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6464A -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6464A
KR20200036464A KR1020180116131A KR20180116131A KR20200036464A KR 20200036464 A KR20200036464 A KR 20200036464A KR 1020180116131 A KR1020180116131 A KR 1020180116131A KR 20180116131 A KR20180116131 A KR 20180116131A KR 20200036464 A KR20200036464 A KR 20200036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on nitride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elastic
elastic resin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3837B1 (ko
Inventor
이현경
Original Assignee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6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837B1/ko
Publication of KR20200036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8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25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8Boron-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82Boron-containing compounds and nitrogen
    • C08K2003/385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기절연성 및 방열특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및 직경이 상이한 보론 나이트라이드(Boron Nitrdie)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은 탄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탄성소재로서 보론 나이트라이드를 첨가하여 뛰어난 기계적 물성, 전기 절연성과 방열 특성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Thermoplastic elastic resin composition and product prepa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기절연성 및 방열특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이 발달하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가 개발되고 관련 기술이 발전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안경, 시계, 의복 등과 같이 착용 할수 있는 악세서리 형태로 된 전자기기를 의미하며,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처럼 착용하여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 열가소성 탄성소재가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열가소성 탄성소재는 스티렌 형태(styrene type), 우레탄 형태(urethane type), 올레핀 형태(olefin type), 아마이드 형태(amide type)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TPE)들을 의미하며, 고무가 가지고 있는 탄성재료의 특성과 일반 플라스틱 소재가 가지는 열가소성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특히,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는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무엇보다도 반복피로 및 힌지 특성과 장기 내구성이 다른 계열의 엘라스토머에 비해 뛰어나 각종 기계 부품류 및 자동차 분야 등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다만, 일반적으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경우 엘라스토머의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 폴리에테르계 폴리올로 인해 융점이 낮고 내열성능 또한 떨어져 고온에서 장기간 사용시 열과 산소에 의해 고분자 사슬이 분해되어 물성이 저하되고 변색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엘라스토머를 포함한 고분자 소재의 경우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냄새가 발생하거나 사람의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방출되는 문제가 있어 최근 세계적으로 주요 이슈(Issue)인 친환경 대한 요구에 부합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내열성 및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미국특허공개 제3,723,427호에서는 입체장애형 페놀(hindered phenol)계 1차 내열제인 트리스(하이드록시벤질) 시아누레이트형의 안정제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였고, 미국특허공개 제3,758,579호에서는 티오에스테르(Thioester)형태의 2차 내열제를 제시하면서 페놀계의 1차 내열제와 혼용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미국특허공개 제4,414,408호에는 2종의 안정제를 혼용하여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의 안정성의 개선하는 상승효과(Synergistic effect)를 도모하였고, 미국특허공개 제4,405,749호에는 1,3,5-tris-(2-hydroxyethy1)-s-triazine-2,4,6-(1H,3H,5H)trion)과 3,5-di-t-buty1-4-hydroxyhydrocinnamic acid의 에스테르화물을 이용해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의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수지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요구되는 방열특성, 전기절연성, 기계적 강도등을 충족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uminium nitride, AIN)등과 같은 금속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AIN는 공기 중의 수분에 의해 쉽게 가수분해되어 수산화알루미늄이 표면에 생겨 전자기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전기절연성과 방열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필러로 보론 나이트라이드(Boron nitride, BN)를 사용하고, 특히 직경이 상이한 보론 나이트라이드의 혼합물 및 분산제를 사용함으로써, 전기절연성 및 방열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기절연성과 방열 특성이 우수하고,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는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과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구현예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및 보론 나이트라이드(Boron Nitrdie) 혼합물을 포함하며, 실란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분산제를 조성물 총 중량 기준, 0.2 내지 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따른 상기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35 내지 75중량%; 직경이 상이한 보론 나이트라이드(Boron Nitrdie) 혼합물 25 내지 65중량%; 및 분산제 0.2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따른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는 Shore 경도가 25 내지 40D 이하이고, ISO 1133측정기준 230℃에서 2.16kg으로 측정시, 용융흐름지수가 5g/10min 내지 30g/10min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구현예에서 따른 상기 보론나이트라이드 혼합물은 직경이 작은 보론 나이트라이드와, 직경이 작은 보론 나이트라이드의 직경 대비 10 내지 25배의 직경을 가지는 보론 나이트라이드를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구현예에서 따른 상기 보론나이트라이드 혼합물은 직경이 10 내지 20㎛인 보론 나이트라이드 및 직경이 200 내지 300㎛인 보론 나이트라이드가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구현예에서 따른 상기 보론나이트라이드 혼합물은 직경이 10 내지 20㎛인 보론나이트라이드 및 직경이 200 내지 300㎛인 보론 나이트라이드가 70:30~85:15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일 수 잇다.
