서 단백질이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고 여겨진다. 또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가공 중에 존재하는 기타 소수성 표면에 단백질 분자가 흡착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단백질 분자에서 소수성 영역과 직접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단일클론 항체는 완충제 단독과 비교하여 폴리소르베이트 20의 임계 미셀 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세정제는 단백질의 열역학적 입체형태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여기서 다시, 주어진 부형제의 영향은 단백질 특이적일 것이다. 예를 들어, 폴리소르베이트는 일부 단백질의 안정성을 감소시키고 다른 단백질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단백질의 세정제 불안정화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풀린 단백질 상태로 특이적인 결합에 참여할 수 있는 세정제 분자의 소수성 꼬리의 측면에서 이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상호 작용은 입체형태적 평형을 보다 팽창된 단백질 상태(즉, 결합 폴리소르베이트에 대한 보완책으로 단백질 분자의 소수성 부분의 노출의 증가)를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백질 천연 상태가 일부 소수성 표면을 나타낼 경우, 천연 상태에 대한 세정제 결합은 입체형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폴리소르베이트의 또 다른 측면은 폴리소르베이트가 산화적 분해에 본질적으로 민감하다는 점이다. 종종, 원료로서, 폴리소르베이트는 단백질 잔기 측쇄, 특히 메티오닌의 산화를 야기하기에 충분한 양의 과산화물을 함유한다. 안정화제의 첨가에 의해 발생하는 산화적 손상 가능성은 부형제의 최저 유효 농도가 제형에 사용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계면활성제의 경우, 주어진 단백질에 대한 유효 농도는 안정화의 메커니즘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계면활성제 안정화의 메커니즘이 표면 변성 억제와 관련이 있을 경우, 유효 농도는 대략 세정제의 임계 미셀 농도일 것이라고 가정되었다. 역으로, 안정화 메커니즘이 특이적 단백질-세정제 상호 작용과 관련이 있을 경우, 유효 계면활성제 농도는 단백질 농도 및 상호 작용의 화학양론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Randolph et al. (2002), Pharm Biotechnol., 13:159-75).
계면활성제는 또한 동결 및 건조하는 동안 표면 관련 응집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Chang (1996), J. Pharm. Sci. 85:1325). 예시적인 계면활성제는 자연 발생적인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래된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양성 이온성,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디옥틸 나트륨 설포석시네이트 및 디옥틸 나트륨 설포네이트, 케노데옥시콜산, N-라우로일사르코신 나트륨 염, 리튬 도데실 설페이트, 1-옥탄설폰산 나트륨 염, 나트륨 콜레이트 수화물, 나트륨 데옥시콜레이트, 및 글리코데옥시콜산 나트륨 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또는 벤제토늄 클로라이드,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일수화물, 및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양성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CHAPS, CHAPSO, SB3-10, 및 SB3-12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디기토닌, 트리톤 X-100, 트리톤 X-114, 트윈(TWEEN)-20, 및 트윈-80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계면활성제는 라우로마크로골 400, 폴리옥실 40 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피마자유 10, 40, 50 및 60,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40, 60, 65 및 80, 대두 레시틴 및 기타 인지질, 예를 들어 DOPC, DMPG, DMPC, 및 DOPG;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메틸 셀룰로스 및 카복시메틸 셀룰로스를 포함한다.
염은 종종 단백질 용해도, 물리적 안정성, 및 등장성에 중요할 수 있는 제형의 이온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첨가된다. 염은 단백질의 물리적 안정성에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온은 단백질의 표면 상의 하전된 잔기에 대한 결합에 의해 천연 상태의 단백질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온은 단백질 백본을 따라 펩티드 기(-CONH-)에 대한 결합에 의해 변성된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염은 또한 단백질 분자 내의 잔기 사이의 정전기적 척력 상호 작용을 보호함으로써 단백질 천연 입체형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단백질 제형 내의 전해질은 또한 단백질 분자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 상호 작용을 보호하여 단백질 응집 및 불용성을 유도할 수 있다.
