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888A -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및 위생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및 위생 세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21888A KR20200021888A KR1020190099220A KR20190099220A KR20200021888A KR 20200021888 A KR20200021888 A KR 20200021888A KR 1020190099220 A KR1020190099220 A KR 1020190099220A KR 20190099220 A KR20190099220 A KR 20190099220A KR 20200021888 A KR20200021888 A KR 202000218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pace
- water flow
- deodorizing
- ai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5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9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LSDPWZHWYPCBBB-UHFFFAOYSA-N Methanethiol Chemical compound SC LSDPWZHWYPCBB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GETQZCLCWQTVFV-UHFFFAOYSA-N trimethylamine Chemical compound CN(C)C GETQZCLCWQTVF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RWSOTUBLDIXVET-UHFFFAOYSA-N Dihydrogen sulfide Chemical compound S RWSOTUBLDIXVE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037 hydrogen sulf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86 air fresh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50 fe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864 oxidative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04 per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5—Devices adding disinfecting or deodorising agents to the bowl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과제) 대형화 및 복잡화의 억지와 탈취 성능을 양립할 수 있는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및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는 흡기구로부터 공기를 흡기하는 팬 장치와, 흡기구와 배기구를 연통하여 공기를 유통시키는 탈취 풍로 중에 설치되고, 탈취 풍로 중에서 물을 모으는 것이 가능한 수류부와, 수류부로 급수하는 급수부와, 수류부로부터 배수하는 배수구를 형성하는 배수부와, 수류부에서 부압을 형성하는 부압 형성 장치와, 부압 형성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제어부는 부압 형성 장치를 구동시키고, 이 구동에 의해 형성되는 부압에 의해 수류부로 흘러드는 공기를 급수부로부터 급수되는 물에 압박함으로써 급수부로부터 급수되는 물을 수류부에 모은다.
(해결 수단)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는 흡기구로부터 공기를 흡기하는 팬 장치와, 흡기구와 배기구를 연통하여 공기를 유통시키는 탈취 풍로 중에 설치되고, 탈취 풍로 중에서 물을 모으는 것이 가능한 수류부와, 수류부로 급수하는 급수부와, 수류부로부터 배수하는 배수구를 형성하는 배수부와, 수류부에서 부압을 형성하는 부압 형성 장치와, 부압 형성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제어부는 부압 형성 장치를 구동시키고, 이 구동에 의해 형성되는 부압에 의해 수류부로 흘러드는 공기를 급수부로부터 급수되는 물에 압박함으로써 급수부로부터 급수되는 물을 수류부에 모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및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토일렛 공간에 있어서 탈취를 행하는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로서 여러가지의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토일렛 공간에 있어서의 공기에 포함되는 악취 성분 중에는 수용성이 높은 것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고, 공기를 물에 접촉시킴으로써 공기에 포함되는 악취 성분을 물에 용해시키는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온수 세정 변좌에 설치되고, 흡입된 공기에 물을 분출하는 물 분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물 분출 장치는 물을 저류하는 저수부 및 이 저수부의 저부에 배치되는 진동자를 구비하고, 또는 물 분출 장치는 물을 안개 형상으로 분출하는 노즐이다.
또한, 이 종류의 탈취 장치로서 흡입된 공기를 소취실 내에 모아진 저수 내로 도입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특허문헌 1과 같은 형태에서는 진동자나 노즐이 필요하며, 진동자 자체나 노즐 자체, 또한 진동자나 노즐을 동작시키기 위한 기구 등에 의해 탈취 장치가 대형화 및 복잡화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와 같이 물 속으로 공기를 도입하는 형태에 있어서는 통상 비교적 강한 흡인력을 구비하는 흡인 장치가 필요하며, 흡인 장치의 대형화에 기인해서 탈취 장치가 대형화될 우려가 있다. 상술한 대형화 또는 복잡화되는 구성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 대형화 및 복잡화는 억지되지만 탈취 성능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대형화 및 복잡화의 억지와 탈취 성능을 양립할 수 있는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및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한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는 흡기구를 형성하는 흡기구부와, 배기구를 형성하는 배기구부와, 상기 흡기구로부터 공기를 흡기하는 팬 장치와, 상기 흡기구와 상기 배기구를 연통하여 공기를 유통시키는 탈취 풍로 중에 설치되고, 상기 탈취 풍로 중에서 물을 모으는 것이 가능한 수류부와, 상기 수류부로 급수하는 급수부와, 상기 수류부로부터 배수하는 배수구를 형성하는 배수부와, 상기 수류부에서 부압을 형성하는 부압 형성 장치와, 상기 부압 형성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압 형성 장치를 구동시키고, 이 구동에 의해 형성되는 부압에 의해 상기 수류부에 흘러드는 공기를 상기 급수부로부터 급수되는 물에 압박함으로써 상기 급수부로부터 급수되는 물을 상기 수류부에 모은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공기의 흐름을 따르는 부압의 형성에 의해 수류부에 물을 모으기 때문에 그 물의 수면을 따라 악취 성분을 포함하는 공기가 흐른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면 부압의 형성에 의해 물을 모으는 것이 아니라 미리 탱크에 물을 저장해 두고 저장한 물의 표면에 공기를 접촉시키는 구성보다 수면에 접촉하는 공기의 양을 많게 할 수 있어 악취 성분의 물에의 용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은 대형화 및 복잡화의 억지와 탈취 성능을 양립시킨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부압 형성 장치의 정지에 의해 상기 수류부에 모아진 물을 상기 배수구로부터 배수시킨다.
