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970A - 지그 - Google Patents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970A
KR20200052970A KR1020207012121A KR20207012121A KR20200052970A KR 20200052970 A KR20200052970 A KR 20200052970A KR 1020207012121 A KR1020207012121 A KR 1020207012121A KR 20207012121 A KR20207012121 A KR 20207012121A KR 20200052970 A KR20200052970 A KR 20200052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connector
coaxial connector
holding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2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0160B1 (ko
Inventor
타카히로 조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00052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2Hand to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Abstract

동축 케이블(8)의 외주에 권취되어 접속되는 접속부(16)와, 상대 커넥터(6)에 삽입되는 본체부(18)를 갖는 L형 동축 커넥터(4)를 상대 커넥터(6)에 삽입하기 위한 지그(2)로서, 접속부(16)의 외주 또는 동축 케이블(8)의 외주의 적어도 한쪽에서 L형 동축 커넥터를 유지하는 유지부(12)와, 본체부를 삽입 방향으로 누르는 누름부(1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지그
본 발명은 L형 동축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에 삽입하기 위한 지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L형 동축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하기 위한 지그(삽입 지그)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지그는 전체가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형상의 부재로서 구성된 지그이다. 특허문헌 1의 지그는 사용 시에는 전체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사용되고, 선단부에 L형 동축 커넥터를 끼우는 형상을 갖는다. 특허문헌 1의 지그에서는 L형 동축 커넥터 중에서도 특히 상대 커넥터에 삽입되는 본체부인 금속 셸을 횡으로부터 끼워서 유지한다. L형 동축 커넥터의 금속 셸을 끼운 후 하방에 배치한 상대 커넥터에 대해서 L형 동축 커넥터를 삽입한다.
일본 특허공개 제2015-149269호 공보
그러나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의 통신 기기의 고밀도 실장화가 진행되어 있으며, 기기 내부의 부품 조립 스페이스가 작게 되어 있다. 스페이스가 충분히 없을 경우에는 지그와 주위의 전자 부품이 접촉해서 전자 부품이 손상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지그를 취급하는 충분한 스페이스가 없어 L형 동축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에 삽입하는 것이 곤란해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지그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있으며, 보다 소형화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지그는 동축 케이블의 외주에 권취되어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대 커넥터에 삽입되는 본체부를 갖는 L형 동축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에 삽입하기 위한 지그로서, 상기 접속부의 외주 또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주의 적어도 한쪽에서 상기 L형 동축 커넥터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본체부를 삽입 방향으로 누르는 누름부를 구비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지그에 의하면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지그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지그의 선단부 주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전방 사시도)이다.
도 2b는 지그의 선단부 주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측면도)이다.
도 2c는 지그의 선단부 주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후방 사시도)이다.
도 2d는 지그의 선단부 주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정면도)이다.
도 3a는 L형 동축 커넥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상면도)이다.
도 3b는 L형 동축 커넥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측면)이다.
도 3c는 L형 동축 커넥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하면도)이다.
도 4는 상대 커넥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상면도)이다.
도 5a는 지그를 사용하여 L형 동축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에 삽입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지그를 사용하여 L형 동축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에 삽입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는 지그를 사용하여 L형 동축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에 삽입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d는 지그를 사용하여 L형 동축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에 삽입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e는 지그를 사용하여 L형 동축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에 삽입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변형예에 의한 지그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전방 사시도)이다.
