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333A -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333A
KR20200020333A KR1020180095909A KR20180095909A KR20200020333A KR 20200020333 A KR20200020333 A KR 20200020333A KR 1020180095909 A KR1020180095909 A KR 1020180095909A KR 20180095909 A KR20180095909 A KR 20180095909A KR 20200020333 A KR20200020333 A KR 20200020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unit
printing
discharg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1059B1 (ko
Inventor
김종미
Original Assignee
김종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미 filed Critical 김종미
Priority to KR1020180095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059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45Guides for printing material
    • B41J11/005Guides in the printing zone, e.g. guides for preventing contact of conveyed sheets with print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18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in the sheet input section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36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in the output section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4Aprons or guides for the print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65H3/0816Suction grippers separating from the top of p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Installation And Extraction Of Printed Sheets Or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용지에 문양 등을 인쇄하는 인쇄유닛, 적재부에 적재된 용지 중 낱장을 인쇄부로 공급함과 동시에, 인쇄부에서 인쇄완료 된 용지를 배출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구비하여, 인쇄 완료 후, 완료된 인쇄용지를 배출한 후 적재부의 새로운 용지를 인쇄부로 이송시켰던 종래기술에 비하여, 용지 배출 및 공급을 위한 이송에 따른 시간차를 줄임으로서 보다 빠르고 연속적으로 용지에 문양을 인쇄할 수 있는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용지에 문양 등을 인쇄하는 인쇄유닛, 적재부에 적재된 용지 중 낱장을 인쇄부로 공급함과 동시에, 인쇄부에서 인쇄완료 된 용지를 배출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구비하여, 인쇄 완료 후, 완료된 인쇄용지를 배출한 후 적재부의 새로운 용지를 인쇄부로 이송시켰던 종래기술에 비하여, 용지 배출 및 공급을 위한 이송에 따른 시간차를 줄임으로서 보다 빠르고 연속적으로 용지에 문양을 인쇄할 수 있는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장치, 즉 프린터를 통하여 인쇄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적재부로부터 용지를 인쇄부로 공급하고, 인쇄 완료된 용지를 배출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인쇄부에 용지(피인쇄물)를 정위치시켜 인쇄를 진행하였고, 인쇄가 완료되면 다시 사용자는 이 용지를 배출부로 이송시켰으며 이에 따라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등의 문제가 나타나게 되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05-0058972호 "연속 용지용 프린터의 용지 이송 기구 및 연속 용지용프린터"가 있는데,(이하 종래기술1이라 한다.)
상기 종래기술1은 용지 이송 경로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프린터로부터 연속 용지를 배출시키도록 이송하는 배출유닛과, 화상 전사 스테이션에 대하여 상류측에 배치되어 화상 전사 스테이션 쪽으로 연속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유닛, 화상 전사 스테이션과 배출 유닛 사이의 위치에서 연속 용지에 텐션을 가하도록 작동하는 텐션 부여유닛 및 텐션 부여유닛이 연속 용지에 텐션을 가하도록 작동할 때 연속 용지의 이송 방향에서 연속 용지의 변위를 방지하는 변위 방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1은 롤러를 통하여 용지를 공급 및 배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롤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복수장의 용지가 중첩되어 급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지 걸림 등이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용지의 두께가 두꺼우면 롤러사이를 이동하기 어렵고, 용지가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동 경로 상의 곡선이 생겨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00-0051025호 "인쇄기용 요지 이송장치"가 있는데,(이하 종래기술2라 한다.)