단백질의 안정성 및 용해도에 미치는 염의 영향은 이온 종의 특징에 따라 유의미하게 달라진다. 호프메이스터 시리즈는 1880년대에 단백질을 침전시키는 전해질의 능력을 기초로 하여 전해질의 순위를 분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고안되었다(Cacace et al. (1997), Quarterly Reviews of Biophysics, 30(3): 241-277). 이 보고서에서, 호프메이스터 시리즈는 이온성 및 비이온성 공용질에 의한 단백질 안정화 효과의 등급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표 C에서, 공용질은 안정화(코스모트로픽)로부터 불안정화(카오트로픽)에 이르기까지 용액 상태 단백질에 미치는 이들의 일반적인 영향과 관련하여 정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음이온에서 영향의 차이는 양이온에 대해서 관찰된 것보다 훨씬 더 크고, 두 이온 모두에서 영향은 비경구 제형에서 허용되는 것보다 더 높은 농도에서 가장 분명하다. 코스모트로프를 단백질 표면으로부터 우선적으로 배제하여 이의 천연 (접힌) 입체형태의 단백질의 용해도를 감소시키는 '염석(salting-out)'으로 불리는 과정에 의해 단백질을 용액으로부터 침전시키기 위하여 고농도의 코스모트로프(kosmotrope)(예를 들어, >1 몰 황산암모늄)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염의 제거 또는 희석은 단백질을 용액으로 복귀시킬 것이다. 용어 '염용(salting-in)'은 단백질 백본의 펩티드 결합을 용매화시켜 단백질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예를 들어, 구아니딘 및 염화물과 같은) 불안정화 이온의 사용을 지칭한다. 증가하는 농도의 카오트로프(chaotrope)는 펩티드 쇄의 용해도가 증가하면서 단백질의 변성된(풀린) 상태 입체형태를 지지할 것이다. '염용' 및 '염석'에 대한 이온의 상대적 유효성은 호프메이스터 시리즈에서 그들의 위치를 정의한다.
Figure pct00007
비경구 제형에서 등장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염 농도는 일반적으로 1가 이온 조합물에 대해 150 mM 미만으로 제한된다. 이 농도 범위에서, 염 안정화 메커니즘은 아마도 정전기적 분자 내 척력 또는 분자 간 인력의 스크리닝(Debye-Huckel 스크리닝)으로 인한 것이다. 흥미롭게도, 카오트로픽 염은 이 메커니즘에 의해 유사한 농도의 코스모트로프보다 단백질 구조 안정화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카오트로픽 음이온은 코스모트로픽 이온보다 더 강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공유 단백질 분해와 관련하여, 이 메커니즘에 미치는 이온 강도의 차별적인 영향은 Debye-Huckel 이론을 통해 예상된다. 따라서, 염화나트륨에 의한 단백질 안정화에 대해 발표된 보고서는 염화나트륨이 공유 분해를 가속화시킨다는 보고서를 수반한다. 염이 단백질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은 단백질 특이적이고, 용액 pH의 함수로서 유의하게 달라질 수 있다. 부형제가 단백질 약물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데 유용할 수 있는 예는 일부 고농도 항체 제형이다. 지난 수 년 동안, 염은 이러한 제형의 점도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Liu et al. (2005, 2006), J. Pharm Sci., 94(9): 1928-40, erratum in J Pharm Sci ., 95(1): 234-5.
보존제
보존제는 동일 용기로부터 1회 초과의 추출을 수반하는 다회용 비경구 제형을 개발할 때 필요하다. 이들의 1차 기능은 약물 제품의 저장 수명 또는 사용 기간 내내 미생물 성장을 억제하고 제품 멸균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존제는 벤질 알코올, 페놀 및 m-크레졸을 포함한다. 보존제는 오랜 사용의 역사를 갖지만, 보존제를 포함하는 단백질 제형의 개발은 어려울 수 있다. 보존제는 거의 항상 단백질에 대하여 불안정화 효과(응집)를 가지며, 이는 다회 용량 단백질 제형에서의 이들의 사용을 제한하는 주된 인자가 되었다(Roy et al. (2005), J. Pharm. Sci., 94(2): 382-96). 또한, 벤질 알코올은 농도, 온도 및 시간 의존적인 방식으로 단백질 구조 및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불안정화 효과로 인해, 여러 동결건조된 단백질 제형이 벤질 알코올을 함유하는 희석제로 재구성되어 투여 전 단백질과의 접촉 시간을 최소화한다.
대부분의 단백질 약물은 일회용으로만 제형화되었다. 그러나 다회 용량 제형이 가능할 때, 이들은 환자의 편의성 및 증가된 시장성을 가능하게 하는 부가적인 이점을 갖는다. 좋은 예는 보존된 제형의 개발이 더 편리한, 다회용 주사 펜 제시물의 상업화로 이어진 인간 성장 호르몬(hGH)의 경우이다. hGH의 보존된 제형을 함유하는 적어도 4종의 이러한 펜 장치가 현재 이용 가능하다. 노르디트로핀(Norditropin®)(액체), 뉴트로핀 에이큐(Nutropin AQ®)(액체) & 제노트로핀(Genotropin)(동결건조된 이중 챔버 카트리지)은 페놀을 함유하는 반면, 소마트로프(Somatrope®)는 m-크레졸로 제형화된다.
