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8693A -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효능 성분 유지 시트, 및 기재 - Google Patents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효능 성분 유지 시트, 및 기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8693A
KR20200018693A KR1020207002332A KR20207002332A KR20200018693A KR 20200018693 A KR20200018693 A KR 20200018693A KR 1020207002332 A KR1020207002332 A KR 1020207002332A KR 20207002332 A KR20207002332 A KR 20207002332A KR 20200018693 A KR20200018693 A KR 20200018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fficacy
ingredient
base material
sheet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0878B1 (ko
Inventor
도시히데 마에사카
Original Assignee
리소 가가쿠 고교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소 가가쿠 고교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리소 가가쿠 고교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8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10Wearable devices, e.g. garments, glasses or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효능 성분액 부여부(17)는, 시트형의 기재에 대하여, 생체 정보에 따른 효능 성분액을 부여하여 함침시킨다.

Description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효능 성분 유지 시트, 및 기재
본 발명은,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효능 성분 유지 시트, 및 기재(基材)에 관한 것이다.
생체에 대한 효능 성분을 유지하고, 생체에 부착되어 효능을 발휘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효능 성분 유지 시트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마스크팩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마스크팩은, 효능 성분을 포함하는 팩제를 천에 함침시킨 것이다. 상기 마스크팩을 사용자의 안면에 부착함으로써, 안면의 피부에 대하여 팩제의 효능이 발휘된다.
일본공개특허 제2003-22663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마스크팩에서는, 미리 결정된 효능 성분이 함침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피부 상태 등에 따른 적절한 효능이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마스크팩과 같은 효능 성분 유지 시트로 있어서, 생체에 대한 효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행해진 것이며, 생체에 대한 효능을 높일 수 있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효능 성분 유지 시트 및 기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태양(態樣)에 의하면, 생체에 부착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시트형의 기재에 대하여, 생체 정보에 따른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의하면, 생체에 부착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시트형의 기재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서로 다른 영역에 함침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의하면, 생체에 부착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로서, 시트형의 기재에 대하여, 생체 정보에 따른 효능 성분액을 부여하여 함침시키는 효능 성분액 부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의하면, 생체에 부착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로서, 시트형의 기재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서로 다른 영역에 부여하여 함침시키는 효능 성분액 부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의하면, 생체에 부착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로서, 시트형의 기재를 포함하고, 생체 정보에 따른 효능 성분액이 상기 기재에 함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의하면, 생체에 부착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로서, 시트형의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이 함침된 복수의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7 태양에 의하면, 기재로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에 따라서 형성된, 상기 기재를 생체 표면을 따르게 하기 위한 컷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7의 태양에 의하면, 효능 성분 유지 시트에 의한 생체에 대한 효능을 높일 수 있다.
[도 1]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마스크팩 제조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마스크팩 제조 장치의 프린트 엔진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마스크팩 제조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 도 4는, 안면 정보의 설명도이다.
[도 5] 도 5는, 마스크팩의 제조 방법 플로차트다.
[도 6] 도 6은, 토출 데이터의 설명도이다.
[도 7] 도 7은, 지지체 형성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8] 도 8은, 효능 성분액 토출 공정의 설명도이다.
[도 9] 도 9는, 마스크팩의 평면도이다.
[도 10] 도 10은, 마스크팩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 도 11은,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이 유지체에 함침된 영역에 있어서의 마스크팩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 도 12는, 유지체의 표면의 요철 형상의 설명도이다.
[도 13] 도 13은, 지지체 삭감부의 설명도이다.
[도 14] 도 14는, 지지체 생략부의 설명도이다.
[도 15] 도 15는, 유지체 생략부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을 통하여 동일 혹은 동등의 부위나 구성 요소에는, 동일 혹은 동등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장치 등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각 구성 부품의 재질, 형상, 구조, 배치 등을 하기와 같은 것에 특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마스크팩 제조 장치(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마스크팩 제조 장치의 프린트 엔진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마스크팩 제조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의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고, 지면 바깥 방향을 전방으로 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상하 좌우를 상하 좌우측 방향으로 한다.
도 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마스크팩 제조 장치(1)는 측정부(2)와, 프린트 엔진부(3)와, 프린트 엔진 이동 기구부(4)와, 공급부(5)와, 반송부(6)와, 수취부(7)와, 제어부(8)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마스크팩 제조 장치(1)는, 사람(생체)의 안면(생체 표면)에 부착되어 효능을 발휘하는 마스크팩(효능 성분 유지 시트)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측정부(2)는 사용자의 안면 측정을 행한다. 이 측정은, 사용자의 안면 정보(생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안면 정보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얼굴 형상 정보(3차원 형상 정보), 멜라닌 수치, 헤모글로빈 수치, 피부 수분량을 포함한다.
얼굴 형상 정보는, 사용자의 안면의 3차원 형상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안면에 3차원 형상에는, 안면의 윤곽이나, 눈, 코, 입, 볼 등의 각 부의 형상이나 배치 등에 의해 형성되는 안면 전체의 외형의 3차원 형상과, 주름에 의한 안면의 피부 표면의 요철 형상이 포함된다. 얼굴 형상 정보는, 후술하는 3차원 촬상부(11)에서 안면을 3차원 촬상함으로써 3차원 촬상 데이터로서 취득된다.
멜라닌 수치는 주근깨, 기미 및 숨은 기미의 증상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주근깨 및 기미를 나타내는 멜라닌 수치는, 후술하는 3차원 촬상부(11)에 의해 안면을 컬러 촬상하여 3차원 촬상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취득된다. 또한, 숨은 기미를 나타내는 멜라닌 수치는, 후술하는 3차원 촬상부(11)에 의해 안면을 UV(자외선) 촬상하여 3차원 촬상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취득된다.
헤모글로빈 수치는, 피부의 붉은기 및 여드름의 증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헤모글로빈 수치는, 후술하는 3차원 촬상부(11)에 의해 안면을 컬러 촬상하여 3차원 촬상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취득된다.
피부 수분량은, 피부의 건조하고 거칠거칠한(끈적거림) 증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피부 수분량은, 후술하는 피부 수분량 측정부(12)에 의한 피부에 대한 접촉 측정에 의해 취득된다.
측정부(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차원 촬상부(11)와, 피부 수분량 측정부(12)를 구비한다.
3차원 촬상부(11)는, 사용자의 안면을 3차원 촬상하여 3차원 촬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3차원 촬상부(11)는, 3차원의 컬러 촬상 및 UV 촬상이 가능한 3차원 촬상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피부 수분량 측정부(12)는, 피부에 대한 접촉 측정에 의해,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피부 수분량 측정부(12)는, 예를 들면 코르네오미터(corneometer)(등록상표)에 의해 구성된다.
프린트 엔진부(3)는, 잉크젯 인쇄 방식에 의해 후술하는 마스크팩(61)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2,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트 엔진부(3)는 기재 형성부(16)와, 효능 성분액 부여부(17)를 구비한다.
기재 형성부(16)는 마스크팩(61)의 기재(62)를 형성한다. 기재 형성부(16)는 기재 헤드(21)와, UV 조사부(22A, 22B)와, 건조부(23A, 23B)를 구비한다. 그리고, UV 조사부(22A, 22B), 건조부(23A, 23B) 등의 부호에서의 알파벳의 첨자를 생략하여 총괄적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기재 헤드(21)는, 지지체 형성액 및 유지체 형성액을 토출하는 액적(液適) 토출 헤드이다. 기재 헤드(21)로서, 잉크젯 방식의 인쇄 장치에 있어서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젯 헤드가 이용된다. 기재 헤드(21)는, 1화소에 대하여 복수의 액적을 토출 가능한 멀티드롭(multidrop) 방식의 잉크젯 헤드로 이루어진다. 기재 헤드(21)는, 2열의 노즐 열(도시하지 않음)을 가진다. 기재 헤드(21)는, 한쪽의 노즐 열의 노즐로부터 지지체 형성액을 토출하고, 다른 쪽의 노즐 열의 노즐로부터 유지체 형성액을 토출한다.
여기에서, 지지체 형성액은, 후술하는 기재(62)의 지지체(63)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인 액체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체 형성액은, 액체 불투과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63)를 형성하기 위한 UV 경화성 수지의 액체이다. 또한, 유지체 형성액은, 기재(62)의 유지체(64)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인 액체이다. 구체적으로는, 유지체 형성액은 액체 펄프다.
UV 조사부(22A, 22B)의 각각은, 기재 헤드(21)로부터 후술하는 반송부(6)의 벨트(46)로 토출된 UV 경화성 수지의 액체인 지지체 형성액에 자외선을 조사하고, 지지체 형성액을 경화시킨다. 그리고, 지지체 형성액은, UV 경화성 수지의 액체에 한정되지 않고, UV 경화성 수지의 이외에, 솔벤트 잉크, 수계 잉크, 핫멜트 잉크 등을 포함하는 에너지 경화형 수지 등의 액체이면 된다. 또한, 지지체 형성액을 경화시키는 방법도, 자외선(UV)을 조사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자외선의 이외에, 적외선(IR), 전자선(EB) 등을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등을 조사하는 방법이면 된다. 또한, 기재(62)의 지지체(63)를 형성하는 방법은, 지지체 형성액을 고화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기재(62)의 일부를 증발 또는 융해시켜, 지지체(63)의 형상을 성형하는 방법이라도 된다.
UV 조사부(22A, 22B)는, 기재 헤드(21) 및 후술하는 효능 성분 헤드(26A∼26D)를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UV 조사부(22A)는 기재 헤드(21)보다 앞쪽에 배치되고, UV 조사부(22B)는 효능 성분 헤드(26D)보다 뒤쪽에 배치되어 있다.
