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747B1 -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747B1
KR101683747B1 KR1020160085681A KR20160085681A KR101683747B1 KR 101683747 B1 KR101683747 B1 KR 101683747B1 KR 1020160085681 A KR1020160085681 A KR 1020160085681A KR 20160085681 A KR20160085681 A KR 20160085681A KR 101683747 B1 KR101683747 B1 KR 101683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network camera
output terminal
digital output
alarm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유지 웨슬리
Original Assignee
첵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첵트 엘엘씨 filed Critical 첵트 엘엘씨
Priority to KR1020160085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7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04N5/232
    • H04N5/232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 및 그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4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사람 감지를 통한 정보와 문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각각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포함함으로써, 복수로 관리되는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통해 노멀리 클로우즈(normally closed)인지 또는 노멀리 오픈(normally open)인지 여부를 각각 확인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 및 그의 제어 방법{Network camera with the plural digital outputs for alarm output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망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4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사람 감지를 통한 정보와 문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각각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포함하는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PIR 모션 센서(Passive Infrared Sensor)는 설치된 영역에서의 인체를 감지하고, 인체가 감지된 경우 해당 감지 정보를 알람 패널(alarm panel) 등에 전송한다.
상기 PIR 모션 센서와 알람 패널은 전원선, 그라운드선, 디지털 출력선 및 디지털 그라운드 선을 포함하는 4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PIR 모션 센서와 영상 감지를 위한 카메라가 중복 설치됨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고, 설비에 따른 운영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알람 패널에서는 PIR 모션 센서에서의 전원 공급 등이 끊긴 상황을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81577호 [명칭: 스마트 홈을 위한 PIR 센서기반 댁내 위치인식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4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사람 감지를 통한 정보와 문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각각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포함하는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4선 케이블에서의 디지털 그라운드 라인을 문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디지털 출력 라인으로 설정하는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의 제어 방법은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촬영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가 설치된 영역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센서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통신부를 통해, 상기 촬영부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제어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가 온 상태일 때, 노멀리 클로우즈(normally closed)로 동작하는 입출력부 내의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 1 알람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노멀리 클로우즈로 동작하는 상기 입출력부 내의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 2 알람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네트워크 손실(network loss),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에 구비되는 SD 카드의 인식 실패,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에 대한 기능 조작,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에 대한 전원 차단, 상기 촬영부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이 없는 경우 및 상기 촬영부를 통해 동일한 영상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동일하게 획득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촬영부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 내에서 사람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촬영부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 내에서 사람이 감지될 때,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제 1 알람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될 때,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제 2 알람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는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가 설치된 영역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촬영부; 미리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촬영부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 4선 케이블로 연결되며, 전원 단자와, 그라운드 단자와,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와,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입출력부; 및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가 온 상태일 때, 노멀리 클로우즈(normally closed)로 동작하는 상기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 1 알람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노멀리 클로우즈로 동작하는 상기 입출력부 내의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 2 알람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 내에서 사람이 감지될 때,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제 1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가 오프 상태일 때, 상기 미리 설정된 제 2 알람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될 때,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제 2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4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사람 감지를 통한 정보와 문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각각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포함함으로써, 기존 4선 케이블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네트워크 카메라를 통해 영상 정보를 통한 사람 감지 및 이상 상황 발생에 따른 이벤트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어 비용 절감 및 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존의 알람 패널과 추가적인 소프트웨어/하드웨어의 통합없이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움직임 감지 센서와 동일하게 동작하며, 움직임 감지 센서의 설치에 요구되는 총 전선의 개수와 동일하여 특별한 훈련없이도 기존에 움직임 감지 센서를 설치하던 설치업자가 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4선 케이블에서의 디지털 그라운드 라인을 문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디지털 출력 라인으로 설정함으로써, 카메라 설치에 있어서 발생하는 설치 업자 교육 비용과 장비의 원격 관리 비용을 줄이며, 기존의 움직임 감지 센서에 사용하던 4개의 전선으로 설치하는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여 네트워크 카메라의 알람 모니터링 시장의 진입 장벽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에 포함된 입출력부와 알람 패널 및 서버 간의 연결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10)는 촬영부(100), 센서부(200), 통신부(300), 저장부(400), 표시부(500), 제어부(600) 및 입출력부(7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카메라(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네트워크 카메라(1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네트워크 카메라(1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촬영부(100)는 IP 카메라/IP 엔코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부(100)는 영상 통화 모드, 촬영 모드, 영상 회의 모드 등에서 이미지 센서(카메라 모듈 또는 카메라)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즉, 코덱(CODEC)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해당 화상 데이터들을 각 규격에 맞도록 인코딩/디코딩한다. 