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722A - 롤 베일러 - Google Patents

롤 베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722A
KR20200033722A KR1020190083101A KR20190083101A KR20200033722A KR 20200033722 A KR20200033722 A KR 20200033722A KR 1020190083101 A KR1020190083101 A KR 1020190083101A KR 20190083101 A KR20190083101 A KR 20190083101A KR 20200033722 A KR20200033722 A KR 20200033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rotation
conveyor
conveying conveyo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사토
신타로 미야타
신야 하라다
유스케 히로카와
겐고 시미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아그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아그리테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아그리테크
Publication of KR20200033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7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8Details
    • A01F15/10Feeding devices for the crop material e.g. precompression devices
    • A01F15/106Feeding devices for the crop material e.g. precompression devices for round ba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01F2015/076Wrapping device incorporating sens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사료 작물의 막힘이 발생한 경우여도 반송 컨베이어나 벨트나 체인 등에 대한 손상을 방지함과 함께, 막힘을 용이하게 해소한다.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회전이 설정된 회전수 미만인 것을 검출했을 때에, 반송 컨베이어에 대한 정전 구동부의 구동력 전달을 절단하여,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회전을 정지시킨다.

Description

롤 베일러{ROLL BALER}
본 발명은, 세단(細斷)된 사료 작물을 롤 베일로 성형하는 롤 베일러에 관한 것이다.
롤 베일러는,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체에 배치된 원동기에 의하여 작동하는 크롤러를 가짐과 함께, 차체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슈트(chute)가 구비된 수확기, 조종석, 호퍼, 반송 컨베이어, 성형실, 이젝터를 가진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롤 베일러에 의하면, 주행하면서 수확한 사료 작물을 세단하고, 세단한 사료 작물을 슈트로부터 호퍼에 투입하며, 이 호퍼에 저장되는 사료 작물을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회전으로 성형실에 투입하고, 이 성형실 내에서 롤 베일이 성형되어, 성형된 롤 베일이 이젝터에 의하여 포장(圃場)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롤 베일러는, 사료 작물의 수확으로부터 롤 베일의 성형·방출까지 행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39364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롤 베일러는, 세단된 사료 작물이 반송 컨베이어에서 성형실로 반송되는 도중에 막히는 경우가 있었다.
반송 컨베이어에서 사료 작물의 막힘이 발생한 경우, 반송 컨베이어나 반송 컨베이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나 체인 등에 과부하가 걸려, 반송 컨베이어나 벨트나 체인 등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막힌 사료 작물을 제거하는 데에 호퍼 내의 사료 작물을 전부 제거하는, 큰 노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을 행해야만 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로부터 현재는, 사료 작물의 막힘이 발생한 경우여도 반송 컨베이어나 벨트나 체인 등에 대한 손상을 방지함과 함께, 막힘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는 롤 베일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채용한 수단은, 투입되는 사료 작물을 롤 베일로 성형하는 성형실을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사료 작물을 상기 성형실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롤 베일러로서, 상기 반송 장치는, 사료 작물을 성형실로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와, 상기 반송 컨베이어로 반송 회전 방향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정전(正轉) 구동부와, 상기 반송 컨베이어로 비반송 방향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전(逆轉) 구동부와,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회전 상태를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와, 상기 회전 검출부의 검출 결과가,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회전이 설정된 회전수 미만일 때에,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대한 상기 정전 구동부의 구동력 전달을 절단하여,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베일러로 한 것이다.
투입되는 사료 작물을 롤 베일로 성형하는 성형실을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사료 작물을 상기 성형실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롤 베일러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반송 장치의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회전 상태를 검출함과 함께, 검출 결과가,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회전이 설정된 회전수 미만일 때에,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베일러의 제어 방법으로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의 롤 베일러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호퍼로부터 이젝터 장치까지의 범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호퍼 부근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5)-(5)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7은 제어부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성형실의 주요부 확대도이며,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다.
도 9는 가동측 반부(半部)를 개방한 상태의 성형실의 주요부 확대도이며,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다.
도 10은 도 6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이젝터 장치의 확대도이며, 주요부를 더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13은 도 12의 (13)-(13)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승강 지지 장치의 연결축의 끼움 및 빼냄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의 롤 베일러(A)를 도 1~도 14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형태에서 예시하는 롤 베일러는, 사료 작물의 수확으로부터, 롤 베일의 성형 및 포장으로의 방출까지 행하는 자주(自走) 수확식의 롤 베일러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자주 수확식의 롤 베일러에 한정되지 않는다.
롤 베일러(A)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A1)에, 조종석(1), 주행체(2), 수확기(3), 슈트(3A), 호퍼(4), 반송 장치(5), 성형실(6), 폐색 장치(7), 이젝터 장치(8)가 배치되어 있고, 또한 주행체(2), 수확기(3), 호퍼(4), 반송 장치(5), 성형실(6)의 원동력이 되는 엔진(도시하지 않음)이나, 이 엔진의 동력을, 조종석(1)에서의 조작에 의하여, 주행체(2), 수확기(3), 호퍼(4), 반송 장치(5), 성형실(6)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계(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수확기(3) 측을 "전(전진 측)", 이젝터 장치(8) 측을 "후", 주행체(2) 측을 "하", 조종석 측을 "상", 전후 방향에 대하여 평면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로 하여 설명한다.
또, 상술의 사료 작물(B)이란, 포장에서 육성된 덴트 콘(dent corn)이나 목초 등, 가축의 사료로 이용되는 것이다.
롤 베일러(A)의 기본적 구성 및 동작은, 상술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롤 베일러와 동일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지만, 조종석(1)에서의 조작으로 주행체(2)를 전진 주행시키면서, 수확기(3)에서 포장(G)의 사료 작물(B)을 수확하여 세단함과 함께, 세단한 사료 작물(B)을, 슈트(3A)를 통하여 호퍼(4)에 투입하고, 또한 호퍼(4)로부터 낙하하는 사료 작물을 반송 장치(5)의 반송 컨베이어(501)에서 성형실(6)에 투입한다.