건조부(23A, 23B)의 각각은, 기재 헤드(21)로부터 반송부(6)의 벨트(46)로 토출된 액체 펄프인 유지체 형성액을 열에 의해 건조시킨다. 건조부(23A, 23B)는 예를 들면 히터로 이루어진다.
건조부(23A, 23B)는, 기재 헤드(21) 및 효능 성분 헤드(26A∼26D)를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건조부(23A)는 UV 조사부(22A)보다 앞쪽에 배치되고, 건조부(23B)는 UV 조사부(22B)보다 뒤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건조부(23A)와 UV 조사부(22A)의 위치 관계를 반대로 해도 된다. 또한, 건조부(23B)와 UV 조사부(22B)의 위치 관계를 반대로 해도 된다.
효능 성분액 부여부(17)는, 효능 성분액을 기재(62)에 부여하여 함침시킨다. 효능 성분액 부여부(17)는 효능 성분 헤드(26A∼26D)를 구비한다.
효능 성분 헤드(26A∼26D)의 각각은, 효능 성분액을 기재(62)에 토출하여 부여하는 액적 토출 헤드이다. 효능 성분 헤드(26A∼26D)는, 기재 헤드(21)의 뒤쪽에 있어서, 앞쪽으로부터 효능 성분 헤드(26A∼26D)가 순서대로, 전후 방향으로 병렬하여 설치되어 있다. 효능 성분 헤드(26A∼26D)는 기재 헤드(21)와 마찬가지로, 각각 2열의 노즐 열(도시하지 않음)을 가진다. 그리고, 효능 성분 헤드(26A∼26D)는, 각 노즐 열로부터 각각 상이한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토출한다. 즉, 효능 성분액 부여부(17)는, 효능 성분 헤드(26A∼26D)에 의해, 합계 8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토출한다. 효능 성분 헤드(26A∼26D)는 기재 헤드(21)와 마찬가지로, 멀티드롭 방식의 잉크젯 헤드로 이루어진다.
효능 성분액은, 안면의 피부에 대한 효능을 가지는 효능 성분을 물, 오일 등의 액체에 포함시킨 액체이다. 또한, 효능 성분액은 방부제, 착색제, 계면활성제, 향료 등의 임의의 첨가제를 포함해도 된다. 효능 성분 헤드(26A∼26D)로부터 토출되는 8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제1∼제8 효능 성분액으로 한다.
제1 효능 성분액은, 효능 성분으로서 보습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다. 보습 성분은 피부의 건조하고 거칠거칠함에 대한 효능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보습 성분으로서는 헥산디올, 알파히드록시산,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세라마이드, 히알루론산, 콜라겐 등이 사용된다.
제2 효능 성분액은, 효능 성분으로서 건조 방지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다. 건조 방지 성분은, 피부의 건조하고 거칠거칠함에 대한 효능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건조 방지 성분으로서는 세탄올, 에틸헥산산세틸, 리놀산, 폴리쿼터늄류 등이 사용된다.
제3 효능 성분액은, 효능 성분으로서 세포활성화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다. 세포활성화 성분은 주근깨, 기미에 대한 효능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세포활성화 성분으로서는 사람 올리고 펩티드, 아스파라긴산, 마린 퍼지, 가수분해 콩키올린, 니아신아미드 등이 사용된다.
제4 효능 성분액은, 효능 성분으로서 미백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다. 미백 성분은 기미에 대한 효능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미백 성분으로서는, 팔미트산 아스코르빌 인산, 니아신아미드, 트라넥삼산, 테트라헥실데칸산 아스코르빌, 알부틴, 플라센타 등이 사용된다.
제5 효능 성분액은, 효능 성분으로서 필링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다. 필링 성분은 주근깨, 기미에 대한 효능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필링 성분으로서는, 알파히드록시산, 살리실산 등이 사용된다.
제6 효능 성분액은, 효능 성분으로서 항주름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다. 항주름 성분은 피부 표면의 주름에 대한 효능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항주름 성분으로서는, 테트라헥실데칸산 아스코르빌, 아스타크산틴, 아세틸히드록시프롤린, 아세틸헥사펩티드 등이 사용된다.
제7 효능 성분액은, 효능 성분으로서 자외선 방지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다. 자외선 방지 성분은 숨은 기미에 대한 효능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자외선 방지 성분으로서는, 메톡시계피산 에틸헥실, 옥시벤조, t-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등이 사용된다.
제8 효능 성분액은, 효능 성분으로서 항염증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다. 항염증 성분은 피부의 붉은기 및 여드름에 대한 효능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항염증 성분으로서는, 트라넥삼산, 글리틸레틴산 스테아릴, 니코틴산아미드 등이 사용된다.
제1∼제8 효능 성분액은 효능 성분 헤드(26A∼26D)로부터 토출 가능하도록, 점도 등의 특성이 조정되고 있다. 또한, 제1∼제8 효능 성분액의 각각의 점도 등에 따라서, 효능 성분 헤드(26A∼26D)로서 이용하는 잉크젯 헤드의 종류를 선정하도록 해도 된다.
프린트 엔진 이동 기구부(4)는, 프린트 엔진부(3)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프린트 엔진 이동 기구부(4)는 가이드부(31)와, 프린트 엔진 이동 모터(32)를 구비한다.
가이드부(31)는, 프린트 엔진부(3)가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부재이다. 프린트 엔진 이동 모터(32)는 프린트 엔진부(3)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공급부(5)는, 지지체 형성액, 유지체 형성액 및 제1∼제8 효능 성분액을 유지하고, 이들을 프린트 엔진부(3)에 공급한다. 도 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부(5)는 지지체 형성액 탱크(36)와, 지지체 형성액 공급로(37)와, 유지체 형성액 탱크(38)와, 유지체 형성액 공급로(39)와, 효능 성분액 탱크(40A∼40H)와, 효능 성분액 공급로(41A∼41H)를 구비한다.
지지체 형성액 탱크(36)는 지지체 형성액을 저류(貯留)한다. 지지체 형성액 공급로(37)는, 지지체 형성액 탱크(36)로부터 기재 헤드(21)로 지지체 형성액을 송액하는 경로이다.
유지체 형성액 탱크(38)는 유지체 형성액을 저류한다. 유지체 형성액 공급로(39)는, 유지체 형성액 탱크(38)로부터 기재 헤드(21)로 유지체 형성액을 송액하는 경로이다.
효능 성분액 탱크(40A∼40H)는 각각 제1∼제8 효능 성분액을 저류한다. 효능 성분액 공급로(41A∼41H)는, 각각 효능 성분액 탱크(40A∼40H)로부터 효능 성분 헤드(26A∼26D)로 제1∼제8 효능 성분액을 송액하는 경로이다.
반송부(6)는 마스크팩(61)을 형성하기 위한 형성면으로서 기능하고, 또한 형성된 마스크팩(61)을 수취부(7)에 반송하는 것이다. 반송부(6)는 프린트 엔진부(3)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반송부(6)는 벨트(46)와, 구동 롤러(47)와, 종동(從動) 롤러(48∼50)와, 벨트 구동 모터(51)를 구비한다.
벨트(46)는 마스크팩(61)을 형성하기 위한 형성면(46a)을 구성하고, 또한 형성된 마스크팩(61)을 수취부(7)에 반송한다.
벨트(46)는, 구동 롤러(47) 및 종동 롤러(48∼50)에 걸쳐 놓이는 환형(環形)의 벨트이다. 벨트(46)는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벨트(46)의 구동 롤러(47)와 종동 롤러(48) 사이에서 수평으로 되는 부분의 상면이, 마스크팩(61)의 형성면(46a)으로 된다.
구동 롤러(47)는 벨트(46)를 도 1에서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종동 롤러(48∼50)는 구동 롤러(47)와 함께 벨트(46)를 지지한다. 종동 롤러(48∼50)는 벨트(46)에 종동 회전한다. 종동 롤러(48)는, 구동 롤러(47)와 같은 높이로, 구동 롤러(47)의 좌측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종동 롤러(49, 50)는, 구동 롤러(47) 및 종동 롤러(48)보다 낮은 위치에 있어서,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같은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벨트 구동 모터(51)는 구동 롤러(47)를 회전 구동시킨다.
수취부(7)는, 반송부(6)에 의해 반송되어 오는 완성된 마스크팩(61)을 수취한다. 수취부(7)는 수취대(56)와, 승강 모터(57)를 구비한다.
수취대(56)는, 완성된 마스크팩(61)을 수취하는 받침대다. 수취대(56)는 반송부(6)의 하류측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수취대(56)는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승강 모터(57)는 수취대(56)를 승강시킨다.
제어부(8)는 마스크팩 제조 장치(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8)는 프로세서, 메모리 등, 구체적으로는, CPU, RAM, ROM, 하드 디스크 등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다음에, 마스크팩 제조 장치(1)에 의한 마스크팩(6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마스크팩 제조 장치(1)에 의한 마스크팩(61)의 제조 방법 플로차트다.