보존된 투여량 형태를 제형화 개발하는 동안, 몇 가지 양태가 고려될 필요가 있다. 약물 제품에서 유효한 보존제 농도가 최적화되어야 한다. 이는 단백질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항미생물 유효성을 부여하는 농도 범위로 투여량 형태에서 주어진 보존제를 시험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3종의 보존제가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DSC)을 이용하여 인터류킨-1 수용체(I형)에 대한 액체 제형의 개발에서 성공적으로 스크리닝되었다. 보존제들은 시판 제품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농도에서 안정성에 미치는 이들의 영향력을 기초로 하여 순위가 매겨졌다(Remmele et al. (1998), Pharm. Res., 15(2): 200-8).
예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존제를 함유하는 액체 제형의 개발은 동결건조 제형보다 더 어렵다. 동결건조된 제품은 보존제 없이 동결건조될 수 있고, 사용 시 희석제를 함유하는 보존제에 의해 제구성될 수 있다. 이는 보존제가 단백질과 접촉하는 시간을 단축시켜, 관련된 안정성 위험을 상당히 최소화한다. 액체 제형에서는, 보존제 유효성 및 안정성이 전체 제품 저장 수명(대개 약 18 내지 24개월)에 걸쳐 유지되어야 한다. 주목할 중요한 점은 활성 약물 및 모든 부형제 성분을 함유하는 최종 제형에서 보존제 유효성이 증명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부 보존제는 주사 부위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는 보존제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하는 또 다른 인자이다. 노르디트로핀의 보존제 및 완충제 평가에 초점을 둔 임상 시험에서, m-크레졸을 함유하는 제형과 비교하여 페놀 및 벤질 알코올을 함유하는 제형에서 통증 자각이 더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다(Kappelgaard (2004), Horm. Res. 62 Suppl 3:98-103). 흥미롭게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존제 가운데, 벤질 알코올은 마취 특성을 보유한다(Minogue and Sun (2005), Anesth. Analg. 100(3): 683-6).
실제 실시예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고 인용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 출원은 이의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개시된 발명은 기재된 특정 방법, 프로토콜 및 물질이 변할 수 있으므로 이들에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단지 특정 구현예를 설명하는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이 이해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구체적 구현예에 대한 많은 균등물을 인식하거나, 통상적 실험만으로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균등물은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실시예 1
이 실험은 충전 중량 목표를 조정함으로써 단백질 농도가 각각의 재구성된 약물 제품에 대해 정확하게 표적화될 수 있음을 증명한다.
재료
· 다음을 함유하는 완충제: 만니톨, 수크로스, L-히스티딘, 폴리소르베이트 20, pH 5
· 컨테이너 바이알, 3 cc, 블로우백(blowback), I형 유리, 비처리, 13 mm 마개 있는 아가리, 13 mm, 4432/50 V-50,
· 로미플로스팀 여과 정제된 벌크
방법
1. 필요한 양의 희석 완충액을 이용하여 약물을 목표 제품 제형(0.5 mg/mL)까지 희석한다.
2. 0.22 μm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PVDF) 필터를 사용하여 제형화된 용액을 여과한다.
3. 바이알과 마개를 확보한다: 3 cc 바이알을 세척하고 발열원을 제거하였다.
4. 충분한 양의 바이알을 각각의 충전 중량 목표까지 충전한다: 0.307, 0.322, 0.342, 0.357, 0.373 g.
5. 바이알을 부분적으로 마개로 막고, 동결건조기에 넣는다.
6. 1차 및 2차 건조와 함께 적절한 냉동, 진공의 필요한 동결건조 주기를 수행한 후, 밀봉된 바이알에서 동결건조된 제품을 마개로 막고 언로딩한다.
7. 제품을 0.32 mL의 주사용수의 설정된 재구성 부피로 재구성한다.
8. 자외선(UV) 흡수를 이용하여 바이알의 생성된 단백질 농도를 측정한다. 흡광도는 분석물질을 통과할 때 흡수되는 특정 파장의 광량으로 정의된다. 흡광도 단위는 분자의 고유 흡광도, 이의 농도 및 분석물질의 경로 길이의 함수이다. 단백질 분자의 방향족 아미노산 페닐알라닌, 티로신, 및 트립토판은 260 내지 290 nm의 UV 범위에서 빛을 흡수한다. 이 범위의 UV 흡수는 용액에서 단백질 존재를 측정하기 위하여 일상적으로 사용된다.
