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505A -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를 갖는 출입구 시스템의 구성 - Google Patents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를 갖는 출입구 시스템의 구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505A
KR20200045505A KR1020207007229A KR20207007229A KR20200045505A KR 20200045505 A KR20200045505 A KR 20200045505A KR 1020207007229 A KR1020207007229 A KR 1020207007229A KR 20207007229 A KR20207007229 A KR 20207007229A KR 20200045505 A KR20200045505 A KR 20200045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nsor unit
optical code
configuration
base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저 드레이어
스벤-군나르 쇠데르크비스트
필립 트리에트
Original Assignee
아사 알보이 엔트란스 시스템스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 알보이 엔트란스 시스템스 에이비 filed Critical 아사 알보이 엔트란스 시스템스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200045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5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responsive to devices carried by persons or objects, e.g. magnets or refl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2015/7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using optical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2015/76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using camer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5Control modes
    • E05Y2400/456Control modes for programming, e.g. learning or AI [artificial intellige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가동(movable) 도어 부재(D1 ... Dm)와,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D1 ... Dm)의 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자동 도어 작동기(30)를 갖는 출입구 시스템(10)을 위한 제어 장치(20)가 개시된다. 제어 장치(20)는 컨트롤러(32)와 하나 이상의 센서 유닛(S1 ... Sn)을 포함하고, 각각의 센서 유닛은 컨트롤러(32)에 연결되고 사람 또는 물체의 존재(presence) 또는 활동(activity)에 대하여 출입구 시스템(10)에서 해당하는 구역(Z1 ... Zn)을 모니터링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유닛(S1 ... Sn)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 유닛은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이고,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은,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에 제시될 때의 외부 물체(380)의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배치된 이미지 센서(310)와,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을 위한 복수의 설정(340-1, ..., 340-n)을 저장하도록 배치된 메모리(330)와, 이미지 센서(310) 및 메모리(330)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처리 장치(320)를 갖는다. 처리 장치(320)는 이미지 센서(310)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를 처리하여 그 내의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360)를 식별하고, 광학 코드에 의해 인코딩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지시(configuration instruction)(370-1, 370-2, 370-3)를 도출하고, 도출된 구성 지시를 실행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를 갖는 출입구 시스템의 구성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가동(movable) 도어 부재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의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의 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자동 도어 작동기(operator)를 갖는 출입 시스템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러한 출입구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어 장치는 하나 이상의 센서 유닛을 가지며, 각각의 센서 유닛은 사람 또는 동물의 존재(presence) 또는 활동(activity)에 대하여 출입구 시스템에서 해당 구역을 모니터링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출입구 시스템, 컴퓨터 시스템 및 출입구 시스템을 위한 연관된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 도어 작동기를 갖는 출입구 시스템은 빌딩, 실내 및 다른 영역으로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의 자동 개폐를 제공하기 위하여 자주 사용된다. 도어 부재는 예를 들어 스윙 도어, 슬라이딩 도어 또는 회전 도어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자동 도어 작동기를 갖는 출입구 시스템이 공공 장소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가 당연히 중요하다. 출입구 시스템은 출입구 시스템을 통과하는 사람 또는 물체에 의한 혼잡 기간 동안에도 고장 없이 장기간 작동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현재 있거나, 접근하거나 또는 떠나는 사람 또는 물체(사람이 가져오는 물품이나 동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가 임의의 가동 도어 부재에 의해 가격되거나 끼일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을 피하기 위하여 안전은 중대하다.
따라서, 출입구 시스템에는 통상적으로 컨트롤러 및 하나 이상의 센서 유닛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가 구비되며, 각각의 센서 유닛은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사람 또는 물체의 존재 또는 활동에 대하여 출입구 시스템에서 해당 구역을 모니터링하도록 배치된다. 사용자 편의와 장기간의 작동 안정성을 제공하고, 동시에 현재 있거나, 접근하거나 또는 떠나는 사람 또는 물체에 대한 부상이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센서 유닛이 정확한 출력 신호를 컨트롤러에 제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자동 도어 작동기의 일부 또는 개별 장치일 수 있는 컨트롤러는 센서 유닛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자동 도어 작동기의 동작(그리고, 이에 따른 가동 도어 부재의 자동 개폐)을 제어한다. 사람 또는 물체가 검출되었어야 했을 때 센서 유닛이 출력 신호를 컨트롤러에 제공하지 않는다면, 부상이나 손상에 대한 명백한 위험이 있다. 반대로, 마땅히 어느 것도 검출되지 않았어야 하는 상황에서 센서 유닛이 "오경보(false alarm)"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면, 컨트롤러가 가동 도어 부재의 자동 개폐를 중지 또는 차단하도록 자동 도어 작동기에 명령을 내릴 명백한 위험이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 불쾌감 또는 불만족을 야기할 것이다.
센서 유닛은 통상적으로 능동/수동 적외선 센서/검출기, 레이더/마이크로웨이브 센서/검출기, 이미지 기반 센서/검출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센서 유닛의 신뢰성 있는 동작을 보장하기 위하여, 이는 출입구 시스템에 구성될 필요가 있다. 구성을 필요로 할 수 있는 양태들은, 한정이 아닌 예를 들어, 센서 각도, 모니터링할 구역/공간(volume)의 그리고/또는 출입구 시스템의 다른 부분의 크기, 주변광 상태 및 로컬 환경에서의 반사 표면, 도어 핸들 등의 존재와 같은 고정적인 간섭원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출입구 시스템에서, 센서 유닛은, 통상적으로, 센서 유닛의 장치 하우징의 후드 또는 다른 부분을 제거하고, 그 다음 숨겨진 푸시 버튼을 눌러 자동 학습 모드를 트리거하고, 가동 도어 부재가 미리 정의된 프로그램에 따라 또는 사람이 현장에서 구성함으로써 수동으로 작동되는 학습 사이클을 수행하도록 자동 도어 작동기를 운영함으로써 구성된다. 센서 유닛은 학습 사이클 동안 소정의 양태들을 등록하고, 이러한 양태들에 관련하여 자체적으로 자동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양태들은 센서 유닛에서 수동 설정을 필요로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설정은 센서 유닛의 제거 가능한 후드 아래에 있는 딥 스위치 및 포텐셔미터(potentiometer)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자들은 이 분야에서의 개선의 여지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종래 기술의 접근 방식의 한 단점은 나사 또는 다른 체결 수단이 풀려야 할 것이고, 그 다음에 후드 자체가 제거야 할 것이며, 마지막으로 푸시 버튼, 딥 스위치 또는 포텐셔미터가 작동되어야 할 것이기 때문에, 물리적 개입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이는 시간 소모적인 접근 방식이다.
종래 기술의 접근 방식의 다른 단점은 보안 리스크이다. 기본적으로 (스크루 드라이버 및 아마도 발판 사다리와 같은 간단한 것일 수 있는) 적합한 도구를 구비한 자가, 전적으로 허가되지 않았으며, 어떠한 종류의 활동에 대하여도 훈련되지 않았더라도, 센서 유닛의 후드를 제거하고 푸시 버튼, 딥 스위치 또는 포텐셔미터(potentiometer)를 작동시킬 수 있다. 센서 유닛의 설정이 함부로 변경되면, 작동 고장뿐만 아니라 명백한 안전 상의 위험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하나 이상의 가동도어 부재와,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의 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자동 도어 작동기를 갖는 출입구 시스템의 구성에 관한 하나 이상의 개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와,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의 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자동 도어 작동기를 갖는 출입구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이다.
