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420A - 진공 배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진공 배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420A
KR20200038420A KR1020190121492A KR20190121492A KR20200038420A KR 20200038420 A KR20200038420 A KR 20200038420A KR 1020190121492 A KR1020190121492 A KR 1020190121492A KR 20190121492 A KR20190121492 A KR 20190121492A KR 20200038420 A KR20200038420 A KR 20200038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pump
exhaust system
pumps
vacuum pum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노부 사이토
히데오 아라이
고이치 이와사키
도루 오스가
아츠시 시오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200038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17D1/04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for distribution of gas
    • F17D1/05Preventing free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412Details relating to the exhausts, e.g. pumps, filters, scrubbers, particle trap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4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61Gas plumbing upstream of the reac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1/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1/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1/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1/0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2Multi-stage pumps
    • F04D19/04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to the production of a high vacuum, e.g. molecular pumps
    • F04D19/042Turbomolecular vacuum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2Multi-stage pumps
    • F04D19/04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to the production of a high vacuum, e.g. molecular pumps
    • F04D19/04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fferent types of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01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controlling, signalling, or supervising the conveyance of a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Non-Positive Displacement Air Blowers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압의 기체가 내부에 존재하는 처리 챔버를 진공화하고 있을 때에, 다른 처리 챔버에서의 압력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진공 배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진공 배기 시스템(1)은, 처리 챔버(PC1, PC2, PC3)로부터 처리 가스를 배기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진공 배기 시스템(1)은, 복수의 제1 진공 펌프(BP1, BP2, BP3)와, 복수의 제1 진공 펌프(BP1, BP2, BP3)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버퍼 탱크(T1, T2, T3)와, 제2 진공 펌프(MP)와, 복수의 제1 진공 펌프(BP1, BP2, BP3)와 제2 진공 펌프(MP)를 연통시키는 집합관(20)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진공 배기 시스템{VACUUM EVACUATION SYSTEM}
본 발명은,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장치 등에 사용되는 복수의 처리 챔버로부터 처리 가스를 배기하기 위해 사용되는 진공 배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장치는, 웨이퍼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처리 챔버를 갖고 있다. 이들 처리 챔버 내에서는, 화학 증착(CVD), 드라이 에칭 등의 처리가 복수의 웨이퍼에 행해진다. 웨이퍼의 처리에는 원료 가스 또는 에칭 가스 등의 처리 가스가 사용되고, 처리 가스는 진공 배기 시스템에 의해 처리 챔버로부터 배기된다.
도 9는 종래의 진공 배기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장치(100)는 복수의 처리 챔버(101) 및 복수의 터보 분자 펌프(102)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처리 챔버(101)는 각각 터보 분자 펌프(102)에 접속되어 있다. 진공 배기 시스템(110)은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장치(100)에 연결되어 있다.
진공 배기 시스템(110)은, 터보 분자 펌프(102)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부스터 펌프(111)와, 이들 부스터 펌프(111)에 연결된 집합관(113)과, 집합관(113)에 연결된 메인 펌프(112)를 구비하고 있다. 부스터 펌프(111)는 집합관(113)의 입구에 접속되고, 메인 펌프(112)는 집합관(113)의 출구에 연결되어 있다.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장치(100)는 터보 분자 펌프(102)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도 있고, 이 경우는, 부스터 펌프(111)는 복수의 처리 챔버(101)에 직접 연결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5-22761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83576호 공보
처리 가스가 내부에서 사용되는 처리 챔버(101)는,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인 메인터넌스를 필요로 한다. 어떤 처리 챔버(101)를 메인터넌스할 때에는, 그 처리 챔버(101)의 하류측에 배치된 밸브(103)를 폐쇄하고, 처리 챔버(101)를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장치(100)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처리 챔버(101)의 메인터넌스를 실행한다. 다른 처리 챔버(101) 내에서는, 웨이퍼의 처리가 계속해서 행해지고 있고, 부스터 펌프(111) 및 메인 펌프(112)는 다른 처리 챔버(101)로부터 처리 가스를 배기한다.
메인터넌스가 종료되면, 처리 챔버(101)를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장치(100)에 접속하고, 밸브(103)를 개방한다. 메인터넌스가 행해진 처리 챔버(101) 내에 존재하는 대기압의 기체(통상은 청정 공기)는, 그 처리 챔버(101)의 하류측에 배치된 부스터 펌프(111)에 의해 가압된 후, 집합관(113)으로 유입된다. 이 때문에, 집합관(113) 내의 압력이 상승한다.
