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124A - 자동차 시트레일 슬라이딩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레일 슬라이딩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124A
KR20200025124A KR1020180102010A KR20180102010A KR20200025124A KR 20200025124 A KR20200025124 A KR 20200025124A KR 1020180102010 A KR1020180102010 A KR 1020180102010A KR 20180102010 A KR20180102010 A KR 20180102010A KR 20200025124 A KR20200025124 A KR 20200025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racket
walk
lev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윤
최진호
이동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80102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5124A/ko
Publication of KR20200025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1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 바닥에 레일을 매개로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쿠션프레임과, 상기 쿠션프레임의 후단에 장착된 쿠션브라켓과, 상기 쿠션브라켓에 리클라이너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백프레임과, 상기 쿠션프레임을 전후로 이동하기 위해 시트레일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쿠션프레임의 아래에 설치된 트랙레버 작동부와, 워크인 레버의 작동으로 백프레임이 폴딩되면서 록킹해제핀이 레일 록킹을 해제하여 3열 승객의 승차를 위해 레일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워크인 작동부와, 상기 시트레일의 하단에는 로워레일을 외부에서 감싸고, 시트레일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버클브라켓과, 상기 트랙레버 작동시 상기 시트레일의 전방 이동이 상기 버클브라켓의 스토퍼에 의해 제한되도록 설정된 트랙레버 행정량과, 상기 워크인 작동시 상기 시트레일의 전방 이동이 상기 버클브라켓의 스토퍼에 의해 제한되지 않도록 설정된 워크인 행정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레일 슬라이딩 조절 장치{Seat Rail Length Adusting Devic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레일 슬라이딩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레버의 작동시 레일의 전방 이동 슬라이딩 길이와 워크인 작동시 레일의 전방 이동 슬라이딩 길이가 다르게 설정되도록 설치된 시트레일 슬라이딩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UV를 포함한 자동차의 각 시트에는 시트의 전후 조절을 위한 시트 트랙레버와 2열 시트에는 3열 시트의 출입을 위해 워크인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워크인 장치는 2열시트의 백프레임을 전방으로 폴딩시키면서 2열시트 자체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워크인 작동에 의해 3열시트 승객의 출입경로를 확보하여 보다 용이하게 탑승 및 하차할 수 있게 된다.
워크인 시트는 시트의 전후 방향 이동을 위하여 플로어에 레일을 매개로 장착되어 있으며, 평상시의 전후 위치 고정을 위하여 레일로크 장치를 구비한다.
레일 로크 장치의 해제는 워크인 작동에 연동되도록 되어 있다. 워크인 레버는 통상 백프레임 상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워크인 레버를 조작하면 레일 로크장치가 해제됨으로써 시트의 전방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시트 전후 조절을 위해 트랙레버를 이용하여 레일로크 장치를 해제하여 시트레일을 전후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시트레일의 전후 이동은 트랙레버를 이용하거나 워크인 작동시 레일 이동량이 동일하게 설정되어있다.
