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1671A - 수계 겔화제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그리고 그 수계 겔화제 및 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수계 겔화제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그리고 그 수계 겔화제 및 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1671A
KR20200051671A KR1020207009111A KR20207009111A KR20200051671A KR 20200051671 A KR20200051671 A KR 20200051671A KR 1020207009111 A KR1020207009111 A KR 1020207009111A KR 20207009111 A KR20207009111 A KR 20207009111A KR 20200051671 A KR20200051671 A KR 20200051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rbon atoms
hydrocarbon group
component
hair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9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오 사카모토
야스히로 츠시마
유키 다케이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ublication of KR20200051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67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metal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8/225 - C08G18/26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25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alkali or alkaline ear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 C08G18/24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tin salts of carboxylic acids
    • C08G18/246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tin salts of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lso tin-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15Monohydroxy compounds
    • C08G18/283Compounds containing ether groups, e.g. oxyalkylated mono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33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8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two or more cycloaliph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6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catio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모발 화장료에 적당한 유동성을 갖고, 점도의 온도 안정성이 높으며, 사용 후의 모발의 감촉이 양호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아래의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수계 겔화제인 성분 (A) 및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 및 카티온성 폴리머 중의 어느 것 혹은 양방인 성분 (B) 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로서, 성분 (A) 의 25 ℃ 에서의 1 질량% 수용액의 점도가 1,000 ∼ 5,000 m㎩·s 이고, 성분 (A) 의 1 질량% 수용액의 흐림점이 60 ℃ 이상 80 ℃ 이하이며, 성분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 30,000 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 그 수계 겔화제의 제조 방법 및 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27

(식 중, R1, R2, R8 및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 ∼ 20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3, R5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4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R4 및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 16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a 및 e 는 각각 독립적으로 10 ∼ 100 의 수를 나타내고, d 는 100 ∼ 500 의 수를 나타내고, g 는 0 ∼ 10 의 수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수계 겔화제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그리고 그 수계 겔화제 및 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모발 화장료에 적당한 유동성을 갖고, 점도의 온도 안정성이 높으며, 나아가서는 사용 후의 모발의 감촉이 양호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 그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수계 겔화제의 제조 방법 및 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에 사용 가능한 겔화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천연계 겔화제, 폴리아크릴산이나 폴리아크릴산 함유 코폴리머 등의 알칼리로 증점하는 타입의 알칼리 증점형 겔화제, 우레탄 변성 폴리에테르 등의 우레탄형 겔화제 등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도 우레탄형 겔화제는, 다른 겔화제와 비교하여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자유롭게 겔화할 수 있는 점, 첨가된 제품에 다양한 점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점, pH 나 염의 영향을 잘 받지 않는 점 등의 이유에서 많은 종류가 제조되고 다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은, 독특한 부드럽고 탱탱한 탄력 있는 겔을 형성하고, 온도 안정성도 우수한 겔이 얻어지는 점에서, 다양한 용도로 화장품에 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 4).
또한, 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은, pH 나 염의 영향을 잘 받지 않는 점에서, 카티온 계면 활성제가 많이 배합되는 모발 화장료 용도에서의 사용이 선호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5 에는, 성분 (A) 로서 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 및 성분 (B) 로서 카티온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처리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6 에는, (A) 성분으로서 디 장사슬형 카티온성 활성제를, 모발 화장료 전체량에 대해서 0.01 ∼ 10 질량%, (B) 성분으로서 소수 변성 폴리에테르우레탄을, 모발 화장료 전체량에 대해서 0.01 ∼ 10 질량%, (C) 성분으로서 고급 알코올을, 모발 화장료 전체량에 대해서 0.01 ∼ 30 질량%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0549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00637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02318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4038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08032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25318호
모발 화장료에 요구되는 성능은, 사용되는 상황에 따라서 상이하다. 그러나, 모발 화장료에 요구되는 주된 성능으로는, 모발 화장료에 적당한 유동성을 갖고, 점도의 온도 안정성이 높으며, 나아가서는 사용 후의 모발의 감촉이 양호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 5 및 6 에 기재된 모발 화장료는, 이들 성능 중, 몇 가지를 만족하는 경우는 있어도, 충분한 실용성의 수준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는 없어, 상기 성능이 불충분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하여, 지금까지 알려져 있던 모발 화장료 이상의, 모발 화장료에 적당한 유동성을 갖고, 점도의 온도 안정성이 높으며, 사용 후의 모발의 감촉이 양호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알아내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아래의 성분 (A) 및 (B) 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로서, 성분 (A) 의 25 ℃ 에서의 1 질량% 수용액의 점도가 1,000 ∼ 5,000 m㎩·s 이고, 성분 (A) 의 1 질량% 수용액의 흐림점이 60 ℃ 이상 80 ℃ 이하이며, 성분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 30,000 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다.
성분 (A) : 아래의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수계 겔화제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R1, R2, R8 및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 ∼ 20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3, R5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4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R4 및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 16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a 및 e 는 각각 독립적으로 10 ∼ 100 의 수를 나타내고, d 는 100 ∼ 500 의 수를 나타내고, g 는 0 ∼ 10 의 수를 나타낸다.)
성분 (B) :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 및 카티온성 폴리머 중의 어느 것 혹은 양방
또, 본 발명은, 후술하는 일반식 (2) ∼ (4) 의 화합물 및 고급 지방산 금속염을 촉매로서 사용하는,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수계 겔화제의 제조 방법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수계 겔화제 그리고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 및 카티온성 폴리머 중의 어느 것 혹은 양방을 조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모발 화장료와 비교하여, 모발 화장료에 적당한 유동성을 갖고, 점도의 온도 안정성이 높으며, 또한 사용 후의 모발의 감촉이 양호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A) 는, 아래의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수계 겔화제이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중, R1, R2, R8 및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 ∼ 20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3, R5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4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R4 및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 16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a 및 e 는 각각 독립적으로 10 ∼ 100 의 수를 나타내고, d 는 100 ∼ 500 의 수를 나타내고, g 는 0 ∼ 10 의 수를 나타낸다.)
일반식 (1) 에 있어서, R1, R2, R8 및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 ∼ 20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그 탄화수소기로는, 예를 들어, n-부틸기, 이소부틸기, s-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분기 사슬 펜틸기, 제 2 급 펜틸기, 제 3 급 펜틸기, n-헥실기, 분기 사슬 헥실기, 제 2 급 헥실기, 제 3 급 헥실기, n-헵틸기, 분기 사슬 헵틸기, 제 2 급 헵틸기, 제 3 급 헵틸기, n-옥틸기, 2-에틸헥실기, 분기 사슬 옥틸기, 제 2 급 옥틸기, 제 3 급 옥틸기, n-노닐기, 분기 사슬 노닐기, 제 2 급 노닐기, 제 3 급 노닐기, n-데실기, 분기 사슬 데실기, 제 2 급 데실기, 제 3 급 데실기, n-운데실기, 분기 사슬 운데실기, 제 2 급 운데실기, 제 3 급 운데실기, n-도데실기, 분기 사슬 도데실기, 제 2 급 도데실기, 제 3 급 도데실기, n-트리데실기, 분기 사슬 트리데실기, 제 2 급 트리데실기, 제 3 급 트리데실기, n-테트라데실기, 분기 사슬 테트라데실기, 제 2 급 테트라데실기, 제 3 급 테트라데실기, n-펜타데실기, 분기 사슬 펜타데실기, 제 2 급 펜타데실기, 제 3 급 펜타데실기, n-헥사데실기, 분기 사슬 헥사데실기, 제 2 급 헥사데실기, 제 3 급 헥사데실기, n-헵타데실기, 분기 사슬 헵타데실기, 제 2 급 헵타데실기, 제 3 급 헵타데실기, n-옥타데실기, 분기 사슬 옥타데실기, 제 2 급 옥타데실기, 제 3 급 옥타데실기, n-노나데실기, 분기 사슬 노나데실기, 제 2 급 노나데실기, 제 3 급 노나데실기, n-이코실기, 분기 사슬 이코실기, 제 2 급 이코실기, 제 3 급 이코실기 등의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 ; 1-부테닐기, 2-부테닐기, 3-부테닐기, 1-메틸-2-프로페닐기, 2-메틸-2-프로페닐기, 1-펜테닐기, 2-펜테닐기, 3-펜테닐기, 4-펜테닐기, 1-메틸-2-부테닐기, 2-메틸-2-부테닐기, 1-헥세닐기, 2-헥세닐기, 3-헥세닐기, 4-헥세닐기, 5-헥세닐기, 1-헵테닐기, 6-헵테닐기, 1-옥테닐기, 7-옥테닐기, 8-노네닐기, 1-데세닐기, 9-데세닐기, 10-운데세닐기, 1-도데세닐기, 4-도데세닐기, 11-도데세닐기, 12-트리데세닐기, 13-테트라데세닐기, 14-펜타데세닐기, 15-헥사데세닐기, 16-헵타데세닐기, 1-옥타데세닐기, 17-옥타데세닐기, 1-노나데세닐기, 1-이코세닐기 등의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 ;
페닐기, 톨루일기, 자일릴기, 쿠메닐기, 메시틸기, 벤질기, 페네틸기, 스티릴기, 신나밀기, 벤즈하이드릴기, 트리틸기, 에틸페닐기, 프로필페닐기, 부틸페닐기, 펜틸페닐기, 헥실페닐기, 헵틸페닐기, 옥틸페닐기, 노닐페닐기, 데실페닐기, 운데실페닐기, 도데실페닐기, 스티렌화페닐기, p-쿠밀페닐기, 페닐페닐기, 벤질페닐기, α-나프틸기, β-나프틸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옥틸기, 메틸시클로펜틸기, 메틸시클로헥실기, 메틸시클로헵틸기, 메틸시클로옥틸기, 4,4,6,6-테트라메틸시클로헥실기, 1,3-디부틸시클로헥실기, 노르보르닐기, 비시클로[2.2.2]옥틸기, 아다만틸기, 1-시클로부테닐기, 1-시클로펜테닐기, 3-시클로펜테닐기, 1-시클로헥세닐기, 3-시클로헥세닐기, 3-시클로헵테닐기, 4-시클로옥테닐기, 2-메틸-3-시클로헥세닐기, 3,4-디메틸-3-시클로헥세닐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R1, R2, R8 및 R9 가 이와 같은 탄화수소기가 아니면, 본 발명의 효과를 모두 만족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없고, 특히, 사용 후의 모발의 감촉이 양호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없다.
