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052A - 브레이크 패드의 자동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패드의 자동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052A
KR20200021052A KR1020197038667A KR20197038667A KR20200021052A KR 20200021052 A KR20200021052 A KR 20200021052A KR 1020197038667 A KR1020197038667 A KR 1020197038667A KR 20197038667 A KR20197038667 A KR 20197038667A KR 20200021052 A KR20200021052 A KR 20200021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ensor
brake pad
brake
automatic cal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8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8975B1 (ko
Inventor
마티아 솔라리
스테파노 세라
파올로 트루코네
라우라 메두리
Original Assignee
아이티티 이탈리아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티티 이탈리아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아이티티 이탈리아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200021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1Procedure or apparatus for checking or keeping in a correct functioning condition of brak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16D66/02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 F16D66/021Apparatus for indicating wear using electrical detection or ind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28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28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testing brak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4Suspension or damp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08Diagnosing performance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9Testing or calibrating during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1Aggregate identification or specification, e.g. using RF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16D2066/005Force, torque, stress or str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16D2066/006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without direct measurement of the quantity monitored, e.g. wear or temperature calculated form force and duration of br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마찰 재료(26) 및 지지 판 또는 후면 판(12)을 포함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의 자동 교정 장치(1)에는, 그의 작동 중에 장치(1)를 안정화하기 위한 지지 베이스(2), 장치(1)를 관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패널(6), 패드 유지 수단, 전단력과 조합된 수직력 또는 토크와 조합된 수직력을 패드에 발생시키고 차량의 실제 제동 중에 패드에 작용하는 전형적인 힘을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기계식 응력 수단, 및 수직력과 전단력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또는 수직력과 토크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패드의 자동 교정 장치
설명
알려진 바와 같이, 고객-공급업체 관계는 정해진 품질의 제품을 그 품질에 맞는 가격으로 공급하는 원리에 기초한다.
이와 관련하여, 품질 제어 기술은 고객의 제품 품질 보장과 같이, 공급업체의 관점에서 근본적인 연관성을 추정한다.
따라서, 현재 품질 관리는, 제조에 있어서 불량 부품의 수를 극도로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든 제조 시스템은 오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의 품질 관리의 경우에, 이러한 작동은 샘플 패드를 인출하고, 미리 정해진 수의 패드가 제조된 후에, 이를 원격 위치에서 분석함으로써 정상적으로 수행된다.
패드가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즉 결함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샘플 패드가 속하는 전체 제품군도 마찬가지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될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제어는 상당한 수의 패드에 대해서는 수행될 수 없고, 제한된 수의 패드에 대해서만 수행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패드 제조 라인에 적용될 수 없다.
또한, 패드의 품질 제어는 패드가 전통적인 유형이 아니라면 현재의 기술로 실행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만, 이는 오히려 센서가 구비되게, 즉 차량의 제동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센서가 장착되게 하였다.
예를 들어, 센서가 장착된 패드의 제작을 위한 제조 라인에서, 표준 패드와 비교한 주요 차이점은 교정(calibration)이라 불리는 완전히 새로운 제작 단계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교정 공정은 센서가 장착된 패드의 기술적 및 기능적 특징을 평가하기 위해서 제조 라인의 종료 시에 또는 그의 중간 단계에 적용되는 테스트이며, 이는 또한, 센서가 장착된 패드가 절대 센서로서 실제로 작용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설계된 실제 교정 공정이다.
본 발명이 자체로 설정한 과제는 종래 기술의 한계를 갖지 않는 브레이크 패드의 자동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과제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 및 마찰 재료와 지지 판 또는 후면 판을 포함한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를 위한 자동 교정 장치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장치는 그의 작동 중에 장치를 안정화하기 위한 고정 지지 베이스,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패널, 패드 유지 수단, 전단력과 조합된 수직력 또는 토크와 조합된 수직력을 상기 패드에 발생시키고 차량의 실제 제동 중에 상기 패드에 작용하는 전형적인 힘을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기계식 응력 수단, 및 상기 수직력과 상기 전단력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또는 상기 수직력과 상기 토크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 수단이 상기 기계식 응력 수단으로 상기 마찰 재료를 잠그기 위한 제1 잠금 수단 및 상기 고정된 베이스에 상기 패드를 잠그기 위한 제2 잠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전통적인 패드 및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 교정될 센서가 장착된 패드의 후면 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변형 구현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기계식 응력 수단이 본 발명에 따른 무한 스크류에 의해 정의되는, 장치의 변형 구현예의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도 4의 변형 구현예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변형 구현예의 상세한 측면도이다.
도 6a는 접촉 장치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변형 구현예의 제2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나사식 바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나사식 바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0은 안전 이유로 기계를 둘러싸는 케이지 및 작동 중에 케이지를 폐쇄하는 데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이중 접이식 도어를 갖춘 완전한 배치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추가 구현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도면을 구체적으로 참조하면, 참조 부호 1로 전체적으로 나타낸 자동 교정 장치는 그의 작동 중에 장치를 안정화하기 위한 지지 베이스(2)를 포함한다.
베이스(2)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이고 높은 수준의 압력 및 인가된 힘으로 인해,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패드의 교정 및 압축 중에 전체 장치에 안정성과 지지력을 제공한다.
이후 패드는 금속 지지 요소, 금속 지지 요소에 의해 지지된 마찰 재료 블록, 및 금속 지지 요소에 의해 지지되고 마찰 재료 블록과 금속 지지 요소 사이에 개재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유형의 센서(80)를 갖춘 패드를 의미할 것이다.
센서는 차량에서의 사용 중에, 휠에 구속된 디스크에 의해 정의되는, 마찰 재료 블록과 제동될 요소 사이에서 사용 동안 교환되는 힘을 검출할 수 있다.
센서가 장착된 패드는 예를 들어, 브레이크 패드의 비정상적인 마모와 같은 많은 문제점의 발생을 검출 및/또는 예측할 가능성을 초래하는데, 이는 브레이크가 활성화되지 않을 때에도, 예를 들어 제동 중에 바람직하지 않은 소음, 진동 및 스퀼링(squealing)보다는 브레이크 캘리퍼(calliper)의 불량한 조정 때문에 브레이크 패드가 디스크를 "터치(touch)"하기 때문이다.
자동 교정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패널(6), 패드 유지 수단, 전단력과 조합된 수직력 또는 토크와 조합된 수직력을 패드에 발생시키고 차량의 실제 제동 중에 상기 패드에 작용하는 전형적인 힘을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기계식 응력 수단, 및 수직력과 전단력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또는 수직력과 토크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한다.
장치(1)에는 교정 작동 중의 긴급 이유로 교정 테스트를 차단하기 위한 모든 푸시 버튼을 포함하는, 장치의 관리를 위한 제어 패널(6)이 있다.
패널은 수행될 교정 테스트를 시작 및 선택하기 위한 서비스 푸시 버튼, 및 테스트 진행과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인가된 압력 및/또는 힘 및/또는 토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스크린(5)을 더 가져야 한다.