부스터 펌프(111)는, 그 흡기측과 배기측 사이에 차압을 만들어 내는 기계이다. 이 때문에, 집합관(113) 내의 압력, 즉 부스터 펌프(111)의 배기측의 압력이 상승하면, 처리 챔버(101)로부터 처리 가스를 배기하고 있는 부스터 펌프(111)의 흡기측의 압력도 상승한다. 결과적으로, 웨이퍼 처리 중의 처리 챔버(101) 내의 압력이 상승하고,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장치(100)가 압력 이상을 검지하여 그 운전을 정지해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은, 대기압의 기체가 내부에 존재하는 처리 챔버를 진공화하고 있을 때에, 다른 처리 챔버에서의 압력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진공 배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는, 복수의 처리 챔버로부터 기체를 배기하기 위한 진공 배기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제1 진공 펌프와, 상기 복수의 제1 진공 펌프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버퍼 탱크와, 제2 진공 펌프와, 상기 복수의 제1 진공 펌프와 상기 제2 진공 펌프를 연통시키는 집합관을 구비한 진공 배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양태에서는, 상기 진공 배기 시스템은, 복수의 베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진공 펌프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복수의 버퍼 탱크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에 각각 고정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진공 펌프, 상기 복수의 버퍼 탱크, 및 상기 복수의 베이스는, 복수의 펌프 유닛을 구성한다.
일 양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버퍼 탱크는, 상기 복수의 제1 진공 펌프의 하류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일 양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버퍼 탱크는, 상기 복수의 제1 진공 펌프의 아래쪽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일 양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버퍼 탱크는, 상기 복수의 제1 진공 펌프의 상류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일 양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버퍼 탱크는, 상기 복수의 제1 진공 펌프의 위쪽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처리 챔버 중 하나로부터 대기압의 기체(예컨대 청정 공기)를 배기할 때의 진공 배기 시스템 내에서의 압력 상승(예컨대 집합관 내에서의 압력 상승)은, 복수의 버퍼 탱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진공에 의해 완화된다. 결과적으로, 다른 처리 챔버 내에서의 압력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버퍼 탱크는 복수의 제1 진공 펌프에 각각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제1 진공 펌프 중 하나를 메인터넌스한 후에 진공 배기 시스템에 접속했을 때의, 처리 챔버 내에서의 압력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진공 배기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펌프 유닛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펌프 유닛을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펌프 유닛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진공 배기 시스템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진공 배기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펌프 유닛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펌프 유닛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진공 배기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진공 배기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진공 배기 시스템(1)은,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장치(2)의 복수의 처리 챔버(PC1, PC2, PC3)로부터 처리 가스를 배기하기 위해 사용된다. 진공 배기 시스템(1)은, 복수의 연결관(8)에 의해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장치(2)에 연결된다. 처리 챔버(PC1~PC3) 내에서는, 화학 증착(CVD), 드라이 에칭 등의 처리가 복수의 웨이퍼에 행해진다. 웨이퍼의 처리에는 원료 가스 또는 에칭 가스 등의 처리 가스가 사용되고 있다. 처리 챔버(PC1~PC3) 내의 처리 가스는, 진공 배기 시스템(1)에 의해 배기된다.
처리 챔버(PC1~PC3)의 배기측에는 터보 분자 펌프(5)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처리 챔버(PC1~PC3)에는 복수의 바이패스관(6)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바이패스관(6)은 터보 분자 펌프(5)를 바이패스하여 연장되어 있다. 즉, 바이패스관(6)의 일단은 처리 챔버(PC1~PC3)에 접속되고, 바이패스관(6)의 타단은 연결관(8)에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바이패스관(6)에는 복수의 바이패스 밸브(7)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들 바이패스 밸브(7)는, 처리 챔버(PC1~PC3)로부터 처리 가스가 배기되고 있는 동안은 폐쇄되어 있다.
