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9729A -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9729A
KR20210049729A KR1020210047977A KR20210047977A KR20210049729A KR 20210049729 A KR20210049729 A KR 20210049729A KR 1020210047977 A KR1020210047977 A KR 1020210047977A KR 20210047977 A KR20210047977 A KR 20210047977A KR 20210049729 A KR20210049729 A KR 20210049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unit
external terminal
terminal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4182B1 (ko
Inventor
함윤희
Original Assignee
함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6942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42015B1/ko
Application filed by 함윤희 filed Critical 함윤희
Priority to KR1020210047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1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49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모니터링 단말의 네트워크 및 단말 설정부에서 홈 게이트웨이 IP 및 통화 연결할 외부단말의 연락처를 기 설정된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하여 등록 및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단말의 콜 버튼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통화연결부에서 설정된 연락처의 외부단말과 호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단말과 상기 통화연결부가 호 연결되면, 영상중계부에서 카메라부의 실시간 촬영영상을 상기 외부단말로 중계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단말은 고정 브라켓 및 콜 버튼이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촬영영상을 제공하는 IP 카메라;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스피커; 상기 콜 버튼의 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외부단말과 호 연결하는 통화연결부; 영상중계부로부터 상기 IP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공받은 후, 홈 게이트웨이 IP에 접속하여 기 설정된 외부단말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감지부; 상기 홈 게이트웨이 IP의 종류 및 호 연결할 외부단말의 연락처를 설정하는 네트워크 및 단말 설정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외부단말과 호 연결 또는 무선접속할 시간정보를 기록한 스케줄 정보를 제공하는 스케줄링부; 및 상기 객체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콜 버튼의 버튼신호를 활성화시켜 상기 통화연결부로 제공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Method for monitoring and recalling based on home network}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카메라와 모바일 폰을 연동하는 서비스에 대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국내 시장의 경우 네트워크 카메라와 모바일 폰을 연동하는 시도는 현재 서비스 초기이고 기술적으로 보완할 부분들이 많다.
초기에는 WAP형태의 개발로 진행이 되었지만 거의 대부분의 업체들이 상업적인 서비스를 구현지 못하고 데모 단계에서 끝나고 말았다. 최근에는 WIPI 기반의 VM 형태로 개발되면서 조금씩 기술에 대한 진보가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대부분은 네트워크 카메라와 모바일 폰 간에 직접적인 연동보다는 중간에 영상 서버를 경유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많은 이용자가 발생하여 영상 서버로의 동시 접속이 많아질 경우 서비스에 대한 안정성에 대한 부담이 커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영상 서버를 계속 증설하는 것도 오히려 운영 유지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영상 서버를 운영하는 부담으로 네트워크 카메라와 모바일 폰 간에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P2P(Peer to Peer) 형태로 운영하는 업체도 있지만 기술적 접근의 한계로 네트워크 카메라 내에서 운영되는 서버 프로그램이 모듈을 하나의 모듈에서 동작하여 정해진 해상도의 데이터를 서비스하기 때문에 CIF나 VGA급의
고해상도에서는 모바일 서비스가 어렵고 모바일을 위해 QCIF급의 작은 영상을 사용하면 PC에서는 영상품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네트워크 카메라와 같은 영상장비와 관련해서 큰 시장을 이루고 있는 미국의 경우도 현 단계에서는 비교적 일반 모바일 폰에 비해 기술 개발이 용이한 PDA 폰과 영상 장비를 연동하여 서비스하고 있지만 PDA 폰 보급률이 높지 않기 때문에 점차 일반 모바일 폰과의 연동에 대한 요구가 일고 있다. 현재는 해외의 많은 관심 있는 업체들이 국내의 기술 개발 상황과 서비스 상황에 많을 관심 속에 국내 개발 업체들로부터 기술 도입을 시도하려고 한다.
한편, 홈 네트워크란 집안의 각 공간(예를 들어, 안방, 부엌, 거실, 현관 등)을 연결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정 내의 모든 정보가전이 연결된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갖추고 유/무선망을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서비스되는 가전기기들을 통칭하여 '정보가전' 이라 하며, 모든 가전기기들이 하나로 연결된 모습을 이른바 홈 네트워킹이라 한다.
