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788A -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 Google Patents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788A
KR20200027788A KR1020180106036A KR20180106036A KR20200027788A KR 20200027788 A KR20200027788 A KR 20200027788A KR 1020180106036 A KR1020180106036 A KR 1020180106036A KR 20180106036 A KR20180106036 A KR 20180106036A KR 20200027788 A KR20200027788 A KR 20200027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movable member
trap device
contain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2978B1 (ko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Priority to KR1020180106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978B1/ko
Priority to US16/621,680 priority patent/US11589705B2/en
Priority to PCT/KR2019/011057 priority patent/WO2020050548A1/ko
Priority to EP19813214.4A priority patent/EP3834686A4/en
Priority to CN201921475266.6U priority patent/CN211459906U/zh
Publication of KR20200027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16K24/042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 F16K24/04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the float being rigidly connected to the valve element, the assembly of float and valve element following a substantially translational movement when actuated, e.g. also for actuating a pilot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트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유입홀이 형성된 제1 부재, 상기 유체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 중 기체가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된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체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 중 액체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배기 유로를 폐쇄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APPARATUS FOR TRAPPING FOREIGN MATERIALS AND AN FOOD PROCESS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 흡입 과정에서 흡입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질 트랩 장치와 이를 이용한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에 분쇄, 혼합, 착즙 등을 수행하는 다양한 식품 조리기가 존재한다.
식품 조리기는 일반적으로 가공 대상이 되는 음식물을 용기에 넣은 후에 가공 부재(블레이드, 스크류 등)를 이용해 음식에 대한 가공을 진행한다.
최근에는 조리 과정에서 음식물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 내부를 음압 환경이 되도록 진공 배기한 후 음식에 대한 가공을 진행하는 조리기들이 등장했다.
그러나 진공 배기 과정에서 이물질이 배기 유로 내로 유입되면, 진공 펌프까지 이물질이 도달하게 되고, 결국 진공 펌프가 파손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트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유입홀이 형성된 제1 부재, 상기 유체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 중 기체가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된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체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 중 액체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배기 유로를 폐쇄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액체에 의한 부력에 의해 상기 제2 부재 측으로 이동하여 배기 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가동 부재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부재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가동 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제1 부재의 내측면 사이로 상기 액체가 개재되면, 상기 배기 유로를 통해 상기 기체를 외부로 배기하는 힘에 의해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2 부재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기 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유체 유입홀 중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외주로부터 경사를 형성하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측벽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외주가 상기 측벽부의 내벽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이물질 쉴드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 유입홀을 통해 상기 제1 부재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은 상기 이물질 쉴드와 상기 측벽부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유체 유입홀을 통해 상기 제1 부재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유체 유입홀 중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는 상기 가동 부재의 일측과 결합하여 상기 가동 부재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가동 부재의 일측이 상기 가이드 홈의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홈의 상단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부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이물질 쉴드, 상기 이물질 쉴드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승강축 및 상기 승강축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승강축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이탈방지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의 바닥부에는 상기 승강축이 관통하는 승강축 수용홀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축 수용홀과 상기 승강축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승강축 수용홀 내에 상기 승강축이 위치하는 이상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에 대해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1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재와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유체 유입홀 중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측벽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외주가 상기 측벽부의 내벽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이물질 쉴드 및 상기 이물질 쉴드의 상면으로부터 환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향 돌출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하부로 노출된 제1 하향 돌출링 및 제2 하향 돌출링을 포함하고, 상기 상향 돌출링은 상기 제1 하향 돌출링과 상기 제2 하향 돌출링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배기 유로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배기 유로를 개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배기 유로를 폐쇄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때에, 상기 상향 돌출링은 상기 제1 하향 돌출링 및 상기 제2 하향 돌출링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때에, 상기 상향 돌출링은 상기 제1 하향 돌출링 및 상기 제2 하향 돌출링 중 적어도 하나와 접하여 상기 배기 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향 돌출링은 상기 제2 하향 돌출링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하향 돌출링은 상기 제2 하향 돌출링 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유체 유입홀 중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측벽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외주가 상기 측벽부의 내벽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이물질 쉴드 및 상기 이물질 쉴드의 상면으로부터 환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향 돌출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하부로 노출되어 상기 상향 돌출링과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배기 유로 중 일부를 형성하는 하향 돌출링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하향 돌출링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챔버 공간 및 상기 챔버 공간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차단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배기 유로를 개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배기 유로를 폐쇄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때에, 상기 하향 돌출링과 상기 차단 플레이트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때에, 상기 차단 플레이트는 상기 하향 돌출링과 접하여 상기 배기 유로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일측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타측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1 부재 내에 또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위치하지 않은 때에는,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부재에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 유로 출구를 개폐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크 밸브는 개폐 윙 및 상기 개폐 윙의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설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설치단이 통과하는 설치단 수용홀 및 상기 개폐 윙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설치단 수용홀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 윙에 의해 개폐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 유로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윙은 대기압 상태에서 상기 배기 유로 출구를 폐쇄하고, 음압 상태에서 상기 배기 유로 출구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설치단은, 상기 설치단 수용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1 설치단 및 상기 제1 설치단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설치단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단 수용홀에 상기 제2 설치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체크 밸브의 자중에 의해 체크 밸브가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설치단이 상기 설치단 수용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개폐 윙은 상기 배기 유로 출구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는, 가공 대상인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덮는 뚜껑, 상기 뚜껑을 통해 상기 용기의 내부를 진공 배기하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는 조리기이며, 상기 뚜껑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가 진공 배기되는 중에 상기 용기 내의 액체가 상기 진공 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트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 트랩 장치는, 상기 용기 내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유입홀이 형성된 제1 부재, 상기 유체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 중 기체가 상기 진공 펌프 측으로 배기되는 배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된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체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 중 액체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배기 유로를 폐쇄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뚜껑에는 상기 이물질 트랩 장치가 설치되는 트랩 설치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트랩 장치는 상기 트랩 설치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내의 음식물을 상기 용기의 바닥을 향해 누르는 누름봉을 더 포함하며, 상기 누름봉은 상기 이물질 트랩 장치가 상기 뚜껑으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트랩 설치홀을 통해 상기 용기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는, 가공 대상인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용기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는 인클로져, 상기 인클로져를 통해 상기 용기의 내부를 진공 배기하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는 조리기이며, 상기 인클로져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가 진공 배기되는 중에 상기 용기 내의 액체가 상기 진공 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트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 트랩 장치는, 상기 용기 내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유입홀이 형성된 제1 부재, 상기 유체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 중 기체가 상기 진공 펌프 측으로 배기되는 배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된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체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 중 액체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배기 유로를 폐쇄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고체 이물질은 물론 소량의 액체 이물질까지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트랩 장치가 장착된 뚜껑의 상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트랩 장치가 장착된 뚜껑을 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뚜껑과 이물질 트랩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이물질 트랩 장치의 제1 부재와 제2 부재 및 가동 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체크 밸브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제2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트랩 장치의 전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가동 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가동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가동 부재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가동 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트랩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진공 흡입 상태에서 배기 유로가 개방된 상태의 이물질 트랩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진공 흡입 상태에서 배기 유로가 폐쇄된 상태의 이물질 트랩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체크 밸브에 의해 배기 유로의 출구가 폐쇄된 상태의 이물질 트랩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베이스(10), 용기(20), 뚜껑(30) 및 이물질 트랩 장치(50)를 포함한다.
