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492B1 -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492B1
KR101521492B1 KR1020140166894A KR20140166894A KR101521492B1 KR 101521492 B1 KR101521492 B1 KR 101521492B1 KR 1020140166894 A KR1020140166894 A KR 1020140166894A KR 20140166894 A KR20140166894 A KR 20140166894A KR 101521492 B1 KR101521492 B1 KR 101521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hape image
layer
cosmetic ingredient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석
Original Assignee
하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39504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2149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하태석 filed Critical 하태석
Priority to KR1020140166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492B1/ko
Priority to PCT/KR2015/008215 priority patent/WO2016085090A1/ko
Priority to CN201510497272.1A priority patent/CN105616171A/zh
Priority to HK15107893.6A priority patent/HK1208301A2/xx
Priority to JP2015230471A priority patent/JP2016097312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05D3/065After-treatment
    • B05D3/067Curing or cross-linking the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미용성분이 함침되어 형성되는 미용성분층; 및 상기 베이스에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형성되는 형상이미지표현층을 포함하고, 상기 형상이미지표현층은, 인쇄에 이용되는 용제가 베이스에 함침된 상기 미용성분과 혼합되지 않도록 인쇄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MASK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마스크 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 미용을 위해 얼굴 등에 착용되는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얼굴 피부 관리를 위한 마스크 팩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마스크 팩은 얼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부직포 재질의 시트에 보습, 미백, 영양 공급 효과 등이 있는 다양한 성분의 에센스 제형의 액상을 함침시킨 형태로 제조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7697호(공개일: 2010년 12월 31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마스크 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스크 팩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미용성분이 함침되어 형성되는 미용성분층; 및 상기 베이스에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형성되는 형상이미지표현층을 포함하고, 상기 형상이미지표현층은, 인쇄에 이용되는 용제가 베이스에 함침된 상기 미용성분과 혼합되지 않도록 인쇄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형상이미지표현층은, 상기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도포되는 자외선 경화 잉크가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어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형상이미지표현층은, 상기 베이스에 상기 미용성분층이 형성되기 전에 상기 베이스에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형상이미지는, 사람의 얼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되고, 얼굴의 눈, 코, 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개구를 형성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은: 베이스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에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형상이미지표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에 수용성의 미용성분을 함침시켜 미용성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이미지표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인쇄에 이용되는 용제가 상기 베이스에 함침된 상기 미용성분과 혼합되지 않도록 상기 형상이미지를 상기 베이스에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형상이미지표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자외선 경화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 및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베이스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 잉크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형상이미지표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형상이미지가 사람의 얼굴 형상을 표현하도록 상기 형상이미지를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얼굴의 눈, 코, 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부분에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마스크의 외측면에 인물이나, 동물, 또는 다양한 캐릭터의 얼굴과 같은 형상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타인에게 노출되었을 때 혐오스러운 외관이 아닌 착용자의 취향에 따른 개성 있는 다양한 형태의 모습을 연출할 수 있어 착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 인쇄 방식으로 형상이미지를 인쇄함으로써, 인쇄에 사용된 성분이 고체의 폴리머 형태로 경화되어 수용성의 미용성분과 혼합되지 않으므로, 인쇄에 사용된 성분이 피부에 접촉, 침투되는 미용성분에 혼합되어 피부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염려가 없을 뿐 아니라, 안정적이고 우수한 인쇄 품질을 갖는 형상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 인쇄 방식으로 형상이미지를 인쇄함으로써, 인쇄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경도 및 탄성이 우수한 높은 품질의 마스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의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이미지형성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마스크 팩 제조 전 상태의 베이스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베이스에 자외선 경화 잉크가 도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베이스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 잉크가 경화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베이스에 미용성분층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100)은, 피부 미용을 위해 얼굴 등과 같은 신체에 착용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베이스(110)와, 미용성분층(120) 및 형상이미지표현층(1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스크 팩(100)이 얼굴에 착용되기 위한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베이스(110)는, 마스크 팩(100)을 착용하는 착용자의 피부 내에 미용성분을 공급하기 위해 신체에 접촉, 고정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공된다. 이러한 베이스(110)는, 수용성 액체의 흡수가 가능한 부직포, 천, 망사 등과 같은 원단을 이용하여 마련될 수 있다.
