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323B1 -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323B1
KR102461323B1 KR1020220040492A KR20220040492A KR102461323B1 KR 102461323 B1 KR102461323 B1 KR 102461323B1 KR 1020220040492 A KR1020220040492 A KR 1020220040492A KR 20220040492 A KR20220040492 A KR 20220040492A KR 102461323 B1 KR102461323 B1 KR 102461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division
unit
divided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신영
Original Assignee
이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신영 filed Critical 이신영
Priority to KR1020220040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3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by elements, e.g. fingers, plates, rollers, inserted or traversed between articles to be separated and remainder of the pile
    • B65H3/32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by elements, e.g. fingers, plates, rollers, inserted or traversed between articles to be separated and remainder of the pile for separating a part of the pile, i.e. several articles at o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48Air blast acting on edges of, or und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assisting separation or preventing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2Cutting partially, e.g.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48Bookb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는, 제본 대상물에 천공을 형성하기 위한 펀칭을 용이하게 구현하도록, 적층된 용지를 분할하여 펀칭기로 이동시키는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에 있어서, 제본 대상물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안착선반부, 상기 안착선반부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중공에 위치한 채, 상기 안착선반부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위치이동부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안착선반부의 상부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안착선반부에 안착된 제본 대상물을 분할하여 상기 안착선반부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된 펀칭기로 이동시키는 용지분할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분할이송부는, 적층된 용지를 파고들어 분할하는 분할유닛 및 상기 분할유닛에 장착되어, 상기 분할유닛의 적층된 용지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Paper transport apparatus for binding-boring machine}
본 발명은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제본 대상물에 천공을 형성하기 위한 펀칭을 용이하게 구현하도록, 적층된 용지를 분할하여 펀칭기로 이동시키는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 책, 앨범 등 제본 대상물은 내용에 따라 제작 두께가 서로 다르고, 이들을 제본하기 위해서는 인쇄하여 나오는 겉표지 또는 속지를 이동과정에서 자동으로 결속구멍을 펀칭하거나, 인쇄 내용별로 각각 구분하여 결속구멍을 펀칭한 후 이들을 단위 제본 대상물로 합하고 합쳐진 단위 제본 대상물에 천공된 결속구멍으로 스프링을 끼워 제본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의 제본은 나선형 강선을 제본 대상물에 천공된 결속구멍의 한쪽 끝에서 돌려 끼우는 원링방식 또는 "C" 형상을 이루도록 강선을 밴딩한 고리를 제본 대상물에 천공된 결속구멍의 위아래로 맞물리게 끼운 후 가압 고정하는 트윈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3044호(2003.02.06. 공고) 노트의 제본공 천공기는 낱장을 이동시켜 펀칭한 후 회수하는 장치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52840호(2005.06.07. 공개) 캘린더 자동 제본방법 및 장치는 7~15장의 낱장을 합하여 낱장 뭉치를 만들고 이 낱장 뭉치를 펀칭하는 장치이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748993호(2007.08.13. 공고) 바인더 기능이 구비된 천공기는 천공기에 바인더 기능을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천공기로 천공작업과 스프링으로 철하는 바인더 기능을 연이어 진행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상기 장치들은 낱장 또는 낱장 뭉치에 제본용 결속구멍을 천공한 후 낱장 또는 낱장 뭉치를 단위 제본 대상물로 합하면서 스프링 제본이 이루어지도록 펀칭된 결속구멍을 일치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므로 공정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낱장 또는 낱장 묶음이 아닌 단위 제본 대상물을 파지하여 이동시켜 결속구멍을 펀칭한 후 결속구멍이 일치된 상태에서 스프링 제본이 연이어 이루어지도록 하는 펀칭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87221호