베이스(10)는 내부에 모터(11), 진공 펌프(12) 및 모터(11)와 진공 펌프(12)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 기판(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모터(11)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모터(11)와 진공 펌프(12)를 모두 포함하는 조리기(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베이스(10)의 전면 및/또는 측면 등에는 조리기(1)를 작동하기 위한 조작 수단(13, 14a, 14b)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 수단(13, 14a, 14b)으로, 작동 모드를 선택하는 복수의 버튼(14a, 14b)과, 모터(11) 또는 진공 펌프(12)의 출력을 제어하는 다이얼(13)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정전용량방식 또는 감압식 터치 디스플레이, 전극 스위치 등의 조작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버튼(14a)은 모터(11)를 작동시켜 가공 부재(23)가 회전되도록 하는 블렌딩 버튼으로 구성되고, 다이얼(13)은 가공 부재(23)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제2 버튼(14b)은 진공 펌프(12)를 작동시켜 수용조(21)의 내부가 진공 배기되도록 하는 진공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용조(21) 내부의 음식물을 블렌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버튼(14a)을 누른 후, 다이얼(13)을 회전시켜 가공 부재(23)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며 블렌딩을 진행하거나, 수용조(21) 내부를 진공 배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 버튼(14b)을 눌러 수용조(21)의 내부를 진공 배기시킬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제2 버튼(14b)을 눌러 수용조(21) 내부가 진공 배기되는 중에, 실수로 다이얼(13)을 조작하는 경우에는 가공 부재(23)의 회전 속도가 조절되지 않도록 구성되거나, 청각 및/또는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오류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제1 버튼(14a)을 눌러 가공 부재(23)가 회전하는 중 또는 가공 부재(23)에 의한 가공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실수로 제2 버튼(14b)을 누른 경우에는, 진공 모터(12)가 작동되지 않도록 구성되거나 청각 및/또는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오류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제2 버튼(14b)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용기(20)를 베이스(10)에서 분리시킨 후 다시 결합하거나, 베이스(10)의 전원을 차단한 후 다시 전원을 인가하여야만, 사용자가 제2 버튼(14b)을 눌렀을 때, 진공 모터(12)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용조(21) 또는 뚜껑(30)에는 수위안전센서(미도시)가 포함되고, 수위안전센서가 수용조(21) 내의 식재료가 일정 수위를 넘어섬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2 버튼(14b)을 누르더라도 진공 모터(12)가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후면, 측면 및/또는 바닥면에는 모터(11) 또는 진공 펌프(12)를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의 유동을 위한 공기 흡입구(미부호)와 공기 배출구(미부호)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10)는 내부에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팬(fan,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의 상면에는 용기(20)가 안착되는 제1 용기 결합단(16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용기 결합단(16a)은 환형 부재로서 용기(20)의 하단을 둘러싸며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상면의 중심부에는 제2 용기 결합단(16b)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모터(11)의 출력축(15)은 제2 용기 결합단(16b)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출력축(15)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노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는 수용조(21) 및 손잡이(2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조(21)는 음식물 등의 가공 대상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수용조(21)의 상단은 가공 대상이 투입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고, 뚜껑(30)은 수용조(21)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수용조(21)와 결합된다.
수용조(21)의 수용 공간에는 가공 대상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 부재(23)가 구비될 수 있다. 가공 부재(23)는 음식물 등의 가공 대상을 분쇄하는 블레이드 등이 될 수 있다. 가공 부재(23)는 수용조(2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용기 결합단(16b)의 상부로 노출된 출력축(15)과 직접 결합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동력 전달 부재를 매개로 결합된다. 모터(11)는 가공 부재(23)의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이 되어, 모터(13)의 작동에 의해 출력축(15)이 회전함에 따라 가공 부재(23)가 회전하며 수용조(21) 내부의 가공 대상을 가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이얼(13)을 이용해 모터(11)의 출력을 제어하여 가공 부재(23)의 RPM을 조절할 수 있다.
손잡이(22)는 수용조(21)의 외측면에 지지된다. 손잡이(22)는 수용조(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지지 포스트(17), 스윙암(18) 및 흡입 포트(19)를 더 포함한다.
지지 포스트(17)는 베이스(1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포스트(17)는 베이스(10)의 상부면 중 베이스(10)의 후면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 포스트(17)의 상단에는 스윙암(18)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윙암(18)의 단부에는 흡입 포트(19)가 구비된다.
