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988A - 개호용 의자 - Google Patents

개호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988A
KR20200045988A KR1020197033794A KR20197033794A KR20200045988A KR 20200045988 A KR20200045988 A KR 20200045988A KR 1020197033794 A KR1020197033794 A KR 1020197033794A KR 20197033794 A KR20197033794 A KR 20197033794A KR 20200045988 A KR20200045988 A KR 20200045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point
armrest
chair
recl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1426B1 (ko
Inventor
에츠코 도바시
신야 스가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바시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바시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바시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00045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4Devices for lifting or tilting the whole wheelch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1Arrangements f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6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backrest relative to the sea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리클라이닝에 연동하여, 배면과 좌면의 개방각을 증대시키고 또한 좌면 후방을 가라앉히는 동작이 행해져, 좌승자가 등 어긋남을 일으키지 않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링크 기구를 갖는 휠체어를 제공한다. 좌면 프레임(5)의 후단부를 배면 프레임(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배면 프레임(4)의 하단을 연결 프레임(14)을 통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본체 프레임(1)으로 지지하고, 배면 프레임(4)과 연결 프레임(14)의 회동 지지점(16)에, 피스톤의 전후 이동을 로크하는 기구를 갖는 가스 스프링(10)의 피스톤 선단을 연결하여, 이 로크 기구로 배면 프레임(4) 하단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개호용 의자
본 발명은, 개호용 의자에 관한 것이며, 특히 리클라이닝 시에, 좌석면이나 팔걸이를 적절한 각도로 경사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의자와 침대 사이를 용이하게 이승 가능하도록 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근년의 일본의 고령화의 진행에 수반하여, 개호용 의자의 이용자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개호용 의자에는, 다양한 기능이 요구된다. 그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고안이 이루어져, 매년 다수의 특허 출원이 제출되고 있다.
개호용 의자에 가장 보편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은, 의자 등받이를 경사시키는 리클라이닝 기능과, 좌승자가 의자와 침대의 사이를 용이하게 이승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 그 밖의 의자류의 리클라이닝 기능에는, 좌면을 경사시키지 않고, 의자 등받이만을 경사시키는 리클라이닝 방식과, 좌면과 의자 등받이의 사이의 각도를 유지한 채, 의자 등받이를 경사시키는 틸트 방식이 있다.
리클라이닝 방식에서는, 리클라이닝 조작 시에 좌승자의 둔부가 전방으로 미끄러져 버릴 위험성이 있고, 좌승자의 등과 의자 등받이의 표면이 어긋나는 「등 어긋남」을 일으키기 쉬워, 착용한 의복의 말림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틸트 방식에서는, 의자 등받이를 경사지게 했을 시에, 다리를 구부린 상태가 되기 때문에, 무릎이나 허리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또한 의자가 뒤로 넘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풀 리클라이닝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리클라이닝 시에, 의자 등받이와 좌면의 개방각을 크게 함과 아울러, 등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서, 좌면의 후방을 하방으로 가라앉히는 기능이 필요해진다. 종래부터, 리클라이닝 시의 등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은, 여러 가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3 등).
그중에서도 특허문헌 1에는, 「배면부와 좌부를 일체로 회동시키는 기능과, 좌부에 대한 배면부의 경사 각도를 가변으로 하는 기능을 겸비한 휠체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식에서는, 두 독립된 기능의 각각을 실현하는 기구와 구동 수단(액추에이터)이 따로따로 필요해져, 휠체어 하부의 구조가 복잡해져서 비용이 높아짐과 함께, 휠체어의 중량이 커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리클라이닝 시에, 의자 등받이와 좌면의 개방각을 크게 하는 동작과 좌면의 후방을 하방으로 가라앉히는 동작을, 기계적 링크 기구로 연동시켜서, 1개의 액추에이터로 리클라이닝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링크 기구를 사용한 예로서, 특허문헌 3의 「좌위 변환 가능한 의자 장치」를 들 수 있다.
이 의자 장치의 구조의 상세는 생략하지만, 특허문헌 3의 링크 기구에서는, 좌면의 후방을 하방으로 가라앉히는 스트로크를 크게 취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리클라이닝의 경사각을 크게 하면, 둔부가 전방으로 미끄러져서 등 어긋남을 일으킨다는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특허문헌 3의 의자 장치에서는, 배면과 좌면의 상대적 경사 각도를 변경 가능한 리클라이닝 위치와, 이 경사 각도를 소정 각도로 고정하는 틸트 위치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특허문헌 4는 휠체어의 리클라이닝에 추종하여 휠체어 측부를 개방할 수 있는 리클라이닝 가능한 휠체어의 난간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 4가 개시하는 리클라이닝 기구는, 링크 프레임(7)의 하단부가 차체 프레임(2)에 피봇 연결되어 있고(제1 피봇 연결점), 의자 등받이 프레임(6)과 허리 받침 프레임(5)이 피봇 연결되어 있고(제3 피봇 연결점), 차체 프레임(2)에 허리 받침 프레임(5)이 요동 가능하게 피봇 장착되어 있다(제4 피봇 연결점). 그리고 링크 프레임(7)과 의자 등받이 프레임(6)이 피봇 연결되어 있다(제2 피봇 연결점). 여기서, 제4 피봇 연결점은 허리 받침 프레임(5)의 앞으로부터 후방향의 중심점보다도 뒤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2)과 요동 가능하게 피봇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의자 등받이 프레임(6)을 후방으로 쓰러뜨리면, 특허문헌 4의 도 3,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4 피봇 연결점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이 크게 솟아오르도록 경사지고, 후방은 거의 가라앉지 않는다. 이 때문에 휠체어 좌승자의 등과 의자 등받이의 표면이 어긋나는 「등 어긋남」이 발생하여, 휠체어가 불안정(무게 중심이 높아져 전도되기 쉬워짐)해져, 이용자는 휠체어로부터 추락하는 불안을 느낀다. 인용 문헌 4에 있어서, 후륜이 전륜에 비교해서 수배 크게 되어 있는 것은, 무게 중심 높이에 의한 휠체어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다음으로, 피개호자가 침대와 의자 사이를 용이하게 이승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의자의 측면을 침대의 측면에 밀착시켜서 옆으로 갖다대는 기능과, 이승 시에 팔걸이가 방해되지 않도록, 어느 한쪽의 팔걸이를 제거 또는 이동시키는 기능이다. 인용 문헌 4에는 휠체어 측부를 개방할 수 있는 난간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인용 문헌 4가 개시하는 팔걸이는 4절 구조이기 때문에 완전한 평행사변형의 구조로 되어, 팔걸이면과 좌면은 항상 평행해야 한다. 이 때문에 의자 등받이를 후방으로 내렸을 때 팔의 무게의 일부를 어깨로 받아야 한다. 또한, 특허문헌 4의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팔걸이가 의자 등받이로부터 크게 비어져 나와, 비어져 나온 부분이 개호자에게 방해가 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5에는, 휠체어의 주 차륜의 후방에 한 쌍의 회동 가능한 캐스터의 후륜을 배치하고, 시중드는 사람이 페달을 밟아서. 