도 6b는 변형예에 의한 지그 및 L형 동축 커넥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전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동축 케이블의 외주에 권취되어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대 커넥터에 삽입되는 본체부를 갖는 L형 동축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에 삽입하기 위한 지그로서, 상기 접속부의 외주 또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주의 적어도 한쪽에서 상기 L형 동축 커넥터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본체부를 삽입 방향으로 누르는 누름부를 구비하는 지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접속부 및/또는 동축 케이블로 유지함으로써 본체부를 붙잡아 유지하는 경우에 비해 지그의 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지그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유지부가 상기 L형 동축 커넥터를 유지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본체부에 접촉하는 제 1 실시형태에 기재된 지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누름부가 본체부에 접촉함으로써 지그의 자세를 안정화시킴과 아울러, 상대 커넥터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접속부의 외주 또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주의 적어도 한쪽을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형상을 갖는 제 1 실시형태 또는 제 2 실시형태에 기재된 지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양측으로부터 끼우도록 유지함으로써 L형 동축 커넥터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접속부의 외주 또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주의 적어도 한쪽을 따르는 R형상을 갖는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3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지부가 R형상을 가짐으로써 L형 동축 커넥터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하면 손잡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 및 상기 누름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저부로부터 삽입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4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삽입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그의 치수(예를 들면, 폭 치수)가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지그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유지부 및 상기 누름부가 돌출되는 방향을 향해서 두 갈래로 나누어져 있는 제 5 실시형태에 기재된 지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손잡이부를 두 갈래로 나누어진 형으로 함으로써 유지부를 끼우는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L형 동축 커넥터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부, 상기 유지부, 및 상기 누름부는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제 5 실시형태 또는 제 6 실시형태에 기재된 지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지그를 간이한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접속부의 외주만을 유지하는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7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유지부가 접속부만을 유지함으로써 동축 케이블을 유지하는 경우보다 지그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그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지그(2)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도 2d는 지그(2)의 선단부 주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a~도 3c는 지그(2)에 의해 조작되는 L형 동축 커넥터(4)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L형 동축 커넥터(4)가 삽입되는 상대 커넥터(6)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그(2)는 도 3a~도 3c에 나타내는 L형 동축 커넥터(제 1 커넥터)(4)를 도 4에 나타내는 상대 커넥터(제 2 커넥터)(6)에 삽입하기 위한 지그(삽입 지그)이다. 도 1, 도 2a, 도 2d에서는 L형 동축 커넥터(4) 및 상대 커넥터(6)의 도시를 생략하고, 도 2b, 도 2c에서는 상대 커넥터(6)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3a~도 3c에 나타내는 L형 동축 커넥터(4)는 동축 케이블(8)이 접속된 플러그 커넥터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상대 커넥터(6)는 기판(도시하지 않음) 등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6)는 L형 동축 커넥터(4)에 감합하는 중심 도체(7) 및 통형상부(9)를 갖는다.
L형 동축 커넥터(4)를 상대 커넥터(6)에 삽입한 구성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의 내부 부품으로서 사용된다.
도 1, 도 2a~도 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그(2)는 손잡이부(10)와, 유지부(12)와, 누름부(14)를 구비한다.
손잡이부(10)는 사용자가 지그(2)를 잡기 위한 손잡이의 부분이다. 손잡이부(10)는 A 방향으로 연장되어 막대형상으로 형성된다. 손잡이부(10)에는 A 방향을 따라 슬릿(11)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11)은 유지부(12) 및 누름부(14)를 A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슬릿(11)을 형성함으로써 지그(2)는 삽입 방향(B)을 향해 두 갈래로 나누어진 핀셋형의 지그가 된다.
유지부(12)는 상술한 L형 동축 커넥터(4)를 유지하는 부분이다. 유지부(12)는 손잡이부(10)의 저부로부터 삽입 방향(B)으로 돌출된 돌출부이다. 실시형태의 유지부(12)는 특히 L형 동축 커넥터(4)의 접속부(16)를 유지한다. L형 동축 커넥터(4)의 접속부(16)를 유지함으로써 L형 동축 커넥터(4)의 본체부(18)를 유지하는 경우에 비해 지그(2)의 폭 방향(C)의 치수(횡폭)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지그(2)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에서 L형 동축 커넥터(4)의 구성에 대해서 도 3a~도 3c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a~도 3c에 나타내는 L형 동축 커넥터(4)는 일방측이 동축 케이블(8)에 접속되어 타방측이 상대 커넥터(6)(도 4)에 접속되는 L형의 동축 커넥터이다. L형 동축 커넥터(4)가 상대 커넥터(6)에 삽입되는 삽입 방향(B)과 동축 케이블(8)의 축 방향(D)은 대략 직교한다.
도 3a~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형 동축 커넥터(4)는 접속부(16)와, 본체부(18)를 구비한다.
접속부(16)는 동축 케이블(8)에 접속되는 부분이다. 접속부(16)는 동축 케이블(8)의 외주에 권취되어 동축 케이블(8)의 외피, 외부 도체(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한다. 실시형태의 접속부(16)는 두 갈래로 나누어진 판형상의 부재를 고정시킴으로써 동축 케이블(8)의 외주에 밀착하여 권취된다.