흡입 포트(19)는 진공 배기 라인(12a)을 통해 진공 펌프(12)와 연결된다. 진공 배기 라인(12a)은 스윙암(18) 및 지지 포스트(17)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진공 배기 라인(12a)은 스윙암(18) 및 흡입 포트(19)가 지지 포스트(17)에 대해 회전할 때에 스윙암(18)을 따라 변형되도록 유연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물질 트랩 장치(50)는 뚜껑(30)에 설치되며, 흡입 포트(19)와 밀착되어, 진공 펌프(12)에 의한 진공압이 진공 배기 라인(12a), 흡입 포트(19) 및 이물질 트랩 장치(50)를 통해 수용조(21)의 수용 공간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이물질 트랩 장치(5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트랩 장치가 장착된 뚜껑의 상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트랩 장치가 장착된 뚜껑을 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뚜껑과 이물질 트랩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트랩 장치(50)는 뚜껑(3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물질 트랩 장치(50)가 뚜껑(30)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트랩 장치(50)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2 부재(200)는 뚜껑(30)의 상부로 노출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트랩 장치(50)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1 부재(100)는 뚜껑(30)의 하부로 노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0)의 상부는 제1 상면부(31), 제2 상면부(32) 및 제3 상면부(33)를 포함한다. 제1 상면부(31)는 뚜껑(30)의 상부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며 환형으로 형성되고, 제3 상면부(33)는 제1 상면부(31)의 내측에 제1 상면부(31)보다 낮게 위치하며, 제2 상면부(32)는 제1 상면부(31)와 제2 상면부(32)를 연결하며 경사면을 형성한다.
뚜껑(3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36)는 제1 상면부(31)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며, 제1 상면부(31)의 외주는 측면부(36)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측면부(36)에는 복수의 실링 링(37)이 형성된다.
따라서, 뚜껑(30)이 수용조(21)의 상단에 설치될 때, 측면부(36)는 수용조(21)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복수의 실링 링(37)은 수용조(21)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수용조(21)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동시에 측면부(36)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제1 상면부(31)의 가장자리는 수용조(21)의 상단에 안착된다.
뚜껑(30)은 제1 상면부(3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랩(38)을 포함한다. 플랩(38)은 용기(20)에 뚜껑을 고정하는 부재로 사용되거나, 사용자가 뚜껑(30)을 용기(20)로부터 분리할 때에 손가락 등을 끼워 뚜껑(30)을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는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제3 상면부(33)의 중앙부에는 트랩 설치홀(34)이 관통 형성된다. 트랩 설치홀(34)은 이물질 트랩 장치(50)가 설치되는 공간이다. 이물질 트랩 장치(50)가 트랩 설치홀(34)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트랩 설치홀(34)의 내측벽에는 트랩 설치단(3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랩 설치단(35)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는 가압 돌출편(35a) 및 가압 돌출편(35a)으로부터 대략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저지 돌출편(35b)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돌출편(35a)과 저지 돌출편(35b) 사이에는 이물질 트랩 장치(50)의 고정편(261, 도 9 참고)이 수용되는 고정편 수용 공간(35c)가 형성된다.
이물질 트랩 장치(50)를 트랩 설치단(35)에 설치하는 경우, 이물질 트랩 장치(50)의 고정편(261)을 가압 돌출편(35a)의 일측으로부터 저지 돌출편(35b)을 향해 진입시킨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이물질 트랩 장치(50)의 일부를 트랩 설치단(35) 내로 삽입한 후, 이물질 트랩 장치(5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편(261)이 가압 돌출편(35a)의 일측으로부터 저지 돌출편(35b)을 향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돌출편(35a)은 저지 돌출편(35b)에 가까워질수록 고정편 수용 공간(35c)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므로, 고정편(261)은 가압 돌출편(35a)에 의해 가압되고, 이물질 트랩 장치(50)가 트랩 설치단(35) 내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만, 저지 돌출편(35b)이 존재하므로, 이물질 트랩 장치(50)는 고정편(261)이 저지 돌출편(35b)에 의해 저지될 때까지만 시계 방향을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힘에 무관하게 뚜껑(30)에 대한 이물질 트랩 장치(50)의 설치 방향은 동일하게 된다.
이물질 트랩 장치(50)를 뚜껑(3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물질 트랩 장치(5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고정편(261)이 가압 돌출편(35a)을 벗어나면 이물질 트랩 장치(50)를 뚜껑(30)으로부터 들어올려 뚜껑(3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따른 구성을 통해, 이물질 트랩 장치(50)의 세척 등을 위해 이물질 트랩 장치(50)를 뚜껑(30)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용조(21) 내의 음식물을 가공 부재(23) 측으로 강제로 이동시키거나 가압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이물질 트랩 장치(50)를 뚜껑(30)에서 제거하고, 누름봉(미도시)을 트랩 설치홀(34)을 통해 수용조(21)의 내부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이물질 트랩 장치(5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이물질 트랩 장치의 제1 부재와 제2 부재 및 가동 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트랩 장치(50)는 제1 부재(100), 제2 부재(200), 가동 부재(300) 및 체크 밸브(400)를 포함한다. 제1 부재(100)는 이물질 트랩 장치(50)의 하부를 형성하고, 제2 부재(200)는 이물질 트랩 장치(50)의 상부를 형성한다. 체크 밸브(400)는 제2 부재(200)에 결합되고, 가동 부재(300)는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우선, 제2 부재(200)와 체크 밸브(4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제2 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체크 밸브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제2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재(200)는 포트 접촉면(211)을 포함한다.
포트 접촉면(211)은 대략 수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포트 접촉면(211)의 외주를 따라 릿지(212)가 상방으로 연장된다. 포트 접촉면(211)과 릿지(212)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은 흡입 포트(19, 도 1 참고)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포트 수용 공간(213)을 형성한다.
포트 접촉면(211)의 중심부에는 체크 밸브 수용홀(222)이 형성된다. 체크 밸브 수용홀(222)의 측벽(221)은 포트 접촉면(211)으로부터 대략 연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체크 밸브 수용홀(222)의 바닥면(225)에는 설치단 수용홀(223) 및 배기 유로 출구(224)가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유로 출구(224)는 설치단 수용홀(223)의 주변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225)의 하부에는 제1 하향 돌출링(251) 및 제2 하향 돌출링(252)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하향 돌출링(251)은 배기 유로 출구(224)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제2 하향 돌출링(252)은 제1 하향 돌출링(251)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1 하향 돌출링(251)은 제2 하향 돌출링(252)보다 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포트 접촉면(211)의 하부에는 제2 하향 돌출링(252)을 둘러싸도록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벽부(260)가 형성된다. 측벽부(260)에는 실링 링(231)이 구비된다. 실링 링(231)은 이물질 트랩 장치(50)가 뚜껑(30)에 설치될 때, 제3 상면부(33, 도 4 참고)에 접하여, 트랩 설치홀(34)과 이물질 트랩 장치(50) 사이를 밀봉하여 진공압의 유실을 방지한다.
