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721A - 드롭 다운 시일 - Google Patents

드롭 다운 시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721A
KR20200032721A KR1020207004666A KR20207004666A KR20200032721A KR 20200032721 A KR20200032721 A KR 20200032721A KR 1020207004666 A KR1020207004666 A KR 1020207004666A KR 20207004666 A KR20207004666 A KR 20207004666A KR 20200032721 A KR20200032721 A KR 20200032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device
sealing
rail
longitudinal directio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딘테어
Original Assignee
플래닛 지디제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래닛 지디제트 아게 filed Critical 플래닛 지디제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200032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5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being moved to a retracted position by elastic means, e.g.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도어용 실링 장치는 하우징 레일(1), 캐리어 레일(2)과 실링 프로파일(3)과 함께 하우징 레일(1) 내에 유지되는 실링 스트립, 및 실링 스트립(2, 3)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드롭 다운 메커니즘(4, 6, 60)을 갖는다. 드롭 다운 메커니즘(4, 6, 60)은 제 1 고정점(7)에서 하우징 레일(1)에 고정되고, 제 2 고정점(8)에서 캐리어 레일(2)에 고정된다. 제 2 고정점(8)은 하우징 레일(1)에 대해 실링 장치의 길이 방향(L)으로 실링 스트립의 변위를 가능하게 한다. 이로 인해 현장에서 도어의 상황에 간단히 적응할 수 있고, 특히 캐리어 레일을 과도하게 돌출시키지 않고 드롭 다운 시일을 원하는 길이로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드롭 다운 시일
본 발명은 도어용 드롭 다운 시일, 특히 기계적으로 하강가능한 실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계적으로 하강가능한 자동 실링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문지방 없는 도어에서 도어 리프(leaf)와 바닥 사이의 하부의 틈을 바람, 소음 및 빛의 통과에 대해 실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EP 0 338 974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시일은 그 가치를 입증하였다.
이 실링 장치의 작용은 도어가 개폐될 때 스프링 하중식 릴리즈 볼트에 의해 일측 또는 양측 상에서 자동적으로 수행되며, 이 릴리즈 볼트는 도어 리프로부터 돌출하고, 도어가 닫힐 때 압입된다. 실링 스트립은 결과적으로 하강 메커니즘에 의해 하강된다. 도어 리프가 개방되면, 릴리즈 볼트는 다시 해방되고, 하강 메커니즘은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해 실링 스트립을 다시 상승시킨다.
대응하는 하강 메커니즘의 예는 EP 0 509 961, DE 3 526 720, DE 3 418 438 및 DE 3 427 938에 개시되어 있다.
특히 적합한 하강 메커니즘은 DE 19 516 530에 기재되어 있다. 이것은 평평한 슬라이드가 고정되어 있는 전술한 릴리즈 볼트를 포함한다. 이 슬라이드는 하우징 레일 내부에 변위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하강 메커니즘은 적어도 2 개의 판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것의 제 1 단부는 슬라이드에 고정식으로 연결되고, 제 2 단부는 하우징 레일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된다. 판스프링은 중앙 영역에서 플라스틱 재료의 바디에 의해 실링 스트립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이 목적을 위해 저널이 압입되는 횡 보어가 제 1 판스프링에 존재한다. 후속되는 제 2 판스프링에는 저널이 관통하는 긴 구멍이 존재한다. 횡 보어에 의해 실링 스트립을 판스프링에 고정할 수 있다. 실링 스트립이 건물 바닥의 경사에 자동으로 적합되도록 긴 구멍에 의해 판스프링을 다양한 방식으로 편향시킬 수 있다.
또한, 단축될 수 있는 실링 장치가 알려져 있다. EP 2 050 918은 하우징 레일, 캐리어 레일, 및 또한 실링 장치의 시일 프로파일을 함께 단축시킬 수 있도록 실링 장치의 양단부에서 후퇴되는 하강 메커니즘을 개시하고 있다.
DE 20 2011 051 326 U는 대응하는 부분의 길이만큼 단축될 수 있는 다수의 부분을 구비한 실링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기술된 스프링 하중식 하강 메커니즘은 실제로 그 가치를 입증하였다. 이것은 하강 중에 실링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실링 스트립을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실링 스트립의 경질의 캐리어 레일이 도어 프레임을 연마하지 않고 상기 도어 프레임을 스크래칭하지 않도록, 또는 탄성중합체 시일 프로파일이 수직 도어 틈 내에서 너무 많이 굴곡되지 않도록 실링 장치의 조립 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링 장치가 너무 짧게 선택되거나, 도어 프레임으로부터의 거리가 너무 크게 설정되면, 연질의 시일 프로파일이 더 이상 도어 프레임에 맞닿지 않고, 결과적으로 도어 리프와 건물 바닥 사이의 전체 틈이 더 이상 실링될 수 없으므로 실링 작용이 최적화되지 않는다. 그러나, 공지된 시일은 그에 따라 최적화된다. 그러나, 드롭 다운 시일이 도어 리프의 중량에 적합되도록 단축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최적의 적합성이 상실된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드롭 다운 시일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이것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으로부터 공급받는다.