주 차륜을 부상시키고, 휠체어의 가로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 개호용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좌승자가 자력으로 주행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주 차륜을 마련할 필요는 없고, 4륜 전체를 회동 가능한 캐스터로 구성한 개호용 휠체어 또는 침대는,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승 시에 휠체어의 팔걸이를 이동시키는 수단의 예로서, 특허문헌 6에는, 「팔걸이 압하형 휠체어의 암 레스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암 레스트(팔걸이)는, 그 후단부가 배면 프레임의 지지축에 회동 가능하게 축 장착되고, 그 하면 전체 길이에 걸쳐서 소정 폭의 절결 홈이 형성된 팔걸이 파이프와, 이 절결 홈을 따라 파이프 내를 전후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토막형 슬라이드 부재와, 그 한쪽 단부가 슬라이드 부재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축 장착되고, 다른 쪽 단부가 본체 프레임의 소정의 위치로 회동 가능하게 축 장착된 연결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를 하방으로 압하함으로써, 팔걸이 파이프의 전방이 하방으로 꺾기되는 구조인 것이다. 그러나 이 암 레스트는, 그 자체의 구조가 상당히 특이한 것으로 한정되는 데다가, 팔걸이 파이프의 후방은 배면 프레임에 축 장착된 그대로이므로, 팔걸이 파이프 전체를 이동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0229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60055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07-19035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2898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418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25478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몇 가지의 기술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의 첫 번째는, 리클라이닝 시에, 배면과 좌면의 개방각을 크게 하는 동작과, 좌면을 경사시키는 동작을, 기계적 링크 기구로 연동시켜, 1개의 액추에이터로 양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링크 기구이며, 좌면 후부의 가라앉음 스트로크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있고, 리클라이닝의 경사각이 커져도, 등 어긋남을 일으키지 않는 리클라이닝의 링크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의 두 번째는, 좌면의 경사에 연동하여, 팔걸이를 좌면과 거의 평행으로 경사지게 할 수 있는, 간편한 팔걸이 지지의 링크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 과제의 세 번째는, 상기와 같은 링크 기구를 갖는 팔걸이에 있어서, 좌승자의 승강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팔걸이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팔걸이의 이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등 꼬부라짐이 심한 개호자의 배통을 완화할 수 있는 의자 등받이(배면 프레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은, 전후에 한 쌍의 다리부를 구비한 본체 프레임(1)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틸팅 가능하게 지지된 배면 프레임(4) 및 좌면 프레임(5)과, 상기 배면 프레임의 틸팅을 가압하는 스프링 기구(10)를 구비한 개호용 의자이며, 상기 본체 프레임(1)의 하부와 상기 배면 프레임(4)의 하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14)의 한쪽 단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1)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회동 지지점(15)과, 상기 스프링 기구(10)의 구동간의 선단부와 중간부에 있어서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횡간(45)을 통해, 상기 연결 프레임(14)의 다른 쪽 단부와, 상기 배면 프레임(4)의 하부와, 상기 스프링 기구(10)의 구동간의 선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회동 지지점(16)과, 상기 제2 회동 지지점(16)에 연결하는 상기 배면 프레임(4)과, 상기 좌면 프레임(5)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 회동 지지점(17)과, 한쪽 단부가, 상기 좌면 프레임(5)의 전후 방향의 중심점보다도 전륜측에 고착되고, 다른 쪽 단부가, 상기 좌면 프레임(5)의 높이보다도 낮은 본체 프레임(1)의 전륜측에 설치되는 설치 금속 부재의 상기 다른 쪽 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4 회동 지지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호용 의자이다.
상기 개호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기구가 가스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명의 개호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전륜 및 후륜이 상기 본체 프레임의 다리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캐스터로 이루어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면 프레임은, 피개호자의 척주 굴곡부가 상기 배면 프레임의 구성재에 맞닿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프링 기구는 상기 배면 프레임을 후방으로 내릴 때는 피스톤 로드의 가스실에 대한 압입에 의한 내압으로 상기 배면 프레임의 전방으로 틸팅하는 힘이 가해지고, 상기 배면 프레임을 전방으로 복원시킬 때는 상기 피스톤 로드에 외부 끼움된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배면 프레임의 전방으로의 틸팅이 조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누구나 리클라이닝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는, 전후에 한 쌍의 다리부를 구비한 본체 프레임(1)과, 상기 본체 프레임(1)에 틸팅 가능하게 지지된 배면 프레임(4) 및 좌면 프레임(5)과, 상기 배면 프레임(4)의 틸팅을 가압하는 가스 스프링(10)과, 상기 본체 프레임(1)의 뒷다리 하부와 상기 배면 프레임(4)의 하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14)의 한쪽 단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1)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회동 지지점(15)과, 상기 연결 프레임(14)의 다른 쪽 단부와, 상기 배면 프레임(4)의 하부와, 상기 가스 스프링(10)의 구동간의 선단부와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횡간(45)의 양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회동 지지점(16)과, 상기 제2 회동 지지점(16)에 연결하는 상기 배면 프레임(4)과, 상기 좌면 프레임(5)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 회동 지지점(17)과, 한쪽 단부가, 상기 좌면 프레임(5)의 전륜측의 전방부에 고착되고, 다른 쪽 단부가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설치 금속 부재의 상기 다른 쪽 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4 회동 지지점(18)을 구비한 개호용 의자에 있어서,
본체 암(61)과, 상기 본체 암(61)의 한쪽 단부에 있어서 연결하는 지지 부재(62)와, 상기 본체 암(61)과 상기 지지 부재(62)을 삽통하는 관통 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삽통되는 로크 핀(64)을 포함하는 팔걸이 프레임(6)을 구비하고,
상기 팔걸이 프레임(6)은, 상기 지지 부재(62)의 한쪽 단부와 상기 배면 프레임(4)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설치 회동 지지점(51)과,
상기 지지 부재(62)의 다른 쪽 단부와 상기 본체 암(61)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지지점(63)과,
긴 조각(54)과 짧은 조각(55)이, 각각의 한쪽 단부에 있어서 힌지 지지점(53)에 의해 꺾기 가능하게 구성된 팔걸이 지지 프레임(7)의 상기 긴 조각(54)의 다른 쪽 단부와 상기 본체 암(61)의 다른 쪽 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회동 지지점(52)과,
상기 짧은 조각(55)의 다른 쪽 단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전륜측의 선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4 회동 지지점(18)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호용 의자이다.
