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1340A - 정련제 및 이를 이용한 용선 정련 방법 - Google Patents

정련제 및 이를 이용한 용선 정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1340A
KR20200051340A KR1020180134584A KR20180134584A KR20200051340A KR 20200051340 A KR20200051340 A KR 20200051340A KR 1020180134584 A KR1020180134584 A KR 1020180134584A KR 20180134584 A KR20180134584 A KR 20180134584A KR 20200051340 A KR20200051340 A KR 20200051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molten iron
cao
mass
ref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6718B1 (ko
Inventor
김완이
김영근
송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34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718B1/ko
Priority to PCT/KR2019/014839 priority patent/WO2020096308A1/ko
Publication of KR20200051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1/00Refining of pig-iron; Cast iron
    • C21C1/02Dephosphorising or desulfurising
    • C21C1/025Agents used for dephosphorising or desulfur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1/00Refining of pig-iron; Cast iron
    • C21C1/02Dephosphorising or desulfur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36Processes yielding slags of special com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용선에 함유된 불순물 중, 적어도 P(인)을 제거하는 정련제로서, 제강 공정에서 발생된 분화 슬래그이며, Ca2SiO4가 석출된 분화 슬래그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에 의하면, 정련제 마련을 위한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어, 저원가의 정련 조업이 가능하다. 그리고, 분화 슬래그를 정련제로 재활용함에 따라, 분화 슬래그의 매립에 소요되는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정련제에 의하면, P의 용해도가 향상된 슬래그를 형성할 수 있어, 탈린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련제 및 이를 이용한 용선 정련 방법{REFINING AGENT AND METHOD FOR REFINING MOLTEN IRON}
본 발명은 정련제 및 이를 이용한 용선 정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선 중 P(인)을 제거할 수 있는 정련제 및 이를 이용한 용선 정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강 공정 중 발생되는 여러 슬래그 중, 일부는 그 냉각 과정에서 미세한 입자 형태 또는 분말 상태로 분화된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에이오디(AOD:Argon Oxygen Decarburization) 정련로에서 Si와 CaO를 이용하여 용선 중 산소 및 S(황)을 제거하는 탈산 및 탈류를 실시한 후, 생성된 슬래그를 상온으로 냉각시키면, 냉각 과정에서 슬래그가 덩어리 형태가 아닌 미세한 입자 형태 또는 파우더와 같이 분화된다.
분화 슬래그는 분말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취급 시, 조업장 또는 작업장 주변에 날리게 되는 등 환경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에, 분화된 슬래그는 전량 매립되거나, 시멘트의 원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분화된 슬래그를 매립하기 위해서는 매립을 위한 비용이 추가로 발생될 뿐만 아니라, 환경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환경 오염을 억제하도록 분화 슬래그에 별도의 처리를 하여 매립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비용이 추가로 더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일본등록특허 JP4546661
본 발명은 제강 공정 중 발생되는 슬래그를 재활용하여 마련된 정련제 및 이를 이용한 용선 정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P(인)의 용해도가 높은 슬래그의 형성이 가능하고, 융점이 낮은 정련제 및 이를 이용한 용선 정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선에 함유된 불순물 중, 적어도 P(인)을 제거하는 정련제로서, 제강 공정에서 발생된 분화 슬래그이며, Ca2SiO4가 석출된 분화 슬래그를 포함한다.
상기 분화 슬래그는 CaO, SiO2, MgO, Al2O3, CaF2, S, FeO, Cr2O3 를 포함한다.
상기 분화 슬래그 중, CaO가 49wt% 내지 62wt%, SiO2가 22wt% 내지 38wt%, MgO가 20wt% 이하, Al2O3가 10wt% 이하, CaF2 가 3wt% 내지 10wt%, S가 0.3wt% 이상, 1wt% 이하, FeO가 5wt% 이하, Cr2O3가 5wt% 이하 포함된다.
상기 분화 슬래그 외에 추가 CaO가 더 포함된다.
상기 추가 CaO와 분화 슬래그의 질량비(추가 CaO 질량/분화 슬래그 질량)가 1.0 이상, 2.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가 CaO와 분화 슬래그의 질량비(추가 CaO 질량/분화 슬래그 질량)가 2.1 초과, 2.6 이하로 조절되어, 상기 용선에 함유된 불순물 중, P(인)와 함께 S(황)을 제거한다.
상기 분화 슬래그는, Si과 CaO를 이용하여, 용선을 정련하는 과정에서 생성되어 냉각된 슬래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선 정련 방법은 용선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과정; 상기 용선으로 Ca2SiO4가 석출된 분화 슬래그를 투입하여, 상기 용선 중 P(인)을 제거하는 탈린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분화 슬래그는 CaO, SiO2, MgO, Al2O3, CaF2, S, FeO, Cr2O3 를 포함한다.
