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628A - 더덕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민성 면역개선 및 항천식 효능 기능성 분말 및 액상 음료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더덕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민성 면역개선 및 항천식 효능 기능성 분말 및 액상 음료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628A
KR20200028628A KR1020180106934A KR20180106934A KR20200028628A KR 20200028628 A KR20200028628 A KR 20200028628A KR 1020180106934 A KR1020180106934 A KR 1020180106934A KR 20180106934 A KR20180106934 A KR 20180106934A KR 20200028628 A KR20200028628 A KR 20200028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eok
extract
powder
lyophilized powd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0401B1 (ko
Inventor
부희옥
김학현
권수정
박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파이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파이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파이토
Priority to KR1020180106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401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9Dry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덕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결건조 분말의 제조 방법으로, 더덕 특유의 점성에도 불구하고, 뭉침현상이 개선된 동결 건조 분말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분말을 과립화하여 수분산성 및 용해성이 뛰어나 액상 음료 제조 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더덕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건조 분말 및 액상 음료 제조 방법 {Functional powder and method for preparing powdered tea comprising Codonopsis lanceolata extract}
본 발명은 더덕 추출물을 가공하여 기능성 분말 조성물 및 액상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덕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과립형 분말 혹은 액상 음료로 가공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과 생활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의약품 이외에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건강 기능식품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일상 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음료에서도 최근에는 생리 활성을 증진시키는 등의 기능성 음료 또는 차 등이 다수 출시되고 있다.
더덕은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로서 학명은 (Codonopsis lanceolata )이며, 분포지역은 한국, 일본, 중국 및 러시아 극동지방 등 습기가 있는 초지, 숲, 또는 계곡에 자생하는 식물이다. 주로 뿌리를 식용하고 사삼 또는 백삼이라고도 부른다. 더덕의 뿌리는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며, 다양한 기능성 성분 및 생리 활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 이전에 다양한 선행 연구를 통하여 더덕으로부터 추출되는 다양한 기능성 성분 및 이의 효능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항산화, 항염증 등의 효능 또는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에 대한 효능을 발견하여 이를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더덕은 추출 과정이 까다롭고, 일반적인 열수 추출을 통하여 상기와 같은 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유효 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해내기 어려우므로, 본 발명자들은 더덕의 기능성 성분을 더욱 쉽게 섭취하기 위하여, 음용 가능한 음료 또는 분말 형태로 가공하는 방법에 대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허출원 제10-2016-0022424호
본 발명의 목적은 더덕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결건조 분말 및 이를 이용한 과립 분말 또는 액상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더덕을 세척, 동결건조한 후 세절하고,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더덕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더덕 추출물을 농축하여 첨가제를 추가하는 단계 및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더덕 동결건조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더덕은 껍질이 거칠고 세척이 어려우며, 특유의 점성으로 인하여, 분말화하여 가공하기 어려운 특징을 가진다. 더덕을 분말화 하는 과정에서 분말 입자를 코팅하여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코팅제를 추가할 수 있으며, 전지분유, 탈지분유, 분리유청단백질, 말토덱스트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탈지분유 또는 말토덱스트린을 사용하였으며, 특히 30 내지 50% 말토덱스트린을 이용하여 분말화하였을 때, 가루 뭉침 현상 등 안정성이 개선된 효과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더덕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유기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주정(에탄올) 및 이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주정(에탄올)을 이용하여 용매의 농도별로 더덕 추출물의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30% 주정(에탄올) 사용 시, 항염증 또는 면역 증진 효과가 가장 뛰어난 더덕 추출물이 만들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동결건조 분말에, 부형제 및 첨가제를 추가한 후, 과립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더덕 과립분말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과립화 (Granules)라 함은 의약품이나 식품을 입상으로 만든 것으로, 입상의 분말 흔합물올 그대로, 또는 결합제를 가해서 균등하게 흔합하고 건조하여 큰 입경의 입자를 제조하는 것을 말한다. 