본원의 상기 발명에 의해, 리클라이닝 시에, 배면과 좌면의 개방각을 크게 하는 동작과, 좌면을 경사시키는 동작을,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연동시켜, 1개의 액추에이터로 양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링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 링크 기구에 의하면, 리클라이닝 시의 좌면 후부의 가라앉음 스트로크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리클라이닝의 경사각이 커져도, 등 어긋남을 일으키지 않고, 편안한 걸터앉음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리클라이닝의 링크 기구는, 의자나 휠체어뿐만 아니라, 각종 용도의 의자류의 리클라이닝 수단으로서 응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원의 상기 발명에 의해, 리클라이닝 시의 좌면의 경사에 연동하여, 팔걸이를 좌면과 거의 평행으로 경사지게 할 수 있는, 간편한 팔걸이의 링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 링크 기구에 의하면, 리클라이닝 시에, 좌승자가 전혀 조작을 행하지 않고, 팔걸이의 경사를 적정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 팔걸이 링크 기구도, 의자나 휠체어뿐만 아니라, 각종 용도의 리클라이닝 의자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원의 상기 발명에 의해, 상기와 같은 링크 기구를 갖는 팔걸이에 있어서,
의자 이용자의 좌승 시에는, 팔걸이를 소정의 높이로 유지하고, 승강 시에는, 이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팔걸이를 좌석면 부근 또는 그것보다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것 가능해지고, 팔걸이가 의자에 대한 승강 또는 의자와 침대 사이의 이승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개호용 의자의, 의자 등받이가 바로 선 상태에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휠체어 리클라이닝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휠체어의 골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휠체어의 리클라이닝 구조를 골조만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배면 프레임(5)을 약간 후방으로 내렸을 때의 좌면 프레임(5)의 둔부 부분의 가라앉음 깊이, 무릎 부분의 튀어오름 높이의 차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배면 프레임(4)을 풀 리클라이닝 하였을 때의 좌면 프레임(5)의 둔부 부분의 가라앉음 깊이, 무릎 부분의 튀어오름 높이의 차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가스 스프링의 로크 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스 스프링의 피스톤 로드의 선단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배면 프레임(4)을 복원시킬 때 필요한 조작력과 코일 스프링(47) 및 가스 스프링(10)의 반력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휠체어에 있어서의 팔걸이의 골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팔걸이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팔걸이 지지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팔걸이의 설치 상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개호용 의자의, 의자 등받이가 바로 선 상태에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이 의자의 리클라이닝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의자는 다리부에 캐스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개호용 의자를 휠체어라 칭한다.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 휠체어는, 그 다리부(1a)에 전륜(2), 후륜(3)이 장착된 본체 프레임(1), 배면 프레임(4), 좌면 프레임(5), 팔걸이 프레임(6), 팔걸이 지지 프레임(7), 헤드 레스트 프레임(8), 풋 레스트 프레임(9), 가스 스프링(10), 사이드 가드(11), 로크 해제 레버(1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앞이란, 좌승자의 정면 방향이며, 뒤란 좌승자의 배면 방향을 말한다.
이 중, 헤드 레스트 프레임(8)은, 리클라이닝 시에 좌승자의 헤드부를 지지하는 것이며, 배면 프레임(4)의 상부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풋 레스트 프레임(9)은, 좌승 시 및 리클라이닝 시에 다리부를 지지하는 것이며, 본체 프레임(1)의 전단부 상부에,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가드(11)는, 좌석 하부의 구동부의 보호와 사고 방지를 위한 것이며, 본체 프레임(1)의 양측면에 설치된 커버로 이루어진다. 이들 헤드 레스트 프레임(8), 풋 레스트 프레임(9), 사이드 가드(11) 등은, 종래의 휠체어에 다용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는 생략한다.
좌면 프레임(5)에는, 좌면 패드(13)가 장착되고, 배면 프레임(4)에는 의자 등받이 패드(도시 생략)가 장착되어 있다. 배면 프레임(4)은, 그 중앙부에 프레임 구성재를 배치하지 않고 소정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척주가 굴곡되어 있는(원배가 심한) 피개호자의 척주 굴곡부가, 프레임 구성재와 맞닿음으로써 발생하는 배통 완화를 위해서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휠체어에서는, 직경이 큰 주 차륜은 사용되고 있지 않고, 후륜도 전륜과 마찬가지의 캐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좌승자가 자력으로 주행하는 것을 예정하고 있지 않고, 시중자가 손으로 밀어서 이동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륜(2), 후륜(3)은 모두, 본체 프레임(1)의 다리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캐스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하의 장점이 있다. 즉, 전후륜 모두 임의의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으므로, 좁은 장소에서, 휠체어의 측면을 침대의 측면으로 용이하게 밀접시킬 수 있다는 것과, 주 차륜이 없기 때문에, 피개호자의 휠체어로 승강 및 침대로의 이승이 용이해진다는 것이다.
로크 레버(12)는, 리클라이닝 시에, 가스 스프링(10)의 피스톤의 동작을 로크하기 위한 것이며, 상세는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 프레임(1)은, 다리부 프레임(1a)과 상부 프레임(1b)이 접합된 구조로 되어 있지만, 이와 같이 구성할 필요는 없고, 양자 일체로 제작되어 있어도 지장없다. 이하, 양자 일체로 간주하여 본체 프레임(1)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의 제1은, 리클라이닝의 지지 기구이다. 이하, 이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휠체어의 골조만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의 (a)는 정립의 상태, 도 3의 (b)는 리클라이닝 상태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띠판형 연결 프레임(14)의 하단이, 본체 프레임(1)의 하부에 마련된 제1 회동 지지점(15)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연결 프레임(14)의 상단에는 제2 회동 지지점(16)이 마련되어 있다. 제2 회동 지지점(16)에서는, 연결 프레임(14)에 배면 프레임(4)의 하부와 가스 스프링(10)의 피스톤 로드(37)의 선단부가 횡간(45)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도 7, 8 참조).