상기 종래기술2는 감광매체의 정전잠상 영역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받는 전사롤러와 전사롤러에 접촉회전되면서 그 전사롤러를 가압하는 정착롤러 사이로 화상을 옮겨받기 위한 인쇄용지를 통과시키는 인쇄기용 용지 이송장치에 있어서, 정착롤러를 감싼 채 무한궤도 상태로 주행하면서 그 외측면에 인쇄용지를 흡착한 상태로 전사롤러와 정착롤러 사이로 통과하는 용지이송용 이송벨트와; 이송벨트가 접촉주행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지지롤러와; 지지롤러 중에서 인쇄용지가 물려들어가는 전사롤러와 정착롤러의 입측에 위치된 제1지지롤러와 인쇄용지가 물려나오는 후측에 위치된 제2지지롤러 각각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이송벨트와의 사이로 인쇄용지를 통과시키는 제1 및 제2용지가이드롤러; 및 인쇄용지가 정전기력에 의해 이송벨트에 흡착되어 이송되도록 제1지지롤러와 제2지지롤러 사이의 이송구간에서만 이송벨트에 전압을 유지시켜주는 전압유지수단;을 포함하여, 이송벨트는 전사롤러와의 접촉에 의해 종동주행되면서, 제1용지가이드롤러와의 사이로 가이드된 인쇄용지를 정전기력에 의해 흡착하여 전사롤러와 정착롤러 사이로 통과한 후, 제2용지가이드롤러 사이로 통과시키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2의 경우, 상기 종래기술1과 마찬가지로, 롤러 사이를 용지가 통과함에 따라 이동하는 기술로서, 롤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복수장의 용지가 중첩되어 급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지 걸림 등이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용지의 두께가 두꺼우면 롤러사이를 이동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135531호 "전사지가 자동급지되는 전사인쇄장치"가 있는데,(이하 종래기술3이라 한다.)
상기 종래기술3은 복수장의 전사지(4)가 본체 프레임(12)의 선반(14)에 적재되면 전방 흡착발(16)은 승강운동하며 전사지(4)를 한장씩 들어올리고 후방 흡착발(18)은 전후로 스윙운동하며 전사지(4)를 한장씩 후방으로 밀어내고 배출롤러(20)에 의해 전사지(4)를 이송부(40)로 배출하는 자동급지부(10)와, 원단 공급롤러(8)의 원단(6)이 이송 테이블(42) 상면으로 공급되고 그 위로 자동급지부(10)로부터 배출된 전사지(4)가 일정간격으로 적층되어 이송되는 이송부(40)와, 이송 테이블(42) 상면에 적층된 원단(6)과 전사지(4)를 히팅롤러(56)로 안내한 후 밀착되게 가압하여 전사 인쇄하고 전사지(4)는 전방으로 배출하며 전사인쇄된 원단(6a)은 상측으로 배출하여 자연냉각하는 전사인쇄부(50)로 구성됨으로서, 전사지의 공급을 자동화방식으로 개선하여 불량률을 개선하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3은 용지를 흡착시켜 들어올린 후, 롤러 사이를 관통시킴으로서 용지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인쇄 완료된 용지의 배출이 완료된 후 용지를 급지하여야 새 용지와 인쇄완료 된 용지가 중첩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앞서 종래기술1 및 2와 같이 롤러 사이를 관통함으로서 두께가 두꺼운 용지의 경우에는 이를 관통하기 어려워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등록특허 제10-1703951호 "용지의 낱장 공급 및 배출이 용이한 인쇄장치"가 있는데,(이하 종래기술4라 한다.)
상기 종래기술4는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부와, 인쇄를 하기 위해 놓여지는 인쇄부 및 인쇄 완료된 용지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된 하우징에 용지의 상면을 흡착하는 흡착부재가 복수개로 구비된 용지이송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용지이송유닛을 헤드유닛이 인쇄 완료 후 다시 정위치로 정렬되기 위해 이동하면, 헤드유닛의 이동과 함께 적재부의 용지를 인쇄부로 이송하는 용지공급유닛 및 인쇄부의 인쇄 완료된 용지를 배출부로 이송하는 용지배출유닛으로 구성하여 연속적으로 용지의 낱장 공급 및 배출이 용이한 인쇄장치를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종래기술4는 앞서 종래기술1 내지 3과 달리 롤러를 이용할 필요가 없어 용지의 두께 및 재질에 상관없이 급지가 가능하나,
하나의 용지이송유닛이 인쇄완료된 용지를 배출하고 다시 이동하여 새로운 용지를 인쇄부에 공급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인쇄완료 된 용지를 배출시킨 후 다시 적재부로 이동하여 용지를 흡착시켜 인쇄부로 이송시키는 동작을 위한 시간이 필요하고, 여러장을 인쇄하는 경우, 이러한 짧은 시간들이 모이면 전체적인 인쇄완료 시간이 늘어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용지를 공급, 인쇄 및 배출하는 본체와, 이 본체에 구비되어 용지에 문양을 인쇄하는 인쇄유닛, 용지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이송유닛이 적재부에 구비되는 새 용지를 인쇄부로 이송시킬 때, 동시에 상기 인쇄부에서 인쇄완료 된 용지를 배출부로 이송시킴에 따라 인쇄작업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이송유닛은 인쇄완료 된 용지를 인쇄부에서 배출부로 이송시키는 배출부재와, 적재부의 새 용지를 인쇄부로 이송시키는 공급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급부재가 새 용지를 인쇄부로 이송할 때, 인쇄부의 인쇄완료 된 용지는 배출부재가 배출부로 이송시킴으로서 용지공급과 배출의 동작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인쇄부에는 배출부재의 푸쉬바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가이드홈이 구비되어, 용지의 단부를 푸쉬바가 밀 때 보다 안정적으로 용지의 단부를 측방향에서 밀 수 있도록 하는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적재부에는 에어공급부재를 더 구비하여, 복수장으로 적층된 용지 사이에 공기를 불어넣음에 따라 이들을 분리시켜, 상기 공급부재가 낱장으로 용지를 인쇄부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는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용지가 이송되어 인쇄되는 인쇄부, 인쇄된 용지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인쇄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쇄부에 안착된 용지에 문양을 인쇄하는 인쇄유닛;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부의 용지를 인쇄부로 이송함과 동시에, 상기 인쇄부에서 인쇄완료 된 용지를 배출부로 이송하는 이송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는