제 1 양태에 의해 대형화 및 복잡화의 억지와 탈취 성능을 양립시킬 수 있지만, 물을 모으는 데 있어서 물을 모아진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의 경우, 상시 물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물에 기인하는 바이오 필름의 형성이 우려된다. 그 때문에 배수 기구에 의해 배수를 행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배수 기구로서 가동 부재, 예를 들면 전자 밸브를 사용했을 경우, 전자 밸브의 고착에 의해 개방 밸브 불량이 생겨 배수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제 2 발명에 의하면, 배수 기구로서 가동 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간단한 제어와 구성에 의해 수류부로부터 배수할 수 있어 바이오 필름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부압 형성 장치는 상기 팬 장치이다.
제 3 양태에 의하면, 흡기구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는 팬 장치 이외에 부압을 형성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으로부터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제 1~제 3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수류부의 저면은 상기 배수구를 향해 하향 경사를 형성한다.
제 4 양태에 의하면, 수류부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배수할 수 있어 수류부에 남는 물을 적게 할 수 있고, 수류부에 남는 물에 기인하는 바이오 필름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는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류부에 모아진 물의 수면이 상기 탈취 풍로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류부는 상기 수류부에 있어서의 상기 흡기구측에 상기 탈취 풍로의 단면적을 좁히도록 내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다.
제 5 양태에 의하면, 흡기구로부터 흡기된 공기는 돌출부에 의해 탈취 풍로의 단면적이 좁혀진 부분에서 가속된다. 이것에 의해 탈취 풍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수류부의 물의 수면이 흔들리기 쉬워져(물결치기 쉬워져) 공기와 수면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공기와 수면의 접촉 면적의 증대는 공기 중의 수용성이 높은 악취 성분의 물에의 용해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 5 양태에 의하면, 진동자나 노즐을 구비한 물 분출 장치나 비교적 강한 흡인력을 구비하는 흡인 장치가 필요한 물 속으로 공기를 도입하는 구성을 사용하지 않고 탈취 풍로의 단면적을 좁힌다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공기와 수면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수용성이 높은 악취 성분의 물에의 용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대형화 및 복잡화의 억지와 탈취 성능을 양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는 제 5 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류부는 제 1 공간과, 상기 제 1 공간에 연통하여 상기 제 1 공간보다 상기 흡기구측에 위치하는 제 2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류부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 2 공간의 내벽면을 형성한다.
제 6 양태에 의하면, 흡기구로부터 흡기된 공기는 돌출부에 의해 탈취 풍로의 단면적이 좁혀진 부분에서 가속된다. 이것에 의해 탈취 풍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수류부의 물의 수면이 흔들리기 쉬워져(물결치기 쉬워져) 공기와 수면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공기와 수면의 접촉 면적의 증대는 공기 중의 수용성 악취 성분의 물에의 용해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는 제 6 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류부에 모아진 물에 상기 흡기구로부터 유입하여 상기 수류부의 저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에 대향하는 벽 형상의 수면이 형성된다.
제 7 양태에 의하면, 벽 형상의 수면에 대하여 공기가 닿음으로써 수용성이 높은 악취 성분의 물에의 용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는 제 7 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류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탈취 풍로 내를 향해 돌출되는 물 받이벽을 더 갖고, 상기 물 받이벽의 상단은 상기 제 2 공간의 상면보다 상방의 높이에 위치한다.
제 8 양태에 의하면, 수류부에 모아진 물에 상기 벽 형상의 수면을 형성하기 쉽게 한다.
본 발명의 제 9 양태는 제 8 양태에 있어서, 상기 물 받이벽으로부터 상기 제 1 공간을 거쳐 상기 제 2 공간에 걸치는 영역에 물이 모인다.
제 9 양태에 의하면, 공기와 수면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어 공기 중의 수용성이 높은 악취 성분의 물에의 용해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제 10 양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는 제 1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를 구비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며, 보울부를 갖는 변기에 설치되는 위생 세정 장치로서, 상기 배수구는 상기 보울부를 향해 개구되어 상기 보울부로 상기 배수구로부터 배수한다.
제 10 양태에 의하면,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중에서도 특히 위생 세정 장치에 설치되는 탈취 장치는 소형화가 요청되는 바, 예를 들면 보울부에 모아진 물 속으로 배수하는 구성이나, 토일렛 장치의 배수가 흘러드는 배수 배관으로 배수하는 구성으로부터 탈취 장치의 복잡화 및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1 양태는 제 10 양태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상기 흡기구이다.