먼저, 도 5의 스텝 S1에 있어서, 제어부(8)는 안면 측정 공정을 실행한다. 안면 측정 공정은, 마스크팩(61)의 사용자의 안면을 측정하여 안면 정보를 취득하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8)는 3차원 촬상부(11)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을 3차원 촬상시킨다. 이 때, 제어부(8)는 3차원 촬상부(11)에 컬러 촬상 및 UV 촬상을 실행시킨다. 3차원 촬상부(11)는, 컬러 촬상에 의한 3차원 촬상 데이터 및 UV 촬상에 의한 3차원 촬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들을 제어부(8)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8)는, 마스크팩 제조 장치(1)의 조작자가, 피부 수분량 측정부(12)를 사용자의 안면 상의 각 개소에 접촉시키면서, 각 개소에 있어서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조작을 행하는 것에 따라서, 피부 수분량 측정부(12)로부터 측정된 피부 수분량을 취득한다. 여기에서, 피부 수분량 측정부(12)에서 측정되는 피부 수분량은, 3차원 촬상부(11)에 의한 3차원 촬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안면 상의 각 개소의 피부 수분량의 데이터로서 취득되도록 되어 있다. 안면 상의 각 개소에서의 피부 수분량의 데이터는, 안면에 있어서의 건조하고 거칠거칠한(끈적거림) 영역의 분포, 및 그 증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어서, 스텝 S2에 있어서, 제어부(8)는 토출 데이터 생성 공정을 실행한다. 토출 데이터 생성 공정은 지지체 형성액, 유지체 형성액 및 각 효능 성분액의 토출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정이다. 토출 데이터는, 기재 헤드(21) 및 효능 성분 헤드(26A∼26D)의 각각에 있어서 각 화소에 대하여 토출하는 액적의 수(드롭수)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제어부(8)는 컬러 촬상에 의한 3차원 촬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마스크팩 형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마스크팩 형상 데이터는, 마스크팩(61)에 2차원 형상과, 마스크팩(61)의 안면에 부착되는 측의 표면의 요철 형상을 포함하는 데이터이다. 마스크팩 형상 데이터는, 컬러 촬상에 의한 3차원 촬상 데이터를 2차원 전개하여 안면에 2차원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컬러 촬상에 의한 3차원 촬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피부 표면의 주름에 의한 요철 형상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2차원 데이터와 조합하여 생성된다. 여기에서, 컬러 촬상에 의한 3차원 촬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피부 표면의 주름에 의한 요철 형상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주름의 증상 분포 및 그 정도(주름의 깊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마스크팩(61)의 2차원 형상에는, 기재(62)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 형상과, 후술하는 컷팅부(71A∼71E)(도 9 참조)의 위치 및 형상이 포함된다. 컷팅부(71A∼71E)는 기재(62)를 안면의 곡면을 따르게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마스크팩(61)의 2차원 형상에는, 후술하는 개구부(72A∼72C)(도 9 참조)의 위치 및 형상이 포함된다. 개구부(72A∼72C)는, 안면에 있어서의 마스크팩(61)의 피복을 회피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개구부(72A∼72C)는 눈, 입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어서, 제어부(8)는 컬러 촬상에 의한 3차원 촬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안면의 각 개소에서의 멜라닌 수치를 산출한다. 이 컬러 촬상에 의해 얻어지는 안면의 각 개소의 멜라닌 수치는, 안면에 있어서의 주근깨, 기미의 분포 및 이들의 증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8)는 UV 촬상에 의한 3차원 촬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안면의 각 개소에서의 멜라닌 수치를 산출한다. 이 UV 촬상에 의해 얻어지는 안면의 각 개소의 멜라닌 수치는, 안면에 있어서의 숨은 기미의 분포 및 그 증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8)는 컬러 촬상에 의한 3차원 촬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안면의 각 개소에서의 헤모글로빈 수치를 산출한다. 이 컬러 촬상에 의한 3차원 촬상 데이터로부터 산출되는 안면의 각 개소의 헤모글로빈 수치는, 안면에 있어서의 붉은기, 여드름의 분포 및 이들의 증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어서, 제어부(8)는, 안면의 각 개소에서의, 컬러 촬상에 의해 얻어진 멜라닌 수치, UV 촬상에 의해 얻어진 멜라닌 수치, 헤모글로빈 수치, 피부 수분량을 마스크팩 형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평면 좌표에 매핑한다.
이어서, 제어부(8)는 멜라닌 수치 등이 매핑된 마스크팩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지지체 형성액, 유지체 형성액 및 각 효능 성분액의 토출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8)는, 마스크팩(61)에 2차원 형상을 형성하는 각 좌표에, 소정의 두께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63)를 형성하기 위한 드롭수를 설정한 데이터를, 지지체 형성액의 토출 데이터로서 생성한다. 지지체 형성액의 토출 데이터에 있어서, 컷팅부(71) 및 개구부(72)에 대응하는 각 좌표의 드롭수는 0으로 설정된다.
또한, 제어부(8)는, 기재(62)가 턱 등의 곡률이 큰 부분에서 안면을 따라 구부러지도록 하기 위해, 다른 부분보다 지지체(63)를 얇게 하거나, 유지체(64)는 형성하지만 지지체(63)를 생략하는 부분이 설치되도록, 지지체 형성액의 토출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8)는, 지지체(63)를 얇게 하는 부분에서는, 지지체 형성액의 드롭수로서, 소정의 두께의 지지체(63)를 형성하기 위한 드롭수보다 작은 드롭수를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8)는, 유지체(64)는 형성하지만 지지체(63)를 생략하는 부분에서는, 지지체 형성액의 드롭수를 0으로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8)는, 마스크팩(61)에 2차원 형상을 형성하는 각 좌표에, 유지체(64)를 형성하기 위한 드롭수를 설정한 데이터를, 유지체 형성액의 토출 데이터로서 생성한다.
여기에서, 마스크팩(61)에서는, 각 효능 성분액의 드롭수의 합계(각 효능 성분액의 양의 합계)에 따라서, 효능 성분액을 함침하기 위해 필요한 유지체(64)의 두께가 설정되어 있다. 각 효능 성분액의 드롭수의 합계가 많을수록, 필요한 유지체(64)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그래서, 제어부(8)는, 각 효능 성분액의 드롭수의 합계에 따라서, 유지체(64)의 두께가 조정되도록, 각 좌표에 있어서의 유지체 형성액의 드롭수를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8)는, 유지체(64)의 안면에 부착되는 측의 표면의 요철 형상이, 피부 표면의 주름에 의한 요철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되도록, 각 좌표에 있어서의 드롭수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8)는, 주름에 의해 피부가 패인 부분에 대응하여, 그 깊이에 따른 볼록부가 유지체(64)에 형성되도록, 상기 부분의 각 좌표의 드롭수를 설정한다.
또한, 유지체 형성액의 토출 데이터에 있어서도, 지지체 형성액의 토출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컷팅부(71) 및 개구부(72)에 대응하는 각 좌표의 드롭수는 0으로 설정된다.
또한, 제어부(8)는, 기재(62)가 안면의 곡면을 따라 구부러지도록 하기 위해서, 지지체(63)는 형성하지만 유지체(64)를 생략하는 부분이 설치되도록, 유지체 형성액의 토출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8)는, 지지체(63)는 형성하지만 유지체(64)를 생략하는 부분에서는, 유지체 형성액의 드롭수를 0으로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8)는, 각 좌표에 있어서의 멜라닌 수치 등의 값에 기초하여, 각 효능 성분액의 드롭수를 설정하여, 각 효능 성분액의 토출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8)는, 컬러 촬상에 의해 얻어진 멜라닌 수치가 임계값 이상인 영역이 주근깨, 기미의 증상이 있는 영역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8)는, 컬러 촬상에 의해 얻어진 멜라닌 수치가 임계값 이상인 영역의 각 좌표에 대하여, 제3∼제5 효능 성분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드롭수를 설정한다. 이 드롭수는, 각 좌표의 컬러 촬상에 의해 얻어진 멜라닌 수치의 크기에 따른 값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8)는, UV 촬상에 의해 얻어진 멜라닌 수치가 임계값 이상인 영역이 숨은 기미의 증상이 있는 영역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8)는, UV 촬상에 의해 얻어진 멜라닌 수치가 임계값 이상인 영역의 각 좌표에 대하여, UV 촬상에 의해 얻어진 멜라닌 수치의 크기에 따른 제7 효능 성분액의 드롭수를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8)는, 헤모글로빈 수치가 임계값 이상인 영역이 붉은기, 여드름의 증상이 있는 영역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8)는, 헤모글로빈 수치가 임계값 이상인 영역의 각 좌표에 대하여, 헤모글로빈 수치의 크기에 따른 제8 효능 성분액의 드롭수를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8)는, 피부 수분량이 임계값 미만인 영역이, 건조하고 거칠거칠한 증상이 있는 영역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8)는, 피부 수분량이 임계값 미만인 영역의 각 좌표에 대하여, 제1 및 제2 효능 성분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드롭수를 설정한다. 이 드롭수는, 피부 수분량에 따른 값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8)는, 피부 표면의 주름에 의한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의 각 좌표에 대하여, 주름의 깊이에 따른 제6 효능 성분액의 드롭수를 설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지지체 형성액, 유지체 형성액 및 각 효능 성분액의 토출 데이터의 토출 데이터가 생성된다. 여기에서, 토출 데이터에 있어서의 각 좌표는, 기재 헤드(21) 및 효능 성분 헤드(26A∼26D)에 의한 인쇄 시의 화소에 대응한다.
그런데, 안면에 복수의 증상이 중복하여 생기고 있는 영역이 있는 것에 의해, 각 효능 성분액의 토출 데이터에 있어서, 동일 좌표(동일 영역)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토출하도록 드롭수가 설정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어부(8)는 동일 좌표에 대한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의 토출 순번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8)는, 우선도가 높은 효능 성분액일수록 뒤로부터 토출되도록 토출 순번을 설정한다. 효능 성분액의 우선도는, 대응하는 증상의 정도가 큰 것일수록 높다. 증상의 정도가 같은 정도인 경우에는, 제어부(8)는, 미리 증상마다 설정된 우선도,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우선도에 기초하여, 토출 순번을 설정한다. 그리고, 효능 성분의 피부로의 침투성의 관점에서, 효능 성분액의 우선도를 설정해도 된다. 동일 좌표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이 토출되는 경우, 뒤로부터 토출된 효능 성분액일수록, 유지체(64)(기재(62))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유지체(64)의 안면에 부착되는 측의 표면 가까이에 배치된다.