성형실(6)에 투입된 사료 작물(B)을 성형실(6)의 성형 장치(6A)에서 통상의 롤 베일(B1)로 성형함과 함께, 송출 장치(4B)로부터 성형실(6)로 송출되는 곤포 자재로 롤 베일(B1)을 곤포한 후, 성형실(6)의 가동측 반부(61)를 개방하여 고정측 반부(60)로부터 배출하고, 또한 배출되는 롤 베일(B1)을, 이젝터(80)를 통하여 포장(G)으로 방출하는 것이다.
반송 장치(5)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료 작물(B)을 성형실(6)로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501)와, 반송 컨베이어(501)로 반송 방향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정전 구동부(5A)와, 반송 컨베이어(501)로 비반송 방향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전 구동부(5B)와, 반송 컨베이어(501)의 반송 회전 상태를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5C)와, 회전 검출부(5C)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정전 구동부(5A) 및 역전 구동부(5B)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D)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 컨베이어(50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퍼(4)의 사료 작물 낙하구(40)의 하방에 확보된 독립된 공간인 사료 작물 반송 공간(41)에 배치되어 있고, 사료 작물 반송 공간(41)의 바닥부에 마련된 반송면(42)에 이르는 사료 작물(B)을, 정전 구동부(5A)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도면 상,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여 성형실(6)의 투입구(62)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반송 컨베이어(501)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반송 컨베이어와 동일하게, 평면에서 보았을 때 래더(ladder)상의 무한 궤도 구조의 것이며, 사료 작물 반송 공간(41)의 상류 측과 하류 측에, 각각 회전축(500, 510, 520)에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된 롤러(50, 51) 및 스프로킷(52)에 걸쳐서 무한 궤도를 구성하도록 감겨 걸쳐져 있다.
또한, 스프로킷(52)을 축지지하는 회전축(520)은, 정전 구동부(5A) 및 역전 구동부(5B)로부터의 구동이 입력되어 구동하는 축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구동축(520)"이라고 한다.
정전 구동부(5A)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520)에 동축이고, 또한 일체 회전하도록 축지지된 종동(從動) 풀리(50A)와, 종동 풀리(50A)와 평행한 축을 가지며 축지지된 구동 풀리(51A)와, 종동 풀리(50A)와 구동 풀리(51A)에 걸치도록 감긴 구동 벨트(52A)와, 구동 풀리(51A)의 구동 회전을 종동 풀리(50A)의 회전으로서 입력함과 함께, 절단하기 위한 정전 클러치부(C)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풀리(51A)는, 상술의 엔진의 동력이, 상술의 동력 전달계를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에 의하여 구동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정전 클러치부(C)는, 구동 벨트(52A)의 하방 측의 외주(520A)에 대하여 상하 이동 자유롭고, 또한 접근 및 이간 자유롭게 축지지되며, 접촉하여 가압함으로써, 구동 벨트(52A)에 텐션을 부여하는 텐션 롤러(C1)와, 텐션 롤러(C1)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상하 이동 자유롭게 지지된 지지봉(C2)과, 지지봉(C2)의 상하 이동의 동력이 되는 모터(전동·유압)(C3)와, 모터(C3)의 회전을 지지봉(C2)의 상하 이동으로서 전달하는 랙 앤드 피니언(C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지지봉(C2)의 상하 이동의 동력에 대해서는, 모터(C3) 대신에 액추에이터를 이용해도 된다.
이와 같은 정전 클러치부(C)는, 모터(C3)의 정지 상태에 있어서는 지지봉(C2)이 하강 상태임과 함께, 텐션 롤러(C1)가 외주(520A)로부터 이간하고 있고(도 4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나타냄), 이로써, 구동 벨트(52A)가 느슨해진 상태가 되어, 구동 벨트(52A)에 대하여 구동 풀리(51A)가 공전(空轉)하기 때문에, 구동 풀리(51A)의 구동이 전달되지 않는 절단 상태가 되며, 이 절단 상태에 있어서 반송 컨베이어(501)의 반송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모터(C3)를 정지 상태로부터 회전시킴으로써, 지지봉(C2)이 상승함과 함께, 지지봉(C2)의 상승에 따라 텐션 롤러(C1)가 상승하여, 구동 벨트(52A)의 외주(520A)에 접촉하고 상방을 향하여 가압함으로써(도 4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냄), 구동 벨트(52A)에 텐션이 발생한 상태가 되며, 구동 풀리(51A)의 구동 회전이 구동 벨트(52A)의 회전으로서 전달됨과 함께, 구동 벨트(52A)의 회전이 종동 풀리(50A)의 회전으로서 전달되는 입력 상태가 되어, 이 입력 상태에 있어서 반송 컨베이어(501)를 반송 회전시킬 수 있다.
역전 구동부(5B)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520)에 동축이고, 또한 유전(遊轉)하도록 축지지된 종동 스프로킷(50B)과, 종동 스프로킷(50B)의 축과 평행한 축으로 하는 모터축(M1)을 갖는 모터(유압·전동)(M)와, 모터축(M1)에 동축이고, 또한 일체 회전하도록 축지지된 구동 스프로킷(51B)과, 종동 스프로킷(50B)과 구동 스프로킷(51B)에 걸치도록 감긴 구동 체인(52B)과, 구동 스프로킷(51B)의 구동 회전을 종동 스프로킷(50B)의 회전으로서 입력함과 함께, 절단하기 위한 역전 클러치부(D)를 구비하고 있다.