제 11 양태에 의하면, 배수구와 흡기구가 각각 형성되는 구성보다 탈취 장치의 복잡화 및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대형화 및 복잡화의 억지와 탈취 성능을 양립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형태에 의한 토일렛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일실시형태에 의한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일실시형태에 의한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에 있어서의 물 탈취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물 탈취 유닛으로부터 커버를 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실시형태에 의한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에 있어서의 물 탈취 유닛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일실시형태에 의한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에 있어서의 수류 동작 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실시형태에 의한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에 있어서의 배수 동작 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일실시형태에 의한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일실시형태에 의한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에 있어서의 물 탈취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물 탈취 유닛으로부터 커버를 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실시형태에 의한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에 있어서의 물 탈취 유닛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일실시형태에 의한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에 있어서의 수류 동작 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실시형태에 의한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에 있어서의 배수 동작 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일실시형태에 의한 토일렛 장치(1)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일렛 공간에 설치되는 토일렛 장치(1)는 좌식 대변기(이하, 단지 변기라고 칭함)(100)와, 변기(100) 위에 설치된 위생 세정 장치(200)를 갖는다. 변기(100)는 상방을 향해 개구되어 물이 모아진 보울부(101)를 갖는다. 보울부(101)는 조작부(도시하지 않음)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세정수에 의해 세정되고, 배수 배관(도시하지 않음)으로 세정수를 배수한다. 위생 세정 장치(200)는 변기(100)에 변좌(도시하지 않음)를 개재하여 걸터앉은 사용자의 엉덩이 등의 국부의 세정을 실현하는 국부 세정 기능부 등을 갖는다. 또한, 위생 세정 장치(200)는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이하, 단지 탈취 장치라고 칭함)(10)를 갖는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탈취 장치(10)의 평면도이며, 도 1에 있어서의 위생 세정 장치(200)의 커버(201)를 뗀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국부 세정 기능부에 포함되는 노즐 등을 도시하지 않고 생략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취 장치(10)은 물 탈취 유닛(20)과 제어부(30)를 갖는다.
도 3은 물 탈취 유닛(2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물 탈취 유닛(20)으로부터 커버(22)를 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물 탈취 유닛(20)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 탈취 유닛(20)은 케이스(21)와 커버(22)를 갖는다. 케이스(21)와 커버(22) 사이의 공간에 물 탈취부(40), 팬 장치(60), 및 산화 촉매(70)가 설치되어 있다.
팬 장치(60)의 구동에 의해 케이스(21)와 커버(22) 사이의 공간 내를 공기가 흐른다. 이 공기가 흐르는 풍로(탈취 풍로)(80)의 일단부에 흡기구부가 설치되고, 타단부에 배기구부가 설치되어 있다. 흡기구부는 흡기구(23)를 형성하고, 배기구부는 배기구(24)를 형성한다. 탈취 풍로(80)는 흡기구(23)와 배기구(24)를 연통한다. 탈취 풍로(80)에 있어서 흡기구(23) 및 배기구(24) 이외의 영역은 케이스(21) 및 커버(22)에 의해 덮여 있다. 팬 장치(60)는 시로코 팬이며, 예를 들면 축류 팬이나 크로스 플로우 팬을 사용해도 좋다.
흡기구(23)는 탈취 풍로(80)의 최상류에 위치하고, 배기구(24)는 탈취 풍로(80)의 최하류에 위치한다. 팬 장치(60)는 물 탈취부(40)보다 탈취 풍로(80)에 있어서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산화 촉매(70)는 팬 장치(60)보다 탈취 풍로(80)에 있어서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흡기구(23)와 배기구(24) 사이에 흡기구(23)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물 탈취부(40), 팬 장치(60), 및 산화 촉매(70)가 배치되어 있다.
물 탈취부(40)는 수류부(50)를 갖는다. 수류부(50)는 제 1 공간(51)과 제 2 공간(52)을 갖는다. 제 1 공간(51)과 제 2 공간(52)은 서로 연통하고, 제 2 공간(52)은 제 1 공간(51)보다 흡기구(23)측에 위치한다. 제 2 공간(52)은 흡기구(23)와 제 1 공간(5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물 탈취 유닛(20)이 도 2에 나타내는 변기(100) 위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흡기구(23)는 보울부(101)를 향해 개구된다.
팬 장치(60)의 구동에 의해 흡기구(23)로부터 제 2 공간(52)을 거쳐 제 1 공간(51)으로 공기가 흡기된다. 제 2 공간(52)의 탈취 풍로(80)에 있어서의 하류단의 높이는 제 1 공간(51)의 탈취 풍로(80)에 있어서의 상류단의 높이보다 낮다. 여기서 「높이」는 케이스(21)의 내면과 커버(22)의 내면 사이의 연직방향을 따른 높이를 나타낸다. 제 2 공간(52)은 제 1 공간(51)보다 풍로 단면적이 축소된 스로틀부로서 기능한다. 제 1 공간(51)은 제 2 공간(52)보다 풍로 단면적이 확대된 확대부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21)에 있어서 수류부(50)의 측벽을 형성하는 부분에 급수부(45)가 설치되어 있다. 급수부(45)는 예를 들면, 수류부(50)의 탈취 풍로(80)에 있어서의 최하류단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급수원(수도)으로부터 급수부(45)로 급수되고, 급수부(45)에 형성된 급수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류부(50)를 향해 물이 유입함으로써 급수되어 수류부(50)는 그 물을 모으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급수부(45)가 설치되는 위치는 수류부(50)의 탈취 풍로(80)에 있어서의 최하류단에 가까운 위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수류부(50)로 급수가 가능한 위치이면 좋다.
