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612A - 겔 형태 탈취제 - Google Patents

겔 형태 탈취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612A
KR20200023612A KR1020197039002A KR20197039002A KR20200023612A KR 20200023612 A KR20200023612 A KR 20200023612A KR 1020197039002 A KR1020197039002 A KR 1020197039002A KR 20197039002 A KR20197039002 A KR 20197039002A KR 20200023612 A KR20200023612 A KR 20200023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form
component
deodorant
form deodorant
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9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4911B1 (ko
Inventor
장영덕
Original Assignee
에스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3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9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8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air treating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Abstract

본 발명은, 겔 형태 탈취제에 있어서, 흡착제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사용 개시부터 종기까지 균의 번식이나 곰팡이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한 기술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해당 과제를 해결한 겔 형태 탈취제는, 다음 성분 (A) 내지 (D): (A) 흡착제; (B) 겔화제; (C) 항균·항곰팡이제; 및 (D) 용매를 함유하고, 성분 (C)가,
(C1) 하기 일반식 (I):
Figure pct00008

(식 중, R1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수산기를 나타냄); 및/또는
(C2) 하기 일반식 (II):
Figure pct00009

(식 중, R3은 탄소수 10 내지 14의 알킬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겔 형태 탈취제
본 발명은 겔 형태 탈취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균이나 곰팡이의 발생이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겔 형태 탈취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화장실, 방, 냉장고, 차 안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소취제나 탈취제는 많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중, 탈취제로서는, 활성탄이나 제올라이트와 같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 흡착 성능을 지니는 입상물을, 통풍성을 지니는 자루에 수납해서, 입상물에 악취를 흡착시켜서 제거하는 타입의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탈취제는, 탈취 효과에 있어서 우수하지만, 탈취제의 수명, 즉, 탈취제의 종료 시기를 모르고, 탈취제의 교환 시기를 판별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본 출원인은, 먼저 흡착제를 겔 중에 분산시켜서 이루어진 탈취제(이하 "겔 형태 탈취제"라 칭함)를 개발하여 특허 출원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 겔 형태 탈취제는, 높은 탈취 효력과 종료 시기를 알기 쉬우므로 매우 사용하기 좋은 것이었지만,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겔 형태 탈취제 자체에 균이 번식하고, 곰팡이가 자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지금까지도, 겔 형태의 방향제, 소취제 등의 겔 제제가 많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들도 균이나 곰팡이가 발생·증식한다는 문제가 알려져 있었다. 그것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통상 파라벤이나 벤조산나트륨 등의 항균·항곰팡이제를 겔 형태 탈취제 중에 배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겔 형태의 방향제나 소취제에 이용되고 있던 이들 항균·항곰팡이제를 겔 형태 탈취제에 배합해도, 전혀 효과가 인정되지 않거나, 일반적인 겔 제제에 대한 배합량보다도 대폭 증가시키지 않으면 그 효과가 발휘되지 않았다. 또한, 겔 형태 탈취제의 제조 직후에는 항균·항곰팡이 효과를 확인할 수 있어도, 겔 형태 탈취제의 사용 기간 후기에 있어서 항균·항곰팡이 효과가 저하할 경우도 있었다. 이들 이유는, 파라벤이나 벤조산나트륨 등의 항균·항곰팡이제가, 겔 형태 탈취제 중에 분산되어 있는 흡착제에 흡착되어 버리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고 있었다.
또한 최근, 인체나 환경에 대한 안전성의 면으로부터, 항균·항곰팡이제로서 사용 가능한 화합물에 대해서 포지티브 리스트제(Positive List System)에 의한 규제를 엄격화하고 있는 나라도 있다. 그 때문에, 종래 사용 가능했던 유효한 항균·항곰팡이제를 사용할 수 없게 되고, 다른 한편, 포지티브 리스트에 기재된 화합물에서는, 전술한 이유로 겔 형태 탈취제로 항균·항곰팡이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겔 형태 탈취제에서는, 다른 겔 제제에서 채용되고 있는 항균·항곰팡이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균의 번식이나, 곰팡이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고, 겔 형태 탈취제의 균이나 곰팡이의 발생이나 번식 등을 억제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었다.
