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265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265A
KR20200030265A KR1020180108917A KR20180108917A KR20200030265A KR 20200030265 A KR20200030265 A KR 20200030265A KR 1020180108917 A KR1020180108917 A KR 1020180108917A KR 20180108917 A KR20180108917 A KR 20180108917A KR 20200030265 A KR20200030265 A KR 20200030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openings
back cover
area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7358B1 (ko
Inventor
신미나
강춘성
박근창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8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358B1/ko
Priority to CN201910782909.XA priority patent/CN110895901B/zh
Priority to US16/560,066 priority patent/US10798831B2/en
Publication of KR20200030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4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encapsulating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84Details of three-dimensional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3Moulding and encapsulation; Deposition techniques; Protective layers
    • H05K2203/1305Moulding and encapsulation
    • H05K2203/1316Moulded encapsulation of mounted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의 일 면에 부착되고, 적어도 표시 패널과 중첩하고 복수의 개구부가 배치된 연성 영역 및 연성 영역과 인접한 지지 영역이 정의된 백커버를 포함하고, 연성 영역은 중앙 영역 및 중앙 영역의 양 측의 엣지 영역을 포함하고, 복수의 개구부는 연성 영역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개구부 및 연성 영역의 엣지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연성 영역은 지지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서브 연성 영역 및 제1 서브 연성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서브 연성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서브 연성 영역에서의 복수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은 제2 서브 연성 영역에서의 복수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보다 좁을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돌돌 말아도 화상 표시가 가능한 롤러블(rollable)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모니터나 TV, 핸드폰 등에 사용되는 표시 장치에는 스스로 광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과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등이 있다.
표시 장치는 컴퓨터의 모니터 및 TV 뿐만 아니라 개인 휴대 기기까지 그 적용 범위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넓은 표시 면적을 가지면서도 감소된 부피 및 무게를 갖는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플렉서블(flexible) 소재인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기판에 표시부, 배선 등을 형성하여, 돌돌 말아도 화상 표시가 가능하게 제조되는 롤러블 표시 장치가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패널과 백커버를 와인딩(winding)하는 과정에서 롤러의 형상에 의해 백커버가 찢기거나 변형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백커버의 위치에 따라 개구부의 간격을 달리 하여, 표시 장치의 와인딩 및 언와인딩 시에 백커버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표시 패널이 배치되는 백커버의 영역에서 측면 강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개구부가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표시 패널 및 백커버를 와인딩하는 과정에서 백커버에 의해 표시 패널에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백커버의 날카로운 엣지에 의한 사용자의 부상 위험성을 최소화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표시 패널을 시인하는 방향에서 백커버의 개구부에 의해 표시 패널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의 일 면에 부착되고, 적어도 표시 패널과 중첩하고 복수의 개구부가 배치된 연성 영역 및 연성 영역과 인접한 지지 영역이 정의된 백커버를 포함하고, 연성 영역은 중앙 영역 및 중앙 영역의 양 측의 엣지 영역을 포함하고, 복수의 개구부는 연성 영역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개구부 및 연성 영역의 엣지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연성 영역은 지지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서브 연성 영역 및 제1 서브 연성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서브 연성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서브 연성 영역에서의 복수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은 제2 서브 연성 영역에서의 복수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보다 좁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서브 화소가 정의된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을 지지하고, 지지 영역 및 지지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연성 영역을 갖고, 복수의 개구부가 배치된 백커버; 및 표시 패널 및 백커버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고, 평면과 곡면으로 구성된 롤러를 포함하고, 표시 패널 및 백커버가 롤러에 풀 와인딩된 경우, 지지 영역은 롤러의 평면에 안착되고, 연성 영역은 롤러의 곡면에 안착되며, 복수의 개구부 중 백커버의 엣지로부터 연장하는 개구부 간의 간격은 지지 영역에 인접할수록 더 좁을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백커버에서 표시 패널이 배치되는 위치, 대응하는 롤러의 형상을 고려하여 백커버의 개구부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백커버가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풀 와인딩(full winding)한 상태와 풀 언와인딩(full unwinding)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백커버의 부분과 시인되지 않는 백커버의 부분 별로 상이한 간격으로 개구부를 백커버에 형성하여, 백커버의 측면 강성 및 외관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백커버의 배면에 보호 레진을 배치하여, 표시 장치를 돌돌 말 때, 백커버에 의한 표시 패널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백커버의 개구부 내에 보호 레진을 배치하여, 표시 장치의 전면에서 복수의 개구부가 시인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백커버보다 면적이 큰 보호 레진을 사용하여, 백커버의 엣지 부분의 날카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헤드바 및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백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백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백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백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면적,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면적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면적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표시 장치 - 롤러블 표시 장치>
롤러블 표시 장치는 돌돌 말아도 화상 표시가 가능한 표시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롤러블 표시 장치는 종래의 일반적인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높은 플렉서빌리티를 가질 수 있다. 롤러블 표시 장치의 사용 유무에 따라, 롤러블 표시 장치는 형상이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블 표시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롤러블 표시 장치를 돌돌 말아 부피를 감소시켜 보관할 수 있다. 반대로, 롤러블 표시 장치를 사용할 때, 돌돌 말린 롤러블 표시 장치를 다시 펼쳐 사용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표시부(DP) 및 하우징부(HP)를 포함한다.
표시부(DP)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 예를 들어, 표시 소자와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배선 및 부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롤러블 표시 장치(100)이므로, 표시부(DP)는 와인딩 및 언와인딩(un-winding)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DP)는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이 가능하도록 플렉서빌리티(flexibility)를 갖는 표시 패널 및 백커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DP)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하우징부(HP)는 표시부(DP)가 수납될 수 있는 케이스이다. 표시부(DP)는 와인딩되어 하우징부(HP) 내부에 수납될 수 있고, 표시부(DP)는 언와인딩되어 하우징부(HP)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부(HP)는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의 내부 및 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HPO)가 배치된다. 표시부(DP)는 하우징부(HP)의 개구부(HPO)를 통과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는 풀 언와인딩된 상태에서 풀 와인딩된 상태로, 또는 풀 와인딩된 상태에서 풀 언와인딩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a에서는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풀 언와인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풀 언와인딩된 상태는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 외부에 배치된 상태이다. 즉, 사용자가 표시 장치(100)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 표시부(DP)가 언와인딩되어 하우징부(HP) 외부에 최대한 배치되고, 더 이상 언와인딩할 수 없는 상태를 풀 언와인딩된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b에서는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풀 와인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풀 와인딩된 상태는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 내부에 수납되고, 더 이상 와인딩할 수 없는 상태이다. 즉, 사용자가 표시 장치(100)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지 않는 경우에는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 외부에 배치되지 않는 것이 외관 측면에서 유리하므로, 표시부(DP)가 와인딩 되어 하우징부(HP)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풀 와인딩된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 내부에 수납된 풀 와인딩된 상태인 경우, 표시 장치(100)의 부피가 작아지고, 운반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DP)를 풀 언와인딩된 상태 또는 풀 와인딩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표시부(DP)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는 구동부가 배치된다.
<구동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헤드바 및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롤러(151) 및 표시부(DP)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서는 헤드바(164) 및 표시부(DP)만을 도시하였고, 도 4에서는 하우징부(HP), 롤러(151) 및 표시부(DP)만을 도시하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구동부(MP)는 롤러부(150) 및 승강부(160)를 포함한다.
롤러부(150)는 제1 방향(DR1) 또는 제2 방향(DR2)으로 회전하며 롤러부(150)에 고정된 표시부(DP)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한다. 롤러부(150)는 롤러(151), 롤러 지지부(152) 및 롤러 회전부(153)를 포함한다.
롤러(151)는 표시부(DP)가 와인딩되는 부재이다. 롤러(151)는, 예를 들어,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롤러(151)에 표시부(DP)의 하측 엣지가 고정될 수 있다. 롤러(151)가 회전하면, 롤러(151)에 하측 엣지가 고정된 표시부(DP)가 롤러(151)에 와인딩될 수 있다. 반면에, 롤러(151)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롤러(151)에 와인딩된 표시부(DP)가 롤러(151)로부터 언와인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롤러(151)는 전체적으로는 원통 형상이지만, 일부분이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롤러(151) 외주면의 일부분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외주면의 나머지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롤러(151)는 완전한 원통 형상이거나, 표시부(DP)를 와인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롤러(151)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롤러 지지부(152)는 롤러(151)의 양측에서 롤러(151)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롤러 지지부(152)는 하우징부(HP)의 바닥면(HPF)에 배치된다. 그리고 롤러 지지부(152)의 상단 측면은 롤러(151)의 양측 끝단과 결합된다. 이에, 롤러 지지부(152)는 롤러(151)가 하우징부(HP)의 바닥면(HPF)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롤러(151)는 롤러 지지부(15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롤러 회전부(153)는 롤러(151)를 제1 방향(DR1) 또는 제2 방향(DR2)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 쌍의 롤러 지지부(152)에 각각 롤러 회전부(153)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 회전부(153)는 롤러(15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 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승강부(160)는 롤러부(150)의 구동에 맞춰 표시부(DP)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승강부(160)는 링크 지지부(161), 링크부(162), 링크 승강부(163) 및 헤드바(164)를 포함한다.
링크 지지부(161)는 링크부(162) 및 링크 승강부(163)를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링크 지지부(161)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링크부(162) 및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의 개구부(HPO)의 경계에 충돌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링크 지지부(161)는 링크부(162) 및 표시부(DP)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링크부(162)는 서로 힌지 결합된 복수의 링크(162L)를 포함한다. 복수의 링크(162L) 각각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링크 승강부(163)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링크부(162)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시, 복수의 링크(162L) 각각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링크 승강부(163)는 링크부(16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링크 승강부(163)는 링크부(162)의 복수의 링크(162L) 각각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회전시키거나, 복수의 링크(162L) 각각이 서로 멀어지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링크 승강부(163)는 링크부(162)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링크부(162)에 연결된 표시부(DP)가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링크 승강부(163)는 롤러 회전부(153)와 구동이 동기화되어, 롤러부(150)와 승강부(160)가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DP)가 풀 언와인딩된 상태에서 풀 와인딩된 상태로 전환될 때, 롤러부(150)는 롤러(151)에 표시부(DP)가 와인딩되도록 동작하고, 동시에 승강부(160)는 링크부(162)의 복수의 링크(162L)를 회전시켜 표시부(DP)가 하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DP)가 풀 와인딩된 상태에서 풀 언와인딩된 상태로 전환될 때, 롤러부(150)는 롤러(151)로부터 표시부(DP)가 언와인딩되도록 동작하고, 동시에 승강부(160)는 링크부(162)의 복수의 링크(162L)를 회전시켜 표시부(DP)가 상승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승강부(160)의 헤드바(164)는 표시부(DP)의 최상단에 고정된다. 헤드바(164)는 링크부(162)와 연결되어, 링크부(162)의 복수의 링크(162L)의 회전에 따라 표시부(DP)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표시부(DP)는 헤드바(164)에 의해 링크부(162) 및 링크 승강부(163)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헤드바(164)는 표시부(DP)의 최상단에서, 표시부(DP)의 정면 및 배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헤드바(164)는 제1 헤드바(164a) 및 제2 헤드바(164b)를 포함한다. 제1 헤드바(164a)는 표시부(DP)의 정면을 덮는다. 제1 헤드바(164a)는 표시부(DP)에 정면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가리지 않도록 표시부(DP)의 최상단 엣지에 인접하는 정면의 일부분만을 덮는다.
제2 헤드바(164b)는 표시부(DP)의 배면을 덮는다. 제2 헤드바(164b)는 표시부(DP)의 최상단 엣지에 인접하는 배면의 일부분을 덮는다. 다만, 표시부(DP)의 배면에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으므로, 제2 헤드바(164b)는 제1 헤드바(164a)보다 표시부(DP)에 더 많이 중첩할 수 있다.