홈 네트워크가 이루어지면 집안과 집 밖을 연결할 때 서버를 통한 PC로의 연결뿐만 아니라 에어컨이나 TV 등의 가전제품을 통해서 외부 정보를 직접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홈 네트워크 제공서비스는 영상 모니터링 기능, 세대간 화상통화기능, 가스 밸브 조회시스템, 난방 제어시스템, 세대 현관이나 공동현관의 문 열림 기능, 방범/방재기능(가스, 방범, 비상감지), 원격 검침 조회기능, 조명 제어 시스템 등이 있다.
홈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카메라와 모바일 폰을 연동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네트워크 카메라와 모바일 폰을 연동하기 위한 영상 서버를 두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경우 네트워크 카메라는 모바일 폰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영상 서버로 압축된 영상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영상 서버는 모바일 폰에서 사용하는 코더와 네트워크 카메라에 내장된 코더가 다를 경우 영상 서버로부터 전송된 압축데이터를 복원하여 모바일 폰에서 이용되는 코더와 호환이 되는 포맷으로 재압축하는 처리를 하게 된다.
그리고 재압축 과정에서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입력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모바일 폰 LCD 크기에 맞추어 해상도를 맞추는 처리도 함께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중간에 영상 서버를 거치게 될 경우 초기 데모단계에서 동시 접속에 대한 수가 고려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효과적인 데모가 가능하지만 만약 정식 서비스가 되어 가입자가 늘어나면서 동시 접속자의 수가 증가한다면 점차 고해상도의 영상이 요구되고 유/무선망의 속도가 증가하여 점차 서비스되는 프레임을 수가 높아지는 국내 상황을 고려할 때 이와 같은 영상 서버를 운영한다는 것은 안정성에 엄청난 부담이 될 것이며, 이를 위한 방편으로 영상 서버를 증설하더라도 운영이나 비용적인 부분에서 많은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두 번째 경우로서 네트워크 카메라와 모바일 폰 사이에 P2P 형태로 영상 서버가 없이 네트워크 카메라와 모바일 폰이 직접적으로 연동하는 형태가 있다. 즉, 하나의 서비스 프로세스에서 유선장비인 PC와 무선장비인 모바일 폰으로 영상을 전송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유선과 무선을 통해 동일한 데이터가 전송된다. 네트워크 카메라와 모바일 폰을 연동하는 개발을 하던 초기에는 영상 서버를 경유하는 형태의 개발이 대부분이었으나 점차 영상 서버를 경유하는 것이 아닌 P2P 형태의 개발이 점차 늘고 있다. 이 경우, 영상의 해상도는 PC에서 설정하기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PC에서 서비스 영상해상도로 CIF 나 VGA 급의 영상을 설정할 경우 PC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모바일 폰의 뷰어 프로그램 모두에 동일한 해상도로 압축된 데이터가 전송된다. 그러나 모바일 폰의 LCD 크기는 이에 비해 훨씬 작기 때문에 서비스하기 용이하지 않다.
즉, 실제 설치되어 서비스될 경우 각 사용자들은 각각 필요에 따라 여러 해상도를 선택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PC에서 어떤 해상도로 설정하던지 모바일 폰의 LCD 크기에 맞추어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는 유선 전송 모듈과 별도의 모바일 모듈이 구동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네트워크 서버 장비와 같은 저 사양의 CPU에서도 소프트웨어적으로 실시간 인코딩할 수 있는 동영상 압축 기술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유선 서비스는 하드웨어 영상 코덱칩을 이용하고 모바일 서비스를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동영상 압축코덱을 이용하여 유선 모듈과 모바일 모듈을 각각 구동하여야만 유선과 모바일이 동시에 PC의 해상도 설정에 관계없이 정상적인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MPEG-4와 같은 종래에 알려진 동영상 압축 기술의 경우 이와 같은 저사양의 CPU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하드웨어 칩과 동시에 소프트웨어적으로 실시간 압축 처리하기에는 어렵다.