접속부(16)는 동축 케이블(8)의 지름보다 약간 큰 지름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접속부(16)의 외면은 상술한 지그(2)의 유지부(12)에 의해 유지되는 부분이다. 도 3a,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16)의 외경은 삽입 방향(B)으로부터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의 접속부(16)의 횡폭(D1)이 된다. 마찬가지로 동축 케이블(8)의 외경은 삽입 방향(B)으로부터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의 동축 케이블(8)의 횡폭(D2)이 된다. 접속부(16)의 횡폭(D1)은 동축 케이블(8)의 횡폭(D2)보다 접속부(16)의 두께만큼 약간 길다.
본체부(18)는 소켓(20)과, 부싱(22)과, 하우징(24)을 구비한다. 하우징(24)은 상대 커넥터(6)(도 4)에 삽입되는 부분(금속 셸)이며, 접속부(16)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16) 및 하우징(24)은 금속 등의 동일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삽입 방향(B)으로부터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의 본체부(18)의 횡폭(D3)은 접속부(16)의 횡폭(D1) 및 동축 케이블(8)의 횡폭(D2)보다 길다(예를 들면, 약 3배).
소켓(20)은 동축 케이블(8)의 중심 도체인 심선(芯線)(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단자부이다. 소켓(20)은 상대 커넥터(6)의 중심 도체(7)(도 4)에 감합하여 접속된다. 소켓(20)은 부싱(22)에 의해 하우징(24)과 절연되어 있다. 부싱(22)은 소켓(20) 및 하우징(24)을 유지하는 절연성의 부재이다. 하우징(24)은 접속부(16)를 통해 동축 케이블(8)의 외부 도체(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하우징(24)은 상대 커넥터(6)의 통형상부(9)(도 4)에 감합하는 통형상의 형상을 갖는다.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4)에 있어서 소켓(20)을 수용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이면)은 지그(2)의 누름부(14)에 의해 눌러지는 피압압면(24A)을 구성한다.
도 1, 도 2a~도 2d로 돌아가면, 손잡이부(10)의 저부에는 누름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14)는 상술한 L형 동축 커넥터(4)의 본체부(18)를 삽입 방향(B)으로 누르는 부분이다. 누름부(14)는 유지부(12)와 마찬가지로 손잡이부(10)의 저부로부터 삽입 방향(B)으로 돌출되어 있다.
누름부(14)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8)의 축 방향(D)에 있어서 유지부(12)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유지부(12)와 누름부(14) 사이에는 간극(25)이 형성된다. 간극(25)을 형성함으로써 L형 동축 커넥터(4)의 본체부(18)를 누름부(14)가 집중적으로 압압할 수 있다.
도 2b, 도 2c에 나타내는 유지 상태에 있어서 누름부(14)는 L형 동축 커넥터(4)의 본체부(18), 특히 하우징(24)의 피압압면(24A)(도 3c)에 접촉되어 삽입 방향(B)으로 압압한다. 이에 따라 L형 동축 커넥터(4)의 자세를 안정화시킴과 아울러, L형 동축 커넥터(4)를 상대 커넥터(6)에 삽입할 때에 용이하게, 또한 보다 확실하게 삽입할 수 있다.
도 2a, 도 2c, 도 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12)의 측면(12A) 및 누름부(14)의 측면(14A)은 모두 삽입 방향(B)을 향해서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사면을 구성함으로써 지그(2)에 의해 유지되는 L형 동축 커넥터(4)의 시인성을 향상시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0)를 소망의 크기로 하여 잡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2a, 도 2c, 도 2d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12)는 그 선단부에 L형 동축 커넥터(4)의 접속부(16)에 결합하는 결합부(26)를 갖는다. 결합부(26)는 L형 동축 커넥터(4)의 접속부(16)의 외주 형상에 따른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는 R형상을 갖는다. 실시형태의 결합부(26)는 접속부(16)를 양측으로부터 끼워서 파지한다.
도 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12)의 선단부의 횡폭(D4)보다 누름부(14)의 선단부의 횡폭(D5) 쪽이 길게 설정된다. 이에 따라 누름부(14)가 본체부(18)를 압압하는 면적을 넓게 확보하면서 유지부(12)의 체적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지그(2)의 사용 방법>
상술한 구성을 갖는 지그(2)를 사용하여 L형 동축 커넥터(4)를 상대 커넥터(6)에 삽입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5a~도 5e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우선 지그(2)의 손잡이부(10)를 잡음과 아울러,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그(2)의 하방에 배치된 L형 동축 커넥터(4)를 향해서 지그(2)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화살표(X1) 참조). 지그(2)를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그(2)의 유지부(12)의 결합부(26)가 L형 동축 커넥터(4)의 접속부(16)에 결합한다(도 5b 참조).
