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772A -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9772A
KR20210099772A KR1020200013542A KR20200013542A KR20210099772A KR 20210099772 A KR20210099772 A KR 20210099772A KR 1020200013542 A KR1020200013542 A KR 1020200013542A KR 20200013542 A KR20200013542 A KR 20200013542A KR 20210099772 A KR20210099772 A KR 20210099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mage
controlling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원
박형준
박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200013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9772A/ko
Publication of KR20210099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카메라 영상에서 디바이스를 인식하고 상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단말이,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정보를 수신받는 제1 정보 수신 단계; 상기 단말이 제1 영상에서 제1 디바이스를 인식하는 디바이스 인식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영상에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 제어 영상 제공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입력치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디바이스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Method, apparatus,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device control using camera image}
본 출원은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영상에서 디바이스를 인식하고 상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디바이스 등에 대한 원격 제어 기술 등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술이 확산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통상적으로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 등에 대한 원격 제어를 위하여, 스마트폰 등의 단말에 설치된 앱(App) 등을 이용하여 미리 등록된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뉴를 제공하거나, 인공지능 스피커 등 음성인식이 가능한 단말을 이용하여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 스마트폰 등의 단말에 설치된 앱(App) 등을 이용하여 미리 등록된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뉴를 제공하는 경우, 다수의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여러 앱(App)을 설치해야 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앱(App)에 통합되는 경우라도 등록된 디바이스가 많아지면 직관적으로 제시된 목록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특정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어려워지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상기 인공지능 스피커 등 음성인식이 가능한 단말을 이용하여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제어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특정하거나 디바이스에 대한 정량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어렵다는 등 음성인식 환경의 특성에 따른 여러 제약이 그대로 따르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어할 디바이스를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선택된 디바이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제어 방법에 대한 요구가 지속되고 있으나, 아직 이에 대한 적절한 해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42688호(2019.11.08.)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제어할 디바이스를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선택된 디바이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받아 보다 다양한 디바이스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아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단말이,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정보를 수신받는 제1 정보 수신 단계; 상기 단말이 제1 영상에서 제1 디바이스를 인식하는 디바이스 인식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영상에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 제어 영상 제공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입력치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디바이스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단말의 제1 사용자에 대하여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목록을 제공하여 적용할 프로파일을 선택받는 사용자 프로파일 선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선택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에 따라 영상에서 디바이스를 인식하기 위하여 미리 학습된 객체 인식 엔진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디바이스 제어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 제어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디바이스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정보는 영상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인식하기 위한 디바이스 인식 모델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 인식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디바이스 인식 모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인식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속하는 클래스를 산출하며,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에서 상기 클래스에 복수의 장치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복수에 장치 중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시킬 장치를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인식 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 떨어진 원격지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상기 제1 영상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인식 단계에서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 제어 단계에서는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인식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속하는 클래스를 산출하며, 상기 디바이스 제어 영상 제공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클래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상기 제1 영상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은, 단말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 및 제1 영상에서 제1 디바이스를 인식하여, 상기 제1 영상에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입력치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어할 디바이스를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선택된 디바이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면, 서버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받아 보다 다양한 디바이스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을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5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제어 