과립화된 분말은 수분의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 균일한 분포의 분말을 형성할 수 있고, 분산성이 향상되고, 가루 뭉침이 최소화되므로 다양한 포장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더덕 과립 분말 조성물은, 더덕 주정 추출물을 여과, 농축한 후, 동결건조한 분말에 과립화를 위한 첨가제를 혼합한 후, 균질화한 원료를 분무건조 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분무 건조 시,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화 하였으며, 운전조건은 투입구 온도를 170℃, 토출구 온도를 110℃로 조절하였고, 분무속도는 17,000 rpm, 시료공급속도는 12 mL/min의 조건으로 수행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더덕 동결건조 분말, 첨가제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더덕 혼합 액상음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더덕 혼합 액상음료 조성물에는, 더덕 동결 건조 분말 이외에, 다양한 첨가제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오미자농축액, 꿀, 배즙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음료 조성물에는, 감미제로서, 설탕·포도당·과당·젖당·이성화당, 효소처리스테비아, 소비톨,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중 1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효소처리스테비아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더덕 혼합음료 조성물은, 특히 기능성 음료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한다. 상기 기능성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 더덕 혼합 음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을 혼합하는 것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성분의 혼합물의 예는 정제수, 과실농축액등이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에는 모노사카라이드, 디사카라이드, 폴리사카라이드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과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타우마틴, 효소처리스테비아 등의 천연 향미제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향미제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덕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결건조 분말의 제조 방법은 더덕 특유의 점성에도 불구하고, 뭉침현상이 개선된 동결 건조 분말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분말을 과립화하여 수분산성 및 용해성이 뛰어나 액상 음료의 원료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덕 동결건조 분말 또는 과립 분말은 항염증 및 면역 개선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더덕 동결건조 분말의 제조 과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더덕 동결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과립형 스틱 포의 제조 과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더덕 동결건조 분말을 포함하는 액상 음료 조성물의 제조 과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4는 RAW264.7 세포에서 더덕 에탄올(주정) 추출 농도에 따른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5는 RAW264.7 세포에서 더덕 에탄올(주정) 추출 농도에 따른 NO생성 저해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6은 RAW264.7 세포에서 더덕 에탄올(주정) 추출 농도에 따른 IL-1β의 생성 억제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7은 RAW264.7 세포에서 더덕 에탄올(주정) 추출 농도에 따른 IL-6의 생성 억제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8은 RAW264.7 세포에서 더덕 에탄올 추출 농도에 따른 TNF-α의 생성 억제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9는 RAW264.7 세포에서 더덕 분획물의 각 분획별 NO생성 저해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10은 RAW264.7 세포에서 더덕 분획물의 각 분획별 IL-1β의 생성 억제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11은 RAW264.7 세포에서 더덕 분획물의 각 분획별 IL-6의 생성 억제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12는 RAW264.7 세포에서 더덕 분획물의 각 분획별 TNF-α의 생성 억제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13은 천식모델 마우스의 폐조직에서 더덕 추출물의 각 분획별 세포생존율을 나타낸 결과이다(N=8. Scale Bar: 100 μm. *p < 0.05 vs. control; ** p < 0.001 vs. control; $ p < 0.05 vs. asthma induction;$$ p < 0.01 vs. asthma induction;# p < 0.05 vs.dexamethasone;## p <0.01 vs. dexamethasone.)
도 14는 천식모델 마우스의 면역 염색된 폐조직에서 더덕 추출물의 T세포(CD3) 관련 인자를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5는 천식모델 마우스의 면역염색된 폐조직에서 더덕 추출물의 T세포(CD4) 관련 인자를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6은 천식모델 마우스의 면역염색된(IHC-stained) 폐조직에서 더덕 추출물의 T세포(CD8+T cell) 관련 인자를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7은 천식모델 마우스의 면역염색된(IHC-stained) 폐조직에서 더덕 추출물의 BALF 내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으로서, B 세포 관련인자(CD19+B cell)에 대한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더덕 동결건조 분말 제조 방법의 표준화
제주지역 재배더덕 뿌리를 세척하고 동결건조 하여 5mm 크기로 세절한 후, 30% 주정알코올을 더덕 중량의 8배로 추가하여, 추출한 뒤, 이를 여과 후 농축하였다. 상기 농축액에 말토덱스트린 및 탈지분유를 더덕 추출물 농축액의 중량 대비 2%, 3%, 4%, 5%로 각각 첨가하여 동결 건조 후 이를 분말화하였다.