9. 어는점 내림을 이용하여 제품의 삼투질 농도를 측정한다.
10. 단백질 및 삼투질 농도 둘 다에 대해 조정된 충전 중량 목표의 영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분석을 수행한다.
Figure pct00008
재구성된 단백질 농도와 충전 부피 사이의 강한 선형 관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0.9964의 R2에 의해 증명된 바와 같이 관찰되었다. 이 선형 관계는 아래와 같이 단백질 질량 균형을 기반으로 하여 이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여기서, C재구성은 재구성 후 단백질 농도이고, V재구성은 재구성 후 제품 부피이고, C제형화는 제형화된 벌크 단백질 농도이고, C손실은 필터 및 용기에 대한 결합으로 인한 단백질 손실이며, V충전은 각 바이알의 충전 부피이다. 제형화된 벌크 농도, 단백질 결합 손실 및 재구성 부피는 주어진 실행에서 일정하기 때문에, 재구성 후 단백질 농도는 식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충전 부피에 비례한다.
파일럿 규모 실험에서,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충전 조건에서 10회 반복 실험을 사용하여 최종 재구성된 약물 제품(DP) 단백질 농도의 가변성을 결정하였다. 따라서, 관찰된 가변성은 제품의 재구성과 관련된 가변성을 포함한, 공정 및 분석적 가변성 둘 다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1
삼투질 농도에 미치는 충전 중량 영향(재구성된 DP)
재구성 후 최종 약물 제품 삼투질 농도는 5가지의 충전 중량 목표로 충전된 바이알을 대상으로 삼투질 농도를 시험하였다. 충전 전 및 재구성 후의 삼투질 농도 결과는 표 7에 요약되어 있다. 삼투질 농도는 0.341그램의 목표 충전 중량에서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충전 및 재구성 후에 변하지 않아, 부형제가 뚜렷한 양으로 손실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재구성 부피가 일정하게 유지될 때 삼투질 농도는 더 높은 충전 부피에서는 약간 증가하지만 더 낮은 충전 부피에서는 약간 감소한다.
Figure pct00012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중량/부피(0.341 g의 목표를 기준으로 하여 정규화됨)를 제품 삼투질 농도(목표 충전 중량에서 313 mOsm/kg의 목표 삼투질 농도를 기준으로 하여 정규화됨)에 대해 도표화할 경우, 선형 관계가 밝혀졌다. 이 선형 관계는 삼투질 농도의 정의 및 완충제 성분 농도와의 관계로 설명할 수 있다.
삼투질 농도는 용매 킬로그램당 용질의 오스몰(Osm) 수(osmol/kg 또는 Osm/kg)로 정의된, 용질 농도의 측정치이다. 몰 농도(mole/L)와 구별되는 삼투질 농도는 용질의 몰이 아닌 용질 입자(예컨대 해리된 이온)의 몰을 측정한다. 용액의 삼투질 농도는 다음 식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ct00013
여기서, φ는 삼투 계수이고, n은 분자가 해리되는 입자(예컨대, 이온)의 수이고, C는 용질의 몰 농도(mole/L)이다.
충전 중량(또는 부피)이 목표 부피보다 10% 더 큰 경우, 제형의 각각의 부형제 종의 농도는 일정한 부피로 재구성 시 10% 증가한다. 공지된 제형에서 φi와 ni는 일정하므로, 각각의 종의 농도의 10% 증가는 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투질 농도의 10% 증가를 초래한다. 마찬가지로, 충전 부피의 10% 감소는 부형제 농도의 10% 감소를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삼투질 농도의 10% 감소를 초래한다.
실시예 2
단백질 블리나투모맙은 200 mM의 L-리신-HCl, 25 mM의 시트르산, 15% (w/v)의 트레할로스 이수화물, 0.1% (w/v)의 폴리소르베이트 80, pH 7.0으로 제형화되어 55 μg/mL을 나타낸다. 제형화된 단백질 허용 범위는 여과된 벌크 단계에서 측정된다. 48.0 μg/mL 내지 65.0 μg/mL 범위의 벌크 농도가 사용된다. 목표 충전 중량은 3 mL의 물로 재구성될 때 12.5 μg/mL의 재구성된 약물 제품을 목표로 하기 위하여 측정된 단백질 농도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Figure pct00014
여기서
Figure pct00015
이다.