R1, R2, R8 및 R9 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가 쉽게 얻어지고, 원료의 조달 및 제조가 용이한 점에서,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 및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고,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탄소수 5 ∼ 18 의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더욱 바람직하고, 탄소수 8 ∼ 14 의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보다 더 바람직하고, 탄소수 10 ∼ 12 의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일반식 (1) 에 있어서, R3, R5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4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그 탄화수소기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기 ; 프로판-1,3-디일(직사슬 프로필렌)기 ; 프로판-1,2-디일기, 프로판-2,2-디일기 등의 분기 사슬 프로필렌기 ; 부탄-1,4-디일기, 부탄-1,2-디일기, 부탄-1,3-디일기, 부탄-2,3-디일기, 부탄-1,1-디일기, 부탄-2,2-디일기 등의 직사슬 부틸렌기 ; 2-메틸프로판-1,3-디일기, 2-메틸프로판-1,2-디일기 등의 분기 사슬 부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가 쉽게 얻어지는 점에서, 탄소수 2 ∼ 4 의 2 가의 직사슬의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고, 에틸렌기, 프로판-1,3-디일(직사슬 프로필렌)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에틸렌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R3 은, 모두 동일한 기여도 되고, 상이한 기여도 되며, R5 도 또한, 모두 동일한 기여도 되고, 상이한 기여도 되고, R7 도 또한, 모두 동일한 기여도 되고, 상이한 기여도 된다.
일반식 (1) 에 있어서, R4 및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 16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그 탄화수소기로는, 예를 들어, 탄소수 3 ∼ 16 의 2 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다. 이들 탄화수소기는, 탄소수 3 ∼ 16 의 범위 내이면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제조가 용이하며 또한 원료의 입수가 용이한 점에서, 이후에 기재하는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부터, 2 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제거한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된다.
a 및 e 는 각각 독립적으로 10 ∼ 100 의 수를 나타낸다. 그 중에서도, 원료의 제조 또는 입수가 용이하고, 또 본 발명의 효과가 쉽게 얻어지는 점에서 12 ∼ 5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3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d 는, 100 ∼ 500 의 수를 나타낸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가 쉽게 얻어지는 점에서, 120 ∼ 45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 4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80 ∼ 35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0 ∼ 300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g 는, 0 ∼ 10 의 수를 나타낸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가 쉽게 얻어지는 점에서, 0 ∼ 8 인 것이 바람직하고, 0 ∼ 6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g 가 0 인 수계 겔화제는, g 가 1 ∼ 10 인 수계 겔화제와 병용함으로써 겔화 촉진제와 같은 기능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보다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기 쉬운 점에서, g 가 0 인 수계 겔화제와 g 가 1 ∼ 10 인 수계 겔화제의 혼합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g 가 0 인 수계 겔화제와 g 가 1 ∼ 8 인 수계 겔화제의 혼합물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g 가 0 인 수계 겔화제와 g 가 1 ∼ 6 인 수계 겔화제의 혼합물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g 가 1 ∼ 10 인 수계 겔화제) 와 (g 가 0 인 수계 겔화제) 의 질량비가, 95 : 5 ∼ 85 : 15 의 비율로 혼합된 수계 겔화제이면,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g 가 1 ∼ 10 인 수계 겔화제) 와 (g 가 0 인 수계 겔화제) 의 질량비가, 95 : 5 ∼ 85 : 15 의 비율로 혼합된 수계 겔화제이면, 특히 양호한 자기 평활성을 가지며 또한 스프레이 보틀로 사용 가능한 탄력이 있는 부드러운 겔이 얻어지는 점에서, 이들 효과가 필요해지는 모발 화장료에 바람직하게 사용 가능하다. 또한,「자기 평활성」이란, 겔에 물리적 자극 (예를 들어 겔을 떠 올리거나, 겔을 휘젓는 등) 을 준 후에, 자연스럽게 본래의 평활한 표면으로 돌아오는 성질을 가리킨다. 또,「스프레이 보틀로 사용 가능」이란, 스프레이 보틀에 수용되어 있을 때에는 탄력이 있는 부드러운 겔의 성상을 하고 있고, 스프레이 보틀로부터 분무될 때 (겔에 전단 응력을 걸었을 때) 에 물과 같이 용이하게 분무되는 성질을 말한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A) 는, 25 ℃ 에서의 1 질량% 수용액의 점도가 1,000 ∼ 5,000 m㎩·s 이고, 1 질량% 수용액의 흐림점이 60 ℃ 이상 80 ℃ 이하이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 30,000 인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수계 겔화제이다. 성분 (A) 의 제조 방법으로는, 상기 성상의 성분 (A) 를 얻는 방법이어야만 한다. 이것은, 아래의 일반식 (2) ∼ (4)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원료로 하고, 특정한 촉매 존재하에서 합성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 중, R10 및 R1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 ∼ 20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12 는 탄소수 2 ∼ 4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r 은 10 ∼ 100 의 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식 중, R13 은 탄소수 2 ∼ 4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t 는 100 ∼ 500 의 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5
(식 중, Q 는, 탄소수 3 ∼ 16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일반식 (2) 에 있어서, R10 및 R1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 ∼ 20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그 탄화수소기로는, 예를 들어, n-부틸기, 이소부틸기, s-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분기 사슬 펜틸기, 제 2 급 펜틸기, 제 3 급 펜틸기, n-헥실기, 분기 사슬 헥실기, 제 2 급 헥실기, 제 3 급 헥실기, n-헵틸기, 분기 사슬 헵틸기, 제 2 급 헵틸기, 제 3 급 헵틸기, n-옥틸기, 2-에틸헥실기, 분기 사슬 옥틸기, 제 2 급 옥틸기, 제 3 급 옥틸기, n-노닐기, 분기 사슬 노닐기, 제 2 급 노닐기, 제 3 급 노닐기, n-데실기, 분기 사슬 데실기, 제 2 급 데실기, 제 3 급 데실기, n-운데실기, 분기 사슬 운데실기, 제 2 급 운데실기, 제 3 급 운데실기, n-도데실기, 분기 사슬 도데실기, 제 2 급 도데실기, 제 3 급 도데실기, n-트리데실기, 분기 사슬 트리데실기, 제 2 급 트리데실기, 제 3 급 트리데실기, n-테트라데실기, 분기 사슬 테트라데실기, 제 2 급 테트라데실기, 제 3 급 테트라데실기, n-펜타데실기, 분기 사슬 펜타데실기, 제 2 급 펜타데실기, 제 3 급 펜타데실기, n-헥사데실기, 분기 사슬 헥사데실기, 제 2 급 헥사데실기, 제 3 급 헥사데실기, n-헵타데실기, 분기 사슬 헵타데실기, 제 2 급 헵타데실기, 제 3 급 헵타데실기, n-옥타데실기, 분기 사슬 옥타데실기, 제 2 급 옥타데실기, 제 3 급 옥타데실기, n-노나데실기, 분기 사슬 노나데실기, 제 2 급 노나데실기, 제 3 급 노나데실기, n-이코실기, 분기 사슬 이코실기, 제 2 급 이코실기, 제 3 급 이코실기 등의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 ; 1-부테닐기, 2-부테닐기, 3-부테닐기, 1-메틸-2-프로페닐기, 2-메틸-2-프로페닐기, 1-펜테닐기, 2-펜테닐기, 3-펜테닐기, 4-펜테닐기, 1-메틸-2-부테닐기, 2-메틸-2-부테닐기, 1-헥세닐기, 2-헥세닐기, 3-헥세닐기, 4-헥세닐기, 5-헥세닐기, 1-헵테닐기, 6-헵테닐기, 1-옥테닐기, 7-옥테닐기, 8-노네닐기, 1-데세닐기, 9-데세닐기, 10-운데세닐기, 1-도데세닐기, 4-도데세닐기, 11-도데세닐기, 12-트리데세닐기, 13-테트라데세닐기, 14-펜타데세닐기, 15-헥사데세닐기, 16-헵타데세닐기, 1-옥타데세닐기, 17-옥타데세닐기, 1-노나데세닐기, 1-이코세닐기 등의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 ;
페닐기, 톨루일기, 자일릴기, 쿠메닐기, 메시틸기, 벤질기, 페네틸기, 스티릴기, 신나밀기, 벤즈하이드릴기, 트리틸기, 에틸페닐기, 프로필페닐기, 부틸페닐기, 펜틸페닐기, 헥실페닐기, 헵틸페닐기, 옥틸페닐기, 노닐페닐기, 데실페닐기, 운데실페닐기, 도데실페닐기, 스티렌화페닐기, p-쿠밀페닐기, 페닐페닐기, 벤질페닐기, α-나프틸기, β-나프틸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옥틸기, 메틸시클로펜틸기, 메틸시클로헥실기, 메틸시클로헵틸기, 메틸시클로옥틸기, 4,4,6,6-테트라메틸시클로헥실기, 1,3-디부틸시클로헥실기, 노르보르닐기, 비시클로[2.2.2]옥틸기, 아다만틸기, 1-시클로부테닐기, 1-시클로펜테닐기, 3-시클로펜테닐기, 1-시클로헥세닐기, 3-시클로헥세닐기, 3-시클로헵테닐기, 4-시클로옥테닐기, 2-메틸-3-시클로헥세닐기, 3,4-디메틸-3-시클로헥세닐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다.
