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876B1 -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876B1
KR102365876B1 KR1020200021158A KR20200021158A KR102365876B1 KR 102365876 B1 KR102365876 B1 KR 102365876B1 KR 1020200021158 A KR1020200021158 A KR 1020200021158A KR 20200021158 A KR20200021158 A KR 20200021158A KR 102365876 B1 KR102365876 B1 KR 102365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upled
rotating
uni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6235A (ko
Inventor
김광섭
박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티씨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티씨,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티씨
Priority to KR1020200021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876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25Measuring of vehicle parts
    • G01B5/0028Brakes, brakeshoes, clutch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조립상태를 검사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에 입설된 본체부와, 상하방향으로 승강이동하도록 설치된 상하이동부와, 제1 회전축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회전시키는 제1 회전부와,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제1 위치이동부와, 제2 회전축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회전시키는 제2 회전부와,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고정부위를 클램핑하여 고정시키는 클램핑부와, 상하방향으로 승강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제2 위치이동부와, 클램핑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회전부위를 측정하여 검사하는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론트 및 리어 엑슬의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검사품질을 실제 차량에 조립되는 조건과 동일하고 가장 정확한 측정방법으로 검사하여 기존의 간접 측정 방식이나 단품 측정에 의한 검사오류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APPARATUS FOR TESTING BRAKE DISK ASSEMBLY}
본 발명은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조립상태를 검사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는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브레이크 디스크의 양면에 마찰패드를 강제 압착시켜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이 마찰력에 의해 차량의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디스크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정밀 측정이 불가능하므로, 제작 단계에서 그 품질을 확인할 수 있도록 바퀴가 조립되는 브레이크 디스크의 상면과 제동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패드면의 가공상태를 정밀 측정하여 관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의 측정은 종래에 각종 수동 측정기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측정하여 전수검사를 하는 경우에 측정항목이 런아웃, 두께편차, 내경, 평면도, 평탄도, 동심도 등과 같이 다양한 항목을 측정하게 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브레이크 디스크의 측정장치는 브레이크 디스크를 안착시켜 회전스핀들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시켜 측정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데 이 경우 회전스핀들과 베어링과의 조립시 발생하는 공차와 베어링 자체의 공차로 인해 동심을 그리며 회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브레이크 디스크의 안착면과 회전스핀들의 안착면의 상태에 따라서 불량 유무를 판별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며, 브레이크 디스크의 안착면과 회전스핀들의 안착면 사이에 이물질이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할 경우 브레이크 디스크의 패드면의 평탄도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브레이크 디스크를 회전스핀들에 안착시키기 위해 브레이크 디스크의 기준홀에 삽입되는 회전스핀들의 상단이 브레이크 디스크의 내경 보다 작은 경우 디스크가 회전시 불안정하게 회전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시 브레이크 디스크의 패드면의 흔들림과 두께편차 등 정밀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브레이크 디스크의 측정장치는 브레이크 디스크를 회전부재의 상부에 걸어맞춤하여 회전시킨 상태로 브레이크 디스크를 측정하므로, 브레이크 디스크의 패드면의 안쪽 부분을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브레이크 디스크를 회전시킨 상태로 측정하기 위해 회전부재를 사용하게 되나, 브레이크 디스크와 회전부재 사이의 결합오차가 발생하여 측정결과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측정정밀도가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브레이크 디스크는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플레이트의 상면과 하면의 평탄도(런아웃, Run-out) 또는 디스크 두께 변화(DTV, Disc Thickness Variation)를 검사하게 된다. 이와 같은 평탄도나 디스크 두께 변화는 제동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어 이에 대한 정밀한 검사가 필요하다.
특히, 프론트 및 리어 엑슬 어셈블리는 차량 구동축과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 디스크에 조립되는 구동바퀴를 연결하는 장치로써 차축에 연결되는 너클 부분과 바퀴가 조립되는 브레이크 디스크간의 회전 흔들림이 자동차 품질과 안전에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프론트 및 리어 엑슬 어셈블리를 구성하고 있는 너클, 허브 베어링, 브레이크 디스크에 대한 정밀 측정이 필요하며 특히 조립상태에서의 상호간의 영향을 최종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허브 디스크와 베어링이 조립된 상태에서 디스크와 너클이 모두 조립된 프론트 혹은 리어 엑슬 어셈블리 상태에서의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 간접적인 방법으로 그 결과를 유추하고 있으므로 그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낮은 상황에 있다.