이 드롭 다운 시일은 하우징 레일(1) 뿐만 아니라 그 내부에 수용된 상승 및 하강가능한 실링 스트립을 포함한다. 이 실링 스트립은 캐리어 레일(2) 및 이것에 고정된 시일 프로파일(3)을 포함한다. 드롭 다운 시일의 릴리즈 버튼의 반대측에 위치한 단부면이 보인다. 상승된 상태에서, 캐리어 레일(2)은 하우징 레일(1)에 대해 상기 단부면 상으로 후퇴된다. 시일 프로파일(3)은 캐리어 레일(2)로부터 돌출한다. 시일 프로파일(3)은 일반적으로 상기 단부면 상에서 하우징 레일(3)과 정렬된다. 이 구성은 도시되지 않은 반대측 단부면 상에서는 일반적으로 상이하다. 여기서 캐리어 레일(2)은 일반적으로 하우징 레일(1)의 단부면과 정렬되고, 시일 프로파일(3)은 하우징 레일(1)로부터 돌출한다.
하강되는 경우, 실링 스트립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L)으로 변위된다.
이러한 드롭 다운 시일은 실링될 도어의 중량에 적응되도록 현장이나 도어 공장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종종 단축된다. 이 목적을 위해, 드롭 다운 시일, 즉, 하우징 레일(1), 캐리어 레일(2) 및 시일 프로파일(3)은 릴리즈 버튼의 반대측의 단부 부재를 절단 또는 다른 방식의 분리에 의해 함께 단축될 수 있다. 도 1b에서 단축 라인(K)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다른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c는 단축된 상태의 드롭 다운 시일을 도시한다. 하우징 레일(1), 캐리어 레일(2) 및 시일 프로파일(3)은 릴리즈 버튼의 반대측 단부면 상에서 서로 정렬된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축된 시일이 하강되면, 시일 프로파일(3) 뿐만 아니라 캐리어 레일(2)은 하우징 프로파일(1)로부터 돌출한다. 현상의 상황에 따라, 캐리어 레일(2)은 도어 프레임을 긁거나, 시일 프로파일(3)와 도어 프레임 사이에 원하지 않는 틈을 형성한다. 어느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링 장치가 단축된 경우에도 최적의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는 실링 장치를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실링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실링 장치는 하우징 레일, 이 하우징 레일 내에 유지되는 실링 스트립, 실링 장치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실링 스트립을 하우징 레일에 대해 상승 및 하강시키는 하강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링 스트립은 상승된 상태에서 하우징 레일에 대해 실링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출발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변위가능하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수동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로 당겨지거나 밀어내어질 수 있다. 실링 스트립은 또한 출발 위치로 다시 복귀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변위", "변위가능성" 및 유사어가 사용된다. 이것은 각각 하나의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의 이동을 의미하며, 이것은 반드시 밀어냄에 의해 실행될 필요는 없고, 다른 유형의 힘을 가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드롭 다운 시일은 결과적으로 상기 변위된 위치 상에서 작동될 수 있다. 특히, 하우징 레일은 실링 스트립과 함께 단축될 수 있고, 그러면 실링 스트립은 그 출발 위치로 다시 복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링 스트립은 드롭 다운 시일이 단축된 경우에도 하강된 상태에서 돌출되지 않거나 거의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하강 및 상승 시에 도어 프레임을 긁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실링 스트립은 하강되는 중에 전형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변위되는 거리만큼 대략적으로 또는 정확하게 변위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단축된 드롭 다운 시일은 공장의 단축되지 않은 시일과 동일한 최적화된 특성을 여전히 포함한다.
실링 스트립은 고정 모듈에 의해 하강 메커니즘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 모듈은 하강 메커니즘에 고정식으로 연결되고, 실링 스트립의 위치는 고정 모듈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수정가능하다. 이 구성은 반전될 수 있으며, 즉 실링 스트립이 고정 모듈에 고정식으로 연결되고, 고정 모듈의 위치가 하강 메커니즘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수정될 수 있다.