이어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12)에 의해 접속부(16)를 끼운다. 구체적으로는 유지부(12)와 일체적으로 구성된 손잡이부(10)를 폭 방향(C)으로 수축하도록 압압한다(화살표(X2) 참조). 이에 따라 유지부(12)의 결합부(26)가 접속부(16)의 외주를 따라 결합하기 때문에 L형 동축 커넥터(4)를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손잡이부(10)의 압압 상태는 그 후에도 유지되며, L형 동축 커넥터(4)의 삽입 완료까지 계속된다.
도 5b에 나타내는 유지 상태에 있어서 누름부(14)는 L형 동축 커넥터(4)의 본체부(18)에 접촉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체부(18)를 구성하는 하우징(24)의 피압압면(24A)(도 3c)에 누름부(14)가 접촉되어 압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유지 상태일 때에 누름부(14)가 본체부(18)에 접촉되어 삽입 방향(B)으로 누르도록 함으로써 L형 동축 커넥터(4)의 자세를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조작성이 향상된다.
이어서,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형 동축 커넥터(4)를 하강시킨다(화살표(X3) 참조). 구체적으로는 L형 동축 커넥터(4)를 지그(2)로 유지하고, 하방에 배치한 상대 커넥터(6)를 향해서 L형 동축 커넥터(4)를 하강시킨다.
그 후 도 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형 동축 커넥터(4)를 상대 커넥터(6)에 삽입한다. 구체적으로는 L형 동축 커넥터(4)의 본체부(18)를 상대 커넥터(6)의 통형상부(9)(도 5c)에 삽입해서 감합시킨다. 이에 따라 L형 동축 커넥터(4)의 삽입·접속이 완료된다.
이어서, 도 5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그(2)를 L형 동축 커넥터(4)로부터 분리한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부(10)의 폭 방향의 압압을 정지한 후, 지그(2)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화살표(X4) 참조).
또한, 상기 일련의 공정에 있어서 지그(2)의 폭 방향의 치수는 초기 상태의 치수로부터 커질 일은 없기 때문에 지그(2)가 다른 부품과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후 상대 커넥터(6)에 삽입한 L형 동축 커넥터(4)를 뺄 경우에는 지그(2)와는 상이한 기구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의 지그(2)는 L형 동축 커넥터(4)를 상대 커넥터(6)에 삽입하는 삽입 전용의 지그이다.
<작용·효과>
상술한 실시형태의 지그(2)에 의하면 유지부(12)는 접속부(16)의 외주에서 L형 동축 커넥터(4)를 유지하고, 누름부(14)는 본체부(18)를 삽입 방향(B)으로 누른다.
종래와 같이 L형 동축 커넥터(4)의 본체부(18)를 끼워서 유지할 경우 본체부(18)의 횡폭(D3)이 크기 때문에 지그의 폭 치수가 커져버린다. 이에 대해서 실시형태의 지그(2)에 의하면 본체부(18)의 횡폭(D3)보다 작은 횡폭(D1)의 접속부(16)를 끼워서 유지하기 때문에 지그(2)의 횡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지그(2)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0)의 횡폭은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는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서 소정 길이 이상으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L형 동축 커넥터(4)의 본체부(18)를 끼워서 유지할 경우 본체부(18)의 외형에 따라 유지부의 결합부를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형상이 복잡해진다. 이에 대해서 실시형태의 지그(2)에서는 대략 원통형의 접속부(16)의 외형에 따라 유지부(12)의 결합부(26)를 R형상으로 구성하면 좋기 때문에 간단한 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지그(2)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부(12)가 동축 케이블(8)이 아니라 접속부(16)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동축 케이블(8)을 유지하는 경우보다 동축 케이블(8)의 축 방향(D)에 있어서의 지그(2)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지그(2)의 추가적인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16)의 횡폭(D1)보다 동축 케이블(8)의 횡폭(D2) 쪽이 짧지만 접속부(16)의 판 두께가 작기 때문에 그 차는 약간이며, 소형화의 효과를 마찬가지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부(12)가 L형 동축 커넥터(4)를 유지한 상태에 있어서 누름부(14)는 본체부(18)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누름부(14)가 본체부(18)에 접촉함으로써 지그(2)의 자세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부(12)는 접속부(16)의 외주를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양측으로부터 끼움으로써 L형 동축 커넥터(4)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부(12)는 접속부(16)의 외주를 따르는 R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R형상을 가짐으로써 L형 동축 커넥터(4)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부(12) 및 누름부(14)는 손잡이부(10)의 저부로부터 삽입 방향(B)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삽입 방향(B)에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면, 폭 방향)으로 지그(2)의 치수가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지그(2)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손잡이부(10)는 유지부(12) 및 누름부(14)가 돌출되는 방향을 향해서 두 갈래로 나누어져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10)를 두 갈래로 나누어진 형으로 함으로써 유지부(12)를 끼우는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L형 동축 커넥터(4)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손잡이부(10), 유지부(12), 및 누름부(14)는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즉, 지그(2)는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지그(2)를 간이한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지그(2)의 제조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삽입 방향(B)으로부터 평면으로부터 봤을 때에 본체부(18)의 횡폭(D3)은 접속부(16)의 횡폭(D1) 및 동축 케이블(8)의 횡폭(D2)보다 길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지그(2)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 외)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를 들어서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부(12)가 L형 동축 커넥터(4)의 접속부(16)를 유지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L형 동축 커넥터(4)에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8)의 외주를 유지하도록 해도 좋다. 