그 후 목표 단백질 함량에 제품 밀도를 곱하고 측정된 약물 농도(필요한 경우, 결합으로 인한 손실을 감안하여 조정함)로 나누어 목표 충전 중량을 결정할 수 있다.
목표 충전 중량은 다음 식에 따라 계산되며, 상응하는 충전 중량 범위는 0.634 내지 0.858 g이다.
Figure pct00016
이때, DS는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약물 물질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더욱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Figure pct00017
이다.
실시예 3
인플릭시맙 약물 제품은 10 mL의 주사용수로 재구성 후 10 mM의 인산나트륨, 10% (w/v)의 수크로스, 0.01% (w/v)의 폴리소르베이트 80, pH 7.2로 제형화되어, 20 ± 1.5 mg/mL 인플릭시맙을 함유한다.
목표 충전 중량은 다음 식에 따라 계산되며, 상응하는 충전 중량 범위는 4.85 내지 5.63 g이다.
목표 충전 중량의 계산
Figure pct00018
실시예 4
트라스투주맙은 0.303 mg/mL의 L-히스티딘, 0.470 mg/mL의 L-히스티딘 염산염 일수화물, 19.1 mg/mL의 α,α-트레할로스 이수화물, 0.0840 mg/mL의 폴리소르베이트 20, pH 6.1로 제형화되어, 21 mg/mL을 나타낸다. 목표 충전 중량은 아래의 식에 따라 계산되며, 충전 중량 범위는 제품 전달 요건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하다. 충전 중량 목표는 (각각의 제시물에 따라) 3.1 내지 21.2 g의 범위이다.  이 제품은 풀링된 약물 물질 농도가 21 mg/mL인 여러 제시물이 있다.
이 실시예 4 및 후속 실시예에 대한 각각의 약물 제품 로트의 목표 충전 중량은 다음 정보를 사용하여 계산된다:
Figure pct00019
예로서, 150 mg의 제시물을 위한 목표 충전 중량 [g]
Figure pct00020
또 다른 예로서, 420 mg의 제시물을 위한 목표 충전 중량 [g]
Figure pct00021
추가 예로서 60 mg의 제시물을 위한 목표 충전 중량 [g]
Figure pct00022
실시예 5
AMG 701은 단일 쇄, 가변 도메인 이중특이적 T 세포 인게이저(BiTE®) 항-BCMA/항-CD3 항체 구축물이다(NCI Drug Dictionary 및 기타 참조 참고). 1 mg/mL의 단백질 농도로 AMG 701을 10 mM의 L-글루탐산, 9.0% (w/v)의 수크로스, 0.010% (w/v)의 폴리소르베이트 80, pH 4.2로 제형화하였다.  목표 충전 중량은 아래의 식에 따라 계산되며, 충전 중량 범위는 제품 전달 요건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하다.   AMG 701은 세 가지 제시물이 있는데, 제1 제시물의 충전 중량 목표는 0.47 내지 0.57 g이고, 제2 제시물은 1.60 내지 1.96 g이고, 제3 제시물은 3.28 내지 4.01 g이다.
제1 제시물의 경우:
Figure pct00023
제2 제시물의 경우:
Figure pct00024
제3 제시물의 경우:
Figure pct00025
실시예 6
AMG 330은 항-CD33/항-CD3 단일 쇄, 가변 도메인 이중특이적 T 세포 인게이저(BiTE®)이다(NCI Drug Dictionary 및 기타 참조 참고). 0.5 mg/mL의 단백질 농도로 AMG 300을 10 mM의 인산칼륨, 8.0% (w/v)의 수크로스, 1.0% (w/v)의 설포부틸에테르 베타시클로덱스트린(SBE-CD), 0.010% (w/v)의 폴리소르베이트 80, pH 6.1로 제형화하였다. 목표 충전 중량은 아래의 식에 따라 계산되며, 충전 중량 범위는 제품 전달 요건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하다. 충전 중량 목표는 1.2 내지 1.5 g의 범위이다. 목표 충전 중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pct00026
일반적으로, 이 방법론은 재구성 후 제품이 요구되는 농도임을 보장하기 위하여 목표량의 제품이 용기에 요구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 결과는 재구성된 제품의 부피의 양을 결정함으로써 달성된다; 예를 들어, 원하는 농도 1 mg/mL의 치료 단백질 1 mL 부피는 필요한 단백질 함량의 총량이 1 mg이 된다.