그러나, 2열 승객이 착좌 상태에서 트랙레버를 작동하면, 레일이 최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1열 시트의 후면과 충돌하여 승차자가 상해를 입게 된다
따라서, 시트 트랙의 슬라이딩 이동량을 조절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 등록특허 제10-1432790호는 "길이 방향 조절 가능한 차량 시트"에서 길이 방향으로 조정가능한 차량 시트(1)에 관한 것으로,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 1 레일(12), 제 1 레일(12) 내에서 가이드되고 차량 시트(1)에 연결되는 제 2 레일(13)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레일 쌍(10), 해제가능한 방식으로 제 2 레일(13)에 대해 제 1 레일(12)의 위치를 록킹하기 위한 해제가능한 록킹 장치(6), 레일 쌍(10)의 가동성을 제한하는 제 1 종단 정지부, 제 2 종단 정지부, 및 제 3 종단 정지부를 포함하며, 종단 정지부(6')들 중 하나는 레일(12, 13)들의 이동의 경로의 밖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정지면(13")에 의해 분리가능할 수 있다. 가동 정지면(13")은 시트에 고정되는 제 2 레일(13) 상에 배열되며 분리가능할 수 있고 그 위에 가동 정지면(13")이 형성되는 종단 정지부(6')가 용이-인입 위치를 위해 채택하도록 록킹 장치(6)와 함께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에서는 단순히 레일 이동량을 추가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종단 정지부를 구성하고 있을 뿐 워크인과 트랙레버 작동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량에 대한 조절장치를 구성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트랙레버의 작동시과 워크인 레버 작동시, 각각에 대해서 시트레일 슬라이딩 이동량을 다르게 구성하는 장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3279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트 트랙레버에 의한 레일 슬라이딩 이동량과 워크인시 레일 슬라이딩 이동량을 각각 다르게 설정하여, 트랙레버 작동에 의해 1열 시트 후방까지 충돌하지 않도록 이동량을 제한함으로써 사용자 안전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 바닥에 레일을 매개로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쿠션프레임과, 상기 쿠션프레임의 후단에 장착된 쿠션브라켓과, 상기 쿠션브라켓에 리클라이너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백프레임과, 상기 쿠션프레임을 전후로 이동하기 위해 시트레일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쿠션프레임의 아래에 설치된 트랙레버 작동부와, 워크인 레버의 작동으로 백프레임이 폴딩되면서 록킹해제핀이 레일 록킹을 해제하여 3열 승객의 승차를 위해 레일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워크인 작동부와, 상기 시트레일의 하단에는 로워레일을 외부에서 감싸고, 시트레일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버클브라켓과, 상기 트랙레버 작동시 상기 시트레일의 전방 이동이 상기 버클브라켓의 스토퍼에 의해 제한되도록 설정된 트랙레버 행정량과, 상기 워크인 작동시 상기 시트레일의 전방 이동이 상기 버클브라켓의 스토퍼에 의해 제한되지 않도록 설정된 워크인 행정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클브라켓는 로워레일 바닥면에 안착하도록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로워레일 좌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좌측부와 상기 로워레일 우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우측부와 상기 우측부의 후방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상측에 스토퍼를 형성한 걸림부로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버클브라켓 스토퍼는 상기 트랙레버 작동시에는 시트레일의 전방 이동을 상기 워크인브라켓의 록킹해제핀이 부딪쳐 멈추게 높이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버클브라켓 스토퍼는 워크인 작동시에는 시트레일의 전방 이동을 상기 워크인브라켓의 록킹해제핀이 부딪치지 않도록 높이가 설정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서 2열 시트의 트랙레버에 의한 레일 슬라이딩 이동량과 워크인시 레일 슬라이딩 이동량을 각각 다르게 설정하여, 트랙레버 작동시에는 1열 시트 후방까지 충돌하지 않도록 이동량을 제한하고, 워크인 작동시에는 전방 이동량이 크도록 하여 승차자 공간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정성 및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시트 트랙 연장에 대해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측면에서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워크인 작동 내측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트랙레버 작동과 워크인 작동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트랙레버 작동을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워크인 작동을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트랙레버 작동시 록킹해제핀이 스토퍼에 정지된 것을 나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워크인 작동 후 록킹해제핀이 스토퍼를 넘어가는 것을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도 10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 바닥에 레일을 매개로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쿠션프레임(70)과, 상기 쿠션프레임(70)의 후단에 장착된 쿠션브라켓(80)과, 상기 쿠션브라켓(80)에 리클라이너(40)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백프레임(30)과, 상기 쿠션프레임(70)을 전후로 이동하기 위해 시트레일의 록킹을 해제하도록 쿠션프레임(70)의 아래에 설치된 트랙레버 작동부(100)와, 워크인 레버의 작동으로 백프레임(30)이 폴딩되면서 록킹해제핀(204)이 레일 록킹을 해제하여 2열 또는 3열 승객의 승차를 위해 레일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워크인 작동부(200)와, 상기 시트레일(10)의 하단에는 로워레일(10a)을 외부에서 감싸고, 시트레일(10)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405)가 형성된 버클브라켓(400)과, 상기 트랙레버(101) 작동시 상기 시트레일(10)의 전방 이동이 상기 버클브라켓의 스토퍼(405)에 의해 제한되도록 설정된 트랙레버 행정량(A)과, 상기 워크인 작동시 상기 시트레일(10)의 전방 이동이 상기 버클브라켓의 스토퍼(405)에 의해 제한되지 않도록 설정된 워크인 행정량(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랙레버 작동부(100)는 시트 쿠션의 아래 부분인 양쪽 레일에 사이에 설치된 트랙레버(101)와 상기 트랙레버(101)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연결된 레버브라켓(102)과 상기 레버브라켓(102)의 작동력을 전달받아 레일로크(50)를 해제 또는 록킹하도록 하는 로크구동부(10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크구동부(103)는 레일로크(50)해제를 위해 레일로크(50)에 형성된 걸림핀(52)을 들어올리도록 한다.