패널(6)은 또한, 장치에 의해 측정되고 교정 절차 중에 패드의 유형과 관련된 값뿐만 아니라, 평균 최대, 최소 및 표준 편차와 같은 통계 값, 그리고 마지막으로, 교정 매개변수 및 테스트가 통과되었는지 또는 매개변수의 미리 정의된 초기 값을 따르는지의 여부에 관한 표시를 진술하는 교정 테스트 보고서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패널(6)은 패드를 측정하고 이를 장치(1)에 설치된 센서의 측정치와 동기화하기 위해서 ECU의 제어를 고려하고 패드의 것들과 비교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되어야 한다.
이제, 도 1 내지 도 10에 예시된 구현예가 참조될 것이다.
제1의 기술적 해결책에서, 장치(1)는 압력 램프(pressure ramp)를 발생시키고 약 5 bar 내지 150 bar에 포함된 압력에서 작동하는, 교정될 패드(4)에 최적 압력을 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체 역학적 압축기(3)를 포함한다.
장치(1)는 또한, 지지 베이스(2)와 연관되고 적어도 기계식 응력 수단을 기계적으로 지지하는 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칼럼(7)을 가지며, 이는 이러한 경우에, 패드(4)에 미리 설정된 압력을 발생시키고 차량의 브레이크 캘리퍼를 실제 제동할 때와 같이 수직력을 초과하는 전단력을 얻기 위해서 패드(4)에 필요한 압력을 전달하는 데 적합한 제1 유체 역학적 피스톤(15)에 의해 상기 제1의 기술적 해결책에서 정의되는, 도면 부호 8로 총칭되는 압력 수단이다.
아래에서 추가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의 바람직한 기술적 해결책에서, 압력 수단(8)은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50)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수직력에 더하여 전단력을 패드(4)에 가하기 위해서 압력 수단(8)을 조정하기 위한, 도면 부호 9로 총칭되는 조정 수단이 있다.
패드 유지 수단(4)은 차량의 제동 중에 패드에 작용하는 전형적인 힘을 재현할 목적으로, 압력 수단(8)으로 패드(4)의 마찰 재료(26)를 잠그기 위한 제1 잠금 수단(10) 및 패드(4)를 베이스(2)에 다시 잠그기 위한 제2 잠금 수단(11)을 포함한다.
특히, 제1 잠금 수단(10)은 패드의 교정 중에 전단력을 가능한 한 균일한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압력 수단(8)에 의해 압력이 그에 가해지는 동안 이를 최적으로 잠그도록 패드(4)의 마찰 재료(26)의 형태를 재현하는 제1 프로파일 에지(32)를 포함한다.
제2 잠금 수단(11)은 베이스(2)에 대한 그의 이동을 피하면서 패드의 교정 중에 전단력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압력이 그에 가해지는 동안 이를 잠그도록 패드(4)의 금속 판(12) 또는 후면 판의 형태를 재현하는 제2 프로파일 에지(40)를 포함한다.
패드의 금속 판(12) 또는 후면 판은, 예를 들어 커넥터(13)를 통한 교정 장치(1)와 패드(4)의 전기 접촉을 접촉 장치에 의해 유지하기 위한 핀(13a)을 편리하게 가지며, 접촉 장치는 수동으로 또는 자동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패드가 교정 테스트의 시작 시 교정 장치 내에 위치될 때 핀과 커넥터 사이에서 매우 정밀한 방식으로 접촉할 수 있게 하는 레버를 가져야 한다.
도 6a는 예로서, 부정확한 접촉 중에 접점을 구부림으로써 접점을 손상시키기 않게 하기 위해 접점의 위치 결정이 최적이지 않은 경우에 커넥터(13)의 접점을 후퇴시킬 수 있는 충격 흡수 장치(100)를 갖춘 기구뿐만 아니라, 충격 흡수 장치(100)를 갖춘 기구를 지지하기 위해 커넥팅 로드(103)의 시스템에 의해서 판(104)에 연결된 특수 전동식 병진운동 샤프트(102)를 단지 예로서 포함하는 자동 접촉을 위한 기계화 시스템(101)을 포함하는 접촉 장치를 도시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장치(1)는 수직력 및 전단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센서(23) 및 힘 센서(24)를 더 포함하며; 이들 센서는 실제로 검출되어 압력 수단(8)을 통해 패드(4)로 전달되는 값에 대한 그들의 측정에 대한 신뢰성을 최대화하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1의 기술적 해결책에서, 압력 수단(8)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칼럼(7)에 의해, 유리하게는 지지되는 적어도 제1 유체 역학적 피스톤(15)을 포함하고 조정 수단(9)을 통해 경사질 수 있다.
칼럼(7)은 또한, 오일 또는 공기를 사용할 수 있는, 유체 역학적 시스템을 위한 기계적 지지를 제1 피스톤 및 압축기(3)에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해결책에서 68.2도의 최적 값(최적 값은 명백하게 브레이크 패드의 공칭 마찰 계수에 의존함)을 갖는 50° 내지 80°의 범위에서 제1 피스톤의 입사 각도를 변형하는 데 사용되는 조정 수단(9)은 칼럼(7) 자체에 의해 정의된다.
이러한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서, 칼럼(7)은 베이스(2)에 대해여 후방으로 경사지거나 상향 이동될 수 있어야 한다.
일단 제1 피스톤이 원하는 각도로 정확하게 위치되면, 장치(1)는 교정 테스트 중에 전체 안전을 위해 이러한 각도를 영구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예시되지 않은 잠금 장치를 가진다.
장치는 또한, 교정될 패드로 교정된 패드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패드의 교정 전후에 제1 피스톤(15)을 들어올리기 위한 기구를 가진다.
특히, 칼럼(7)의 길이 방향 운동을 위한 리프트 기구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20)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가이드(20)에는 선택된 각도를 영구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너트 또는 다른 잠금 시스템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잠금 수단(10)은 제1 피스톤의 축과 패드(4)가 위치되는 베이스(2)의 평면 사이에 형성된 각도에 대한 교정 중에 정밀한 판독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19)를 제1 피스톤(15)의 핀(17)의 수준에 포함하며, 교정의 긍정적인 결과에 필수적인 상기 매개변수에 대한 양호한 제어를 갖는 방식으로 위치된다는 것이 명시되어야 한다.
변형 구현예에서, 압력 수단(8)은 그의 운동에 영향을 미치도록 제1 피스톤에 위치된, 예시되지 않은 무한 스크류를 활성화시키는 전기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는 압력의 인가 중에 전체 장치(1)의 임의의 이동 또는 추락을 피하기 위해서 높은 기계적 강도를 보장하는 것과 같은 질량과 형상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명시된다.
또한, 베이스(2)는 변형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된다.