제어 장치는, 컨트롤러와 하나 이상의 센서 유닛을 포함하고, 각각의 센서 유닛은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사람 또는 물체의 존재 또는 활동에 대하여 출입구 시스템에서 해당하는 구역을 모니터링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 유닛은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이고, 이는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에 제시될 때의 외부 물체의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배치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은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을 위한 복수의 설정을 저장하도록 배치된 메모리와, 이미지 센서 및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처리 장치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를 처리하여 그 내의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를 식별하고, 광학 코드에 의해 인코딩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지시(configuration instruction)를 도출하고, 도출된 구성 지시를 실행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제어 장치의 제공은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 부분과 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되는 바와 같이, 위에서 식별된 문제점 또는 단점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하거나, 적어도 약화시킬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와,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의 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자동 도어 작동기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출입구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출입구 시스템과, 외부 컴퓨팅 리소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외부 컴퓨팅 리소스는, 사용자로부터 구성 명령(configuration command)을 수신하고, 수신된 구성 명령과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 지시를 획득하고,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광학 코드를 외부 물체에 제공하도록 배치되고,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를 생성하는 것은 획득된 구성 지시를 광학 코드로 인코딩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와,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의 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자동 도어 작동기와, 사람 또는 물체의 존재 또는 활동에 대하여 출입구 시스템에서 해당하는 구역(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 유닛을 갖는 출입구 시스템을 위한 구성 방법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이다.
구성 방법은,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에 의해 외부 물체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와, 캡처된 이미지를 처리하여 그 내의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를 식별하는 단계와, 광학 코드에 의해 인코딩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지시를 도출하는 단계와, 도출된 구성 지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는, 예를 들어, 스윙 도어 부재, 슬라이딩 도어 부재, 회전 도어 부재, 오버헤드(overhead) 섹션 도어 부재, 수평 폴딩 도어 부재 또는 풀업(수직 리프팅) 도어 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종속항에 의해 정의되며, 상세한 설명 부분과 도면에서 더 설명된다.
"포함한다/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언급된 특징, 완전체(integer), 단계 또는 컴포넌트의 존재를 특정하도록 취해지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완전체, 단계,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청구범위에 사용된 모든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달리 정의되지 않는다면, 기술 분야에서의 이의 보통의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하나/일/그 [요소, 장치, 컴포넌트, 수단, 단계 등]"에 대한 언급은,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요소, 장치, 컴포넌트, 수단, 단계 등 중 적어도 한 경우를 지칭하는 것으로 개방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방법의 단계들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다면, 개시된 정확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과제,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어지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출입구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자동 도어 작동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a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 시스템을 위한 제어 장치에서의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며,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은 외부 물체의 이미지를 캡처하고, 캡처된 이미지를 처리하여 그 내의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를 식별하고, 광학 코드에 의해 인코딩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지시(configuration instruction)를 도출하고, 도출된 구성 지시를 실행하도록 배치된다.
도 3b는 생성된 광학 코드가 프린트되는 종이 조각을 외부 물체가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출입구 시스템과, 사용자로부터 구성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구성 명령과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 지시를 획득하고, 획득된 구성 지시를 포함하는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광학 코드를 외부 물체에 제공하기 위한 외부 컴퓨팅 리소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c는 컴퓨터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며, 외부 물체는 생성된 광학 코드를 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는 모바일 이동 장치를 포함한다.
도 3d는 컴퓨터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며, 컴퓨팅 리소스는 외부 물체 역할도 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고, 생성된 광학 코드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제시된다.
도 4는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형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 시스템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5는 스윙 도어 시스템 형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 시스템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6은 회전 도어 시스템 형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출입구 시스템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7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 시스템을 위한 구성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어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 내용이 완벽하고 완전하게 되도록 제공되고,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완전히 전달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예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려고 의도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요소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명적 양태가 적용될 수 있는 출입구 시스템(10)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출입구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D1 ... Dm)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도어 부재(D1 ... Dm)의 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자동 도어 작동기(3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트랜스미션 메커니즘(40)은 기계력을 자동 도어 작동기(30)로부터 가동 도어 부재(D1 ... Dm)로 전달한다. 도 2는 자동 도어 작동기(30)의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어 장치(20)가 출입구 시스템(10)에 제공된다. 제어 장치(20)는, 도 2의 실시예에 보이는 자동 도어 작동기(30)의 일부일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개별 장치일 수 있는 컨트롤러(32)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 장치(20)는 복수의 센서 유닛(S1 ... Sn)을 포함한다. 각각의 센서 유닛은, 일반적으로, 유선 연결, 무선 연결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컨트롤러(3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 5 및 6에서의 3가지 상이한 실시예에 대한 이어지는 설명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센서 유닛은 사람 또는 물체의 존재 또는 활동에 대하여 출입구 시스템(10)에서 해당하는 구역(Z1 ... Zn)을 모니터링하도록 배치된다. 사람은 출입구 시스템(10)에 있거나, 이에 접근하거나 또는 이로부터 떠나는 개인일 수 있다. 물체는, 예를 들어, 전술한 개인이 가져오는, 예를 들어, 출입구 시스템(10) 근처에 있는 동물 또는 물품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물체는 차량 또는 로봇일 수 있다.
이제 도 2에 도시된 자동 도어 작동기(30)의 실시예가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자동 도어 작동기(30)는 통상적으로, 종종 프레임 또는 지지 구조체 내에서 또는 프레임 또는 지지 구조체에서 숨겨진 오버헤드(overhead) 설치물로서,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위하여 도어 부재(D1 ... Dm)를 지지하는 프레임 또는 다른 구조체와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컨트롤러(32)에 더하여, 자동 도어 작동기(30)는 내부 트랜스미션 또는 기어 박스(35)에 연결되는 통상적으로는 전기 모터인 모터(34)를 포함한다. 트랜스미션(35)의 출력 샤프트는 모터(34)의 활성화에 따라 회전하고, 외부 트랜스미션 메커니즘(40)에 연결된다. 외부 트랜스미션 메커니즘(40)은 트랜스미션(35)의 출력 샤프트의 운동을 프레임 또는 지지 구조체에 대한 하나 이상의 도어 부재(D1 ... Dm)의 개방 또는 폐쇄 운동으로 변환한다.
컨트롤러(32)는, 그 중에서도 복수의 센서 유닛(S1 ... Sn)으로부터의 센서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능하게는 출입구 시스템(10)의 상이한 작동 상태에서 자동 도어 작동기(30)의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컨트롤러(32)는 복수의 센서 유닛(S1 ... Sn)과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다. 컨트롤러(32)에 의해 수행 가능한 상이한 기능들의 적어도 일부는 도어 부재(D1 ... Dm)의 원하는 이동을 발생시키는 목적을 갖는다. 이 목적으로, 컨트롤러(32)는 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모터(34)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출력을 가진다.
