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372A - 물체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물체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372A
KR20200019372A KR1020180094804A KR20180094804A KR20200019372A KR 20200019372 A KR20200019372 A KR 20200019372A KR 1020180094804 A KR1020180094804 A KR 1020180094804A KR 20180094804 A KR20180094804 A KR 20180094804A KR 20200019372 A KR20200019372 A KR 20200019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unit
wheel
driving uni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9210B1 (ko
Inventor
김병기
김수영
Original Assignee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4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210B1/ko
Publication of KR20200019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Roller driving means having endless dr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58Weight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ipulator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 이송 장치는,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부에 놓인 물체를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구동 플레이트는, 바닥면에 실장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중심에 구비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주변둘레에 배치되어,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체 및 구동부와 구동체를 연결하는 벨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물체 이송 장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물체 이송 장치{Object 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물체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체, 예컨대 폭발의 위험성이 있는 위험물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물체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체 이송 장치는 다양한 물건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물체 이송 장치부터 포장재를 이송 시키기 위한 장치, 조립 공정과정에서 물체를 다음 단계의 조립을 위해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포탄이나 유독 물질 등이 실려있는 폭발 위험물이 이송은 폭발의 위험성이나 운송과정에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인력이 직접 또는 폭발 위험물이 실려 있는 운반체를 이용하여 인력이 수동으로 이송할 수 밖에 없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인력이 직접 폭발 위험물을 이송하는 경우 순간의 실수나 운송 과정에서 불의의 사고 등이 발생되는 경우 이에 대한 대처가 어려우며, 인사사고 뿐만 아니라 폭발에 따른 2차 위험성까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폭발 위험물을 이송하는 경우, 이송과정에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물체 이송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732299호 (2017.04.2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포탄이나 유독 물질이 실려있는 위험물을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으며, 안전한 수평이동을 통해 입출고 장소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물체 이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 이송 장치는,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부에 놓인 물체를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는, 상기 바닥면에 실장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에 구비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주변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체;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구동체를 연결하는 벨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조향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체는 상기 구동부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체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실장되고, 상기 벨트에 맞물려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벨트 방향에 대응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 몸체; 및 상기 회전체 내측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표면에서 상측으로 소정 돌출되며, 상기 회전 몸체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휠 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체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휠; 및 상기 휠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인휠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 상에 놓여 이동되는 상기 물체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부가 더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물체 이송 장치는, 바닥면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복수개의 이송부 상에서 위험물이 수평하게 어느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송부 상측에서 물체의 수평의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입출고 장소로의 이송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 이송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 이송 장치의 일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 이송 장치의 구동 플레이트에서 구동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 이송 장치에서 구동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 이송 장치에서 물체 이송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 이송 장치에서 바닥면에 설치된 구동 플레이트 및 이에 따른 물체 이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일부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11) 이송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11) 이송 장치(10)의 일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11) 이송 장치(10)는 구동 플레이트(10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플레이트(100)는 바닥면(12)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플레이트(100)의 상부에는 포탄과 같은 폭발물이나 유독 물질과 같은 위험성이 높인 물체(11)가 놓일 수 있다. 상기 구동 플레이트(100)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 플레이트(100)의 상부에 놓인 물체(11)는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은 도면에 표시된 X축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X축의 반대 방향이거나, 또는 수직한 방향 또는, X축 방향과 Y축 방향 사이의 사선 방향일 수 있는 등, 상기 구동 플레이트(100)의 구동에 따라 얼마든지 이동 방향이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구동 플레이트(100)는 베이스부(110), 구동부(120), 구동체(130) 및 벨트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10)는 상기 바닥면(12)에 실장될 수 있고, 그 내측으로 상기 구동부(120), 상기 구동체(130) 및 상기 벨트부(140)가 실장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벨트부(140)는 상기 구동부(120)와 구동체(130)들을 연결하는 구조로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부(110)의 내부 공간에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술하는 상기 구동부(120) 및 상기 구동체(130)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공간, 구체적으로 외측으로 노출되는 수용공간에 실장되되, 상기 베이스부(110)의 표면에서 소정 돌출되도록 실장됨은 물론 상기 수용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베이스부(110)의 정중앙부에 상기 구동부(120)가 실장되는 제1 수용개구(111) 및 상기 제1 수용개구(111) 주변으로 상기 구동체(130)가 실장되는 복수개의 제2 개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이스부(110)는 정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상기 베이스부(110)에 배치되는 구동부(120)나 구동체(130) 및 벨트부(140)의 형상에 따라, 예를 들어 정 육각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과 같이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중심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구동부(120)를 중심으로 후술하는 상기 구동체(1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20)는 메인 회동체(121)와 조향 모터(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회동체(121)는 상기 조향 모터(122)의 구동력을 전달 받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120)는 조향 모터(122)를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메인 회동체(121)를 회전시켜, 상기 메인 회동체(121)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체(13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11) 이송 장치(10)의 구동 플레이트(100)에서 