따라서, 종래의 네트워크 카메라와 모바일 폰을 연동하는 방법은 영상 서버의 운영 유지비가 과다하고, PC이외에 모바일 폰의 환경을 별도로 고려하지 못하여 영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798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상기 모니터링 단말의 네트워크 및 단말 설정부에서 홈 게이트웨이 IP 및 통화 연결할 외부단말의 연락처를 기 설정된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하여 등록 및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단말의 콜 버튼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통화연결부에서 설정된 연락처의 외부단말과 호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단말과 상기 통화연결부가 호 연결되면, 영상중계부에서 카메라부의 실시간 촬영영상을 상기 외부단말로 중계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단말은 고정 브라켓 및 콜 버튼이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촬영영상을 제공하는 IP 카메라;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스피커; 상기 콜 버튼의 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외부단말과 호 연결하는 통화연결부; 영상중계부로부터 상기 IP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공받은 후, 홈 게이트웨이 IP에 접속하여 기 설정된 외부단말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감지부; 상기 홈 게이트웨이 IP의 종류 및 호 연결할 외부단말의 연락처를 설정하는 네트워크 및 단말 설정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외부단말과 호 연결 또는 무선접속할 시간정보를 기록한 스케줄 정보를 제공하는 스케줄링부; 및 상기 객체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콜 버튼의 버튼신호를 활성화시켜 상기 통화연결부로 제공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제1 사용자의 외부단말에서 제2 사용자의 모니터링 단말을 호출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단말의 통화연결부에서 호출 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외부단말과 호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단말과 상기 통화연결부가 호 연결되면, 상기 모니터링 단말의 영상중계부에서 IP 카메라에서 촬영한 실시간 촬영영상을 상기 외부단말로 중계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단말은 고정 브라켓 및 콜 버튼이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촬영영상을 제공하는 IP 카메라;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스피커; 상기 콜 버튼의 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외부단말과 호 연결하는 통화연결부; 영상중계부로부터 상기 IP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공받은 후, 홈 게이트웨이 IP에 접속하여 기 설정된 외부단말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감지부; 상기 홈 게이트웨이 IP의 종류 및 호 연결할 외부단말의 연락처를 설정하는 네트워크 및 단말 설정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외부단말과 호 연결 또는 무선접속할 시간정보를 기록한 스케줄 정보를 제공하는 스케줄링부; 및 상기 객체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콜 버튼의 버튼신호를 활성화시켜 상기 통화연결부로 제공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고, 집에 혼자 있는 아이들의 긴급호출을 간편하게 단말 앱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부단말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 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브라켓이 결속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모니터링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는 도 1에 도시된 양방향 호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홈 게이트웨이 IP 및 호 연결할 외부단말의 연락처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부모와 자녀 간의 양방향 대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클라이언트", "유저" 및 "사용자"는 종종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및 "엘리먼트" 또한 종종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부단말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3는 도 1에 도시된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 예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브라켓이 결속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모니터링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는 도 1에 도시된 양방향 호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홈 게이트웨이 IP 및 호 연결할 외부단말의 연락처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1000)는 외부단말(10) 및 모니터링 단말(100)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단말(10)은 제1 사용자의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호출 콜 및 영상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외부단말(10)은 도 2를 참조, 통신부(11), 저장부(12), 표시부(13), 음성 출력부(14) 및 제어부(15)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외부단말(10)의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호출 콜 및 영상통화 기능을 실행하는 단말장치가 구현될 수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단말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외부단말(1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서버(미도시), 다른 단말(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통해 임의의 단말과 정보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상기 서버, 상기 다른 단말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1)는 상기 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유/무선 통신 연결되는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양방향 호출 앱, 해당 앱과 관련한 데이터 등을 수신한다.
상기 저장부(12)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2)는 상기 양방향 호출 앱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즉, 상기 저장부(12)는 상기 양방향 호출 앱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단말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양방향 호출 앱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양방향 호출 앱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저장부(12)에 저장되고, 양방향 호출 앱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에 설치되어, 제어부(15)에 의하여 상기 양방향 호출 앱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2)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상기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는 상기 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신된 양방향 호출 앱(프로그램), 해당 앱(프로그램)과 관련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또는 디스플레이부)(13)는 상기 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12) 및 제어부(15)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3)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3)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3)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3)는 상기 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양방향 호출 앱 실행 결과 화면 등을 표시한다.