진공 배기 시스템(1)은, 복수의 제1 진공 펌프(BP1, BP2, BP3)와, 제1 진공 펌프(BP1, BP2, BP3)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버퍼 탱크(T1, T2, T3)와, 제2 진공 펌프(MP)와, 복수의 제1 진공 펌프(BP1, BP2, BP3)와 제2 진공 펌프(MP)를 연통시키는 집합관(20)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진공 펌프(BP1~BP3)의 수는 처리 챔버(PC1~PC3)의 수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진공 펌프(BP1~BP3)는,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장치(2)의 복수의 처리 챔버(PC1~PC3)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진공 펌프(BP1~BP3)는, 연결관(8) 및 터보 분자 펌프(5)를 통해 처리 챔버(PC1~PC3)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장치(2)는 터보 분자 펌프(5), 바이패스관(6), 바이패스 밸브(7)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제1 진공 펌프(BP1~BP3)는 연결관(8)을 통해 복수의 처리 챔버(PC1~PC3)에 연결된다. 연결관(8)에는 연결 밸브(11)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처리 챔버(PC1~PC3)로부터 처리 가스를 배기할 때에는, 이들 연결 밸브(11)는 개방되어 있다.
제2 진공 펌프(MP)는 제1 진공 펌프(BP1~BP3) 및 버퍼 탱크(T1~T3)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진공 펌프(BP1~BP3)는 메카니컬 부스터 펌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진공 펌프(BP1~BP3)에는 단단(單段) 용적식 진공 펌프가 사용되고 있다. 단단 용적식 진공 펌프의 구체예로는, 루츠(roots)형 진공 펌프, 클로형 진공 펌프, 스크류형 진공 펌프를 들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제1 진공 펌프(BP1~BP3)는 다단 용적식 진공 펌프여도 좋다. 제2 진공 펌프(MP)는 다단 용적식 진공 펌프이다. 다단 용적식 진공 펌프의 구체예로는, 루츠형 진공 펌프, 클로형 진공 펌프, 스크류형 진공 펌프, 또는 이들을 조합한 복합형 펌프를 들 수 있다.
복수의 버퍼 탱크(T1~T3)는, 복수의 제1 진공 펌프(BP1~BP3)의 배기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각 버퍼 탱크(T1~T3)의 내부는 중공 형상이다. 제1 진공 펌프(BP1~BP3)와, 대응하는 버퍼 탱크(T1~T3)는 유닛화되어 있고, 복수의 펌프 유닛(U1, U2, U3)을 구성한다. 즉, 펌프 유닛(U1)은, 제1 진공 펌프(BP1)와, 대응하는 버퍼 탱크(T1)를 적어도 구비하고, 펌프 유닛(U2)은, 제1 진공 펌프(BP2)와, 대응하는 버퍼 탱크(T2)를 적어도 구비하며, 펌프 유닛(U3)은, 제1 진공 펌프(BP3)와, 대응하는 버퍼 탱크(T3)를 적어도 구비한다.
집합관(20)은, 복수의 입구관(20A)과, 이들 입구관(20A)이 접속된 하나의 가로관(20B)과, 가로관(20B)에 접속된 하나의 출구관(20C)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입구관(20A)은 버퍼 탱크(T1~T3)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출구관(20C)은 제2 진공 펌프(MP)의 흡기구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진공 펌프(MP)의 배기구는 이송관(15)에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입구관(20A)에는, 복수의 차단 밸브(V1, V2, V3)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진공 배기 시스템(1)의 통상 운전시에는 이들 차단 밸브(V1, V2, V3)는 개방되어 있다.
진공 배기 시스템(1)은 다음과 같이 운전된다. 바이패스 밸브(7)가 개방되고, 연결 밸브(11)가 폐쇄된다. 다음에, 제2 진공 펌프(MP)가 기동되고, 계속해서 복수의 제1 진공 펌프(BP1~BP3)가 기동된다. 처리 챔버(PC1~PC3) 내의 대기압의 기체(통상은 청정 공기)는, 바이패스관(6)을 지나 진공 배기 시스템(1)의 제1 진공 펌프(BP1~BP3) 및 제2 진공 펌프(MP)에 의해 배기된다. 처리 챔버(PC1~PC3) 내의 압력이 소정의 제1 압력으로까지 저하되면, 바이패스 밸브(7)를 폐쇄하고, 연결 밸브(11)를 개방하며, 그리고 터보 분자 펌프(5)를 기동시킨다. 처리 챔버(PC1~PC3) 내의 압력이 소정의 제2 압력으로까지 저하되면, 처리 가스가 처리 챔버(PC1~PC3) 내에 도입된다. 처리 가스는 터보 분자 펌프(5), 제1 진공 펌프(BP1~BP3) 및 제2 진공 펌프(MP)에 의해 처리 챔버(PC1~PC3)로부터 배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보 분자 펌프(5)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러한 경우는, 처리 가스는 제1 진공 펌프(BP1~BP3) 및 제2 진공 펌프(MP)에 의해 처리 챔버(PC1~PC3)로부터 배기된다.