JP 2001-157706 A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흡착제를 겔 중에 분산시켜서 이루어진 탈취제에 있어서, 흡착제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사용 개시로부터 종기까지 균의 번식이나 곰팡이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한 기술의 제공을 그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겔 형태 탈취제에 있어서, 겔 중에 분산된 흡착제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항균, 항곰팡이 작용을 발휘하는 성분에 대해서 예의 검색을 행하고 있었던 바, 특정 신남알데하이드 유도체 및/또는 신남카복실산 유도체 및 3-알킬아미노-1,2-프로판다이올이 그러한 성질을 지니고, 이것을 겔 형태 탈취제에 배합함으로써, 유효하게 겔 중의 균이나 곰팡이의 발생·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다음 성분 (A) 내지 (D):
(A) 흡착제
(B) 겔화제
(C) 항균·항곰팡이제
(D) 용매
를 함유하고, 성분 (C)가,
(C1) 하기 일반식 (I):
Figure pct00001
(식 중, R1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수산기를 나타냄); 및/또는
(C2) 하기 일반식 (II):
Figure pct00002
(식 중, R3은 탄소수 10 내지 14의 알킬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형태 탈취제이다.
본 발명의 겔 형태 탈취제는, 사용 개시부터 종기까지 균이나 곰팡이의 발생·증식을 방지하는 동시에, 흡착제의 기능 저하를 억제하여, 탈취 효과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겔 형태 탈취제는, 성분 (A) 흡착제, (B) 겔화제, (C) 항균·항곰팡이제 및 (D) 용매를 함유한다.
성분 (A) 흡착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야자껍데기 활성탄 등의 활성탄, 비장탄 등의 목탄 등의 탄소계 흡착제;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층상 알루미노규산아연 등의 실리카계 흡착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중, 탈취 효과 유지나 겔의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탄소계 흡착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a1) 활성탄 및 (a2) 비장탄을 조합시켜서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흡착제는 겔의 형성성이나 흡착 능력의 점에서 입도가 100메시 이상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겔 형태 탈취제 중의 (A) 흡착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지만, 통상 0.1 내지 10질량%(이하, 단지 "%"로 나타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이다. (A) 흡착제로서, (a1) 활성탄 및 (a2) 비장탄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경우에는, 배합 질량비((a1):(a2))를 2:1 내지 1: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2 내지 1:1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성분 (B) 겔화제로서는, 카라기난, 젤란검, 한천, 젤라틴, 구아검, 펙틴, 로커스트빈검, 잔탄검, 알긴산나트륨, 셀룰로스 유도체 등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셀룰로스 유도체로서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가 바람직하다. 이들 중, 겔의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b1) 카라기난, (b2)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가 바람직하고, 또한 이들을 조합시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B) 겔화제의 겔 형태 탈취제 중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0.1 내지 10%이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이다. 성분 (B)로서, (b1) 카라기난과 (b2)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를 병용할 경우에는, 배합 질량비((b1):(b2)) 10:1 내지 1:1, 또한 7:1 내지 2:1로 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C) 항균·항곰팡이제로서, (C1)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신남알데하이드 유도체 및/또는 신남카복실산 유도체, 및/또는 (C2) 하기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3-알킬 아미노-1,2-프로판다이올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한다:
Figure pct00003
(식 중, R1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수산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식 중, R3은 탄소수 10 내지 1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식 (I)로 표시되는 신남알데하이드 유도체로서, 구체적으로는, o-메톡시신남알데하이드, m-메톡시신남알데하이드, p-메톡시신남알데하이드, o-에톡시신남알데하이드, m-에톡시신남알데하이드, p-에톡시신남알데하이드, o-프로폭시신남알데하이드, m-프로폭시신남알데하이드, p-프로폭시신남알데하이드가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항균·항곰팡이 효과 및 탈취 효과 등의 관점에서, 메톡시신남알데하이드(o-메톡시신남알데하이드, m-메톡시신남알데하이드, p-메톡시신남알데하이드)가 바람직하고, 특히 (c1) o-메톡시신남알데하이드가 바람직하다. o-메톡시신남알데하이드는 와코준야쿠코교(和光純藥工業) 주식회사에서 시판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o-메톡시신남알데하이드는 계피 중에도 많이 포함되어 있고, 계피정유 또는 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식 (I)로 표시되는 신남카복실산 유도체로서, 구체적으로는, o-메톡시신남산, m-메톡시신남산, p-메톡시신남산, o-에톡시신남산, m-에톡시신남산, p-에톡시신남산, o-프로폭시신남산, m-프로폭시신남산, p-프로폭시신남산이 예시된다.