본 발명의 목적은, 노트, 책, 앨범 등의 제본 대상물을 다수 분할한 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펀칭하기 위한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는, 제본 대상물에 천공을 형성하기 위한 펀칭을 용이하게 구현하도록, 적층된 용지를 분할하여 펀칭기로 이동시키는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에 있어서, 제본 대상물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안착선반부, 상기 안착선반부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중공에 위치한 채, 상기 안착선반부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위치이동부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안착선반부의 상부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안착선반부에 안착된 제본 대상물을 분할하여 상기 안착선반부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된 펀칭기로 이동시키는 용지분할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분할이송부는, 적층된 용지를 파고들어 분할하는 분할유닛 및 상기 분할유닛에 장착되어, 상기 분할유닛의 적층된 용지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의 상기 위치이동부는,상기 안착선반부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안착선반부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메인이동부 및 상기 메인이동부에 장착된 채, 상기 메인이동부를 기준으로 상기 안착선반부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복수의 분할이동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분할유닛은,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분할부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분사유닛은, 상기 복수의 분할부에 평행하게 장착되어 전방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에어분사부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분할이동유닛을 구성하는 각각의 분할이동유닛은, 상기 복수의 분할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분할부와 일대일 연결되어, 각각의 분할부가 독립적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의 상기 분할유닛은, 상기 메인이동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안착선반부 상의 적층된 용지로 삽입되며,적층된 용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분할이동유닛에 의해, 상측에 배치된 분할부를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폭방향으로 이동되어, 분할된 용지를 상기 펀칭기로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의 상기 복수의 분할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분할부는, 전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적층된 용지 사이를 파고드는 전단부, 상기 전단부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바(bar) 형상의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연결되되, 상기 받침부의 상면을 압박하는 탄성력으로 상기 받침부의 상측으로 이동된 용지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받침부와의 사이에 용지가 종속되도록 하는 가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의 상기 전단부는, 전단의 꼭지점으로부터 하향 경사진 모서리와, 모서리로부터 상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는, 일측은 상기 받침부의 상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삽입된 용지에 의해 고정된 고정단을 기준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자유단과의 사이에 삽입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자유단의 끝단은,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를 따라 이동되는 분할된 용지의 상기 삽입 공간으로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분할부는, 적층된 용지에 삽입되는 경우, 분할된 용지의 하단부는 상기 받침부에 지지되고 상단부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어, 분할된 용지를 그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의 상기 자유단의 끝단은 상기 전단부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전단부의 적층된 용지로의 삽입 시, 상기 가압부에 의한 용지 분할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하며, 상기 전단부에 의해 분할된 용지는 상기 받침부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는 중에, 상기 삽입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의 상기 복수의 에어분사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에어분사부는, 장착되는 분할부의 받침부 내측 벽면에 장착되며, 끝단은 분할부의 전단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받침부의 종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분할부의 적층된 용지로의 삽입 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의 상기 복수의 분할부는, 하측에 배치된 분할부로부터 상측의 분할부로 갈수록 전단부의 끝단이 후방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이동부에 의한 적층된 용지로의 삽입 시, 하측에 배치된 분할부를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의 상기 분할유닛은, 제1 분할부, 상기 제1 분할부의 대각 방향 상측에 배치되는 제2 분할부, 상기 제2 분할부의 대각 방향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분할부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제3 분할부, 상기 제3 분할부의 대각 방향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2 분할부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제4 분할부, 상기 제4 분할부의 대각 방향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3 분할부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제5 분할부 및 상기 제5 분할부의 대각 방향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4 분할부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제6 분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분할부는, 전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적층된 용지의 저면을 지지하는 