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269A - 조성물 - Google Patents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269A
KR20200023269A KR1020197032582A KR20197032582A KR20200023269A KR 20200023269 A KR20200023269 A KR 20200023269A KR 1020197032582 A KR1020197032582 A KR 1020197032582A KR 20197032582 A KR20197032582 A KR 20197032582A KR 20200023269 A KR20200023269 A KR 20200023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ane compound
group
solution
film
room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3115B1 (ko
Inventor
야스하루 시마자키
미치루 우에하라
도모노리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3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1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간편한 도포 방법에 의해, 액적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외관이 좋은 피막을 얻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기 식 (1)로 나타나는 실란 화합물(A), 하기 식 (2)로 나타나는 실란 화합물(B) 및 용제(C)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100질량% 중의 상기 실란 화합물(A) 및 (B)의 합계 함유량이 0.015질량% 이상, 0.7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R1은 탄소수 6 이상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당해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CH2-는 -O-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X1은 가수분해성기를 나타낸다. R2는 탄소수 1~5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X2는 가수분해성기를 나타낸다. n은 0 또는 1이다.]

Description

조성물
본 발명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표시장치, 광학소자, 반도체 소자, 건축 재료, 자동차 부품, 나노임프린트 기술 등에 있어서, 기재의 표면에 액적(液滴)이 부착됨으로써, 기재의 더러움이나 부식, 또한 이 더러움이나 부식에 유래하는 성능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부착된 액적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2는, 유기 규소 화합물(A)와 금속 화합물(B)를, 소정의 몰비로 포함하는 발수 발유 코팅 조성물을 스핀 코팅에 의해 글라스 기판 상에 도포하고, 건조 시킴으로써 투명 피막을 얻은 것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 투명 피막은, 수적(水滴)의 활락(滑落) 속도가 우수한 것이 기재된다.
국제공개 제2016/068118호 국제공개 제2016/068103호
상기한 특허문헌 1,2에서는 스핀 코팅에 의해 투명 피막을 형성하고 있지만, 스핀 코터와 같은 기계를 이용하지 않아도, 손칠, 분무 등의 간편한 방법에 의해, 액적을 용이하게 제거 가능(수적의 활락성이 양호)하며, 또한, 외관이 좋은(투명성 등)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조성물은 아직 검토되어 있지 않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간편한 도포 방법에 의해, 액적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외관이 좋은 피막을 얻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한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하기 식 (1)로 나타나는 실란 화합물(A), 하기 식 (2)로 나타나는 실란 화합물(B) 및 용제(C)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100질량% 중의 상기 실란 화합물(A) 및 (B)의 합계 함유량이 0.015질량% 이상, 0.7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1) 중,
R1은 탄소수 6 이상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당해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CH2-는 -O-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X1은 가수분해성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2) 중,
R2는 탄소수 1~5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X2는 가수분해성기를 나타낸다.
n은 0 또는 1이다.]
[2] 상기 실란 화합물(A)에 대한 상기 실란 화합물(B)의 몰비가 0.1 이상, 48 이하인 [1]에 기재된 조성물.
[3] 상기 실란 화합물(A)에 대한 상기 실란 화합물(B)의 몰비가 0.1 이상, 12 이하인 [2]에 기재된 조성물.
[4] 상기 용제(C)가, 알코올계 용제인 [1]~[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5] 상기 용제(C)보다도 20℃에 있어서의 증기압이 높은 용제(D)를 추가로 포함하는 [4]에 기재된 조성물.
[6] 상기 용제(D)의 20℃에 있어서의 증기압이 8.0㎪ 이상인 [5]에 기재된 조성물.