R10 및 R11 은,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가 쉽게 얻어지고, 원료의 조달 및 제조가 용이한 점에서,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 및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고,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탄소수 5 ∼ 18 의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더욱 바람직하고, 탄소수 8 ∼ 14 의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보다 더 바람직하고, 탄소수 10 ∼ 12 의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가장 바람직하다.
일반식 (2) 에 있어서, R12 는 탄소수 2 ∼ 4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그 탄화수소기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기 ; 프로판-1,3-디일(직사슬 프로필렌)기 ; 프로판-1,2-디일기, 프로판-2,2-디일기 등의 분기 사슬 프로필렌기 ; 부탄-1,4-디일기, 부탄-1,2-디일기, 부탄-1,3-디일기, 부탄-2,3-디일기, 부탄-1,1-디일기, 부탄-2,2-디일기 등의 직사슬 부틸렌기 ; 2-메틸프로판-1,3-디일기, 2-메틸프로판-1,2-디일기 등의 분기 사슬 부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가 쉽게 얻어지는 점에서, 탄소수 2 ∼ 4 의 2 가의 직사슬의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고, 에틸렌기, 프로판-1,3-디일(직사슬 프로필렌)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에틸렌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R12 는, 모두 동일한 기여도 되고, 상이한 기여도 된다.
r 은, 10 ∼ 100 의 수를 나타내고, 그 중에서도, 일반식 (2) 의 화합물의 제조 또는 입수가 용이한 점에서 12 ∼ 5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3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 (3) 에 있어서, R13 은 탄소수 2 ∼ 4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그 탄화수소기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기 ; 프로판-1,3-디일(직사슬 프로필렌)기 ; 프로판-1,2-디일기, 프로판-2,2-디일기 등의 분기 사슬 프로필렌기 ; 부탄-1,4-디일기, 부탄-1,2-디일기, 부탄-1,3-디일기, 부탄-2,3-디일기, 부탄-1,1-디일기, 부탄-2,2-디일기 등의 직사슬 부틸렌기 ; 2-메틸프로판-1,3-디일기, 2-메틸프로판-1,2-디일기 등의 분기 사슬 부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가 쉽게 얻어지는 점에서, 탄소수 2 ∼ 4 의 2 가의 직사슬의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고, 에틸렌기, 프로판-1,3-디일(직사슬 프로필렌)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에틸렌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R13 은, 모두 동일한 기여도 되고, 상이한 기여도 된다.
t 는, 100 ∼ 500 의 수를 나타내고,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가 쉽게 얻어지는 점에서, 120 ∼ 45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 4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80 ∼ 35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0 ∼ 300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HDI), 2,2-디메틸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 옥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 노나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MDI), 수소 첨가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XDI) 및 2,4,4(또는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TMDI) 등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TDI),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MDI), 톨루이딘디이소시아네이트 (TODI),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XDI) 및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NDI)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 (4) 의 Q 는, 탄소수 3 ∼ 16 의 2 가의 탄화수소기이면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상기에 예시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부터, 2 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제거한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디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도,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고,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HDI), 옥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및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MDI), 수소 첨가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XDI) 및 2,4,4(또는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TMDI) 가 보다 바람직하고,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H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및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MDI) 가 더욱 바람직하며,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HDI) 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일반식 (1) 의 R4 및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 16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에 예시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부터, 2 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제거한 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2 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제거한 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HDI), 옥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및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MDI), 수소 첨가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XDI) 및 2,4,4(또는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TMDI) 의 어느 것으로부터 2 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제거한 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H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및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MDI) 의 어느 것으로부터 2 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제거한 기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HDI) 로부터 2 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제거한 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성분 (A) 를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특정한 촉매로는, 라우르산 금속염, 미리스트산 금속염, 팔미트산 금속염, 스테아르산 금속염, 올레산 금속염의 군에서 선택되는 고급 지방산 금속염을 들 수 있고,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금속염이란, 칼슘염, 칼륨염, 나트륨염, 마그네슘염 중 어느 것을 가리킨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수계 겔화제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점에서, 라우르산 금속염인 것이 바람직하고, 라우르산칼륨 혹은 라우르산나트륨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수계 겔화제는, 촉매를 사용해도 되고 사용하지 않아도 제조될 수 있다. 만일, 촉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염화티탄, 염화하프늄, 염화지르코늄, 염화알루미늄, 염화갈륨, 염화인듐, 염화철, 염화주석, 불화붕소 등의 금속 할로겐화물 ;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소듐메틸레이트, 탄산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이나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 알코올레이트물, 탄산염 ; 산화알루미늄, 산화칼슘, 산화바륨, 산화나트륨 등의 금속 산화물 ;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디부틸주석디클로라이드, 디부틸주석옥사이드,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비스(2-에틸헥실티오글리콜레이트) 등의 유기 금속 화합물 ; 옥틸산나트륨, 옥틸산칼륨 등의 비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성분 (A) 의 25 ℃ 에서의 1 질량% 수용액의 점도가 1,000 ∼ 5,000 m㎩·s 이고, 성분 (A) 의 1 질량% 수용액의 흐림점이 60 ℃ 이상 80 ℃ 이하이며, 성분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 30,000 인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수계 겔화제는, 전술한 고급 지방산 금속염을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촉매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혹은 고급 지방산 금속염 이외의 것을 촉매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1 질량% 수용액 점도, 1 질량% 수용액 흐림점, 중량 평균 분자량 중 어느 것이 본 발명의 (A) 성분의 규격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있다.
촉매로서의 고급 지방산 금속염은, 성분 (A) 제조시의 반응계 전체의 양에 대해서, 0.01 ∼ 5 질량% 로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촉매로서 충분히 유의한 효과가 얻어지는 점에서, 전체의 계에 대해서, 0.1 ∼ 2 질량% 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 ∼ 1 질량% 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01 질량% 미만이면, 촉매로서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성분 (A) 가 얻어지지 않을 경우가 있고, 5 질량% 를 초과하면 첨가량에 상응하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을 경우가 있다. 또한, 본 촉매는, 성분 (A) 제조 후, 제거하는 공정은 행하지 않아, 본 발명의 성분 (A) 및 (B) 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중에 잔존하게 되고, 당해 잔존량은, 전술한 성분 (A) 제조시의 촉매의 사용량과, 후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중의 성분 (A) 의 배합량에 의해서 정해진다.