그러므로 프론트 혹은 리어 엑슬 어셈블리 상태에서 실제 차량에 조립되는 상태와 동일한 조건을 유지하면서 정밀한 측정을 할 수 있는 검사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브레이크 디스크 검사장치는 구조물이 복잡하므로 제조에 많은 비용이 들고 모델 변경에 따른 유지 보수가 곤란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6722호 (2010년10월1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0854호 (2011년08월3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8282호 (2017년12월13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검사부를 승강이동과 수평이동과 1차 회전이동 및 2차 회전이동에 의해 다양한 위치변경이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프론트 및 리어 엑슬의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검사품질을 실제 차량에 조립되는 조건과 동일하고 가장 정확한 측정방법으로 검사하여 기존의 간접 측정 방식이나 단품 측정에 의한 검사오류를 해소할 수 있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이동부로서 상하고정브래킷과 상하이송모터와 상하이송스크류와 상하이송가이드와 상하이송브래킷을 구비함으로써, 검사부의 상하 승하강 이동에 의해 기존의 검사대상의 제한성을 확대하여 프론트 엑슬 어셈블리의 좌측과 우측, 리어 엑슬 어셈블리의 좌측과 우측제품 모두를 포함해서 검사할 수 있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회전부로서 제1 회전브래킷과 제1 회전모터와 제1 회전스핀들을 구비함으로써, 검사부의 회전이송에 의해 측정센서를 브레이크 디스크의 측정 위치로 자동 이동하게 되면서 브레이크 디스크의 크기 변화에 따른 검사위치 변화에 자동 조절이 가능할 수 있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위치이동부로서 제1 위치고정브래킷와 제1 위치이송모터와 제1 위치이송가이드와 제1 위치이송브래킷을 구비함으로써, 검사대상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너클 고정위치에 따라 검사부를 상하이송 및 좌우이송, 회전이동 등의 위치 추적을 통해 다양한 모델의 고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회전부로서 제2 회전브래킷과 제2 회전모터와 제2 회전스핀들를 구비함으로써, 검사부를 회전이송하여 차량에 조립 고정되는 움직이지 않는 고정부분을 검사부에 고정시키고 하부에서 브레이크 디스크 만을 회전시켜 상호간에 회전하는 동안 발생하는 흔들림량을 검사하고 디스크 단품의 품질 뿐만 아니라 조립된 상태에서의 통합적인 품질을 검사할 수 있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램핑부로서 지지브래킷과 승강엑츄에이터와 압착편과 승강브래킷과 고정편과 고정엑츄에이터를 구비함으로써, 클램핑부에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고정부위인 너클을 고정하는 동시에 지지브래킷과 승강브래킷이 분리되어 다양한 위치의 너클을 독립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위치이동부로서 제2 위치고정브래킷과 제2 위치이송엑츄에이터와 제2 위치이송브래킷을 구비함으로써, 클램핑부의 후미에서 위치이동부에 의해 측정센서를 측정위치에 따라 승강이동시켜 브레이크 디스크의 다양한 측정위치로 이동시키면서 브레이크 디스크의 크기 변화에 따른 검사위치 변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조립상태를 검사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로서, 바닥에 입설된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일방에 상하방향으로 승강이동하도록 설치된 상하이동부(20); 상기 상하이동부(20)의 일방에 결합되어 승강이동되며, 제1 회전축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회전시키는 제1 회전부(30); 상기 제1 회전부(30)의 하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제1 위치이동부(40); 상기 제1 위치이동부(40)의 하부에 결합되어 선형이동되며, 제2 회전축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회전시키는 제2 회전부(50); 상기 제2 회전부(50)의 하부에 결합되며,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고정부위를 클램핑하여 고정시키는 클램핑부(60); 상기 클램핑부(6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승강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제2 위치이동부(70);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70)의 하부 일방에 결합되어 승강이동하며, 클램핑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회전부위를 측정하여 검사하는 검사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상하이동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상하고정브래킷; 상기 상하고정브래킷의 하부에 고정설치되어, 상하이송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하이송모터; 상기 상하이송모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이송 구동력을 전달하는 상하이송스크류; 상기 상하이송스크류에 연결되되 상기 본체부(10)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하이송을 가이드하는 상하이송가이드; 및 상기 상하이송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로 이송되는 상하이송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회전부(30)는, 상기 상하이동부(20)에 결합되어, 상하로 승강이송되는 제1 회전브래킷; 상기 제1 회전브래킷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제1 회전축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회전모터; 및 상기 제1 회전모터의 제1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회전스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위치이동부(40)는, 상기 제1 회전부(3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 위치고정브래킷; 상기 제1 위치고정브래킷의 일방에 고정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는 선형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위치이송모터; 상기 제1 위치고정브래킷의 타방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도록 가이드하는 제1 위치이송가이드; 및 상기 제1 위치이송가이드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위치이송모터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되는 제1 위치이송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 회전부(50)는, 상기 제1 위치이동부(40)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되는 제2 회전브래킷; 상기 제2 