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450Y1 - 스피커 - Google Patents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450Y1
KR200222450Y1 KR2020000033696U KR20000033696U KR200222450Y1 KR 200222450 Y1 KR200222450 Y1 KR 200222450Y1 KR 2020000033696 U KR2020000033696 U KR 2020000033696U KR 20000033696 U KR20000033696 U KR 20000033696U KR 200222450 Y1 KR200222450 Y1 KR 200222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peaker
support
connection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봉희
Original Assignee
한봉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봉희 filed Critical 한봉희
Priority to KR2020000033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4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450Y1/ko

Links

Landscapes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스피커는 요크가 설치된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되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접속부와, 접속부에 연결되어 전기가 도통됨에 따라 전기장을 형성하는 보이스 코일과, 요크의 내측에 안착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네트와, 요크 및 마그네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보이스코일이 상하로 운동함에 따라 진동을 하는 진동판을 구비한 스피커에 있어서, 접속부는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설치홈에 끼워지는 지지대와 지지대에 설치되되 외측단이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된 접속로드를 구비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대가 종래에 비하여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설치된 접속로드가 별다른 외형 변화 없이 적절한 탄성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설치됨으로써 접속로드의 형태 변형으로 발생할 수 있는 접속로드 파손 및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제품의 양호한 조립상태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피커{A speaker}
본 고안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피커의 접속부를 개선하여 스피커의 설치와 조립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스피커 접속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각종 전자제품에 사용되어 필요한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피커는 크기가 큰 것도 있지만 휴대폰 또는 개인 휴대 단말기 등 크기가 작은 전자제품의 내부에 설치되는 소형 스피커도 있다.
이러한 스피커 중에서 종래의 소형 스피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사출물로 된 프레임(10)과 프레임(10) 중앙부에 설치된 요크(20)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마그네트, 보이스 코일, 진동판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주 일측단에는 보이스 코일과 접속되며 외부 접속단자와 접속되도록 된 접속부(30)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스피커에 마련된 이 접속부(30)는 판체로 마련된 금속판을 프레임에 인서트 사출한 후 돌출한 접속로드(31) 부분을 접속되는 방향으로 절곡시켜 설치 사용하도록 되어 있고, 내부 보이스 코일과 접속부(30)의 접속부분은 측방으로 노출된 접속판의 노출부(32)에 납땜으로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접속부(30)를 인서트 사출할 경우 단순 조립에 비하여 그 제조원가가 많이 소모되게 되고, 또한 접속부(30)를 형성하는 접속판이 상당히 얇은 금속판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로드(31)를 절곡시킬 때 이 절곡부분이 파손되거나 균일한 크기로 제대로 절곡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보이스 코일과 접속부(30)의 노출부(32)와의 접속부분을 납땜할 경우 플라스틱 사출물로 된 프레임(10)의 일부가 납땜시의 열로 녹아 내려서 납땜 접속을 방해하거나 프레임(10)의 외관을 훼손시키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접속로드가 설치되는 지지대가 프레임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되, 지지대의 설치에 따라 접속로드에도 적절한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 스피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스피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의 접속로드 설치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프레임
110...요크
120...마그네트
130...보이스 코일
140...커버
200...접속부
220...접속로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요크가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되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에 연결되어 전기가 도통됨에 따라 전기장을 형성하는 보이스코일과, 상기 요크의 내측에 안착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네트와, 상기 요크 및 마그네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보이스코일이 상하로 운동함에 따라 진동을 하는 진동판을 구비한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설치홈에 끼워지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되 외측단이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된 접속로드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홈은 상기 지지대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접속로드가 상기 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하여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설치홈에 끼워지도록 된 사각의 판체로 마련되고, 상기 접속로드는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도록 된 원형의 봉 형태로 마련된 것을 특징 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은 플라스틱 사출물로 된 원판 형태의 프레임(100)과 이 프레임(100)의 일측으로 결합되되 프레임(100)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프레임(100)과 결합되도록 된 커버(140)를 구비 하기도한다.
그리고 프레임(100)의 중앙부에는 요크(110)가 끼워져 설치되고, 이 요크(110)에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120)가 설치된다. 또한, 마그네트(120)의 외측에는 보이스 코일(130)이 설치되고, 보이스 코일(130)의 외측 단부에는 진동판(150)이 설치되어있다.
한편, 프레임(100)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보이스 코일(130)로부터 연장된 도선과 일단이 접속되며 타단이 전기장치의 스피커 설치부분에 설치된 외부 접속단자와 접속되도록 된 접속부(200)가 구현된다.
이 접속부(20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에 설치되되 내열성 재질의 판상으로 된 지지대(210)와 이 지지대(210)에 형성된 관통홀(211)에 관통하여 설치되되 (원형의) 봉형상으로 된 (두 개의) 접속로드(220)로 마련된다.
여기서 지지대(210)의 설치를 위하여 프레임(100)의 가장자리부분에는 지지대(210)의 폭만큼의 길이로 된 설치홈(10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설치홈(101)은 지지판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도록 외주 방향으로 소정각도(D)로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설치홈(101)에 접속부(200)의 지지대(210)가 설치되면, 접속로드(220)는 프레임(100)의 중심부분으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외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며, 접속로드(220)의 외측 단부로 외부력이 가해지면 접속로드(220)는 소정의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로드(220)는 그 길이가 짧은 부분, 즉 프레임(100)의 가장자리에 단부가 위치하는 부분으로는 보이스 코일(130)로부터 연장된 접속선이 납땜 등의 방법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고, 접속로드(220)의 길이가 긴 부분의 단부는 스피커의 설치시 그 접속부분에 탄성력을 발휘하여 밀착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의 작용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는 프레임(100)의 조립시 그 내부로 마그네트(120)와, 보이스 코일(130) 그리고 진동판(150)을 내장 설치한다. 이후 접속부(200)의 지지대(210)를 프레임(1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설치홈(101)에 삽입 설치하는데. 지지대(210)를 프레임(100)의 설치홈(101)에 끼울 때.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끼우면 지지대(210)의 설치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의 지지대(210)에는 (두 개의) 접속로드(220)가 지지대(210)의 관통홀(211)에 관통하여 끼워져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접속부(200)가 프레임(100)에 설치된 다음에는 보이스 코일(130)의 일단부를 접속로드(220)의 짧은 쪽에 납땜 등으로 접속함으로써, 스피커의 조립이 완료된다. 접속로드(220)의 납땜 결합부분에서 지지대대(210)는 내열성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납땜시의 열로 쉽게 외형이 변하거나 녹지않고, 양호한 외관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피커를 휴대폰, 컴퓨터 등 각종 전자제품 내부에 조립 설치한다. 이를 위한 설치는 접속로드(220)가 위치한 부분으로, 스피커의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위치시킨 후 전자제품의 접속부분에 안착시키면, 접속로드(220)는 탄성력을 받으면서, 접속부분에 견고히 밀착 접속되게 됨으로써, 그 설치가 완료된다.
이후 스피커는 접속로드(220)를 통하여 전달된 음성신호를 접속로드(220)의 접속부분을 통하여 수신 받게 되고, 접속로드(220)를 통하여 전달된 신호는 접속로드(220)의 타단에 접속된 보이스 코일(130)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보이스 코일(130)에 신호 전류가 흐르게 되면, 마그네트(120)로 인해 쇄교되는 상태에서, 보이스 코일(130)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보이스 코일(130)이 상하로 진동하게 되고, 보이스 코일(130)이 상하로 진동함에 따라 진동판(150)이 상하로 진동하여 음압의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이 음압의 변화가 공기중의 밀도 즉, 대기 압력을 한시적으로 변화시켜 우리의 청취자에게 음성을 재생시킨 소리를 들려주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의 접속부(200)는 접속부(200)의 설치 조립시 접속로드(220)의 외형을 변화시키지 않고, 적절한 탄성력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시킨다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접속로드(220)가 설치되는 지지대(210)를 프레임(100)에 소정각도(D)로 경사지게 설치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와 달리 접속로드(220)와 지지대(210)의 형상과 구조를 일부 변형시키더라도 기본적으로 접속로드(220)를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면,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대가 종래에 비하여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설치된 접속로드가 별다른 외형 변화 없이 적절한 탄성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설치됨으로써 접속로드의 형태 변형으로 발생할 수 있는 접속로드 파손 및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제품의 양호한 조립상태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요크가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되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에 연결되어 전기가 도통됨에 따라 전기장을 형성하는 보이스코일과, 상기 요크의 내측에 안착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네트와, 상기 요크 및 마그네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보이스코일이 상하로 운동함에 따라 진동을 하는 진동판을 구비한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설치홈에 끼워지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되 외측단이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된 접속로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은 상기 지지대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접속로드가 상기 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하여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설치홈에 끼워지도록 된 사각의 판체로 마련되고, 상기 접속로드는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하도록 된 원형의 봉 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KR2020000033696U 2000-12-01 2000-12-01 스피커 KR200222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696U KR200222450Y1 (ko) 2000-12-01 2000-12-01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696U KR200222450Y1 (ko) 2000-12-01 2000-12-01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450Y1 true KR200222450Y1 (ko) 2001-05-02