상기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표시부(500)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촬영부(100)는 객체(또는 피사체)(사용자 영상 또는 화상 회의자)를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피사체 영상)에 대응하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촬영부(10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되거나 상기 통신부(300)를 통해 외부 단말기(예를 들어 다른 단말, 알람 패널, 서버 등 포함)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촬영부(100)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가 설치된 지역(또는 영역)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또는 촬영)한다.
상기 센서부(200)는 네트워크 손실(network loss),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에 구비되는 SD 카드의 인식 실패,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에 대한 임의의/특정 기능 조작,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에 대한 전원 차단,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이 없는 경우,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동일한 영상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동일하게 획득(또는 입력)되는 경우 등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또는 트러블 이벤트)를 감지한다.
상기 통신부(3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단말(미도시), 알람 패널, 서버(또는 센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30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300)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통해 임의의 단말과 정보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30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상기 단말, 상기 알람 패널, 상기 서버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300)는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서버(또는 센터)(30)에 전송한다.
상기 저장부(40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400)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즉, 상기 저장부(400)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네트워크 카메라(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되고, 네트워크 카메라(10)에 설치되어, 제어부(600)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4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카메라(1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40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상기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400)는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 상기 센서부(200)를 통해 감지되는 감지 정보 등을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500)는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50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500)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50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500)는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 상기 센서부(200)를 통해 감지되는 감지 정보 등을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카메라(1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상기 저장부(400)에 액세스하여,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0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또는 센터)(3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가 온 상태(또는 부팅 완료 후/동작 상태/대기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600)는 노멀리 클로우즈(normally closed)로 동작하는 입출력부(700) 내의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73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 1 알람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노멀리 클로우즈(normally closed)로 동작하는 입출력부(700) 내의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74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 2 알람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제 1 알람 신호 및 상기 제 2 알람 신호는 온 상태(또는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미리 설정된 신호 세기, 크기 등을 갖는 신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가 오프 상태(또는 전원 오프 상태/부팅 완료 전)인 경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730)와 관련해서 클로즈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730)를 통해 상기 알람 패널(20)에 상기 제 1 알람 신호를 보내지 않는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가 오프 상태(또는 전원 오프 상태/부팅 완료 전)인 경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730)와 관련해서 오픈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740)를 통해 상기 알람 패널(20)에 상기 제 2 알람 신호를 보낸다.
이를 통해, 전원 공급이 끊긴 이벤트 상황에서도, 상기 알람 패널(20)에서 해당 상황을 쉽게 확인함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에 대한 관리상의 어려움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 내에서 사람(또는 객체)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또는 판단)한다.
상기 확인 결과(또는 판단 결과),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 내에서 사람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지속적으로 획득되는 영상 정보 내에서 사람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상기 확인 결과(또는 판단 결과),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 내에서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출력부(700) 내의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730)를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제 1 알람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확인 결과(또는 판단 결과),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 내에서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600)는 노멀리 클로우즈로 동작하는 상기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730)에 대해서, 상기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730)를 통해 상기 제 1 알람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센서부(20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또는 확인)한다.