고정 모듈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실링 스트립의 2 개의 측벽 사이에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강 메커니즘의 판스프링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실링 스트립은 캐리어 레일 및 그 위에 배치된 시일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시일 프로파일은 연질 탄성 재료, 특히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 레일 및 캐리어 레일은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하강 메커니즘은 제 1 고정 위치에서 하우징 레일에 고정되고, 제 2 고정 위치에서 캐리어 레일에 고정된다. 제 2 고정 위치에 의해 실링 스트립은 하우징 레일에 대해 실링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실링 스트립, 특히 캐리어 레일은 적어도 하나 불연속 단계로 변위가능하고, 실링 스트립이 단축화 작업 중에 그리고 또한 사용 중에 저절로 변위될 수 없도록 새로운 위치에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확하게 하나의 변위 위치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수의 변위 위치가 존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실링 스트립의 출발 위치는 변위 범위의 중간 또는 끝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고정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실링 스트립 또는 캐리어 레일이 하강 메커니즘에 대해 변위될 수 있게 한다. 전체 실링 스트립, 즉 캐리어 레일 및 시일 프로파일은 변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일 프로파일 또는 적어도 그 일부는, 단축된 후에, 캐리어 레일로부터 돌출하는 단부면 위치 내로 복귀될 수 있도록 캐리어 레일에 길이 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시일 프로파일은 신장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시일 프로파일의 재료를 길이 방향으로 "마사징(massaging)"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제 2 고정 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저널과 적어도 하나의 변위 개구 사이의 연결에 의해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저널은 적어도 하나의 변위 개구와 맞물리고, 상기 변위 개구 내에 유지된다. 변위 개구 내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저널의 위치가 실링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수정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변위 개구는 실링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저널보다 크게 실현된다. 상기 장치는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고, 조립이 간단하다.
적어도 하나의 저널은 하강 메커니즘에 고정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하나의 변위 개구는 캐리어 프로파일 내에 배치된다. 그러나, 역 배치도 가능하다.
불연속적 위치결정이 가능하도록, 또는 드롭 다운 시일이 의도 대로 사용되는 경우 및 또한 시일이 단축된 경우, 캐리어 레일이 저절로 이동할 수 없도록, 변위 개구는,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증가된 힘 하에서 저널에 의해 극복될 수 있는 테이퍼링(tapering)을 그 중앙 영역에 포함한다. 캐리어 레일의 3 개 이상의 변위 위치가 가능한 경우, 변위 개구는 길이 방향으로 전후로 배치된 복수의 테이퍼링 또는 시케인(chicane)을 구비하여 실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하강 메커니즘은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을 포함하고, 판스프링은 하우징 레일의 내부에서 실링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고정 위치에서 하우징 레일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고정 위치에서 캐리어 레일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제 3 고정 위치에서 작동 요소,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에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은 고정 모듈에 고정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2 개의 이러한 판스프링은 서로 전후로 배치되어 각각 그 자신의 고정점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2 고정점의 각각은 전체 캐리어 레일의 변위를 가능하게 한다.
도입부에서 언급된 DE 19 516 530 및 EP 2 050 918에서 설명되고 도시된 바와 같은 하강 메커니즘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모듈은 캐리어 레일의 2 개의 측벽 사이에 배치되어 2 개의 저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 개의 저널 중 하나는 측벽을 향하고, 2 개의 측벽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변위 개구 중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모듈은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고, 조립이 간단하다.
고정 모듈은 조립 및 분해 시에 도움이 되는 가벼운 스프링 특성을 포함하도록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레일에 클리핑될 수 있다.