이어서, 도 5의 스텝 S3에 있어서, 제어부(8)는 지지체 형성 공정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8)는, 프린트 엔진 이동 모터(32)를 제어하여 프린트 엔진부(3)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지지체 형성액의 토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재 헤드(21)로부터 반송부(6)의 형성면(46a)에 지지체 형성액을 토출시킴으로써, 1패스분의 인쇄를 행한다. 이 때, 제어부(8)는, 형성면(46a) 상에 토출된 지지체 형성액에 대하여, UV 조사부(22A 또는 22B)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시킴으로써, 지지체 형성액을 경화시킨다. 이어서, 제어부(8)는, 벨트 구동 모터(51)를 제어하여 벨트(46)를 1패스의 인쇄 폭 분량만큼 우측 방향으로 보낸다.
제어부(8)는, 상기의 1패스분의 인쇄 및 지지체 형성액의 경화와, 벨트(46)의 이송 동작을 교호적(交互的)으로 반복함하는 것에 의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63)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프린트 엔진부(3)를 앞쪽으로부터 뒤쪽으로 이동시키면서 기재 헤드(21)로부터 지지체 형성액을 토출시킬 때는, 제어부(8)는, 형성면(46a) 상에 토출된 직후의 지지체 형성액에 UV 조사부(22A)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지지체 형성액을 경화시킨다. 또한, 프린트 엔진부(3)를 뒤쪽으로부터 앞쪽으로 이동시키면서 기재 헤드(21)로부터 지지체 형성액을 토출시킬 때는, 제어부(8)는, 형성면(46a) 상에 토출된 직후의 지지체 형성액에 UV 조사부(22B)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지지체 형성액을 경화시킨다.
이어서, 도 5의 스텝 S4에 있어서, 제어부(8)는 유지체 형성 공정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제어부(8)는 벨트 구동 모터(51)를 제어하여 벨트(46)를 좌측 방향으로 보내어, 지지체(63)를 소정 위치까지 되돌린다.
이 후, 제어부(8)는, 프린트 엔진 이동 모터(32)를 제어하여 프린트 엔진부(3)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유지체 형성액의 토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재 헤드(21)로부터 지지체(63)로 유지체 형성액을 토출시킴으로써, 1패스분의 인쇄를 행한다. 이 때, 제어부(8)는, 지지체(63) 상에 토출된 유지체 형성액을 건조부(23A 또는 23B)에 의해 건조시킨다. 이어서, 제어부(8)는, 벨트 구동 모터(51)를 제어하여 벨트(46)를 1패스의 인쇄 폭 분량만큼 우측 방향으로 보낸다.
제어부(8)는, 상기의 1패스분의 인쇄 및 유지체 형성액의 건조와, 벨트(46)의 이송 동작을 교호적으로 반복하는 것에 의해, 지지체(63)에 적층하여 유지체(64)를 형성한다. 이로써, 지지체(63)와 유지체(64)를 구비하는 기재(62)가 형성면(46a) 상에 형성된다. 유지체(64)는, 액체 펄프가 건조되어 형성된 펄프로 이루어지고, 섬유의 간극에 효능 성분액이 침투함으로써, 효능 성분액을 함침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어서, 스텝 S5에 있어서, 제어부(8)는 효능 성분액 부여 공정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제어부(8)는 벨트 구동 모터(51)를 제어하여 벨트(46)를 좌측 방향으로 보내고, 기재(62)를 소정 위치까지 되돌린다.
이 후, 제어부(8)는, 프린트 엔진 이동 모터(32)를 제어하여 프린트 엔진부(3)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각 효능 성분액의 토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효능 성분 헤드(26A∼26D) 중의 대응하는 효능 성분 헤드(26)로부터 기재(62)의 유지체(64)에 각 효능 성분액을 토출시킨다. 유지체(64)로 토출된 효능 성분액은 유지체(64)에 침투하여 함침된다.
여기에서, 동일 화소(동일 좌표)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토출하는 영역이 있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각 효능 성분액의 토출 순번이 설정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각 효능 성분액을 토출하는, 효능 성분 헤드(26A∼26D) 중의 대응하는 효능 성분 헤드(26)의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 관계가 고정이므로, 1회만의 1패스분의 인쇄 동작으로는, 설정된 토출 순번이 실현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제어부(8)는, 동일 화소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토출하는 영역이 있는 경우, 프린트 엔진부(3)의 앞쪽으로부터 뒤쪽으로의 이동에 의한 인쇄 동작과 뒤쪽으로부터 앞쪽으로의 이동에 의한 인쇄 동작을 조합하여, 설정된 각 효능 성분액의 토출 순번을 실현한다.
1패스의 인쇄 폭 분량의 영역에 대한 각 효능 성분액의 토출 데이터에 기초한 토출이 종료되면, 제어부(8)는 벨트 구동 모터(51)를 제어하여 벨트(46)를 1패스의 인쇄 폭 분량만큼 우측 방향으로 보낸다.
제어부(8)는, 상기의 1패스의 인쇄 폭 분량의 영역에 대한 각 효능 성분액의 토출과, 벨트(46)의 이송 동작을 교호적으로 반복하는 것에 의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62)에 대한 각 효능 성분액의 토출을 행한다. 기재(62) 전체의 토출 대상 영역에 대한 각 효능 성분액의 토출이 종료되면, 마스크팩(61)의 제조가 종료로 된다.
마스크팩(61)의 제조가 종료되면, 제어부(8)는, 완성된 마스크팩(61)을 수취 대(56)를 향하여 보내도록 반송부(6)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8)는 수취대(56)를 하강시키면서, 반송부(6)로부터 마스크팩(61)을 수취하도록 수취부(7)를 제어한다.
다음에, 전술한 마스크팩 제조 장치(1)에서 제조되는 마스크팩(6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마스크팩(61)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마스크팩(61)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크팩(61)은 시트형의 기재(62)를 포함한다. 기재(62)는 지지체(63)와, 유지체(64)를 구비한다.
지지체(63)는 유지체(64)를 지지한다. 지지체(63)는 시트형의 액체 불투과성 필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유지체(64)는 사용자의 안면 정보에 따른 효능 성분액을 유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체(64)는 액체 펄프가 건조되어 형성된 펄프로 이루어지고, 섬유의 간극에 효능 성분액이 침투함으로써, 액체를 함침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유지체(64)는 지지체(63)에 적층하여 형성되어 있다.
마스크팩(61)의 기재(62)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 형상은, 사용자의 안면의 3차원 촬상 데이터를 2차원 전개하여 얻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크팩(61)의 기재(62)에는 컷팅부(71A∼71E)와, 개구부(72A∼72C)가 형성되어 있다.
컷팅부(71A∼71D)는 마스크팩(61)(기재(62))을 안면 윤곽을 따르게 하기 위한 컷팅이다. 컷팅부(71E)는 마스크팩(61)(기재(62))을 코에 따르게 하기 위한 컷팅이다. 컷팅부(71A∼71E)는 사용자의 얼굴 형상 정보(3차원 촬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치 및 형상이 결정되어 형성된 것이다.
개구부(72A∼72C)는, 각각 왼쪽 눈, 오른쪽 눈, 입에 대한 마스크팩(61)(기재(62))의 피복을 회피하기 위해가 것이다. 개구부(72A∼72C)는 사용자의 얼굴 형상 정보(3차원 촬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치 및 형상이 결정되어 형성된 것이다.
또한, 마스크팩(61)의 기재(62)의 유지체(64)에는, 안면 정보에 따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이 함침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영역(73A∼73L)에 있어서, 각각 대응하는 사용자의 안면 상의 영역에 있어서의 증상에 따른 효능 성분액이 함침되어 있다. 여기에서, 영역(73A)과, 영역(73B∼73E)과, 영역(73F, 73G)과, 영역(73H∼73J)과, 영역(73K, 73L)은, 각각 상이한 증상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다만, 각각의 영역(73)에 대응하는 안면 상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복수의 증상이 중복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각각의 영역(73)에 있어서, 상기 영역(73) 중 적어도 일부가, 동일 영역에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이 함침된 영역인 경우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영역(73A∼73L)에는, 서로 상이한 증상에 따른 효능 성분액이 함침된 복수의 영역이 포함되므로, 기재(62)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이 함침된 복수의 영역이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체(64)에는, 효능 성분액(76A)이 함침된 영역과, 효능 성분액(76A)과는 상이한 종류의 효능 성분액(76B)이 함침된 영역이 있다. 여기에서, 효능 성분액(76A, 76B)은 각각, 제1∼제8 효능 성분액 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안면에 복수의 증상이 중복하여 생기고 있는 영역이 있는 것에 의해, 유지체(64)에, 평면에서 볼 때의 동일 영역에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이 함침된 영역이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체(64)에, 동일 영역에 서로 다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76C, 76D)이 함침된 영역이 있는 경우가 있다. 도 11의 예에서는, 효능 성분액(76C, 76D) 중, 유지체(64)의 안면에 부착되는 측의 표면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는 효능 성분액(76C) 쪽이, 이 영역에 있어서 우선도가 높은 것이다. 여기에서, 효능 성분액(76C, 76D)은 각각, 제1∼제8 효능 성분액 중 어느 하나이다.
그리고, 유지체(64)에 있어서의 효능 성분액이 함침되는 각 영역(73)의 모두가, 상기 영역(73)의 전역에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이 함침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마스크팩(61)의 유지체(64)에 있어서 함침되어 있는 각 효능 성분액의 양은, 각각 대응하는 증상의 정도에 따라서 조정되고 있다.
또한, 마스크팩(61)에 있어서, 효능 성분액을 함침하는 각 영역에서의 유지체(64)의 두께는, 함침하는 효능 성분액의 양(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함침하는 경우에는 이들의 양의 합계)에 따르서, 효능 성분액을 함침하기 위해 필요한 두께 이상으로 조정되어 있다.