성분 (A) 의 제조 방법으로는, 상기에 든 일반식 (2) ∼ (4)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원료로 하고, 특정한 촉매의 존재하에서 합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2 몰에 대해서,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알코올 화합물을 1.5 ∼ 2.4 몰, 바람직하게는 1.8 ∼ 2.2, 보다 바람직하게는 1.9 ∼ 2.1 몰,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폴리알킬렌글리콜을 0.5 ∼ 1.4 몰, 바람직하게는 0.8 ∼ 1.2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0.9 ∼ 1.1 몰, 추가로 촉매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면 된다. 구체적인 반응 조건은,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알코올 화합물과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폴리알킬렌글리콜을 계 중에 촉매와 함께 첨가하여, 60 ∼ 100 ℃ 에서 1 ∼ 10 시간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반응 조건으로서,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알코올 화합물과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폴리알킬렌글리콜을 함유하는 계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촉매를 첨가하여 60 ∼ 100 ℃ 에서 1 ∼ 10 시간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A) 의 25 ℃ 에서의 1 질량% 수용액의 점도는, 1,000 ∼ 5,000 m㎩·s 이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나타나는 점에서, 당해 점도가 1,200 ∼ 4,000 m㎩· 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0 ∼ 3,500 m㎩·s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5 ℃ 에서의 1 질량% 수용액의 점도의 측정 방법으로는, JIS Z 8803 : 2011 에 기재된 25 ℃ 에서의 B 형 점도계에 의한 점도 측정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A) 의 1 질량% 수용액의 흐림점은, 60 ℃ 이상 80 ℃ 이하이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나타나는 점에서, 당해 흐림점은 60 ℃ 이상 7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흐림점의 측정 방법으로는, 성분 (A) 의 1 질량% 수용액을 조제하고, 서서히 가온하고 탁함이 발생되는 온도를 흐림점으로 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0 ∼ 30,000 이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나타나는 점에서, 당해 중량 평균 분자량은 12,000 ∼ 28,0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8,000 ∼ 25,0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방법은,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를 사용하여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서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이 범위에 있는 성분 (A) 를 함유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모두 만족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고, 특히, 사용 후의 모발의 감촉이 양호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A) 는, 실온에서 고체 혹은 점조물이다. 모발 화장료에 배합할 때, 취급이 용이한 점에서, 미리 물 등의 용매에 용해시켜 액상으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의 양은 특별히 규정되지 않지만, 취급이 용이한 점에서, 성분 (A) 가 10 ∼ 50 질량% 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 ∼ 40 질량% 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사용할 수 있는 용매로는, 예를 들어, 물 혹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등의 휘발성 일급 알코올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한편으로, 사용 현장에 따라서는 휘발성 용매가 규제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 중에서도 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A) 는, 그 배합량은 특별히 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기 쉬운 수계 겔을 형성하기 위해서, 모발 화장료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서, 0.05 ∼ 30 질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 20 질량% 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3 ∼ 10 질량%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5 ∼ 5 질량% 배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B) 는, 카티온 계면 활성제 및 카티온성 폴리머 중의 어느 것 혹은 양방이다. 카티온 계면 활성제는, 화장료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카티온 계면 활성제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적절한 것으로는, 예를 들어, 일반식 (5) 로 나타내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일반식 (6) 으로 나타내는 알킬트리에틸암모늄염, 일반식 (7) 로 나타내는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일반식 (8) 로 나타내는 알콕시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알킬디메틸아민이 산과 반응하여 생성된 염, 알콕시디메틸아민이 산과 반응하여 생성된 염, 일반식 (11) 로 나타내는 아미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일반식 (5) 로 나타내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은, 아래와 같다.
R14-N+(CH3)3X- (5)
(식 중, R14 는 탄소수 10 ∼ 2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는 염화물 이온, 브롬화물 이온 등의 할로겐화물 이온, 메토술페이트 이온, 에토술페이트 이온, 메토포스페이트 이온, 에토포스페이트 이온, 메토카보네이트 이온 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메토술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일반식 (6) 으로 나타내는 알킬트리에틸암모늄염은, 아래와 같다.
R15-N+(C2H5)3X- (6)
(식 중, R15 는 탄소수 10 ∼ 2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는 염화물 이온, 브롬화물 이온 등의 할로겐화물 이온, 메토술페이트 이온, 에토술페이트 이온, 메토포스페이트 이온, 에토포스페이트 이온, 메토카보네이트 이온 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세틸트리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릴트리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라우릴트리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베헤닐트리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세틸트리에틸암모늄메토술페이트, 베헤닐트리에틸암모늄메토술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일반식 (7) 로 나타내는 디알킬디메틸암모늄은, 아래와 같다.
(R16)2N+(CH3)2X- (7)
(식 중, R16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0 ∼ 24 의 알킬기 또는 벤질기를 나타내고, X- 는 염화물 이온, 브롬화물 이온 등의 할로겐화물 이온, 메토술페이트 이온, 에토술페이트 이온, 메토포스페이트 이온, 에토포스페이트 이온, 메토카보네이트 이온 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세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라우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일반식 (8) 로 나타내는 알콕시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은, 아래와 같다.
R17-O-R18-N+(CH3)3X- (8)
(식 중, R17 은 탄소수 10 ∼ 2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18 은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얻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X- 는 염화물 이온, 브롬화물 이온 등의 할로겐화물 이온, 메토술페이트 이온, 에토술페이트 이온, 메토포스페이트 이온, 에토포스페이트 이온, 메토카보네이트 이온 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아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록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록시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알킬디메틸아민이 산과 반응하여 생성된 염으로는, 예를 들어, 일반식 (9) 로 나타내는 알킬디메틸아민과 유기산 또는 무기산에 의한 염을 들 수 있다. 일반식 (9) 로 나타내는 알킬디메틸아민은 아래와 같다.
R19-N(CH3)2 (9)
(식 중, R19 는 탄소수 10 ∼ 24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N,N-디메틸베헤닐아민, N,N-디메틸스테아릴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산으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등의 모노카르복실산 ;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말레산, 푸마르산, 프탈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 폴리글루타민산 등의 폴리카르복실산 ; 글리콜산, 락트산, 하이드록시아크릴산, 글리세린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등의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 글루타민산, 아스파르트산 등의 산성 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산으로는,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알콕시디메틸아민이 산과 반응하여 생성된 염으로는, 예를 들어, 일반식 (10) 으로 나타내는 알콕시디메틸아민과 유기산 또는 무기산에 의한 염을 들 수 있다. 일반식 (10) 으로 나타내는 알킬디메틸아민은 아래와 같다.
R20-O-R21-N(CH3)2 (10)
(식 중, R20 은 탄소수 10 ∼ 2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1 은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N,N-디메틸-3-헥사데실옥시프로필아민, N,N-디메틸-3-옥타데실옥시프로필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산으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등의 모노카르복실산 ;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말레산, 푸마르산, 프탈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 폴리글루타민산 등의 폴리카르복실산 ; 글리콜산, 락트산, 하이드록시아크릴산, 글리세린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등의 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 ; 글루타민산, 아스파르트산 등의 산성 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산으로는,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일반식 (11) 로 나타내는 아미드 화합물은, 아래와 같다.
R22-CONH-(R23)-N-(R24)2 (11)
(식 중, R22 는 탄소수 10 ∼ 2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3 은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R24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팔미트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팔미트산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미리스트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미리스트산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베헤닌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베헤닌산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팔미트산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팔미트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미리스트산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미리스트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베헤닌산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베헤닌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성분 (A) 와 조합할 때, 본 발명의 효과가 우수한, 특히 사용 후의 모발의 감촉이 우수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 얻어지기 쉬운 점에서, 일반식 (5) 로 나타내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및 일반식 (11) 로 나타내는 아미드 화합물 중의 어느 것 혹은 양방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티온성 폴리머는, 화장료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제 4 급 질소 함유기를 갖고, 카티온성을 나타내는 고분자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적합한 것으로는, 예를 들어,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및 그 유도체, 카티온화 구아검 및 그 유도체, 카티온화 실리콘 및 그 유도체, 카티온성 전분, 디알릴 4 급 암모늄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물, 4 급화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콘쿼터늄-13, 실리콘쿼터늄-15, 실리콘쿼터늄-16, 실리콘쿼터늄-17, 실리콘쿼터늄-18, 실리콘쿼터늄-22, 실리콘쿼터늄-25, 실리콘쿼터늄-26, 실리콘쿼터늄-3, 실리콘쿼터늄-5, 실리콘쿼터늄-8, 폴리쿼터늄-1,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02, 폴리쿼터늄-103, 폴리쿼터늄-104, 폴리쿼터늄-, 105, 폴리쿼터늄-106, 폴리쿼터늄-107,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111, 폴리쿼터늄-112, 폴리쿼터늄-113, 폴리쿼터늄-16, 폴리쿼터늄-2, 폴리쿼터늄-22, 폴리쿼터늄-24, 폴리쿼터늄-28, 폴리쿼터늄-30, 폴리쿼터늄-32, 폴리쿼터늄-33, 폴리쿼터늄-37, 폴리쿼터늄-39, 폴리쿼터늄-4, 폴리쿼터늄-43, 폴리쿼터늄-44, 폴리쿼터늄-46, 폴리쿼터늄-47, 폴리쿼터늄-48, 폴리쿼터늄-49, 폴리쿼터늄-5, 폴리쿼터늄-50, 폴리쿼터늄-51, 폴리쿼터늄-52, 폴리쿼터늄-53, 폴리쿼터늄-54, 폴리쿼터늄-55, 폴리쿼터늄-56, 폴리쿼터늄-57, 폴리쿼터늄-59,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61, 폴리쿼터늄-62, 폴리쿼터늄-63, 폴리쿼터늄-64, 폴리쿼터늄-65, 폴리쿼터늄-66, 폴리쿼터늄-67, 폴리쿼터늄-68, 폴리쿼터늄-69,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70, 폴리쿼터늄-72, 폴리쿼터늄-73, 폴리쿼터늄-74, 폴리쿼터늄-75, 폴리쿼터늄-76, 폴리쿼터늄-77, 폴리쿼터늄-84, 폴리쿼터늄-85, 폴리쿼터늄-86, 폴리쿼터늄-87, 폴리쿼터늄-90, 폴리쿼터늄-91, 폴리쿼터늄-92, 폴리쿼터늄-94, 폴리쿼터늄-99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성분 (A) 와 조합했을 때, 본 발명의 우수한 효과가 쉽게 얻어지는 점에서, 폴리쿼터늄-6 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 (B) 인 카티온 계면 활성제 및 카티온성 폴리머는, 그것들을 단독으로 성분 (A) 와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이것들을 병용하여 성분 (A) 와 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인 유동성 및 사용 후의 모발의 감촉이 상승적으로 개선된다. 그 때문에, 성분 (B) 인 카티온 계면 활성제 및 카티온성 폴리머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B) 인 카티온 계면 활성제 및 카티온성 폴리머는, 각각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배합해도 된다. 그 배합량은 특별히 규정되지 않지만, 현저한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점에서, 모발 화장료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서, 합계로 0.01 ∼ 20 질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 ∼ 10 질량% 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 ∼ 5 질량%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5 ∼ 1 질량% 배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성분 (A) 와 성분 (B) 의 배합비 (질량비) 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성분 (A) 의 겔화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얻어지고, 모발 화장료에 적당한 유동성이 얻어지는 점에서, 성분 (A) : 성분 (B) = 1 : 0.02 ∼ 1 : 50 (질량비) 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성분 (B) 가 카티온 계면 활성제이며, 또한 유성 성분이 5 질량% 이하의 수계 화장료인 경우에는, 성분 (A) : 성분 (B) = 1 : 0.02 ∼ 1 : 1 로 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성분 (A) : 성분 (B) = 1 : 0.05 ∼ 1 : 1 로 배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성분 (A) : 성분 (B) = 1 : 0.1 ∼ 1 : 1 로 배합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유성 성분이란, 후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첨가되는 액체 유지,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고체 유지, 납 (蠟), 탄화수소유 및 고급 지방산을 가리킨다.