회전브래킷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제2 회전축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회전모터; 및 상기 제2 회전모터의 제2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회전스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클램핑부(60)는, 상기 제2 회전부(5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지지브래킷; 상기 지지브래킷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엑츄에이터; 및 상기 승강엑츄에이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엑츄에이터의 압착력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고정부위를 압착 고정시키는 압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클램핑부(60)는, 상기 지지브래킷의 상부에 승강하도록 결합되는 승강브래킷; 상기 지지브래킷의 상부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브래킷의 양단부위에 압착되어 고정시키는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의 일방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편에 고정 압착력을 제공하는 고정엑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승강브래킷은 양단에 삼각형상으로 절취된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고정홈의 절취부위에 압착되어 고정시키도록 삼각형상으로 돌출된 고정돌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 위치이동부(70)는, 상기 클램핑부(60)에 고정 결합되는 제2 위치고정브래킷; 상기 제2 위치고정브래킷의 일방에 결합되어, 상하이송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위치이송엑츄에이터; 및 상기 제2 위치이송엑츄에이터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이송되는 제2 위치이송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검사부(80)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고정부위를 기준해서 회전부위의 흔들림을 측정하는 측정센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검사부를 승강이동과 수평이동과 1차 회전이동 및 2차 회전이동에 의해 다양한 위치변경이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프론트 및 리어 엑슬의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검사품질을 실제 차량에 조립되는 조건과 동일하고 가장 정확한 측정방법으로 검사하여 기존의 간접 측정 방식이나 단품 측정에 의한 검사오류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하이동부로서 상하고정브래킷과 상하이송모터와 상하이송스크류와 상하이송가이드와 상하이송브래킷을 구비함으로써, 검사부의 상하 승하강 이동에 의해 기존의 검사대상의 제한성을 확대하여 프론트 엑슬 어셈블리의 좌측과 우측, 리어 엑슬 어셈블리의 좌측과 우측제품 모두를 포함해서 검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1 회전부로서 제1 회전브래킷과 제1 회전모터와 제1 회전스핀들을 구비함으로써, 검사부의 회전이송에 의해 측정센서를 브레이크 디스크의 측정 위치로 자동 이동하게 되면서 브레이크 디스크의 크기 변화에 따른 검사위치 변화에 자동 조절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1 위치이동부로서 제1 위치고정브래킷와 제1 위치이송모터와 제1 위치이송가이드와 제1 위치이송브래킷을 구비함으로써, 검사대상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너클 고정위치에 따라 검사부를 상하이송 및 좌우이송, 회전이동 등의 위치 추적을 통해 다양한 모델의 고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2 회전부로서 제2 회전브래킷과 제2 회전모터와 제2 회전스핀들를 구비함으로써, 검사부를 회전이송하여 차량에 조립 고정되는 움직이지 않는 고정부분을 검사부에 고정시키고 하부에서 브레이크 디스크 만을 회전시켜 상호간에 회전하는 동안 발생하는 흔들림량을 검사하고 디스크 단품의 품질 뿐만 아니라 조립된 상태에서의 통합적인 품질을 검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클램핑부로서 지지브래킷과 승강엑츄에이터와 압착편과 승강브래킷과 고정편과 고정엑츄에이터를 구비함으로써, 클램핑부에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고정부위인 너클을 고정하는 동시에 지지브래킷과 승강브래킷이 분리되어 다양한 위치의 너클을 독립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2 위치이동부로서 제2 위치고정브래킷과 제2 위치이송엑츄에이터와 제2 위치이송브래킷을 구비함으로써, 클램핑부의 후미에서 위치이동부에 의해 측정센서를 측정위치에 따라 승강이동시켜 브레이크 디스크의 다양한 측정위치로 이동시키면서 브레이크 디스크의 크기 변화에 따른 검사위치 변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의 제1 회전부와 제1 위치이동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의 클램핑부와 제2 위치이동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의 클램핑부의 가압해제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의 클램핑부의 가압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의 클램핑부의 가압고정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의 제1 회전부와 제1 위치이동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의 클램핑부와 제2 위치이동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의 클램핑부의 가압해제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의 클램핑부의 가압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의 클램핑부의 가압고정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는, 차량의 프론트 및 리어 엑슬 어셈블리 상태에서 차체에 조립시 너클 부분과 브레이크 디스크 서로 간에 회전 유격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로서, 브레이크 패드 어셈블리인 캘리퍼가 조립되는 위치에 측정장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브레이크 디스크를 회전시킴으로써 실제 차량에 조립되는 조건과 같은 상태를 연출하여 프론트 및 리어 엑슬 어셈블리의 품질상태를 정확하게 검사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는, 본체부(10), 상하이동부(20), 제1 회전부(30), 제1 위치이동부(40), 제2 회전부(50), 클램핑부(60), 제2 위치이동부(70) 및 검사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차량의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조립상태에서 차량의 고정부위인 너클을 기준해서 회전부위인 브레이크 디스크의 흔들림을 측정하여 검사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이다.