표시부(DP)를 제1 헤드바(164a) 및 제2 헤드바(164b)에 체결하기 위해, 표시부(DP)에 제1 체결 홀(AH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SC)는 제1 체결 홀(AH1)을 관통하여 제1 헤드바(164a), 표시부(DP) 및 제2 헤드바(164b)를 체결할 수 있다.
제2 헤드바(164b)에는 승강부(160)의 링크부(162)가 체결되는 팸 너트(PN)가 배치된다. 팸 너트(PN)에 의해 제2 헤드바(164b)와 승강부(160)의 링크부(162)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부(160)의 링크부(16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링크부(162)에 체결된 제2 헤드바(164b)와, 제2 헤드바(164b)에 체결된 제1 헤드바(164a) 및 표시부(DP)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제1 헤드바(164a) 및 제2 헤드바(164b)가 일자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헤드바(164a) 및 제2 헤드바(164b)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헤드바(164a) 및 제2 헤드바(164b)는 'ㄱ'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구동부(MP)의 구동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롤러(151)에 표시부(DP)의 하측 엣지가 연결된다. 그리고 롤러(151)가 롤러 회전부(153)에 의해 제1 방향(DR1),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표시부(DP)는 표시부(DP)의 배면이 롤러(151)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롤러(151)에 와인딩될 수 있다.
반대로, 롤러(151)가 롤러 회전부(153)에 의해 제2 방향(DR2),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롤러(151)에 와인딩된 표시부(DP)가 롤러(151)로부터 언와인딩되어 하우징부(HP)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설명한 구동부(MP) 이외에 다른 구조를 갖는 구동부(MP)가 표시 장치(100)에 적용될 수도 있다. 즉, 표시부(DP)를 와인딩 및 언와인딩할 수 있다면, 상술한 롤러부(150) 및 승강부(160)의 구성이 변경될 수도 있고,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이 추가될 수도 있다.
<표시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부(DP)는 백커버(110), 표시 패널(120),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20)은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패널이다. 표시 패널(120)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소자,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소자, 및 표시 소자 및 구동 소자로 각종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소자는 표시 패널(120)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정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표시 패널(12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 표시 소자는 애노드,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20)이 액정 표시 패널인 경우, 표시 소자는 액정 표시 소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12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것으로 가정하지만, 표시 패널(12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롤러블 표시 장치이므로, 표시 패널(120)은 롤러(151)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기 위해 플렉서블 표시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패널(120)은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AA)은 표시 패널(120)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표시 영역(AA)에는 복수의 서브 화소 및 복수의 서브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소는 표시 영역(AA)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에 표시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에는 애노드,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서브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에는 구동 소자 및 배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는 박막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커패시터,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비표시 영역(N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A)에는 표시 영역(AA)의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배선 및 회로 등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비표시 영역(NA)에는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서브 화소 및 회로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링크 배선 또는 게이트 드라이버 IC, 데이터 드라이버 IC와 같은 구동 IC 등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플렉서블 필름(130)은 연성을 가진 베이스 필름에 각종 부품이 배치된 필름으로,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서브 화소 및 회로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필름으로, 표시 패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렉서블 필름(130)은 표시 패널(120)의 비표시 영역(NA)의 일단에 배치되어 전원 전압, 데이터 전압 등을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서브 화소 및 회로로 공급한다. 도 5에서는 플렉서블 필름(130)이 4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플렉서블 필름(130)의 개수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플렉서블 필름(130)에, 예를 들어, 게이트 드라이버 IC, 데이터 드라이버 IC와 같은 구동 IC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 IC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와 이를 처리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처리하는 부품이다. 구동 IC는 실장되는 방식에 따라 칩 온 글래스(Chip On Glass; COG),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 등의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동 IC가 플렉서블 필름(130) 상에 실장된 칩 온 필름 방식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인쇄 회로 기판(140)은 플렉서블 필름(130)의 일단에 배치되어 플렉서블 필름(130)과 연결된다. 인쇄 회로 기판(140)은 구동 IC에 신호를 공급하는 부품이다. 인쇄 회로 기판(140)은 구동 신호, 데이터 신호 등과 같은 다양한 신호를 구동 IC로 공급한다. 인쇄 회로 기판(140)에는 각종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140)에는 타이밍 컨트롤러, 전원부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인쇄 회로 기판(140)이 1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인쇄 회로 기판(140)의 개수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인쇄 회로 기판(140)과 연결되는 추가 인쇄 회로 기판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140)은 데이터 구동부가 실장되는 소스 인쇄 회로 기판(Source PCB; S-PCB)로 지칭될 수 있고, 인쇄 회로 기판(140)과 연결되는 추가 인쇄 회로 기판은 타이밍 컨트롤러 등이 실장되는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Control PCB; C-PCB)로 지칭될 수 있다. 추가 인쇄 회로 기판은 롤러(151) 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롤러(151) 외부에서 하우징부(HP)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백커버(110)는 표시 패널(120),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의 배면에서 배치되어, 표시 패널(120),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을 지지한다. 이에, 백커버(110)는 표시 패널(120)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백커버(110)는 외부로부터 표시부(DP)의 다른 구성을 보호할 수 있다. 백커버(110)는 강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나, 백커버(110)의 적어도 일부분은 표시 패널(120)과 함께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기 위해 플렉서빌리티(flexibility)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커버(110)는 SUS(Steel Use Stainless) 또는 인바(Invar) 등의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백커버(110)의 물질은 설계에 따라 열 변형량, 곡률 반경, 강성 등의 물성 조건을 만족한다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20)은 기판(121), 버퍼층(122), 화소부(123), 봉지층(124) 및 봉지 기판(125)을 포함한다.
기판(121)은 표시 패널(120)의 다양한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부재로,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121)은 표시 패널(120)이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기 위해.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I) 등과 같은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퍼층(122)은 기판(121)의 외측에서 침투한 수분 및/또는 산소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버퍼층(122)은 실리콘 산화물(SiOx) 및 실리콘 질화물(SiNx)의 단층이나 복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화소부(123)는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 및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한다. 화소부(123)는 표시 영역(AA)에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애노드,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애노드는 유기 발광층으로 정공을 공급할 수 있고, 일함수가 높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애노드는 주석 산화물(Tin Oxide; TO),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인듐 주석 아연 산화물(Indium Zinc Tin Oxide; ITZO)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기 발광층은 애노드로부터 정공을 공급받고, 캐소드로부터 전자를 공급받아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은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빛의 색상에 따라 적색 유기 발광층, 녹색 유기 발광층, 청색 유기 발광층 및 백색 유기 발광층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유기 발광층이 백색 유기 발광층인 경우, 다양한 색상의 컬러 필터가 추가적으로 더 배치될 수 있다.
캐소드는 유기 발광층에 전자를 공급할 수 있고, 일함수가 낮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소드는 마그네슘(Mg), 은(Ag),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금속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이 방출되는 방향에 따라 표시 패널(120)은 탑 에미션(top emission) 또는 바텀 에미션(bottom emission)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탑 에미션 방식은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이 유기 발광 소자가 형성된 기판(121)의 상부로 발광되는 방식이다. 탑 에미션 방식인 경우,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을 기판(121)의 상부로, 즉, 캐소드 측으로 진행시키기 위해, 애노드 하부에 반사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바텀 에미션 방식은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이 유기 발광 소자가 형성된 기판(121)의 하부로 발광되는 방식이다. 바텀 에미션 방식인 경우,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을 기판(121)의 하부로 진행시키기 위해, 애노드는 투명 도전성 물질로만 이루어질 수 있고, 캐소드가 반사율이 높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가 바텀 에미션 방식의 표시 장치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소부(123)에는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가 배치된다. 회로는 박막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커패시터,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전원 배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표시 장치(100)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화소부(123) 상에 화소부(123)를 덮는 봉지층(124)이 배치된다. 봉지층(124)은 화소부(123)의 유기 발광 소자를 밀봉한다. 봉지층(124)은 외부의 습기, 산소, 충격 등으로부터 화소부(123)의 유기 발광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봉지층(124)은 복수의 무기층과 복수의 유기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층은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화물(SiOx), 알루미늄 산화물(AlOx) 등과 같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유기층은 에폭시(Epoxy) 계열 또는 아크릴(Acryl) 계열의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봉지층(124) 상에 봉지 기판(125)이 배치된다. 봉지 기판(125)은 봉지층(124)과 함께 화소부(123)의 유기 발광 소자를 보호한다. 봉지 기판(125)은 외부의 습기, 산소, 충격 등으로부터 화소부(123)의 유기 발광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봉지 기판(125)은 내부식성이 강하고, 호일(foil) 혹은 박막 형태로 가공이 용이한 알루미늄(Al), 니켈(Ni), 크롬(Cr), 철(Fe)과 니켈의 합금 재질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봉지 기판(125)을 금속 재질로 형성함에 따라 초박막 형태로 봉지 기판(125) 구현이 가능하고, 외부의 충격 및 긁힘에 강한 내보호성이 제공될 수 있다.
봉지층(124)과 봉지 기판(125) 사이에 제1 접착층(AD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층(AD1)은 봉지층(124)과 봉지 기판(125)을 접착시킬 수 있다. 제1 접착층(AD1)은 접착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열 경화형 또는 자연 경화형의 접착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층(AD1)은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제1 접착층(AD1)은 봉지층(124) 및 화소부(123)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화소부(123)는 버퍼층(122) 및 봉지층(124)에 의해 밀봉될 수 있고, 봉지층(124) 및 화소부(123)는 버퍼층(122)과 제1 접착층(AD1)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제1 접착층(AD1)은 봉지층(124) 및 봉지 기판(125)과 함께 화소부(123)의 유기 발광 소자를 외부의 습기, 산소,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제1 접착층(AD1)은 흡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습제는 흡습성을 가지는 파티클일 수 있고, 외부로부터 수분 및 산소 등을 흡수하여, 화소부(123)에 수분 및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봉지 기판(125) 상에 백커버(110)가 배치된다. 백커버(110)는 표시 패널(120)의 봉지 기판(125)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표시 패널(120)을 보호할 수 있다. 백커버(110)는 표시 패널(120)을 보호하기 위해, 강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백커버(110)는 중앙 영역(CA)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개구부(111) 및 엣지 영역(EA)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개구부(112)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1 개구부(111) 및 복수의 제2 개구부(112)는 백커버(110)가 플렉서빌리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개구부(111) 및 복수의 제2 개구부(112)는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백커버(110)가 표시 패널(120)과 함께 롤러(151)에 와인딩되거나, 롤러(151)로부터 언와인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봉지 기판(125)과 백커버(110) 사이에 제2 접착층(AD2)이 배치된다. 제2 접착층(AD2)은 봉지 기판(125)과 백커버(110)를 접착시킬 수 있다. 제2 접착층(AD2)은 접착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열 경화형 또는 자연 경화형의 접착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착층(AD2)은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에서는 백커버(110)의 복수의 제1 개구부(111)에 제2 접착층(AD2)이 채워지지 않은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 접착층(AD2)이 백커버(110)의 복수의 제1 개구부(111)의 일부 또는 전체에 채워질 수 있다. 만약, 제2 접착층(AD2)이 백커버(110)의 복수의 제1 개구부(111)의 내측에 채워지는 경우, 제2 접착층(AD2)과 백커버(110)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박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기판(121)의 전면에 투광성 필름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투광성 필름은 표시 패널(120)의 전면을 보호하거나, 표시 패널(120)로 입사하는 외부 광을 반사를 최소화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광성 필름은 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필름, 반사 방지 필름, 편광 필름 및 투과도 제어 필름(transmittance controllable film) 중 적어도 하나의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백커버(11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백커버의 구체적 구성>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백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백커버(110)는 지지 영역(PA) 및 연성 영역(MA)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지지 영역(PA)은 복수의 제1 개구부(111) 및 복수의 제2 개구부(112)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이고, 연성 영역(MA)은 복수의 제1 개구부(111) 및 복수의 제2 개구부(112)가 배치된 영역이다. 이때, 백커버(110)는 최상단의 제3 지지 영역(PA3), 백커버(110)의 최하단의 제2 지지 영역(PA2), 제3 지지 영역(PA3)과 제2 지지 영역(PA2) 사이의 제1 지지 영역(PA1), 제3 지지 영역(PA3)과 제1 지지 영역(PA1) 사이 및 제2 지지 영역(PA2)과 제1 지지 영역(PA1) 사이의 연성 영역(MA)을 포함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백커버(110)의 제3 지지 영역(PA3)은 백커버(110)의 최상단 영역으로, 헤드바(164)와 체결되는 영역이다. 제3 지지 영역(PA3)에는 헤드바(164)와의 체결을 위해, 제1 체결 홀(AH1)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바(164)와 제1 체결 홀(AH1)을 관통하는 스크류(SC)가 배치되어, 헤드바(164)와 백커버(110)의 제3 지지 영역(PA3)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지지 영역(PA3)이 헤드바(164)와 체결됨에 따라, 헤드바(164)에 체결된 링크부(162)가 상승 또는 하강 시, 백커버(110)도 함께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고, 백커버(110)에 부착된 표시 패널(120) 또한 함께 승강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도 7a에서는 제1 체결 홀(AH1)이 5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체결 홀(AH1)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7a에서는 백커버(110)가 제1 체결 홀(AH1)을 사용하여 헤드바(164)와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별도의 체결 홀 없이 백커버(110)와 헤드바(164)가 체결될 수도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백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은 백커버(110)의 최하단 영역으로 롤러(151)와 체결되는 영역이다. 제2 지지 영역(PA2)에는 롤러(151)와의 체결을 위해 제2 체결 홀(AH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151)와 제2 체결 홀(AH2)을 관통하는 스크류(SC)가 배치되어, 롤러(151)와 백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 영역(PA2)이 롤러(151)와 체결됨에 따라, 롤러(151)의 회전에 의해, 백커버(110)가 롤러(151)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수 있다. 도 7a에서는 제2 체결 홀(AH2)이 2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 체결 홀(AH2)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지지 영역(PA1)은 제3 지지 영역(PA3)과 제2 지지 영역(PA2) 사이에 배치된 영역이다. 제1 지지 영역(PA1)에는 표시 패널(120)의 일단에 연결된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이 부착된다.