상기 판단 결과(또는 확인 결과), 상기 센서부(20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센서부(200)를 통해 지속적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의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네트워크 손실(network loss),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에 구비되는 SD 카드의 인식 실패,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에 대한 임의의/특정 기능 조작,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에 대한 전원 차단,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이 없는 경우,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동일한 영상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동일하게 획득(또는 입력)되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단 결과(또는 확인 결과), 상기 센서부(20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출력부(700) 내의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740)를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제 2 알람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판단 결과(또는 확인 결과), 상기 센서부(20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600)는 노멀리 클로우즈로 동작하는 상기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740)에 대해서, 상기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740)를 통해 상기 제 2 알람 신호를 출력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에 포함된 상기 입출력부(700)는 전원 단자((또는 전원선)(710), 그라운드 단자(또는 그라운드선)(720),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또는 제 1 디지털 출력선)(730) 및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제 2 디지털 출력선)(74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입출력부(700)는 기존 PIR 센서 모듈과 알람 패널 간의 연결에 사용되는 4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알람 패널(20)에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PIR 센서 모듈 대신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로 교체하는 경우, 기존 4선 케이블을 재활용하는 경우, 신규로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와 상기 알람 패널(20) 간을 연결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4선 케이블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비용 절감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 설치에 따른 설치 업자 교육 비용과 장비의 원격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730)는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감지되는(또는 확인되는) 사람(또는 객체)에 대한 알람을 위해서, 침입 감지 알람 전용으로 노멀리 클로우즈(normally closed)로 동작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가 전원 오프 상태(또는 오프 상태/부팅 완료 전)인 경우, 상기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730)는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클로우즈 상태로 상기 알람 패널(20)에 알람(또는 알람 신호/제 1 알람 신호)을 보내지 않는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가 전원 온 상태(또는 부팅 완료 후/동작 상태/대기 상태)인 경우, 상기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730)는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클로우즈 상태로 상기 알람 패널(20)에 알람(또는 알람 신호/제 1 알람 신호)을 보내지 않는다.
또한,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 내에서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730)는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 알람 신호를 상기 알람 패널(20)에 출력(또는 전송/제공)한다.
상기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740)는 상기 센서부(200)를 통해 감지되는(또는 확인되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에 대한 알람을 위해서, 트러블(trouble) 알람 전용으로 노멀리 오픈(normally open)으로 동작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가 전원 오프 상태(또는 오프 상태/부팅 완료 전)인 경우, 상기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740)는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오픈 상태로 상기 알람 패널(20)에 알람(또는 알람 신호/제 2 알람 신호)을 보낸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가 전원 온 상태(또는 부팅 완료 후/동작 상태/대기 상태)인 경우,
상기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740)는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클로우즈 상태로 상기 알람 패널(20)에 알람(또는 알람 신호/제 2 알람 신호)을 보내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센서부(20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740)는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2 알람 신호를 상기 알람 패널(20)에 출력(또는 전송/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알람 패널(20)은 상기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730)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로부터 전달되는 제 1 알람 신호의 수신 여부를 근거로 사람(또는 객체/인체) 감지에 따른 알람 신호 출력 여부를 결정한다.
즉, 상기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730)를 통해 제 1 알람 신호가 상기 알람 패널(20)에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알람 패널(20)은 해당 네트워크 카메라(10)가 설치된 지역에서 사람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로 확인하고, 알람 신호(또는 상기 제 1 알람 신호)를 상기 서버(또는 센터)(30)에 전송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730)를 통해 제 1 알람 신호가 상기 알람 패널(20)에 전송되는 경우, 상기 알람 패널(20)은 해당 네트워크 카메라(10)가 설치된 지역에서 사람이 감지된 것으로 확인하고, 알람 신호(또는 상기 제 1 알람 신호)를 상기 서버(또는 센터)(30)에 전송(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알람 패널(20)은 상기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740)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로부터 전달되는 제 2 알람 신호의 수신 여부를 근거로 미리 설정된 특정 이벤트 감지에 따른 알람 신호 출력 여부를 결정한다.
