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513A - 차량용 발음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발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513A
KR20200027513A KR1020207001932A KR20207001932A KR20200027513A KR 20200027513 A KR20200027513 A KR 20200027513A KR 1020207001932 A KR1020207001932 A KR 1020207001932A KR 20207001932 A KR20207001932 A KR 20207001932A KR 20200027513 A KR20200027513 A KR 20200027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vehicle
base
pronuncia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스무 미야타
준이치 사토
Original Assignee
안덴 가부시키가이샤
도호꾸 파이오니어 가부시끼가이샤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덴 가부시키가이샤, 도호꾸 파이오니어 가부시끼가이샤,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안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7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1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incorporating only one trans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5Mou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9Applications of special connectors, e.g. USB, XLR, in loudspeakers, micro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차량용 발음기는 발음체(20); 발음체를 덮는 하우징(16); 하우징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개구부(101a)를 가지고, 차량 기기와의 전기적 접속을 실시하는 차량 커넥터가 장착되는 커넥터부(101); 및 커넥터부의 개구부로부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하여 배치된 접속 단자(30)를 구비한다. 발음체는 진동판(21), 진동판과 접속된 보이스 코일(23) 및 보이스 코일로부터 연장 돌출된 리드선(28)을 가진다. 리드선은 하우징 내에서 접속 단자와 직접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발음기
본 출원은 2017년 7월 2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2017―142957호에 기초하는 것으로, 여기에 그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본 개시는 발음체(發音體) 및 하우징을 구비한 차량용 발음기(發音器)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스피커가 있다. 이 스피커는 커넥터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외주부에 연결된 진동판과, 진동판의 중앙부에 설치된 보이스 코일과, 단자를 포함하고, 프레임의 외주부에 설치된 커넥터부와, 커넥터부의 단자에 접속된 접속부를 가지고, 커넥터부의 단자와 보이스 코일 사이를 접속하는 리드선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차량에 탑재되는 발음기로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것도 있다. 이 발음기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발음체와, 발음체와 도전 부재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 기구와, 발음기가 부착되는 베이스와, 베이스를 관통한 상태에서 베이스에 고정되고 베이스의 외부로 돌출하는 부위가 외부의 기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 국제 공개 제2014/156017호 팸플릿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17―50863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을 차량의 프론트 범퍼 등에 배치하고자 한 경우, 스피커가 침수되거나 물에 젖는 등으로 고장나 버리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의 내부에 모래 먼지나 이물이 부착되어 음질이 저하되거나 고장나 버리는 것을 생각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방수성, 방진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피커를 덮는 하우징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차량 기기에 접속되는 차량 커넥터가 접속되는 커넥터를 하우징의 외부에 형성하고, 또한 이 커넥터에 접속 단자를 설치하고, 이 커넥터의 접속 단자와 스피커의 커넥터부의 단자 사이를 전기 배선 등을 이용하여 접속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스피커의 리드선과 하우징의 커넥터에 설치된 접속 단자 사이의 전기 접속에 필요한 부품수가 많아진다. 또한, 조립의 공정수도 많아진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는 베이스가 발음체를 덮는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방수성 및 방진성이 향상된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발음기에 대해서도,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베이스에 설치된 접속 단자와 발음체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실시하기 위한 부품수가 많아지고, 조립을 위한 공정수도 많아진다.
본 개시는, 발음체와 하우징에 설치된 접속 단자의 전기적 접속을 실시하기 위한 부품수를 삭감하고, 또한 조립을 위한 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발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있어서, 차량용 발음기는 진동판과, 진동판과 접속된 보이스 코일과, 보이스 코일로부터 연장 돌출된 리드선을 가지는 발음체와, 발음체를 덮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차량 기기와의 전기적 접속을 실시하는 차량 커넥터가 장착되는 커넥터부와, 커넥터부의 개구부측으로부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하여 배치된 접속 단자를 구비하고, 보이스 코일로부터 연장 돌출된 리드선이 하우징 내에서 접속 단자와 직접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발음체를 덮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또한 보이스 코일로부터 연장 돌출된 리드선이 하우징 내에서 접속 단자와 직접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발음체와 하우징에 설치된 접속 단자의 전기적 접속을 실시하기 위한 부품수를 삭감하고, 또한 조립을 위한 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발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발음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발음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발음기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발음기의 하면도이다.