처리 챔버(PC1~PC3)는,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메인터넌스를 할 필요가 있게 된다. 예컨대, 처리 챔버(PC1)의 메인터넌스를 행하고자 할 때에는, 처리 챔버(PC1)의 하류측에 있는 연결 밸브(11)를 폐쇄하고, 그 처리 챔버(PC1)에 연결된 터보 분자 펌프(5) 및 제1 진공 펌프(BP1)의 운전을 정지한다. 처리 챔버(PC1)를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장치(2)로부터 제거하고, 처리 챔버(PC1)의 메인터넌스를 행한다. 다른 제1 진공 펌프(BP2, BP3) 및 제2 진공 펌프(MP)는 운전을 계속한 상태이며, 다른 처리 챔버(PC2, PC3) 내에서는 웨이퍼의 처리가 계속된다.
메인터넌스 종료 후, 처리 챔버(PC1)를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장치(2)에 접속한다. 메인터넌스가 행해진 처리 챔버(PC1) 내에는 대기압의 기체(통상은 청정 공기)가 존재한다. 따라서, 우선, 대기압의 기체가 처리 챔버(PC1)로부터 배기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진공 펌프(BP1)를 기동하여, 처리 챔버(PC1)에 연결된 바이패스 밸브(7)를 개방한다. 대기압의 기체(청정 공기)는 제1 진공 펌프(BP1)에 의해 처리 챔버(PC1)로부터 배기되고, 버퍼 탱크(T1)를 지나 집합관(20)에 유입된다. 이때, 집합관(20)에 연결된 다른 버퍼 탱크(T2, T3)에는 이미 진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집합관(20) 내의 압력 상승이 완화된다. 제2 진공 펌프(MP)는 운전중이기 때문에, 집합관(20) 내의 압력은 신속하게 원래의 압력까지 저하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른 버퍼 탱크(T2, T3) 내의 진공에 의해 집합관(20) 내의 압력 상승이 완화된다. 따라서, 처리 챔버(PC1)로부터 대기압의 기체를 배기할 때에, 다른 처리 챔버(PC2, PC3) 내의 압력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장치(2)는, 다른 처리 챔버(PC2, PC3) 내에서, 화학 증착(CVD), 드라이 에칭 등의 웨이퍼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처리 챔버(PC2) 또는 처리 챔버(PC3)의 메인터넌스를 할 때, 및 메인터넌스 종료 후의 동작은, 전술한 동작과 동일하므로,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복수의 버퍼 탱크(T1, T2, T3)는, 복수의 제1 진공 펌프(BP1, BP2, BP3)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버퍼 탱크(T1~T3)의 수는 제1 진공 펌프(BP1~BP3)의 수와 같다. 또한, 버퍼 탱크(T1~T3)는 집합관(20) 전체에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따르면, 복수의 처리 챔버(PC1~PC3) 중 어느 하나로부터 대기압의 기체를 배기할 때에, 그 처리 챔버의 위치에 상관없이, 집합관(20) 내에서의 압력 상승을 신속하게 완화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진공 배기 시스템(1)은, 복수의 제1 진공 펌프(BP1~BP3)및 복수의 버퍼 탱크(T1~T3)를 포함하는 복수의 펌프 유닛(U1~U3)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펌프 유닛(U1~U3)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하, 제1 진공 펌프(BP1) 및 버퍼 탱크(T1)를 구비한 펌프 유닛(U1)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1 진공 펌프(BP1) 및 버퍼 탱크(T1)를 포함하는 펌프 유닛(U1)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펌프 유닛(U1)을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펌프 유닛(U1)은, 하나의 제1 진공 펌프(BP1)와, 하나의 버퍼 탱크(T1)와, 공통의 베이스(19)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19)는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진공 펌프(BP1)는 베이스(19)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버퍼 탱크(T1)는 베이스(19)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19)의 바닥부에는, 펌프 유닛(U1) 전체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각륜(脚輪; 22)이 고정되어 있다.