피스톤 로드(37)의 외주에는 코일 스프링(47)이 외부 끼움되어 있다. 배면 프레임(4)을 후방으로 내릴 때는 피스톤 로드(37)는 가스실(32)을 압입하지만, 가스실(32)에 의한 내압으로 배면 프레임(4)의 전방으로의 틸팅이 가압된다. 즉, 배면 프레임(4)의 급격한 틸팅을 완화할 수 있어 좌승자의 안심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배면 프레임(4)을 전방으로 복원시킬 때는 피스톤 로드(37)에 외부 끼움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47)의 반발력에 의해 배면 프레임(4)의 전방으로의 틸팅이 조력된다. 이에 의해 누구나 용이하게 리클라이닝 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
배면 프레임(4)의 제2 회동 지지점(16)으로부터 상방의 소정 위치에, 제3 회동 지지점(17)이 마련되고, 여기서, 좌면 프레임(5)의 후단부가, 배면 프레임(4)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좌면 프레임(5)의 전단부의 설치 금속 부재(19)에 제4 회동 지지점(18)이 마련되고, 좌면 프레임(5)은 본체 프레임(1)의 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회동 지지점, 및 후술하는 힌지 지지점은, 두 부재의 연결점이며, 어느 한쪽 부재에 지지축으로 되는 원기둥형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쪽 부재에 관통 구멍 또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고, 양자가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음을 의미하며, 어느 쪽 부재에 지지축이 마련되어 있어도 지장없다.
상술한 제1 회동 지지점(15)과 제4 회동 지지점(18)은, 본체 프레임(1)에 고정된 고정지점이며, 제2 회동 지지점(16)과 제3 회동 지지점(17)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가동 지지점이다. 단, 제2 회동 지지점(16)에 횡간(45)(도 8 참조)을 통해 연결된 가스 스프링(10)의 피스톤(37)에는, 그 전후 이동을 구속하는 로크 기구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 로크 기구가 작동하고 있을 때는, 제2 회동 지지점은, 전후 및 상하 방향의 움직임이 구속되어, 준고정 지지점으로 된다. 그리고, 이 로크 기구가 해제되었을 때, 제2 회동 지지점(16)은 상하·전후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가동 지지점으로 된다.
상술한 배면 프레임(4)은 제2 회동 지지점(16)과 제3 회동 지지점(17)으로 지지되고, 가스 스프링(10)의 피스톤 로드(37)가 로크되어 있을 때는, 배면 프레임(4)의 하단의 상하 이동, 따라서 배면 프레임(4)의 틸팅은 제한되어, 상기 로크 기구가 해제되었을 때 비로소, 배면 프레임(4)이 자유롭게 틸팅하도록 된다.
한편, 좌면 프레임(5)은, 제3 회동 지지점(17)에서 배면 프레임(4)과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배면 프레임(4)이 경사졌을 때 양자의 개방각 θ가 커지고, 또한, 제3 회동 지지점(17)이 하방으로 강하했을 때 좌면 프레임(5)의 후단부도 하방으로 강하한다. 그러나, 좌면 프레임(5)의 전단부가 제4 회동 지지점(18)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좌면의 후부만이 하방으로 가라앉게 된다.
이와 같이, 4개의 회동 지지점에서 본체 프레임(1), 배면 프레임(4), 좌면 프레임(5) 및 가스 스프링(10)의 피스톤 로드(37)를 연결함으로써, 리클라이닝에 연동하여, 배면과 좌면의 개방각을 크게 하는 동작과, 좌면의 후방을 가라앉히는 동작이 동시에 행해지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배면 프레임(4)은, 연결 프레임(14)을 통해 본체 프레임(1)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리클라이닝 시에, 제2 회동 지지점(16)이 전방으로 이동함과 함께, 하방으로 강하한다. 그 때문에, 배면 프레임(4)의 하단이 하방으로 내려가고, 이에 수반하여 제3 회동 지지점(17)도 하방으로 내려간다. 따라서, 좌면 프레임(5)의 후단부의 하방으로 가라앉음 스트로크가 커진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비해, 배면 프레임(4)의 하부를 본체 프레임(1)에 직접(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리클라이닝 시에, 배면 프레임(4)이 하방으로 내려가는 경우는 없다. 이와 같이, 연결 프레임(14)을 사용하여 배면 프레임을 본체에 연결함으로써, 리클라이닝 시의 좌면 후단부의 가라앉음 스트로크를 크게 한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의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제4 회동 지지점(18)을 본체 프레임(1)의 전륜측의 선단부에 마련하고, 회동 지지점(18)과 좌면 프레임(5)의 선단부를 설치 금속 부재(19)에 의해 연결하는 데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의 휠체어의 리클라이닝의 구조를 골조만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4 회동 지지점(18)의 차이에 의해 둔부 부분의 가라앉음 깊이, 무릎 부분의 튀어오름 높이 크게 다르다. 도 4의 (a)는 배면 프레임(4)이 거의 직립한 상태이며, 제4 회동 지지점(18)을 좌면 프레임의 전후 방향의 중심점보다도 후방측에 마련한 것이다.
도 4의 (b)는 제4 회동 지지점(18)을 좌면 프레임의 전후 방향의 중심점보다도 전방측에 마련한 것이다. 또한, 도 4의 (b)는 좌면 프레임(5)과 제4 회동 지지점(18)의 접속을 설치 금속 부재(19)로 접속하고 있다.
도 5는 배면 프레임(5)을 약간 후방으로 내렸을 때의 좌면 프레임(5)의 둔부 부분의 가라앉음 깊이, 무릎 부분의 튀어오름 높이의 차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와 도 5의 (b)를 비교하면, 도 5의 (b)(제4 회동 지지점(18)이 좌면의 선단측에 있음)쪽이, 둔부 부분의 가라앉음이 크고, 무릎 부분의 튀어오름 높이가 작다.