상기 용선 내 P 함량이 300ppm 이상인 경우, 상기 용선으로 추가 CaO를 투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용선 중 P 함량이 300ppm 이상, 600ppm 미만일 때, 상기 용선으로 투입되는 추가 CaO와 분화 슬래그의 질량비(추가 CaO 질량/분화 슬래그 질량)가 1.0 이상, 1.5 미만이 되도록 투입하고, 상기 용선 중 P 함량이 600ppm 이상, 1000ppm 미만일 때, 상기 용선으로 투입되는 추가 CaO와 분화 슬래그의 질량비(추가 CaO 질량/분화 슬래그 질량)가 1.5 이상, 2.2 미만이 되도록 투입하며, 상기 용선 중 P 함량이 1000ppm 이상, 1500ppm 이하일 때, 상기 용선으로 투입되는 추가 CaO와 분화 슬래그의 질량비(추가 CaO 질량/분화 슬래그 질량)가 2.2 이상, 2.6 이하가 되도록 투입한다.
상기 용선으로 CaF2를 투입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용선으로 투입되는 CaF2 투입량은 용선으로 투입되는 상기 추가 CaO 투입량의 15%를 투입한다.
상기 탈린 과정에 있어서, 상기 용선 중 S(황)을 제거하는 탈류를 함께 실시하고, 상기 탈린과 탈류를 함께 실시하는데 있어서, 상기 추가 CaO와 분화 슬래그의 질량비(추가 CaO 질량/분화 슬래그 질량)가 2.1을 초과하도록 투입한다.
상기 탈류를 위한 추가 CaO와 분화 슬래그의 질량비(추가 CaO 질량/분화 슬래그 질량)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탈류를 위한 추가 CaO와 분화 슬래그의 질량비(추가 CaO 질량/분화 슬래그 질량)를 산출하는데 있어서, 하기 수식의 탈류량에 제거하고자 하는 S(황)의 량(wt%)을 적용하여 산출한다.
[수식]
Figure pat00001
상기 탈린 과정에서, 상기 용선 중 S(황)을 제거하는 탈류를 함께 실시하는데 있어서, 상기 용선 중 P의 함량에 따른 추가 CaO와 분화 슬래그의 질량비(추가 CaO 질량/분화 슬래그 질량)와, 상기 탈류를 위한 추가 CaO와 분화 슬래그의 질량비(추가 CaO 질량/분화 슬래그 질량) 중, 상대적으로 큰 질량비가 되도록, 상기 추가 CaO 및 분화 슬래그를 투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정련제는 제강 공정 중 발생되는 분화 슬래그를 재활용하여 정련제를 마련함으로써, 정련제 마련을 위한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어, 저원가의 정련 조업이 가능하다. 그리고, 분화 슬래그를 정련제로 재활용함에 따라, 분화 슬래그의 매립에 소요되는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정련제에 의하면, P의 용해도가 향상된 슬래그를 형성할 수 있어, 탈린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련제 및 이들이 적용되는 용선을 나타난 개념도
도 2는 CaO와 분화 슬래그의 질량비(CaO/분화 슬래그 질량비)에 따른 탈린량(ppm)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 및 비교예에 따른 정련제를 이용하는 경우, CaF2의 투입량을 비교한 그래프
도 4는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에 따른 탈류량(wt%)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강 공정 중 발생된 슬래그를 포함하는 정련제 및 이를 이용한 용선 정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강 공정 중 발생된 슬래그이며, Ca2SiO4가 석출된 분화 슬래그를 포함하는 정련제 및 이를 이용하여 용선 중 P(인)을 제거하는 용선 정련 방법을 제공한다.
제강 공정 중, 용선 중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련 조업 시에, 슬래그(Slag)가 생성된다. 즉, 슬래그로 취입 또는 투입되는 산소 및 정련제와, 용선과의 반응에 의해 슬래그가 생성된다. 생성된 슬래그는 고온 예컨대 1600℃ 이상의 고온이며, 정련이 종료된 후에 배재되어 상온으로 자연 냉각된다.
한편, 제강 공정 중 발생된 슬래그 중, 상온으로 냉각될 때, 덩어리지어 응고되는 것이 아닌, 미세 입자 또는 분진과 같은 형태로 분화되는 슬래그가 있다.
그리고, 분화된 슬래그(이하, 분화 슬래그)를 분석해 보면, Ca2SiO4 고상이 석출되어 있다.
이렇게, 분화된 슬래그는 Si 및 CaO를 이용하여 용선을 정련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슬래그를 냉각시켰을 때 주로 발생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에이오디(AOD:Argon Oxygen Decarburization) 정련로에 Si과 CaO를 투입하여, 탈산 및 탈류를 실시한 후, 배재된 슬래그는 그 냉각 과정에서 미세한 입자 형태로 분화된다.
이렇게, 슬래그가 분화되는 이유는, 슬래그 중 Ca2SiO4 상에 의한 것이다.