단말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제어 서버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보다 구체적인 순서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서 사용자 프로파일 등록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서 다중 물체를 선택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제어용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제어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시스템(100)의 구성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시스템(100)은 통신 네트워크(130)를 통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120a, 120b)과, 상기 단말(120a, 120b)에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정보 등을 제공하는 서버(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120a, 120b)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휴대전화 등 휴대 단말기나 개인용 컴퓨터(PC) 등의 유무선 장치나, 상기 유무선 장치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구현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수단과 통신 수단을 구비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서버(110)는 반드시 통상의 서버(server)를 이용하여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전용 장치로 구현하거나,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휴대전화 등 휴대 단말기나 개인용 컴퓨터(PC) 등의 유무선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구현되는 등 상기 단말(120)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서버(110)와 단말(120)을 연결하는 통신 네트워크(130)로서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근거리 통신망 (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 (WAN: Wide Area Network) 등의 다양한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130)는 공지의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130)는 상기 열거된 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고, 공지의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나 공지의 전화 네트워크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네트워크를 적어도 일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단말(120)이, 서버(110)로부터 상기 단말(12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4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정보를 수신받는 제1 정보 수신 단계(S110), 상기 단말(120)이 제1 영상에서 제1 디바이스(140a)를 인식하는 디바이스 인식 단계(S120), 상기 단말(120)이 상기 제1 영상에 상기 제1 디바이스(140a)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 제어 영상 제공 단계(S130) 및 상기 단말(120)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입력치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140a)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디바이스 제어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서는, 상기 단말(120)에서 촬영된 영상 또는 외부에서 전송되는 영상에서 디바이스(140)를 인식하고 상기 디바이스(140)에 대응하는 제어 인터페이스(UI)가 추가된 실시간 영상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기 영상의 제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140)를 보다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바이스(140)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통신 네트워크(130)를 통해 상기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서는, 도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영상에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140)를 인식하여(예를 들어, 도3에서 (A) 환풍기, (B) 디지털 도어락을 구비하는 출입문, (C) TV, (D) 조명등을 인식), 각 디바이스(140)에 대응하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추가한 실시간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를 조작하면(예를 들어, 도3에서 (A) 환풍기의 회전을 ON/OFF, (B) 디지털 도어락을 구비하는 출입문의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출입문을 개방, (C) TV을 ON/OFF하거나 채널/볼륨 변경, (D) 조명등을 ON/OFF) 그에 따라 각 디바이스(14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제어할 디바이스(140)를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선택된 디바이스(140)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서는, 상기 단말(120)의 제1 사용자에 대하여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목록을 제공하여 적용할 프로파일을 선택받는 사용자 프로파일 선택 단계(S100, 도면 미도시)를 상기 제1 정보 수신 단계(S110) 이전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선택 단계(S100)는, 상기 단말(120)이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에 따라 영상에서 디바이스를 인식하기 위하여 미리 학습된 객체 인식 엔진을 구동시키는 단계(S1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선택된 프로파일에 따라 객체 인식 엔진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단말(120)의 구동 환경에 맞추어 영상에서 디바이스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120)에서 로그인을 수행하면(도 4의 (a)), 상기 사용자 검출할 수 있는 객체 목록에 따른 사용자 프로파일 리스트(12)가 단말(120)에 제공된다(도 4의 (b)). 이어서, 사용자는 적용하고자 하는 환경의 프로파일을 선택하게 되고(예를 들어, 도 4의 (b)에서 "Home" 선택(E)), 이후 상기 단말(120)의 화면은 카메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진행한다(도 4의 (c)).
이때, 상기 영상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근거리의 환경을 직접 촬영하는 영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격지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원격지의 영상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140)들이 존재하는 환경에 360도 카메라 등 원격 카메라가 존재하는 경우 5G 통신 네트워크 등을 통해 지연없이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140)들이 존재하는 환경에 대한 원격지 영상이 단말(120)로 입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입력되는 원격지 영상에서 객체 인식(Object Detection) 알고리즘 등을 통해 상기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140)들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120)에서는 상기 영상에 있는 전구(bulb) 등의 디바이스(140)를 객체인식(Object Detection) 딥러닝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인식하게 되고(도 4 (c)에서 (F)), 이에 대하여 상기 인식된 전구 등의 디바이스(140)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를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화면 등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도 4의 (d)), 사용자가 상기 단말(120)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를 제어하여(도 4의 (e)에서 전구를 ON/OFF) 상기 전구를 온/오프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5와 도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 및 동작을 예시하고 있다.