삽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의 상기 에어분사유닛은, 상기 제1 분할부의 내측 벽면에 장착되는 제1 에어분사부, 상기 제2 분할부의 내측 벽면에 장착되는 제2 에어분사부, 상기 제3 분할부의 내측 벽면에 장착되는 제3 에어분사부, 상기 제4 분할부의 내측 벽면에 장착되는 제4 에어분사부 및 상기 제5 분할부의 내측 벽면에 장착되는 제5 에어분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6 분할부에는 에어분사부가 장착되지 않아, 적층된 용지가 분사된 에어에 의해 비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의 상기 위치이동부는,상기 안착선반부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이동부에 연결된 채, 상기 메인이동부에 의해 상기 안착선반부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복수의 분할이동유닛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폭방향이동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분할이동유닛은, 상기 폭방향이동부에 장착되며,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신축되는 복수의 신축부 및 상기 복수의 신축부의 끝단에 연결된 채, 상기 안착선반부의 중공을 통과하여 상기 안착선반부의 상부측으로 노출되는 복수의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연장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연장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분할부와 일대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의 상기 복수의 연장부는, 높이를 달리하는 바(bar) 형상의 연장부가 좌우로 나뉘어 포개진 채, 각각의 연장부의 측면이 상기 복수의 신축부를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각각의 연장부 상측단에는 단수개의 분할부가 장착되고, 어느 일측에 배치된 연장부 상측단의 높이 방향으로의 중첩이 용이하도록, 동일측에 배치된 연장부는 상측단이 타측으로 기울도록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의 상기 안착선반부는,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사각틀을 형성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 테두리가 형성하는 공간에 장착된 채, 상측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 안착틀 및 제2 안착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안착틀과 상기 제2 안착틀의 이격공간은, 상기 안착선반부의 중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의 상기 위치이동부는,상기 폭방향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안착선반부의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길이방향이동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길이방향이동부는, 상기 제1 안착틀과 상기 제2 안착틀에 의해 위치가 바뀐 상기 안착선반부의 중공에 따라 상기 폭방향이동부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본 대상물이 다양한 두께로 제작하여도 낱장 묶음으로 분할하여 파지한 후 순차적으로 펀칭기로 이동시켜 펀치핀으로 결속구멍을 천공하므로 펀칭기의 펀치핀 손상 방지가 가능하여 장치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의 용지분할이송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의 위치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의 용지분할이송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의 안착선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1)는, 제본 대상물에 천공을 형성하기 위한 펀칭을 용이하게 구현하도록, 적층된 용지(S)를 분할하여 펀칭기(P)로 이동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1)는 안착선반부(10), 위치이동부(20) 및 용지분할이송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선반부(10)는, 제본 대상물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일정 높이에 평면을 제공하는 일종의 선반이다. 여기서, 제본 대상물이란 낱장의 용지가 적층되어 노트 또는 책을 구성하는 종이의 묶음이다.
상기 안착선반부(10)에는 안착된 제본 대상물이 지지된 채, 위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제1 가이드판(G1) 및 제2 가이드판(G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판(G1)과 제2 가이드판(G2)에 제본 대상물의 길이방향 일측 및 폭방향 일측이 맞닿아 낱장의 용지 테두리가 가지런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선반부(10)의 일측에는 제본 대상물에 천공을 내기 위한 펀칭기(P)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20)는, 상기 안착선반부(10)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중공(H)에 위치한 채, 상기 안착선반부(10)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중공(H)은 도 7을 참조로 설명할 제1 안착틀(13)과 제2 안착틀(15) 사이의 공간에 의해 규정된다.
상기 용지분할이송부(30)는, 상기 위치이동부(20)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안착선반부(10)의 상부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안착선반부(10)에 안착된 제본 대상물을 분할하여 상기 안착선반부(10)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된 펀칭기(P)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본 대상물의 분할이라 함은 적층된 용지(S)를 일정 두께의 묶음으로 나누어 펀칭기(P)에 의한 펀칭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용지 나눔 작업이다.