제1 진공 펌프(BP1)는 버퍼 탱크(T1)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버퍼 탱크(T1)는 제1 진공 펌프(BP1)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버퍼 탱크(T1)는, 그 상부에 제1 개구부(25)를 가지며, 그 측부에 제2 개구부(26)를 더 갖고 있다. 제2 개구부(26)는 버퍼 탱크(T1)의 하부에 설치되어도 좋다. 버퍼 탱크(T1)의 제1 개구부(25)는 제1 진공 펌프(BP1)의 배기구(31)에 접속되어 있고, 버퍼 탱크(T1)의 제2 개구부(26)는 집합관(20)의 입구관(20A)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진공 펌프(BP1)의 흡기구(32)는 연결관(8)에 접속되어 있다. 버퍼 탱크(T1)의 제1 개구부(25)는 제1 진공 펌프(BP1)의 배기구(31)에 직접 접속되어도 좋고, 또는 플렉시블관 또는 조인트관 등의 배관을 통해 제1 진공 펌프(BP1)의 배기구(31)에 접속되어도 좋다.
버퍼 탱크(T1)의 용량은, 처리 챔버(PC1) 및 집합관(20) 내의 용량, 처리 챔버(PC1)의 목표 진공압 등의 각 요소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버퍼 탱크(T1)의 용량은, 제1 진공 펌프(BP1)의 용량보다 크지만, 일 실시형태에서는, 버퍼 탱크(T1~T3)의 용량은, 제1 진공 펌프(BP1~BP3)의 용량보다 작은 경우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버퍼 탱크(T1)는 제1 진공 펌프(BP1)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버퍼 탱크(T1)를 위한 설치 면적이 불필요하여, 진공 배기 시스템(1) 전체에 필요한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펌프 유닛(U1)이 설치되는 플로어 면적이 충분히 크면, 버퍼 탱크(T1)는 제1 진공 펌프(BP1)의 옆에 배치하여도 좋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 탱크(T1)는 제1 진공 펌프(BP1)의 위쪽에 배치되어도 좋다. 버퍼 탱크(T1)는 베이스(19)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제1 진공 펌프(BP1)는 베이스(19)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버퍼 탱크(T1)가 제1 진공 펌프(BP1)의 하류측(배기측)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동일하지만, 버퍼 탱크(T1)는 제1 진공 펌프(BP1)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도 4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진공 배기 시스템(1)의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웨이퍼의 처리에 사용되는 원료 가스나 에칭 가스 등의 처리 가스가 진공 배기 시스템(1)에 의해 처리 챔버(PC1~PC3)로부터 배기된다. 처리 가스를 진공 배기 시스템(1)으로 배기할 때, 처리 가스로부터 생긴 부생성물이 고화되고, 고화된 부생성물이 제1 진공 펌프(BP1~BP3) 내에 서서히 퇴적된다. 고화된 부생성물은, 버퍼 탱크(T1~T3) 내에도 침입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제1 진공 펌프(BP1~BP3) 및 버퍼 탱크(T1~T3)는,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메인터넌스가 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1 진공 펌프(BP1~BP3), 복수의 버퍼 탱크(T1~T3) 및 복수의 베이스(19)(도 2~도 4 참조)는, 복수의 펌프 유닛(U1~U3)을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이들 펌프 유닛(U1~U3) 중 어느 하나의 메인터넌스를 행한 후에, 그 펌프 유닛으로부터 대기압의 기체를 배기하면서 한편으로는 다른 처리 챔버 내의 압력을 상승시키지 않고, 다른 펌프 유닛의 운전을 계속할 수 있다.
예컨대, 펌프 유닛(U1)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에는, 우선, 그 펌프 유닛(U1)의 하류측에 배치된 차단 밸브(V1)를 폐쇄한다. 그 후, 펌프 유닛(U1)을 진공 배기 시스템(1)으로부터 제거한다. 다른 펌프 유닛(U2, U3)은 운전을 계속한 상태이며, 처리 챔버(PC2, PC3) 내에서는 웨이퍼의 처리가 계속된다. 펌프 유닛(U1)의 메인터넌스를 실시하고, 그 후, 펌프 유닛(U1)을 진공 배기 시스템(1)에 접속한다. 또한, 차단 밸브(V1)를 개방한다. 이때, 펌프 유닛(U1)의 제1 진공 펌프(BP1) 및 버퍼 탱크(T1) 내의 대기압의 기체(통상은 청정 공기)는, 집합관(20)에 유입되고, 집합관(20) 내의 압력이 상승한다. 이때, 집합관(20)에 연결된 다른 버퍼 탱크(T2, T3)에는 이미 진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집합관(20) 내의 압력 상승이 완화된다. 제2 진공 펌프(MP)는 운전중이므로, 집합관(20) 내의 압력은 신속하게 원래의 압력까지 저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메인터넌스가 행해진 펌프 유닛(U1)을 진공 배기 시스템(1)에 접속할 때의, 다른 펌프 유닛(U2, U3)에 연결된 처리 챔버(PC2, PC3) 내에서의 압력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펌프 유닛(U2) 또는 펌프 유닛(U3)의 메인터넌스를 할 때, 및 메인터넌스 종료 후의 동작은, 전술한 동작과 동일하므로,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진공 배기 시스템(1)은, 3개의 제1 진공 펌프(BP1~BP3) 및 하나의 제2 진공 펌프(MP)를 갖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진공 펌프(BP1~BP3)는,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장치(2)의 처리 챔버(PC1~PC3)의 수에 대응하는 수만큼 설치된다. 