목표 단백질 함량 [mg] = (단백질 농도 [mg / mL] x 재구성된 부피 [mL])
그 후, 목표 단백질 함량을 사용하여 아래 식을 기반으로 하여 목표 충전 중량을 계산한다. 공정 중 약물 농도 또는 측정된 약물 농도는 전형적으로 임의의 공정 가변성을 보상하기 위하여 제형화 공정의 일부로서 측정된다. 일부 경우에, 결합으로 인한 제품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목표 단백질 함량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진다. 충전 중량의 정확한 목표화를 보장하기 위하여 측정된 약물 농도에 대한 신뢰가 요구된다.
Figure pct00027
공정 중 농도 및 재구성된 제품 둘 다에 대한 치료 제품은 밀리리터(mL)당 마이크로그램(mcg 또는 μg) 내지 밀리리터(mL)당 밀리그램(mg)의 범위일 수 있으므로, 이는 특정한 예이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삼투질 농도의 검증이 요구된다. 용기에 충전된 필요량의 활성 약물을 달성하여 재구성된 제품이 제품(활성 약물 또는 단백질) 농도뿐만 아니라 삼투질 농도 기준 한계 둘 다를 충족한다는 보증을 제공하기 위하여, 허용된 측정된 약물 농도에 대한 제한이 충전 중량 목표와 함께 확립된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고 인용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 출원은 이의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개시된 발명은 기재된 특정 방법, 프로토콜 및 물질이 변할 수 있으므로 이들에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단지 특정 구현예를 설명하는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이 이해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구체적 구현예에 대한 많은 균등물을 인식하거나, 통상적 실험만으로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균등물은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9)

  1. 치료 단백질의 동결건조된 약학적 제형의 제조 방법으로,
    a. 벌크량의 치료 단백질의 제형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벌크 제형에서 치료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벌크 제형의 단백질의 충전 중량을 조정하여 고정된 용량의 단백질을 달성하는 단계, 및
    d. 단백질 충전 중량이 조정된 제형을 동결건조시켜 용기에서 최종 제형을 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고정된 부피로의 재구성 후, 제품의 농도는 소정의 수용 범위 이내인 것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백질의 조정된 충전 중량은 다음 식에 따라 계산되는 것인, 방법:
    Figure pct00028
  3. 제1항에 있어서, 최종 제형의 단백질 농도는 약 20 mg/mL 이하인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치료 단백질은 로미플로스팀, 블리나투모맙, 인플릭시맙, 트라스투주맙, AMG 701 및 AMG 330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치료 단백질은 로미플로스팀이고, 최종 제형의 치료 단백질 농도는 약 0.5 mg/mL인 것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최종 제형은 pH 약 5.0으로, 약 10 mM의 히스티딘, 약 4% w/v의 만니톨, 약 2% w/v의 수크로스 및 약 0.004%의 폴리소르베이트 20 중 약 0.5 mg/mL의 로미플로스팀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치료 단백질은 블리나투모맙이고, 최종 제형의 치료 단백질 농도는 약 55 μg/mL인 것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제형은 pH 약 7.0으로, 약 25 mM의 시트르산 일수화물, 약 15% (w/v)의 트레할로스, 약 200 mM의 L-리신 염산염, 및 약 0.1% (w/v)의 폴리소르베이트 80 중 약 55 μg /mL의 블리나투모맙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치료 단백질은 인플릭시맙이고, 최종 제형의 치료 단백질 농도는 약 20 ± 1.5 mg/mL인 것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최종 제형은 pH 약 7.2로, 약 20 ± 1.5 mg/mL의 인플릭시맙, 약 10 mM의 인산나트륨, 약 10% (w/v)의 수크로스, 및 약 0.01% (w/v)의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치료 단백질은 트라스투주맙이고, 최종 제형의 치료 단백질 농도는 약 21 mg/mL인 것인,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최종 제형은 pH 약 6.1로, 약 21 mg/mL의 트라스투주맙, 약 0.303 mg/mL의 L-히스티딘, 약 0.470 mg/mL의 L-히스티딘 염산염 일수화물, 약 19.1 mg/mL의
    Figure pct00029
    -트레할로스 이수화물, 및 약 0.0840 mg/mL의 폴리소르베이트 20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치료 단백질은 AMG 701이고, 최종 제형의 치료 단백질 농도는 약 1 mg/mL인 것인,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최종 제형은 pH 약 4.2로, 약 1 mg/mL의 AMG 701, 약 10 mM의 L-글루탐산, 약 9.0% (w/v)의 수크로스, 및 약 0.010% (w/v)의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치료 단백질은 AMG 330이고, 최종 제형의 치료 단백질 농도는 약 0.5 mg/mL인 것인,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최종 제형은 pH 약 6.1로, 약 0.5 mg/mL의 AMG 330, 약 10 mM의 인산칼륨, 약 8.0% (w/v)의 수크로스, 약 1.0% (w/v)의 설포부틸에테르 베타시클로덱스트린(SBE-CD), 및 약 0.010% (w/v)의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최종 제형의 단백질 농도는 약 25 mg/mL 이하인 것인,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치료 단백질은 이중특이적 단일 쇄 항체 구축물인 것인,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치료 단백질은 AMG 701 및 AMG 330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KR1020207010535A 2017-09-15 2018-09-10 치료 단백질의 동결건조된 약학적 제형을 위한 방법 KR202000542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59420P 2017-09-15 2017-09-15