상기 용지분할이송부(30)는 분할유닛(30a) 및 에어분사유닛(30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할유닛(30a)은, 적층된 용지(S)를 파고들어 분할할 수 있으며, 상기 에어분사유닛(30b)은, 상기 분할유닛(30a)에 장착되어, 상기 분할유닛(30a)의 적층된 용지(S)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전방을 향해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할유닛(30a)이 적층된 용지(S) 사이를 파고들 때, 용지의 테두리를 가압하여, 용지가 밀려나 구겨지는 현상이 드물게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고자 상기 분할유닛(30a)의 삽입 시, 나란하게 배치된 에어분사유닛(30b)에 의해 용지 사이로 파고드는 상기 분할유닛(30a)의 파고드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여, 용지를 물고 파고드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부(20)는 메인이동부(21) 및 복수의 분할이동유닛(2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인이동부(21)는, 상기 안착선반부(10)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안착선반부(10)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할이동유닛(23)은, 상기 메인이동부(21)에 장착된 채, 상기 메인이동부(21)를 기준으로 상기 안착선반부(10)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의 용지분할이송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의 위치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의 용지분할이송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1)의 상기 분할유닛(30a)은,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분할부(31)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된 복수의 분할부(31)는 적층된 용지(S)로의 삽입 시, 삽입 부재의 밀집도를 높여, 용지 분할이 정확하게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만약, 복수의 분할부(31)가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된 구조가 아닌 한방향으로 배열된 계단식 구조로 형성된다면 삽입 부재 간의 이격 거리가 멀어 용지가 자중에 의해 겹쳐진 상태로 복수의 분할 부재에 의한 분할 효과를 내기 어렵다. 또한, 복수의 분할부(31)가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된 구조가 아닌 높이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된다면 복수의 분할 부재의 두께 때문에 원하는 분할개수를 맞출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분할 부재의 두께만큼의 공간이 비어 있게 되어 용지의 그립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복수의 분할부(31)를 높이방향으로 적층하되,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여 삽입 부재의 밀집도를 높임과 동시에 상호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분할유닛(30a)에 의한 용지 분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전방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유닛(30b)을 구비하여,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용지 테두리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에어분사유닛(30b)은, 상기 복수의 분할부(31)에 평행하게 장착되어 전방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에어분사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1)의 상기 분할유닛(30a)은 상기 메인이동부(21)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안착선반부(10) 상의 적층된 용지(S)로 삽입되며, 적층된 용지(S)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분할이동유닛(23)에 의해, 상측에 배치된 분할부(31)를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폭방향으로 이동되어, 분할된 용지를 상기 펀칭기(P)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할부(31)를 구성하는 각각의 분할부(31)는 전단부(311), 받침부(313) 및 가압부(3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단부(311)는, 전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적층된 용지(S) 사이를 파고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단부(311)는, 전단의 꼭지점으로부터 하향 경사진 모서리(311a)와, 모서리(311a)로부터 상향 경사진 경사면(311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적층된 용지(S)로 삽입 시, 먼저 전단의 꼭지점이 용지 사이로 파고들고, 분할된 용지는 전단의 꼭지점을 시작으로 경사면(311b)을 타고 올라가 받침부(313)로 이동된다.
상기 받침부(313)는, 상기 전단부(311)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15)는, 상기 받침부(313)의 상면에 연결되되, 상기 받침부(313)의 상면을 압박하는 탄성력으로 상기 받침부(313)의 상측으로 이동된 용지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받침부(313)와의 사이에 용지가 종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15)는, 일측은 상기 받침부(313)의 상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자유단(315b)으로 형성되어 삽입된 용지에 의해 고정된 고정단(315a)을 기준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313)는, 상기 자유단(315b)과의 사이에 삽입 공간(V)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자유단(315b)은 용지가 삽입되기 전에는 상기 받침부(313)의 상면과 밀착되어 있다가, 삽입 공간(V)으로의 용지 삽입에 따라 상기 받침부(313)의 상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삽입된 용지를 상기 받침부(313)의 상면을 향해 가압한다.
또한 이를 위해, 상기 자유단(315b)의 끝단은,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313)를 따라 이동되는 분할된 용지의 상기 삽입 공간(V)으로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315)의 앞부분은 아래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분할부(31)는, 적층된 용지(S)에 삽입되는 경우, 분할된 용지의 하단부는 상기 받침부(313)에 지지되고 상단부는 상기 가압부(315)에 의해 가압되어, 분할된 용지를 그립할 수 있다. 그립된 분할된 용지는 분할부(31)와 연결된 분할이동유닛(23)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며 이 이동에 따라 펀칭기(P)의 하부로 배치된다.