Family

ID=73092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696U KR200222450Y1 (ko) 2000-12-01 2000-12-01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4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9663B1 (ko) 마이크로스피커
US6704430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1222416B1 (ko) 듀얼 서스펜션 스피커
KR20060096311A (ko) 홀더를 구비한 전기 음향 변환기
US20050094842A1 (en) Speake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222450Y1 (ko) 스피커
JP3856442B2 (ja) スピーカ
JP4482353B2 (ja) スピーカ装置
JPH08280091A (ja) 電子機器の接続ターミナル
JP3970077B2 (ja) 電気音響変換器
US20070223769A1 (en) Speaker and method making the same
US20060120553A1 (en) Speaker device
WO2019041403A1 (zh) 发声装置及将连接弹片嵌设于发声装置中的方法
KR100279702B1 (ko) 표면실장형 초소형 음향 변환기_
JP3856433B2 (ja) 電気−機械振動変換器
KR20070024300A (ko) 초박형 마이크로스피커
JP2001121082A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4094535B2 (ja) 部品実装用コネクタ
JP2005244730A (ja) 電気音響変換器
KR20050001018A (ko) 소형 스피커
KR200236189Y1 (ko) 다기능 전자 음향 변환기의 휴대폰 설치구조
KR200276117Y1 (ko) 전기음향변환장치
KR200222417Y1 (ko) 다기능 전자 음향 변환기의 휴대폰 설치구조
KR100511218B1 (ko) 전자음향변환기의 구조
KR200257847Y1 (ko) 소형 스피커의 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