도 6은 도 2 중의 Ⅵ―Ⅵ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 중의 Ⅶ―Ⅶ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발음기에서의 케이스를 떼어낸 상태의 배면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6 중의 Ⅸ부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8 중의 Ⅹ―Ⅹ선에서의 단면도를, 상하(天地) 방향을 거꾸로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용 발음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본 차량용 발음기는 예를 들면, 차량에 탑재되어 차의 실외로 경보음을 발하는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6)은 발음체(20)를 수납하는 것이고, 모두 수지제로 이루어지는 베이스(10), 케이스(14) 및 커버(12)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10)는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커버(12)는 베이스(10)에서의 발음체(20)의 발음면(20a)측의 일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4)는 베이스(10)에서의 발음체(20)의 발음면(20a)과 반대측의 타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일단측 개구부에 베이스(10)의 일단측을 폐쇄하도록 하여 대략 바닥을 구비한 원통형상의 커버(12)가 접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0)의 타단측 개구부에 베이스(10)의 타단측을 폐쇄하도록 하여 대략 바닥을 구비한 사각통형상의 케이스(14)가 접합되어 있다.
베이스(10)와 케이스(14)의 접합부는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0)와 케이스(14)의 접합부는 접착제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또한, 발음체(20)는 베이스(10)에 대하여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되어 부착되어 있다. 커버(12)에는 발음체(20)로부터의 경보음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소리방출구멍(放音孔)(12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차량용 발음기는 소리방출구멍(121)이 형성된 커버(12)측이 정면으로 되어 있고, 케이스(14)측이 배면으로 되어 있다.
하우징(16)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전기 신호를 받아서 소리를 발생하는 발음체(20)가 수용되어 있다. 발음체(20)는 발음면(20a)이 커버(12)측을 향하도록 베이스(10)에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16)에 의해 발음체(20)의 방수성 및 방진성이 향상된다. 즉, 하우징(16)은 발음체(20)로의 직접적인 침수나 모래 먼지로부터의 손상을 보호하고, 물에 젖음에 의한 발음체(20)의 내부로의 침수나 이물 침입을 방지하고 있다. 베이스(10) 내에는 디퓨저(102)가 배치되어 있다. 디퓨저(102)는 발음체(20)가 발생시키는 소리의 음질을 조정하는 것이다. 디퓨저(102)는 발음체(20)의 발음면(20a)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디퓨저(102)는 공명실(1022)이 형성된 차폐벽(1021)을 가지고 있다. 디퓨저(102)는 차폐벽(1021)에 형성된 공명실(1022)의 공명 효과를 이용하여 발음체(20)의 발음면(20a)으로부터 방출되는 소리의 음압을 증폭시킨다.
또한, 하우징(16) 내에서의 발음체(20)보다 배면측에는 발음체(20), 베이스(10) 및 케이스(14)에 의해 사전에 결정된 밀폐 용적을 가지는 밀폐 용기가 형성된다. 이 밀폐 용기는 공기 스프링으로서 기능하고, 진동판(21)의 공진 주파수에서의 소리의 음압을 증폭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디퓨저(102)는 베이스(10)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하우징(16)의 베이스(10)의 외주면에는 통형상의 커넥터부(101)가 돌출해 있다. 커넥터부(101)는 베이스(10)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개구부(101a)를 가지고 있다. 이 개구부(101a)에 차량 기기와의 전기적 접속을 실시하는 차량 커넥터(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된다.
베이스(10), 케이스(14) 및 발음체(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밀봉된 공간의 온도 변화에 의한 압력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 케이스(14) 및 발음체(2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외부에 연통시키는 관통 구멍(103)이 베이스(10)에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103)은 통기(通氣)는 하지만, 물은 통과시키지 않는 특성을 가지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압력 조정막(104)으로 덮여 있다.