한편, 상기 복수의 에어분사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에어분사부는, 장착되는 분할부(31)의 받침부(313) 내측 벽면에 장착되며, 끝단은 분할부(31)의 전단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받침부(313)의 종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분할부(31)의 적층된 용지(S)로의 삽입 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각의 에어분사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압축된 공기가 분사되는 장치와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분할부(31)는, 하측에 배치된 분할부(31)로부터 상측의 분할부(31)로 갈수록 전단부(311)의 끝단이 후방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이동부(21)에 의한 적층된 용지(S)로의 삽입 시, 하측에 배치된 분할부(31)를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분할유닛(30a)은, 제1 분할부(31a), 상기 제1 분할부(31a)의 대각 방향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분할부(31b), 상기 제2 분할부(31b)의 대각 방향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분할부(31a)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제3 분할부(31c), 상기 제3 분할부(31c)의 대각 방향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2 분할부(31b)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제4 분할부(31d), 상기 제4 분할부(31d)의 대각 방향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3 분할부(31c)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제5 분할부(31e) 및 상기 제5 분할부(31e)의 대각 방향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4 분할부(31d)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제6 분할부(31f)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6 분할부(31f)는, 전단부(311)로부터 연장되어 적층된 용지(S)의 저면을 지지하는 삽입부(3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315)는, 끝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종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에어분사유닛(30b)은, 상기 제2 분할부(31b)의 내측 벽면에 장착되는 제1 에어분사부(33a), 상기 제3 분할부(31c)의 내측 벽면에 장착되는 제2 에어분사부(33b), 상기 제4 분할부(31d)의 내측 벽면에 장착되는 제3 에어분사부(33c), 상기 제5 분할부(31e)의 내측 벽면에 장착되는 제4 에어분사부(33d) 및 상기 제6 분할부(31f)의 내측 벽면에 장착되는 제5 에어분사부(33e)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할부(31a)에는 에어분사부가 장착되지 않아, 적층된 용지(S)의 상부가 분사된 에어에 의해 비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만약, 최상부에 위치한 상기 제1 분할부(31a)에 에어분사부가 장착된다면 분사된 에어에 의해 적층된 용지(S)의 상부가 하방으로 힘을 받게 되고, 이는 분할을 위해 간격을 넓혀야 하는 용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예기치 못한 에어분사부의 구동에 따라 최상단의 용지가 비산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분할부(31a)에는 에어분사부가 장착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1)의 위치이동부(20)는, 상기 안착선반부(10)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이동부(21)에 연결된 채, 상기 메인이동부(21)에 의해 상기 안착선반부(10)의 폭방향(D1)으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복수의 분할이동유닛(23)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폭방향이동부(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할이동유닛(23)을 구성하는 각각의 분할이동유닛(23)은, 상기 복수의 분할부(31)를 구성하는 각각의 분할부(31)와 일대일 연결되어, 각각의 분할부(31)가 독립적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분할이동유닛(23)은, 상기 폭방향이동부(25)에 장착되며,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신축되는 복수의 신축부(231) 및 상기 복수의 신축부(231)의 끝단에 연결된 채, 상기 안착선반부(10)의 중공(H)을 통과하여 상기 안착선반부(10)의 상부측으로 노출되는 복수의 연장부(23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익 복수의 신축부(231)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신축되는 일종의 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장부(235)를 구성하는 각각의 연장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부(31)를 구성하는 각각의 분할부(31)와 일대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장부(235)는, 높이를 달리하는 바(bar) 형상의 연장부가 좌우로 나뉘어 포개진 채, 각각의 연장부의 측면이 상기 복수의 신축부(231)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연장부 상측단에는 단수개의 분할부가 장착되고, 어느 일측에 배치된 연장부 상측단의 높이 방향으로의 중첩이 용이하도록, 동일측에 배치된 연장부는 상측단이 타측으로 기울도록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장부(235)는, 상기 제1 분할부(31a)와 연결되는 제1 연장부(235a), 상기 제2 분할부(31b)와 연결되는 제2 연장부(235b), 상기 제3 분할부(31c)와 연결되는 제3 연장부(235c), 상기 제4 분할부(31d)와 연결되는 제4 연장부(235d), 상기 제5 분할부(31e)와 연결되는 제5 연장부(235e) 및 상기 제6 분할부(31f)와 연결되는 제6 연장부(235f)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신축부(231)는, 상기 제1 연장부(235a)와 연결되는 제1 신축부(231a), 상기 제2 연장부(235b)와 연결되는 제2 신축부(231b), 상기 제3 연장부(235c)와 연결되는 제3 신축부(231c), 상기 제4 연장부(235d)와 연결되는 제4 신축부(231d), 상기 제5 연장부(235e)와 연결되는 제5 신축부(231e) 및 상기 제6 연장부(235f)와 연결되는 제6 신축부(231f)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1)의 구동에 관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안착선반부(10)에 제본 대상물(적층된 용지)이 안착되면 상기 메인이동부(21)에 의해 상기 용지분할이송부(30)가 위치 이동된다. 이 때, 적층된 용지(S) 사이로 사익 분할유닛(30a)이 삽입되어 용지가 분할된다.