슬래그의 냉각 시에, 온도가 떨어짐에 따라, 슬래그 중 Ca2SiO4 상이 α형 --> α' 형 --> γ형으로 상변태 된다. 이때, α형은 3.07 g/cm3의, α' 형은 3.31g/cm3의, γ형은 2.97 g/cm3의 밀도를 갖는다.
한편, α형으로부터 α' 형으로의 상변태는 액상 상태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상변태에 따른 팽창 및 수축의 문제는 없다. 그러나 α'형으로부터 상온 안정 상인 γ형으로 상변태시에는 약 14%정도의 큰 체적 팽창을 동반함에 따라, 슬래그가 냉각되면서 분진으로 형성되며, 매우 미세한 분말 형태가 된다.
이러한 분화 슬래그는 조업장 또는 작업장 주변에 날리게 되는 등 환경 문제를 야기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건강에도 악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통상적으로 분화 슬래그를 매립 처리하는데, 이를 위한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환경 오염을 억제하도록 분화 슬래그를 별도로 처리하여 매립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비용이 추가로 더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강 공정에서 발생된 분화 슬래그를 재활용하여 정련제를 마련 또는 정련제로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Ca2SiO4 고상이 석출된 분화 슬래그를 재활용하여 용선 중 P(인)을 제거할 수 있는 정련제를 마련한다.
한편, 탈린을 위해, 용기(예컨대, 래들 또는 전로)로 산소를 취입하고, 일반적인 탈린 정련제 즉, CaO(예컨대 생석회)를 투입하면, CaO, SiO2과, FeO 또는 Fe2O3 등과 같은 Fe 산화물을 포함하는 슬래그가 형성된다. 그리고, 용선 중 P(인)은 슬래그로 이동하여 Fe 산화물과 반응하여 고상인 P2O5가 되며(반응식 1참고), P2O5는 슬래그 중으로 흡수된다.
[반응식 1]
2P + 5FeO --> P2O5 + 5Fe
이때, 슬래그 중 CaO는 흡수된 P2O5의 활동도를 낮춰, 슬래그 내 P가 용선으로 다시 픽업(Pick up)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슬래그로 흡수된 고상의 P2O5는 슬래그 중 액상의 CaO에 의해 슬래그 중으로 용해되며, 이에 P가 슬래그 내에 잔존하게 된다.
한편, 슬래그가 P의 용해도가 낮을 경우, 흡수된 P2O5가 슬래그 내에서 용해되지 못하고, 다시 용강으로 픽업(pick up)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슬래그가 P를 용해시키는 용해도가 높을 수록, 탈린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선 상의 슬래그가 고상인 것에 비해 액상일 때, 그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P를 용융시키는 용해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용선 탕면에 형성된 최초의 슬래그는 고상이며, 온도에 따라 액상화 되는데, 투입되는 정련제의 융점이 낮을수록 액상화가 촉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Ca2SiO4 고상이 석출된 분화 슬래그를 재활용하여 마련되며, P에 대한 용해도가 향상되고, 융점이 낮은 정련제를 제공한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로 정련을 실시하는 용선은 예컨대 P의 함량이 1500ppm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는 200ppm 이상, 1500ppm 이하일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련제 및 이들이 적용되는 용선을 나타난 개념도이다.
실시예에 다른 정련제는 용선 중 P(인)을 제거하는 정련제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강 공정에서 발생된 분화 슬래그, 보다 구체적으로는 Ca2SiO4가 석출된 분화 슬래그를 포함한다. 또한, 정련제는 분화 슬래그 외에 CaO(이하, 추가 CaO)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른 말로 하면, 정련제는 Ca2SiO4가 석출된 분화 슬래그를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분화 슬래그와 추가 CaO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Ca2SiO4가 석출된 분화 슬래그(이하, 분화 슬래그)만을 포함하는 정련제를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라 명명하고, 분화 슬래그와 추가 CaO를 포함하는 슬래그를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라 명명한다.
그리고, P을 제거하고자 하는 용선 중 P의 함량에 따라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를 투입하거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를 투입한다. 즉, P 함량이 300ppm 미만인 용선에는 제 1 정련제를 투입하고, P 함량이 300ppm 이상인 용선에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를 투입하여 정련한다.
그리고,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를 이용하여 P 함량이 300ppm 이상인 용선을 탈린하는데 있어서, 추가 CaO와 분화 슬래그의 질량비(추가 CaO 질량/분화 슬래그 질량)를 조절하여 투입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하기로 한다.
분화 슬래그는 Ca2SiO4가 석출된 슬래그로서, Si 및 CaO를 이용한 정련 과정에서 발생된 슬래그로부터 회수하여 마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이오디(AOD:Argon Oxygen Decarburization) 정련로에 Si과 CaO를 투입하여, 탈산 및 탈류를 실시한 후, 배재된 슬래그를 냉각시킨 슬래그일 수 있다.