복수의 제2 진공 펌프(MP)가 설치되어도 좋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배기 시스템(1)은, 6개의 처리 챔버(PC1~PC6)에 대응하는 6개의 제1 진공 펌프(BP1~BP6) 및 6개의 버퍼 탱크(T1~T6)[즉, 6개의 펌프 유닛(U1~U6)]와, 제1 진공 펌프(BP1~BP6) 및 버퍼 탱크(T1~T6)의 하류측에 배치된 2개의 제2 진공 펌프(MP1, MP2)를 구비하고 있다. 집합관(20)은, 버퍼 탱크(T1~T6)를 통해 제1 진공 펌프(BP1~BP6)에 각각 연결된 6개의 입구관(20A)과, 6개의 입구관(20A)이 접속된 하나의 가로관(20B)과, 가로관(20B)에 접속된 2개의 출구관(20C)을 구비하고 있다. 2개의 제2 진공 펌프(MP1, MP2)는, 2개의 출구관(20C)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제2 진공 펌프(MP1, MP2)의 수는 제1 진공 펌프(BP1~BP6)의 수보다 적고, 출구관(20C)의 수는 입구관(20A)의 수보다 적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본 실시형태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진공 배기 시스템(1)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본 실시형태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버퍼 탱크(T1~T3)는, 제1 진공 펌프(BP1~BP3)의 상류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연결관(8)은 버퍼 탱크(T1~T3)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진공 펌프(BP1~BP3)는, 버퍼 탱크(T1~T3), 연결관(8) 및 터보 분자 펌프(5)를 통해 처리 챔버(PC1~PC3)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터보 분자 펌프(5)는 설치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진공 배기 시스템(1)도, 복수의 처리 챔버(PC1~PC3)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대기압의 기체(예컨대 청정 공기)를 배기하면서, 다른 처리 챔버에서의 압력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처리 챔버(PC1)로부터 대기압의 기체를 제1 진공 펌프(BP1)로 배기하면, 집합관(20) 내의 압력이 상승한다. 이 압력 상승에 따라, 다른 제1 진공 펌프(BP2, BP3)의 흡기측의 압력이 상승한다. 버퍼 탱크(T2, T3) 내에는 진공이 이미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진공 펌프(BP2, BP3)의 흡기측의 압력 상승은, 이들 버퍼 탱크(T2, T3) 내의 진공에 의해 완화된다. 결과적으로, 버퍼 탱크(T2, T3)의 상류측에 있는 처리 챔버(PC2, PC3) 내의 압력 상승이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른 버퍼 탱크(T2, T3) 내의 진공에 의해 집합관(20) 내의 압력 상승이 완화된다. 따라서, 처리 챔버(PC1)로부터 대기압의 기체를 배기할 때에, 다른 처리 챔버(PC2, PC3) 내의 압력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장치(2)는, 다른 처리 챔버(PC2, PC3) 내에서, 화학 증착(CVD), 드라이 에칭 등의 웨이퍼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펌프 유닛(U1)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본 실시형태의 구성 및 동작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펌프 유닛(U2, U3)은, 펌프 유닛(U1)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 탱크(T1)는 베이스(19)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제1 진공 펌프(BP1)는 베이스(19)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진공 펌프(BP1)는, 버퍼 탱크(T1)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버퍼 탱크(T1)는 제1 진공 펌프(BP1)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버퍼 탱크(T1)는, 그 상부에 제1 개구부(25)를 가지며, 그 하부에 제2 개구부(26)를 더 갖고 있다. 버퍼 탱크(T1)의 제1 개구부(25)는 연결관(8)에 접속되어 있고, 버퍼 탱크(T1)의 제2 개구부(26)는 제1 진공 펌프(BP1)의 흡기구(32)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진공 펌프(BP1)의 배기구(31)는, 집합관(20)의 입구관(20A)에 접속되어 있다. 