성분 (B) 가 카티온성 폴리머 혹은 카티온 계면 활성제와 카티온성 폴리머의 혼합물이며, 또한 유성 성분이 5 질량% 이하의 수계 화장료인 경우 또는 성분 (B) 의 종류에 의하지 않고 유성 성분이 5 질량% 를 초과하여 배합되는 유화 (乳化) 화장료 혹은 오일계 화장료인 경우에는, 성분 (A) : 성분 (B) = 1 : 1 ∼ 1 : 50 으로 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성분 (A) : 성분 (B) = 1 : 1 ∼ 1 : 30 으로 배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성분 (A) : 성분 (B) = 1 : 1 ∼ 1 : 10 으로 배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질적, 양적 범위 내이면, 적절히 여러 가지 특성을 부여하는 목적에서, 화장료 조성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그 밖의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말 성분, 액체 유지,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고체 유지, 납, 탄화수소유,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코올, 폴리올 화합물, 논이온 계면 활성제, 아니온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금속 이온 봉쇄제, 당, 아미노산 및 그 유도체, 유기 아민, pH 조정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혈행 촉진제, 소염제, 부활 제, 미백제, 항지루제, 항염증 및 각종 추출물 등을 들 수 있고, 이 중에서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임의로 배합할 수 있다.
분말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무기 분말 (예를 들어, 탤크, 카올린, 운모, 견운모 (세리사이트), 백운모, 금운모, 합성 운모, 홍운모, 흑운모, 버미큘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마그네슘, 실리카,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소성 황산칼슘 (소석고), 인산칼슘, 불소아파타이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세라믹 파우더, 금속 비누 (예를 들어, 미리스트산아연, 팔미트산칼슘,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질화붕소 등) ; 유기 분말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 (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분말,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분말, 폴리스티렌 분말, 스티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폴리사불화에틸렌 분말, 셀룰로오스 분말 등) ; 무기 백색 안료 (예를 들어,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 ; 무기 적색계 안료 (예를 들어, 산화철 (벵갈라), 티탄산철 등) ; 무기 갈색계 안료 (예를 들어, γ-산화철 등) ; 무기 황색계 안료 (예를 들어, 황산화철, 황토 등) ; 무기 흑색계 안료 (예를 들어, 흑산화철, 저차 산화티탄 등) ; 무기 보라색계 안료 (예를 들어, 망간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 ; 무기 녹색계 안료 (예를 들어,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코발트 등) ; 무기 청색계 안료 (예를 들어, 군청, 감청 등) ; 펄 안료 (예를 들어, 산화티탄 코티드 마이카, 산화티탄 코티드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 코티드 탤크, 착색 산화티탄 코티드 마이카, 옥시염화비스무트, 어린박 (魚鱗箔) 등) ; 금속 분말 안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 파우더, 쿠퍼 파우더 등) ;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레이크 등의 유기 안료 (예를 들어, 적색 201 호, 적색 202 호, 적색 204 호, 적색 205 호, 적색 220 호, 적색 226 호, 적색 228 호, 적색 405 호, 등색 203 호, 등색 204 호, 황색 205 호, 황색 401 호, 및 청색 404호 등의 유기 안료, 적색 3 호, 적색 104 호, 적색 106 호, 적색 227 호, 적색 230 호, 적색 401 호, 적색 505 호, 등색 205 호, 황색 4 호, 황색 5 호, 황색 202 호, 황색 203 호, 녹색 3 호 및 청색 1 호 등) ; 천연 색소 (예를 들어, 클로로필, β-카로틴 등) 등을 들 수 있다.
액체 유지로는, 예를 들어, 아보카도유, 동백유, 터틀유, 마카데미아 너트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씨유, 난황유, 참깨유, 퍼식유, 밀 배아유, 애기동백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새플라워유, 면실유, 들깨유, 대두유, 낙화생유, 다실유 (茶實油), 비자유, 미강유, 중국 동백유, 일본 동백유, 호호바유,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유로는,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스테아르산부틸, 올레산올레일, 리시놀레산옥틸도데실,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옥틸, 파라메톡시계피산에틸헥실,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트리(카프릴·카프르산)글리세릴, 트리헥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dl-α-토코페롤, 니코틴산dl-α-토코페롤, 테트라옥탄산펜타에리트리틸, 트리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디펜타에리트리틸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로는, 폴리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티콘, 메틸페닐폴리실록산, 고리형 디메티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카르비놀 변성 실리콘, 메타크릴 변성 실리콘, 메르캅토 변성 실리콘, 페놀 변성 실리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메틸스티릴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고체 유지로는, 예를 들어, 카카오지, 야자유, 경화 야자유, 팜유, 팜핵유, 목랍핵유, 경화유, 목랍, 경화 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납으로는, 예를 들어, 밀랍, 칸데릴라납, 면납, 카르나우바납, 베이베리납, 충백랍, 경랍(鯨蠟), 몬탄납, 쌀겨납, 라놀린, 케이폭랍, 아세트산라놀린, 액상 라놀린, 사탕수수납,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우르산헥실, 환원 라놀린, 호호바납, 경질 라놀린, 셀락납, POE 라놀린알코올에테르, POE 라놀린알코올아세테이트, POE 콜레스테롤에테르,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 첨가 라놀린알코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유로는, 예를 들어, 유동 파라핀,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란, 프리스탄,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렌, 바셀린,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지방산으로는, 예를 들어, 데칸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헤닌산, 올레산, 운데실렌산, 톨유 지방산,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리놀산, 리놀렌산, 에이코사펜타엔산 (EPA), 도코사헥사엔산 (DHA)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데실알코올, 라우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등의 직사슬 알코올,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실알코올, 라놀린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헥실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칸올 등의 분기 사슬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당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논이온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레에이트, 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펜타-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소르비탄 등) ; 글리세린·폴리글리세린 지방산류 (예를 들어, 모노 면실유 지방산글리세린, 모노에루크산글리세린, 세스퀴올레인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POE-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모노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린, α,α'-올레인산피로글루타민산글리세린, 스테아르산말산글리세릴 등) ;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모노스테아르산프로필렌글리콜 등) ;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류 ; 글리세린·폴리글리세린알킬에테르류 (예를 들어, 폴리글리세릴·폴리옥시부틸렌스테아릴에테르 등) ; POE-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POE-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소르비탄테트라올레에이트 등) ; POE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POE-소르비트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트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펜타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모노스테아레이트 등) ; POE-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POE-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 ; POE-디 지방산 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POE-디스테아레이트, POE-디올레에이트 등) ;
POE-알킬에테르류 (예를 들어, POE-라우릴에테르, POE-올레일에테르, POE-스테아릴에테르, POE-베헤닐에테르, POE-2-옥틸도데실에테르, POE-콜레스탄올에테르 등) ; 플루로닉형류 (예를 들어, 플루로닉 등) ; POE·POP-알킬에테르류 (예를 들어, POE·POP-라우릴에테르, POE·POP-세틸에테르, POE·POP-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POP-모노부틸에테르, POE·POP-수소 첨가 라놀린, POE·POP-글리세린에테르 등) ; 테트라POE·테트라POP-에틸렌디아민 축합물류 (예를 들어, 테트로닉 등) ; POE-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류 (예를 들어, POE-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피로글루타민산모노이소스테아르산디에스테르, POE-경화 피마자유 말레산 등) ; POE-밀랍·라놀린 유도체류 (예를 들어, POE-소르비트 밀랍 등) ; 알칸올아미드류 (예를 들어,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 지방산 이소프로판올아미드 등) ; POE-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 ; POE-알킬아민류 ; N-메틸알킬글루카미드류 (예를 들어, N-메틸라우릴글루카미드 등) N-폴리하이드록시알킬 지방산 아미드류 ; POE-지방산 아미드류 ;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자당모노스테아레이트, 자당모노라우레이트, POP-자당모노라우레이트 등) ;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사이드류 ; 트리올레일인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POE 는 폴리옥시에틸렌의 약자이고, POP 는 폴리옥시프로필렌의 약자이다.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고급 지방산염형 계면 활성제, 술폰산염형 계면 활성제, 황산에스테르염형 계면 활성제, 인산에스테르염형 계면 활성제, 술포숙신산염형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지방산염형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탄소수 12 ∼ 18 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야자유 지방산, 경화 야자유 지방산, 팜유 지방산, 경화 팜유 지방산, 우지 지방산, 경화 우지 지방산 등의 염 (칼륨염, 나트륨염, 트리에탄올아민염, 암모늄염 등) 등의 지방산 비누 ;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알릴에테르카르복실산염, N-아실사르코신염, N-아실글루타민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라우르산칼륨, 라우르산나트륨, 팔미트산나트륨, 미리스트산칼륨, 라우릴에테르카르복실산나트륨, N-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N-라우로일글루타민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글루타민산나트륨, N-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디나트륨, N-미리스토일-L-글루타민산모노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이세티온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술폰산염형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고급 지방산 아미드술폰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N-아실아미노술폰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술폰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나트륨, N-스테아로일-N-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아실메틸타우린나트륨, 라우릴메틸타우린나트륨,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도데실벤젠술폰산트리에탄올아민, N-코코일-N-메틸타우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황산에스테르염형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고급 알킬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황산염, 2 급 알코올 황산염, 고급 지방산 알킬올아미드황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칼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경화 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린황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인산에스테르염형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모노라우릴인산트리에탄올아민, 모노라우릴인산디칼륨,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인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인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술포숙신산염형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술포숙신산나트륨, 디-2-에틸헥실술포숙신산나트륨, 모노라우로일모노에탄올아미드폴리옥시에틸렌술포숙신산나트륨, 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술포숙신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양쪽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이미다졸린형 양쪽성 계면 활성제,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 활성제, 아실 제 3 급 아민옥사이드, 아실 제 3 급 포스폰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미다졸린형 양쪽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2-운데실-N,N,N-(하이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하이드록사이드-1-카르복시에틸옥시2나트륨염 등을 들 수 있다.