또한, 상기 레일로크(50)는 로워레일(10a)의 결합부에 록킹 또는 해제되는 로크투스(51)와 상기 로크구동부(103)와 걸림작용을 하도록 형성된 걸림핀(52)과 상측에는 워크인시 록킹해제핀(204)에 들어올려지도록 형성된 로크후크(5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록킹해제핀(204)은 상기 로크후크(53) 내측에서 위치하고, 상기 로크후크(53)보다 쿠션프레임(70) 외각으로 일정길이만큼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그 이유는 트랙레버 작동에 의해 쿠션프레임이 전방으로 일정 거리 이동 후에는, 상기 록킹해제핀(204)이 버클브라켓의 스토퍼(405)에 걸려서 쿠션프레임을 멈추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트랙레버(101) 작동시에는 로크투스(51)가 레일에서 해제되어 쿠션프레임(70)이 전후 이동할때, 상기 록킹해제핀(204)은 아래 또는 위로 이동하지 않는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록킹해제핀(204)의 정지높이(H0)는 버클브라켓의 스토퍼(405)의 높이(H1)을 넘지않도록 설정되어있다. 따라서, 쿠션프레임(70)이 1차 최전방 지점(L1)으로 이동시에는 록킹해제핀(204)이 스토퍼(405)에 걸려 멈추게된다.
또한, 상기 쿠션프레임(70)이 최후방 지점(L0)에서 1차 전방지점(L1)까지의 길이를 트랙레버 작동구간, 즉, 트랙레버 행정량(A)으로 설정한다.
상기 워크인 작동부(200)는 백프레임(30)에 부착된 워크인 레버(미도시)의 작동으로 백프레임이 전방으로 폴딩하게하는 리클라이너(40)와 상기 백프레임(30)의 전방 폴딩시 워크인 베이스브라켓(80)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작동하는 케이블(202)과 상기 케이블(202)의 하단 끝단부(206)에 연결되어 회전구동하는 워크인브라켓(203)과 상기 위크인브라켓(203)에 일체로 연결되어 로크후크(53)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레일로크(50)를 해제하는 록킹해제핀(204)으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워크인 작동에 의해 들어 올려진 상기 록킹해제핀의 작동높이(H2)는 상기 스토퍼(405)의 높이(H1)보다 높게 설정되어, 쿠션프레임(70)이 전방으로 이동시 상기 록킹해제핀(204)이 스토퍼(405)의 높이를 넘어 지나쳐서 워크인 연장길이(A')만큼 더 이동하여 2차 최전방 지점(L2)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워크인시 쿠션프레임(70) 이동거리는 워크인 작동구간, 즉, 워크인 행정량(B)으로 설정한다.