고정 모듈은 캐리어 프로파일 위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방으로 돌출하는 러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측에 위치하는 2 개의 러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또한 조립을 더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는 특히 하강 메커니즘이 실링 스트립을 하강시킬 때 상기 실링 스트립을 하우징 레일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실시형태에 적합하다. 그러나, 이것은 다른 실링 장치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는 종속 청구항에 명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설명에 기여하는 그리고 제한으로서 간주되어서는 안 되는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a는 공장에서 제조된 상승된 상태의 종래 기술에 따른 드롭 다운 시일의 일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b는 단축되기 전 하강된 상태의 도 1a의 드롭 다운 시일을 도시하고;
도 1c는 단축된 후 상승된 상태의 도 1a의 드롭 다운 시일을 도시하고;
도 1d는 하강된 상태의 도 1c의 단축된 드롭 다운 시일을 도시하고;
도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롭 다운 시일의 일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드롭 다운 시일의 확대 상세도를 도시하고;
도 3a는 공장에서 제조된 상승된 상태의 도 1a의 드롭 다운 시일의 일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b는 실링 스트립이 변위된 도 3a의 드롭 다운 시일을 도시하고;
도 3c는 단축된 상태의 도 3b의 드롭 다운 시일을 도시하고;
도 3d는 실링 스트립이 원래의 수평 위치로 후퇴된 도 3c의 드롭 다운 시일을 도시하고;
도 3e는 하강된 상태의 도 3d의 드롭 다운 시일을 도시하고;
도 3f는 시일 프로파일이 캐리어 프로파일의 전방으로부터 돌출한 도 3e의 드롭 다운 시일을 도시하고;
도 4는 캐리어 프로파일의 제 1 위치에서 하우징 레일 및 실링 프로파일이 없는 드롭 다운 시일의 일 영역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도 4에 따른 도의 확대 상세도를 도시하고,
도 6은 판스프링을 부분적으로만 도시한 도 4의 일 영역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7은 도 6의 B-B 및 도 11의 E-E를 따른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8은 도 6의 C-C를 따른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9는 캐리어 프로파일의 제 2 위치에서 하우징 레일 및 시일 프로파일이 없는 드롭 다운 시일의 일 영역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0는 도 9에 따른 도의 확대 상세도를 도시하고,
도 11은 판스프링을 부분적으로만 도시한 도 9의 일 영역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2는 도 11의 A-A에 따른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의 (a는 이하에서 드롭 다운 시일이라고 부르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 장치를 도시한다. 이러한 드롭 다운 시일은 여닫이 도어 또는 미닫이 도어의 도어 리프의 하부 영역에 장착된다. 이 목적을 위해, 이것은 도어 리프의 하부 그루브 내에 삽입되거나, 하부 단부면에 고정되거나, 도어 리프의 하부 영역 내에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도어 리프의 상부 영역 또는 측부 영역에의 조립도 또한 가능하다. 이하에서 "아래" 및 "위"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위치 및 방향의 설명은 도어 리프의 하부 영역에서의 드롭 다운 시일의 사용을 지칭한다. 이 용어는 다른 장착 위치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되어야 하며, 특허청구범위도 이들을 포함해야 한다.
드롭 다운 시일은 도어 리프가 닫힐 때 기계적으로 자동으로 하강되어 도어 리프와 건물 바닥 사이의 틈을 빛, 바람 및 소음의 통과에 대해 보호한다. 시일 프로파일의 설계에 따라, 화재 보호, 연기 보호 및 홍수 보호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롭 다운 시일은 또한 하우징 레일(1) 및 그 내부에서 상승 및 하강가능한 실링 스트립을 포함한다. 실링 스트립은 캐리어 레일(2) 및 이것에 고정된 시일 프로파일(3)을 포함한다.
하우징 레일(1)은 양측 상에서 고정 브라켓을 통해 도어 리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유형의 고정수단이 종래 기술에 개시되어 있고, 본원에 적용가능하다.
하우징 레일(1) 및 캐리어 레일(2)은 압출된 프로파일로, 특히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일 프로파일(3)은 하나의 부재로 실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다수의 부재로 실현될 수도 있다. 시일 프로파일(3)은 실리콘, 고무 또는 다른 탄성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롭 다운 시일은 도어 리프가 닫힐 때 자동으로 실링 스트립을 하강시키기 위해 하강 메커니즘을 더 포함한다. 하강 메커니즘은 전방 단부에서 하우징 레일(1)로부터 돌출하는 릴리즈 버튼(6)을 포함한다. 이것은 작동 로드(60)를 통해 평평한 슬라이드(61)에 연결된다. 작동 로드(60) 및 슬라이드(61)는 하우징 레일(1)의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며, 하우징 레일(1)에 대해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하강 메커니즘은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2 개 이상의 판스프링(4)을 더 포함하며, 이것은 드롭 다운 시일의 길이 방향(L)으로 서로 전후로 배치된다.
각각의 판스프링(4)은 그 단부들 중 하나에 의해 제 1 고정 위치(7)에서 하우징 레일(1)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각각의 판스프링(4)의 중앙 영역은 제 2 고정 위치(8)에서 캐리어 레일(2)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판스프링(4)의 제 2 단부는 제 3 고정 위치(9)에서 슬라이드(61)에 고정식으로 연결된다. 이것의 대안으로서, 제 1 판스프링(4)은 작동 로드(6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제 1 고정 위치(7)는 릴리즈 버튼(6)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판스프링(4)의 일측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릴리즈 버튼(6)은 도어 리프가 닫힐 때 도어 프레임 상에 존재하여 눌려진다. 그 결과, 이것은 슬라이드(61)를 드롭 다운 시일의 길이 방향(L)으로 변위시킨다. 판스프링(4)은 구부러지고, 캐리어 레일(2)은 이것에 고정된 시일 프로파일(3)과 함께 하강된다. 도어 리프가 열릴 때, 릴리즈 버튼(6)은 다시 해방되고, 판스프링(4)은 이완되고, 그 결과 실링 스트립은 다시 상승된다.