컨트롤러(32)는, 마이크로컨트롤러, 프로세서(예를 들어, PLC, CPU, DSP), FPGA, ASIC 또는 의도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회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알려진 컨트롤러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32)는 연관된 메모리(33)를 가진다. 메모리(33)는. E(E)PROM, S(D)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알려진 메모리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33)는 컨트롤러(32)와 통합될 수 있거나, 컨트롤러(32)에 내장될 있을 수 있다. 메모리(33)는 컨트롤러(32)에 의한 실행을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와, 컨트롤러(32)에 의해 사용되는 임시 및 영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출입구 시스템(10)은 통신 버스(37)를 가진다. 복수의 센서 유닛(S1 ... Sn)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 버스(37)에 연결되고, 자동 도어 작동기(30)도 통신 버스(37)에 연결된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자동 도어 작동기(30)의 컨트롤러(32)와 메모리(33)가 통신 버스(38)에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는 자동 도어 작동기(30)의 다른 장치나 컴포넌트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센서 유닛(S1 ... Sn)의 출력이 컨트롤러(32)의 각각의 데이터 입력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센서 유닛(S1 ... Sn)의 적어도 하나는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이고, 이의 능력은 출입구 시스템(10)을 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신규하고 진보적인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의 일 실시예가 도 3a에 도시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은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에 제시될 때의 외부 물체(380)의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310)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는, 한정이 아닌 예를 들어, 반도체 CCD(charge-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기술에서의 능동 픽셀 센서 또는 NMOS(N-type metal-oxide-semiconductor, Live MOS) 기술에서의 능동 픽셀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 유닛(300)은 메모리(330)와, 이미지 센서(310) 및 메모리(330)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처리 장치(320)를 포함한다. 처리 장치(320)는, 한정이 아닌 예를 들어, 마이크로컨트롤러, 프로세서(예를 들어, PLC, CPU, DSP), FPGA, ASIC 또는 의도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330)는, 한정이 아닌 예를 들어, E(E)PROM, S(D)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알려진 메모리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330)는 처리 장치(320) 또는 이미지 센서(310)와 통합될 수 있거나, 그에 내장될 수 있다.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의 통상적인 목적은 출입구 시스템(10)에서 존재(presence) 센서 또는 대안적으로는 활동(activity) 센서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 목적으로, 메모리(330)는 존재 센서 또는 활동 센서 역할을 할 때, 즉, 이미지 센서(310)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를 처리하고,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구역/공간 내의 사람 또는 물체에 의한 존재 또는 활동을 검출하고, 검출을 자동 도어 작동기(30)에 보고하기 위하여,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의 통상적인 작업을 정의하는 작업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332)를 포함한다. 그 목적으로,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은 인터페이스(315), 예를 들어, 구현예에 따라, 통신 버스(37)에 연결되어 통신 버스(37) 상에서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또는 자동 도어 작동기(30)의 컨트롤러(32)의 데이터 입력에 연결하기 위한 직접 전기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동작 신뢰성을 위하여,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은, 한정이 아닌 예를 들어, 센서 각도, 모니터링할 구역/공간 및/또는 출입구 시스템(10)의 다른 부분의 크기, 주변광 상태 또는 로컬 환경에서의 반사 표면, 도어 핸들 등의 존재와 같은 고정적인 간섭원의 관점에서 구성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양태들은 아래에서 집합적으로 "구성 가능한 양태들"이라 한다. 따라서, 메모리(330)는, 도 3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을 위한 복수의 설정(340-1, ..., 340-n)을 저장하도록 배치된다. 추가적으로, 메모리(330)는 자동 학습 모드(352), 복수의 설정 스킴(354), 리셋 기능(356) 등을 포함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350)을 저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출입구 시스템(10)을 위한 신규하고 진보적인 구성 방법은 다음에 따라 본 발명 덕분에 가능하게 된다. 이 구성 방법은 도 7에서 700으로 도시되고, 따라서 도 7은 이어지는 설명에서 도 3a와 병행하여 아래에서 언급될 것이다.
이미지 센서(310)가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에 제시될 때의 외부 물체 (380)의 이미지를 캡처하기 위해 배치된다는 것이 상기된다. 정상적인 사용 동안, 이러한 외부 물체는 안전 이유로 있어서는 안 되는 구역/공간 내에서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 근처에 나타나는 사람 또는 물체일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물체(380)는 또한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360)를 포함하는 물체일 수 있다.
도 3a에서 361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360)를 갖는 외부 물체(380)가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에 제시될 때, 이미지 센서(310)는 이에 따라 외부 물체(380)를 캡처할 것이고, 캡처된 이미지는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360)를 포함할 것이다. 이것은 도 7에서의 단계 710에서 볼 수 있다.
처리 장치(320)가 이미지 센서(310)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를 처리하여 그 내의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360)를 식별하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도 7에서의 단계 720에서 볼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320)가 광학 코드에 의해 인코딩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지시(370-1, 370-2, 370-3)를 도출하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도 7에서의 단계 730에서 볼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320)가 도출된 구성 지시(또는 각각의 구성 지시)를 실행하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도 7에서의 단계 740에서 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360)는 2차원 바코드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개시된 실시예에서의 경우와 같이,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360)는 QR(Quick Response) 코드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360)는 UPC(Universal Product Code) 또는 EAN(European Article Number/International Article Number) 코드와 같은 1차원 코드일 수 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대안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어떠한 특정 종류의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에도 배타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도출된 구성 지시(예를 들어, 370-1)는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 자체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시간 소모적이고 안전하지 않은 종래 기술의 접근 방식에서와 같은, 나사 또는 다른 체결 수단을 푸는 것,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의 후드의 제거 및 푸시 버튼, 딥 스위치 또는 포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작동에 의한 물리적 개입을 필요로 하는 대신에,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의 구성은 그래픽 코드(360)에 인코딩된 구성 지시(370-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출된 구성 지시(370-1)는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의 메모리(330) 내에 저장된 기능(350)들 중 하나를 특정할 수 있다. 도출된 구성 지시(370-1)에 의해 특정된 기능이 자동 학습 모드(352)일 때, 처리 장치(320)는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을 위한 자동 학습 모드로 진입함으로써 도출된 구성 지시(370-1)를 실행하도록 배치된다. 자동 학습 모드는 가동 도어 부재(D1 ... Dm)가 미리 정의된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되는 학습 사이클을 수행하도록 자동 도어 작동기를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실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장치(320)는 학습 사이클 동안 일부 구성 가능한 양태들을 등록하고, 메모리(330)에 저장된 복수의 설정(340-1, ..., 340-n) 중 하나 이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즉, 그 값을 설정하거나 업데이트하는 것)에 의해 이 양태들에 관하여 센서 유닛(300)을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출된 구성 지시(370-1)는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에 대하여 선택된 설정 스킴을 특정할 수 있다.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은 메모리(330) 내에 저장된 복수의 사용 가능한 설정 스킴(354)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설정 스킴은 메모리(330)에 저장될 복수의 설정(340-1, ..., 340-n)의 미리 정의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목적으로,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의 처리 장치(320)는 구성 지시(370-1)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파라미터에 따라 복수의 사용 가능한 설정 스킴(354) 중에서 설정 스킴을 선택하고, 선택된 설정 스킴에 따라 메모리(330) 내에 복수의 설정(340-1, ..., 340-n)의 값을 설정하거나 업데이트함으로써, 도출된 구성 지시(370-1)를 실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도출된 구성 지시(370-1)는 리셋 기능(356)을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의 처리 장치(320)는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의 리셋을 수행함으로써 도출된 구성 지시(370-1)를 실행하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메모리(330) 내의 복수의 설정(340-1, ..., 340-n)을 디폴트 값으로 리셋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처리 장치(320)를 재부팅하는 것과 작업 데이터(332)를 소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예들에서, 도출된 구성 지시(370-1)는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의 기능(350)을 나타낸다. 대안적으로, 구성 지시(370-1)는 메모리(330) 내의 복수의 설정(340-1, ..., 340-n) 중 하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설정될 새로운 값을 직접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의 처리 장치(320)는, 구성 지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판독하고, 광학 코드(360)로부터 도출된 구성 지시(370-1)로부터 판독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의 각각의 값에 따라 메모리(330)에 저장된 복수의 설정(340-1, ..., 340-n) 중 하나 이상의 값을 설정 또는 업데이트함으로써, 도출된 구성 지시(370-1)를 실행하도록 배치된다.
조합이 또한 가능하며, 이 경우에, 예를 들어, 광학 코드(360)로부터 도출된 하나의 구성 지시(370-1)는 실행될 기능(350)을 나타내는 반면, 동일한 광학 코드(360)로부터 도출된 다른 구성 지시는 복수의 설정(340-1, ..., 340-n) 중 하나 또는 일부에 대하여 설정될 새로운 값을 나타낸다.