동축 케이블(8)도 L형 동축 커넥터(4)의 접속부(16)와 마찬가지로 본체부(18)보다 횡폭이 작은 부재이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8)의 외주를 유지함으로써 지그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는, 접속부(16)와 동축 케이블(8)의 양쪽에 걸치도록 유지해도 좋다. 즉, 접속부(16)의 외주 또는 동축 케이블(8)의 외주의 적어도 한쪽에서 L형 동축 커넥터(4)를 유지하면 좋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부(12)의 측면(12A) 및 누름부(14)의 측면(14A)이 삽입 방향(B)을 향해서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지부(12)의 측면(12A)과 누름부(14)의 측면(14A)이 삽입 방향(B)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비경사면이어도 좋다. 도 6a, 도 6b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유지부(12)의 측면(12A)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경사면인 한편, 누름부(30)의 측면(30A)은 삽입 방향(B)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비경사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누름부(30)가 L형 동축 커넥터(4)의 본체부(18)에 접촉하는 압압면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며, L형 동축 커넥터(4)의 자세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부(12)가 L형 동축 커넥터(4)의 접속부(16)를 유지한 유지 상태에 있어서 누름부(14)가 본체부(18)에 접촉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지그(2)의 제조상의 공차 등에 따라 유지 상태에서는 본체부(18)가 누름부(14)에 조금도 접촉되지 않고, 상대 커넥터(6)로의 압박을 개시하고 나서 누름부(14)가 처음으로 본체부(18)에 접촉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형태도 포함해서 누름부(14)가 본체부(18)를 누르도록 구성하면 좋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L형 동축 커넥터(4)에 대해서 1개의 동축 케이블(8)이 접속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의 동축 케이블(8)이 병렬로 접속되는 경우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경우이어도, 예를 들면 가장 외측에 있는 2개의 동축 케이블(8)을 각각 외측으로부터 끼우도록 유지부(12)의 결합부(26)를 구성함으로써 L형 동축 커넥터(4)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접속부(16)의 외형이 동축 케이블(8)의 축 방향(D)을 따라 직선형상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요철 형상 또는 단차 등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경우이어도 접속부(16)의 외형에 따라 유지부(12)의 결합부(26)의 형상을 설정하면 L형 동축 커넥터(4)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이 기술의 숙련된 사람들에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와 같은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한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에 있어서 그중에 포함되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요소의 조합이나 순서의 변화는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을 일탈하는 일 없이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L형 동축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에 삽입하는 지그에 유용하다.
2: 지그 4: L형 동축 커넥터
6: 상대 커넥터 7: 중심 도체
8: 동축 케이블 9: 통형상부
10: 손잡이부 11: 슬릿
12: 유지부 12A: 측면
14: 누름부 14A: 측면
16: 접속부 18: 본체부
20: 소켓 22: 부싱
24: 하우징 24A: 피압압면
25: 간극 26: 결합부
30: 누름부 30A: 측면
D1, D2, D3, D4, D5: 횡폭

Claims (8)

  1. 동축 케이블의 외주에 권취되어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대 커넥터에 삽입되는 본체부를 갖는 L형 동축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에 삽입하기 위한 지그로서,
    상기 접속부의 외주 또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주의 적어도 한쪽에서 상기 L형 동축 커넥터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본체부를 삽입 방향으로 누르는 누름부를 구비하는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가 상기 L형 동축 커넥터를 유지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본체부에 접촉하는 지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접속부의 외주 또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주의 적어도 한쪽을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형상을 갖는 지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접속부의 외주 또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주의 적어도 한쪽을 따르는 R형상을 갖는 지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손잡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 및 상기 누름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저부로부터 삽입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지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유지부 및 상기 누름부가 돌출되는 방향을 향해서 두 갈래로 나누어져 있는 지그.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상기 유지부, 및 상기 누름부는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지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접속부의 외주만을 유지하는 지그.