역전 클러치부(D)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520)에 동축으로 함과 함께, 일체 회전하도록, 또한 구동축(520)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축지지된 클러치판(D1)과, 클러치판(D1)을 슬라이드시키는 실린더(전동·유압)(D2)를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판(D1)은, 종동 스프로킷(50B)과 종동 풀리(50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종동 스프로킷(50B)과의 대면 측에 클로 클러치(D10)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종동 스프로킷(50B)에는, 클러치판(D1)의 슬라이드에 의하여, 클로 클러치(D10)가 계합 및 이탈되는 클로 클러치 계합부(D11)가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판(D1)의 종동 스프로킷(50B) 측으로의 슬라이드에 의하여, 클로 클러치(D10)가 클로 클러치 계합부(D11)에 계합되고, 이 계합에 의하여, 구동 스프로킷(51B)으로부터 구동 체인(52B)을 통하여 종동 스프로킷(50B)으로 전달되는 모터(M)의 회전을, 구동축(520)의 회전으로서 전달하는 입력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클러치판(D1)의 종동 스프로킷(50B)으로부터 이간하는 슬라이드에 의하여, 클로 클러치(D10)가 클로 클러치 계합부(D11)로부터 빠져나와, 이로써, 구동 스프로킷(51B)으로부터 구동 체인(52B)을 통하여 종동 스프로킷(50B)으로 전달되는 모터(M)의 회전을, 구동축(520)에 회전으로서 전달되지 않는 절단 상태로 할 수 있다.
모터(M)의 모터축(M1)은, 반송 컨베이어(501)를 역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회전 검출부(5C)는, 피검출체(50C)와, 피검출체(50C)의 회전 펄스를 검출하는 검출 센서(51C)를 구비하고 있고, 검출 센서(51C)의 검출 결과를 제어부(5D)로 송신하도록 제어되고 있다.
피검출체(50C)는, 구동축(520)과 평행한 축을 갖고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된 스프로킷상의 것이며, 구동축(520)과 일체 회전하도록 축지지된 구동 스프로킷(53C)에 걸치도록 체인(54C)이 감겨 걸쳐져 있고, 구동축(520)의 회전이 구동 스프로킷(53C)으로부터 체인(54C)을 통하여 피검출체(50C)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 체인(54C)은, 피검출체(50C)와 함께, 피검출체(50C)의 축과 평행한 축을 갖고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된 종동 스프로킷(55C, 56C)에 감겨 걸쳐져있다.
즉, 구동축(520)이, 피검출체(50C)를 회전시킴과 함께, 구동 반송 컨베이어(501)를 반송 회전시키기 위한 공통의 구동축(520)으로 되어 있고, 반송 컨베이어(501)를 반송 회전시키는 구동축(520)의 회전이, 동시에 피검출체(50C)를 회전시키는 회전이기도 하기 때문에, 반송 컨베이어(501)의 반송 회전 중에는, 피검출체(50C)는, 반송 컨베이어(501)에 따라 항상 회전하고 있음과 함께, 반송 컨베이어(501)의 회전수의 증감에 비례하여 회전수가 증감하도록 되어 있다.
검출 센서(51C)는, 피검출체(50C)의 회전 펄스를 검출하는 것이며, 피검출체(50C)의 회전 펄스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검출 센서(51C)는, 예를 들면, 주지의 전자 픽업에 의한 검출 센서(51C)를 이용할 수 있고, 이로써, 피검출체(50C)의 회전 펄스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스프로킷(53C), 종동 스프로킷(55C, 56C)을 피검출체(50C)로 해도 된다.
또, 검출 센서(51C)는, 구동축(520)(반송 컨베이어(501))의 회전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상술의 전자 픽업에 의한 검출 센서(51C)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5D)는, 조종석의 컨트롤 박스(도시하지 않음)에 내장되어, 검출 센서(51C)의 회전 펄스 신호가 송신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반송 컨베이어(501)의 반송 회전 중에 있어서, 검출 센서(51C)로부터 송신되는 회전 펄스 신호에 근거하여 피검출체(50C)의 회전수를 판정함과 함께, 판정된 회전수가 정상적인 회전수 미만일 때, 정전 클러치부(C)를 자동적으로 절단시키도록 제어하여, 이 제어에 의하여 반송 컨베이어(501)의 반송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제어부(5D)에 의한 정전 클러치부(C)를 자동적으로 절단시키는 제어에서는, 하기와 같은 상황에서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반송 컨베이어(501)의 반송 회전에 대하여 막힘에 의하여 과부하가 작용하면, 반송 컨베이어(501)의 회전수가 감소함과 함께, 반송 컨베이어(501)에 작용하는 저항이 구동축(520) 및 종동 풀리(50A)에도 작용함과 함께, 반송 컨베이어(501)의 회전수의 감소에 따라 회전수도 감소하지만, 이때 종동 풀리(50A)에는, 구동 풀리(51A)로부터의 구동 회전력이 구동 벨트(52A)를 통하여 전달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종동 풀리(50A)에는, 구동 벨트(52A)를 통하여 전달되는 반송 컨베이어(501)를 반송 회전시키는 회전력과, 반송 컨베이어(501)의 반송 회전에 대하여 작용하는 과부하에 의한 저항에 의하여 발생하는 반송 회전을 멈추고자 하는 저항력이 동시에 작용하게 된다.
즉, 구동 벨트(52A)를 통하여 종동 풀리(50A)에 전달되는 구동 풀리(51A)의 회전력이, 종동 풀리(50A)에 작용하는 저항력에 대항하여 종동 풀리(50A)를 반송 방향으로 억지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이 억지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힘이, 구동 벨트(52A)에 대한 과부하가 되고, 과부하에 의하여, 구동 벨트(52A)가 구동 풀리(51A) 및 종동 풀리(50A)에 대하여 슬립(slip)하며, 과부하 및 과부하에 의한 마찰 저항이 높은 슬립에 의하여, 구동 벨트(52A)에 손상이나 마모를 발생시킨다.