도 6은 배면 프레임(4)을 풀 리클라이닝으로 하였을 때의 좌면 프레임(5)의 둔부 부분의 가라앉음 깊이, 무릎 부분의 튀어오름 높이의 차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4 회동 지지점(18)을 좌면 프레임의 전후 방향의 중심점보다도 후방측에 마련하면,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둔부 부분의 가라앉음에 비해서, 무릎 부분이 크게 튀어오른다. 이에 비해, 제4 회동 지지점(18)을 좌면 프레임의 전후 방향의 중심점보다도 전방측에 마련하면,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둔부 부분의 가라앉음에 비해, 무릎 부분의 튀어오름은 적다. 또한,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회동 지지점(18)과 좌면을 설치 금속 부재(18)로 접속함으로써, 설치 금속 부재(18)의 길이와 회전각에 따른 거리만큼 둔부 부분이 후방측으로 어긋나서, 좌승자는 착석감 좋은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
즉, 제4 회동 지지점(18)이, 좌면 프레임(5)의 전후 방향의 중심점보다도 뒤에 있으면, 둔부의 내려감보다 무릎의 튀어오름이 커져, 휠체어가 불안정해진다. 이 때문에 좌승자는 등 어긋남이나, 의자의 전도에 대한 불안을 느낀다. 이에 비해, 제4 회동 지지점(18)이, 좌면 프레임(5)의 전후 방향의 중심점보다도 앞에 있고, 제4 회동 지지점(18)과 좌면 프레임(5)을 일정한 길이를 갖는 설치 금속 부재로 연결하면, 둔부가 적절하게 내려가, 둔부의 가라앉음에 비해서 무릎의 튀어오름이 적어진다. 이 결과, 좌승자는 리클라이닝 시에 착석감 좋은 안심감을 충분하게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 회동 지지점(18)은 가능한 한 전방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무릎보다도 앞에 제4 회동 지지점(18)을 마련하면, 배면 프레임(4)을 후방으로 내렸을 때 둔부의 내려감에 수반하여, 무릎도 내려가 버리기 때문에 릴랙스 효과를 얻기 어려워진다. 또한, 좌면 프레임(5)보다 높은 위치에 제4 회동 지지점(18)을 마련하면, 배면 프레임(4)을 내렸을 때 내려가면서 전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착석감 좋음, 릴랙스 효과는 얻기 어렵다. 즉, 제4 회동 지지점(18)은, 좌면 프레임(5)의 전후 방향의 중심점보다도 가능한 한 전방측이며, 좌승자의 무릎보다도 후방측이며, 또한 좌면 프레임(5)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휠체어에 있어서, 리클라이닝의 틸팅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가스 스프링(10)의 로크 기구가 필요 불가결하다. 이하 이 로크 기구에 대해서, 약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가스 스프링의 로크 기구의 설명도이며, 도 7의 (a)는 측면도, 도 7의 (b)는 실린더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의 (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린더(30)의 내부에는, 유체압으로 전후 이동하는 프리 피스톤(31)에 의해, 안쪽의 가스실(32)과 앞쪽의 오일실(33)로 구획되어 있다. 오일실(33)의 내부를 전후로 미끄럼 이동하는 피스톤 헤드(34)에 의해, 오일실(33)은, 제1 오일실(33a)과 제2 오일실(33b)로 나뉘어 있다.
피스톤 헤드(34)의 내부에는 오일의 유로(35)와 이 유로를 개폐하는 일방향 밸브(36)가 마련되어 있다. 실린더(30)의 중심으로 피스톤 헤드(34)을 구동하는 원관형 피스톤 로드(37)가 배치되고, 또한, 이 피스톤 로드(37)의 내측으로 푸시 로드(38)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푸시 로드(38)의 안측 단부는, 일방향 밸브(36)를 열림 상태로 하는 기능을 갖고, 앞측 선단부는 로크 해제 핀(39)으로 되어 있다. 제2 오일실(33b)의 앞측 단부 부근에 시일재(40)가 배치되어, 오일의 유출을 방지하고 있다. 피스톤 로드(37)의 외주에는 코일 스프링(47)이, 그 단부가 실린더(30)의 단부 등에 고착된 상태로 외부 끼움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47)이 피스톤 로드(37)의 신축에 수반하여 신축됨으로써, 배면 프레임(4)의 전방으로의 틸팅을 조력한다.
오일실의 오일은 비압축성 유체이므로, 일방향 밸브(36)가 닫힘 상태에서는, 제1 오일실(33a)과 제2 오일실(33b)의 사이의 오일의 유동이 없기 때문에, 피스톤 헤드(34)는 전후 이동할 수 없으며, 피스톤 로드(37)는 로크 상태가 된다. 로크 해제 핀(39)을 압입함으로써, 일방향 밸브(36)가 개방 상태가 되어, 오일의 유통이 가능해져, 피스톤 로드(37)가 자유롭게 전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리클라이닝 시에는, 피스톤 로드(37)가 압입되어서 가스실(32)의 내압이 올라간다. 이 압입 동작을 정지하면, 가스실(32)의 내압에 의해, 일방향 밸브(36)가 닫힘 상태가 되고, 피스톤 로드(37)는 그 위치에서 로크 상태가 된다.
이 로크를 해제하는 수단에 대해서, 도 8의 (a)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린더(30)의 전방에, 지지축(41)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크 해제 브래킷(42)이 배치되어 있다. 이 로크 해제 브래킷(42)을 와이어(43)로 당겨,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로크 해제 핀(39)이 압입되어, 일방향 밸브(36)가 개방 상태가 된다.
와이어(43)는 보호관(44) 내에 삽통되고, 로크 해제 레버(12)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로크 해제 레버(12)는 사이드 가드(11)의 한쪽 측면 하부에 설치되고, 휠체어의 시중자의 조작에 의해 로크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휠체어에서는, 리클라이닝의 임의의 각도에서, 피스톤 로드(37)를 로크하는 것이 가능하며, 시중자가 로크를 해제하지 않는 한, 리클라이닝의 경사각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 가스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스 스프링의 피스톤 로드의 선단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가스 스프링의 실린더(30)의 중앙으로부터, 피스톤 로드(37)가 돌출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37)의 선단에 맞닿아, 로크 해제 블랭킷(42)이 배치되어 있다. 이 로크 해제 브래킷(42)은, 도 7의 (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와이어(43)로 견인하여, 로크 해제 핀(39)을 압입하고, 피스톤 로드(37)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로크 해제 브래킷(42)의 좌우 양측에, 한 쌍의 횡간(45)이, 피스톤 로드(37)와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횡간(45)의 선단은, 원기둥형 축으로 되어 있으며, 양측 각각에, 배면 프레임(4)의 관통 구멍 및 연결 프레임(14)의 관통 구멍(46)이, 이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제2 회동 지지점(16)을 형성하고 있다.