본체, 인쇄유닛 및 용지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이송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송유닛이 용지를 공급 및 배출함에 있어, 새 용지를 인쇄부에 공급함과 동시에 인쇄완료 된 용지를 배출부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현하여, 용지의 배출과 공급사이의 시간차를 없애 인쇄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유닛을 새 용지를 공급하는 공급부재와, 인쇄완료 된 용지를 배출하는 배출부재로 구성하되, 이들이 동시에 동작할 수 있도록 구현함에 따라 인쇄유닛이 연속적으로 인쇄작업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총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배출부재는 인쇄완료 된 용지의 일단부를 밀어 배출부로 이송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바, 상기 인쇄부에는 배출부재의 푸쉬바 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가이드홈을 더 구비하여, 용지의 일단 측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밀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적재부에는 에어공급부재를 구비하고 있어, 복수장으로 적층된 용지의 최상부의 용지를 그 아래에 쌓여있는 용지로부터 분리시켜, 공급부재의 흡착판이 낱장의 용지만 흡착할 수 있도록 하여 복주장의 용지가 이송되어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의 롤러를 이용한 방식처럼 용지가 중간에 끼이는 등의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의 배출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의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의 이송유닛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의 이송유닛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의 이송유닛의 동작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D)(이하 '인쇄장치(D)'라 통칭하도록 한다.)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이 본체(10)에 구비되어 용지에 문양, 글씨 등을 인쇄하는 인쇄유닛(20), 새 용지를 공급하고,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위해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용지의 공급부터 배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진방향 및 후진방향을 정하고, 본 명세서에서의 용지는 종이 재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문양을 인쇄하기 위한 다양한 재질로서 그 두께 및 재질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의 문양은 도안, 글씨 등의 다양한 인쇄형상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우선 본 발명의 본체(10)에 대하여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본체(10)는 복수장의 새 용지들이 적층될 수 있는 적재부(11)와, 인쇄유닛(20)에 의해 문양이 인쇄되어지는 인쇄부(12), 인쇄 완료된 용지가 배출되는 배출부(1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적재부(11), 인쇄부(12), 배출부(13)는 용지의 전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구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인쇄유닛(20)은 용지의 상면에 문양을 인쇄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인쇄부(12)내에서 전후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유닛(30)은 용지의 공급 및 배출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적재부(11)부터 인쇄부(12)까지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보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하부에 하부본체(14)가 구비되고, 이 하부본체(14)로부터 상부로 이격되게 상기 적재부(11), 인쇄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쇄하고자 하는 용지의 두께에 따라 높이조절부재(15)에 의해 상기 적재부(11) 또는 인쇄부(12) 또는 이들 모두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상기 본체(10)의 적재부(11)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적재부(11)는 복수장의 용지가 적재되는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복수장의 용지가 놓여질 수 있도록 안착부가 형성된 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적재부(11)의 테두리에는 내측으로 파여진 고정홀(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본체(14)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홀(111)을 관통하여 상향 돌출되는 고정봉(113)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봉(113)은 상기 적재부(11)에 쌓이는 용지의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용지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고정봉(113)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적재부(11)에 있는 복수장의 용지를 정렬할 수 있다.