다음, 상기 제1 신축부(231a)에 의해 상기 제1 연장부(235a)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연장부(235a) 상의 제1 분할부(31a) 또한 전방으로 이동되며 이 때, 상기 제1 분할부(31a)에 그립된 분할된 용지(S1)가 펀칭기(P)의 하부로 이동된다. 펀칭기(P)의 하부로 이동된 분할된 용지(S1)는 펀칭기(P)에 의해 펀칭되고 이 때 펀칭기(P)의 삽입에 따라 분할된 용지(S1)는 펀칭기(P)의 송곳에 끼워진 채 고정된다.
다음, 상기 제2 신축부(231b)에 의해 상기 제2 연장부(235b)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연장부(235b) 상의 제2 분할부(31b) 또한 정방으로 이동되며 이 때, 상기 제2 분할부(31b)에 그립된 분할된 용지(S2)가 펀칭기(P)의 하부로 이동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펀칭기(P)에 의해 펀칭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3 분할부(31c)에 그립된 분할된 용지(S3), 상기 제4 분할부(31d)에 그립된 분할된 용지(S4), 상기 제5 분할부(31e)에 그립된 분할된 용지(S5) 및 상기 제6 분할부(31f)에 그립된 분할된 용지(S6)가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펀칭기(P)에 펀칭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의 안착선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1)의 안착선반부(1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사각틀을 형성하는 프레임부(11), 상기 프레임부(11)의 상측 테두리가 형성하는 공간에 장착된 채, 상측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 안착틀(13) 및 제2 안착틀(1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틀(13)과 상기 제2 안착틀(15)의 이격공간은, 상기 안착선반부(10)의 중공(H)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안착틀(13)의 테두리 하부에는 물결무늬의 안착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안착틀(13)의 테두리 하부에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부(11)의 내측 모서리(311a)에는 물결무늬의 프레임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안착틀(13)의 상기 프레임부(11)에 대한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안착홈(131)과 상기 프레임홈(111)은 원형 또는 반원형의 홀을 형성한다.
상기 안착홈(131)과 상기 프레임홈(111)이 원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부(17)를 삽입하면, 상기 제1 안착틀(13)의 상기 프레임부(11)에 대한 위치 이동은 제한된다.
사용자는 상기 고정부(17)의 홀로의 삽입 또는 삽입해제에 따라 상기 제1 안착틀(13)의 상기 프레임부(11)에 대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이동부(20)는, 상기 폭방향이동부(25)와 연결되며, 상기 안착선반부(1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길이방향이동부(2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길이방향이동부(27)는, 상기 제1 안착틀(13)과 상기 제2 안착틀(15)에 의해 위치가 바뀐 상기 안착선반부(10)의 중공(H)에 따라 상기 폭방향이동부(25)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
S: 적층된 용지
P: 펀칭기
10: 안착선반부
H: 중공
20: 위치이동부
21: 메인이동부
23: 분할이동유닛
25: 폭방향이동부
27: 길이방향이동부
30: 용지분할이송부
30a: 분할유닛
31: 분할부
30b: 에어분사유닛

Claims (14)

  1. 제본 대상물에 천공을 형성하기 위한 펀칭을 용이하게 구현하도록, 적층된 용지를 분할하여 펀칭기로 이동시키는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에 있어서,
    제본 대상물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안착선반부;
    상기 안착선반부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중공에 위치한 채, 상기 안착선반부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위치이동부의 상측에 연결되어 상기 안착선반부의 상부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안착선반부에 안착된 제본 대상물을 분할하여 상기 안착선반부의 폭방향 일측에 배치된 펀칭기로 이동시키는 용지분할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지분할이송부는,
    적층된 용지를 파고들어 분할하는 분할유닛 및 상기 분할유닛에 장착되어, 상기 분할유닛의 적층된 용지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안착선반부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안착선반부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메인이동부 및
    상기 메인이동부에 장착된 채, 상기 메인이동부를 기준으로 상기 안착선반부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복수의 분할이동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분할유닛은,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분할부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분사유닛은,
    상기 복수의 분할부에 평행하게 장착되어 전방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에어분사부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분할이동유닛을 구성하는 각각의 분할이동유닛은,
    상기 복수의 분할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분할부와 일대일 연결되어, 각각의 분할부가 독립적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복수의 에어분사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에어분사부는,
    장착되는 분할부의 받침부 내측 벽면에 장착되며, 끝단은 분할부의 전단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받침부의 종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분할부의 적층된 용지로의 삽입 시, 간섭을 최소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유닛은,