[7] [1]~[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을 경화한 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정의 실란 화합물(A)와 (B)를, 합계로 0.015질량% 이상, 0.70질량% 이하라고 하는 소량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손칠이나 분무와 같은 간편한 방법으로, 수적의 활락성 및 외관의 양자가 양호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 식 (1)로 나타나는 실란 화합물(A) 및 하기 식 (2)로 나타나는 실란 화합물(B)를 합계로, 조성물 100질량% 중에 0.015질량% 이상, 0.70질량% 이하 포함하는 점에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실란 화합물(A) 및 (B)의 합계량이 0.015질량% 이상이면, 수적의 활락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당해 합계량이 0.70질량% 이하이면, 피막의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실란 화합물(A) 및 (B)의 합계량은, 바람직하게는 0.05질량%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2질량% 이상이며, 또한 0.6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60질량% 이하이다.
이하, 실란 화합물(A) 및 실란 화합물(B)에 대해서 각각 설명한다.
1. 실란 화합물(A)
실란 화합물(A)는, 하기 식 (1)로 나타내진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상기 식 (1) 중,
R1은 탄소수 6 이상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당해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CH2-는 -O-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X1은 가수분해성기를 나타낸다.
R1은, 포화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직쇄형 또는 분기쇄형의 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직쇄형 알킬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R1로 나타나는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7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이상이며, 또한 3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또한, R1로 나타나는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CH2-가 -O-로 치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치환된 -O-의 수도 탄소 원자수로서 카운트한다.
R1로 나타나는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CH2-가 -O-로 치환된 기로서는, 알킬렌옥시 단위를 1 또는 2 이상 포함하는 기를 들 수 있다. 알킬렌옥시 단위로서는, 에틸렌옥시 단위, 프로필렌옥시 단위 등을 들 수 있으며, 에틸렌옥시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R1로 나타나는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CH2-가 -O-로 치환된 기는, 예를 들면 -R3-(R4-O)n1-R5로 나타낼 수 있으며, R3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1~4의 2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4는 탄소수 2~3의 2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5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1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n1은 1~10의 정수를 나타낸다. 단, 상기 -R3-(R4-O)n1-R5에 포함되는 탄소 및 산소의 원자수의 합계는 6 이상이다. R3은 2가의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R3으로 나타나는 2가의 탄화수소기로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등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으며, R4로서는,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등의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으며, R5로서는 탄소수 1~4의 1가의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고, R5로 나타나는 1가의 탄화수소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등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다.
R1로 나타나는 탄화수소기로서는, 탄소수가 6 이상, 30 이하의 직쇄형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헥사데실기, 옥타데실기가 바람직하고, 특히 옥틸기, 데실기, 도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헥사데실기, 옥타데실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 (1)에 있어서, X1로 나타나는 가수분해성기로서는, 가수분해에 의해 히드록시기(실라놀기)를 부여하는 기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6의 알콕시기, 시아노기, 아세톡시기, 염소 원자 및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을 들 수 있다. 3개의 X1은 동일하여도 달라도 되며,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X1로서는, 탄소수 1~6(보다 바람직하게는 1~4)의 알콕시기 또는 시아노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6(보다 바람직하게는 1~4)의 알콕시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모든 X1이 탄소수 1~6(보다 바람직하게는 1~4)의 알콕시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실란 화합물(A)로서는, R1이 탄소수 6~18(보다 바람직하게는 7~13)의 직쇄형 알킬기이며, 모든 X1이 동일의 기이며, 탄소수 1~6(보다 바람직하게는 1~4, 더 바람직하게는 1~2)의 알콕시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 화합물(A)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헥실트리메톡시실란, 헥실트리에톡시실란, 헵틸트리메톡시실란, 헵틸트리에톡시실란, 옥틸트리메톡시실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노닐트리메톡시실란, 노닐트리에톡시실란, 데실트리메톡시실란, 데실트리에톡시실란, 운데실트리메톡시실란, 운데실트리에톡시실란, 도데실트리메톡시실란, 도데실트리에톡시실란, 트리데실트리메톡시실란, 트리데실트리에톡시실란, 테트라데실트리메톡시실란, 테트라데실트리에톡시실란, 펜타데실트리메톡시실란, 펜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헥사데실트리메톡시실란, 헥사데실트리에톡시실란, 헵타데실트리메톡시실란, 헵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옥타데실트리메톡시실란, 옥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옥틸트리메톡시실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데실트리메톡시실란, 데실트리에톡시실란, 도데실트리메톡시실란, 도데실트리에톡시실란, 테트라데실트리메톡시실란, 테트라데실트리에톡시실란, 헥사데실트리메톡시실란, 헥사데실트리에톡시실란, 옥타데실트리메톡시실란, 옥타데실트리에톡시실란이 바람직하다.