커넥터부(101)의 개구부(101a) 내에는 도전성 금속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2개의 접속 단자(30)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 단자(30)는 하우징(16)의 내부로부터 커넥터부(101)의 개구부(101a)측으로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0)의 측면에는 커넥터부(101)의 개구부(101a)측과 하우징(16)의 내부측을 연통하는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부에 접속 단자(30)가 압입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단자(30)는 판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접속 단자(30)는 베이스(10)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본체부(31)와 돌기부(32)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31)와 돌기부(32)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32)에는 지지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2a)는 홈형상을 이루고 있다.
리드선(28)은 접속 단자(30)의 돌기부(32)에 형성된 지지부(32a)에 삽입되고, 또한, 그 선단부가 하우징(16) 내에서 접속 단자(30)의 본체부(31)에 납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221)와 접속 단자(30) 사이에 배치되는 리드선(28)의 도중에 구부림부(281)가 형성되어 있다. 구부림부(281)는 리드선(28)이 대략 직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드선(28)의 구부림의 정도는 대략 직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리드선(28)이 완만한 곡선으로 되도록 구부림부(281)를 형성해도 좋다.
다음으로, 발음체(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음체(20)는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진동판(21)과, 진동판(21)을 고정하는 프레임(22)과, 진동판(21)을 진동시키기 위한 보이스 코일(23)과, 자계(磁界)를 형성하는 자기 회로(24), 보이스 코일(23)을 지지하는 댐퍼(25)를 구비하고 있다.
진동판(21)은 중앙에 위치하는 내주부(21a)와, 내주부(21a)의 외주측에 배치된 외주부(21b)를 가지고 있다. 진동판(21)은 내주부(21a)의 배면측의 외부 가장자리부가 보이스 코일(23)의 일단부와 접속되고, 또한 외주부(21b)의 외부 가장자리부가 프레임(22)의 외주부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발음체(20)의 발음면(20a), 즉, 진동판(21)에서의 차량용 발음기의 표면측의 부위는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방수 구조로 되어 있다.
프레임(22)은 진동판(21)의 외주 가장자리부와 접촉하여 진동판(21)을 지지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2)에서의 커넥터부(101)와 대향하는 부위에는 후술하는 리드선(28)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고정하는 2개의 고정부(221)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221)는 각각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고 있다. 2개의 고정부(221)와 프레임(22)은 수지제 부재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고정부(221)에서의 케이스(14)측의 면에는 각각 선형상의 홈부(221a)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발음체(20)는 베이스(10)의 일단측으로 발음면(20a)이 향하도록 배치되고, 홈부(221a)는 고정부(221) 중, 베이스(10)의 타단측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리드선(28)은 각 고정부(221)에 형성된 홈부(221a)에 끼워넣어져 있다. 즉, 홈부(221a)는 고정부(221)에 복수 형성되고, 2개의 리드선(28)은 각각 고정부에 형성된 각 홈부(221a)에 끼워넣어져 있다. 고정부(221)는 홈부(221a)에 리드선(28)이 끼워넣어짐으로써 리드선(28)을 고정하고 있다.
보이스 코일(23)과 고정부(221) 사이에 배치되는 리드선(28)의 도중에 구부림부(280)가 형성되어 있다. 구부림부(280)는 리드선(28)이 완만한 곡선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드선(28)의 구부림의 정도는 완만한 곡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리드선(28)이 대략 직각으로 되도록 구부림부(280)를 형성해도 좋다.
도 6, 도 7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이스 코일(23)은 원통형상을 이루는 보빈(231)과, 이 보빈(231)의 외주면에 감긴 코일선(232)을 가지고 있다. 보빈(231)의 외주면에는 코일선(232)과 리드선(28)을 접속하기 위한 동박(銅箔)(도시하지 않음)이 접착되어 있다. 보빈(231)의 외주면에는 코일선(232)의 단부와 리드선(28)의 단부를 접속하는 접속부(231a)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231a)에서의 코일선(232)과 동박의 접합 및 리드선(28)과 동박의 접합은 각각 납땜에 의해 실시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231a)에서의 리드선(28)의 근원부에는 비교적 큰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이 탄성 접착제에 의해 리드선(28)의 근원부를 보강하는 보강부(233)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접착제로서는, 실리콘계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리드선(28)은 파이버 등에 의해 구성된 심선(芯線)과, 이 심선에 감긴 복수의 동박 실(銅箔絲)(어느 쪽도 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는 비단실선(錦絲線)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리드선(28)은 보이스 코일(23)로부터 프레임(22)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 회로(24)는 보이스 코일(23)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자기 회로(24)는 자석(241), 자극편(pole piece)(242) 및 요크(243)를 가지고 있다.