상기 음성 출력부(14)는 상기 제어부(15)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14)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14)는 상기 제어부(15)에 의해 생성된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14)는 상기 제어부(15)에 의해 상기 양방향 호출 앱 실행 결과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또는 음향 효과)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controller, 또는 MCU(microcontroller unit)(15)는 상기 양방향 호출 앱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저장부(12)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양방향 호출 앱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15)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상기 저장부(12)에 액세스하여, 상기 저장부(12)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12)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양방향 호출 앱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양방향 호출 앱은 후술하는 모니터링 단말과 양방향 영상 및 음성 통화가 지원되도록 서비스하는 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방향 호출 앱이 사용자 선택(또는 사용자 터치/입력)에 따라 선택(또는 터치/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는 해당 앱을 실행하여, 앱 실행 결과 화면을 상기 표시부(13)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 모니터링 단말(100)은 상기 외부 단말에서 전송된 상기 호출 콜에 응답하여 제2 사용자의 영상 및 음성이 포함된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로 송출한다.
또한, 모니터링 단말(100)은 외부단말로 호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단말(100)은 몸체(110), 카메라(121), 영상중계부(122), 감지부(130), 스피커(140), 통화 연결부(150), 무선통신부(160), 네트워크 및 단말 설정부(170), 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단말(100)는 스케줄링부(200), 상태표시부(210), 구동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몸체(110)는 벽 등과 같은 고정체에 결착되어는 고정 브라켓(111)이 구비되고, 상부면에 종 모양의 콜 버튼(B1)이 구비된 구조체일 수 있다.
상기 콜 버튼(B1)은 후술하는 통화 연결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통화 연결부(150)는 콜 버튼(B1)의 콜 신호(call_sign)를 수신시에, 후술하는 네트워크 및 단말 설정부(170)에서 설정된 외부단말(부모 단말)의 연락처로 콜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IP 카메라(121)는 상기 몸체(110)의 상부면 또는 측면에 구비되어, 전방의 제한된 실내 공간 영역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촬영영상은 후술하는 외장 메모리(142)에 실시간으로 저장된다.
상기 영상중계부(122)는 콜 신호(call_sign)가 수신되면, IP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무선통신부(160)를 통해 호가 연결된 외부단말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감지부(130)는 적외선 센서(131) 및 발광소자(133)를 포함하고,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고, 발광소자(133)는 적외선 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발광한다.
상기 스피커(140)는 상기 몸체(110)의 바닥면에 구비되며, 외부단말에서 전송되는 통화음을 출력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알림음을 출력한다.
상기 통화연결부(150)는 상기 콜 버튼(B1)의 버튼신호가 수신하면, 기 설정된 외부단말과 호 연결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60)는 홈 게이트웨이 IP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121)의 촬영영상을 상기 기 설정된 외부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60)는 홈 게이트웨이 IP 예컨대, 라우터에 접속하여 외부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네트워크 및 단말 설정부(170)는 상기 홈 게이트웨이 IP 및 호 연결할 외부단말의 연락처를 설정한다.
상기 네트워크 및 단말 설정부(170)에서 설정된 네트워크 및 연락처의 설정값은 외부단말에 설치된 양방향 호출 앱(10)을 이용하여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도 5 참조).