전술한 예들에서, 도출된 구성 지시(예를 들어, 370-1)는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 자체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출된 구성 지시, 예를 들어, 370-2는 이 대신에 출입구 시스템(10)에서의 센서 유닛(S1 ... Sn) 중 다른 센서 유닛, 예를 들어, S2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출된 구성 지시, 예를 들어, 370-3은 이 대신에 출입구 시스템(10)에서의 자동 도어 작동기(30)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광학 코드(360)를 판독하는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의 처리 장치(320)는 유익하게는 통신 버스(37) 상에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내에 도출된 구성 지시를 전송함으로써 도출된 구성 지시(370-2, 370-3)을 실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다른 센서 유닛(S2 ... Sn) 및 자동 도어 작동기(30)를 포함하는 통신 버스(37)에 연결된 임의의 장치에 의해 수신 가능할 것이다. 그 다음, 각각의 수신하는 장치는 브로드캐스트된 구성 지시가 이에 적용될 지 여부와, 적용될 수 있다면, 따라 구성 지시를 실행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의 처리 장치(320)는, 구성 지시(370-2, 370-3)가 나타내는 수신 측 장치를 식별하고(수신 측 장치는 다른 센서 유닛(S2) 또는 자동 도어 작동기(30)임), 그 다음, 도출된 구성 지시(370-2, 370-3)를 수신 측 장치로 특별하게 어드레싱된 통신 버스(37) 상의 메시지 내에 전송함으로써, 도출된 구성 지시(370-2, 370-3)를 실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제, 구성 지시와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1)의 개략적인 블록도인 도 3b를 참조한다. 동시에, 대응하는 방법 단계들을 도시하는 도 8을 참조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1)은 전술된 출입구 시스템(10)을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외부 컴퓨팅 리소스(390)를 포함한다. 외부 컴퓨팅 리소스(390)는 예를 들어 연관된 데이터베이스 또는 저장 장치(391)를 갖는 서버 컴퓨터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리소스일 수 있다.
외부 컴퓨팅 리소스(390)는 사용자(2)로부터 구성 명령(configuration command)(또는 구성 명령 세트)을 수신하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도 8에서의 단계 810에 대응한다. 사용자(2)는 이러한 입력을 하기 위하여 단말 컴퓨팅 장치(392)를 이용할 수 있다.
그 다음, 외부 컴퓨팅 리소스(390)는 수신된 구성 명령과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 지시(370-1, 370-2, 370-3)를 획득하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도 8에서의 단계 820에 대응한다.
그 다음, 외부 컴퓨팅 리소스(390)는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360)를 생성하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획득된 구성 지시(370-1, 370-2, 370-3)를 광학 코드(360)로 인코딩하는 것을 포함하며, 도 8에서의 단계 830에 대응한다.
그 다음, 외부 컴퓨팅 리소스(390)는 생성된 광학 코드(360)를 외부 물체(380)에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도 8에서의 단계 840에 대응한다.
도 3b의 실시예에서, 외부 물체(380)는 종이 조각(382)을 포함한다. 따라서, 생성된 광학 코드(360)를 외부 물체(380/382)에 제공하는 것은 생성된 광학 코드(360)를 프린터 장치(393)에 의해 종이 조각(382)의 표면 상에 인쇄하는 것을 포함할 것이다.
그 다음, 도 3b에서의 3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코드(360)가 인쇄된 종이 조각(382)은 출입구 시스템으로 가게 되어 사용자(2)와 동일한 사람이거나 아닐 수 있는 사용자(3)에 의해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에 제시될 수 있다. 도 8에서의 단계 840 후에, 실행은 이에 따라 도 7에서의 단계 710으로 진행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 3c에 도시된다. 여기에서, 외부 물체(380)는 생성된 광학 코드(360)를 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385)을 갖는 모바일 통신 장치(384)를 포함한다. 모바일 통신 장치(384)는,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3c에서의 3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컴퓨팅 리소스(390)가, 생성된 광학 코드(360)를 통신 네트워크(394)를 통해 모바일 통신 장치(384)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2)에 의한 구성 명령에 응답하여 생성된 후의) 광학 코드(360)를 외부 물체(380/854)에 제공(840)하기 위하여 배치된다. 통신 네트워크(394)는, GSM, UMTS, LTE, D-AMPS, CDMA2000, FOMA 및 TD-SCDMA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상용 이동 통신 표준에 따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통신 네트워크(394)는, 예를 들어, TCP/IP와 같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임의의 상용 표준에 따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통신 네트워크(394)는, 블루투스®, 와이파이(예를 들어, IEEE 802.11, 무선 LA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표준에 따를 수 있다.
도 3c의 실시예에서, 광학 코드(360)는 모바일 통신 장치(384)에 의해 통신 네트워크(394)를 통해 수신될 것이고, 그 다음, 수신된 광학 코드(360)는 모바일 통신 장치(384)의 디스플레이 스크린(385) 상에 제시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3)는 이를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에 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8에서의 단계 840 후에, 실행은 도 7의 단계 710로 진행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 3d에 도시된다. 여기에서, 컴퓨팅 리소스(390)는 랩탑 컴퓨터(또는 대안적으로 도 3c에 대하여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모바일 통신 장치)와 같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38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물체(380)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386)의 디스플레이 스크린(387)이다.
사용자(2)는 통신 네트워크(394)를 통해 컴퓨팅 리소스(390)의 중심/서버 부분을 액세스하여(364 참조),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은 구성 명령을 제공한다. 생성된 그래픽 코드(360)가 휴대용 컴퓨팅 장치(386)에 다운로드되고(364 참조), 디스플레이 스크린(387) 상에 제시된다.
또한, 도 8의 단계들이 휴대용 컴퓨팅 장치(386)에서 이에 의해 단독으로 수행되는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컴퓨팅 리소스(390)의 중심/서버 부분이나 통신 네트워크(394)에 대한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이제, 출입구 시스템(10)의 3가지 상이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 4, 5 및 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410) 형태의 출입구 시스템의 제1 실시예가 개략적인 상면도로 도시된다.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410)은 제1 및 제2 벽 부분(460, 464)과 평행한 슬라이딩 이동(4501, 4502)을 위하여 지지되는 제1 및 제2 슬라이딩 도어 또는 윙(D1, D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벽 부분(460, 464)은 이격된다; 그 사이에, 슬라이딩 도어(D1, D2)가 차단하거나(슬라이딩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이다), 통과를 위하여 접근 가능하게 하는(슬라이딩 도어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이다) 개방부가 형성된다. 자동 도어 작동기(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지만, 도 1 및 2에서 30으로 나타냄)는 슬라이딩 도어(D1, D2)의 이동(4501, 4502)을 발생시킨다.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410)은 각각이 해당하는 구역(Z1 - Z6)을 모니터링하는 복수의 센서 유닛을 포함한다. 센서 유닛 자체는 도 4에 도시되지 않지만, 이들은 일반적으로 천장 레벨이나 그 근처에 그리고/또는 이들이 자신의 해당하는 구역(Z1 - Z6)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하는 위치에 장착된다. 판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센서 유닛은 다음에서 Sx라 할 것이고, x는 이것이 모니터링하는 구역 Zx에서의 숫자와 동일한 숫자이다(Sx = S1 - S6, Zx = Z1 - Z6).