미용성분층(120)은, 베이스(110)에 미용성분이 함침되어 형성된다.
미용성분층(120)을 형성하는 미용성분은, 얼굴 등의 피부에 침투되는 영양 성분을 포함하며, 마스크 팩(100)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미용 목적에 따라 정제수에 다양한 영양 성분이 첨가된 재료가 혼합, 첨가된 액체 또는 겔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액체 또는 겔 타입으로 형성된 미용성분은, 수용성 액체의 흡수가 가능한 부직포, 천, 망사 등과 같은 원단으로 형성된 베이스(110)에 도포되면 베이스(110)에 스며들어 함침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미용성분에 베이스(110)에 스며들어 함침됨으로써, 베이스(110)에 미용성분층(120)이 형성될 수 있다.
형상이미지표현층(130)은, 베이스(110)에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이미지표현층(130)은, 착용자가 마스크 팩(100)을 착용하였을 때, 외부로 보여지는 부분에 형상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형상이미지표현층(130)에 의해 표현되는 형상이미지는, 사람 얼굴, 예를 들어 인물의 얼굴을 실사 크기로 표현한 이미지, 동물의 얼굴, 그 외 다양한 캐릭터의 얼굴을 표현한 형태 중 하나일 수 있다.
즉 형상이미지표현층(130)은, 착용자가 마스크 팩(100)을 착용하였을 때 외부로 보여지는 부분에 인물의 얼굴과 같은 형상이미지가 보여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형상이미지표현층(130)은, 베이스(110)의 일측면에 형상이미지가 인쇄되어 형성되되, 인쇄에 이용되는 용제(溶劑)가 베이스(110)에 함침된 미용성분과 혼합되지 않도록 인쇄되어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형상이미지표현층(130)은, 자외선 경화 인쇄 방식으로 인쇄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형상이미지표현층(130)은, 자외선 경화 잉크(Ultraviolet cure ink)가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베이스(110)에 도포되고, 도포된 자외선 경화 잉크가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방법으로 인쇄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형상이미지표현층(130)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자외선 경화 잉크는, 중합성 단량체인 액상의 모노머(Monomer)와 단위체가 낮은 정도로 중합되어 생성되는 중합체인 액상의 올리고머(Oligomer), 광개시제 등이 혼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형성되는 자외선 경화 잉크는, 액체 상태로 도포된 상태에서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자외선의 높은 에너지를 받게 되면 광 중합에 의해 딱딱한 고체 상태로 경화되는 특성이 있다. 형상이미지표현층(130)은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베이스(110)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 잉크가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형상이미지표현층(130)은, 베이스(110)에 미용성분층(120)이 형성되기 전에 베이스(110)에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베이스(110)에 함침된 미용성분층(120)의 미끈미끈한 미용성분으로 인해 형상이미지표현층(130)의 인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함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마스크 팩(100)은 절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140)는, 베이스(110)의 일부분을 절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140)는, 얼굴의 눈, 코, 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베이스(110)에 개구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절개부(140)는 형상이미지표현층(130)의 형상이미지에서 얼굴의 눈, 코, 입을 표현한 부분의 윤곽선을 따라 베이스(110)의 일부분을 절개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의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이미지형성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며, 도 5는 마스크 팩 제조 전 상태의 베이스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베이스에 자외선 경화 잉크가 도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베이스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 잉크가 경화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베이스에 미용성분층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마스크 팩(100; 도 1 참조)을 제조하기 위해, 먼저 베이스(110)를 마련한다(S10). 베이스(110)의 재료로서, 수용성 액체의 흡수가 가능한 부직포, 천, 망사 등과 같은 원단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된 베이스(110)의 일측면에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형상이미지표현층(120)을 형성한다(S20).