즉, 상기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740)를 통해 제 2 알람 신호가 상기 알람 패널(20)에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알람 패널(20)은 해당 네트워크 카메라(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로 확인하고, 알람 신호(또는 상기 제 2 알람 신호)를 상기 서버(또는 센터)(30)에 전송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740)를 통해 제 2 알람 신호가 상기 알람 패널(20)에 전송되는 경우, 상기 알람 패널(20)은 해당 네트워크 카메라(10)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알람 신호(또는 상기 제 2 알람 신호)를 상기 서버(또는 센터)(30)에 전송(또는 출력)한다.
이와 같이, 무선 통신망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4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사람 감지를 통한 정보와 문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각각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4선 케이블에서의 디지털 그라운드 라인을 문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디지털 출력 라인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의 제어 방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촬영부(100)는 네트워크 카메라(10)가 설치된 지역(또는 영역)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또는 촬영)한다.
일 예로, 제 1 촬영부(100)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가 설치된 백화점 정문에 대한 제 11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S310).
이후, 센서부(200)는 네트워크 손실(network loss),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에 구비되는 SD 카드의 인식 실패,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에 대한 임의의/특정 기능 조작,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에 대한 전원 차단,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이 없는 경우,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동일한 영상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동일하게 획득(또는 입력)되는 경우 등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또는 트러블 이벤트)를 감지한다.
일 예로, 제 1 센서부(200)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에 대한 전원 차단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제 1 이벤트를 감지한다(S320).
이후, 제어부(600)는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또는 센터)(30)에 전송한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LAN), DLNA,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 HSUPA,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TE), LTE-A,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MBS) 등이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IrDA), UWB, 지그비), 인접 자장 통신(NFC), 초음파 통신(USC), 가시광 통신(VLC), 와이 파이, 와이 파이 다이렉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600)는 상기 제 1 촬영부를 통해 획득되는 제 11 영상 정보를 와이 파이 방식으로 상기 서버(30)에 전송한다(S330).
이후,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가 온 상태(또는 부팅 완료 후/동작 상태/대기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600)는 노멀리 클로우즈(normally closed)로 동작하는 입출력부(700) 내의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73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 1 알람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노멀리 클로우즈(normally closed)로 동작하는 입출력부(700) 내의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74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 2 알람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제 1 알람 신호 및 상기 제 2 알람 신호는 온 상태(또는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미리 설정된 신호 세기, 크기 등을 갖는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될 때(또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가 오프 상태에서 부팅되어 부팅이 완료될 때),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출력부(700) 내의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730)를 통해 제 1 알람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부팅 전까지 제 2 알람 신호를 출력하던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740)를 통해 상기 제 2 알람 신호를 더 이상 출력하지 않는다(S340).
이후,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 내에서 사람(또는 객체)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또는 판단)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 1 촬영부를 통해 획득되는 제 11 영상 정보 내에서 사람(또는 객체)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50).
상기 확인 결과(또는 판단 결과),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 내에서 사람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지속적으로 획득되는 영상 정보 내에서 사람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촬영부를 통해 획득되는 제 11 영상 정보 내에서 사람(또는 객체)이 감지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 1 촬영부를 통해 상기 제 11 영상 정보 이후에 획득되는 제 12 영상 정보 내에서 사람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60).
또한, 상기 확인 결과(또는 판단 결과),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 내에서 사람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출력부(700) 내의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730)를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제 1 알람 신호를 출력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촬영부를 통해 획득되는 제 11 영상 정보 내에서 사람(또는 객체)이 감지될 때,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730)를 통해 제 1 알람 신호를 출력한다(S370).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센서부(20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또는 확인)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 1 센서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에 대한 전원 차단 등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제 1 이벤트의 감지 여부를 판단한다(S380).