베이스(2)의 상부 부분은 제2 잠금 수단(11)을 장착하고 제거하기 위한 나사식 구멍을 더 가져야 하며, 이는 패드(4)의 크기가 변경될 때 필요한 사용 유연성을 제공하도록 매번 교체되어야 한다.
구조적 및 기계적 안정성을 보장하고 집중적인 교정 사이클 후 마모를 방지하도록 모든 기계적 구성요소가 선택되어야 한다.
이는 장치(1)의 구성요소의 구조적 치수화 및 높은 수준의 기계적 강도를 갖춘 저항성 스테인리스 스틸 재료의 선택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베이스(2)는 또한, 칼럼(7)을 적절히 지지하기 위해 지지 직립체(21)를 가져야 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칼럼(7)은 가이드(20)에 연결되어서 베이스(2)에 대한 그의 길이방향 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모든 데이터 전송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뿐만 아니라, 제1 피스톤에 필요한 추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오일 또는 압축 가스를 위한 모든 튜브가 베이스의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칼럼(7)은, 예를 들어 교정 공정 중에 입사 각도의 정확한 설정 및 패드(4)의 로딩 및 언로딩을 배제함으로써, 힘이 전달되는 방식을 변경하거나 심지어 전체 장치를 불능화할 수 있는 변형을 겪지 않는 방식으로 치수가 정해져야 한다.
압력 센서(23)는 안전 밸브(22)와 협력하는 데 적합한 유체 역학적 회로 또는 가스 회로의 유체 역학적 압력의 측정을 허용하도록 칼럼(7) 내에 위치된다.
장치에서는 유체 역학적 시스템으로부터 오일 또는 가스의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한 밸브(22a)가 또한 있다.
유리하게는,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피스톤(15)은 패드(4)에 압력을 가하고 연결 허브(25)에 의해서 칼럼(7)에 연결되고 유체 역학적 회로에 연결된다.
제1 피스톤은 용이하게 장착 가능하고 제거 가능하지만, 동시에 견고하고 신뢰성 있게 하여 패드(4)에 대한 정확한 위치 결정을 보장하고 패드(4)의 마찰 재료(26)에 전단력의 최적의 전달 및 패드에 가능한 한 균일한 압력 인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제1 잠금 수단(10)에서 끝나는 것과 같은 길이를 가져야 한다.
임의의 교정 사이클에 앞서, 제1 피스톤(15)은 측면 방향으로 또는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그들이 장치(1)에 위치되거나 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패드(4)에 대한 용이한 접근을 보장해야 한다.
교정 절차의 시작 전에 정확한 위치에서 패드(4)를 제2 잠금 수단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오일 또는 가스의 압력을 0으로 설정하고 교정될 새로운 패드(4)의 정확한 위치 결정 후에 오일 또는 가스의 압력을 회복하기 위한 자동 장치(27)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제1 피스톤(15)에 압력을 공급하는 유체 역학적 회로의 압력은 유체 역학적 회로에 연결된 전용 센서(28)에 의해서 패드의 교정 중에 체크되고 측정되어야 한다.
피스톤에 그리고 결과적으로 패드(4)에 실제로 전달되는 힘은, 예를 들어 핀(17)에 또는 제1 피스톤(15)의 힌지(25)에 또는 베이스(2)에 또는 그러한 측정을 위한 임의의 다른 등가 위치에 또한 편리하게 위치되는 로드 셀(29)에 의해서 패드(4)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및 접선 방향 둘 모두로 정밀하게 측정된다.
모든 센서는 교정 중에 힘의 일정하고 연속적인 측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제어 패널(6)에 연결되어야 한다.
제1 피스톤을 밀어내는 오일의 유체 역학적 압력은 5 bar 내지 160 bar에 포함된 값을 가져야 하며, 25 bar 미만의 감소된 압력 값에 대해 적어도 5% 및 25 bar 초과의 값에 대해 2% 내지 3%의 정밀도를 가능하게 한다.
상세하게, 마찰 재료(26)를 잠그기 위한 제1 잠금 수단(10)은 패드(4)의 표면 프로파일에 적응되도록 약간 경사질 수 있어야 하며 이는 제1의 기술적 해결책에서 핀(17)에 의해서 달성되거나 볼 수 있듯이, 바람직한 기술적 해결책에서 제1 및 제2 베어링(54, 55)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제1 잠금 수단(10)은 교정될 패드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방식으로 또는 손상 또는 마모의 경우에, 제1 피스톤(15)에 대해 이를 잠그거나 해제하기 위한 커플링 기구(30)를 가진다.
제1 잠금 수단은 패드(4)의 마찰 재료(26)의 프로파일을 정밀하게 재현하는 것과 같은 형상 및 에지(32)를 가져야 하는 제1 템플릿(31)에 의해 정의된다.
에지(32)의 높이는 패드 형상과 모델에 따라서 약 2 mm이어야 한다.
마찰 재료(26)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에지(32)의 가장자리를 약간 둥글게 하고 아마도 연질 재료를 사용하여 패드의 마찰 재료의 대응 에지에 대한 기계적 응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1 템플릿(31)은 이러한 경우에, 에지(32)를 가지지 않고 제1 피스톤에 통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패드의 교정 중에 마찰 재료(26)에 동일한 마찰 계수를 갖도록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차량 브레이크 디스크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패드(4)의 제2 잠금 수단(11)은 그의 후면 판(12)에 작용하고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질 수 있는 하우징 판(40)을 포함하며, 하우징 판은 그에 작용하는 엄청난 힘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작동 안정성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그의 고정에 적합한 스크류 및 볼트에 의해 베이스(2)에 직접 연결된다.
하우징 판(40)은 패드(4)의 후면 판 또는 금속 판(12)의 프로파일을 정확하게 재현하는 에지(42)를 갖는 제2 템플릿(41)을 가진다.
하우징 판(40)은 또한, 전술한 핀(13a)을 갖는 연결 시스템을 가져서 그의 교정 중에 패드(4)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허용하고 교정 절차 중에 필요한 데이터의 획득을 위해 전자 시스템에 의해 요구되는 신호를 송신한다.
핀(13a)은 하우징 판(40)에 제거 가능하게 연관되어야 하고 교정될 패드의 특정 모델에 따라서 매번 변경될 수 있는, 패드(4)의 커넥터(13)의 위치에 합치되는 방식으로 위치되어야 한다.
패드(4)의 후면 판의 하우징 판(40)의 출구에는 브레이크 패드에 통합된 모든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는 데 필요한 와이어의 수를 갖는, 예시되지 않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이 있으며, 상기 와이어는 전형적으로(그러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님) 1 미터 미만인 표준 길이를 가지며 패드의 신호를 측정 및 수신하도록 특별히 구축되는, 전자 제어 유닛(ECU)의 핀(13a)과 호환되는 케이블에 통합된다.