제1 센서 유닛(S1)은 구역(Z1)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도 4에서 가장 왼쪽으로 측부 위치에 장착된다. 제1 센서 유닛(S1)은 측부 존재 센서(side presence sensor)이고, 목적은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410)의 개방하는 상태 동안 슬라이딩 도어(D1)가 도 4에서 왼쪽을 향하여 이동될 때 사람이나 물체가 슬라이딩 도어(D1)의 외측 측부 에지와 벽 또는 다른 구조체(462)의 내부 표면 사이의 공간을 차지하는 때를 검출하는 것이다. 측부 존재 센서(S1)의 제공은, 슬라이딩 도어(D1)의 진행 중인 개방 이동의 중단 또는 바람직하게는 반전(reversal)을 트리거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D1)의 외부 측부 에지가 사람 또는 물체에 부딪히고, 그리고/또는 사람 또는 물체가 슬라이딩 도어(D1)의 외측 측부 에지(D1)와 벽(462)의 내부 표면 사이에 끼일 위험을 피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제2 센서 유닛(S2)은 구역(Z2)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도 4에서 가장 오른쪽으로 측부 위치에 장착된다. 제2 센서 유닛(S2)은 제1 센서 유닛(S1)처럼 측부 존재 센서이고, 대응하는 목적, 즉,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410)의 개방하는 상태 동안 슬라이딩 도어(D2)가 도 4에서 오른쪽을 향하여 이동될 때 사람 또는 물체가 슬라이딩 도어(D2)의 외측 측부 에지와 벽(466)의 내부 표면 사이의 공간을 차지하는 때를 검출하는 목적을 가진다.
제3 센서 유닛(S3)은 구역(Z3)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도 4에서 제1 중심 위치에 장착된다. 제3 센서 유닛(S3)은 도어 존재 센서이고, 목적은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410)의 폐쇄하는 상태 동안 슬라이딩 도어(D1)가 도 4에서 서로를 향하여 이동될 때 슬라이딩 도어(D1, D2)의 내측 측부 에지 사이 또는 그 근처의 공간을 사람 또는 물체가 차지하는 때를 검출하는 것이다. 도어 존재 센서(S3)의 제공은 슬라이딩 도어(D1, D2)의 진행 중인 폐쇄 이동을 중단하거나 바람직하게는 반전시킴으로써 슬라이딩 도어(D1 또는 D2)의 내측 측부 에지가 사람 또는 물체에 부딪히고 그리고/또는 사람 또는 물체가 슬라이딩 도어(D1, D2)의 내측 측부 에지 사이에 끼일 위험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제4 센서 유닛(S4)은 구역(Z4)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도 4에서 제2 중심 위치에 장착된다. 제4 센서 유닛(S4)은 제3 센서 유닛(S3)처럼 도어 존재 센서이고, 대응하는 목적, 즉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410)의 폐쇄하는 상태 동안 슬라이딩 도어들(D1)이 도 4에서 서로를 향하여 이동될 때 슬라이딩 도어(D1, D2)의 내측 측부 에지 사이 또는 그 근처의 공간을 사람 또는 물체가 차지하는 때를 검출하는 목적을 가진다.
유익하게는, 측부 존재 센서(S1, S2)와 도어 존재 센서(S3, S4)의 적어도 하나는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이다(따라서, 상술한 설명에 따라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을 구현한다). 아니면, 이는 예를 들어 능동 IR(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제5 센서 유닛(S5)은 구역(Z5)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도 4에서 내부 중심 위치에 장착된다. 제5 센서 유닛(S5)은 내부 활동 센서이고, 목적은 사람 또는 물체가 구내(premise)의 내부로부터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410)에 접근하는 때를 검출하는 것이다. 내부 활동 센서(S5)의 제공은, 폐쇄 상태 또는 폐쇄하는 상태에 있을 때 슬라이딩 도어(D1, D2)를 개방하기 위한 개방하는 상태로 자동으로 스위칭하도록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410)을 트리거하고, 그 다음 슬라이딩 도어(D1, D2)가 자신의 완전 개방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다시 개방 상태로 스위칭할 것이다.
제6 센서 유닛(S6)은 구역(Z6)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도 4에서 외부 중심 위치에 장착된다. 제6 센서 유닛(S6)은 외부 활동 센서이고, 목적은 사람 또는 물체가 구내의 외부로부터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410)에 접근하는 때를 검출하는 것이다. 내부 활동 센서(S5)와 유사하게, 외부 활동 센서(S6)의 제공은, 폐쇄 상태 또는 폐쇄하는 상태에 있을 때 슬라이딩 도어(D1, D2)를 개방하기 위한 개방하는 상태로 자동으로 스위칭하도록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410)을 트리거하고, 그 다음 슬라이딩 도어(D1, D2)가 자신의 완전 개방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개방 상태로 다시 스위칭할 것이다.
내부 활동 센서(S5) 및 외부 활동 센서(S6)는 예를 들어 레이더(마이크로웨이브) 센서일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중 하나 또는 모두는 대안적으로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일 수 있다(따라서, 상술한 설명에 따라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을 구현한다).
스윙 도어 시스템(510) 형태의 출입구 시스템의 제2 실시예가 도 5에 개략적인 상면도로 도시된다. 스윙 도어 시스템(510)은 제1 벽(560)의 측부 에지와 제1 벽(560)에 수직인 제2 벽(562)의 내부 표면 사이에 위치되는 단일 스윙 도어(D1)를 포함한다. 스윙 도어(D1)는 제2 벽(562)의 내부 표면 상에 또는 그 근처에 있는 피봇점(pivot point) 주위로의 피봇 이동(550)을 위하여 지지된다. 제1 및 제2 벽(560, 562)은 이격된다; 그 사이에, 스윙 도어(D1)가 차단하거나(스윙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이다), 통과를 위하여 접근 가능하게 하는(스윙 도어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이다) 개방부가 형성된다. 자동 도어 작동기(도 4에서는 도시되지 않지만, 도 1 및 2에서 30으로 나타냄)는 스윙 도어(D1)의 이동(550)을 발생시킨다.
스윙 도어 시스템(510)은 각각이 해당하는 구역(Z1 - Z4)을 모니터링하는 복수의 센서 유닛을 포함한다. 센서 유닛 자체는 도 5에 도시되지 않지만, 이들은 일반적으로 천장 레벨이나 그 근처에 그리고/또는 이들이 자신의 해당하는 구역(Z1 - Z4)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하는 위치에 장착된다. 역시, 각각의 센서는 다음에서 Sx라 할 것이고, x는 이것이 모니터링하는 구역 Zx에서의 숫자와 동일한 숫자이다(Sx = S1 - S4, Zx = Z1 - Z4).
제1 센서 유닛(S1)은 구역(Z1)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도 5에서 제1 중심 위치에 장착된다. 제1 센서 유닛(S1)은 도어 존재 센서이고, 목적은 스윙 도어 시스템(510)의 개방하는 상태 동안 스윙 도어(D1)가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될 때 스윙 도어(D1)(의 문짝)의 제1 측 근처의 공간을 사람 또는 물체가 차지하는 때를 검출하는 것이다. 도어 존재 센서(S1)의 제공은 스윙 도어(D1)의 제1 측이 사람 또는 물체에 부딪히고 그리고/또는 사람 또는 물체가 스윙 도어(D1)의 제1 측과 제2 벽(562) 사이에 끼일 위험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 상황에서의 센서 검출은 스윙 도어(D1)의 진행 중인 개방 이동의 중단 또는 바람직하게는 반전을 트리거할 것이다.
제2 센서 유닛(S2)은 구역(Z2)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도 5에서 제2 중심 위치에 장착된다. 제2 센서 유닛(S1)은 제1 센서 유닛(S2)처럼 도어 존재 센서이고, 대응하는 목적, 즉 스윙 도어 시스템(510)의 폐쇄하는 상태 동안 스윙 도어(D1)가 폐쇄 위치를 향하여 이동될 때 스윙 도어(D1)의 제2 측(스윙 도어의 문짝의 반 대측) 근처의 공간을 사람 또는 물체가 차지하는 때를 검출하는 목적을 가진다. 따라서, 도어 존재 센서(S2)의 제공은 스윙 도어(D1)의 제2 측이 사람 또는 물체에 부딪히고 그리고/또는 사람 또는 물체가 스윙 도어(D1)의 제2 측과 제1 벽(560) 사이에 끼일 위험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 상황에서의 센서 검출은 스윙 도어(D1)의 진행 중인 폐쇄 이동의 중단 또는 바람직하게는 반전을 트리거할 것이다.