이송유닛(30)에 의해 적재부(11)에 있는 용지 중 가장 상부의 용지 한 장은 상기 인쇄부(12)로 이송되게 되며, 이 인쇄부(12)에서 용지 상면에 문양을 인쇄하도록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인쇄부(12)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인쇄부(12)는 상기 적재부(11)와 마찬가지로 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적재부(11)에는 전후진 방향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가이드홈(121)이 형성되어 하기 배출부재(31)의 푸쉬바(314)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으며, 적재부(11)에 놓여지는 용지를 흡착 및 고정하기 위한 흡입유닛(40)이 더 구비되게 된다.
우선, 상기 흡입유닛(40)은 상기 인쇄부(12)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흡입공(41)과, 상기 본체(10)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공(41)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펌프, 상기 흡입공(41)과 흡입펌프를 연결하는 흡입관(4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흡입관(43)은 외면에 주름이 형성된 주름관으로 구성됨으로서 상기 인쇄부(12)의 높낮이조절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인쇄부(12)에 용지가 안착되면, 상기 흡입유닛(40)에 의해 용지를 인쇄부(12) 상면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부(12)에 용지가 정위치 안착되어야 인쇄하고자 하는 문양으로 보다 정확하게 인쇄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용지에는 각 테두리 인근에 센서인식마크가 인쇄되고, 후술하는 인쇄유닛(20)에는 이 센서인식마크를 인식하는 센서부가 구비되어, 센서부가 용지의 테두리를 인지하여 자동으로 정확한 위치에 문양을 인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배출부(13)는 상기 인쇄부(12) 전단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하향 경사진 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용지가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낙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부(13)의 각 테두리에는 격벽(131)이 더 구비되어 용지가 낙하될 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배출부(13)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인쇄부(12) 전단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용지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배출부(13)를 선택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쇄유닛(2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인쇄유닛(20)은 상기 인쇄부(12) 상부에 이격 구비되어 인쇄부(12)의 길이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10)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다리부(21)와, 이 한 쌍의 다리부(21)를 연결하는 가이드로드(22), 상기 가이드로드(22)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로드(22)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헤드(2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헤드(23)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각 노즐을 구비한 복수개의 카트리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기 카트리지들은 c,m,y,k 칼라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c,m,y,k 는 탁상 출판을 포함한 다양한 인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색 표시 모델의 하나로 c(cyan), m(magenta), y(yellow), k(black)를 나타내며, 인쇄업계에서는 이를 YMCK 라고도 한다.
보다 정확하게 상기 다리부(21)의 움직임, 즉 상기 인쇄유닛(20)이 상기 인쇄부(12)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기 위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상기 다리부(21)는 상기 본체(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보다 정확하게 상기 하부본체(14)의 양측에 연결되게 되며, 이 때 상기 본체(10)에는 제1 구동부재(25)가 구비되며, 이 제1 구동부재(25)에는 bh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 때 상기 다리부(21)가 상기 제1 벨트(26)에 고정됨으로서 상기 제1 벨트(26)가 회전하면, 상기 제1 벨트(26)를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적재부(11)의 용지를 인쇄부(12)에 안착시키는 동작과, 상기 인쇄부(12)에서 인쇄완료 된 용지를 배출부(13)로 이송하는 동작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본 발명에 구비되어 용지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30)에 의해 해결하고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상기 이송유닛(30)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이송유닛(30)은 상기 적재부(11)와 인쇄부(12)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11)이 구비되고,
이 수직프레임(311)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프레임(311)과 함께 이동하는 한 쌍의 제1 기둥바(311f)와, 상기 한 쌍의 제1 기둥바(311f)를 연결하며, 상기 본체(10) 상면에 이격 구비되는 제1 이동바(312)와, 상기 제1 이동바(312)에 구비되어 용지 단부를 푸쉬하는 푸쉬바(314) 및 상기 푸쉬바(314)의 단부를 승하강시키는 제1 실린더(315)로 이루어지는 배출부재(31)와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311)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기둥바(331)와, 상기 한 쌍의 제2 기둥바(331)를 상호 연결하는 제2 이동바(332), 상기 제2 이동바(332)에 구비되어 용지 상면을 흡착하는 흡착판(334), 상기 흡착판(334)의 단부를 승하강시키는 제2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공급부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배출부재(31)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배출부재(31)는 상기 본체(10) 양측에 구비되어 전후 이동가능하게 동작하는 수직프레임(311)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직프레임(311)에 힌지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기둥바(311f)가 구비되어 있다.