바람직한 변형 구현예에서, 압력 수단(8)은 언급한 바와 같이, 패드(4)에 수직력만을 가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제1 피스톤(15), 및 그에 수직력 또는 전단력을 가하기 위한 적어도 제2 피스톤(50) 둘 모두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제1 및 제2 피스톤(15 및 50)은 베이스(2)에서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해결책에서, 베이스(2)는 패드(4)에 수직 압력을 제공하도록 수직 위치에서 제1 피스톤(15)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고정된 제3 크로스바(51)를 유지하는 두 개의 주요 칼럼(7)을 지지한다.
크로스바(51)는 전단력이 제2 피스톤(50)에 의해서 베이스(2)의 평면에 평행하게, 그리고 결과적으로 마찰 재료(26)의 표면에 평행하게 제공될 때, 경사지기보다는 오리려 고정된다.
특히, 제2 피스톤(50)은 그의 한 측면 상의 패드(4)의 표면에 힘을 직접적으로 전달하도록, 특히 마찰 재료(26)에 대해 측면 방향으로 전달하도록 배치된다.
제1 및 제2 피스톤(15, 50)은 각각, 제1 및 제2 전기 모터(52 및 53)에 의해 구동된다.
제1 및 제2 전기 모터는 제1 및 제2 피스톤을 통해 패드(4)에 가해질 적합한 힘을 공급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바람직한 기술적 해결책은 이전의 것과 비교하여 여러 장점을 보장한다.
첫째, 2개의 수직력 및 수평력이 별도로 가해질 수 있어서, 패드에서 압축률 테스트만을 수행할 수 있고, 이는 이 경우에 센서가 장착된 유형이 아닐 수 있고, 오히려 그에 가해지는 힘의 값을 전달할 수 있는 센서가 없는 전통적인 브레이크 패드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단력을 가하지 않고 그의 표면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패드에만 압축력을 가할 수 있고, 패드에 가해진 압력의 함수로서 두께 편차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은 센서가 장착된 패드 및 전통적인 패드 둘 모두를 제작하는 제조 및 공정으로 특징으로 하는 데 매우 중요하고 제조의 사실상 100%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매개변수를 제공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제2 장점은 주어진 압력에서 상이한 전단력을 전달하기 위한 유연성의 증가이며, 이는 공식
Figure pct00001
에 의해 정의된 최적의 조건이 이 경우에 센서가 장착된 패드에 가해진 2개의 수직력과 수평력 사이의 비율을 설정함으로써 항상 복구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특히, 제1 및 제2 피스톤은 패드와 패드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외부 전자 회로 사이의 전기 연결을 허용하기 위해서 패드 및 핀(13a) 둘 모두를 수용하는 제2 요소에 의해 고정되어 보유된 패드에 직접 작용하는 제1 요소에 수직력과 수평력을 가한다.
제1 피스톤(15)으로부터 그리고 제2 피스톤(50)으로부터 힘을 받기 위한 제1 테이크-업 요소(56)는 패드(4)의 마찰 재료의 노출된 표면에 평탄한 클램핑 표면을 가진다.
제1 및 제2 피스톤(15, 50)은 브레이크 캘리퍼에서 디스크와 패드 사이의 러빙(rubbing) 공정을 실제로 표현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요소(56 및 57)에 최소 틸팅 기능을 제공하여 이들과 제1 및 제2 피스톤 사이의 마찰력을 제거하고 패드와 스틸 판 사이의 마찰력의 기여만을 유지하는 제1 및 제2 베어링(54 및 55)을 베이스(2)에 근접하게 가진다.
제1 및 제2 베어링(54 및 55)은 패드에 가해지는 압력에 관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로드 셀(58 및 59)을 이들 내측에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리하게는, 패드(4)의 표면, 특히 마찰 재료(26)의 측면에, 패드와 제1 요소(56)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인해 안정성이 얻어진다.
그러한 경우에, 기계적 실패를 피하기 위해서, 조건
Figure pct00002
이 만족되어야 하며, 여기서
Figure pct00003
은 정적 마찰 계수이다.
후면 판(12)의 측면에서, 제2 요소(57)가 사용될 것이며; 이는 후면 판(12)의 프로파일을 재현하기 위한 오목부(61)를 갖는 베이스(60)를 가지며, 이는 4 mm 내지 6 mm 범위의 두께 및 패드 모델에 따라 변화하는 형상을 가진다.
오목부(61)는 적어도 3 mm 내지 4 mm의 두께를 가져서 교정 작동 중에 패드(4)에 측면 보유를 가능하게 하고, 그의 모든 측면 운동을 제한한다.
제2 요소(57)는 패드를 전기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3)를 더 가지며, 패드는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경우에 장치(1)의 전기 부품에 센서가 장착된다.
제2 요소(57)는 또한, 패드 변경 다음에 또는 단순히 마모로 인한 그의 간단한 제거를 허용하는 2개의 핸들(62)을 가진다.
제2 요소는 목적에 적합한 기계적 부착 지점에 의해서 베이스(2)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며 예시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역시, 압력 수단은 패드에 압력을 가하는 데 적합한 무한 스크류(76)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변형 구현예에서, 제1 피스톤은 베이스(2)로부터 그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나사식 바(71) 및 그의 표면에 완전히 평행한 패드에 작용하는 그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 작동식 압착기(72)를 가진다는 것이 또한 명시되어야 한다.
스프링 작동식 압착기의 수직성은 정렬 캠(73)에 의해 적합하게 조정된다.
전술한 바에 비추어, 교정 절차 자체를 설정할 때 정의된 교정 프로토콜에 따라서 교정 절차를 정확히 진행할 수 있는 것이 제어 패널(6)에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제어 패널은 전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제어가 교정의 시작 및 중지의 관리에 대해, 유압 또는 전기 시스템의 로딩과 언로딩 및 일반적인 유지보수 작동의 허용에 대해, 교정 시스템에서 교정될 패드의 로딩과 제거의 관리에 대해, 절차와 테스트 프로토콜에 따른 힘과 압력 수준을 제어하고 유지하는 것에 대해, 교정 절차 중의 센서의 데이터와 중앙 또는 로컬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에 대해, 교정 시스템의 데이터 또는 교정 설정치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것에 대해, 영구적인 데이터 매트릭스 및 메모장, 따라서 패드의 구조적 및 기능적 특징의 추적을 허용하도록 수신된 값을 인쇄하기 위해 교정 후 브레이크 패드에 인쇄하는 단계의 관리에 대해 긍정적이지 않으면, 임의의 교정 진행을 차단함으로써 교정을 수행하는 작업자와 기술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패드의 교정에 대한 제어는 압력에 관한 한, 유체 역학적 회로에서 또는 피스톤을 구동하는 전기 모터에 의해서, 그리고 인가된 힘에 관한 한, 로드셀에 의해 측정된 수직력을 사용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교정 중에 검출된 압력 값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최소 4 및 최대 10일 것이다.