실란 화합물(A)는, 1종만을 이용하여도 되고, 복수를 병용하여도 된다.
2. 실란 화합물(B)
실란 화합물(B)는 하기 식 (2)로 나타내진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상기 식 (2) 중, R2는 탄소수 1~5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X2는 가수분해성기를 나타내고, n은 0 또는 1이다.
R2는, 포화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직쇄형 또는 분기쇄형의 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직쇄형 알킬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 (2)의 X2로 나타나는 가수분해성기는, 상기 X1로 나타나는 가수분해성기와 마찬가지의 기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6의 알콕시기, 시아노기, 아세톡시기, 염소 원자 및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을 들 수 있다. 3개의 X2는 동일하여도 달라도 되며,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X2로서는, 탄소수 1~6(보다 바람직하게는 1~4)의 알콕시기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6(보다 바람직하게는 1~4)의 알콕시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모든 X2가 탄소수 1~6(보다 바람직하게는 1~4)의 알콕시기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 (2)에 있어서, n은 0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 화합물(B)로서는, n이 0이며, X2가 탄소수 1~6(보다 바람직하게는 1~3)인 알콕시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 화합물(B)로서는,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프로폭시실란, 테트라부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프로폭시실란, 메틸트리부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이 바람직하다.
실란 화합물(B)는, 1종만을 이용하여도 되고, 복수를 병용하여도 된다.
실란 화합물(A)에 대한 실란 화합물(B)의 몰비(B/A)는, 통상 0.1 이상 48 이하이며, 당해 몰비가 상기 범위이면, 피막 표면의 수적의 활락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당해 몰비는 0.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이며, 한층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며, 특히 4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몰비는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2 이하, 1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8 이하이다. 당해 몰비는 0.1 이상, 12 이하인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한 실란 화합물(A) 및 (B)에 더해서, 추가로 용제(C)를 포함하고 있다.
용제(C)로서는, 알코올계 용제, 에테르계 용제, 케톤계 용제, 에스테르계 용제, 아미드계 용제 등의 친수성 유기 용제를 들 수 있다. 이들의 용제는 1종만을 이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알코올계 용제로서는,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에테르계 용제로서는, 디메톡시에탄, 디옥산 등을 들 수 있다. 케톤계 용제로서는,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을 들 수 있으며, 에스테르계 용제로서는,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등을 들 수 있으며, 아미드계 용제로서는,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제(C)는, 알코올계 용제(특히 1-프로판올, 또는 2-프로판올), 케톤계 용제(특히 메틸이소부틸케톤)인 것이 바람직하고, 알코올계 용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제는, 후술하는 기재의 재질에 맞춰서 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유기계 재료의 기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케톤계 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무기계 재료의 기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알코올계 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제(C)로서 알코올계 용제를 이용하는 것과 함께, 당해 용제(C)보다도 20℃에 있어서의 증기압이 높은 용제(D)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용제(C) 및 용제(D)를 포함하면, 특히 손칠로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피막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외관이 양호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D)의 20℃에 있어서의 증기압은, 예를 들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이며, 한층 바람직하게는 14.0㎪ 이상이며, 상한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50㎪ 이하이다. 또한, 용제(C)와 용제(D)를 모두 포함할 경우의 용제(C)로서의 알코올계 용제는, 20℃에 있어서의 증기압이 8.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다. 하한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0001㎪ 이상이다. 예를 들면, 용제(C)로서 1-프로판올 및 2-프로판올의 적어도 1종을 이용하고, 용제(D)로서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톤 및 메틸에틸케톤의 적어도 1종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D)를 포함할 경우, 용제(C) 및 용제(D)의 합계 100질량% 중, 용제(D)가 3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상이며, 또한 99.7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99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란 화합물(A) 및 실란 화합물(B)의 가수분해, 및 중축합을 촉진시키기 위한 촉매(E)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촉매(E)로서는, 염화수소(단, 통상, 염산으로서 사용), 질산, 아세트산 등의 산성 화합물; 암모니아, 아민 등의 염기성 화합물; 알루미늄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화합물 등의 유기 금속 화합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촉매(E)의 함유량은, 실란 화합물(A) 및 실란 화합물(B)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질량부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01질량부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질량부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질량부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1질량부 이하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산화방지제, 방청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방미제(防黴濟), 항균제, 생물 부착 방지제, 소취제(消臭劑), 안료, 난연제, 대전방지제 등, 각종의 첨가제 등의 그 외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기재와 접촉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딥 코팅법, 손칠(천 등에 액을 스며들게 하여, 기재에 칠하는 방법. 기판 상을 복수 왕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뿌려 흘림(스포이트 등을 이용하여 기재에 액을 그대로 뿌려, 도포하는 방법), 분무(분무를 이용하여 기재에 도포하는 방법), 또는 이들을 조합시킨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기재와 접촉시킨 상태에서, 공기 중, 상온에서 정치(靜置)(예를 들면 10분~48시간, 바람직하게는 10시간~48시간)함으로써, 공기 중의 수분을 받아들여, 가수분해성기의 가수분해·중축합이 촉진되고, 조성물이 경화되어 기재 상에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얻어진 피막을 추가로 건조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피막의 막두께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며, 상한은 예를 들면 15㎚ 이하이며, 10㎚ 이하여도 된다. 피막의 막두께가 일정 이상인 것으로부터 양호한 발수성을 안정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일정 이하이면 외관이 양호해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접촉시키는 기재의 형상은, 평면 또는 곡면 중 어느 것이어도 되며, 다수의 면이 조합된 삼차원적 구조여도 된다. 또한 기재의 재질로서는, 유기계 재료, 무기계 재료를 들 수 있다. 