베타인형 양쪽성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알킬베타인, 알킬아미드베타인, 알킬술포베타인, 알킬하이드록시술포베타인, 포스포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미리스틸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야자유 지방산아미드프로필베타인, 야자유 지방산디메틸술포프로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하이드록시술포베타인, 라우릴하이드록시포스포베타인,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하이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야자유 알킬-N-하이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아실 제 3 급 아민옥사이드로는, 예를 들어,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아실 제 3 급 포스폰옥사이드로는, 예를 들어 라우릴디메틸포스폰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자일리톨, 소르비톨, 말티톨, L-글루타민산, 콘드로이틴황산, 히알루론산, 무코이틴황산, 카로닌산, 아테로콜라겐, 콜레스테릴-12-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락트산나트륨, 담즙산염, dl-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 단사슬 가용성 콜라겐, 디글리세린 (EO) PO 부가물, 록스부르기 장미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멜리로트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단, 카티온성 폴리머를 제외한다) 로는, 예를 들어, 전분계 고분자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전분,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전분 등) ;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결정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분말 등) ; 알긴산계 고분자 (예를 들어, 알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 ; 비닐계 고분자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등) ;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40,000, 60,000 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 아크릴계 고분자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이온 봉쇄제로는, 예를 들어, 1-하이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1-하이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4나트륨염, 에데트산2나트륨, 에데트산3나트륨, 에데트산4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인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숙신산, 에데트산, 에틸렌디아민하이드록시에틸3아세트산3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단당으로는, 예를 들어, 삼탄당 (예를 들어, D-글리세릴알데히드,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등) ; 사탄당 (예를 들어, D-에리트로오스, D-에리톨로오스, D-트레오스, 에리트리톨 등) ; 오탄당 (예를 들어, L-아라비노오스, D-자일로오스, L-릭소오스, D-아라비노오스, D-리보스, D-리불로오스, D-자일로오스, L-자일로오스 등) ; 육탄당 (예를 들어, D-글루코오스, D-탈로오스, D-프시코오스, D-갈락토오스, D-프룩토오스, L-갈락토오스, L-만노오스, D-타가토오스 등) ; 칠탄당 (예를 들어, 알도헵토오스, 헵토오스 등) ; 팔탄당 (예를 들어, 옥툴로오스 등) ; 데옥시당 (예를 들어, 2-데옥시D-리보스, 6-데옥시-L-갈락토오스, 6-데옥시-L-만노오스 등) ; 아미노당 (예를 들어, D-글루코사민, D-갈락토사민, 시알산, 아미노우론산, 무라민산 등) ; 우론산 (예를 들어, D-글루크론산, D-만누론산, L-글루론산, D-갈락투론산, L-이두론산 등) 등을 들 수 있다.
올리고당으로는, 예를 들어, 자당, 움벨리페로오스, 락토오스, 플란테오스, 이소리크노오스류, α,α-트레할로스, 라피노오스, 리크노오스류, 움빌리신, 스타키오스베르바스코오스류 등을 들 수 있다.
다당으로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퀸스 시드, 콘드로이틴황산, 전분, 갈락탄, 데르마탄황산, 글리코겐, 아라비아 검, 헤파란황산, 히알루론산, 트래거캔스 검, 케라탄 황산, 콘드로이틴, 잔탄 검, 무코이틴황산, 구아 검, 덱스트란, 케라토황산, 로커스트빈 검, 숙시노글리칸, 카로닌산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으로는, 예를 들어, 중성 아미노산 (예를 들어, 트레오닌, 시스테인 등) ; 염기성 아미노산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리신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 아미노산 유도체로서, 예를 들어, 아실사르코신나트륨 (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아실글루타민산염, 아실β-알라닌나트륨, 글루타티온,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아민으로는, 예를 들어,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르폴린,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는, 예를 들어, 락트산-락트산나트륨, 시트르산-시트르산나트륨, 숙신산-숙신산나트륨 등의 완충제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으로는, 예를 들어, 비타민 A, B1, B2, B6, C, E 및 그 유도체, 판토텐산 및 그 유도체, 비오틴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토코페롤류,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갈산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배합 가능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방부제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페녹시에탄올 등) ; 소염제 (예를 들어, 글리시리진산 유도체, 글리시레틴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히노키티올, 산화아연, 알란토인 등) ; 미백제 (예를 들어, 바위취 추출물, 알부틴 등) ; 각종 추출물 (예를 들어, 황벽, 황련, 자근, 작약, 센부리 (Japanese green gentian), 자작나무, 셀비어, 비파나무, 당근, 알로에, 아욱, 아이리스, 포도, 율무, 수세미, 백합, 사프란, 천궁이, 생강, 고추나물, 오노니스, 마늘, 고추, 진피, 당귀, 해조 (海藻) 등), 부활제 (예를 들어, 로열 젤리, 감광소, 콜레스테롤 유도체 등) ; 혈행 촉진제 (예를 들어, 니코틴산벤질에스테르, 니코틴산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캡사이신, 진게론, 칸타리스팅크, 익타몰, 타닌산, α-보르네올, 니코틴산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클란델레이트, 신나리진, 톨라졸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γ-오리자놀 등) ; 항지루제 (예를 들어, 황, 티안톨 등) ; 항염증제 (예를 들어, 트라넥삼산, 티오타우린, 하이포타우린 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 가능한 제품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필요로 하는,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팩, 헤어-컨디셔닝 샴푸, 브러싱 로션, 헤어-토닉, 헤어-리키드, 퍼머넌트 웨이브제, 브리치제, 헤어 다이, 헤어-매니큐어, 헤어-코트제 등의 제품에 이용할 수 있다.
또, 25 ℃ 에서의 1 질량% 수용액의 점도가 1,000 ∼ 5,000 m㎩·s 이고, 1 질량% 수용액의 흐림점이 60 ℃ 이상 80 ℃ 이하이며,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 30,000 인, 본 발명의 성분 (A) 의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수계 겔화제를,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 및 카티온성 폴리머 중의 어느 것 혹은 양방을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유동성, 점도의 온도 안정성 및 사용 후의 모발의 감촉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효과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전체를 개선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 예들에 의해서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또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화시켜도 된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 등에 있어서 % 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질량 기준이다.
먼저,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하는 성분 (A) 를 제조한다.
<성분 (A) 의 제조에 사용하는 원료>
성분 (A) 를 제조할 때 사용한 원료를 아래에 나타낸다.
화합물 (2)-1 : 일반식 (2) 에 있어서, R10 = 데실기, R11 = 도데실기, R12 = 에틸렌기, r = 20 인 화합물
화합물 (2)-2 : 일반식 (2) 에 있어서, R10 = 옥틸기, R11 = 데실기, R12 = 에틸렌기, r = 20 인 화합물
화합물 (2)-3 : 일반식 (2) 에 있어서, R10 = 도데실기, R11 = 테트라데실기, R12 = 에틸렌기, r = 20 인 화합물
화합물 (2)-4 : 일반식 (2) 에 있어서, R10 = 데실기, R11 = 도데실기, R12 = 에틸렌기, r = 100 인 화합물
화합물 (3)-1 : 일반식 (3) 에 있어서, R13 = 에틸렌기, t = 250 인 화합물
화합물 (3)-2 : 일반식 (3) 에 있어서, R13 = 에틸렌기, t = 450 인 화합물
화합물 (4)-1 :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4)-2 :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MDI)
촉매 1 : 라우르산칼륨
촉매 2 : 라우르산나트륨
촉매 3 :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촉매 4 :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성분 (A) 의 제조 방법>
온도계, 질소 도입관 및 교반기를 장착한 4 구 플라스크에, 화합물 (3)-1 을 550 g (0.05 ㏖), 화합물 (2)-1 을 198 g (0.16 ㏖) 주입하여, 40 ∼ 50 ℃ 로 승온하고, 각 성분이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여, 각 성분이 균일하게 혼합된 것을 확인한 후, 화합물 (4)-1 을 29.6 g (0.18 ㏖), 촉매 1 을 5.8 g (0.02 ㏖) 주입하고, 계 내를 질소 치환하였다. 그 후, 다시 80 ∼ 90 ℃ 까지 승온하고, 동 온도에서 6 시간 반응시켜, 성분 (A)-1 을 얻었다.