다시 상기 수직프레임(311)을 움직이기 위해, 상기 본체(10)에는 제2 구동부재(35)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제2 구동부재(35)의 단부에 제2 벨트(351)가 구비되며, 이 제2 벨트(351)에 수직프레임(311)이 고정되어 제2 벨트(351)의 동작에 따라 수직프레임(311)이 적재부(11)로부터 인쇄부(12)까지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다시 상기 수직프레임(311)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기둥바(311f)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이동바(3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제1 이동바(312)는 상기 본체(1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이동바(312)에 푸쉬바(314)가 구비되어 인쇄 완료된 용지의 단부를 밀어 배출부(13)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푸쉬바(314)는 단부가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평상시에는 푸쉬바(314)의 단부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다, 상기 이송유닛(30)이 전진하면, 상기 푸쉬바(314)의 단부가 하강하여 상기 가이드홈(121)에 끼워짐으로서, 인쇄부(12)의 용지 단부를 측방향에서 밀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기둥바(311f)는 수직프레임(311)에 제1 힌지부(311a)를 통하여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프레임에는 상기 제1 기둥바(311f)를 힌지운동시키기 위한 제1 실린더(315)가 더 구비되어 프로그램에 의해 제1 실린더(315)가 동작하여 자동으로 제1 기둥바(311f)가 힌지운동하며, 이와 함께 제1 이동바(312)가 함께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푸쉬바(314)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푸쉬바(314)는 상기 제1 이동바(312)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이동바(312)로부터 전진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 수평바(314a)와, 상기 수평바(314a)로부터 하향 절곡된 절곡가압바(314b)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이동바(312)가 힌지운동을 하면, 시소운동효과로 인하여, 상기 푸쉬바(314)의 단부, 즉 상기 절곡가압바(314b)의 단부는 위아래로 승하강 운동을 하게 되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이동바(312) 자체가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운동 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즉, 상기 이송유닛(30)이 전진하면, 상기 제1 실린더(315)가 동작하여 상기 푸쉬바(314)의 단부를 하강시키고, 하강된 푸쉬바(314)의 단부는 상기 가이드홈(121)에 끼워져 가이드홈(121) 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전진하게 되는데, 이를 통하여 인쇄부(12) 상면에 놓여 있는 용지의 일단을 측방향에서 밀어냄에 따라 용지를 배출부(13)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상기 인쇄부(12)에서는 흡입유닛(40)의 동작이 멈추도록 하여 용지가 자연스럽게 배출부(13)로 이송될 수 있으며,
만약 가이드홈(121)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푸쉬바(314) 단부가 마모되거나 용지가 너무 얇으면 용지가 인쇄부(12)에 밀착되어 있어 푸쉬바(314)가 용지 단부를 측방향에서 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가이드홈(121)의 구성은 꼭 필요한 구성에 해당될 수 있다.
다시, 상기 이송유닛(30)은 배출부재(31)를 통하여 인쇄 완료 된 용지를 밀어냄과 동시에, 새 용지를 적재부(11)로부터 인쇄부(12)로 이송시키게 되는데, 이는 공급부재(33)의 동작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재(33)는 상기 수직프레임(311)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기둥바(331)와, 이 한 쌍의 제2 기둥바(331)를 상호 연결하는 제2 이동바(332), 이 제2 이동바(332)에 구비되어 용지의 상면을 흡착하는 흡착판(3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기둥바(331)는 수직프레임(311) 내측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제2 기둥바를 상호 연결하는 제2 이동바(332)는 상기 제1 이동바(312) 하단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게 되며, 이 제2 이동바(332)에 흡착판(334)이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착판(334)은 상기 제2 이동바(33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바(334a)에 의해 제2 이동바(332)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돌출바(334a)의 단부에 흡착판(334)이 구비되어, 흡착판(334)이 상하 이동함에 따라 용지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이송유닛(30)이 전진하면, 우선 상기 푸쉬바(314)가 먼저 상기 인쇄부(12)에 놓여져 있는 용지를 밀어내야 함으로서, 상기 푸쉬바(314)가 상기 돌출바(334a)보다 더 전진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시 상기 흡착판(334)은 상기 푸쉬바(314)와 같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기둥바(331)에는 제2 실린더가 고정 구비되며, 상기 제2 실린더의 단부가 상기 제2 이동바(332)에 연결되어, 실린더의 인입동작에 의해 제2 기둥바(331)가 힌지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기둥바(331)는 수직프레임(331)에 제2 힌지부(331a)를 통하여 힌지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물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이동바(332)가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새 용지를 적재부(11)로부터 인쇄부(12)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인쇄부(12)의 용지를 배출부(13)로 이송시키는데,
이송유닛(30)의 움직임을 통하여 그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이송유닛(30)이 상기 적재부(11) 상단에 위치하면,(이 때 상기 흡착판(334)과 푸쉬바(314)는 들어올려져 있는 상태이다.) 상기 흡착판(334)가 하강하여 적재부(11) 내의 용지 상면을 흡착시키고, 다시 흡착판(334)이 상승하여 낱장의 용지를 들어올린 채, 상기 이송유닛(30)은 인쇄부(12)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인쇄부(12) 방향으로 전진하면, 상기 푸쉬바(314)는 하강하여 상기 가이드홈(121)에 내삽되고, 내삽된 상태를 유지한 채 이송유닛(30)이 전진하면 인쇄부(12)에 있던 용지를 배출부(13)로 밀게 된다.