상기 유기계 재료로서는,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스티렌 수지, 아크릴-스티렌 공중합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페놀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실리콘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무기계 재료로서는, 세라믹스; 글라스; 철, 실리콘, 구리, 아연, 알루미늄 등의 금속; 상기 금속을 포함하는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재에는 미리 이접착(易接着) 처리를 실시하고 있어도 된다. 이접착 처리로서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처리 등의 친수화 처리를 들 수 있다. 또한, 수지, 실란커플링제, 테트라알콕시실란 등에 의한 프라이머 처리를 실시하여도 되고, 폴리실라잔 등의 글라스 피막을 기재에 미리 도포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어지는 피막은, 활락성과 외관이 우수하다. 활락성은, 20°로 경사진 기판의 피막 상에 50㎕의 수적을 적하(滴下)하여, 초기 적하 위치로부터 수적이 1.5㎝ 활락할 때까지의 활락 속도로 평가할 수 있다. 당해 활락 속도는 예를 들면 8㎜/초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초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초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0㎜/초 이상이다. 활락 속도의 상한은, 예를 들면 100㎜/초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어지는 피막의 헤이즈값은, 예를 들면 0.17%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15%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 이하이다. 헤이즈값의 하한은, 예를 들면 0.01%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액적 슬라이딩성과 외관이 우수한 피막을 제공할 수 있다. 당해 피막은, 건축 재료, 자동차 부품, 공장 설비 등에 유용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며, 상기, 후기의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을 추가하여 실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고, 그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실란 화합물(A)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1.5×10-3㏖,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테트라에톡시실란) 3.0×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2-프로판올) 2.72㎖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1.17㎖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1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1을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체적비 30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1을 제조하였다. 5㎝×5㎝의 글라스 기판(EAGLE XG, Corning사제)을 앙각 80°가 되도록 설치하고, 분무를 이용하여 도포 용액 1을 1.5㎖ 뿜어 부착시킨 후, 상온에서 24시간 방치하여 건조시켜,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2)
실란 화합물(A)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9.4×10-4㏖,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3.8×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63㎖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1.27㎖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2를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2를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체적비 30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2를 제조하였다. 도포 용액 2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3)
실란 화합물(A)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5.4×10-4㏖,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4.3×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56㎖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1.33㎖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3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3을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체적비 30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3을 제조하였다. 도포 용액 3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4)
실란 화합물(A)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1.8×10-4㏖,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4.8×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50㎖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1.39㎖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4를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4를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체적비 30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4를 제조하였다. 도포 용액 4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5)
실란 화합물(A)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1.5×10-3㏖,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3.0×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72㎖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1.17㎖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5를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5를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체적비 50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5를 제조하였다. 도포 용액 5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6)
실란 화합물(A)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9.4×10-4㏖,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3.8×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63㎖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1.27㎖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6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6을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체적비 50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6을 제조하였다. 도포 용액 6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7)
실란 화합물(A)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5.4×10-4㏖,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4.3×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56㎖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1.33㎖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7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7을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체적비 50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7을 제조하였다. 도포 용액 7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8)
실란 화합물(A)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1.5×10-3㏖,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3.0×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72㎖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1.17㎖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8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8을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체적비 150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8을 제조하였다. 도포 용액 8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9)