자석(241)은 원반 형상을 이루고 있고, 바닥을 구비한 원통형상을 이루는 요크(243) 내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다. 자석(241)에서의 요크(243)의 저면측과 반대측의 면에 원반 형상을 이루는 자극편(242)이 배치되어 있다. 자석(241)의 일면은 요크(243) 내의 저면과 접촉하고, 자석(241)의 타면은 자극편(242)의 일면과 접촉해 있다.
자극편(242)은 요크(243)와 함께 자로(磁路)를 형성하는 것이다. 자극편(242) 및 요크(243)는 철 등의 자성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자극편(242)은 보빈(231)에 감긴 코일선(232)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요크(243)의 내주면과, 보빈(231)의 외주면 사이에는 미소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23)의 코일선(232)은 요크(243)와 보빈(231)의 외주면에 형성된 미소한 간극에 배치되어 있다.
코일선(232)에는 요크(243)와 보빈(231)의 외주면에 형성된 간극에 형성되는 자계가 인가된다. 자계가 인가된 상태의 코일선(232)에 전류가 흐르면, 보빈(231)은 댐퍼(25)에 지지된 상태에서 보빈(231)의 축방향으로 변위하여 진동하고, 이 진동이 진동판(21)에 전파됨으로써 진동판(21)이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본 차량용 발음기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발음체(20)를 준비한다. 본 실시 형태의 발음체(20)는 진동판(21), 프레임(22), 보이스 코일(23), 자기 회로(24) 및 댐퍼(25)가 조립되고, 발음체(20)로부터 리드선(28)이 연장 돌출된 상태로 준비된다. 또한, 발음체(20)에서의 리드선(28)의 길이는 미리 정해진 길이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발음체(20)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리드선(28)의 일단과 타단 사이는 프레임(22)의 고정부(221)에서의 케이스(14)측의 면에 형성된 홈부(221a)에 끼워넣어져 있다. 또한, 리드선(28)의 일단과 타단 사이는 프레임(22)의 고정부(221)에 형성된 홈부(221a)에 끼워넣을 때에 리드선(28)의 장력이 완화되도록 보이스 코일(23)과 고정부(221) 사이에 배치되는 리드선(28)에 다소의 이완을 가지게 하고, 또한 구부림 성향이 부여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보이스 코일(23)과 고정부(221) 사이에 배치되는 리드선(28)의 도중에 구부림부(28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드선(28) 중, 고정부(221)에 형성된 홈부(221a)로부터 보이스 코일(23)측으로 연장되는 리드선(28)의 근원부에는 리드선(28)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부(221)에 형성된 홈부(221a)로부터 보이스 코일(23)측으로 연장되는 리드선(28)의 근원부에 비교적 큰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보강부(222)를 형성하고 있다. 탄성 접착제로서는, 실리콘계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베이스(10), 케이스(14) 및 커버(12)를 준비한다. 그리고 베이스(10)에 접속 단자(30)를 조립한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부(101)의 개구부(101a)측과 하우징(16)의 내부측을 연통하는 구멍부에 접속 단자(30)를 압입에 의하여 부착한다. 또한,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커넥터부(101)의 개구부(101a)측과 하우징(16)의 내부측을 연통하는 구멍부와 접속 단자(30)의 접합부에 하우징(16)의 내측으로부터 접착제를 도포한다.
다음으로, 진동판(21)의 외주부(21b)의 외부 가장자리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착제를 도포한 후, 발음체(20)를 베이스(10)에서의 배면측, 즉, 베이스(10)에 있어서 케이스(14)가 부착되는 면측으로부터 베이스(10) 내로 삽입하고, 베이스(10) 내에 접착 고정한다. 또한, 먼저 베이스(10)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발음체(20)를 베이스(10) 내에 접착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으로, 리드선(28)의 선단부를 접속 단자(30)의 돌기부(32)에 형성된 지지부(32a)에 삽입하여 임시고정한다.