또한, 마스크팩(61)에서는, 유지체(64)의 안면에 부착되는 측의 표면에, 사용자의 피부 표면의 주름에 의한 요철 형상에 따른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체(64)에 있어서, 사용자의 피부 표면의 주름에 의한 오목부에 대응하는 볼록부(6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에서는, 제1∼제8 효능 성분액 중 어느 하나인 효능 성분액(76)이 유지체(64)에 함침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후술하는 도 13∼도 15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마스크팩(61)에서는, 기재(62)가 안면의 곡률이 큰 부분에서 안면을 따라서 구부러지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지지체 삭감부(63a)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체 삭감부(63a)는, 다른 부분보다 지지체(63)를 얇게 한 부분이다.
또한, 마스크팩(61)에서는, 기재(62)가 안면의 곡률이 큰 부분에서 안면을 따라 구부러지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지지체 생략부(63b),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지체 생략부(64b)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체 생략부(63b)는, 유지체(64)는 있지만 지지체(63)가 생략된 부분이다. 유지체 생략부(64b)는, 지지체(63)는 있지만 유지체(64)가 생략된 부분이다.
지지체 삭감부(63a), 지지체 생략부(63b) 및 유지체 생략부(64b)는, 사용자의 안면의 3차원 형상에 따른 적절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마스크팩(61)은, 유지체(64)가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도록 사용자의 안면에 부착된다. 이로써, 유지체(64)에 함침된 각 효능 성분액이 사용자의 안면 피부에 접촉하여, 효능을 발휘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팩 제조 장치(1)에서는, 효능 성분액 부여부(17)가, 사용자의 안면 정보에 따른 효능 성분액을 기재(62)의 유지체(64)에 부여하여 함침시킨다. 이로써, 사용자의 안면에 있어서의 피부의 증상에 따른 효능 성분액을 유지한 마스크팩(61)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효능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크팩 제조 장치(1)에서는, 안면의 증상에 따른 영역마다, 각 영역의 증상에 따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기재(62)에 함침시킨다. 이로써, 안면의 영역마다 증상에 적합한 효능 성분액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효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마스크팩 제조 장치(1)에서는, 안면의 증상 정도에 따라서 효능 성분액의 양을 조정하므로,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효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마스크팩 제조 장치(1)에서는, 동일 영역에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키는 경우, 우선도가 높은 효능 성분액일수록, 기재(62)의 안면에 부착되는 측의 표면의 가까이에 배치되도록, 각 효능 성분액을 기재(62)의 유지체(64)에 함침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마스크팩 제조 장치(1)에서는, 동일 영역에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키는 경우, 우선도가 높은 효능 성분액일수록 뒤로부터 유지체(64)에 토출한다. 이로써, 동일 영역에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이 함침된 영역에 있어서, 우선도에 따라서 효율적으로 각 효능 성분액의 효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마스크팩 제조 장치(1)에서는, 효능 성분액을 함침하는 각 영역에서의 효능 성분액의 양에 따라서, 각 영역에서의 유지체(64)의 두께를 조정하고 있다. 이로써, 마스크팩(61)의 효능 성분액의 유지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팩 제조 장치(1)에서는, 기재 형성부(16)에 의해 기재(62)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기재(62)를 별도 준비하지 않고, 마스크팩(61)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팩 제조 장치(1)에서는, 사용자의 얼굴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컷팅부(71) 및 개구부(72)를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사용자 얼굴의 곡률이나, 눈, 코 등의 위치에 따라서, 컷팅부(71) 및 개구부(72)를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형상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 결과, 마스크팩(61)을 사용자의 실제 안면 형상에 고정밀도로 대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팩 제조 장치(1)에서는, 사용자의 얼굴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유지체(64)의 안면에 부착되는 측의 표면에, 사용자의 피부 표면의 요철 형상에 따른 요철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안면의 주름 부분에도 효능 성분액을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효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마스크팩 제조 장치(1)에서는, 시트형의 지지체(63)를 형성하고, 지지체(63)에 유지체(64)를 적층하여 형성함으로써, 기재(62)를 형성한다. 이로써, 지지체(63)가 유지체(64)를 지지하므로, 마스크팩(61)의 형태 붕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팩 제조 장치(1)에서는, 지지체(63)를 액체 불투과성 필름에 의해 형성하므로, 유지체(64)가 유지하는 효능 성분액의 증발, 유출을 억제할 수 있고, 유지체(64)가 효능 성분액을 장기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팩 제조 장치(1)에서는, 기재(62)가 안면을 따라 구부러지도록, 다른 부분보다 지지체(63)를 얇게 한 부분(지지체 삭감부(63a))을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마스크팩(61)을 보다 안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마스크팩 제조 장치(1)에서는, 기재(62)가 안면을 따라 구부러지도록, 기재(62)에 지지체(63) 또는 유지체(64)를 생략한 부분(지지체 생략부(63b), 유지체 생략부(64b))을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마스크팩(61)을 보다 안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마스크팩 제조 장치(1)에서는, 잉크젯 헤드(액적 토출 헤드)인 기재 헤드(21)에 의해 지지체 형성액 및 유지체 형성액을 토출하여 기재(62)를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용이하게 기재(6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컷팅 공정을 행하지 않고, 기재(62)에 컷팅부(71) 및 개구부(7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63)를 얇게 한 부분(지지체 삭감부(63a)), 및 지지체(63) 또는 유지체(64)를 생략한 부분(지지체 생략부(63b), 유지체 생략부(64b))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팩 제조 장치(1)에서는, 잉크젯 헤드(액적 토출 헤드)인 효능 성분 헤드(26A∼26D)의 각각에 의해 효능 성분액을 토출하여 기재(62)에 함침시키고 있다. 이로써, 용이하게 효능 성분액을 기재(62)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효능 성분액의 기재(62)로의 부여량 및 부여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를 기재하였으나, 본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본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확해질 것이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크팩 제조 장치(1)에 있어서 기재(62)를 형성하고, 그 형성한 기재(62)에 효능 성분액을 부여하여 마스크팩(61)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별도 준비한 기재에 대하여, 마스크팩 제조 장치(1)에서 안면 정보에 따른 효능 성분액을 부여하여 함침시킴으로써, 마스크팩을 제조하도록 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안면 정보에 포함되는 안면에 있어서의 증상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멜라민 수치, 헤모글로빈 수치, 피부 수분량 및 피부 표면의 주름에 의한 요철 형상을 이용하였으나, 이들의 일부를 생략해도 되고, 다른 증상에 대응하는 측정값 등을 채용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크팩(61)의 기재(62)에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켰지만, 사용자의 안면의 증상에 따라서는, 기재(62)에 함침되는 효능 성분액이 1종류인 경우가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크팩 제조 장치(1)의 측정부(2)에서 사용자의 안면을 측정하여 얻어진 안면 정보를 이용하여 마스크팩(61)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안면 정보를 외부의 장치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또한, 마스크팩 제조 장치(1)의 조작자가 조작 입력부(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여 안면 정보를 입력해도 된다. 또한, 사용자의 과거 안면 정보를 제어부(8)가 기억해 두고, 그 안면 정보를 이용하여 마스크팩(61)을 제조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잉크젯 헤드인 기재 헤드(21)에 의해 지지체 형성액 및 유지체 형성액을 토출하여 기재(62)를 형성하였다. 또한, 잉크젯 헤드인 효능 성분 헤드(26A∼26D)의 각각에 의해 효능 성분액을 기재(62)에 토출하였다. 그러나, 잉크젯 헤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지지체 형성액, 유지체 형성액 및 효능 성분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디스펜서에 의해 토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그 이외라도, 액체를 토출 또는 사출할 수 있는 수단이면, 스프레이나 시린지(syringe)나 숟가락을 이용해도 되고, 펌프나 모터를 이용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액체의 점도가 높은 경우 등에 있어서, 액체를 토출구 또는 사출구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접촉식의 분리 수단을 설치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잉크젯 헤드를 이용하여 기재(21)를 형성하였으나, 3D 프린터에 이용되는 열용융, 광경화 현상, 접착제, 레이저 조사, 커팅플로터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기재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멀티드롭 방식의 잉크젯 헤드를 이용하였으나, 2가 방식의 잉크젯 헤드를 이용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멀티패스 방식(시리얼 방식)에 의해 기재의 형성 및 효능 성분액의 부여를 행하였으나, 싱글 패스 방식(라인 방식)이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생체 정보(안면 정보)의 취득을 위해 UV 촬상을 행하였으나, 적외선, 마이크로파, 2광자 여기 형광, 불가시광을 이용한 촬상을 행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지지체(63)를 UV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에 의해 구성하였으나, 다른 소재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펄프를 건조시켜 유지체(64)를 형성하였으나, 액체를 함침 가능한 다공질의 소재 등의 다른 소재에 의해 유지체(64)를 형성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기재(62)는 지지체(63)와 유지체(64)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기재 전체가 액체를 함침 가능한 유지체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기재(62)에 지지체(63)를 얇게 한 부분(지지체 삭감부(63a)), 및 지지체(63) 또는 유지체(64)를 생략한 부분(지지체 생략부(63b), 유지체 생략부(64b))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사용자의 안면 형상에 따라서,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지지체(63)의 형성을 완료한 후, 유지체(64)를 형성하여 기재(62)가 완성된 후, 기재(62)로의 효능 성분액의 부여를 행하였다. 그러나, 프린트 엔진부(3)에 의한 1패스의 인쇄 폭 분량씩, 지지체(63)의 형성, 유지체(64)의 형성, 기재(62)로의 효능 성분액의 부여를 행하여, 마스크팩(61)을 제조하도록 해도 된다.