성분 (C1)의 겔 형태 탈취제 중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0.01 내지 10%이고, 바람직하게는 0.025 내지 2%이다.
또한, 식 (II)로 표시되는 3-알킬 아미노-1,2-프로판다이올로서, 구체적으로는, 3-데실아미노-1,2-프로판다이올, 3-운데실아미노-1,2-프로판다이올, 3-도데실아미노-1,2-프로판다이올, 3-트라이데실 아미노-1,2-프로판다이올, 3-테트라데실아미노-1,2-프로판다이올이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항균·항곰팡이 효과 및 탈취 효과 등의 관점에서, (c2) 3-도데실아미노-1,2-프로판다이올이 바람직하다.
성분 (C2)의 겔 형태 탈취제 중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0.01 내지 2%이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이다. 또한 (c1)과 (c2)를 병용하는 것이 균 및 곰팡이의 증식 억제, 탈취 효과의 유지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그 경우의 배합 질량비((c1):(c2))는, 20:1 내지 1:5가 바람직하고, 또한 10:1 내지 1:3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성분 (C1) 및/또는 성분 (C2)를 미리 계면활성제에 유화 분산시켜 두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겔 형태 탈취제의 조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 폴리옥시에틸렌스타이릴페닐에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미노에터,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솔비탄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에터, 알킬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황산나트륨, 다이알킬설포석신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 인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 인산, 야자유지방산메틸타우린나트륨(N-코코일-N-메틸타우린나트륨), 라우릴황산 트라이에탄올아민,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로일살코신나트륨, 라우로일메틸β-알라닌나트륨액, 라우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2-알킬-N-카복시메틸-N-하이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염산 알킬다이아미노에틸글리신액, 라우릴다이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c2) 3-도데실아미노-1,2-프로판다이올은 계면활성제로서도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c1)과 (c2)를 병용해서 유화 분산 상태로 해두는 것도 가능하다. BJ BIOCHEM사 제품인 "GL-200" 등, 계면활성제에 o-메톡시신남알데하이드 및 3-도데실아미노-1,2-프로판다이올이 배합된 제제도 시판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성분 (C)로서, 또한 (c3) 에틸렌다이아민 사아세트산 이나트륨(EDTA)을 병용하는 것이, 균 및 곰팡이의 증식 억제, 탈취 효과의 장기간 유지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EDTA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0.001 내지 1%이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이다. 성분 (C) 항균·항곰팡이제의 겔 형태 탈취제 중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0.0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3%이다. 본 발명에서는, 성분 (C)로서, (c1), (c2) 및 (c3) 이외의 성분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c1), (c2) 및 (c3)만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D) 용매로서는, 물, 에탄올, 프로판올류의 알코올류,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3-메톡시부탄올, 1-메톡시-2-부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 3-메톡시-3-메틸-1-부탄올, 3-메톡시-3-메틸부틸아세테이트 등의 항균·항곰팡이 효과를 지니는 용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것 중, 겔 조정의 용이성, 겔의 안정성, 사용 종점의 명확성 등의 관점에서, (d1)물, (d2) 에탄올이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특히 이들을 조합시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D)의 겔 형태 탈취제 중의 함유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80 내지 98%가며,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이다. 일반적으로, 겔 형태 탈취제에 있어서는, 물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균이나 곰팡이가 발생하기 쉬워지지만, 본 발명에서는 (d1) 물의 함유량을, 예를 들면 85% 이상, 또한 87% 이상으로 해도, 균이나 곰팡이의 발생·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상한은, 예를 들면 95% 이하, 바람직하게는 90% 이하이다. 또한 (d2) 에탄올을 병용할 경우의 함유량은, 0.1 내지 15%가 바람직하고, 1 내지 10%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배합 질량비((d1):(d2))는, 90:1 내지 10: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0:1 내지 10:1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항균·항곰팡이 효과를 지니는 용매를 사용하지 않아도, 사용 기간 동안 균이나 곰팡이의 발생·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겔 형태 탈취제에는, 겔 형성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겔 강화제로서의 염화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염이나, 염화칼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 방부제, 자외선흡수제, 유기산, 색소, 향료, 황산구리나 식물추출물 등의 소취 성분을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겔 형태 탈취제는, 상기 성분 (A) 내지 (D) 및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임의의 첨가제를 공지의 방법을 따라 혼합해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B) 겔화제, (C) 항균·항곰팡이제 및 계면활성제를 (D) 물 등의 용매에 가해서, 가열, 교반하고 나서, (A) 분말 형태물인 흡착제를 소량의 물에 분산시킨 것을 가하고, 또한 교반해서 균일한 용액으로 하고, 최후에 이 용액을 용기에 붓고, 냉각시켜 겔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겔 형태 탈취제의 바람직한 양상으로서 이하의 조성을 예시할 수 있다.