그 결과, 탈지분유 및 말토 덱스트린의 첨가 비율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상온에서 1일 이상 경과 시, 더덕 추출물 고유의 점성으로 인하여 가루 뭉침 현상이 발생하였다. (도 1 및 도 2) 따라서, 탈지분유 및 말토덱스트린의 첨가 비율을 더덕 추출물 농축액 중량 대비 30 내지 50%로 조정한 결과, 약 45%로 첨가 시, 상온에서 장기간 보관 시에도 뭉치지 않고 미세한 분말의 물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동결 건조 분말 제조 과정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더덕 분획물 제조
더덕 뿌리를 선별하여 세척한 다음 동결건조 후, 30% 주정알코올로 3회 반복 상온 추출한 다음,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또한 농축한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분말을 n-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Butyl alcohol, D.W. 등의 용매별로 3회 반복하여 분획추출을 행한 다음, 추출액을 감압농축기로 완전히 농축하여 분획물을 얻었다.
<제조예 1> 더덕 과립 분말 및 스틱 포 제조 과정
상기 실시예 1의 더덕 건조 분말에 과립 제조를 위한 부형제를 혼합하여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액을 혼합기에서 제조하고, 상기 혼합액을 건조기에서 스프레이 드라이 방식으로 열풍 건조하여 과립 분말을 제조하고, 이를 5g/pk의 용량으로 스틱 포장하였다.
상기 과립 분말 제조 과정 및 스틱 포 제조 과정에 대하여, 도 2와 같이 도식화하였다.
<제조예 2> 액상 음료 제조 방법
상기 실시예 1의 더덕 건조 분말 제조 과정에서 생산된 더덕 농축액에, 오미자 농축액, 꿀, 배과즙 및 정제수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건조효소스테비아를 첨가하여, 액상 음료를 제조 하였다.
상기 액상 음료 제조 방법은 도 3에 도식화하였다.
<실험예 1> 더덕 건조분말의 항 염증 효과
<1-1> RAW 264.7 대식세포 배양
RAW 264.7 cell을 10% fetal bovine serum (FBS)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RAW 264.7 cell은 24 well plate에 2x105를 분주하고 5% CO2, 37℃에서 배양하였다. 이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세포가 분화된 것을 확인한 후 시험에 사용하였다.
<1-2> 세포생존율 측정 (MTT assay)
RAW 264.7 대식세포에 대한 더덕 추출물의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실행하였다. 즉, 계대 배양중인 RAW264.7 세포를96 well plate에 세포수를 조정한 다음 더덕 추출물을 첨가하고 1시간 배양 후 LPS 1 ㎍/㎖을 각 well에 처리하였으며, 4시간 후 10% SDS (0.1 N HCL)100 ㎕를 처리하여 18시간 동안 빛을 차단하며 반응시켰다. ELISA reader를 이용해서 각 well의 흡광도를 570 nm 에서 측정하고 대조군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세포생존율을 백분율로 환산하였다.
그 결과 도 4에서와 같이, 더덕 추출물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1-3> 대식세포에서의 NO 생성량 측정
RAW264.7 세포 1×106 cell/㎖를 5% FBS를 함유한 DMEM에 부유한 후 세포 부유액을 12well plate에 800㎕씩 부착시킨 후 시료를 처리하고 대식세포 자극제인 LPS를 1 ㎍/㎖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24시간후에 배양 상등액100 ㎕를 취하여 96 well plate로 옮긴 후100 ㎕ Griess Reagent(Sigma)를 넣고 10분간 실온에서 빛을 차단한 상태로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odium nitrite표준 검량선으로부터 대식세포가 분비하는 nitric oxide를 계산하였다.
NO 생성 저해효과는 100%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30%~70% 추출물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도 5)
<1-4> 사이토카인 (IL-1β, IL-6, TNF-α)의 측정
Cytokine을 측정하기 위하여 6-well plate에 cell을 분주하고 더덕 추출물을 처치한 다음, 1시간 후에 LPS를 처치하였다. LPS 처치 후 6~12시간 배지를 수거하여 cytokine을 측정하였다. 수거된 배지는 측정 전까지 -70℃에서 보관하였다. IL-1β, IL-6, TNF-α는 ELISA Kit (Pierce endogen, Rockford, IL,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LPS 처리에 의한 염증반응으로 유도된 IL-1β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추출용매인 에탄올농도가 높을수록 그 억제능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IL-6 분비 저해능에 있어서는 추출농도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분비를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도 6 및 도 7 참조).