본체부(10)는, 바닥에 기둥이나 지주 등과 같이 입설된 지지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 의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의 고정지지수단으로 이루어져 검사수단을 위치이동이나 회전이동시키도록 각종 이동수단을 지지하게 된다.
상하이동부(20)는, 본체부(10)의 일방에 상하방향으로 승강이동하도록 설치된 상하이동수단으로서, 상하고정브래킷(21), 상하이송모터(22), 상하이송스크류(23), 상하이송가이드(24) 및 상하이송브래킷(25)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하고정브래킷(21)은, 본체부(10)의 하부에 상향으로 고정 설치된 브래킷으로서, 이러한 상하고정브래킷(21)의 하부에서 상하로 관통된 결합홀에 상하이송모터(22)가 상방을 향하도록 결합되어 상하이송모터(22)를 고정지지하된다.
상하이송모터(22)는, 상하고정브래킷(21)의 하부에 고정설치되어 상하이송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로서, 상하고정브래킷(21)의 하부에서 상하로 관통된 결합홀에 고정 설치되어 본체부(10)의 상하방으로 이송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하이송스크류(23)는, 상하이송모터(22)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이송 구동력을 전달하는 이송스크류로서, 상하이송모터(22)의 구동축 상단에 연결되어 상하이송 구동력을 상방으로 전달하는 볼스크류 등과 같은 동력전달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하이송가이드(24)는, 상하이송스크류(23)에 연결되되 본체부(10)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하이송을 가이드하는 이송가이드로서, 본체부(10)의 상부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하이송스크류(23)에 의해 상하이송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송되는 슬라이더의 상하이송을 가이드하는 LM(Linear Motion)가이드 등과 같은 선형가이드로 이루어져 있다.
상하이송브래킷(25)은, 상하이송가이드(24)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로 이송되는 이송브래킷으로서, LM가이드의 슬라이더에 결합되되 상하이송스크류(23)에 연결되어 상하이송스크류(23)의 상하이송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하로 이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하이동부(20)의 상하이송브래킷(25)에 의해 제1 회전부(3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이동시키게 된다.
제1 회전부(30)는, 상하이동부(20)의 일방에 결합되어 승강이동되며 제1 회전축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으로서, 제1 회전브래킷(31), 제1 회전모터(32) 및 제1 회전스핀들(33)로 이루어져 있다.
제1 회전브래킷(31)은, 상하이동부(20)에 결합되어 상하로 승강이송되는 회전브래킷으로서, 상하이송브래킷(25)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이송브래킷(25)과 함께 승강이동하게 되며 제1 회전브래킷(31)의 상부에는 제1 회전모터(32)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제1 회전모터(32)는, 제1 회전브래킷(31)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제1 회전축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로서, 제1 회전브래킷(31)의 상부에 하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하부에 연결된 제1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제1 회전스핀들(33)은, 제1 회전모터(32)의 제1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스핀들로서, 제1 회전모터(32)의 제1 회전축의 하부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제1 회전축을 기준해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회전부(30)의 제1 회전스핀들(33)에 의해 수직축을 기준해서 제1 위치이동부(40)를 회전시키게 된다.
제1 위치이동부(40)는, 제1 회전부(30)의 하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위치이동수단으로서, 제1 위치고정브래킷(41), 제1 위치이송모터(42), 제1 위치이송가이드(43) 및 제1 위치이송브래킷(44)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위치고정브래킷(41)은, 제1 회전부(3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위치고정브래킷으로서, 제1 회전부(30)의 제1 회전스핀들(33)의 하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제1 위치고정브래킷(41)의 하부에 제1 위치이송모터(42)와 제1 위치이송가이드(43)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위치이송모터(42)는, 제1 위치고정브래킷(41)의 일방에 고정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는 선형구동력을 제공하는 위치이송모터로서, 제1 위치고정브래킷(41)의 하부 일방에 선형이동을 위한 이송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선형모터 등과 같이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위치이송가이드(43)는, 제1 위치고정브래킷(41)의 타방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도록 가이드하는 위치이송가이드로서, 제1 위치고정브래킷(41)의 하부 타방에 선형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설치된 선형가이드 등과 같은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위치이송브래킷(44)는, 제1 위치이송가이드(43)에 결합되어 제1 위치이송모터(42)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되는 위치이송브래킷으로서, 제1 위치이송가이드(43)의 하부에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제1 위치이송모터(42)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위치이동부(40)의 제1 위치이송브래킷(44)에 의해 제2 회전부(50)를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게 된다.
제2 회전부(50)는, 제1 위치이동부(40)의 하부에 결합되어 선형이동되며 제2 회전축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으로서, 제2 회전브래킷(51), 제2 회전모터(52) 및 제2 회전스핀들(53)로 이루어져 있다.