제1 지지 영역(PA1)은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을 보호하기 위해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이 롤러(151)에 곡면이 아닌 평면 형상으로 와인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롤러(151)도 제1 지지 영역(PA1)에 대응하여 일부분이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백커버(110)의 연성 영역(MA)은 표시 패널(120)과 함께 롤러(151)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는 영역이다. 연성 영역(MA)은 표시부(DP)의 다른 구성 중 적어도 표시 패널(120)에는 중첩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백커버(110)의 연성 영역(MA)은 중앙 영역(CA) 및 중앙 영역(CA)의 양 측의 엣지 영역(EA)을 포함한다. 즉, 엣지 영역(EA)은 연성 영역(MA)의 중앙 영역(CA)의 좌측 엣지 영역(EA1) 및 우측 엣지 영역(EA2)을 포함한다. 중앙 영역(CA)은 표시 패널(120)이 배치되는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이고, 엣지 영역(EA)은 연성 영역(MA) 중 중앙 영역(CA)을 제외한 영역이다.
연성 영역(MA)의 중앙 영역(CA)에는 복수의 제1 개구부(111)가 배치된다. 표시부(DP)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때, 복수의 제1 개구부(111)는 표시부(DP)에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DP)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때, 백커버(110)의 연성 영역(MA)은 복수의 제1 개구부(111)가 수축 또는 팽창함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1 개구부(111)가 수축 또는 팽창함으로써, 백커버(110)의 연성 영역(MA) 상에 배치된 표시 패널(120)의 슬립(slip) 현상이 최소화되면서 표시 패널(120)에 가해지는 응력, 즉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표시 패널(120) 및 백커버(110)를 와인딩할 때, 표시 패널(120)과 백커버(110)의 곡률 반경 차이로 인해, 롤러(151)에 와인딩되는 표시 패널(120)의 길이와 백커버(110)의 길이가 차이나게 된다. 예를 들어,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을 롤러(151)에 와인딩할 때,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이 롤러(151)에 한 바퀴 와인딩되기 위해 필요한 길이는 상이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20)이 롤러(151)를 기준으로 백커버(110)보다 외측에 배치되므로, 표시 패널(120)이 롤러(151)에 한 바퀴 와인딩 되기 위해 필요한 길이는, 백커버(110)가 롤러(151)에 한 바퀴 와인딩 되기 위해 필요한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이처럼, 표시부(DP)의 와인딩 시 곡률 반경의 차이에 의해 백커버(110)와 표시 패널(120)에서 와인딩되는 길이가 차이나게 되고, 백커버(110)에 부착된 표시 패널(120)이 미끄러져 원래의 위치에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때, 와인딩에 의해 발생한 응력 및 곡률 반경의 차이로 인해 표시 패널(120)이 백커버(110)로부터 미끄러지는 현상을 슬립 현상이라 정의할 수 있다. 슬립이 과도하게 커지면, 표시 패널(120)이 백커버(110)로부터 탈착되거나, 크랙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표시부(DP)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며 표시부(DP)에 응력이 가해지더라도, 백커버(110)의 복수의 제1 개구부(111)가 유연하게 변형되어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이 롤러(151)에 와인딩될 때,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을 상하 방향으로 변형시키는 응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백커버(110)의 복수의 제1 개구부(111)가 백커버(110)의 상하 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고, 백커버(110)의 길이도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백커버(110)와 표시 패널(120)이 와인딩되는 과정에서 곡률 반경 차이에 의한 백커버(110)와 표시 패널(120)의 길이 차이를 백커버(110)의 복수의 제1 개구부(111)가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백커버(110)와 표시 패널(120)이 와인딩되는 과정에서 복수의 제1 개구부(111)가 변형되어 백커버(110)로부터 표시 패널(120)에 가해지는 응력 또한 완화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 개구부(111)는 이웃하는 행의 복수의 제1 개구부(111)에 대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개구부(111)는, 해당 행에 이웃한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개구부(111)와 엇갈리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홀수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개구부(111)의 중심과, 짝수 행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개구부(111)의 중심은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개구부(111)의 행 방향에 대한 폭(111WR)의 1/2씩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도 7a에 도시된 복수의 제1 개구부(111)의 배치는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제1 개구부(111)가 엇갈리게 배치됨에 따라, 열 방향에서 중심이 서로 일치하는 복수의 제1 개구부(111) 간의 거리(111WB)가 최소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성 영역(MA)에서 열 방향에서 중심이 일치하는 복수의 제1 개구부(111) 사이의 영역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백커버(110)의 와인딩 시, 백커버(110)는 열 방향으로 구부러져야 하므로, 열 방향에서 중심이 일치하는 복수의 제1 개구부(111) 사이의 일부 영역의 거리(111WB)가 길수록, 백커버(110)가 열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개구부(111)를 행 단위로 엇갈리게 배치함에 따라, 행 단위로 엇갈리게 배치되지 않는 경우보다 열 방향에서 중심이 서로 일치하는 복수의 제1 개구부(111) 간의 거리(111WB)를 최소화할 수 있고, 복수의 제1 개구부(111) 간의 영역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열 방향에서 중심이 일치하는 복수의 제1 개구부(111) 간의 거리(111WB)가 감소하고, 연성 영역(MA)에서 열 방향으로 계속하여 연장하여 복수의 제1 개구부(111)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을 제거함에 따라, 열 방향으로 강성을 갖는 복수의 제1 개구부(111) 간의 영역의 거리(111WB)가 최소화되어, 백커버(110)의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백커버(11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 개구부(111)는 행 방향에 대한 최대 폭(111WR)이, 열 방향에 대한 최대 폭(111WC)보다 크다. 즉,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개구부(111)의 가로 방향에 대한 최대 폭(111WR)이 복수의 제1 개구부(111)의 세로 방향에 대한 최대 폭(111WC)보다 클 수 있다.
복수의 제1 개구부(111)의 행 방향에 대한 폭(111WR)이 커질수록 백커버(110)의 연성 영역(MA)이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백커버(110)는 와인딩 시, 백커버(110)의 열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고, 복수의 제1 개구부(111)가 열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응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개구부(111)의 행 방향에 대한 폭(111WR)이 커지면, 복수의 제1 개구부(111)를 열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때, 복수의 제1 개구부(111)가 열 방향으로 늘어나는 폭(111WC)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1 개구부(111)가 열 방향으로 늘어날수록 연성 영역(MA)에 가해지는 응력도 완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개구부(111)의 행 방향에 대한 폭(111WR)을 크게 하여 백커버(110)의 연성 영역(MA)이 용이하게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수 있도록 하고, 연성 영역(MA)에 가해지는 응력도 완화시킬 수 있다.
복수의 제1 개구부(111)의 열 방향에 대한 폭(111WC)이 커질수록 복수의 제1 개구부(111)의 가공이 용이하다. 다만, 복수의 제1 개구부(111)의 열 방향에 대한 폭(111WC)이 커지는 경우, 연성 영역(MA)에서 복수의 제1 개구부(111)의 개구율이 커지고, 연성 영역(MA)에 부착되는 표시 패널(120)과 백커버(110)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게 된다. 이때, 표시 패널(120)과 백커버(110)의 중첩 면적, 즉, 백커버(110)와 제2 접착층(AD2) 간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면, 백커버(110)와 제2 접착층(AD2)의 박리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개구부(111)의 열 방향에 대한 폭(111WC)을 조절하여 표시 패널(120)과 백커버(110) 간의 박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접착력을 조절할 수 있고, 복수의 제1 개구부(111)의 행 방향에 대한 폭(111WR)을 조절하여 백커버(110)가 높은 플렉서빌리티를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때, 제3 지지 영역(PA3)과 제2 지지 영역(PA2)에는 연성 영역(MA)에 형성된 바와 같은 복수의 제1 개구부(111)가 형성되지 않는다. 즉, 제3 영역(PA3) 및 제2 지지 영역(PA2) 각각에는 제1 체결 홀(AH1) 및 제2 체결 홀(AH2)만이 형성될 뿐, 연성 영역(MA)에 형성된 바와 같은 복수의 제1 개구부(111)는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체결 홀(AH1) 및 제2 체결 홀(AH2)은 복수의 제1 개구부(111)와 형상이 서로 상이하다. 제3 지지 영역(PA3) 및 제2 지지 영역(PA2)은 각각 헤드바(164)와 롤러(151)에 고정되는 영역으로, 연성 영역(MA)보다 강성을 가져야 한다. 구체적으로, 제3 지지 영역(PA3) 및 제2 지지 영역(PA2)이 강성을 가짐에 따라, 제3 지지 영역(PA3) 및 제2 지지 영역(PA2)은 헤드바(164) 및 롤러(151)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DP)가 구동부(MP)의 롤러(151) 및 헤드바(164)에 고정되어, 구동부(MP)의 동작에 따라 하우징부(HP)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제1 개구부(111)가 형성된 백커버(110)가 표시 패널(120)의 배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20)을 지지 및 보호한다. 백커버(110)는 금속 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강성을 가지는 동시에, 백커버(110) 중 표시 패널(120)이 배치되는 연성 영역(MA)에 복수의 제1 개구부(111)가 형성되어 백커버(110)의 플렉서빌리티가 향상될 수 있다. 이에,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의 외부에 배치된 풀 언와인딩된 상태에서,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높은 강성을 갖는 백커버(110)는 표시 패널(120)이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지지할 수 있다. 반면,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하우징부(HP)의 내부에 수납된 풀 와인딩된 상태에서, 복수의 제1 개구부(111)에 의해 높은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백커버(110)는 표시 패널(120)과 함께 롤러(151)에 와인딩되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제1 개구부(111)의 행 방향에 대한 폭(111WR)을 조절하여, 백커버(110)가 플렉서빌리티를 가지도록 할 수 있고, 백커버(110)의 와인딩 시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이 롤러에 와인딩될 때, 백커버(110)는 열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고, 복수의 제1 개구부(111)가 열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응력이 가해질 수 있다. 복수의 제1 개구부(111)는 행 방향에 대한 폭(111WR)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이 롤러(151)에 와인딩될 때, 복수의 제1 개구부(111)가 열 방향으로 용이하게 늘어날 수 있고, 백커버(110)에 가해지는 응력이 완화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제1 개구부(111)의 행 방향에 대한 폭(111WR)을 조절하여 백커버(110)의 플렉서빌리티를 높일 수 있고,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이 롤러(151)에 용이하게 와인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개구부(111)가 열 방향으로 팽창하며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할 수 있어, 표시 패널(120)의 파손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제1 개구부(111)의 열 방향에 대한 폭(111WC)을 조절하여, 백커버(110)와 표시 패널(120) 간의 접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20)은 백커버(110)의 연성 영역(MA)에 부착된다. 이때, 연성 영역(MA)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개구부(111)의 개구율이 클수록 표시 패널(120)과 백커버(110)가 접촉하는 면적이 감소되어, 표시 패널(120)과 백커버(110) 간의 접착력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백커버(110)의 복수의 제1 개구부(111)의 열 방향에 대한 폭(111WC)을 작게 형성하여 복수의 제1 개구부(111)의 개구율을 줄일 수 있고, 표시 패널(120)과 백커버(110)의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다. 표시 패널(120)과 백커버(110)의 접촉 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표시 패널(120)과 백커버(110)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제1 개구부(111)의 열 방향에 대한 폭(111WC)을 조절하여, 백커버(110)와 표시 패널(120)간의 박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일정 수준 이상의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연성 영역(MA)의 중앙 영역(CA)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좌측 엣지 영역(EA1) 및 우측 엣지 영역 영역(EA2)이 배치된다. 엣지 영역(EA)은 중앙 영역(CA)과 비교하여 행 방향에 대한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연성 영역(MA)의 엣지 영역(EA)에는 복수의 제2 개구부(112)가 배치된다. 엣지 영역(EA)의 복수의 제2 개구부(112) 간의 간격은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백커버(110)의 연성 영역(MA)은 제3 지지 영역(PA3)과 제1 지지 영역(PA1) 사이의 제1 연성 영역(MA1) 및 제2 지지 영역(PA2)과 제1 지지 영역(PA1) 사이의 제2 연성 영역(MA2)을 포함한다.