유익하게는, 도어 존재 센서(S1, S2)의 적어도 하나는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이다(따라서, 상술한 설명에 따라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을 구현한다). 아니면, 이는 예를 들어 능동 IR(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제3 센서 유닛(S3)은 구역(Z3)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도 5에서 내부 중심 위치에 장착된다. 제3 센서 유닛(S3)은 내부 활동 센서이고, 목적은 사람 또는 물체가 구내의 내부로부터 스윙 도어 시스템(510)에 접근하는 때를 검출하는 것이다. 내부 활동 센서(S3)의 제공은, 폐쇄 상태 또는 폐쇄하는 상태에 있을 때 스윙 도어(D1)를 개방하기 위한 개방하는 상태로 자동으로 스위칭하도록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510)을 트리거하고, 그 다음 스윙 도어(D1)가 자신의 완전 개방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다시 개방 상태로 스위칭할 것이다.
제4 센서 유닛(S4)은 구역(Z4)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도 5에서 외부 중심 위치에 장착된다. 제4 센서 유닛(S4)은 외부 활동 센서이고, 목적은 사람 또는 물체가 구내의 외부로부터 스윙 도어 시스템(510)에 접근하는 때를 검출하는 것이다. 내부 활동 센서(S3)와 유사하게, 외부 활동 센서(S4)의 제공은, 이의 폐쇄 상태 또는 이의 폐쇄하는 상태에 있을 때 스윙 도어(D1)를 개방하기 위한 개방하는 상태로 자동으로 스위칭하도록 스윙 도어 시스템(510)을 트리거하고, 그 다음 스윙 도어(D1)가 이미 완전 개방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개방 상태로 다시 스위칭할 것이다.
내부 활동 센서(S3) 및 외부 활동 센서(S4)는 예를 들어 레이더(마이크로웨이브) 센서일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중 하나 또는 모두는 대안적으로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일 수 있다(따라서, 상술한 설명에 따라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을 구현한다).
회전 도어 시스템(610) 형태의 출입구 시스템의 제3 실시예가 도 6에 개략적인 상면도로 도시된다. 회전 도어 시스템(610)은 이격되고 제3 및 제4 벽 부분(660, 664)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및 제2 곡면(curved) 벽 부분(662, 666) 사이의 본질적인 원통형 공간에 십자 구성으로 위치된 복수의 회전 도어 또는 윙(D1 - D4)을 포함한다. 회전 도어(D1 - D4)는 제1 및 제2 곡면 벽 부분(662, 666) 사이의 원통형 공간에서의 회전 이동(650)을 위하여 지지된다. 회전 도어(D1 - D4)의 회전 동안, 이들은 원통형 공간을 통한 통과를 번갈아 가며 방지하고 허용할 것이다. 자동 도어 작동기(도 6에서는 도시되지 않지만, 도 1 및 2에서의 30을 나타낸)는 회전 도어(D1 - D4)의 회전 이동(650)을 발생시킨다.
회전 도어 시스템(610)은 각각이 해당하는 구역(Z1 - Z8)을 모니터링하는 복수의 센서 유닛을 포함한다. 센서 유닛 자체는 도 6에 도시되지 않지만, 이들은 일반적으로 천장 레벨이나 그 근처에 그리고/또는 이들이 자신의 해당하는 구역(Z1 - Z8)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하는 위치에 장착된다. 역시, 각각의 센서는 다음에서 Sx라 할 것이고, x는 이것이 모니터링하는 구역 Zx에서의 숫자와 동일한 숫자이다(Sx = S1 - S8, Zx = Z1 - Z8).
제1 내지 제4 센서 유닛(S1 - S4)은 구역(Z1 - Z4)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도 6에서 제1 내지 제4 중심 위치에 각각 장착된다. 제1 내지 제4 센서 유닛(S1 - S4)은 도어 존재 센서이고, 목적은, 회전 도어 시스템(610)의 회전 상태 또는 회전 시작 상태 동안 회전 이동될 때 각각의 회전 도어(D1 - D4)(의 문짝)의 일측 근처의 각각의 공간(Z1 - Z4의 서브 공간)을 사람 또는 물체가 차지하는 때를 검출하는 것이다. 도어 존재 센서(S1 - S4)의 제공은 각각의 회전 도어(D1 - D4)의 접근하는 측이 사람 또는 물체에 부딪히고 그리고/또는 사람 또는 물체가 각각의 회전 도어(D1 - D4)의 접근하는 측과 제1 및 제2 곡면 벽 부분(662, 666)의 단부 부분 사이에 끼일 위험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도어 존재 센서(S1 - S4) 중 임의의 하나가 이러한 상황을 검출할 때, 이는 회전 도어(D1 - D4)의 진행 중인 회전 이동(650)의 중단 또는 바람직하게는 반전을 트리거할 것이다.
유익하게는, 도어 존재 센서(S1 - S4)의 적어도 하나는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이다(따라서, 상술한 설명에 따라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을 구현한다). 아니면, 이는 예를 들어 능동 IR(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제5 센서 유닛(S5)은 구역(Z5)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도 6에서 내부 비중심(non-central) 위치에 장착된다. 제5 센서 유닛(S5)은 내부 활동 센서이고, 목적은 사람 또는 물체가 구내의 내부로부터 회전 도어 시스템(610)에 접근하는 때를 검출하는 것이다. 내부 활동 센서(S5)의 제공은, 비회전 상태 또는 회전 종료 상태에 있을 때, 회전 도어(D1 - D4)의 회전을 시작하기 위하여 회전 시작 상태로 자동으로 스위칭하도록 회전 도어 시스템(610)을 트리거하고, 회전 도어(D1 - D4)가 완전 회전 속도에 도달하였을 때 회전 상태로 다시 스위칭할 것이다.
제6 센서 유닛(S6)은 구역(Z6)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도 6에서 외부 비중심 위치에 장착된다. 제6 센서 유닛(S6)은 외부 활동 센서이고, 목적은 사람 또는 물체가 구내의 외부로부터 회전 도어 시스템(610)에 접근하는 때를 검출하는 것이다. 내부 활동 센서(S5)와 유사하게, 외부 활동 센서(S6)의 제공은, 비회전 상태 또는 회전 종료 상태에 있을 때, 회전 도어(D1 - D4)의 회전을 시작하기 위하여 회전 시작 상태로 자동으로 스위칭하도록 회전 도어 시스템(610)을 트리거하고, 회전 도어(D1 - D4)가 완전 회전 속도에 도달하였을 때 회전 상태로 다시 스위칭할 것이다.
내부 활동 센서(S5) 및 외부 활동 센서(S6)는 예를 들어 레이더(마이크로웨이브) 센서일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중 하나 또는 모두는 대안적으로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일 수 있다(따라서, 상술한 설명에 따라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을 구현한다).
제7 및 제8 센서 유닛(S7, S8)은 구역(Z7, Z8)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제1 또는 제2 곡면 벽 부분(662, 666)의 단부 부분 근처에 장착된다. 제7 및 제8 센서 유닛(S7, S8)은 수직 존재 센서이다. 이 센서 유닛(S7, S8)의 제공은 회전 도어 시스템(610)의 회전 시작 상태와 회전 상태 동안 각각의 회전 도어(D1 - D4)의 접근하는 측과 제1 및 제2 곡면 벽 부분(662, 666)의 단부 부분 사이에 사람 또는 물체가 끼일 위험을 피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임의의 수직 존재 센서(S7, S8)가 이러한 상황을 검출하면, 이는 회전 도어(D1 - D4)의 진행 중인 회전 이동(650)의 중단 및 바람직하게는 반전을 트리거할 것이다.