상기 하강 메커니즘 및 상기 유형의 고정수단은 공지되어 있으며, 그 가치를 입증하였다. 대안적 구성 및 실현형태는 종래 기술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드롭 다운 시일에서 유사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위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실링 스트립이 하강될 때, 상기 실링 스트립은 하강될 뿐만 아니라 일 단부측, 즉, 릴리즈 버튼(6)으로부터 이격된 측 상에서 길이 방향(L)으로 이동된다. 드롭 다운 시일이 제조될 때, 이것이 캐리어 레일(2)이 상승된 출발 상태에서 상기 측 상에서 하우징 레일(1)에 대해 후퇴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이다. 시일 프로파일(3)은 또한 드롭 다운 시일이 제조될 때 캐리어 레일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단부면 상에 배치된다. 이것은 하우징 레일(1)과 동일 평면으로 끝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우징 레일로부터 약간 돌출하는 것이 훨씬 더 바람직하다. 이것은 도 1a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도입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시일의 거동과 일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링 스트립은 상승된 상태에서 드롭 다운 시일의 길이 방향(L)으로 변위가능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2 고정점(8)은 이 목적을 위해 실현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도 2의 (a) 및 (b)에서 볼 수 있다. 상기 실현형태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의 (a) 및 (b)에서, 실링 스트립은, 예를 들면, 변위 개구 내의 저널(53)의 위치에 의해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식으로 이미 전방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어 있다. 실링 스트립은 결과적으로 제 2 위치에 이미 위치되어 있다.
공장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시일은 도 3a에서 볼 수 있다. 하우징 레일(1), 캐리어 레일(2) 및 시일 프로파일(3)의 상대적 배치는 도 1a의 것과 다르지 않다. 도 3b에서 실링 스트립은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 레일(1)의 자유 단부를 향해 길이 방향(L)으로 변위된다. 상기 상태에서, 전체 시일은 하우징 레일(1), 캐리어 레일(2) 및 시일 프로파일(3)이 특히 함께 절단됨으로써 다시 단축될 수 있다. 가능한 단축 라인 중 하나가 도 3b에 도시되어 있고, 참조 기호 K로 표시되어 있다. 단축된 시일은 도 3c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단축된 시일의 단부면 외관은 도 1c의 시일의 것에 비해 차이가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시일의 실링 스트립은 하우징 레일(1)에 대해 원래의 위치로 다시 복귀될 수 있다. 이것은 도 3d에 도시되어 있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강된 상태에서, 다시 후퇴된 캐리어 레일(2)과 결과적으로 하우징 레일(1)은 여전히 돌출하지 않는다. 그러나, 시일 프로파일(3)이 도어 프레임과 하우징 레일 사이의 수직 틈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시일 프로파일(3)의 전방 단부는 전방으로 밀릴 수 있다. 그 결과는 도 3f에 도시되어 있다. 다시 한번, 도 3f에 따른 시일은 공장으로부터 공급되는 원래의 도 3a에 따른 드롭 다운 시일의 전방의 외관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유사한 외관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것은 상기 도 3a의 드롭 다운 시일에 비해 원하는 길이로 단축되었다.
시일 프로파일(3)의 단부면 단부를 잡아당기는 것은 다른 방식으로 더 쉽게 실행할 수 있다. 간단한 실시형태에서, 시일 프로파일(3)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캐리어 레일(2)에 대해 변위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시일 프로파일(3)은 벨로우즈형 영역을 포함하며, 이것은 자유 단부가 하우징 레일(1)로부터 돌출하도록 당겨진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시일 프로파일(3)은 길이 방향(L)으로 당김과 동시에 손으로 마사징(massaging)하여 재료를 신장시키고 시일 프로파일(3)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시일 프로파일의 자유 단부를 하우징 레일(1)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3은 드롭 다운 시일이 이미 조립된 상태일 때 전술한 실링 스트립의 조정가능성 및 시일 프로파일(3)의 능력을 단축시킬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롭 다운 시일의 요소를 도시한다.
도 4는 제 2 고정 위치(8)의 영역에서 캐리어 레일(2)의 짧은 부분을 도시한다. 드롭 다운 시일이 복수의 판스프링(4)을, 그리고 결과적으로 복수의 제 2 고정 위치(8)을 포함하는 경우, 다른 제 2 고정 위치(8)는 동일한 방식으로 실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쨋든, 이들은 후술하는 실링 스트립의 변위가능성을 가능하게 한다.