또, 반송 컨베이어(501)에 대하여 직접 작용하는 과부하에 의한 저항력에 의하여, 반송 컨베이어(501)의 손상도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 컨베이어의 회전수를 회전 검출부(5C)에 의하여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수가 정상 회전수 미만일 때, 제어부(5D)에 의한 정전 클러치부(C)를 자동적으로 절단시키는 제어에 의하여, 구동 벨트(52A)의 텐션이 느슨해져, 구동 벨트(52A)에 대하여 구동 풀리(51A)가 공전하기 때문에, 반송 컨베이어(501)에 작용하는 과부하에 의한 저항력을 기인으로 하는 구동 벨트(52A)에 대한 과부하를 없앨 수 있음과 함께, 과부하에 의한 마찰 저항이 높은 슬립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과부하에 의한 반송 컨베이어(501)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반송 동작 중에 막힘이 발생하여, 반송 컨베이어(501)의 반송 속도가 저하되고 있는 것을 오퍼레이터가 눈치채지 못한 경우여도, 정전 클러치부(C)를 자동적으로 절단하여 반송 컨베이어(501)의 반송 회전을 정지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막힘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다.
제어부(5D)는, 반송 동작 중에서는, 역전 클러치부(D)의 입력 조작·절단 조작이 무효가 되도록 제어함과 함께, 정전 클러치부(C)가 절단된 시점에서, 조작 무효를 해제하여 역전 클러치부(D)의 입력 조작·절단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혹은, 정전 클러치부(C)가 절단된 시점에서, 역전 클러치부(D)를 자동적으로 입력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을 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하여, 반송 동작 중에 있어서의 역전 클러치부(D)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반송 컨베이어(501)의 반송 회전의 정지 후, 수동 조작, 혹은 제어부(5D)의 제어에 의하여, 역전 클러치부(D)를 입력 상태로 전환함과 함께, 모터(M)를 동작시킴으로써, 반송 컨베이어(501)를 역전시킬 수 있고, 이 반송 컨베이어(501)를 역전시킴으로써, 막힘을 제거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막힘의 제거 후에는, 역전 클러치부(D)를 절단 상태로 전환함과 함께, 모터(M)를 정지시키고, 또한 정전 클러치부(C)를 입력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다시 반송 컨베이어(501)를 반송 동작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D)에 의한 정전 클러치부(C) 및 역전 클러치부(D)의 제어 방법을 도 6 및 도 7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이 제어 방법에서는, 역전 클러치부(D)의 입력 상태로의 동작은 수동에 의하여 행해진다.
제어부(5D)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신부(50D), 연산 기억부(51D), 판정 송신부(52D), 조작 신호 송신부(53D)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수신부(50D)는, 검출 센서(51C)로부터 송신되는 회전 펄스 신호를 수신함과 함께, 이 회전 펄스 신호를 연산 기억부(51D)로 송신한다.
연산 기억부(51D)는, 수신한 회전 펄스 신호에 근거하여, 피검출체(50C)의 회전수를 연산하여, 연산된 회전수를 기억함과 함께, 미리 설정된 정상 회전수나 정전 클러치부(C) 및 역전 클러치부(D)의 제어를 포함하는 반송 장치(5)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이 기억되어 있고, 연산된 회전수 및 정상 회전수를 판정 송신부(52D)로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판정 송신부(52D)는, 송신된 연산된 회전수와 정상 회전수를 비교함과 함께, 연산된 회전수가 정상 회전수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판정 결과가 정상 회전수 미만일 때, 정전 클러치부(C)에 대하여 모터(C3)를 회전시키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조작 신호 송신부(53D)는, 판정 송신부(52D)가 모터(C3)를 회전시키는 신호를 송신했는지 여부를 감시하고 있고, 신호가 송신되어 있지 않은 경우(실선으로 나타냄)에, 역전 클러치부(D)의 조작부(D100)에 대하여 조작 무효 신호를 송신(실선으로 나타냄)하며, 신호가 송신된 경우(파선(破線)으로 나타냄)에, 역전 클러치부(D)의 조작부(D100)에 대하여 조작 무효 해제 신호를 송신(파선으로 나타냄)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제어부(5D)가 행하는 프로그램을 도 7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이 프로그램은, 정전 클러치부(C)를 입력 상태로 하여 반송 컨베이어(501)의 반송 회전이 행해졌을 때에 개시되는 것이다(S1).
반송 컨베이어(501)의 반송 회전 중에서는, 항상 검출 센서가 피검출체(50C)의 회전 펄스를 검출하고 있음(S2)과 함께, 검출 결과를 수신부(50D)로 송신하고 있고(S3), 수신부(50D)를 통하여 입력되는 회전 펄스 신호를 근거로 하여 연산 기억부(51D)가 회전수를 항상 연산하고 있다(S4).
연산 기억부(51D)에서 연산되는 회전수와 미리 설정된 정상 회전수는, 항상 판정 송신부(52D)로 송신되고 있고(S5), 판정 송신부(52D)에서는, 송신된 연산된 회전수와 정상 회전수를 항상 비교함(S6)과 함께, 연산된 회전수가 정상 회전수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하여(S7), 판정 결과가 정상 회전수 미만일 때, 정전 클러치부(C)에 대하여 모터(C3)를 회전시키는 신호를 송신한다(S8).
즉, 모터(C3)의 회전에 의하여 정전 클러치부(C)를 절단할 수 있고, 이로써, 현재의 회전수가 정상 회전수 미만인 경우에, 반송 컨베이어(501)의 반송 회전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조작 신호 송신부(53D)에 있어서 감시된 결과(S9)가, 모터(C3)를 회전시키는 신호가 송신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조작부(D100)에 대하여 조작 무효 신호를 송신하고(S10), 모터(C3)를 회전시키는 신호가 송신된 경우에는, 조작부(D100)에 대하여 조작 무효 해제 신호를 송신한다(S11).
즉, 조작부(D100)에 대하여 조작 무효 신호가 송신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역전 클러치부(D)의 조작은 모두 무효가 되고, 조작부(D100)에 대하여 조작 무효 해제 신호가 송신된 경우에 한하여, 역전 클러치부(D)의 수동 조작을 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프로그램이 종료된다(S12).