상기 제 1 구현예에서 따른 상기 보론 나이트라이드는 판상형 보론 나이트라이드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1 구현예로서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은 뛰어난 기계적 물성과 더불어 우수한 전기절연성과 방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은 우수한 전기절연성 및 방열 성능이 요구되는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및 보론 나이트라이드(Boron Nitrdie) 혼합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는 디올과 디카르복실레이트(또는 디카르복실산)로 구성되는 하드세그멘트(Hard segment, 강직쇄)와 에스테르기를 함유한 폴리알킬렌옥사이드로 구성되는 소프트세그멘트(Soft segment, 유연쇄)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디카르복실레이트(또는 디카르복실산)와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을 1차 에스테르 교환반응(또는 에스테르화 반응) 시킨 후, 별도의 반응기에서 중축합하여 얻어진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디올은 부탄디올(부틸렌글리콜), 모노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네오펜틸 글리콜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디카르복실레이트(또는 디카르복실산)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테레프탈산,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 이소프탈산, 디메틸나프탈레이트,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및 세바신산이 적용될 수 있고, 상기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은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알킬렌옥사이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는 엘라스토머의 특성을 갖는다면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부탄디올과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의 하드세그멘트를 가지고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 글리콜(Polyoxytetramethylene Glycol; PTMG)이 소프트세그먼트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의 경도는 소프트 세그먼트(Soft Segment, 유연쇄)이자 에테르기를 함유한 폴리알킬렌옥사이드로 제어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 총 중량기준, 폴리알킬렌옥사이드를 40 내지 80중량%로 포함함으로써,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의 표면경도는 ASTM D2240측정 기준, Shore 25D 내지 40D가 되도록 하고, 성형성을 고려하여 ISO 1133측정기준 230℃에서 2.16kg으로 측정시, 용융흐름지수는 5g/10min 내지 30g/10min이 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 총 중량 기준, 35 내지 75중량% 인 것이 유수한 탄성과 함께 전기절연성 및 방열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이 35중량% 미만일 경우 보론 나이트라이드의 함량이 높아 전기절연성 및 방열성능이 높은 대신 우수한 탄성을 유지할 수 없으며, 75중량% 이상일 경우 우수한 탄성을 나타낼 순 있으나, 전기절연성 및 방열성능이 낮은 단점이 있다.
[보론 나이트라이드]
보론 나이트라이드는 우수한 전기절연성 및 방열 특성을 가진 무기재료로, 화학적인 안정성이 뛰어나며, 열충격에 강한 물성을 나타낸다. 보론 나이트라이드의 절연 특성을 갖는 세라믹이면서도 금속과 유사한 열전도 특성을 갖는 비산화물계 세라믹이다. 또한, 높은 절연파괴강도와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 전기절연체로도 사용할 수 있다. 반도체 기판, 전자레인지의 투명 유리창, 연료전지 등과 같은 전기절연체로 사용되며 절연과 방열을 위한 필러로 이용될 수 있다. 보론 나이트라이드는 흑연과 비슷하게 방정계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흑연이나 타 열전도성 탄소소재보다 뛰어난 절연체이다.