상기 판단 결과(또는 확인 결과), 상기 센서부(20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센서부(200)를 통해 지속적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의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네트워크 손실(network loss),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에 구비되는 SD 카드의 인식 실패,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에 대한 임의의/특정 기능 조작,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에 대한 전원 차단,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이 없는 경우, 상기 촬영부(100)를 통해 동일한 영상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동일하게 획득(또는 입력)되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센서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에 대한 전원 차단 등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제 1 이벤트가 감지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 1 센서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에 대한 전원 차단 등을 포함하는 이벤트의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90).
또한, 상기 판단 결과(또는 확인 결과), 상기 센서부(20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출력부(700) 내의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740)를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제 2 알람 신호를 출력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센서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10)에 대한 전원 차단 등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제 1 이벤트가 감지될 때,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740)를 통해 제 2 알람 신호를 출력한다(S40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망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4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사람 감지를 통한 정보와 문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각각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포함하여, 기존 4선 케이블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네트워크 카메라를 통해 영상 정보를 통한 사람 감지 및 이상 상황 발생에 따른 이벤트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어 비용 절감 및 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존의 알람 패널과 추가적인 소프트웨어/하드웨어의 통합없이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움직임 감지 센서와 동일하게 동작하며, 움직임 감지 센서의 설치에 요구되는 총 전선의 개수와 동일하여 특별한 훈련없이도 기존에 움직임 감지 센서를 설치하던 설치업자가 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4선 케이블에서의 디지털 그라운드 라인을 문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디지털 출력 라인으로 설정하여, 카메라 설치에 있어서 발생하는 설치 업자 교육 비용과 장비의 원격 관리 비용을 줄이며, 기존의 움직임 감지 센서에 사용하던 4개의 전선으로 설치하는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여 네트워크 카메라의 알람 모니터링 시장의 진입 장벽을 낮출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4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사람 감지를 통한 정보와 문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각각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포함함으로써, 복수로 관리되는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통해 노멀리 클로우즈(normally closed)인지 또는 노멀리 오픈(normally open)인지 여부를 각각 확인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네트워크 카메라 분야, 객체 감지 분야, 영상 분야, 서버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 네트워크 카메라 20: 알람 패널
30: 서버/센터 100: 촬영부
200: 센서부 300: 통신부
400: 저장부 500: 표시부
600: 제어부 700: 입출력부
710: 전원 단자 720: 그라운드 단자
730: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 740: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

Claims (7)

  1.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촬영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가 설치된 영역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센서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통신부를 통해, 상기 촬영부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제어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가 오프 상태일 때, 노멀리 클로우즈(normally closed)로 동작하는 입출력부 내의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 1 알람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노멀리 클로우즈로 동작하는 상기 입출력부 내의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 2 알람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네트워크 손실(network loss),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에 구비되는 SD 카드의 인식 실패,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에 대한 기능 조작,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에 대한 전원 차단, 상기 촬영부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이 없는 경우 및 상기 촬영부를 통해 동일한 영상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동일하게 획득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카메라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촬영부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 내에서 사람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촬영부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 내에서 사람이 감지될 때,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제 1 알람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카메라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될 때,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제 2 알람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카메라의 제어 방법.
  5.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가 설치된 영역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촬영부;
    미리 설정된 이벤트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촬영부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
    4선 케이블로 연결되며, 전원 단자와, 그라운드 단자와,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와,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입출력부; 및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가 오프 상태일 때, 노멀리 클로우즈(normally closed)로 동작하는 상기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 1 알람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노멀리 클로우즈로 동작하는 상기 입출력부 내의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를 통해 미리 설정된 제 2 알람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디지털 출력 단자는,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가 오프 상태일 때, 상기 미리 설정된 제 2 알람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될 때,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제 2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네트워크 카메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지털 출력 단자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 내에서 사람이 감지될 때,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제 1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카메라.