US62/559,420 2017-09-15
PCT/US2018/050305 WO2019055357A1 (en) 2017-09-15 2018-09-10 METHOD FOR THE LYOPHILIZED PHARMACEUTICAL FORMULATION OF A THERAPEUTIC PROTE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251A true KR20200054251A (ko) 2020-05-19

Family

ID=63686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0535A KR20200054251A (ko) 2017-09-15 2018-09-10 치료 단백질의 동결건조된 약학적 제형을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2) US20210369616A1 (ko)
EP (1) EP3681483B1 (ko)
JP (2) JP2020534255A (ko)
KR (1) KR20200054251A (ko)
CN (1) CN111148510A (ko)
AU (1) AU2018334502A1 (ko)
BR (1) BR112020004902A2 (ko)
CA (1) CA3072600A1 (ko)
CL (1) CL2020000625A1 (ko)
DK (1) DK3681483T3 (ko)
EA (1) EA202090731A1 (ko)
ES (1) ES2925232T3 (ko)
HU (1) HUE059339T2 (ko)
IL (2) IL297824A (ko)
LT (1) LT3681483T (ko)
MA (1) MA50239A (ko)
MX (1) MX2020002896A (ko)
PL (1) PL3681483T3 (ko)
PT (1) PT3681483T (ko)
SG (1) SG11202001449VA (ko)
SI (1) SI3681483T1 (ko)
WO (1) WO2019055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5658B (zh) * 2020-06-06 2023-11-14 宾傲 一种提取细胞中蛋白的裂解液及其制备方法
US11583521B2 (en) * 2020-07-01 2023-02-21 Jubilant Pharma Holdings Inc. Long-acting injection dosage form of beta 3 adrenoreceptor agonists
CN114681592A (zh) * 2020-12-31 2022-07-01 天境生物科技(杭州)有限公司 包含可溶性gp130二聚体的制剂和使用方法
CN113087782B (zh) * 2021-04-09 2021-12-14 北京美联泰科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中枢神经特异性蛋白的冻干方法
EP4346778A1 (en) * 2021-06-01 2024-04-10 Amgen Inc. Accelerated method of making lyophilized protein formualtions
WO2023180525A1 (en) * 2022-03-24 2023-09-28 Richter Gedeon Nyrt.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biopharmaceuticals
CN115932239B (zh) * 2022-12-22 2024-02-20 广州市进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氧化低密度脂蛋白保护剂、测定氧化低密度脂蛋白的检测试剂盒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308235D0 (en) 1983-03-25 1983-05-05 Celltech Ltd Polypeptides
US4816567A (en) 1983-04-08 1989-03-28 Genentech, Inc. Recombinant immunoglobin preparations
JPS6147500A (ja) 1984-08-15 1986-03-07 Res Dev Corp Of Japan キメラモノクロ−ナル抗体及びその製造法
EP0173494A3 (en) 1984-08-27 1987-11-25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Chimeric receptors by dna splicing and expression
GB8422238D0 (en) 1984-09-03 1984-10-10 Neuberger M S Chimeric proteins
US4751180A (en) 1985-03-28 1988-06-14 Chiron Corporation Expression using fused genes providing for protein product
US4935233A (en) 1985-12-02 1990-06-19 G. D. Searle And Company Covalently linked polypeptide cell modulators
US4946778A (en) 1987-09-21 1990-08-07 Genex Corporation Single polypeptide chain binding molecules
ATE243754T1 (de) 1987-05-21 2003-07-15 Micromet Ag Multifunktionelle proteine mit vorbestimmter zielsetzung
EP1690935A3 (en) 1990-01-12 2008-07-30 Abgenix, Inc. Generation of xenogeneic antibodies
KR100508289B1 (ko) 1998-04-21 2005-08-17 마이크로메트 에이지 Cd19×cd3 특이 폴리펩티드 및 그의 용도
WO2003041637A2 (en) 2001-11-09 2003-05-22 Centocor, Inc. Lyophilized monoclonal antibody compositions
AU2003291689A1 (en) 2002-10-31 2004-05-25 Protein Design Labs, Inc. Stable liquid pharmaceutical formulation of antibodies that are prone to isomerization
EP1909831A4 (en) 2005-06-14 2013-02-20 Amgen Inc PREPARATIONS OF SPONTANEOUS TAMPING PROTEINS