또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워크인 작동을 원상태로 복귀할 때는 워크인브라켓(203)과 레일로크(50)가 2차 최전방 지점(L2)에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워크인브라켓(203)에 결합된 록킹해제핀(204)은 버클브라켓의 경사부(405a)를 타고 넘어서 최후방 지점(L0)까지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버클브라켓(400)는 로워레일(10a) 바닥면에 안착하도록 형성된 수평부(401)와 상기 로워레일(10a) 좌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좌측부(402)와 상기 로워레일(10a) 우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우측부(403)와 상기 우측부(403)의 후방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상측에 스토퍼(405)를 형성한 걸림부(404)로 형성되어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405)는 상기 걸림부(404)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경사진 경사부(405a)와 후방은 수직부(405b)로 형성되어있다.
상기 트랙레버 행정량(A)은 상기 트랙레버(101)를 작동하여 상기 레일로크(50)를 시트레일(10)과의 록킹에서 해제하면, 상기 시트레일(10)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레일(10) 최후방에서 1차 최전방 지점(L1)으로 이동하는 길이를 트랙레버 행정량(A)으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트랙레버(101)에 의해 레일로크(50)가 들려진 상태에서 시트 쿠션이 전방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워크인브라켓(203)에 형성된 록킹해제핀(204)이 상기 버클브라켓의 스토퍼(405)에 부딪쳐서 정지하게 된다. 이 지점을 트랙레버(101) 1차 최전방 지점(L1)이며, 상기 스토퍼(405)의 높이(H1)는 상기 록킹해제핀의 정지높이(H0)보다 높게 설정되어 상기 록킹해제핀(204)이 스토퍼에 부딪쳐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즉, 도 6을 참조로 하면, 상기 트랙레버 해제시 상기 록킹해제핀의 정지높이(H0)는 상기 스토퍼(405)의 높이(H1)보다 높이갭(△a) 만큼 낮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워크인 행정량(B)은, 도 4와 도7을 참조로 하면, 상기 워크인 레버(미도시) 작동으로 상기 상기 워크인브라켓(203)의 록킹해제핀(204)이 로크후크(53)를 들어올려 상기 레일로크(50)가 시트레일(10)에서 해제되어 쿠션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시트레일(10)이 최후방 지점(L0)에서 전방으로 전진되어, 상기 버클브라켓의 스토퍼(405)를 넘어 최대 전방 지점인 2차 최전방 지점(L2)까지 이동된다. 즉, 승차자가 쉽게 승하차 하도록 워크인 행정량(B) 만큼 전방으로 연장길이(A') 만큼 추가적으로 더 이동한다.
또한, 도 7을 참조로 하면, 상기 워크인 해제시 상기 록킹해제핀의 작동높이(H2)는 상기 스토퍼(405)의 높이(H1)보다 높이갭(△b) 만큼 높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동 구조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6을 참조로 하면,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하고자 할때, 탑승자가 트랙레버(101)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트랙레버(101)와 힌지 결합된 레버브라켓(102)이 하단으로 이동된다. 상기 레버브라켓(102)에 아래방향으로 전달된 힘이 로크구동부(103)의 전면부(103a)를 아래로 누르게 되고, 아래로 눌려진 상기 로크구동부의 전면부(103a)는 중심부(103c)를 중심으로 반대로 회전하는 로크구동부의 후면부(103b)를 들어올리게 된다. 상기 로크구동부의 후면부(103b)는 레일로크의 걸림핀(52)과 접촉되어있고, 상기 로크구동부의 후면부(103b)가 들어올려지면 레일로크(50)도 동시에 들어올려지면서 로워레일(10a)과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런 다음, 상기 로워레일(10a)이 해제된 쿠션프레임은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그림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1차 최전방 지점(L1)까지 이동되면 상기 버클브라켓의 스토퍼(405)에 걸려서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승차자가 단순히 시트를 제한된 트랙레버 행정량(A)만큼 전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도 4와 도7을 참조로 하면, 백프레임(30)에 장착된 워크인 레버(미도시)를 작동하면 리클라이너(40)를 구동하여 백프레임(30)을 전방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폴딩되게 한다. 상기 백프레임(3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쿠션프레임에 설치된 베이스브라켓(201)은 백프레임과 연동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상기 베이스브라켓(201)에 연결되어 있는 워크인 케이블(202)이 상방향으로 끌려 올라간다. 이어서, 상기 케이블(202)에 연결된 워크인브라켓(203)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워크인브라켓(203)에 설치된 록킹해제핀(204)도 힌지핀(205)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록킹해제핀(204)이 상측으로 올라가면, 상기 록킹해제핀(204)은 로크후크(53)와 접촉하면서 들어올린다. 이어서, 상기 쿠션프레임(70)은 로워레일(10a)과의 록킹이 해제되어 쿠션프레임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상기 워크인 작동으로 시트레일(10)이 전방으로 이동될때, 동시에 상측으로 올려진 상기 록킹해제핀(204)도 상기 버클브라켓의 스토퍼(405)의 높이(H1)를 넘어서 2차 최전방 지점(L2)까지 이동되어진다. 따라서, 승차자가 쉽게 승하차 하도록 전방으로 연장길이(A') 만큼 추가적으로 더 이동한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 레일 이동거리를 워크인 행정량(B)이라고 한다.