먼저, 도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00)은, 단말(120)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40)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00)으로서, 단말(12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4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정보를 단말(120)로 전송하는 서버(110) 및 제1 영상에서 제1 디바이스(140a)를 인식하여, 상기 제1 영상에 상기 제1 디바이스(140a)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입력치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140a)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00)에서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마트 홈(200)에 구비되는 사물 인터넷(IoT) 기능을 가지는 전구(140a), 차량(140b), 선풍기(140f)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며, 사물 인터넷(IoT) 기능을 가지는 리모트 컨트롤러(140d)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140d)로 조정이 가능한 텔레비전(TV) 등 다른 디바이스(140e)들까지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홈(200)에는 원격 카메라(140c)가 구비되어 원격지에 위치하는 단말(120)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격지에서 상기 원격 카메라(140c)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스마트 홈(200)에 구비되는 디바이스(140)들에 대한 제어를 원격지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00)에서는, 스마트 팩토리(250)에 구비되는 수송 장치(140g) 및 로봇(140e) 등에 대한 제어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스마트 농장, 스마트 건물 등 사물 인터넷(IoT) 등의 기능을 가지는 디바이스(140)들이 구비되는 다양한 환경에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상기 디바이스(14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 및 동작 환경을 예시하고 있다.
도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말(110)은 사용자 반응(User Interaction)을 위한 시각 반응 어플리케이션(Visual Interaction Application)(125)을 통해 사용자와 현실 객체(real object)들 간의 상호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110)은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140)들이 위치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영역(141) 안에 위치하여 시각 반응 어플리케이션(Visual Interaction Application)(125)을 통해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영역(141) 내의 디바이스(140a~140n)들을 포함하는 영상을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만일 상기 단말(120)이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영역(141) 밖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영역(141) 내에 위치하는 5G 통신 기반 360도 카메라 등 원격 카메라를 이용하여, 원격지에서도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영역(141) 내의 디바이스들(140a~140n)들을 포함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140)들에 대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영역(141)에는 통신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디바이스(140)들이 구성되어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상기 통신으로서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디바이스(140a~140n)을 포함한다. 나아가, 만일 상기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영역(141)의 디바이스(140)에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를 통해 제어할 수 있는 디바이스(140)들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6에서, 상기 서버(110)는 상기 디바이스(140)에 대한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단말(120)로 제공하여, 상기 단말(120)의 사용자가 영상을 통해 보는 디바이스(140)와 현실에 존재하는 디바이스(140)를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상기 서버(110)에는 사용자와 객체 인식 엔진(object detection engine)을 연결시켜, 연결된 객체 인식 엔진에서 인식할 수 있는 객체의 클래스 별로 등록되는 디바이스(140)들의 설정치(config) 들을 가지고 있다. 상기 설정치(config)에는 상기 단말(120)이 각 디바이스(140)가 어떤 방식으로 통신을 하며, 상기 통신을 통해 어떤 명령어 또는 API 요청을 하여 각 디바이스(140)를 제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말(120)에서는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시각화 반응 어플리케이션(Visual Interaction Application)(125)에서 각 디바이스(140)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제공된 각 디바이스(140)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이용하여, 제어할 디바이스를 편리하게 선택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100)을 구성 별로 나누어 보다 자세하게 살핀다.