상기와 같은 형상이미지표현층(130)에 의해 표현되는 형상이미지는, 사람 얼굴, 예를 들어 인물의 얼굴을 실사 크기로 표현한 이미지, 동물의 얼굴, 그 외 다양한 캐릭터의 얼굴을 표현한 형태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때 형상이미지표현층(120)의 형성은, 인쇄에 이용되는 용제가 미용성분층(130)을 이루는 미용성분과 혼합되지 않도록 형상이미지를 베이스(110)에 인쇄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상이미지표현층(120)을 형성하기 위한 형상이미지의 인쇄는, 자외선 경화 인쇄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먼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된 베이스(110)의 일측면에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자외선 경화 잉크를 도포한다(S21). 이와 같이 도포되는 자외선 경화 잉크는, 중합성 단량체인 액상의 모노머(Monomer)와 단위체가 낮은 정도로 중합되어 생성되는 중합체인 액상의 올리고머(Oligomer), 광개시제 등이 혼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 경화 잉크가 도포된 영역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베이스(110)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 잉크를 경화시킨다(S23).
자외선 경화 잉크가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베이스(110)에 도포된 후, 상기와 같이 도포된 자외선 경화 잉크에 강한 에너지를 갖는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면, 자외선은 자외선 경화 잉크의 표면에 도달한 후 자외선 경화 잉크의 전 방향으로 방사된다.
이와 같이 방사된 자외선에 의해 광개시제가 여기되며, 여기된 광개시제는 광 중합 반응을 연속적으로 일으켜 자외선 경화 잉크의 주성분인 모노머와 올리고머가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순간적으로 광 중합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이와 같이 일어나는 광 중합에 의해, 자외선 경화 잉크의 주성분을 이루는 액상의 모노머와 올리고머가 고체의 폴리머(Polymer) 형태로 중합되고, 이에 따라 액체 상태로 도포되어 있던 자외선 경화 잉크는 딱딱한 고체 형태로 경화된 인쇄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경화된 자외선 경화 잉크에 의해 형성된 인쇄층은, 경화 속도가 빠르고, 경도가 높을 뿐 아니라, 탄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자외선 경화 잉크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인쇄층은, 인쇄에 사용된 물질이 분해되어 나올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인쇄 방법에 따르면, 원료가 되는 수지 성분을 희석제나 용제를 이용하여 녹여 제조한 수성 또는 유성 잉크를 도포한 후, 열 또는 바람 등을 이용하여 용제 또는 희석제가 날아가고 수지 성분만 남도록 건조시킴으로써 인쇄층을 형성한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자외선 경화 인쇄 방법에 따르면, 자외선 경화 잉크의 주성분인 모노머와 올리고머를 순간적으로 폴리머 상태로 경화시킴으로써 인쇄층을 하는 것으로서, 건조가 아닌 경화 방식으로 인쇄층을 형성하므로 인쇄층을 형성한 잉크 성분이 다시 녹거나 분해되지 않을 뿐 아니라, 인체에 해로운 용제나 희석제를 사용하지 않고 여러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인쇄된 인쇄층에 의해 형성된 형상이미지표현층(130)은, 경화 속도가 빨라 인쇄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하고, 경도가 높아 쉽게 긁히거나 벗겨질 염려가 없을 뿐 아니라, 탄성이 높아 마스크 팩(100)의 형상 변형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유해물질이 분해되어 나오거나 수용성의 미용성분과 혼합될 염려가 없어 매우 안정적인 인쇄결과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상이미지표현층(130)의 형성이 완료되면,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에 미용 성분을 함침시켜 미용성분층(120)을 형성한다(S30).
미용성분층(120)의 형성은 액체 또는 겔 타입으로 형성된 미용성분을 수용성 액체의 흡수가 가능한 부직포, 천, 망사 등과 같은 원단으로 형성된 베이스(110)에 도포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베이스(110)에 도포된 미용성분이 베이스(110)에 스며들어 함침됨으로써 베이스(110)에 미용성분층(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미용성분층(120)을 이루며 베이스(110)에 함침된 미용성분은, 피부와 접촉시 피부에 침투되어 그 성분에 따라 목적된 미용 기능을 수행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형상이미지표현층(130) 인쇄에 사용된 성분, 즉 자외선 경화형 잉크 성분과 수용성의 미용성분이 서로 혼합되지 않으므로, 베이스(110)에 미용성분층(120)이 형성되어 형상이미지표현층(130)과 접촉되어도 미용성분층(120)과 형상이미지표현층(130) 서로 간에 미치는 영향이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인쇄에 사용된 성분이 미용성분과 혼합되어 피부에 영향을 미칠 염려가 없고, 형상이미지표현층(130)에서 표현된 형상이미지가 미용성분과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그 형태가 망가지지 않고 최초 인쇄된 결과의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인쇄 품질이 높은 마스크 팩(10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미용성분층(120)의 형성이 완료되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를 목적된 형상으로 재단하는 한편, 베이스(110)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얼굴의 눈, 코 , 입에 대응하는 부분에 절개부(140)를 형성한다(S40).