상기 전원공급부(180)는 홈 네트워크 기반의 모니터링 시스템 내의 세부 구성들의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스케줄링부(200)는 상기 외부단말과 호 연결 또는 무선접속할 시간정보를 기록한 스케줄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스케줄링부(200)에 저장된 스케줄 정보는 앞에서 상술한 양방향 호출 앱(10)을 이용하여 등록, 수정,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상태표시부(210)는 3원색의 LED를 포함하고, 홈 네트워크 기반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3원색의 LED의 점등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전원이 입력되면, 상태표시부의 Blue LED가 약하게 발광하고, 네트워크 및 단말 설정부(170)의 설정값이 변경상태 중일 경우, Blue LED가 강하게 발광하고, 외부단말과의 호 연결 중 및 연결된 상태일 경우, Blue LED가 깜박이게 된다. 따라서, 상태표시부(210)는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구동제어부(230)는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구동제어부(230)는 감지부(130)의 객체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콜 버튼의 버튼신호를 활성화시켜 상기 통화연결부(15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S700)은 모니터링 시스템의 네트워크 및 단말 설정부에서 홈 게이트웨이 IP 및 통화 연결할 외부단말의 연락처를 양방향 호출 앱으로부터 수신하여 등록 및 설정(S710)한 후,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콜 버튼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통화연결부에서 설정된 연락처의 외부단말과 호 연결(S720)하고, 상기 외부단말과 상기 통화연결부가 호 연결되면, 영상중계부에서 카메라부의 실시간 촬영영상을 상기 외부단말로 중계전송(S730)한다.
또한, 도 8을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S800)은 제1 사용자의 외부단말(10)에서 제2 사용자의 모니터링 단말(100)을 호출(S810)하면, 상기 모니터링 단말(100)의 통화연결부(150)에서 호출 콜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외부단말과 호 연결(S820)하고, 상기 외부단말(10)과 상기 통화연결부(150)가 호 연결되면, 상기 모니터링 단말(100)의 영상중계부(122)에서 IP 카메라(121)에서 촬영한 실시간 촬영영상을 상기 외부단말(10)로 중계전송(S830)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면, 홈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고, 집에 혼자 있는 아이들의 긴급호출을 간편하게 단말 앱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0: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
10: 외부단말
100: 모니터링 단말
110: 몸체
111: 브라켓
121: IP 카메라
122: 영상중계부
130: 감지부
140: 스피커
150: 통화 연결부
160: 무선통신부
170: 네트워크 및 단말 설정부
180: 전원공급부
200: 스케줄링부
210: 상태표시부
220: 구동제어부

Claims (2)

  1. 모니터링 단말의 네트워크 및 단말 설정부에서 홈 게이트웨이 IP 및 통화 연결할 외부단말의 연락처를 기 설정된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하여 등록 및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단말의 콜 버튼의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통화연결부에서 설정된 연락처의 외부단말과 호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단말과 상기 통화연결부가 호 연결되면, 영상중계부에서 카메라부의 실시간 촬영영상을 상기 외부단말로 중계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단말은
    고정 브라켓 및 콜 버튼이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촬영영상을 제공하는 IP 카메라;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스피커;
    상기 콜 버튼의 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외부단말과 호 연결하는 통화연결부;
    영상중계부로부터 상기 IP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공받은 후, 홈 게이트웨이 IP에 접속하여 기 설정된 외부단말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감지부;
    상기 홈 게이트웨이 IP의 종류 및 호 연결할 외부단말의 연락처를 설정하는 네트워크 및 단말 설정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외부단말과 호 연결 또는 무선접속할 시간정보를 기록한 스케줄 정보를 제공하는 스케줄링부; 및
    상기 객체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콜 버튼의 버튼신호를 활성화시켜 상기 통화연결부로 제공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
  2. 제1 사용자의 외부단말에서 제2 사용자의 모니터링 단말을 호출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단말의 통화연결부에서 호출 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외부단말과 호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단말과 상기 통화연결부가 호 연결되면, 상기 모니터링 단말의 영상중계부에서 IP 카메라에서 촬영한 실시간 촬영영상을 상기 외부단말로 중계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단말은
    고정 브라켓 및 콜 버튼이 구비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촬영영상을 제공하는 IP 카메라;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스피커;
    상기 콜 버튼의 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외부단말과 호 연결하는 통화연결부;
    영상중계부로부터 상기 IP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공받은 후, 홈 게이트웨이 IP에 접속하여 기 설정된 외부단말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감지부;
    상기 홈 게이트웨이 IP의 종류 및 호 연결할 외부단말의 연락처를 설정하는 네트워크 및 단말 설정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외부단말과 호 연결 또는 무선접속할 시간정보를 기록한 스케줄 정보를 제공하는 스케줄링부; 및