그리고 고정부(221)와 접속 단자(30) 사이에 배치되는 리드선(28)의 도중에 구부림부(281)를 형성한 후, 하우징(16) 내에서 리드선(28)의 선단을 접속 단자(30)의 본체부(31)에 납땜한다. 이에 따라, 보이스 코일(23)로부터 연장 돌출된 리드선(28)이 하우징(16) 내에서 접속 단자(30)와 직접 접속된다.
또한, 발음체(20)에서의 리드선(28)의 길이는 미리 정해진 길이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선(28)의 초과 길이의 조정을 위한 절단 작업을 실시하지 않고, 리드선(28)의 선단을 접속 단자(30)의 본체부(31)에 납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베이스(10)와 케이스(14)의 접합부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이에 따라, 베이스(10), 케이스(14) 및 발음체(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밀폐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커버(12)에서의 베이스(10)와의 접합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커버(12)를 베이스(10)에 접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차량용 발음기의 조립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본 차량용 발음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베이스(10)에 형성된 커넥터부(101)에 차량 기기와의 전기적 접속을 실시하는 차량 커넥터가 장착되면, 차량 기기로부터의 전기 신호(즉, 음향 신호)가 접속 단자(30), 리드선(28)의 경로로 보이스 코일(23)의 코일선(23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보이스 코일(23)의 보빈(231)이 댐퍼(25)에 지지된 상태에서 보빈(231)의 축방향으로 변위하여 진동하고, 이 진동이 진동판(21)에 전파됨으로써 발음체(20)로부터 소리가 발생한다. 발음체(20)가 발생시킨 소리는 커버(12)에 형성된 소리방출구멍(121)으로부터 경보음으로서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발음기는 진동판(21)과, 진동판(21)과 접속된 보이스 코일(23)과, 보이스 코일(23)로부터 연장 돌출된 리드선(28)을 가지는 발음체(20)와, 발음체(20)를 덮는 하우징(1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16)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개구부(101a)를 가지고, 차량 기기와의 전기적 접속을 실시하는 차량 커넥터가 장착되는 커넥터부(101)와, 커넥터부(101)의 개구부(101a)측으로부터 하우징(16)의 내부로 돌출하여 배치된 접속 단자(3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보이스 코일(23)로부터 연장 돌출된 리드선(28)이 하우징(16) 내에서 접속 단자(30)와 직접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발음체(20)를 덮는 하우징(16)을 구비하고, 또한 보이스 코일(23)로부터 연장 돌출된 리드선(28)이 하우징(16) 내에서 접속 단자(30)와 직접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발음체와 하우징에 설치된 접속 단자의 전기적 접속을 실시하기 위한 부품수를 삭감하고, 또한 조립을 위한 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보이스 코일(23)은 코일선(232)과, 코일선(232)이 감긴 보빈(231)을 가지고, 보빈(231)은 코일선(232)의 단부와 접속되고, 또한 리드선(28)의 단부와 접속되는 접속부(231a)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코일선(232)의 단부와 리드선(28)의 단부를 접속부(231a)로 직접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단자(30)는 리드선(28)을 지지하는 지지부(32a)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보이스 코일(23)로부터 연장 돌출된 리드선(28)을 하우징(16) 내에서 접속 단자(30)와 직접 접속할 때에 리드선(28)을 지지부(32a)에 가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리드선의 초과 길이의 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서, 리드선의 접속 단자로의 접속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6)은 발음체(20)가 부착되는 통형상의 베이스(10)와, 베이스(10)의 일단측에 배치된 케이스(14)를 가지고, 발음체(20)는 베이스(10)에 대하여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되어 부착되고, 또한 베이스(10)와 케이스(14)의 접합부는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발음체(20)는 베이스(10)에 대하여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되어 부착되고, 또한 베이스(10)와 케이스(14)의 접합부는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방수성 및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에는 발음체(20)가 발생시키는 소리의 음질을 조정하는 디퓨저(10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디퓨저(102)에 의한 공명 효과에 의해 발음체(20)가 발하는 소리의 음질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0)와 디퓨저(102)는 일체 성형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디퓨저(102)의 베이스(10)로의 조립 작업이 불필요하여, 조립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발음체(20)로부터 소리가 발음될 때에 보이스 코일(23) 및 진동판(21)의 진동이 보이스 코일(23)로부터 연장 돌출된 리드선(28)에 전파된다. 이때, 보이스 코일(23)과 접속 단자(30)의 길이는 비교적 길기 때문에 리드선(28)의 일단과 타단 사이가 고정부(221)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리드선(28)에 발생하는 진동의 고유 진동수가 낮아져서, 진동에 대한 내성이 낮아진다. 이 때문에, 진동에 의해 리드선(28)이 단선되기 쉬워지고, 발음체(20)의 수명이 저하되는 염려가 있다.