제2 회전브래킷(51)은, 제1 위치이동부(40)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되는 회전브래킷으로서, 제1 위치이동부(40)의 제1 위치이송브래킷(44)에 결합되어 합께 선형이동하게 되며, 제2 회전브래킷(51)의 내부공간에는 제2 회전모터(52)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제2 회전모터(52)는, 제2 회전브래킷(51)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제2 회전축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로서, 제1 회전브래킷(31)의 상부에 하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하부에 연결된 제2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제2 회전스핀들(53)은, 제2 회전모터(52)의 제2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스핀들로서, 제2 회전모터(52)의 제2 회전축의 하부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제2 회전축을 기준해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2 회전부(50)의 제2 회전스핀들(53)에 의해 수직축을 기준해서 클램핑부(60)를 회전시키게 된다.
클램핑부(60)는, 제2 회전부(50)의 하부에 결합되며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고정부위를 클램핑하여 고정시키는 클램핑수단으로서,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브래킷(61), 승강엑츄에이터(62), 압착편(63), 승강브래킷(64), 고정편(65) 및 고정엑츄에이터(66)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브래킷(61)은, 제2 회전부(5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브래킷으로서, 제2 회전부(50)의 제2 회전스핀들(53)의 하부에 결합되어 회전하게 되며 지지브래킷(61)의 하부에 승강엑츄에이터(62)와 압착편(63)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엑츄에이터(62)는, 지지브래킷(61)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구동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로서, 지지브래킷(61)의 하부에 승강하도록 설치된 가압편(62a)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100)의 고정부위(110)의 상부를 클램핑하여 고정시키게 되며, 이러한 승강엑츄에이터(62)는 압착력을 제공하는 유공압 실린더 등과 같은 압착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압착편(63)은, 승강엑츄에이터(62)의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엑츄에이터(62)의 압착력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100)의 고정부위(110)의 하부를 압착 고정시키는 압착수단으로서, 승강엑츄에이터(62)의 하부에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100)의 고정부위(110)의 하부를 압착고정시키게 된다.
승강브래킷(64)은, 지지브래킷(61)의 상부에 승강하도록 결합되는 브래킷으로서, 이러한 승강브래킷(64)은 양단에 삼각형상으로 절취된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브래킷(61)의 외곽에 관통 형성된 지지홀에 승강하도록 삽입된 지지대(64a)를 개재해서 지지브래킷(61)의 상부에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고정편(65)은, 지지브래킷의(64) 상부 양단에 설치되며 승강브래킷(64)의 양단부위에 압착되어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서, 이러한 고정편(65)은 고정홈의 절취부위에 압착되어 고정시키도록 삼각형상으로 돌출된 고정돌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엑츄에이터(66)는, 고정편(65)의 일방에 설치되어 고정편(65)에 고정 압착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로서, 고정편(65)의 일방에 수평으로 선형이동하도록 설치되어 고정편(65)을 내향으로 가압하여 승강브래킷(64)의 고정홈에 고정편(65)의 고정돌기를 클램핑하여 승강브래킷(64)을 고정시키게 되며, 이러한 고정엑츄에이터(66)는 압착고정력을 제공하는 유공압 실린더 등과 같은 압착고정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위치이동부(70)는, 클램핑부(6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승강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위치이동수단으로서, 제2 위치고정브래킷(71), 제2 위치이송엑츄에이터(72) 및 제2 위치이송브래킷(73)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위치고정브래킷(71)은, 클램핑부(60)에 고정 결합되는 위치고정브래킷으로서, 클램핑부(60)의 승강브래킷(34)의 일방에 결합되어 승강브래킷(34)와 함께 승강이동하게 되어 있다.
제2 위치이송엑츄에이터(72)는, 제2 위치고정브래킷(71)의 일방에 결합되어 상하이송 구동력을 제공하는 엑츄에이터로서, 제2 위치고정브래킷(71)의 상부에 고정결합되어 하부에 승강하도록 설치된 제2 위치이송브래킷(73)을 상하로 승강이송시키게 되며, 이러한 제2 위치이송엑츄에이터(72)는 승강이송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공압 실린더 등과 같은 승강구동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위치이송브래킷(73)은, 제2 위치이송엑츄에이터(72)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이송되는 위치이송브래킷으로서, 일단에 검사부(80)가 결합되고 타단이 제2 위치이송엑츄에이터(72)에 연결되어 상하이송 구동력을 전달받아 함께 상하로 이송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위치이동부(70)의 제2 위치이송브래킷(73)에 의해 검사부(8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이동시키게 된다.
검사부(80)는, 제2 위치이동부(70)의 하부 일방에 결합되어 승강이동하며 클램핑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회전부위를 측정하여 검사하는 검사수단으로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100)의 고정부위(110)를 기준해서 회전부위(120)의 흔들림을 측정하는 측정센서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회전부(30)의 회전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고정부위인 너클 중 오른쪽 제품과 왼쪽 제품의 측정 근접방향으로 서보모터의 축상에 연결된 제1 회전스핀들(33)을 통해 회전 이동하여 고정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위치이동부(40)와 제2 회전부(50)와 축선상에 연결된 제2 회전스핀들(53)에 의해 측정기구가 부착된 검사부(80)가 접근하기 위한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 및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에 클램핑부(60)를 안전한 접근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하이동부(20)를 하강 동작하여 클램핑부(60)를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고정부위인 너클의 고정위치에 근접하게로 하강시키게 된다.