수류부(50)에 모아진 물은 배수부로부터 배수된다. 배수부는 배수구(25)를 형성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기구(23)가 배수구(25)를 겸하고 있으며, 배수구(25)는 보울부(101)를 향해 개구되고, 수류부(50)에 모아진 물은 배수구(25)로부터 보울부(101)로 배수된다. 수류부(50)의 저면은 배수구(25)를 향해 하향 경사를 형성하고 있다.
수류부(50)에 있어서 팬 장치(60)측의 탈취 풍로(80)에 있어서의 최하류단에 물 받이벽(41)이 설치되어 있다. 물 받이벽(41)은 수류부(50)의 저면으로부터 제 1 공간(51)의 탈취 풍로(80) 내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물 받이벽(41)의 상단은 그 하단보다 탈취 풍로(80)에 있어서의 상류측에 위치한다. 물 받이벽(41)의 상단은 제 2 공간(52)의 상면보다 상방의 높이에 위치하고, 물 받이벽(41)의 상단과 수류부(50)의 저면 사이의 거리(높이)는 제 2 공간(52)의 높이보다 높다. 물 받이벽(41)의 상단과 커버(22) 사이에는 제 1 공간(51)으로부터 팬 장치(60)측으로의 공기의 유통을 허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탈취 장치(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탈취 장치(10)에 있어서의 수류 동작 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탈취 장치(10)에 있어서의 배수 동작 시의 단면도이다.
변기(100)에의 사용자의 착좌가 검지되면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팬 장치(60)가 구동되고, 급수부(45)로부터 수류부(50)로 물이 급수된다. 예를 들면 팬 장치(60)의 구동과, 급수부(45)로부터의 급수는 동시에 개시된다. 또는, 팬 장치(60)의 구동 타이밍과 급수 타이밍에는 타임 래그가 있어도 좋다. 제어부(30)는 팬 장치(60)의 구동 개시 및 정지, 및 급수부(45)로부터의 물의 급수 개시 및 정지를 제어한다. 변기(100)에의 사용자의 착좌의 검지는 변좌나 변기(100), 또는 토일렛 공간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검지된다.
제어부(30)에 의해 구동된 팬 장치(60)는 흡기구(23)로부터 탈취 풍로(80) 내로 공기를 흡기한다. 도 6에 있어서, 탈취 풍로(80) 내의 공기의 흐름을 검정색 굵은 선의 화살표로 나타낸다. 흡기구(23)로부터 흡기된 공기는 수류부(50)의 제 2 공간(52)및 제 1 공간(51)을 흘러서 팬 장치(60)로 빨아들여지고, 또한 팬 장치(60)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산화 촉매(70)를 통과하여 배기구(24)로부터 배기된다.
대기압 하의 공기가 흡기구(23)로부터 탈취 풍로(80) 내로 빨아들여진다. 즉, 팬 장치(60)는 탈취 풍로(80)에 부압을 발생시키는 부압 형성 장치로서 기능한다. 수류부(50)의 저면은 배수구(25)(흡기구(23)도 겸함)를 향해 하향 경사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어부(30)에 의해 수류부(50)로 급수된 물은 수류부(50)의 저면을 배수구(25)를 향해 흐를 수 있다. 또한, 수류부(50)의 저면에는 물의 흐름을 막는 구조도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제어부(30)에 의해 수류부(50)로 급수된 물은 그대로 배수구(25)로부터 배수될 수 있다.
그러나, 팬 장치(60)가 구동된 상태에 있어서는 수류부(50)에 발생한 부압에 의해 물의 배수방향에 거스르는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를 물에 압박하여 급수부(45)로부터 급수된 물을 수류부(50)에 모을 수 있다.
급수부(45)로부터의 물의 급수는 제어부(30)에 의해 소정 시간 후에 정지된다. 예를 들면, 팬 장치(60)의 회전수 제어에 의해 수류부(50)에 발생하는 부압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그 부압의 크기에 따라서는 급수부(45)로부터 급수된 물의 전체량이 수류부(50)에 유지되는 경우도 있고, 급수부(45)로부터 급수된 물의 일부는 배수구(25)로부터 배수되고, 나머지의 소정량의 물이 수류부(50)에 유지되는 경우도 있다. 급수부(45)로부터 급수된 물의 전체량을 수류부(50)에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구성에 의해 보다 많은 물을 수류부(50)에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탈취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부압의 크기에 따라 수류부(50)에 유지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모으고자 하는 양 이상의 물을 급수부(45)로부터 급수하도록 설정함으로써 급수부(45)로부터 급수되는 물의 양이 불균일해도 급수된 물의 일부를 배수구(25)로부터 배수하면서 모으고자 하는 양수를 보다 확실하게 수류부(50)에 유지할 수 있다.
흡기구(23)로부터 흡기되고 악취 성분을 포함한 공기는 수류부(50)에 모아진 물(W)의 수면을 따르도록 흐르고, 수류부(50)에 모아진 물(W)의 수면이 탈취 풍로(80)의 일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소변 냄새의 원인인 암모니아나 트리메틸아민 등의 수용성이 높은 악취 성분이 수류부(50)에 모아진 물(W)에 용해되어 탈취된다.