압력 값은, 바람직하게는 bar 단위로 표현된 다음 값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해야 한다:
Figure pct00004
여기서, i는 특정 측정 지점의 지수이고, N은 교정 중에 측정될 선택된 전체 지점의 수이다.
이러한 경우에, 5 bar 내지 150 bar의 일정한 특정 간격이 추정된다.
제어 패널은 전체 장치(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전력 입력, 바람직하게는 110/220 VAC를 가져야 한다.
누설 전류 및 EMC 방출이나 면역 및 정전기 방전(ESD)의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 전기 절연과 접지가 적합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특히, 교정 중에 데이터 측정에서 임의의 방해를 제거하기 위해서 베이스를 향한 또는 패드를 향한 전류의 임의의 누설이 피해져야 한다.
제어 패널은 또한, 패드의 교정 데이터 또는 데이터매트릭스 중 어느 하나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구성될 PC와 같은 외부 유닛과의 인터페이스 연결 가능성을 가져야 하며, 또한 교정 단계를 관리하고 패드 센서의 데이터를 얻기 위한 다양한 전자 구성요소를 조정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10, 10 V 유형의 트리거를 제어해야 한다.
교정 세션 중에, 패드를 압축하는 데 사용된 압력의 각각의 값은 전형적으로 1초 내지 10초에 포함되는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며, 이는 교정 설정 단계 중에 제어 패널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패널은 또한, 장치(1)에 설치된 압력 및 힘 센서를 통해 관찰된 값의 실시간 판독과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LED와 같은 표시기를 가져야 한다.
이는 설정 단계 중에 고정된 미리 결정된 값에 대해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제어 및 알람이 활성화되는 것을 항상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장치(1) 덕분에, 교정 절차는 압력 및 전단력의 관점에서의 실제 조건에 그리고 차량의 제동 중에 브레이크 캘리퍼의 조건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특히, 압력과 상관된 수직력과 마찰력과 상관된 전단력 사이의 비율은 차량의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 사이의 실제 마찰 계수에 가능한 가까워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마찰 계수의 값은 설계 단계에서 공지되어 있으며 교정 절차의 시작 시 조정된다.
피스톤의 입사 각도는 조정되고 따라서 그의 경사 각도는 다음의 공식에 따라서 원하는 값에 도달할 때까지 변경된다:
Figure pct00005
여기서,
Figure pct00006
은 접선력이고,
Figure pct00007
은 수직력이고,
Figure pct00008
은 피스톤의 축과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 재료의 표면의 평면 사이의 각도이다.
이러한 공식은 그의 탄성 상수가 압력에 의존한다는 사실 덕분에 압력 하에서 마찰 재료의 비선형 거동을 고려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결과적으로, 힘의 비율의 관점에서 마찰 계수에 가까운 조건에 도달하는 데 실패하면 힘이 차량의 실제 제동 조건과 상이한 방식으로 전달될 것이기 때문에, 패드의 부정확한 교정을 야기할 것이다.
패드(4)의 정상적인 교정에서, 교정 매개변수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닌 적합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설정된 후에, 장치(1)는 제1 피스톤(15)의 운동을 용이하게 하고 제2 잠금 수단(11)에서 패드의 정확한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패드 로딩/언로딩 모드로 설정될 것이다.
제1 피스톤은 그의 에지(32)가 마찰 재료의 에지에 완전히 부착되는 방식으로 마찰 재료(26)를 잠그도록 제1 잠금 수단(10)에 의해 재위치된다.
이어서, 장치(1)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제1 피스톤을 잠그기 위해서 유체 역학적 회로에 압력을 복원함으로써 교정 모드로 다시 설정된다.
안전 케이지(70)는 다시 폐쇄되어 패드의 교정이 시작될 수 있다.
테스트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설정되고 정의된 지점의 수에 따라서 자동으로 그리고 순서대로 수행된다.
그러한 정의가 없는 경우에, 교정은 디폴트 설정에 따라서 수행, 즉 5, 53.3, 101.6 및 150 bar에서 4회 측정을 수행하여 다음 값으로의 압력 증가 및 그의 안정화에 대해 5초 간격으로 4초 동안 유지될 것이다.
교정 종료 시, 이전에 명시된 것에 따라서, 장치(1)는 자동으로 정지하게 되어서 구성 소프트웨어를 통해 미리 정의된 파일 내의 모든 데이터를 저장한다.
패드의 교정 중에 센서의 값은 전용 LED 표시기를 통해 제어 패널(5)로부터 또한 실시간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
교정의 종료 시, 작업자는 브레이크 패드 언로딩 모드에서 기계를 설정하고, 블록의 잠금 기구를 해제하여 안전 케이지(70)를 개방하고 제1 피스톤을 이동시켜 패드에 접근시키고 이를 제거해야 한다.
전체 절차가 반복되어 새로운 패드를 교정할 것이다.
서로 수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피스톤을 갖는 장치의 경우에, 작동은 제1 피스톤만을 갖는 장치의 것과 동일한데, 이는 그 결과가 변경되지 않는 동안에, 힘의 적용 방법만이 변경되기 때문이다.
기계의 다른 중요한 추가 특징은 100% 제조된 패드에서 압축률의 인-라인 측정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높은 품질 표준을 보장하는 점이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도 6의 피스톤(15)에 적용되고, 하나는 푸셔에 그리고 하나는 교정될 패드가 놓이는 베이스에 있는 두 개의 고정 지점 사이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추가 모듈을 포함하는 덕분에 가능하다. 이러한 측정은 레이저 측정 시스템에 의해서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임의의 경우에 약 1 μ 이내의 정밀도를 보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수직력만이 가해지면, 패드 자체의 압축률의 값을 제공하는, 가해진 압력과 마찰 재료 및/또는 브레이크 패드의 하부 층의 결과적인 압축력 둘 모두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11에 예시된 본 발명의 구현예가 최종적으로 참조되어야 한다.
이전의 경우에, 동일한 수직 또는 압력 하중을 재현하기 위해서 패드에 요구되는 힘 및 브레이크 장치가 겪는 동일한 전단 하중은 단일 피스톤 또는 2개의 피스톤에 의해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에, 응력 수단은 패드(103)에 토크를 가하는 전동식 디스크(105) 및 패드(103)에 수직력을 가하는 수직 피스톤(101)을 포함한다.
패드 유지 수단(10)은 수직 피스톤(101)의 단자 가압 판(104)을 포함한다.
가압 판(104)은 패드(103)를 지지하고 디스크(105)에 대해 이를 가압한다.
더 정확하게, 작동 중에 장치를 안정화하기 위한 지지 베이스는 수직 피스톤(101)을 지지하는 직립체(100)를 갖춘 구조물을 포함한다.
수직 피스톤(101)은 피스톤(101)이 패드(103)에 가하는 수직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모터(102), 바람직하게는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가압 판(104)은 가능한 한 균일한 압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불완전한 평탄도의 경우에 미세 조정을 위한 베어링을 가진다.