구동체(1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1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구동체(130)는 상기 구동부(120)의 주변둘레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구동부(120)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동체(130)는 상기 구동부(120)의 주변에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베이스부(110)가 정사각형상을 가짐에 따라 상기 구동체(130)는 상기 구동부(120)를 중심으로 직선 방향(130A, 130B), 직선 방향의 수직방향(130C, 130D), 제1 사선 방향(130E, 130F), 상기 제1 사선 방향의 수직한 제2 사선 방향(130G, 130H)으로 상기 베이스부(1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체(130)는 상기 구동부(120)를 중심으로 직선 방향, 즉, 상기 구동부(120)의 수평한 방향으로 좌, 우(130A, 130B)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구동부(120)를 중심으로 직선 방향의 수직방향 즉, 상기 구동부(120)의 상, 하(130C, 130D)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20)를 중심으로 제1 사선 방향(130E, 130F) 및 상기 제1 사선 방향에 수직한 제2 사선 방향(130G, 130H), 즉, 상기 베이스부(110)의 각 모서리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체(130)는 상, 하, 좌, 우 및 대각선 방향으로 모두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베이스부(110)가 정육각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정육각형상의 정중앙에 배치되면서, 상기 구동체(130)는 상기 정육각형상의 모서리에 각각 배치되어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체(130)는 회전 몸체(131)와 휠 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몸체(131)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내측,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실장될 수 있고, 상기 벨트에 맞물려 상기 구동부(1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벨트 방향에 대응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사각 형상의 상기 구동부(120)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구동체(130)가 배치된 경우, 먼저 수평 방향에 배치된 상기 회전 몸체(131)는 수평 방향을 축으로 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20)를 중심으로 수직 방향에 배치된 상기 회전 몸체(131)는 상기 수직 방향을 축으로 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20)를 중심으로 제1 사선 방향 또는 제2 사선 방향에 배치된 상기 회전 몸체(131)는 상기 제1 사선 방향 또는 상기 제2 사선 방향을 축으로 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휠 부재(132)는 상기 회전 몸체(131) 내측, 즉 상기 제2 수용개구(112)로 상기 회전 몸체(131)의 중심을 연결하는 회전축(1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휠 부재(132)는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부(110)의 표면에서 상측으로 소정 돌출되어, 상기 구동 플레이트(100) 상에 물체(11)가 놓였을 때, 상기 물체(11)는 상기 휠 부재(132)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휠 부재(13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휠 부재(132)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휠 부재(132)는 휠(132a)과 인휠모터(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휠(132a)은 상기 회전축(133)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체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휠(132a)은 상기 구동 플레이트(100) 상에 놓이는 물체(11)와 접촉되어 상기 휠(132a)의 회전에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휠모터(132b)는 상기 휠(132a)의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휠(132a)은 상기 인휠모터(132b)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수용개구(112)에서 회전가능하며, 상기 구동부(1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벨트가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축(133)과 함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휠(132a)은 상기 제2 수용개구(112) 내에서 자전과 공전이 함께 구동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11) 이송 장치(10)에서 구동체(130)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기 구동체(130)는 레일부(231)와, 이송체(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부(231)는 상기 제2 수용개구(112) 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송체(232)는 상기 레일부(231)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부(231)를 따라 상기 제2 수용개구(112) 내에서 앞, 뒤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 플레이트(100) 상에 놓인 상기 물체(11)는 상기 이송체(232)의 이동에 따라 이송체(232)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231)와 상기 이송체(232)는 상기 벨트부(1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수용개구(112) 내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이동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11) 이송 장치(10)에서 물체(11) 이송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11) 이송 장치(10)에서 바닥면(12)에 설치된 구동 플레이트(100) 및 이에 따른 물체(11) 이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 플레이트(100)에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100) 상에 놓여 이동되는 상기 물체(11)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부(150)가 더 실장될 수 있다. 상기 구동 플레이트(100)는 바닥면(12)에 복수개가 실장될 수 있는데, 상기 바닥면(12)에 실장된 상기 구동 플레이트(100) 상에 물체(11)가 놓였을 때, 상기 센서부(150)는 상기 물체(11)를 감지하여 상기 물체(11)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50)는 물체(11)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 센서, 물체(11)와의 유무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 등 상기 구동 플레이트(100) 상에서 이동되는 물체(1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센서의 종류는 얼마든지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센서부(150)의 검출값을 전달 받아 상기 물체(11)의 위치를 판별하고, 판별된 위치에 따라 상기 물체(11)의 이송 방향을 정하여 상기 조향 모터(122) 및 상기 인휠(132a) 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물체(11)가 도 6과 같은 위치에 놓여 있음을 상기 센서부(150)가 감지하고, 상기 감지 값이 상기 제어부(170)로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감지 값을 토대로 상기 물체(11)의 이송 방향 및 이송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조향 모터(122)의 회전 방향이나, 수평 방향, 수직 방향 및 제1,2 사선 방향의 상기 구동체(130)의 회동 방향을 변경하도록 제어함으로서, 상기 물체(11)의 이송 방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11) 이송 장치(10)는 구동부(120)와 구동체(130) 및 벨트부(140)에 의해 상기 물체(11)를 이송시킬 수 있어, 위험물을 용이하게 인입/인출 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물체 이송 장치 11: 물체
100: 구동 플레이트 110: 베이스부
111: 제1 수용개구 112: 제2 수용개구
120: 구동부 121: 메인 회동체
122: 조향 모터 130: 구동체
131: 회전 몸체 132: 휠 부재
132a: 휠 132a: 인휠모터
140: 벨트부 150: 센서부
170: 제어부

Claims (6)

  1. 물체 이송 장치에 있어서,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부에 놓인 물체를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는,
    상기 바닥면에 실장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에 구비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주변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체;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구동체를 연결하는 벨트부를 포함하는 물체 이송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조향 모터를 포함하는 물체 이송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는 상기 구동부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물체 이송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에 실장되고, 상기 벨트에 맞물려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벨트 방향에 대응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 몸체; 및
    상기 회전체 내측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표면에서 상측으로 소정 돌출되며, 상기 회전 몸체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휠부재를 포함하는 물체 이송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휠 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체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휠; 및
    상기 휠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인휠모터를 포함하는 물체 이송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플레이트에는 상기 구동 플레이트 상에 놓여 이동되는 상기 물체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부가 더 실장되는 물체 이송 장치.