이는 측정대상이 되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프론트 엑슬 어셈블리 오른쪽 제품, 프로트 엑슬 어셈블리 왼쪽 제품, 리어엑슬 어셈블리 오른쪽 제품, 리어 엑슬 어셈블리 왼쪽 제품 등을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검사장치의 모양, 높이, 방향, 크기의 변화에 따라 클램핑부(60)를 자유롭게 접근시키게 된다.
이러한 검사장치의 동작으로 근접거리까지 접근한 클램핑부(60)를 제1 위치이동부(40)에 의해 직선 이동시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너클 고정위치에 클램핑부(60)의 가압편(62a)과 압착편(63) 사이로 너클 고정부위를 삽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너클 고정위치에 클램핑부(60)가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는 구조로 제1 회전스핀들(33)과 제2 회전스핀들(53)에 의해 클램핑부(60)를 정확한 위치에 접근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핑부(60)가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고정부위(110)인 너클을 고정하기 위한 위치에 접근한 후 클램핑부(6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편(62a)과 압착편(63)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고정부위인 너클이 클램핑부(60)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클램핑부(60)의 가압편(62a)은, 승강엑츄에이터(62)의 동작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너클에 가압편(62a)이 접촉하는 순간에 클램핑부(60)는 전체가 지지브래킷(61)에서 승강브래킷(64)과 함께 이격되어 압착편(63)에 밀착되면서 지지브래킷(61)에서 일차적으로 분리된다.
가압편(62a)은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너클에 대한 고정작업시 압착편(63)과 함께 너클을 효과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너클의 상부면 경사도에 따라 유동적으로 밀착시키기 기능을 가압편(62a)이 갖추고 있으므로 너클의 접촉면 형상에 맞도록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엑츄에이터(62)의 동작으로 회전형 가압편(62a)과 압착편(63)에 의해 너클을 고정하면서 지지브래킷(61)에서 일차적으로 상승 이격된 승강브래킷(64)은 지지대(64a)와는 완전히 이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대(64a)의 외경 크기는 지지브래킷(61)의 지지홀의 크기 보다 현저히 작은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클램핑부(60)의 정확한 위치 가이드는 승강브래킷(64)의 양옆에 V형 절취홈에 가이드 하고 있는 V형 돌기형태의 좌우 2개의 고정편(65)에 의해 클램핑부(60)가 너클에 고정되면서 격리될 때 위치 변화를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대(64a)에는 2개의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승강브래킷(64)이 격리되는 상태를 감지하여 클램핑부(60)가 너클에 정확히 고정되었는지와 너클을 고정하기 위한 안정된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능을 함으로써 제품 측정시 보다 안정하고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클램핑부(60)를 가이드하고 있는 2개의 고정편(65)은 승강브래킷(64)이 지지브래킷(61)에서 격리되는 동안 클램핑부(60)를 안정스럽게 가이드하며 클램핑부(60)의 너클고정이 완료되면 지지브래킷(61)에 위치한 감시센서를 확인한 후 고정편(65)는 모두 후진하여 클램핑부(60)가 다른 기구와 완전히 격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동작은 프론트 및 리어 엑슬 어셈블리에서 너클과 브레이크 디스크간의 흔들림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너클에 고정된 클램핑부(60)가 너클의 흔들림에 따른 브레이크 디스크간의 상호 흔들림 편차를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클에 고정된 클램핑부(60)의 후방에 위치한 제2 위치이동부(70)에 설치된 검사부(80)의 측정센서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 상면의 일정한 위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위치이동부(70)는 스텝모터를 이용하여 검사부(80)의 측정센서의 위치를 너클을 고정시키고 클램핑부(60)의 가압편(62a)의 중심부에서 브레이크 디스크를 측정하게 될 검사부(80)의 측정센서 위치를 가변하여 브레이크 디스크의 크기 변화에 자유롭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검사부(80)의 측정센서는 제2 위치이동부(70)의 모터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이때 검사부(80)의 측정센서의 위치는 가압편(62a)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워 지거나 멀어지도록 하여 측정대상이 되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크기 변화와 측정위치의 변화에 적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검사부(80)의 측정센서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상부, 하부, 상및 하부를 자유롭게 선택 구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측정센서를 구성할 수 있도록 변형이 가능하고 복수의 센서를 구성하여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에 대한 흔들림, 두께편차, 평행도 등의 검사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부를 승강이동과 수평이동과 1차 회전이동 및 2차 회전이동에 의해 다양한 위치변경이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프론트 및 리어 엑슬의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검사품질을 실제 차량에 조립되는 조건과 동일하고 가장 정확한 측정방법으로 검사하여 기존의 간접 측정 방식이나 단품 측정에 의한 검사오류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하이동부로서 상하고정브래킷과 상하이송모터와 상하이송스크류와 상하이송가이드와 상하이송브래킷을 구비함으로써, 검사부의 상하 승하강 이동에 의해 기존의 검사대상의 제한성을 확대하여 프론트 엑슬 어셈블리의 좌측과 우측, 리어 엑슬 어셈블리의 좌측과 우측제품 모두를 