그러나 본 차량용 발음기에서 발음체는 진동판(21)을 고정하는 프레임(22)을 가지고, 프레임(22)은 리드선(28)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고정하는 고정부(221)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고정부(221)에 의해 리드선(28)의 일단과 타단 사이가 고정되기 때문에 리드선(28)에 발생하는 진동의 고유 진동수를 높게 할 수 있어서, 진동에 대한 내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에 의한 리드선(28)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발음체의 수명을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부(221)에는 홈부(221a)가 형성되어 있고, 홈부(221a)의 폭은 리드선(28)의 선직경보다도 짧으며, 리드선(28)은 고정부(221)에 형성된 홈부(221a)에 끼워넣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홈부(221a)의 폭은 리드선(28)의 선직경보다도 약간 짧고, 리드선(28)은 홈부(221a)에 밀어넣어져서 탄성 변형한 상태로 홈부(221a) 내에 지지되어 있다. 이때, 리드선(28)에는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반력(反力)이 발생하고, 홈부(221a)와 리드선(28) 사이에 지지력이 발현된다.
이와 같이, 리드선(28)의 선직경은 홈부(221a)의 폭보다도 길고, 리드선(28)은 고정부(221)에 형성된 홈부(221a)에 끼워넣어지게 되어 있기 때문에 홈부(221a)와 리드선(28) 사이에 지지력이 발현되어, 리드선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발음체(20)는 베이스(10)의 일단측으로 발음면(20a)이 향하도록 배치되고, 홈부(221a)는 고정부(221) 중, 베이스(10)의 타단측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홈부(221a)는 고정부(221) 중, 베이스(10)의 타단측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10)의 타단측을 향하는 면측으로부터 리드선(28)을 용이하게 고정부(221)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리드선(28)은 복수의 리드선 중 하나이고, 홈부(221a)는 고정부(221)에 형성된 복수의 홈부 중 하나이다. 복수의 리드선(28)은 각각 고정부(221)에 형성된 홈부(221a)에 끼워넣어져 있고, 고정부(221)는 프레임(22)과 수지제 부재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221)는 프레임(22)과 수지제 부재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고, 복수의 리드선(28)은 각각 고정부(221)에 형성된 홈부(221a)에 끼워넣어져 있기 때문에 복수의 리드선(28)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221)는 프레임(22)과 수지제 부재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22)에 고정부(221)를 별도 부재로서 추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그런데 리드선(28)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고정부(221)에 고정한 경우, 보이스 코일(23) 및 진동판(21)으로부터 리드선(28)에 전파되는 진동에 의해 특히, 고정부(221)에 형성된 홈부(221a)로부터 보이스 코일(23)측으로 연장되는 근원부에서 단선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리드선(28) 중, 고정부(221)에 형성된 홈부(221a)로부터 보이스 코일(23)측으로 연장되는 근원부에 리드선(28)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22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리드선(28)의 근원부에 걸리는 응력을 완화할 수 있어서, 리드선(28)의 단선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차량용 발음기는 보이스 코일(23)과 고정부(221) 사이에 배치되는 리드선(28)의 도중에 구부림부(28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이스 코일(23)과 고정부(221) 사이에 배치되는 리드선(28)의 장력이 완화되어, 진동에 의한 리드선(28)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221)와 접속 단자(30) 사이에 배치되는 리드선(28)의 도중에 구부림부(28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부(221)와 접속 단자(30) 사이에 배치되는 리드선(28)의 장력이 완화되어, 진동에 의한 리드선(28)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 차량용 발음기를 차량에 탑재되어 차의 실외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발음기로서 설명했지만, 경보음 이외의 소리를 발생시키는 발음기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리드선(28)으로서 비단실선을 이용했지만, 비단실선 이외의 선재를 리드선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 범위에 기재한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는 서로 관계 없는 것은 아니고, 조합이 명백히 불가한 경우를 제외하고, 적절히 조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요소는 특별히 필수라고 명시한 경우 및 원리적으로 명백히 필수라고 생각되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 반드시 필수의 것이 아닌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의 갯수, 수치, 양, 범위 등의 수치가 언급되어 있는 경우, 특별히 필수라고 명시한 경우 및 원리적으로 명백히 특정한 수에 한정되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 그 특정한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구성 요소 등의 재질, 형상, 위치 관계 등에 언급할 때에는, 특별히 명시한 경우 및 원리적으로 특정한 재질, 형상, 위치 관계 등에 한정되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 그 재질, 형상, 위치 관계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3)