캐리어 레일(2)은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고,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2 개의 측벽(20)을 갖는 U 형상으로 실현된다. 폐쇄는 연결 웹(21)과 캐리어 바(22)를 구비한 하방으로 돌출한 T 형상의 캐리어 부품에 의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시일 프로파일은 이 T 형상의 캐리어 부품에 유지된다. 이 T 형상의 캐리어 부품은 이 목적을 위해 시일 프로파일(3)의 대응하여 형성된 유지 리브(rib)를 수용하기 위한 2 개의 횡방향으로 개방된 수용 수단을 형성한다. 시일 프로파일(3)은 캐리어 프로파일(2)에 유지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수동 "마사징"의 결과로서 캐리어 프로파일(2)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고정 모듈(5)은 2 개의 측벽(20) 사이의 공동 내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 모듈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직육면체의 평평한 기본 바디(50)를 포함하며, 판스프링(4) 중 하나가 이것을 관통한다. 판스프링(4)은 기본 바디(50)에 고정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기본 바디에 대해 변위될 수 없다.
서로 이격된 측벽(51)은 기본 바디(50) 상에 일체로 성형되어 존재한다. 이들은 캐리어 레일(2)의 측벽(20)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각각의 측벽(51)의 상단부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러그(52)에 의해 실현되며, 이 러그는 도 5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캐리어 레일(2) 위로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모듈(5)의 나머지와 일체로 실현되는 것이 바람직한 저널(53)은 고정 모듈(5)의 각각의 측벽(51) 상에서 외측으로 돌출한다. 이는 도 7 및 도 8에서 잘 볼 수 있다.
캐리어 레일(2)의 각각의 측벽(2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긴 구멍의 형태로 실현된 변위 개구(23)를 포함한다. 긴 구멍은 중앙에 테이퍼링을 갖는 8자 형태로 실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개의 저널(53) 중 하나는 변위 개구(23)와 맞물린다.
상방으로 돌출하는 러그(52)로 인해 캐리어 레일(2) 내에 고정 모듈(5)을 조립하는 것이 더 쉬워진다. 고정 모듈(5)은 상기 캐리어 레일 내로 압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위 개구(23)는 캐리어 레일(2) 및 결과적으로 실링 스트립이 고정 모듈(5)에 대해 그리고 결과적으로 판스프링(4) 및 하우징 레일(1)에 대해 변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변위 개구(23)는 저널(53)이 개개의 변위 위치에 래치(latch)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테이퍼링(230)을 갖도록 실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길이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는 테이퍼링(230) 및 2 개의 변위 위치가 제공된다.
도 4 내지 도 8에서, 캐리어 레일(2)은 하우징에 대해 제 1 위치에 위치한다. 저널(53)은 변위 개구(23) 내의 제 1 위치에 래치된다.
대응하는 도 4 내지 도 8을 비교함으로써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9 내지 도 12에서, 캐리어 레일(2)은 변위되었고, 저널(53)은 변위 개구(23) 내의 제 2 위치에 위치한다.
릴리즈 버튼(6)이 도 4 내지 도 9에 따른 시일의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 제 1 위치는 출발 위치이다. 캐리어 레일(2)이 하강되면, 시일 프로파일(3)은, 도 2의 (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레일(1) 위로 횡방향으로 돌출한다. 시일 프로파일(3)을 단축시키기 위해, 단부면의 압력에 의해 또는 실링 스트립 상의 장력에 의해 제 2 위치로 압입될 수 있다. 상기 압력 또는 장력은 수동으로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위 개구(23)의 길이는 실링 스트립이 하강될 때 길이 방향으로 실링 스트립의 범위에 적어도 대략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드롭 다운 시일은 간단한 공구를 사용하여 절단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원하는 치수로 단축될 수 있다.
상기 드롭 다운 시일의 길이 방향으로 실링 스트립의 변위가능성은, 시일의 작동 방법을 감소시킴이 없이 그리고 특히 하우징 레일(1), 캐리어 레일(2) 및 시일 프로파일(3)의 상대적인 단부면 구성을 부정적으로 손상시킴이 없이, 현장 및 도어 공장에서 도어의 상황에 간단히 적응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캐리어 레일(2)은 단축화 후에 전방으로 너무 많이 돌출하지 않는다.