또한, 도 10을 참조로 하면, 승차자가 워크인 시트를 원래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힘을 가하게 되면, 시트레일(10)이 2차 최전방 지점(L2)에서 후방으로 상기 록킹해제핀(204)이 상기 스토퍼의 경사부(405a)을 타고 넘어서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로워레일(10a) 하단에 버클브라켓(400)에 스토퍼(405)를 설치함으로써, 트랙레버 작동과 워크인 작동시 레일의 슬라이딩 이동량이 다르게 설정되도록 했다. 3열 시트 승객이 상기 로크레버 작동시, 1열 또는 2열 후방에 근접하거나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 범위의 균등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이 가능하다.
10- 시트레일 20- 셋브라켓
30- 백프레임 40- 리클라이너
50- 레일로크 52- 록킹해제핀
53- 로크후크 60- 크로스바
70- 쿠션프레임 80- 쿠션브라켓
100- 트랙레버 작동부 101- 트랙레버
200- 워크인 작동부 202- 워크인 케이블
203- 워크인브라켓 204- 록킹해제핀
205- 힌지핀 400- 버클브라켓
405- 스토퍼 405a- 경사부
H0- 트랙레버 록킹해제핀 높이 H1- 스토퍼 높이
H1- 워크인 록킹해제핀 높이 L0- 최후방 지점
L1- 1차 최전방 지점 L2- 2차 최전방 지점
A- 트랙레버 행정량(트랙레버 작동구간) A'- 연장길이
B- 워크인 행정량(워크인 작동구간) △a(b)- 높이갭

Claims (5)

  1. 자동차의 실내 바닥에 레일을 매개로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쿠션프레임과;
    상기 쿠션프레임의 후단에 장착된 쿠션브라켓과;
    상기 쿠션브라켓에 리클라이너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워크인 작동을 위해 워크인레버가 장착된 백프레임과;
    상기 쿠션프레임의 아래 양쪽 레일에 사이에 설치된 트랙레버와 상기 트랙레버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연결된 레버브라켓과 상기 레버브라켓의 작동력을 전달받아 레일로크를 해제 또는 록킹하도록 하는 로크구동부로 구성된 트랙레버 작동부와;
    상기 백프레임에 부착된 워크인 레버의 작동으로 백프레임이 전방으로 폴딩시키는 리클라이너와 상기 백프레임의 전방 회전시 워크인 베이스브라켓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하단 끝단부에 연결되어 회전구동하는 워크인브라켓과 상기 위크인브라켓에 일체로 연결되어 로크후크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레일로크를 해제하는 록킹해제핀으로 구성된 워크인 작동부와;
    상기 시트레일의 하단에 로워레일을 외부에서 감싸고, 트랙레버 작동시에는 시트레일의 전방 이동을 상기 워크인브라켓의 록킹해제핀에 부딪쳐 멈추게 하고, 워크인 작동시에는 시트레일의 전방 이동을 상기 워크인브라켓의 록킹해제핀이 부딪치치 않도록 높이가 설정된 스토퍼가 형성된 버클브라켓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레일 슬라이딩 조절 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트렉레버 작동시에는 상기 레일로크를 시트레일과의 록킹에서 해제하여 쿠션프레임이 전방까지 이동할때, 상기 워크인브라켓의 록킹해제핀이 버클브라켓의 스토퍼와 부딪쳐 멈추도록 높이가 설정된 록킹해제핀 정지높이와,
    워크인 작동시에는 상기 레일로크를 시트레일과의 록킹에서 해제하여 쿠션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할때, 상기 버클브라켓의 스토퍼의 높이를 넘어가도록 록킹해제핀 작동높이가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레일 슬라이딩 조절 장치.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브라켓는 로워레일 바닥면이 안착하도록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로워레일 좌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좌측부와;
    상기 로워레일 우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우측부와;
    상기 우측부의 후방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상측에 스토퍼로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스토퍼는 상기 걸림부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경사진 경사부와 후방은 수직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레일 슬라이딩 조절 장치.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워크인 작동을 원상태로 복귀시 상기 레일로크가 최전방 지점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록킹해제핀은 스토퍼의 경사부를 타고 넘어서 최후방 지점까지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레일 슬라이딩 조절 장치.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핀은 상기 로크후크 내측에서 위치하고, 상기 로크후크보다 쿠션프레임 외각으로 일정길이만큼 돌출되어, 시트레일 전방 이동시 상기 버클브라켓의 스토퍼에 걸려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레일 슬라이딩 조절 장치.