상기 보론 나이트라이드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TPEE)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전기절연성 및 방열 특성을 발휘한다.
상기 보론 나이트라이드는 판상형 및 침상형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나, 판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론 나이트라이드가 판상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침상형 대비 전도성 network를 형성하기 쉬워 우수한 방열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보론 나이트라이드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에 혼합될 때, 직경이 일정한 보론 나이트라이드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직경이 상이한 보론 나이트라이드를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전기절연성 및 방열 특성을 구현함에 있어서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보론 나이트라이드 혼합물은 직경이 상이한 보론 나이트라이드를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직경이 작은 보론 나이트라이드와 직경이 작은 보론 나이트라이드의 직경 대비 10 내지 25배의 직경을 가지는 보론 나이트라이드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직경이 10 내지 20㎛인 보론나이트라이드 및 직경이 200 내지 300㎛인 보론 나이트라이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직경이 10~20㎛인 보론나이트라이드 및 직경이 200 내지 300㎛인 보론 나이트라이드가 70:30~85:15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상기 보론 나이트라이드가 중량비율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부피내에 존재하는 접촉 면적과 부피분율을 높힐 수 있어 전도성 network가 향상되고, 전도성 및 방열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론 나이트라이드는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 총 중량 기준, 25 내지 65중량% 인 것이 열가소성 탄성 수지의 기계적 물성, 압·사출 성형의 용이성에서 바람직하고, 특히 전기절연성과 방열 성능을 얻기에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분산제]
분산제는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에 대한 보론 나이트라이드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실란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에폭시(Epoxy), 카르복실기(Carboxyl), 아민기(Amine) 관능기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능기과 실란기가 결합된 구조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의 말단 관능기와 에폭시기, 카르복실기, 아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관능기가 반응함과 동시에 실란기가 보론 나이트라이드와 반응하여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와 보론 나이트라이드간의 계면결합력을 향상시켜 전기적특성 구현과 기계적 특성 향상을 동시에 이루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분산제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와 상기 보론 나이트라이드간의 계면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아민기에 비해 에폭시기 또는 카르복실기 관능기와 실란기가 결합된 구조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는 상기 열가소성 탄성 수지의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될 때, 조성물 총 중량 기준 0.2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상기 열전도성 필러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탄성 조성물은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추가적으로 요구 되는 특성에 따라 내열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이형제, 상용화제, 염료, 안료, 착색제, 가소제, 충격보강제, 안정제, 활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열제는 상기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의 내구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열안정제로서, 힌다드 페놀(hindered phenol)계 내열제를 사용하는 것이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면서 산화방지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내열제는 열가소성 탄성 주시 조성물의 총 중량기준, 0.05 내지 0.5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다드 페놀(hindered phenol)계 내열제로는 펜터리쓰리톨(pentaerythritol) 테트라키스(tetrakis)-(메틸렌(methylene)-(3,5 디 터트 부틸(di-tert- buthyl)-4-하이드록스 페닐(hydroxy