1 하우징 레일
2 캐리어 레일
20 측벽
21 연결 웹
22 하부 캐리어 바
23 변위 개구
230 테이퍼링
3 시일 프로파일
4 판스프링
5 고정 모듈
50 기본 바디
51 측벽
52 러그
53 저널
6 릴리즈 버튼
60 작동 로드
61 슬라이드
7 제 1 고정 위치
8 제 2 고정 위치
9 제 3 고정 위치
L 길이 방향
K 단축 라인

Claims (15)

  1. 도어용 실링 장치로서,
    상기 실링 장치는 하우징 레일(1), 상기 하우징 레일(1) 내에 유지되는 실링 스트립(2, 3) 및 상기 실링 장치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실링 스트립(2, 3)을 상기 하우징 레일(1)에 대해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하강 메커니즘(4, 6, 60)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 스트립(2, 3)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레일(1)에 대해 상기 실링 장치의 길이 방향(L)으로 출발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변위가능한, 도어용 실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스트립(2, 3)은 상기 하우징 레일(1)에 대해 다른 위치로 상기 길이 방향(L)으로 수동으로 변위가능한, 도어용 실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 위치와 상기 다른 위치는, 상기 실링 스트립(2, 3)이 하강된 경우, 상기 길이 방향(L)으로 측정된 상기 실링 스트립(2, 3)의 변위 경로에 적어도 대략적으로 대응하는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는, 도어용 실링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스트립은 고정 모듈(5)에 의해 하강 메커니즘에 연결되고,
    a) 상기 고정 모듈(5)은 상기 하강 메커니즘(4, 6, 60)에 고정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실링 스트립(2, 3)의 위치는 상기 고정 모듈(5)에 대해 길이 방향(L)으로 수정가능하고, 또는
    b) 상기 고정 모듈(5)의 위치는 상기 하강 메커니즘(4, 6, 60)에 대해 상기 길이 방향(L)으로 수정가능하고, 상기 실링 스트립(2, 3)은 상기 고정 모듈(5)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도어용 실링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스트립은 캐리어 레일(2) 및 그 위에 배치된 시일 프로파일(3)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레일(2)은 자체의 길이방향 위치에서 변위가능한, 도어용 실링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스트립(2, 3)은 적어도 하나의 불연속 단계로 변위가능한, 도어용 실링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메커니즘(4, 6, 60)은 제 1 고정 위치(7)에서 상기 하우징 레일(1)에 고정되고, 제 2 고정 위치(8)에서 상기 캐리어 레일(2)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고정 위치(8)로 인해 상기 실링 스트립은 상기 하우징 레일(1)에 대해 상기 실링 장치의 길이 방향(L)으로 변위될 수 있는, 도어용 실링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 위치(8)로 인해 상기 캐리어 레일(2)은 상기 하강 메커니즘(4, 6, 60)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도어용 실링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 위치(8)는 적어도 하나의 저널(53)과 적어도 하나의 변위 개구(23) 사이의 연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널(53)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위 개구(23)에 맞물려서 상기 변위 개구 내에 유지되고, 상기 변위 개구(23) 내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널(53)의 위치가 상기 실링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수정가능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위 개구(23)는 상기 실링 장치의 길이 방향(L)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널(53)보다 크게 실현되는, 도어용 실링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널(53)은 상기 하강 메커니즘(4, 6, 60)에 고정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위 개구(23)는 상기 캐리어 프로파일(2)에 배치된, 도어용 실링 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개구(23)는, 상기 길이 방향(L)으로 보았을 때 그 중앙 영역에, 증가된 힘 하에서 상기 저널(53)에 의해 극복될 수 있는 테이퍼링(tapering; 230)을 포함하는, 도어용 실링 장치.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메커니즘(4, 6, 60)은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4)을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하우징 레일(1)의 내부에서 상기 실링 장치의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고정 위치(7)에서 상기 하우징 레일(1)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고정 위치(8)에서 상기 캐리어 레일(2)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제 3 고정 위치(9)에서 작동 요소(60)에 고정식으로 연결되는, 도어용 실링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4)은 제 4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상기 고정 모듈(5)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도어용 실링 장치.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지정된 제 1, 제 2 및 제 3 고정점(7, 8, 9)에 각각 고정되는 적어도 2 개의 판스프링(4)이 제공되고, 각각의 제 2 고정점(8)은 상기 캐리어 레일(2)을 변위될 수 있게 하는, 도어용 실링 장치.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모듈(5)은 캐리어 레일(2)의 2 개의 측벽(20) 사이에 배치되어 2 개의 저널(53)을 포함하고, 상기 2 개의 저널(53) 중 하나는 측벽(20)을 향하고, 상기 2 개의 측벽(20)의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위 개구(23) 중 하나를 포함하는, 도어용 실링 장치.