피스톤(101)은 현실에서 발생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105)에 대하여 패드를 가압한다.
디스크(105)는 동일한 브레이크 장치 및 교정 중인 동일한 브레이크 패드를 갖춘 차량에 사용되는 실제 브레이크 디스크일 수 있거나, 브레이크 디스크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진 디스크일 수 있다.
교정 장치에서 크기 및 재료의 관점에서 또한 상이할 수 있는 디스크(105)를 설치하기 위해서 공구(106)가 사용된다.
디스크(105) 및 패드(103)의 위치는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에서 제공된 동일한 반경을 갖춘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와 동일한 조건을 시뮬레이션하는 데 적합한 방식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이어서, 공구(106)가 교정 장치에 통합되어서 디스크(105)를 지지하고 패드(103)로 비틀림력의 전달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중에 패드가 겪는 제동 토크를 시뮬레이션하게 한다.
브레이크 장치가 겪는 조건을 복제하는 데 요구되는 고 압력 간격으로 인한 강력한 수직력(1 bar 내지 180 bar)으로 인해서, 공구(106)는 기계적으로 견고하며 차량에서 실제로 발생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105)의 축을 중심으로 한 패드(103)에서의 매우 작은 비틀림 운동을 허용한다.
이러한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기계적 견고성을 보장하고 동시에 디스크(105)의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을 보장하기 위해서 교정 장치의 베이스에 견고하게 고정된 베어링이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또한, 교정 장치는 공구(106) 및 그에 의해 고정적으로 지지되는 디스크(105)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107), 및 회전 시 공구(106)를 지지하는 샤프트(109)에 모터(107)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108), 예를 들어 차동 커플링을 또한 포함한다.
차동 커플링(108)에 의해서, 특히 크거나 강력한 모터를 사용할 필요 없이 6000 Nm 내지 10000 Nm 정도의 토크 값이 달성된다.
시스템의 기계적 안정성은 다음 조건에 의해 보장된다:
Figure pct00009
여기서,
Figure pct00010
은 특정 패드(103)의 공칭 정적 마찰 계수이다.
전술한 조건은 회전 운동을 피하고 정적 측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에,
Figure pct00011
은 수직 힘을 나타내는 반면에,
Figure pct00012
는 제동 토크 ?= R
Figure pct00013
로부터 유도되며, 여기서 R은 그 제동 장치에 대한 역학적 측정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브레이크 장치의 실제 반경을 나타낸다.
측정은, 바람직하게는 제동 장치가 겪는 조건을 재현하기 위해서 전술한 조건으로부터 멀지 않은 범위에서 측정해야 한다.
토크 값의 특정 제어는 테스트 중에 압력이 증가하는 동안 전술한 조건을 유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현예의 특징은 패드가 비틀림 운동을 겪게 하고 제동 장치에서 발생하는 것처럼 마찰 재료에 대한 전단력에 의한 변형을 정밀하게 생성하기 위해서 실제 토크가 모터(107)에 의해 제공된다는 사실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주요 차이점은 이전에 예시되고 설명된 해결책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생성하는 전단력 대신에 실제 토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토크는 전단력 대신에 직접적으로 제어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특정 경우에, 패드로 전달되는 토크의 직접적인 측정을 위해서 토크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토크 센서는 디스크(105)가 수용되는 구동 샤프트(109)를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커플링(18) 또는 공구(106) 근처에 위치되어야 한다.
또한, 예를 들어, 레이저 유형의 위치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압축률 측정을 또한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패드(103)가 압축될 때 가압 판(104)에 위치되어 센서와 디스크(105) 사이에서의 거리 편차를 측정할 수 있다.

Claims (24)

  1. 마찰 재료(26)와 지지 판 또는 후면 판(12)을 포함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 및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그의 작동 중에 장치(1)를 안정화하기 위한 고정 지지 베이스(2), 상기 장치(1)를 관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패널(6), 상기 패드(4) 유지 수단, 전단력과 조합된 수직력 또는 토크와 조합된 수직력을 상기 패드(4)에 발생시키고 차량의 실제 제동 중에 상기 패드(4)에 작용하는 전형적인 힘을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기계식 응력 수단, 및 상기 수직력과 상기 전단력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또는 상기 수직력과 상기 토크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 수단이 상기 기계식 응력 수단으로 마찰 재료를 잠그기 위한 제1 잠금 수단(10) 및 상기 고정 베이스(2)에 상기 패드를 잠그기 위한 제2 잠금 수단(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지지 베이스(2)와 연관되고 상기 응력 수단을 기계적으로 지지하는 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칼럼(7), 및 상기 응력 수단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 및 센서가 장착된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교정될 패드로 교정된 패드를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패드의 교정 전후에 상기 응력 수단을 들어올리기 위한 리프팅 기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 및 센서가 장착된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 수단(10)은 압력이 상기 기계식 응력 수단에 의해 그에 가해지는 동안 상기 마찰 재료를 잠금으로써 교정하는 동안 가능한 한 균일한 방식으로 전단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패드(4)의 상기 마찰 재료(26)의 형태를 재현하는 적어도 제1 프로파일 에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 및 센서가 장착된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잠금 수단(11)은 상기 베이스(2)에서 상기 패드의 이동을 피하면서 교정 중에 전단력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압력이 상기 응력 수단에 의해서 그에 가해지는 동안 이를 잠그도록 상기 패드의 상기 금속판 또는 후면 판(12)의 형태를 재현하는 제2 프로파일 에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 및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판(12)은 커넥터(13)를 통해 상기 장치(1)와 상기 패드의 전기 접촉을 유지하기 위한 핀(13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 및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1)는 접점에 대한 손상을 피하고 상기 장치(1)와 상기 패드의 전기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커넥터(13)의 접점을 후퇴시키는 기구, 및 기계화된 자동 접촉 시스템(10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 및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수단은 적어도 제1 유체 역학적 피스톤(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 및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9)은 상기 베이스(2)에 대해 상기 칼럼(7)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피스톤(15)의 입사 각도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 및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상기 장치의 작동 중에 상기 입사 각도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 및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 각도는 5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67° 내지 69°에 포함되어, 입사 각도의 접선이 교정 중인 패드/디스크의 마찰 계수의 공칭 값에 가능한 한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 및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수단은 상기 제1 피스톤의 아암에 있는 무한 스크류를 작동시키는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 및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수단은 상기 수직력을 가하기 위한 상기 제1 피스톤(15) 및 상기 전단력을 가하기 위한 적어도 제2 유체 역학적 피스톤(5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15 및 50)은 서로 수직으로 상기 베이스(2)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 및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15 및 50)은 각각 제1 및 제2 전기 모터(52 및 53)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 및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각각 제1 피스톤(15) 및 제2 피스톤(50)으로부터 각각 수직력 및 수평력을 취하기 위한 제1 테이크-업 요소 (56)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테이크-업 요소(56)는 패드(4)의 마찰 재료의 노출 표면에 평탄한 클램핑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 및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상기 패드(4)가 고정되고 상기 핀(13a)이 수용되는 제2 하우징 요소(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 및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피스톤(15 및 50)은 상기 베이스(2)에 근접하여 제1 및 제2 베어링(54 및 5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 및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 수단은 예컨대, 패드(4)의 마찰 재료(26)의 프로파일을 정밀하게 재현하기 위한 형상 및 에지(32)를 가져야 하는 제1 템플릿(31)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 및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드(4)의 상기 제2 잠금 수단(11)은 그의 후면 판(12)에 작용하고 하우징 판에 작용하는 막대한 힘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작동 안정성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하우징 판의 고정에 적합한 스크류 및 볼트에 의해 베이스(2)에 직접 연결된 하우징 판(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 및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판(40)은 패드(4)의 후면 판 또는 금속 판(12)의 프로파일을 정확하게 재현하는 에지(42)를 갖는 제2 템플릿(4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 및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센서가 장착된 패드(4)의 압축력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 및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력 측정 수단은 교정될 브레이크 패드에 압력을 제공하는 상기 제1 피스톤에 통합되고 상기 제1 피스톤과 브레이크 패드의 베이스 표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 및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력 측정 수단은 마찰 재료의 압축 중에 피스톤과 패드의 베이스 사이의 거리에서 상대 편차를 측정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 및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수단은 상기 토크를 패드(103)에 가하는 전동 디스크(105) 및 상기 수직력을 패드(103)에 가하는 수직 피스톤(101)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피스톤(101)은 패드(103)를 지지하고 패드를 상기 디스크(105)에 대해 가압하는 가압 판(104)으로 종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 및 센서가 장착된 브레이크 패드(4)의 자동 교정 장치(1).