    상기 메인이동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안착선반부 상의 적층된 용지로 삽입되며,
    적층된 용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분할이동유닛에 의해, 상측에 배치된 분할부를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폭방향으로 이동되어, 분할된 용지를 상기 펀칭기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분할부는,
    전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적층된 용지 사이를 파고드는 전단부, 상기 전단부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바(bar) 형상의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연결되되, 상기 받침부의 상면을 압박하는 탄성력으로 상기 받침부의 상측으로 이동된 용지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받침부와의 사이에 용지가 종속되도록 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부는,
    전단의 꼭지점으로부터 하향 경사진 모서리와, 모서리로부터 상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는,
    일측은 상기 받침부의 상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삽입된 용지에 의해 고정된 고정단을 기준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자유단과의 사이에 삽입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자유단의 끝단은,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를 따라 이동되는 분할된 용지의 상기 삽입 공간으로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분할부는,
    적층된 용지에 삽입되는 경우, 분할된 용지의 하단부는 상기 받침부에 지지되고 상단부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어, 분할된 용지를 그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의 끝단은 상기 전단부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전단부의 적층된 용지로의 삽입 시, 상기 가압부에 의한 용지 분할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하며,
    상기 전단부에 의해 분할된 용지는 상기 받침부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는 중에, 상기 삽입 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부는,
    하측에 배치된 분할부로부터 상측의 분할부로 갈수록 전단부의 끝단이 후방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이동부에 의한 적층된 용지로의 삽입 시, 하측에 배치된 분할부를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유닛은,
    제1 분할부,
    상기 제1 분할부의 대각 방향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분할부,
    상기 제2 분할부의 대각 방향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분할부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제3 분할부,
    상기 제3 분할부의 대각 방향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2 분할부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제4 분할부,
    상기 제4 분할부의 대각 방향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3 분할부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제5 분할부 및
    상기 제5 분할부의 대각 방향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4 분할부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제6 분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6 분할부는,
    전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적층된 용지의 저면을 지지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유닛은,
    상기 제2 분할부의 내측 벽면에 장착되는 제1 에어분사부,
    상기 제3 분할부의 내측 벽면에 장착되는 제2 에어분사부,
    상기 제4 분할부의 내측 벽면에 장착되는 제3 에어분사부,
    상기 제5 분할부의 내측 벽면에 장착되는 제4 에어분사부 및
    상기 제6 분할부의 내측 벽면에 장착되는 제5 에어분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분할부에는 에어분사부가 장착되지 않아, 적층된 용지의 상부가 분사된 에어에 의해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안착선반부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이동부에 연결된 채, 상기 메인이동부에 의해 상기 안착선반부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복수의 분할이동유닛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폭방향이동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분할이동유닛은,
    상기 폭방향이동부에 장착되며,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신축되는 복수의 신축부 및
    상기 복수의 신축부의 끝단에 연결된 채, 상기 안착선반부의 중공을 통과하여 상기 안착선반부의 상부측으로 노출되는 복수의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연장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연장부는,
    상기 복수의 분할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분할부와 일대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장부는,
    높이를 달리하는 바(bar) 형상의 연장부가 좌우로 나뉘어 포개진 채, 각각의 연장부의 측면이 상기 복수의 신축부를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각각의 연장부 상측단에는 단수개의 분할부가 장착되고,