KR1020207004666A 2017-07-18 2018-06-29 드롭 다운 시일 KR202000327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81903.0 2017-07-18
EP17181903.0A EP3431695A1 (de) 2017-07-18 2017-07-18 Absenkdichtung
PCT/EP2018/067669 WO2019015939A1 (de) 2017-07-18 2018-06-29 Absenkd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721A true KR20200032721A (ko) 2020-03-26

Family

ID=59366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4666A KR20200032721A (ko) 2017-07-18 2018-06-29 드롭 다운 시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00149344A1 (ko)
EP (2) EP3431695A1 (ko)
JP (1) JP2020527204A (ko)
KR (1) KR20200032721A (ko)
CN (1) CN111032986A (ko)
AU (1) AU2018303150A1 (ko)
SG (1) SG11202000018TA (ko)
WO (1) WO2019015939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27938A1 (de) 1984-02-28 1985-09-12 Fa. F. Athmer, 5760 Arnsberg Automatische dichtungsvorrichtung fuer einen unteren tuerspalt
DE3418438A1 (de) 1984-05-18 1985-11-21 Fa. F. Athmer, 5760 Arnsberg Tuerdichtungsvorrichtung
DE3526720C2 (de) 1984-07-28 1986-07-17 Fa. F. Athmer, 5760 Arnsberg Dichtungsvorrichtung für den unteren Türspalt eines Türflügels
DE3625834A1 (de) * 1986-07-30 1988-02-04 Athmer F Auf eine bodenschwelle auflaufende tuerdichtung
FI88332C (fi) 1988-04-19 1993-04-26 Planet Matthias Jaggi Taetningsanordning foer en troeskelloes doerr
US4947584A (en) * 1988-09-27 1990-08-14 Zero International Inc. Automatic door bottom
ATE115675T1 (de) 1991-04-17 1994-12-15 Planet Mjt Ag Dicht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türflügel.
DE4139116A1 (de) * 1991-11-28 1993-06-03 Athmer Fa F Vorrichtung zum abdichten des unteren spaltes einer tuer
CH688741A5 (de) 1994-06-01 1998-02-13 Matthias Jaggi Dicht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Türflügel.
PL2050918T3 (pl) 2007-10-19 2016-04-29 Planet Gdz Ag Uszczelka opadająca wyposażona w otwór przelotowy
DE202011051326U1 (de) 2011-09-16 2012-12-17 Athmer Ohg Dichtung für Türen, Fenster oder Ähnlichem mit einer absenkbaren Dichtleiste
CN203835187U (zh) * 2014-05-12 2014-09-17 苏州市相城区春叶净化设备科技有限公司 自闭式洁净门
DE202016101599U1 (de) * 2016-03-23 2016-04-18 Athmer Ohg Dichtungsprofil für eine Tü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55610A1 (de) 2020-05-27
AU2018303150A1 (en) 2020-01-30
EP3655610B1 (de) 2022-11-16
WO2019015939A1 (de) 2019-01-24
CN111032986A (zh) 2020-04-17
JP2020527204A (ja) 2020-09-03
SG11202000018TA (en) 2020-02-27
EP3431695A1 (de) 2019-01-23
US20200149344A1 (en)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2334A (ko) 씰링 장치
KR200392780Y1 (ko) 방충망
JP7278424B2 (ja) 建具の召合せ框の気密維持装置
KR101990204B1 (ko) 미닫이 도어용 완충 장치
JP6643801B2 (ja) 窓ステー
KR101318590B1 (ko) 도어용 오토시일 어셈블리
KR20200032721A (ko) 드롭 다운 시일
KR200474035Y1 (ko) 방충창 이탈방지구
KR200478715Y1 (ko) 미닫이식 창호시스템
KR102091982B1 (ko)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KR101756115B1 (ko) 창문 이탈방지용 판스프링
JP6647927B2 (ja) 建具
KR20180077815A (ko)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KR100636988B1 (ko) 미닫이문
KR101928737B1 (ko) 창문틀방풍장치
KR20190099873A (ko) 방충창 이탈방지용 스토퍼 및 이를 구비한 창호
JP3663273B2 (ja) ドアボトムのシール装置
JP6831076B2 (ja) 建具
KR101792495B1 (ko) 바닥 설치용 방풍 조립체 및 그 설치구조
KR102579851B1 (ko) 창호의 방풍 기능 향상을 위한 차폐기구와 미닫이 타입의 창문
KR101772917B1 (ko) 측면끼움식 탄력성 방풍부재를 구비하는 문틀
EP1445414B1 (en)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shutters in fully open position
GB2060040A (en) An improved draught excluder
EP1579098B1 (en) Draft stopper device, particularly for doors and similar
JP2678239B2 (ja) ドアの自動底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