(A) 흡착제
(a1) 활성탄 0.3 내지 3%
(a2) 비장탄 0.2 내지 2%
(a1):(a2) = 3:2 내지 1:1
(B) 겔화제
(b1) 카라기난 0.4 내지 5%
(b2)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0.1 내지 2%
(b1):(b2) = 10:1 내지 1:1
(C) 항균·항곰팡이제
(c1) o-메톡시신남알데하이드 0.025 내지 2%
(c2) 3-도데실아미노-1,2-프로판다이올 0.001 내지 1%
(c3) EDTA 0.01 내지 0.1%
(c1):(c2) = 20:1 내지 1:5
(D) 용매
(d1) 물 87 내지 90%
(d2) 에탄올 1 내지 10%
(d1):(d2) = 90:1 내지 10:1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 및 시험예를 제시하고,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하등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서, 하기 방법으로 겔 형태 탈취제를 조제했다.
성분 본 발명품 1 비교품 1 비교품 2 비교품 3
1 GL-200※1 0.3
2 파라벤 0.3
3 벤조산나트륨 0.3
4 카라기난 2 2 2 2
5 비장탄 0.4 0.4 0.4 0.4
6 활성탄 0.6 0.6 0.6 0.6
7 황산구리 0.05 0.05 0.05 0.05
8 대나무 추출물※2 0.1 0.1 0.1 0.1
9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0.4 0.4 0.4 0.4
10 염화나트륨 0.5 0.5 0.5 0.5
11 EDTA 0.04 0.04 0.04 0.04
12 95% 에탄올 7 7 7 7
13 88.61 88.91 88.61 88.61
합계 100 100 100 100
※1: o-메톡시신남알데하이드 함유량 15 내지 40%, 3-도데실아미노-1,2-프로판다이올 함유량 5 내지 30%, BJ BIOCHEM사 제품
※2: GT-C12WBB097, Ewoo chem사 제품
[제법]
성분 1 내지 11을 성분 12 내지 13에 분산시키고, 70℃로 가열, 교반한 후 유리제 비이커에 붓고, 실온에서 정치시킴으로써 겔화시켜, 겔 형태 탈취제를 얻었다.
시험예 1
실시예 1에서 조제한 각 겔 형태 탈취제를 재차 80℃로 가열해서 용해시킨 후, 멸균시킨 샤알레에 각각 30g씩 붓고, 냉각 고형화시켰다. 멸균한 직경 10㎜의 원형 종이 조각에, 하기 3종류의 균 또는 곰팡이의 현탁액을 50㎕씩 접종한 후, 이 종이 조각을 샤알레 중의 겔 위에 접촉시키고, 정치시켰다. 정치로부터 1, 2, 3일 후에 각 종이 조작을 회수하고, 멸균된 생리식염수 10㎖에 현탁시켰다. 이 생리식염수를 100㎕씩, 균은 TSA 배지에, 곰팡이는 SDA 배지에 접종한 후, 균은 48시간, 곰팡이는 72시간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고, 균 및 곰팡이의 발육 상황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하기 기준에 따라서 평가했다. 이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시험 세균·곰팡이]
균: 하기 3종의 세균을 1:1:1의 비율로 혼합한 세균 균액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KCTC 2513)
황색 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 Aureus, KCTC 3881)
대장균(Escherichia Coli, KCTC 2571)
곰팡이 1: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KCTC 7965)
곰팡이 2: 아스퍼질러스 니게르(Aspergillus Niger, KCTC 6317)
[평가 기준]
+: 균·곰팡이의 발육이 확인된다.