버퍼 탱크(T1)의 제2 개구부(26)는 제1 진공 펌프(BP1)의 흡기구(32)에 직접 접속되어도 좋고, 또는 플렉시블관 또는 조인트관 등의 배관을 통해 제1 진공 펌프(BP1)의 흡기구(32)에 접속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버퍼 탱크(T1)는 제1 진공 펌프(BP1)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버퍼 탱크(T1)를 설치하기 위한 풋 프린트가 불필요하여, 진공 배기 시스템(1) 전체의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펌프 유닛(U1)의 설치 면적이 충분히 넓으면, 버퍼 탱크(T1)는 제1 진공 펌프(BP1)의 옆에 배치하여도 좋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 탱크(T1)는 제1 진공 펌프(BP1)의 아래쪽에 배치되어도 좋다. 버퍼 탱크(T1)는 베이스(19)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고, 제1 진공 펌프(BP1)는 베이스(19)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버퍼 탱크(T1)가 제1 진공 펌프(BP1)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동일하지만, 버퍼 탱크(T1)는 제1 진공 펌프(BP1)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도 8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진공 배기 시스템(1)의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복수의 제1 진공 펌프(BP1~BP3), 복수의 버퍼 탱크(T1~T3), 및 복수의 베이스(19)(도 7 및 도 8 참조)는, 복수의 펌프 유닛(U1~U3)을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이들 펌프 유닛(U1~U3) 중 어느 하나의 메인터넌스를 행한 후에, 그 펌프 유닛으로부터 대기압의 기체를 배기하면서 한편으로는 다른 처리 챔버 내의 압력을 상승시키지 않고, 다른 펌프 유닛의 운전을 계속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진공 배기 시스템(1)은, 3개의 제1 진공 펌프(BP1~BP3) 및 하나의 제2 진공 펌프(MP)를 갖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도 6에 도시된 실시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기재된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의 여러 가지 변형례는, 당업자라면 당연히 이룰 수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다른 실시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에 따른 가장 넓은 범위로 해석되는 것이다.
1 : 진공 배기 시스템 2 :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장치
5 : 터보 분자 펌프 6 : 바이패스관
7 : 바이패스 밸브 8 : 연결관
11 : 연결 밸브 15 : 이송관
19 : 베이스 20 : 집합관
20A : 입구관 20B : 가로관
20C : 출구관 22 : 각륜
25 : 제1 개구부 26 : 제2 개구부
31 : 배기구 32 : 흡기구
PC1, PC2, PC3, PC4, PC5, PC6 : 처리 챔버
BP1, BP2, BP3, BP4, BP5, BP6 : 제1 진공 펌프
T1, T2, T3, T4, T5, T6 : 버퍼 탱크
MP, MP1, MP2 : 제2 진공 펌프
U1, U2, U3, U4, U5, U6 : 펌프 유닛
V1, V2, V3, V4, V5, V6 : 차단 밸브

Claims (6)

  1. 복수의 처리 챔버로부터 기체를 배기하기 위한 진공 배기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제1 진공 펌프와,
    상기 복수의 제1 진공 펌프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버퍼 탱크와,
    제2 진공 펌프와,
    상기 복수의 제1 진공 펌프와 상기 제2 진공 펌프를 연통시키는 집합관
    을 구비하는 진공 배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배기 시스템은, 복수의 베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진공 펌프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복수의 버퍼 탱크는 상기 복수의 베이스에 각각 고정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진공 펌프, 상기 복수의 버퍼 탱크 및 상기 복수의 베이스는, 복수의 펌프 유닛을 구성하는 것인 진공 배기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퍼 탱크는, 상기 복수의 제1 진공 펌프의 하류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인 진공 배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퍼 탱크는, 상기 복수의 제1 진공 펌프의 아래쪽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인 진공 배기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퍼 탱크는, 상기 복수의 제1 진공 펌프의 상류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인 진공 배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버퍼 탱크는, 상기 복수의 제1 진공 펌프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인 진공 배기 시스템.