phenyl)프로피오네이트(propionate))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열제는 2,2'-m-페닐렌 비스(2-옥사졸린)[ 2,2'-m-phenylene bis(2-oxazoline)], 4,4'-비스(α,α-디메틸벤질-디스페닐아민)[4,4'-bis(alpha, alpha-dimethylbenzyl diphenylamine)] 및 N,N'-헥산-1,6-디일 비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로시페닐-프로피온아마이드[N,N'-hexane-1,6-diyl b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페놀형, 포스파이트형, 티오에테르형 및 아민형 중 선택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이형제는 불소 함류 중합체, 실리콘 오일, 스테아린산 금속염, 몬탄산 금속염, 몬탄산 에스테르 왁스 및 폴리에틸렌 왁스 중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전기절연성과 방열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며 사출 및 압출 성형 가공에 유리하여, 전기절연성과 방열 성능이 요구되는 성형품, 특히 전자제품의 하우징이나, 탄성을 요구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수출형 부품에 제조 용이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과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표면저항이 1014Ω/□ 이상이고, 열전도율이 0.7 W/mK이상이고, 굴곡모듈러스가 50MPa 이상으로 전기절연성 및 방열특성이 우수하다. 좀 더 우수하게는 표면저항이 1014Ω/□ 이상이고, 열전도율이 0.7 W/mK이상이고, 굴곡모듈러스가 50MPa 이상을 만족하면서, 상온(23℃)에서의 Izod 충격강도가 NB 의 물성까지도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1 내지 10
표면경도가 Shore 28D 또는 55D인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KOPEL® KP3328, KOPEL® KP3355,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분산제를 주호퍼에 투입하였으며, 보론 나이트라이드를 하기 표 1에 표시된 함량만큼 텀블러 혼합기를 사용해 5분간 혼합하였다. 이어서, 이축 스크류형의 압출형 혼련기(Twin screw extruder)를 통해 용융 혼련시켜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압출기의 온도는 1차 투입구에서부터 다이까지의 순서로 100℃, 150℃, 180℃, 200℃, 220℃로 설정하고, 스크류의 회전수는 230RPM의 조건으로 혼합을 실시하였다.
항목 A
(중량%)
B
(중량%)
C D
(중량%)
E
(중량%)
함량
(중량%)
C-1
(함량비)
C-2
(함량비)
C-3
(함량비)
실시예 1 67 - 30 85 15 0 - 3
2 57 - 40 85 15 0 - 3
3 47 - 50 85 15 0 - 3
4 47 - 50 70 30 0 - 3
5 37 - 60 85 15 0 - 3
6 77 - 20 85 15 - - 3
7 27 - 70 85 15 - - 3
8 - 47 50 85 15 - - 3
9 47 - 50 85 - 15 - 3
비교예 1 47 - 50 100 - 0 - 3
2 47 - 50 - 100 0 - 3
3 47 - 0 - - 0 50 3
4 47 - 50 85 15 0 - 0
- A: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KOPEL® KP3328)
- B: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공중합체(KOPEL® KP3355)
- C: 보론 나이트라이드 혼합물
- C-1: 보론 나이트라이드(Momentive, size 15㎛) 함량비
- C-2: 보론 나이트라이드(Momentive, size 250㎛) 함량비
- C-3: 보론 나이트라이드(Momentive, size 100-150㎛) 함량비
- D: 그래핀 나노플레이트 (XG science M grade, size : 25 ㎛)
- E : 분산제 (Dow corning Z-6040 silane, epoxy silane)
물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을 스트랜드(Strand)상으로 토출하여 온도가 35℃인 냉각조 내에서 고화한 후, 펠렛타이저(pelletizer)를 통해 펠렛화된 제품으로 얻었으며, 이를 대상으로 하기 방법을 기준으로 표면저항, 열전도율, 충격강도, 굴곡 모듈러스를 측정하였다.
(1) 표면저항: JIS 7194 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2) 열전도율: ASTM E 1530 에 의해 측정하였다.
(3) 충격강도: ASTM D256 에 의해 측정하였다.
(4) 굴곡 모듈러스: ISO 175에 의해 측정하였다.
구분 표면저항
(Ω/□)
열전도율
(W/mK)
Izod 충격강도
(J/m) 23℃
굴곡 모듈러스
(MPa)
실시예 1 ~1016 0.7 NB 51
2 ~1015 0.9 NB 61
3 ~1015 1.1 NB 69
4 ~1015 1.4 NB 83
5 ~1014 1.6 NB 76
6 ~1016 0.4 NB 47
7 ~1015 1.8 91.3 53
8 ~1015 1.1 30.2 128
9 ~1015 0.6 NB 64
비교예 1 ~1015 0.5 NB 67
2 ~1016 - NB 71
3 ~108 0.6 NB 71
4 ~1015 0.5 NB 32
물성측정결과를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9를 통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보론 나이트라이드를 포함하면서, 실란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분산제를 최적의 범위로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표면저항, 열전도율, 굴곡 모듈러스가 확보되는 것을 확인되었다.