이러한 슬래그에는 CaO, SiO2, MgO, Al2O3, CaF2, S, FeO, Cr2O3가 포함되어 있으며, Ca2SiO4 상이 석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래그 전체에 대해 CaO가 49wt% 내지 62wt%, SiO2가 22wt% 내지 38wt%, MgO가 20wt% 이하(0 wt% 초과, 20wt% 이하), Al2O3가 10wt% 이하(0 wt% 초과, 10wt% 이하), CaF2 가 3wt% 내지 10wt%, S가 0.3wt% 이상, 1wt% 이하, FeO가 5wt% 이하(0 wt% 초과, 5wt% 이하), Cr2O3가 5wt% 이하(0 wt% 초과, 5wt% 이하)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분화 슬래그의 입경은 0.5mm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는 Ca2SiO4가 석출물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정련제를 투입하여 생성된 슬래그는 P를 용해시키는 용해도가 높다.
이는,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에 의해 생성된 슬래그는 Ca2SiO4 석출물을 포함하는데, 슬래그 중 Ca2SiO4와 P2O5에 의해 Ca2SiO4-Ca3P2O8 형태의 안정한 고용체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즉, 고상인 Ca2SiO4의 결정 속에 P2O5의 원자가 치환 혼입되어, Ca2SiO4-Ca3P2O8 형태의 고용체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P2O5가 슬래그 중 Ca2SiO4와의 반응에 의해 Ca2SiO4-Ca3P2O8 형태의 고용체가 됨으로써, P가 슬래그 내에 안정적으로 존재하게 되며, 이로 인해 P가 용선으로 픽업(pick up)되는 것이 억제 또는 방지된다.
또한, 정련제는 Si 및 CaO를 이용한 정련 과정에서 발생된 슬래그를 포함하기 때문에, 정련제에는 CaO(분화 슬래그 내 CaO)가 포함되어 있다. 이에,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를 투입하여 슬래그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슬래그는 CaO와 Ca2SiO4 두 가지에 의해 P를 용해시키는 용해도를 가지게 된다. 다른 말로 하면,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에 의해 제조된 슬래그는, CaO에 의한 P의 용해도 뿐만아니라, Ca2SiO4에 의한 용해도를 추가로 더 가지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에 의해 생성된 슬래그에 의하면, P를 용해시키는 용해도가 종래의 정련제(CaO)를 사용하는 형성된 슬래그에 비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탈린율이 향상된다.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P 함량이 300ppm 미만인 용선에는 분화 슬래그만이 단독으로 포함된 제 1 정련제를 투입하고, P 함량이 300ppm 이상인 용선에는 분화 슬래그와 추가 CaO를 포함하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를 투입하여 정련한다.
이렇게, P의 함량에 따라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 또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를 사용하는 것은 슬래그의 염기도(CaO/SiO2)에 의한 것이다.
P 함량이 300ppm 미만인 용선에서는 슬래그의 염기도(CaO/SiO2)가 2.0 미만으로 낮더라도, P를 목표하는 농도로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CaO가 더 포함되지 않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를 이용하여 탈린할 수 있다.
하지만, P 함량이 300ppm 이상인 용선의 경우, 슬래그의 염기도(CaO/SiO2)가 2.0 이상,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P 함량이 300ppm 이상인 용선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용선으로 취입 또는 투입되는 산소량이 상대적으로 많다. 이때, 슬래그의 염기도가 2.0 미만이면, 슬래그 중 Fe 산화물의 함량이 증가하면서, 슬래그 중 Ca2SiO4 상이 해리되고, P에 대한 용해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에, 용선 중 P를 충분히 제거할 수 없다.
반대로, 슬래그의 염기도(CaO/SiO2)가 4.0을 초과하는 경우, 슬래그가 액상화되기 힘들어 탈린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P 함량이 300ppm 이상인 용선의 경우, 슬래그의 염기도를 2.0 이상, 4.0 이하로 조절한다. 이를 위해, P 함량이 300ppm 이상인 용선의 경우, 분화 슬래그에 추가 CaO를 더 추가 또는 혼합한 제 2 정련제를 용선으로 투입하는데, 이때, 생성되는 슬래그의 염기도가 2.0 이상, 4.0 이하가 되도록 한다.
도 2는 추가 CaO와 분화 슬래그의 질량비(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에 따른 탈린량(ppm)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험을 위하여, 분화 슬래그와 추가 CaO를 포함하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를 마련하고, P가 1500ppm인 용선에 상기 정련제를 투입하여 탈린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분화 슬래그는 아래 표 1과 같다.
성분 CaO SiO2 Al2O3 MgO CaF2 S FeO Cr2O3
함량
(wt%)
50.49 26.80 3.12 9.88 6.23 0.32 1.47 2.01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에 따른 탈린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가 서로 다른 복수의 정련제를 마련하고, 이들을 각기 다른 조업에 투입하여 탈린량(ppm)을 검출하였다. 탈린량(ppm)이란, 탈린 전 용선 중 P 함량 대비 탈린 종료 후, 용선 중 P 함량의 차이값이다.