기재(62)를, 그 일부가 다른 부분과 중복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기재(62) 중에서 코를 덮는 부분의 일부가, 그 주위 에지 부분과 중복되는 것이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의 안면 정보에 기초하여, 기재 헤드(21)에 의해 지지체(63) 및 유지체(64)를 형성하여 기재(62)를 형성하고, 효능 성분 헤드(26A∼26D)의 각각에 의해 효능 성분액을 기재(62)에 토출하여 마스크팩(61)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기재 헤드(21) 및 효능 성분 헤드(26A∼26D)의 각각을 이용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기재 헤드(21)를 이용하여, 미리 결정된 표준적인 형상의 기재를 형성한다. 그리고, 미리 지정된 적어도 1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효능 성분 헤드(26A∼26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기재로 토출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한다. 또한, 미리 준비된 기재에 대하여, 미리 지정된 적어도 1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효능 성분 헤드(26A∼26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기재로 토출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서로 다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이 함침된 복수의 영역이 기재에 형성되도록, 미리 지정된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각각 지정된 영역에 토출하여 기재에 함침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안면의 영역마다 상이한 효능 성분액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영역마다 적합한 것으로 상정되는 효능 성분액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효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크팩이 안면 전체를 덮는 것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안면의 일부를 덮는 것이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가 마스크팩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효능 성분 유지 시트는 마스크팩에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효능 성분 유지 시트는, 환자에게 부착되는 의료용 시트라도 된다.
의료용 시트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재(62)와 동일한 시트형의 기재에 대하여, 의료용의 효능 성분을 포함하는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킨 것이다.
의료용의 효능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좌, 근육통 등의 증상에 대한 효능 성분으로서, 디클로페낙나트륨, 인도메타신 등의 NSAID(비스테로이드계 소염진통제) 등이 있다. 또한, 기침, 천식 등의 증상에 대한 효능 성분으로서, 기관지 확장제, 소염진통제 등이 있다. 또한, 두드러기, 가려움, 피부염 등의 증상에 대한 효능 성분으로서,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 등의 항알레르기제 등이 있다. 또한, 외상, 백선(무좀), 농가진 등의 증상에 대한 효능 성분으로서, 항균제, 항생 물질 등이 있다. 또한, 헤르페스 바이러스 등에 대한 효능 성분으로서, 항바이러스제 등이 있다.
의료용 시트의 제조 장치는, 전술한 실시형태의 마스크팩 제조 장치(1)와 동일한 구성이다. 다만, 측정부(2)의 피부 수분량 측정부(12)는, 환자의 증상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효능 성분 헤드(26A∼26D)의 각각이 토출하는 효능 성분액으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의료용의 효능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사용된다. 의료용 시트는, 이와 같은 제조 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형태의 마스크팩(61)과 동일한 공정에서 제조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실시형태의 마스크팩(61)의 부착 대상 영역이 사용자의 안면인 것에 대하여, 의료용 시트의 부착 대상 영역은 환자의 증상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의료용 시트의 부착 대상 영역의 3차원 형상에 따라서는, 기재의 컷팅부 및 개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불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기재의 컷팅부 및 개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체를 얇게 한 부분(지지체 삭감부), 및 지지체 또는 유지체를 생략한 부분(지지체 생략부, 유지체 생략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의료용 시트의 부착 대상 영역의 표면 형상이나 환자의 증상에 따라서는, 피부의 주름에 의한 요철 형상에 따른 기재 표면의 요철 형상이 불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기재의 환자에게 부착되는 측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것이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의료용 시트를 제조할 때, 환자의 증상은, 의료용 시트의 제조 장치의 조작자가 의사 등의 진단에 기초하여 제조 장치에 입력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의료용 시트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환자의 증상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를 생략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의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인 마스크팩은, 사람에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이지만, 효능 성분 유지 시트는 사람 이외의 동물, 식물 등의 생체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의료용 시트가 동물용인 것이어도 된다.
또한, 효능 성분 유지 시트는, 식물에 부착할 수 있는 식물용 시트여도 된다. 식물용 시트는,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기재(62)와 동일한 시트형의 기재에 대하여, 식물용의 효능 성분을 포함하는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킨 것이다.
식물용의 효능 성분의 1종으로서, 티오파네이트메틸 등의 벤조이미다졸계의 살균제가 있다. 이 효능 성분은, 식물의 베인 자리나 상처의 유합(癒合) 촉진을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효능 성분은, 식물의 전정(剪定), 가지치기 시의 벤 자리나, 병환부를 제거한 후의 상처에 대하여, 병원균의 침입을 막고, 가지 마름병을 방지하고, 베인 자리나 상처의 치유를 빠르게 하는 것이다.
식물용 시트의 제조 장치는, 전술한 실시형태의 마스크팩 제조 장치(1)와 동일한 구성이다. 다만, 측정부(2)의 피부 수분량 측정부(12)는, 식물의 증상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효능 성분 헤드(26A∼26D)의 각각이 토출하는 효능 성분액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식물용의 효능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식물용 시트는, 이와 같은 제조 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형태의 마스크팩(61)과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실시형태의 마스크팩(61)의 부착 대상 영역이 사용자의 안면인 것에 대하여, 식물용 시트의 부착 대상 영역은 식물의 증상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식물용 시트의 부착 대상 영역의 3차원 형상에 따라서는, 기재의 컷팅부 및 개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불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기재의 컷팅부 및 개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체를 얇게 한 부분(지지체 삭감부), 및 지지체 또는 유지체를 생략한 부분(지지체 생략부, 유지체 생략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식물용 시트의 부착 대상 영역의 표면 형상이나 식물의 증상에 따라서는, 식물 표면의 요철 형상에 따른 기재 표면의 요철 형상이 불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기재의 식물에 부착되는 측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것이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식물용 시트를 제조할 때, 식물의 증상은, 식물용 시트의 제조 장치의 조작자가 제조 장치에 입력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식물용 시트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식물의 증상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를 생략해도 된다.
또한, 효능 성분액이 함침된 마스크팩 등의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기재에 대하여, 효능 성분을 포함하는 분말상(粉末狀)의 약제를 도포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가, 효능 성분을 포함하는 분말상의 약제를 기재에 도포하기 위한 약제 도포부를 포함하고, 이 약제 도포부에 의해 기재에 분말상의 약제를 기재에 도포하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분말상의 약제를 사용하여 효능 성분 유지 시트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기재에 도포하는 분말상의 약제는, 효능 성분액의 기재로의 정착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은 다양한 실시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관한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본 출원은, 이하의 발명을 개시한다.
(특징 1)
생체에 부착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시트형의 기재에 대하여, 생체 정보에 따른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특징 2)
상기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키는 공정은, 액적 토출 헤드에 의해 효능 성분액을 상기 기재에 토출하여, 상기 기재에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키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1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특징 3)
상기 기재를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1 또는 특징 2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특징 4)
상기 기재를 형성하는 공정은,
액적 토출 헤드에 의해 기재의 재료인 액체를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형성면 상에 토출하여 기재를 형성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3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특징 5)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를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재를 생체 표면을 따르게 하기 위한 컷팅부를 기재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3 또는 특징 4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특징 6)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를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재의 생체에 대한 피복을 회피하는 영역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3 내지 특징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특징 7)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를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재의 생체에 부착되는 측의 표면에, 생체 표면의 요철 형상에 따른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3 내지 특징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특징 8)
상기 기재는, 효능 성분액이 함침되는 유지체와, 상기 유지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기재를 형성하는 공정은,
시트형의 상기 지지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지지체에 적층하여 상기 유지체를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3 내지 특징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특징 9)
상기 지지체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지지체를 액체 불투과성 필름에 의해 형성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8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특징 10)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를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재가 생체 표면을 따라 구부러지도록, 다른 부분보다 상기 지지체를 얇게 한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8 또는 특징 9 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특징 11)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를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재가 생체 표면을 따라 구부러지도록, 상기 기재에 상기 지지체 또는 상기 유지체를 생략한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8 내지 특징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특징 12)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에 있어서의 증상마다의 분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 표면의 증상에 따른 영역마다, 증상에 따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상기 기재에 함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1 내지 특징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특징 13)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에 있어서의 증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생체 표면의 증상의 정도에 따라서, 각 효능 성분액의 양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12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특징 14)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에 있어서의 증상마다의 분포, 및 각 증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 전체가, 효능 성분액을 함침 가능한 유지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키는 공정은,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 표면의 증상에 따른 영역마다, 증상에 따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증상의 정도에 따른 양만큼 기재에 함침시키는 공정이고,
상기 기재를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각 영역에 함침되는 효능 성분액의 양에 따라서, 각 영역에서의 기재의 두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3 내지 특징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특징 15)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에 있어서의 증상마다의 분포, 및 각 증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키는 공정은,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 표면의 증상에 따른 영역마다, 증상에 따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증상의 정도에 따른 양만큼 기재에 함침시키는 공정이며,
상기 유지체를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각 영역에 함침되는 효능 성분액의 양에 따라서, 각 영역에서의 유지체의 두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8 내지 특징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특징 16)
상기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동일 영역에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키는 경우, 우선도가 높은 효능 성분액일수록, 상기 기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생체에 부착되는 측의 표면의 가까이에 배치되도록, 각 효능 성분액을 상기 기재에 함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12 내지 특징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특징 17)
생체에 부착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시트형의 기재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서로 다른 영역에 함침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특징 18)
효능 성분액이 함침된 기재에 대하여, 효능 성분을 포함하는 분말상의 약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1 내지 특징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특징 19)
생체에 부착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로서,
시트형의 기재에 대하여, 생체 정보에 따른 효능 성분액을 부여하여 함침시키는 효능 성분액 부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특징 20)
상기 효능 성분액 부여부는, 액적 토출 헤드에 의해 효능 성분액을 상기 기재에 토출하여 부여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19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특징 21)