탈취 풍로(80) 중을 더 하류측으로 흘린 공기 중에 있어서의 물(W)에 용해되지 않는 황화수소나 메틸메르캅탄 등의 대변 냄새의 원인인 악취 성분은 산화 촉매(70)에 의해 탈취된다. 산화 촉매(70)는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을 산화시켜 분해한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물 탈취부(40)에서 수용성이 높은 암모니아나 트리메틸아민을 탈취할 수 있고, 또한 산화 촉매(70)로 암모니아나 트리메틸아민에 비해 물에 용해되기 어려운 황화수소나 메틸메르캅탄을 탈취할 수 있다. 탈취된 공기는 배기구(24)로부터 배기된다.
또한, 흡기구(23)로부터 공기와 함께 빨아들여진 먼지나 종잇조각 등의 분진을 수류부(50)에 모아진 물(W)로 포착할 수 있어 산화 촉매(70)에 분진이 흐르는 것에 의한 산화 촉매(70)의 성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팬 장치(60)도 수류부(50)보다 탈취 풍로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분진이 팬 장치(60)에 도달해버리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통상 탈취 장치의 흡기구에는 분진을 포착하기 위한 메쉬 필터가 설치되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류부(50)에 의해 분진을 포착할 수 있어 메쉬 필터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메쉬 필터를 유지 보수하는 수고를 없앨 수 있다.
또한, 1개의 팬 장치(60)를 사용한 1개의 탈취 풍로(80) 중에 물 탈취부(40)와 산화 촉매(70)를 배치한 간이한 구성에 의해 수용성이 높은 악취 성분과, 그들 악취 성분보다 수용성은 낮지만 산화 분해성이 높은 악취 성분의 양쪽을 효과적으로 탈취할 수 있다. 대형화 및 복잡화의 억지와 탈취 성능을 양립할 수 있다.
수류부(50)는 제 1 공간(51)보다 높이가 낮고, 풍로 단면적이 작은 스로틀부로서 기능하는 제 2 공간(52)을 갖는다. 그 제 2 공간(52)에 의해 흡기구(23)로부터 흡기된 공기는 가속된다. 이것에 의해 탈취 풍로(80)의 일부를 형성하는 수류부(50)의 물(W)의 수면이 흔들리기 쉬워져(물결치기 쉬워져) 공기와 수면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공기와 수면의 접촉 면적의 증대는 공기 중의 수용성이 높은 악취 성분의 물에의 용해 효율을 향상시킨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물 분출 장치에 의한 물의 분무나 저수 내로 물을 도출하는 구성으로부터 대형화 및 복잡화를 억지하면서도 탈취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억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공간(52)(스로틀부)에서 공기가 가속되면 공기가 물(W)을 압박하는 압력이 높아져 물(W)을 수류부(50)에 유지해 두는 효과도 높아진다.
토일렛 공간에는 방향제가 두어지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산화 촉매는 방향제 등에 포함되는 알코올 성분(예를 들면 에탄올, 메탄올)이 부착되면 이취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알코올 성분은 물 탈취부(40)에서 물에 용해시킬 수 있지만, 알코올 성분의 용해된 물이 하류측으로 비산하면 산화 촉매(70)가 알코올 성분의 용해된 물에 의해 피수(被水)될 우려가 있다. 특히 물 탈취 유닛(20)을 위생 세정 장치(200)에 설치하는 경우는 소형화가 요구되기 때문에 물 탈취부(40)와 산화 촉매(70)의 거리가 가까워지기 쉽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류부(50)에 모아진 물(W)이 산화 촉매(70)측으로 비산하는 것을 억제하는 비산 억제 장치로서 물 받이벽(41)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수류부(50)의 물(W)에의 용해로 알코올 성분의 산화 촉매(70)에의 부착을 효과적으로 억지하면서, 또한 물 받이벽(41)에 의해 알코올 성분의 용해된 물이 산화 촉매(70)측으로 비산하는 것을 억제하여 산화 촉매(70)가 알코올 성분의 용해된 물에 피수되는 것을 억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수류부(50)로의 물(W)의 저수만으로 알코올 용해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노즐로부터의 미스트 분무 등에 비해 간이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물 받이벽(41)도 간이한 구성이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대형화 및 복잡화를 억지하면서 알코올 성분을 원인으로 한 산화 촉매(70)에 의한 이취 발생을 억지할 수 있다.
또한, 수류부(50)에 있어서의 제 1 공간(51)은 제 2 공간(52)보다 높이 및 체적이 크고, 풍로 단면적이 확대된 확대부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공간(51)도 상기 비산 억제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제 1 공간(51)에 있어서 풍로 단면적이 확대됨으로써 공기의 풍속을 저감시킬 수 있고, 그것에 의해 물(W)의 하류측으로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다. 팬 장치(60)로의 물의 비산도 억제할 수 있어 팬 장치(60)의 고장이나 성능 저하를 억지할 수 있다.