제1 연성 영역(MA1)은 제1 지지 영역(PA1)으로부터 백커버(110)의 상측으로 연장된 영역이다. 제1 연성 영역(MA1)은 복수의 제1 개구부(111) 및 복수의 제2 개구부(112)가 배치되고, 표시 패널(120)이 부착되는 영역이다.
제2 연성 영역(MA2)은 제1 지지 영역(PA1)으로부터 백커버(110)의 하측으로 연장된 영역이다. 제1 연성 영역(MA1)에는 복수의 제1 개구부(111) 및 복수의 제2 개구부(112)가 배치되나, 표시 패널(120)이 배치되지는 않는다. 제1 연성 영역(MA1)은 표시 패널(120)의 표시 영역(AA)이 하우징부(HP)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연장된 영역이다. 예를 들어,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이 풀 언와인딩된 상태일 때, 롤러(151)에 고정된 백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으로부터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이 부착된 제1 지지 영역(PA1)까지는 하우징부(HP)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표시 패널(120)이 부착된 제1 연성 영역(MA1) 및 제3 지지 영역(PA3)은 하우징부(HP)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롤러(151)에 고정된 제2 지지 영역(PA2)에서부터 제2 연성 영역(MA2) 및 제1 지지 영역(PA1)의 길이가, 제2 지지 영역(PA2)에서부터 하우징부(HP)의 개구부(HPO)까지의 길이보다 작으면 표시 패널(120)이 부착된 제1 연성 영역(MA1)의 일부가 하우징부(HP)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20)의 표시 영역(AA) 하단의 일부분이 하우징부(HP) 내부에 배치되므로, 영상 시청이 어려울 수 있다. 그러므로, 롤러(151)에 고정된 제2 지지 영역(PA2)으로부터 제2 연성 영역(MA2) 및 제1 지지 영역(PA1)의 길이가, 롤러(151)에 고정된 제2 지지 영역(PA2)으로부터 하우징부(HP)의 개구부(HPO)까지의 길이와 동일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1 연성 영역(MA1)은 제1 서브 연성 영역(SA1), 제2 서브 연성 영역(SA2) 및 제3 서브 연성 영역(SA3)을 포함한다.
제1 연성 영역(MA1)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은 제1 지지 영역(PA1)으로부터 연장하는 영역이다. 제1 연성 영역(MA1)의 제2 서브 연성 영역(SA2)은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으로부터 연장하는 영역이고, 제1 연성 영역(MA1)의 제3 서브 연성 영역(SA3)은 제2 서브 연성 영역(SA2)으로부터 연장하는 영역으로 제3 지지 영역(PA3)과 연결된다. 이때, 백커버(110)를 풀 언와인딩한 경우, 제1 연성 영역(MA1) 모두는 하우징부(HP) 외부에 배치된다. 또한, 백커버(110)를 와인딩한 경우, 제1 연성 영역(MA1)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 및 제2 서브 연성 영역(SA2)은 롤러(151)에 와인딩되는 반면, 제1 연성 영역(MA1)의 제3 서브 연성 영역(SA3) 및 제3 지지 영역(PA3)은 롤러(151)에 와인딩되지 않고 평탄한 상태를 유지한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백커버(110)가 와인딩되어 제1 지지 영역(PA1)이 롤러(151)의 평면에 안착되는 경우, 제1 연성 영역(MA1)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은 롤러(151)의 평면에 인접하는 곡면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롤러(151)의 평면과 곡면의 경계 부분은 곡률 반경이 가장 작은 부분이므로, 와인딩 시에 발생하는 응력에 의해 백커버(110)가 손상될 수 있다. 이에, 제1 연성 영역(MA1)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12) 간의 간격(RA1)은 좁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즉, 백커버(110)의 엣지 영역(EA)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12) 간의 간격(RA1)을 좁게 하여 와인딩 시 백커버(110)가 롤러(151)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최소화하고, 백커버(110)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백커버(110)를 풀 언와인딩한 경우, 제1 연성 영역(MA1)의 제2 서브 연성 영역(SA2) 및 제3 서브 연성 영역(SA3)은 하우징부(HP) 외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표시 패널(120)을 통해 영상을 시청할 때 제1 연성 영역(MA1)의 제2 서브 연성 영역(SA2) 및 제3 서브 연성 영역(SA3)은 표시 패널(120)의 뒤에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성 영역(MA1)의 제2 서브 연성 영역(SA2) 및 제3 서브 연성 영역(SA3)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12)의 간격(RA2)이 좁을 경우, 사용자에게 이질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백커버(110)의 엣지 영역(EA)은 표시부(DP)의 최외곽 부분으로, 복수의 제2 개구부(112)에 의해 백커버(110)의 측부가 날카로운 패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제2 개구부(112)의 간격(RA2)이 좁을 경우, 백커버(110)의 측부가 패턴의 폭이 감소되어 매우 날카로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외부의 충격에 취약하여 쉽게 변형될 수 있고, 날카로운 엣지에 사용자 또한 부상을 당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제1 연성 영역(MA1)의 제2 서브 연성 영역(SA2) 및 제3 서브 연성 영역(SA3)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개구부(112) 간의 간격(RA2)을 제1 연성 영역(MA1)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개구부(112) 간의 간격(RA1)보다 크게 하여, 외관 측면에서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이질감을 최소화하고, 외부 충격에 대한 내충격성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부상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2 연성 영역(MA2)은 제1 서브 연성 영역(SA1), 제2 서브 연성 영역(SA2) 및 제3 서브 연성 영역(SA3)을 포함한다.
제2 연성 영역(MA2)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은 제1 지지 영역(PA1)으로부터 연장하는 영역이다. 제2 연성 영역(MA2)의 제2 서브 연성 영역(SA2)은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으로부터 연장하는 영역이고, 제2 연성 영역(MA2)의 제3 서브 연성 영역(SA3)은 제2 서브 연성 영역(SA2)으로부터 연장하는 영역으로 제2 지지 영역(PA2)과 연결된다. 이때, 백커버(110)를 풀 언와인딩한 경우, 제2 연성 영역(MA2) 모두는 하우징부(HP)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백커버(110)를 풀 와인딩한 경우, 제2 연성 영역(MA2) 모두는 롤러(151)에 와인딩된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먼저, 제2 지지 영역(PA2)은 롤러(151)와 체결되는 영역이다. 이에, 제2 지지 영역(PA2)은 롤러(151)의 평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지지 영역(PA2)의 제2 체결 홀(AH2)을 관통하는 스크류(SC)에 의해 백커버(110)가 롤러(151)에 체결될 수 있다.
백커버(110)가 와인딩되는 경우, 제2 연성 영역(MA2)의 제3 서브 연성 영역(SA3)은 롤러(151)의 평면에 인접하는 곡면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롤러(151)의 평면과 곡면의 경계 부분은 곡률 반경이 가장 작은 부분이므로, 와인딩 시에 발생하는 응력에 의해 백커버(110)가 손상될 수 있다. 이에, 제2 연성 영역(MA2)의 제3 서브 연성 영역(SA3)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12) 간의 간격(RA5)은 좁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즉, 백커버(110)의 엣지 영역(EA)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12) 간의 간격(RA5)을 좁게 하여 와인딩 시 백커버(110)가 롤러(151)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최소화하고, 백커버(110)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백커버(110)가 와인딩되는 경우, 제2 연성 영역(MA2)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은 롤러(151)의 평면에 인접하는 곡면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롤러(151)의 평면과 곡면의 경계 부분은 곡률 반경이 가장 작은 부분이므로, 와인딩 시에 발생하는 응력에 의해 백커버(110)가 손상될 수 있다. 이에, 제2 연성 영역(MA2)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12) 간의 간격(RA3) 또한 좁게 설정하여, 와인딩 시 백커버(110)가 롤러(151)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최소화하고, 백커버(110)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제2 연성 영역(MA2)의 제2 서브 연성 영역(SA2)은, 백커버(110)가 와인딩되는 경우, 롤러(151)의 곡면에 안착되게 된다. 따라서, 제2 연성 영역(MA2)의 제2 서브 연성 영역(SA2)은 와인딩 시 발생하는 응력을 반드시 고려할 필요는 없다. 이에, 제2 연성 영역(MA2)의 제2 서브 연성 영역(SA2)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12) 간의 간격(RA4)보다 제2 연성 영역(MA2)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 및 제3 서브 연성 영역(SA3)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12) 간의 간격(RA3, RA5)이 더 좁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이 롤러(151)에 와인딩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8a 내지 도 8c를 함께 참조한다.
<백커버 및 표시 패널의 와인딩 과정>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롤러(151)에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이 풀 언와인딩된 상태에서 단면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롤러(151)는 전체적으로는 원통 형상이지만, 일부분이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롤러(151) 외주면의 일부분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외주면의 나머지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롤러(151)의 평면 부분에 제2 지지 영역(PA2)이 체결된다. 롤러(151)에 체결된 제2 지지 영역(PA2)을 제외하고, 제2 지지 영역(PA2)으로부터 연장된 백커버(110)의 나머지 부분은 평평한 상태일 수 있다.