먼저, 상기 제1 정보 수신 단계(S110)에서는, 단말(120)이 서버(110)로부터 상기 단말(12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4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정보를 수신받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140)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디바이스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 제어 단계(S140)에서는 상기 단말(120)이 상기 디바이스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140a)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 제어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140)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명령어, 통신 환경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디바이스(140)에 대한 제어를 위하여 각 디바이스(140)들이 어떤 명령을 통해 제어가 가능한지 등에 대하여 REST API와 같은 규약에 따라 정의가 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디바이스(140)들을 용이하게 네트워크화할 수 있는 툴들이 오픈되어 제공되고 있으므로, 이런 툴들을 이용해 각 디바이스들을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화시켜 동작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디바이스(140) 별로 API화된 정보는 각 사용자별 프로파일에 포함하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서버(110)에서 저장하고 관리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서버(110)는 도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등에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서버(110)는 통신 네트워크(130)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120)로 구성된 디바이스(140)들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120)에서는 상기 프로파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14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통신 네트워크(130)를 통해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정보는 영상에서 상기 디바이스(140)를 인식하기 위한 디바이스 인식 모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 인식 단계(S120)에서는 상기 단말(120)이 상기 디바이스 인식 모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140a)를 인식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바이스 인식 모델 정보는 영상에서 디바이스(140)를 인식하는 객체 인식 엔진(Object Detection Engine)에 로드(load)되어 스마트 홈(200), 스마트 팩토리(250) 등 사용 환경에 따른 디바이스(140)들을 인식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정보에 필요한 디바이스 인식 모델이 없는 경우에는 해당 모델을 별도로 다운받아 동적으로 로드(load)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정보에 필요한 디바이스 인식 모델이 있는을 경우에는 객체 인식 엔진을 통해 상기 사용 환경에 따른 인식 가능한 객체에 대한 모델이 로드되어 구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디바이스 인식 단계(S120)에서는, 상기 단말(120)이 제1 영상에서 제1 디바이스를 인식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바이스 인식 단계(S120)에서, 상기 단말(120)은 상기 제1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140a)가 속하는 클래스(class)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영상에 제1 전구, 제2 전구 및 TV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단말(120)은 상기 제1 전구와 상기 제2 전구를 인식하여 전구 클래스로 분류하고, 상기 TV 를 인식하여 TV 클래스로 분류할 수 있다.
나아가, 도 4(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프로파일 중 선택한 프로파일(도 4(b)에서 "Home" 프로파일)에 상기 클래스에 해당하는 복수의 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말(120)은 사용자에게 상기 복수에 장치 중 상기 제1 디바이스(140a)에 대응시킬 장치를 선택받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프로파일에 전구 클래스에 해당하는 거실 전구, 방 전구 2개의 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말(120)은 사용자에게 상기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140a)에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인식 단계(S120)에서는, 상기 단말(120)로부터 떨어진 원격지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상기 제1 영상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140a)를 인식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140a)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인식 단계(S120)에서는, 상기 제1 영상에서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단말(120)은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다른 디바이스(14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인식 단계(S120)에서는, 상기 제1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140a)가 속하는 클래스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단말(120)에서는 상기 제1 디바이스(140a)의 클래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상기 제1 영상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140a)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제어 영상 제공 단계(S130)에서는, 상기 단말(120)이 상기 제1 영상에 상기 제1 디바이스(140a)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말(120)은 도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영상에 상기 제1 디바이스(140a)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화면 등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단말(120)은 상기 제1 영상을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상기 제1 영상에 상기 제1 디바이스(140a)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추가하여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상기 디바이스 제어 단계(S140)에서는, 상기 단말(120)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입력치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140a)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말(120)은 상기 서버(110)로부터 디바이스(140)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디바이스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단말(120)은 상기 디바이스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산출하여 통신 네트워크(130) 등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어할 디바이스(140)를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선택된 