실란 화합물(A)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9.4×10-4㏖,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3.8×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63㎖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1.27㎖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9를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9를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체적비 20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9를 제조하였다. 도포 용액 9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10)
실란 화합물(A)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9.4×10-4㏖,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3.8×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63㎖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1.27㎖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10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10을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체적비 50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10을 제조하였다. 5㎝×5㎝의 글라스 기판(EAGLE XG, Corning사제)을 앙각 80°가 되도록 설치하고, 스포이트를 이용하여 1.5㎖의 도포 용액 10을 글라스 기판 전체면에 걸쳐 뿌려 흘리고, 상온에서 24시간 방치하여 건조시켜,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11)
실란 화합물(A)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9.4×10-4㏖,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3.8×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63㎖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1.27㎖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11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11을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체적비 50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11을 제조하였다. 5㎝×5㎝의 글라스 기판(EAGLE XG, Corning사제)을, 도포 용액 11로 가득찬 용기에 1초 이상 담근 후 상방으로 끌어 올려, 상온에서 24시간 방치하여 건조시켜,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12)
실란 화합물(A)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2.8×10-3㏖,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1.4×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92㎖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0.97㎖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12를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12를 아세톤으로 체적비 5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12를 제조하였다. 벤코트(등록 상표, 아사히화성(주)제)에 1.5㎖의 도포 용액 12를 스며들게 하여, 5㎝×5㎝의 글라스 기판(EAGLE XG, Corning사제)에 손칠로 동일 개소에 시간을 두지 않고 연속으로 3회 겹처서 도포하고, 상온에서 24시간 방치하여 건조시켜,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13)
실란 화합물(A)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2.2×10-3㏖,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2.2×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82㎖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1.07㎖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13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13을 아세톤으로 체적비 5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13을 제조하였다. 도포 용액 13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14)
실란 화합물(A)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1.5×10-3㏖,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3.0×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72㎖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1.17㎖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14를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14를 아세톤으로 체적비 5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14를 제조하였다. 도포 용액 14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15)
실란 화합물(A)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9.4×10-4㏖,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3.8×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63㎖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1.27㎖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15를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15를 아세톤으로 체적비 5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15를 제조하였다. 도포 용액 15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16)
실란 화합물(A)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5.4×10-4㏖,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4.3×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56㎖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1.33㎖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16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16을 아세톤으로 체적비 5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16을 제조하였다. 도포 용액 16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17)
실란 화합물(A)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3.8×10-4㏖,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4.5×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54㎖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1.35㎖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17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17을 아세톤으로 체적비 5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17을 제조하였다. 도포 용액 17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18)
실란 화합물(A)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3.5×10-3㏖,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3.5×10-4㏖을, 이소프로필알코올 3.05㎖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0.85㎖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18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18을 아세톤으로 체적비 15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18을 제조하였다. 도포 용액 18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19)