포함해서 검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1 회전부로서 제1 회전브래킷과 제1 회전모터와 제1 회전스핀들을 구비함으로써, 검사부의 회전이송에 의해 측정센서를 브레이크 디스크의 측정 위치로 자동 이동하게 되면서 브레이크 디스크의 크기 변화에 따른 검사위치 변화에 자동 조절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1 위치이동부로서 제1 위치고정브래킷와 제1 위치이송모터와 제1 위치이송가이드와 제1 위치이송브래킷을 구비함으로써, 검사대상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너클 고정위치에 따라 검사부를 상하이송 및 좌우이송, 회전이동 등의 위치 추적을 통해 다양한 모델의 고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2 회전부로서 제2 회전브래킷과 제2 회전모터와 제2 회전스핀들를 구비함으로써, 검사부를 회전이송하여 차량에 조립 고정되는 움직이지 않는 고정부분을 검사부에 고정시키고 하부에서 브레이크 디스크 만을 회전시켜 상호간에 회전하는 동안 발생하는 흔들림량을 검사하고 디스크 단품의 품질 뿐만 아니라 조립된 상태에서의 통합적인 품질을 검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클램핑부로서 지지브래킷과 승강엑츄에이터와 압착편과 승강브래킷과 고정편과 고정엑츄에이터를 구비함으로써, 클램핑부에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고정부위인 너클을 고정하는 동시에 지지브래킷과 승강브래킷이 분리되어 다양한 위치의 너클을 독립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2 위치이동부로서 제2 위치고정브래킷과 제2 위치이송엑츄에이터와 제2 위치이송브래킷을 구비함으로써, 클램핑부의 후미에서 위치이동부에 의해 측정센서를 측정위치에 따라 승강이동시켜 브레이크 디스크의 다양한 측정위치로 이동시키면서 브레이크 디스크의 크기 변화에 따른 검사위치 변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본체부 20: 상하이동부
30: 제1 회전부 40: 제1 위치이동부
50: 제2 회전부 60: 클램핑부
70: 제2 위치이동부 80: 검사부

Claims (10)

  1. 차량의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조립상태를 검사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로서,
    바닥에 입설된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일방에 상하방향으로 승강이동하도록 설치된 상하이동부(20);
    상기 상하이동부(20)의 일방에 결합되어 승강이동되며, 제1 회전축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회전시키는 제1 회전부(30);
    상기 제1 회전부(30)의 하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제1 위치이동부(40);
    상기 제1 위치이동부(40)의 하부에 결합되어 선형이동되며, 제2 회전축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회전시키는 제2 회전부(50);
    상기 제2 회전부(50)의 하부에 결합되며,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고정부위를 클램핑하여 고정시키는 클램핑부(60);
    상기 클램핑부(6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승강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제2 위치이동부(70); 및
    상기 제2 위치이동부(70)의 하부 일방에 결합되어 승강이동하며, 클램핑된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회전부위를 측정하여 검사하는 검사부(80);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60)는,
    상기 제2 회전부(5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지지브래킷;
    상기 지지브래킷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엑츄에이터; 및
    상기 승강엑츄에이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엑츄에이터의 압착력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고정부위를 압착 고정시키는 압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상하고정브래킷;
    상기 상하고정브래킷의 하부에 고정설치되어, 상하이송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하이송모터;
    상기 상하이송모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이송 구동력을 전달하는 상하이송스크류;
    상기 상하이송스크류에 연결되되 상기 본체부(10)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하이송을 가이드하는 상하이송가이드; 및
    상기 상하이송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로 이송되는 상하이송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30)는,
    상기 상하이동부(20)에 결합되어, 상하로 승강이송되는 제1 회전브래킷;
    상기 제1 회전브래킷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제1 회전축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회전모터; 및
    상기 제1 회전모터의 제1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회전스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이동부(40)는,
    상기 제1 회전부(3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 위치고정브래킷;
    상기 제1 위치고정브래킷의 일방에 고정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는 선형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위치이송모터;
    상기 제1 위치고정브래킷의 타방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시키도록 가이드하는 제1 위치이송가이드; 및
    상기 제1 위치이송가이드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위치이송모터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되는 제1 위치이송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50)는,
    상기 제1 위치이동부(40)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선형이동되는 제2 회전브래킷;