수직 존재 센서(S7, S8)의 적어도 하나는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이다(따라서, 상술한 설명에 따라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을 구현한다). 아니면, 이는 예를 들어 능동 IR(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전술되었다. 그러나, 당해 업계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들이 동등하게 가능하다.

Claims (20)

  1. 하나 이상의 가동(movable) 도어 부재(D1 ... Dm)와,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D1 ... Dm)의 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자동 도어 작동기(operator)(30)를 갖는 출입구 시스템(10)을 위한 제어 장치(20)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20)는,
    컨트롤러(32); 및
    하나 이상의 센서 유닛(S1 ... Sn)
    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센서 유닛은 컨트롤러(32)에 연결되고 사람 또는 물체의 존재(presence) 또는 활동(activity)에 대하여 상기 출입구 시스템(10)에서 해당하는 구역(Z1 ... Zn)을 모니터링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유닛(S1 ... Sn)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 유닛은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이고, 상기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은,
    상기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에 제시될 때의 외부 물체(380)의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배치된 이미지 센서(310);
    상기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을 위한 복수의 설정(340-1, ..., 340-n)을 저장하도록 배치된 메모리(330); 및
    상기 이미지 센서(310) 및 상기 메모리(330)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처리 장치(320)
    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장치(320)는, 상기 이미지 센서(310)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를 처리하여 그 내의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360)를 식별하고, 상기 광학 코드에 의해 인코딩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지시(configuration instruction)(370-1, 370-2, 370-3)를 도출하고, 도출된 상기 구성 지시를 실행하도록 배치되는, 제어 장치(20).
  2. 제1항에 있어서,
    도출된 상기 구성 지시(370-1)는 상기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의 구성에 관한 것인, 제어 장치(2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의 상기 처리 장치(320)는, 상기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을 위한 자동 학습 모드로 진입함으로써, 도출된 상기 구성 지시(370-1)를 실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자동 학습 모드는 상기 메모리(330)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설정(340-1, ..., 340-n) 중 하나 이상에 영향을 미치는, 제어 장치(20).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의 상기 처리 장치(320)는,
    상기 구성 지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판독하고; 그리고
    판독된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의 각각의 값에 따라 상기 메모리(330)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설정(340-1, ..., 340-n) 중 하나 이상의 값을 설정하거나 또는 업데이트함으로써
    도출된 상기 구성 지시(370-1)를 실행하도록 배치되는, 제어 장치(20).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은, 상기 메모리(330)에 저장될 상기 복수의 설정(340-1, ..., 340-n)의 미리 정의된 값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사용 가능한 설정 스킴을 갖고, 상기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의 상기 처리 장치(320)는,
    상기 구성 지시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판독하고;
    판독된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복수의 사용 가능한 설정 스킴 중에서 설정 스킴을 선택하고; 그리고
    선택된 상기 설정 스킴에 따라 상기 메모리(330)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설정(340-1, ..., 340-n)의 값을 설정하거나 또는 업데이트함으로써
    도출된 상기 구성 지시(370-1)를 실행하도록 배치되는, 제어 장치(20).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의 상기 처리 장치(320)는 상기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의 리셋을 수행함으로써 도출된 상기 구성 지시(370-1)를 실행하도록 배치되는, 제어 장치(20).
  7. 제1항에 있어서,
    도출된 상기 구성 지시(370-2)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유닛(S1 ... Sn) 중 다른 센서 유닛(S2)의 구성에 관한 것인, 제어 장치(20).
  8. 제1항에 있어서,
    도출된 상기 구성 지시(370-2)는 상기 자동 도어 작동기(30)의 구성에 관한 것인, 제어 장치(20).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시스템(10)은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유닛(S1 ... Sn) 및 상기 자동 도어 작동기(30)가 연결되는 통신 버스(37)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의 상기 처리 장치(320)는 상기 통신 버스(37) 상에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내에 도출된 상기 구성 지시를 전송함으로써 도출된 상기 구성 지시(370-2, 370-3)를 실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상기 통신 버스(37)에 연결된 임의의 장치에 의해 수신 가능한, 제어 장치(20).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시스템(10)은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유닛(S1 ... Sn) 및 상기 자동 도어 작동기(30)가 연결되는 통신 버스(37)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의 상기 처리 장치(320)는,
    상기 구성 지시(370-2, 370-3)가 나타내는 수신 측 장치를 식별하고; 그리고
    상기 통신 버스(37) 상에서의 상기 수신 측 장치로 어드레싱된 메시지에 도출된 상기 구성 지시(370-2, 370-3)를 전송함으로써
    도출된 상기 구성 지시(370-2, 370-3)를 실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수신 측 장치는 상기 다른 센서 유닛(S2) 또는 상기 자동 도어 작동기(30) 중 하나인, 제어 장치(2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360)는 QR(Quick Response) 코드와 같은 2차원 코드인, 제어 장치(2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360)는 UPC(Universal Product Code) 또는 EAN(European Article Number/International Article Number) 코드와 같은 1차원 코드인, 제어 장치(20).
  13.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D1 ... Dm);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D1 ... Dm)의 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자동 도어 작동기(30); 및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어 장치(20)
    를 포함하는, 출입구 시스템(10).
  14. 컴퓨터 시스템(1)에 있어서,
    제13항에 따른 출입구 시스템(10); 및
    외부 컴퓨팅 리소스(390)
    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컴퓨팅 리소스(390)는,
    사용자(2; 3)로부터 구성 명령(configuration command)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구성 명령과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 지시(370-1; 370-2; 370-3)를 획득하고;
    상기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360)를 생성하고; 그리고
    생성된 상기 광학 코드(360)를 상기 외부 물체(380)에 제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360)를 생성하는 것은 획득된 상기 구성 지시(370-1; 370-2; 370-3)를 상기 광학 코드로 인코딩하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10).
  15. 출입구 시스템(10)을 위한 구성 방법(700)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가동(movable) 도어 부재(D1 ... Dm);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D1 ... Dm)의 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자동 도어 작동기(30); 및 사람 또는 물체의 존재 또는 활동에 대하여 상기 출입구 시스템(10)에서 해당하는 구역(들)(Z1 ... Zn)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 유닛(S1 ... Sn)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 유닛(S1 ... Sn)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 유닛은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이고,
    상기 구성 방법은,
    상기 이미지 기반 센서 유닛(300)에 의해 외부 물체(380)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710);
    캡처된 상기 이미지를 처리하여 그 내의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360)를 식별하는 단계(720);
    상기 광학 코드에 의해 인코딩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지시(370-1; 370-2; 370-3)를 도출하는 단계(730); 및
    도출된 상기 구성 지시를 실행하는 단계(740)
    를 포함하는, 구성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시스템(10)의 외부에 있는 컴퓨팅 리소스(390)에서,
    사용자(2)로부터 구성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810);
    수신된 상기 구성 명령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 지시(370-1; 370-2; 370-3)를 획득하는 단계(820);
    상기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360)를 생성하는 단계(830); 및
    생성된 상기 광학 코드(360)를 상기 외부 물체(380)에 제공하는 단계(840)
    의 초기 단계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계 판독 가능한 광학 코드(360)를 생성하는 단계는 획득된 상기 구성 지시(370-1; 370-2; 370-3)를 상기 광학 코드로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물체(380)는 종이 조각(382)을 포함하고, 생성된 상기 광학 코드(360)를 상기 외부 물체(380/382)에 제공하는 단계(840)는 생성된 상기 광학 코드(360)를 상기 종이 조각(382)의 표면 상에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물체(380)는 모바일 통신 장치(384)를 포함하고, 생성된 상기 광학 코드(360)를 상기 외부 물체(380/384)에 제공하는 단계(840)는 생성된 상기 광학 코드(360)를 통신 네트워크(394)를 통해 상기 모바일 통신 장치(384)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통신 장치(384)에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392)를 통해 상기 광학 코드(360)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광학 코드(360)를 상기 모바일 통신 장치(384)의 디스플레이 스크린(387) 상에 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구성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리소스(390)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386)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물체는 상기 휴대용 컴퓨팅 장치(386)의 디스플레이 스크린(387)이고, 생성된 상기 광학 코드(360)를 상기 외부 물체(380/386)에 제공하는 단계(840)는 생성된 상기 광학 코드(360)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387) 상에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 방법.