제1 지지 영역(PA1)에 배치된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 상에 커버부(CP)가 더 배치된다. 커버부(CP)는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을 덮도록 배치되며,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부(CP)는 인쇄 회로 기판(140) 및 플렉서블 필름(130)을 보호할 수 있으며, 수지 등과 같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7a 및 도 7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백커버(110)가 풀 언와인딩된 상태일 때, 백커버(110)의 제2 연성 영역(MA2) 및 제1 지지 영역(PA1)은 하우징부(HP)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 연성 영역(MA1)은 하우징부(HP)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롤러(151)의 평면과 곡면의 경계 부분은 곡률 반경(R)이 가장 작은 부분이고, 이 부분에 백커버(110)의 제2 연성 영역(MA2)의 제3 서브 연성 영역(SA3)이 배치된다. 따라서, 와인딩 시에 발생하는 응력에 의해 제2 연성 영역(MA2)의 제3 서브 연성 영역(SA3)이 손상될 수 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제2 연성 영역(MA2)의 제3 서브 연성 영역(SA3)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12) 간의 간격(RA5)을 제2 연성 영역(MA2)의 제2 서브 연성 영역(SA2)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12) 간의 간격(RA4)보다 작게 하여 백커버(110)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제2 연성 영역(MA2)의 제3 서브 연성 영역(SA3)의 열 방향의 폭은 제2 지지 영역(PA2)과 제2 연성 영역(MA2)의 경계에서의 롤러(151)의 곡률 반경(R)의 1/4 이상일 수 있다. 즉, 복수의 제2 개구부(112)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 대한 제2 연성 영역(MA2)의 제3 서브 연성 영역(SA3)의 폭은 제2 지지 영역(PA2)과 제2 연성 영역(MA2)의 경계에서의 롤러(151)의 곡률 반경(R)의 1/4 이상일 수 있다. 제2 연성 영역(MA2)의 제3 서브 연성 영역(SA3)의 열 방향의 폭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 제2 연성 영역(MA2)의 제3 서브 연성 영역(SA3)에서의 복수의 제2 개구부(112) 간의 간격(RA5)을 좁게 하더라도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없다. 이에, 제2 연성 영역(MA2)의 제3 서브 연성 영역(SA3)의 열 방향의 폭을 제2 지지 영역(PA2)과 제2 연성 영역(MA2)의 경계에서의 롤러(151)의 곡률 반경(R)의 1/4 이상으로 설정하여, 와인딩 시에 발생하는 응력에 의해 제2 연성 영역(MA2)의 제3 서브 연성 영역(SA3)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b를 참조하면, 롤러(151)에 백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 제2 연성 영역(MA2) 및 제1 지지 영역(PA1)이 와인딩된 상태이고, 제1 지지 영역(PA1)으로부터 연장된 제1 연성 영역(MA1)은 언와인딩된 상태이다.
롤러(151)의 외주면 중 평면 부분에는 제1 지지 영역(PA1) 및 제2 지지 영역(PA2)이 배치되고, 곡면 부분에는 제2 연성 영역(MA2)이 배치된다.
인쇄 회로 기판(140) 및 플렉서블 필름(130)이 부착된 제1 지지 영역(PA1)은 롤러(151)의 평면 부분에 와인딩되므로, 제1 지지 영역(PA1)과 제1 지지 영역(PA1)의 인쇄 회로 기판(140) 및 플렉서블 필름(130)은 구부러지지 않고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은 표시부(DP)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는 것과 관계없이 항상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고,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이 구부러짐에 따라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도 8b를 참조하면, 롤러(151)의 평면과 곡면의 경계 부분은 곡률 반경(R)이 가장 작은 부분이고, 이 부분에 백커버(110)의 제2 연성 영역(MA2)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 및 제1 연성 영역(MA1)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이 배치된다. 따라서, 와인딩 시에 발생하는 응력에 의해 제2 연성 영역(MA2)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 및 제1 연성 영역(MA1)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이 손상될 수 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제2 연성 영역(MA2)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12) 간의 간격(RA3)을 제2 연성 영역(MA2)의 제2 서브 연성 영역(SA2)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12) 간의 간격(RA4)보다 작게 하고, 제1 연성 영역(MA1)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12) 간의 간격(RA1)을 제1 연성 영역(MA1)의 제2 서브 연성 영역(SA2)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12) 간의 간격(RA2)보다 작게 하여 백커버(110)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제2 연성 영역(MA2)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 및 제1 연성 영역(MA1)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의 열 방향의 폭 각각은 제1 지지 영역(PA1)과 제2 연성 영역(MA2)의 경계 및 제1 지지 영역(PA1)과 제1 연성 영역(MA1)의 경계에서의 롤러(151)의 곡률 반경(R)의 1/4 이상일 수 있다. 즉, 복수의 제2 개구부(112)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 대한 제2 연성 영역(MA2)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 및 제1 연성 영역(MA1)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의 폭은 제1 지지 영역(PA1)과 제2 연성 영역(MA2)의 경계 및 제1 지지 영역(PA1)과 제1 연성 영역(MA1)의 경계에서의 롤러(151)의 곡률 반경(R)의 1/4 이상일 수 있다. 제2 연성 영역(MA2)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 및 제1 연성 영역(MA1)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의 열 방향의 폭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 제2 연성 영역(MA2)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 및 제1 연성 영역(MA1)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에서의 복수의 제2 개구부(112) 간의 간격(RA1, RA3)을 좁게 하더라도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억제할 수 없다. 이에, 제2 연성 영역(MA2)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 및 제1 연성 영역(MA1)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의 열 방향의 폭 각각은 제1 지지 영역(PA1)과 제2 연성 영역(MA2)의 경계 및 제1 지지 영역(PA1)과 제1 연성 영역(MA1)의 경계에서의 롤러(151)의 곡률 반경(R)의 1/4 이상으로 설정하여, 와인딩 시에 발생하는 응력에 의해 제2 연성 영역(MA2)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 및 제1 연성 영역(MA1)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c를 참조하면, 롤러(151)에 백커버(110)의 제2 지지 영역(PA2), 제2 연성 영역(MA2) 및 제1 지지 영역(PA1)이 와인딩된 상태에서 제1 연성 영역(MA1)의 일부분이 더 와인딩된 상태이다.
제1 연성 영역(MA1)의 일부분은 롤러(151)의 곡면 부분에 중첩하도록 와인딩될 수 있다. 즉, 롤러(151)의 곡면 부분에 와인딩된 제2 연성 영역(MA2) 상에 와인딩된 제1 연성 영역(MA1)의 일부분은 롤러(151)의 곡면 형상을 따라 구부러질 수 있다.
제1 연성 영역(MA1)의 다른 일부분은 롤러(151)의 평면 부분에 중첩하도록 와인딩될 수 있다. 롤러(151)의 평면 부분에 와인딩된 제2 지지 영역(PA2) 및 제1 지지 영역(PA1) 상에 와인딩된 제1 연성 영역(MA1)의 다른 일부분은, 제1 연성 영역(MA1)의 일부분처럼 구부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성 영역(MA1)은 제1 지지 영역(PA1)을 덮도록 롤러(151)에 와인딩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성 영역(MA1)과 제1 지지 영역(PA1) 사이에 커버부(CP)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연성 영역(MA1)은 제1 지지 영역(PA1)의 커버부(CP)를 덮도록 와인딩될 수 있고, 커버부(CP)의 형상을 따라 구부러질 수 있다. 커버부(CP)는 곡면을 가지므로, 제1 연성 영역(MA1) 또한 곡면을 따라 구부러질 수 있다. 특히, 커버부(CP)의 상면의 곡면 형상은 롤러(15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므로, 롤러(151)에 와인딩된 제1 연성 영역(MA1)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제1 지지 영역(PA1)이 항상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여, 제1 지지 영역(PA1)에 부착된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지지 영역(PA1)은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이 부착되는 영역으로, 항상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제1 지지 영역(PA1)은 항상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제1 개구부(111) 및 제2 개구부(112)가 형성될 필요가 없는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백커버(110)가 롤러(151)에 와인딩될 때, 백커버(110)는 롤러(151)의 형상을 따라 구부러지며 와인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제1 지지 영역(PA1)이 와인딩되는 롤러(151)의 일부분을 평면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1 지지 영역(PA1)이 롤러(151)에 평평하게 와인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지지 영역(PA1)은 롤러(151)에 와인딩됨에도 불구하고 항상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1 지지 영역(PA1)에 부착된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도 항상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DP)가 풀 언와인딩된 상태일 경우,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은 높은 강성을 갖는 제1 지지 영역(PA1)에 의해 평탄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반대로 표시부(DP)가 풀 와인딩된 상태일 경우,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은 롤러(151)의 평면 부분에 안착되므로 평탄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이 반복적으로 구부러지지 않을 수 있어,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백커버의 복수의 개구부의 다양한 형상>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백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의 백커버(910a, 910b, 910c)는 도 1 내지 도 8c의 백커버(110)와 비교하여,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911b, 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 912b, 912c)의 형상만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백커버(910a)의 연성 영역(MA)에 및 연성 영역(MA)의 엣지 영역(EA)에 각각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가 배치되고,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는 타원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는 행 방향에서 장축을 갖고, 열 방향에서 단축을 갖는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9b를 참조하면, 백커버(910b)의 연성 영역(MA)에 및 연성 영역(MA)의 엣지 영역(EA)에 각각 복수의 제1 개구부(911b)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b)가 배치되고, 복수의 제1 개구부(911b)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b)는 리본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 개구부(911b)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b)의 열 방향에 대한 폭은 복수의 제1 개구부(911b)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b)의 양 끝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따라서, 복수의 제1 개구부(911b)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b)는 리본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9c를 참조하면, 백커버(910c)의 연성 영역(MA)에 및 연성 영역(MA)의 엣지 영역(EA)에 각각 복수의 제1 개구부(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c)가 배치되고, 복수의 제1 개구부(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c)는 아령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 개구부(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c)의 열 방향에 대한 폭은 복수의 제1 개구부(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c)의 중심을 향할수록 작아지고, 복수의 제1 개구부(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c)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커진다. 이때, 열 방향에서 복수의 제1 개구부(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c)의 양측 단부의 형상은 라운드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개구부(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c)는 아령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9a 내지 도 9c에서는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911b, 911c)가 타원 형상, 리본 형상 및 아령 형상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911b, 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 912b, 912c)는 행 방향에 대한 폭이 열 방향에 대한 폭보다 크다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911b, 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 912b, 912c)는 직사각형 형상, 마름모 형상 등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도 9a 내지 도 9c에서는 백커버(910a, 910b, 910c)의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911b, 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 912b, 912c)의 형상이 모두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백커버(910a, 910b, 910c)의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911b, 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 912b, 912c)의 형상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들에서 백커버(910a, 910b, 910c)의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911b, 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 912b, 912c)의 형상은 표시 패널(120)에 가해지는 응력을 최소화하고 백커버(910a, 910b, 910c)가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백커버(910a, 910b, 910c)에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911b, 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 912b, 912c)가 형성됨에 따라, 백커버(910a, 910b, 910c)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때, 백커버(910a, 910b, 910c)가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911b, 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 912b, 912c)는 유연하게 변형되어 백커버(910a, 910b, 910c)의 와인딩 시 발생하는 응력이 분산될 수 있고, 백커버(910a, 910b, 910c)의 연성 영역(MA)에 배치된 표시 패널(120)에 가해지는 응력 또한 최소화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911b, 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 912b, 912c)는 행 방향에서 경계면이 평행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911b, 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 912b, 912c)의 열 방향으로 백커버(910a, 910b, 910c)가 와인딩될 때,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911b, 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 912b, 912c)를 상하로 늘리는 방향, 즉, 열 방향으로 응력이 가해지고, 행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911b, 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 912b, 912c)의 경계면에 응력이 집중될 수 있다. 이때, 행 방향에서 복수의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911b, 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 912b, 912c)의 경계면이 행 방향과 평행하지 않으면, 즉,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911b, 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 912b, 912c)의 경계면이 행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하면,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911b, 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 912b, 912c)의 경계면에서의 법선 방향이 여러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고, 응력 또한 여러 방향으로 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의 백커버(910a)에서와 같이,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가 타원 형상인 경우, 행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의 경계면은 곡면을 가진다. 그러므로, 타원 형상의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에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의 경계면인 곡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 응력이 여러 방향으로 분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b의 백커버(910b)에서와 같이, 복수의 제1 개구부(911b)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b)가 리본 형상인 경우, 행 방향에서 복수의 제1 개구부(911b)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b)의 경계면은 경사면을 가진다. 그러므로, 리본 형상의 복수의 제1 개구부(911b)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b)에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복수의 제1 개구부(911b)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b)의 경계면인 경사면을 따라 응력이 분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9c의 백커버(910c)에서와 같이, 복수의 제1 개구부(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c)가 아령 형상인 경우, 행 방향에서 복수의 제1 개구부(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c)의 경계면은 곡면을 가진다. 그러므로, 아령 형상의 복수의 제1 개구부(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c)에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복수의 제1 개구부(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c)의 경계면인 곡면의 법선 방향을 따라 응력이 분산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1 개구부(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c)의 양측 단부가 상대적으로 좁고, 각지게 형성된 경우, 복수의 제1 개구부(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c)의 양측 단부에 응력이 집중될 수 있다. 이때, 아령 형상의 복수의 제1 개구부(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c)는 양측 단부가 곡면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의 제1 개구부(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c)의 양측 단부는 복수의 제1 개구부(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c)의 중앙 부분과 비교하여 열 방향에 대한 폭이 넓을 수 있다. 따라서, 아령 형상의 복수의 제1 개구부(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c)에서는 열 방향에 대한 양측 단부의 폭을 넓게 형성하고, 곡면을 갖도록 형성하여 복수의 제1 개구부(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c)의 양측 단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백커버(910a, 910b, 910c)의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911b, 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 912b, 912c)는 행 방향에서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911b, 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 912b, 912c)의 경계면이 행 방향과 평행하지 않게 형성되어, 백커버(910a, 910b, 910c)의 와인딩 시 열 방향으로 복수의 제1 개구부(911a, 911b, 911c) 및 복수의 제2 개구부(912a, 912b, 912c)를 팽창시키도록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백커버의 길이 보상 영역>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백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10의 백커버(1010)는 도 1 내지 도 8c의 백커버(110)와 비교하여, 길이 보상 영역(LA)만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백커버(1010)의 제1 지지 영역(PA1)과 제2 지지 영역(PA2) 사이에 길이 보상 영역(LA)이 배치된다. 길이 보상 영역(LA)은 제1 지지 영역(PA1)과 제2 지지 영역(PA2) 사이에 배치되어, 롤러(151)와 하우징부(HP)의 개구부(HPO) 간의 거리를 보상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이 풀 언와인딩된 경우, 제1 연성 영역(MA1) 및 제3 지지 영역(PA3)만이 하우징부(HP)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에, 제1 지지 영역(PA1)과 제2 지지 영역(PA2)을 연결하는 영역이 필요하고, 해당 영역은 롤러(151)에 와인딩되므로, 복수의 제1 개구부(1011) 및 복수의 제2 개구부(1012)를 포함한다.