디바이스(140)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서버(110)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정보를 제공받아 다양한 디바이스(140)에 대한 제어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7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제어 단말(120)의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먼저, 로그인 관리자(Login Manager)(301) 에서는 사용자의 회원 가입, 로그인, 세션 유지 기능을 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그인 관리자(301)에서는 로그인한 사용자에 대하여 서버(110)로부터 저장된 프로파일 리스트를 전송받아 적용할 프로파일을 선택하도록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프로파일 관리자(Profile Manager)(302)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파일 정보(즉, 각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에 사용되는 설정 값)들을 수신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로파일에 미리 정의된 객체 인식(Object Detection) 모델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모델을 다운받아 동적으로 로드(load)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면, 상기 모델이 있는 경우에는 객체 인식 엔진(Object Detection Engine)(305)을 통해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에서 인식 가능한 모델이 로드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단말(120)은 내장된 카메라를 사용하는 모드 또는 360도 카메라 등 원격 카메라를 사용하는 모드로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내장된 카메라를 사용하는 모드는 상기 단말(120)에 내장된 카메라의 영상을 카메라 입력 인터페이스(303)를 통해 입력받으며, 원격 카메라를 사용하는 모드에서는 프로파일에 미리 정의되어 있는 원격 카메라에서 전송하고 있는 영상을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4)를 통해 입력받게 된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4)는 상기 디바이스(14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이 영상에서 객체 인식 엔진(Object Detection Engine)(305)을 통해 디바이스(140)가 인식되면 상기 디바이스(140)의 클래스(class)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가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 관리자(AR Interface Manager)(306)을 통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 관리자(AR Interface Manager)(306)는 상기 프로파일에 인식된 디바이스(140)에 해당하는 클래스가 복수 개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어떤 디바이스(140)를 선택할 것인지를 확인한 후, 선택된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A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제공된 증강 현실 인터페이스(AR Interface)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을 하게 되면 제어 관리자(Control Manager)(307)을 통해 상기 프로파일에 포함된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명령어가 통신 네트워크(130)를 통해 전송되어 상기 디바이스(140)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도8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제어 서버(110)의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먼저, 객체 목록 데이터 저장부(Object List Data Store)(401)는 객체 인식(Object Detection) 엔진 별로 식별 번호(ID)를 가지고 상기 엔진이 인식(Detection)할 수 있는 클래스(Class)의 목록을 가지고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것이 객체 인식 엔진 관리자(Object Detection Engine Manager)(406)로 새로운 엔진을 추가, 삭제, 수정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 저장부(User Data Store)(402)에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 관리자(User Manager)(405)를 통해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 삭제, 수정할 수 있다. 객체 프로파일 데이터 저장부(Object Profile Data Store)(403)에는 상기 사용자 데이저 저장부(User Data Store)(402)의 사용자 식별 번호(ID)와 상기 객체 목록 데이터 저장부(Object List Data Store)(401)의 객체 인식(Object Detection) 엔진 식별 번호(ID)를 합한 값을 개인키(private key)로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이때, 사용자는 여러 개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으며 적절한 환경에 대한 프로파일을 선택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는 각 객체 인식(Object Detection) 엔진에 포함되는 클래스들에 대한 각 디바이스 정보가 저장될 수 있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식별 번호(ID)가 1이고, 상기 사용자가 사용할 환경에 전구(bulb)만 인식되는 객체 인식(Object Detection) 엔진 식별 번호(ID)가 1이라고 가정하면 (1,1)을 private key로 가지게 되며, 또한 상기 전구에 대한 제어 정보를 간략히 제이슨(json)으로 표현해보면 {device1: {“REST”: http://ip_address/api, “command”: {“on/off button”: {url: http://ip_address/api/on_off, prams:{req:”on”}}}}} 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120)에서는, 상기 각 클래스에 포함되는 디바이스(140)가 포함되는지, 상기 디바이스(140)와 통신하기 위한 정보 및 API 정보 등을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140)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9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보다 구체적인 순서도를 예시하고 있다.
먼저, S501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로그인 및 회원 가입이 수행된다.
이어서, 로그인 완료 후 S502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등록된 프로파일 개수를 확인하고 만일 등록된 프로파일이 하나도 없을 경우 프로파일 등록 프로세스(S511)를 통해 프로파일을 등록하게 된다.
이어서, S503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디바이스 및 환경에 따라 객체 인식(Object Detection) 엔진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선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S504 단계에서는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에 따른 객체 인식(Object Detection) 엔진을 다운로드 및 로드하게 된다.
또한, S505 단계에서는 내장 카메라 또는 360도 영상 모드를 지원하는 원격 카메라 등에서 촬영된 영상이 입력된다.
이어서, S506 단계에서 상기 영상에 대하여 객체 인식(Object Detection) 엔진에서 디바이스(140)가 인식되면, S507 단계에서는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 정보에서 상기 인식된 디바이스(140)에 해당하는 클래스에 복수 개의 디바이스(140)가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만일, 복수 개의 디바이스(140)가 등록되어 있으면 인식된 디바이스(140)가 어떤 디바이스(140)인지 분류하기 위해 다중 물체 판단 프로세스(S512)를 수행하게 된다.