상기 기재를 형성하는 기재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19 또는 특징 20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특징 22)
상기 기재 형성부는, 액적 토출 헤드에 의해 상기 기재의 재료인 액체를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형성면 상으로 토출하여 기재를 형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21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특징 23)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 형성부는, 상기 3차원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재를 생체 표면을 따르게 하기 위한 컷팅부를 상기 기재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21 또는 특징 22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특징 24)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 형성부는, 상기 3차원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재의 생체에 대한 피복을 회피하는 영역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21 내지 특징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특징 25)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 형성부는, 상기 3차원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재의 생체에 부착되는 측의 표면에, 생체 표면의 요철 형상에 따른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21 내지 특징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특징 26)
상기 기재는, 효능 성분액이 함침되는 유지체와, 상기 유지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기재 형성부는,
시트형의 상기 지지체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체에 적층하여 상기 유지체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기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21 내지 특징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특징 27)
상기 기재 형성부는, 상기 지지체를 액체 불투과성 필름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26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특징 28)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 형성부는, 상기 3차원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재가 생체 표면을 따라 구부러지도록, 다른 부분보다 상기 지지체를 얇게 한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26 또는 특징 27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특징 29)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 형성부는, 상기 3차원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재가 생체 표면을 따라 구부러지도록, 상기 기재에 상기 지지체 또는 상기 유지체를 생략한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26 내지 특징 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특징 30)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에 있어서의 증상마다의 분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효능 성분액 부여부는,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 표면의 증상에 따른 영역마다, 증상에 따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상기 기재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19 내지 특징 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특징 31)
상기 생체 정보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에 있어서의 증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효능 성분액 부여부는, 생체 표면의 증상의 정도에 따라서, 각 효능 성분액의 양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30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특징 32)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에 있어서의 증상마다의 분포, 및 각 증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 전체가, 효능 성분액이 함침 가능한 유지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효능 성분액 부여부는,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 표면의 증상에 따른 영역마다, 증상에 따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증상의 정도에 따른 양만큼 상기 기재에 부여하는 것이고,
상기 기재 형성부는, 각 영역에 부여되는 효능 성분액의 양에 따라서, 각 영역에서의 상기 기재의 두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21 내지 특징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특징 33)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에 있어서의 증상마다의 분포, 및 각 증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효능 성분액 부여부는,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 표면의 증상에 따른 영역마다, 증상에 따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증상의 정도에 따른 양만큼 기재에 부여하는 것이며,
상기 기재 형성부는, 각 영역에 함침되는 효능 성분액의 양에 따라서, 각 영역에서의 상기 유지체의 두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26 내지 특징 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특징 34)
상기 효능 성분액 부여부는, 동일 영역에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키는 경우, 우선도가 높은 효능 성분액일수록, 상기 기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생체에 부착되는 측의 표면의 가까이에 배치되도록, 각 효능 성분액을 상기 기재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30 내지 특징 3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특징 35)
생체에 부착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로서,
시트형의 기재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서로 다른 영역에 부여하여 함침시키는 효능 성분액 부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특징 36)
효능 성분액이 함침된 기재에 대하여, 효능 성분을 포함하는 분말상의 약제를 도포하는 약제 도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19 내지 특징 3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특징 37)
생체에 부착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로서,
시트형의 기재를 포함하고,
생체 정보에 따른 효능 성분액이 상기 기재에 함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
(특징 38)
상기 기재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에 따라 형성된, 상기 기재를 생체 표면을 따르게 하기 위한 컷팅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37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
(특징 39)
상기 기재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의 피복을 회피하는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37 또는 특징 38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
(특징 40)
상기 기재의 생체에 부착되는 측의 표면에,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요철 형상에 따른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37 내지 특징 3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
(특징 41)
상기 기재는,
효능 성분액이 함침되는 유지체와,
상기 유지체를 지지하는 지지체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37 내지 특징 4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
(특징 42)
상기 지지체는, 액체 불투과성 필름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41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
(특징 43)
상기 기재에는, 상기 기재가 생체 표면을 따라 구부러지도록, 다른 부분보다 상기 지지체를 얇게 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41 또는 특징 42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
(특징 44)
상기 기재에는, 상기 기재가 생체 표면을 따라 구부러지도록, 상기 지지체 또는 상기 유지체를 생략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41 내지 특징 4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
(특징 45)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증상에 따른 영역마다, 증상에 따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이 기재에 함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37 내지 특징 4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
(특징 46)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증상의 정도에 따라서, 각 효능 성분액의 양이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45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
(특징 47)
상기 기재 전체가, 효능 성분액이 함침 가능한 유지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증상에 따른 영역마다, 증상에 따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이 증상의 정도에 따른 양만큼 상기 기재에 함침되고,
각 영역에서의 효능 성분액의 양에 따라서, 각 영역에서의 상기 기재의 두께가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37 내지 특징 4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
(특징 48)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증상에 따른 영역마다, 증상에 따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이 증상의 정도에 따른 양만큼 상기 기재의 상기 유지체에 함침되고,
각 영역에서의 효능 성분액의 양에 따라서, 각 영역에서의 상기 유지체의 두께가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41 내지 특징 4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
(특징 49)
상기 기재에 있어서의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이 함침되어 있는 영역에 있어서, 우선도가 높은 효능 성분액일수록, 상기 기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의 생체에 부착되는 측의 표면의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45 내지 특징 4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
(특징 50)
생체에 부착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로서,
시트형의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이 함침된 복수의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
(특징 51)
효능 성분액이 함침된 기재에 대하여, 효능 성분을 포함하는 분말상의 약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 37 내지 특징 5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효능 성분 유지 시트.
(특징 52)
기재로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에 따라서 형성된, 상기 기재를 생체 표면을 따르게 하기 위한 컷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
일본특허출원 제2017-148310호(출원일자: 2017년 7월 31일)의 전체 내용은, 여기에 원용된다.

Claims (52)

  1. 생체에 부착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시트형의 기재(基材)에 대하여, 생체 정보에 따른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키는 공정은, 액적(液適) 토출 헤드에 의해 효능 성분액을 상기 기재에 토출하여, 상기 기재에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키는 공정인,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를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를 형성하는 공정은,
    액적 토출 헤드에 의해 기재의 재료인 액체를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형성면 상에 토출하여 기재를 형성하는 공정인,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를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재를 생체 표면을 따르게 하기 위한 컷팅부를 기재에 형성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를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재의 생체에 대한 피복을 회피하는 영역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를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재의 생체에 부착되는 측의 표면에, 생체 표면의 요철 형상에 따른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효능 성분액이 함침되는 유지체와, 상기 유지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기재를 형성하는 공정은,
    시트형의 상기 지지체를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지지체에 적층하여 상기 유지체를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지지체를 액체 불투과성 필름에 의해 형성하는 공정인,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를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재가 생체 표면을 따라 구부러지도록, 다른 부분보다 상기 지지체를 얇게 한 부분을 형성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를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3차원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재가 생체 표면을 따라 구부러지도록, 상기 기재에 상기 지지체 또는 상기 유지체를 생략한 부분을 형성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에 있어서의 증상마다의 분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 표면의 증상에 따른 영역마다, 증상에 따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상기 기재에 함침시키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에 있어서의 증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생체 표면의 증상의 정도에 따라서, 각 효능 성분액의 양을 조정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14.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에 있어서의 증상마다의 분포, 및 각 증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 전체가, 효능 성분액을 함침 가능한 유지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키는 공정은,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 표면의 증상에 따른 영역마다, 증상에 따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증상의 정도에 따른 양만큼 기재에 함침시키는 공정이고,
    상기 기재를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각 영역에 함침되는 효능 성분액의 양에 따라서, 각 영역에서의 기재의 두께를 조정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15.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에 있어서의 증상마다의 분포, 및 각 증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키는 공정은,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 표면의 증상에 따른 영역마다, 증상에 따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증상의 정도에 따른 양만큼 기재에 함침시키는 공정이며,
    상기 유지체를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각 영역에 함침되는 효능 성분액의 양에 따라서, 각 영역에서의 유지체의 두께를 조정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동일 영역에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키는 경우, 우선도가 높은 효능 성분액일수록, 상기 기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생체에 부착되는 측의 표면의 가까이에 배치되도록, 각 효능 성분액을 상기 기재에 함침시키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17. 생체에 부착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시트형의 기재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서로 다른 영역에 함침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효능 성분액이 함침된 기재에 대하여, 효능 성분을 포함하는 분말상(粉末狀)의 약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19. 생체에 부착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로서,