이때, 래들과 전로 각각에서 동일한 용선 및 정련제를 이용하여 탈린을 진행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용선으로부터 제거되는 P의 함량 즉, 탈류량이 증가되다가, 질량비 2.3을 기준으로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실시예에서는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에 따른 탈린량의 변화를 통해, 용선으로 투입할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를 도출 또는 선택한다.
예컨대, 최대 탈린량이 되도록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를 도출 또는 선택할 수 있다.
도 2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최대 탈린량은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가 약 2.3일 때이며, 이에, P가 1500ppm인 용선을 탈린하는데 있어서,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가 2.3이 되도록 투입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최대 탈린량 보다 낮은 적절한 탈린량을 확보하도록,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최대 탈린량을 보이는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로부터 소정 수치 작은값 또는 큰 값이 되도록 투입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서 최대 탈린량은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가 2.3일 때이며, 이에, P가 1500ppm인 용선을 탈린하는데 있어서,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가 2.2 내지 2.4가 되도록 투입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용선 중 P의 함량에 따라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를 조절하는데, 이때,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절한 또는 목표하는 범위의 탈린량이 확보되도록, P의 함량에 따른 적절한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를 도출할 수 있으며, 그 예시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용선 중 P 함량(ppm) 추가 CaO : 분화 슬래그 질량비
(추가 CaO 질량/분화 슬래그 질량)
300≤P<600 1.0≤추가 CaO/분화 슬래그<1.5
600≤P<1000 1.5≤추가 CaO/분화 슬래그<2.2
1000≤P≤1500 2.2≤추가 CaO/분화 슬래그≤2.6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P 함량이 300ppm 이상, 600ppm 미만인 용선의 경우,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 1.0 이상, 1.5 미만인 정련제를 이용하여 정련할 수 있고, P 함량이 600ppm 이상, 1000ppm 미만인 용선의 경우,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가 1.5 이상, 2.2 미만인 정련제를 이용하여 정련할 수 있다.
그리고, P 함량이 1000ppm 이상, 1500ppm 이하인 용선의 경우,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가 2.2 이상, 2.6 이하인 정련제를 이용하여 정련제를 이용하여 정련할 수 있다.
이렇게, 정련하고자 하는 용선 중 P의 함량 증가에 따라,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가 증가된 정련제를 투입한다. 이에, 슬래그는 P를 용해시키는 용해도가 상승되어, 목표하는 수준으로 P를 제거할 수 있다. 이는,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가 증가할 수록, Ca2SiO4-Ca3P2O8의 고용체 생성이 촉진되기 때문이다.
한편,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가 2.6을 초과하는 경우, 슬래그의 융점이 높아져, 탈린량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는 2.6 이하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를 투입하는데 있어서, 추가 CaO와 분화 슬래그가 혼합된 혼합물을 투입하거나, 추가 CaO와 분화 슬래그를 별도로 투입할 수 있다.
용선의 정련시에, 슬래그의 액상화를 위해 정련제와 함께 CaF2를 투입하는데, 실시예에서는 투입되는 정련제에 포함된 추가 CaO의 질량에 따라 그 투입량이 결정된다(수식 1 참조).
[수식 1]
Figure pat00002
수식 1에 의하면, 정련제에 포함된 추가 CaO의 질량(kg)의 15%의 양으로 CaF2를 투입한다.
예컨대, 용선 중 P의 함량이 300ppm 미만인 경우, 추가 CaO를 포함하지 않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를 사용하므로, 수식 1에 의하면, CaF2 투입량은 0이 된다. 즉, 용선 중 P의 함량이 300ppm 미만인 경우, CaF2 투입하지 않으며, CaF2 투입의 투입 없이도, 슬래그의 액상화가 가능하다.
다른 예로, 용선 중 P의 함량이 300ppm 이상인 용선의 경우, 분화 슬래그와 추가 CaO를 포함하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를 사용한다. 이에 수식 1에 의하면, 용선 중 P의 함량이 300ppm 이상인 용선의 경우, 소정량으로 CaF2의 투입량이 산출되며, 산출된 투입량으로 CaF2를 투입시에 슬래그를 액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정련제에 포함된 추가 CaO의 질량은 종래에 정련제로서 투입되는 CaO의 질량에 비해 작다. 이에, 용선 중 P의 함량이 300ppm 이상인 경우에도, CaF2의 투입량을 종래에 비해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를 사용함에 따라, CaF2를 투입하지 않거나, 종래에 비해 적은량으로 투입할 수 있다. 이에, CaF2 투입에 따른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CaF2를 투입하지 않거나, 종래에 비해 적은량으로 CaF2를 투입하더라도, 슬래그의 액상화가 가능하다. 이는, Ca2SiO4가 석출된 분화 슬래그를 포함하는 정련제의 융점(1600℃ 내지 1700℃)이 종래의 정련제인 CaO의 융점(약 2572℃)에 비해 낮기 때문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 및 비교예에 따른 정련제를 이용하는 경우, CaF2의 투입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실시예에 다른 정련제는 추가 CaO 및 분화 슬래그를 포함하는 정련제이고, 비교예에 따른 정련제는 CaO 만을 포함하는 정련제이다. 분화 슬래그는 앞에서 설명한 표 1의 조성의 분화 슬래그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실험시, 용선 중 1000ppm의 동일량의 P를 제거하는 조건으로 하였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1000ppm의 P을 제거하는데 있어서, 비교예의 경우 250kg의 CaF2을 투입하였으나, 실시예의 경우 160kg으로서, 비교예에 비해 CaF2의 투입량이 적다.