이 때 상기 흡착판(334)은 용지를 들어올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상기 푸쉬바(314)가 인쇄부(12)의 전단부에 위치하면, 상기 흡착판(334)에의해 이송되는 용지가 인쇄부(12)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용지가 위치하면, 상기 흡착판(334)은 하강하여 용지를 내려놓고, 이 때 상기 푸쉬바(314)는 상승하며, 흡입유닛(40)이 동작하여 용지를 인쇄부(12)에 고정한 채, 이송유닛(30)은 다시 후진하여 적재부(11)로 이동한다.
이렇게 이동할 때 상기 인쇄유닛(20)은 동작하여 인쇄부(12)의 용지에 문양을 인쇄하며, 인쇄가 완료되면, 다시 동일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서 용지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흡착판(334)은 공기를 흡입하여 용지의 상면을 들어올리는 것으로서, 별도의 에어펌프가 더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와 같은 흡착판(334)의 동작에 있어서, 적재부(11)에 다층으로 쌓여있는 용지를 흡착할 때, 복수장의 용지가 흡착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적재부(11) 후단에 에어공급부재(115)를 더 구비하여 용지를 낱장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적재부(11) 후단에는 우선 적재된 용지의 상면을 가압하며, 공기를 흡입하여 용지의 후단면을 들어올릴 수 있는 가압흡입부재(117)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적재된 용지들 사이로 공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에어공급부재(115)가 함께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흡입판이 하강하여 용지의 전단 상부면을 들어올리면, 상기 가압흡입부재(117)가 용지의 후단면을 함께 들어올리고, 이 때 에어공급부재(115)가 공기를 전방 방향으로 쏘게 되면, 적재된 용지들 사이에 공기가 유입되면, 용지들 사이의 밀착력을 저하시켜, 가장 최상부면에 상기 흡착판(334)과 가압흡입부재(117)에 의해 밀착된 용지를 제외하고 나머지 용지들이 낙하될 수 있도록 하며, 이렇게 낱장으로 용지가 분리되면, 후단에 위치한 가압흡입부재(117)의 흡입력이 제거되어 흡입판이 용지의 전단 상부면만 들어올린 채 이송할 수 있게 되므로서 용지의 낱장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 : 인쇄장치 10 : 본체
11 : 적재부 111 : 고정홀
113 : 고정봉 115 : 에어공급부재
117 : 가압흡입부재 12 : 인쇄부
121 : 가이드홈 13 : 배출부
131 : 격벽 14 : 하부본체
15 : 높이조절부재 20 : 인쇄유닛
21 : 다리부 22 : 가이드로드
23 : 헤드 25 : 제1 구동부재
26 : 제1 벨트 30 : 이송유닛
31 : 배출부재 311 : 수직프레임
311f : 제1 기둥바
311a : 제1 힌지부 312 : 제1 이동바
314 : 푸쉬바 314a : 수평바
314b : 절곡바 315 : 제1 실린더
33 : 공급부재 331 : 제2 기둥바
331a : 제2 힌지부 332 : 제2 이동바
334 ; 흡착판 334a : 돌출바
35 : 제2 구동부재 351 : 제2 벨트
40 : 흡입유닛 41 : 흡입공
43 : 흡입관

Claims (4)

  1.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용지가 이송되어 인쇄되는 인쇄부, 인쇄된 용지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인쇄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쇄부에 안착된 용지에 문양을 인쇄하는 인쇄유닛;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부의 용지를 인쇄부로 이송함과 동시에, 상기 인쇄부에서 인쇄완료 된 용지를 배출부로 이송하는 이송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적재부와 인쇄부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 양측에 한 쌍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기둥바와, 상기 한 쌍의 제1 기둥바를 연결하며, 상기 본체 상면에 이격 구비되는 제1 이동바와, 상기 제1 이동바에 구비되어 용지 단부를 푸쉬하는 푸쉬바 및 상기 푸쉬바의 단부를 승하강시키는 제1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배출부재와
    상기 수직프레임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기둥바와, 상기 한 쌍의 제2 기둥바를 상호 연결하는 제2 이동바, 상기 제2 이동바에 구비되어 용지 상면을 흡착하는 흡착판, 상기 흡착판의 단부를 승하강시키는 제2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공급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흡착판이 적재부에 적재된 용지를 흡착하여 인쇄부로 이송하면, 상기 푸쉬바가 상기 인쇄부의 인쇄완료 된 용지 단부를 밀어 배출부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부에는 상기 푸쉬바의 단부가 하강하면 상기 푸쉬바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가이드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에는