    어느 일측에 배치된 연장부 상측단의 높이 방향으로의 중첩이 용이하도록, 동일측에 배치된 연장부는 상측단이 타측으로 기울도록 비스듬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선반부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사각틀을 형성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 테두리가 형성하는 공간에 장착된 채, 상측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 안착틀 및 제2 안착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안착틀과 상기 제2 안착틀의 이격공간은, 상기 안착선반부의 중공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폭방향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안착선반부의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길이방향이동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길이방향이동부는,
    상기 제1 안착틀과 상기 제2 안착틀에 의해 위치가 바뀐 상기 안착선반부의 중공에 따라 상기 폭방향이동부를 위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
KR1020220040492A 2022-03-31 2022-03-31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 KR102461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492A KR102461323B1 (ko) 2022-03-31 2022-03-31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492A KR102461323B1 (ko) 2022-03-31 2022-03-31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323B1 true KR102461323B1 (ko) 2022-10-28

Family

ID=8383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492A KR102461323B1 (ko) 2022-03-31 2022-03-31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32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9017A (ja) * 1994-08-17 1996-03-05 Toppan Printing Co Ltd 製本用オートローダ
KR100587221B1 (ko) 2006-01-31 2006-06-08 이금석 제본기
KR20110002401U (ko) * 2009-09-02 2011-03-09 김남호 트윈스프링 체결장치의 제본완료물 겉지 분리장치
KR101465065B1 (ko) * 2014-07-09 2014-11-27 이신영 스프링 노트용 천공장치
KR101703951B1 (ko) * 2015-08-25 2017-02-08 김종미 용지의 낱장 공급 및 배출이 용이한 인쇄장치
KR20180000045A (ko) * 2016-06-21 2018-01-02 김삼현 다공성 용지가 적용되는 옵쇄 인쇄장치
KR20200020333A (ko) * 2018-08-17 2020-02-26 김종미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9017A (ja) * 1994-08-17 1996-03-05 Toppan Printing Co Ltd 製本用オートローダ
KR100587221B1 (ko) 2006-01-31 2006-06-08 이금석 제본기
KR20110002401U (ko) * 2009-09-02 2011-03-09 김남호 트윈스프링 체결장치의 제본완료물 겉지 분리장치
KR101465065B1 (ko) * 2014-07-09 2014-11-27 이신영 스프링 노트용 천공장치
KR101703951B1 (ko) * 2015-08-25 2017-02-08 김종미 용지의 낱장 공급 및 배출이 용이한 인쇄장치
KR20180000045A (ko) * 2016-06-21 2018-01-02 김삼현 다공성 용지가 적용되는 옵쇄 인쇄장치
KR20200020333A (ko) * 2018-08-17 2020-02-26 김종미 새 용지의 공급과 인쇄완료 된 용지의 배출을 동시에 동작하는 인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6632B2 (en) Method and device to produce printed items
US6363851B1 (en) Process for producing folded, bound printed products, and the printed product produced
CA2214896C (en) Method of folding a signature for use in bookbinding
CN100513278C (zh) 冲裁或压制装置及其续纸器
EP0537145A1 (en) METHOD FOR PRODUCING PRINTED PACKS IN LARGE PIECES.
KR102461323B1 (ko) 제본기용 용지 이송장치
JP4290176B2 (ja) 小用紙類を折込み挿入した中綴じ冊子本の作成方法
US823066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ducing embossed promotional cards
JP3813443B2 (ja) ステープルで留め合わされる印刷物または他の書物にサムタブインデックスをつくるための丁合い綴機およびその方法。
KR102559504B1 (ko) 제본기용 용지 펀칭시스템
US8960659B2 (en) Method for producing printed products consisting of at least three sub-products
EP1834804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legen eines Umschlags
US7571861B2 (en) Embossing systems and methods
JPS62259798A (ja) 条片状材料に互いに入り組んで配列された有用個片パイルを切り離す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6705772B2 (ja) 紙葉束の抽出方法
KR200497765Y1 (ko) 천공기
US20100322701A1 (en) Novel modification of plastic lay-flat binding comb
KR102301169B1 (ko) 절취선 형성을 위한 제본용 접지 장치
JP3024764U (ja) 複数冊分が連続した未断裁状態の長綴本の構造
ITMI20000594A1 (it) Dispositivo per la rilegatura automatica di fascicoli di spessore radiabile
JPH10279171A (ja) 枚葉中綴じ製本装置
JPH1111041A (ja) 枚葉中綴じ印刷物並びに枚葉中綴じ製本方法及び枚葉中綴じ製本装置
CN202986428U (zh) 可组合式装订条
JPH11157246A (ja) 枚葉中綴じ方法及び装置
JP2006095752A (ja) 紙葉類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