또한, 표 1 에 기재된 원료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성분 (A)-2 ∼ (A)-12 를 제조하였다. 또한, 성분 (A)-9 및 (A)-10 에 관해서는, 촉매는 사용하지 않고 제조하고, 성분 (A)-1 ∼ (A)-12 는 모두 원료인 화합물 (2), 화합물 (3) 및 화합물 (4) 의 합계 질량 (반응계 전체의 질량) 을 통일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6
다음으로, 얻어진 성분 (A)-1 ∼ (A)-12 의 구조 및 물성을 표 2 에 나타냈다. 또한, 얻어진 각 성분 (A) 는, 일반식 (1) 에 있어서 g 가 1 ∼ 10 인 수계 겔화제와 g 가 0 인 수계 겔화제의 혼합물인 경우가 있고, 그 질량비에 관해서도 표 2 에 나타냈다.
1 질량% 수용액의 점도의 측정 방법
얻어진 각 성분 (A) 를 각각 1 질량% 수용액이 되도록 물을 첨가하여 측정용 시료를 조제하고, 25 ℃ 에서 B 형 점도계 (토키 산업 주식회사 제조, 형번 TVB-10)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 질량% 수용액의 흐림점의 측정 방법
상기 조제한 각 성분 (A) 의 1 질량% 수용액을 항온조에 설치하고, 서서히 가온 (약 1 ℃ 분) 하여 탁함이 발생되는 온도를 흐림점 (℃) 으로 하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방법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세한 측정 조건은 아래와 같다.
GPC 장치 : HLC-8220GPC (토소 주식회사 제조)
칼럼 : TSKgel guardcolumn SuperMP (HZ)-N (1 개), TSKgel SuperMultipore HZ-N (4 개) 의 5 개의 칼럼을 직렬로 접속하여 사용.
검출기 : Rl
샘플 농도 : 5 ㎎/㎖ (in THF 용액)
칼럼 온도 : 40 ℃
표준 샘플 : 폴리스티렌
성분 (A) 의 일반식 (1) 중의 g 가 0 인 화합물과 g 가 1 ∼ 10 인 화합물의 질량비는, 상기 GPC 에서 얻어진 차트를 사용하여, 그 면적비로부터 산출하였다.
Figure pct00007
<성분 (B)>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한 성분 (B) 를 아래에 나타낸다.
성분 (B)-1 :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성분 (B)-2 :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성분 (B)-3 :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성분 (B)-4 :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성분 (B)-5 : 베헤닌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성분 (B)-6 : 폴리쿼터늄-6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조제>
다음으로, 전술한 각 성분 (A) 와 각 성분 (B) 를 사용하여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조제를 행하였다 (표 3 ∼ 표 7). 또한, 표 3 ∼ 표 7 에 기재된 실시예 및 비교예는, 린스로서 배합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다.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모발 화장료의 성능 평가>
상기표 3 ∼ 표 7 에 기재된 조성으로 조제한 실시예 1 ∼ 18 및 비교예 1 ∼ 21 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1) 유동성, (2) 점도의 온도 안정성, (3) 사용 후의 모발의 감촉에 대해서 평가를 행하였다. 각 평가 기준에 관해서는 아래와 같다. 또한, 점도의 측정은, B 형 점도계 (토키 산업 주식회사 제조, 형번 TVB-10) 를 사용하여 측정을 행하였다.
(1) 유동성
린스 혹은 컨디셔닝 샴푸로서 사용할 때, 사용하기 쉬운 유동성을 갖고 있는지 없는지에 관해서 관능 평가 시험을 행하였다. 린스나 컨디셔닝 샴푸에는, 샴푸를 한 후에 사용함으로써, 머리카락을 피막으로 덮고, 알칼리성으로 치우친 모발을 중화하거나,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윤기나 촉촉함, 낭창낭창하게 하거나, 빗질한 대로 되거나, 정전기를 예방하는 등의 효과가 요구된다. 따라서, 물과 같은 점도가 낮은 액체에서는, 모발에 쉽게 발라서 넓혀 가기가 나빠져, 머리카락을 피막으로 덮는 효율이 떨어지고, 나아가서는 사용상 취급하기 어렵다는 디메리트가 발생된다. 또, 린스나 컨디셔닝 샴푸는, 펌프식 용기에 수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이들 모발 화장료는 펌프식 용기로부터 압출해 낼 수 있기 위해서 적당한 점도가 아니면 안된다. 추가로, 그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도, 머리카락에 쉽게 발라서 넓혀 가기가 나빠져, 머리카락을 피막으로 덮는 효율이 떨어지고, 나아가서는 사용상 취급하기 어렵다는 디메리트가 발생된다. 즉, 본 시험에서는, 린스나 컨디셔닝 샴푸로서 사용할 때, 모발에 도포할 때의 편리성을 그 유동성의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표 3 ∼ 표 7 에 기재된 조성으로 조제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100 ㎖ 펌프식의 용기에 50 g 넣고, (ⅰ) 펌프식 용기로부터의 압출 용이성, (ⅱ) 손바닥에 압출한 모발 화장료를 머리카락에 도포할 때의 발라서 넓혀 가기의 용이성 (취급 용이성) 에 관하여, 10 명에게 5 점 만점 (최저점은 1 점) 으로 종합적으로 평가하도록 지시하고, 그리고 그 합계 점수를 기준으로 이하 A ∼ E 로 평가하였다. 평가가 B 이상인 것을 합격으로 하였다.
A : 합계 점수가 45 ∼ 50 점
B : 합계 점수가 40 ∼ 44 점
C : 합계 점수가 35 ∼ 39 점
D : 합계 점수가 30 ∼ 34 점
E : 합계 점수가 29 점 이하
(2) 점도의 온도 안정성
표 3 ∼ 표 7 에 기재된 샘플을 각각 투명 유리 용기 100 g 에 넣고, 25 ℃ 및 50 ℃ 의 항온조에서 2 개월간 보존하였다. 그 후, 샘플 상태 (점도) 를 25 ℃ 에서 측정하고, 그 결과로부터 25 ℃ 보존 샘플의 점도 (기준치) 와 50 ℃ 보존 샘플의 점도의 차를 점도 변화율로서 산출하여, 이하 A ∼ D 로 평가하였다. 평가가 B 이상인 것을 합격으로 하였다.
A : 25 ℃ 보존 샘플의 점도와 비교하여, 50 ℃ 보존 샘플의 점도의 변화율이 10 % 이하였다.
B : 25 ℃ 보존 샘플의 점도와 비교하여, 50 ℃ 보존 샘플의 점도의 변화율이 10 % 보다 크고, 20 % 이하였다.
C : 25 ℃ 보존 샘플의 점도와 비교하여, 50 ℃ 보존 샘플의 점도의 변화율이 20 % 보다 크고, 30 % 이하였다.
D : 25 ℃ 보존 샘플의 점도와 비교하여, 50 ℃ 보존 샘플의 점도의 변화율이 30 % 보다 컸다.
(3) 사용 후의 모발의 감촉
사용 후의 모발의 감촉이란, 구체적으로는 (Ⅰ) 샴푸를 한 후에, 표 3 ∼ 표 7 에 기재된 조성으로 조제한 샘플을 도포하여 씻어낸 직후의 모발의 낭창낭창함, (Ⅱ) 다시 드라이어로 머리카락을 완전히 말린 후의 모발의 정돈 용이성 (보습감) 및 (Ⅲ) 빗질한 대로인지의 양호성 (매끄러움) 의 종합 평가를 가리킨다. 상기한 감촉에 관해서 10 명에게 5 점 만점 (최저점은 1 점) 으로 표 3 ∼ 표 7 에 기재된 샘플을 각각 종합적으로 점수를 부여하게 하고, 그리고 그 합계 점수를 기준으로 아래 A ∼ E 로 평가하였다. 평가가 B 이상인 것을 합격으로 하였다.
A : 합계 점수가 45 ∼ 50 점
B : 합계 점수가 40 ∼ 44 점
C : 합계 점수가 35 ∼ 39 점
D : 합계 점수가 30 ∼ 34 점
E : 합계 점수가 29 점 이하
평가 결과를 아래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결과적으로, 본 발명품은 (1) 유동성, (2) 점도의 온도 안정성, (3) 사용 후의 모발의 감촉 모두의 항목에 있어서 양호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화장료에 적당한 유동성을 갖고, 점도의 온도 안정성이 높으며, 나아가서는, 종래의 모발 화장료 이상의, 사용 후의 모발의 감촉이 양호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다. 당해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사용감이 우수한 발명인 점에서, 니즈는 높고, 그 유용성은 매우 크다.