이로부터,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에 의하면, 비교예에 따른 정련제 사용시에 비해 적은 량의 CaF2를 투입하더라도, 슬래그의 액상화가 용이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시예에 포함된 정련제의 융점이 종래의 정련제인 CaO에 비해 낮기 때문이다.
상기에서는 실시예들에 따른 정련제를 이용하여 용선 중 P(인)을 제거하는 정련에 대해 설명하였다.
하지만, 실시예들에 따른 정련제를 이용하여 탈린과 함께 용선 중 S(황)을 제거하는 탈류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에 따라 탈황의 실시가 가능하다.
도 4는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에 따른 탈류량(wt%)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험을 위하여, 분화 슬래그와 추가 CaO를 포함하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를 마련하고, 용선에 상기 정련제를 투입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용선은 앞에 도 2의 실험시에 사용한 용선과 동일하며, 분화 슬래그는 앞에서 설명한 표 1과 같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를 투입하는데 있어서,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가 서로 다른 복수의 정련제를 마련하고, 이들 정련제 각각의 투입에 따른 탈류량(wt%)을 검출하였다. 여기서, 탈류량(wt%)이란, 정련 전 용선 중 S 함량 대비 정련 종료 후, 용선 중 S 함량의 차이값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가 2.1을 초과할 때 탈류가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가 2.1을 초과할 때, 탈류량(wt%)이 0 wt%를 초과한다.
이는, 정련제로 사용되는 분화 슬래그 중 S 함량이 0.3wt% 이상으로 높기 때문이다. 다른 말로 하면, 정련제에 이미 0.3wt% 이상의 S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가 2.1 이하에서는 탈류가 가능하지 않고, 2.1을 초과할 때 탈류가 가능하다.
이에, 탈린과 함께 탈류를 실시하는 경우,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가 2.1을 초과하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이때, 목표하는 탈류량(wt%)을 달성하기 위한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는 아래 수식 2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수식 2]
Figure pat00003
수식 2에서 탈류량 값이 0을 초과하려면,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가 2.1을 초과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목표하는 탈류량(wt%)을 달성하기 위한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를 산출하는데 있어서, 제거하고자 하는 탈류량의 값을 수식 2의 '탈류량(wt%)'에 적용한다. 수식 2에 의해 소정의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가 산출되며, 이 값은 2.1을 초과하는 값이다.
수식 2에 의해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가 산출되면, 이를 용선 중 P의 함량에 따른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 비교한다.
그리고, 수식 2에 의해 산출된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 및 용선 중 P의 함량에 따른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 중, 상대적으로 큰 질량비를 용선으로 투입할 최종 질량비(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로 선택하여 투입한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를 이용한 용선 정련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P(인)을 제거하고자 하는 용선을 용기에 장입한다. 여기서, 용기는 래들 또는 전로일 수 있다.
이후, 랜스를 이용하여 용기로 기체 산소를 취입하고, 정련제를 투입한다. 이때, 기체 산소 외에 Fe2O3를 포함하는 재료를 고체 산소로서 추가로 더 투입할 수 있다.
용선으로 투입되는 정련제는 Ca2SiO4가 석출된 분화 슬래그를 포함한다. 이때, 정련하고자 하는 용선 중 P의 함량에 따라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를 투입하거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를 투입한다.
즉, 용선 중 P 함량이 300ppm 미만인 경우, 분화 슬래그만을 포함하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를 투입한다. 다른 예로, 용선 중 P 함량이 300ppm 이상인 경우, 분화 슬래그와 추가 CaO가 포함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를 투입한다. 이때, 피처리물인 용선 중 P 함량에 따라 추가 CaO/분화 슬래그 질량비가 조절된 정련제를 투입한다.
그리고, 용선으로 투입되는 정련제 중 추가 CaO의 질량에 따라 CaF2의 투입량을 결정한다(수식 1 참조).
이때,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는 종래의 정련제에 비해 그 융점이 낮기 때문에, CaF2를 투입하지 않거나, CaF2의 투입량을 종래에 비해 감소시킬 수 있다.
이렇게, 용선으로 산소가 취입되고, 정련제가 투입되면, 취입 또는 투입되는 산소, 정련제 및 용선 간의 반응에 의해 슬래그가 생성된다. 그리고, 생성된 슬래그는 액상화된다.