  7. 삭제
KR1020160085681A 2016-07-06 2016-07-06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683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681A KR101683747B1 (ko) 2016-07-06 2016-07-06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681A KR101683747B1 (ko) 2016-07-06 2016-07-06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747B1 true KR101683747B1 (ko) 2016-12-07

Family

ID=57573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681A KR101683747B1 (ko) 2016-07-06 2016-07-06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7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364B1 (ko) * 2019-07-08 2020-10-06 첵트 엘엘씨 알람 포맷을 지원하는 브릿지 장치
CN116343445A (zh) * 2023-05-30 2023-06-27 北京珞安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物联网设备安全保护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577B1 (ko) 2006-11-02 2007-12-05 주식회사 오토닉스 스마트 홈을 위한 pir 센서기반 댁내 위치인식시스템
KR100851401B1 (ko) * 2007-03-07 2008-08-11 현대통신 주식회사 2선식 무극성 카메라 디바이스, 세대기, 및 이를 이용한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110004350A (ko) * 2008-06-06 2011-01-13 클라우디오 알. 밸러드 전력/데이터 백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복수의 모듈을 통합하기 위한 시스템
KR101566839B1 (ko) * 2015-05-15 2015-11-06 현진아이씨티 주식회사 자가진단 기능을 가진 방범 cctv 시스템 및 그 자가진단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577B1 (ko) 2006-11-02 2007-12-05 주식회사 오토닉스 스마트 홈을 위한 pir 센서기반 댁내 위치인식시스템
KR100851401B1 (ko) * 2007-03-07 2008-08-11 현대통신 주식회사 2선식 무극성 카메라 디바이스, 세대기, 및 이를 이용한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20110004350A (ko) * 2008-06-06 2011-01-13 클라우디오 알. 밸러드 전력/데이터 백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복수의 모듈을 통합하기 위한 시스템
KR101566839B1 (ko) * 2015-05-15 2015-11-06 현진아이씨티 주식회사 자가진단 기능을 가진 방범 cctv 시스템 및 그 자가진단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364B1 (ko) * 2019-07-08 2020-10-06 첵트 엘엘씨 알람 포맷을 지원하는 브릿지 장치
CN116343445A (zh) * 2023-05-30 2023-06-27 北京珞安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物联网设备安全保护系统及方法
CN116343445B (zh) * 2023-05-30 2023-08-29 北京珞安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物联网设备安全保护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6187B2 (en) Adjustable movement detection doorbell
EP2998945B1 (en) System for auto-configuration of devices in a building information model using bluetooth low energy
US9405360B2 (en) IP camera smart controller
US20160269691A1 (en) System for monitoring door using door phone
KR20160069442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에러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종단간 서비스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20170103645A1 (en) Dual communication-interface facility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146771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nd associating context images with zones of a security system
US11381459B2 (e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hidden camera, service providing apparatus therefor,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1683747B1 (ko) 알람 출력용 복수의 디지털 출력을 가진 네트워크 카메라 및 그의 제어 방법
EP3018882A1 (en) Configuring a device in a network
KR20210049729A (ko)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
KR20210044595A (ko) 몰래 카메라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US20150181169A1 (en) Security device, broadcast rece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image capturing method thereof
Sugumaran et al. Smart Surveillance Monitoring System using Raspberry pi and pir sensor
US20150181432A1 (en) Remote configuration of digital video surveillance system elements
KR20150130712A (ko) 지능형 디지털 출입문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95843B1 (ko) 알람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9387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cyber security incidents with intelligent password management
KR20210042591A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227517B1 (ko) IoT 기반의 IP 카메라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A2934637C (en) Network camera having a plurality of digital output terminals for outputting alar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100725A (zh) 基于4g和有线宽带实现智能网络视频监控的系统
US9934664B2 (en) Network camera having a plurality of digital output terminals for outputting alar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74078B1 (ko) 앱의 e2e 지연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US11050978B2 (en) Monitor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