    상기 적재부의 적재된 용지 사이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복수장의 용지 중 최상부의 용지를 그 아래 적재된 용지들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흡착판이 최상단의 용지만 낱장으로 흡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
KR1020180095909A 2018-08-17 2018-08-17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 KR102211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909A KR102211059B1 (ko) 2018-08-17 2018-08-17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909A KR102211059B1 (ko) 2018-08-17 2018-08-17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333A true KR20200020333A (ko) 2020-02-26
KR102211059B1 KR102211059B1 (ko) 2021-02-02

Family

ID=69637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909A KR102211059B1 (ko) 2018-08-17 2018-08-17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0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246B1 (ko) * 2021-09-07 2022-01-04 주식회사 핌테크 대상 출력물 맞춤형 산업용 프린터
KR102461323B1 (ko) * 2022-03-31 2022-10-28 이신영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951B1 (ko) * 2015-08-25 2017-02-08 김종미 용지의 낱장 공급 및 배출이 용이한 인쇄장치
KR200482860Y1 (ko) * 2016-04-07 2017-03-09 박정 펀칭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951B1 (ko) * 2015-08-25 2017-02-08 김종미 용지의 낱장 공급 및 배출이 용이한 인쇄장치
KR200482860Y1 (ko) * 2016-04-07 2017-03-09 박정 펀칭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246B1 (ko) * 2021-09-07 2022-01-04 주식회사 핌테크 대상 출력물 맞춤형 산업용 프린터
KR102461323B1 (ko) * 2022-03-31 2022-10-28 이신영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059B1 (ko)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14104A (zh) 丝网印刷输送装置、单张丝网印刷机及同步输送方法
CA2591453A1 (en)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stacks of flat elements
JP5877169B2 (ja)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WO2016207977A1 (ja) ブックブロック形成装置
US20190381682A1 (en) Cutting Machine for Cutting Sheets of Cardboard, Paper or the Like and Digital Printing Line
KR20200020333A (ko)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
CN214779499U (zh) 一种高稳定性上料的印刷机
EP2106916B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KR101703951B1 (ko) 용지의 낱장 공급 및 배출이 용이한 인쇄장치
JP2005041688A (ja) 印刷技術的な機械を通じて枚葉紙を搬送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JP4317087B2 (ja) シート状物排出装置
JP4122282B2 (ja) 給紙装置
JP4379353B2 (ja) 画像形成装置
US10202247B2 (en) Separator for book blocks
CN108556458B (zh) 一种双版计算机直接制版机及其操作方法
JP5361423B2 (ja) 画像記録装置
JP4130618B2 (ja) 画像形成装置用給紙装置
JP2016216210A (ja) 金属製の枚葉シートのフィード装置
JP5208663B2 (ja) 画像形成装置用給紙装置
CN217076467U (zh) 印刷品补入纸张用设备
JP2019031021A (ja) 段ボールシート用インクジェット印刷機
US2915310A (en) Apparatus for feeding flat stock
JP2023012031A (ja) 用紙搬送装置
GB230358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books
JP200202001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