±: 극히 약간 균·곰팡이의 발육이 확인된다.
-: 균·곰팡이의 발육이 확인되지 않는다.
본 발명품 1 비교품 1 비교품 2 비교품 3
1일 후
2일 후
3일 후
곰팡이 1 1일 후
2일 후
3일 후
곰팡이 2 1일 후
2일 후
3일 후
비교품 1 내지 3에서는, 균, 곰팡이 모두 발육이 확인된 것에 대해서, 본 발명품 1에서는 균 및 곰팡이의 발생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실시예 1에서 조제한 각 겔 형태 탈취제를, 중량이 2분의 1이 될 때까지 건조시켜, 사용 기간 후기의 상태의 겔 형태 탈취제를 작성했다. 이 겔을 멸균시킨 칼로 절단하고, 멸균시킨 샤알레 위에 두었다. 멸균시킨 직경 10㎜의 원형 종이 조각에, 시험예 1과 같은 3종류의 균 또는 곰팡이의 현탁액을 50㎕씩 접종한 후, 이 종이 조각을 샤알레 중의 겔 위에 접촉시켜, 정치시켰다. 정치로부터 1, 2, 3일 후에 각 종이 조각을 회수하고, 멸균된 생리식염수 10㎖에 현탁시켰다. 이 생리식염수를 100㎕씩, 균은 TSA 배지에, 곰팡이는 SDA 배지에 접종한 후, 균은 48시간, 곰팡이는 72시간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고, 균 및 곰팡이의 발육 상황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시험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했다. 이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본 발명품 1 비교품 1 비교품 2 비교품 3
1일 후
2일 후
3일 후
곰팡이 1 1일 후
2일 후
3일 후
곰팡이 2 1일 후
2일 후
3일 후
비교품은 모두 항균·항곰팡이 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던 것에 대해서, 본 발명품 1에서는 균 및 곰팡이 2에 대해서는 1일 후의 시점에서는 균·곰팡이가 생존하고 있지만, 2일 후 이후에는 사멸되어 있고, 사용 종기에 있어서도 항균·항곰팡이 효과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본 발명품 1에 대해서, 하기에 나타낸 시험 방법에 의해 탈취 시험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시험 방법]
실시예 1에서 작성한 본 발명품 1을 각각 사방 2㎝의 입방체로 잘라, 이것을 시료로 하였다. 이 시료 1개를 2리터의 데시케이터(desiccator)에 넣고, 악취 가스로서 암모니아와 황화수소를 주입했다. 악취 가스 주입 후의 농도(초기 농도; A(ppm))과 180분 후의 농도(B(ppm))를 검지관에 의해 측정하고, 하기 식을 이용해서 소취율을 산출했다. 데시케이터에 시료를 넣지 않은 블랭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소취율을 구했다.
Figure pct00005
암모니아 냄새 황화수소 냄새
본 발명품 1 100 100
블랭크 0 0
본 발명품 1에 대해서, 사용 기간 동안의 탈취 효과의 저하는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3
제제예:
표 5의 조성에 의해, 겔 형태 탈취제를 폴리프로필렌제의 용기 내에 조제했다. 이 탈취제는, 양호한 탈취 효력을 나타내는 동시에, 조제 직후로부터 사용 종기에 이르기까지, 겔의 표면에 균이나 곰팡이가 번식하는 일 없이, 이용 가치가 높은 제제를 얻을 수 있었다.
성분 겔 형태 탈취제
1 o-메톡시신남알데하이드※1 0.1
2 3-도데실아미노-1,2-프로판다이올 0.05
3 카라기난 2
4 비장탄 0.4
5 활성탄 0.6
6 황산구리 0.05
7 대나무 추출물※2 0.1
8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0.4
9 염화나트륨 0.5
10 EDTA 0.04
11 95% 에탄올 7
12 88.76
합계 100
※1: 와코준야쿠코교 주식회사 제품
※2: GT-C12WBB097, Ewoo chem사 제품
본 발명의 겔 형태 탈취제는, 사용 기간 동안, 균의 증식이나 곰팡이의 발생이 없고, 탈취 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광범위한 조건에서 적용 가능한 겔 형태 탈취제로서 유용하다.