KR1020197038667A 2017-06-29 2018-06-27 브레이크 패드의 자동 교정 장치 KR102588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7000073192A IT201700073192A1 (it) 2017-06-29 2017-06-29 Dispositivo di calibrazione automatica di una pastiglia per freni
IT102017000073192 2017-06-29
US15/719,320 US20190005743A1 (en) 2017-06-29 2017-09-28 Sensorized brake pad calibration machines, systems, and methods
US15/719,320 2017-09-28
US15/719,304 2017-09-28
US15/719,304 US11107298B2 (en) 2017-06-29 2017-09-28 Sensorized brake pad calibration machines, systems, and methods
PCT/EP2018/067218 WO2019002351A1 (en) 2017-06-29 2018-06-27 AUTOMATIC CALIBRATION DEVICE OF BRAKE P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052A true KR20200021052A (ko) 2020-02-27
KR102588975B1 KR102588975B1 (ko) 2023-10-13

Family

ID=60202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8667A KR102588975B1 (ko) 2017-06-29 2018-06-27 브레이크 패드의 자동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20190005743A1 (ko)
EP (2) EP4060306A1 (ko)
JP (1) JP7210487B2 (ko)
KR (1) KR102588975B1 (ko)
CN (2) CN110832294B (ko)
BR (1) BR112019028025B1 (ko)
CA (1) CA3068141A1 (ko)
IT (1) IT201700073192A1 (ko)
RU (1) RU2019144330A (ko)
WO (1) WO20190023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130307A1 (it) 2013-04-17 2014-10-18 Itt Italia Srl Metodo per realizzare un elemento frenante, in particolare una pastiglia freno, sensorizzato, pastiglia freno sensorizzata, impianto frenante di veicolo e metodo associato
EP3191731B1 (en) * 2014-09-08 2019-05-08 ITT Italia S.r.l.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nsorized braking element, in particular a brake pad and a sensorized brake pad obtained thereby
US9939035B2 (en) 2015-05-28 2018-04-10 Itt Italia S.R.L. Smart brak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ITUB20153709A1 (it) 2015-09-17 2017-03-17 Itt Italia Srl Dispositivo di analisi e gestione dei dati generati da un sistema frenante sensorizzato per veicoli
ITUB20153706A1 (it) 2015-09-17 2017-03-17 Itt Italia Srl Dispositivo frenante per veicolo pesante e metodo di prevenzione del surriscaldamento dei freni in un veicolo pesante
ITUA20161336A1 (it) 2016-03-03 2017-09-03 Itt Italia Srl Dispositivo e metodo per il miglioramento delle prestazioni di un sistema antibloccaggio e antiscivolamento di un veicolo
IT201600077944A1 (it) 2016-07-25 2018-01-25 Itt Italia Srl Dispositivo per il rilevamento della coppia residua di frenatura in un veicolo equipaggiato con freni a disco
IT201700073192A1 (it) 2017-06-29 2018-12-29 Itt Italia Srl Dispositivo di calibrazione automatica di una pastiglia per freni
US11035425B2 (en) 2017-09-12 2021-06-15 Itt Italia S.R.L. Brake pad with thermoelectric energy harvester
CN109823329A (zh) * 2019-03-22 2019-05-31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用于轨道车辆的机电液控制的制动系统
IT201900008865A1 (it) * 2019-06-13 2020-12-13 Freni Brembo Spa Dispositivo e metodo per una rilevazione contemporanea di forze tangenziali e normali agenti in un punto di rilevazione in corrispondenza di una pinza freno o una sospensione di una ruota di veicolo
IT201900015839A1 (it) 2019-09-06 2021-03-06 Itt Italia Srl Pastiglia freno per veicoli e suo processo di produzione
CN111308932B (zh) * 2020-02-25 2021-08-31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刹车系统的标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644385B2 (en) * 2020-03-31 2023-05-09 GM Cruise Holdings LLC. Controlled testing environment for autonomous vehicle in simulated event
KR20210150808A (ko) * 2020-06-04 2021-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 마찰재의 마찰계수 결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2027037B (zh) * 2020-08-11 2021-09-07 江苏科技大学 一种双向容积式浮力调节装置及其测试装置与测试方法
EP4211007A1 (en) * 2020-10-23 2023-07-19 ITT Italia S.r.l. A vehicle electronic system including a parking brake equipment
WO2022248114A1 (en) 2021-05-25 2022-12-01 Itt Italia S.R.L. A method and a device for estimating residual torque between the braked and braking elements of a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68220A1 (en) * 2005-09-28 2007-03-29 Material Sciences Corporation Test apparatus and method of measuring surface friction of a brake pad insulator material and method of use of a brake dynamometer
KR100856721B1 (ko) * 2002-03-19 2008-09-04 주식회사 한국베랄 브레이크 패드 압축율 시험기
JP2011220523A (ja) * 2010-04-06 2011-11-04 Dr Ing Hcf Porsche Ag 動力車の分野においてブレーキライニングの振動挙動を確定する装置および方法
CN203414349U (zh) * 2013-07-19 2014-01-29 武汉市祥龙摩擦材料有限责任公司 刹车片压缩性能试验机
KR20150143696A (ko) * 2013-04-17 2015-12-23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엘엘씨 브레이크 요소, 특히 브레이크 패드에 인가된 압력 및 노이즈의 실시간 평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7218B2 (ja) * 2002-11-20 2006-09-06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トルク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CN100378365C (zh) * 2004-06-02 2008-04-02 曙制动器工业株式会社 盘式制动装置的制动衬块夹
US20070144839A1 (en) 2005-12-14 2007-06-28 Seksaria Dinesh C Integrated brake, suspension and wheel system