이러한 절개부(140)의 형성은, 형상이미지표현층(130)의 형상이미지에서 얼굴의 눈, 코, 입을 표현한 부분의 윤곽선을 따라 베이스(110)의 일부분을 절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마스크의 외측면에 인물이나, 동물, 또는 다양한 캐릭터의 얼굴과 같은 형상이미지가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타인에게 노출되었을 때 혐오스러운 외관이 아닌 착용자의 취향에 따른 개성 있는 다양한 형태의 모습을 연출할 수 있어 착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인쇄에 사용된 성분이 고체의 폴리머 형태로 경화되어 수용성의 미용성분과 혼합되지 않으므로, 인쇄에 사용된 성분이 피부에 접촉, 침투되는 미용성분에 혼합되어 피부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염려가 없을 뿐 아니라, 안정적이고 우수한 인쇄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자외선 경화 인쇄 방식으로 형상이미지를 인쇄함으로써, 인쇄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경도 및 탄성이 우수한 높은 품질의 마스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마스크 팩
110 : 베이스
120 : 미용성분층
130 : 형상이미지표현층
140 : 절개부

Claims (9)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미용성분이 함침되어 형성되는 미용성분층; 및
    상기 베이스에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형성되는 형상이미지표현층을 포함하고,
    상기 형상이미지표현층은, 상기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도포되는 자외선 경화 잉크가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어 인쇄되고, 인쇄에 이용되는 자외선 경화 잉크가 상기 베이스에 함침된 상기 미용성분과 혼합되지 않도록 상기 미용성분층이 형성되기 전에 상기 형상이미지가 상기 베이스에 인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이미지표현층은, 상기 베이스에 상기 미용성분층이 형성되기 전에 상기 베이스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이미지는, 사람의 얼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되고, 얼굴의 눈, 코, 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개구를 형성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
  6. 베이스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에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형상이미지표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에 수용성의 미용성분을 함침시켜 미용성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이미지표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형상이미지를 표현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자외선 경화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 및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베이스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 잉크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이미지표현층은, 인쇄에 이용되는 자외선 경화 잉크가 상기 베이스에 함침된 상기 미용성분과 혼합되지 않도록 상기 미용성분층이 형성되기 전에 상기 형상이미지가 상기 베이스에 인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이미지표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형상이미지가 사람의 얼굴 형상을 표현하도록 상기 형상이미지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얼굴의 눈, 코, 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부분에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KR1020140166894A 2014-11-26 2014-11-26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521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894A KR101521492B1 (ko) 2014-11-26 2014-11-26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5/008215 WO2016085090A1 (ko) 2014-11-26 2015-08-05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CN201510497272.1A CN105616171A (zh) 2014-11-26 2015-08-13 面膜及其制造方法
HK15107893.6A HK1208301A2 (en) 2014-11-26 2015-08-14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5230471A JP2016097312A (ja) 2014-11-26 2015-11-26 マスク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894A KR101521492B1 (ko) 2014-11-26 2014-11-26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492B1 true KR101521492B1 (ko) 2015-05-19

Family

ID=53395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894A KR101521492B1 (ko) 2014-11-26 2014-11-26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6097312A (ko)
KR (1) KR101521492B1 (ko)
CN (1) CN105616171A (ko)
HK (1) HK1208301A2 (ko)