용선 중 P는 생성된 슬래그로 이동하여 Fe 산화물과 반응함에 따라 P2O5가 된다. 그리고, P2O5는 슬래그 중으로 용해된다. 즉, P가 용선으로 다시 픽업(Pick up)되지 않고, 슬래그 내에 잔존하도록 슬래그 중에 용해되며, 이에 용선으로부터 P가 제거되는 탈린이 된다.
이렇게, 슬래그로 흡수된 P2O5가 상기 슬래그 내에 용해되는데 있어서,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에 의해 생성된 슬래그에 의하면, CaO 및 Ca2SiO4로 인한 용해도를 가진다. 즉, 생성된 P2O5 중 일부는 슬래그 중 액상의 CaO에 의해 상기 슬래그 중으로 용해되어, 슬래그 내에서 안정적으로 잔존하게 되고, 다른 일부의 P2O5는 고상인 Ca2SiO4의 결정 속에 치환 혼입되어, Ca2SiO4-Ca3P2O8 형태의 고용체가 됨으로써, 슬래그 내에 안정적으로 잔존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정련제에 의해 생성된 슬래그에 의하면, P를 용해시키는 용해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용선 중 P(인)을 제거하는 탈린능이 향상된다.
또한, 제강 공정 중 발생되는 분화 슬래그를 재활용하여 정련제를 마련함으로써, 정련제 마련을 위한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어, 저원가의 정련 조업이 가능하다.
그리고, 분화 슬래그를 정련제로 재활용함에 따라, 분화 슬래그의 매립에 소요되는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용선에 함유된 불순물 중, 적어도 P(인)을 제거하는 정련제로서,
    제강 공정에서 발생된 분화 슬래그이며, Ca2SiO4가 석출된 분화 슬래그를 포함하는 정련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화 슬래그는 CaO, SiO2, MgO, Al2O3, CaF2, S, FeO, Cr2O3 를 포함하는 정련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화 슬래그 중, CaO가 49wt% 내지 62wt%, SiO2가 22wt% 내지 38wt%, MgO가 20wt% 이하, Al2O3가 10wt% 이하, CaF2 가 3wt% 내지 10wt%, S가 0.3wt% 이상, 1wt% 이하, FeO가 5wt% 이하, Cr2O3가 5wt% 이하 포함된 정련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화 슬래그 외에 추가 CaO가 더 포함된 정련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추가 CaO와 분화 슬래그의 질량비(추가 CaO 질량/분화 슬래그 질량)가 1.0 이상, 2.6 이하인 정련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추가 CaO와 분화 슬래그의 질량비(추가 CaO 질량/분화 슬래그 질량)가 2.1 초과, 2.6 이하로 조절되어, 상기 용선에 함유된 불순물 중, P(인)와 함께 S(황)을 제거하는 정련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화 슬래그는, Si과 CaO를 이용하여, 용선을 정련하는 과정에서 생성되어 냉각된 슬래그를 포함하는 정련제.
  8. 용선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과정;
    상기 용선으로 Ca2SiO4가 석출된 분화 슬래그를 투입하여, 상기 용선 중 P(인)을 제거하는 탈린 과정;
    을 포함하는 용선 정련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분화 슬래그는 CaO, SiO2, MgO, Al2O3, CaF2, S, FeO, Cr2O3 를 포함하는 용선 정련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용선 내 P 함량이 300ppm 이상인 경우, 상기 용선으로 추가 CaO를 투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선 정련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용선 중 P 함량이 300ppm 이상, 600ppm 미만일 때, 상기 용선으로 투입되는 추가 CaO와 분화 슬래그의 질량비(추가 CaO 질량/분화 슬래그 질량)가 1.0 이상, 1.5 미만이 되도록 투입하고,
    상기 용선 중 P 함량이 600ppm 이상, 1000ppm 미만일 때, 상기 용선으로 투입되는 추가 CaO와 분화 슬래그의 질량비(추가 CaO 질량/분화 슬래그 질량)가 1.5 이상, 2.2 미만이 되도록 투입하며,
    상기 용선 중 P 함량이 1000ppm 이상, 1500ppm 이하일 때, 상기 용선으로 투입되는 추가 CaO와 분화 슬래그의 질량비(추가 CaO 질량/분화 슬래그 질량)가 2.2 이상, 2.6 이하가 되도록 투입하는 용선 정련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용선으로 CaF2를 투입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용선으로 투입되는 CaF2 투입량은 용선으로 투입되는 상기 추가 CaO 투입량의 15%를 투입하는 용선 정련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탈린 과정에 있어서, 상기 용선 중 S(황)을 제거하는 탈류를 함께 실시하고,
    상기 탈린과 탈류를 함께 실시하는데 있어서, 상기 추가 CaO와 분화 슬래그의 질량비(추가 CaO 질량/분화 슬래그 질량)가 2.1을 초과하도록 투입하는 용선 정련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탈류를 위한 추가 CaO와 분화 슬래그의 질량비(추가 CaO 질량/분화 슬래그 질량)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탈류를 위한 추가 CaO와 분화 슬래그의 질량비(추가 CaO 질량/분화 슬래그 질량)를 산출하는데 있어서, 하기 수식의 탈류량에 제거하고자 하는 S(황)의 량(wt%)을 적용하여 산출하는 용선 정련 방법.