  1. 진동판(21)과, 상기 진동판과 접속된 보이스 코일(23)과, 상기 보이스 코일로부터 연장 돌출된 리드선(28)을 가지는 발음체(20);
    상기 발음체를 덮는 하우징(16);
    상기 하우징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개구부(101a)를 가지고, 차량 기기와의 전기적 접속을 실시하는 차량 커넥터가 장착되는 커넥터부(101); 및
    상기 커넥터부의 개구부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하여 배치된 접속 단자(30)를 구비하고,
    상기 보이스 코일로부터 연장 돌출된 리드선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접속 단자와 직접 접속되어 있는
    차량용 발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은 코일선(232)과, 상기 코일선이 감긴 보빈(231)을 가지고,
    상기 보빈은 상기 코일선의 단부와 접속되고, 또한 상기 리드선의 단부와 접속되는 접속부(231a)를 가지고 있는
    차량용 발음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는 리드선을 지지하는 지지부(32a)를 가지고 있는
    차량용 발음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발음체가 부착되는 통형상의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의 일단측에 배치된 케이스(14)를 가지고,
    상기 발음체는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되어 부착되고, 또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접합부는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차량용 발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발음체가 발생시키는 소리의 음질을 조정하는 디퓨저(102)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용 발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디퓨저는 일체 성형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발음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체는 상기 진동판을 고정하는 프레임(22)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리드선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고정하는 고정부(221)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용 발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홈부(22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의 폭은 상기 리드선의 선직경보다도 짧고,
    상기 리드선은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상기 홈부에 끼워넣어져 있는
    차량용 발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발음체가 부착되는 통형상의 베이스(10)를 가지고,
    상기 발음체는 상기 베이스의 일단측으로 발음면(20a)이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고정부 중, 상기 베이스의 타단측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발음기.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은 복수의 리드선 중 하나이고,
    상기 홈부는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복수의 홈부 중 하나이고,
    복수의 상기 리드선은 각각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상기 홈부에 끼워넣어져 있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과 수지제 부재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는
    차량용 발음기.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중,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상기 홈부로부터 상기 보이스 코일측으로 연장되는 근원부에 상기 리드선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222)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용 발음기.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과 상기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리드선의 도중에 구부림부(280)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발음기.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접속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리드선의 도중에 구부림부(281)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발음기.