KR1020180094804A 2018-08-14 2018-08-14 물체 이송 장치 KR102529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804A KR102529210B1 (ko) 2018-08-14 2018-08-14 물체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804A KR102529210B1 (ko) 2018-08-14 2018-08-14 물체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372A true KR20200019372A (ko) 2020-02-24
KR102529210B1 KR102529210B1 (ko) 2023-05-03

Family

ID=69637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804A KR102529210B1 (ko) 2018-08-14 2018-08-14 물체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21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2932A (ja) * 2000-06-20 2002-01-09 Ito Denki Kk 搬送方向変換装置
JP2002187608A (ja) * 2000-12-21 2002-07-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重量物搬送装置
JP2008174318A (ja) * 2007-01-16 2008-07-31 Ito Denki Kk 搬送モジュール、並びに、搬送装置
KR100876616B1 (ko) * 2007-10-18 2009-01-07 주식회사 태성기연 방향전환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KR20150074332A (ko) * 2013-12-24 2015-07-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메카넘 컨베이어
KR101732299B1 (ko) 2013-03-08 2017-05-02 봅스트 맥스 에스에이 평면의 요소들을 운송하기 위한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2932A (ja) * 2000-06-20 2002-01-09 Ito Denki Kk 搬送方向変換装置
JP2002187608A (ja) * 2000-12-21 2002-07-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重量物搬送装置
JP2008174318A (ja) * 2007-01-16 2008-07-31 Ito Denki Kk 搬送モジュール、並びに、搬送装置
KR100876616B1 (ko) * 2007-10-18 2009-01-07 주식회사 태성기연 방향전환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KR101732299B1 (ko) 2013-03-08 2017-05-02 봅스트 맥스 에스에이 평면의 요소들을 운송하기 위한 디바이스
KR20150074332A (ko) * 2013-12-24 2015-07-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메카넘 컨베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210B1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05422B1 (en) Conveyance system
US11476141B2 (en) Rail-guided trolley system, and rail-guided trolley
JP5700255B2 (ja) 物品保管設備及び物品搬送設備
KR20000028913A (ko) 목적부분으로 움직일 수 있는 대상의 부분영역을 정렬 및연결하는 장치
WO2022022203A1 (zh) 转运装置、机器人、分拣系统及分拣方法
EP3712102B1 (en) Omnidirectional autonomous vehicle
JP5681412B2 (ja) 板状部材収納用ラック、板状部材移載設備、及び板状部材収納方法
US20150192531A1 (en) Vehicular radiation inspection system
JP2019189431A (ja) 搬送仕分け装置
KR20200019372A (ko) 물체 이송 장치
TWI642028B (zh) 具有整合式受保護的人員接觸區及遠端漫遊機關機之運送系統及自動化儲存和取放系統
US20230159287A1 (en) Baggage and parcel handling system and method
CN111664884A (zh) 检查系统
JP6747340B2 (ja) ワーク搬送装置
JP2020132281A (ja) 倉庫システム
US20170125273A1 (en) Wafer storage and transport device
CN117062762A (zh) 输送车
CN111038986B (zh) 容纳系统
JP7318596B2 (ja) 物品搬送車
KR101804725B1 (ko) 전지 공정품 공급부에서의 소음 및 충격 저감장치
RU2795132C2 (ru)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для герметичного замкнуто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содержащего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рметич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с замкнутым объемом
JP2002128281A (ja) 荷降し方法および荷降し装置
JPS63225009A (ja) ストツカ−
US11904480B2 (en) Automated gas supply system
KR102531274B1 (ko) 화학물질 충진드럼 이송용 컨베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