TNF-α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추출용매인 에탄올농도가 높을수록 그 저해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대체적으로 20% 정도 TNF-α 분비를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도 8 참조)
<1-5> 더덕 분획별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각 분획으로 실험예 <1-4>와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더덕 분획물의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였다. (n-H: n-hexane, MC: Methylene chloride, EA: Ethyl acetate, n-BA: n-Butyl alcohol, DW: distilled water)
그 결과, 더덕 추출물의 분획별 항염증 효능을 보면, 실험한 모든 염증관련 인자에서 Ethyl acetate 분획과 n-hexane 분획에서 다른 분획에서보다 상대적으로 억제 효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더덕 분획 추출물은 항염증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9 내지 12 참조)
<실험예 2> 더덕 건조분말의 면역 증진 효과
<2-1> 천식 유발 마우스 모델에서의 면역조직화학적 분석
더덕 추출물의 allergy 천식 및 면역에 대한 효능을 실험적으로 규명하고자 ovalbumin으로 유도한 천식모델 마우스의 기관지 폐포세척액(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내의 알러지와 관련된 면역물질인 CD3+T cell, CD4+T cell, CD8+T cell, CD19+B cell의 변화를 관찰하고, 면역조직화학적 분석을 행하였다.
더덕 추출물은, 30% 알코올(주정) 추출, 농축 및 분말화 한 실시예 1을 통하여 제조된 더덕 동결건조 분말을 사용하였다.
파라핀을 제거한 조직절편을 3%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메탄올에 10분간 처리하여 조직 내 peroxidase를 제거하였다. 또한 Antigen retrieval은 끓는 물을 이용하여 구연산나트륨 완충액 (0.1M)으로 처리하였다. 슬라이드를 정상적인 혈청과 함께 배양하여 비특이적 결합을 차단한 다음, CD4 (14-9766, eBioscience, San Diego, CA, USA), CD8 (sc-18913, Santa Cruz Biotechnology, Dallas, TX, USA), CD19 (250585, Abbiotec, San Diego, CA, USA) 등과 같은 primary antibody (1:100에서 1:200으로 희석한)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비오틴이 부착된 2차 항체와 horseradish peroxidase-conjugated streptavidin를 함께 2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시그널은 3,3-diaminobenzidine tetrahydrochloride 기질의 발색액을 사용하여 검색하였고, 세포들은 Mayer’s hematoxylin으로 대조 염색하였다. 양성으로 염색된 세포 수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동물 1마리 당 3개 별도로 면역염색된 폐 절편 (n=8 per group)을 5개 무작위로 선택된 비중복 영역 (x200배)에서 세포를 계수하였다.
BALF 내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알레르기 반응이 활발할 때 증가하는 CD3+T cell, CD4+T cell, CD8+T cell, CD19+B cell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 더덕 추출물이 항알레르기 및 항염증의 효능이 있어 기관지천식에 효과가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더덕을 세척하여 동결 건조하는 단계;
    상기 동결 건조 더덕을 세절하고, 유기용매를 통하여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 추출물에 말토덱스트린을 더덕 추출물 중량 대비 30 내지 50% 첨가하여 동결 건조 및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더덕 동결건조 분말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주정, 알코올, 에틸알코올 및 정제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덕 동결건조 분말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제1항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더덕 동결건조 분말은, 면역기능 개선 또는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더덕 동결건조 분말 조성물.
  4. 제3항의 상기 더덕 동결건조 분말 조성물에, 부형제 및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스프레이 건조하여 과립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더덕 과립분말의 제조 방법.
  5. 제3항의 상기 더덕 동결건조 분말, 오미자농축액, 꿀, 배즙 및 건조효소처리스테비아를 포함하는 더덕 액상음료 조성물.