KR1020180102010A 2018-08-29 2018-08-29 자동차 시트레일 슬라이딩 조절 장치 KR20200025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010A KR20200025124A (ko) 2018-08-29 2018-08-29 자동차 시트레일 슬라이딩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010A KR20200025124A (ko) 2018-08-29 2018-08-29 자동차 시트레일 슬라이딩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124A true KR20200025124A (ko) 2020-03-10

Family

ID=69800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010A KR20200025124A (ko) 2018-08-29 2018-08-29 자동차 시트레일 슬라이딩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51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879A (ko) * 2021-07-27 2023-02-03 주식회사 테스 레일을 이용한 플랫 리어 시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790B1 (ko) 2010-12-20 2014-08-21 존슨 컨트롤즈 컴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길이 방향으로 조정가능한 차량 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790B1 (ko) 2010-12-20 2014-08-21 존슨 컨트롤즈 컴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길이 방향으로 조정가능한 차량 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879A (ko) * 2021-07-27 2023-02-03 주식회사 테스 레일을 이용한 플랫 리어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4914B1 (ko) 모노 레그 변형 시트
US7137667B2 (en) Vehicle seat and its application to a rear seat
US8465096B2 (en) Stowable vehicle seat
US20130302626A1 (en) Longitudinally adjustable vehicle seat
US9573490B1 (en) Reclining seat for a vehicle
US7478882B2 (en) Motor vehicle seat
ITTO20010105A1 (it) Dispositivo di arretramento meccanico di un poggiatesta con una funzione di memoria.
KR20130013362A (ko)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US7172249B2 (en) Motor vehicle seat
JP2005041274A (ja) シート装置
US7578555B2 (en) Motor vehicle seat
US20030098592A1 (en) Seat arrangement
KR20200025124A (ko) 자동차 시트레일 슬라이딩 조절 장치
KR101837428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1371868B1 (ko) 워크인 시트
KR102235026B1 (ko) 자동 폴딩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KR20060010948A (ko) 자동차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JP4678674B2 (ja) 車両用運転席シート
JP3949571B2 (ja) 折り畳みシート
KR20150063694A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JP4206844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4392657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0622699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US11571992B2 (en) Adjustable motor vehicle seat
KR20240066726A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슬라이딩 조절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