리클라이닝 시에, 제2 회동 지지점(16)이 전후 이동하면, 횡간(45)으로 연결된 로크 해제 브래킷도 전후 이동(지지축(41)의 둘레로 회전 운동)하고, 이에 수반하여
피스톤 로드(37)도 전후 이동한다. 반대로 피스톤 로드(37)가 전후 이동하면, 제2 회동 지지점(16)도 전후 이동한다.
배면 프레임(4)의 좌우 양측의 세로 프레임은, 그 상부가 가로 프레임으로 구속되고, 연동되어 경사지게 되어 있기 때문에, 1개의 피스톤 로드(37)로, 좌우 두 회동 지지점(16)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8과 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피스톤 로드(37)의 선단이 횡간(45)을 통해, 좌우의 제2 회동 지지점(1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도 9는 배면 프레임(4)을 복원시킬 때 필요한 조작력과 코일 스프링(47) 및 가스 스프링(10)의 반력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횡축이 배면 프레임(4)의 각도(리클라이닝 각도)이며, 종축이 뒤로 내려간 배면 프레임(4)을 앞으로 복원시키는 데 필요한 조작력이다. 코일 스프링(47)의 반발력이 없으면 풀 리클라이닝 상태로부터 초기 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약 600N의 조작력이 필요하다. 이에 비해 코일 스프링(47)의 반발력을 이용하면 최대라도 약 180N으로 되고, 누구나 용이하게 배면 프레임(4)을 초기 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의 제2는, 팔걸이의 지지 기구이다. 이하, 이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휠체어에 있어서의 팔걸이의 골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0의 (a)는 정립 상태, 도 10의 (b)는 리클라이닝 상태를 나타낸다.
이 팔걸이는, 팔걸이 프레임(6)과 팔걸이 지지 프레임(7)으로 이루어진다. 팔걸이 프레임(6)은, 그 후단부(진행 방향 후방측의 단부)를 배면 프레임(4)에 마련된 설치 회동 지지점(51(A))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팔걸이 프레임(6)의 전단부는, 팔걸이 지지 프레임(7)의 상단에 마련된 연결 회동 지지점(52(B))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팔걸이 지지 프레임(7)은 그 길이 방향 중앙 부근 또는 그 하방에 마련된 힌지 조인트에 의해 꺾기 가능하게 구성되고, 팔걸이 지지 프레임(7)의 하단은, 좌면 프레임(5)의 전단부 부근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팔걸이 지지 프레임(7)은, 상부의 긴 조각(54)과 하부의 짧은 조각(55)으로 분할되고, 양자가 힌지 지지점(53(C))에 의해 꺾기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짧은 조각(55)의 하단은, 좌면 프레임(5)의 전단부 부근의 설치 금속 부재(19)의 하부에 마련된 제4 회동 지지점(18)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팔걸이 지지 프레임(7)을 꺾으는 외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 짧은 조각(55)은, 수평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고, 거의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되며, 긴 조각(54)만이 힌지 지지점(53(C))에서 회동하여 경사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배면 프레임(4), 좌면 클레임(5), 팔걸이 프레임(6) 및 팔걸이 지지 프레임(7)의 4 조각을 암으로 하고, 이들 상호의 회동 지지점(부호 A. B, C, D로 나타냄)을 절점으로 하는 사변형 링크 기구가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링크 기구의 4절점을 정점으로 하는 사변형의 각 대향하는 2변(조각 AB와 조각 CD 및 조각 AD와 조각 BC)이 대략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평행사변형의 원리로, 리클라이닝의 각도(조각 AB와 조각 AD의 개방각)가 어떻게 바뀌어도, 좌면 프레임(5)과 팔걸이 프레임(6)이 대략 평행해진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즉, 리클라이닝 시에, 좌승자가 전혀 조작을 행하지 않고, 팔걸이의 경사를 적정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것이 본 발명의 제2 요점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의 제3은, 휠체어 이용자의 승강 또는 이승 시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팔걸이의 위치를 바꾸는 팔걸이의 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휠체어에서는, 팔걸이 프레임(6) 및 팔걸이 지지 프레임(7)을 각각 2분하여 힌지 조인트로 꺾기 가능하게 접합함과 함께, 양자의 설치 점을 회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하 이 이동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팔걸이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의 (a)는 편 상태, 도 11의 (b)는 꺾은 상태를 나타낸다. 팔걸이 프레임(6)은, 본체 암(61)과 지지 부재(62)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 암(61)의 길이 방향 중앙 부근에 힌지 지지점(63)이 마련되고, 그 후단부에 로크 핀(64)과 이것을 삽통하는 관통 구멍(도시 생략)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전단부는 팔걸이 지지 프레임(7)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62)의 한쪽 단부(후단부)는, 배면 프레임(4)에 마련된 설치 회동 지지점(5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전단부)는 힌지 지지점(63)에서, 본체 암(6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통상의 좌승 시에는,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핀(64)은 지지 부재(62)의 근원 부근에 마련된 삽입 구멍(도시 생략)에 끼움 삽입되고, 본체 암(61)과 지지 부재(62)가 평행해진 상태에서, 팔걸이 프레임(6) 전체가, 소정의 높이로 유지된다.
승강 또는 이승 시에는,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핀(64)을 떼고, 지지 부재(62)의 전단부측은 설치 회동 지지점(51)을 축으로 하여 하방으로 90° 꺾인다. 이에 의해, 본체 암(61)의 후단부는 좌면 프레임의 높이 부근까지, 하강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팔걸이 지지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2의 (a)는 편 상태, 도 12의 (b)는 꺾은 상태를 나타낸다. 팔걸이 지지 프레임(7)은, 긴 조각(54)과 짧은 조각(55)으로 이루어지고, 양자는 힌지 지지점(53)으로 꺾기 가능하게 접합되어 있다.