    [수식]
    Figure pat00004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탈린 과정에서, 상기 용선 중 S(황)을 제거하는 탈류를 함께 실시하는데 있어서,
    상기 용선 중 P의 함량에 따른 추가 CaO와 분화 슬래그의 질량비(추가 CaO 질량/분화 슬래그 질량)와, 상기 탈류를 위한 추가 CaO와 분화 슬래그의 질량비(추가 CaO 질량/분화 슬래그 질량) 중, 상대적으로 큰 질량비가 되도록, 상기 추가 CaO 및 분화 슬래그를 투입하는 용선 정련 방법.
KR1020180134584A 2018-11-05 2018-11-05 정련제 및 이를 이용한 용선 정련 방법 KR102156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584A KR102156718B1 (ko) 2018-11-05 2018-11-05 정련제 및 이를 이용한 용선 정련 방법
PCT/KR2019/014839 WO2020096308A1 (ko) 2018-11-05 2019-11-04 정련제 및 이를 이용한 용선 정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584A KR102156718B1 (ko) 2018-11-05 2018-11-05 정련제 및 이를 이용한 용선 정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340A true KR20200051340A (ko) 2020-05-13
KR102156718B1 KR102156718B1 (ko) 2020-09-16

Family

ID=70611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584A KR102156718B1 (ko) 2018-11-05 2018-11-05 정련제 및 이를 이용한 용선 정련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6718B1 (ko)
WO (1) WO202009630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4011A (ja) * 1998-03-17 1999-09-28 Kawasaki Steel Corp スラグの有効利用方法
KR20020025266A (ko) * 2000-09-28 2002-04-04 이구택 레이들 슬래그를 이용한 용선 탈황제 및 그 제조방법
JP4546661B2 (ja) 2001-04-10 2010-09-1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脱硫スラグを再利用した溶銑脱硫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0009B2 (ja) * 1999-11-19 2006-01-2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溶銑脱りん法
JP4069837B2 (ja) * 2003-09-04 2008-04-0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溶銑の脱燐方法
JP5768721B2 (ja) * 2012-01-04 2015-08-2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溶銑の脱燐吹錬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4011A (ja) * 1998-03-17 1999-09-28 Kawasaki Steel Corp スラグの有効利用方法
KR20020025266A (ko) * 2000-09-28 2002-04-04 이구택 레이들 슬래그를 이용한 용선 탈황제 및 그 제조방법
JP4546661B2 (ja) 2001-04-10 2010-09-1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脱硫スラグを再利用した溶銑脱硫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718B1 (ko) 2020-09-16
WO2020096308A1 (ko)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64919B (zh) 从炼钢炉渣中回收铁和磷的方法
JP5594183B2 (ja) 製鋼スラグからの鉄及び燐の回収方法及び燐酸肥料用原料
JP4848757B2 (ja) 溶銑の脱燐処理方法
JP4977870B2 (ja) 製鋼方法
KR102156718B1 (ko) 정련제 및 이를 이용한 용선 정련 방법
JP6311466B2 (ja) 真空脱ガス設備を用いる溶鋼の脱燐処理方法
JP4765374B2 (ja) 含クロム溶銑の脱硫処理方法
JP6223249B2 (ja) 脱珪スラグを再利用する脱珪、脱りん、脱炭方法
JP5915711B2 (ja) 製鋼スラグからの鉄及び燐の回収方法
JP2000345224A (ja) 溶銑の脱硫方法
US4874428A (en) Fluidizing a lime-silica slag
WO2017159840A1 (ja) 溶銑予備処理方法
JP4854933B2 (ja) 反応効率の高い精錬方法
KR101597713B1 (ko) 슬래그 안정화 방법
JP7107292B2 (ja) 溶銑の脱燐処理方法
KR101431795B1 (ko) 전기로 제강시 슬래그 탈산 방법
JPS6187815A (ja) 溶鋼の脱硫剤及び脱硫方法
KR101277666B1 (ko) 탈린 조업방법
JP5494170B2 (ja) 溶銑の脱燐方法
JP2001026807A (ja) 溶銑脱燐方法
JPH1088216A (ja) 溶銑の脱硫方法
KR20130002493A (ko) 용강용 탈황제 및 이를 이용한 용강 탈황 방법
JP2010255054A (ja) 溶銑の脱燐処理方法
JP2002194414A (ja) 溶銑の脱燐方法
JP2002285219A (ja) 溶銑の脱りん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