실란 화합물(A)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2.8×10-3㏖,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1.4×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92㎖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0.97㎖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19를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19를 아세톤으로 체적비 15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19를 제조하였다. 도포 용액 19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20)
실란 화합물(A)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2.2×10-3㏖,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2.2×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82㎖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1.07㎖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20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20을 아세톤으로 체적비 15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20을 제조하였다. 도포 용액 20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21)
실란 화합물(A)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1.5×10-3㏖,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3.0×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72㎖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1.17㎖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21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21을 아세톤으로 체적비 15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21을 제조하였다. 도포 용액 21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22)
실란 화합물(A)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9.4×10-4㏖,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3.8×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63㎖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1.27㎖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22를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22를, 아세톤과 이소프로필알코올의 혼합 용액으로 체적비 50배로 희석하고, 아세톤과 이소프로필알코올의 체적비가 약 50/50이 되도록 하여, 도포 용액 22를 제조하였다. 도포 용액 22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23)
실란 화합물(A)로서 헥실트리메톡시실란 1.0×10-3㏖,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4.0×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54㎖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1.34㎖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23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23을,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체적비 50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23을 제조하였다. 도포 용액 23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24)
실란 화합물(A)로서 n-옥틸트리메톡시실란 9.6×10-4㏖, 실란 화합물(B)로서 3.9×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58㎖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 1.30㎖을 적하한 후,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24를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24를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체적비 50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24를 제조하였다. 도포 용액 24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25)
실란 화합물(A)로서 도데실트리메톡시실란 9.1×10-4㏖, 실란 화합물(B)로서 3.6×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66㎖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 1.22㎖을 적하한 후,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25를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25를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체적비 50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25를 제조하였다. 도포 용액 25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26)
실란 화합물(A)로서 도데실트리에톡시시실란 8.9×10-4㏖, 실란 화합물(B)로서 3.5×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71㎖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 1.18㎖을 적하한 후,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26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26을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체적비 50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26을 제조하였다. 도포 용액 26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비교예 1)
실란 화합물(A)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1.5×10-3㏖,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3.0×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72㎖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1.17㎖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27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27을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체적비 200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27을 제조하였다. 도포 용액 27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비교예 2)
실란 화합물(A)로서 n-데실트리메톡시실란 1.8×10-4㏖, 실란 화합물(B)로서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 4.8×10-3㏖을, 이소프로필알코올 2.50㎖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20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촉매(E)로서 0.01M 염산 수용액을 1.39㎖ 적하하고,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하여 시료 용액 28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료 용액 28을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체적비 30배로 희석하여, 도포 용액 28을 제조하였다. 도포 용액 28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마찬가지로 하여, 글라스 기판 상에 피막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1~26, 비교예 1, 2에서 얻어진 글라스 기판 상의 피막에 대해서, 하기의 (1)~(3)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1) 활락 속도의 측정
접촉각 측정 장치(DM700, 교와계면과학(주)제)를 이용하여, 20°로 경사진 글라스 기판의 피막 상에 50㎕의 수적을 적하하고, 초기 적하 위치로부터 수적이 1.5㎝ 활락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피막 표면의 수적의 활락 속도를 산출하였다.
(2) 헤이즈값의 측정
헤이즈 미터(HZ-2, 스가시험기(주)제)를 이용하여, D65광원(평균 자연광)으로, 표면의 헤이즈(흐림도)를 측정하였다.
(3) 외관의 육안 평가
조도 1000럭스의 환경에 있어서, 피막을 광원으로 비춰서, 육안으로 착색이나 이물의 유무(이하, 이들을 통합하여 「더러움」이라고 부른다)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전혀 더러움이 없다
× : 조금이라도 더러움을 확인할 수 있다
(4) 막두께의 측정
실시예 6, 8, 15, 23, 26 및 비교예 1, 2에 대해서는, 얻어진 피막의 막두께를 하기의 요령으로 측정하였다.