이어서, S508 단계에서는 증강 현실 사용자 인터페이스(AR UI)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140)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S509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140)를 제어하는 액션을 수행하면, S510 단계에서는 상기 프로파일 정보의 명령어(command)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14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디바이스(140)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도1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등록 프로세스(S511)에 대한 구체적인 순서도를 예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S601 단계에서 사용자는 객체 목록 저장부(Object List Store)(401)에 저장되어 있는 각 객체 인식 엔진들에서 어떤 객체들이 인식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 S602 단계에서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디바이스(140)에 맞는 객체 인식 엔진을 선택하게 된다.
이어서, S603 단계에서는 상기 객체 인식 엔진에서 인식할 수 있는 각 클래스(Class) 별로 디바이스(140) 등록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바이스(140) 등록에는 디바이스(14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전송하는데 필요한 정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정보에는 온/오프(on/off) 버튼, 스크롤, 방향키 등 상기 디바이스(140)의 제어를 위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어서, S604 단계에서는 상기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등록을 완료하게 된다.
또한, 도1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서 상기 다중 물체 판단 프로세스(S512)에 대한 구체적인 순서도를 예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객체 인식(Object Detection) 만으로는 상기 프로파일의 클래스에 복수 개의 디바이스(140)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디바이스(140) 중 어떤 디바이스(140)에 명령을 내릴지 판단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프로파일의 클래스에 복수 개의 디바이스(140)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140) 중 적용할 디바이스(140)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추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S701 단계에서는 상기 단말(120)이 상기 프로파일에 인식(Detection)된 클래스의 디바이스 리스트를 파악하게 된다(예를 들어, 전구가 인식되면 상기 전구에 대응할 수 있는 디바이스 리스트(거실 전구, 방 전구)를 파악).
이어서, S702 단계에서는 상기 단말(120)이 상기 영상에서 상기 디바이스(140)의 바운드 박스 옆에 상기 파악된 디바이스 리스트를 제공한다. 이때 각 디바이스 리스트를 식별할 수 있는 명칭를 사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거실 전구, 방 전구의 디바이스 리스트를 상기 전구의 바운드 박스 옆에 제공).
이에 따라, S703 단계에서 사용자가 상기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면, S704 단계에서는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정보가 리턴되어,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사용자 인터페이스(AR UI)가 생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증강 현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액션을 수행하면 상기 디바이스(14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1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용 단말(120)의 구성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1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용 단말(120)는 제1 정보 수신부(121), 디바이스 인식부(122), 디바이스 제어 영상 제공부(123) 및 디바이스 제어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용 단말(120)을 각 구성요소 별로 나누어 살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용 단말(120)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앞서 설명한 도 2 내지 도 1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 등과 유사하게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반복하는 것은 생략한다.
먼저, 상기 제1 정보 수신부(121)에서는, 서버(110)로부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4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정보를 수신받는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인식부(122)에서는, 상기 제1 영상에서 제1 디바이스(140a)를 인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제어 영상 제공부(122)에서는, 상기 제1 영상에 상기 제1 디바이스(140a)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제어부(124)에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입력치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140a)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바이스 제어용 단말(120)에는, 제1 사용자에 대하여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목록을 제공하여 적용할 프로파일을 선택받는 사용자 프로파일 선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선택부(미도시)는,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에 따라 영상에서 디바이스(140)를 인식하기 위하여 미리 학습된 객체 인식 엔진을 구동시키는 객체 인식 엔진 구동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140)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디바이스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디바이스 제어부(124)에서는 상기 디바이스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140a)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정보는 영상에서 상기 디바이스(140)를 인식하기 위한 디바이스 인식 모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디바이스 인식부(122)에서는 상기 디바이스 인식 모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140a)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인식부(122)에서는 상기 제1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140a)가 속하는 클래스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에서 상기 클래스에 복수의 장치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복수에 장치 중 상기 제1 디바이스(140a)에 대응시킬 장치를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인식부(122)에서는, 원격지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상기 제1 영상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140a)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인식부(122)에서 다른 디바이스(140)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 제어부(124)에서는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다른 디바이스(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인식부(122)에서는 상기 제1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140a)가 속하는 클래스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디바이스 제어 영상 제공부(123)에서는 상기 제1 디바이스(140a)의 클래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상기 제1 영상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서는, 사용자가 제어할 디바이스(140)를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선택된 디바이스(140)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서버(110)로부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정보를 제공받아 다양한 디바이스(140)에 대한 제어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110: 서버