EP1977763A4 (en) 2005-12-28 2010-06-02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STABILIZER PREPARATION CONTAINING ANTIBODIES
JO3324B1 (ar) 2006-04-21 2019-03-13 Amgen Inc مركبات علاجية مجففة بالتبريد تتعلق بالعصارة الهضمية
AU2008255016B2 (en) 2007-05-15 2013-05-09 Stryker Corporation Concentrated protein preparations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9345661B2 (en) 2009-07-31 2016-05-24 Genentech, Inc. Subcutaneous anti-HER2 antibody formulations and uses thereof
JP2014500879A (ja) * 2010-11-16 2014-01-16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Bcma発現に相関性を有する疾患を治療する因子及び方法
AR089434A1 (es) * 2011-12-23 2014-08-20 Genentech Inc Procedimiento para preparar formulaciones con alta concentracion de proteinas
US9872906B2 (en) * 2013-03-15 2018-01-23 Merck Sharp & Dohme Corp. Ceftolozane antibiotic compositions
WO2014179648A2 (en) * 2013-05-02 2014-11-06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Direct anti-markovnikov addition of acids to alkenes
EP3125923A4 (en) * 2014-03-29 2017-12-06 Intas Pharmaceuticals Limited Lyophilized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fc-peptide fusion protein
JOP20170017B1 (ar) 2016-01-25 2021-08-17 Amgen Res Munich Gmbh تركيب صيدلي يتضمن تركيبات جسم مضاد ثنائي الاختصا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334502A1 (en) 2020-03-12
EA202090731A1 (ru) 2020-06-11
JP2023126930A (ja) 2023-09-12
MA50239A (fr) 2020-07-22
IL297824A (en) 2023-01-01
SG11202001449VA (en) 2020-03-30
IL272513A (en) 2020-03-31
CL2020000625A1 (es) 2020-08-21
DK3681483T3 (da) 2022-08-29
LT3681483T (lt) 2022-09-12
EP3681483B1 (en) 2022-05-18
HUE059339T2 (hu) 2022-11-28
MX2020002896A (es) 2020-07-22
US20210369616A1 (en) 2021-12-02
WO2019055357A1 (en) 2019-03-21
CN111148510A (zh) 2020-05-12
IL272513B2 (en) 2023-04-01
US20190083402A1 (en) 2019-03-21
CA3072600A1 (en) 2019-03-21
JP2020534255A (ja) 2020-11-26
BR112020004902A2 (pt) 2020-09-15
PT3681483T (pt) 2022-08-22
IL272513B (en) 2022-12-01
EP3681483A1 (en) 2020-07-22
PL3681483T3 (pl) 2022-09-26
ES2925232T3 (es) 2022-10-14
SI3681483T1 (sl) 202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81483B1 (en) Process for lyophilized pharmaceutical formulation of a therapeutic protein
US20240058263A1 (en) Formulations of antibody
US20200297855A1 (en) Stable, aqueous formulations of antibodies that bind il5 receptor
TWI609697B (zh) 高濃度抗體及蛋白質調配物
US9844594B2 (en) Liquid formulations for an anti-TNF α antibody
US9457089B2 (en) Highly concentrated aqueous protein solution with reduced viscosity
US20210047407A1 (en) Low ph pharmaceutical antibody formulation
US20150044206A1 (en) Immunoglobulin formulation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KR102385802B1 (ko) Gm-csf 중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체 제제
US20200352857A1 (en) Excipients to reduce the viscosity of antibody formulations and formulation compositions
JP2015536932A (ja) Gm−csf中和化合物を含む凍結乾燥製剤
MX2015005700A (es) Formulacion para dominios de union biespecificos de celulas-t (bites).
JP2022512704A (ja) 抗rsv抗体の製剤及びその使用方法
EA043419B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лиофилизированного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ого состава на основе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го белка
EP3335729B1 (en) Etanercept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tability
JP2019070025A (ja) 抗il−4/抗il−13二特異的抗体製剤
BRPI9715268B1 (pt) preparações farmacêuticas liofilizadas estáveis de anticorpos monoclonais ou policlonais, bem como processo para sua produçã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