    상기 제2 회전브래킷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제2 회전축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회전모터; 및
    상기 제2 회전모터의 제2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회전스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60)는,
    상기 지지브래킷의 상부에 승강하도록 결합되는 승강브래킷;
    상기 지지브래킷의 상부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브래킷의 양단부위에 압착되어 고정시키는 고정편; 및
    상기 고정편의 일방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편에 고정 압착력을 제공하는 고정엑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브래킷은 양단에 삼각형상으로 절취된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고정홈의 절취부위에 압착되어 고정시키도록 삼각형상으로 돌출된 고정돌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이동부(70)는,
    상기 클램핑부(60)에 고정 결합되는 제2 위치고정브래킷;
    상기 제2 위치고정브래킷의 일방에 결합되어, 상하이송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위치이송엑츄에이터; 및
    상기 제2 위치이송엑츄에이터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이송되는 제2 위치이송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80)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의 고정부위를 기준해서 회전부위의 흔들림을 측정하는 측정센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
KR1020200021158A 2020-02-20 2020-02-20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 KR102365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158A KR102365876B1 (ko) 2020-02-20 2020-02-20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158A KR102365876B1 (ko) 2020-02-20 2020-02-20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235A KR20210106235A (ko) 2021-08-30
KR102365876B1 true KR102365876B1 (ko) 2022-02-22

Family

ID=77502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158A KR102365876B1 (ko) 2020-02-20 2020-02-20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8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050B1 (ko) 2014-02-27 2015-09-03 (주) 암시스 브레이크 디스크 액슬 어셈블리에서의 브레이크 디스크 검사장치
KR101682012B1 (ko) * 2015-08-25 2016-12-02 (주) 암시스 브레이크 디스크 액슬 어셈블리에서의 브레이크 디스크 검사장치
KR102059013B1 (ko) * 2019-07-04 2019-12-24 (주)원종기계 액슬 어셈블리의 토탈 런 아웃 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722B1 (ko) 2008-04-30 2010-10-1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차량용 디스크 조립체의 런아웃 측정장치
KR101060854B1 (ko) 2011-05-12 2011-08-31 최병옥 브레이크 디스크를 포함한 허브의 스플라인 검사장치
KR20130004216U (ko) * 2011-12-29 2013-07-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프로펠러 형상측정장치
KR101808282B1 (ko) 2016-05-11 2017-12-13 엑사전자 주식회사 자동차용 디스크의 평탄도 측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050B1 (ko) 2014-02-27 2015-09-03 (주) 암시스 브레이크 디스크 액슬 어셈블리에서의 브레이크 디스크 검사장치
KR101682012B1 (ko) * 2015-08-25 2016-12-02 (주) 암시스 브레이크 디스크 액슬 어셈블리에서의 브레이크 디스크 검사장치
KR102059013B1 (ko) * 2019-07-04 2019-12-24 (주)원종기계 액슬 어셈블리의 토탈 런 아웃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235A (ko)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122B1 (ko) 상용차량용 휠 허브 측정검사장치
JP2007017292A (ja) ブレーキディスク検査装置
JP2007279058A (ja) タイヤ検査システム用のロードホイール組立体
KR20130084861A (ko)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의 측정장치
JP6752652B2 (ja) 外径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JP5758247B2 (ja) 鉄道車両用台車の組立方法
CN114543721A (zh) 一种刹车盘尺寸检测装置
KR102099399B1 (ko) 내경 측정장치
KR101549050B1 (ko) 브레이크 디스크 액슬 어셈블리에서의 브레이크 디스크 검사장치
KR102365876B1 (ko)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검사장치
CN109211387B (zh) 一种砝码加载控制机构
CN111156941B (zh) 一种车辆刹车片表面全跳动检测装置
US7421795B2 (en) Sapphire alignment fixture
KR101060854B1 (ko) 브레이크 디스크를 포함한 허브의 스플라인 검사장치
KR20140109305A (ko) 타이어 시험기
KR101682012B1 (ko) 브레이크 디스크 액슬 어셈블리에서의 브레이크 디스크 검사장치
KR101814521B1 (ko) 브레이크 패드 검사 장치
CN115112563A (zh) 刹车盘检测设备
CN110476048B (zh) 旋转体载荷测量装置
JPH02213701A (ja) ディスク内径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149428B1 (ko) 액슬 어셈블리 검사장치 및 그 단속식 검사방법
KR20010082406A (ko) 차량 브레이크 디스크/드럼의 디티브이 자동측정 시스템
CN108375479B (zh) 轮胎物理性能检测仪及检测方法
JPH0749369Y2 (ja) 光ディスクのハブ穴径測定装置
CA2516240A1 (en) Slide adjustment system for brake rotor testing gau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