120, 120a, 120b: 단말 121 : 제1 정보 수신부
122 : 디바이스 인식부 123 : 디바이스 제어 영상 제공부
124 : 디바이스 제어부 130: 통신 네트워크
140, 140a, 140b : 디바이스

Claims (11)

  1. 단말이,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정보를 수신받는 제1 정보 수신 단계;
    상기 단말이 제1 영상에서 제1 디바이스를 인식하는 디바이스 인식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영상에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 제어 영상 제공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입력치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디바이스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제1 사용자에 대하여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 목록을 제공하여 적용할 프로파일을 선택받는 사용자 프로파일 선택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선택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에 따라 영상에서 디바이스를 인식하기 위하여 미리 학습된 객체 인식 엔진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디바이스 제어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 제어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디바이스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영상에서 상기 디바이스를 인식하기 위한 디바이스 인식 모델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 인식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디바이스 인식 모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인식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속하는 클래스를 산출하며,
    상기 선택된 프로파일에서 상기 클래스에 복수의 장치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복수에 장치 중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응시킬 장치를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인식 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 떨어진 원격지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상기 제1 영상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인식 단계에서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 제어 단계에서는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인식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속하는 클래스를 산출하며,
    상기 디바이스 제어 영상 제공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클래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상기 제1 영상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10.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청구항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단말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 및
    제1 영상에서 제1 디바이스를 인식하여, 상기 제1 영상에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입력치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KR1020200013542A 2020-02-05 2020-02-05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99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542A KR20210099772A (ko) 2020-02-05 2020-02-05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542A KR20210099772A (ko) 2020-02-05 2020-02-05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772A true KR20210099772A (ko) 2021-08-13

Family

ID=7731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542A KR20210099772A (ko) 2020-02-05 2020-02-05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977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688B1 (ko) 2018-05-30 2019-11-08 (주)유비벨록스모바일 Iot 가전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688B1 (ko) 2018-05-30 2019-11-08 (주)유비벨록스모바일 Iot 가전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2172B2 (en) User identification and location determination in control applications
EP301631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scene mode of intelligent device
CN108141395B (zh) 包括云和家庭消息队列同步的家庭自动化系统及相关方法
US10524197B2 (en) Network device source entity triggered device configuration setup
US9204291B2 (en) User identification and location determination in control applications
US1159412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 intelligence using networked devices
US9299029B1 (en) Network device predictive modeling
US201803759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home device in home network system
EP2988185B1 (en) Smart home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05471686B (zh) 终端控制方法、装置及系统
US10250712B2 (en) Method and server of configuring scenario mode for smart devices
WO2017165105A1 (en) Universal internet of things (iot) smart translator
WO2018010533A1 (zh) 设备控制系统、方法、装置及网关
CN109407527B (zh) 实现智能设备推荐的方法及装置
US20150312622A1 (en) Proximity detection of candidate companion display device in same room as primary display using upnp
TWI521385B (zh) And a control system and a method for driving the correspo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triggering strategy
US9483997B2 (en) Proximity detection of candidate companion display device in same room as primary display using infrared signaling
CN111372222A (zh) 设备连接方法、系统以及相应的终端设备和服务器
KR102206824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60124403A1 (en) Method and server of customizing scenario mode for smart devices
US10070291B2 (en) Proximity detection of candidate companion display device in same room as primary display using low energy bluetooth
KR102144554B1 (ko)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장치 및 사용자 맞춤형 생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US20140337080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Meeting Initiation
KR20210099772A (ko)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40105181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automaton networks having multiple voice agents for speech recogn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