길이 보상 영역(LA)은 항상 하우징부(HP) 내부에 배치된다. 이에, 길이 보상 영역(LA)은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는 영역이므로, 외곽 측면에서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이질감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다만, 길이 보상 영역(LA)은 백커버(1010) 중 제1 연성 영역(MA1)보다 먼저 롤러(151)에 와인딩되는 영역이므로, 상대적으로 보다 강한 응력이 작용할 수 있는 영역이다. 이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커버(1010)에서는 길이 보상 영역(LA)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012) 간의 간격(RA6)이 제1 연성 영역(MA1)의 제2 서브 연성 영역(SA2)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012) 간의 간격(RA2) 및 제1 연성 영역(MA1)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012) 간의 간격(RA1) 보다 좁거나 같을 수 있다. 또한, 길이 보상 영역(LA)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012) 간의 간격(RA6)은 일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커버(101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지 않는 영역인 길이 보상 영역(LA)에 대해서 외관 측면을 고려하지 않고 오직 와인딩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응력에 의한 손상 측면만을 고려할 수 있다. 이에, 보상 영역(LA)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012) 간의 간격(RA6)을 제1 연성 영역(MA1)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012) 간의 간격(RA1)보다 좁거나 같게 할 수 있다. 이에, 와인딩 시 백커버(1010)가 롤러(151)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최소화하고, 백커버(1010)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백커버의 플렉서빌리티 향상>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백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11의 백커버(1110)는 도 1 내지 도 8c의 백커버(110)와 비교하여 복수의 제1 개구부(1111) 및 복수의 제2 개구부(1112)의 형상만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연성 영역(MA)의 엣지 영역(EA)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112)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대응하는 중앙 영역(CA)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개구부(1111)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성 영역(MA1) 및 제2 연성 영역(MA2)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112) 중 제2 연성 영역(MA2)의 엣지 영역(EA)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112)는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제1 개구부(1111)와 연결되어 하나의 개구부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성 영역(MA2)에서는 백커버(1110)의 엣지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개구부(1112)가 복수의 제1 개구부(1111)와 연결되어, 제2 연성 영역(MA2)의 중앙 영역(CA)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제2 연성 영역(MA2)에서 백커버(1110)의 엣지로부터 연장하여 일체화된 제2 개구부(1112) 및 제1 개구부(1111)의 길이는, 제1 연성 영역(MA1)에서 백커버(1110)의 엣지로부터 연장하는 제2 개구부(1112)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커버(1110)에서는 제2 연성 영역(MA2)의 엣지 영역(EA)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112)는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제1 개구부(1111)와 연결되어 하나의 개구부를 이룰 수 있다. 이에, 제2 연성 영역(MA2)의 엣지 영역(EA)이 보다 유연한 성질을 가질 수 있고, 와인딩 시 백커버(1110)가 롤러(151)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최소화하고, 백커버(1110)가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엣지 영역(EA)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112)가 인접하는 복수의 제1 개구부(1111)과 연결되는 경우 엣지 영역(EA)의 유연성이 증가하므로, 백커버(1110)의 측면을 타격하면 백커버(1110)가 용이하게 손상될 수도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연성 영역(MA2)은 풀 언와인딩 시에도 하우징부(HP) 내부에 배치되므로,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백커버(1110)의 측면에 충격이 가해질 가능성이 없다. 이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커버(1110)에서는 백커버(1110)의 측면 강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제2 연성 영역(MA2)의 엣지 영역(EA)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112)를 인접하는 복수의 제1 개구부(1111)와 연결하여, 백커버(1110)의 롤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연성 영역(MA1)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112) 또한 인접하는 복수의 제1 개구부(1111)과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연성 영역(MA1)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은 제1 지지 영역(PA1)과 인접하는 영역이므로, 제1 연성 영역(MA1)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 또한 유연한 성질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제1 연성 영역(MA1)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은 풀 언와인딩 시에 하우징부(HP)의 개구부(HPO)에 매우 인접하게 배치되는 영역이므로, 사용자가 제1 연성 영역(MA1)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의 측면에 충격을 가할 가능성이 매우 낮은 영역이다. 이에, 제1 연성 영역(MA1)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에서의 롤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제1 연성 영역(MA1)의 제1 서브 연성 영역(SA1)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1112) 또한 인접하는 복수의 제1 개구부(1111)과 연결될 수도 있다.
<보호 레진 - 표시 패널 손상 및 사용자 부상 방지 기능>
도 1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의 표시 장치(1200)는 도 1 내지 도 8c의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보호 레진(1270)이 추가되었을 뿐,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a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장치(1200)의 다양한 구성 중 백커버(110) 및 보호 레진(1270)만을 도시하였다.
먼저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보호 레진(1270)은 백커버(110)에 의해 표시 패널(120)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백커버(110)의 날카로운 엣지에 의해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레진이다. 보호 레진(1270)은 표시 패널(120)이 부착된 백커버(110)의 일 면의 반대면, 즉, 백커버(110)의 배면에 배치된다. 보호 레진(1270)은 다양한 수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등의 물질을 스크린 프린팅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a를 참조하면, 열 방향에 대한 보호 레진(1270)과 백커버(110)의 폭과 동일하고, 행 방향에 대한 보호 레진(1270)의 폭은 백커버(110)의 폭보다 크다. 즉, 보호 레진(1270)은 열 방향에 대해 백커버(110)의 제3 지지 영역(PA3)부터 제1 지지 영역(PA1)까지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고, 행 방향에 대해 백커버(110)의 좌측 엣지 영역(EA1)으로부터 우측 엣지 영역(EA2)까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즉, 백커버(110)의 면적보다 보호 레진(1270)의 면적이 넓을 수 있다. 이에, 보호 레진(1270)은 표시 장치(1200)의 전면에서 시인하였을 때, 복수의 제1 개구부(111) 및 복수의 제2 개구부(112)와 백커버(110) 외측의 영역에서 시인될 수 있다.