역전 클러치부(D)의 자동 제어에 대해서는, 도 6에 있어서, 판정 송신부(52D)와 역전 클러치부(D)가 접속되어 있고, 판정 송신부(52D)에서 연산된 회전수가 정상 회전수 미만인 경우에, 정전 클러치부(C)에 대하여 모터(C3)를 회전시키는 신호를 송신(절단 상태)하며, 역전 클러치부(D)에 대하여 실린더(D2)를 신장(伸長)시키는 신호를 송신(입력 상태: 가상선으로 나타냄)함과 함께, 모터(M)를 회전시키는 신호를 송신(가상선으로 나타냄)하도록 된다.
역전 클러치부(D)의 입력 상태로의 전환을 자동 제어 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도 7의 S9에 있어서 실린더(D2)를 신장시키는 신호가 송신된 경우, 실린더(D2)를 신장시키는 신호 및 모터(M)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송신(S11'(가상선으로 나타냄))하는 스텝이 추가된다.
이 자동 제어에 의하여, 반송 컨베이어(501)의 반송 회전의 자동 정지 제어와, 반송 컨베이어(501)의 비반송 회전(역전) 자동 개시 제어를 행할 수 있고, 반송 컨베이어의 역전 정지 및 반송 회전의 재개는, 조작부(D100)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성형실(6)은, 사료 작물을 성형실(6) 내에 투입하는 투입구가 확보된 고정측 반부(60)와, 롤 베일(B1)의 축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축지지되고, 회전에 의하여 고정측 반부(60)에 대하여 개폐 동작하는 가동측 반부(61)와, 고정측 반부(60)와 가동측 반부(61)에 걸쳐서 배치된 성형 장치(6A)를 구비하고 있다.
성형 장치(6A)는, 고정측 반부(60)와 가동측 반부(61)에 걸치는 원주 상에 연속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회전 롤러(62)와, 회전 롤러(62) 중, 적어도, 상기 고정측 반부(60)의 하단부를 구성하는 회전 롤러(62A) 및 이 회전 롤러(62A)보다 상위에 배치된 회전 롤러(62B)에 걸쳐서 감긴 성형 벨트(63)와, 적어도, 가동측 반부(61)의 하단부를 구성하는 회전 롤러(62C) 및 이 회전 롤러(62C)보다 상위에 배치된 회전 롤러(63D)에 걸쳐서 감긴 성형 벨트(64)와, 상기 성형 벨트(64)의 상단에 위치하는 외주면과 외주면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회전 롤러(62)의 둘레면과의 사이의 간극(S)을 개폐 자유롭게 폐색하는 폐색 장치(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성형실(6)의 기본적인 구성 및 기본적인 작용, 성형 장치(6A)의 기본적인 구성 및 기본적인 작용은, 상술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롤 베일러에 탑재된 성형실 및 성형 장치와 동일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폐색 장치(7)는, 도 1~도 3, 도 8~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극(S)을 폐색하는 폐색체(70)와, 가동측 반부(61)의 개폐 동작을 폐색체(70)의 개폐 동작으로서 전달하는 링크 기구(71)를 구비하고 있다.
폐색체(70)는, 성형실(6)의 외주 측으로부터 간극(S)과 대면함과 함께, 간극(S)의 좌우 방향 전역에 걸치도록 배치되고, 가동측 반부(61)에 가동측 반부(61)의 축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간극(S)에 대하여 접근 및 이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동측 반부(61)의 좌우의 측판(61A, 61B)에 걸치도록 마련되어 있다.
폐색체(70)는, 가동측 반부(61)가 폐쇄 상태일 때에(도 8), 링크 기구(71)에 의하여, 성형 벨트(64) 및 회전 롤러(62)에 접촉하여 간극(S)을 폐색하는 한편, 가동측 반부(61)가 개방 상태일 때에(도 9), 링크 기구(71)에 의하여, 성형 벨트(64) 및 회전 롤러(62)로부터 이간하여 간극(S)을 개방하도록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폐색체(70)는,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소재를 이용하여 중공상으로 형성되어, 소재 및 중공 형태 혹은 그 양쪽 모두에 의하여 탄성이 발생하는 탄성체(700)와 탄성체(700)를 지지하는 지지체(701)로 구성되어 있고, 탄성체(700)의 탄성에 의하여 간극(S)에 대한 폐색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지지체(701)는, 측판(61A, 61B)에 대하여 좌우 방향의 축을 갖는 지지축(70A)을 통하여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링크 기구(71)는, 좌측의 측판(61A)의 외측에 배치되고, 일단 측이 폐색체(70)의 지지축(70A)에 일체 회전하도록 축지지된 지지판(71A)과, 지지판(71A)과 측판(61A)에 걸치도록 배치된 링크 로드(71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링크 기구(71)는, 예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좌측의 측판(61A)에 배치된 형태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우측의 측판(61B)에 배치해도 된다.
링크 로드(71B)에는,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판(71A)의 타단 측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함과 함께, 링크 로드(71B)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체(72B)와, 슬라이드체(72B)의 축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슬라이드체(72B)의 정위치(定位置)를 유지함과 함께, 슬라이드체(72B)의 슬라이드에 대하여 슬라이드체(72B)를 정위치에 복귀시키도록 부세(付勢)하는 2개의 스프링(부세부)(73B, 74B)이 구비되어 있다.
슬라이드체(72B)에는, 좌우 방향의 축을 갖는 지지축(70B)이 구비되어 있고, 이 지지축(70B)에 지지판(71A)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즉, 지지축(70B)에 대하여 지지판(71A)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한편, 측판(61A, 61B)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지지축(70A)에 대하여 지지판(71A)이 일체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링크 로드(71B)의 축방향의 슬라이드에 따른 슬라이드체(72B)의 위치 이동에 의하여, 지지판(71A)이 폐색체(70)의 간극으로부터 절리하는 방향의 회전으로서 전달되는 링크 구조가 구성된다.