KR1020207012121A 2017-12-18 2018-10-19 지그 KR102390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41510 2017-12-18
JP2017241510 2017-12-18
PCT/JP2018/039036 WO2019123809A1 (ja) 2017-12-18 2018-10-19 治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970A true KR20200052970A (ko) 2020-05-15
KR102390160B1 KR102390160B1 (ko) 2022-04-25

Family

ID=66994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2121A KR102390160B1 (ko) 2017-12-18 2018-10-19 지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41175B2 (ko)
KR (1) KR102390160B1 (ko)
CN (1) CN111480271B (ko)
WO (1) WO20191238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365A (ko) *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센서뷰 커넥터의 삽입 및 발거를 위한 지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5949A (ja) * 1997-03-10 1998-09-25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圧着装置
JP2013232349A (ja) * 2012-04-27 2013-11-14 Yazaki Corp 同軸電線の端末処理方法及び端末処理装置
KR20150082077A (ko) * 2014-01-07 2015-07-15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지그
JP2015149269A (ja) 2014-01-07 2015-08-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治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2181A (ja) * 2002-06-12 2004-01-22 Jst Mfg Co Ltd コネクタ挿抜用治具
JP4301449B2 (ja) * 2004-06-18 2009-07-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L型電気コネクタ用工具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抜去方法
CN201336503Y (zh) * 2009-01-22 2009-10-28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插拔辅助治具
JP5434254B2 (ja) * 2009-05-18 2014-03-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治具
JP5939924B2 (ja) * 2012-07-31 2016-06-22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用工具
JP5787189B2 (ja) * 2013-07-30 2015-09-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挿抜治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5949A (ja) * 1997-03-10 1998-09-25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圧着装置
JP2013232349A (ja) * 2012-04-27 2013-11-14 Yazaki Corp 同軸電線の端末処理方法及び端末処理装置
KR20150082077A (ko) * 2014-01-07 2015-07-15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지그
JP2015149269A (ja) 2014-01-07 2015-08-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治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365A (ko) *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센서뷰 커넥터의 삽입 및 발거를 위한 지그
WO2022231163A1 (ko) *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센서뷰 커넥터의 삽입 및 발거를 위한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160B1 (ko) 2022-04-25
CN111480271A (zh) 2020-07-31
JPWO2019123809A1 (ja) 2020-07-30
CN111480271B (zh) 2021-08-31
JP6741175B2 (ja) 2020-08-19
WO2019123809A1 (ja)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1107B2 (ja) フローティング機構付き同軸コネクタ
US20130196540A1 (en) Coaxial Connector
JP4803743B2 (ja) コネクタ
JP5178847B2 (ja) Rf用プラグコネクタ、rf用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rf用コネクタ
JP6190348B2 (ja) コネクタの支持構造及びアダプタ
JP2016100190A (ja) 同軸コネクタ組立て
EP3537546A2 (en) Connector
JP2017103119A (ja) 電気コネクタ
JP5947640B2 (ja) 端子金具と基板の接続構造
JP2010157368A (ja) 電気コネクタ
US20180019530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7540774B1 (en) Coaxial connector
KR102390160B1 (ko) 지그
JP7463739B2 (ja) ソケット、接触子ユニット、ソケットの集合体、及び接触子ユニットを備えた多極コネクタ
JP2010157367A (ja) 電気コネクタ
US20200091630A1 (en) Connecting Terminal And Coaxial Connector
JP5473758B2 (ja) コネクタ
US9281640B2 (en) Connector
KR102406553B1 (ko) 동축 커넥터
JP6447635B2 (ja) カセット及び検査ユニット
JP2016024867A (ja) 電子機器用コネクタ
JP6681655B2 (ja) 同軸コネクタ
JP6847016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6919642B2 (ja) 電気コネクタ
JP6499869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