백커버(110)는 강성을 갖는 금속 물질이나 플라스틱 물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백커버(110)의 좌측 엣지 및 우측 엣지는 매우 날카로울 수 있다. 또한, 백커버(110)가 두꺼운 경우 표시 패널(120) 및 백커버(110)를 와인딩 및 언와인딩하는데 많은 응력이 발생할 수 있고, 백커버(110) 자체가 소성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백커버(110)는 약 200㎛ 의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백커버(110)의 얇고 날카로운 엣지는 외부의 충격에 취약하여 쉽게 변형될 수 있고, 날카로운 엣지에 사용자 또한 부상을 당할 위험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200)에서는 백커버(110)의 배면에 보호 레진(1270)을 배치하여, 날카로운 엣지를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 레진(1270)은 백커버(110)의 좌측 엣지 영역(EA1)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고 우측 엣지 영역(EA2)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백커버(110)의 최좌측 엣지 부분 및 최우측 엣지 부분에 의해 부상당할 위험성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백커버(110)의 최좌측 엣지 부분 및 최우측 엣지 부분이 외력에 의해 변형될 가능성 또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백커버(110)가 와인딩 되는 경우, 표시 패널(120)에 대한 백커버(110)의 복수의 제1 개구부(111) 및 복수의 제2 개구부(112)의 간섭이 생길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151)에 의해 백커버(110) 및 표시 패널(120)이 와인딩되는 과정에서, 백커버(110) 상에 표시 패널(120)이 직접 접촉하도록 와인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백커버(110)는 강성을 갖는 금속 물질이나 플라스틱 물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백커버(110)에는 복수의 제1 개구부(111) 및 복수의 제2 개구부(112)가 배치되므로, 백커버(110)에 의해 표시 패널(120)의 전면, 특히, 기판(121)이나 기판(121) 상에 배치되는 편광 필름 등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200)에서는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레진(1270)이 백커버(110)의 배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백커버(110)와 표시 패널(120)이 직접 접촉하는 방식으로 와인딩되지 않고, 와인딩 시에 백커버(110)와 표시 패널(120) 사이에 보호 레진(1270)이 배치되도록 하여, 백커버(110)와 표시 패널(120) 사이의 간섭에 의해 표시 패널(120)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200)에서는 백커버(110)의 배면에 평평한 형상의 보호 레진(1270)을 배치하여, 백커버(110)의 배면의 형상에 의해 불균형하게 와인딩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즉, 백커버(110)는 복수의 제1 개구부(111) 및 복수의 제2 개구부(112)를 포함하므로, 보호 레진(1270) 없이 와인딩을 하는 경우, 백커버(110)의 배면의 단차에 의해 불균형하게 백커버(110)가 와인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200)에서는 백커버(110)의 배면에 평평한 형상의 보호 레진(1270)을 배치하므로, 보호 레진(1270)이 평평한 형상의 배면을 제공하므로, 보호 레진(1270)과 표시 패널(120)이 균형있게 와인딩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에서는 도 1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백커버(110)에 보호 레진(1270)이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백커버에 보호 레진(1270)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보호 레진 - 백커버의 개구부에 의한 시인성 저하 방지>
도 1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의 표시 장치(1300)는 도 12a 내지 12c의 표시 장치(1200)와 비교하여, 보호 레진(1370)만이 변경되었을 뿐,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보호 레진(1370)은 표시 패널(120)이 부착된 백커버(110)의 일 면의 반대면, 즉, 백커버(110)의 배면에 배치되고, 백커버(110)의 복수의 제1 개구부(111) 및 복수의 제2 개구부(112)를 충진한다. 이에,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커버(110)의 일 면과 보호 레진(1370)에 의해 표시 패널(120)이 부착되는 면이 평평할 수 있다. 이때, 보호 레진(1370)은 블랙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300)는 롤러블 표시 장치로 구현되어야 하므로, 표시 패널(120)은 매우 얇은 두께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표시 패널(120)을 통해 영상을 시청하는 과정에서 표시 패널(120) 뒤에 배치된 백커버(110)의 복수의 제1 개구부(111)가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20)의 얇은 두께에 의해 표시 패널(120) 뒤에 배치된 백커버(110)의 패턴이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300)에서는 보호 레진(1370)이 백커버(110)의 복수의 제1 개구부(111) 및 복수의 제2 개구부(112)를 충진하여, 표시 패널(120)이 부착되는 면이 평평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표시 장치(1300)를 전면에서 시인하는 경우, 백커버(110)의 복수의 제1 개구부(111) 및 복수의 제2 개구부(112)에 의한 패턴 형상이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보호 레진(1370)이 블랙 물질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백커버(110)가 배치된 영역과 보호 레진(1370)이 배치된 영역 간의 이질감이 보다 감소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b에서는 도 1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백커버(110)에 보호 레진(1370)이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백커버에 보호 레진(1370)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 보호 레진의 제조 공정>
도 14a 내지 도 14f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300)의 제조 공정에 따른 백커버(110)의 평면도고, 도 14b는 도 14a의 XIVb-XIVb'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300)의 제조 공정에 따른 백커버(110)의 평면도이고, 도 14d는 도 14c의 XIVd-XIVd'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4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300)의 제조 공정에 따른 백커버(110)의 평면도이고, 도 14f는 도 14e의 XIVf-XIVf'에 따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백커버(110)의 제1 지지 영역(PA1) 및 제3 지지 영역(PA3)으로부터 연장된 브릿지(FB)에 의해 백커버(110)와 프레임(F)이 연결된다. 이때, 프레임(F)은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백커버(110)와 이격될 수 있다. 다만, 프레임(F)은 백커버(110)의 제1 지지 영역(PA1) 및 제3 지지 영역(PA3)으로부터 연장된 브릿지(FB)에 의해 백커버(1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F), 브릿지(FB) 및 백커버(110)는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프레임(F)과 백커버(110)는 엣지 영역(EA)을 통해 연결되지는 않는다. 도 14a에서는 브릿지(FB)가 제1 지지 영역(PA1) 및 제3 지지 영역(PA3)으로부터 5개씩 연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브릿지(FB)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4b를 참조하면, 프레임(F)의 두께는 백커버(110)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프레임(F), 브릿지(FB) 및 백커버(110)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보호 레진(1370)을 스크린 프린팅 방식으로 형성하는데, 이 과정에서 보호 레진(1370)이 프레임(F)보다 외측으로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F)의 두께는 백커버(110)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어서, 도 14c 및 도 14d를 참조하면, 백커버(110)의 배면에 보호 레진(1370)용 물질을 도포한 후 경화하여, 보호 레진(1370)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F), 브릿지(FB) 및 백커버(110)를 특정 지지 스테이지에 배치한 상태에서, 보호 레진(1370)용 물질을 백커버(110)의 배면에 도포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의 두께가 백커버(110)의 두께보다 두꺼우므로, 보호 레진(1370)용 물질은 프레임(F)을 넘치지 않을 수 있고, 보호 레진(1370)용 물질은 복수의 제1 개구부(111) 및 복수의 제2 개구부(112)를 충진할 수 있다. 또한, 보호 레진(1370)용 물질은 백커버(110)의 엣지 영역(EA)과 백커버(110) 사이의 영역을 충진할 수 있다. 이후, 보호 레진(1370)용 물질을 경화하여 보호 레진(137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4e 및 도 14f를 참조하면, 보호 레진(1370)이 형성된 후, 백커버(110)와 프레임(F) 및 브릿지(FB)를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지지 영역(PA3)과 브릿지(FB)가 접하는 부분 및 제1 지지 영역(PA1)과 브릿지(FB)가 접하는 부분을 절단하여, 백커버(110)와 프레임(F) 및 브릿지(FB)를 분리할 수 있다. 이에, 열 방향으로는 보호 레진(1370)과 백커버(110)의 폭이 동일할 수 있고, 행 방향으로는 보호 레진(1370)의 폭이 백커버(11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 홀(AH1) 및 제2 체결 홀(AH2)에 형성된 보호 레진(1370)을 제거하여, 제1 체결 홀(AH1) 및 제2 체결 홀(AH2)에 스크류(SC)가 체결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300)의 제조 공정에서는 백커버(110) 제조 과정에서 프레임(F) 및 브릿지(FB)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고, 단순히 스크린 프린팅 방식 및 절단 공정 만으로도 용이하게 보호 레진(1370)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정이 간단하고 공정 비용이 저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의 일 면에 부착되고, 적어도 표시 패널과 중첩하고 복수의 개구부가 배치된 연성 영역 및 연성 영역과 인접한 지지 영역이 정의된 백커버를 포함하고, 연성 영역은 중앙 영역 및 중앙 영역의 양 측의 엣지 영역을 포함하고, 복수의 개구부는 연성 영역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개구부 및 연성 영역의 엣지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연성 영역은 지지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서브 연성 영역 및 제1 서브 연성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서브 연성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서브 연성 영역에서의 복수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은 제2 서브 연성 영역에서의 복수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보다 좁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롤러를 포함하고, 백커버 및 표시 패널을 와인딩(winding) 또는 언와인딩(unwinding)시키는 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롤러는 평면부 및 곡면부를 포함하고, 지지 영역은 평면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지지 영역에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지지 영역은 인쇄 회로 기판이 배치되는 제1 지지 영역을 포함하고, 연성 영역은 표시 패널이 배치되는 제1 연성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연성 영역의 제1 서브 연성 영역에서의 복수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은 제1 연성 영역의 제2 서브 연성 영역에서의 복수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보다 좁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지지 영역은 롤러와 체결되는 제2 지지 영역을 더 포함하고, 백커버는 제1 지지 영역과 제2 지지 영역 사이의 길이 보상 영역을 더 포함하고, 길이 보상 영역에서의 복수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은 제1 연성 영역의 제2 서브 연성 영역에서의 복수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보다 좁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길이 보상 영역에서의 복수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은 일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백커버 및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고, 롤러에 의해 백커버 및 표시 패널이 풀 언와인딩(full-unwinding)된 경우, 길이 보상 영역은 하우징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백커버에 채결되는 헤드바를 더 포함하고, 지지 영역은 헤드바와 체결되는 제3 지지 영역을 더 포함하고, 제1 연성 영역은 제1 연성 영역의 제2 서브 연성 영역과 제3 지지 영역 사이의 제3 서브 연성 영역을 더 포함하고, 제1 연성 영역의 제2 서브 연성 영역과 제3 서브 연성 영역에서의 복수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백커버 및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고, 롤러에 의해 백커버 및 표시 패널이 풀 와인딩(full-winding)된 경우, 제1 연성 영역의 제3 서브 연성 영역은 하우징부 내에서 평탄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지지 영역은 롤러의 평면에 체결되는 제2 지지 영역을 더 포함하고, 연성 영역은 제1 지지 영역과 제2 지지 영역 사이의 제2 연성 영역을 더 포함하고, 제2 연성 영역은 제1 지지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서브 연성 영역, 제2 연성 영역의 제1 서브 연성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서브 연성 영역 및 제2 연성 영역의 제2 서브 연성 영역과 제2 지지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3 서브 연성 영역을 포함하고, 제2 연성 영역의 제1 서브 연성 영역 및 제3 서브 연성 영역에서의 복수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은 제2 연성 영역의 제2 서브 연성 영역에서의 복수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보다 좁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연성 영역의 복수의 제2 개구부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대응하는 제2 연성 영역의 복수의 제1 개구부와 연결되어 하나의 개구부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제2 개구부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 대한 연성 영역의 제1 서브 연성 영역의 폭은 지지 영역과 연성 영역의 경계에서의 롤러의 곡률 반경의 1/4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이 부착된 백커버의 일 면의 반대 면에 배치된 보호 레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방향에 대한 보호 레진과 백커버의 폭은 동일하고,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대한 보호 레진의 폭은 백커버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보호 레진은 복수의 제1 개구부 및 복수의 제2 개구부를 충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서브 화소가 정의된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을 지지하고, 지지 영역 및 지지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연성 영역을 갖고, 복수의 개구부가 배치된 백커버; 및 표시 패널 및 백커버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고, 평면과 곡면으로 구성된 롤러를 포함하고, 표시 패널 및 백커버가 롤러에 풀 와인딩된 경우, 지지 영역은 롤러의 평면에 안착되고, 연성 영역은 롤러의 곡면에 안착되며, 복수의 개구부 중 백커버의 엣지로부터 연장하는 개구부 간의 간격은 지지 영역에 인접할수록 더 좁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백커버에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지지 영역은 인쇄 회로 기판이 배치되는 제1 지지 영역 및 롤러에 체결되는 제2 지지 영역을 포함하고, 연성 영역은 제1 지지 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연성 영역 및 제1 지지 영역과 제2 지지 영역 사이의 제2 연성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연성 영역에서 백커버의 엣지로부터 연장하는 개구부 간의 간격은 제1 연성 영역에서 백커버의 엣지로부터 연장하는 개구부 간의 간격보다 좁거나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연성 영역에서 백커버의 엣지로부터 연장하는 개구부의 길이는 제1 연성 영역에서 백커버의 엣지로부터 연장하는 개구부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백커버의 일면에 배치되고, 백커버보다 면적이 넓은 보호 레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보호 레진은 복수의 개구부 내부에 배치되어, 백커버와 함께 평탄한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보호 레진은 블랙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200, 1300: 표시 장치
110, 910a, 910b, 910c, 1010, 1110, 1200: 백커버
111, 911a, 911b, 911c, 1011, 1111: 제1 개구부
112, 912a, 912b, 912c, 1012, 1112: 제2 개구부
111WR: 개구부의 행 방향에 대한 폭
111WC: 개구부의 열 방향에 대한 폭
111WB: 개구부 간의 열 방향에서 거리
120: 표시 패널
121: 기판
122: 버퍼층
123: 화소부
124: 봉지층
125: 봉지 기판
130: 플렉서블 필름
140: 인쇄 회로 기판
150: 롤러부
151: 롤러
152: 롤러 지지부
153: 롤러 회전부
160: 승강부
161: 링크 지지부
162: 링크부
163: 링크 승강부
164, 1064: 헤드바
162L: 링크
164a, 1064a: 제1 헤드바
164b, 1064b: 제2 헤드바
AA: 표시 영역
AD1: 제1 접착층
AD2: 제2 접착층
AH1: 제1 체결 홀
AH2: 제2 체결 홀
CA: 중앙 영역
DP: 표시부
DR1: 제1 방향
DR2: 제2 방향
EA: 엣지 영역
EA1: 좌측 엣지 영역
EA2: 우측 엣지 영역
HP: 하우징부
HPO: 개구부
LA: 길이 보상 영역
MA: 연성 영역
MA1: 제1 연성 영역
MA2: 제2 연성 영역
MP: 구동부
NA: 비표시 영역
PA: 지지 영역
PA1: 제1 지지 영역
PA2: 제2 지지 영역
PA3: 제3 지지 영역
R: 롤러의 곡률 반경
RA1: 제1 연성 영역의 제1 서브 연성 영역에 배치된 제2 개구부 간의 간격
RA2: 제1 연성 영역의 제2 서브 연성 영역 및 제3 서브 연성 영역에 배치된 제2 개구부의 간격
RA3: 제2 연성 영역의 제1 서브 연성 영역에 배치된 제2 개구부 간의 간격
RA4: 제2 연성 영역의 제2 서브 연성 영역에 배치된 제2 개구부 간의 간격
RA5: 제2 연성 영역의 제3 서브 연성 영역에서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
RA6: 길이 보상 영역에 배치된 제2 개구부 간의 간격
SA1: 제1 서브 연성 영역
SA2: 제2 서브 연성 영역
SA3: 제3 서브 연성 영역
SC: 스크류
CP: 커버부

Claims (21)