측벽부(260)의 일측에는 제2 부재 회전축(141a, 도 12 참고)이 수용되는 회전축 수용홀(241)이 형성되고, 측벽부(260)의 타측에는 제2 부재 고정단(142, 도 9 참고)이 수용되는 고정단 수용홈(242)가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 밸브(400)는 개폐 윙(410), 손잡이(420) 및 설치단(430)을 포함한다.
개폐 윙(410)은 바닥면은 평평하고, 상부면은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중심부에 비해 주변부로 갈수록 탄성 변형이 용이해진다.
손잡이(420)는 개폐 윙(410)의 중심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손잡이(420)는 사용자가 엄지와 검지로 잡아 체크 밸브(400)를 상승시키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치단(430)은 개폐 윙(410)의 중심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단(430)은 제1 설치단(431), 제2 설치단(432) 및 제3 설치단(433)을 포함한다.
제1 설치단(431)은 개폐 윙(41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설치단 수용홀(223)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설치된다.
제2 설치단(432)은 제1 설치단(43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 설치단(431)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다만, 제2 설치단(432)의 외경은 제2 설치단(432)이 설치단 수용홀(223)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체크 밸브(40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지 않도록 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2 설치단(432)의 외경은 설치단 수용홀(223)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설치단 수용홀(223)과 중간끼워맞춤의 공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설치단(432)의 상단은 제1 설치단(431)과 제2 설치단(432)의 단차를 부드럽게 연결하도록 구배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체크 밸브(400)의 제1 설치단(431)이 설치단 수용홀(223)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체크 밸브(400)를 들어올려 제2 설치단(432)이 설치단 수용홀(223) 내에 위치한 상태로 전환할 때에, 제2 설치단(432)이 설치단 수용홀(223) 내로 자연스럽게 진입하도록 하여, 체크 밸브(400)가 부드럽게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제3 설치단(433)은 제2 설치단(43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설치단(432)과 단차를 이루며 제2 설치단(432) 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설치단(433)은 바닥면(225)의 하부에 위치하여, 체크 밸브(400)가 제2 부재(20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설치단(432)이 설치단 수용홀(223)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개폐 윙(410)과 배기 유로 출구(224)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고, 체크 밸브(40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지 않으므로, 바닥면(225)의 상부 공기와 하부 공기가 배기 유로 출구(224)를 통해 상호 교환되고, 바닥면(225)의 상부 기압과 하부 기압이 평형을 유지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트랩 장치의 전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트랩 장치(50)는 제1 부재(100)의 일측에 가동 부재(300)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1 부재(100)의 타측에 제2 부재(200)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물질 트랩 장치(50)를 조립하는 경우, 가동 부재(300)가 제1 부재(100)의 내측에 형성된 가동 부재 수용 공간(130)에 수용되도록 한 후, 제2 부재(200)를 덮어 고정단 수용홈(242)에 제2 부재 고정단(142)이 수용되도록 하여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가 결합되도록 한다. 고정단 수용홈(242)에 수용된 제2 부재 고정단(142)은 측벽부(260)와 후크 결합되어 제1 부재(100)가 제2 부재(200)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14 참고).
이하에서는, 제1 부재(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100)는 바닥부(111) 및 측벽부(113)를 포함한다.
바닥부(111)에는 승강축 수용홀(111a), 유체 유입홀(111b) 및 스페이서(112)가 형성된다. 승강축 수용홀(111a)은 바닥부(111)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고, 유체 유입홀(111b)은 승강축 수용홀(111a)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복수 개가 관통 형성된다. 복수의 스페이서(112)는 바닥부(111)로부터 일정 높이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12)는 승강축 수용홀(111a)과 유체 유입홀(111b)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스페이서(112)는 유체 유입홀(111b)들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측벽부(113)는 바닥부(11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바닥부(111)의 외부로부터 경사를 형성하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부(113a)를 포함한다.
경사부(113a)는 후술하는 이물질 쉴드(311)에 의해 가로막힌 이물질을 유체 유입홀(111b)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물질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유체 유입홀(111b)은 경사부(113a)에 인접하여 형성되거나, 유체 유입홀(111b)의 일부는 경사부(113a)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벽부(113)의 일부는 경사부(113a) 및 바닥부(111)를 둘러싸며 바닥부(111)보다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도 3 또는 도 14 참고). 바닥부(111)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측벽부(113)의 하단은 수용조(21) 내부의 음식물이 가공 부재(23)의 회전에 의해 수용조(21) 내에서 회전하며 발생하는 와류 등에 의해 이물질이 튀어 유체 유입홀(111b)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측벽부(113)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122)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122)의 하단에는 스토퍼(123)가 형성되고, 가이드 홈(122)의 상단은 대략 측벽부(113)의 일측 상단에 마주하도록 형성된 회전축 지지단(121)까지 연장된다. 가이드 홈(122)은 후술하는 가동 부재(300)의 회전축(312, 도 10 참고)을 수용하여, 가동 부재(300)가 가이드 홈(122)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도 12는 가동 부재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가동 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부재(300)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가동 부재(300)의 회전축(312)이 가이드 홈(122)의 하단에 위치한다. 가동 부재(300)의 회전축(312)은 가이드 홈(122)의 하단에 마련된 스토퍼(123)에 지지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부재(300)가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가동 부재(300)의 회전축(312)이 가이드 홈(122)의 상단에 위치한다.
측벽부(113)의 타측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부재 지지단(141)이 형성된다. 제2 부재 지지단(141)에는 제2 부재 회전축(141a, 도 12 참고)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부재 회전축(141a)은 제2 부재(200)의 회전축 수용홀(241)에 삽입되어 제2 부재(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 부재 지지단(141)의 맞은편에는 제2 부재 고정단(142)이 측벽부(113)의 상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부재 고정단(142)은 제2 부재(200)의 고정단 수용홈(242) 내에 수용되고, 제2 부재(200)의 측벽부(260)와 후크 결합되어 제1 부재(100)가 제2 부재(200)에 고정되도록 한다.