KR1020180106934A 2018-09-07 2018-09-07 더덕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민성 면역개선 및 항천식 효능 기능성 분말 및 액상 음료 제조 방법 KR102130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934A KR102130401B1 (ko) 2018-09-07 2018-09-07 더덕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민성 면역개선 및 항천식 효능 기능성 분말 및 액상 음료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934A KR102130401B1 (ko) 2018-09-07 2018-09-07 더덕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민성 면역개선 및 항천식 효능 기능성 분말 및 액상 음료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628A true KR20200028628A (ko) 2020-03-17
KR102130401B1 KR102130401B1 (ko) 2020-07-07

Family

ID=70003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934A KR102130401B1 (ko) 2018-09-07 2018-09-07 더덕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민성 면역개선 및 항천식 효능 기능성 분말 및 액상 음료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4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447B1 (ko) 2020-05-12 2020-07-29 석 철 이 잔대를 이용한 음식물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8837A (ko) 2021-10-25 2023-05-03 (주)싱싱코퍼레이션 더덕 추출물과 쌀을 이용한 카스텔라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1781A (ja) * 1988-01-14 1989-07-19 Ajinomoto General Foods Kk 顆粒状ミックス飲料の製造方法
KR20030057317A (ko) * 2001-12-27 2003-07-04 바이오허브 주식회사 스포츠 건강 음료
KR100814382B1 (ko) * 2006-08-03 2008-03-18 한국식품연구원 기능성 더덕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22424A (ko) 2014-08-19 2016-03-02 한국식품연구원 바실러스 아리아바타이(Bacillus aryabhattai)에 의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6037537A (ja) * 2014-08-06 2016-03-22 長谷川香料株式会社 粉末状または顆粒状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26737B1 (ko) * 2016-07-29 2018-02-08 현주명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틱 및 우울증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1781A (ja) * 1988-01-14 1989-07-19 Ajinomoto General Foods Kk 顆粒状ミックス飲料の製造方法
KR20030057317A (ko) * 2001-12-27 2003-07-04 바이오허브 주식회사 스포츠 건강 음료
KR100814382B1 (ko) * 2006-08-03 2008-03-18 한국식품연구원 기능성 더덕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6037537A (ja) * 2014-08-06 2016-03-22 長谷川香料株式会社 粉末状または顆粒状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22424A (ko) 2014-08-19 2016-03-02 한국식품연구원 바실러스 아리아바타이(Bacillus aryabhattai)에 의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26737B1 (ko) * 2016-07-29 2018-02-08 현주명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틱 및 우울증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447B1 (ko) 2020-05-12 2020-07-29 석 철 이 잔대를 이용한 음식물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401B1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9205B2 (ja) 抗アレルギー組成物
KR102130401B1 (ko) 더덕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민성 면역개선 및 항천식 효능 기능성 분말 및 액상 음료 제조 방법
KR101874161B1 (ko) 나무딸기 잎 및 줄기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76869B1 (ko) 상황버섯 및 가공인삼을 이용하여 다량의 Rg3와 Rg5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다류의 제조방법
KR102286429B1 (ko) 연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함유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05031B1 (ko) 알코올성 간 손상 예방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인삼열매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87592A (ko) 구증구포 인삼추출물 및 수용성 진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또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04123B1 (ko) 활성아민 함유 봉독의 분리 방법 및 그의 식품 조성물
KR20210013482A (ko) 식물성 생약의 유효성분 추출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대식세포 활성 증진효과를 가진 조성물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U246655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растительных экстрактов
KR20190053607A (ko) 고압 분쇄추출 공정을 이용한 아로니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약학 조성물
KR101462310B1 (ko) 표고 버섯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
KR20100043723A (ko) 원적외선 처리를 통한 프로토페낙사디올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증가된 인삼 잎의 제조방법
JP2009227654A (ja) 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アトピー性皮膚炎改善用組成物
KR20140137101A (ko) 인삼잎 조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KR102126387B1 (ko) 해사삼 분말의 제조방법.
KR101929664B1 (ko) 진세노사이드 Rd, Rg3 및 Rg5 함량이 강화된 효소처리 백삼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25877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102011016B1 (ko) 항산화 및 면역 기능을 갖는 조성물
JP7212329B2 (ja) 免疫賦活剤及び免疫賦活用食品組成物
KR101590858B1 (ko) 천연과즙 및 팥분말을 이용한 항혈전 활성 강화 과립형 팥분말 및 그 제조방법
JP7236169B2 (ja) 組成物
KR101629102B1 (ko) 여주 주스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여주 주스
KR102531295B1 (ko) 곤드레 착즙액을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진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면역기능 증진용 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