  1.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 면에 부착되고, 적어도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하고 복수의 개구부가 배치된 연성 영역 및 상기 연성 영역과 인접한 지지 영역이 정의된 백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 영역은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의 양 측의 엣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는 상기 연성 영역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개구부 및 상기 연성 영역의 엣지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성 영역은 상기 지지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서브 연성 영역 및 상기 제1 서브 연성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서브 연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연성 영역에서의 상기 복수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은 상기 제2 서브 연성 영역에서의 상기 복수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보다 좁은,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백커버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와인딩(winding) 또는 언와인딩(unwinding)시키는 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평면 및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영역은 상기 평면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영역에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영역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이 배치되는 제1 지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이 배치되는 제1 연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성 영역의 제1 서브 연성 영역에서의 상기 복수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은 상기 제1 연성 영역의 제2 서브 연성 영역에서의 상기 복수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보다 좁은,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영역은 상기 롤러와 체결되는 제2 지지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백커버는 상기 제1 지지 영역과 상기 제2 지지 영역 사이의 길이 보상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길이 보상 영역에서의 상기 복수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은 상기 제1 연성 영역의 제2 서브 연성 영역에서의 상기 복수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보다 좁은,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보상 영역에서의 상기 복수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은 일정한, 표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에 의해 상기 백커버 및 상기 표시 패널이 풀 언와인딩(full-unwinding)된 경우, 상기 길이 보상 영역은 상기 하우징부 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에 채결되는 헤드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영역은 상기 헤드바와 체결되는 제3 지지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성 영역은 상기 제1 연성 영역의 제2 서브 연성 영역과 상기 제3 지지 영역 사이의 제3 서브 연성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성 영역의 제2 서브 연성 영역과 제3 서브 연성 영역에서의 상기 복수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은 서로 동일한,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에 의해 상기 백커버 및 상기 표시 패널이 풀 와인딩(full-winding)된 경우, 상기 제1 연성 영역의 제3 서브 연성 영역은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평탄한 형상을 유지하는, 표시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영역은 상기 롤러의 평면에 체결되는 제2 지지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성 영역은 상기 제1 지지 영역과 상기 제2 지지 영역 사이의 제2 연성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성 영역은 상기 제1 지지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서브 연성 영역, 상기 제2 연성 영역의 제1 서브 연성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서브 연성 영역 및 상기 제2 연성 영역의 제2 서브 연성 영역과 상기 제2 지지 영역 사이에 배치된 제3 서브 연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성 영역의 제1 서브 연성 영역 및 제3 서브 연성 영역에서의 상기 복수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은 상기 제2 연성 영역의 제2 서브 연성 영역에서의 상기 복수의 제2 개구부 간의 간격보다 좁은,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성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2 개구부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대응하는 상기 제2 연성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1 개구부와 연결되어 하나의 개구부를 이루는, 표시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개구부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에 대한 상기 연성 영역의 제1 서브 연성 영역의 폭은 상기 지지 영역과 상기 연성 영역의 경계에서의 상기 롤러의 곡률 반경의 1/4 이상인,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부착된 상기 백커버의 일 면의 반대 면에 배치된 보호 레진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 방향에 대한 상기 보호 레진과 상기 백커버의 폭은 동일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에 대한 상기 보호 레진의 폭은 상기 백커버의 폭보다 큰, 표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레진은 상기 복수의 제1 개구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개구부를 충진하는, 표시 장치.
  15. 복수의 서브 화소가 정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고, 지지 영역 및 상기 지지 영역으로부터 연장하는 연성 영역을 갖고, 복수의 개구부가 배치된 백커버; 및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백커버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고, 평면과 곡면으로 구성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백커버가 상기 롤러에 풀 와인딩된 경우, 상기 지지 영역은 상기 롤러의 평면에 안착되고, 상기 연성 영역은 상기 롤러의 곡면에 안착되며,
    상기 복수의 개구부 중 상기 백커버의 엣지로부터 연장하는 개구부 간의 간격은 상기 지지 영역에 인접할수록 더 좁은,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에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영역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이 배치되는 제1 지지 영역 및 상기 롤러에 체결되는 제2 지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 영역은 상기 제1 지지 영역의 일측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연성 영역 및 상기 제1 지지 영역과 상기 제2 지지 영역 사이의 제2 연성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성 영역에서 상기 백커버의 엣지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개구부 간의 간격은 상기 제1 연성 영역에서 상기 백커버의 엣지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개구부 간의 간격보다 좁거나 같은, 표시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성 영역에서 상기 백커버의 엣지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개구부의 길이는 상기 제1 연성 영역에서 상기 백커버의 엣지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개구부의 길이보다 긴, 표시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백커버보다 면적이 넓은 보호 레진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레진은 상기 복수의 개구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백커버와 함께 평탄한 표면을 제공하는, 표시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레진은 블랙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80108917A 2018-09-12 2018-09-12 표시 장치 KR102647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917A KR102647358B1 (ko) 2018-09-12 2018-09-12 표시 장치
CN201910782909.XA CN110895901B (zh) 2018-09-12 2019-08-23 显示装置
US16/560,066 US10798831B2 (en) 2018-09-12 2019-09-04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917A KR102647358B1 (ko) 2018-09-12 2018-09-12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265A true KR20200030265A (ko) 2020-03-20
KR102647358B1 KR102647358B1 (ko) 2024-03-12

Family

ID=69720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917A KR102647358B1 (ko) 2018-09-12 2018-09-12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98831B2 (ko)
KR (1) KR102647358B1 (ko)
CN (1) CN110895901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0701A1 (ko) * 2020-04-14 2021-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221216A1 (ko) * 2020-04-29 2021-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363728B2 (en) 2019-07-26 2022-06-14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20096581A (ko) * 2020-12-31 2022-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와 전자기기
US11833806B2 (en) 2020-11-04 2023-12-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871529B2 (en) 2020-09-08 2024-01-09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1660B2 (en) * 2018-05-03 2021-08-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support film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USD938951S1 (en) * 2018-06-20 2021-12-21 Sharp Kabushiki Kaisha Video display
US11928989B2 (en) * 2018-09-27 2024-03-12 Sharp Kabushiki Kaisha Rollable display device
CN109494241B (zh) * 2018-10-08 2020-11-2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KR20200046336A (ko) * 2018-10-24 2020-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73255B1 (ko) * 2018-11-15 2023-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489642B (zh) * 2019-01-29 2023-02-21 Lg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
KR20210004072A (ko) * 2019-07-03 2021-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28463A (ko) * 2019-09-04 2021-03-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73253A (ko) * 2019-12-10 2021-06-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JP1714296S (ja) * 2020-02-19 2022-05-09 巻き取り式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6971354B2 (ja) * 2020-05-13 2021-11-24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ディスプレイアセンブリ、携帯用情報機器、ディスプレイ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及び携帯用情報機器の製造方法
CN111489651B (zh) * 2020-05-27 2022-07-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卷轴式显示面板、卷轴式显示装置
CN211928943U (zh) * 2020-05-29 2020-11-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支撑背板及显示装置
CN111722674B (zh) * 2020-06-16 2024-01-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的背板、柔性显示屏及电子设备
JP1685021S (ja) * 2020-06-30 2021-05-10 ローラブルディスプレイの結合したテレビ
CN112002226B (zh) * 2020-08-17 2022-02-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KR20220032742A (ko) * 2020-09-08 2022-03-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88605A (ko) * 2020-12-18 2022-06-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91150A (ko) 2020-12-23 2022-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22107909A (ja) 2021-01-12 2022-07-25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
WO2022205245A1 (zh) * 2021-03-31 2022-10-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屏和终端
CN115241166A (zh) 2021-04-22 2022-10-25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CN113345330B (zh) * 2021-06-17 2022-10-04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JP2023036474A (ja) * 2021-09-02 2023-03-14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
CN114170912B (zh) * 2021-12-15 2024-01-1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及电子设备
KR20230097235A (ko) * 2021-12-23 2023-07-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D1010592S1 (en) * 2022-07-28 2024-01-09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with stand
CN116434669B (zh) * 2023-06-12 2023-10-03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终端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912A (ko) * 2015-06-08 2016-12-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0661A (ja) * 1999-09-29 2001-04-13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100658267B1 (ko) * 2005-08-31 2006-1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제조용 필름 트레이
KR102039496B1 (ko) * 2013-08-19 2019-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TWI543129B (zh) * 2014-07-22 2016-07-21 Lg顯示器股份有限公司 捲軸式顯示裝置
KR102348353B1 (ko) * 2015-04-30 2022-0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9983424B2 (en) * 2015-06-08 2018-05-29 L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374751B1 (ko) * 2015-08-31 2022-03-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플레인 기판 및 이를 적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EP3796074B1 (en) * 2015-11-27 2023-05-0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550697B1 (ko) * 2015-12-30 202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056443B2 (en) * 2016-04-08 2018-08-21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displays
KR102455724B1 (ko) * 2016-04-21 2022-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6157816B (zh) * 2016-07-08 2017-11-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KR20180025358A (ko) * 2016-08-29 2018-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019509B1 (ko) * 2016-09-05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78589B1 (ko) * 2016-09-30 2023-09-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581776B1 (ko) * 2016-10-26 2023-09-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장치
KR102609510B1 (ko) 2016-11-30 2023-12-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612041B1 (ko) 2016-12-30 2023-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CN106981254A (zh) * 2017-03-30 2017-07-25 上海创功通讯技术有限公司 柔性屏显示设备
KR102423659B1 (ko) * 2017-09-25 2022-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56889B1 (ko) * 2017-11-01 2022-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CN207818085U (zh) * 2017-12-29 2018-09-0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模组结构及包括模组结构的柔性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912A (ko) * 2015-06-08 2016-12-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3728B2 (en) 2019-07-26 2022-06-14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1210701A1 (ko) * 2020-04-14 2021-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221216A1 (ko) * 2020-04-29 2021-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871529B2 (en) 2020-09-08 2024-01-09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833806B2 (en) 2020-11-04 2023-12-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20096581A (ko) * 2020-12-31 2022-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와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98831B2 (en) 2020-10-06
CN110895901A (zh) 2020-03-20
US20200084897A1 (en) 2020-03-12
KR102647358B1 (ko) 2024-03-12
CN110895901B (zh) 202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7358B1 (ko) 표시 장치
KR101945985B1 (ko) 표시 장치
KR20200046336A (ko) 표시 장치
KR101975188B1 (ko) 표시 장치
KR102505247B1 (ko) 표시 장치
US11256295B2 (en) Display device
KR102573780B1 (ko) 표시 장치
KR102597411B1 (ko) 표시 장치
KR101966787B1 (ko) 표시 장치
KR102657039B1 (ko) 표시 장치
KR20200053354A (ko) 표시 장치
US11304315B2 (en) Display device
KR20200056636A (ko) 표시 장치
KR20220012682A (ko) 표시 장치
KR20200031933A (ko) 표시 장치
KR102656852B1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