가동 부재(3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단(121)과 제2 부재(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부재 지지단(141)은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60도 또는 12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제1 부재(100), 제2 부재(200) 및 가동 부재(300)는 전개는 되지만 상호 간에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각 부재를 손쉽게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서도, 각 부재의 분실 위험성은 최소화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 부재(300)가 제1 부재(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가동 부재(300)는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 사이에서 이동 가능함을 전제로 제2 부재(200)와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부재(200)가 제1 부재(1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 부재(200)가 제1 부재(100)에 결합된 가동 부재(3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거나, 제2 부재(200)가 제1 부재(100) 및 가동 부재(300)와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동 부재(300)가 제1 부재(100) 내에 위치하지 않거나,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 사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부재(200)가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가동 부재(300)를 누락한 채로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가 결합될 수 없으므로 사용자의 조립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동 부재(3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도 9의 가동 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가동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부재(300)는 강성부(310)와 연성부(320)를 포함한다.
강성부(310)는 대략 링형의 플레이트 형상인 이물질 쉴드(311)를 포함한다. 이물질 쉴드(311)의 외경은 제1 부재(100)의 측벽부(113b)의 내경보다 작지만, 가동 부재(300)가 제1 부재(100)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물질 쉴드(311)의 가장자리가 측벽부(113b)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이물질 쉴드(311)와 측벽부(113b) 사이의 간극은 2mm 미만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강성부(310)는 이물질 쉴드(311)의 상면으로부터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상향 돌출링(313)을 더 포함한다. 상향 돌출링(313)은 강성부(310)의 중심에 형성되는 챔버 공간(314)의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챔버 공간(314)의 바닥 중심에는 연성부 설치홀(315)이 관통 형성된다.
한편, 연성부(320)는 차단 플레이트(311, 322) 및 조립단(323)을 포함한다.
차단 플레이트(311, 322)는 베이스 플레이트(321)와, 베이스 플레이트(321)의 주변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단턱(322)을 포함한다.
조립단(323)은 베이스 플레이트(321)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승강축(323a), 이탈방지단(323b) 및 고정단(323c)을 포함한다.
고정단(323c)은 베이스 플레이트(321)의 하부면으로 연장 형성되고, 연성부 설치홀(315)에 끼워져 연성부(320)를 강성부(310)에 고정시킨다. 승강축(323a)은 고정단(323c)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부재(100)의 승강축 수용홀(111a)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승강축 수용홀(111a)과 승강축(323a)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도록 형성되어, 승강축 수용홀(111a) 내에 상기 승강축(323a)이 위치하는 이상 가동 부재(300)가 제1 부재(100)에 대해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탈방지단(323b)은 승강축(323a)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승강축(323a)과 단차를 이루며 승강축(323a)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탈방지단(323b)은 제1 부재(100)의 바닥부(111)의 하부에 위치하여 가동 부재(300)가 제1 부재(10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성부(320)는 강성부(310)에 조립/분리가 가능하고, 단턱(322)이 제1 하향 돌출링(251)과 접하여 배기 유로를 차단하여야 하므로, 탄성력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강성부(310)는 이물질 쉴드(311)가 이물질을 차단하여야 하므로, 쉽게 변형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트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동시에 도 14는 체크 밸브(400)가 배기 유로 출구(224)를 개방한 채 유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체크 밸브(400)를 상승시켜 제2 설치단(432)이 설치단 수용홀(223)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체크 밸브(40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지 않으므로, 배기 유로 출구(224)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유입홀(111b), 이물질 쉴드(311)와 측벽부(113b) 사이, 제2 하향 돌출링(252)과 상향 돌출링(313) 사이, 제1 하향 돌출링(251)과 상향 돌출링(313) 사이 및 배기 유로 출구(224)로 연결되는 배기 유로를 따라 제1 부재(100)의 하부 공기와 제2 부재(200)의 상부 공기가 상호 교환된다.
따라서, 이물질 트랩 장치(50)가 뚜껑(30)에 장착된 상태로, 뚜껑(30)이 용기(20)에 결합된 경우, 수용조(21) 내부의 압력은 외부 압력과 평형을 이루게 된다. 수용조(21)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가 없으므로 사용자는 뚜껑(30)을 용기(2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즉, 수용조(21) 내부가 음압 상태에 있고, 용기(20)의 외부는 대기압 상태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뚜껑(30)을 분리하기 매우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는 체크 밸브(400)를 상승시켜 도 14의 상태가 되도록 한 후, 뚜껑(30)을 용기(20)로부터 분리하면 손쉽게 뚜껑(30)을 분리할 수 있다.
도 15는 진공 흡입 상태에서 배기 유로가 개방된 상태의 이물질 트랩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흡입 상태에서는 흡입 포트(19)의 일부 구성이 체크 밸브(400)의 손잡이(420)를 가압한 상태로 진공압을 제공한다.
체크 밸브(400)의 손잡이(420)가 하방으로 가압되므로, 개폐 윙(410)의 중심부는 체크 밸브 수용홀(222)의 바닥면(225)에 가압된다. 한편, 체크 밸브 수용홀(222)에 진공 펌프(12)로부터 흡입 포트(19)를 통해 진공압이 제공되므로, 개폐 윙(410)의 가장 자리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방으로 들리며 배기 유로 출구(224)를 개방한다.
따라서, 유체 유입홀(111b), 이물질 쉴드(311)와 측벽부(113b) 사이, 제2 하향 돌출링(252)과 상향 돌출링(313) 사이, 제1 하향 돌출링(251)과 상향 돌출링(313) 사이 및 배기 유로 출구(224)로 연결되는 배기 유로를 따라 수용조(21) 내부의 기체가 용기(20)의 외부로 배기되며, 수용조(21) 내부가 진공 배기된다.
도 15의 상태에서 수용조(21) 내부가 진공 배기되는 중에, 수용조(21) 내부의 액체 등의 이물질 트랩 장치(5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과정에서 식재료가 튀어 유체 유입홀(111b)로 유입되거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한 거품이 상승하여 유체 유입홀(111b)로 유입될 수 있다.
액체 등의 이물질이 진공 펌프(12)까지 도달하면 진공 펌프(12)가 파손되기 쉽다. 따라서, 이물질 트랩 장치(50)는 액체 등의 이물질이 진공 펌프(1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고체 이물질이 유체 유입홀(111b)로 유입된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경사부(113a)를 따라 다시 유체 유입홀(111b)을 통해 수용조(21)의 내부로 낙하하거나, 바닥부(111)에 잔존하게 된다.