스프링(73B, 74B)은, 슬라이드체(72B)를 링크 로드(71B)의 축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중, 부호 731B, 741B는, 링크 로드(71B)에 고정되어, 스프링(73B, 74B)을 지지하는 지지부이며, 지지부(731B, 741B)와 슬라이드체(72B)의 사이에 스프링(73B, 74B)이 배치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체(72B)에 대하여 링크 로드(71B)의 축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스프링(73B, 74B)의 부세력을 작용시키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체(72B)의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슬라이드체(72B)의 슬라이드한 위치를 스프링(73B, 74B)의 부세력에 의하여 유지할 수 있다.
슬라이드체(72B)의 정위치는, 가동측 반부(61)가 폐쇄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드체(72B)에 대한 스프링(73B, 74B)의 부세력이 양쪽 모두 동일하게 되는 위치이며, 폐색체(70)의 폐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위치이다.
또, 가동측 반부(61)의 개방 상태에서는, 슬라이드체(72B)의 위치 이동에 의하여, 스프링(74B)이 수축함과 함께, 스프링(73B)이 신장된 상태로, 슬라이드체(72B)를 유지하고 있다.
링크 로드(71B)의 측판(61A) 측의 단부에는, 링크 로드(71B)의 회전 지점이 되는 회전 지점축(76B)이 마련되어 있고, 이 회전 지점축(76B)을 가동측 반부(61)의 회전 중심(CR)으로부터 편심한 위치, 도시에 있어서는, 가동측 반부(61)의 회전 중심(CR)으로부터 직경 방향을 따라 하방에 편심한 위치에, 지지축(70A)의 축과 평행한 축을 갖고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링크 로드(71B)는, 가동측 반부(61)를 개폐 동작시켰을 때, 이 개폐 동작에 따라 링크 로드(71B)가 회전 지점축(76B)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 도중에 있어서, 지지판(71A)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방향으로의 인장력 및 압력(押力)이 발생한다.
링크 로드(71B)의 인장력 및 압력은, 링크 로드(71B)의 회전 지점의 위치를 가동측 반부(61)의 회전 중심(CR)으로부터 편심시킴으로써, 가동측 반부(61)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가동측 반부(61)의 회전 중심(CR)으로부터 링크 로드(71B)의 지지판(71A) 측의 단부와의 거리차(폐쇄>개방)가 발생한다.
즉, 가동측 반부의 개폐 시에 발생하는 상술의 거리차에 의하여, 지지판(71A)에 대하여, 링크 로드의 축방향의 슬라이드에 따른 슬라이드체(72B)의 위치 이동에 의한 인장력 및 압력을 작용시키고, 이 인장력 및 압력으로 지지축(70A)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지지축(70A)의 회전에 의하여, 폐색체(70)를 간극(S)에 대하여 접근 및 이간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 지점축(76B)의 축지지 위치는, 예시한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은 거리차를 발생시키는 위치이면 된다.
링크 기구(71)는, 예시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가동측 반부(61)의 개폐 동작을 폐색체(70)의 간극(S)에 대한 개폐 동작으로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본 실시형태의 폐색 장치(7)는, 롤 베일(B1)의 성형 중(가동측 반부 폐쇄 상태)에서는, 링크 기구(71)에 의하여 폐색체(70)가 간극을 폐색하고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성형 벨트(64)의 회전에 의하여 간극(S)에 들어가는 사료 작물(B)이 간극으로부터 넘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롤 베일(B1)의 성형 후에 가동측 반부(61)를 개방하면, 링크 기구(71)에 의하여 폐색체(70)가 간극(S)을 개방하는 상태가 되어, 폐색체(70)의 부분에 공간이 발생하기 때문에, 간극(S)에 들어가 막혀있는 약간의 사료 작물은, 가동측 반부(61)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성형 벨트(64)의 회전에 의하여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성형 벨트(64)에 악영향을 부여하지 않고, 롤 베일(B1)의 성형 중에 있어서의 사료 작물(B)의 넘쳐 떨어지는 양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간극(S)을 막은 사료 작물(B)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젝터 장치(8)는, 고정측 반부(60)로부터 배출되는 롤 베일(B1)을 지지함과 함께, 지지한 상태로 내려, 포장(G)에 가까운 낮은 위치로부터 롤 베일(B1)을 굴려 배출하도록 한 것이다.
이젝터 장치(8)는, 도 1~도 3, 도 12~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A1)에 좌우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이젝터(80)와, 이젝터(80)를 회전시키도록 지지함과 함께, 이젝터(80)의 정지 상태를 지지하는 승강 지지 장치(8A)와, 승강 지지 장치(8A)를 이젝터(80)에 착탈 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 장치(8B)를 구비하고 있다.
승강 지지 장치(8A)는, 신축에 의하여 부세력이 발생하는 가스 스프링 혹은 단동(單動) 실린더이며, 이 승강 지지 장치(8A)의 신축에 의하여, 이젝터(80)의 상하 이동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승강 지지 장치(8A)는, 이젝터(80)를 성형실(6)로부터 배출되는 롤 베일(B1)을 지지하는 지지 위치에서 지지하고(도 1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이젝터(80)의 상태), 이젝터(80)에 대하여, 승강 지지 장치(8A)의 부세력을 상회하는 롤 베일(B1)의 하중이 작용했을 때에 수축하여, 이젝터(80)를 슬로프상이 되도록 하강시키며(도 1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이젝터(80)의 상태), 이젝터(80)로부터 롤 베일(B1)이 포장으로 방출되었을 때에, 이젝터(80)를 지지 위치로 상승시키는 부세력을 갖고 있다.