Claims (9)

  1. 아래의 성분 (A) 및 (B) 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로서, 성분 (A) 의 25 ℃ 에서의 1 질량% 수용액의 점도가 1,000 ∼ 5,000 m㎩·s 이고, 성분 (A) 의 1 질량% 수용액의 흐림점이 60 ℃ 이상 80 ℃ 이하이며, 성분 (A)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 30,000 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
    성분 (A) : 아래의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수계 겔화제
    Figure pct00018

    (식 중, R1, R2, R8 및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 ∼ 20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3, R5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4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R4 및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 16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a 및 e 는 각각 독립적으로 10 ∼ 100 의 수를 나타내고, d 는 100 ∼ 500 의 수를 나타내고, g 는 0 ∼ 10 의 수를 나타낸다.) ;
    성분 (B) :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 및 카티온성 폴리머 중의 어느 것 혹은 양방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A) 인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수계 겔화제의, R1, R2, R8 및 R9 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0 ∼ 12 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성분 (A) 인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수계 겔화제의, R4 및 R6 이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 ∼ 8 의 2 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B) 가, 일반식 (5) 로 나타내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및 일반식 (11) 로 나타내는 아미드 화합물 중의 어느 것 혹은 양방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
    R14-N+(CH3)3X- (5)
    (식 중, R14 는 탄소수 10 ∼ 2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는 할로겐화물 이온, 메토술페이트 이온, 에토술페이트 이온, 메토포스페이트 이온, 에토포스페이트 이온, 메토카보네이트 이온을 나타낸다.)
    R22-CONH-(R23)-N-(R24)2 (11)
    (식 중, R22 는 탄소수 10 ∼ 2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3 은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R24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B) 가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 및 카티온성 폴리머의 혼합물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
  6. 하기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몰비로 2 에 대해서,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알코올 화합물을 몰비로 1.5 ∼ 2.4 및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폴리알킬렌글리콜을 몰비로 0.5 ∼ 1.4 의 양으로 첨가하고, 고급 지방산 금속염의 존재하에서 이것들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수계 겔화제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19

    (식 중, R1, R2, R8 및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 ∼ 20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3, R5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4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R4 및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 16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a 및 e 는 각각 독립적으로 10 ∼ 100 의 수를 나타내고, d 는 100 ∼ 500 의 수를 나타내고, g 는 0 ∼ 10 의 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0

    (식 중, R10 및 R1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 ∼ 20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12 는 탄소수 2 ∼ 4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r 은 10 ∼ 100 의 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1

    (식 중, R13 은 탄소수 2 ∼ 4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t 는 100 ∼ 500 의 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2

    (식 중, Q 는, 탄소수 3 ∼ 16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급 지방산 금속염이, 라우르산 금속염, 미리스트산 금속염, 팔미트산 금속염, 스테아르산 금속염, 올레산 금속염의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고급 지방산 금속염인, 수계 겔화제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급 지방산 금속염이, 라우르산 금속염인, 수계 겔화제의 제조 방법.
  9. 하기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몰비로 2 에 대해서,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알코올 화합물을 몰비로 1.5 ∼ 2.4 및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폴리알킬렌글리콜을 몰비로 0.5 ∼ 1.4 의 양으로 첨가하고, 고급 지방산 금속염의 존재하에서 이것들을 반응시켜,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수계 겔화제를 얻는 공정, 및
    상기 수계 겔화제 그리고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 및 카티온성 폴리머 중의 어느 것 혹은 양방을 조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23

    (식 중, R1, R2, R8 및 R9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 ∼ 20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3, R5 및 R7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 4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R4 및 R6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 16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a 및 e 는 각각 독립적으로 10 ∼ 100 의 수를 나타내고, d 는 100 ∼ 500 의 수를 나타내고, g 는 0 ∼ 10 의 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4

    (식 중, R10 및 R11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 ∼ 20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12 는 탄소수 2 ∼ 4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r 은 10 ∼ 100 의 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5

    (식 중, R13 은 탄소수 2 ∼ 4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t 는 100 ∼ 500 의 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6

    (식 중, Q 는, 탄소수 3 ∼ 16 의 2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KR1020207009111A 2017-09-07 2018-08-28 수계 겔화제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그리고 그 수계 겔화제 및 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2000516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72299 2017-09-07
JP2017172299 2017-09-07
PCT/JP2018/031704 WO2019049722A1 (ja) 2017-09-07 2018-08-28 水系ゲル化剤を含む毛髪化粧料組成物、並びに該水系ゲル化剤及び該毛髪化粧料組成物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671A true KR20200051671A (ko) 2020-05-13

Family

ID=6563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9111A KR20200051671A (ko) 2017-09-07 2018-08-28 수계 겔화제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그리고 그 수계 겔화제 및 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200405617A1 (ko)
EP (1) EP3679921A4 (ko)
JP (1) JP7179004B2 (ko)
KR (1) KR20200051671A (ko)
CN (1) CN111065373B (ko)
WO (1) WO20190497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289B1 (ko) * 2020-10-26 2021-07-12 주식회사 엔베코코스메틱 모발용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0329A (ja) 2000-06-26 2002-03-19 Shiseido Co Ltd 毛髪処理剤組成物
JP2002105493A (ja) 2000-06-26 2002-04-10 Shiseido Co Ltd 洗浄剤組成物
JP2006225318A (ja) 2005-02-17 2006-08-31 Shiseido Co Ltd 毛髪化粧料
JP2011006371A (ja) 2009-06-29 2011-01-13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2014040385A (ja) 2012-08-21 2014-03-06 Shiseido Co Ltd 乳化化粧料
JP2016023180A (ja) 2014-07-24 2016-02-08 ロート製薬株式会社 ジェル状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30319A1 (de) * 1986-09-05 1988-03-10 Akzo Gmbh Verdickungsmittel
KR100613969B1 (ko) * 1998-12-17 2006-08-18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화장료 조성물
JP4289571B2 (ja) * 1999-02-25 2009-07-01 株式会社Adeka 粘性調整剤
EP1295591B1 (en) * 2000-06-26 2007-05-16 Shiseido Company Limited Hair grooming preparation
DE10118268A1 (de) * 2001-04-12 2002-10-17 Cognis Deutschland Gmbh Kosmetische Zubereitungen
JP4745548B2 (ja) * 2001-07-12 2011-08-10 花王株式会社 毛髪処理剤組成物
JP4847658B2 (ja) * 2001-09-28 2011-12-28 東邦化学工業株式会社 毛髪用組成物
KR101104659B1 (ko) * 2004-02-09 2012-01-13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모발 화장료
JP2007176895A (ja) * 2005-12-28 2007-07-12 Kao Corp 水性毛髪洗浄剤
JP5462465B2 (ja) * 2008-10-15 2014-04-02 小川香料株式会社 水性ゲル状芳香剤組成物の製造方法
US9745407B2 (en) * 2012-11-29 2017-08-29 Adeka Corporation Urethane-type polymers and use thereof
JP6362243B2 (ja) * 2013-06-07 2018-07-25 株式会社Adeka 化粧料用ゲル状組成物
JP2015048306A (ja) * 2013-08-30 2015-03-16 川研ファインケミカル株式会社 ヘア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JP2015091771A (ja) * 2013-10-01 2015-05-14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化粧料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0329A (ja) 2000-06-26 2002-03-19 Shiseido Co Ltd 毛髪処理剤組成物
JP2002105493A (ja) 2000-06-26 2002-04-10 Shiseido Co Ltd 洗浄剤組成物
JP2006225318A (ja) 2005-02-17 2006-08-31 Shiseido Co Ltd 毛髪化粧料
JP2011006371A (ja) 2009-06-29 2011-01-13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2014040385A (ja) 2012-08-21 2014-03-06 Shiseido Co Ltd 乳化化粧料
JP2016023180A (ja) 2014-07-24 2016-02-08 ロート製薬株式会社 ジェル状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289B1 (ko) * 2020-10-26 2021-07-12 주식회사 엔베코코스메틱 모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65373B (zh) 2023-02-28
EP3679921A4 (en) 2021-06-16
JP7179004B2 (ja) 2022-11-28
JPWO2019049722A1 (ja) 2020-08-20
US20220257496A1 (en) 2022-08-18
WO2019049722A1 (ja) 2019-03-14
US20200405617A1 (en) 2020-12-31
CN111065373A (zh) 2020-04-24
EP3679921A1 (en) 202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9005B2 (ja) 水系ゲル化剤を含む皮膚用又は毛髪用洗浄剤組成物、並びに該水系ゲル化剤及び該洗浄剤組成物の製造方法
TWI412543B (zh) 環氧烷衍生物及含此環氧烷衍生物之皮膚外用劑
JP6362243B2 (ja) 化粧料用ゲル状組成物
JP2015027953A (ja) 皮膚用化粧料
TW201813623A (zh) 組成物及製品
US20220257496A1 (en) Hai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queous gelling ag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queous gelling agent and hair cosmetic composition
KR102397806B1 (ko) 수계 겔화제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화장료
JP7179006B2 (ja) 水系ゲル化剤を含む化粧料組成物、並びに該水系ゲル化剤及び該化粧料組成物の製造方法
EP3603609B1 (en) Cosmetic emulsion composition
WO2020162248A1 (ja) ウレタン変性シリコーン及びそれを含有する油類組成物並びに化粧料組成物
JP2024074749A (ja) 化粧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