고체 이물질이 진공압에 영향을 받아 배기 유로를 따라 이동하더라도, 이물질 쉴드(311)와 제1 부재(100)의 측벽부(113b) 사이의 간극이 좁기 때문에, 이 부분을 통과하지 못하고, 이물질 쉴드(311)에 가로막히게 되고, 결국 자중에 의해 경사부(113a)를 따라 다시 유체 유입홀(111b)을 통해 수용조(21)의 내부로 낙하하거나, 바닥부(111)에 잔존하게 된다.
도 16은 진공 흡입 상태에서 배기 유로가 폐쇄된 상태의 이물질 트랩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거품과 같이 다량의 액체 이물질이 유체 유입홀(111b)로 유입된 경우에는, 액체 이물질에 의한 부력으로 가동 부재(300)가 상승하여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부재(300)가 제2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가동 부재(300)의 단턱(322)이 제1 하향 돌출링(251)과 접하여 배기 유로의 일부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배기 유로를 통한 진공 배기가 중단되어 액체 이물질이 진공 펌프(12)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 부재(300)의 단턱(322)이 제1 하향 돌출링(251)이 접하는 것만으로 배기 유로를 폐쇄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가동 부재(300)가 상승하여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상향 돌출링(313)이 제1 하향 돌출링(251) 및/또는 제2 하향 돌출링(252)과 접하도록 하여 1차적으로 배기 유로를 차단하고, 동시에 단턱(322)이 제1 하향 돌출링(251)이 접하여 2차적으로 배기 유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두 지점에서 배기 유로를 차단하므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향 돌출링(313)은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리 중에 액체가 튀어 소량의 액체 이물질이 유체 유입홀(111b)로 유입된 경우에는, 가동 부재(300)가 부력으로 상승할 수 없다. 따라서, 소량의 액체 이물질은 배기 유로를 따라 이동하지만, 이물질 쉴드(311)와 제1 부재(100)의 측벽부(113b) 사이의 간극이 좁기 때문에, 이 부분을 통과하지 못하고, 이물질 쉴드(311)와 측벽부(113b) 사이의 간극에 수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물질 쉴드(311)와 측벽부(113b) 사이의 간극에 수막이 형성되므로, 가동 부재(300)는 상부와 하부의 압력 차이에 의해 상승하여 제2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부재(300)의 단턱(322)이 제1 하향 돌출링(251)과 접하여 배기 유로의 일부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배기 유로를 통한 진공 배기가 중단되어 액체 이물질이 진공 펌프(12)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가루형 식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가루형 식재료가 유체 유입홀(111b)로 유입되어 진공 펌프(12)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진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진 필터는 제1 부재(100)의 바닥부(111) 상에 설치되거나, 유체 유입홀(111b)에 설치되어, 유체 유입홀(111b)을 통해 이물질 트랩 장치(50) 내로 가루형 식재료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는, 분진 필터는 제2 부재(200)와 가동 부재(300) 사이에 설치되고, 제2 부재(200)와 가동 부재(300) 조립된 상태에서 배기 유로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되어, 배기 유로를 통과하는 가루형 식재료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또는, 분진 필터는 체크 밸브 수용홀(222)의 바닥면(225) 상에 설치되거나, 배기 유로 출구(224)에 설치되어, 이물질 트랩 장치(50) 내로 유입된 가루형 식재료가 배기 유로 출구(224)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는, 분진 필터는 제2 부재(200)의 포트 접촉면(211) 상에 설치되어, 배기 유로 출구(224)를 통해 배출된 가루형 식재료가 진공 펌프(12)로 진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7은 체크 밸브에 의해 배기 유로의 출구가 폐쇄된 상태의 이물질 트랩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포트(19)가 제거된 상태에서는, 개폐 윙(410)의 상부는 대기압 상태이고, 배기 유로는 음압 상태이므로, 압력차에 의해 개폐 윙(410)은 배기 유로 출구(224)를 폐쇄한다. 따라서, 수용조(21) 내부의 음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2)는 인클로져(41, 42)를 더 포함한다. 인클로져(41, 42)는 수용조(21) 및 뚜껑(30)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가공 부재(23)에 의해 수용조(21) 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한다.
인클로져(41, 42)는 상부 인클로져(42)와 하부 인클로져(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 인클로져(41)는 베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 인클로져(42)는 지지 포스트(17)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1)는 이물질 트랩 장치(50)가 뚜껑(30)에 설치된 반면,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2)는 이물질 트랩 장치(50)가 상부 인클로져(42)에 설치된다. 이물질 트랩 장치(50)의 배기 유로는 뚜껑(30)을 통해 수용조(21)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2: 조리기 10: 베이스
11: 모터 12: 진공 펌프
12a: 진공 배기 라인 16a: 제1 용기 결합단
16b: 제2 용기 결합단 17: 지지 포스트
18: 스윙암 19: 흡입 포트
20: 용기 21: 수용조
22: 손잡이 23: 가공 부재
30: 뚜껑 31: 제1 상면부
32: 제2 상면부 33: 제3 상면부
34: 트랩 설치홀 35: 트랩 설치단
35a: 가압 돌출편 35b: 저지 돌출편
35c: 고정편 수용 공간 36: 측면부
37: 실링 링 38: 플랩
41: 하부 인클로져 42: 상부 인클로져
50: 이물질 트랩 장치 100: 제1 부재
111: 바닥부 111a: 승강축 수용홀
111b: 유체 유입홀 112: 스페이서
113, 113b: 측벽부 113a: 경사부
121: 회전축 지지단 122: 가이드 홈
123: 스토퍼 130: 가동 부재 수용 공간
141: 제2 부재 지지단 141a: 제2 부재 회전축
142: 제2 부재 고정단 200: 제2 부재
211: 포트 접촉면 212: 릿지
213: 포트 수용 공간 221: 측벽
222: 체크 밸브 수용홀 223: 설치단 수용홀
224: 배기 유로 출구 225: 바닥면
231: 실링 링 241: 회전축 수용홀
242: 고정단 수용홈 251: 제1 하향 돌출링
252: 제2 하향 돌출링 260: 측벽부
300: 가동 부재 310: 강성부
311: 이물질 쉴드 312: 회전축
313: 상향 돌출링 314: 챔버 공간
315: 연성부 설치홀 320: 연성부
321: 베이스 플레이트 322: 단턱
323: 조립단 323a: 승강축
323b: 이탈방지단 323c: 고정단
400: 체크 밸브 410: 개폐 윙
420: 손잡이 430: 설치단
431: 제1 설치단 432: 제2설치단
433: 제3설치단

Claims (24)

  1. 적어도 하나의 유체 유입홀이 형성된 제1 부재;
    상기 유체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 중 기체가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된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체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 중 액체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배기 유로를 폐쇄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하는, 이물질 트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액체에 의한 부력에 의해 상기 제2 부재 측으로 이동하여 배기 유로를 폐쇄하는, 이물질 트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가동 부재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부재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가동 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제1 부재의 내측면 사이로 상기 액체가 개재되면, 상기 배기 유로를 통해 상기 기체를 외부로 배기하는 힘에 의해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2 부재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기 유로를 폐쇄하는, 이물질 트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유체 유입홀 중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외주로부터 경사를 형성하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이물질 트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측벽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외주가 상기 측벽부의 내벽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이물질 쉴드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 유입홀을 통해 상기 제1 부재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은 상기 이물질 쉴드와 상기 측벽부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유체 유입홀을 통해 상기 제1 부재의 외부로 배출되는, 이물질 트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유체 유입홀 중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는 상기 가동 부재의 일측과 결합하여 상기 가동 부재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이물질 트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가동 부재의 일측이 상기 가이드 홈의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홈의 상단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부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물질 트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이물질 