    상기 객체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콜 버튼의 버튼신호를 활성화시켜 상기 통화연결부로 제공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0210047977A 2019-06-12 2021-04-13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294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977A KR102294182B1 (ko) 2019-06-12 2021-04-13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424A KR102242015B1 (ko) 2019-06-12 2019-06-12 홈 네트워크 기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0210047977A KR102294182B1 (ko) 2019-06-12 2021-04-13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424A Division KR102242015B1 (ko) 2019-06-12 2019-06-12 홈 네트워크 기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729A true KR20210049729A (ko) 2021-05-06
KR102294182B1 KR102294182B1 (ko) 2021-08-31

Family

ID=75916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977A KR102294182B1 (ko) 2019-06-12 2021-04-13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1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77781B (zh) * 2021-09-23 2022-09-11 聯寶電子股份有限公司 語音控制燈具組
KR20230068518A (ko) 2021-11-11 2023-05-18 시큐리티플랫폼 주식회사 사물인터넷용 보안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한 시리얼 통신 보호 플랫폼 시스템
KR20230068517A (ko) 2021-11-11 2023-05-18 시큐리티플랫폼 주식회사 Vpn 서버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카메라 보호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817A (ko) * 2012-12-14 2014-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1507978B1 (ko) * 2014-10-17 2015-04-07 주식회사 신관산업 다목적 cctv 방범 시스템
KR101528526B1 (ko) * 2014-09-25 2015-06-12 주식회사 엘에스트론 출입문용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20150073827A (ko) * 2013-12-20 201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117989A (ko) 2017-04-20 2018-10-30 주식회사 에이앤티플러스 스마트 단말기와 IoT 디바이스간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817A (ko) * 2012-12-14 2014-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20150073827A (ko) * 2013-12-20 201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28526B1 (ko) * 2014-09-25 2015-06-12 주식회사 엘에스트론 출입문용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1507978B1 (ko) * 2014-10-17 2015-04-07 주식회사 신관산업 다목적 cctv 방범 시스템
KR20180117989A (ko) 2017-04-20 2018-10-30 주식회사 에이앤티플러스 스마트 단말기와 IoT 디바이스간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77781B (zh) * 2021-09-23 2022-09-11 聯寶電子股份有限公司 語音控制燈具組
KR20230068518A (ko) 2021-11-11 2023-05-18 시큐리티플랫폼 주식회사 사물인터넷용 보안 통신 디바이스를 이용한 시리얼 통신 보호 플랫폼 시스템
KR20230068517A (ko) 2021-11-11 2023-05-18 시큐리티플랫폼 주식회사 Vpn 서버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카메라 보호 플랫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182B1 (ko) 202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4182B1 (ko) 홈 네트워크 기반의 양방향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방법
US1156175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transmitting images thereof
US10944589B2 (en) Using a control panel as a wireless access point
AU2016301394B2 (en) Managing a device cloud
US10003654B2 (en) Universal internet of things (IoT) smart translator
US10567479B2 (en) Managing a device cloud
US9794783B2 (en) Machine-to-machine visual code generation and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communications
KR101706479B1 (ko) 사물인터넷 제어방법, 단말 및 피제어 기기
US9257097B2 (en) Remote rendering for efficient use of wireless bandwidth for wireless docking
CN106465052B (zh) 用于将用户设备装置与合作装置自动连接的方法及其用户设备装置
CN103716709A (zh) 一种同屏互动方法以及装置
US101922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streaming, and rendering HDR images
US201102524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Broadcast Television and Video Display with Computer Network
TW201530962A (zh) 智慧家庭控制伺服器
KR102181084B1 (ko) 실감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2242015B1 (ko) 홈 네트워크 기반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US20130167179A1 (en) Using tv over vpn to present remote device application graphics
KR102227517B1 (ko) IoT 기반의 IP 카메라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20018688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KR20160037614A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구성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TWM478187U (zh) 智慧家庭控制伺服器
CA2934637C (en) Network camera having a plurality of digital output terminals for outputting alar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934664B2 (en) Network camera having a plurality of digital output terminals for outputting alar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99772A (ko)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64734A (ko) 단색 트래킹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