긴 조각(54)의 상단은, 팔걸이 프레임(6)의 본체 암(61)의 전단부의 연결 회동 지지점(52)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짧은 조각(55)의 하단은, 본체 프레임(1)의 상부의 제4 회동 지지점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힌지 조인트를 꺾으면, 본체 암(61)의 전단부가, 본체 프레임(1) 부근까지 하강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팔걸이 지지 프레임에서는, 긴 조각(54)과 짧은 조각(55)의 사이의 개방각은, 120° 정도 이상이 되지 않도록 제한되어 있지만, 긴 조각(54)과 짧은 조각(55)이 직선형(개방각 180°)이 되는 구성이어도 지장없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팔걸이의 설치 상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3의 (a)는 팔걸이의 이동 전의 상태, 도 13의 (b)는 이동 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팔걸이의 이동 전(통상의 좌승)의 상태에서는, 본체 암(61)의 후단부는, 로크 핀(64)에 의해, 배면 프레임 부근에 고정되고, 지지 부재(62)는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본체 암(61)의 전단부는, 힌지 지지점(53)이 잡아 늘려져서, 직립된 팔걸이 지지 프레임(7)에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체 암(61)은, 좌승자의 팔 꿈치 근처의 소정의 높이에서 거의 수평하게 유지되어 있다.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팔걸이의 이동 후(승강 시 또는 이승 시)의 상태에서는, 로크 핀(64)이 뽑혀, 지지 부재(62)의 전단부가 하방으로 아래로 늘어지고, 본체 암(61)의 후단부가 하방으로 강하한다. 팔걸이 지지 프레임(7)이, 힌지 지지점(53)에 의해 꺾여, 본체 암(61)의 전단부도, 좌면 프레임(5)의 부근까지 강하하여, 이 위치에서 거의 수평하게 유지된다.
즉, 로크 핀(64)을 뽑아서, 본체 암(61)을 가볍게 밀기만 하면, 팔걸이를 승강의 방해가 전혀 되지 않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팔걸이를 복원시킬 시에는, 본체 암(61)을 가볍게 들어 올려, 로크 핀(64)을 꽂으면, 본체 암(61)은 원래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 암의 로크 기구에, 로크 핀과 이것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 및 삽입 구멍을 사용하고 있지만, 로크 기구를 이 방법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로크 핀의 삽입 구멍을 지지 부재(62)의 근원 부근에 마련하고 있지만, 이것이 배면 프레임(4)의 측면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클라이닝 지지 기구, 팔걸이의 지지 기구, 팔걸이의 이동 기구는, 휠체어뿐만 아니라, 각종 용도의 리클라이닝 체어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1: 본체 프레임
1a: 다리부 프레임
1b: 상부 프레임
2: 전륜
3: 후륜
4: 배면 프레임
5: 좌면 프레임
6: 팔걸이 프레임
7: 팔걸이 지지 프레임
8: 헤드 레스트 프레임
9: 풋 레스트 프레임
10: 가스 스프링
11: 사이드 가드
12: 로크 해제 레버
13: 좌면 패드
14: 연결 프레임
15: 제1 회동 지지점
16: 제2 회동 지지점
17: 제3 회동 지지점
18: 제4 회동 지지점
19: 설치 금속 부재
30: 실린더
31: 프리 피스톤
32: 가스실
33: 오일실
33a: 제1 오일실
33b: 제2 오일실
34: 피스톤 헤드
35: 오일 유로
36: 일방향 밸브
37: 피스톤 로드
38: 푸시 로드
39: 로크 해제 핀
40: 시일재
41: 지지축
42: 로크 해제 브래킷
43: 와이어
44: 보호관
45: 횡간
46: 관통 구멍
51: 설치 회동 지지점
52: 연결 회동 지지점
53: 힌지 지지점
54: 긴 조각
55: 짧은 조각
61: 본체 암
62: 지지 부재
63: 힌지 지지점
64: 로크 핀

Claims (5)

  1. 전후에 한 쌍의 다리부를 구비한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틸팅 가능하게 지지된 배면 프레임 및 좌면 프레임과, 상기 배면 프레임의 틸팅을 가압하는 스프링 기구를 구비한 개호용 의자이며,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배면 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의 한쪽 단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회동 지지점과,
    상기 스프링 기구의 구동간의 선단부와 중간부에 있어서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횡간을 통해, 상기 연결 프레임의 다른 쪽 단부와, 상기 배면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스프링 기구의 구동간의 선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회동 지지점과,
    상기 제2 회동 지지점에 연결하는 상기 배면 프레임과, 상기 좌면 프레임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 회동 지지점과,
    한쪽 단부가, 상기 좌면 프레임의 전후 방향의 중심점보다도 전륜측이며 좌승자의 무릎보다도 후방측에 고착되고, 다른 쪽 단부가, 상기 좌면 프레임의 높이보다도 낮은 본체 프레임의 전륜측에 설치되는 설치 금속 부재의 상기 다른 쪽 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4 회동 지지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호용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는 각각 회동 가능하게 캐스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호용 의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프레임은, 피개호자의 척주 굴곡부가 상기 배면 프레임의 구성재에 맞닿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호용 의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기구는, 상기 배면 프레임을 후방으로 내릴 때는 피스톤 로드의 가스실에 대한 압입에 의한 내압으로 상기 배면 프레임의 전방으로 틸팅하는 힘이 가해지고, 상기 배면 프레임을 전방으로 복원시킬 때는 상기 피스톤 로드에 외부 끼움된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배면 프레임의 전방으로의 틸팅이 조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호용 의자.
  5. 전후에 한 쌍의 다리부를 구비한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틸팅 가능하게 지지된 배면 프레임 및 좌면 프레임과, 상기 배면 프레임의 틸팅을 가압하는 가스 스프링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뒷다리 하부와 상기 배면 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프레임의 한쪽 단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회동 지지점과, 상기 연결 프레임의 다른 쪽 단부와, 상기 배면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가스 스프링의 구동간의 선단부와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연결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횡간의 양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회동 지지점과, 상기 제2 회동 지지점에 연결하는 상기 배면 프레임과, 상기 좌면 프레임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 회동 지지점과, 한쪽 단부가, 상기 좌면 프레임의 전륜측의 전방부에 고착되고, 다른 쪽 단부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설치 금속 부재의 상기 다른 쪽 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4 회동 지지점을 구비한 개호용 의자에 있어서,
    본체 암과, 상기 본체 암의 한쪽 단부에 있어서 연결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본체 암과 상기 지지 부재를 삽통하는 관통 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삽통되는 로크 핀을 포함하는 팔걸이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팔걸이 프레임은, 상기 지지 부재의 한쪽 단부와 상기 배면 프레임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설치 회동 지지점과,
    상기 지지 부재의 다른 쪽 단부와 상기 본체 암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지지점과,
    긴 조각과 짧은 조각이, 각각의 한쪽 단부에 있어서 힌지 지지점에 의해 꺾기 가능하게 구성된 팔걸이 지지 프레임의 상기 긴 조각의 다른 쪽 단부와 상기 본체 암의 다른 쪽 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회동 지지점과,
    상기 짧은 조각의 다른 쪽 단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륜측의 선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4 회동 지지점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호용 의자.