쉴드, 상기 이물질 쉴드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승강축 및 상기 승강축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승강축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이탈방지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의 바닥부에는 상기 승강축이 관통하는 승강축 수용홀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축 수용홀과 상기 승강축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승강축 수용홀 내에 상기 승강축이 위치하는 이상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에 대해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는, 이물질 트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1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재와 분리되지 않는, 이물질 트랩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유체 유입홀 중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측벽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외주가 상기 측벽부의 내벽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이물질 쉴드 및 상기 이물질 쉴드의 상면으로부터 환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향 돌출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하부로 노출된 제1 하향 돌출링 및 제2 하향 돌출링을 포함하고, 상기 상향 돌출링은 상기 제1 하향 돌출링과 상기 제2 하향 돌출링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배기 유로 중 일부를 형성하는, 이물질 트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배기 유로를 개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배기 유로를 폐쇄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때에, 상기 상향 돌출링은 상기 제1 하향 돌출링 및 상기 제2 하향 돌출링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때에, 상기 상향 돌출링은 상기 제1 하향 돌출링 및 상기 제2 하향 돌출링 중 적어도 하나와 접하여 상기 배기 유로를 차단하는, 이물질 트랩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 돌출링은 상기 제2 하향 돌출링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하향 돌출링은 상기 제2 하향 돌출링 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이물질 트랩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유체 유입홀 중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측벽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외주가 상기 측벽부의 내벽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이물질 쉴드 및 상기 이물질 쉴드의 상면으로부터 환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향 돌출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하부로 노출되어 상기 상향 돌출링과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배기 유로 중 일부를 형성하는 하향 돌출링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하향 돌출링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챔버 공간 및 상기 챔버 공간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차단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물질 트랩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배기 유로를 개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배기 유로를 폐쇄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때에, 상기 하향 돌출링과 상기 차단 플레이트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때에, 상기 차단 플레이트는 상기 하향 돌출링과 접하여 상기 배기 유로를 차단하는, 이물질 트랩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일측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타측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물질 트랩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1 부재 내에 또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위치하지 않은 때에는,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부재에 결합되지 않는, 이물질 트랩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 유로 출구를 개폐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크 밸브는 개폐 윙 및 상기 개폐 윙의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설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설치단이 통과하는 설치단 수용홀 및 상기 개폐 윙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설치단 수용홀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 윙에 의해 개폐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 유로 출구를 포함하는, 이물질 트랩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윙은 대기압 상태에서 상기 배기 유로 출구를 폐쇄하고, 음압 상태에서 상기 배기 유로 출구를 개방하는, 이물질 트랩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단은,
    상기 설치단 수용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1 설치단 및
    상기 제1 설치단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설치단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단 수용홀에 상기 제2 설치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체크 밸브의 자중에 의해 체크 밸브가 이동하지 않는, 이물질 트랩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설치단이 상기 설치단 수용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개폐 윙은 상기 배기 유로 출구를 개방하는, 이물질 트랩 장치.
  21. 가공 대상인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개구부를 덮는 뚜껑;
    상기 뚜껑을 통해 상기 용기의 내부를 진공 배기하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는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가 진공 배기되는 중에 상기 용기 내의 액체가 상기 진공 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트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 트랩 장치는,
    상기 용기 내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유입홀이 형성된 제1 부재;
    상기 유체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 중 기체가 상기 진공 펌프 측으로 배기되는 배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된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체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 중 액체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배기 유로를 폐쇄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하는 조리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이물질 트랩 장치가 설치되는 트랩 설치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트랩 장치는 상기 트랩 설치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리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내의 음식물을 상기 용기의 바닥을 향해 누르는 누름봉을 더 포함하며,
    상기 누름봉은 상기 이물질 트랩 장치가 상기 뚜껑으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트랩 설치홀을 통해 상기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는, 조리기.
  24. 가공 대상인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용기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는 인클로져;
    상기 인클로져를 통해 상기 용기의 내부를 진공 배기하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는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져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내부가 진공 배기되는 중에 상기 용기 내의 액체가 상기 진공 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트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 트랩 장치는,
    상기 용기 내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유입홀이 형성된 제1 부재;
    상기 유체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 중 기체가 상기 진공 펌프 측으로 배기되는 배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된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체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 중 액체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배기 유로를 폐쇄하는 가동 부재;를 포함하는 조리기.