도 6에는 물 받이벽(41)으로부터 제 1 공간(51)을 거쳐 제 2 공간(52)에 걸치는 영역에 물(W)이 모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물(W)은 적어도 제 1 공간(51)의 일부 영역에 모이면 좋고, 제 2 공간(52)에는 모이지 않아도 좋다. 제 2 공간(52)에도 물(W)을 모았을 경우에는 공기와 수면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것은 공기 중의 수용성이 높은 악취 성분의 물에의 용해 효율을 향상시킨다.
공기에 압박된 물(W)은 물 받이벽(41)에 막혀 탈취 풍로(80)에 있어서의 하류측으로의 후퇴가 저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흡기구(23)로부터 유입하여 제 2 공간(52)의 상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에 대향하는 벽 형상의 수면(Wa)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이 벽 형상의 수면(Wa)을 경계로 수면(Wa)보다 탈취 풍로(80)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수면은 하류측의 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수면(Wa)보다 상류측의 수면과, 수면(Wa)보다 하류측의 수면 사이에 단차가 형성된다. 물(W)의 상면에 추가하여 벽 형상의 수면(Wa)에 대해서도 공기가 닿음으로써 수용성이 높은 악취 성분의 물에의 용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분진이 물(W)에 포착되기 쉬워진다.
물 받이벽(41)은 흡기구(23)측의 제 2 공간(52)의 상면보다 상방의 높이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물 받이벽(41)에 의해 막힌 물(W)의 제 1 공간(51) 내에 있어서의 높이는 제 2 공간(52) 내에 있어서의 높이보다 높아지기 쉽다. 이것은 제 1 공간(51)과 제 2 공간(52)의 경계 부근에 수면의 단차를 형성하기 쉽게 하고, 벽 형상의 수면(Wa)을 형성하기 쉽게 한다.
사용자가 변기(100)로부터 이좌(離座)하고, 이좌에 의거하여 제어부(30)에 의해 팬 장치(60)의 구동이 정지된다. 팬 장치(60)의 정지에 의해 수류부(50)는 대기압으로 되돌아오고, 물(W)이 모인 상태로 유지하고 있던 힘이 해제된다. 그리고, 수류부(50)의 저면은 배수구(25)를 향해 하향 경사져 있기 때문에 수류부(50)에 모여 있던 물(W)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수구(25)로부터 변기(100)의 보울부(101)(도 1, 2에 나타냄)로 배수된다. 변기(100)로부터의 사용자의 이좌는 변좌나 변기(100), 또는 토일렛 공간 내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검지된다.
배수 기구로서 가동 부재, 예를 들면 전자 밸브를 사용했을 경우, 전자 밸브의 고착에 의해 개방 밸브 불량이 생겨 배수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러한 배수 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팬 장치(60)에 의한 부압의 형성을 정지하는 것만으로 배수할 수 있다. 간단한 구성으로 수류부(50)로부터 물을 배수하여 수류부(50)에 남는 물을 적게 할 수 있고, 남은 물에 기인하는 바이오 필름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류부(50)에 모아진 물(W)에 포착된 분진 등도 물(W)과 함께 배수된다.
또한, 부압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공기의 흡배기를 위해 탈취 장치에 원래 필요한 팬 장치라는 최소한의 전기적 구성요소에 의해 물을 모으는 것과 배수를 실현할 수 있고, 부압을 형성하기 위한 펌프 등을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 저감 및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수류부(50) 저면을 하향 경사로 함으로써 수류부(50)로부터 물이 배수되기 쉬워져 수류부(50)에 남는 물을 보다 적게 할 수 있어 바이오 필름의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공기의 흐름을 따르는 부압의 형성에 의해 수류부(50)에 물(W)을 모으고, 그 물(W)의 수면이 탈취 풍로(80)의 일부를 형성하고, 물(W)의 수면을 따라 악취 성분을 포함하는 공기가 흐른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면, 부압의 형성에 의해 물을 모으는 것이 아니라 미리 탱크에 물을 저장해 두고 저장한 물의 표면에 공기를 접촉시키는 구성으로부터 수면에 접촉하는 공기의 양을 많게 할 수 있어 악취 성분의 물에의 용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는 대형화 및 복잡화의 억지와 탈취 성능을 양립시킨다.
산화 촉매(70)는 예를 들면, 카트리지 형태로 구성되고, 위생 세정 장치(200)에 대하여 착탈하여 교환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산화 촉매(70)는 위생 세정 장치(200)의 케이싱(202)의 바깥 가장자리부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산화 촉매(70)를 교환하기 쉽다.