측정에는, 리가쿠사제 X선 반사율 측정 장치(Smart Lab)를 이용하였다. X선원으로서 45㎾의 X선 발생 장치, Cu타깃에 의한 CuKα선의 파장 λ=0.15418㎚ 또는 CuKα 1선의 파장 λ=0.15406㎚를 사용하고, 또한 모노크로 미터는, 이용하지 않는다. 설정 조건으로서, 샘플링 폭은 0.01°, 주사(走査) 범위 0.0~2.5°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상기 설정 조건에 의해 측정하여, 반사율 측정값을 얻었다. 얻어진 측정값을, 동사 해석 소프트(Global Fit)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막두께는, 실시예 6이 2.9㎚, 실시예 8이 2.5㎚, 실시예 15가 2.6㎚, 실시예 23이 2.6㎚, 실시예 26이 3.5㎚, 비교예 1이 0.3㎚, 비교예 2가 16.3㎚이었다.
상기 (1)~(3)의 측정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실란 화합물(A) 및 (B)를 합계로 0.015질량% 이상, 0.70질량% 이하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하면, 분무, 뿌려 흘림, 디핑과 같은 간편한 방법으로, 활락성과 헤이즈, 및 외관이 우수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실시예 1~26). 한편, 실란 화합물(A) 및 (B)의 합계 함유량이 적은 비교예 1에서는, 수적의 활락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실란 화합물(A) 및 (B)의 합계 함유량이 많았던 비교예 2에서는, 헤이즈값이 커져, 피막의 투명성이 악화되는 것과 함께, 외관도 불량하였다.

Claims (7)

  1. 하기 식 (1)로 나타나는 실란 화합물(A), 하기 식 (2)로 나타나는 실란 화합물(B) 및 용제(C)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100질량% 중의 상기 실란 화합물(A) 및 (B)의 합계 함유량이 0.015질량% 이상, 0.7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00009

    [식 (1) 중,
    R1은 탄소수 6 이상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당해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CH2-는 -O-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X1은 가수분해성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pct00010

    [식 (2) 중,
    R2는 탄소수 1~5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X2는 가수분해성기를 나타낸다.
    n은 0 또는 1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 화합물(A)에 대한 상기 실란 화합물(B)의 몰비가 0.1 이상, 48 이하인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 화합물(A)에 대한 상기 실란 화합물(B)의 몰비가 0.1 이상, 12 이하인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C)가, 알코올계 용제인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C)보다도 20℃에 있어서의 증기압이 높은 용제(D)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D)의 20℃에 있어서의 증기압이 8.0㎪ 이상인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경화한 막.
KR1020197032582A 2017-06-29 2018-06-21 조성물 KR102583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28033 2017-06-29
JP2017128033 2017-06-29
PCT/JP2018/023643 WO2019004058A1 (ja) 2017-06-29 2018-06-21 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269A true KR20200023269A (ko) 2020-03-04
KR102583115B1 KR102583115B1 (ko) 2023-09-27

Family

ID=6474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582A KR102583115B1 (ko) 2017-06-29 2018-06-21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082534B2 (ko)
KR (1) KR102583115B1 (ko)
CN (1) CN110520492A (ko)
TW (1) TWI784014B (ko)
WO (1) WO20190040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01312A (ja) * 2019-06-19 2021-01-07 住友化学株式会社 混合組成物、膜、及び車両用ガラス
JP2021109966A (ja) * 2020-01-10 2021-08-02 住友化学株式会社 硬化型組成物
JP2024025758A (ja) * 2022-08-10 2024-02-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表面処理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52640A1 (ja) * 2002-12-10 2004-06-24 Nippon Sheet Glass Co., Ltd. 機能性皮膜被覆物品、その製造方法及び機能性皮膜形成用塗工材料
WO2014019809A1 (en) * 2012-08-02 2014-02-06 Unilever N.V. Hydrophobic coating
CN104471003A (zh) * 2012-08-02 2015-03-25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疏水性涂层