KR1020180106036A 2018-09-05 2018-09-05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KR102102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036A KR102102978B1 (ko) 2018-09-05 2018-09-05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US16/621,680 US11589705B2 (en) 2018-09-05 2019-08-29 Foreign substance trap device and cooking device using same
PCT/KR2019/011057 WO2020050548A1 (ko) 2018-09-05 2019-08-29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EP19813214.4A EP3834686A4 (en) 2018-09-05 2019-08-29 CONTAMINATION COLLECTOR AND STOVE WITH USE THEREOF
CN201921475266.6U CN211459906U (zh) 2018-09-05 2019-09-05 异物捕获装置及利用其的料理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036A KR102102978B1 (ko) 2018-09-05 2018-09-05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788A true KR20200027788A (ko) 2020-03-13
KR102102978B1 KR102102978B1 (ko) 2020-04-21

Family

ID=69722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036A KR102102978B1 (ko) 2018-09-05 2018-09-05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89705B2 (ko)
EP (1) EP3834686A4 (ko)
KR (1) KR102102978B1 (ko)
CN (1) CN211459906U (ko)
WO (1) WO202005054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304A (ko) * 2020-07-31 2022-12-02 안중근 진공블렌더
KR20230001390A (ko) * 2021-06-28 2023-01-04 안중근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60640S1 (en) * 2020-07-16 2022-08-16 Midea Group Co., Ltd. Lid for a pressure cooker
USD961330S1 (en) * 2020-07-16 2022-08-23 Midea Group Co., Ltd. Electric cooker lid
KR102363451B1 (ko) * 2020-10-15 2022-02-17 (주)포에스텍 내용물 유입 방지 구조가 적용된 진공블렌더
EP4338646A1 (en) * 2021-05-20 2024-03-20 Joung Geun Ahn Vacuum blender having foreign body catching member mounted thereon
KR102507566B1 (ko) * 2021-11-26 2023-03-09 안중근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블렌더
KR102371439B1 (ko) * 2021-05-20 2022-03-08 안중근 이물받이부재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DE102022112672A1 (de) * 2022-05-19 2023-11-23 Novum Group AG Mehrzweckküchengerät mit Vakuumiereinrichtung, Adaptereinheit sowie Verfahr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523Y1 (ko) * 2002-01-22 2002-04-25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건축물에서 부력을 이용한 유해가스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101769482B1 (ko) * 2016-08-31 2017-08-30 아이에스동서(주) 블렌더의 진공장치
JP6265729B2 (ja) * 2013-12-24 2018-01-24 株式会社テスコム フードミル
KR101821786B1 (ko) * 2016-08-29 2018-01-25 (주)포에스텍 진공 믹서기
KR101878304B1 (ko) * 2017-04-26 2018-07-1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463A (en) * 1893-06-13 Air-valve for steam-radiators
US1166439A (en) * 1915-04-08 1916-01-04 Justus N Corbin Air-relief valve for water-mains and the like.
US2721620A (en) * 1952-10-18 1955-10-25 Harold C Geer Air-remover
US3334645A (en) * 1965-09-01 1967-08-08 Flair Mfg Corp Automatic venting apparatus
US5480054A (en) * 1993-10-28 1996-01-02 Bunn-O-Matic Corporation Brew-through cap for thermal container
JP4329769B2 (ja) * 2006-02-15 2009-09-09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遮断弁
JP4831422B2 (ja) * 2006-07-19 2011-12-07 豊田合成株式会社 流量可変バルブ
AU2013327419B2 (en) * 2012-10-01 2018-05-10 Dezurik, Inc. Combination air valve
JP5639136B2 (ja) * 2012-10-05 2014-12-10 株式会社テスコム 真空電動調理器
KR101618729B1 (ko) * 2014-06-18 2016-05-09 씨티엠(주) 진공 믹서기 및 그 작동 방법
CN107148234B (zh) * 2014-11-07 2019-04-26 达仕康电机株式会社 电动调理器
CN106308575B (zh) 2015-06-29 2019-10-01 深圳市联创三金电器有限公司 真空食物处理装置
EP3424380A1 (en) * 2017-07-06 2019-01-09 Koninklijke Philips N.V. A food processing device, comprising a jar
KR102096518B1 (ko) * 2017-08-18 2020-04-02 씨티엠(주) 역류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 믹서기용 저장 용기
CN111712166B (zh) * 2018-01-24 2024-01-02 布瑞威利私人有限公司 搅拌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523Y1 (ko) * 2002-01-22 2002-04-25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건축물에서 부력을 이용한 유해가스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JP6265729B2 (ja) * 2013-12-24 2018-01-24 株式会社テスコム フードミル
KR101821786B1 (ko) * 2016-08-29 2018-01-25 (주)포에스텍 진공 믹서기
KR101769482B1 (ko) * 2016-08-31 2017-08-30 아이에스동서(주) 블렌더의 진공장치
KR101878304B1 (ko) * 2017-04-26 2018-07-1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9304A (ko) * 2020-07-31 2022-12-02 안중근 진공블렌더
KR20230001390A (ko) * 2021-06-28 2023-01-04 안중근 이물받이부가 장착된 진공 블렌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978B1 (ko) 2020-04-21
EP3834686A4 (en) 2022-07-06
US11589705B2 (en) 2023-02-28
CN211459906U (zh) 2020-09-11
EP3834686A1 (en) 2021-06-16
WO2020050548A1 (ko) 2020-03-12
US20210007545A1 (en)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2978B1 (ko) 이물질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기
KR101804162B1 (ko) 블렌더
KR102453176B1 (ko) 조리기
US10299630B2 (en) Vacuum mixer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101943098B1 (ko) 진공 믹서기
CN213129232U (zh) 用于食物处理系统的储集器组件及食物处理系统
KR101836074B1 (ko) 블렌더용 보조용기의 진공장치
JP2020179144A (ja) 調理装置
KR101873900B1 (ko) 블렌더
US11779161B2 (en) Blender and lid for blender container
KR102636748B1 (ko) 조리기
KR102257104B1 (ko) 조리기
CN111281161A (zh) 蒸汽阀及烹饪器具
KR102287285B1 (ko) 조리기 뚜껑
KR101971101B1 (ko) 조리기
KR102287286B1 (ko) 진공 조리기용 용기
JP3264582B2 (ja) 密封容器
KR20210038392A (ko) 중간 챔버 안전 디바이스를 구비한 압력 조리 기구
CN218484326U (zh) 上盖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114729534B (zh) 具有盆和对盆中的出口进行密封的单独且可移动的插入板的冲洗槽
KR102076469B1 (ko) 조리기
JPH06269366A (ja) 調理器
JPH06269363A (ja) 調理器
KR20190083241A (ko) 조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