    시트형의 기재에 대하여, 생체 정보에 따른 효능 성분액을 부여하여 함침시키는 효능 성분액 부여부를 포함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효능 성분액 부여부는, 액적 토출 헤드에 의해 효능 성분액을 상기 기재에 토출하여 부여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를 형성하는 기재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형성부는, 액적 토출 헤드에 의해 상기 기재의 재료인 액체를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형성면 상에 토출하여 기재를 형성하는 것인,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 형성부는, 상기 3차원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재를 생체 표면을 따르게 하기 위한 컷팅부를 상기 기재에 형성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 형성부는, 상기 3차원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재의 생체에 대한 피복을 회피하는 영역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25.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 형성부는, 상기 3차원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재의 생체에 부착되는 측의 표면에, 생체 표면의 요철 형상에 따른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26.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효능 성분액이 함침되는 유지체와, 상기 유지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기재 형성부는,
    시트형의 상기 지지체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체에 적층하여 상기 유지체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기재를 형성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형성부는, 상기 지지체를 액체 불투과성 필름에 의해 형성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 형성부는, 상기 3차원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재가 생체 표면을 따라 구부러지도록, 다른 부분보다 상기 지지체를 얇게 한 부분을 형성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29.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 형성부는, 상기 3차원 형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재가 생체 표면을 따라 구부러지도록, 상기 기재에 상기 지지체 또는 상기 유지체를 생략한 부분을 형성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30. 제19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에 있어서의 증상마다의 분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효능 성분액 부여부는,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 표면의 증상에 따른 영역마다, 증상에 따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상기 기재에 부여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에 있어서의 증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효능 성분액 부여부는, 생체 표면의 증상의 정도에 따라서, 각 효능 성분액의 양을 조정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32.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에 있어서의 증상마다의 분포, 및 각 증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 전체가, 효능 성분액이 함침 가능한 유지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효능 성분액 부여부는,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 표면의 증상에 따른 영역마다, 증상에 따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증상의 정도에 따른 양만큼 상기 기재에 부여하는 것이고,
    상기 기재 형성부는, 각 영역에 부여되는 효능 성분액의 양에 따라서, 각 영역에서의 상기 기재의 두께를 조정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33. 제26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에 있어서의 증상마다의 분포, 및 각 증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효능 성분액 부여부는,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생체 표면의 증상에 따른 영역마다, 증상에 따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증상의 정도에 따른 양만큼 기재에 부여하는 것이며,
    상기 기재 형성부는, 각 영역에 함침되는 효능 성분액의 양에 따라서, 각 영역에서의 상기 유지체의 두께를 조정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34. 제30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효능 성분액 부여부는, 동일 영역에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함침시키는 경우, 우선도가 높은 효능 성분액일수록, 상기 기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생체에 부착되는 측의 표면의 가까이에 배치되도록, 각 효능 성분액을 상기 기재에 부여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35. 생체에 부착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로서,
    시트형의 기재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을 서로 다른 영역에 부여하여 함침시키는 효능 성분액 부여부를 포함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36. 제19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효능 성분액이 함침된 기재에 대하여, 효능 성분을 포함하는 분말상의 약제를 도포하는 약제 도포부를 더 포함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37. 생체에 부착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로서,
    시트형의 기재를 포함하고,
    생체 정보에 따른 효능 성분액이 상기 기재에 함침되어 있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에 따라 형성된, 상기 기재를 생체 표면을 따르게 하기 위한 컷팅부를 가지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의 피복을 회피하는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
  40.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생체에 부착되는 측의 표면에,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요철 형상에 따른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
  41. 제37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효능 성분액이 함침되는 유지체, 및
    상기 유지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액체 불투과성 필름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
  4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에는, 상기 기재가 생체 표면을 따라 구부러지도록, 다른 부분보다 상기 지지체를 얇게 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
  44. 제4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에는, 상기 기재가 생체 표면을 따라 구부러지도록, 상기 지지체 또는 상기 유지체를 생략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
  45. 제37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증상에 따른 영역마다, 증상에 따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이 기재에 함침되어 있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증상의 정도에 따라서, 각 효능 성분액의 양이 조정되어 있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
  47. 제37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전체가, 효능 성분액이 함침 가능한 유지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증상에 따른 영역마다, 증상에 따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이 증상의 정도에 따른 양만큼 상기 기재에 함침되고,
    각 영역에서의 효능 성분액의 양에 따라서, 각 영역에서의 상기 기재의 두께가 조정되어 있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
  48. 제4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증상에 따른 영역마다, 증상에 따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이 증상의 정도에 따른 양만큼 상기 기재의 상기 유지체에 함침되고,
    각 영역에서의 효능 성분액의 양에 따라서, 각 영역에서의 상기 유지체의 두께가 조정되어 있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
  49. 제45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에 있어서의 복수 종류의 효능 성분액이 함침되어 있는 영역에 있어서, 우선도가 높은 효능 성분액일수록, 상기 기재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의 생체에 부착되는 측의 표면의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
  50. 생체에 부착되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로서,
    시트형의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효능 성분액이 함침된 복수의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
  51. 제37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효능 성분액이 함침된 기재에 대하여, 효능 성분을 포함하는 분말상의 약제가 도포되어 있는, 효능 성분 유지 시트.
  52. 기재로서,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부착 대상의 생체 표면의 3차원 형상에 따라 형성된, 상기 기재를 생체 표면을 따르게 하기 위한 컷팅부를 포함하는, 기재.
KR1020207002332A 2017-07-31 2018-03-26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효능 성분 유지 시트, 및 기재 KR102400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48310 2017-07-31
JP2017148310A JP7002240B2 (ja) 2017-07-31 2017-07-31 効能成分保持シートの製造方法、効能成分保持シートの製造装置、および効能成分保持シート
PCT/JP2018/012154 WO2019026336A1 (ja) 2017-07-31 2018-03-26 効能成分保持シートの製造方法、効能成分保持シートの製造装置、効能成分保持シート、および基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693A true KR20200018693A (ko) 2020-02-19
KR102400878B1 KR102400878B1 (ko) 2022-05-20

Family

ID=6523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332A KR102400878B1 (ko) 2017-07-31 2018-03-26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효능 성분 유지 시트, 및 기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02240B2 (ko)
KR (1) KR102400878B1 (ko)
CN (1) CN110913825B (ko)
WO (1) WO2019026336A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9031A (ja) * 1998-03-20 1999-10-05 Kanebo Ltd 透明シート状化粧料、その製造方法および化粧方法
JP2003135146A (ja) * 2001-10-30 2003-05-13 Kenji Nakamura フェイスマスク
JP2003226633A (ja) 2002-02-01 2003-08-12 Afuroodo:Kk フェイスパ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262901A (ja) * 2003-03-04 2004-09-24 Nichiei:Kk パック用フェイスマスク
KR100659575B1 (ko) * 2006-04-26 2006-12-20 이재호 파우더 흡착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JP2011110152A (ja) * 2009-11-25 2011-06-09 Shiseido Co Ltd 美顔用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502908A (ja) * 2008-09-16 2012-02-02 イーエルシー マネージメント エルエルシー 化粧有効成分の標的化/個別送達
WO2013108918A1 (ja) * 2012-01-20 2013-07-25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パック化粧料収容物及びパック化粧料並びにパック化粧料の製造方法
JP2015000872A (ja) * 2013-06-18 2015-01-05 日本電子精機株式会社 身体の曲面部及び/又は凹凸部を被覆する貼付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522B2 (ja) * 1980-07-17 1985-05-04 憲司 中村 粉末入り化粧水含浸シ−トの製造方法
JP2004238333A (ja) * 2003-02-06 2004-08-26 Hiromaito Co Ltd 炭酸ガス経皮吸収用シート状物及びフェースパック
CN1721468A (zh) * 2004-07-01 2006-01-18 株式会社爱入府 功能性材料及其制造方法、功能性部件和环境改善装置
JP5195082B2 (ja) * 2008-06-30 2013-05-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ート材の加工方法およびシート材加工装置
JP5394869B2 (ja) * 2009-09-25 2014-01-22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液滴塗布装置および液滴塗布方法
WO2014003183A1 (ja) * 2012-06-29 2014-01-03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パック基材、パック化粧料ならびにパック化粧料キット
JP2014129314A (ja) * 2012-12-30 2014-07-10 Shinshu Univ シート状パック基材、シート状パック及びシート状パック基材の製造方法
US11058207B2 (en) * 2015-09-25 2021-07-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cision applicator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9031A (ja) * 1998-03-20 1999-10-05 Kanebo Ltd 透明シート状化粧料、その製造方法および化粧方法
JP2003135146A (ja) * 2001-10-30 2003-05-13 Kenji Nakamura フェイスマスク
JP2003226633A (ja) 2002-02-01 2003-08-12 Afuroodo:Kk フェイスパ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262901A (ja) * 2003-03-04 2004-09-24 Nichiei:Kk パック用フェイスマスク
KR100659575B1 (ko) * 2006-04-26 2006-12-20 이재호 파우더 흡착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JP2012502908A (ja) * 2008-09-16 2012-02-02 イーエルシー マネージメント エルエルシー 化粧有効成分の標的化/個別送達
JP2011110152A (ja) * 2009-11-25 2011-06-09 Shiseido Co Ltd 美顔用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3108918A1 (ja) * 2012-01-20 2013-07-25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パック化粧料収容物及びパック化粧料並びにパック化粧料の製造方法
JP2015000872A (ja) * 2013-06-18 2015-01-05 日本電子精機株式会社 身体の曲面部及び/又は凹凸部を被覆する貼付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02240B2 (ja) 2022-01-20
CN110913825A (zh) 2020-03-24
KR102400878B1 (ko) 2022-05-20
WO2019026336A1 (ja) 2019-02-07
JP2019026599A (ja) 2019-02-21
CN110913825B (zh)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7667B2 (en) Targeted and individualized cosmetic delivery
JP5892793B2 (ja) 化粧有効成分の標的化/個別送達
KR20100003251A (ko) 입체 조형 방법, 입체 조형 장치, 시트재 가공 방법 및 시트재 가공 장치
KR20160110973A (ko) 입체조형물 및 그 제조 방법
CA2395927A1 (en) Skin decor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942150A (zh) 两步法接触和非接触印刷
KR20160105457A (ko) 형상화된 필름 제품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KR101521492B1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JP2017534342A (ja) マスク又はパッチ形態でのマイクロカレントによるスキンケアトリートメントの標的化及び個別化送達
KR102352949B1 (ko) 적어도 2종류의 액체를 기재의 각각의 타겟 에어리어 상에 도포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18693A (ko)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방법, 효능 성분 유지 시트의 제조 장치, 효능 성분 유지 시트, 및 기재
JP7199500B2 (ja) 効能成分保持シートの製造方法および効能成分保持シートの製造装置
US202302862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ree-dimensional printing on fabric
US20200188240A1 (en) Personalized Topical Application Patch
CN110711950A (zh) 一种个性化面膜打印装置及面膜制作使用方法
KR101696544B1 (ko) 마스크 팩 제조방법
WO2023056171A1 (en) Printable personalized drug delivery patch
DE102021121148A1 (de) Microneedle Array Patch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ein Microneedle Array P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