승강 지지 장치(8A)는, 축방향의 양단 측에 이젝터(80)의 축과 평행한 축을 갖고 돌출하여 형성된 연결축을 통하여, 축방향으로 차체(A1)와 이젝터(80)에 걸치도록, 연결되어 있음과 함께, 이젝터(80) 측의 연결축이 연결 장치(8B)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연결축(80A, 80B)은, 각각 차체(A1) 및 연결 장치(8B)에 대하여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이젝터의 상하 이동에 의한 회전에 추종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차체(A1)에는, 복수의 연결 위치(P)를 구비한 연결판(A10)이 마련되어 있고, 롤 베일(B1)의 중량에 대응하여 연결축(80A)의 연결 위치(P)를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연결 장치(8B)는, 이젝터(80)에 마련된 한 쌍의 장착판(800)에 마련되어 있고, 연결축(80B)과 평행한 축을 갖고 회전 자유롭게 축지지된 회전축(80C)과, 한 쌍의 장착판(800)의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축(80C)과 일체 회전하도록 축지지된 좌우 한 쌍의 회전판(81B)과, 회전판(81B)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연결축(80B)을 끼움 및 빼냄 자유롭게 지지하는 연결 오목부(82B)와, 회전판(81B)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 장치(83B)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80C)에는, 회전축의 둘레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을 따라 개구된 지그 압입구(801)가 구비되어 있고, 이 지그 압입구(801)에 봉상의 지그(도시하지 않음)를 압입하여, 이 지그를 회전축(80C)의 둘레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회전축(80C)을 회전시킬 수 있다.
연결 오목부(82B)는, 회전축(80C)의 경선(徑線)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어, 회전판(81B)의 단가장자리를 연결축(80B)이 끼움 및 빼냄되는 개방부(820)로 함과 함께, 바닥부를 연결축이 회전 자유롭게 접촉하여 지지되는 원호상의 접촉 지지부(821)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80C)의 회전에 따른 회전판(81B)의 회전 범위 중에는, 승강 지지 장치(8A)가 이젝터(80)를 지지 위치에서 지지하는 위치(도 12)에 있어서, 연결축(80B)을 끼움 및 빼냄 불능으로 하여 연결 오목부(82B)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 위치와, 연결축을 개방부(820)로부터 끼움 및 빼냄하는 끼움 및 빼냄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회전판(81B)의 유지 위치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부(820)가 차체(A1) 측을 향하고, 연결축(80B)이 연결 오목부(82B)에 끼워 맞춤되어 있음과 함께, 승강 지지 장치(8A)의 부세력에 의하여 연결축(80B)이 접촉 지지부(821)에 압압되도록 되어 있다.
승강 지지 장치(8A)는, 이젝터(80)를 지지하는 구조상, 차체(A1)로부터 이젝터(80)를 향하여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 위치에서 연결축(80B)이 연결된 회전판(81B)에는, 연결축(80B)을 통하여 승강 지지 장치(8A)의 경사 방향으로 신장하는 부세력이 작용하고 있고, 이 경사 방향으로 신장하는 부세력에 의하여, 유지 위치로부터 도 14에 나타내는 끼움 및 빼냄 위치를 향하여(도면 상 반시계 방향) 회전하고자 한다.
이로 인하여, 유지 위치에서의 회전판(81B)은, 회전 제한 장치(83B)에 의하여, 유지 위치로부터 끼움 및 빼냄 위치를 향하는 회전을 제한하고, 이로써, 승강 지지 장치(8A)의 부세력에 의한 회전판(81B)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음과 함께, 연결축(80B)의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중, 부호 822는, 유지 위치에서의 회전판(81B)의 도면 상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저지하는 저지체이다.
끼움 및 빼냄 위치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위치로부터 회전판(81B)을 도면 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의 회전에 따라, 승강 지지 장치(8A)가 연결축(80A)의 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도면 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에 따라 그려지는 연결축(80B)의 회전 궤적이, 연결 오목부(82B)의 오목하게 형성된 방향과 거의 일치하는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연결축(80B)의 회전 궤적이 연결 오목부(81B)의 오목하게 형성된 방향과 거의 일치하는 위치란, 승강 지지 장치(8A)의 연결축(80A)의 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도면 상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연결축(80B)을 개방부(820)로부터 빼낼 수 있음과 함께, 승강 지지 장치(8A)의 연결축(80A)의 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도면 상 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연결축(80B)을 개방부(820)로부터 끼워 넣을 수 있는 위치이며, 승강 지지 장치(8A)의 축길이에 대응하여 변화한다.
즉,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움 및 빼냄 위치에 있어서, 승강 지지 장치(8A)를 연결축(80A)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연결축(80B)을 연결 오목부(81B)로부터 빼낼 수 있음과 함께, 연결축(80B)을 연결 오목부(81B)에 끼워 넣을 수 있다.
또, 연결축(80B)을 빼낸 상태에서는, 승강 지지 장치(8A)의 부세력이 연결축(80A)에는 작용하지 않으므로, 연결축(80A)이 볼트·너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이어도, 연결축(80A)의 착탈이나 연결 위치(P)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장치(8B)는, 예시한 바와 같이 이젝터(80) 측의 장착판(800)에 배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차체(A1) 측의 연결판(A10)에 배치해도 되고, 장착판(800)과 연결판(A10)의 쌍방에 배치해도 된다.
회전 제한 장치(83B)는, 도 12~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판(81B)의 상방에서 회전판(81B)의 회전 방향의 가장자리가 접촉하도록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80C)과 평행한 축을 가짐과 함께, 축방향에 따라 착탈 자유롭게 고정되어 있다.
회전 제한 장치(83B)는, 예를 들면, 볼트·너트를 이용할 수 있고, 볼트를 장착판(800)에 관통시켜, 관통된 볼트에 너트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장착판(800)에 장착시킬 수 있으며, 너트를 볼트로부터 분리하면 볼트를 장착판(800)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이젝터 장치(8)는, 연결축(80B)을 회전판(81B)에 유지 위치에서 연결한 상태로, 회전판(81B)의 회전이 회전 제한 장치(83B)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 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또, 회전 제한 장치(83B)를 분리함으로써, 회전판(81B)을 유지 위치로부터 끼움 및 빼냄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고, 끼움 및 빼냄 위치에 있어서, 연결축(80B)을 연결 오목부(82B)로부터 빼낼 수 있음과 함께, 연결축(80B)을 끼워 넣을 수 있다.