KR1020190121492A 2018-10-03 2019-10-01 진공 배기 시스템 KR202000384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88257A JP2020056373A (ja) 2018-10-03 2018-10-03 真空排気システム
JPJP-P-2018-188257 2018-10-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420A true KR20200038420A (ko) 2020-04-13

Family

ID=7005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492A KR20200038420A (ko) 2018-10-03 2019-10-01 진공 배기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109470A1 (ko)
JP (1) JP2020056373A (ko)
KR (1) KR20200038420A (ko)
CN (1) CN110985884A (ko)
TW (1) TWI8149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6193B (en) * 2021-04-29 2023-09-06 Edwards Ltd A valve module for a vacuum pump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7618A (ja) 2014-05-30 2015-12-17 株式会社荏原製作所 真空排気システム
JP2016183576A (ja) 2015-03-25 2016-10-20 株式会社荏原製作所 真空排気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6083A (en) * 1980-04-14 1981-11-13 Hitachi Ltd Vacuum exhaust system
FR2640697B1 (fr) * 1988-12-16 1993-01-08 Cit Alcatel Ensemble de pompage pour l'obtention de vides eleves
US6254685B1 (en) * 1994-01-18 2001-07-03 Motorola, Inc. Chemical vapor deposition trap with tapered inlet
JPH11230034A (ja) * 1998-02-18 1999-08-24 Ebara Corp 真空排気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KR100384907B1 (ko) * 1999-03-05 2003-05-23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진공 장치
US6382249B1 (en) * 1999-10-04 2002-05-07 Ebara Corporation Vacuum exhaust system
JP2001289166A (ja) * 2000-04-11 2001-10-19 Ulvac Japan Ltd 真空処理装置、及び真空処理方法
US7278831B2 (en) * 2003-12-31 2007-10-09 The Boc Group,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pumping and abatement for vacuum process chambers
GB0418771D0 (en) * 2004-08-20 2004-09-22 Boc Group Plc Evacuation of a load lock enclosure
US20060292014A1 (en) * 2005-06-24 2006-12-28 Pelaez Mario J Wet Vacuum Switchable Pump System
JP4718302B2 (ja) * 2005-11-04 2011-07-06 株式会社アルバック 真空排気装置
CN201823074U (zh) * 2010-10-14 2011-05-11 潍坊幸福药业有限公司 制药车间真空系统
CN202369636U (zh) * 2011-08-17 2012-08-08 百力达太阳能股份有限公司 一种pecvd镀膜设备的真空缓冲系统
JP6441660B2 (ja) * 2014-03-17 2018-12-19 株式会社荏原製作所 除害機能付真空ポンプ
WO2015182699A1 (ja) * 2014-05-30 2015-12-03 株式会社 荏原製作所 真空排気システム
US10071508B2 (en) * 2015-07-15 2018-09-11 Buckaroos, Inc. Preparation of polymeric arcuate sadd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7618A (ja) 2014-05-30 2015-12-17 株式会社荏原製作所 真空排気システム
JP2016183576A (ja) 2015-03-25 2016-10-20 株式会社荏原製作所 真空排気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26525A (zh) 2020-07-16
JP2020056373A (ja) 2020-04-09
US20200109470A1 (en) 2020-04-09
CN110985884A (zh) 2020-04-10
TWI814912B (zh) 202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5204A (en) Vacuum manifold pumping system
KR101099854B1 (ko) 처리 진공 챔버로부터 가스를 배기하는 방법 및 진공 배기 장치
JP6522892B2 (ja) 真空排気システム
CN102713287B (zh) 真空排气装置、真空排气方法及基板处理装置
US6736606B1 (en) Vacuum apparatus
KR100884115B1 (ko) 진공하에서 물체를 가공하기 위한 다중 챔버 장치, 상기 장치를 진공화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위한 진공화 시스템
KR20200038420A (ko) 진공 배기 시스템
CN114645265B (zh) 抽真空系统、半导体工艺设备及抽真空的方法
KR200372323Y1 (ko) 진공 펌핑 시스템
CN210886214U (zh) 通风装置和真空生产设备
US20060124666A1 (en) Vacuum device
JP2004218648A (ja) 真空装置
US5718029A (en) Pre-installation of pumping line for efficient fab expansion
KR20060045576A (ko) 로드로크 및 건식 진공 펌프 조립체
GB2497957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evacuating a vacuum process chamber
CN219267623U (zh) 一种防止腔室倒灌的真空管道
JP2020056373A5 (ko)
CN219472374U (zh) 一种分子泵预抽真空系统
KR20100073338A (ko) 반도체 공정챔버의 진공펌프 시스템
CN113441487B (zh) Mo源管路及其清洗方法
US20080173353A1 (en) Gas supply piping system and method for replacing purifier
CN211134801U (zh) 一种大幅提高产能的超声紊流清洗机
CN216556501U (zh) 尾排结构和具有其的lpcvd设备
KR20210096577A (ko) 진공 시스템
CN202196761U (zh) 减压组件及真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