반면에, 비교예 1 및 2는 직경이 한가지인 보론 나이트라이드를 사용한 것으로, 열전도도가 낮거나 측정되지 않아 요구수준에 미치지 못함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3는 보론 나이트라이드 대신 그래핀 나노플레이트를 사용한 경우로 표면저항이 낮아져 전기절연성이 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4는 동일한 필러를 첨가하였으나, 분산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로 필러의 분산이 고르게 되지 않아 표면 저항이 고르게 나오지 않고, 굴곡 모듈러스가 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8)

  1.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보론 나이트라이드(Boron Nitrdie) 혼합물 및 실란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분산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은 총 종량 기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 35 내지 75중량%; 보론 나이트라이드(Boron Nitrdie) 혼합물 25 내지 65중량%; 및 분산제 0.2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블록 공중합체는 Shore 경도가 25 내지 40D 이하이고, ISO 1133측정기준 230℃에서 2.16kg으로 측정시, 용융흐름지수가 5g/10min 내지 30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론나이트라이드 혼합물은 직경이 작은 보론 나이트라이드와, 직경이 작은 보론 나이트라이드의 직경 대비 10 내지 25배의 직경을 가지는 보론 나이트라이드를 혼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론나이트라이드 혼합물은 직경이 10 내지 20㎛인 보론 나이트라이드 및 직경이 200 내지 300㎛인 보론 나이트라이드가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론나이트라이드 혼합물은 직경이 10 내지 20㎛인 보론나이트라이드 및 직경이 200 내지 300㎛인 보론 나이트라이드가 70:30~85:15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론 나이트라이드는 판상형 보론 나이트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성형품.
KR1020180116131A 2018-09-28 2018-09-28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463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131A KR102463837B1 (ko) 2018-09-28 2018-09-28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131A KR102463837B1 (ko) 2018-09-28 2018-09-28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464A true KR20200036464A (ko) 2020-04-07
KR102463837B1 KR102463837B1 (ko) 2022-11-03

Family

ID=70291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131A KR102463837B1 (ko) 2018-09-28 2018-09-28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8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1161A (ko) * 2013-04-05 2014-10-15 한국화학연구원 전기절연성 및 열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2016056284A (ja) * 2014-09-10 2016-04-21 東レ・デュポン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1161A (ko) * 2013-04-05 2014-10-15 한국화학연구원 전기절연성 및 열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2016056284A (ja) * 2014-09-10 2016-04-21 東レ・デュポン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837B1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32664A1 (en) Thermally conductive blended polym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flame retardancy
EP2480601B1 (en) Thermoplastic polyester compositions, methods of manufacture, and articles thereof
KR101539709B1 (ko) 고강도 폴리페닐렌설파이드/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렌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40339B1 (ko)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 조성물
KR20150013579A (ko) 유동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KR20140090369A (ko) 열전도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조성물
JPS61236855A (ja) ポリエ−テルイミド樹脂組成物
KR20130078777A (ko)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조성물
KR102463837B1 (ko)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10741044B (zh) 聚缩醛树脂组合物、成型品及聚缩醛树脂组合物的制造方法
KR100966220B1 (ko) 마찰계수가 낮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US5068274A (en) Secondary amides 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molding compositions
KR101263986B1 (ko) 유연성과 반사율이 높은 친환경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KR20200036182A (ko)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30066839A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KR102483994B1 (ko) 열가소성 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90036301A (ko) 실리콘계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체
KR20220035777A (ko)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2009001626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734772B1 (ko) 고충격성 및 고부착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JP5891016B2 (ja) 高熱伝導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190075506A (ko) 마이카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H0713185B2 (ja) 成形用樹脂組成物
JP2013249356A (ja) 放熱性を有する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H05295230A (ja) 摺動部材用ポリアセタール樹脂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