KR1020197033794A 2017-09-11 2018-03-13 개호용 의자 KR102401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73612 2017-09-11
JP2017173612A JP6273397B1 (ja) 2017-09-11 2017-09-11 介護用椅子
PCT/JP2018/009602 WO2019049401A1 (ja) 2017-09-11 2018-03-13 介護用椅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988A true KR20200045988A (ko) 2020-05-06
KR102401426B1 KR102401426B1 (ko) 2022-05-23

Family

ID=61074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794A KR102401426B1 (ko) 2017-09-11 2018-03-13 개호용 의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73397B1 (ko)
KR (1) KR102401426B1 (ko)
CN (1) CN110536669B (ko)
WO (1) WO20190494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69038A1 (en) 2018-03-19 2021-01-27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e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CN113288605B (zh) * 2021-05-14 2023-05-26 华侨大学 一种基于变胞机构和平行四连杆机构的坐卧椅
CN114469560B (zh) * 2022-01-13 2023-05-09 重庆医科大学附属永川医院 一种高位截瘫病人用护理床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1852U (ko) * 1986-04-03 1987-10-14
EP0876783A2 (en) * 1997-05-06 1998-11-11 Broda Enterprises Inc. Reclining chair
JP2000116464A (ja) * 1998-10-09 2000-04-25 Kokuyo Co Ltd リクライニングチェア
JP2002102291A (ja) 2000-09-29 2002-04-09 Kawamura Cycle:Kk 車椅子
JP2004160055A (ja) 2002-11-15 2004-06-10 Kisaku Kobo:Kk 身体障害者用椅子
JP2005034189A (ja) 2003-07-15 2005-02-10 Matsunaga Seisakusho:Kk チルト機構を有するリクライニング式介護用車椅子
JP2005328980A (ja) 2004-05-19 2005-12-02 Iura Co Ltd リクライニング可能な車椅子の手摺り
JP2007190359A (ja) 2005-12-20 2007-08-02 Suzuki Motor Corp 座位変換可能な椅子装置
JP2011125478A (ja) 2009-12-17 2011-06-30 Matsunaga Seisakusho:Kk 肘掛け押下げ型車椅子のアームレスト
KR20120080909A (ko) * 2011-01-10 2012-07-18 사파머신헬스쇼핑 (주) 안마의자
JP6221151B1 (ja) * 2017-02-02 2017-11-01 株式会社土橋製作所 介護用椅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2771Y2 (ko) * 1988-01-28 1993-10-27
US6913316B2 (en) * 2000-10-16 2005-07-05 Kokuyo Co., Ltd. Chair
US6644741B2 (en) * 2001-09-20 2003-11-11 Haworth, Inc. Chair
US6945602B2 (en) * 2003-12-18 2005-09-20 Haworth, Inc. Tilt control mechanism for chair
US7845665B2 (en) * 2005-03-30 2010-12-07 Jaimie Borisoff Wheelchair
US8944507B2 (en) * 2009-10-13 2015-02-03 Herman Miller, Inc. Ergonomic adjustable chair mechanisms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1852U (ko) * 1986-04-03 1987-10-14
EP0876783A2 (en) * 1997-05-06 1998-11-11 Broda Enterprises Inc. Reclining chair
JP2000116464A (ja) * 1998-10-09 2000-04-25 Kokuyo Co Ltd リクライニングチェア
JP2002102291A (ja) 2000-09-29 2002-04-09 Kawamura Cycle:Kk 車椅子
JP2004160055A (ja) 2002-11-15 2004-06-10 Kisaku Kobo:Kk 身体障害者用椅子
JP2005034189A (ja) 2003-07-15 2005-02-10 Matsunaga Seisakusho:Kk チルト機構を有するリクライニング式介護用車椅子
JP2005328980A (ja) 2004-05-19 2005-12-02 Iura Co Ltd リクライニング可能な車椅子の手摺り
JP2007190359A (ja) 2005-12-20 2007-08-02 Suzuki Motor Corp 座位変換可能な椅子装置
JP2011125478A (ja) 2009-12-17 2011-06-30 Matsunaga Seisakusho:Kk 肘掛け押下げ型車椅子のアームレスト
KR20120080909A (ko) * 2011-01-10 2012-07-18 사파머신헬스쇼핑 (주) 안마의자
JP6221151B1 (ja) * 2017-02-02 2017-11-01 株式会社土橋製作所 介護用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36669B (zh) 2021-12-24
WO2019049401A1 (ja) 2019-03-14
JP6273397B1 (ja) 2018-01-31
JP2019047938A (ja) 2019-03-28
CN110536669A (zh) 2019-12-03
KR102401426B1 (ko) 202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17715B (zh) 提升機構及椅
WO2011052099A1 (ja) ロッキング椅子
JP2022109232A (ja) 自動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
KR20200045988A (ko) 개호용 의자
JP2020508826A (ja) 歩行補助用車椅子
US20120157899A1 (en) Massager
JP3547415B2 (ja) リクライニング式車椅子
JP2018153371A (ja) 便座装置
JP5370900B2 (ja) リクライニング式車いす
JP6221151B1 (ja) 介護用椅子
JP6378002B2 (ja) 椅子
JP4697894B2 (ja) 椅子
JP6150597B2 (ja) 座席装置
JP4857146B2 (ja) 背もたれ付き椅子
JP5067806B2 (ja) リクライニング可能な車椅子
JP4375504B2 (ja) 移乗装置
JP4341885B2 (ja) リクライニング可能な車椅子における座部の揺動機構
JP5291773B2 (ja) 前傾可能な車椅子
JP6920156B2 (ja) 椅子
JP2007075427A (ja) リクライニング座席
JP2005152049A (ja) 車椅子
JP6349352B2 (ja) リクライニング式車いす
JP3540763B2 (ja) 車椅子
JP3540762B2 (ja) リクライニング式車椅子
JP4536387B2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