KR1020207001932A 2017-07-24 2018-05-30 차량용 발음기 KR202000275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42957 2017-07-24
JP2017142957 2017-07-24
PCT/JP2018/020711 WO2019021617A1 (ja) 2017-07-24 2018-05-30 車両用発音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513A true KR20200027513A (ko) 2020-03-12

Family

ID=6504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932A KR20200027513A (ko) 2017-07-24 2018-05-30 차량용 발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154211A1 (ko)
EP (1) EP3661229A4 (ko)
JP (1) JP6673532B2 (ko)
KR (1) KR20200027513A (ko)
CN (1) CN110915235A (ko)
WO (1) WO20190216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0183865A1 (ja) * 2019-03-13 2021-10-21 株式会社デンソーエレクトロニクス 発音器
WO2022149587A1 (ja) * 2021-01-08 2022-07-1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音発生構造
JP2023146288A (ja) * 2022-03-29 2023-10-12 フォスター電機株式会社 車両用電気音響変換器及び車両用電気音響変換器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6017A (ja) 2013-02-14 2014-08-28 Toppan Printing Co Ltd ガスバリアフィルム
JP2017050863A (ja) 2015-09-01 2017-03-09 アンデン株式会社 発音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539A (ja) * 1983-07-04 1985-01-22 Fuji Photo Film Co Ltd 放射線画像情報読取装置
JP4243969B2 (ja) * 2003-04-04 2009-03-2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
KR20040107014A (ko) * 2003-06-12 2004-12-20 에스텍 주식회사 스피커용 리드 단자 일체형 댐퍼
JP2005096630A (ja) * 2003-09-25 2005-04-14 Pioneer Electronic Corp 音響装置
JP2005203973A (ja) * 2004-01-14 2005-07-28 Pioneer Electronic Corp ボイスコイル、ボイスコイルを用いたスピーカ装置及びスピーカ装置の製造方法
JP5640593B2 (ja) * 2010-09-14 2014-12-17 ソニー株式会社 クレードル装置
JP5608032B2 (ja) * 2010-09-30 2014-10-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二輪車の車両接近告知装置
JP2012195930A (ja) * 2011-03-01 2012-10-11 Panasonic Corp スピーカ用フレー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およびこのスピーカを用いた電子機器、移動体装置
JP5712965B2 (ja) * 2011-06-22 2015-05-07 アンデン株式会社 車両用発音器
JP5650142B2 (ja) * 2012-01-23 2015-01-07 アンデン株式会社 電気部品用筺体構造
US9674595B2 (en) * 2013-03-27 2017-06-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peak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060017A (ko) * 2013-11-25 2015-06-03 (주)아이넷테크 선택적 양방향성 진동자
WO2015145777A1 (ja) * 2014-03-28 2015-10-0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車両接近通報音スピーカ装置
JP6337669B2 (ja) * 2014-07-23 2018-06-06 アンデン株式会社 車両用発音器
CN104954957B (zh) * 2015-07-06 2019-02-01 汉得利(常州)电子股份有限公司 车用报警扬声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6017A (ja) 2013-02-14 2014-08-28 Toppan Printing Co Ltd ガスバリアフィルム
JP2017050863A (ja) 2015-09-01 2017-03-09 アンデン株式会社 発音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54211A1 (en) 2020-05-14
EP3661229A4 (en) 2021-04-07
WO2019021617A1 (ja) 2019-01-31
CN110915235A (zh) 2020-03-24
JP6673532B2 (ja) 2020-03-25
JPWO2019021617A1 (ja) 2020-01-16
EP3661229A1 (en)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9438B2 (en) Speaker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051539B1 (ko) 전기음향변환기
US20200154211A1 (en) Sound generator for vehicle
US11153689B2 (en) Loudspeak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oudspeaker
US20160234586A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20180310085A1 (en) Armature Speaker with Improved Rear Structure
US20050281430A1 (en) Speaker device
KR101052622B1 (ko) 보이스코일용 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스피커
WO2020183865A1 (ja) 発音器
JP2005269335A (ja) スピーカ装置
KR101255586B1 (ko) 고출력 음향변환장치
KR101142253B1 (ko) 음향 변환 장치
KR101834304B1 (ko) 고성능 초슬림 스피커 구조 및 스피커 제조 방법
JP2011088609A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
EP1120991A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attachment structure thereof
KR20130004464A (ko) 고출력 음향변환장치
US6654478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CN219876001U (zh) 声学模块以及耳机
WO2022190769A1 (ja) 電気装置
KR102586612B1 (ko) 이어폰모듈
KR102576983B1 (ko) 연성회로기판을 구비하는 이어폰용 스피커
KR20120017220A (ko) 음향 변환 장치
KR101389664B1 (ko) 고출력 및 고음질의 전자음향변환기
JP3672862B2 (ja) 電気音響変換器
KR200222450Y1 (ko)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