KR100791632B1 (ko) * 2006-07-18 2008-01-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용 브레이크패드 성능시험장치
US20080047787A1 (en) 2006-08-23 2008-02-28 Bendix Spicer Foundation Brake, Llc Disc brake actuator mounting arrangement
EP2324263B1 (en) 2008-09-18 2021-10-27 Carlisle Brake & Friction, Inc CARBON FIBER REINFORCED CARBONaceous MATRIX COMPOSITE FOR BRAKE PAD BACK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P2216635B1 (de) * 2009-02-06 2019-07-17 Mettler-Toledo GmbH Kalibriervorrichtung für eine Kraftmessvorrichtung und Kraftmessvorrichtung
CN101592631B (zh) * 2009-07-10 2011-02-16 浙江大学 刹车片质量自动检测装置
KR101138510B1 (ko) * 2009-12-10 2012-04-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제동 시스템
DE202010003737U1 (de) * 2010-03-17 2010-07-15 Haldex Brake Products Ab Sensoreinheit für eine Scheibenbremse
JP5278597B2 (ja) * 2010-03-24 2013-09-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CN102072820B (zh) * 2010-10-28 2012-07-04 中国农业大学 增力式低滑磨汽车abs/asr综合试验系统
CN201998448U (zh) * 2011-01-27 2011-10-05 济南易久自动化技术有限公司 用于盘式刹车片等密度压制工艺和配方试验的压制机
JP5637067B2 (ja) 2011-05-24 2014-12-10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電動ブレーキ装置および電動ブレーキ装置の制御方法
US9058038B2 (en) * 2012-03-29 2015-06-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vehicle battery health using a collaborative vehicle battery health model
DE102013213619A1 (de) * 2013-07-11 2015-01-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Bremszuspanneinrichtung für eine Scheiben-Bremsvorrichtung
ITTO20130855A1 (it) * 2013-10-21 2015-04-22 Itt Italia Srl Metodo per l'ottenimento di pastiglie freno e pastiglia freno associata
FR3021077B1 (fr) * 2014-05-19 2017-07-21 Poclain Hydraulics Ind Systeme de freinage dote d'un moyen de refroidissement
EP3149352B1 (en) * 2015-03-25 2018-05-23 ITT Italia S.r.l. Automated finishing station for a brake pad
JP6133360B2 (ja) * 2015-06-01 2017-05-24 Ntn株式会社 電動ブレーキ装置
US10253835B2 (en) * 2015-11-10 2019-04-09 Performance Friction Corporation Brake caliper with brake pad timing and retraction controller with lock-connection
CN106733728A (zh) * 2017-01-16 2017-05-31 中国计量大学 刹车片产品质量自动检测装置
IT201700073192A1 (it) 2017-06-29 2018-12-29 Itt Italia Srl Dispositivo di calibrazione automatica di una pastiglia per freni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721B1 (ko) * 2002-03-19 2008-09-04 주식회사 한국베랄 브레이크 패드 압축율 시험기
US20070068220A1 (en) * 2005-09-28 2007-03-29 Material Sciences Corporation Test apparatus and method of measuring surface friction of a brake pad insulator material and method of use of a brake dynamometer
US7398669B2 (en) * 2005-09-28 2008-07-15 Material Sciences Corporation Test apparatus and method of measuring surface friction of a brake pad insulator material and method of use of a brake dynamometer
JP2011220523A (ja) * 2010-04-06 2011-11-04 Dr Ing Hcf Porsche Ag 動力車の分野においてブレーキライニングの振動挙動を確定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150143696A (ko) * 2013-04-17 2015-12-23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엘엘씨 브레이크 요소, 특히 브레이크 패드에 인가된 압력 및 노이즈의 실시간 평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203414349U (zh) * 2013-07-19 2014-01-29 武汉市祥龙摩擦材料有限责任公司 刹车片压缩性能试验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9028025A2 (pt) 2020-07-07
US11107298B2 (en) 2021-08-31
IT201700073192A1 (it) 2018-12-29
JP2020525736A (ja) 2020-08-27
US11670118B2 (en) 2023-06-06
CN110832294A (zh) 2020-02-21
CN110832294B (zh) 2022-04-15
CA3068141A1 (en) 2019-01-03
EP3622262A1 (en) 2020-03-18
KR102588975B1 (ko) 2023-10-13
US20190005747A1 (en) 2019-01-03
CN114812912A (zh) 2022-07-29
JP7210487B2 (ja) 2023-01-23
RU2019144330A (ru) 2021-07-29
US20190005743A1 (en) 2019-01-03
BR112019028025B1 (pt) 2023-12-26
US20220084324A1 (en) 2022-03-17
EP4060306A1 (en) 2022-09-21
RU2019144330A3 (ko) 2021-09-13
WO2019002351A1 (en)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8975B1 (ko) 브레이크 패드의 자동 교정 장치
US5731525A (en) Extraction force tester
CN102967440B (zh) 一种用于对触摸屏进行检测的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07247232B (zh) 一种变速电机加载测试设备
JP3668252B2 (ja) オルタネータのステータウェッジの締まり具合を量的に測る方法および装置
CN109655296B (zh) 电动助力转向器--安装座组合力检测机构
KR100901996B1 (ko) 테스트 소켓 내구성 시험 장치
US2009022935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 brake rotor
CN211148005U (zh) 一种固定弹簧和实时测量弹力的夹具装置
CN114689234A (zh) 一种静态扭矩自动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1307447A (zh) 平行轴输出减速器弯曲刚度测试系统
CN219736650U (zh) 一种制动器制动力矩测试工装
CN110398216B (zh) 一种伺服机构偏转角度自动识别测试装置及方法
CN220794513U (zh) 一种传感器测试装置
CN105115613B (zh) 一种轮盘表面温度检测装置
CN105784309B (zh) 瓦斯继电器校验辅助装置
CN104089600A (zh) 粗糙度仪检测时的试样固定装置及其使用方法
CN216955113U (zh) 加压组件和测试装置
CN114593912B (zh) 一种鼓式制动器的动特性测试设备及测试方法
CN218411001U (zh) 一种凸轮磨耗检测工装
KR102365876B1 (ko)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
CN210741307U (zh) 一种过桥箱轴承孔的圆跳动检测装置
CN106990012B (zh) 应力环校准装置
Herzer et al. Ultrasonic set-up to characterize stress states in rims of railroad wheels
CN115479759A (zh) 制动器用检测装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