    구성 방법.
KR1020207007229A 2017-09-01 2018-08-30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를 갖는 출입구 시스템의 구성 KR202000455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730233-2 2017-09-01
SE1730233 2017-09-01
PCT/EP2018/073297 WO2019043084A1 (en) 2017-09-01 2018-08-30 CONFIGURATION OF INPUT SYSTEMS HAVING ONE OR MORE MOBILE DOOR ELEMENT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6159A Division KR20240074012A (ko) 2017-09-01 2018-08-30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를 갖는 출입구 시스템의 구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505A true KR20200045505A (ko) 2020-05-04

Family

ID=63524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229A KR20200045505A (ko) 2017-09-01 2018-08-30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를 갖는 출입구 시스템의 구성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48410B2 (ko)
EP (1) EP3676471A1 (ko)
KR (1) KR20200045505A (ko)
CN (1) CN111051639B (ko)
AU (1) AU2018322806A1 (ko)
CA (1) CA3072376A1 (ko)
WO (1) WO20190430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07485A1 (en) * 2018-06-15 2021-04-21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Configuration of entrance systems having one or more movable door members
EP3983631A1 (en) * 2019-06-13 2022-04-20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Swing door operator operable in powered and powerless mode
CN113939639B (zh) * 2019-06-13 2023-12-12 亚萨合莱自动门系统有限公司 用于测试门操作器的方法
DE202020100583U1 (de) * 2020-02-03 2020-03-17 KEMAS Gesellschaft für Elektronik, Elektromechanik, Mechanik und Systeme mbH Karusselltür
CN115613928B (zh) * 2022-10-11 2023-08-11 山东源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移门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1746A (en) * 1987-04-15 1989-07-25 Republic Industries, Inc. Sensing apparatus for automatic door
JPH10341468A (ja) * 1997-06-10 1998-12-22 Nec Shizuoka Ltd 無線機
WO2004111374A1 (en) 2003-06-16 2004-12-23 Secumanagement B.V. Sensor arrangements, systems and method in relation to automatic door openers
DE102004003212B4 (de) * 2004-01-22 2007-12-13 Sommer Antriebs- Und Funktechnik Gmbh Programmiergerät für Sender-/Empfängersysteme zur berührungslosen Betätigung von Türen und Toren
US20060097844A1 (en) * 2004-11-10 2006-05-11 Denso Corporation Entry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biometrics
US20080022596A1 (en) * 2006-07-27 2008-01-31 Boerger James C Door signaling system
US8365469B2 (en) * 2007-03-30 2013-02-05 Stanley Black & Decker, Inc. Door operating system
CA2842521C (en) * 2007-04-24 2017-03-07 Yale Security Inc. Door closer assembly
US8032285B2 (en) * 2007-11-30 2011-10-04 Shih-Hsiung Li Device with memory function for controlling closure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US8416055B2 (en) * 2007-12-06 2013-04-09 The Chamberlain Group, Inc. Moveable barrier operator feature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EP2237234A1 (de) 2009-04-03 2010-10-06 Inventio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Zugangskontrolle
DE102010014806B4 (de) * 2010-02-02 2014-03-13 Hörmann KG Antriebstechnik Torantriebsvorrichtung, damit versehener Gebäudeabschluss, Torsystem und Herstell- und Antriebsverfahren
CN101975009A (zh) * 2010-10-29 2011-02-16 无锡中星微电子有限公司 一种自动门控制装置和方法
US20130009785A1 (en) * 2011-07-07 2013-01-10 Finn Clayton L Visual and Audio Warning System Including Test Ledger for Automated Door
US8870057B2 (en) * 2011-09-22 2014-10-28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equipment monitoring component configuration
ITTV20110153A1 (it) 2011-11-08 2013-05-09 Visionee S R L Sistema di videocitofonia
US9506284B2 (en) 2011-11-21 2016-11-29 Stanley Black & Decker, Inc. Automatic door system with door system user interface
US9243448B2 (en) * 2012-01-25 2016-01-26 Cornell Ironworks Enterprises Door control systems
US8884760B2 (en) * 2012-07-20 2014-11-11 American Mine Door Co. Control system for mine ventilation door
CN103997603A (zh) * 2014-03-25 2014-08-20 苏州吉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相机的配置方法
JP6424016B2 (ja) * 2014-06-06 2018-11-1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動作モード切替装置
CN105790999B (zh) * 2014-12-26 2019-06-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配置方法和装置
US10282334B2 (en) * 2015-10-30 2019-05-07 Response Technologies, Ltd. Communication module for a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same
CN105426807B (zh) * 2015-11-04 2018-07-06 福建星海通信科技有限公司 通过扫描二维码配置车载行车记录仪终端的方法及系统
US10030426B2 (en) * 2016-03-28 2018-07-24 Schlage Lock Company Llc Inductive door position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76471A1 (en) 2020-07-08
US11248410B2 (en) 2022-02-15
CA3072376A1 (en) 2019-03-07
US20200224484A1 (en) 2020-07-16
AU2018322806A1 (en) 2020-02-13
CN111051639A (zh) 2020-04-21
WO2019043084A1 (en) 2019-03-07
CN111051639B (zh)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5505A (ko)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를 갖는 출입구 시스템의 구성
CN112352086B (zh) 具有一个或多个可移动门构件的进入系统的配置
CA2968080C (en) Using low power radio to control a higher power communication interface
TWI554747B (zh) 人員偵測系統及人員偵測方法
US10504345B2 (en) Surveillance camera, system having a surveillance camera and method for operating a surveillance camera
KR20240074012A (ko)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를 갖는 출입구 시스템의 구성
EP4138388A1 (en) Modification of camera functionality based on orientation
KR20150035108A (ko)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이용한 로봇 청소기 및 방범 시스템
CN107975908B (zh) 空调器的开合结构控制方法、空调器和可读存储介质
Ashish et al. Automated hybrid surveillance robot
JP6976046B2 (ja) 管理装置、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および管理プログラム
KR101683747B1 (ko)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 및 그의 제어 방법
US11339605B2 (en) Operating mode setting for automatic doors
KR20150064289A (ko) 영상기반 홈 케어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857875B1 (ko)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반영한 실내 보안용 윈도우 모니터링 장치
KR20200040226A (ko) 하나 이상의 가동 도어 부재 및 지능형 유리 패널을 갖는 출입구 시스템
JP6742739B2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366600Y1 (ko) 보안용 도어락 시스템
CN206928873U (zh) 一种具有入室安全监控功能的窗户及其窗户系统
Bandyopadhyay et al. IoT Based Home Security System using Atmega328P, ESP01 and ThingSpeak Server
KR20190109648A (ko) 자동회전문 관리 시스템
JP2023022673A (ja)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Ranasinghe et al. Arduino Based Home Automation and Security System
KR20170064498A (ko)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Hong House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