또한, 산화 촉매(70)는 예를 들면, 허니콤 구조를 갖고, 팬 장치(60)의 동작음을 없애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산화 촉매(70)와 팬 장치(60)의 배치 관계는 팬 장치(60)를 산화 촉매(70)보다 케이싱(202)의 바깥 가장자리부측에 배치한 구성에 비해 탈취 시의 소음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탈취 장치(10)를 위생 세정 장치(200)에 설치한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의한 탈취 장치는 대변기 및 소변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토일렛 공간에 설치되면 좋고, 탈취 장치(10)는 예를 들면, 소변기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부압 형성 장치로서 팬 장치를 채용한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팬 장치의 공기 흡인에 의해 부압을 형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부압 형성 장치는 수류부에서 부압을 형성할 수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부압 형성 장치로서 펌프를 채용하여 펌프의 공기 흡인에 의해 부압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흡기구가 배수구를 겸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흡기구(23)가 배수구(25)도 겸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흡기구(23)와 배수구(25)를 각각 다른 구성요소로서 설치해도 좋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배수구는 보울부를 향해 개구되어 있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배수구(25)는 보울부(101)를 향해 개구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보울부(101)에 모아진 물 속으로 개구된 배수구로부터 수류부(50)의 물이 배수되는 구성, 또는 토일렛 장치(1)의 배수가 흘러드는 배수 배관으로 배수구로부터 수류부(50)의 물이 배수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중에서도 특히 위생 세정 장치(200)에 설치되는 탈취 장치는 소형화가 요청되는 바, 배수구(25)를 보울부(101)를 향해 개구한 구성은 보울부(101)에 모아진 물 속으로 배수하는 구성이나, 배수 배관으로 배수하는 구성으로부터 탈취 장치의 복잡화 및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 2 공간(52)의 상측의 면과 하측의 면 사이의 거리(상하방향의 길이)를 제 1 공간(51)의 상측의 면과 하측의 면 사이의 거리(상하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함으로써 제 2 공간(52)의 풍로 단면적을 제 1 공간(51)의 풍로 단면적보다 작게 하여 제 2 공간(52)을 상술한 스로틀부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2 공간(52)의 상측의 면과 제 1 공간(51)의 상측의 면 사이에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제 2 공간(52)의 상하방향의 길이를 제 1 공간(51)의 상하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하고 있다.
또는, 제 2 공간(52)의 하측의 면과 제 1 공간(51)의 하측의 면 사이에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제 2 공간(52)의 상하방향의 길이를 제 1 공간(51)의 상하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는, 제 2 공간(52)의 측면간 거리(횡방향의 길이)를 제 2 공간(51)의 측면간 거리(횡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함으로써 제 2 공간(52)의 풍로 단면적을 제 1 공간(51)의 풍로 단면적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상, 구체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하여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1
토일렛 장치
10
탈취 장치
20 물 탈취 유닛 23 흡기구
24 배기구 25 배수구
30 제어부 40 물 탈취부
41 물 받이벽 45 급수부
50 수류부 51 제 1 공간
52 제 2 공간 60 팬 장치
70 산화 촉매 80 탈취 풍로
100 변기 101 보울부
200 위생 세정 장치
20 물 탈취 유닛 23 흡기구
24 배기구 25 배수구
30 제어부 40 물 탈취부
41 물 받이벽 45 급수부
50 수류부 51 제 1 공간
52 제 2 공간 60 팬 장치
70 산화 촉매 80 탈취 풍로
100 변기 101 보울부
200 위생 세정 장치
Claims (11)
-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로서,
흡기구를 형성하는 흡기구부와,
배기구를 형성하는 배기구부와,
상기 흡기구로부터 공기를 흡기하는 팬 장치와,
상기 흡기구와 상기 배기구를 연통하여 공기를 유통시키는 탈취 풍로 중에 설치되고, 상기 탈취 풍로 중에서 물을 모으는 것이 가능한 수류부와,
상기 수류부로 급수하는 급수부와,
상기 수류부로부터 배수하는 배수구를 형성하는 배수부와,
상기 수류부에서 부압을 형성하는 부압 형성 장치와,
상기 부압 형성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압 형성 장치를 구동시키고, 이 구동에 의해 형성되는 부압에 의해 상기 수류부에 흘러드는 공기를 상기 급수부로부터 급수되는 물에 압박함으로써 상기 급수부로부터 급수되는 물을 상기 수류부에 모으는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 형성 장치의 정지에 의해 상기 수류부에 모아진 물을 상기 배수구로부터 배수시키는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 형성 장치는 상기 팬 장치인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부의 저면은 상기 배수구를 향해 하향 경사를 형성하는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부에 모아진 물의 수면이 상기 탈취 풍로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류부는 상기 수류부에 있어서의 상기 흡기구측에 상기 탈취 풍로의 단면적을 좁히도록 내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부는 제 1 공간과, 상기 제 1 공간에 연통하여 상기 제 1 공간보다 상기 흡기구측에 위치하는 제 2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류부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 2 공간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부에 모아진 물에 상기 흡기구로부터 유입하여 상기 수류부의 저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에 대향하는 벽 형상의 수면이 형성되는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탈취 풍로 내를 향해 돌출되는 물 받이벽을 더 갖고,