따라서, 승강 지지 장치(8A)의 장착 위치의 변경 작업 및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설계의 변경 등이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 상술의 각 실시형태는, 그 목적 및 구성 등에 특별히 모순이나 문제가 없는 한, 서로의 기술을 유용하여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A: 롤 베일러
B: 사료 작물
B1: 롤 베일
5: 반송 장치
6: 성형실
501: 반송 컨베이어
5A: 정전 구동부
5B: 역전 구동부
5C: 회전 검출부
5D: 제어부
C: 정전 클러치부
D: 역전 클러치부

Claims (5)

  1. 투입되는 사료 작물을 롤 베일로 성형하는 성형실을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사료 작물을 상기 성형실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롤 베일러로서,
    상기 반송 장치는, 사료 작물을 성형실로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와,
    상기 반송 컨베이어로 반송 회전 방향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정전 구동부와,
    상기 반송 컨베이어로 비반송 방향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전 구동부와,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회전 상태를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와,
    상기 회전 검출부의 검출 결과가,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회전이 설정된 회전수 미만일 때에,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대한 상기 정전 구동부의 구동력 전달을 절단하여,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베일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전 구동부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대하여 반송 회전 방향의 구동력의 전달을 입력 상태와 절단 상태로 전환하는 정전 클러치부를 갖고, 상기 정전 클러치부의 입력 상태와 절단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이 상기 제어부에서 제어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베일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역전 구동부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대하여 비반송 방향의 구동력의 전달을 입력 상태와 절단 상태로 전환하는 역전 클러치부를 갖고, 상기 역전 클러치부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동작 중에서는 절단 상태로의 전환을 저지함과 함께,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회전이 정지했을 때에, 상기 역전 클러치부를 입력 상태로 전환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어부에서 제어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베일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역전 구동부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대하여 비반송 방향의 구동력의 전달을 입력 상태와 절단 상태로 전환하는 역전 클러치부를 갖고, 상기 역전 클러치부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동작 중에서는 절단 상태로의 전환을 저지함과 함께,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회전이 정지했을 때에, 상기 역전 클러치부를 입력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제어부에서 제어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베일러.
  5. 투입되는 사료 작물을 롤 베일로 성형하는 성형실을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사료 작물을 상기 성형실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롤 베일러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반송 장치의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회전 상태를 검출함과 함께, 검출 결과가,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회전이 설정된 회전수 미만일 때에,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베일러의 제어 방법.
KR1020190083101A 2018-09-20 2019-07-10 롤 베일러 KR202000337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76416 2018-09-20
JP2018176416A JP7403947B2 (ja) 2018-09-20 2018-09-20 ロールベー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722A true KR20200033722A (ko) 2020-03-30

Family

ID=69900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101A KR20200033722A (ko) 2018-09-20 2019-07-10 롤 베일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403947B2 (ko)
KR (1) KR2020003372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6105B2 (en) * 2019-10-30 2023-03-07 Cnh Industrial America Llc Drive system for an agricultural baler
DE102022102975A1 (de) * 2022-02-09 2023-08-10 Usines Claas France S.A.S. Landwirtschaftliche Ballenpresse sowie Verfahren zu deren Betrieb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9364A (ja) 2013-08-23 2015-03-02 株式会社Ihiスター ロールベー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2019A (ja) * 1993-11-10 1995-05-23 Seirei Ind Co Ltd ロールベーラ
JP4067796B2 (ja) * 2001-08-20 2008-03-26 三菱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穀稈搬送装置
JP4680137B2 (ja) * 2006-07-07 2011-05-11 株式会社タカキタ 細断型ロールベーラにおける被成形材料の供給制御方法
JP2015223092A (ja) * 2014-05-26 2015-12-14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7132019B2 (ja) 2018-08-06 2022-09-06 株式会社東芝 灯火監視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9364A (ja) 2013-08-23 2015-03-02 株式会社Ihiスター ロールベー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03947B2 (ja) 2023-12-25
JP2020043829A (ja)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1390A (en) Stone trap for threshing and separating machine
JPH09275755A (ja) 農業用ベーラのための搬送装置
CN109417899B (zh) 在储存收割模式下控制收割机的升运机速度的系统和方法
EP2382854B1 (en) An agricultural combine with draper header
EP0784918B1 (en) Crop processor with improved auger cutter teeth
KR20200033722A (ko) 롤 베일러
CN107920470B (zh) 农用压捆机
CN107846845B (zh) 农业捆包机
US9907232B2 (en) Agricultural baler and method for preventing and removing a plugging in the feeder duct of an agricultural baler
KR20110076898A (ko) 콤바인
CN111741673B (zh) 用于检测农业收割机的机载存储器中的作物填充水平的传感器及相关系统和方法
EP3158859B1 (en) A method for removing a plug of crop material stuck in the feeder duct of an agricultural baler
WO2019107176A1 (ja) 収穫機
CN111741674B (zh) 用于检测农业收割机的机载存储器中的作物填充水平的传感器及相关系统和方法
JP7121616B2 (ja) ロールベーラ
JPH09289818A (ja) 全稈投入型コンバイン
CN111741676B (zh) 用于检测农业收割机内的作物水平的系统和相关方法
JP7121615B2 (ja) ロールベーラ
CN111741675B (zh) 用于操作收割机的系统和方法
JP2003125643A (ja) ロールベーラにおける搬送装置
US10299443B1 (en) Sod harvesters
JP2001190147A (ja)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JP5027640B2 (ja) コンバインの排ワラカッタ
JP3833983B2 (ja) コンバイン
JP4507800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