Claims (15)

  1. 겔 형태 탈취제로서,
    다음 성분 (A) 내지 (D):
    (A) 흡착제
    (B) 겔화제
    (C) 항균·항곰팡이제
    (D) 용매
    를 함유하되, 성분 (C)가,
    (C1) 하기 일반식 (I):
    Figure pct00006

    (식 중, R1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수산기를 나타냄); 및/또는
    (C2) 하기 일반식 (II):
    Figure pct00007

    (식 중, R3은 탄소수 10 내지 14의 알킬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형태 탈취제.
  2. 제1항에 있어서, (C1)이 다음 성분 (c1):
    (c1) o-메톡시신남알데하이드
    인, 겔 형태 탈취제.
  3. 제1항에 있어서, (C2)가 다음 성분 (c2):
    (c2) 3-도데실아미노-1,2-프로판다이올
    인, 겔 형태 탈취제.
  4. 제1항에 있어서, 성분 (C)가 (c1) 및 (c2)를 질량 배합비 20:1 내지 1:5로 함유하는, 겔 형태 탈취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C)가 다음 성분 (c3);
    (c3) EDTA
    를 더 함유하는, 겔 형태 탈취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 흡착제가, 활성탄, 목탄,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및 층상 알루미노규산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겔 형태 탈취제.
  7. 제6항에 있어서, 성분 (A)가 다음 성분 (a1) 및 (a2):
    (a1) 활성탄
    (a2) 비장탄
    을 함유하는, 겔 형태 탈취제.
  8. 제7항에 있어서, 성분 (a1)과 (a2)를 질량 배합비 3:2 내지 1:1로 함유하는, 겔 형태 탈취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B) 겔화제가, 카라기난, 젤란검, 한천, 젤라틴, 구아검, 펙틴, 로커스트빈검, 잔탄검, 알긴산나트륨 및 셀룰로스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겔 형태 탈취제.
  10. 제9항에 있어서, 성분 (B)가, 다음 성분 (b1):
    (b1) 카라기난
    을 함유하는, 겔 형태 탈취제.
  11. 제10항에 있어서, 성분 (B)가, 다음 성분 (b2):
    (b2)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를 더 함유하는, 겔 형태 탈취제.
  12. 제11항에 있어서, 성분 (b1)과 (b2)를 질량 배합비 10:1 내지 1:1로 함유하는, 겔 형태 탈취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D)이, 다음 성분 (d1) 및 (d2):
    (d1) 물
    (d2) 에탄올
    을 함유하는, 겔 형태 탈취제.
  14. 제13항에 있어서, 성분 (d1)과 (d2)를 질량 배합비 90:1 내지 10:1로 함유하는, 겔 형태 탈취제.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성분 (d1)의 함유량이 85 내지 95질량%인, 겔 형태 탈취제.
KR1020197039002A 2017-06-30 2017-06-30 겔 형태 탈취제 KR102394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24138 WO2019003413A1 (ja) 2017-06-30 2017-06-30 ゲル状脱臭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612A true KR20200023612A (ko) 2020-03-05
KR102394911B1 KR102394911B1 (ko) 2022-05-06

Family

ID=64742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9002A KR102394911B1 (ko) 2017-06-30 2017-06-30 겔 형태 탈취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96856B2 (ko)
KR (1) KR102394911B1 (ko)
CN (1) CN110769864B (ko)
PH (1) PH12019502866A1 (ko)
WO (1) WO20190034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520A1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비제이바이오켐 살균, 항균 및 보존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32755A (ja) * 2019-02-19 2020-08-31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ハイドロゲルおよびハイドロゲルの製造方法
CN114737389A (zh) * 2022-05-05 2022-07-12 杭州朝盛塑业有限公司 一种家用抗菌无纺布及其制备方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7493A (ja) * 1996-01-10 1997-07-22 S T Chem Co Ltd ゲル状脱臭剤
JP2001157706A (ja) 1999-09-24 2001-06-12 S T Chem Co Ltd ゲル状脱臭剤
JP2002119582A (ja) * 2000-10-13 2002-04-23 S T Chem Co Ltd 脱臭剤