상기 물 받이벽의 상단은 상기 제 2 공간의 상면보다 상방의 높이에 위치하는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받이벽으로부터 상기 제 1 공간을 거쳐 상기 제 2 공간에 걸치는 영역에 물이 모이는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 제 1 항에 기재된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를 구비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며, 보울부를 갖는 변기에 설치되는 위생 세정 장치로서, 상기 배수구는 상기 보울부를 향해 개구되고, 상기 보울부로 상기 배수구로부터 배수하는 위생 세정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상기 흡기구인 위생 세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8154842A JP7179256B2 (ja) | 2018-08-21 | 2018-08-21 | トイレ空間用脱臭装置 |
JPJP-P-2018-154841 | 2018-08-21 | ||
JPJP-P-2018-154842 | 2018-08-21 | ||
JP2018154841A JP7245429B2 (ja) | 2018-08-21 | 2018-08-21 | トイレ空間用脱臭装置および衛生洗浄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1888A true KR20200021888A (ko) | 2020-03-02 |
KR102702004B1 KR102702004B1 (ko) | 2024-09-03 |
Family
ID=69584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9220A KR102702004B1 (ko) | 2018-08-21 | 2019-08-14 |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및 위생 세정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1047121B2 (ko) |
KR (1) | KR102702004B1 (ko) |
CN (1) | CN110847315B (ko) |
TW (1) | TWI799632B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117074A (ja) | 1990-08-31 | 1992-04-17 | Nec Ic Microcomput Syst Ltd | 同期分離回路 |
JP2016044397A (ja) * | 2014-08-19 | 2016-04-04 | Toto株式会社 | 衛生洗浄装置 |
JP2016151089A (ja) * | 2015-02-16 | 2016-08-22 | Toto株式会社 | トイレ用脱臭装置及び衛生洗浄装置 |
JP2017223030A (ja) | 2016-06-15 | 2017-12-21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温水洗浄便座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117074U (ja) | 1991-03-29 | 1992-10-20 | 株式会社ノーリツ | 消臭装置 |
DE19720673A1 (de) * | 1997-05-16 | 1998-11-19 | Loesner Witold | Entlüftungsvorrichtung für Spülklosetts mit Spülkasten |
JP2006097311A (ja) * | 2004-09-29 | 2006-04-13 | Sanyo Electric Co Ltd | 水洗トイレ及び水洗トイレの脱臭方法 |
TWM277766U (en) * | 2005-04-15 | 2005-10-11 | Ying-Jie Shie | Negative pressure type toilet de-odorizing device |
CN201209271Y (zh) * | 2007-02-09 | 2009-03-18 | 王�锋 | 便器负压水封排臭装置 |
KR101446577B1 (ko) * | 2013-02-07 | 2014-10-07 | 노지녕 | 공기 처리 장치 |
KR20160142214A (ko) * | 2015-06-02 | 2016-12-12 | 신해란 | 좌변기 기반의 탈취 장치 |
CN106522334A (zh) * | 2016-12-23 | 2017-03-22 | 石芳泽 | 防臭坐便器 |
-
2019
- 2019-08-14 KR KR1020190099220A patent/KR10270200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8-15 CN CN201910753310.3A patent/CN110847315B/zh active Active
- 2019-08-19 TW TW108129430A patent/TWI799632B/zh active
- 2019-08-20 US US16/545,124 patent/US11047121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117074A (ja) | 1990-08-31 | 1992-04-17 | Nec Ic Microcomput Syst Ltd | 同期分離回路 |
JP2016044397A (ja) * | 2014-08-19 | 2016-04-04 | Toto株式会社 | 衛生洗浄装置 |
JP2016151089A (ja) * | 2015-02-16 | 2016-08-22 | Toto株式会社 | トイレ用脱臭装置及び衛生洗浄装置 |
JP2017223030A (ja) | 2016-06-15 | 2017-12-21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温水洗浄便座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799632B (zh) | 2023-04-21 |
CN110847315A (zh) | 2020-02-28 |
TW202012751A (zh) | 2020-04-01 |
KR102702004B1 (ko) | 2024-09-03 |
CN110847315B (zh) | 2022-04-15 |
US20200063421A1 (en) | 2020-02-27 |
US11047121B2 (en) | 2021-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7046307A (ja) | 便器洗浄装置 | |
KR102699370B1 (ko) | 대변기용 탈취 장치 | |
JP7179256B2 (ja) | トイレ空間用脱臭装置 | |
KR20200021888A (ko) |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및 위생 세정 장치 | |
JP7212309B2 (ja) | トイレ空間用脱臭装置 | |
JP5242073B2 (ja) | 便器排水路の吸気装置及び吸気装置の吸気方法 | |
JP7245429B2 (ja) | トイレ空間用脱臭装置および衛生洗浄装置 | |
JP7261391B2 (ja) | トイレ空間用脱臭装置 | |
KR102674785B1 (ko) | 토일렛 공간용 탈취 장치 및 위생 세정 장치 | |
KR20100131897A (ko) | 변기탈취장치 | |
JP7179257B2 (ja) | 大便器用脱臭装置 | |
JP7482388B2 (ja) | トイレ空間用脱臭装置および衛生洗浄装置 | |
JP7368789B2 (ja) | トイレ空間用脱臭装置 | |
JP7395123B2 (ja) | トイレ空間用脱臭装置 | |
JP7330432B2 (ja) | トイレ空間用脱臭装置 | |
JP7462880B2 (ja) | トイレ空間用脱臭装置及び衛生洗浄装置 | |
JP2021127622A (ja) | トイレ空間用脱臭装置 | |
KR200421786Y1 (ko) | 온수세정기의 탈취 흡입구 구조 | |
JP2020063622A (ja) | トイレ空間用脱臭装置 | |
KR200219365Y1 (ko) | 좌변기 악취 제거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