WO (1) WO2016085090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890B1 (ko) * 2015-06-09 2015-07-14 하태석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546253B1 (ko) 2015-06-09 2015-08-20 하태석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0177A (ko) 2015-08-14 2017-02-22 추봉세 온도감응형 변색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7042303A (ja) * 2015-08-25 2017-03-02 一心堂本舗株式会社 美容パックシート、美容パックシート製品、及び美容パック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70040650A (ko)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미용 팩
KR101883203B1 (ko) 2017-09-13 2018-07-31 주식회사 설매 스티커형 마스크팩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스티커형 마스크팩 시트
KR102216077B1 (ko) 2020-04-10 2021-02-16 최미영 광원을 이용한 광 테라피 기능을 갖는 마스크 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947A (ko) * 2000-08-19 2002-02-27 박춘성 마스크 형상을 갖는 맛사지용 팩 및 그 제작방법
KR20110132444A (ko) * 2009-03-13 2011-12-07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쇄물
KR101342925B1 (ko) * 2013-03-13 2013-12-18 (주)에이엘미디어 미용 팩 및 그 제조 방법
KR200470948Y1 (ko) * 2013-05-24 2014-01-22 주식회사 이앤씨 연예인얼굴 이미지가 인쇄된 마스크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1183A (ja) * 1986-04-25 1987-10-31 Hosiden Electronics Co Ltd 樹脂に対する印刷方法
US6312123B1 (en) * 1998-05-01 2001-11-06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UV ink jet printing on fabric and combination printing and quilting thereby
CN101235235A (zh) * 2007-02-02 2008-08-06 日本精工油墨股份有限公司 紫外线固化型油墨及使用其的装饰印刷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947A (ko) * 2000-08-19 2002-02-27 박춘성 마스크 형상을 갖는 맛사지용 팩 및 그 제작방법
KR20110132444A (ko) * 2009-03-13 2011-12-07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쇄물
KR101342925B1 (ko) * 2013-03-13 2013-12-18 (주)에이엘미디어 미용 팩 및 그 제조 방법
KR200470948Y1 (ko) * 2013-05-24 2014-01-22 주식회사 이앤씨 연예인얼굴 이미지가 인쇄된 마스크팩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890B1 (ko) * 2015-06-09 2015-07-14 하태석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546253B1 (ko) 2015-06-09 2015-08-20 하태석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0177A (ko) 2015-08-14 2017-02-22 추봉세 온도감응형 변색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7042303A (ja) * 2015-08-25 2017-03-02 一心堂本舗株式会社 美容パックシート、美容パックシート製品、及び美容パック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70040650A (ko)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미용 팩
KR101883203B1 (ko) 2017-09-13 2018-07-31 주식회사 설매 스티커형 마스크팩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스티커형 마스크팩 시트
KR102216077B1 (ko) 2020-04-10 2021-02-16 최미영 광원을 이용한 광 테라피 기능을 갖는 마스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97312A (ja) 2016-05-30
WO2016085090A1 (ko) 2016-06-02
HK1208301A2 (en) 2016-02-26
CN105616171A (zh)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492B1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546253B1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BR102014012034A2 (pt) autocolante de unha
KR101536890B1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200470948Y1 (ko) 연예인얼굴 이미지가 인쇄된 마스크팩
JP6795739B2 (ja) ネイルアートの施術方法
KR101600933B1 (ko) 발광이미지가 형성된 마스크팩의 제조 방법
KR200489804Y1 (ko) 문양이 인쇄된 화장용 마스크
KR20210050151A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8673A (ko) 이미지가 인쇄된 마사지용 마스크팩
KR20140003324U (ko) 마스크 팩
KR20210050154A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645181B1 (ko) 이미지가 형성된 마스크팩의 제조 방법
KR20210050161A (ko) 마스크 팩 제조방법
JP2006015049A (ja) 美容液を含浸した顔用マスク
KR20160133673A (ko) 마스크 팩 제조방법
US20110056510A1 (en) Method and Kit for Producing a Semi-Permanent Design or Tattoo onto Your Pet and/or Livestock
KR20150001944A (ko) 점착식 장신구와 그 제조방법
KR101801314B1 (ko) 미용팩 인쇄방법
KR102494163B1 (ko) 금형을 이용한 연장가능한 완전경화용 젤네일 스티커의 시술방법
KR200478562Y1 (ko) 시트 마스크
JP2020172732A (ja) Vrゴーグル用デザインマスク
KR20230089477A (ko) 피부견인화장용마스크 팩
KR102623489B1 (ko) 이미지가 인쇄된 자외선 차단용 패치
CA3060857A1 (en) Kleen komb invention. kleen kit inc. 2019.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215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717

Effective date: 20210831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