WO2016068103A1 (ja) 2014-10-31 2016-05-06 住友化学株式会社 撥水撥油コーティング組成物
WO2016068118A1 (ja) 2014-10-31 2016-05-06 住友化学株式会社 透明皮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7697B2 (ja) * 1990-11-15 2002-08-26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シリカ系被膜形成用塗布液の製造方法、シリカ系被膜形成用塗布液,シリカ系被膜の製造方法,シリカ系被膜およびシリカ系被膜の形成された半導体デバイス
JP2001207162A (ja) 1999-11-04 2001-07-31 Nippon Sheet Glass Co Ltd 撥水撥油防汚処理液、および撥水撥油防汚処理方法
JP4014538B2 (ja) 2003-02-18 2007-11-28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高耐久な滑水性被膜及びその形成方法
JP5641498B2 (ja) * 2009-04-10 2014-12-17 国立大学法人 香川大学 撥水撥油性透明部材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らを用いた物品
US9617449B2 (en) * 2012-06-12 2017-04-11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iloxane hard coating resin
EP2923756B1 (en) * 2012-11-26 2018-05-30 Braskem S.A. Metallocene catalyst supported by hybrid supporting means, process for producing same, polymerization process for producing an ethylene homopolymer or copolymer with broad or bimodal molar mass distribution, use of the supported metallocene catalyst and ethylene polymer with broad or bimodal molar mass distribution
JP6077659B2 (ja) * 2013-08-01 2017-02-08 日本曹達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組成物
CN105111496B (zh) * 2015-07-20 2018-02-06 中国工程物理研究院化工材料研究所 一步法同时制备超疏水高分子材料和超疏水二氧化硅颗粒的方法
TWI591170B (zh) * 2015-08-20 2017-07-11 Shi-Wei Chen Dirt-isolating water repellent with preventive cleaning effect
FR3051690B1 (fr) * 2016-05-25 2020-12-18 Glass Surface Tech Procede de fabrication d'une couche de revetement de la face interne d'un recipient et recipient obtenu avec un tel procede
CN106811114A (zh) * 2016-12-21 2017-06-09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一种水性超疏水/超双疏涂层的制备方法
JP2018109108A (ja) 2016-12-28 2018-07-12 日本ペイント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塗料組成物、塗膜および物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52640A1 (ja) * 2002-12-10 2004-06-24 Nippon Sheet Glass Co., Ltd. 機能性皮膜被覆物品、その製造方法及び機能性皮膜形成用塗工材料
WO2014019809A1 (en) * 2012-08-02 2014-02-06 Unilever N.V. Hydrophobic coating
CN104471003A (zh) * 2012-08-02 2015-03-25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疏水性涂层
WO2016068103A1 (ja) 2014-10-31 2016-05-06 住友化学株式会社 撥水撥油コーティング組成物
WO2016068118A1 (ja) 2014-10-31 2016-05-06 住友化学株式会社 透明皮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115B1 (ko) 2023-09-27
TW201906953A (zh) 2019-02-16
CN110520492A (zh) 2019-11-29
TWI784014B (zh) 2022-11-21
JP2019011463A (ja) 2019-01-24
JP7082534B2 (ja) 2022-06-08
WO2019004058A1 (ja)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1047B (zh) 撥水撥油塗覆組成物
CN104845523B (zh) 一种含多官能度含氟硅氧烷树脂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11168226B2 (en) Composition
JP6914715B2 (ja) 皮膜
US20080113188A1 (en) Hydrophobic organic-inorganic hybrid silane coatings
KR20200023269A (ko) 조성물
WO2017188329A1 (ja) 組成物
JP6715531B2 (ja) 透明皮膜
CN111918926B (zh) 混合组合物
TWI721161B (zh) 矽烷異氰酸酯化合物以及包含該化合物之組成物
KR100463926B1 (ko) 다기능성 실리콘 폴리머 코팅제 조성물
US10988634B2 (en) Mixed composition
JP2019183149A (ja) 混合組成物
CN110461911B (zh) 组合物
JP2019035077A (ja) 組成物
KR20200138780A (ko) 혼합 조성물
KR19990075666A (ko) 불소화합물을 함유하는 아크릴 실리콘 도료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