JP2003024424A (ja) * 2001-07-11 2003-01-28 S T Chem Co Ltd 脱臭剤組成物
JP2003047648A (ja) * 2001-08-08 2003-02-18 S T Chem Co Ltd ゲル状抗菌脱臭剤及びゲル状抗菌脱臭剤の製造方法
JP2004358027A (ja) * 2003-06-06 2004-12-24 Lintec Corp 消臭剤組成物および水解性消臭体
JP2005082528A (ja) * 2003-09-08 2005-03-31 Ina Food Ind Co Ltd 抗菌剤
JP2012056854A (ja) * 2010-09-06 2012-03-22 Neos Co Ltd 抗菌剤組成物及び殺菌方法
KR20140120355A (ko) * 2012-02-01 2014-10-13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악취를 감소시키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5490A (ja) * 1996-12-06 1998-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脱臭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119589A (ja) * 2000-10-18 2002-04-23 Nipro Corp 留置針組立体
US6610648B2 (en) * 2000-12-22 2003-08-26 Givaudan Sa Malodor counteractant compositions
CN1966090B (zh) * 2005-11-18 2012-09-05 花王株式会社 除臭组合物
CN102451485A (zh) * 2010-10-26 2012-05-16 成都顺发消洗科技有限公司 一种车用空气清新凝胶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7493A (ja) * 1996-01-10 1997-07-22 S T Chem Co Ltd ゲル状脱臭剤
JP2001157706A (ja) 1999-09-24 2001-06-12 S T Chem Co Ltd ゲル状脱臭剤
JP2002119582A (ja) * 2000-10-13 2002-04-23 S T Chem Co Ltd 脱臭剤
JP2003024424A (ja) * 2001-07-11 2003-01-28 S T Chem Co Ltd 脱臭剤組成物
JP2003047648A (ja) * 2001-08-08 2003-02-18 S T Chem Co Ltd ゲル状抗菌脱臭剤及びゲル状抗菌脱臭剤の製造方法
JP2004358027A (ja) * 2003-06-06 2004-12-24 Lintec Corp 消臭剤組成物および水解性消臭体
JP2005082528A (ja) * 2003-09-08 2005-03-31 Ina Food Ind Co Ltd 抗菌剤
JP2012056854A (ja) * 2010-09-06 2012-03-22 Neos Co Ltd 抗菌剤組成物及び殺菌方法
KR20140120355A (ko) * 2012-02-01 2014-10-13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악취를 감소시키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520A1 (ko) * 2021-06-29 2023-01-05 주식회사 비제이바이오켐 살균, 항균 및 보존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96856B2 (ja) 2021-06-30
JPWO2019003413A1 (ja) 2020-04-30
PH12019502866A1 (en) 2020-09-28
CN110769864A (zh) 2020-02-07
WO2019003413A1 (ja) 2019-01-03
CN110769864B (zh) 2021-05-07
KR102394911B1 (ko)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0350B2 (en) Antifungal fragrance composition
JPH0211501A (ja) 抗菌剤組成物
KR20200023612A (ko) 겔 형태 탈취제
JP2008081739A (ja) トイレ用芳香洗浄剤
CN110637813A (zh) 醛类消毒剂
CN111358991B (zh) 一种鞋袜除臭抗菌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4685283B2 (ja) 脱臭剤組成物
JP4658305B2 (ja) 脱臭剤
CN107079925A (zh) 洁爽性优良并可用于气固液态环境的杀菌除臭喷洗液
JP2007097738A (ja) 空間除菌用組成物
CN113940358B (zh) 一种高效无醇胍类复合消毒剂及其制备方法
US20090185949A1 (en) Biocide composition
JP2017025183A (ja) ゲル状組成物
JP4233139B2 (ja) 徐放性スライムコントロール組成物
CN111493082A (zh) 一种泡沫型家用消毒剂及其制备方法
JP2010037263A (ja) 入浴剤
JP2003047648A (ja) ゲル状抗菌脱臭剤及びゲル状抗菌脱臭剤の製造方法
JP2001190647A (ja) 脱臭剤組成物
JP2000288076A (ja) 芳香消臭剤組成物
CN101091487B (zh) 藻酸盐印模用消毒喷雾剂及其制备方法
CN115843795A (zh) 一种包裹超分子除味消毒杀菌组合物
JPH06142168A (ja) 殺菌消臭剤組成物
JP2006167202A (ja) 透明ゲル状芳香剤
KR20230096869A (ko) 방부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도료
CN112494514A (zh) 一种杀菌消毒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